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1521A - Impeller for waste packing material disassembly device - Google Patents
Impeller for waste packing material disassembly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01521A KR20220101521A KR1020210003638A KR20210003638A KR20220101521A KR 20220101521 A KR20220101521 A KR 20220101521A KR 1020210003638 A KR1020210003638 A KR 1020210003638A KR 20210003638 A KR20210003638 A KR 20210003638A KR 20220101521 A KR20220101521 A KR 202201015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ckaging material
- hollow part
- waste packaging
- impeller
- screw convey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title abstract 2
- 239000005022 packag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7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0197 pyrolysi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979 thermal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945 emuls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81 Cu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1143 Hypox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750 UV prote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19 ag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5 emulsify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20 food preser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08 fractional disti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46 hyp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68 load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4 vap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6 vapo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08—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Disclosure)은, 폐 포장재 분해장치용 임펠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열분해 챔버의 바닥에 분포하는 폐 포장재 및 용융수지를 가열구간 측으로 이송시킴과 동시에 열분해 챔버의 바닥에 분포하는 폐 포장재 및 용융수지가 리본 스크류 컨베이어를 따라 가열구간 측으로 이송될 수 있게 하는 폐 포장재 분해장치용 임펠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ure) relates to an impeller for a waste packaging material decompos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he waste packaging material and molten resin distributed on the bottom of the pyrolysis chamber are transferred to the heating section, and the waste packaging material distributed on the floor of the pyrolysis chamber and It relates to an impeller for a waste packaging material decomposing device that enables molten resin to be transferred to a heating section along a ribbon screw conveyor.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Herein,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hich does not necessarily imply prior art. (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에너지 및 자원의 고갈로 인하여 자원 회수 방법에 대한 다양한 연구 및 이를 위한 설비의 생산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일상 생활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포장재 등으로부터 사용된 자원을 회수하기 위한 여러가지 연구가 진행되는데, 알루미늄 회수에 대한 연구도 그중 하나이다.Due to the depletion of energy and resources, various studies on resource recovery methods and production of facilities for the same are being actively performed. In particular,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recover used resources from packaging materials used in various ways in daily life, and a study on aluminum recovery is one of them.
알루미늄의 경우 식품을 보존력이 우수하여 안전한 위생 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포장재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포장재에 사용되는 알루미늄의 경우, 종이 및/또는 합성수지(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등과 함께 또는 단일재로서의 박막형 호일 타입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In the case of aluminum, it is widely used in packaging materials in that it can maintain a safe and hygienic state for a long period of time due to its excellent preserving power. In the case of aluminum used for packaging, it is mostly used as a thin film type foil as a single material or together with paper and/or synthetic resins (polyester, polystyrene, polypropylene).
이와같은 포장재에 사용되는 알루미늄은 공기 중 산소 투과를 방지하고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하다는 점에서 식품의 보전에 특히 적합하다.Aluminum used in such a packaging material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food preservation in that it prevents oxygen permeation in the air and has an excellent UV protection effect.
한편, 전술한 폐 포장재를 소각하거나 매립하지 않고 재활용하는 방안으로 폐 포장재를 열분해하여 알루미늄과 유용한 오일을 추출하는 열분해 유화(油化) 방법 및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 pyrolysis emuls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aluminum and useful oil by thermally decomposing the waste packaging material as a method of recycling the above-described waste packaging material without incineration or landfill is widely used.
