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9357A - 보조 오물 배출 경로를 갖는 변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조 오물 배출 경로를 갖는 변기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99357A KR20220099357A KR1020210001496A KR20210001496A KR20220099357A KR 20220099357 A KR20220099357 A KR 20220099357A KR 1020210001496 A KR1020210001496 A KR 1020210001496A KR 20210001496 A KR20210001496 A KR 20210001496A KR 20220099357 A KR20220099357 A KR 2022009935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uxiliary
- water
- toilet
- collection chamber
- modu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5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10808 liquid was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3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025—Combined with wash-basins, urinals, flushing devices for chamber-pots, bed-pans,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E03D13/005—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rinal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오물 배출 경로를 갖는 변기 시스템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오물 배출 경로를 갖는 변기 시스템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 구성도이다.
120: 변기본체 200: 씰링모듈
210: 하부 플랜지 220: 걸림 플랜지
230: 보조 배출 파이프 300: 보조 모듈
310: 오수 수집 챔버 311: 세척노즐
320: 세척용수 공급부 321: 세척용수 파이프
322: 급수 스위치 330: 연결 파이프
400: 거치모듈 410: 감지센서
F: 바닥면 S: 하수구
Claims (8)
- 물탱크 및 상기 물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내부에 수용된 오물을 하수구로 이송하는 변기본체를 포함하는 좌변기;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좌변기와 하수구 사이를 밀폐하며, 상기 하수구에 연통되는 보조 배출 파이프가 상기 변기본체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씰링모듈; 및
상기 씰링모듈의 보조 배출 파이프에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남성용 소변기, 유아용 변기, 액상 오물 투입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보조모듈;을 포함하는, 보조 오물 배출 경로를 갖는 변기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씰링모듈은,
상기 하수구에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하부 플랜지;
상기 하부 플랜지의 상단에서 상기 바닥면을 따라 연장되는 링형 원판 형상의 걸림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배출 파이프는, 일단부가 상기 하부 플랜지의 내부 공간에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타단부가 상기 걸림 플랜지의 상측으로 연장되며, 내부로 액체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가 마련되고, 그 타단에 상기 보조모듈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오물 배출 경로를 갖는 변기 시스템.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조 모듈은, 오목한 형상의 오수 수집 챔버와, 상기 오수 수집 챔버의 상단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오수 수집 챔버의 내부로 깨끗한 물을 공급하는 세척용수 공급부와, 상기 오수 수집 챔버와 상기 보조 배출 파이프 사이를 연결하는 유연한 재질의 연결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오물 배출 경로를 갖는 변기 시스템.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세척용수 공급부는, 일단부가 상기 좌변기의 물탱크의 측면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급받고, 타단부가 상기 상기 오수 수집 챔버에 연결되는 유연한 재질의 세척용수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오수 수집 챔버에 오수가 공급된 후, 상기 세척용수 공급부로부터 세척수를 공급하여 상기 오수 수집 챔버를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오물 배출 경로를 갖는 변기 시스템.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세척용수 공급부는, 상기 물탱크와 상기 세척용수 파이프의 연결부에 설치되어 상기 물탱크로부터 상기 세척용수 파이프로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통제하는 급수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오물 배출 경로를 갖는 변기 시스템.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급수 스위치는, 상기 오수 수집 챔버가 상기 세척용수 파이프의 일단부보다 낮은 위치에 있을 때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상기 급수 파이프로 물을 공급하고, 상기 오수 수집 챔버가 상기 세척용수 파이프의 일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있을 때에는 개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오물 배출 경로를 갖는 변기 시스템.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급수 스위치는, 상기 오수 수집 챔버가 상기 급수 스위치보다 10cm 이상 낮은 위치일 때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오물 배출 경로를 갖는 변기 시스템.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의 측방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모듈을 거치하되, 상기 보조모듈이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오수 수집 챔버가 상기 급수 스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마련된 거치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 스위치는, 상기 보조모듈이 상기 거치모듈로부터 이탈된 이후, 상기 보조모듈이 상기 거치모듈에 거치된 것을 감지하고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오물 배출 경로를 갖는 변기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1496A KR20220099357A (ko) | 2021-01-06 | 2021-01-06 | 보조 오물 배출 경로를 갖는 변기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1496A KR20220099357A (ko) | 2021-01-06 | 2021-01-06 | 보조 오물 배출 경로를 갖는 변기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99357A true KR20220099357A (ko) | 2022-07-13 |
Family
ID=82401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01496A Ceased KR20220099357A (ko) | 2021-01-06 | 2021-01-06 | 보조 오물 배출 경로를 갖는 변기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99357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7545Y1 (ko) | 2017-08-22 | 2018-11-21 | 정원모 | 유아 겸용 좌변기시트 |
-
2021
- 2021-01-06 KR KR1020210001496A patent/KR20220099357A/ko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7545Y1 (ko) | 2017-08-22 | 2018-11-21 | 정원모 | 유아 겸용 좌변기시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82605B2 (en) | Low flow hygienic apparatus and methods | |
US5819331A (en) | Urinal attachment for a toilet | |
PT1012413E (pt) | Dispositivo de saída de esgotos | |
KR20030060070A (ko) | 세면기 및 그것을 구비한 세면 장치 | |
AU2012319385A1 (en) | Vacuum suction-type toile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vacuum suction-type toilet | |
KR101590158B1 (ko) | 거품 세정식 양변기 | |
JP2014070376A (ja) | 男性用水洗トイレ | |
KR100999397B1 (ko) | 오줌 튀김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기 | |
KR102251074B1 (ko) | 양변기 단부 세척기 또는 이를 포함한 양변기 | |
JPS5928707B2 (ja) | 水洗便器 | |
KR20220099357A (ko) | 보조 오물 배출 경로를 갖는 변기 시스템 | |
JP5769682B2 (ja) | 男性用水洗トイレ | |
KR20220099359A (ko) | 외장 소변기를 이용한 변기 시스템 | |
KR101358562B1 (ko) |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남성 인식 소변기 세척장치 | |
KR101985632B1 (ko) | 악취차단트랩을 구비하는 소변기 | |
JP3737434B2 (ja) | 洋式小便器 | |
KR20220105836A (ko) | 휴대용 보조 소변기 | |
KR100386377B1 (ko) | 거품발생장치가 구비된 소변기 | |
KR20120034869A (ko) | 친환경 세면수 재활용 양변기 시스템 | |
US20060230525A1 (en) | Method and apparatus to reduce toilet splash using water current and turbulence | |
KR102209000B1 (ko) | 소변기 | |
KR20200136682A (ko) | 소변기 | |
JP4398849B2 (ja) | 水洗トイレ装置 | |
US11149424B2 (en) | Restroom system | |
JP2001140329A (ja) | 水洗便器と排水ソケットおよびトイ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4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210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4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