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093527A - Trap for catch Bemisia tabaci - Google Patents

Trap for catch Bemisia tabaci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3527A
KR20220093527A KR1020200184333A KR20200184333A KR20220093527A KR 20220093527 A KR20220093527 A KR 20220093527A KR 1020200184333 A KR1020200184333 A KR 1020200184333A KR 20200184333 A KR20200184333 A KR 20200184333A KR 20220093527 A KR20220093527 A KR 20220093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p
tobacco
yellow
catching
powdery mildew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43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38854B1 (en
Inventor
권기봉
백경규
김영운
이신동
정성채
김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디
Priority to KR1020200184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8854B1/en
Publication of KR20220093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35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854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03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for crawl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01M1/145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adhesiv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p for catching Bemisia tabaci in order to control Bemisia tabaci in plant cultivated in facility or on a bare ground, which comprises: a body container (10) having generally a cylindrical shape with an upper part closed and a lower part opened and made from a composite resin having a color of yellow made from a semi-transparent material, wherein light can penetrate the same, and having a canopy (12) in a curved shape on a top surface to serve as a filter of scattered light and refractive light and an empty room formed therein, where a yellow adhesive trap can be installed to attract and catch Bemisia tabaci; and a base (20) generally having a shape of a flat disc and joined detachably to a lower part of the body container (10), manufactured from a blackish composite resin of an opaque material which light can't penetrate, and having a circular inlet (22) formed in the center and a coupling unit (24) connected to the body container (10) in an upper body of the inlet (22).

Description

담배가루이 포획용 트랩 {Trap for catch Bemisia tabaci}Trap for catch Bemisia tabaci}

본 발명은 시설작물 재배 및 노지재배 원예작물에서 담배가루이(가루이류)를 방제하기 위한 담배가루이 포획용 트랩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p for catching tobacco whiteflies for controlling tobacco powdery mildew (white powdery mildew) in facility crop cultivation and open-field horticultural crops.

가루이류는 전 세계적으로 약 1200여 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7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가장 문제되는 것이 온실가루이와 담배가루이이다.About 1,200 species of whitefly are recorded worldwide, and 7 species are reported in Korea, and the most problematic are the greenhouse whitefly and tobacco whiteflies.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 (Gennadius))가 좋아하는 기주 식물은 오이, 참외, 수박, 호박, 메론, 가지, 토마토, 감자 등이며, 풋고추, 파프리카, 피망을 포함한 고추류에서도 심하게 발생하기 시작했다.The preferred host plants of the tobacco whitefly (Bemisia tabaci (Gennadius)) are cucumbers, melons, watermelons, pumpkins, melons, eggplants, tomatoes, and potatoes, and it started to occur heavily in red peppers, including green peppers, paprika, and green peppers.

이중 우리나라에 발생한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는 매미목(Homoptera) 가루이과(Aleyrodidae)에 속하며, 발생밀도가 낮아도 작물에 여러 종류의 바이러스 병을 매개하여 식물체에서의 병 발생과 생리적 변화를 유발시켜 피해를 일으키고 번식력이 강한 B strain(B biotype)으로 보고되고 있다(Lee et. al,2000). 그리고 폭넓은 기주범위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온실작물과 주변에 있는 잡초에서도 발생하여 식물체를 흡즙하고, 바이러스병 매개와 이로 인한 생산량 감소로의 피해로 연결되게 된다. 담배가루이가 흡즙하면 작물이 약해져서 시들게 되며, 작물체의 성장률과 생산량이 감소하고(Berlinger, 1986), 이로 인하여 잎이 탈색되거나 떨어지게 되고, 이는 작물체의 고사로 이어지기도 한다. 또한, 흡즙가해와 흡즙 후 감로 배설은 광합성을 저해하여 과실의 수량에 영향을 주고(Glii, 1990), 토마토의 잎이 은색으로 변하거나 과실이 불균일하게 익게 되며, 잎과 과실에 그을음병을 유발시킨다. Among them, the tobacco powdery mildew (Bemisia tabaci) that occurred in Korea belongs to the family Aleyrodidae of the order Homoptera, and although the incidence density is low, it mediates various kinds of virus diseases in crops, causing disease outbreaks and physiological changes in plants, causing damage. It is reported as a B strain (B biotype) with strong fertility (Lee et. al, 2000). And because it has a wide host range, it also occurs in most greenhouse crops and surrounding weeds, sucks plants, and leads to damage due to the transmission of viral diseases and reduced production. When the tobacco powdery sucks, the crop is weakened and withered, and the growth rate and yield of the crop are reduced (Berlinger, 1986), which causes the leaves to discolor or fall, which can lead to the death of the crop. In addition, poisoning of juice and excretion of nectar after sucking inhibits photosynthesis and affects the yield of fruit (Glii, 1990), the leaves of tomatoes turn silver or the fruit ripens unevenly, and soot disease on the leaves and fruit is induced. make it

그리고 그을음병이 발생하면 광합성을 감소시키는 것은 물론 작물의 상품성도 떨어지게 된다(Berlinger, 1986). 또한, 담배가루이의 경우에는 바이러스를 매개할 경우에 낮은 밀도에서도 큰 피해를 줄 수 있다(Cohen and Berlinger, 1986), 또한, 살충제에 대한 높은 저항성이 있음으로써, 방제적 관점에 있어서도 발생량 증가가 매우 우려되는 해충이기도 하다.And when soot disease occurs, photosynthesis is reduced as well as crop productivity (Berlinger, 1986). In addition, in the case of tobacco powdery mildew, it can cause great damage even at low density when it mediates viruses (Cohen and Berlinger, 1986). It is also a pest of great concern.

담배가루이는 열대 또는 아열대지역에서 발생하는 해충이나 현재는 유럽, 지중해, 아프리카, 아시아, 아메리카 대륙 등 전 세계적으로 문제되는 해충으로써, 우리나라에서는 1988년 충북 진천, 경기도 고양에서 처음 발견된 외래해충이다. 이후 2004년부터는 경남과 전남의 일부 토마토 재배농가에서도 문제가 되기 시작하였고, 2005년에는 고추류 작물을 포함하여 넓은 지역으로 확산하였다. 그리고 2006년에는 강원도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 국내의 모든 지역으로 확산하였다. 이미 10년 전부터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확산하여 경제적 피해를 일으킬 것으로 예상되기도 하였다. 담배가루이와 온실가루이 등의 가루이류의 생활사는 알-->1령(움직일 수 있는 1령 약충(crawler))-->2령 약충-->3령 약충-->4령 약충(번데기 단계)-->성충으로의 발육단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중 2~4령 약충단계는 다리가 없이 고착하여 발육하는 단계이다.Tobacco powdery mildew is a pest that occurs in tropical or subtropical regions, but is currently a worldwide problem in Europe, the Mediterranean, Africa, Asia, and the Americas. After that, from 2004, some tomato growers in Gyeongnam and Jeonnam started to become a problem, and in 2005, it spread to a wide area including red pepper crops. And in 2006, it spread to all regions of Korea except for some regions of Gangwon-do. It was predicted that it would spread all over Korea from 10 years ago and cause economic damage. The life history of whitefly, such as tobacco whiteflies and greenhouse whiteflies, is egg-->1st instar (movable 1st instar crawler)-->2nd instar nymph-->3rd instar nymph-->4th instar nymph (pupa stage) )--> It has a stage of development into an adult, and among them, the 2nd to 4th instar nymph stage is the stage of development by fixing without legs.