전술한 유화(油化) 공정은 누구나 알 수 있듯이, 폐 포장재를 300℃~600℃로 가열, 분해시켜 가스 상태의 유류성분을 얻는 열분해 공정과, 가스 상태의 유류성분을 액화, 분리하는 분별증류 공정으로 나눌 수 있다. As anyone can see in the above-mentioned emulsification process, the pyrolysis process to obtain gaseous oil components by heating and decomposing the waste packaging material at 300°C to 600°C, and fractional distillation to liquefy and separate gaseous oil components process can be divided into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수집된 폐 포장재를 적정 크기로 절단 또는 파쇄한 후, 폐 포장재를 분해로의 투입구로 장입시킨다. 이때 폐 포장재는 통상 200℃~250℃로 예열되어 거의 용융상태로 분해로에 장입되거나 절단 및 분쇄된 상태로 장입된다. 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first, the collected waste packaging material is cut or crushed to an appropriate size, and then the waste packaging material is charged into the inlet of the decomposition furnace. At this time, the waste packaging material is usually preheated to 200°C to 250°C and charged into the decomposition furnace in an almost molten state or in a cut and pulverized state.
분해로에 장입된 폐 포장재는 스크류 컨베이어에 의해 분해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가열수단에 의해 300℃~600℃로 가열되는데, 이에 의해 폐 포장재의 합성수지는 유류(오일) 성분으로 분해되어 기화되고, 알루미늄 미분해 잔재(ash)로 배출된다. The waste packaging material loaded into the decomposition furnace is heated to 300°C~600°C by a heating means while moving along the decomposition furnace by a screw conveyor, whereby the synthetic resin of the waste packaging material is decomposed into oil (oil) components and vaporized, and aluminum It is released as undecomposed ash.
그리고 분해로에서 분해, 생성된 유류 성분은 가스 상태로 가스배출구를 통해 응축기에 도입되어 액화, 분리된 후 후처리과정을 거쳐 저장설비에 이송되어 저장된다.And the oil component decomposed and generated in the decomposition furnace is introduced into the condenser through the gas outlet in a gaseous state, liquefied, separated, and then transferred to a storage facility through a post-treatment process and stored.
그런데, 종래 폐합성수지 유화장치의 분해로에 구비된 스크류 컨베이어는 분해로의 바닥 측에 분포된 폐 포장재 및 용융수지를 가열구간 측으로 이송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screw conveyor provided in the decomposition furnace of the conventional waste synthetic resin emulsifier ha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transfer the waste packaging material and the molten resin distributed on the bottom side of the decomposition furnace to the heating section side.
본 발명(Disclosure)은, 열분해 챔버의 바닥에 분포하는 폐 포장재 및 용융수지를 가열구간 측으로 이송시킴과 동시에 열분해 챔버의 바닥에 분포하는 폐 포장재 및 용융수지가 리본 스크류 컨베이어를 따라 가열구간 측으로 이송될 수 있게 하는폐 포장재 분해장치용 임펠러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ure), the waste packaging material and molten resin distributed at the bottom of the pyrolysis chamber are transferred to the heating sec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waste packaging material and the molten resin distributed at the bottom of the pyrolysis chamber are transferred to the heating section along the ribbon screw conveyor. It has one purpose to provide an impeller for a waste packaging material dismantling device that enables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Herein, a general summar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hich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르면, 내부에 중공부가 마련된 수직한 원통형상의 내부챔버와, 내부챔버의 외측면을 감싸는 외부챔버와, 내부챔버 및 외부챔버의 열린 상단 및 하단을 마감하는 커버 플레이트 및 바닥 플레이트를 가지는 열분해 챔버; 중공부의 내부에 배치되면서 중공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되는 