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3234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03234A KR20220103234A KR1020210005333A KR20210005333A KR20220103234A KR 20220103234 A KR20220103234 A KR 20220103234A KR 1020210005333 A KR1020210005333 A KR 1020210005333A KR 20210005333 A KR20210005333 A KR 20210005333A KR 20220103234 A KR20220103234 A KR 2022010323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uch
- pattern
- connection
- touch sensor
- are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20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5538 encap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2044 organic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1241 protect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59 patte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101000584767 Homo sapiens Ras-related protein Rab-6C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102100030021 Ras-related protein Rab-6C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147 in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BASFCYQUMIYNBI-UHFFFAOYSA-N platinum Chemical compound [Pt] BASFCYQUMIYN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101000982628 Homo sapiens Prolyl 3-hydroxylase OGFOD1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2100026942 Prolyl 3-hydroxylase OGFOD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651 chrom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QNRATNLHPGXHMA-XZHTYLCXSA-N (r)-(6-ethoxyquinolin-4-yl)-[(2s,4s,5r)-5-ethyl-1-azabicyclo[2.2.2]octan-2-yl]methanol;hydr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H]([C@H](C1)CC)C2)CN1[C@@H]2[C@H](O)C1=CC=NC2=CC=C(OCC)C=C21 QNRATNLHPGXHMA-XZHTYLCX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8347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284 Cellulose tri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7 Polyether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34 Polyphenylene sulf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581 Si3N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LOMVQKBTHCTTD-UHFFFAOYSA-N Zinc monoxide Chemical compound [Zn]=O XLOMVQKBTHCTT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NNLVGZFZQQXQNW-ADJNRHBOSA-N [(2r,3r,4s,5r,6s)-4,5-diacetyloxy-3-[(2s,3r,4s,5r,6r)-3,4,5-triacetyloxy-6-(acetyloxymethyl)oxan-2-yl]oxy-6-[(2r,3r,4s,5r,6s)-4,5,6-triacetyloxy-2-(acetyloxymethyl)oxan-3-yl]oxyoxan-2-yl]m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O([C@@H]1O[C@@H]([C@H]([C@H](OC(C)=O)[C@H]1OC(C)=O)O[C@H]1[C@@H]([C@@H](OC(C)=O)[C@H](OC(C)=O)[C@@H](COC(C)=O)O1)OC(C)=O)COC(=O)C)[C@@H]1[C@@H](COC(C)=O)O[C@@H](OC(C)=O)[C@H](OC(C)=O)[C@H]1OC(C)=O NNLVGZFZQQXQNW-ADJNRHBO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PJXISJQVUVHSOJ-UHFFFAOYSA-N indium(iii) oxide Chemical compound [O-2].[O-2].[O-2].[In+3].[In+3] PJXISJQVUVHSO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AMGQUBHHOARCQH-UHFFFAOYSA-N indium;oxotin Chemical compound [In].[Sn]=O AMGQUBHHOARCQ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1 iri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TWNQGVIAIRXVLR-UHFFFAOYSA-N 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Al]O[Al]=O TWNQGVIAIRXVL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58 poly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30 polya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601 polyether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69 polyphenylene sulf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HQVNEWCFYHHQES-UHFFFAOYSA-N silicon nitride Chemical compound N12[Si]34N5[Si]62N3[Si]51N64 HQVNEWCFYHHQE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14 silico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OGIDPMRJRNCKJF-UHFFFAOYSA-N tita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Ti]=O OGIDPMRJRNCKJ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YVTHLONGBIQYBO-UHFFFAOYSA-N zinc indium(3+) oxygen(2-) Chemical compound [O--].[Zn++].[In+3] YVTHLONGBIQY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25 Acry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78 Acryl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OKXTWBITQBERF-UHFFFAOYSA-N Molybdenum Chemical compound [Mo] ZOKXTWBITQBER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79 Neody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09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HKQOBOMRSSHSTC-UHFFFAOYSA-N cellulose acetate Chemical compound OC1C(O)C(O)C(CO)OC1OC1C(CO)OC(O)C(O)C1O.CC(=O)OCC1OC(OC(C)=O)C(OC(C)=O)C(OC(C)=O)C1OC1C(OC(C)=O)C(OC(C)=O)C(OC(C)=O)C(COC(C)=O)O1.CCC(=O)OCC1OC(OC(=O)CC)C(OC(=O)CC)C(OC(=O)CC)C1OC1C(OC(=O)CC)C(OC(=O)CC)C(OC(=O)CC)C(COC(=O)CC)O1 HKQOBOMRSSHST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40 conductiv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256 coordination poly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60 diamon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2 diamo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KPUWHANPEXNPJT-UHFFFAOYSA-N disiloxane Chemical class [SiH3]O[SiH3] KPUWHANPEXNPJ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570 flexibl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389 graphe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37 ind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GKOZUEZYRPOHIO-UHFFFAOYSA-N iridium atom Chemical compound [Ir] GKOZUEZYRPOHI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QXKHYXIUOZZFA-UHFFFAOYSA-M lithium fluoride Inorganic materials [Li+].[F-] PQXKHYXIUOZZFA-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13 methacry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0 molybde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3 molybden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70 nanowi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3 palla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KDLHZDBZIXYQEI-UHFFFAOYSA-N palladium Substances [Pd] KDLHZDBZIXYQE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95 polyisop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52 polymer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96 quantum do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4 silver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TYHJXGDMRRJCRY-UHFFFAOYSA-N zinc indium(3+) oxygen(2-) tin(4+) Chemical compound [O-2].[Zn+2].[Sn+4].[In+3] TYHJXGDMRRJCR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며, 제1 터치 도전층, 제2 터치 도전층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터치 도전층과 상기 제2 터치 도전층 사이에 개재되는 제1 터치 절연막을 포함하는 터치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터치 도전층은 제1 연결 영역 및 상기 제1 연결 영역보다 선폭이 큰 제2 연결 영역을 포함하는 제1 터치 연결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터치 도전층은 제1 터치 연결 패턴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1 터치 센서 패턴, 상기 복수의 제1 터치 센서 패턴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복수의 제2 터치 센서 패턴, 및 상기 복수의 제2 터치 센서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터치 연결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터치 연결 패턴의 상기 제2 연결 영역은 평면상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1 터치 센서 패턴과 상기 제2 터치 센서 패턴 사이에 배치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는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및 스마트 텔레비전과 같이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되고 있다.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전계 방출 표시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발광 표시 장치(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과 같은 수광형 표시 장치와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무기 반도체와 같은 무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무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초소형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초소형 발광 표시 장치 등과 같은 발광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다양한 입력 장치를 포함한다. 최근에는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를 중심으로 터치 입력을 인식하는 터치 패널이 표시 장치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터치 패널은 입력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위치를 터치 입력 좌표로 산출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터치 부재의 구동 전극과 센싱 전극 사이의 쇼트(short) 불량 등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으며, 터치 부재의 신뢰성이 향상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며, 제1 터치 도전층, 제2 터치 도전층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터치 도전층과 상기 제2 터치 도전층 사이에 개재되는 제1 터치 절연막을 포함하는 터치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터치 도전층은 제1 연결 영역 및 상기 제1 연결 영역보다 선폭이 큰 제2 연결 영역을 포함하는 제1 터치 연결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터치 도전층은 제1 터치 연결 패턴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1 터치 센서 패턴, 상기 복수의 제1 터치 센서 패턴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복수의 제2 터치 센서 패턴, 및 상기 복수의 제2 터치 센서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터치 연결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터치 연결 패턴의 상기 제2 연결 영역은 평면상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1 터치 센서 패턴과 상기 제2 터치 센서 패턴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연결 영역의 선폭은 제1 폭을 가지며, 상기 제2 연결 영역의 선폭은 제2 폭을 갖고, 상기 제2 폭은 상기 제1 폭의 1.1배 내지 10배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폭은 1.0㎛ 내지 5.0㎛의 범위 내에 있고, 상기 제2 폭은 2.0㎛ 내지 10.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 센서 패턴, 상기 제2 터치 센서 패턴 및 상기 제2 터치 연결 패턴은 메쉬(mesh)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빛을 방출하는 복수의 발광 영역 및 상기 복수의 발광 영역을 둘러싸는 비발광 영역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터치 연결 패턴, 상기 제1 터치 센서 패턴, 상기 제2 터치 센서 패턴 및 상기 제2 터치 연결 패턴은 상기 비발광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영역은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방출하며, 서로 인접하는 제1 발광 영역 및 제2 발광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발광 영역과 상기 제2 발광 영역 사이에 배치된 상기 비발광 영역의 폭은 상기 제2 연결 영역의 선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 센서 패턴의 선폭 및 상기 제2 터치 센서 패턴의 선폭은 상기 제1 터치 연결 패턴의 상기 제2 연결 영역의 선폭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 센서 패턴은 제1 기저부 및 상기 제1 기저부로부터 상기 제2 터치 센서 패턴을 향해 돌출된 제1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터치 센서 패턴은 제2 기저부 및 상기 제2 기저부로부터 상기 제1 터치 센서 패턴을 향해 돌출된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는 평면상 상호 대향할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 연결 패턴의 상기 제2 연결 영역은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가 평면상 상호 대향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는 서로를 향할수록 폭이 좁아질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가 이격된 이격 거리는 상기 제1 터치 연결 패턴의 상기 제2 연결 영역의 연장 길이보다 크고, 상기 제1 터치 연결 패턴의 상기 제2 연결 영역의 전 영역은 상기 제1 터치 센서 패턴 및 상기 제2 터치 센서 패턴과 비중첩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터치 센서 패턴과 상기 제2 터치 연결 패턴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 터치 센서 패턴은 상기 제2 터치 연결 패턴을 사이에 두고 상호 전기적으로 분리 이격되고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터치 센서 패턴은 제1 방향을 따라 나열되며, 상기 복수의 제2 터치 센서 패턴은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나열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터치 센서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터치 구동 배선 및 상기 복수의 제2 터치 센서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터치 센싱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빛을 방출하는 복수의 발광 영역 및 상기 복수의 발광 영역을 둘러싸는 비발광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며, 제1 터치 센서 패턴, 상기 제1 터치 센서 패턴과 분리 이격되어 상기 제1 터치 센서 패턴과 대향하는 제2 터치 센서 패턴, 및 적어도 일부가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1 터치 센서 패턴과 상기 제2 터치 센서 패턴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터치 연결 패턴을 포함하는 터치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터치 센서 패턴, 상기 제2 터치 센서 패턴 및 상기 제1 터치 연결 패턴은 상기 비발광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터치 연결 패턴의 폭은 상기 제1 터치 센서 패턴의 폭 및 상기 제2 터치 센서 패턴의 폭보다 크고, 서로 인접하는 상기 복수의 발광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비발광 영역의 폭보다 작다.