담배가루이의 생활사는 온실가루이와 유사하다. 목화에서는 암컷 한 마리가 평균 70~80개의 알을 낳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Butler et al. 1983). 부화 직후 1령은 이동성을 지니고 있지만, 일단 한 번 정착하면 고착생활을 한다. 먹이의 종류와 온도에 따라서 차이가 심한 편인데, 2주 내지 4주 정도의 약충 기간을 거치면 성충이 된다. 우화장소에서 산란장소로 이동하기 위해 짧은 거리를 이동하며, 이동거리가 4~5m를 넘지 않는다(Berlinger. 1986).The life cycle of tobacco whiteflies is similar to that of greenhouse whiteflies. In cotton, it is known that one female lays an average of 70-80 eggs (Butler et al. 1983). Immediately after hatching, first instars are mobile, but once settled, they lead a sedentary life. There is a big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ype of food and the temperature, and the nymph becomes an adult after 2 to 4 weeks of nymph. They move a short distance from the spawning site to the spawning site, and the distance does not exceed 4-5 m (Berlinger. 1986).

담배가루이의 알은 포탄모양으로 알 자루가 기공이나 잎 표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잔털이 없는 작물에서는 원형을 그리며 산란을 하고, 털이 많은 작물에서는 일정한 형태를 가지지 않고 산란을 한다. 알의 색깔은 산란 직후 옅은 노란색 계통을 띠며,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옅은 갈색계통으로 변화된다.Tobacco powdery eggs are shell-shaped, with egg stalks attached to the stomata or the leaf surface. Generally, in crops without fine hairs, they lay eggs in a circular shape, and in hairy crops, they lay eggs without a uniform shape. The color of the eggs is pale yellow immediately after spawning, and gradually changes to a light brown system over time.

약충단계에서 두 종을 구별하기는 매우 어렵지만, 알과 번데기 단계에서는 구별이 가능하다. 갓 낳은 알은 모두 연한 황백색이기 때문에 구별하기 쉽지 않지만, 시간이 경과 할수록 고유의 짙은 색을 지니게 된다. 온실가루이 알은 검은 빛으로 변하며, 담배가루이 알은 짙은 황색을 지닌다. 온실가루이 번데기는 왁스를 분비하는 크고 작은 돌기들이 잘 발달해 있지만, 담배가루이는 특별한 돌기구조가 발달해 있지 않다. 온실가루이 번데기는 흰 빛깔을 지니고 통통한 느낌을 줄 정도로 두껍지만, 담배가루이 번데기는 노란 빛깔을 지니고, 원반처럼 납작한 모양이다. 담배가루이의 1령 약충은 크기가 0.25mm이며, 다리가 있어 이동할 수 있고, 2령 약충은 납작한 형태로 변하여 4령 약충(0.8mm)까지 고착생활을 하며 발육하게 된다. 그리고 약충의 모든 단계는 옅은 노란색(미색계통)을 나타냄으로써, 온실가루이 약충과는 구별된다. 번데기 단계는 4령 약충 상태에서 그대로 적색의 눈이 형성되며, 온실가루이는 몸에 털이 많이 있으나, 담배가루이는 체모가 거의 보이지 않을 정도로 털이 드물게 있고, 체색은 옅은 노란색(미색계통)을 나타낸다. It is very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two species at the nymph stage, but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them at the egg and pupae stage. Newly laid eggs are all light yellowish white, so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m, but as time goes by, they have their own dark color. Greenhouse whitefly eggs turn black, and tobacco whitefly eggs have a dark yellow color. Greenhouse whitefly pupae have well-developed large and small projections that secrete wax, but tobacco whiteflies do not have a special projection structure. Greenhouse white pupae have a white color and are thick enough to give a plump feeling, whereas tobacco white pupae have a yellow color and are flat like a disk. The 1st instar nymphs of tobacco whiteflies are 0.25mm in size and have legs so they can move around, and the 2nd instar nymphs change to a flat shape and develop a fixed life up to the 4th instar nymphs (0.8mm). And all stages of the nymph are pale yellow (off-white system), which distinguishes them from the nymphs of G. nymphs. In the pupa stage, red eyes are formed in the state of the 4th instar nymph. Greenhouse whitefly has a lot of hair, but tobacco whitefly has sparse hair so that it is hardly visible, and the body color is pale yellow (off-white).

알에서 성충까지의 발육기간은 25℃에서 18~20일 정도가 소요되며, 성충의 수명기간은 약 10~25일 정도이다. 암컷성충은 토마토, 가지작물의 경우 약 170~230여개의 알을 산란할 수 있다. 온실가루이와 담배가루이 성충을 외견상 형태로 구별하기는 쉽지 않으나, 담배가루이 성충의 몸길이(체장)는 0.8mm 정도이며, 온실가루이(삼각형 형태)보다 약간 작고 길쭉한 형태이다. 날개 또한 온실가루이에 비해 좁고 긴 편이어서, 맨 눈으로 보아도 온실가루이에 비해 휠씬 작게 느껴진다. 날개를 접고 쉴 때 모습을 비교하면 온실가루이의 경우 양쪽 날개가 겹치는데 비해 담배가루이는 양쪽 날개가 살짝 떨어져 있다. 체색은 옅은 노란색을 나타내며, 날개 표면에 왁스로 구성된 흰색 가루가 더 많이 덮여 있다. The development period from egg to adult takes about 18 to 20 days at 25°C, and the lifespan of an adult is about 10 to 25 days. The female adult can lay about 170~230 eggs in the case of tomato and eggplant crops. Although it is not easy to distinguish between the greenhouse whiteflies and the adult tobacco whiteflies by the appearance, the body length (length) of the adult tobacco whiteflies is about 0.8mm, and it is slightly smaller and elongated than the greenhouse whiteflies (triangular shape). The wings are also narrower and longer than the greenhouse whiteflies, so even with the naked eye, they feel much smaller than the greenhouse whiteflies. Comparing the appearance when the wings are folded and resting, in the case of the greenhouse whitefly, both wings overlap, whereas in the tobacco whitefly, the wings are slightly apart. The body color is pale yellow, and the surface of the wings is covered with more white powder composed of wax.

담배가루이는 25~30℃를 좋아하며, 암컷 성충의 경우에는 영상 28~30℃에서는 약 10~15일 생존하며, 온도가 낮아지는 겨울의 경우에는 1~2개월 정도를 생존 할 수 있다. 또한, 기주식물이 없는 생육환경 조건의 저온에서도 몇 주 정도를 생존 할 수 있다. 그러나 0℃ 이하에서는 생존 할 수 없다. 담배가루이 약충의 경우에는 영상 16℃ 이하에서는 발육이 정지하게 되며, 9℃ 이하의 생육환경조건에서 상대습도까지 낮다면 급속히 발생밀도가 낮아지거나 죽게 된다. 담배가루이 성충의 산란습성은 온실가루이와는 차이가 있다. 온실가루이 경우에는 작물체의 상단부 신초부위에 알을 낳으나, 담배가루이의 경우는 작물체의 상하 구분없이 작물체의 전체부위에서 잎의 뒷면에 산란을 한다. 그래서 농작물의 한 잎에서 알~번데기까지의 여러 생육단계가 모두 확인될 수 있다.Tobacco whitefish prefers 25-30℃, and in the case of adult females, it can survive for about 10-15 days at 28-30℃ above the freezing temperature, and about 1-2 months in winter when the temperature is lowered. In addition, it can survive for several weeks even at low temperatures in the growing environment without host plants. However, it cannot survive below 0℃. In the case of tobacco powdery mildew, growth stops at temperatures below 16°C, and if the relative humidity is low in the growing environment of 9°C or below, the density of occurrence rapidly decreases or death occurs. The spawning habits of adult tobacco whiteflie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greenhouse whiteflies. In the case of greenhouse whitefly, eggs are laid on the upper part of the shoot of the crop, but in the case of tobacco whiteflies, eggs are laid on the back of the leaf from the entire part of the crop regardless of the top and bottom of the crop. Therefore, all the various growth stages from one leaf to the egg to pupa of a crop can be identified.