리본 스크류 컨베이어; 및 중공부 내부로 장입된 폐 포장재가 용융되게 하면서 용융수지가 열분해되도록 고온의 열을 제공하는 가열수단;들을 포함하는 폐 포장재용 분해장치에 장착되는 임펠러에 있어서, 임펠러는 리본 스크류 컨베이어와 연동하여 중공부의 바닥에 분포하는 폐 포장재 및 용융수지를 중공부의 내측면 측으로 이송시키면서 폐 포장재 및 용융수지가 회전하는 리본 스크류 컨베이어의 블레이드를 따라 외부챔버가 형성하는 가열구간의 전역으로 이송되게 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ccording to any one aspect of the various aspects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vertical cylindrical inner chamber having a hollow portion therein, and an outer chamber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hamber, a pyrolysis chamber having a cover plate and a bottom plate closing the open top and bottom of the inner chamber and the outer chamber; a ribbon screw conveyor extending vertical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low part while being disposed inside the hollow part; and heating means for providing high-temperature heat so that the molten resin is thermally decomposed while melting the waste packaging material charged into the hollow part. While transporting the waste packaging material and the molten resin distributed at the bottom of the hollow part to the inner side of the hollow part, the waste packaging material and the molten resin can be transported throughout the heating section formed by the outer chamber along the rotating blade of the ribbon screw conveyor.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폐 포장재용 분해장치용 임펠러에서, 임펠러는, 중공부의 바닥 측으로 연장된 리본 스크류 컨베이어의 지지축의 하단에 장착되는 코어; 및 코어의 외측면 상에서 코어의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날개차;를 포함하되, 날개차들은 평면에서 봤을 때 회전방향을 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판 형상으로 제공되며 동시에 코어에서 부터 중공부의 내측면 측으로 그 높이가 점층적으로 낮아지게 연장되고, 어느 하나의 날개차에는 블레이드의 하단이 연결될 수 있다. In the impeller for the decomposing device for waste packaging material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eller includes a core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shaft of the ribbon screw conveyor extending toward the bottom of the hollow part; and a plurality of impellers extending radially outward of the cor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re, wherein the impellers are provided in a plate shape convexly curved toward the rotational direction in a plan view, and at the same time,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part from the core The height is gradually lowered to the side, and the lower end of the blade may b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impellers.
본 발명에 의하면, 중공부의 바닥에 분포하는 폐 포장재 및 용융수지를 중공부의 내측면 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기 때문에 폐 포장재 및 용융수지를 고르게 가열 및 교반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aste packaging material and the molten resin distributed at the bottom of the hollow part can be transferred to the inner side of the hollow part,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of uniformly heating and stirring the waste packaging material and the molten resin.
본 발명에 의하면, 날개차들이 평면에서 봤을 때 회전방향을 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판 형상으로 제공되고, 날개차들이 코어에서 부터 중공부의 내측면 측으로 그 높이가 점층적으로 낮아지게 연장되기 때문에 중공부의 바닥에 분포하는 폐 포장재 및 용융수지를 용이하게 중공부의 내측면 측으로 밀어낼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ellers are provided in a plate shape convexly curved toward the rotational direction in a plan view, and the impellers extend from the core to the inner side of the hollow part so that the height is gradually lower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of easily pushing the waste packaging material and the molten resin distributed on the floor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hollow part.
