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3579A - Sliding type glove box with detachable stopper - Google Patents
Sliding type glove box with detachable stopp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93579A KR20220093579A KR1020200184438A KR20200184438A KR20220093579A KR 20220093579 A KR20220093579 A KR 20220093579A KR 1020200184438 A KR1020200184438 A KR 1020200184438A KR 20200184438 A KR20200184438 A KR 20200184438A KR 20220093579 A KR20220093579 A KR 2022009357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rail
- glove box
- stopper
- slid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쉬보드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는 한 쌍의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 가능한 수납부를 포함하는 착탈형 스톱퍼를 구비한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로서, 상기 스톱퍼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서 인출되는 수납부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며, 상기 한 쌍의 레일부의 선단에서 상기 한 쌍의 레일부를 서로 연결하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liding glove having a detachable stopper including a housing mounted on a dashboard, a pair of rails provided in an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a receiving unit that is moved along the rail and can be pulled out in a sliding manner. As a box, the stopper limits the moving distance of the receiving part drawn out from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is provided in a form to connect the pair of rail parts to each other at the tip of the pair of rail parts .
Description
본 발명은 착탈형 스톱퍼를 구비한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수납부가 하우징에서 개방될 시에 상기 수납부가 하우징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필요시에는 하우징에서 수납부를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착탈형 스톱퍼를 구비한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ing glove box having a removable stopper, and more particularly, to prevent the accommodating par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housing when the accommodating part is opened from the housing, and to be able to separate the accommodating part from the housing when necessary. It relates to a sliding glove box having a removable stopper.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에는 전방에 계기장치나 조작스위치, 오디오 등이 설치되는 대쉬보드가 마련된다.In general, in the interior of a vehicle, a dashboard in which an instrument device, an operation switch, an audio, etc. are installed is provided in the front.
그리고, 상기 대쉬보드의 일측, 즉, 조수석 측에는 자동차의 실내에서 사용되는 소품들을 보관하기 위한 글로브 박스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In addition, a glove box for storing small items used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s oper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ashboard, that is, on the passenger side.
상기 글로브 박스는, 대쉬보드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전면부에 장착되는 전면 패널을 크게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glove box may be configured to largely include a housing mounted on the dashboard, an accommodating portion provided in an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a front panel mounted on a front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상기 수납부는 하우징에서 선회되어 열려지거나 닫혀지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The accommodating part has a configuration that is opened or closed by turning in the housing.
최근에는 차량의 실내공간이 넓어짐에 따라서 대쉬보드상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직선왕복운동되어 열려지거나 닫혀지는 구성의 글로브 박스가 차량에 적용되고 있다.Recently, as the interior space of a vehicle is widened, a glove box configured to be opened or closed by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n the dashboard in a sliding manner has been applied to the vehicle.
위와 같은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는, 대쉬보드상에서 수납부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직선이동되어 열려지거나 닫혀지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The sliding glove box as described above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receiving part is linearly moved along the guide rail on the dashboard to open or close.
하지만, 기존의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는, 대쉬보드상에서 수납부를 분리시키기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liding glove box has a structure in which it is difficult to separate the receiving unit on the dashboard.
왜냐하면, 수납부를 보수하거나 교체하기 위해서는 대쉬보드에 장착된 하우징을 상기 대쉬보드에서 우선적으로 분리시켜야 하는데, 상기 하우징이 체결수단에 의해 대쉬보드와 결합된 상태를 이루는 관계로 인하여, 대쉬보드를 차체에서 우선적으로 분리하는 작업과정이 요구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in order to repair or replace the housing, the housing mounted on the dashboard must be first separated from the dashboard. This is because a work process of separation is required first.
그러나, 기존의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는, 위와 같은 작업과정을 일반인이 수행하기 매우 어렵기 때문에, 수납부를 교체하거나 수리하기 위해서는 비용을 들여가며 숙련된 차량 정비사를 이용해야 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liding glove box, since it is very difficult for the general public to perform the above-mentioned work process, in order to replace or repair the housing unit, it is necessary to use an experienced vehicle mechanic at a cost.
또한, 기존의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는, 수납부의 하중 지지를 위하여 가이드 레일을 수납부의 양측부에 각각 마련하였기 때문에 수납부의 내부 공간이 상기 가이드 레일이 차지하는 부피에 의해 줄어들는 문제점이 있고, 수납부가 개방될 시에 가이드 레일이 외관상으로 노출되어 보기 흉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existing sliding glove box has a problem in that since guide rail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eceiving unit to support the load of the receiving unit, the internal space of the receiving unit is reduced by the volume occupied by the guide rail, There is an unsightly problem in that the guide rail is apparently exposed when the part is opened.
