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108081A - 경화성 조성물 세트 및 물품 - Google Patents

경화성 조성물 세트 및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8081A
KR20220108081A KR1020227020268A KR20227020268A KR20220108081A KR 20220108081 A KR20220108081 A KR 20220108081A KR 1020227020268 A KR1020227020268 A KR 1020227020268A KR 20227020268 A KR20227020268 A KR 20227020268A KR 20220108081 A KR20220108081 A KR 20220108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curable composition
formula
acrylate
liqu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0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조미 마츠바라
유키 나카무라
나오키 후루카와
히로시 요코타
츠요시 모리모토
Original Assignee
쇼와덴코머티리얼즈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와덴코머티리얼즈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쇼와덴코머티리얼즈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08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8081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08Materials not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 C09K5/14Solid materials, e.g. powdery or granula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8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7/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 C07C67/14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from carboxylic acid hal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52Esters of acyclic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having the esterified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 C07C69/602Dicarboxylic acid esters having at least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08F222/1006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 C08F222/106Esters of polycondensation macromers
    • C08F222/1063Esters of polycondensation macromers of alcohol terminated 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90/062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32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G65/329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 C08G65/331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G65/332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carboxyl groups, or halides, or est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3/00Use of mixtures of ingredients not covered by one singl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08K13/02Organic and inorganic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08K2003/0812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2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1Conductive additiv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Abstract

산화제를 함유하는 제1 액과, 환원제를 함유하는 제2 액을 구비하는 경화성 조성물 세트로서, 제1 액 및 제2 액 중 적어도 일방은, 하기 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을 함유하고, [식 (1) 중, R11 및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며, R13은 폴리옥시알킬렌쇄를 갖는 2가의 기를 나타낸다.]
제1 액 및 제2 액 중 적어도 일방은, 열전도성 필러를 함유하는, 경화성 조성물 세트.

Description

경화성 조성물 세트 및 물품
본 발명은, 경화성 조성물 세트 및 물품에 관한 것이다.
프로세서, 파워 모듈 등의 전자 부품, 전기 자동차용의 배터리 등에 있어서는, 사용 중에 발열을 수반한다. 이와 같은 부품을 열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발생한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서멀 인터페이스 머티리얼(TIM)이라고 불리는 열전도성 재료(방열재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는, 열원(源)과, 히트 싱크 등의 방열 부재의 사이에 마련되는 재료이며, 열원 및 방열 부재 사이의 열저항을 저감시켜, 열원으로부터의 열전도를 촉진시킨다. 열원으로부터 발생한 열은 TIM을 통하여 냉각 부재로 효율적으로 전도되기 때문에, 방열 부재로부터 방열되기 쉬워진다.
열전도성 재료에는 액상의 재료가 많이 알려져 있으며, 방열 그리스 또는 열전도성 그리스라고도 불리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액상 탄화 수소유 및/또는 불화 탄화 수소유와, 열전도성 무기 충전제를 소정량 함유하는 열전도성 그리스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에는, 특정 페닐에터계 기유(基油), 특정 페놀계 산화방지제, 및 무기 분말 충전제를 함유하는 열전도성 그리스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246885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111517호
액상의 열전도성 그리스를 이용한 경우, 도포 후의 액 드리핑, 또는, 열전도성 그리스가 도포되는 부재의 변형에 의하여 그리스가 부재 사이로부터 외부로 압출되는 펌프 아웃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액 드리핑 또는 펌프 아웃 현상은, 그리스와 부재의 사이에 보이드를 발생시켜 그리스의 부재에 대한 밀착성을 저하시키고, 방열 그리스와 부재 사이의 열저항의 증대를 야기한다. 액 드리핑 또는 펌프 아웃 현상에 의하여, 다른 부재가 그리스에 의하여 오염되어, 절연 불량이 일어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시트와 같은 고형상(固形狀)으로 형성된 열전도성 재료가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고형상의 열전도성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액 드리핑 또는 펌프 아웃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열을 발생하는 부재 및 방열 부재를 구비하는 전자 부품에서는, 냉열을 반복함으로써, 부재의 휨 등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고형상의 열전도성 재료에는, 부재의 변형에 추종할 수 있도록, 저탄성이며 신도가 우수한 재료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저탄성이며 신도가 우수한 경화물을 얻는 것이 가능한 경화성 조성물 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를 행한 결과, 폴리옥시알킬렌쇄를 갖고, 또한 (메트)아크릴로일기를 2개 갖는 특정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화성 조성물 세트의 경화물이 저탄성이며 신도가 우수한 것을 알아냈다. 또, 이 경화성 조성물이 열전도성 필러를 함유함으로써, 열전도성 재료로서 적합하게 이용되는 것을 알아내,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본 발명은, 몇 개의 측면에 있어서, 하기의 [1]~[11]을 제공한다.
[1]
산화제를 함유하는 제1 액과, 환원제를 함유하는 제2 액을 구비하는 경화성 조성물 세트로서,
제1 액 및 제2 액 중 적어도 일방은, 하기 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을 함유하고,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식 (1) 중, R11 및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며, R13은 폴리옥시알킬렌쇄를 갖는 2가의 기를 나타낸다.]
제1 액 및 제2 액 중 적어도 일방은, 열전도성 필러를 함유하는, 경화성 조성물 세트.
[2]
폴리옥시알킬렌쇄가, 하기 식 (2)로 나타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1]에 기재된 경화성 조성물 세트.
[화학식 2]
Figure pct00002
[3]
폴리옥시알킬렌쇄가, 하기 식 (3)으로 나타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1]에 기재된 경화성 조성물 세트.
[화학식 3]
Figure pct00003
[4]
폴리옥시알킬렌쇄가, 하기 식 (2)로 나타나는 구조 단위 및 하기 식 (3)으로 나타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쇄인, [1]에 기재된 경화성 조성물 세트.
[화학식 4]
Figure pct00004
[화학식 5]
Figure pct00005
[5]
공중합쇄가 랜덤 공중합쇄인, [4]에 기재된 경화성 조성물 세트.
[6]
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 이상인,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경화성 조성물 세트.
[7]
폴리옥시알킬렌쇄에 있어서의 옥시알킬렌기의 수가 100 이상인,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경화성 조성물 세트.
[8]
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의 25℃에 있어서의 점도가 1000Pa·s 이하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경화성 조성물 세트.
[9]
산화방지제를 더 함유하는,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경화성 조성물 세트.
[10]
산화방지제가 페놀계 산화방지제인, [9]에 기재된 경화성 조성물 세트.