담배가루이의 가해특성 중에서 약충과 성충이 작물체를 흡즙하고 감로를 배설함으로써, 토마토, 파프리카, 가지 등의 과실은 광합성 능력이 저하됨으로써 착색이 불규칙하게 되며, 또 다른 가해특성 중 식물병 바이러스 매개의 경우, 담배가루이는 25종 이상의 바이러스를 작물체에 매개할 수 있으며, 토마토에서의 TYLCV(tomato yellow leaf curl virus)처럼 바이러스와 유사한 병원균도 매개하며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으며, 살충제 저항성 정도가 매우 높은 난방제 해충이기도 하다. Among the harmful characteristics of tobacco powder, the nymphs and adults suck crops and excrete nectar, so the photosynthetic ability of tomatoes, paprika, eggplant, etc. is reduced, resulting in irregular coloration, and among other harmful characteristics, In this case, tobacco powdery mildew can mediate more than 25 kinds of viruses to crops, and it also mediates pathogens similar to viruses like TYLCV (tomato yellow leaf curl virus) in tomatoes, causing serious damage worldwide, and the degree of insecticide resistance is very high. It is also a high heating agent pest.

현재 담배가루이(가루이류)에 대해 예찰 및 방제의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트랩은 노란색 점착 트랩(yellow sticky trap)이 유일하다. 이는 담배가루이를 비롯한 가루이류가 미소 곤충이면서 어떠한 색상보다 노란색에 잘 유인되기 때문이다. Currently, the only trap that is being used for the purpose of monitoring and controlling tobacco powdery mildew is the yellow sticky trap. This is because whitefly, including tobacco whiteflies, are microscopic insects and are more attracted to yellow than any other color.

본 출원인이 검색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특허문헌 1 내지 3이 개시되어 있는데, 특허문헌 1의 '색대비를 이용한 점착트랩 및 이를 이용한 해충 방제방법'은 해충 유인색으로 이루어진 원형의 중앙 트랩부와; 상기 트랩부의 색에 대한 보색으로 이루어진 주변의 배경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트랩부와 배경부의 넓이 비율이 1:5∼1:10인 점착트랩이다.According to the search by the present applicant, Patent Documents 1 to 3 are disclosed as 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 central trap unit; It is an adhesive trap made of; a background part made of a color complementary to the color of the trap part, and the area ratio of the trap part and the background part is 1:5 to 1:10.

특허문헌 2의 '스마트 온실용 해충 가루이 친환경 무인포집장치'는 온실 가루이나 담배 가루이와 같은 가루이 계열의 해충을 유인한 후 자외선을 이용하여 제거함으로써 해충의 개체수 확산을 방지하고 화학약품으로 인한 작물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원격제어를 통해 작업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Smart Greenhouse Pest Greenhouse Eco-Friendly Unmanned Collecting Device' of Patent Document 2 attracts and removes whitefly-type pests such as greenhouse powder and tobacco whiteflies using ultraviolet rays to prevent the spread of pest populations and damage crops caused by chemicals. In addition, it is designed to improve the convenience and safety of workers through remote control using smart devices.

또, 특허문헌 3의 '온실에서 사용되는 해충 가루이 친환경 무인포집기'는 온실 가루이나 담배 가루이와 같은 가루이 계열의 해충을 강제 흡입을 통해 자외선과 오존을 이용하여 제거함과 아울러 화학적 유인을 통해 작물의 잎 배면에 위치한 해충을 흡착하여 제거함으로써 해충의 개체수 확산을 방지하고 화학약품으로 인한 작물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eco-friendly unmanned insect pest dust collector used in greenhouses' of Patent Document 3 removes pests of the white family such as greenhouse dust and tobacco whiteflies by using ultraviolet and ozone through forced inhalation and chemical attraction to the leaves of crops. By adsorbing and removing pests located on the back surfa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pread of pest populations and to prevent damage to crops due to chemicals.

한국등록특허 제0-0853616호(2008.08.14. 등록)Korea Patent No. 0-0853616 (Registered on August 14, 2008) 한국등록특허 제10-1819426호(2018.01.10. 등록)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19426 (Registered on Jan. 10, 2018) 한국등록특허 제10-1945482호(2019.01.29. 등록)Korean Patent No. 10-1945482 (registered on January 29, 2019)

본 발명은 시설작물 재배 및 노지재배 원예작물에서 담배가루이(가루이류)를 효과적으로 방제함을 목적으로 하며, 합성농약과 본 발명의 트랩을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합성농약의 연간 사용량 절감과 광범위 살충제의 사용빈도 감소를 목적으로 하고, 고품질의 친환경농산물을 안전하게 생산함으로써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수요 충족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effectively control tobacco powdery mildew in facility crop cultivation and open-field horticultural crops. The purpose is to reduce the frequency and to satisfy the demand for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by safely producing high-quality,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가루이류가 노란색에 잘 유인되는 기본적인 성질을 이용한 것으로, 태양 빛을 산란시켜 가루이류로 하여금 노란색에 대한 민감도를 높여 주어 기존 노란색 점착 평판 트랩보다 높은 유인력을 나타낼 수 있게 하였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uses the basic property that whiteflies are attracted to yellow, and scatters sunlight to increase the sensitivity of whiteflies to yellow by scattering sunlight, thereby increasing the attraction force compared to the existing yellow sticky flat trap. made it possible to represent

또한, 노란색 유인 점착 트랩을 가루이류의 시각적으로 부각시키기 위해 몸통 하부에 검정색 베이스를 접목하였다. In addition, a black base was grafted on the lower part of the body to visually emphasize the yellow attracting adhesive trap of whitefly.

노란색에는 가루이류만 잘 유인되는 것이 아니라 파리류를 비롯한 수많은 곤충이 유인된다. 그렇기 때문에 현장에서 목적하는 가루이류 점착으로 인한 점착 트랩 교체보다 불특정 곤충의 점착으로 빈번한 교체가 일어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몸통 안에 노란색 점착 트랩이 위치하고 있어 불특정 곤충에 의한 점착 상황이 획기적으로 줄어 불필요한 접착 트랩의 교체가 없으며, 예찰을 목적으로 사용 시 비교적 정확한 예찰이 가능하다. Yellow attracts not only whitefly, but also many insects, including flies. For this reason, frequent replacement occurs with the adhesion of unspecified insects rather than the replacement of the adhesion trap due to the desired adhesion of powdery mildew in the field.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yellow adhesive trap is located in the body, the adhesive situation by unspecified insects is dramatically reduced, so there is no unnecessary replacement of the adhesive trap, and relatively accurate observation is possible when used for the purpose of observation.