따라서, 본 출원인은, 수납부의 길이방향 일측 저부만 가이드 레일과 연결되도록 구성된 슬리이딩형 글로브 박스를 개발하여 하우징에서 수납부가 인출될 시에 상기 레일이 외관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였다.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has developed a sliding-type glove box configured to connect only the bottom of one longitudinal 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to the guide rail so that the rail is not externally exposed when the accommodating part is withdrawn from the housing.
그러나, 위와 같이, 레일이 수납부의 저면과 연결되도록 구성된 글로브 박스는 차량 실내 공간의 미려함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사용자가 하우징에서 수납부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시킬 시에 수납부가 유동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가이드 레일이 수납부의 하부에만 장착되는 관계로 인하여 수납부가 직선왕복 운동될 시에 좌/우방향으로 유동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이에 따른 소음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glove box configured such that the rail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unit has the advantage of maintaining the aesthetics of the vehicle interior space,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eceiving unit flows when the user moves the receiving unit in a sliding manner from the housing. have. That is, due to the relationship in which the guide rail is mounted only on the lower part of the accommodation pa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when the accommodation part linearly reciprocates, a phenomenon occurs in which it flows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us noise is also caused.
또한,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는, 수납부가 개방되었을 때 가이드 레일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신체를 다치게 하거나 또는 차량 실내 이미지를 보기 않좋게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납부의 저면 일측만 가이드 레일과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In addition, in the sliding glove box, in order to prevent the guide rail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receiving part is opened to injure the user's body or to make the interior image of the vehicle look bad, only one bottom side of the receiving part is connected to the guide rail has a structure that is
즉, 수납부가 하우징에서 인출되어 개방되었을 때, 개방된 수납부의 저면 부위에서 가이드 레일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일부 수용된 수납부의 저면 일측만 가이드 레일과 연결되는 구조를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는 가지고 있다.That is, when the receiving part is drawn out from the housing and opened, a structure in which only one side of the bottom of the receiving part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is connected to the guide rail so that the guide rail is not exposed at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ed receiving part is a sliding glove. the box has
위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는, 수납부가 하우징에서 인출되어 개방되었을 때, 외부로 노출된 수납부의 부위가 상/하 방향으로 쉽게 유동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가이드 레일이 마련되지 않은 부위가 구조적으로 지지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상/하 방향으로 쉽게 유동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sliding glove box having the above structure has a problem in that, when the accommodating part is drawn out from the housing and opened, the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part exposed to the outside easily flows in the up/down direction. That 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ortion where the guide rail is not provided has a structurally low bearing capacity, so that it easily flows in the up/down direction.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82171호의 '차량용 전동 슬라이딩 글로브박스의 작동장치'가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has proposed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s a related prior art document, there is a 'operating device for an electric sliding glove box for a vehicle'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08217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하우징에 장착된 가이드 레일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수납부의 최대 이동거리를 제한함과 동시에 수납부를 하우징에서 분리 가능하게 하는 착탈형 스톱퍼를 구비한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specifically, a detachable stopper that is detachably provided on a guide rail mounted on a housing to limit the maximum moving distance of the accommodating part and at the same time to allow the accommodating part to be separated from the housing.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ding glove box equipp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은, 수납부가 이동될 시에 수납부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착탈형 스톱퍼를 구비한 슬라이딩 글로브 박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ding glove box having a detachable stopper configured to prevent a flow of the accommodating part when the accommodating part is moved.
본 발명은, 대쉬보드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는 한 쌍의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 가능한 수납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로서, 상기 레일부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외측 레일; 상기 외측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수납부의 저부와 연결되는 내측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 레일에는 상기 수납부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톱퍼부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liding glove box comprising a housing mounted on a dashboard, a pair of rails provided in an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a receiving unit that is moved along the rail and can be pulled out in a sliding manner, wherein the rail The unit may include: an outer rail mounted to the housing; and an inner rail that is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outer rail and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receiving unit, and a stopper portion limit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receiving unit may be detachably provided on the outer rail.
또한, 상기 외측 레일의 길이방향 단부에는 상기 스톱퍼부와 연결되는 연결편이 마련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편은, 상기 외측 레일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측부를 향해 절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nnection piece connected to the stopper part is provided at the longitudinal end of the outer rail, and the connecting piece may be formed to be bent from the longitudinal end of the outer rail toward the side of the housing.