상기 제1 터치 센서 패턴 및 상기 제2 터치 센서 패턴은 메쉬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 연결 패턴은 제1 터치 도전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터치 센서 패턴 및 상기 제2 터치 센서 패턴은 상기 제1 터치 도전층과 상이한 제2 터치 도전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터치 도전층은 제2 터치 연결 패턴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터치 센서 패턴 및 상기 제2 터치 센서 패턴을 각각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제1 터치 센서 패턴은 상기 제1 터치 연결 패턴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제2 터치 센서 패턴은 상기 제2 터치 연결 패턴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 연결 패턴은 제1 연결 영역 및 상기 제1 연결 영역보다 선폭이 큰 제2 연결 영역을 포함하는 제1 터치 연결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영역은 상기 제1 터치 센서 패턴 및 상기 제2 터치 센서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중첩하고, 평면상 상기 제2 연결 영역은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1 터치 센서 패턴과 상기 제2 터치 센서 패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 영역의 선폭은 상기 제1 연결 영역의 선폭의 1.1배 내지 10배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표시 장치에 포함된 터치 부재의 구동 전극과 센싱 전극 사이의 쇼트(short) 불량 등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으며, 터치 부재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 배치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예시적인 적층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층의 개략적인 평면 배치도이다.
도 5는 도 4의 터치 영역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의 화소와 터치 부재의 메쉬형 패턴의 상대적인 배치 관계를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부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A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부(CP1)의 제2 영역(CA2) 주변을 도시한다.
도 10은 도 7의 X-X'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부재의 평면도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부재의 평면도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부재의 평면도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부재의 평면도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부재의 평면도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부재의 평면도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예시적인 적층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층의 개략적인 평면 배치도이다.
도 5는 도 4의 터치 영역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의 화소와 터치 부재의 메쉬형 패턴의 상대적인 배치 관계를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부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A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부(CP1)의 제2 영역(CA2) 주변을 도시한다.
도 10은 도 7의 X-X'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부재의 평면도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부재의 평면도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부재의 평면도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부재의 평면도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부재의 평면도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부재의 평면도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 배치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실시예들에서,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상호 교차한다. 도 1의 평면도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세로 방향인 제1 방향(DR1)과 가로 방향인 제2 방향(DR2)이 정의되어 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제1 방향(DR1) 일측은 평면도상 상측 방향을, 제1 방향(DR1) 타측은 평면도상 하측 방향을, 제2 방향(DR2) 일측은 평면도상 우측 방향을 제2 방향(DR2) 타측은 평면도상 좌측 방향을 각각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제3 방향(DR3)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이 놓이는 평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모두 수직으로 교차한다. 다만,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방향을 언급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실시예는 언급한 방향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에서 제3 방향(DR3)을 기준으로 표현된 “상부”, “상면”, "상측"은 표시 패널(10)을 기준으로 표시면 측을 의미하고, “하부”, “하면”, "하측"은 표시 패널(10)을 기준으로 표시면의 반대측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표시 화면을 제공하는 모든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화면을 제공하는 모바일 폰,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전자 시계, 스마트 워치, 워치 폰, 이동 통신 단말기,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게임기,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 뿐만 아니라 텔레비전, 노트북, 모니터, 광고판, 사물 인터넷 등이 표시 장치(1)에 포함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활성 영역(AAR)과 비활성 영역(NAR)을 포함한다. 표시 장치(1)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부분을 표시 영역으로, 화면을 표시하지 않는 부분을 비표시 영역으로 정의하고, 터치 입력의 감지가 이루어지는 영역을 터치 영역으로 정의하면, 표시 영역과 터치 영역은 활성 영역(AAR)에 포함될 수 있다. 표시 영역과 터치 영역은 중첩할 수 있다. 즉, 활성 영역(AAR)은 표시도 이루어지고 터치 입력의 감지도 이루어지는 영역일 수 있다.
활성 영역(AAR)의 형상은 직사각형 또는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일 수 있다. 예시된 활성 영역(AAR)의 형상은 모서리가 둥글고 제1 방향(DR1)이 제2 방향(DR2)보다 긴 직사각형이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활성 영역(AAR)은 제2 방향(DR2)이 제1 방향(DR1)보다 긴 직사각형 형상, 정사각형이나 기타 다각형 또는 원형, 타원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비활성 영역(NAR)은 활성 영역(AAR)의 주변에 배치된다. 비활성 영역(NAR)은 베젤 영역일 수 있다. 비활성 영역(NAR)은 활성 영역(AAR)의 모든 변(도면에서 4변)을 둘러쌀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활성 영역(AAR)의 상측변 부근이나, 좌우 측변 부근에는 비활성 영역(NAR)이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비활성 영역(NAR)에는 활성 영역(AAR)(표시 영역이나 터치 영역)에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신호 배선이나 구동 회로들이 배치될 수 있다. 비활성 영역(NAR)은 표시 영역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나아가, 비활성 영역(NAR)은 터치 영역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비활성 영역(NAR)은 일부의 터치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고, 해당 영역에 압력 센서 등과 같은 센서 부재가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활성 영역(AAR)은 화면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과 완전히 동일한 영역이 되고, 비활성 영역(NAR)은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과 완전히 동일한 영역이 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표시 화면을 제공하는 표시 패널(10)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10)의 예로는 유기발광 표시 패널, 마이크로 LED 표시 패널, 나노 LED 표시 패널, 양자점 발광 표시 패널, 액정 표시 패널, 플라즈마 표시 패널, 전계방출 표시 패널, 전기 영동 표시 패널, 전기 습윤 표시 패널 등을 들 수 있다. 이하에서는 표시 패널(10)의 일 예로서, 유기발광 표시 패널이 적용된 경우를 예시하지만,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기술적 사상이 적용 가능하다면 다른 표시 패널에도 적용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은 복수의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는 행렬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각 화소의 형상은 평면상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각 변이 제1 방향(DR1) 또는 제2 방향(DR2)에 대해 기울어진 마름모 형상일 수도 있다. 각 화소는 발광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발광 영역은 화소의 형상과 동일할 수도 있지만,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화소의 형상이 직사각형 형상인 경우, 해당 화소의 발광 영역의 형상은 직사각형, 마름모, 육각형, 팔각형, 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각 화소 및 발광 영역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표시 장치(1)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부재는 표시 패널(10)과 별도의 패널이나 필름으로 제공되어 표시 패널(10) 상에 부착될 수도 있지만, 표시 패널(10) 내부에 터치층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터치 부재가 터치 패널 내부에 마련되어 터치층의 형태로 표시 패널(10)에 포함되는 경우를 예시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패널(10)은 폴리이미드 등과 같은 가요성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표시 패널(10)은 휘어지거나, 절곡되거나, 접히거나, 말릴 수 있다.
표시 패널(10)은 패널이 벤딩되는 영역인 벤딩 영역(BR)을 포함할 수 있다. 벤딩 영역(BR)을 중심으로 표시 패널(10)은 벤딩 영역(BR)의 일측에 위치하는 메인 영역(MR)과 벤딩 영역(BR)의 타측에 위치하는 서브 영역(SR)으로 구분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의 표시 영역은 메인 영역(MR) 내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 영역(MR)에서 표시 영역의 주변 에지 부분, 벤딩 영역(BR) 전체 및 서브 영역(SR) 전체가 비표시 영역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벤딩 영역(BR) 및/또는 서브 영역(SR)도 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메인 영역(MR)은 대체로 표시 장치(1)의 평면상 외형과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메인 영역(MR)은 일 평면에 위치한 평탄 영역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메인 영역(MR)에서 벤딩 영역(BR)과 연결된 에지(변)를 제외한 나머지 에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에지가 휘어져 곡면을 이루거나 수직 방향으로 절곡될 수도 있다.
메인 영역(MR)에서 벤딩 영역(BR)과 연결된 에지(변)를 제외한 나머지 에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에지가 곡면을 이루거나 절곡되어 있는 경우, 해당 에지에도 표시 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곡면 또는 절곡된 에지는 화면을 표시하지 않는 비표시 영역이 되거나, 해당 부위에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이 혼재될 수도 있다.
