KR20220109825A - Airway securing device for first aid - Google Patents
Airway securing device for first ai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09825A KR20220109825A KR1020210013310A KR20210013310A KR20220109825A KR 20220109825 A KR20220109825 A KR 20220109825A KR 1020210013310 A KR1020210013310 A KR 1020210013310A KR 20210013310 A KR20210013310 A KR 20210013310A KR 20220109825 A KR20220109825 A KR 2022010982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way
- patient
- pocket portion
- tongu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8—Mouthpieces; Means for guiding, securing or introducing the tubes
- A61M16/049—Mouthpieces
- A61M16/0495—Mouthpieces with tongue depress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25—Respiratory system
- A61M2210/1032—Trache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응급처치용 기도 확보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집게 형태를 이루는 제1포켓부와 제2포켓부로 환자의 혀를 잡아 펼치면서, 상기 제1포켓부와 제2포켓부 사이에 환자의 혀를 위치시켜, 혀가 말리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1포켓부에 형성된 기도확보공으로 환자의 기도를 확보하는 응급처치용 기도 확보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way securing mechanism for first aid, and more particularly, while holding the patient's tongue with the first and second pockets in the form of tongs, the patient's tongue is sprea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ckets. It relates to an airway securing mechanism for emergency treatment that prevents the tongue from being curled by positioning the tongue, and secures the airway of a patient with an airway securing hole formed in the first pocket.
일반적으로 기도 유지장치(기도 유지기)는 의식이 없거나 의식이 미약한 상태의 환자가 호흡할 수 있게 환자의 구강 내에 인위적으로 삽입하여 기도를 확보하기 위한 물리적 장치를 일컫는데, 대부분이 일회용 제품으로서 사용된다.In general, an airway maintainer (airway retainer) refers to a physical device artificially inserted into a patient's mouth to secure an airway so that an unconscious or weakly conscious patient can breathe. used
의식이 없는 상태의 환자는 수술 중인 환자와 비수술 상태에서 구조 호흡법(심폐 소생)이 필요한 환자 등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특히 의식이 없거나 의식이 미약한 비수술 상태의 환자의 경우 혀의 처짐 및 말림으로 인해 기도가 폐쇄될 수있기 때문에, 기도 유지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기도를 확보하는 것뿐만 아니라 기도를 통해 신속한 구조 호흡을 시행함으로써 원활한 산소 공급을 하는 초기 응급 처치가 대단히 중요하다.Patients in an unconscious state can be divided into those who are undergoing surgery and those who require rescue breath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a non-surgical state. Because the airway may be obstructed due to the airway, it is very important to secure the patient's airway using an airway maintenance device, as well as to provide an initial emergency treatment with a smooth oxygen supply by performing rapid rescue breathing through the airway.
기도를 확보하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구강 기도유지기, 비강 기도유지기, 기관 삽관 튜브, 후두 튜브 및 후두 마스크, 아이젤(I-Gel) 등의 다양한 성문상부 기도유지기(Supraglottic Airway Device)가 사용되고 있다. In order to secure and maintain the airway, various supraglottic airway devices such as oral airway maintainers, nasal airway maintainers, tracheal intubation tubes, laryngeal tubes and laryngeal masks, and I-Gel are used. .
그리고 산소 공급을 위한 구조 호흡은 구강 대 구강, 구강 대 비강 및 앰부 백(AMBU-Bag)을 이용하는데, 여기에서, 구강 대 구강 및 구강 대 비강 호흡은 환자와 구조자 간에 직접적인 접촉이 이루어지기에 위생상 문제가 있으며, 추가적으로 환자에 지니고 있을 수 있는 전염 가능한 병이 구조자에게 옮겨질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환자와 구조자 간의 직접적인 접촉이 필요없는 앰부 백을 이용한 구조 호흡을 시행하는 것이 유리하다.And rescue breathing for oxygen supply uses mouth-to-mouth, mouth-to-nasal and AMBU-Bag, where mouth-to-mouth and mouth-to-nasal breathing is hygienic because direct contact between the patient and the rescuer is made. There are health problems, and additionally, contagious diseases that the patient may be carrying may be passed on to the rescuer. For this reason, it is advantageous to perform rescue breathing using an ambu bag that does not require direct contact between the patient and the rescuer.
