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4915A - Safety concentric plug - Google Patents
Safety concentric plu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04915A KR20220104915A KR1020210007326A KR20210007326A KR20220104915A KR 20220104915 A KR20220104915 A KR 20220104915A KR 1020210007326 A KR1020210007326 A KR 1020210007326A KR 20210007326 A KR20210007326 A KR 20210007326A KR 20220104915 A KR20220104915 A KR 2022010491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supply
- unit
- plug
- power
-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안전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 공급 단자가 배치되는 수용홈의 공간을 전원 접점 단자를 구비하는 연결 유닛이 차단하도록 배치하여 전원 공급 단자의 외부 노출과 전원 공급 단자로의 물기 유입을 차단하고, 플러그가 삽입 수용된 상태에서만 전원 공급 단자와 전원 접점 단자가 접속하도록 하여 플러그가 제거된 상태에서는 외부에 노출되는 전원 접점 단자에는 전기가 흐르지 않도록 함으로써 감전사고 또는 누전사고의 위험을 차단하는 안전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outlet, and more particularly, by disposing the space of the receiving groove in which the power supply terminal is disposed so that the connection unit having the power contact terminal blocks the external exposure of the power supply terminal and moisture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Block the inflow and connect the power supply terminal and the power contact terminal only when the plug is inserted and accommodated so that electricity does not flow to the power contact terminal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plug is removed, thereby preventing the risk of electric shock or short circuit It's about a safety outlet.
콘센트는 전기의 옥내배선에서 실내에 사용하는 코드를 접속하기 위해 배선에 연결하여 플러그를 삽입하는 기구로서, 플러그의 핀을 콘센트의 핀 삽입홀에 삽입하면 콘센트의 핀이 핀 삽입홀 내에 배치되는 전원 공급 단자와 접속되어 전기기구에 전원을 공급한다.An outlet is a device for inserting a plug by connecting to the wiring to connect the cord used indoors in the indoor wiring of electricity. When the pin of the plug is inserted into the pin insertion hole of the outlet, the pin of the outlet is placed in the pin insertion hole. It is connected to the supply terminal to supply power to the electric device.
그런데 이러한 핀 삽입홀 상시로 전기가 흐름에도 불구하고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어린 아이의 호기심에 의한 감전사고(예를 들면 젓가락 삽입 등)가 발생하거나 또는 핀 삽입홀의 물기 유입으로 인한 누전사고 등이 발생하곤 한다.However, these pin insertion holes are constantly exposed to the outside despite the flow of electricity, so electric shock accidents (for example, inserting chopsticks, etc.) due to the curiosity of young children or short circuit accidents due to the inflow of water into the pin insertion holes occur. do it
이와 같은 콘센트에 의한 감전사고 또는 누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20487호(이하, '종래 기술'이라 한다) 에서는 플러그 삽입홀을 덮는 커버가 구비되고 플러그가 결합하지 않은 플러그 삽입홀을 커버로 덮음으로써 핀 삽입홀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커버를 갖는 콘센트'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었다.In order to prevent an electric shock or short circuit accident caused by such an outlet,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420487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a cover for covering the plug insertion hole is provided and the plug insertion hole to which the plug is not coupled. A technology related to a 'outlet with a cover' that prevents the pin insertion hole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by covering it with a cover has been disclosed.
하지만, 종래 기술과 같이 플러그 삽입홀을 덮는 커버가 구비된다 하여도 어린아이도 쉽게 커버를 개방 가능하고 또한 사용자가 깜박하고 커버를 덮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커버는 핀 삽입홀으로 유입되는 물기에 대한 차단 효과 역시 높지 않기 때문에 여전히 감전사고 또는 누전사고의 위험이 크다는 문제가 존재한다.However, even if a cover for covering the plug insertion hole is provided as in the prior art, even a child can easily open the cover, and the user may blink and not cover the cover. Since the blocking effect is also not high, there is still a problem that the risk of electric shock or short circuit is high.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전원 접점 단자를 구비하는 연결 유닛이 전원 공급 단자가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전원 접점 단자를 통해 플러그 핀과 전원 공급 단자 간의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플러그가 제거된 상태에서는 전원 접점 단자와 전원 공급 단자가 분리되도록 하여, 플러그를 분리한 상태에서는 외부에 노출된 단자에서 전기가 흐르지 않도록 하는 안전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mention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lock a connection unit having a power contact terminal so that the power supply terminal is not exposed, and a plug pin through the power contact terminal To provide a safety outlet that prevents electricity from flowing from the externally exposed terminals when the plug is removed by mak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will b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연결 유닛이 전원 접점 단자가 배치되는 공간으로의 물기 유입을 차단하도록 하여, 물기 유입에 의한 누전 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 안전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fety outlet in which the connection unit blocks the inflow of water into a space where the power contact terminal is disposed, thereby preventing an electric leakage accident due to the inflow of water.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자기력을 이용하여 전원 공급 단자와 전원 접점 단자 간의 접속 또는 접속 유지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플러그의 수용홈 삽입 수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플러그의 콘센트 결속력을 상대적으로 완화하도록 하는 안전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intain the connection or maintenance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power supply terminal and the power contact terminal using magnetic force and at the same time maintain the receiving groove insertion and receiving state of the plug, so that the binding force of the outlet of the plug is relatively It is to provide a safety outlet that can be mitigated by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플러그를 콘센트에 연결시 플러그의 핀이 연결 유닛의 전원 접점 단자와 접속하도록 플러그의 원주방향 배치를 회전 가이드 하는 가이드 유닛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플러그를 수용홈에 삽입시 삽입되는 플러그의 원주방향 각도를 유의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플러그 핀과 전원 접점 단자 간에 접속 가능하도록 하는 안전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uide unit for rotationally guiding the circumferential arrangement of the plug so that the pin of the plug is connected to the power contact terminal of the connection unit when the plug is connected to the outlet, so that the user can receive the plug It is to provide a safety outlet that allows the connection between the plug pin and the power contact terminal naturally without considering the circumferential angle of the inserted plug when inserting it into the socket.