벤딩 영역(BR)은 메인 영역(MR)의 제1 방향(DR1) 타측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벤딩 영역(BR)은 메인 영역(MR)의 하측 단변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벤딩 영역(BR)의 폭은 메인 영역(MR)의 폭(단변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메인 영역(MR)과 벤딩 영역(BR)의 연결부는 L자 커팅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벤딩 영역(BR)에서 표시 패널(10)은 두께 방향으로 하측 방향, 다시 말하면 표시면의 반대 방향으로 곡률을 가지고 벤딩될 수 있다. 벤딩 영역(BR)은 일정한 곡률 반경은 가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구간별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가질 수도 있다. 표시 패널(10)이 벤딩 영역(BR)에서 벤딩됨에 따라 표시 패널(10)의 면이 반전될 수 있다. 즉, 상부를 항하는 표시 패널(10)의 일면이 벤딩 영역(BR)을 통해 외측을 항하였다가 다시 하부를 향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서브 영역(SR)은 벤딩 영역(BR)으로부터 연장된다. 서브 영역(SR)은 벤딩이 완료된 이후부터 시작하여 메인 영역(MR)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서브 영역(SR)은 표시 패널(10)의 두께 방향으로 메인 영역(MR)과 중첩할 수 있다. 서브 영역(SR)의 폭(제2 방향(DR2)의 폭)은 벤딩 영역(BR)의 폭과 동일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서브 영역(SR)에는 구동칩(IC)이 배치될 수 있다. 구동칩(IC)은 표시 패널(10)을 구동하는 집적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적 회로는 디스플레이용 집적 회로 및/또는 터치 유닛용 집적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용 집적 회로와 터치 유닛용 집적 회로는 별도의 칩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하나의 칩에 통합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표시 패널(10)의 서브 영역(SR) 단부에는 패드부가 배치될 수 있다. 패드부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신호 배선 패드 및 터치 신호 배선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의 서브 영역(SR) 단부의 패드부에는 구동 기판(FPC)이 연결될 수 있다. 구동 기판(FPC)은 연성 인쇄회로기판이나 필름일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예시적인 적층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순차 적층된 기판(SUB), 회로 구동층(DRL), 발광층(EML), 봉지층(ENL), 터치층(TSL), 반사 방지층(RPL) 및 보호층(WDL)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은 상부에 배치되는 구성들을 지지할 수 있다.
기판(SUB) 상부에는 회로 구동층(DRL)을 배치될 수 있다. 회로 구동층(DRL)은 화소의 발광층(EML)을 구동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 구동층(DRL)은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 구동층(DRL) 상부에는 발광층(EML)이 배치될 수 있다. 발광층(EML)은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EML)은 회로 구동층(DRL)에서 전달하는 구동 신호에 따라 다양한 휘도로 발광할 수 있다.
발광층(EML) 상부에는 봉지층(ENL)이 배치될 수 있다. 봉지층(ENL)은 무기막 또는 무기막과 유기막의 적층막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봉지층(ENL)으로 글래스나 봉지 필름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봉지층(ENL) 상부에는 터치층(TSL)이 배치될 수 있다. 터치층(TSL)은 터치 입력을 인지하는 층으로서, 터치 부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터치층(TSL)은 복수의 감지 영역과 감지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층(TSL)이 표시 패널(10, 도 1 참조)에 포함되는 경우, 표시 패널(10, 도 1 참조)은 기판(SUB), 회로 구동층(DRL), 발광층(EML), 봉지층(ENL) 및 터치층(TSL)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터치층(TSL) 상부에는 반사 방지층(RPL)이 배치될 수 있다. 반사 방지층(RPL)은 외광 반사를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반사 방지층(RPL)은 편광 필름의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반사 방지층(RPL)은 통과하는 빛을 편광시키며, 반사 방지층(RPL)은 점착층을 통해 터치층(TSL) 상부에 부착될 수 있다. 편광 필름의 형태인 반사 방지층(RPL)은 생략될 수도 있다. 반사 방지층(RPL)은 외광 반사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반사 방지층(RPL)은 표시 패널(10) 내부에 컬러 필터층의 형태로 적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반사 방지층(RPL)은 특정 파장의 빛을 선택적으로 투광하는 컬러 필터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반사 방지층(RPL) 상부에는 보호층(WDL)이 배치될 수 있다. 보호층(WDL)은 예컨대 윈도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층(WDL)은 광학 투명 접착제 등에 의해 반사 방지층(RPL) 상에 부착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의 구체적인 적층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층의 개략적인 평면 배치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터치층(또는, 터치 부재)은 활성 영역(AAR)에 위치하는 터치 영역과 비활성 영역(NAR)에 위치하는 비터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터치 부재의 전반적인 형상을 단순화하고, 비터치 영역을 상대적으로 넓게 도시하였지만, 터치 영역의 형상과 비터치 영역의 형상은 상술한 활성 영역(AAR) 및 비활성 영역(NAR)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터치 부재의 터치 영역은 복수의 제1 감지 전극(IE1)(또는 제1 터치 전극) 및 복수의 제2 감지 전극(IE2)(또는 제2 터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 전극(IE1)과 제2 감지 전극(IE2) 중 어느 하나는 구동 전극이고, 다른 하나는 센싱 전극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감지 전극(IE1)이 구동 전극이고, 제2 감지 전극(IE2)이 센싱 전극인 경우를 예시한다.
제1 감지 전극(IE1)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감지 전극(IE1)은 제1 방향(DR1)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1 센서부(SP1, 또는 제1 터치 센서 패턴) 및 인접한 제1 센서부(SP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부(CP1, 또는 제1 터치 연결 패턴)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감지 전극(IE1)은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감지 전극(IE2)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감지 전극(IE2)은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2 센서부(SP2, 또는 제2 터치 센서 패턴) 및 인접한 제2 센서부(SP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부(CP2, 또는 제2 터치 연결 패턴)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감지 전극(IE2)은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4개의 제1 감지 전극(IE1)과 6개의 제2 감지 전극(IE2)이 배열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제1 감지 전극(IE1)과 제2 감지 전극(IE2)의 수가 상기 예시된 바에 제한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적어도 일부의 제1 센서부(SP1) 및 제2 센서부(SP2)는 마름모 형상일 수 있다. 몇몇 제1 센서부(SP1) 및 제2 센서부(SP2)는 마름모 형상으로부터 잘린 도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 방향 양 단부를 제외한 제1 센서부(SP1)들 및 제2 센서부(SP2)들은 모두 마름모 형상이고, 연장 방향 양 단부에 위치하는 제1 센서부(SP1)들 및 제2 센서부(SP2)들은 각각 마름모를 절반으로 절단한 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마름모 형상의 제1 센서부(SP1)들과 마름모 형상의 제2 센서부(SP2)들은 그 크기 및 형상이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삼각형 형상의 제1 센서부(SP1)들과 삼각형 형상의 제2 센서부(SP2)들은 그 크기 및 형상이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가 상기 예시된 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의 형상 및 크기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제1 감지 전극(IE1)의 제1 센서부(SP1)와 제2 감지 전극(IE2)의 제2 센서부(SP2)는 각각 면형 패턴 또는 메쉬(mesh)형 패턴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는 다양한 형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가 면형 패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경우,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는 투명한 도전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가 도 5 및 도 7 등에 예시된 바와 같이 비발광 영역을 따라 배치된 메쉬형 패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경우, 불투명한 저저항 금속을 적용하더라도 발광된 빛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가 각각 메쉬형 패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연결부(CP1)는 이웃하는 제1 센서부(SP1)들의 마름모 또는 삼각형의 모서리 부위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연결부(CP2)는 이웃하는 제2 센서부(SP2)들의 마름모 또는 삼각형의 모서리 부위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연결부(CP1)와 제2 연결부(CP2)의 폭은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감지 전극(IE1)과 제2 감지 전극(IE2)은 절연되어 교차할 수 있다. 서로 교차하는 영역에서 다른 층에 위치하는 도전층을 통해 연결됨으로써 제1 감지 전극(IE1)과 제2 감지 전극(IE2) 간 절연을 확보할 수 있다. 제1 감지 전극(IE1)과 제2 감지 전극(IE2)의 절연 교차는 제1 연결부(CP1) 및/또는 제2 연결부(CP2)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절연 교차를 위해 제1 연결부(CP1)와 제2 연결부(CP2)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감지 전극(IE1) 및 제2 감지 전극(IE2)과 다른 층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감지 전극(IE1)의 제1 센서부(SP1)와 제2 감지 전극(IE2)의 제2 센서부(SP2)는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도전층으로 이루어지고,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 자체는 서로 교차하거나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인접한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는 물리적으로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제2 연결부(CP2)는 제2 센서부(SP2)와 동일한 도전층으로 이루어져 인접한 제2 센서부(SP2)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연결부(CP2)가 지나는 영역을 중심으로 제1 감지 전극(IE1)의 인접한 제1 센서부(SP1)들은 물리적으로 이격된다. 제1 센서부(SP1)들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CP1)는 제1 센서부(SP1)와 다른 도전층으로 이루어져 제2 감지 전극(IE2)의 영역을 가로지를 수 있다. 제1 연결부(CP1)는 컨택을 통해 인접한 각 제1 센서부(SP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부(CP1)는 복수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1 연결부(CP1)는 인접한 일측의 제2 감지 전극(IE2)을 중첩하여 지나는 하나의 제1 연결부(CP1_1, 또는 제1 서브 연결부)와 인접한 타측의 제2 감지 전극(IE2)을 중첩하여 지나는 다른 하나의 제1 연결부(CP1_2, 또는 제2 서브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인접한 2개의 제1 센서부(SP1)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CP1)가 복수개 마련되면 어느 하나가 정전기 등에 의해 단선되더라도 해당 제1 감지 전극(IE1)의 단선이 방지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한 제1 센서부(SP1)들과 제2 센서부(SP2)들은 단위 감지 영역(SUT)을 구성할 수 있다(도 5 참조). 