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093863A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3863A
KR20220093863A KR1020200184981A KR20200184981A KR20220093863A KR 20220093863 A KR20220093863 A KR 20220093863A KR 1020200184981 A KR1020200184981 A KR 1020200184981A KR 20200184981 A KR20200184981 A KR 20200184981A KR 20220093863 A KR20220093863 A KR 20220093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t water
valve
purified
flow pat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4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동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4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3863A/ko
Priority to US17/554,408 priority patent/US12151953B2/en
Priority to AU2021290390A priority patent/AU2021290390B2/en
Priority to EP21218016.0A priority patent/EP4023612B1/en
Priority to EP24217994.3A priority patent/EP4501868A1/en
Publication of KR20220093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3863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2Devices for controlling the dispensing conditions
    • B67D1/0884Means for controlling the parameters of the state of the liquid to be dispensed, e.g. temperature,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1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upplied from water ma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67D1/0858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 B67D1/0861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the evaporator acting through an intermediate heat transfer means
    • B67D1/0864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the evaporator acting through an intermediate heat transfer means in the form of a cooling b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67D1/120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for ratio control purposes
    • B67D1/1206Flow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67D1/120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for ratio control purposes
    • B67D1/1211Flow rate sensor
    • B67D1/1218Flow rate sensor modulating the opening of a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7Flow control valves
    • B67D1/1279Flow control valves regulating the flow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9/20Portable or detachable small-scale multistage treatment devices, e.g. point of use or laboratory water purific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67D1/123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 B67D1/12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the flow being started or stopped by means actuated by the vessel to be filled, e.g. by switches, weig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0Liquid flow 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4Tim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otable water dispenser, e.g. for use in homes or off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와 정수를 출수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의 급수원에서 공급된 물을 정수하는 필터와,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이 취출되는 출수노즐과, 상기 필터를 통과한 정수가 경유하는 가열유로를 형성하고, 온수 출수 시 상기 가열유로를 통과하는 정수를 온수로 순간 가열시키는 온수모듈과, 상기 온수모듈을 통과한 온수를 상기 출수노즐 측으로 안내하는 온수유로와, 상기 온수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정수 출수 시, 상기 제어부는 온수모듈을 오프(off)시키고, 상기 온수모듈에서 배출된 정수는 상기 온수유로를 거쳐 상기 출수노즐로 출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수기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온수유로를 통해 정수의 출수가 진행되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사용자에게 원수를 필터링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원하는 온도의 물을 원하는 양만큼의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정수기는 통상 사용자가 레버 또는 버튼을 조작하게 될 경우 노즐을 통해 여과된 물이 취출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정수기는 사용자가 레버 또는 버튼을 조작하는 동안 노즐의 밸브가 개방되어 여과된 물이 취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사용자는 컵 또는 용기에 채워지는 물의 양을 확인하면서 상기 레버 또는 버튼의 조작을 종료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정수기는 정수기 자체로 구비되거나, 냉장고 등에 장착될 수도 있다.
선행문헌 1(한국공개 특허공보 2019-0010596호)에는,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정수하는 필터와, 상기 급수원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필터로 공급하는 급수유로와, 상기 급수유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급수유로를 통과하는 물의 유동을 단속하는 급수밸브와,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이 취출되는 출수노즐과,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을 상기 케이스 외부로 공급하는 출수유로와, 상기 출수유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출수유로를 통과하는 물의 유동을 단속하는 출수밸브와, 사용자로부터 세척 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로 세척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급수밸브 또는 상기 출수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간헐적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정수기가 개시된다.
또한, 선행문헌 2(한국공개 특허공보 2007-0083008호)에는 RO 멤브레인 모듈을 채용하는 직수형 저장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직수형 정수 장치는, 정수수가 일시 저장되는 정수수 저장탱크, 정수수 배출관을 흐르는 정수수를 정수수 저장탱크에 공급하도록 유로를 제공하는 제 1 연결관, 정수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정수수가 RO 멤브레인 모듈에 유입되도록 유로를 제공하는 제 2 연결관, 원수 공급관의 경로상에 설치되어 원수의 송수압을 증대시키는 부스터 펌프, 및 수도꼭지가 잠겼을 때 이를 감지하여, 정수수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정수수를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로 공급하고, 정수수 저장탱크에 기설정된 일정 양의 정수수가 저장된 경우 저장된 정수수를 RO 멤브레인 모듈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정수기의 경우, 정수 출수 시, '정수' 버튼을 선택한 후,'출수'버튼을 누르면 정수 밸브가 개방되고, 정수 유로를 통해서, 정수가 흐르고, 출수노즐을 통해 정수가 출수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정수기의 경우, 온수 출수 시, '온수' 버튼을 선택한 후, '출수'버튼을 누르면 온수 밸브가 개방되고, 온수탱크에서 가열된 온수가 온수 유로를 통해 흐르고, 출수노즐을 통해 온수가 출수된다.
즉, 종래 정수기의 경우, 온수유로와 정수유로가 별도로 형성되고, 온수는 온수유로 및 온수밸브를 통해서 출수노즐로 공급되고, 정수는 정수유로 및 정수밸브를 통해서 출수노즐로 공급된다.