본 발명에 의하면 태양 빛의 산란 효과에 의한 노란색의 민감도 향상으로 유인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몸통 내부에 접착 트랩이 위치하므로 가루이류가 아닌 불특정의 곤충 점착이 줄어들어 접착 트랩의 빈번한 교체가 필요 없으며, 정확한 예찰 또한 가능하고, 예찰 확인이나 점착 트랩 교체 시에도 불편함이 없는 장점이 있다. 이는 원예작물에서 주요 해충인 담배가루이 개체 및 개체군을 보다 종합적인 관점에서 관리함으로써, 연중 방제에 소요되는 노동력의 절감과 합성농약으로 인한 피해로부터 농업인과 소비자의 건강을 지킬 수 있게 해주는 등의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attraction effect by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yellow due to the scattering effect of sunlight, and since the adhesive trap is located inside the body, the adhesion of unspecified insects, not the whitefly, is reduced, and frequent replacement of the adhesive trap is not required. , accurate observation is also possible, and there is no inconvenience in checking the inspection or replacing the adhesive trap. This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labor required for year-round control and protecting the health of farmers and consumers from damage caused by synthetic pesticides by managing the individual and population of tobacco powder, a major pest in horticultural crops, from a more comprehensive point of view. there i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담배가루이 포획용 트랩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포획용 트랩의 저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포획용 트랩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담배가루이 포획용 트랩의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의 실험구와 대조구의 담배가루이 포획 개페수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포획용 트랩과 무산란 방식의 포획용 트랩의 실물사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rap for catching tobacco pow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trap shown in Figure 1;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trap shown in FIG. 2;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p for catching tobacco pow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graph of the number of pieces of tobacco powder captur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of this embodiment;
6 is a real photograph of the trap for trapping and the trap for trapping of the non-scatte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that do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담배가루이 포획용 트랩(1)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유인 및 포획기능을 갖는 몸통(10)과, 상기 몸통(10)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2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1 to 3, there is shown a trap 1 for catching tobacco pow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a body 10 having an attracting and trapping function, and detachably at the lower part of the body 10 It consists of a base 20 to be coupled.

상기 몸통(10)은 상부는 폐쇄되고 하부는 개방된 대체로 실린더형을 이루고 있으며, 빛이 투과될 수 있는 반투명 재질의 합성수지로 제작되는데 색상은 노란색 계열이다.The body 10 has a generally cylindrical shape with a closed upper portion and an open lower portion, and is made of a translucent synthetic resin that allows light to pass through, and the color is yellow.

상기 몸통(10) 상면의 캐노피(canopy;12)는 산란광 및 굴절광 필터 역할을 한다. 몸통(10) 내부에는 평판형의 노란색 점착 트랩(도시 생략됨)이 장착될 수 있는 빈 공간이 구비되어 있다. A canopy 1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 serves as a filter for scattered light and refracted light. An empty space is provided inside the body 10 in which a flat yellow adhesive trap (not shown) can be mounted.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캐노피(12)는 단순히 골과 산이 교대를 이루는 톱니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굴곡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지(외부)에 설치되는 트랩(1)의 경우에는 방사상으로 굴곡진 형태를 이루고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canopy 12 is simply formed of a sawtooth shape in which bones and mountains alternat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of curves. In the case of the trap 1 installed in the field (outside) as well, it has a radially curved shape.

본 실시 예에 의한 트랩(1)은 상술한 캐노피(12)가 일종의 굴절 필터 역할을 하게 되는 것으로, 빛이 필터를 통해 몸통(10) 내부로 투과되면 빛의 산란을 만들어 시각적으로 빛의 양과 밝기가 증폭된 착각을 일으키고, 산란된 빛은 몸통(10) 내부에 위치한 노란색 점착 트랩의 색을 더욱 뚜렷하게 보이도록 하게 됨으로써 유인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e trap 1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above-described canopy 12 serves as a kind of refractive filter. causes an amplified illusion, and the scattered light makes the color of the yellow adhesive trap located inside the body 10 more clearly visible, thereby maximizing the attraction effect.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몸통(10) 내부는 도면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원형으로 말린 또는 평판형의 노란색 점착 트랩이 위치한다. 원형의 몸통(10)은 투과되어 산란한 빛이 노란색 점착 트랩(1) 전체에 퍼뜨리게 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side of the body 10 is not shown in the drawing, but a yellow adhesive trap of a circularly rolled or flat plate type is located. The circular body 10 spreads the transmitted and scattered light throughout the yellow adhesive trap 1 .

또, 상기 몸통(10) 외부에는 트랩(1)을 매달 수 있는 고리(14)가 사방으로 돌출되어 있는데, 이는 트랩(1)이 작물 위에 수직으로 있을 때 효과가 높기 때문에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네 방향에서 매달아야 한다. In addition, on the outside of the body 10, a ring 14 for hanging the trap 1 protrudes in all directions, which is effective when the trap 1 is vertical on the crop, so that it can be maintained horizontally. should be hung from the

상기 베이스(20)의 형태는 대체로 납작한 원반형이며, 빛이 투과되지 않는 불투명 합성수지 재질로 색상은 검정색 계열이다. 상기 베이스(20)의 중앙에는 원형의 유입구(22)가 있고, 몸통(10)과 연결되는 체결부(24)가 구비되어 있다.The base 20 has a generally flat disk shape, and is made of an opaque synthetic resin material that does not transmit light and has a black color. A circular inlet 22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base 20 , and a fastening part 24 connected to the body 10 is provided.

상기 베이스(20)는 중앙의 유입구(22)를 제외하고 몸통(10)을 투과한 빛이 아래로 향하는 것을 막는다. The base 20 prevents light passing through the body 10 from going downward except for the central inlet 22 .

상기 베이스(20)의 색상은 검정색 계열로 노란색 계열의 몸통(10)과 몸통(10) 내부의 노란색 점착 트랩을 시각적으로 부각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color of the base 20 is black and serves to visually highlight the yellow body 10 and the yellow adhesive trap inside the body 10 .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체결부(24)는 여러 작은 각으로 이루어진 다각형으로 되어 있는데, 도면상으로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몸통(10)의 하단부가 체결부(24)외측을 덮는 형태로 끼운 후 일방향으로 돌리면 바로 고정 결합되는 회전조임식으로 이루어져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astening part 24 has a polygonal shape with several small angles. 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in the drawing, the lower end of the body 10 covers the outer side of the fastening part 24 and then fits in one direction. It consists of a rotary tightening type that is fixed and coupled immediately by turning it.

상기 몸통(10) 하단과 베이스(20)가 결합되는 다각형의 각 숫자는 동일해야 하며, 직경 10cm를 기준으로 18각형이 적당하며. 직경이 2cm 증가할 때 세 개의 각을 증가시킨다. Each number of the polygon 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body 10 and the base 20 are coupled must be the same, and an 18-gonal shape is suitable based on a diameter of 10 cm. Increase the three angles when the diameter increases by 2 cm.

