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101841A - 하지정맥류 수술 스트리퍼 - Google Patents

하지정맥류 수술 스트리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1841A
KR20220101841A KR1020210003821A KR20210003821A KR20220101841A KR 20220101841 A KR20220101841 A KR 20220101841A KR 1020210003821 A KR1020210003821 A KR 1020210003821A KR 20210003821 A KR20210003821 A KR 20210003821A KR 20220101841 A KR20220101841 A KR 20220101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vein
outer diameter
stripper
wire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3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6702B1 (ko
Inventor
이채영
이승준
Original Assignee
이채영
이승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채영, 이승준 filed Critical 이채영
Priority to KR1020210003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702B1/ko
Publication of KR20220101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1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70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0008Vein tendon strip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for invasive removal or destruction of calculu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0008Vein tendon strippers
    • A61B2017/00013Cables with a stripper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78Operations on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for invasive removal or destruction of calculu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97Valve removal in ve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2017/320004Surgical cutting instruments abrasive
    • A61B2017/320008Scrap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heumat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하지정맥류 수술 스트리퍼는 제1 와이어부와, 제2 와이어부, 및 결착 헤드부를 포함한다. 제2 와이어부는 제1 와이어부의 한쪽 단으로부터 연장되되, 연장된 단의 외경이 제1 와이어부의 한쪽 단에 연결된 단의 외경보다 작다. 결착 헤드부는 제2 와이어부의 연장 단보다 큰 외경을 갖고 제2 와이어부의 연장 단으로부터 단차져 연장된다.