이와 같은 구조 호흡을 시행할 수 있는, 구강 내에 삽입되는 기도 유지장치는 병원전 단계의 현장에서도 특별한 교육 훈련 없이, 누구나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신속한 기도 확보 및 산소 공급이 요구된다.The airway maintenance device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which can perform such rescue breathing, can be used simply and quickly by anyone without special education and training even at the site of the pre-hospital stage, so that rapid airway security and oxygen supply are required.
종래의 기도 유지장치로는, 공개실용신안 20-2013-0007379호가 구강용 기도 유지기로써 개시되어 있는데, 기도유지기의 일단에 형성되며, 구강 내에 삽입되는 삽입 단부, 기도유지기 중간부의 이빨 물림부, 삽입 단부와 대향하여 형성된 배플, 이빨 물림부에 피복되는 연질 패드, 및 배플 중앙부에는 호스가 삽입되게끔 형성된 통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a conventional airway maintaining device, Public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3-0007379 is disclosed as an oral airway retainer, which is formed at one end of the airway retainer, the insertion end inserted into the oral cavity, and the middle part of the airway retainer. The portion, the baffle formed opposite the insertion end, a soft pad coated on the tooth engaging portion, and a vent hol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ffle so that the hose is inserted.
그리고 혀는 우리의 신체 중의 하나로서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하는 것인데, 의식을 잃은 응급 환자의 경우에는 혀가 말려 아래로 쳐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어 매우 위험한 지경에 도달하거나 심지어는 사망하는 경우까지 도달하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And the tongue plays a very important function as one of our bodies, and in the case of an emergency patient who has lost consciousness, the tongue may curl up and droop down, reaching a very dangerous point or even death. may cause problems.
혀가 말려 아래로 쳐지는 현상을 설강침하현상이라 하는데, 이러한 설강침하현상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기도(氣道; 호흡할 때 공기가 지나가는 길)를 막게 되므로 호흡을 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게 되며, 응급처치가 제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매우 위험한 지경에 도달하거나 사망에 이르게 된다.The phenomenon of the tongue being curled and drooping is called sublingual depression. When this phenomenon occurs, the airway is blocked, leading to a state in which breathing is impossible. If treatment is not carried out in a timely manner, it can reach a very dangerous level or result in death.
그러므로 기도 확보 시, 혀 말림을 함께 개선할 수 있는 응급처치용 기도 확보기구가 제공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Therefore, when securing the airway,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an airway securing device for first aid should be provided that can also improve tongue curl.
본 발명은 응급 처치 상황 시, 누구나 손쉽게 환자의 기도를 확보할 수 있는 응급처치용 기도 확보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way securing mechanism for emergency treatment that anyone can easily secure the airway of a patient in an emergency treatment situation.
본 발명에 따른 응급처치용 기도 확보기구는 후방이 개방되고, 내부에는 공간을 형성하며, 일측으로 환자 혀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제1포켓부와, 상기 제1포켓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후방이 개방되면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일측으로 환자 혀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제2포켓부, 및 상기 제1포켓부의 후단과 상기 제2포켓부의 후단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제1포켓부 및 제2포켓부가 선택적으로 회전되도록 한 연결부를 포함한다.The airway securing mechanism for first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ar opening, a space is formed therein, a first pocket part supporting one side of the patient's tongue on one side, and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pocket part, the rear A second pocket part for supporting the other side of the patient's tongue on one side, forming a space inside while this is opened, and the rear end of the first pocket part and the rear end of the second pocket par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pocket part and It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that allows the second pocket portion to be selectively rotated.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포켓부의 전단에 형성되고, 환자의 목구멍에 위치되어, 기도를 확보하는 기도확보공을 형성하고, 상기 제1포켓부, 제2포켓부, 및 연결부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po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located in the patient's throat to form an airway securing hole for securing the airway, and the first pocket, the second pocket, and the connection part are rubber or silicone. It is preferably made of material.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포켓부의 좌, 우측에는 각각 환자 구강의 상악 치아와 하악 치아 사이로 진입하여 구강이 벌어지도록 하는 벌림날개편을 형성한다.An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po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upper teeth and mandibular teeth of the patient's oral cavity to enter between the oral cavity to form a divergence wing pieces.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벌림날개편은 그 수직 단면이 이등변 삼각형을 이룰 수 있다.At this time, the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flap blade pie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orm an isosceles triangle.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포켓부 및 제2포켓부는 혀와 맞닿는 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pocket portion and the second pocket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 irregularities on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tongue.