한편, 담배가루이 및 가루이류는 농약에 가장 잘 적응한 해충이라고 할 수 있다. 담배가루이 및 가루이류의 유충과 같이 표피가 왁스(wax)로 덮여 있는 경우에는 충체로의 농약의 침투가 어렵고, 직접 접촉이 쉽지 않기 때문에 살충제 저항성 정도가 높다. 그런데 국내에서 확인되는 가루이류 중에서도 담배가루이는 발생밀도가 낮아도 작물에 여러 종류의 바이러스병을 매개하여 식물체에서의 병 발생과 생리적 변화를 유발시켜, 피해를 일으키는 B biotype(B strain)의 생태형으로 보고되고 있다(Lee et. al,2000). B biotype(B strain)의 담배가루이는 번식력이 강하며, 살충제 저항성 정도도 매우 높아서 더욱더 문제가 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t can be said that tobacco powdery mildew and whitefly are the most adapted pests to pesticides. When the epidermis is covered with wax, such as tobacco powdery mildew and whitefly larvae, it is difficult to penetrate the pesticide into the insect body, and since direct contact is not easy, the degree of insecticide resistance is high. However, among powdery mildew found in Korea, tobacco powdery mildew is reported as an ecological type of B biotype (B strain) that causes damage by mediating various kinds of viral diseases in crops even though the occurrence density is low, causing disease outbreaks and physiological changes in plants. (Lee et. al, 2000). Tobacco powder of B biotype (B strain) has a strong fertility and has a very high degree of resistance to pesticides, so it is becoming more and more of a problem.

이러한 가루이의 생태적 특성과 생태형을 고려하지 않고, 살충 범위가 넓어서 여러 종의 곤충(해충+천적+일반곤충 등)을 동시에 죽일 수 있는 합성농약(작물보호제, 광범위 살충제)이나, 잔효력이 길어 오랫동안 작물체에 남아있어서 문제가 될 수 있는 카바메이트계, 합성피레스로이드계, 유기인계와 같은 합성농약이 많이 사용됨은 반드시 지양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유기인계, 카바메이트계, 합성피레스로이드계통의 합성농약은 가루이류 및 담배가루이 방제에서 많이 사용되는 살충제이기도 하다. 합성농약(작물보호제, 살충제)을 사용함에 있어서는 해충은 잘 죽이지만, 천적, 일반곤충(재배작물에 무해한 곤충)과 농작물에는 전혀 피해를 주지않는 농약을 사용해야 한다. 또한 곤충에 미치는 영향(side effects)이 낮으며, 담배가루이 및 가루이류에 대한 선택성이 높은 농약을 사용해야 한다. Synthetic pesticides (crop protection agents, broad-spectrum insecticides) that can simultaneously kill several species of insects (pests + natural enemies + general insects, etc.) The use of a lot of synthetic pesticides such as carbamate, synthetic pyrethroid, and organophosphorus, which can be a problem because they remain on crops, should be avoided. And organic phosphorus-based, carbamate-based, synthetic pyrethroid-based synthetic pesticides are also insecticides widely used in the control of powdery mildew and tobacco powdery mildew. When using synthetic pesticides (crop protection agents, pesticides), pesticides that kill pests well, but do not damage natural enemies, general insects (insects harmless to cultivated crops) and crops should be used. In addition, pesticides with low side effects on insects and high selectivity for tobacco powdery mildew and whitefly must be used.

하지만, 대부분의 시설채소나 과채류(오이, 호박, 수박, 멜론, 참외, 토마토, 방울토마토, 딸기, 고추, 가지 등)에서 담배가루이 및 가루이류가 연중발생하고 있으며, 또한 연중 생산되는 농작물의 안전성을 위해서 담배가루이 및 가루이류 방제 시 합성농약의 사용은 어떠한 경우에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합성농약의 사용량과 사용 빈도를 줄이는 방법에는 잔류기간이 짧고, 대상 해충에 대한 선택성이 높은 농약을 사용하고, 연간 살포횟수를 줄이는 것과 함께 천적을 보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However, tobacco powdery mildew and powdery mildew occur year-round in most plant and fruit vegetables (cucumber, pumpkin, watermelon, melon, melon, tomato, cherry tomato, strawberry, red pepper, eggplant, etc.) For safety reasons, it is desirable to reduce the use of synthetic pesticides in controlling tobacco powdery mildew and powdery mildew in any case. In order to reduce the amount and frequency of use of these synthetic pesticides, it is very important to use pesticides with a short retention period and high selectivity for target pests, and to reduce the number of annual sprays and to protect natural enemies.

천적의 보호는 합성농약(살충제, 작물보호제)의 과다한 살포를 줄이기 위해서 선행적으로 농작물 재배지에 충분한 천적의 발생이 필요하지만, 현실적으로는 합성농약으로 인하여 천적은 수시로 죽게 됨으로써, 매우 낮은 수준에서 증감을 반복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현실의 원예작물 재배지에서의 자연적인 천적 발생과 천적을 통한 담배가루이 및 가루이류의 밀도 억제를 기대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그래서 합성농약의 사용을 먼저 충분량 만큼 줄이는 것이 우선되어야, 이후 천적이 자연적으로 발생량이 증가함을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order to reduce the excessive spraying of synthetic pesticides (insecticides, crop protection agents), sufficient natural enemies must be generated in advance in order to reduce excessive spraying of synthetic pesticides, but in reality, natural enemies often die due to synthetic pesticides. It is limited to repetition.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 occurrence of natural natural enemies in real horticultural crops and the suppression of the density of tobacco powdery mildew and powdery mildew through natural enem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use of synthetic pesticides by a sufficient amount first, so that natural enemies can be expected to naturally increase the amount thereafter.

천적을 생물적방제제로 이용하여 천적을 인위적으로 방사한 경우에도 합성농약의 살포시기와 독성 잔류기간이 반드시 고려되어서 사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천척 방사와 합성농약 살포 그리고 이를 환경조건(온도, 습도, 일조량 등)과 함께 고려하는 것이 다소 복합적인 요인들이 있어서 충분히 고려되기는 어려운 점이 있기도 하다. 때론 담배가루이 및 가루이류의 살충제에 대한 교차저항성 출현을 막기 위해 살포 시 합성농약의 계통을 달리하는 경우에도 합성피레스로이드 계통과 같은 광범위 살충제는 수 시간 또는 수일 내에 없어지지긴 하지만, 잔류기간인 반감기가 짧은 만큼 실제의 연중 사용되는 살충제의 성분 종류와 살포빈도는 증가하게 되는 점이 있기도 하다.Even when natural enemies are artificially released by using natural enemies as biological control agents, the application period of synthetic pesticides and duration of toxicity must be considered before use. However, there are some complex factors that are difficult to fully consider as there are some complex factors to consider, such as light emission and spraying of synthetic pesticides, along with environmental conditions (temperature, humidity, amount of sunlight, etc.). In some cases, even when different types of synthetic pesticides are applied to prevent the appearance of cross-resistance to tobacco powdery mildew and whitefly insecticides, broad-spectrum insecticides such as synthetic pyrethroids disappear within hours or days, but the remaining half-life There is also a point that the type of insecticide used throughout the year and the frequency of application increase as the is shorter.