선행문헌 1. 한국공개 특허공보 2019-0010596호 (2019-01-28) 선행문헌 2. 한국공개 특허공보 2007-0083008호 (2007-08-17)
본 발명은, 별도의 정수유로 및 정수밸브를 두지 않고, 온수유로와 온수유로를 통해서, 온수와 정수를 출수하도록 구현하여, 정수유로 및 정수밸브의 구비에 따른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정수유로 및 정수밸브의 구성을 삭제할 수 있어, 정수기 내부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정수기의 소형화가 가능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온수 출수 시와 정수 출수 시, 유량조절밸브의 개도를 상이하게 조절하여, 온수의 온도조건을 만족시키면서, 정수의 출수유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온수 출수 후, 정수가 출수될 경우, 잔류 온수에 의해 출수되는 정수의 온도가 높아지지 않도록, 냉수를 통해 출수되는 물의 온도를 낮춰, 출수되는 정수의 온도 조건을 만족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의 급수원에서 공급된 물을 정수하는 필터,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이 취출되는 출수노즐, 상기 필터를 통과한 정수가 경유하는 가열유로를 형성하고, 온수 출수 시 상기 가열유로를 통과하는 정수를 온수로 순간 가열시키는 온수모듈, 상기 온수모듈을 통과한 온수를 상기 출수노즐 측으로 안내하는 온수유로, 상기 온수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정수 출수 시, 상기 제어부는 온수모듈을 오프(off)시키고, 상기 온수모듈에서 배출된 정수는 상기 온수유로를 거쳐 상기 출수노즐로 출수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온수유로에는, 상기 온수유로를 유동하는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온수밸브가 장착되고, 온수 출시 및 정수 출수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수밸브를 개방시키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온수 출수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수모듈을 온(on)시키고, 상기 온수모듈에서 배출된 온수는 온수유로를 거쳐 상기 출수노즐로 출수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필터와 상기 온수모듈은 출수유로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출수유로에는 상기 온수모듈로 유동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 밸브가 설치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출수유로에는 상기 출수유로를 통해서 상기 온수모듈 측으로 유동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가 설치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출수유로에는, 상기 필터를 통과한 뒤, 상기 출수유로를 유동하는 정수의 흐름을 단속하는 피드밸브가 설치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출수유로에는, 상기 필터를 통과한 뒤, 상기 출수유로를 유동하는 정수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센서가 설치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유량조절밸브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개도가 조절되고, 온수 출수 시, 상기 유량조절밸브는 개도와, 정수 출수 시,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개도는 상이하게 조절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온수 출수 시, 상기 유량조절밸브는 개도는, 정수 출수 시,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개도보다 작게 조절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정수 출수 시, 상기 유량조절밸브는 개도는, 최대로 조절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일측이 상기 필터와 상기 유량조절밸브 사이의 출수유로에서 분기되고 타측이 상기 출수노즐 측과 연결된 냉수유로와, 상기 냉수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냉수유로를 통과하는 정수를 냉수로 냉각시키는 냉수모듈을 더 포함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냉수유로에는 상기 출수유로에서 분기되어 상기 냉수모듈로 유동하는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냉수밸브가 설치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정수 출수 시, 상기 냉수밸브와 상기 온수밸브는 동시에 개방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타이머를 포함하고, 온수 출수 후, 기준시간이 경과된 후, 정수 출수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수밸브는 차단시키고, 상기 온수밸브는 개방시키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타이머를 포함하고, 온수 출수 후, 기준시간이 경과되기 전, 정수 출수 시, 상기 냉수밸브와 상기 온수밸브를 동시에 개방시키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온수 출수 후, 기준시간이 경과되기 전, 정수 출수 시, 상기 냉수밸브와 상기 온수밸브를 동시에 개방되고, 상기 냉수밸브는 제1시간동안 개방된 후, 차폐되고, 상기 온수밸브는 제1시간 보다 긴 제2시간동안 개방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냉수유로와 상기 온수유로를 통해 토출된 물은 합류된 후, 상기 출수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별도의 정수유로 및 정수밸브를 두지 않고, 온수유로와 온수유로를 통해서, 온수와 정수를 출수하도록 구현하여, 정수유로 및 정수밸브의 구비에 따른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정수유로 및 정수밸브의 구성을 삭제할 수 있어, 정수기 내부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정수기의 소형화가 가능한 이점도 있다.
또한, 정수유로 및 정수밸브의 구성을 삭제할 수 있어, 주기적으로 진행되는 배관 교체비 등의 유지 보수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온수 출수 시와 정수 출수 시, 유량조절밸브의 개도를 상이하게 조절하여, 온수의 온도조건을 만족시키면서, 정수의 출수유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온수 출수 후, 정수가 출수될 경우, 잔류 온수에 의해 출수되는 정수의 온도가 높아지지 않도록, 냉수를 통해 출수되는 물의 온도를 낮춰, 출수되는 정수의 온도 조건을 만족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정수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출수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에서, 정수 출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정수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0)는 내측에 저장공간을 구비하고, 정수기의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유입된 원수를 여과시키는 필터(120)를 포함하는 정수기 본체(100),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전방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필터(120)를 통과한 물을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외부로 공급하는 출수노즐(210)이 구비된 출수모듈(200) 및, 상기 출수노즐(210)의 하측에 구비되는 트레이(3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외형은 하우징(11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커버(111)와 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리어 커버(112), 하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13), 상면을 형성하는 탑 커버(114) 그리고 좌우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패널(115)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커버(111)와 리어 커버(112), 베이스(113)와 탑 커버(114) 그리고 한 쌍의 사이드 패널(115)은 서로 조립되어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10)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113)와 탑커버(114)의 전단과 후단은 라운드 지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프론트커버(111)와 리어커버(112)는 상기 라운드지게 형성된 베이스(113) 및 탑커버(114)의 전단 및 후단과 대응하는 곡률을 갖도록 전방과 후방으로 각각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전면에는 출수노즐(21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출수노즐(210)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프론트 커버(111)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출수모듈(200)의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출수노즐(210)을 통해 정수된 물이 취출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정수를 위한 필터(120)와 밸브(미도시) 등이 장착되는 필터 브라켓(130)이 구비된다.