예를 들어, 제1 감지 전극(IE1)과 제2 감지 전극(IE2)이 교차하는 영역을 중심으로 인접한 2개의 제1 센서부(SP1)의 절반과 인접한 2개의 제2 센서부(SP2)의 절반은 하나의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접한 2개의 제1 센서부(SP1) 및 제2 센서부(SP2)의 절반 영역에 의해 정의된 영역은 하나의 단위 감지 영역(SUT)이 될 수 있다. 복수의 단위 감지 영역(SUT)은 행열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각 단위 감지 영역(SUT)에서는 인접한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들 사이의 커패시턴스 값을 측정함으로써, 터치 입력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위치를 터치 입력 좌표로 산출할 수 있다. 터치 감지는 뮤추얼 캡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각 단위 감지 영역(SUT)은 화소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위 감지 영역(SUT)은 복수개의 화소에 대응할 수 있다. 단위 감지 영역(SUT)의 한 변의 길이는 4~5mm의 범위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터치 영역의 외측에는 복수의 터치 신호 배선이 배치된다. 복수의 터치 신호 배선은 비활성 영역(NAR, 도 1 참조)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신호 배선은 서브 영역(SR, 도 1 참조)에 위치하는 터치 패드부(TPA1, TPA2)로부터 벤딩 영역(BR, 도 1 참조)을 거쳐 메인 영역(MR, 도 1 참조)의 비활성 영역(NAR, 도 1 참조)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터치 신호 배선은 복수의 터치 구동 배선(Tx) 및 복수의 터치 센싱 배선(Rx)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터치 신호 배선은 터치 접지 배선(G) 및/또는 터치 정전기 방지 배선(ES)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구동 배선(Tx)은 제1 감지 전극(IE1)과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의 제1 감지 전극(IE1)에는 복수의 터치 구동 배선(Tx)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구동 배선(Tx)은 제1 감지 전극(IE1)의 하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1 터치 구동 배선(Tx1_1, Tx2_1, Tx3_1, Tx4_1) 및 제1 감지 전극(IE1)의 상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2 터치 구동 배선(Tx1_2, Tx2_2, Tx3_2, Tx4_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치 구동 배선(Tx1_1, Tx2_1, Tx3_1, Tx4_1)은 터치 신호 배선 패드부(TPA1)로부터 제1 방향(DR1) 일측으로 연장되어 제1 감지 전극(IE1)의 하측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터치 구동 배선(Tx1_2, Tx2_2, Tx3_2, Tx4_2)은 터치 신호 배선 패드부(TPA1)로부터 제1 방향(DR1) 일측으로 연장되고 터치 영역의 좌측 에지를 우회하여 제1 감지 전극(IE1)의 상측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터치 센싱 배선(Rx)은 제2 감지 전극(IE2)과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의 제2 감지 전극(IE2)에는 하나의 터치 센싱 배선(Rx)이 연결될 수 있다. 각 터치 센싱 배선(Rx1, Rx2, Rx3, Rx4, Rx5, Rx6)은 터치 신호 배선 패드부(TPA2)로부터 제1 방향(DR1) 일측으로 연장되고 터치 영역의 우측 에지 측으로 연장하여 제2 감지 전극(IE2)의 우측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터치 신호 배선의 최외곽부에는 터치 정전기 방지 배선(ES)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터치 정전기 방지 배선은 제1 터치 정전기 방지 배선(ES1), 제2 터치 정전기 방지 배선(ES2), 제3 터치 정전기 방지 배선(ES3), 및 제4 터치 정전기 방지 배선(ES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터치 정전기 방지 배선(ES1, ES2, ES3, ES4)은 터치 영역 및 신호 배선들을 링 형상으로 둘러쌀 수 있다.
제1 터치 정전기 방지 배선(ES1)은 우측에 위치하는 터치 신호 배선의 외측에서 커버할 수 있다. 제2 터치 정전기 방지 배선(ES2)은 우측에 위치하는 터치 신호 배선의 내측을 커버할 수 있다. 제3 터치 정전기 방지 배선(ES3)은 좌측에 위치하는 터치 신호 배선의 내측 및 터치 영역의 하측에서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터치 신호 배선의 외측을 커버할 수 있다. 제4 터치 정전기 방지 배선(ES4)은 좌측에 위치하는 터치 신호 배선의 외측 및 터치 영역의 상측에서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터치 신호 배선의 외측을 커버할 수 있다.
터치 접지 배선(G)은 신호 배선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접지 배선(G)은 제1 터치 접지 배선(G1), 제2 터치 접지 배선(G2), 제3 터치 접지 배선(G3), 제4 터치 접지 배선(G4) 및 제5 터치 접지 배선(G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치 접지 배선(G1)은 터치 센싱 배선(Rx)과 제1 터치 정전기 방지 배선(ES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터치 접지 배선(G2)은 제2 터치 정전기 방지 배선(ES2)과 터치 센싱 배선(Rx)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터치 접지 배선(G3)은 제1 터치 구동 배선(Tx1_1, Tx2_1, Tx3_1, Tx4_1)과 제3 터치 정전기 방지 배선(ES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터치 접지 배선(G4)은 제1 터치 구동 배선(Tx1_1, Tx2_1, Tx3_1, Tx4_1)과 제2 터치 구동 배선(Tx1_2, Tx2_2, Tx3_2, Tx4_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5 터치 접지 배선(G5)은 제2 터치 구동 배선(Tx1_2, Tx2_2, Tx3_2, Tx4_2)과 제4 터치 정전기 방지 배선(ES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터치 영역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터치 부재는 베이스층(205), 베이스층(205) 상의 제1 터치 도전층(210), 제1 터치 도전층(210) 상의 제1 터치 절연층(215), 제1 터치 절연층(215) 상의 제2 터치 도전층(220), 및 제2 터치 도전층(220)을 덮는 제2 터치 절연층(23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베이스층(205) 상에는 제1 터치 도전층(210)이 배치된다. 제1 터치 도전층(210)은 제1 터치 절연층(215)에 의해 덮인다. 제1 터치 절연층(215)은 제1 터치 도전층(210)과 제2 터치 도전층(220)을 절연한다. 제1 터치 절연층(215) 상에는 제2 터치 도전층(220)이 배치된다. 제2 터치 절연층(230)은 제2 터치 도전층(220)을 덮어 보호할 수 있다.
베이스층(205)은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층(205)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 옥시 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 옥사이드층, 티타늄 옥사이드층, 또는 알루미늄 옥사이드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베이스층(205)은 후술하는 박막 봉지층을 구성하는 제2 무기막(193)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제1 터치 도전층(210) 및 제2 터치 도전층(220)은 각각 금속이나 투명 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은 알루미늄, 티타늄, 구리, 몰리브덴, 은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도전층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등과 같은 투명한 전도성 산화물이나, PEDOT과 같은 전도성 고분자, 금속 나노 와이어, 그라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제1 터치 도전층(210)과 제2 터치 도전층(220)이 비발광 영역 상에 배치되는 경우, 저저항의 불투명 금속으로 이루어지더라도 발광된 빛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터치 도전층(210) 및/또는 제2 터치 도전층(220)은 다층 구조의 도전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터치 도전층(210) 및/또는 제2 터치 도전층(220)은 티타늄/알루미늄/티타늄의 3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제1 연결부(CP1)는 제1 터치 도전층(210)으로 이루어지고, 제1 센서부(SP1), 제2 센서부(SP2) 및 제2 연결부(CP2)는 제2 터치 도전층(2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터치 도전층(210)은 제1 연결부(CP1)를 포함하고, 제2 터치 도전층(220)은 제1 센서부(SP1), 제2 센서부(SP2) 및 제2 연결부(CP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예시된 바와 반대로 제1 연결부(CP1)가 제2 터치 도전층(220)으로 이루어지고, 센서부(SP1, SP2)와 제2 연결부(CP2)가 제1 터치 도전층(210)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터치 신호 배선은 제1 터치 도전층(210)으로 이루어지거나, 제2 터치 도전층(220)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컨택으로 연결된 제1 터치 도전층(210)과 제2 터치 도전층(220)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기타, 감지 전극이나 신호 배선의 각 부재를 구성하는 터치 도전층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제1 터치 절연층(215)과 제2 터치 절연층(230)은 무기 물질 또는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터치 절연층(215)과 제2 터치 절연층(230) 중 어느 하나는 무기 물질을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터치 절연층(215)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 옥시 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 옥사이드층, 티타늄 옥사이드층, 또는 알루미늄 옥사이드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터치 절연층(230)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실록산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페릴렌계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터치 절연층(230)이 유기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하부의 단차에도 불구하고 상면은 대체로 평탄할 수 있다.
제1 터치 절연층(215)은 컨택홀(CNT_T)을 포함할 수 있다. 컨택홀(CNT_T)을 통해 제1 터치 도전층(210)(예컨대 제1 연결부(CP1))과 제2 터치 도전층(220)의 일부(예컨대, 제1 센서부(SP1))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터치 도전층(210)(예컨대 제1 연결부(CP1))을 통해 제2 감지 전극(IE2)에 의해 분리된 제1 감지 전극(IE1)의 제1 센서부(SP1)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도시하진 않았으나, 제2 터치 도전층(220) 상에는 절연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은 무기 물질 또는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층이 유기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하부의 단차에도 불구하고 상면은 대체로 평탄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의 화소와 터치 부재의 메쉬형 패턴의 상대적인 배치 관계를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활성 영역(AAR)의 표시 영역은 복수의 화소를 포함한다. 각 화소는 발광 영역(EMA)을 포함한다. 발광 영역(EMA)은 화소 정의막(126, 도 10 참조)의 개구부와 중첩하며, 그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각 화소의 발광 영역(EMA) 사이에는 비발광 영역(NEM)이 배치된다. 비발광 영역(NEM)은 화소 정의막(126, 도 10 참조)과 중첩하며, 그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비발광 영역(NEM)은 발광 영역(EMA)을 둘러쌀 수 있다. 비발광 영역(NEM)은 평면도상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과 교차하는 대각선 방향(제4 방향(DR4) 및 제5 방향(DR5))을 따라 배치된 격자 형상 또는 메쉬 형상을 갖는다.