본 발명에 의하면, 어느 하나의 날개차에 리본 스크류 컨베이어의 블레이드 하단이 연결되기 때문에 중공부 바닥에 분포하는 폐 포장재 및 용융수지가 리본 스크류 컨베이어의 블레이드를 따라 가열구간 전역으로 이송 및 교반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ower end of the blade of the ribbon screw conveyor is connected to any one impeller, the waste packaging material and molten resin distributed on the bottom of the hollow part are transferred and stirred throughout the heating section along the blade of the ribbon screw conveyor. be able to provid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임펠러가 장착된 폐 포장재용 분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열분해 챔버를 횡방향으로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임페러를 평면에서 바라 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가열구간의 일부분을 펼친 것으로, 가열수단들이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ecomposing apparatus for waste packaging material equipped with an impe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yrolysis chamber shown in Figure 1 cu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FIG. 3 is a plan view of the impeller shown in FIG. 1 ;
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heating means are installed, in which a part of the heating section shown in FIG. 1 is unfolded; FI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폐 포장재 분해장치용 임펠러를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in which the impeller for a waste packaging material decompo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는 범위를 포섭함을 밝힌다. However, the intrinsic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not be said to be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the It is disclosed that the range that can be easily suggested as a method of substitution or change of the embodiment described in is included.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since the terms used below are selec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grasping the intrinsic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y are not limited to the dictionary meaning and are appropriately interpreted as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임펠러가 장착되는 폐 포장재 분해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1 and 2 are views showing an apparatus for disassembling waste packaging material to which an impe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임펠러(140)가 장착되는 폐 포장재 분해장치(100)는 열분해 챔버(110), 리본 스크류 컨베이어(132) 및 가열수단(150)들을 포함하되, 본 발명에 따른 임펠러(140)는 리본 스크류 컨베이어(132)에 장착된다. 1 and 2, the waste packaging
먼저, 열분해 챔버(110)는 장입된 폐 포장재를 무산소 또는 저산소 상태 하에서 열분해될 수 있게 하여 폐 포장재에 포함된 합성수지를 가스 형태의 유류(oil) 성분으로 생성되게 하며 동시에 알루미늄을 추출할 수 있게 한다.First, the
여기서, 폐 포장재는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폐 포장재를 통상 200℃~250℃로 예열한 반 용융상태 폐 포장재, 또는 절단 및 분쇄된 폐 포장재, 또는 반용융상태의 폐 포장재와 절단 및 분쇄된 폐 포장재의 혼합일 수 있다. Here, the waste packaging material is a semi-molten waste packaging material in which the waste packaging material is usually preheated to 200°C to 250°C, or a cut and crushed waste packaging material, or a semi-molten waste packaging material as described in 'Technology behind the invention' and cut and pulverized waste packaging materials.