그래서 담배가루이 및 가루이류의 발생량이 경제적 피해허용수준이하로 유지되면서도, 고품질의 친환경농산물을 안전하게 생산하고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수요를 충족하게 하기 위해서는 합성농약의 연간 사용량과 사용횟수를 줄여야 하며, 농약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도 선택성이 높은 합성농약을 사용하고, 천적 곤충을 보호하기 위한 재반적 여건이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시설 및 노지 재배지에서의 환경조건(온도, 습도, 일조량 등)의 지속적인 변화가 주는 발생증가 요인에 대한 보완적 방안으로 담배가루이 및 가루이류에 대한 썬일루전 트랩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는 연속적이며, 지속적으로 담배가루이 및 가루이류의 발생밀도 증가를 억제하는 기능을 함으로써, 합성농약(살충제, 작물보호제)의 사용량을 줄이며, 해충발생속도보다 느린 천적 발생에 대하여 시간적, 공간적으로 보완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바탕(보색)대비트랩은 복합적인 요인들을 가지고 있는 재배지의 환경조건에서도 지속적이며, 연속적으로 담배가루이(가루이류)에 대한 억제기능이 유지되는 것과 함께, 재배지 환경요인의 급속한 변화로 인하여 담배가루이(가루이류) 발생밀도(량)이 짧은 시간 내에 급격히 증가한 경우를 모니터링(예찰)하는 보완적 기능도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afely produce high-quality,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nd satisfy the demand for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while the amount of tobacco powder and powdery mildew is maintained below the economic damage tolerance level, the annual usage and frequency of use of synthetic pesticides must be reduced. Even if it is necessary to use , synthetic pesticides with high selectivity should be used, and the necessary conditions to protect natural enemy insects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In addition, as a complementary measure to the factors that increase the occurrence of continuous changes in environmental conditions (temperature, humidity, sunlight, etc.) in facilities and open-field cultivation areas, we propose a sun-illustration trap for tobacco powdery mildew and powdery mildew. This continuously and continuously suppresses the increase in the occurrence density of tobacco powdery mildew and powdery mildew, thereby reducing the use of synthetic pesticides (insecticides, crop protection agents), and temporally and spatially supplementing the occurrence of natural enemies that are slower than the pest occurrence rate. will play a role In addition, the background (complementary color) vs. bit trap is continuous even in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cultivated area with complex factors, and the inhibitory function against tobacco powdery mildew is continuously maintained, and due to the rapid change of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cultivation area, There is also a complementary function of monitoring (prediction) when the density (amount) of tobacco powdery mildew (powdered powdery mildew) increases rapidly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이러한 보완적 방안은 동일공간에서 사용함에 있어서도 담배가루이의 천적곤충들의 밀도유지와 신규 발생 후 증식에는 영향이 전혀 없거나 적어야 한다. 그리고 담배가루이 및 가루이류의 발생밀도가 합성농약의 사용 유무나 천적 밀도의 증감에 영향 받지 않으면서도 지속적이고 연속적으로 밀도억제 기능을 할 수 있으며, 급격한 발생밀도 변화를 예찰(모니터링)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Even when used in the same space, these complementary measures should have little or no effect on the maintenance of the density of the natural enemy insects of tobacco whiteflies and the proliferation after new occurrenc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and continuously suppress the density of tobacco powdery mildew and powdery mildew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use of synthetic pesticides or the increase or decrease in the density of natural enemies, and can predict (monitor) sudden changes in the density of occurrence. it should be

소비자의 안전농산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원예작물에서의 유기재배 또는 무농약재배가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친환경이란 이름 자체만으로는 친환경적일 것이라고 생각되는 것들도 실제로는 전혀 친환경과는 관련이 없거나 아직까지 검증된 바 없는 것들이 있기도 하다.As consumers' interest in safe agricultural products increases, organic or pesticide-free cultivation in horticultural crops is spreading. However, there are some things that are thought to be eco-friendly by the name of eco-friendly itself, but are not related to eco-friendliness at all or have not yet been verified.

담배가루이 및 가루이류 방제를 위해서 시설재배의 경우 외부에서의 해충 침입을 저지하려 측창에 방충망을 설치하고, 출입구는 이중문을 설치하여 해충이 외부에서 내부로 침입하여 들어오지 못하게 한다. 그 외에도 해충 방제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자재로는 자외선 제거 필름, 광반사 필름, 황색등 등의 이용이 있다. 이와 같은 자재의 이용은 해충의 발생밀도를 줄일 수 있어 낮은 해충밀도에서 방제 효과가 있는 천적 사용에 도움을 준다. 이들 자재는 농약이나 유기농자재와는 달리 어떠한 생태계의 교란이나 물리적 타격이 없어 천적에게 영향을 끼치지 않아 천적과 동시에 이용하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For the control of tobacco powdery mildew and powdery mildew, in the case of facility cultivation, insect screens are installed on the side windows to prevent the intrusion of pests from outside, and double doors are installed at the entrance to prevent pests from entering the inside. In addition, materials known to be effective in controlling pests include the use of UV-removing films, light-reflecting films, and yellow lamps. The use of such materials can reduce the occurrence density of pests, helping to use natural enemies that have a control effect at low pest density. Unlike pesticides and organic materials, these materials do not affect natural enemies as they do not cause any disturbance or physical damage to the ecosystem.

그러나 노지 및 시설재배 작물에 있어서 해충 방제는 토착 천적의 보호가 핵심이다. 천적 보호는 먹이사슬의 복원으로써, 해충의 개체군 밀도를 경제적 피해 수준 이하로 낮추게 되는 것이다. 많은 친환경재배(무농약, 유기 재배)인증을 받은 농가들은 비료로 등록된 친환경농자재가 광범위 살충제(살충범위가 매우 넓은 작물보호제)로써, 방제대상 해충에 대한 선택성이 없기 때문에 실제로는 연중 농작물재배에서 재배되는 작물에 유익한 곤충인 천적곤충과 작물재배 시 농작물에는 전혀 피해를 주지 않고 무해한 일반 곤충까지도 죽게 하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때로는 연속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잊어버린 것 같다. However, protection of native natural enemies is the key to pest control in open-field and facility-grown crops. Natural enemy protection is the restoration of the food chain, reducing the population density of pests below the level of economic damage. Many farms that have been certified for eco-friendly cultivation (no pesticides, organic cultivation) are actually grown in crop cultivation year-round because eco-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registered as fertilizers are broad-spectrum pesticides (crop protection agents with a very wide pesticide range), and there is no selectivity for the pests to be controlled. It seems that we have forgotten that natural enemy insects, beneficial insects for crops, and the process of killing even harmless general insects without causing any damage to crops during crop cultivation are occurring repeatedly and sometimes continuously.

이는 해충만 죽이는 것이 아니라, 천적과 일반 곤충까지 죽게 만들어 피해를 주는 해충의 재출현 문제가 짧은 기간에 반복적으로 나타나게 되고, 또 다시 합성농약을 살포하는 악순환의 반복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광범위 살충제의 사용빈도 증가는 연중 방제횟수의 증가와 함께 1회 방제 시 면적당 사용량의 증가로 이어지기도 한다. 그리고 광범위 살충제 중에서의 동일 계통 살충제의 연중 재사용 횟수가 많거나, 다른 계통의 살충제 중에서 특정 성분이 반복적으로 사용된다면, 이는 약제 성분에 대한 저항성을 지닌 해충 개체의 출현으로 이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저항성 개체의 출현과 발생은 해충 방제에 대한 배경이 합성농약(살충제 등) 중심이 아닌, 해충 방제의 근간이 종합적 방제로 전환되어야 함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그리고 선진국의 농업 정책과 다양한 친환경 농작물재배의 성공사례에서 종합적 방제로의 전환을 찾아 볼 수 있다. This not only kills pests, but also causes the re-emergence of pests that cause damage by killing natural enemies and general insects. The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use of these broad-spectrum pesticides also leads to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use per area during one control along with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ontrol throughout the year. And if the number of times of reuse of the same pesticides in the broad-spectrum pesticides is high during the year, or if a specific ingredient is repeatedly used among pesticides of different classes, there is a problem that leads to the appearance of pests with resistance to the drug substance. The emergence and occurrence of these resistant individuals also shows that the background of pest control is not centered on synthetic pesticides (insecticides, etc.), but that the basis of pest control should be converted to comprehensive control. In addition, the transition to comprehensive control can be found in the agricultural policies of advanced countries and the successful cases of cultivation of various eco-friendly crops.