또한, 상기 스톱퍼부는, 상기 연결편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결합부재; 상기 제1결합부재와 일체로 연결되며, 한 쌍의 상기 외측 레일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측 레일의 길이방향 일단부를 차단하는 차단부재; 및 상기 차단부재와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저부측 전면과 결합되는 제2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pper portion, a first coupling member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ing piece; a blocking member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first coupling member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air of outer rails face each other to block one end of the outer rai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coupling member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locking member and coupled to the bottom-sid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또한, 상기 수납부의 저부에는 상기 내측 레일과 연결되는 연결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수납부의 저부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nnection member connected to the inner rail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accommodating part, and the connection member may be disposed at one side of the bottom of the accommodating part.
또한, 상기 연결부재의 전면부에는 상기 차단부재에 형성된 유동 방지구멍에 삽입되는 고정핀이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xing pin inserted into the flow preventing hole formed in the blocking member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또한, 상기 연결부재의 전면부에는, 상기 수납부가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될 때, 상기 차단부재의 후면과 접촉되는 완충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a buffer member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to contact the rear surface of the blocking member when the receiving portion is slidably moved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본 발명에 따른 착탈형 스톱퍼를 구비한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는, 사용자가 수납부를 하우징에서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므로, 수납부를 교체하거나 유지 보수하는 과정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The sliding glove box having a detachable st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user can easily separate the housing from the housing,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erform the process of replacing or maintaining the hous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탈형 스톱퍼를 구비한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는, 개방된 상태의 수납부가 외부 충격이나 흔들림으로부터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납부의 변형 또는 파손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liding glove box having a detachable st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accommodating part in an open state from flowing from external shocks or shaking, thereby reducing deformation or damage of the accommodating par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탈형 스톱퍼를 구비한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는, 수납부가 하우징에서 노출되어 개방되어도, 수납부를 인출시키는 레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차량 미관을 해치지 않고 미려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liding glove box having a removable st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housing part is exposed from the housing and opened, the rail for drawing out the housing par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aesthetics of the vehicle can be maintained beautiful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착탈형 스톱퍼를 구비한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수납부가 하우징에서 인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부와 스톱퍼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톱퍼가 레일부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수납부의 측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liding glove box having a removable sto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sliding glove box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ceiving unit is drawn out from the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ail unit and a sto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opper shown in FIG. 4 is mounted on a rail unit;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ce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of the receiving unit shown in FIG. 6 ;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embodi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가 글로브 박스가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Hereinafter, a glove box of a sliding type glov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착탈형 스톱퍼를 구비한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수납부가 하우징에서 인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부와 스톱퍼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톱퍼가 레일부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수납부의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liding glove box having a removable sto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sliding glove box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ccommodat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taken out of the additional housin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ail unit and a sto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tate in which the stopper shown in FIG. 4 is mounted to the rail unit.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ccommodat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side view of the accommodating part shown in FIG. 6 .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100)는, 대쉬보드(미도시)에 장착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는 한 쌍의 레일부(120)와, 상기 레일부(120)를 따라 이동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 가능한 수납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7 , the
먼저, 상기 하우징(1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대쉬보드에 장착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10)에는 수납부(13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부가 마련되어 있다.First, as described above, the
상기 한 쌍의 레일부(120)는, 상기 하우징(110)에 형성된 공간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하우징(110)의 바닥부에 장착되는 외측 레일(121) 및 상기 외측 레일(12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수납부(130)의 저부와 연결되는 내측 레일(122)을 포함할 수 있다.The pair of