상기 필터 브라켓(130)은 상기 베이스(113)와 결합되는 저면부(131)와, 상기 필터(120)가 수용되는 필터 수용부(132) 그리고, 상기 출수모듈(200)이 장착되는 출수모듈 장착부(133)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저면부(131)는 상기 베이스(113)의 전단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113)에 결합된다. 상기 저면부(131)의 결합에 의해 상기 필터 브라켓(130)의 장착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 수용부(132)의 바닥면 형상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필터 브라켓(130)은 상기 베이스(113)에 후크 방식으로 걸림 구속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113)의 하면에서 체결되는 스크류에 의해서도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수용부(13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필터(12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전방(도면상의 좌측)에서 후방(도면상의 우측)으로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필터 수용부(130)에는 복수의 필터(12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120)는 공급되는 원수(수돗물)의 정화를 위한 것으로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필터가 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 수용부(130)에는 상기 필터(120)가 장착되는 필터 소켓(134)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 소켓(134)에는 정수된 물이 유동되기 위한 배관이 제공되며, 상기 배관은 다수의 밸브(미도시)들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원수는 상기 필터(120)를 차례로 통과한 후 급수를 위한 밸브(미도시)로 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필터 수용부(132)의 배면(도면상의 우측)에는 다수의 밸브(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미도시)들은 상기 필터(120)를 통과한 정수, 냉수모듈(150)을 통과하면서 냉각된 냉수, 온수모듈(160)을 통과하면서 가열된 온수를 출수노즐(210)로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상기 필터 수용부(132)의 상단에는 출수모듈 장착부(133)가 형성된다. 상기 출수모듈 장착부(133)는 상단에 상부에서 하부로 장착홈(133a)가 형성되어 상기 출수모듈(200)이 삽입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출수모듈 장착부(133)는 출수모듈 장착부(133)의 전방을 커버하는 프론트커버(111)의 곡률과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브라켓(130)의 상부는 탑커버(114)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3) 상면에는 압축기(141)와 응축기(14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141)와 응축기(142)의 사이에는 쿨링 팬(143)이 구비되어 상기 압축기(141)와 응축기(142)의 냉각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압축기(141)는 주파수를 가변하여 냉각 능력의 조절이 가능한 인버터 타입의 압축기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정수된 물의 냉각이 효율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비 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142)는 상기 베이스(113)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리어 커버(112)에 형성되는 토출구(112a)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142)는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과 동시에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플랫 튜브 타입의 냉매관이 다수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응축기 브라켓(144)에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응축기 브라켓(144)에는 상기 응축기(142)가 고정되는 응축기 장착부(145)와, 냉수를 만들기 위한 냉수모듈(150)의 쿨링 탱크(151)가 장착될 수 있는 탱크 장착부(146)가 형성된다. 상기 응축기 장착부(145)는 상기 응축기(142)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응축기(142)의 전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의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 장착부(145)는 상기 쿨링 팬(143)과 토출구(112a)와 마주보는 부분이 각각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응축기(142)의 효과적인 냉각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탱크 장착부(146)는 상기 응축기 브라켓(144)의 상부 즉, 상기 응축기 장착부(145)의 상방에 형성된다. 상기 탱크 장착부(146)에는 냉수모듈(150)의 쿨링 탱크(151)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탱크 장착부(146)는 쿨링 탱크(151)를 고정한다.