본 발명에 따른 응급처치용 기도 확보기구에 의해 나타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The effects exhibited by the airway securing mechanism for emergency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환자가 의식을 잃은 응급 상황 시, 응급처치용 기도 확보기구를 환자의 구강에 삽입하면서 집게 형태를 이루는 제1포켓부 및 제2포켓부로 혀를 잡아 펴고, 상기 제1포켓부 및 제2포켓부 사이에 펴진 혀를 위치시킨 상태로, 환자의 구강에 응급처치용 기도 확보기구를 삽착하여, 환자의 혀가 목구멍으로 말리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제1포켓부에 형성된 기도확보공으로 기도를 확보할 수 있다. In an emergency situation in which the patient loses consciousness, the first and second pocket portions forming a forceps shape while inserting an airway securing device for emergency treatment into the patient's mouth and stretching the tongue, the first and second pocket portions By inserting an airway securing device for first aid in the mouth of the patient with the tongue placed between them,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atient's tongue from being curled in the throat, and the airway can be secured with the airway securing hole formed in the first pocket. can be obtained
상기 응급처치용 기도 확보기구 일체를 탄성을 갖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져, 세척이 용이하여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환자의 구강과 접촉하여도 상처를 주는 않는다.All of the airway securing mechanism for first aid is made of rubber or silicone material having elasticity, so it can be easily cleaned and managed hygienically, and it does not hurt even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atient's oral cavity.
환자의 상악 치아와 하악 치아의 사이에 위치하는 벌림날개편을 제1포켓부 좌, 우측에 형성함에 따라 상기 응급처치용 기도 확보기구의 진입이 용이하고, 환자의 치아를 보호할 수 있다.By forming the flapping blades positioned between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teeth of the patient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pocket, it is possible to easily access the airway securing mechanism for emergency treatment and protect the patient's teeth.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응급처치용 기도 확보기구를 일측에서 본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응급처치용 기도 확보기구를 타측에서 본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응급처치용 기도 확보기구의 단면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응급처치용 기도 확보기구의 제1포켓부 및 제2포켓부가 회전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응급처치용 기도 확보기구의 사용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airway securing mechanism for first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one sid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irway securing mechanism for emergency trea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iewed from the other side.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n airway securing mechanism for first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pocket portion and the second pocket portion of the airway securing mechanism for emergency trea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airway securing mechanism for emergency trea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should properly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y are equival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ations.