Description

하지정맥류 수술 스트리퍼{Varicose veins surgery stripper}
본 발명은 하지정맥류 증상을 보이는 정맥을 발거하는 수술에 사용되는 스트리퍼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하지정맥류는 다리에 있는 표재정맥(겉정맥)이 늘어나서 밖으로 드러나 보이는 것으로, 병이 진행될수록 판막 부전이 진행되므로 만성 정맥부전증이 발생하게 되어 악순환을 반복하게 된다. 만성 정맥부전증은 만성적으로 하지의 부종, 하지피부의 섬유화, 하지 정맥성궤양 등의 합병증을 동반하므로 빠른 치료가 요구된다.
그리고, 하지정맥류 치료 방법에는 의료용 압박 스타킹을 착용하는 방법, 혈관 경화제를 주사하여 혈관을 퇴화시키는 혈관 경화 요법, 혈관 내로 고주파 기구를 삽입하고 그 기구에 열을 가하여 혈관을 손상시키는 고주파열 폐쇄술, 혈관 내로 레이저 기구를 넣어 레이저 광선으로 혈관을 손상시키는 레이저 치료법, 수술을 통해 직접 정맥을 제거하는 정맥 발거술(vein stripping) 등이 있다.
일반적인 정맥 발거술은 피부 절개에 의해 병변이 있는 정맥 안으로 기다란 와이어 형태의 스트리퍼를 밀어 넣은 후 정맥 밖으로 빼내고, 정맥의 한쪽 단을 스트리퍼에 고정한 후 정맥의 다른쪽 단 쪽으로 잡아당겨 몸 밖으로 정맥을 발거한다.
그런데, 기존의 스트리퍼는 정맥의 한쪽 단에 꿰어진 실을 한쪽 구멍에 통과시켜 정맥을 고정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로 인해 정맥을 발거하는 과정에서 실이 끊어지거나 정맥이 찢어지는 문제점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정맥을 발거하는 과정에서 실이 끊어지거나 정맥이 찢어지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하지정맥류 수술 스트리퍼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지정맥류 수술 스트리퍼는 제1 와이어부와, 제2 와이어부, 및 결착 헤드부를 포함한다. 제2 와이어부는 제1 와이어부의 한쪽 단으로부터 연장되되, 연장된 단의 외경이 제1 와이어부의 한쪽 단에 연결된 단의 외경보다 작다. 결착 헤드부는 제2 와이어부의 연장 단보다 큰 외경을 갖고 제2 와이어부의 연장 단으로부터 단차져 연장된다.
여기서, 하지정맥류 수술 스트리퍼는 제1 와이어부의 다른 쪽 단 외경보다 작은 두께를 갖고 제1 와이어부의 다른 쪽 단으로부터 제1 와이어부와 설정 둔각을 이루게 구부러져 연장된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와이어부는 10~15㎝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지정맥류 수술 스트리퍼에 의해 정맥을 견고하게 결착한 상태로 정맥을 발거하여, 실이 끊어지거나 정맥이 찢어지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정맥에 대한 하지정맥류 수술 스트리퍼의 초기 관통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지정맥류 수술 스트리퍼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삽입부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삽입부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4는 하지정맥류 수술 스트리퍼의 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지정맥류 수술 스트리퍼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삽입부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삽입부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지정맥류 수술 스트리퍼(100)는 제1 와이어부(110)와, 제2 와이어부(120), 및 결착 헤드부(130)를 포함한다.
제1 와이어부(110)는 일정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와이어부(110)는 원형 단면적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외경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와이어부(110)는 삽입부(140)와 연결되는 단으로부터 설정 구간이 삽입부(140)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게 테이퍼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 와이어부(110)는 인체에 무해한 스테인리스강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와이어부(110)는 외경이 작아질수록 정맥 내의 이동시 형태를 유지하기 어려워지고, 외경이 커질수록 정맥 내의 이동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제1 와이어부(110)는 2.0~2.5㎜의 외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발거되는 정맥의 길이는 최장 30㎝ 정도이므로, 하지정맥류 수술 스트리퍼(100)의 전체 길이는 대략 45㎝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와이어부(110)는 25~35㎝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2 와이어부(120)는 제1 와이어부(110)의 한쪽 단으로부터 연장되되, 연장된 단의 외경이 제1 와이어부(110)의 한쪽 단에 연결된 단의 외경보다 작다. 따라서, 제2 와이어부(120)는 결착 헤드부(130)의 외경을 최소화하면서도 결착 헤드부(130)와 연결된 부위에 단차 부위(S)를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제2 와이어부(120)는 제1 와이어부(110)로부터 결착 헤드부(130)로부터 갈수록 점진적으로 외경이 작아져 테이퍼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혹은, 제2 와이어부(120)는 제1 와이어부(110)로부터 결착 헤드부(130)로부터 갈수록 점진적으로 외경이 작아진 후 일정 외경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2 와이어부(120)는 결착 헤드부(130)와 단차진 부위(S)에 정맥의 한쪽 단과 실로 결착된 상태로 정맥 내로 삽입되어 정맥의 다른 쪽 단으로 잡아당겨짐에 따라 정맥을 몸 밖으로 발거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제2 와이어부(120)는 길이가 짧아질수록 결착된 실과 함께 정맥 내로 초기 삽입이 원활하지 않게 되고, 길이가 길어질수록 정맥 삽입시 형태 유지를 유지하기 어렵다. 따라서, 제2 와이어부(120)는 10~15㎝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2 와이어부(120)는 제1 와이어부(110)와 동일 재질로 일체화되어 연결될 수 있다.