[11]
열원과, 열원과 열적으로 접촉하도록 마련된,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경화성 조성물 세트의 경화물을 구비하는, 물품.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저탄성이며 신도가 우수한 경화물을 얻는 것이 가능한 경화성 조성물 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경화성 조성물 세트의 경화물을 구비하는 물품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2는 경화성 조성물 세트의 경화물을 구비하는 물품의 다른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적절히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메트)아크릴로일"이란, "아크릴로일" 및 그에 대응하는 "메타크릴로일"을 의미하고,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 등의 유사 표현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젤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GPC)를 이용하여 이하의 조건으로 측정되고, 폴리스타이렌을 표준 물질로 하여 결정되는 값을 의미한다.
·측정 기기: HLC-8320GPC(제품명, 도소(주)제)
·분석 칼럼: TSKgel SuperMultipore HZ-H(3개 연결)(제품명, 도소(주)제)
·가드 칼럼: TSKguardcolumn SuperMP(HZ)-H(제품명, 도소(주)제)
·용리액: THF
·측정 온도: 25℃
[경화성 조성물 세트]
일 실시형태에 관한 경화성 조성물 세트는, 산화제를 함유하는 제1 액과, 환원제를 함유하는 제2 액을 구비한다. 제1 액과 제2 액을 혼합함으로써, 산화제 및 환원제가 반응하여 유리(遊離) 라디칼이 발생하고, 후술하는 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 등의 중합성 성분의 중합이 진행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경화성 조성물 세트에 의하면, 제1 액과 제2 액을 혼합함으로써, 제1 액과 제2 액의 혼합물의 경화물(이하, 이 경화물을 "경화성 조성물 세트의 경화물"이라고도 한다)이 얻어진다.
제1 액에 포함되는 산화제는, 중합 개시제(라디칼 중합 개시제)로서의 역할을 갖는다. 산화제는, 예를 들면, 유기 과산화물 또는 아조 화합물이어도 된다. 유기 과산화물은, 예를 들면, 하이드로퍼옥사이드, 퍼옥시다이카보네이트, 퍼옥시에스터, 퍼옥시케탈, 다이알킬퍼옥사이드, 다이아실퍼옥사이드 등이어도 된다. 아조 화합물은, AIBN(2,2'-아조비스아이소뷰티로나이트릴), V-65(아조비스다이메틸발레로나이트릴) 등이어도 된다. 산화제는, 1종류를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하이드로퍼옥사이드로서는, 다이아이소프로필벤젠하이드로퍼옥사이드, 1,1,3,3-테트라메틸뷰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큐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퍼옥시다이카보네이트로서는, 다이-n-프로필퍼옥시다이카보네이트, 다이아이소프로필퍼옥시다이카보네이트, 비스(4-t-뷰틸사이클로헥실)퍼옥시다이카보네이트, 다이-2-에톡시메톡시퍼옥시다이카보네이트, 다이(2-에틸헥실퍼옥시)다이카보네이트, 다이메톡시뷰틸퍼옥시다이카보네이트, 다이(3-메틸-3메톡시뷰틸퍼옥시)다이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퍼옥시에스터로서는, 큐밀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1,1,3,3-테트라메틸뷰틸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1-사이클로헥실-1-메틸에틸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t-헥실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t-뷰틸퍼옥시피발레이트, 1,1,3,3-테트라메틸뷰틸퍼옥시-2-에틸헥사노네이트, 2,5-다이메틸-2,5-다이(2-에틸헥산오일퍼옥시)헥세인, 1-사이클로헥실-1-메틸에틸퍼옥시-2-에틸헥사노네이트, t-헥실퍼옥시-2-에틸헥사노네이트, t-뷰틸퍼옥시-2-에틸헥사노네이트, t-뷰틸퍼옥시아이소뷰틸레이트, 1,1-비스(t-뷰틸퍼옥시)사이클로헥세인, t-뷰틸퍼옥시-3,5,5-트라이메틸헥사노네이트, t-뷰틸퍼옥시라우레이트, 2,5-다이메틸-2,5-다이(m-톨루오일퍼옥시)헥세인, t-헥실퍼옥시벤조에이트, t-뷰틸퍼옥시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퍼옥시케탈로서는, 1,1-비스(t-헥실퍼옥시)-3,3,5-트라이메틸사이클로헥세인, 1,1-비스(t-헥실퍼옥시)사이클로헥세인, 1,1-비스(t-뷰틸퍼옥시)-3,3,5-트라이메틸사이클로헥세인, 1,1-비스(t-뷰틸퍼옥시)사이클로도데케인, 2,2-비스(t-뷰틸퍼옥시)데케인 등을 들 수 있다.
다이알킬퍼옥사이드로서는, α,α'-비스(t-뷰틸퍼옥시)다이아이소프로필벤젠, 다이큐밀퍼옥사이드, 2,5-다이메틸-2,5-다이(t-뷰틸퍼옥시)헥세인, t-뷰틸큐밀퍼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다이아실퍼옥사이드로서는, 아이소뷰틸퍼옥사이드, 2,4-다이클로로벤조일퍼옥사이드, 3,5,5-트라이메틸헥산오일퍼옥사이드, 옥탄오일퍼옥사이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스테아로일퍼옥사이드, 석시닉퍼옥사이드, 벤조일퍼옥시톨루엔, 벤조일퍼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산화제는, 저장 안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과산화물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퍼옥사이드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1,3,3-테트라메틸뷰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또는 큐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1,3,3-테트라메틸뷰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이다.
산화제의 함유량은, 제1 액 및 제2 액의 합계량을 기준으로 하여, 0.1질량% 이상, 0.5질량% 이상, 또는 1질량% 이상이어도 되고, 10질량% 이하, 5질량% 이하, 또는 3질량% 이하여도 된다.
제2 액에 포함되는 환원제는, 예를 들면, 제3급 아민, 싸이오 요소 유도체, 천이 금속염 등이어도 된다. 제3급 아민으로서는, 트라이에틸아민, 트라이프로필아민, 트라이뷰틸아민, N,N-다이메틸파라톨루이딘 등을 들 수 있다. 싸이오 요소 유도체로서는, 2-머캅토벤즈이미다졸, 메틸싸이오 요소, 다이뷰틸싸이오 요소, 테트라메틸싸이오 요소, 에틸렌싸이오 요소 등을 들 수 있다. 천이 금속염으로서는, 나프텐산 코발트, 나프텐산 구리, 바나딜아세틸아세토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환원제는, 1종류를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환원제는, 경화 속도가 우수한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싸이오 요소 유도체 또는 천이 금속염이다. 싸이오 요소 유도체는, 예를 들면, 에틸렌싸이오 요소여도 된다. 동일한 관점에서, 천이 금속염은, 바람직하게는 바나딜아세틸아세토네이트이다.
환원제의 함유량은, 제1 액 및 제2 액의 합계량을 기준으로 하여, 0.05질량% 이상, 0.1질량% 이상, 또는 0.3질량% 이상이어도 되고, 5질량% 이하, 3질량% 이하, 또는 1질량% 이하여도 된다.