상기 쿨링 탱크(151)는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를 만들기 위한 것으로, 유입되는 정수와 열교환을 위한 냉각수가 채워진다. 그리고, 상기 쿨링 탱크(151) 내부에는 상기 냉각수의 냉각을 위한 증발기가 수용되고, 필터(120)를 통과한 정수가 상기 쿨링 탱크(151)의 내부를 경유할 수 있도록 냉각유로(152)가 형성된다. 따라서, 정수는 냉각유로(152)를 따라 쿨링 탱크(151) 내부를 순환하면서,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필터 브라켓(130)의 일측에는 상기 쿨링 탱크(150)측으로 연장되는 서포트 플레이트(135)가 더 구비된다.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35)는 상기 압축기(141)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 브라켓(130)에서 상기 응축기 브라켓(144)까지 연장되어 온수모듈(160) 및 제어부(170)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온수모듈(160)은 온수를 만들기 위한 가열 어셈블리를 의미하고, 제어부(1700는 정수기(10)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어셈블리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온수모듈(160) 및 제어부(170)는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모듈 상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된 상태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35)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온수모듈(160)은 정수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유도 가열(IH:induction heating) 방식을 비롯하여 공지의 다양한 방식으로 정수된 물을 가열시킬 수 있다. 상기 온수모듈(160)은 온수 취출 조작시 즉각적이고 빠른 속도로 물을 가열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원하는 온도의 온수를 취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정수기(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압축기(141)와, 쿨링 팬(143) 그리고 각종 밸브와 센서, 상기 온수모듈(160)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70)는 기능별로 다수의 부분으로 나누어진 피시비들의 조합에 의해 모듈화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10)가 냉수와 정수만을 취출하는 구조에서는 상기 온수모듈(160)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피시비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시비가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정수기(10)의 필터(120)에서 출수된 정수는 출수노즐(210)로 취출되기 까지 여러 개의 유로와 밸브 등을 거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출수모듈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정수기는 정수와 온수 취출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출수 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410) 및 상기 조작부(410)로 출수 명령이 입력되면, 각종 밸브가 열리거나 닫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작부(410)는 상기 출수모듈(200) 또는 정수기 본체(100)의 상면 또는 전면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출수모듈(200) 또는 정수기 본체(100)의 전면에는 출수버튼(420)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조작부(410)는 터치패널로 구비되고, 출수 용량을 선택하는 용량버튼(411), 온수를 선택하고, 나아가 출수되는 온수의 온도를 선택하는 온수버튼(412), 정수를 선택하는 정수버튼(413), 냉수를 선택하는 냉수버튼(414), 연속출수를 선택하는 연속버튼(415) 및, 살균명령 및/또는 세척명령을 입력하는 세척버튼(41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410)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정수기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는 가독성이 확보된 상태에서, 조작부(410)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인버터(1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버터(172)는 상기 온수모듈(160)의 가열원으로 인가되는 전류량을 제어함으로써, 가열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인버터(172)에 의해서 상기 온수모듈(160)의 출력이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열량이 조절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 물이 가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노이즈 필터(1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이즈 필터(173)는 상기 온수모듈(160)로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서 발생된 노이즈가 포함된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노이즈 필터(173)는 상기 제어부(170)에서 출력되어 각종 밸브 등으로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온수출수 후, 경과된 시간을 측정을 위한 타이머(17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온수와 정수를 출수하되, 온수와 정수가 하나의 유로와 하나의 밸브를 통해서 출수된다.
상세히, 필터(120)를 통과한 정수는 온수유로 및 온수모듈(160)을 통과하고, 출수노즐(210)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온수 모듈(160)에 전원이 공급되어, 온수 모듈(160)에서 정수가 가열되면, 출수노즐(210)로 온수가 출수된다.
또한, 상기 온수 모듈(160)에 전원이 차단되면, 온수 모듈(160)을 통과한 정수는 가열되지 않고, 정수의 상태로 출수노즐(210)로 출수된다.
즉, 본 발명의 경우, 별도의 정수유로를 두지 않고, 온수유로를 통해서, 정수를 출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필터(120)를 통과한 정수가 경유하는 가열유로(161)를 형성하고, 온수 출수 시 상기 가열유로(161)를 통과하는 정수를 온수로 순간 가열시키는 온수모듈(16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온수모듈(160)을 통과한 온수를 상기 출수노즐(210) 측으로 안내하는 온수유로(520)를 포함한다. 상기 온수모듈(160)은 온수유로(520) 상에 설치되어, 온수유로(520)를 통과하는 정수를 온수로 가열시킬 수 있다. 상기 가열유로(161)는 양측 단부가 상기 온수유로(520)와 연결된다. 일측의 입구측 가열유로는 상기 필터 측의 온수유로와 연결되고, 타측의 출구측 가열유로는 상기 출수노즐 측의 온수유로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온수모듈(16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정수 출수 시, 상기 제어부(170)는 온수모듈(160)의 가열원을 오프(off)시키고, 상기 온수모듈(160)에서 배출된 정수는 상기 온수유로(520)를 거쳐 상기 출수노즐(210)로 출수된다. 즉, 온수모듈(160)의 가열원이 오프(off)되면, 정수가 온수모듈(160)의 가열유로(161)를 통과할 때 가열되지 않고, 정수의 상태로 배출된다. 그리고, 정수는 온수유로(520)를 거쳐, 출수노즐(210)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온수 출수 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온수모듈(160)의 가열원을 온(on)시키고, 상기 온수모듈(160)에서 배출된 온수는 온수유로(520)를 거쳐 상기 출수노즐(210)된다. 즉, 온수모듈(160)의 가열원이 온(on)되면, 정수가 온수모듈(160)의 가열유로(161)를 통과할 때 가열되고, 온수의 상태로 배출된다. 그리고, 온수는 온수유로(520)를 거쳐, 출수노즐(210)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유로(520)에는, 상기 온수유로(520)를 유동하는 정수 또는 온수의 흐름을 단속하는 온수밸브(620)가 장착되고, 온수 출시 및 정수 출수 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온수밸브(620)를 개방시킨다.