본 발명은 집게 형태를 이루는 제1포켓부와 제2포켓부로 환자의 혀를 잡아 펼치면서, 상기 제1포켓부와 제2포켓부 사이에 환자의 혀를 위치시켜, 혀가 말리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1포켓부에 형성된 기도확보공으로 환자의 기도를 확보하는 응급처치용 기도 확보기구에 관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holds the patient's tongue with the first pocket part and the second pocket part forming a forceps shape and places the patient's tongue between the first pocket part and the second pocket part to prevent the tongue from curling, It relates to an airway securing mechanism for emergency treatment that secures the airway of a patient with an airway securing hole formed in the first pocket,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응급처치용 기도 확보기구(100)는 제1포켓부(110)와 제2포켓부(120), 및 연결부(130)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1포켓부(110)는 후방이 개방되면서 내부에는 공간을 형성한 것으로, 개방된 후방을 통해 한 손의 다섯손가락 중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네 손가락이 삽입되고, 상기 제2포켓부(120)는 상기 제1포켓부(110)와 같이 후방이 개방되면서 내부에는 공간을 형성한 것으로, 개방된 후방을 통해 한 손의 다섯손가락 중 엄지손가락이 삽입된다.The airway securing
이때 상기 제1포켓부(110), 제2포켓부(120) 중 환자의 혀와 면접하는 면(내측면)은 평평한 면을 이루고, 대향진 면(외측면)은 만곡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제1포켓부(110), 제2포켓부(120) 중 환자의 혀와 맞닿는 면에는 요철(미부호)을 형성하여, 상기 요철에 의해 상기 제1포켓부(110) 및 제2포켓부(120)의 면(내측면)에서 환자의 혀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그리고 상기 제1포켓부(110) 및 제2포켓부(120)는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데, 상기 연결부(130)는 상기 제1포켓부(110)의 후단과 상기 제2포켓부(120)의 후단을 서로 연결하여 집게 형태를 이루도록 한다.And the
이때 상기 제1포켓부(110) 및 제2포켓부(120)는 서로의 내측면인 환자 혀와 맞닿는 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연결부(130)의 일측에 상기 제1포켓부(110)의 후단과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130)의 타측에 상기 제2포켓부(120)의 후단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제1포켓부(110) 및 제2포켓부(120)가 상기 연결부(130)를 기준으로 선택적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상기 연결부(130)는 측단면이 반원 형태의 호상을 이루어, 상기 제1포켓부(110) 및 제2포켓부(120)가 해당 거리를 두고 서로 이격 배치되므로, 상기 제1포켓부(110) 및 제2포켓부(120)는 집게 형태를 이루는 사용자의 한 손에 파지 된다.The connecting
여기서 상기 제1포켓부(110), 제2포켓부(120), 및 연결부(130)는 인체에 무해하면서, 접촉으로 생체에 상처를 주지 않고, 외부에서 가해지는 물리적 힘이 소거되면 그 형태가 복원되도록, 탄성을 갖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응급처치용 기도 확보기구(100)는 상기 연결부(130)에 의해 후단이 서로 연결되어, 집게 형태를 이루는 상기 제1포켓부(110) 및 제2포켓부(120)는 사용자가 한 손의 다섯손가락 중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네 손가락을 상기 제1포켓부(110)에 삽입시키고, 한 손의 다섯손가락 중 엄지손가락을 상기 제2포켓부(120)에 삽입시킨 후, 환자의 구강으로 상기 제1포켓부(110) 및 제2포켓부(120)를 진입시키면서, 상기 제1포켓부(110)와 제2포켓부(120)의 사이로 말려진 환자의 혀를 잡아 펼칠 수 있고, 상기 제1포켓부(110)와 제2포켓부(120) 사이에 펼쳐진 환자의 혀를 위치시킴에 따라 혀가 다시 말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airway securing
그리고 상기 제2포켓부(120)는 상기 제1포켓부(11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제2포켓부(120)를 상기 제1포켓부(11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함에 따라 상기 제2포켓부(120)를 상기 제1포켓부(110)보다 상대적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제1포켓부(110)에는 기도확보공(111)을 형성하는데, 상기 기도확보공(111)은 상기 제1포켓부(110)의 전단이 천공되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1포켓부(110)가 환자의 혀를 펴기 위해 구강으로 삽입될 시, 환자의 목구멍에 위치되면서 목구멍과 상기 기도확보공(111)이 서로 연통하여, 상기 기도확보공(111)을 통해 환자의 기도가 확보된다.In addition, the
더불어 상기 기도확보공(111)을 형성한 제1포켓부(110)의 좌, 우측에는 벌림날개편(112)를 형성하는데, 상기 벌림날개편(112)은 상기 제1포켓부(110)의 좌, 우측에 각각 외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1포켓부(110)를 환자의 구강으로 진입시킬 시, 환자 구강의 상악 치아와 하악 치아 사이로 진입하여 구강이 벌어지도록 한다.In addition, a