화소는 제1 색 화소(예컨대, 적색 화소), 제2 색 화소(예컨대, 청색 화소) 및 제3 색 화소(예컨대, 녹색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색 화소의 발광 영역(EMA)의 형상은 대체로 팔각형 또는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이나 마름모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각 발광 영역(EMA)의 형상은 원형, 마름모나 기타 다른 다각형, 모서리가 둥근 다각형 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색 화소의 발광 영역(EMA_R)의 형상과 제2 색 화소의 발광 영역(EMA_B)의 형상은 각각 모서리가 둥근 마름모 형상으로 서로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색 화소의 발광 영역(EMA_B)은 제1 색 화소의 발광 영역(EMA_R)보다 클 수 있다.
제3 색 화소의 발광 영역(EMA_G)은 제1 색 화소의 발광 영역(EMA_R)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제3 색 화소의 발광 영역(EMA_G)은 대각선 방향(제4 방향(DR4) 및 제5 방향(DR5))으로 기울어지고, 기울어진 방향으로 최대 폭을 갖는 팔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색 화소는 발광 영역(EMA_G1)이 제1 대각선 방향(제4 방향(DR4))으로 기울어진 제3 색 화소와 발광 영역(EMA_G2)이 제2 대각선 방향(제5 방향(DR5))으로 기울어진 제3 색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색 화소는 다양한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방향(DR2)을 따라 제1 행을 이루며 제1 색 화소(예컨대, 적색 화소)와 제2 색 화소(예컨대, 청색 화소)가 교대 배열되고, 그에 인접하는 제2 행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제3 색 화소(예컨대, 녹색 화소)가 배열될 수 있다. 제2 행에 속하는 화소(제3 색 화소)는 제1 행에 속하는 화소에 대해 제2 방향(DR2)으로 엇갈려 배치될 수 있다. 제2 행에서, 제1 대각선 방향으로 기울어진 제3 색 화소와 제2 대각선 방향으로 기울어진 제3 색 화소는 제2 방향(DR2)을 따라 교대 배열될 수 있다. 제2 행에 속하는 제3 색 화소의 개수는 제1 행에 속하는 제1 색 화소의 개수 또는 제2 색 화소의 개수의 2배일 수 있다.
제3 행은 제1 행과 동일한 색 화소들의 배열을 갖지만, 배열 순서는 반대일 수 있다. 즉, 제1 행의 제1 색 화소와 동일 열에 속하는 제3 행에는 제2 색 화소가 배치되고, 제1 행의 제2 색 화소와 동일 열에 속하는 제3 행에는 제1 색 화소가 배치될 수 있다. 제4 행은 제2 행과 동일하게 제3 색 화소의 배열을 갖지만, 대각선 방향에 기울어진 형상을 기준으로 보면 그 배열 순서가 반대일 수 있다. 즉, 제2 행의 제1 대각선 방향으로 기울어진 제3 색 화소와 동일 열에 속하는 제4 행에는 제2 대각선 방향으로 기울어진 제3 색 화소가 배치되고, 제2 행의 제2 대각선 방향으로 기울어진 제3 색 화소와 동일 열에 속하는 제4 행에는 제1 대각선 방향으로 기울어진 제3 색 화소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행 내지 제4 행의 배열은 제1 방향(DR1)을 따라 반복될 수 있다. 그러나, 화소의 배열이 상기 예시한 바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제1 센서부(SP1), 제2 센서부(SP2), 제1 연결부(CP1) 및 제2 연결부(CP2)는 비발광 영역(NEM)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센서부(SP1), 제2 센서부(SP2) 및 제1 연결부(CP1)는 메쉬(mesh)형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센서부(SP1), 제2 센서부(SP2) 및 제1 연결부(CP1)는 메쉬(mesh)형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진 않았으나, 제2 연결부(CP2)는 메쉬형 패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센서부(SP1), 제2 센서부(SP2) 및 제1 연결부(CP1)는 평면도상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과 교차하는 대각선 방향(제4 방향(DR4) 및 제5 방향(DR5))을 따라 배치된 격자 형상 또는 메쉬 형상을 갖는다.
제1 센서부(SP1), 제2 센서부(SP2), 제1 연결부(CP1) 및 제2 연결부(CP2)는 비발광 영역(NEM)에서 화소의 경계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1 센서부(SP1), 제2 센서부(SP2), 제1 연결부(CP1) 및 제2 연결부(CP2)는 발광 영역(EMA)과는 비중첩할 수 있다. 제1 센서부(SP1), 제2 센서부(SP2), 제1 연결부(CP1) 및 제2 연결부(CP2)의 폭은 비발광 영역(NEM)의 폭보다 작을 있다.
제1 센서부(SP1), 제2 센서부(SP2) 및 제1 연결부(CP1)이 메쉬형 패턴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센서부(SP1), 제2 센서부(SP2) 및 제1 연결부(CP1)의 메쉬형 패턴이 노출하는 영역은 실질적인 마름모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센서부(SP1), 제2 센서부(SP2) 및 제1 연결부(CP1) 은 발광 영역(EMA)을 노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센서부(SP1), 제2 센서부(SP2) 및 제1 연결부(CP1) 각각의 메쉬형 패턴은 발광 영역(EMA)을 노출할 수 있다. 메쉬형 패턴에 의해 노출되는 영역의 크기는 동일할 수도 있지만, 메쉬형 패턴에 의해 노출되는 발광 영역(EMA)의 크기에 따라 상이하거나, 그와 무관하게 상이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하나의 노출 영역이 하나의 발광 영역(EMA)에 대응된 경우가 예시되어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노출 영역이 2 이상의 발광 영역(EMA)에 대응될 수도 있다.
제1 센서부(SP1) 및 제2 센서부(SP2)는 제1 연결부(CP1)의 대부분의 영역과 중첩할 수 있다. 제1 센서부(SP1) 및 제2 센서부(SP2)는 제1 연결부(CP1)의 대부분의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연결부(CP1)는 제1 센서부(SP1)가 배치된 영역 및 제2 센서부(SP2)가 배치된 영역에 걸쳐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는 상호 단절된 영역을 제외하고 제1 연결부(CP1)와 중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결부(CP1)가 제1 센서부(SP1) 및 제2 센서부(SP2)와 상이한 도전층으로 형성되더라도, 제1 연결부(CP1)이 시인되는 불량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제1 연결부(CP1)는 서로 다른 선폭을 갖는 제1 연결 영역(CA1, 도 8 참조) 및 제2 연결 영역(CA2, 도 8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폭이 큰 제2 연결 영역(CA2, 도 8 참조)은 서로 인접하는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가 이격된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 사이의 쇼트(short) 불량 등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이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부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A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부(CP1)의 제2 영역(CA2) 주변을 도시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CP1)는 서로 다른 선폭을 갖는 제1 연결 영역(CA1) 및 제2 연결 영역(C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 영역(CA2)의 선폭은 제1 연결 영역(CA1)의 선폭보다 클 수 있다. 제1 연결부(CP1)의 제1 서브 연결부(CP1_1) 및 제2 서브 연결부(CP1_2) 각각은 제1 연결 영역(CA1) 및 제2 연결 영역(CA2)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1 연결부(CP1)의 제1 연결 영역(CA1) 및 제2 연결 영역(CA2)에 대한 내용은 제1 서브 연결부(CP1_1) 및 제2 서브 연결부(CP1_2) 각각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센서부(SP1)은 제1 기저부(BS1) 및 제1 돌출부(PT1)를 포함하고, 제2 센서부(SP2)은 제2 기저부(BS2) 및 제2 돌출부(PT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부(PT1)는 제1 기저부(BS1)로부터 제1 대각선 방향(제4 방향(DR4)) 또는 제2 대각선 방향(제5 방향(DR5))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돌출부(PT1)는 제1 센서부(SP1)의 메쉬 패턴의 일부를 이루며 제1 대각선 방향(제4 방향(DR4))으로 연장된 제1 기저부(BS1)로부터 제2 대각선 방향(제5 방향(DR5))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돌출부(PT1)는 제2 센서부(SP2)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제2 돌출부(PT2)는 제2 기저부(BS2)로부터 제1 대각선 방향(제4 방향(DR4)) 또는 제2 대각선 방향(제5 방향(DR5))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돌출부(PT2)는 제2 센서부(SP2)의 메쉬 패턴의 일부를 이루며 제1 대각선 방향(제4 방향(DR4))으로 연장된 제2 기저부(BS2)로부터 제2 대각선 방향(제5 방향(DR5))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돌출부(PT2)는 제1 센서부(SP1)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센서부(SP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복수의 제2 센서부(SP2)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평면상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서로를 향해 돌출된 제1 센서부(SP1)의 제1 돌출부(PT1)와 제2 센서부(SP2)의 제2 돌출부(PT2)는 분리 이격되고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되며, 제1 돌출부(PT1)와 제2 돌출부(PT2)는 평면상 상호 대향할 수 있다.