플러그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안전 콘센트에 있어서, 수용홈을 갖는 본체부와, 수용홈에 배치되고 전원 공급 단자를 구비하는 전원 공급부와, 수용홈에 배치되고 전원 공급 단자와 분리 가능하게 접속되는 전원 접점 단자를 구비하는 연결 유닛과, 플러그의 핀과 결합되어 수용홈에 삽입될 수 있는 젠더부, 그리고 전원 공급 단자와 전원 접점 단자가 분리되도록 전원 공급부와 연결 유닛을 이격시키는 이격 유닛을 포함하고, 플러그 핀은 전원 접점 단자를 통해 전원 공급 단자와 접속한다.A safety outlet to which a plug is detachably coupled, comprising: a body portion having a receiving groove; a power supply unit dispos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having a power supply terminal; and a power source dispos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detachab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A connection unit having a contact terminal, a gender part that is coupled with a pin of a plug and can be inserted into a receiving groove, and a spacer unit that separates the power supply and the connection unit so that the power supply terminal and the power contact terminal are separated, The plug pin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through the power contact terminal.
이때, 전원 공급부는 제1 자성체를 구비하고 젠더부는 제2 자성체를 구비하여, 젠더부가 연결 유닛에 접근하면 제1 자성체와 제2 자성체 간의 자기력에 의해 전원 공급 단자와 전원 접점 단자 간에 서로 접속하거나 접속을 유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ower supply unit has a first magnetic body and the gender unit has a second magnetic body, and when the gender unit approaches the connection unit, the power supply terminal and the power contact terminal are connected or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magnetic force between the first magnetic body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can keep
또한, 전원 공급부는 연결 유닛과의 원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젠더부가 연결 유닛에 접근하면 자기력에 의해 연결 유닛을 향해 이동하여 전원 공급 단자와 전원 접점 단자 간에 접속이 이루어지며, 자기력이 해제되면 이격 유닛에 의해 본 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is formed to be movable in the far and near direction with the connection unit, and when the gender part approaches the connection unit, it moves toward the connection unit by magnetic force to establish a connection between the power supply terminal and the power contact terminal, and the magnetic force is released It can then be returned to this position by the separation unit.
또한, 연결 유닛은 전원 공급부와의 원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젠더부에 의해 전원 공급부를 향해 가압되면 자기력에 의해 전원 공급 단자와 전원 접점 단자 간에 접속한 상태가 유지되며, 자기력이 해제되면 이격 유닛에 의해 본 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unit is formed so as to be movable in the far and near direction with the power supply unit, and when pressed toward the power supply unit by the gender unit,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power supply terminal and the power contact terminal is maintained by magnetic force, and when the magnetic force is released It can be returned to this position by the separation unit.
또한, 플러그는 젠더부에 억지끼움결합하고, 젠더부는 제1 자성체와 제2 자성체 간의 자기력에 의해 수용홈에 삽입 수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g may be press-fitted to the gender part, and the gender part may maintain a state inserted and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by a magnetic force between the first magnetic body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또한, 본체부는 수용홈의 입구 둘레부가 모따기 가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portion may be chamfered at the entrance periphery of the receiving groove.
또한, 젠더부는 삽입된 플러그의 핀과 접속하는 핀 접점 단자를 포함하고, 젠더부를 수용홈에 삽입시 핀 접점 단자가 전원 접점 단자에 접속하도록 젠더부의 원주방향 배치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ender part includes a pin contact terminal connected to the pin of the inserted plug, and when the gender part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a guide unit for guiding the circumferential arrangement of the gender part so that the pin contac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ower contact terminal can be provided. have.