모든 해충이 경제적인 피해를 일으키지 않음을 인지하였다면, 이를 보완 할 수 있는 방식을 찾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담배가루이(가루이류)에서의 종합적 방제는 합성농약의 사용 절감과 천적 곤충의 보호라는 복잡한 상호관계를 보완하는 것에서 찾을 수 있다.If you have recognized that all pests do not cause economic damage, you will need to find a way to compensate for this. And the comprehensive control of whitefly (whitefly) can be found in complementing the complex interrelationship of reducing the use of synthetic pesticides and protecting natural enemies of insects.

이러한 종합적 해충방제는 환경과 다양한 기술을 상호 복합적(보완적)으로 활용함으로써 해충방제에 대한 배경과 근간의 전환을 이루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여러종의 농작물 재배 시 IPM(Integrated Pest Management) 기술을 도입하여 병해충종합관리를 실천하고 있다. This comprehensive pest control has achieved a change in the background and fundamentals of pest control by using the environment and various technologies in a complex (complementary) way. Comprehensive pest and pest management is being practiced.

병해충 종합관리기술은 농작물 재배지에서의 합성농약의 과다한 사용을 억제하고 농업의 안전성, 환경성, 지속성 그리고 국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방제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써, 병해충 종합관리는 농업인의 이익 증가와 생산량을 유지하면서도 재배환경(농업생태계)을 개선하고 자연환경(자연생태계) 보존에 이바지함으로써, 농업인과 소비자에게 건강상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다.Comprehensive pest management technology is a method for determining control to suppress the excessive use of synthetic pesticides in crop cultivation areas and to ensure agricultural safety, environmental friendliness, sustainability and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t is also a way to reduce health damage to farmers and consumers by improving the cultivation environment (agricultural ecosystem) and contributing to the preserva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natural ecosystem).

이는 바탕(보색)대비 트랩을 사용하여 단기적으로는 담배가루이(가루이류)에 의한 경제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장기적으로는 담배가루이(가루이류)의 발생량이 경제적으로 문제되지 않을 정도의 낮은 수준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담배가루이 및 가루이류의 발생밀도를 관리하여 재배작물을 보호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발생밀도가 증가되지 않도록 억제함으로써, 농업생태계인 재배지의 환경을 가능한 한 안정적으로 지속시키고 생산효율을 극대화 하려는 방법이다.This minimizes the economic damage caused by powdery mildew in the short term by using traps against the background (complementary color), and in the long term, the amount of tobacco powdery mildew is low enough that it is not an economic problem. It is a method to protect cultivated crops by managing the density of tobacco powdery mildew and powdery mildew so that it can be maintained in And by suppressing the increase in the density of occurrence, it is a method to keep the environment of the cultivated area, which is an agricultural ecosystem, as stable as possible and maximize production efficiency.

[실시 예][Example]

담배가루이를 대상으로 실외 실험을 통해 본 발명에 의한 트랩의 유인력을 평가하였다.The attractiveness of the t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evaluated through an outdoor experiment on tobacco powdery mildew.

실험기간: 2020년 09월 02일 ~ 10월 28일Experiment period: September 02, 2020 ~ October 28, 2020

실험장소: 경북 안동시 임하면 노지 고추재배 포장 Experimental location: Imja-myeon, Andong-si, Gyeongsangbuk-do

실험방법은 ① 실험구와 대조구(상용품)을 3 반복으로 준비한다. ② 대조구는 크기가 가로 15㎝, 세로 25㎝의 노란색 점착 트랩을 선택한다. 해당 크기의 노란색 점착 트랩을 실험구에서도 사용한다. ③ 실험구와 대조구를 고추 포장 내에 고추 위에 수직으로 설치한다. ④ 실험구와 대조구는 약 5m 이상 간격을 두고 설치한다. 반복은 하우스 동을 달리한다. ⑤ 조사는 주 1회 실시하며, 조사 때마다 실험구와 대조구의 위치를 무작위로 바꿔준다.Experimental method ① Prepare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commercial product) in 3 repetitions. ② For the control group, select a yellow adhesive trap with a width of 15 cm and a height of 25 cm. A yellow sticky trap of the same size is also used in the experimental plot. ③ Install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vertically on the pepper in the pepper packaging. ④ Install the experimental zone and the control zone at least 5m apart. Repetition varies house dong. ⑤ Irradiation is conducted once a week, and the position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re randomly changed for each irradiation.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2020년 9월 02일부터 10월 28일까지 안동시 임하면에 위치한 노지 고추재배 포장에서 담배가루이 유인력 실험을 진행하였다. 고추재배 포장은 여름철 장마로 수확을 포기하여 방치된 상태의 포장으로 담배가루이가 서식하기에 충분한 조건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실험 시기 기온이 예년보다 낮고 강한 바람이 부는 날이 많아 담배가루이가 매우 많은 상태는 아니었다. 다만, 평가 실험을 하기에는 충분한 상태였다.Tobacco powdery attraction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n open-air red pepper cultivation field located in Immyon, Andong-si, from September 02 to October 28, 2020 in the same way as above. The red pepper cultivation field was abandoned due to the rainy season in the summer and had sufficient conditions for tobacco powdery to live. However, the temperature during the experiment was lower than usual and there were many days with strong winds, so there was not a lot of tobacco powder. However, it was in a sufficient state for the evaluation experiment.

담배가루이의 발생량은 실험 시작하는 9월에는 대체로 증가 양상을 보이다가 10월에 접어들어 감소 양상을 보였다. 감소를 하던 양상은 10월 22일을 기점으로 0마리가 되었다. 10월에 접어들면서 강한 바람에 기온이 내려가면서 개체수가 급격히 줄어들었다. The amount of tobacco powdery lice generally increased in September, when the experiment started, and then decreased in October. The pattern of decrease became 0 as of October 22. As October entered, the temperature dropped due to strong winds, and the population decreased sharply.