경화성 조성물 세트에 있어서, 제1 액 및 제2 액 중 적어도 일방은, 하기 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을 함유한다.
[화학식 6]
Figure pct00006
식 (1) 중, R11 및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13은 폴리옥시알킬렌쇄를 갖는 2가의 기를 나타낸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R11 및 R12의 일방이 수소 원자이고, 또한 타방이 메틸기여도 되며, 다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R11 및 R12의 양방이 수소 원자여도 되고, 다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R11 및 R12의 양방이 메틸기여도 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폴리옥시알킬렌쇄는, 하기 식 (2)로 나타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한다. 이로써, 경화성 조성물(제1 액 및 제2 액의 일방 또는 양방을 나타낸다. 이하 동일.)의 점도의 과도한 상승을 억제하면서, 경화물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화학식 7]
Figure pct00007
이 경우, R13은 폴리옥시에틸렌쇄를 갖는 2가의 기여도 되고, 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 (1-2)로 나타나는 화합물(폴리에틸렌글라이콜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이다.
[화학식 8]
Figure pct00008
식 (1-2) 중, R11 및 R12는 식 (1)에 있어서의 R11 및 R12와 각각 동일한 의미이며, m은 2 이상의 정수이다.
다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폴리옥시알킬렌쇄는, 하기 식 (3)으로 나타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한다. 이로써, 경화성 조성물의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화학식 9]
Figure pct00009
이 경우, R13은 폴리옥시프로필렌쇄를 갖는 2가의 기여도 되고, 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 (1-3)으로 나타나는 화합물(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이다.
[화학식 10]
Figure pct00010
식 (1-3) 중, R11 및 R12는 식 (1)에 있어서의 R11 및 R12와 각각 동일한 의미이며, n은 2 이상의 정수이다.
다른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폴리옥시알킬렌쇄는, 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의 경화물의 강도와, 경화성 조성물의 취급성을 양립시키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식 (2)로 나타나는 구조 단위, 및 식 (3)으로 나타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쇄이다. 공중합쇄는, 교호(交互) 공중합쇄, 블록 공중합쇄, 또는 랜덤 공중합쇄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공중합쇄는, 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의 결정성을 더 낮게 하고, 경화성 조성물의 취급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랜덤 공중합쇄이다.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폴리옥시알킬렌쇄는, 식 (2)로 나타나는 구조 단위 및 식 (3)으로 나타나는 구조 단위 이외에, 옥시테트라메틸렌기, 옥시뷰틸렌기, 옥시펜틸렌기 등의, 탄소수 4~5의 옥시알킬렌기를 구조 단위로서 갖고 있어도 된다.
R13은, 상술한 폴리옥시알킬렌쇄에 더하여, 그 외의 유기기를 더 갖는 2가의 기여도 된다. 그 외의 유기기는, 폴리옥시알킬렌쇄 이외의 쇄상의 기여도 되고, 예를 들면, 메틸렌쇄(-CH2-를 구조 단위로 하는 쇄), 폴리에스터쇄(-COO-를 구조 단위 중에 포함하는 쇄), 폴리유레테인쇄(-OCON-을 구조 단위 중에 포함하는 쇄) 등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은, 하기 식 (1-4)로 나타나는 화합물이어도 된다.
[화학식 11]
Figure pct00011
식 (1-4) 중, R11 및 R12는 식 (1)에 있어서의 R11 및 R12와 각각 동일한 의미이며, R14 및 R15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5의 알킬렌기이고, k1, k2 및 k3은 각각 독립적으로 2 이상의 정수이다. k2는, 예를 들면 16 이하의 정수여도 된다.
복수 존재하는 R14 및 R15는, 각각, 서로 동일해도 되고, 서로 상이해도 된다. 복수 존재하는 R14 및 R15는, 각각,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기 및 프로필렌기를 포함한다. 즉, (R14O)k1로 나타나는 폴리옥시알킬렌쇄, 및 (R15O)k3으로 나타나는 폴리옥시알킬렌쇄는, 각각, 바람직하게는, 옥시에틸렌기(상기 식 (2)로 나타나는 구조 단위), 및 옥시프로필렌기(상기 식 (3)으로 나타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쇄이다.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폴리옥시알킬렌쇄에 있어서의 옥시알킬렌기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이다. 폴리옥시알킬렌쇄에 있어서의 옥시알킬렌기의 수가 100 이상이면, 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의 주쇄가 길어짐으로써, 경화물의 신도가 더 우수하고, 경화물의 강도도 높일 수 있다. 옥시알킬렌기의 수는, 식 (1-2)에 있어서의 m, 식 (1-3)에 있어서의 n, 식 (1-4)에 있어서의 k1 및 k3의 각각에 상당한다.
폴리옥시알킬렌쇄에 있어서의 옥시알킬렌기의 수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 이상, 180 이상, 200 이상, 220 이상, 250 이상, 270 이상, 300 이상, 또는 320 이상이다. 폴리옥시알킬렌쇄에 있어서의 옥시알킬렌기의 수는, 600 이하, 570 이하, 또는 530 이하여도 된다.
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경화물이 보다 저탄성이며 신도가 우수한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000 이상, 6000 이상, 7000 이상, 8000 이상, 9000 이상, 10000 이상, 11000 이상, 12000 이상, 13000 이상, 14000 이상, 또는 15000 이상이다. 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경화성 조성물의 점도를 조정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0000 이하, 80000 이하, 60000 이하, 34000 이하, 31000 이하, 또는 28000 이하이다.
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은, 25℃에서 액상이어도 된다. 이 경우, 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의 25℃에 있어서의 점도는, 도포면에 대하여 도포하기 쉽게 하는 관점, 경화물의 도포면에 대한 밀착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00Pa·s 이하, 800Pa·s 이하, 600Pa·s 이하, 500Pa·s 이하, 350Pa·s 이하, 300Pa·s 이하, 또는 200Pa·s 이하이다. 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의 25℃에 있어서의 점도는, 0.1Pa·s 이상, 0.2Pa·s 이상, 0.3Pa·s 이상, 1Pa·s 이상, 2Pa·s 이상, 또는 3Pa·s 이상이어도 된다.
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은, 25℃에서 고체상이어도 된다. 이 경우, 경화성 조성물의 취급성을 더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50℃에서 액상이다. 또, 이 경우, 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의 50℃에 있어서의 점도는, 경화성 조성물의 취급성을 더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0Pa·s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Pa·s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30Pa·s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0Pa·s 이하이다. 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의 50℃에 있어서의 점도는, 0.1Pa·s 이상, 0.2Pa·s 이상, 또는 0.3Pa·s 이상이어도 된다.