또한, 가이드 유닛은 자기력을 통해 제2 자성체를 밀어내 젠더부의 원주방향 배치를 가이드 하는 제3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unit may include a third magnetic body for guiding the circumferential arrangement of the gender part by pushing the second magnetic body through the magnetic force.
또한, 제3 자성체는 전원 공급부에서 제1 자성체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Also, the third magnetic material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agnetic material in the power supply unit.
또한, 이격 유닛은 전원 공급부와 연결 유닛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 스프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eparation unit may be an elastic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power supply and the connection unit.
또한, 연결 유닛은 전원 공급부가 배치되는 공간으로의 물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unit may block the inflow of water into a space in which the power supply unit is disposed.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 접점 단자를 구비하는 연결 유닛이 전원 공급 단자가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전원 접점 단자를 통해 플러그 핀과 전원 공급 단자 간의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플러그가 제거된 상태에서는 전원 접점 단자와 전원 공급 단자가 분리되도록 하여, 플러그를 분리한 상태에서는 외부에 노출된 단자에서 전기가 흐르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부에 노출된 단자에 의해 발생하는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unit having the power contact terminal blocks the power supply terminal from being exposed,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plug pin and the power supply terminal is made through the power contact terminal, but when the plug is removed, the power contact terminal and the power supply terminal are separated so that electricity does not flow from the terminal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plug is disconnected, thereby preventing an electric shock accident caused by the terminal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은 연결 유닛이 전원 접점 단자가 배치되는 공간으로의 물기 유입을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물기 유입에 의한 누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connection unit to block the inflow of water into the space where the power contact terminal is disposed, thereby preventing an electric leakage accident due to the inflow of water.
또한, 본 발명은 자기력을 이용하여 전원 공급 단자와 전원 접점 단자 간의 접속 또는 접속 유지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플러그의 수용홈 삽입 수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플러그의 콘센트 결속력을 상대적으로 완화함으로써 지나가던 사람이 플러그 전원선에 걸리면 플러그의 수용홈 삽입 수용 상태가 쉽게 해제되므로 전원선에 걸린 사람이 넘어지거나 또는 전기 제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ses magnetic force to maintain the connection or connection between the power supply terminal and the power contact terminal and at the same time maintain the receiving groove insertion and receiving state of the plug to relatively relieve the binding force of the outlet of the plug, so that a person passing by When the plug is caught in the power line, the receiving groove of the plug is easily released, thereby preventing a person caught in the power line from falling down or damaging the electrical product.
또한, 본 발명은 플러그를 콘센트에 연결시 플러그의 핀이 연결 유닛의 전원 접점 단자와 접속하도록 플러그의 원주방향 배치를 회전 가이드 하는 가이드 유닛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플러그를 수용홈에 삽입시 삽입되는 플러그의 원주방향 각도를 유의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플러그 핀과 전원 접점 단자 간에 접속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플러그의 콘센트 연결이 더욱 용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guide unit for rotationally guiding the circumferential arrangement of the plug so that the pin of the plug is connected to the power contact terminal of the connection unit when the plug is connected to the outlet, so that the plug is inserted when the user inserts the plug into the receiving groove. By making it possible to connect naturally between the plug pin and the power contact terminal without considering the circumferential angle of the plug, the plug can be more easily connected to the outle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플러그 접속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플러그 분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부의 일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플러그 접속시 젠더부가 회전 가이드 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플러그 접속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의 (a)와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플러그 분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a safety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view of a safety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 and (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lug connection process of a safety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 and (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disconnecting a plug of a safety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one side of a power suppl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 and (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gender part is rotated to guide the plug connection of the safety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lug