열분해 챔버(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중공부(112)가 마련되고 상단 및 하단이 열린 수직한 원통형상의 내부챔버(111)와, 내부챔버(111)의 외측면을 감싸는 외부챔버(113)을 포함하며, 내부챔버(111)와 외부챔버(113)의 열린 상단 및 하단은 커버 플레이트(114) 및 바닥 플레이트(116)에 의해 마감된다. The
그리고 열분해 챔버(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폐 포장재 투입관(118), 가스 배출관(120) 및 잔재 배출관(122)을 더 포함한다.And the
폐 포장재 투입관(118)은 내부챔버(111)의 중공부(112) 측으로 폐 포장재가 장입되는 하는 것으로, 폐 포장재 투입관(118)은 커버 플레이트(114)의 일측에 연결된다. The waste packaging
이때, 폐 포장재 투입관(118)에는 기 설정된 양 만큼 중공부(112) 측으로 폐 포장재를 장입할 수 있게 하는 장입 로터리 밸브(도시되지 않음) 및 폐 포장재 투입관(118)을 단속하는 장입 버터 플라이 밸브(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된다. At this time, a charging rotary valve (not shown) that allows the waste packaging material to be charged toward the
즉, 폐 포장재 투입관(118)에 장착된 장입 로터리 밸브가 지속적으로 폐 포장재를 기 설정된 양 만큼 중공부(112) 측으로 정량 장입시키기 때문에 폐 포장재의 열분해 시 중공부(112)의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며, 이에 의해 열분해 탄화물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고품질의 재생 오일(oil)을 추출할 수 있게 한다.That is, since the charging rotary valve mounted on the waste packaging
가스 배출관(120)은 폐 포장재 열분해 시 내부챔버(111)의 중공부(112)에서 생성되는 가스 형태의 유류(oil) 성분을 흡입해 응축기(도시되지 않음) 측으로 안내하는 것으로, 가스 배출관(120)은 폐 포장재 투입관(118)에 간섭되지 않게 커버 플레이트(114)의 타측에 연결된다.The
이때, 가스 배출관(120)은 흡입된 가스 형태의 유류 성분을 다시 내부챔버(111)의 중공부(112) 측으로 재 투입시킬 수 있게 리턴 가스 라인(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폐 포장재 투입관(118)과 연결된다. At this time, the
그리고 잔재 배출관(122)은 폐 포장재 열분해 시 내부챔버(111)의 중공부(112)에 생성되는 알루미늄을 열분해 챔버(110)의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것으로, 잔재 배출관(122)은 바닥 플레이트(116)의 하나 이상 장착된다. And the
이때, 잔재 배출관(122)의 시작단 측에는 잔재 배출관(122)을 단속하는 배출 버터 플라이 밸브(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되며, 잔재 배출관(122)의 연장단 측에는 기 설정된 양 만큼 알루미늄을 배출할 수 있게 하는 배출 로터리 밸브(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된다. At this time, a discharge butterfly valve (not shown) for intermittent control of the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열분해 챔버(110)의 외부챔버(113)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플레이트(116)에서부터 커버 플레이트(114) 측으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가열구간(124)과, 가열구간(124)의 상부 측과 커버플레이트(114) 사이에 형성되는 보온구간(126)으로 분할된다. On the other hand, the
이때, 가열구간(124)에는 가열수단(150)들이 장착되며, 보온구간(126)을 형성하는 외부챔버(113)와 내부챔버(111) 사이에는 통상의 보온재(127)가 충진된다.At this time, the heating means 150 are mounted in the
바람직하게는, 열분해 챔버(110)의 내부챔버(111) 및 외부챔버(113)는 열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열전도율이 높은 구리(Cu) 또는 구리합금 등으로 제작되며, 이에 의해 후술하는 가열수단(150)들 개수를 현저히 줄 일 수 있게 한다. Preferably, the
리본 스크류 컨베이어(132)는 열분해 챔버(110)를 구성하는 내부챔버(111)의 중공부(112) 내부로 장입된 폐 포장재 및 용융된 폐 포장재(이하 "용융수지"라 한다.)가 중공부(112)에 눌어붙지 않도록 이송 및 교반한다. In the
이러한 리본 스크류 컨베이어(132)는 누구나 알 수 있듯이 지지축(134)과, 지지축(13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지지축(134)의 둘레를 나선(spiral) 형태로 감싸는 블레이드(136)을 포함한다. As can be seen by anyone, the
이때, 리본 스크류 컨베이어(132)는 열분해 챔버(110)의 중공부(112)의 내부에 배치되면서 중공부(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리본 스크류 컨베이어(132)는 폐 포장재 및 용융수지를 중공부(112)의 하부(바닥)에서부터 상부 측으로 이송시키면서 교반할 수 있게 열분해 챔버(110)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한다. At this time, the