점도는, JIS Z 8803에 근거하여 측정된 값을 의미하고, 구체적으로는, E형 점도계(예를 들면, 도키 산교(주)제, PE-80L)에 의하여 측정된 값을 의미한다. 또한, 점도계의 교정은, JIS Z 8809-JS14000에 근거하여 행할 수 있다. 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의 점도는, 당해 화합물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조정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의 함유량은, 경화물이 보다 저탄성이며 신도가 우수한 관점에서, 제1 액 및 제2 액의 합계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1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질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2질량% 이상이다. 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의 함유량은, 제1 액 및 제2 액의 합계량을 기준으로 하여, 20질량% 이하, 17질량% 이하, 또는 15질량% 이하여도 된다.
경화성 조성물은, 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 이외의 다른 중합성 화합물(상세는 후술한다)을 함유해도 된다. 이 경우, 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의 함유량은, 경화물이 보다 저탄성이며 신도가 우수한 관점에서, 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 및 다른 중합성 화합물의 합계(이하, "중합성 성분의 함유량의 합계"라고 한다) 100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0질량부 이상, 20질량부 이상, 25질량부 이상, 30질량부 이상, 또는 35질량부 이상이다. 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의 함유량은, 중합성 성분의 함유량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80질량부 이하, 60질량부 이하, 또는 50질량부 이하여도 된다.
경화성 조성물 세트에 있어서, 제1 액 및 제2 액 중 적어도 일방은, 열전도성 필러를 함유한다. 이로써, 경화성 조성물 및 그 경화물의 열전도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경화성 조성물을 열전도성 재료, 방열재 등으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열전도성 필러는, 열전도율이 10W/m·K 이상인 필러를 말한다. 제1 액 및 제2 액의 양방이, 열전도성 필러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전도성 필러는, 절연성이어도 되고, 도전성이어도 되며, 바람직하게는 절연성의 필러이다. 절연성의 열전도성 필러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산화 알루미늄, 수산화 알루미늄, 산화 마그네슘, 산화 베릴륨, 질화 붕소, 질화 알루미늄, 질화 규소, 탄화 규소, 이산화 규소, 불화 알루미늄, 불화 칼슘, 산화 아연 등을 들 수 있다. 도전성의 열전도성 필러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알루미늄, 은, 구리 등을 들 수 있다. 열전도성 필러의 형상은, 구상이어도 되고, 다면체여도 된다.
열전도성 필러의 평균 입경은, 경화성 조성물 세트의 경화물을 얇게 배치할 수 있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0μ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μ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30μm 이하이며, 0.05μm 이상, 0.1μm 이상, 또는 0.3μm 이상이어도 된다. 열전도성 필러의 평균 입경은, 체적 누적 입도 분포가 50%가 되는 입자경(D50)을 의미하며, 레이저 회절식 입자경 분포 측정 장치(예를 들면 SALD-2300((주)시마즈 세이사쿠쇼제)를 이용하여 측정된다.
열전도성 필러의 함유량은, 경화성 조성물의 열전도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제1 액 및 제2 액의 합계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60질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이고, 97질량% 이하, 95질량% 이하, 또는 93질량% 이하여도 된다.
열전도성 필러의 함유량은, 경화성 조성물의 열전도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경화성 조성물의 전체 체적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70체적%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5체적% 이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80체적% 이상이고, 90체적% 이하, 88체적% 이하, 또는 85체적% 이하여도 된다.
경화성 조성물은, 경화성 조성물의 물성을 조정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하여, 상술한 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중합성 화합물을 더 함유해도 된다.
다른 중합성 화합물은,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로일기를 하나 갖는 화합물이어도 된다. 당해 화합물은, 예를 들면,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여도 된다. 다른 중합성 화합물은, 하나의 (메트)아크릴로일기에 더하여, 방향족 탄화 수소기, 폴리옥시알킬렌쇄를 포함하는 기, 헤테로환을 포함하는 기, 알콕시기, 페녹시기, 실레인기를 포함하는 기, 실록세인 결합을 포함하는 기, 할로젠 원자, 하이드록실기, 카복실기, 아미노기, 또는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이어도 된다. 특히, 경화성 조성물이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함으로써, 경화성 조성물의 점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 경화성 조성물이, (메트)아크릴로일기에 더하여, 하이드록실기, 카복실기, 아미노기, 또는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을 함유함으로써, 경화성 조성물 및 그 경화물의 부재에 대한 밀착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에 있어서의 알킬기((메트)아크릴로일기 이외의 알킬기 부분)는, 직쇄상이어도 되고 분기상이어도 되며 지환식이어도 된다. 알킬기의 탄소수는, 예를 들면, 1~30이어도 된다. 알킬기의 탄소수는, 1~11, 1~8, 1~6, 또는 1~4여도 되고, 12~30, 12~28, 12~24, 12~22, 12~18, 또는 12~14여도 된다.