결착 헤드부(130)는 제2 와이어부(120)의 연장 단보다 큰 외경을 갖고 제2 와이어부(120)의 연장 단으로부터 단차져 연장된다. 결착 헤드부(130)는 제2 와이어부(120)와 연결된 부위에 단차를 형성하여, 단차 부위(S)에 정맥의 한쪽 단과 실로 견고하게 결착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기존의 스트리퍼가 정맥의 한쪽 단에 꿰어진 실을 한쪽 구멍에 통과시켜 정맥을 고정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 경우보다, 정맥을 더욱 견고하게 결착할 수 있으므로, 정맥을 발거하는 과정에서 실이 끊어지거나 정맥이 찢어지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결착 헤드부(130)는 제2 와이어부(120)와 단차진 부위(S)의 외경 차이가 작을수록 결착력이 작아지고, 제2 와이어부(120)와 단차진 부위(S)의 외경 차이가 클수록 제2 와이어부(120)의 형태 유지력이 작아질 수 있다. 결착 헤드부(130)는 제2 와이어부(120)와 단차진 부위(S)의 외경 차이가 0.8~1㎜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착 헤드부(130)는 원형 단면적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외경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착 헤드부(130)는 제1 와이어부(11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정맥 내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범주에서 제1 와이어부(11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질 수 있다.
결착 헤드부(130)는 제2 와이어부(120)와 동일 재질로 일체화되게 연결될 수 있다. 결착 헤드부(130)는 제2 와이어부(120)와 동일 재질로 별개의 부재로 제조되어 제2 와이어부(120)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결착 헤드부(130)는 0.8~1.2㎝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결착 헤드부(130)는 제2 와이어부(120)와 연결된 단이 주변을 따라 라운딩 처리되고, 연장된 단이 돔 형태로 곡면지게 형성됨으로써, 정맥 내의 이동시 정맥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 양상으로, 하지정맥류 수술 스트리퍼(100)는 삽입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140)는 제1 와이어부(110)의 다른 쪽 단 외경보다 작은 두께를 갖고 제1 와이어부(110)의 다른 쪽 단으로부터 제1 와이어부(110)와 설정 둔각을 이루게 구부러져 연장된다. 삽입부(140)는 제1 와이어부(110)의 다른 쪽 단 외경 크기의 절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삽입부(140)는 정맥의 한쪽 절개 단으로 삽입되어 정맥의 내벽을 따라 이동한 후 정맥의 다른 쪽 절개 단으로부터 인출되는 과정들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정맥에 대한 하지정맥류 수술 스트리퍼(100)의 초기 관통 작업을 편리하게 한다.
삽입부(140)는 제1 와이어부(110)와 이루는 각도(θ)가 작고 길수록 정맥 내의 이동이 어렵고, 제1 와이어부(110)와 이루는 각도(θ)가 크고 짧을수록 전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어렵다. 따라서, 삽입부(140)는 제1 와이어부(110)와 150~160의 각도를 이루게 구부러지고, 2~4㎝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삽입부(140)는 제1 와이어부(110)와 동일 재질로 일체화되게 연결될 수 있다. 삽입부(14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와이어부(110)의 다른 쪽 단 외경보다 넓게 연장될 수 있다. 물론, 삽입부(140)는 제1 와이어부(110)의 다른 쪽 단 외경과 동일하거나, 1 와이어부(110)의 다른 쪽 단 외경보다 좁게 연장될 수도 있다. 삽입부(140)는 연장된 단이 볼록한 곡면을 이룸으로써, 정맥 내로 이동시 정맥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하지정맥류 수술 스트리퍼(100)의 작용 예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자는 피부 절개에 의해 노출된 정맥(10)의 한쪽 단을 통해 삽입부(140)를 삽입한 후, 제1 와이어부(110)를 정맥(10)의 다른 쪽 단으로 밀어 넣는다. 이때, 삽입부(140)는 제1 와이어부(110)에 대해 구부러져 있으므로, 정맥(10)의 한쪽 단을 통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고, 정맥(10)의 내벽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이어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140)가 피부 절개에 의해 노출된 정맥(10)의 다른 쪽 단에 도달하면, 시술자는 삽입부(140)를 정맥(10)의 다른 쪽 단을 통해 인출시킨다. 이때, 삽입부(140)는 제1 와이어부(110)에 대해 구부러져 있으므로, 정맥(10)의 다른 쪽 단을 통해 용이하게 몸 밖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이어서,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와이어부(110)가 몸 밖으로 일부 빠져 나와 결착 헤드부(130)가 정맥(10)의 한쪽 단에 위치하게 되면, 시술자는 결착 헤드부(130)와 제2 와이어부(120)의 단차 부위에 정맥(10)의 한쪽 단과 실(20)로 결착한다. 이때, 정맥(10)의 한쪽 단은 결착 헤드부(130)와 제2 와이어부(120)의 단차 부위에 실(20)로 견고하게 묶어져 고정될 수 있다.
이어서,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자가 제1 와이어부(110)의 인출 부위를 잡아당기면, 정맥(10)의 한쪽 단은 결착 헤드부(130)와 제2 와이어부(120)의 단차 부위에 실(20)로 결착된 상태로 정맥(10) 내로 말려들어간다. 그에 따라, 정맥(10)은 주변 생체 조직으로부터 발거되기 시작한다.
이어서, 도 4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자가 결착 헤드부(130)를 정맥(10)의 다른 쪽 단을 통해 몸 밖으로 인출시킨 후 계속해서 잡아당기게 되면, 정맥(10)을 완전히 발거해서 몸 밖으로 완전히 빼내어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제1 와이어부
120..제2 와이어부
130..결착 헤드부
140..삽입부