한 쌍의 레일부(12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간격을 두고서 수납부(130)의 인출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외측 레일(121)은, 'ㄷ'자의 단면을 가진 채 하우징(110)의 내측 바닥부에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4 and 5 , the pair of
내측 레일(121)은, 외측 레일(121)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진 채로 외측 레일(121)의 홈부에 마련될 수 있다. 내측 레일(12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수납부(130)의 저부와 연결된 채 외측 레일(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내측 레일(122)이 이동되면 수납부(130)가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The
한편,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 레일(121)에는 상기 수납부(13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톱퍼(200)가 마련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1 to 5 , a
상기 스톱퍼(200)는, 외측 레일(121)의 길이방향 단부에 마련된 연결편(121a)에 마련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연결편(121a)은 외측 레일(121)와 일체로 연결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부를 향해 절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스톱퍼(200)는, 상기 연결편(121a)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결합부재(210); 상기 제1결합부재(210)와 일체로 연결되며, 한 쌍의 상기 외측 레일(121)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측 레일(121)의 길이방향 일단부를 차단하는 차단부재(220); 상기 차단부재(220)와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110)의 저부측 전면과 결합되는 제2결합부재(230); 및 상기 제2결합부재(230)와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110)에서 인출되어 개방된 상기 수납부(130)의 저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제1결합부재(210)는 볼트, 너트, 나사와 같은 공지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연결편(121a)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결합부재(210)와 연결편(121a)에는 체결수단이 삽입될 수 있는 체결구멍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The
참고로, 작업자가 스톱퍼(200)의 제1결합부재(210)와 연결편(121a)을 용이하게 결합하고, 또한, 수납부(130)를 하우징(110) 상에서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연결편(121a)을 전술한 바와 같이, 외측 레일(110)의 길이방향 일단부에서 하우징(110)의 내측부를 향해 절곡지게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작업자가 외측 레일(121)의 외측에서 연결편(121a)과 제1결합부재(210) 간의 체결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연결편(121a)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수납부(130)를 교체하거나 보수하기 위하여 하우징(110)상에서 수납부(130)를 완전히 꺼내기 위해서는 상기 연결편(121a)을 내측 레일(122)의 이동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위치상에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reference, in order for an operator to easily couple the
만약, 상기 연결편(121a)이 한 쌍의 외측 레일(121)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절곡지게 형성된다면, 작업자가 제1결합부재(210)와 연결편(121a)의 볼팅 작업을 어렵게 수행할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연결편(121a)이 육안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연결편(121a)이 외측 레일(121)의 길이방향 일단부에서 한 쌍의 외측 레일(121)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절곡지게 형성된다면, 내측 레일(122)이 외측 레일(121)의 길이방향 일단부 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하우징(110)상에서 수납부(130)를 분리시킬 수 없다.If the connecting
따라서, 연결편(121a)은 외측 레일(121)의 길이방향 일단부에서 한 쌍의 외측 레일(121)이 서로 마주하지 않는 방향, 즉, 하우징(110)의 측부를 향해 절곡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the connecting
상기 차단부재(220)는, 수납부(130)가 개방되기 위하여 내측 레일(122)이 외측 레일(121)의 길이방향 타측에서부터 길이방향 일측으로 이동될 시에, 내측 레일(122)이 외측 레일(121)의 홈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blocking
다시 말해, 차단부재(220)는, 수납부(130)가 하우징(110) 상에서 인출되어 최대로 개방되었을 때, 내측 레일(122)외 외측 레일(12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In other words, the blocking
상기 제2결합부재(230)는, 하우징(110)의 저부와 결합되어 차단부재(220)의 지지력을 강화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즉, 체결수단에 의해 하우징(110)의 저부 저면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결합부재(230)와 하우징(110)의 저부 전면에는 볼트 또는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이 삽입될 수 있는 체결구멍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The
상기 지지부재(240)는, 한 쌍의 외측 레일(121)에 각각 마련된 제2결합부재(230)를 서로 연결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에서 수납부(130)가 개방되었을 때, 수납부(130)의 저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스톱퍼(200)는, 사용자가 수납부(130)를 교체하거나 수리하기 위하여 하우징(110) 상에서 수납부(130)를 분리할 필요가 있을 시에는, 외측 레일(121)의 길이방향 일단측에서 체결수단의 해제 작업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즉, 연결편(121a)과 제1결합부재(210)를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연결편(121a)과 제1결합부재(210) 상에서 분리하면, 수납부(130)가 하우징(110)에서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된다.The
상기 수납부(13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레일(122)과 연결되는 연결부재(131)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131)는, 바(bar)의 형태를 가지고서 수납부(130)의 저부 일측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6 and 7 , the
수납부(130)가 하우징(110)에서 개방되기 위하여 내측 레일(122)이 외측 레일(121)의 길이방향 일단 측으로 이동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31)가 배치되지 않은 부위만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된 채 수납부(130)가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131)와 상기 내측 레일(122)의 배치 관계에 의하여 수납부(130)가 하우징(110)상에서 개방되어도 레일부(200)가 외부로 비노출될 수 있다.When the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31)의 전면부에는 상기 차단부재(220)에 형성된 유동 방지구멍(221)에 삽입되는 고정핀(131a)이 마련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6 and 7 , a fixing
상기 고정핀(131a)과 차단부재(220)에 형성된 유동 방지구멍(221)은, 수납부(130)가 개방되었을 때, 수납부(130)가 외부 충격이나 흔들림으로부터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130)를 완전히 개방시키기 위하여 내측 레일(122)을 외측 레일(121)의 길이방향 일단측으로 이동시키면, 내측 레일(122)의 길이방향 일단부는 스톱퍼(200)의 차단부재(220) 후면과 접촉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데, 이때, 수납부(130)가 그 폭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연결부재(131)의 전면부에 형성된 고정핀(131a)이 차단부재(220)에 형성된 유동 방지구멍(221)에 삽입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3 , when the
고정핀(131a)이 차단부재(220)의 유동 방지구멍(221)에 삽입된 상태가 되면, 개방된 상태를 이루는 수납부(130)가 그 폭방향(좌우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When the fixing pin (131a) is inserted into the flow prevention hole (221) of the blocking member (220), the receiving portion (130) constituting an open state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 the width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 have.