직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뷰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n-헵틸(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운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탄소수 1~11의 직쇄상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사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세틸(메트)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도코실(메트)아크릴레이트(베헨일(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코실(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사코실(메트)아크릴레이트, 옥타코실(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탄소수 12~30의 직쇄상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분기상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s-뷰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뷰틸(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뷰틸(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아밀(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탄소수 1~11의 분기상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미리스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프로필헵틸(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운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도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트라이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펜타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헥사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헵타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테트라데칸일(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탄소수 12~30의 분기상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지환식인 알킬기(사이클로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사이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3,3,5-트라이메틸사이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보닐(메트)아크릴레이트, 터펜(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사이클로펜탄일(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로일기 및 방향족 탄화 수소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로일기, 및 폴리옥시알킬렌쇄를 포함하는 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폴리에틸렌글라이콜(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라이콜(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뷰틸렌글라이콜(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뷰틸렌글라이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로일기, 및 헤테로환을 포함하는 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로일기 및 알콕시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2-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로일기 및 페녹시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페녹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로일기, 및 실레인기를 포함하는 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라이에톡시실레인, 10-메타크릴로일옥시데실트라이메톡시실레인, 10-아크릴로일옥시데실트라이메톡시실레인, 10-메타크릴로일옥시데실트라이에톡시실레인, 10-아크릴로일옥시데실트라이에톡시실레인 등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로일기, 및 실록세인 결합을 포함하는 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실리콘(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로일기 및 할로젠 원자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트라이플루오로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2,2,2-트라이플루오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1,1,1,3,3,3-헥사플루오로-2-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퍼플루오로에틸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퍼플루오로프로필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퍼플루오로뷰틸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퍼플루오로펜틸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퍼플루오로헥실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퍼플루오로헵틸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퍼플루오로옥틸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퍼플루오로노닐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퍼플루오로데실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퍼플루오로운데실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퍼플루오로도데실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퍼플루오로트라이데실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퍼플루오로테트라데실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트라이플루오로메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퍼플루오로에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퍼플루오로프로필)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퍼플루오로뷰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퍼플루오로펜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퍼플루오로헥실)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퍼플루오로헵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퍼플루오로옥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퍼플루오로노닐)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퍼플루오로트라이데실)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퍼플루오로테트라데실)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불소 원자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로일기 및 하이드록실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3-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뷰틸(메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뷰틸(메트)아크릴레이트, 6-하이드록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8-하이드록시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10-하이드록시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12-하이드록시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하이드록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실)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하이드록시알킬사이클로알케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로일기 및 카복실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메트)아크릴산, 카복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카복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탈산 모노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예를 들면, 도아 고세이(주)제 "아로닉스 M5400"), 및 2-아크릴로일옥시에틸석시네이트(예를 들면, 신나카무라 가가쿠 주식회사제 "NK 에스터 A-SA") 등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로일기 및 아미노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N,N-다이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N-다이에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N-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N,N-다이에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로일기 및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산 글리시딜, α-에틸(메트)아크릴산 글리시딜, α-n-프로필(메트)아크릴산 글리시딜, α-n-뷰틸(메트)아크릴산 글리시딜, (메트)아크릴산-3,4-에폭시뷰틸, (메트)아크릴산-4,5-에폭시펜틸, (메트)아크릴산-6,7-에폭시헵틸, α-에틸(메트)아크릴산-6,7-에폭시헵틸, (메트)아크릴산-3-메틸-3,4-에폭시뷰틸, (메트)아크릴산-4-메틸-4,5-에폭시펜틸, (메트)아크릴산-5-메틸-5,6-에폭시헥실, (메트)아크릴산-β-메틸글리시딜, α-에틸(메트)아크릴산-β-메틸글리시딜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중합성 화합물의 함유량은, 경화성 조성물의 점도를 조정하기 쉽게 하는 관점, 또는 경화성 조성물의 밀착성을 보다 높이는 관점에서, 제1 액 및 제2 액의 합계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1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질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상이며, 20질량% 이하, 15질량% 이하, 또는 10질량% 이하여도 된다.
다른 중합성 화합물의 함유량은, 경화성 조성물의 점도를 조정하기 쉽게 하는 관점, 또는 경화성 조성물의 밀착성을 보다 높이는 관점에서, 중합성 성분의 함유량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30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질량부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50질량부 이상이며, 90질량부 이하, 80질량부 이하, 또는 70질량부 이하여도 된다.
경화성 조성물은, 가소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경화성 조성물이 가소제를 함유함으로써, 경화성 조성물의 밀착성, 및 경화물의 신도를 더 높일 수 있다. 가소제로서는, 뷰타다이엔 고무, 아이소프렌 고무, 실리콘 고무, 스타이렌뷰타다이엔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나이트릴 고무, 뷰틸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유레테인 고무, 아크릴 수지, 로진계 수지, 터펜계 수지 등의 태키파이어, 또는 폴리알킬렌글라이콜 등을 들 수 있다.
가소제의 함유량은, 중합성 성분의 함유량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0.1질량부 이상, 1질량부 이상, 또는 3질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20질량부 이하, 15질량부 이하, 12질량부 이하, 또는 10질량부 이하여도 된다.
경화성 조성물은, 경화성 조성물 세트의 경화물의 열적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산화방지제를 더 함유해도 된다. 산화방지제는, 예를 들면, 페놀계 산화방지제, 벤조페논계 산화방지제, 벤조에이트계 산화방지제, 힌더드 아민계 산화방지제, 벤조트라이아졸계 산화방지제 등이어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페놀계 산화방지제이다.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예를 들면 힌더드 페놀 구조(힌더드 페놀환)를 갖고 있다. 힌더드 페놀 구조(힌더드 페놀환)는, 예를 들면, 페놀환에 있어서의 수산기에 대하여 오쏘위의 위치의 일방 또는 양방에 t-뷰틸기가 결합된 구조여도 된다.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이와 같은 힌더드 페놀환을 1개 이상 갖고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4개 이상 갖고 있다.
산화방지제의 함유량은, 제1 액 및 제2 액의 합계량 기준으로, 0.1질량% 이상, 0.2질량% 이상, 또는 0.3질량% 이상이어도 되고, 5질량% 이하, 4질량% 이하, 3질량% 이하, 2질량% 이하, 또는 1질량% 이하여도 된다.
경화성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그 외의 첨가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그 외의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표면 처리제(예를 들면 실레인 커플링제), 분산제, 경화 촉진제, 착색제, 결정핵제, 열안정제, 발포제, 난연제, 제진(制振)제, 탈수제, 난연 조제(助劑)(예를 들면 금속 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의 첨가제의 함유량은, 제1 액 및 제2 액의 합계량 기준으로, 0.1질량% 이상이어도 되고, 30질량% 이하여도 된다.
제1 액 및 제2 액은, 25℃에서 액상이어도 된다. 이로써, 열원이 되는 부재, 냉각 부재 등의 대상물의 표면에 적합하게 도포할 수 있으며, 도포면에 대한 밀착성도 높일 수 있다.
경화물 조성물 세트에 있어서, 산화제 및 환원제 이외의 각 성분은, 제1 액 및 제2 액의 양방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액이 산화제, 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 및 열전도성 필러(나아가서는 필요에 따라 이용되는 다른 성분)를 함유하고, 제2 액이 환원제, 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 및 열전도성 필러(나아가서는 필요에 따라 이용되는 다른 성분)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물 및 열전도성 재료]
상술한 경화성 조성물 세트의 경화물은, 열전도성을 갖고 있고, 저탄성이며 또한 신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파워 모듈, CPU, ECU 등의 전자 부품, 배터리, LED 조명, LED 백라이트 등에 있어서, 열전도성 재료(방열재라고도 불린다)로서 적합하게 이용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술한 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과, 열전도성 필러를 함유하는 열전도성 재료를 제공한다.
[물품]
계속해서, 상술한 경화성 조성물 세트의 경화물을 구비하는 물품에 대하여, 전자 부품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경화성 조성물 세트의 경화물을 구비하는 전자 부품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전자 부품(1A)은, 열원으로서의 반도체 칩(21)과, 방열부로서의 히트 싱크(22)를 구비한다.
전자 부품(1A)은, 반도체 칩(21)과 히트 싱크(22)의 사이에 마련된, 상술한 경화성 조성물 세트의 경화물(11)을 구비한다. 경화물(11)은 열전도성을 갖기 때문에, 전자 부품(1A)에 있어서 경화물(11)이 열전도성 재료(서멀 인터페이스 머티리얼)로서 작용하여, 반도체 칩(21)으로부터 히트 싱크(22)로 열이 전도된다. 그리고, 히트 싱크(22)로부터 열이 외부로 방열된다.