제1 연결부(CP1)의 제2 연결 영역(CA2)의 측면은 상기 제1 돌출부(PT1)의 측면 및 상기 제2 돌출부(PT2)의 측면보다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연결 영역(CA2)의 측면, 돌출부(PT1)의 측면 및 상기 제2 돌출부(PT2)의 측면은 각각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된 면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대각선 방향(제5 방향(DR5))으로 연장된 제2 연결 영역(CA2), 돌출부(PT1) 및 상기 제2 돌출부(PT2) 각각의 측면은 제2 연결 영역(CA2), 돌출부(PT1) 및 상기 제2 돌출부(PT2) 각각의 제1 대각선 방향(제4 방향(DR4)) 일측 및 타측에 위치하는 면을 지칭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연결부(CP2)는 기저부와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제2 센서부(SP2)의 제2 기저부(BS2)와 제2 돌출부(PT2)에 대한 내용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 연결 영역(CA1)은 제1 센서부(SP1) 또는 제2 센서부(SP2)와 중첩할 수 있다. 제2 연결 영역(CA2)의 적어도 일부는 상호 분리 이격된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제2 연결 영역(CA2)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센서부(SP1) 및 제2 센서부(SP2)와 비중첩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연결 영역(CA2)은 적어도 일부가 평면상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평면상 제2 연결 영역(CA2)은 적어도 일부가 서로 대향하는 제1 센서부(SP1)의 제1 돌출부(PT1)와 제2 센서부(SP2)의 제2 돌출부(PT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2 연결 영역(CA2)은 평면상 상호 분리 이격된 제1 센서부(SP1)와 제2 연결부(CP2)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연결 영역(CA2)은 서로 인접하는 발광 영역(EM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 영역(CA2)은 제1 대각선 방향(제4 방향(DR4))을 따라 나열되는 발광 영역(EMA) 사이에 배치되거나, 제2 대각선 방향(제5 방향(DR5))을 따라 나열되는 발광 영역(EM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연결 영역(CA2)은 제1 대각선 방향(제4 방향(DR4))을 따라 서로 인접하는 제1 색 화소의 발광 영역(EMA_R)과 제3 색 화소와 발광 영역(EMA_G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 영역(CA1)은 제1 폭(WTH1)을 가지며, 제2 연결 영역은 제2 폭(WTH2)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연결 영역(CA1)의 선폭은 제1 폭(WTH1)을 가지며, 제2 연결 영역의 선폭은 제2 폭(WTH2)을 가질 수 있다. 제2 폭(WTH2)은 제1 폭(WTH1)보다 클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제2 폭(WTH2)은 제1 폭(WTH1)의 1.1배 내지 10배의 범위 내에 있거나, 1.1배 내지 3배의 범위 내에 있거나, 1.2배 내지 1.5배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제1 폭(WTH1)의 크기는 예를 들어, 3.0㎛이거나, 1.0㎛ 내지 5.0㎛의 범위 내에 있거나, 2.0㎛ 내지 4.0㎛의 범위 내에 있거나, 2.5㎛ 내지 3.5㎛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폭(WTH2)의 크기는 예를 들어, 4.0㎛이거나, 2.0㎛ 내지 10.0㎛의 범위 내에 있거나, 2.0㎛ 내지 8.0㎛의 범위 내에 있거나, 2.0㎛ 내지 6.0㎛의 범위 내에 있거나, 3.5㎛ 내지 4.5㎛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폭(WTH1)과 제2 폭(WTH2)은 제1 연결 영역(CA1) 및 제2 연결 영역(CA2)이 연장된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의 폭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대각선 방향(제4 방향(DR4))으로 연장되는 제1 연결부(CP)의 제1 연결 영역(CA1)의 제1 폭(WTH1)은 제2 대각선 방향(제5 방향(DR5))의 폭을 지칭하고, 제2 연결 영역(CA2)의 제2 폭(WTH2)은 제2 대각선 방향(제5 방향(DR5))의 폭을 지칭할 수 있다.
제1 폭(WTH1)과 제2 폭(WTH2) 각각이 상술한 범위 내의 크기를 갖는 경우, 제1 센서부(SP1) 및 제2 센서부(SP2)가 제1 연결부(CP1)와 미스 얼라인(mis-align)되더라도,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가 원활히 분리 이격될 수 있다. 제1 센서부(SP1) 및 제2 센서부(SP2)의 공정상 마진(margin)과 제1 연결부(CP1)의 공정상 마진에도 불구하고,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가 원활히 분리 이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가 형성되는 도전층(예를 들어, 패터닝 전 제2 도전층(220, 도 6 참조)) 및/또는 제1 연결부(CP1)가 형성되는 도전층(예를 들어, 패터닝 전 제1 도전층(220, 도 6 참조))이 미스 얼라인 또는 공정상 마진에 의해 의도한 위치에 배치되지 않더라도, 적어도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가 단절되는 영역의 상기 도전층은 제2 연결 영역(CA2)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미스 얼라인 및/또는 공정상 마진에 의해,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가 형성되는 도전층(예를 들어, 패터닝 전 제2 도전층(220, 도 6 참조)) 및/또는 제1 연결부(CP1)가 형성되는 도전층(예를 들어, 패터닝 전 제1 도전층(220, 도 6 참조))이 제1 대각선 방향(제4 방향(DR4))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하더라도, 적어도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가 단절되는 영역의 상기 도전층은 여전히 제2 연결 영역(CA2)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어도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가 단절되는 영역의 상기 도전층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두께 방향(제3 방향(DR3))의 두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가 단절되는 영역을 식각하는 경우, 상기 단절 영역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포함하므로, 상기 단절 영역에서 도전층이 잔존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가 원활히 패터닝되어 분리 이격될 수 있고,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는 전기적으로 원활하게 절연될 수 있다. 즉,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는 상호 전기적으로 도통되지 않으며, 커패시터(capacitor)를 통해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 사이의 쇼트 불량 등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터치 부재의 신뢰성 및 터치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하는 발광 영역(EMA) 사이의 비발광 영역(NEM)은 제3 폭(WTH3)을 가질 수 있다. 제3 폭(WTH3)은 서로 인접하는 발광 영역(EMA) 사이의 거리를 지칭할 수 있다. 제2 폭(WTH2)은 제3 폭(WTH3)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제2 폭(WTH2)은 제3 폭(WTH3)의 0.1배 내지 0.99배의 범위 내에 있거나, 0.2배 내지 0.8배의 범위 내에 있거나, 0.3배 내지 0.5배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제2 폭(WTH2)이 상기 범위를 내의 크기를 갖는 경우, 제1 연결부(CP1)는 전 영역이 비발광 영역(NEM) 내에 배치되고, 발광 영역(EMA)에서 방출되는 빛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즉, 제2 폭(WTH2)이 상기 범위를 내의 크기를 갖는 경우, 제1 연결부(CP1)가 제1 연결 영역(CA1)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제2 연결 영역(CA2)을 포함하더라도, 발광 영역(EMA)에서 방출되는 빛은 제1 연결부(CP1)에 의한 차단 또는 반사 등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10, 도 1 참조)의 휘도 감소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센서부(SP2)의 선폭은 제4 폭(WTH4)을 가질 수 있다. 제4 폭(WTH4)은 메쉬 패턴을 이루는 제2 기저부(BS2)와 제2 돌출부(PT2)가 연장되는 방향에 수직하는 폭을 지칭할 수 있다. 제1 센서부(SP1)는 제2 센서부(SP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4 폭(WTH4)은 제1 폭(WTH1)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제4 폭(WTH4)은 제2 폭(WTH2)보다 작을 수 있으며, 상술한 제2 폭(WTH2)과 제1 폭(WTH1) 사이의 관계에 대한 내용은 제2 폭(WTH2)과 제4 폭(WTH4)에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 연결부(CP1)의 제1 영역(CA1)은 제1 센서부(SP1) 및 제2 센서부(SP2)와 완전히 중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는 이격 거리(GP)만큼 이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서로 대향하는 제1 센서부(SP1)의 제1 돌출부(PT1)와 제2 센서부(SP2)의 제2 돌출부(PT2) 사이는 이격 거리(GP)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격 거리(GP)는 예를 들어, 3.5㎛이거나, 1.0㎛ 내지 6.0㎛의 범위 내에 있거나, 2.0㎛ 내지 5.0㎛의 범위 내에 있거나, 3.0㎛ 내지 4.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격 거리(GP)가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 공정상 마진 및/또는 미스 얼라인에도 불구하고,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가 분리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으며, 하부의 제1 연결부(CP1)의 시인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제1 연결부(CP1)의 제2 연결 영역(CA2)은 연장 길이(LTH)만큼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연결부(CP1)의 제2 연결 영역(CA2)이 제2 대각선 방향(제5 방향(DR5))으로 연장 길이(LTH)만큼 연장될 수 있다. 연장 길이(LTH)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4.5㎛이거나, 2.0㎛ 내지 7.0㎛의 범위 내에 있거나, 3.0㎛ 내지 6.0㎛의 범위 내에 있거나, 4.0㎛ 내지 5.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제2 연결 영역(CA2)의 연장 길이(LTH)는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 사이의 이격 거리(GP)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를 패터닝하는 과정에서,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가 보다 원활히 분리될 수 있다. 다만, 제2 연결 영역(CA2)의 연장 길이(LTH)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표시 장치의 단면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도 7의 X-X'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의 기판(SUB)은 고분자 수지 등의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물질의 예로는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알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셀룰로오스 트리 아세테이트(cellulose triacetate: CAT),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또는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기판(100)은 벤딩(bending), 폴딩(folding), 롤링(rolling) 등이 가능한 플렉시블(flexible) 기판일 수 있다. 플렉시블 기판을 이루는 물질의 예로 폴리이미드(PI)를 들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기판(SUB) 상에는 애노드 전극(170)이 배치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기판(SUB)의 바로 위에 애노드 전극(170)이 배치된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기판(SUB)과 애노드 전극(170) 사이에는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신호 배선이 배치될 수 있다.