connection process of a safety outl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and 8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disconnecting a plug of a safety outl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excessively comprehensive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a human meaning or in an excessively reduced meaning. In addition, when the technical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correct technical term that does not accurately express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by being replaced with a technical term that can be correct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so, the singular express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elements or several steps described in the invention, and some of the elements or some steps are included.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not,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콘센트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safety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플러그 접속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4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플러그 분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a safety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view of a safety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a ) and (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lug connection process of a safety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a) and (b) is a view showing a plug separation process of the safety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는 플러그 핀과 접속하여 전원을 공급하도록 옥내배선 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가 흐르는 전원 공급 단자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감전사고를 방지함과 동시에 전원 공급 단자로의 물기 유입을 차단하여 물기에 의한 누전사고를 방지하도록 전원 공급 단자로의 물기 유입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afety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indoor wiring to supply power by connecting with a plug pin, so that the power supply terminal through which electricity flows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o prevent an electric shock accident and at the same time, a power supply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low of water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is blocked to prevent an electric leakage accident caused by water by blocking the inflow of water into the furnace.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는 수용홈(11)을 갖는 본체부(10)와, 전원 접점 단자(21)를 구비하는 연결 유닛(20)과, 전원 공급 단자(31)를 구비하는 전원 공급부(30)와, 플러그와 결합한 상태로 수용홈(11)에 삽입 수용되는 젠더부(40), 그리고 연결 유닛(20)과 전원 공급부(30)을 서로 이격시키는 이격 유닛(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safety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본체부(10)는 수용홈(11)을 갖는다. 수용홈(11)에는 연결 유닛(20)과 전원 공급부(30)가 배치되고 젠더부(40)와 결합한 플러그가 삽입 수용될 수 있다. 연결 유닛(20)은 수용홈(11) 내측에 방수 공간(s)을 형성하도록 수용홈(11)에 배치되며 전원 공급부(30)는 방수 공간(s)에 배치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부(30)는 연결 유닛(20)에 의해 외부로의 노출이 차단되며 또한 외부에서의 물기 유입이 차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in more detail, the
전원 공급부(30)는 플러그 핀(pi)과 접속하여 전원을 인가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단자(31)를 구비하는데,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단자(31)가 연결 유닛(20)이 형성하는 방수 공간(s)에 배치되어 외부로의 노출이 차단되고 외부로부터의 물기 유입이 차단되므로 어린아이가 호기심에 의해 전원 공급 단자(31)에 전도성 물체를 접속시켜 발생하는 등의 감전사고를 방지하며 전원 공급 단자(31)로의 물기 유입에 의한 누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The
한편, 젠더부(40)는 플러그(pl)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고, 플러그(pl)와 결합한 상태로 함께 수용홈(11)에 삽입 수용될 수 있다. 젠더부(40)는 플러그 핀(pi)이 억지끼움결합하는 핀 접점 단자(41)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유닛(20)에는 전원 공급 단자(31)와 접촉하여 전기가 흐르는 상태가 되는 전원 접점 단자(21)가 구비되며, 핀 접점 단자(41)는 젠더부(40)가 수용홈(11)에 삽입 수용된 상태에서 전원 접점 단자(21)에 접촉하여 전기가 흐르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플러그 핀(pi)은 핀 접점 단자(41)에 접속하고 핀 접점 단자(41)는 전원 접점 단자(21)에 접속하며 전원 접점 단자(21)는 전원 공급 단자(31)에 접속하여, 최종적으로는 플러그 핀(pi)와 전원 공급 단자(31) 간의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그런데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 단자(31)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대신 전원 공급 단자(31)와 접촉하여 전기가 흐르도록 구비되는 연결 유닛(20)의 전원 접점 단자(21)가 외부에 노출되므로, 전기가 흐르는 전원 접점 단자(21)에 의한 감전사고 또는 누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접점 단자(21)에 의한 감전사고 또는 누전사고 방생을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는 젠더부(40)와 결합한 플러그(pl)가 수용홈(11)에 삽입 수용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는 전원 접점 단자(21)에 전기가 흐르지 않도록 하고, 젠더부(40)와 결합한 플러그(pl)가 수용홈(11)에 삽입 수용된 상태에서는 플러그 핀(pi)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전원 접점 단자(21)에 전기가 흐르도록 할 수 있다.However, in the safety outle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2 , the
이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젠더부(40)가 수용홈(11)에 삽입 수용되지 않는 초기 상태에서 전원 접점 단자(21)와 전원 공급 단자(31)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연결 유닛(20)과 전원 공급부(30)가 서로 간에 이격 배치되고, 젠더부(40)가 수용홈(11)에 삽입 수용된 상태(즉, 플러그가 콘센트에 결합한 상태)에서는 전원 접점 단자(21)와 전원 공급 단자(31)가 서로 접촉하도록 연결 유닛(20)과 전원 공급부(30)가 서로 간이 밀착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1 , in the initial state in which the