경화물(11)은, 상술한 경화성 조성물 세트를 이용함으로써, 저탄성이며 신도가 우수하다. 그 때문에, 열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자 부품(1A)의 변형에 대한 추종성이 높다. 따라서, 반도체 칩(21)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히트 싱크(22)로 전도시킬 수 있다. 또, 경화물(11)은, 상술한 경화성 조성물 세트의 경화물이기 때문에, 강도(예를 들면 파단 강도)도 우수하다.
경화물(11)은, 제1 액 및 제2 액을 반도체 칩(21) 및 히트 싱크(22)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얻어진다. 그 때문에, 액 드리핑 및 펌프 아웃 현상에 의한 보이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경화물(11)의 밀착성(반도체 칩(21) 및 히트 싱크(22)의 표면에 대한 밀착성)을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도 1에서 설명한 전자 부품(1A)에서는, 경화물(11)이 반도체 칩(21)과 히트 싱크(22)에 직접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경화물(11)은 열원에 열적으로 접촉하고 있으면 되고,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는, 다른 부재를 개재하여 열원(반도체 칩)에 접하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도 2는, 경화성 조성물 세트의 경화물을 구비하는 전자 부품의 다른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전자 부품(1B)은, 기판(23)의 일면 상에, 언더 필(24)을 개재하여 배치된 열원으로서의 반도체 칩(21)과, 방열부로서의 히트 싱크(22)와, 반도체 칩(21) 및 히트 싱크(22)의 사이에 마련된 히트 스프레더(25)를 구비하는 프로세서이다. 반도체 칩(21) 및 히트 스프레더(25)의 사이에는, 반도체 칩(21)에 접하도록 마련된 제1 경화물(11)이 마련되어 있다. 히트 스프레더(25) 및 히트 싱크(22)의 사이에는, 제2 경화물(11)이 마련되어 있다.
기판(23), 언더필(24), 히트 스프레더(25)는,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기판(23)은 래미네이트 기판 등이어도 되고, 언더 필(24)은 에폭시 수지 등의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며, 히트 스프레더(25)는 금속판 등이어도 된다.
제1 경화물(11) 및 제2 경화물(11)은, 상술한 경화성 조성물 세트의 경화물이다. 제1 경화물(11)은 열원인 반도체 칩(21)에 직접 접하고 있지만, 제2 경화물(11)은, 제1 경화물(11) 및 히트 스프레더(25)를 개재하여, 열원인 반도체 칩(21)에 열적으로 접하고 있다.
제1 경화물(11) 및 제2 경화물(11)은 열전도성을 갖기 때문에, 전자 부품(1B)에 있어서 열전도성 재료(서멀 인터페이스 머티리얼)로서 작용한다. 즉, 제1 경화물(11)은, 반도체 칩(21)으로부터 히트 스프레더(25)에 대한 열전도를 촉진시킨다. 또, 제2 경화물(11)은, 히트 스프레더(25)로부터 히트 싱크(22)로 열전도를 촉진시킨다. 그리고, 히트 싱크(22)로부터 열이 외부로 방열된다.
제1 경화물(11) 및 제2 경화물(11)도, 상술한 경화성 조성물 세트를 이용함으로써, 저탄성이며 신도가 우수하다. 그 때문에, 제1 경화물(11) 및 제2 경화물(11)은, 열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자 부품(1B)의 변형에 대한 추종성이 높다. 따라서, 반도체 칩(21)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히트 스프레더(25)로 전도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히트 싱크(22)로 그 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도시킬 수 있다. 또, 제1 경화물(11) 및 제2 경화물(11)은, 상술한 경화성 조성물 세트의 경화물이기 때문에, 강도(예를 들면 파단 강도)도 우수하다.
제1 경화물(11) 및 제2 경화물(11)은, 제1 액 및 제2 액을, 반도체 칩(21) 및 히트 스프레더(25) 사이, 또는 히트 스프레더(25) 및 히트 싱크(22)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얻어진다. 그 때문에, 전자 부품(1B)에 있어서도, 경화성 조성물의 액 드리핑 및 펌프 아웃 현상에 의한 보이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제1 경화물(11) 및 제2 경화물(11)의 밀착성(반도체 칩(21), 히트 스프레더(25) 및/또는 히트 싱크(22)의 표면에 대한 밀착성)을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는, 제1 액 및 제2 액의 공통 성분으로서, 이하의 각 성분을 이용했다.
(A-1) 하기에 나타내는 수순으로 합성된 식 (1-7)로 나타나는 화합물(중량 평균 분자량: 15000, 식 (1-7) 중의 m1+m2가 대략 252±5, n1+n2가 대략 63±5의 정수(단, m1, m2, n1 및 n2는 각각 독립적으로 2 이상의 정수, m1+n1≥100, m2+n2≥100)인 혼합물, 25℃에 있어서의 점도: 50Pa·s)
[화학식 12]
Figure pct00012
식 (1-7) 중, -r-은 랜덤 공중합을 나타내는 부호이다.
(A-2) 하기에 나타내는 수순으로 합성된 식 (1-8)로 나타나는 화합물(중량 평균 분자량: 16000, 식 (1-8) 중의 m이 대략 246±5, n이 대략 105±5의 정수인 혼합물, 25℃에 있어서의 점도: 55Pa·s)
[화학식 13]
Figure pct00013
식 (1-8) 중, -r-은 랜덤 공중합을 나타내는 부호이다.
(B-1) 4-하이드록시뷰틸아크릴레이트(오사카 유키 가가쿠 고교(주)제)
(B-2) 아이소데실아크릴레이트(히타치 가세이(주)제 "FA111A")
(C) 가소제(아라카와 가가쿠 고교(주)제 "태키파이어 KE359")
(D) 페놀계 산화방지제((주)ADEKA제 "아데카스타브 AO-80")
(E-1) 알루미나제 필러(스미토모 가가쿠(주)제 "어드밴스트 알루미나 AA-18")
(E-2) 알루미나제 필러(스미토모 가가쿠(주)제 "어드밴스트 알루미나 AA-3")
(E-3) 알루미나제 필러(스미토모 가가쿠(주)제 "어드밴스트 알루미나 AA-04")
(F) 실레인 커플링제(신에쓰 가가쿠 고교(주)제 "KBM-5803")
[식 (1-7)로 나타나는 화합물의 합성]
교반기, 온도계, 질소 가스 도입관, 배출관 및 가열 재킷으로 구성된 500mL 플라스크를 반응기로 하고, 폴리옥시알킬렌쇄를 갖는 글라이콜(산요 가세이(주)제 "뉴폴 75H-90000") 225g, 톨루엔 300g을 반응기에 첨가하여, 45℃, 교반 회전수 250회/분으로 교반하고, 질소를 100mL/분으로 흘려보내, 30분 교반했다. 그 후, 25℃로 강온하고, 강온 완료 후, 염화 아크릴로일 2.9g을 반응기에 적하하여, 30분 교반했다. 그 후, 트라이에틸아민 3.8g을 적하하여, 2시간 교반했다. 그 후, 45℃로 승온시켜, 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탈용하여, 식 (1-7)로 나타나는 화합물을 얻었다.