애노드 전극(170)은 화소마다 배치된 화소 전극일 수 있다. 애노드 전극(170)은 인듐-주석-산화물(Indium-Tin-Oxide: ITO), 인듐-아연-산화물(Indium-Zinc-Oxide: IZO), 산화아연(Zinc Oxide: ZnO), 산화인듐(Induim Oxide: In2O3)의 일함수가 높은 물질층과 은(Ag),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백금(Pt), 납(Pd), 금(Au), 니켈(Ni), 네오듐(Nd), 이리듐(Ir), 크롬(Cr), 리튬(Li), 칼슘(Ca)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과 같은 반사성 물질층이 적층된 적층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함수가 높은층이 반사성 물질층보다 위층에 배치되어 유기층(175)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애노드 전극(170)은 ITO/Mg, ITO/MgF, ITO/Ag, ITO/Ag/ITO의 복수층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판(SUB) 상에는 화소 정의막(126)이 배치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126)은 애노드 전극(170) 상에 배치되며, 애노드 전극(170)을 노출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126) 및 그 개구부에 의해 발광 영역(EMA)과 비발광 영역(NEM)이 구분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126)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126)은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화소 정의막(126)이 노출하는 애노드 전극(170) 상에는 발광층이 배치된다. 발광층은 유기층(175)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층(175)은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며, 정공 주입/수송층 및/또는, 전자 주입/수송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기층(175) 상에는 캐소드 전극(180)이 배치될 수 있다. 캐소드 전극(180)은 화소의 구별없이 전면적으로 배치된 공통 전극일 수 있다. 애노드 전극(170), 유기층(175) 및 캐소드 전극(180)은 각각 유기 발광 소자를 구성할 수 있다.
캐소드 전극(180)은 유기층(175)과 접할 뿐만 아니라, 화소 정의막(126)의 상면에도 접할 수 있다. 캐소드 전극(180)은 하부 구조물의 단차를 반영하도록 하부 구조물에 대해 컨포말하게 형성될 수 있다.
캐소드 전극(180)은 Li, Ca, LiF/Ca, LiF/Al, Al, Mg, Ag, Pt, Pd, Ni, Au Nd, Ir, Cr, BaF, Ba 또는 이들의 화합물이나 혼합물(예를 들어, Ag와 Mg의 혼합물 등)과 같은 일함수가 작은 물질층을 포함할 수 있다. 캐소드 전극(180)은 상기 일함수가 작은 물질층 상에 배치된 투명 금속 산화물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캐소드 전극(180) 상부에는 제1 무기막(191), 유기막(192) 및 제2 무기막(193)을 포함하는 박막 봉지층(190)이 배치된다. 제1 무기막(191) 및 제2 무기막(193)은 각각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막(192)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190) 상부에는 터치층(TSL)이 배치되며, 베이스층(205), 제1 터치 절연층(215), 제2 터치 도전층(220), 및 제2 터치 절연층(230)이 순차 배치될 수 있으며, 각 층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2 터치 도전층(220)은 화소 정의막(126)과 중첩 배치되고, 비발광 영역(NEM)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터치 도전층(220)은 센서부의 메쉬형 패턴을 구성하며, 발광 영역(EMA)과 중첩하지 않기 때문에 발광을 방해하지 않고,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터치 절연층(230) 상에는 반사 방지층(RPL)이 배치되며, 반사 방지층(RPL) 상에는 보호층(WDL)이 배치된다. 반사 방지층(RPL)과 보호층(WDL) 사이에는 접착층(OC)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접착층(OC)에 의해 반사 방지층(RPL)과 보호층(WDL)이 접착될 수 있다. 접착층(OC)은 광학적으로 투명할 수 있다. 접착층(OC)은 예를 들어, OCA(optically clear adhesive) 필름 또는 OCR(optically clear resin) 같은 투명 접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 방지층(RPL)이 편광 필름의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저 굴절막(LR), 반사 방지층(RPL) 및 접착층(OC)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굴절률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구성의 경계에서 굴절이나 전반사 등이 억제 또는 방지될 수 있어, 출광 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외광 반사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하며,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부재의 평면도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층(TSL_1)에서, 제1 연결부(CP1_1)의 제2 연결 영역(CA2_1)은 연장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일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9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제2 대각선 방향(제5 방향(DR5))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 영역(CA2_1)은 제1 대각선 방향(제4 방향(DR4)) 일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가 원활히 패터닝되어 분리 이격될 수 있고,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는 전기적으로 원활하게 절연될 수 있다. 아울러, 각 발광 영역(EMA, 도 7 참조)의 사이 간격이 상이하더라도, 제2 연결 영역(CA2_1)의 형상을 다양하게 적용하여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를 원활히 패터닝할 수 있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부재의 평면도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층(TSL_2)의 제1 연결부(CP1_2)의 제2 연결 영역(CA2_2)은 서로 다른 폭을 갖는 제1 서브 연결 영역(CA21) 및 제2 서브 연결 영역(CA22)을 포함하다는 점에서 도 9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제1 서브 연결 영역(CA21)은 제2 폭(WTH2)을 포함하고, 제2 서브 연결 영역(CA22)은 제5 폭(WHT5)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폭(WHT5)은 제2 폭(WTH2)보다 작고, 제1 센서부(SP1)의 제4 폭(WHT4)보다 클 수 있다. 제2 서브 연결 영역(CA22)은 제1 서브 연결 영역(CA21)과 제1 연결 영역(CA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가 원활히 패터닝되어 분리 이격될 수 있고,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는 전기적으로 원활하게 절연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연결 영역(CA2_2)의 형상을 다양하게 적용하여,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를 원활히 패터닝할 수 있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부재의 평면도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층(TSL_3)의 제1 센서부(SP1)의 제1 돌출부(PT1_3) 및 제2 센서부(SP2)의 제2 돌출부(PT2_3)는 제1 연결부(CP1)의 제2 연결 영역(CA2)을 향할수록 폭이 감소한다는 점에서 도 9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다시 말해서, 서로 대향하는 터치층(TSL_3)의 제1 센서부(SP1)의 제1 돌출부(PT1_3) 및 제2 센서부(SP2)의 제2 돌출부(PT2_3)에서, 제1 센서부(SP1)의 제1 돌출부(PT1_3)는 제2 센서부(SP2)의 제2 돌출부(PT2_3)를 향할수록 폭이 감소하며, 제2 센서부(SP2)의 제2 돌출부(PT2_3)는 제1 센서부(SP1)의 제1 돌출부(PT1_3)를 향할수록 폭이 감소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호 대향하는 제1 돌출부(PT1_3)와 제2 돌출부(PT2_3)가 서로를 향할수록 폭이 감소하는 경우, 제1 연결부(CP1)는 제2 연결 영역(CA2)을 포함하지 않고, 전 영역에 걸쳐 제1 연결 영역(CA1)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가 원활히 패터닝되어 분리 이격될 수 있고,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는 전기적으로 원활하게 절연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연결부(CP1)의 제2 연결 영역(CA2)을 향할수록 제1 센서부(SP1)의 제1 돌출부(PT1_3) 및 제2 센서부(SP2)의 제2 돌출부(PT2_3)의 폭이 감소함에 따라,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는 보다 원활히 패터닝될 수 있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부재의 평면도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층(TSL_4)의 제1 연결부(CP1_4)는 전 영역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9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제1 연결부(CP1_4)는 전 영역에서 제2 폭(WHT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2 폭(WHT2)은 상술한 도 9의 제1 연결부(CP1)의 제2 연결 영역(CA2)의 제2 폭(WTH2)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가 원활히 패터닝되어 분리 이격될 수 있고,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는 전기적으로 원활하게 절연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연결부(CP1_4)의 형상을 다양하게 적용하여,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를 원활히 패터닝할 수 있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부재의 평면도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층(TSL_5)의 제1 연결부(CP1_5)의 제2 연결 영역(CA2_5)의 연장 길이(LTH)는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 사이의 이격 거리(GP)보다 작을 수 있다는 점에서 도 9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 경우, 제1 연결부(CP1_5)의 제2 연결 영역(CA2_5)은 제1 센서부(SP1) 및 제2 감지부(PS2)와 비중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가 원활히 패터닝되어 분리 이격될 수 있고,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는 전기적으로 원활하게 절연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연결부(CP1_5)의 형상을 다양하게 적용하여,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를 보다 원활히 패터닝할 수 있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부재의 평면도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층(TSL_6)은 제1 터치 더미 패턴(DP1) 및 제2 터치 더미 패턴(DP2)을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7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제1 터치 더미 패턴(DP1) 및 제2 터치 더미 패턴(DP2)은 제1 센서부(SP1) 및 제2 센서부(SP2)와 분리 이격되고, 섬(island)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치 더미 패턴(DP1) 및 제2 터치 더미 패턴(DP2)은 제1 센서부(SP1) 및 제2 센서부(SP2)와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제1 터치 더미 패턴(DP1)은 제1 센서부(SP1)에 의해 둘러싸이며, 제2 터치 더미 패턴(DP2)은 제2 센서부(SP2)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터치 더미 패턴(DP1) 및 제2 터치 더미 패턴(DP2)은 제2 터치 도전층(220, 도 6 참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터치 더미 패턴(DP1) 및 제2 터치 더미 패턴(DP2)은 제1 연결부(CP1)와 중첩할 수 있다. 아울러, 도시하진 않았으나, 제1 연결부(CP1)의 제2 연결 영역(CA2)은 제1 터치 더미 패턴(DP1) 및 제2 터치 더미 패턴(DP2)의 일측 및/또는 타측 끝단 주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가 원활히 패터닝되어 분리 이격될 수 있고,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는 전기적으로 원활하게 절연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연결부(CP1)와 중첩하는 부분(제1 터치 더미 패턴(DP1) 및 제2 터치 더미 패턴(DP2))을 제1 센서부(SP1)와 제2 센서부(SP2)와 전기적으로 절연시킴으로써, 상호간 간섭에 의한 불량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표시 장치
10: 표시 패널
SUB: 기판 DRL: 회로 구동층
EML: 발광층 ENL: 봉지층
TSL: 터치층 RPL: 반사 방지층
CP1: 제1 연결부 CA1: 제1 연결 영역
CA2: 제2 연결 영역 CP2: 제2 연결부
SP1: 제1 센서부 SP2: 제2 센서부
DP: 터치 더미 패턴 WDL: 보호층