이를 위해서, 리본 스크류 컨베이어(132)의 지지축(134)의 상단은 폐 포장재 투입관(118) 및 가스 배출관(120)에 간섭되지 않게 커버 플레이트(11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지지축(134)의 상단은 폐 포장재 투입관(118) 및 가스 배출관(120)에 간섭되지 않게 커버 플레이트(114)의 상부면 상에 장착된 구동수단(138)과 연결되며, 구동수단(138)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To this end, the upper end of the
여기서, 구동수단(138)은 통상의 전동모터 및 통상의 감속기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구동수단(138)과 리본 스크류 컨베이어(132)의 지지축(134)과의 연결 관계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 the driving means 138 may be made of a combination of a conventional electric motor and a conventional speed reducer, and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driving means 138 and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임펠러(140)는 중공부(112)의 바닥 측에 분포하는 폐 포장재 및 용융수지를 중공부(112)의 내측으로 이송시키며, 동시에 중공부(112)의 바닥 측에 분포하는 폐 포장재 및 용융수지가 회전하는 리본 스크류 컨베이어(132)의 블레이드(136)를 따라 가열구간(124)의 전역으로 이송시키면서 교반되게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임펠러(140)는 중공부(112)의 바닥 측으로 연장된 지지축(134)의 하단에 장착되는 코어(142)와, 코어(142)의 외측면 상에서 코어(142)의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날개차(144)들을 포함한다. To this end, the
이때, 날개차(144)들은 바닥에 분포하는 폐 포장재 및 용융수지를 중공부(112)의 내측면, 즉 가열구간(124)의 내측면 측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평면에서 봤을 때 임펠러(140)의 회전방향을 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판 형상으로 제공된다(도 3 참조). At this time, the
그리고 날개차(144)들은 코어(142)에서 부터 중공부(112)의 내측면 측으로 그 높이가 점층적으로 낮아지게 연장되며(도 1 참조), 어느 하나의 날개차(144)에는 폐 포장재 및 용융수지가 리본 스크류 컨베이어(132)의 블레이드(136)를 따라 이송되도록 블레이드(136)의 하단이 연결된다.And the
가열수단(150)들은 열분해 챔버(110)의 외부챔버(113)가 형성하는 가열구간(124)을 유도 가열하여 열분해 챔버(110) 내부로 장입된 폐 포장재를 용융시키고, 또한 용융수지가 열분해 될 수 있도록 충분한 고온의 열, 즉 폐 포장재 및 용융수지를 300℃~600℃로 가열한다. The heating means 150 inductively heat the
가열수단(150)들은 통상의 마그네트론(152; magnetron)과, 통상의 유전 발열체(164)들을 포함한다. The heating means 150 includes a
마그네트론(152)는 누구나 알 수 있듯이 전자기파의 일종인 마이크로파를 출력하며, 유전 발열체(164)는 마그네트론(152)에서 출력되는 마이크로파에 의해 발열한다. As anyone can see, the
이렇게 마그네트론(152)과 유전 발명체(164)로 이루어진 가열수단(150)들은 열분해 챔버(110)를 구성하는 내부챔버(111)의 중공부(112) 측으로 열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가열구간(124)의 외측면에 부착된다. In this way, the heating means 150 made of the
바람직하게는, 가열수단(150)들은 가열구간(111)의 외측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부착되며, 동시에 가열구간(124)에 다수의 층을 형성하도록 부착된다.Preferably, the heating means 150 are attach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더욱 바람직하게는, 어느 하나의 층을 형성하는 가열수단(150)들과 이웃한 또 다른 층을 형성하는 가열수단(150)들은 서로 마주하지 않게 층을 형성한다. More preferably, the heating means 150 for forming one layer and the heating means 150 for forming another adjacent layer form a layer so as not to face each other.
여기서, 마그네트론(152) 및 유전 발열체(154)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 since the
한편, 가열수단(150)들이 부착되는 가열구간(124)의 외측면, 즉 외부챔버(113)의 외측면은 가열수단(150)들이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평면에서 봤을 때 직선 형태의 다수의 변(邊)을 형성한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surface of the
즉, 외부챔버(113)는 내부챔버(111)의 외부를 감싸도록 평판을 소정의 폭으로 절곡시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폐 포장재용 분해장치(100)의 작동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ng state of the decomposing
본 발명 따른 폐 포장재용 분해장치(100)를 사용해 폐 포장재를 열분해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리본 스크류 컨베이어(132) 및 가열수단(150)들을 작동시킨 상태 하에서 전처리된 폐 포장재를 폐 포장재 투입관(118)을 통해 내부챔버(111)의 중공부(112)에 장입시킨다.In order to thermally decompose the waste packaging material using the decomposing