[식 (1-8)로 나타나는 화합물의 합성]
식 (1-7)로 나타나는 화합물의 합성 방법에 있어서, 폴리옥시알킬렌쇄를 갖는 글라이콜(산요 가세이(주)제 "뉴폴 75H-90000")을,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글라이콜(분자량 16000) 240g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식 (1-8)로 나타나는 화합물을 얻었다.
[경화성 조성물 세트의 조제]
표 1에 나타내는 배합량(질량부)으로 공통 성분과 산화제(산화제 1: 큐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약 20% 방향족 탄화 수소 함유)(도쿄 가세이 고교 주식회사), 또는 산화제 2: 1,1,3,3-테트라메틸뷰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가야쿠 누리온(주)제 "Trigonox TMBH-L"))를 혼합하여, 제1 액을 얻었다. 또, 표 1에 나타내는 배합량(질량부)으로 공통 성분과 환원제(에틸렌싸이오 요소)를 혼합하여, 제2 액을 얻었다. 또한, 표 1에 나타내는 공통 성분의 배합량은, 제1 액 및 제2 액의 각각에 있어서의 배합량이다.
[경화 시간의 평가]
경화 시간은, 레오미터(Anton Paar사제)를 이용하여 평가했다. 표 1에 나타내는 혼합 질량비율로 제1 액과 제2 액을 혼합하여, 제1 액과 제2 액의 혼합물(경화성 조성물)을 얻었다. 레오미터의 디스포저블 샘플 디시(Anton Paar사)에 경화성 조성물을 약 1.5g 칭량하고, 경화성 조성물의 두께가 0.5mm가 되도록 디스포저블 디시와 디스포저블 플레이트 D-PP25(Anton Paar사제)의 간격을 조정했다. 디스포저블 디시 상의 여분의 경화성 조성물을 제거한 후, 디스포저블 플레이트를 1Hz, 왜곡 2%로 진동시켜, 샘플을 25℃에서 일정하게 보온한 상태에서 측정을 개시했다. 측정 개시로부터 저장 탄성률의 값이 상승할 때까지의 시간을 경화 시간으로 했다.
[열전도율의 측정]
표 1에 나타내는 혼합 질량비율로 제1 액과 제2 액을 혼합하여, 제1 액과 제2 액의 혼합물(경화성 조성물)을 얻었다. 다음으로, 경화성 조성물을 10cm×10cm×0.2mm의 형틀(SUS판제)에 충전하고, SUS판으로 상덮개를 덮은 후에 50℃의 조건으로 30분간 가열하여 경화시킴으로써, 두께 0.2mm의 경화성 조성물 세트의 경화물(제1 액 및 제2 액의 혼합물의 경화물)을 얻었다. 얻어진 경화물을 10mm×10mm×0.2mm의 정사각형으로 절단하고, 그래파이트 스프레이로 흑화 처리한 후, 제논 플래시법(NETZSCH-Geratebau GmbH, Selb/Bayern제 "LFA447 nanoflash")으로 25℃의 조건에서의 열확산율을 측정했다. 이 값과, 아르키메데스법으로 측정한 밀도와, 시차 주사 열량계(TA 인스트루먼트사제 "DSC250")로 측정한 25℃의 비열(比熱)의 곱으로부터, 하기 식에 근거하여, 경화물의 두께 방향의 열전도율을 구했다.
열전도율 λ(W/(m·K))=α×ρ×Cp
α: 열확산율(m2/s)
ρ: 밀도(kg/cm3)
Cp: 비열(용량)(kJ/(kg·K))
[인장 탄성률, 파단 신장률, 및 파단 강도의 측정]
인장 시험기((주)시마즈 세이사쿠쇼제 "Autograph EZ-TEST EZ-S")를 이용하여, 상기에서 얻어진 경화물의 25℃에 있어서의 인장 탄성률, 파단 신장률, 및 파단 강도를 측정했다. 측정에 있어서는, 0.2mm(두께)×5mm(폭)×30mm(길이)의 형상의 경화물에 대하여, 척간 거리 20mm, 인장 속도 5mm/분의 조건으로, JIS K7161에 근거하여 측정했다.
실시예 1~9의 경화물에 대하여, 각 물성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014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경화성 조성물 세트가 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을 함유함으로써, 저탄성이며 또한 신도가 우수한(인장 탄성률이 낮고, 파단 신장률이 높은) 경화물이 얻어졌다.
1A, 1B…전자 부품
11…경화성 조성물 세트의 경화물
21…반도체 칩(열원)
22…히트 싱크
23…기판
24…언더 필
25…히트 스프레더

Claims (11)

  1. 산화제를 함유하는 제1 액과, 환원제를 함유하는 제2 액을 구비하는 경화성 조성물 세트로서,
    상기 제1 액 및 상기 제2 액 중 적어도 일방은, 하기 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을 함유하고,
    [화학식 1]
    Figure pct00015

    [식 (1) 중, R11 및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며, R13은 폴리옥시알킬렌쇄를 갖는 2가의 기를 나타낸다.]
    상기 제1 액 및 상기 제2 액 중 적어도 일방은, 열전도성 필러를 함유하는, 경화성 조성물 세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옥시알킬렌쇄가, 하기 식 (2)로 나타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 세트.
    [화학식 2]
    Figure pct00016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옥시알킬렌쇄가, 하기 식 (3)으로 나타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 세트.
    [화학식 3]
    Figure pct00017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옥시알킬렌쇄가, 하기 식 (2)로 나타나는 구조 단위 및 하기 식 (3)으로 나타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쇄인, 경화성 조성물 세트.
    [화학식 4]
    Figure pct00018

    [화학식 5]
    Figure pct00019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쇄가 랜덤 공중합쇄인, 경화성 조성물 세트.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 이상인, 경화성 조성물 세트.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옥시알킬렌쇄에 있어서의 옥시알킬렌기의 수가 100 이상인, 경화성 조성물 세트.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의 25℃에 있어서의 점도가 1000Pa·s 이하인, 경화성 조성물 세트.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산화방지제를 더 함유하는, 경화성 조성물 세트.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산화방지제가 페놀계 산화방지제인, 경화성 조성물 세트.
  11. 열원과,
    상기 열원과 열적으로 접촉하도록 마련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경화성 조성물 세트의 경화물을 구비하는, 물품.