SUB: 기판 DRL: 회로 구동층
EML: 발광층 ENL: 봉지층
TSL: 터치층 RPL: 반사 방지층
CP1: 제1 연결부 CA1: 제1 연결 영역
CA2: 제2 연결 영역 CP2: 제2 연결부
SP1: 제1 센서부 SP2: 제2 센서부
DP: 터치 더미 패턴 WDL: 보호층
Claims (20)
-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며, 제1 터치 도전층, 제2 터치 도전층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터치 도전층과 상기 제2 터치 도전층 사이에 개재되는 제1 터치 절연막을 포함하는 터치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터치 도전층은 제1 연결 영역 및 상기 제1 연결 영역보다 선폭이 큰 제2 연결 영역을 포함하는 제1 터치 연결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터치 도전층은 제1 터치 연결 패턴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1 터치 센서 패턴, 상기 복수의 제1 터치 센서 패턴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복수의 제2 터치 센서 패턴, 및 상기 복수의 제2 터치 센서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터치 연결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터치 연결 패턴의 상기 제2 연결 영역은 평면상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1 터치 센서 패턴과 상기 제2 터치 센서 패턴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영역의 선폭은 제1 폭을 가지며, 상기 제2 연결 영역의 선폭은 제2 폭을 갖고,
상기 제2 폭은 상기 제1 폭의 1.1배 내지 10배의 범위 내에 있는 표시 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폭은 1.0㎛ 내지 5.0㎛의 범위 내에 있고, 상기 제2 폭은 2.0㎛ 내지 10.0㎛의 범위 내에 있는 표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센서 패턴, 상기 제2 터치 센서 패턴 및 상기 제2 터치 연결 패턴은 메쉬(mesh) 패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4 항에 있어서,
빛을 방출하는 복수의 발광 영역 및 상기 복수의 발광 영역을 둘러싸는 비발광 영역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터치 연결 패턴, 상기 제1 터치 센서 패턴, 상기 제2 터치 센서 패턴 및 상기 제2 터치 연결 패턴은 상기 비발광 영역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영역은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방출하며, 서로 인접하는 제1 발광 영역 및 제2 발광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발광 영역과 상기 제2 발광 영역 사이에 배치된 상기 비발광 영역의 폭은 상기 제2 연결 영역의 선폭보다 큰 표시 장치.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센서 패턴의 선폭 및 상기 제2 터치 센서 패턴의 선폭은 상기 제1 터치 연결 패턴의 상기 제2 연결 영역의 선폭보다 작은 표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센서 패턴은 제1 기저부 및 상기 제1 기저부로부터 상기 제2 터치 센서 패턴을 향해 돌출된 제1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터치 센서 패턴은 제2 기저부 및 상기 제2 기저부로부터 상기 제1 터치 센서 패턴을 향해 돌출된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는 평면상 상호 대향하는 표시 장치.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연결 패턴의 상기 제2 연결 영역은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가 평면상 상호 대향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는 서로를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는 표시 장치.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가 이격된 이격 거리는 상기 제1 터치 연결 패턴의 상기 제2 연결 영역의 연장 길이보다 크고,
상기 제1 터치 연결 패턴의 상기 제2 연결 영역의 전 영역은 상기 제1 터치 센서 패턴 및 상기 제2 터치 센서 패턴과 비중첩하는 표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터치 센서 패턴과 상기 제2 터치 연결 패턴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 터치 센서 패턴은 상기 제2 터치 연결 패턴을 사이에 두고 상호 전기적으로 분리 이격되고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표시 장치. -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터치 센서 패턴은 제1 방향을 따라 나열되며, 상기 복수의 제2 터치 센서 패턴은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나열되는 표시 장치.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터치 센서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터치 구동 배선 및 상기 복수의 제2 터치 센서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터치 센싱 배선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 빛을 방출하는 복수의 발광 영역 및 상기 복수의 발광 영역을 둘러싸는 비발광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며, 제1 터치 센서 패턴, 상기 제1 터치 센서 패턴과 분리 이격되어 상기 제1 터치 센서 패턴과 대향하는 제2 터치 센서 패턴, 및 적어도 일부가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1 터치 센서 패턴과 상기 제2 터치 센서 패턴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터치 연결 패턴을 포함하는 터치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터치 센서 패턴, 상기 제2 터치 센서 패턴 및 상기 제1 터치 연결 패턴은 상기 비발광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터치 연결 패턴의 폭은 상기 제1 터치 센서 패턴의 폭 및 상기 제2 터치 센서 패턴의 폭보다 크고, 서로 인접하는 상기 복수의 발광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비발광 영역의 폭보다 작은 표시 장치. -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센서 패턴 및 상기 제2 터치 센서 패턴은 메쉬 형상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연결 패턴은 제1 터치 도전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터치 센서 패턴 및 상기 제2 터치 센서 패턴은 상기 제1 터치 도전층과 상이한 제2 터치 도전층으로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 -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도전층은 제2 터치 연결 패턴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터치 센서 패턴 및 상기 제2 터치 센서 패턴을 각각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제1 터치 센서 패턴은 상기 제1 터치 연결 패턴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제2 터치 센서 패턴은 상기 제2 터치 연결 패턴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표시 장치. -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연결 패턴은 제1 연결 영역 및 상기 제1 연결 영역보다 선폭이 큰 제2 연결 영역을 포함하는 제1 터치 연결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영역은 상기 제1 터치 센서 패턴 및 상기 제2 터치 센서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중첩하고, 평면상 상기 제2 연결 영역은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1 터치 센서 패턴과 상기 제2 터치 센서 패턴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영역의 선폭은 상기 제1 연결 영역의 선폭의 1.1배 내지 10배의 범위 내에 있는 표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5333A KR20220103234A (ko) | 2021-01-14 | 2021-01-14 | 표시 장치 |
US17/476,868 US11605679B2 (en) | 2021-01-14 | 2021-09-16 | Display device |
CN202210030894.3A CN114764280A (zh) | 2021-01-14 | 2022-01-12 | 显示装置 |
CN202220076819.6U CN217008084U (zh) | 2021-01-14 | 2022-01-12 | 显示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5333A KR20220103234A (ko) | 2021-01-14 | 2021-01-14 | 표시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03234A true KR20220103234A (ko) | 2022-07-22 |
Family
ID=82322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05333A Pending KR20220103234A (ko) | 2021-01-14 | 2021-01-14 | 표시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1605679B2 (ko) |
KR (1) | KR20220103234A (ko) |
CN (2) | CN114764280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00485A (ko) * | 2021-12-28 | 2023-07-05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US20240284749A1 (en) * | 2023-02-20 | 2024-08-22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KR20240167553A (ko) * | 2023-05-19 | 2024-11-2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200842681A (en) * | 2007-04-27 | 2008-11-01 | Tpk Touch Solutions Inc | Touch pattern structure of a capacitive touch panel |
TWI427520B (zh) * | 2009-12-10 | 2014-02-21 | Au Optronics Corp | 觸控顯示面板以及觸控基板 |
TWI502445B (zh) * | 2014-06-11 | 2015-10-01 | Innolux Corp | 觸控顯示裝置及觸控基板 |
KR101913395B1 (ko) * | 2016-07-29 | 2018-10-3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장치 |
KR102715634B1 (ko) | 2018-10-18 | 2024-10-1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JP7221058B2 (ja) | 2019-01-11 | 2023-02-13 |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 表示装置 |
KR102777207B1 (ko) | 2019-07-02 | 2025-03-1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입력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2021
- 2021-01-14 KR KR1020210005333A patent/KR20220103234A/ko active Pending
- 2021-09-16 US US17/476,868 patent/US11605679B2/en active Active
-
2022
- 2022-01-12 CN CN202210030894.3A patent/CN114764280A/zh active Pending
- 2022-01-12 CN CN202220076819.6U patent/CN217008084U/zh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1605679B2 (en) | 2023-03-14 |
CN217008084U (zh) | 2022-07-19 |
US20220223656A1 (en) | 2022-07-14 |
CN114764280A (zh) | 2022-07-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8073323B (zh) | 显示装置 | |
KR102709634B1 (ko) | 표시 장치 | |
CN217008084U (zh) | 显示装置 | |
US11093065B2 (en) | Display device | |
KR102673524B1 (ko) | 전자 장치 | |
KR20220012455A (ko) | 표시 장치 | |
WO2022156341A1 (zh) | 触控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触控装置 | |
KR20200060601A (ko) | 입력감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
US20250098408A1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 |
KR20210081701A (ko) | 터치 스크린 일체형 발광 표시 장치 | |
KR20210130896A (ko) | 표시 장치 | |
KR20220058720A (ko) | 표시 장치 | |
CN217334096U (zh) | 显示装置 | |
US11880520B2 (en) | Display device | |
KR20220136547A (ko) | 표시 장치 | |
KR20240026366A (ko) | 표시 장치 | |
US11995281B2 (en) | Display device | |
KR102725871B1 (ko) | 표시장치 | |
KR20230089604A (ko) | 표시 장치 | |
KR20220170389A (ko) | 표시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1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311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101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