전술한 바와 같이 폐 포장재가 내부챔버(111)의 중공부(112)로 장입되면, 폐 포장재는 구동수단(138)에 의해 회전하는 리본 스크류 컨베이어(132)와 임펠러(140)에 의해 중공부(112)의 바닥에서 중공부(112)의 상부 측, 다시 말해 가열구간(124)의 하부에서 가열구간(124)의 상부 측으로 이송되면서 교반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waste packaging material is charged into the
그리고 리본 스크류 컨베이어(132)와 임펠러(140)에 의해 이송 및 교반되는 폐 포장재는 가열수단(150)들에서 제공되는 열에 의해 가열되어 열분해되는데, 이때 폐 포장재의 합성수지는 유류(oil) 성분으로 분해되면서 기화되어 가스 배출관(120)을 통해 배출되고, 폐 포장재의 알루미늄은 미분해 잔재(ash)로 추출되며, 추출된 알루미늄은 폐 포장재의 합성수지의 기화가 완료되면 잔재 배출관(122)을 통해 열분해 챔버(110)의 외부로 배출된다. And the waste packaging material conveyed and stirred by the
그리고 가스 배출관(120)을 통해 배출되는 유류(oil) 성분은 응축기(도시되지 않음)에 도입되어 액화, 분리된 후 후처리 과정을 거쳐 재생 오일로 저장설비에 이송되어 저장된다. And the oil component discharged through the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임펠러(140)는 중공부(112)의 바닥에 분포하는 폐 포장재 및 용융수지를 중공부(112)의 내측면 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기 때문에 폐 포장재 및 용융수지를 고르게 가열 및 교반시킬 수 있게 한다.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임펠러(140)는 날개차(144)들이 평면에서 봤을 때 임펠러(140)의 회전방향을 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판 형상으로 제공되고, 날개차(144)들이 코어(142)에서 부터 중공부(112)의 내측면 측으로 그 높이가 점층적으로 낮아지게 연장되기 때문에 중공부(112)의 바닥에 분포하는 폐 포장재 및 용융수지를 용이하게 중공부(112)의 내측면 측으로 밀어낼 수 있게 한다. In addition, the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임펠러(140)는 어느 하나의 날개차(144)에 리본 스크류 컨베이어(132)의 블레이드(136) 하단이 연결되기 때문에 중공부(112) 바닥에 분포하는 폐 포장재 및 용융수지가 리본 스크류 컨베이어(132)의 블레이드(136)를 따라 가열구간(124) 전역으로 이송 및 교반되게 한다. In addition, in the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n the foregoing,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but it is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lf-evident to those who have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oint of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odified embodiments should be said to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
상기 임펠러는 상기 리본 스크류 컨베이어와 연동하여 상기 중공부의 바닥에 분포하는 상기 폐 포장재 및 상기 용융수지를 상기 중공부의 내측면 측으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폐 포장재 및 상기 용융수지가 회전하는 상기 리본 스크류 컨베이어의 블레이드를 따라 상기 외부챔버가 형성하는 가열구간의 전역으로 이송되게 하는 폐 포장재 분해장치용 임펠러.
A pyrolysis chamber having a vertical cylindrical inner chamber having a hollow portion therein, an outer chamber enclosing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chamber, and a cover plate and a bottom plate closing the inner chamber and open upper and lower ends of the outer chamber; a ribbon screw conveyor disposed inside the hollow part and extending vertical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low part; In the impeller mounted on the decomposing apparatus for waste packaging material comprising a; heating means for providing high-temperature heat so that the molten resin is thermally decomposed while the waste packaging material charged into the hollow part is melted,
The impeller interlocks with the ribbon screw conveyor and transfers the waste packaging material and the molten resin distributed at the bottom of the hollow part to the inner side of the hollow part, while the waste packaging material and the molten resin rotate the blade of the ribbon screw conveyor. An impeller for a waste packaging material decomposing device to be transferred to the entire area of the heating section formed by the outer chamber.