KR1020227020268A 2019-11-29 2020-11-26 경화성 조성물 세트 및 물품 Pending KR202201080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216616 2019-11-29
JPJP-P-2019-216616 2019-11-29
JP2020019070 2020-02-06
JPJP-P-2020-019070 2020-02-06
PCT/JP2020/043978 WO2021106992A1 (ja) 2019-11-29 2020-11-26 硬化性組成物セット及び物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081A true KR20220108081A (ko) 2022-08-02

Family

ID=7613053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0268A Pending KR20220108081A (ko) 2019-11-29 2020-11-26 경화성 조성물 세트 및 물품
KR1020227020267A Pending KR20220108080A (ko) 2019-11-29 2020-11-26 경화성 조성물 및 물품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0267A Pending KR20220108080A (ko) 2019-11-29 2020-11-26 경화성 조성물 및 물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230002661A1 (ko)
EP (2) EP4056610A4 (ko)
JP (2) JPWO2021106992A1 (ko)
KR (2) KR20220108081A (ko)
CN (2) CN114651021A (ko)
TW (2) TW202128951A (ko)
WO (2) WO20211070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21106992A1 (ko) * 2019-11-29 2021-06-03
US20220403081A1 (en) * 2019-11-29 2022-12-22 Showa Denko Materials Co., Ltd. Composition containing compound having polyoxyalkylene chain
JP2023059307A (ja) * 2021-10-15 2023-04-27 株式会社日本触媒 硬化性樹脂組成物
KR20250010036A (ko) 2022-05-19 2025-01-20 가부시끼가이샤 레조낙 폴리옥시알킬렌쇄를 갖는 화합물 및 에스터계 틱소 부여제를 함유하는 조성물
KR20250010640A (ko) 2022-05-19 2025-01-21 가부시끼가이샤 레조낙 폴리옥시알킬렌쇄를 갖는 화합물 및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조성물
JPWO2024019001A1 (ko) * 2022-07-19 2024-01-25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6885A (ja) 1998-02-27 1999-09-14 Shin Etsu Chem Co Ltd 熱伝導性グリース組成物
JP2011111517A (ja) 2009-11-26 2011-06-09 Cosmo Oil Lubricants Co Ltd 熱伝導性グリース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8285B2 (ja) * 1992-04-20 2001-08-13 ジェイエスアール株式会社 液状硬化性樹脂組成物
JP2006022163A (ja) * 2004-07-06 2006-01-26 Kyocera Chemical Corp 熱硬化性樹脂成形材料
US7999023B2 (en) * 2004-12-03 2011-08-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ocess for making pressure sensitive adhesive hydrogels
JP2009120826A (ja) * 2007-10-23 2009-06-04 Hitachi Chem Co Ltd 接着剤組成物及び半導体装置
JP2009263542A (ja) * 2008-04-25 2009-11-12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メタ)アクリル系粘着性発泡体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1089878A1 (ja) * 2010-01-19 2011-07-28 株式会社カネカ 硬化性組成物
JP5565176B2 (ja) * 2010-08-02 2014-08-06 Jsr株式会社 組成物、その硬化物、および電子デバイス
CN103068923B (zh) * 2010-08-23 2015-06-10 日东电工株式会社 W/o型乳液、泡沫体及功能性泡沫体
WO2012067107A1 (ja) * 2010-11-17 2012-05-24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感光性樹脂組成物、感光性エレメント、レジストパターンの形成方法及び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JP2012188507A (ja) * 2011-03-09 2012-10-04 Kaneka Corp 放熱シート用組成物、および、これを硬化させてなる放熱シート
JP5959642B2 (ja) * 2011-08-03 2016-08-02 ヘンケル アイピー アンド ホールディング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導電性構造接着剤
CN113302734A (zh) * 2019-01-15 2021-08-24 可舒磨润滑油株式会社 固化性组合物及固化物
US20220403081A1 (en) * 2019-11-29 2022-12-22 Showa Denko Materials Co., Ltd. Composition containing compound having polyoxyalkylene chain
JPWO2021106992A1 (ko) * 2019-11-29 2021-06-03
WO2022181454A1 (ja) * 2021-02-26 2022-09-01 昭和電工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ポリオキシアルキレン鎖を有する化合物及びポリ(メタ)アクリレート鎖を有する化合物を含有する組成物
US20240132646A1 (en) * 2021-02-26 2024-04-25 Resonac Corporation Composition containing (meth)acrylamide compound and compound having polyoxyalkylene chai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6885A (ja) 1998-02-27 1999-09-14 Shin Etsu Chem Co Ltd 熱伝導性グリース組成物
JP2011111517A (ja) 2009-11-26 2011-06-09 Cosmo Oil Lubricants Co Ltd 熱伝導性グリ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56611A1 (en) 2022-09-14
CN114651021A (zh) 2022-06-21
KR20220108080A (ko) 2022-08-02
TW202124520A (zh) 2021-07-01
TW202128951A (zh) 2021-08-01
JPWO2021107001A1 (ko) 2021-06-03
CN114729091A (zh) 2022-07-08
EP4056611A4 (en) 2023-01-18
US20230002661A1 (en) 2023-01-05
EP4056610A1 (en) 2022-09-14
WO2021107001A1 (ja) 2021-06-03
JPWO2021106992A1 (ko) 2021-06-03
EP4056610A4 (en) 2023-01-18
TWI853125B (zh) 2024-08-21
WO2021106992A1 (ja) 2021-06-03
JP7622644B2 (ja) 2025-01-28
US20230016868A1 (en) 2023-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08081A (ko) 경화성 조성물 세트 및 물품
KR20230150966A (ko) 폴리옥시알킬렌쇄를 갖는 화합물 및 (메트)아크릴아마이드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230150308A (ko) 폴리옥시알킬렌쇄를 갖는 화합물 및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쇄를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220110767A (ko) 폴리옥시알킬렌쇄를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세트
JP7501225B2 (ja) メソゲン骨格を有する(メタ)アクリレートを含有する組成物
WO2022138589A1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7255590B2 (ja) 硬化性組成物、硬化性組成物セット、蓄熱材、及び物品
KR20250010640A (ko) 폴리옥시알킬렌쇄를 갖는 화합물 및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조성물
JP2023062580A (ja) ポリオキシアルキレン鎖を有する化合物及び熱伝導性フィラーを含有する組成物
KR20250010036A (ko) 폴리옥시알킬렌쇄를 갖는 화합물 및 에스터계 틱소 부여제를 함유하는 조성물
WO2024009895A1 (ja) (メタ)アクリルポリマー及び金属粒子を含有する組成物
CN116917363A (zh) 含有具有聚氧亚烷基链的化合物及具有聚(甲基)丙烯酸酯链的化合物的组合物
CN116917361A (zh) 含有具有聚氧亚烷基链的化合物及(甲基)丙烯酰胺化合物的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1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306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4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