또한, 상기 필터(120)와 상기 온수모듈(160)은 출수유로(530)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출수유로(530)에는 상기 온수모듈(160)로 유동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 밸브(630)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유량조절밸브(630)와 연결되어, 상기 유량조절밸브(630)를 제어한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유량조절밸브(630)를 개방하거나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유량조절밸브(630)의 개방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출수유로(530)에는 상기 출수유로(530)를 통해서 상기 온수모듈(160) 측으로 유동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64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640)는 상기 유량 조절 밸브(630)에 일체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온도센서(640)와 연결되어, 상기 온도센서(640)에서 감지한 정수의 온도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입력받은 온도 정보를 활용하여, 온수모듈(160)에 인가되는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유로(530)에는, 상기 필터(120)를 통과한 뒤, 상기 출수유로(530)를 유동하는 정수의 흐름을 단속하는 피드밸브(65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피드밸브(650)와 연결되어, 피드밸브(65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출수유로(530)에는, 상기 필터(120)를 통과한 뒤, 상기 출수유로(530)를 유동하는 정수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센서(66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70)는 유량센서(660)와 연결되어, 상기 유량센서(660)에서 감지한 유량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입력받은 유량 정보를 활용하여, 온수모듈(160)에 인가되는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유량조절밸브(630)는 상기 제어부(170)에 의해 개도가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개도'라 함은 유량조절밸브(630)의 개방된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유량조절밸브(630)가 닫힌 경우, 유량조절밸브(630)의 개도는 0으로 볼 수 있고, 유량조절밸브(630)가 완전히 개방된 경우, 유량조절밸브(630)의 개도는 100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온수 출수 시, 상기 유량조절밸브(630)는 개도와, 정수 출수 시, 상기 유량조절밸브(630)의 개도를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170)는 온수 출수 시, 상기 유량조절밸브(630)의 개도를, 정수 출수 시, 상기 유량조절밸브(630)의 개도보다 작게 조절할 수 있다.
온수 출수 시, 순간 가열을 통해, 원하는 온도의 온수를 생성해야하기 때문에, 상기 온수모듈(160)로 유입되는 정수의 유량은 줄어들게 제어된다.
즉, 온수 출수 시, 제어부(170)는 유량조절밸브(630)의 개도를 낮춰서, 상기 온수모듈(160)로 유입되는 정수의 유량은 줄어들게 된다.
반면, 정수 출수 시, 정수를 가열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온수모듈(160)로 유입되는 정수의 유량은 증가되게 제어된다.
즉, 정수 출수 시, 제어부(170)는 유량조절밸브(630)의 개도를 높여서, 상기 온수모듈(160)로 유입되는 정수의 유량은 증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온수 출수 대비 정수 출수 시, 유량조절밸브(630)의 개도를 키우면, 정수 출수 시, 출수 유량 확보에 유리한 측면이 있다.
한편, 온수 출수 후, 온수 모듈(160)은 가열된 상태이고, 온수유로(520)에는 온수가 채워진 상태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정수를 출수하면, 정수가 출수되기 전, 온수유로(520) 또는 온수 모듈(160) 내 온수가 출수노즐(210)을 통해서, 출수된다.
따라서, 온수 출수 후, 이어서 진행되는 정수 출수 시, 정수가 출수되기 전, 출수되는 온수를 드레인 하거나, 출수노즐(210)을 통해 출수되는 물의 온도를 낮춰줄 필요가 있다.
일 예로, 온수모듈(160)과 출수노즐(210)을 연결하는 온수유로(520)에는 드레인유로가 분기되고, 드레인유로에는 드레인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드레인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온수 출수 후, 곧 바로 정수 출수 시, 상기 제어부(170)는 드레인밸브를 개방하여, 정수가 출수되기 전, 온수유로(520) 또는 온수 모듈(160) 내 온수는 출수노즐(210)로 출수되지 않고, 드레인유로로 드레인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170)는 타이머(171)를 포함하고, 온수 출수 후, 미리 세팅된 기준시간이 경과된 후, 정수 출수 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드레인밸브는 차단시키고, 상기 온수밸브(620)는 개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기준시간'은 다양하게 세팅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기준시간'은 30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온수 출수 후, 미리 세팅된 기준시간이 경과되기 전, 정수 출수 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냉수밸브와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드레인밸브는 개방시키고, 상기 온수밸브(620)는 차단시킬 수 있다. 그리고, 온수유로(520) 또는 온수 모듈(160) 내 온수가 드레인유로를 통해서, 드레인된다.
그리고, 미리 설정된 드레인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드레인밸브는 차단시키고, 상기 온수밸브(620)는 개방시켜, 정수를 출수노즐(210)로 공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어부(170)는 냉수를 통해서, 출수노즐(210)로 출수되는 온수의 온도를 낮게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냉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일측이 상기 필터(120)와 상기 유량조절밸브(630) 사이를 연결하는 출수유로(530)에서 분기되고 타측이 상기 출수노즐(210) 측과 연결된 냉수유로(540)와, 상기 냉수유로(540)에 설치되어, 상기 냉수유로(540)를 통과하는 정수를 냉수로 냉각시키는 냉수모듈(150)을 더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냉수유로(540)는 유량센서(660)와 유량조절밸브(630) 사이의 출수유로(530)에서 분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수유로(540)에는 상기 출수유로(530)에서 분기되어 상기 냉수모듈(150)로 유동하는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냉수밸브(67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냉수밸브(670)와 연결되어, 냉수밸브(67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정수 출수 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냉수밸브(670)는 차단되고, 상기 온수밸브(620)는 개방되게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정수 출수 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냉수밸브(670)와 상기 온수밸브(620)가 동시에 개방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170)는 타이머(171)를 포함하고, 온수 출수 후, 미리 세팅된 기준시간이 경과된 후, 정수 출수 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냉수밸브(670)는 차단시키고, 상기 온수밸브(620)는 개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기준시간'은 다양하게 세팅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기준시간'은 30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온수 출수 후, 미리 세팅된 기준시간이 경과되기 전, 정수 출수 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냉수밸브와 상기 온수밸브를 동시에 개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기준시간'은 다양하게 세팅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기준시간'은 30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온수 출수 후, 기준시간이 경과되기 전, 정수 출수 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냉수밸브(670)와 상기 온수밸브(620)를 동시에 개방시키되, 상기 냉수밸브(670)는 제1시간 동안 개방된 후, 차단되게 제어하고, 상기 온수밸브(620)는 제1시간 보다 긴 제2시간동안 개방되게 제어한다.