여기서 상기 벌림날개편(112)의 수직단면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하는 이등변삼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vertical cross-section of the bulging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응급처치용 기도 확보기구(100)는 환자가 의식을 잃은 응급 상황 시, 환자의 구강에 삽입하면서 집게 형태를 연결된 제1포켓부(110) 및 제2포켓부(120)로 혀를 잡아 펴고, 상기 제1포켓부(110) 및 제2포켓부(120) 사이에 펴진 혀를 위치시켜, 환자의 혀가 목구멍으로 말리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제1포켓부(110)에 형성된 기도확보공(111)으로 기도를 확보할 수 있다. Therefore, the airway securing
그리고 상기 응급처치용 기도 확보기구(100) 일체를 탄성을 갖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져, 세척이 용이하여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환자의 구강과 접촉하여도 상처를 주는 않는다.And, the first aid
또한, 환자의 상악 치아와 하악 치아의 사이에 위치하는 벌림날개편(112)을 제1포켓부(110) 좌, 우측에 형성함에 따라 상기 응급처치용 기도 확보기구(100)의 진입이 용이하고, 환자의 치아를 보호할 수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flapping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which is merely exemplar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응급처치용 기도 확보기구
110: 제1포켓부
111: 기도확보공
112: 벌림날개편
120: 제2포켓부
130: 연결부100: airway securing device for first aid
110: first pocket unit
111: airway securing ball
112: Beollim wing revision
120: second pocket unit
130: connection part
Claims (6)
상기 제1포켓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후방이 개방되면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일측으로 환자 혀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제2포켓부; 및
상기 제1포켓부의 후단과 상기 제2포켓부의 후단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제1포켓부 및 제2포켓부가 선택적으로 회전되도록 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응급처치용 기도 확보기구.
The rear is open, the space is formed therein, the first pocket portion for supporting one side of the patient's tongue to one side;
a second pocket par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pocket part, forming a space therein while the rear is opened, and supporting the other side of the patient's tongue on one side; and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rear end of the first pocket portion and the rear end of the second pocket portion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pocket portion and the second pocket portion are selectively rotated.
상기 제1포켓부의 전단에 형성되고, 환자의 목구멍에 위치되어, 기도를 확보하는 기도확보공을 형성한 응급처치용 기도 확보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airway securing mechanism for emergency treatment that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pocket and is positioned in the patient's throat to form an airway securing hole for securing the airway.
상기 제1포켓부, 제2포켓부, 및 연결부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응급처치용 기도 확보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ocket portion, the second pocket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Airway securing device for first aid made of rubber or silicone material.
상기 제1포켓부의 좌, 우측에는
환자 구강의 상악 치아와 하악 치아 사이로 진입하여 구강이 벌어지도록 하는 벌림날개편을 형성한 응급처치용 기도 확보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pocket
A device for securing an airway for emergency treatment with a flapper that enters between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teeth of the patient's mouth and opens the mouth.
상기 벌림날개편은
그 수직 단면이 이등변 삼각형을 이루는 응급처치용 기도 확보기구.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blade flap is
An airway securing device for first aid whose vertical cross-section forms an isosceles triangle.