도 3의 (a)와 (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초기 상태에서는 이격 유닛(50)이 연결 유닛(20)과 전원 공급부(30)를 서로 이격시키는데 이러한 이격 유닛(50)으로는 연결 유닛(20)과 전원 공급부(30) 사이에 개재 배치되는 탄성 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30)는 제1 자성체(32)를 구비하고 젠더부(40)는 제2 자성체(42)를 구비하며 전원 공급부(30)는 연결 유닛(20)과의 원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 유닛(20)의 원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전원 공급부(30)는 초기 상태에서 탄성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연결 유닛과 이격 배치된다. 이때,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젠더부(40)가 연결 유닛(20)에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제1 자성체(32)와 제2 자성체(42)간에 인력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인력은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부(30)를 연결 유닛(20)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여 전원 공급 단자(31)와 전원 접점 단자(21)가 서로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젠더부(40)가 수용홈(11)에 삽입 수용되어 핀 접점 단자(41)와 전원 접점 단자(21)가 서로 접속 상태가 되면 전원 공급 단자(31) 역시 전원 접점 단자(21)와 접속 상태가 되므로 핀 접점 단자(41)에 결합한 플러그 핀(pi)과 전원 공급 단자(31)가 서로 간에 접속 상태가 되고 플러그 핀(pi)은 전원 공급 단자(31)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S. 3 (a) and (b), in the initial state, the
반대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pl)와 함께 젠더부(40)가 수용홈(11)으로부터 이탈하면 제1 자성체(32)와 제2 자성체(42) 간의 인력이 약해지거나 또는 사라져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전원 공급부(30)가 연결 유닛(20)으로부터 최대한 멀게 이동하며 전원 공급 단자(31)와 전원 접점 단자(21) 간에 접속이 해제된 초기 상태로 되돌아 갈 수 있다.Conversely, as shown in (a) of FIG. 4 , when the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는 플러그(pl)가 제거된 상태에서 외부에 노출되는 전원 접점 단자(21)에 전기가 흐르지 않으며, 따라서 전원 접점 단자(21)를 통한 감전사고 및 누전사고 또한 방지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in the safety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lectricity does not flow to the
바람직하게, 본 실시에에 따른 안전 콘센트는 젠더부(40)가 연결 유닛(20)에 접한 상태에서 전원 공급부(30)가 연결 유닛(20)을 향해 이동하도록 제1 자성체(32)와 제2 자성체(42) 간의 인력은 이격 유닛(50)의 탄성 복원력보다 강하게 작용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가 수용홈(11)에 삽입 수용된 플러그(pl)를 잡아당기면 플러그(pl)와 함께 젠더부(40)도 함께 수용홈(11)으로부터 제거되도록 플러그(pl)와 젠더부(40) 간의 억지끼움결합력은 젠더부(40)와 연결 유닛(20)이 접한 상태에서의 제1 자성체(32)와 제2 자성체(42) 간의 인력보다 강하게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safety outle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a first
특히, 제1 자성체(32)와 제2 자성체(42) 간의 인력은 통상적인 플러그와 콘센트 간의 결속력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완화된 결속력을 갖는다. 따라서, 지나가던 사람이 플러그(pl)의 전원선에 걸리면 플러그(pl)와 젠더부(40)는 수용홈(11)으로부터 비교적 쉽게 이탈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는 전원선에 걸린 사람이 넘어지거나 또는 전기 제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attractive force between the first
바람직하게, 본체부(10)는 수용홈(11)의 입구 둘레부가 모따기 가공됨으로써 젠더부(40)와 결합한 플러그(pl)의 수용홈(11) 삽입을 가이드 하거나 또는 젠더부(40)와 결합한 플러그(pl)가 수용홈(11)으로부터 더욱 쉽게 이탈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부의 일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플러그 접속시 젠더부가 회전 가이드 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5 is a view showing one side of the power supp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6 (a) and (b) are the gender part rotation guide when the plug is connected to the safety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showing the process.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는 젠더부의 핀 접점 단자(41)와 연결 유닛의 전원 접점 단자(21)가 서로 간에 접해야만 플러그가 전원 공급 단자(31)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젠더부(40)를 수용홈(11)에 삽입시 핀 접점 단자(41)와 전원 접점 단자(21)가 상호 접할 수 있도록 젠더부(40)의 원주방향 배치를 정 방향으로 조절해야 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는 젠더부(40)의 수용홈(11) 삽입시 이러한 젠더부(40)의 원주방향 배치를 사용자가 특별히 신경 쓰지 않아도 정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In the safety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lug can receive power from the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에는 젠더부(40)를 수용홈(11)에 삽입시 핀 접점 단자(41)가 전원 접점 단자(21)에 접속하도록 젠더부(40)의 원주방향 배치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유닛(60)을 구비할 수 있다.To this end, in the safety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구체적으로 가이드 유닛(60)은 자기력을 통해 제2 자성체(42)를 밀어내 젠더부(40)의 원주방향 배치를 가이드 하는 제3 자성체(61)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자성체(61)는 젠더부(40)의 원주방향 배치가 잘못되었을 때 제2 자성체(42)를 밀어내도록 본체부(10) 또는 연결 유닛(20) 또는 전원 공급부(30)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3 자성체(61)는 제1 자성체(32)와 달리 제2 자성체(42)를 밀어내는 자기력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젠더부(40)의 수용홈(11) 삽입시 삽입 각도가 잘못되어 핀 접점 단자(41)와 전원 접점 단자(21)가 서로 접하지 못할 때 제2 자성체(42)를 밀어냄으로써 젠더부(40)가 소정 각도 회전하며 올바른 각도로 삽입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guide unit 60 may include a third
바람직하게, 제3 자성체(61)가 제1 자성체(32)에 영향을 끼쳐 전원 공급부(30)가 회전 또는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3 자성체(6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성체(32)와 함께 전원 공급부(3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3 자성체(61)는 전원 공급부(30)에서 제1 자성체(32)와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만약, 도 5와 같이 제1 자성체(32)가 둘 이상 배치되는 경우 제3 자성체(61)는 제1 자성체(32)와 원주방향으로 교번 배치될 수 있다.Preferably, in order to prevent the third