상기 임펠러는,
상기 중공부의 바닥 측으로 연장된 상기 리본 스크류 컨베이어의 지지축의 하단에 장착되는 코어; 및
상기 코어의 외측면 상에서 상기 코어의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날개차;를 포함하되,
상기 날개차들은 평면에서 봤을 때 회전방향을 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판 형상으로 제공되며 동시에 상기 코어에서 부터 상기 중공부의 내측면 측으로 그 높이가 점층적으로 낮아지게 연장되고,
어느 하나의 상기 날개차에는 상기 블레이드의 하단이 연결되는 폐 포장재 분해장치용 임펠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mpeller is
a core mounted on a lower end of a support shaft of the ribbon screw conveyor extending toward the bottom of the hollow part; and
A plurality of impellers extending radially outward of the cor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re; including,
The impellers are provided in a plate shape convexly curved toward the rotational direction in a plan view, and at the same time extend from the core to the inner side of the hollow part to gradually lower the height,
An impeller for a waste packaging material decomposing device in which a lower end of the blade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impeller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3638A KR20220101521A (en) | 2021-01-11 | 2021-01-11 | Impeller for waste packing material disassembly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3638A KR20220101521A (en) | 2021-01-11 | 2021-01-11 | Impeller for waste packing material disassembly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01521A true KR20220101521A (en) | 2022-07-19 |
Family
ID=82607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03638A Pending KR20220101521A (en) | 2021-01-11 | 2021-01-11 | Impeller for waste packing material disassembly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101521A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0958Y1 (en) | 2004-06-03 | 2004-09-07 | 주식회사 삼신기계 | Apparatus of accelerated degradation for emulsifying waste synthetic resin |
KR101035392B1 (en) | 2011-03-24 | 2011-05-20 | 김경섭 | How to separate aluminum from packaging multi-layer composite resin |
KR20120005234A (en) | 2010-07-08 | 2012-01-16 | 이봉희 | Manufacturing method for reproducing aluminum (Al) in waste packaging materials and technology for aluminum separation and oil regenerated thereby |
KR101914366B1 (en) | 2017-03-27 | 2018-11-01 | 김동수 | Transfer device with double screw structure and waste plastic emulsif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
-
2021
- 2021-01-11 KR KR1020210003638A patent/KR20220101521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0958Y1 (en) | 2004-06-03 | 2004-09-07 | 주식회사 삼신기계 | Apparatus of accelerated degradation for emulsifying waste synthetic resin |
KR20120005234A (en) | 2010-07-08 | 2012-01-16 | 이봉희 | Manufacturing method for reproducing aluminum (Al) in waste packaging materials and technology for aluminum separation and oil regenerated thereby |
KR101035392B1 (en) | 2011-03-24 | 2011-05-20 | 김경섭 | How to separate aluminum from packaging multi-layer composite resin |
KR101914366B1 (en) | 2017-03-27 | 2018-11-01 | 김동수 | Transfer device with double screw structure and waste plastic emulsif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43191B1 (en) | Apparatus for producing fuel oil by continual pyrolysis of waste combustible materials | |
JP5819607B2 (en) | Low pressure pyrolysis equipment and continuous oil carbonization equipment | |
US8168043B2 (en) | Retor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inuously processing liquid and solid mixtures and for recovering products therefrom | |
EP1979497B1 (en) | Process for recycling aluminium-bearing composite materials | |
CN105131985B (en) | Microwave-assisted vacuum horizontal biochar carbonization equipment | |
US20220034505A1 (en) | Pyrolysis system and method of use | |
JP2021529867A (en) | Microwave method to convert hydrocarbon waste into oil and gas fuels | |
JP6631795B2 (en) | Waste plastic oiling system | |
EP2634236B1 (en) | External heating type coal material decomposition apparatus with multiple tubes | |
JP2018053197A (en) | Thermal decomposition system and thermal decomposition method | |
KR102392544B1 (en) | Manufacturing device of solid refuse fuel from waste plastic | |
CN104907319B (en) | Garbage disposal device | |
KR20220101521A (en) | Impeller for waste packing material disassembly device | |
KR20220032530A (en) | Cracking furnace for waste synthetic resin emulsion device | |
KR102481966B1 (en) | Device for disassembling waste packing material | |
CN110546240A (en) | Devices for processing coal and household waste | |
WO2012015812A2 (en) | Induction heated gasifier | |
WO2010033173A2 (en) | Revolving waste plastic-oil converting equipmen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
EP3775102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biomass | |
KR101337493B1 (en) | Pyrolysis apparatus for organic waste | |
CN107810255A (en) | Temperature Distribution in advanced annealing device and method | |
JPH08325576A (en) | Carbonization method | |
JP2018141117A (en) | Gasificating apparatus for waste | |
CN209854072U (en) | A biomass pyrolysis charcoal feeding device with gas supply function | |
CN106540953A (en) | A kind of electronic wast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7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301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7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3062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3040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301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8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