여기서, '제1시간' 및 '제2시간'은 다양하게 세팅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시간'은 3초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수유로(540)와 상기 온수유로(520)를 통해 토출된 물은 합류된 후, 상기 출수노즐(210)을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일 예로, 냉수유로(540)와 상기 온수유로(520)는 출수노즐과 인접한 단부가 합류되어, 냉수와 온수는 하나의 공통유로를 통해서 유동한 뒤, 출수노즐(210)로 출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냉수유로(540)와 상기 온수유로(520)는 출수노즐(210)에 각각 연결되고, 냉수와 온수는 출수노즐(210)의 내측에 마련된 챔버에서 합류된 후 출수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에서, 정수 출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에서의 냉수, 온수, 정수 출수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냉수 출수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냉수를 선택하고, 출수버튼을 누르면, 제어부는 이를 인식하고, 냉수밸브(670)를 개방한다. 그리고, 급수밸브(610)와 피드밸브(650)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온수밸브(620)는 차단된다.
급수밸브(610)가 개방된 상태이므로, 급수원과 연결된 급수유로(510)를 통해 원수가 유입되고, 감압밸브(680)를 거친 후, 원수의 압력이 하향 조정된다.
이후, 필터(120)를 거치면서, 원수는 정수로 여과되고, 출수유로(530)로 유동한다.
출수유로(530)로 유입된 정수는 피드밸브(650)와 유량센서(660)를 통과한 뒤, 냉수유로(540)로 유입되고, 냉수밸브(670) 및 냉수모듈(150)의 냉각유로(152)를 거치면서, 냉각되고, 냉수의 상태로 출수노즐(210) 방향으로 유동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원하는 용량의 냉수를 출수노즐(210)을 통해 공급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온수 출수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온수버튼을 누르고 출수버튼을 누르면, 제어부는 이를 인식하고, 온수밸브(620)를 개방한다. 그리고, 급수밸브(610)와 피드밸브(650)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냉수밸브(670)는 차단된다. 또한, 온수모듈(160)의 가열원에는 전원이 공급된다.
급수밸브(610)가 개방된 상태이므로, 급수원과 연결된 급수유로(510)를 통해 원수가 유입되고, 감압밸브(680)를 거친 후, 원수의 압력이 하향 조정된다.
이후, 필터(120)를 거치면서, 원수는 정수로 여과되고, 출수유로(530)로 유동한다.
출수유로(530)로 유입된 정수는 피드밸브(650)와 유량센서(660)를 통과한 뒤, 온수유로(520)로 유입된다. 이후, 온수유로(520)로 유입된 정수는 유량조절밸브(630) 및 온수모듈(160)의 가열유로(161)를 거치면서, 가열되고, 온수의 상태로 출수노즐(210) 방향으로 유동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원하는 온도, 용량의 온수를 출수노즐(210)을 통해 공급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에 따른 정수 출수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정수버튼을 누르고 출수버튼을 누르면, 제어부는 이를 인식하고, 온수밸브(620)를 개방한다. 그리고, 급수밸브(610)와 피드밸브(650)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냉수밸브(670)는 차단된다. 또한, 온수모듈(160)의 가열원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고, 차단된다.
급수밸브(610)가 개방된 상태이므로, 급수원과 연결된 급수유로(510)를 통해 원수가 유입되고, 감압밸브(680)를 거친 후, 원수의 압력이 하향 조정된다.
이후, 필터(120)를 거치면서, 원수는 정수로 여과되고, 출수유로(530)로 유동한다.
출수유로(530)로 유입된 정수는 피드밸브(650)와 유량센서(660)를 통과한 뒤, 온수유로(520)로 유입된다. 이후, 온수유로(520)로 유입된 정수는 유량조절밸브(630) 및 온수모듈(160)의 가열유로(161)를 통과하고, 정수의 상태로 출수노즐(210) 방향으로 유동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원하는 용량의 정수를 출수노즐(210)을 통해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량조절밸브(630)는 완전히 개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에 따른 정수 출수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정수버튼을 누르고 출수버튼을 누르면, 제어부는 이를 인식하고, 온수밸브(620)를 개방한다. 그리고, 급수밸브(610)와 피드밸브(650)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제어부(170)는 직전의 온수 출수 후, 미리 세팅된 기준시간이 경과되기 전, 정수 출수 시, 상기 냉수밸브(670)도 개방시킨다. 즉, 온수밸브(620)와 냉수밸브(670)를 동시에 개방시킨다.
반면, 제어부(170)는 직전의 온수 출수 후, 미리 세팅된 기준시간이 경과된 후, 정수 출수 시, 상기 냉수밸브(670)는 차단시키고, 온수밸브(620)만 개방시킨다.