이러한 제3 자성체(61)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접점 단자(41)가 전원 접점 단자(21)에 접하지 못하는 잘못된 각도로 젠더부(40)를 수용홈(11)에 삽입시, 제2 자성체(42)와 근접하게 되어 자기력에 의한 척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제2 자성체(42)와 제3 자성체(61) 간에 발생한 척력은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자성체(42)와 제3 자성체(61)간의 거리가 최대한 멀어지도록 젠더부(40)를 소정 각도 회전시키게 되며, 소정 각도 회전한 젠더부(40)는 핀 접점 단자(41)가 전원 접점 단자(21)에 접할 수 있는 정 방향 각도로 배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젠더부(40)가 정 방향 각도로 배치되면 제2 자성체(42)와 제1 자성체(32)가 가장 근접하게 배치되는 위치가 되어 제1 자성체(32)와 제2 자성체(42) 간의 인력이 최대로 작용할 수 있는 각도가 될 수 있다.The third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는 플러그를 콘센트에 연결시 사용자가 의식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핀 접점 단자(41)가 연결 유닛의 전원 접점 단자(21)와 접속하도록 플러그의 원주방향 배치를 회전 가이드 함으로써, 플러그의 콘센트 연결을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afety outle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by rotating the circumferential arrangement of the plug so that the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플러그 접속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의 (a)와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플러그 분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lug connection process of a safety outl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8 (a) and (b) show a plug disconnection process of a safety outl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ne drawin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는 전원 공급부(30)가 연결 유닛(20)의 원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런데 전원 공급부(30)에는 전원 공급 단자(31)가 구비되며 전원 공급 단자(31)는 전원 공급을 위해 옥내배선 등에 전기적으로 유선 연결되며, 따라서 전원 공급부(3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전원 공급 단자(31)와 연결되는 전선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As described above, the safety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는 전원 공급부(30)는 고정 설치되고 연결 유닛(20')이 전원 공급부(30')를 향해 원근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safety outl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such that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와 마찬가지로 본체부(10), 연결 유닛(20'), 전원 공급부(30'), 젠더부(40), 이격 유닛(50) 및 가이드 유닛(6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는 연결 유닛(20')이 본체부의 수용홈(11)에서 깊이 방향(전원 공급부와의 원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전원 공급부(30')가 수용홈(11)에 고정 배치된다는 점이 다를 뿐, 그 외의 구성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구성의 특징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다른 연결 유닛(20') 및 전원 공급부(30') 역시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연결 유닛(20) 및 전원 공급부(30)의 특징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 또한 생략하기로 한다.The safety outle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like the safety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는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와 달리 연결 유닛(20')이 이동하고 전원 공급부(30')가 고정되므로 콘센트가 결합된 젠더부(40)가 수용홈(11)에 삽입 결합하거나 또는 젠더부(40)를 수용홈(11)에서 제거시의 작동이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에서의 작동과 서로 상이할 수 있다.In the safety outle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unlike the safety outlet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ince the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와 결합한 젠더부(40)가 수용홈(11)에 삽입 수용되는 과정에서 연결 유닛(20)을 가압하면 연결 유닛(20)은 전원 공급부(30)를 향해 이동하여 전원 접점 단자(21)와 전원 공급 단자(31)가 상호 접속할 수 있다. 이때, 제1 자성체(32)와 제2 자성체(42) 간의 거리가 가까워져 인력이 이격 유닛(60)의 탄성 복원력보다 크게 작용하게 되며 이러한 인력에 의해 전원 접점 단자(21)와 전원 공급 단자(31) 간의 상호 접속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핀 접점 단자(41)와 전원 공급 단자(31)가 서로 간에 접속 상태가 유지되고 핀 접점 단자(41)에 결합한 플러그 핀(pi)은 전원 공급 단자(31)로부터 전원을 지속하여 인가받을 수 있게 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7 , when the connecting
또한,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pl)와 함께 젠더부(40)가 수용홈(11)으로부터 이탈하면 제1 자성체(32)와 제2 자성체(42) 간의 인력이 약해지거나 또는 사라져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 유닛(5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연결 유닛(20')이 전원 공급부(30')로부터 최대한 멀게 이동하며 전원 공급 단자(31)와 전원 접점 단자(21) 간에 접속이 해제된 초기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a) of FIG. 8 , when th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본체부
20: 연결 유닛
21: 전원 접점 단자
30: 전원 공급부
31: 전원 공급 단자
32: 제1 자성체
40: 젠더부
41: 핀 접점 단자
42: 제2 자성체
50: 이격 유닛
60: 가이드 유닛
61: 제3 자성체10: body part
20: connection unit
21: power contact terminal
30: power supply
31: power supply terminal
32: first magnetic body
40: Gender Department
41: pin contact terminal
42: second magnetic body
50: spaced unit
60: guide unit
61: third magnetic material
Claims (11)
수용홈을 갖는 본체부;
상기 수용홈에 배치되고 전원 공급 단자를 구비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수용홈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 공급 단자와 분리 가능하게 접속되는 전원 접점 단자를 구비하는 연결 유닛;
상기 플러그의 핀과 결합되어 상기 수용홈에 삽입될 수 있는 젠더부; 및
상기 전원 공급 단자와 상기 전원 접점 단자가 분리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연결 유닛을 이격시키는 이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핀은 상기 전원 접점 단자를 통해 상기 전원 공급 단자와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콘센트.