상기 제1포켓부 및 제2포켓부는
혀와 맞닿는 면에 요철을 형성한 응급처치용 기도 확보기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ocket portion and the second pocket portion
An airway securing device for first aid with irregularities formed on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tongu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3310A KR102551910B1 (en) | 2021-01-29 | 2021-01-29 | Airway securing device for first ai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3310A KR102551910B1 (en) | 2021-01-29 | 2021-01-29 | Airway securing device for first ai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09825A true KR20220109825A (en) | 2022-08-05 |
KR102551910B1 KR102551910B1 (en) | 2023-07-06 |
Family
ID=82826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13310A Active KR102551910B1 (en) | 2021-01-29 | 2021-01-29 | Airway securing device for first ai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51910B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02549A (en) * | 2001-10-01 | 2003-04-08 | Keisho Kaihatsu:Kk | Tongue fur removing cloth having oral controllability |
KR200428746Y1 (en) * | 2006-07-14 | 2006-10-16 | 김의철 | Snoring Protector |
KR100985901B1 (en) * | 2009-12-17 | 2010-10-08 | (주)진성메디 | Respirator mask |
KR20100118050A (en) * | 2009-04-27 | 2010-11-04 | 김진만 | Uob catcher as one body form |
US20170151399A1 (en) * | 2007-11-13 | 2017-06-01 | Apnicure, Inc. |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ing airway patency |
JP2019111267A (en) * | 2017-12-26 | 2019-07-11 | 株式会社壮健 | Aid for improving symptom of sleep apnea syndrome |
-
2021
- 2021-01-29 KR KR1020210013310A patent/KR10255191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02549A (en) * | 2001-10-01 | 2003-04-08 | Keisho Kaihatsu:Kk | Tongue fur removing cloth having oral controllability |
KR200428746Y1 (en) * | 2006-07-14 | 2006-10-16 | 김의철 | Snoring Protector |
US20170151399A1 (en) * | 2007-11-13 | 2017-06-01 | Apnicure, Inc. |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ing airway patency |
KR20100118050A (en) * | 2009-04-27 | 2010-11-04 | 김진만 | Uob catcher as one body form |
KR100985901B1 (en) * | 2009-12-17 | 2010-10-08 | (주)진성메디 | Respirator mask |
JP2019111267A (en) * | 2017-12-26 | 2019-07-11 | 株式会社壮健 | Aid for improving symptom of sleep apnea syndro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51910B1 (en) | 2023-07-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966319B2 (en) | Anatomical mouthpiece with retaining wings system and method | |
US7870860B2 (en) | Respiratory mask having intraoral mouthpiece with large sealing area and multiple sealing configuration | |
JP6899380B2 (en) | Oral appliances | |
ES2701864T3 (en) | Sealant mechanism for anesthetic airway devices | |
US4881540A (en) | Device and method for assisting in artificial respiration | |
WO2019162024A1 (en) | Snorkel ventilating airway and bite-block | |
JPS6254511B2 (en) | ||
WO2019195579A1 (en) | Mouth shield device for treatment of dry mouth, teeth grinding, snoring, and sleep apnea and methods of use thereof | |
KR102551910B1 (en) | Airway securing device for first aid | |
JP4482207B2 (en) | Mouth breathing prevention device | |
CN111298264A (en) | Safety isolation type artificial respirator | |
US11957840B2 (en) | Device for speech therapy, administration of inhalation medication and for treatment of otitis, sinusitis and barotrauma | |
Greenberg | Facemask, nasal, and oral airway devices | |
KR102612022B1 (en) | Airway expansion device including safety fit structure | |
KR101804275B1 (en) | Portable mouse piece for artificial respiration | |
NL2029275B1 (en) | Portable Isolation Mask for Artificial Respiration | |
KR102085511B1 (en) | Instrument for preventing snoring and sleep apnea | |
JP3045471U (en) | Portable emergency ventilator | |
Riski | Nasal airway interference: considerations for evaluation. | |
Baker et al. | The Management of Respiratory Failure: Airway Management and Manual Methods of Artificial Ventilation | |
CN112370626A (en) | Portable isolation hood for artificial respiration | |
McKay | Management of the Airway and Breathing | |
Council | Breathing: Australian resuscitation council guideline 2006 | |
Council et al. | Basic Life Support: Airway. ARC and NZRC Guideline 2010emm_1422_3 248.. 264 | |
Council et al. | Basic Life Support: Breathing. ARC and NZRC Guideline 2010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29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