또한, 온수모듈(160)의 가열원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고, 차단된다.
급수밸브(610)가 개방된 상태이므로, 급수원과 연결된 급수유로(510)를 통해 원수가 유입되고, 감압밸브(680)를 거친 후, 원수의 압력이 하향 조정된다.
이후, 필터(120)를 거치면서, 원수는 정수로 여과되고, 출수유로(530)로 유동한다.
출수유로(530)로 유입된 정수는 피드밸브(650)와 유량센서(660)를 통과한 뒤, 온수유로(520)와 냉수유로(540)로 각각 유동한다. 이후, 온수유로(520)로 유입된 정수는 유량조절밸브(630) 및 온수모듈(160)의 가열유로(161)를 통과하고, 정수의 상태로 출수노즐(210) 방향으로 유동한다. 그리고, 냉수유로(540)로 유입된 정수는, 냉수밸브(670) 및 냉수모듈(150)의 냉각유로(152)를 거치면서, 냉각되고, 냉수의 상태로 출수노즐(210) 방향으로 유동한다.
이때, 상기 온수유로(520) 및 온수모듈(160)에 잔류된 온수는 상기 냉수유로(540)를 통해 토출된 냉수와, 합류된 후 상기 출수노즐(210)을 통해 토출되고, 사용자는 온수가 아닌 정수를 출수노즐(210)을 통해 공급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미리 세팅된 시간이 경과되면, 냉수밸브(670)를 잠그고, 냉수출수는 차단되며, 온수유로(520) 및 온수밸브(630)를 통과한 정수만 출수노즐(210)을 통해 출수된다.
이에 따르면, 온수유로를 통해서, 정수유로 겸용으로 사용할 때, 잔류 온수에 의해, 정수 출수 시 초기에 온수 또는 미온수가 토출되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Claims (17)

  1. 온수와 정수를 출수하는 정수기에 있어서,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의 급수원에서 공급된 물을 정수하는 필터;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이 취출되는 출수노즐;
    상기 필터를 통과한 정수가 경유하는 가열유로를 형성하고, 온수 출수 시 상기 가열유로를 통과하는 정수를 온수로 순간 가열시키는 온수모듈;
    상기 온수모듈을 통과한 온수를 상기 출수노즐 측으로 안내하는 온수유로;
    상기 온수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정수 출수 시, 상기 제어부는 온수모듈을 오프(off)시키고, 상기 온수모듈에서 배출된 정수는 상기 온수유로를 거쳐 상기 출수노즐로 출수되는 정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유로에는, 상기 온수유로를 유동하는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온수밸브가 장착되고,
    온수 출시 및 정수 출수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수밸브를 개방시키는 정수기.
  3. 제 1항에 있어서,
    온수 출수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수모듈을 온(on)시키고, 상기 온수모듈에서 배출된 온수는 온수유로를 거쳐 상기 출수노즐로 출수되는 정수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와 상기 온수모듈은 출수유로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출수유로에는 상기 온수모듈로 유동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 밸브가 설치되는 정수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유로에는 상기 출수유로를 통해서 상기 온수모듈 측으로 유동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가 설치되는 정수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유로에는, 상기 필터를 통과한 뒤, 상기 출수유로를 유동하는 정수의 흐름을 단속하는 피드밸브가 설치되는 정수기.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유로에는, 상기 필터를 통과한 뒤, 상기 출수유로를 유동하는 정수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센서가 설치되는 정수기.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밸브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개도가 조절되고,
    온수 출수 시, 상기 유량조절밸브는 개도와,
    정수 출수 시,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개도는 상이하게 조절되는 정수기.
  9. 제 8항에 있어서,
    온수 출수 시, 상기 유량조절밸브는 개도는, 정수 출수 시,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개도보다 작게 조절되는 정수기.
  10. 제 8항에 있어서,
    정수 출수 시, 상기 유량조절밸브는 개도는, 최대로 조절되는 정수기.
  11. 제 4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필터와 상기 유량조절밸브 사이의 출수유로에서 분기되고 타측이 상기 출수노즐 측과 연결된 냉수유로;
    상기 냉수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냉수유로를 통과하는 정수를 냉수로 냉각시키는 냉수모듈을 더 포함하는 정수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유로에는 상기 출수유로에서 분기되어 상기 냉수모듈로 유동하는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냉수밸브가 설치되는 정수기.
  13. 제 11항에 있어서,
    정수 출수 시, 상기 냉수밸브와 상기 온수밸브는 동시에 개방되는 정수기.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타이머를 포함하고,
    온수 출수 후, 기준시간이 경과된 후, 정수 출수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수밸브는 차단시키고, 상기 온수밸브는 개방시키는 정수기.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타이머를 포함하고,
    온수 출수 후, 기준시간이 경과되기 전, 정수 출수 시, 상기 냉수밸브와 상기 온수밸브를 동시에 개방시키는 정수기.
  16. 제 15항에 있어서,
    온수 출수 후, 기준시간이 경과되기 전, 정수 출수 시,
    상기 냉수밸브와 상기 온수밸브를 동시에 개방되고,
    상기 냉수밸브는 제1시간동안 개방된 후, 차폐되고,
    상기 온수밸브는 제1시간 보다 긴 제2시간동안 개방되는 정수기.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유로와 상기 온수유로를 통해 토출된 물은 합류된 후, 상기 출수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정수기.