Claims (3)

  1. 제1 와이어부;
    상기 제1 와이어부의 한쪽 단으로부터 연장되되, 연장된 단의 외경이 상기 제1 와이어부의 한쪽 단에 연결된 단의 외경보다 작은 제2 와이어부; 및
    상기 제2 와이어부의 연장 단보다 큰 외경을 갖고 상기 제2 와이어부의 연장 단으로부터 단차져 연장된 결착 헤드부;
    를 포함하는 하지정맥류 수술 스트리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부의 다른 쪽 단 외경보다 작은 두께를 갖고 상기 제1 와이어부의 다른 쪽 단으로부터 상기 제1 와이어부와 설정 둔각을 이루게 구부러져 연장된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정맥류 수술 스트리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와이어부는 10~15㎝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정맥류 수술 스트리퍼.
KR1020210003821A 2021-01-12 2021-01-12 하지정맥류 수술 스트리퍼 Active KR102536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821A KR102536702B1 (ko) 2021-01-12 2021-01-12 하지정맥류 수술 스트리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821A KR102536702B1 (ko) 2021-01-12 2021-01-12 하지정맥류 수술 스트리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841A true KR20220101841A (ko) 2022-07-19
KR102536702B1 KR102536702B1 (ko) 2023-05-30

Family

ID=82607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3821A Active KR102536702B1 (ko) 2021-01-12 2021-01-12 하지정맥류 수술 스트리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67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1497A (ko) 2022-09-23 2024-04-01 나재웅 하지정맥류 수술용 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1755A (ja) * 2001-03-28 2002-10-08 Jms Co Ltd 静脈瘤抜去用ワイヤー、および該ワイヤーを有して構成される静脈瘤抜去用治療具
US20060009794A1 (en) * 2002-09-09 2006-01-12 Acp Japan Co., Ltd. Stripping wire and stripping catheter for evulsing vein
KR20140049594A (ko) * 2011-08-18 2014-04-25 스펙트라 메디컬 디바이시스, 인크. 고주파 니들용 삽입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1755A (ja) * 2001-03-28 2002-10-08 Jms Co Ltd 静脈瘤抜去用ワイヤー、および該ワイヤーを有して構成される静脈瘤抜去用治療具
US20060009794A1 (en) * 2002-09-09 2006-01-12 Acp Japan Co., Ltd. Stripping wire and stripping catheter for evulsing vein
KR20140049594A (ko) * 2011-08-18 2014-04-25 스펙트라 메디컬 디바이시스, 인크. 고주파 니들용 삽입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1497A (ko) 2022-09-23 2024-04-01 나재웅 하지정맥류 수술용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6702B1 (ko) 2023-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6935B2 (en) Method and device for vein ablation
US7029488B2 (en) Mechanical thrombectomy device for use in cerebral vessels
JP6035244B2 (ja) 血管処置装置および方法
CA2846229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mage and removal of fat
EP2544603B1 (en) Obstruction removal assembly
US20040087967A1 (en) Device and method for withdrawing a tubular body part
JP2577842B2 (ja) トラッキングガイドワイヤ
US10039569B2 (en) Stabilization device assisted lead tip removal
US2788787A (en) Surgical instrument for extirpation of varicose veins
JP2009518117A (ja) 可撓性の針
KR20200043134A (ko) 의료용 실
JPWO2006057402A1 (ja) 血管内障害物の剥離具
KR102536702B1 (ko) 하지정맥류 수술 스트리퍼
CA2566490A1 (en)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varicose veins
JP4978624B2 (ja) 静脈瘤治療具
US7011648B2 (en) Device for implanting catheters
JPWO2003000143A1 (ja) 大伏在静脈瘤治療用器具
EP4005609B1 (en) Biliary drainage device for negative-pressure retrograde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KR102541457B1 (ko) 3d 올가미 형태의 혈전 제거용 기구
CN206151568U (zh) 下肢静脉曲张电凝针
CN221105974U (zh) 一种基于超声引导的肺组织分离器械
WO2024056867A1 (en) Apparatus for tissue puncture during pericardiocentesis
KR101029149B1 (ko) 의료용 삽입물 펼침기구 및 의료용 삽입물 펼침유니트
SU1200904A1 (ru) ЗОНД НАМАШКО М. В. для удаления подкожных вен. (57) Зонд для удаления подкожных вен
JP2559042B2 (ja) 食道静脈瘤治療用チュ−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5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5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