다시 말해, 스톱퍼(200)의 차단부재(220)는 개방된 상태를 이루는 수납부(130)가 그 길이방향을 따라 더 전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하고, 상기 차단부재(220)에 형성된 유동 방지구멍(221)과 수납부(130)의 연결부재(131)에 형성된 고정핀(131a)은 개방된 상태를 이루는 수납부(130)가 그 폭방향을 따라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In other words, the blocking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톱퍼(200)는, 수납부(130)의 길이방향의 이동을 제한함과 동시에 수납부(130)가 하우징(110)에서 이동되어 개방되었을 때, 그 폭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refore, the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31)의 전면부에는, 상기 수납부(130)가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노출될 때, 상기 차단부재(220)의 후면과 접촉되는 완충부재(131b)가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6 and 7 , on the front part of the
상기 완충부재(131b)는 상기 고정핀(131a)의 형성 위치보다 상부에 위치된 채 상기 연결부재(131)의 전면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핀(131a)이 유동 방지구멍(221)에 삽입되면 차단부재(220)의 후면과 접촉되는 돌출 길이를 가질 수 있다.The
참고로, 완충부재(131b)는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재, 실리콘, 합성수지재로 제작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따라서, 수납부(130)가 개방될 때, 스톱퍼(200)의 차단부재(220)에 전달되는 힘이 완화되어 차단부재(220)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so far,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the claims and equivalents.
100 :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110 : 하우징 120 : 레일부
121 : 외측 레일 121a : 연결편
122 : 내측 레일 130 : 수납부
131 : 연결부재 131a : 고정핀
131b : 완충부재 200 : 스톱퍼
210 : 제1결합부재 220 : 차단부재
230 : 제2결합부재 240 : 지지부재100: sliding glove box
110: housing 120: rail part
121:
122: inner rail 130: receiving part
131: connecting
131b: buffer member 200: stopper
210: first coupling member 220: blocking member
230: second coupling member 240: support member
Claims (6)
상기 스톱퍼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서 인출되는 수납부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며, 상기 한 쌍의 레일부의 선단에서 상기 한 쌍의 레일부를 서로 연결하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스톱퍼를 구비한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A sliding glove box comprising: a housing mounted on a dashboard; a pair of rails provided in an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a detachable stopper including a storage unit that is moved along the rail and can be pulled out in a sliding manner, the glove box comprising:
The stopper limits a movement distance of the receiving unit drawn out from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is provided in a form to connect the pair of rail units to each other at the tip of the pair of rail units. Equipped with sliding glove box.
상기 레일부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외측 레일;
상기 외측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수납부의 저부와 연결되는 내측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 레일의 길이방향 단부에는 상기 스톱퍼의 길이방향 단부와 연결되는 연결편이 마련되되. 상기 연결편은, 상기 외측 레일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측부를 향해 절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스톱퍼를 구비한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rail unit,
an outer rail mounted to the housing;
It includes; an inner rail that is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outer rail and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accommodating part;
A connecting piece connected to the longitudinal end of the stopper is provided at the longitudinal end of the outer rail. The connecting piece is a sliding glove box having a detachable stopper, characterized in that bent toward the side of the housing from the longitudinal end of the outer rail.
상기 스톱퍼는,
상기 연결편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결합부재;
상기 제1결합부재와 일체로 연결되며, 한 쌍의 상기 외측 레일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측 레일의 길이방향 일단부를 차단하는 차단부재;
상기 차단부재와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저부측 전면과 결합되는 제2결합부재; 및
상기 제2결합부재와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에서 인출되어 개방된 상기 수납부의 저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스톱퍼를 구비한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topper is
a first coupling member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ing piece;
a blocking member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upling member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air of outer rails face each other to block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rail;
a second coupling member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locking member and coupled to the bottom-sid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and
and a support member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second coupling member and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accommodating part which is drawn out from the housing and opened.