A safety outlet to which a plug releasably engages, comprising:
a body portion having a receiving groove;
a power supply unit dispos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having a power supply terminal;
a connection unit dispos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having a power contact terminal detachab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a gender part coupled to the pin of the plug and capable of being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and
and a spacer unit separating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connection unit so that the power supply terminal and the power contact terminal are separated,
The plug pin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through the power contact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afety outlet.
상기 전원 공급부는 제1 자성체를 구비하고 상기 젠더부는 제2 자성체를 구비하여, 상기 젠더부가 상기 연결 유닛에 접근하면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 간의 자기력에 의해 상기 전원 공급 단자와 상기 전원 접점 단자 간에 서로 접속하거나 접속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콘센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power supply unit has a first magnetic body and the gender unit has a second magnetic body, and when the gender unit approaches the connection unit, the power supply terminal and the power contact point by a magnetic force between the first magnetic body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A safety outlet characterized in that the terminal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or maintain a connection between them.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연결 유닛과의 원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젠더부가 상기 연결 유닛에 접근하면 상기 자기력에 의해 상기 연결 유닛을 향해 이동하여 상기 전원 공급 단자와 상기 전원 접점 단자 간에 접속이 이루어지며, 상기 자기력이 해제되면 상기 이격 유닛에 의해 본 위치로 되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콘센트.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ower supply unit is formed to be movable in a near direction with the connection unit, and when the gender part approaches the connection unit, it moves toward the connection unit by the magnetic force, so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power supply terminal and the power contact terminal is It is made, and when the magnetic force is released, the safety outlet, characterized in that it returns to the present position by the separation unit.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전원 공급부와의 원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젠더부에 의해 상기 전원 공급부를 향해 가압되면 상기 자기력에 의해 상기 전원 공급 단자와 상기 전원 접점 단자 간에 접속한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자기력이 해제되면 상기 이격 유닛에 의해 본 위치로 되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콘센트.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nection unit is formed so as to be movable in a near direction with the power supply unit, and when pressed toward the power supply unit by the gender unit, a state connected between the power supply terminal and the power contact terminal by the magnetic force is maintained, , Safety outlet,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magnetic force is released, it returns to the present position by the separation unit.
상기 플러그는 상기 젠더부에 억지끼움결합하고, 상기 젠더부는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 간의 자기력에 의해 상기 수용홈에 삽입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콘센트.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lug is press-fitted to the gender part, and the gender part is inserted and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by a magnetic force between the first magnetic body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상기 본체부는 상기 수용홈의 입구 둘레부가 모따기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콘센트.
6. The method of claim 5,
Safety outlet,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body portion chamfered inlet periphery of the receiving groove.
상기 젠더부는 삽입된 상기 플러그의 핀과 접속하는 핀 접점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젠더부를 상기 수용홈에 삽입시 상기 핀 접점 단자가 상기 전원 접점 단자에 접속하도록 상기 젠더부의 원주방향 배치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콘센트.
3. The method of claim 2,
The gender part includes a pin contact terminal connected to the inserted pin of the plug,
and a guide unit for guiding the circumferential arrangement of the gender part so that the pin contac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ower contact terminal when the gender part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상기 가이드 유닛은 자기력을 통해 상기 제2 자성체를 밀어내 상기 젠더부의 원주방향 배치를 가이드 하는 제3 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콘센트.
8. The method of claim 7,
The guide unit is a safety outle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third magnetic body for guiding the circumferential arrangement of the gender part by pushing the second magnetic body through a magnetic force.