KR1020200184981A 2020-12-28 2020-12-28 정수기 Pending KR20220093863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981A KR20220093863A (ko) 2020-12-28 2020-12-28 정수기
US17/554,408 US12151953B2 (en) 2020-12-28 2021-12-17 Water purifier that dispenses purified water and hot water through one flow path
AU2021290390A AU2021290390B2 (en) 2020-12-28 2021-12-24 Water Purifier
EP21218016.0A EP4023612B1 (en) 2020-12-28 2021-12-28 Water purifier
EP24217994.3A EP4501868A1 (en) 2020-12-28 2021-12-28 Water pur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981A KR20220093863A (ko) 2020-12-28 2020-12-28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863A true KR20220093863A (ko) 2022-07-05

Family

ID=79025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4981A Pending KR20220093863A (ko) 2020-12-28 2020-12-28 정수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2151953B2 (ko)
EP (2) EP4023612B1 (ko)
KR (1) KR20220093863A (ko)
AU (1) AU2021290390B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85528A (ko) 2022-12-08 2024-06-17 (주)한독크린텍 직수 정수기용의 필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73836S1 (en) * 2020-11-25 2022-12-27 Youngone Corporation Water purifier
USD977609S1 (en) * 2021-01-13 2023-02-07 Coway Co., Ltd. Water purifier
USD969961S1 (en) * 2021-06-24 2022-11-15 Dart Industries Inc. Water treatment device
USD1071634S1 (en) * 2022-12-15 2025-04-22 Breville Pty Limited Water purifi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3008A (ko) 2006-02-20 2007-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90010596A (ko) 2016-05-20 2019-01-30 밀리켄 앤드 캄파니 가교-결합된 실록산 네트워크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768B1 (ko) * 2003-03-03 2005-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온수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20080001882U (ko) * 2006-12-13 2008-06-19 동양매직 주식회사 취수 온도조절이 가능한 냉온 정수기
KR101402470B1 (ko) 2007-10-30 2014-06-03 코웨이 주식회사 자동온도 추출기능이 있는 냉온수 공급장치
KR20120088318A (ko) 2011-01-31 2012-08-0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정수기의 정수 온도 제어 장치 및 방법
JP6321659B2 (ja) 2012-09-21 2018-05-09 アクセス ビジネス グループ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水処理システムと共に使用するための選択的水温構成部品
KR101492879B1 (ko) * 2012-12-04 2015-02-12 쿠쿠전자주식회사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702735B1 (ko) 2015-01-08 2017-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US10604399B2 (en) 2015-05-20 2020-03-31 Coway Co., Ltd Hot water supply method, hot water supply device, and water purifier using same
KR101991442B1 (ko) 2016-04-11 2019-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948700B1 (ko) * 2016-07-04 2019-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20180047323A (ko) * 2016-10-31 2018-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의 제어장치, 정수기 및 정수기의 제어시스템
KR102799610B1 (ko) 2016-12-09 2025-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용수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09605B1 (ko) 2017-04-25 2022-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용 살균키트
CN107473290A (zh) * 2017-09-27 2017-12-15 上海深研智能科技有限公司 净水器混合加热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020050B1 (ko) * 2018-01-15 2019-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013632B1 (ko) * 2018-07-24 2019-08-23 주식회사 엔비엘 온수, 냉수 및 혼합수 일체형 코크
KR102101802B1 (ko) * 2019-01-28 2020-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05191B1 (ko) 2019-02-22 2021-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2267887B1 (ko) 2019-02-22 2021-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2746326B1 (ko) * 2019-03-19 2024-12-24 쿠쿠홈시스 주식회사 정수 장치
KR20200129737A (ko) * 2019-05-09 2020-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3008A (ko) 2006-02-20 2007-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90010596A (ko) 2016-05-20 2019-01-30 밀리켄 앤드 캄파니 가교-결합된 실록산 네트워크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85528A (ko) 2022-12-08 2024-06-17 (주)한독크린텍 직수 정수기용의 필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1290390B2 (en) 2024-03-14
US20220204361A1 (en) 2022-06-30
US12151953B2 (en) 2024-11-26
AU2021290390A1 (en) 2022-07-14
EP4023612A1 (en) 2022-07-06
EP4501868A1 (en) 2025-02-05
EP4023612B1 (en) 2025-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93863A (ko) 정수기
CN114477583B (zh) 净水器
US10926204B2 (en) Purification device
KR101945831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993891B1 (ko) 정수기
CN110726282A (zh) 水分配装置的控制方法
KR20180103580A (ko) 정수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20166144A (ko) 정수기
KR102223818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20141687A (ko) 정수기
AU2022202423B2 (en) Water purifier
JPH10148437A (ja) 冷蔵庫
KR102101802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CN114158929A (zh) 多功能净饮机
KR20220114217A (ko) 온수 생성 장치,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및 온수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102773919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40064147A (ko) 정수기
KR20240003626A (ko) 수처리장치
KR100894475B1 (ko) 온수 공급 기능을 구비한 냉장고
KR20230122945A (ko)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JPH10103827A (ja) 冷蔵庫
KR20210146673A (ko) 냉장고
KR20210146676A (ko) 냉장고
KR0153298B1 (ko) 냉장고의 물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