상기 수납부의 저부에는
상기 내측 레일과 연결되는 연결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수납부의 저부 일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스톱퍼를 구비한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4. The method of claim 3,
At the bottom of the storage unit
A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inner rail is provided,
The connecting member is a sliding glove box having a detachable stopp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ttom of the accommodating part.
상기 연결부재의 전면부에는 상기 차단부재에 형성된 유동 방지구멍에 삽입되는 고정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스톱퍼를 구비한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5. The method of claim 4,
A sliding glove box having a detachable stopper, characterized in that a fixing pin inserted into a flow preventing hole formed in the blocking member is provid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상기 연결부재의 전면부에는, 상기 수납부가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될 때, 상기 차단부재의 후면과 접촉되는 완충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스톱퍼를 구비한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6. The method of claim 5,
A sliding type glove box having a detachable stopper, characterized in that a buffer member is provid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to contact the rear surface of the blocking member when the receiving portion is slidably moved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4438A KR102478817B1 (en) | 2020-12-28 | 2020-12-28 | Sliding type glove box with detachable stopp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4438A KR102478817B1 (en) | 2020-12-28 | 2020-12-28 | Sliding type glove box with detachable stopp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93579A true KR20220093579A (en) | 2022-07-05 |
KR102478817B1 KR102478817B1 (en) | 2022-12-19 |
Family
ID=82402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84438A Active KR102478817B1 (en) | 2020-12-28 | 2020-12-28 | Sliding type glove box with detachable stopp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78817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395163A (en) * | 2022-09-14 | 2022-11-25 | 厦门海辰储能科技股份有限公司 | Cluster frame and energy storage devic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93937B1 (en) * | 2005-10-13 | 2007-03-12 | 정자훈 | Cover opening and closing rail device for multimedia function lecture table |
KR101200794B1 (en) * | 2012-05-22 | 2012-11-13 | (주)유나 | apparatus for receiving drawers |
KR20140113417A (en) * | 2013-03-15 | 2014-09-24 | 파우레시아 이넨라움 시스템 게엠바하 | Assembly arrangement of a glove compartment |
-
2020
- 2020-12-28 KR KR1020200184438A patent/KR10247881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93937B1 (en) * | 2005-10-13 | 2007-03-12 | 정자훈 | Cover opening and closing rail device for multimedia function lecture table |
KR101200794B1 (en) * | 2012-05-22 | 2012-11-13 | (주)유나 | apparatus for receiving drawers |
KR20140113417A (en) * | 2013-03-15 | 2014-09-24 | 파우레시아 이넨라움 시스템 게엠바하 | Assembly arrangement of a glove compartment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395163A (en) * | 2022-09-14 | 2022-11-25 | 厦门海辰储能科技股份有限公司 | Cluster frame and energy storage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78817B1 (en) | 2022-12-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499785B2 (en) | Storage device | |
CN107847047B (en) | Sliding device | |
KR102390626B1 (en) | Glove box shake prevention structure | |
US7402044B2 (en) | Installation apparatus | |
KR20220128537A (en) | Glove box switchgear | |
KR20220093579A (en) | Sliding type glove box with detachable stopper | |
KR102501242B1 (en) | Sliding type glove box | |
US11266239B1 (en) | Slide rail assembly | |
KR102530050B1 (en) | Sliding type glove box | |
JP2016168999A (en) | Grab box | |
US12042045B2 (en) | Slide rail assembly | |
US9211845B2 (en) | Doors for console boxes | |
KR100589271B1 (en) | Guide structure of the tray | |
KR102390625B1 (en) | Sliding type glove box | |
KR200390556Y1 (en) | sliding rail | |
JP2009241825A (en) | Height switching structure of automobile deck board | |
KR20220170295A (en) | Storage system for vehicle door | |
KR102478810B1 (en) | Sliding type glove box having stopping structure | |
KR20220053887A (en) | Center console of vehicle | |
KR101987127B1 (en) | Guide structure of shutter for opening and closing article receiving device | |
KR100558739B1 (en) | Car sliding compartment | |
KR101987134B1 (en) | Guide structure of shutter for opening and closing article receiving device | |
KR200393608Y1 (en) | Auto control device of slide a rail | |
JP3582742B2 (en) | Drawer suspension device | |
KR20040089327A (en) | Rail for drawer of kimchi refriger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6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1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