상기 제3 자성체는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상기 제1 자성체와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콘센트.
9. The method of claim 8,
The third magnetic body is a safety outlet, characterized in that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agnetic body in the power supply.
상기 이격 유닛은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연결 유닛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콘센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separation unit is a safety outlet,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power supply and the connection unit.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전원 공급부가 배치되는 공간으로의 물기 유입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콘센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on unit is a safety outlet, characterized in that it blocks the inflow of water into the space where the power supply unit is dispos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7326A KR102487087B1 (en) | 2021-01-19 | 2021-01-19 | Safety concentric plu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7326A KR102487087B1 (en) | 2021-01-19 | 2021-01-19 | Safety concentric plu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04915A true KR20220104915A (en) | 2022-07-26 |
KR102487087B1 KR102487087B1 (en) | 2023-01-10 |
Family
ID=82609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07326A Active KR102487087B1 (en) | 2021-01-19 | 2021-01-19 | Safety concentric plu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87087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33992A (en) * | 2022-09-06 | 2024-03-13 | 국립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 Power connected apparatus with electric plug and socket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85346Y1 (en) * | 1999-12-16 | 2000-06-15 | 정욱철 | Socket for power plug |
KR100420487B1 (en) | 2001-02-05 | 2004-03-02 | 황석훈 | Concent with Cover |
KR200419127Y1 (en) * | 2006-03-23 | 2006-06-19 | 박세범 | Plug and outlet |
KR100636410B1 (en) * | 2006-08-25 | 2006-10-20 | (주)건창기술단 | Safety devices for outlets embedded in walls inside buildings |
KR20140065985A (en) * | 2012-11-22 | 2014-05-30 | 이예림 | Power connection device |
KR20180085972A (en) * | 2017-01-20 | 2018-07-30 | 김재훈 | Cover device for receptacle |
KR102111689B1 (en) | 2020-02-13 | 2020-05-15 | 주식회사 틸인스(Tilins) | A Multi-locking safety socket unit and A electrical outlet having the same |
-
2021
- 2021-01-19 KR KR1020210007326A patent/KR10248708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85346Y1 (en) * | 1999-12-16 | 2000-06-15 | 정욱철 | Socket for power plug |
KR100420487B1 (en) | 2001-02-05 | 2004-03-02 | 황석훈 | Concent with Cover |
KR200419127Y1 (en) * | 2006-03-23 | 2006-06-19 | 박세범 | Plug and outlet |
KR100636410B1 (en) * | 2006-08-25 | 2006-10-20 | (주)건창기술단 | Safety devices for outlets embedded in walls inside buildings |
KR20140065985A (en) * | 2012-11-22 | 2014-05-30 | 이예림 | Power connection device |
KR20180085972A (en) * | 2017-01-20 | 2018-07-30 | 김재훈 | Cover device for receptacle |
KR102111689B1 (en) | 2020-02-13 | 2020-05-15 | 주식회사 틸인스(Tilins) | A Multi-locking safety socket unit and A electrical outlet having the sam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33992A (en) * | 2022-09-06 | 2024-03-13 | 국립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 Power connected apparatus with electric plug and socke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87087B1 (en) | 2023-01-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537468B1 (en) | Electric socket | |
KR101171070B1 (en) | Electromagnetism Electricity Connection Device | |
US8834186B2 (en) | Power socket and safety gate mechanism thereof | |
CN109038127A (en) | The safety electric connector of replaceable interface | |
KR20220104915A (en) | Safety concentric plug | |
ATE240593T1 (en) | IMPROVEMENT IN CONNECTION ARRANGEMENTS FOR A FLEXIBLE CIRCUIT | |
US4632479A (en) | Safety terminal for electrical extension cord | |
US20200194942A1 (en) | Safety Power Connector | |
US20120094545A1 (en) | Electric connector assembly | |
GB2566593A (en) | Apparatus and method | |
CN110681166A (en) | Functional building block component | |
CN211150840U (en) | Rotary splicing box | |
TWI691124B (en) | Magnetic electrical connector and plug of same | |
KR20130001081A (en) | Power supply connecting device | |
CN110224271B (en) | Waterproof socket | |
KR100669914B1 (en) | Safety outlet for building | |
CN212230373U (en) | Prevent reverse plug structure of protection electrical apparatus | |
KR100389806B1 (en) | A safety device of Socket | |
CN209709685U (en) | A kind of Surge Protector | |
CN112352356A (en) | Safety power supply connector | |
KR100340447B1 (en) | A safe electric outlet | |
CN222673385U (en) | Power conversion head and power conversion device | |
ATE358343T1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12149035B2 (en) | Electrical connection assembly and electrical apparatus | |
SU1156174A1 (en) | Safety electric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6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0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