실험결과 실험구는 아래의 표 1 및 도 5의 그래프에서와 같이 전체 평균 약 126마리가 포획되었고, 대조구에서는 전체 평균 약 35마리가 포획되었다. 실험구가 대조구에 비해 3배 이상 더 포획되었다. 반복 실험 모두에서 실험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은 포획력을 보였으며 차이가 심하게 나타났다. 주 평균을 비교해 보면 9월 16일과 9월 23일 조사에서는 2배 이상을 보였고 나머지 조사에서는 4배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9월 23일 조사의 경우 실험구(c)에서 문제가 발생하였는데 강한 바람에 의해 트랩이 땅바닥에 떨어져 있었다. 땅바닥에 떨어져 있었던 이유로 포획이 잘 이뤄지지 않았고, 평균이 낮아지게 되었다. 정상적인 상황이었다면 9월 23일도 2배를 훨씬 상회하는 결과가 나왔을 것으로 추측한다.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an average of about 126 mice was captur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s shown in Table 1 and the graph of FIG. 5, and an average of about 35 mice was captured in the control group. Experimental groups were captured more than 3 times more than the control group. In all of the repeated experimen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higher trapping power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severe. Comparing the weekly averages, it was more than doubled in the surveys on September 16 and 23, and the difference was more than four times in the other surveys. However, in the case of the September 23 investigation, a problem occurred in the experimental area (c), and the trap fell to the ground due to the strong wind. Due to the fact that it was on the ground, catching was not done well, and the average was lowered. Under normal circumstances, it is estimated that September 23rd would have produced more than double the results.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본 실시 예의 포획용 트랩은 투명 PP 재질로 일정한 각을 이루는 굴곡진 캐노피(canopy)를 가지고 있다. 이 캐노피를 투과한 빛은 틴들 현상(Tyndall phenomenon)으로 보이는 산란광이 만들어 지고 노란색 점착 트랩의 노란색과 어우러져 시각적으로 높은 자극이라는 착각을 유발한다. 또한, 굴곡 필터(굴곡진 윗부분)의 각도는 태양 빛의 굴절을 일으켜 몸통 내부로 빛이 더 잘 들여보내고, 검은색 계열의 베이스는 몸통 내부의 노란색을 더욱 뚜렷하게 만들어 담배가루이의 유인력을 급격히 높여주었다.The trap for trap of this embodiment has a curved canopy (canopy) forming a constant angle made of a transparent PP material. The light passing through this canopy produces a scattered light that appears to be the Tyndall phenomenon, and mixes with the yellow color of the yellow sticky trap to visually induce the illusion of high stimulation. In addition, the angle of the bending filter (curved upper part) causes refraction of sunlight, allowing light to enter the body better, and the black base makes the yellow inside the body more distinct, sharply increasing the attraction of the tobacco powder. gave.

결론적으로 본 실시 예의 트랩은 산란광을 통한 높은 자극의 착각 유발, 굴곡 필터에 의한 빛의 내부 유인, 검은색 계열의 밑판에 의한 노란색 부각 등 세 가지 현상을 유도하여 담배가루이의 유인을 높여주는 사실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In conclusion, the fact that the trap of this embodiment induces three phenomena: the illusion of high stimulation through scattered light, the internal attraction of light by the bending filter, and the yellow relief by the black base plate, thereby increasing the attraction of the tobacco powder. was confirmed through the experiment.

도 6에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트랩에서 상부의 캐노피를 굴곡진 형태로 한 경우와 단순한 평판형으로 한 경우를 대비한 것으로, 굴곡진 캐노피를 가진 경우가 빛의 산란을 만들어 시각적으로 빛의 양과 밝기가 증폭된 착각을 일으키고, 산란된 빛은 몸통 내부에 위치한 노란색 점착 트랩의 색을 더욱 뚜렷하게 보이도록 하게 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6 shows the case in which the upper canopy is curved in the tra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case in which the upper canopy is formed in a simple flat shape. is amplified, and the scattered light makes the color of the yellow sticky trap located inside the body more clearly visible.

1 : 트랩
10 : 몸통
12 : 캐노피(굴곡 필터)
14 : 고리
20 : 베이스
22 : 유입구
24 : 체결부
1: trap
10: body
12: canopy (bend filter)
14 : ring
20: base
22: inlet
24: fastening part

Claims (5)

상부는 폐쇄되고 하부는 개방된 대체로 실린더형을 이루며, 빛이 투과될 수 있는 반투명 재질의 노란색 계열의 합성수지로 제작되고, 상면의 캐노피(12)는 굴곡진 형태를 이루어 산란광 및 굴절광 필터 역할을 하며, 내부에는 노란색 점착 트랩이 설치될 수 있는 빈 공간이 구비되어 유인 및 포획기능을 갖는 몸통(10)과; 대체로 납작한 원반형을 이루어 상기 몸통(10)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빛이 투과되지 않는 불투명 재질의 검정색 계열의 합성수지로 제작되고, 중앙에는 원형의 유입구(22)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22) 상부에는 상기 몸통(10)과 연결되는 체결부(24)가 구비된 베이스(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가루이 포획용 트랩.
The upper part is closed and the lower part is open. It has a cylindrical shape, and is made of a yellow-based synthetic resin of a translucent material that can transmit light. and a body 10 having an empty space in which a yellow adhesive trap can be installed and having an attracting and catching function; It forms a generally flat disk shape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body 10, and is made of a black-based synthetic resin of an opaque material that does not transmit light, and a circular inlet 22 is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inlet ( 22) A trap for catching tobacco powd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base (20) provided with a fastening part (24) connected to the body (10) on the upper par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통(10)은 상기 캐노피(12)는 골과 산이 교대를 이루는 톱니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가루이 포획용 트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10) is a trap for catching tobacco pow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anopy (12) is formed in a sawtooth shape in which bones and mountains alterna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노피(12)는 방사상으로 굴곡진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가루이 포획용 트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nopy 12 is a trap for catching tobacco powder, characterized in that forming a radially curved shap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통(10) 외부에는 트랩을 매달 수 있는 고리(14)가 사방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가루이 포획용 트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rap for catching tobacco pow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ing 14 for hanging the trap protrudes in all directions on the outside of the body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통(10) 하단과 체결부(24)는 여러 작은 각으로 이루어진 다각형으로 이루어지고, 몸통(10)의 하단부가 체결부(24) 외측을 덮는 형태로 끼운 후 일방향으로 돌리면 결합되는 회전조임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가루이 포획용 트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end of the body 10 and the fastening part 24 are made of polygons having several small angles, and the lower end of the body 10 is inserted in a form to cover the outer side of the fastening part 24 and then rotated in one direction to be combined. A trap for catching tobacco powd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KR1020200184333A 2020-12-28 2020-12-28 Trap for catch Bemisia tabaci Active KR1025388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333A KR102538854B1 (en) 2020-12-28 2020-12-28 Trap for catch Bemisia tabaci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333A KR102538854B1 (en) 2020-12-28 2020-12-28 Trap for catch Bemisia tabaci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527A true KR20220093527A (en) 2022-07-05
KR102538854B1 KR102538854B1 (en) 2023-06-01

Family

ID=82401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4333A Active KR102538854B1 (en) 2020-12-28 2020-12-28 Trap for catch Bemisia tabaci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885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50022925A (en) 2023-08-08 2025-02-18 경상북도(농업기술원) The Bemisia Tabaci smart trapping device for korean-melon greenhous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0345A (en) * 1995-11-23 2000-01-18 ユニバーシティー オブ サザンプトン Pest trap
KR100853616B1 (en) 2007-12-31 2008-08-22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Adhesive trap using color contrast and pest control method
KR101804563B1 (en) * 2017-08-03 2017-12-04 이청용 Sticky insect trap with zipper bag
KR101819426B1 (en) 2017-07-28 2018-01-18 주식회사 신안그린테크 Eco-Friendly Whitefly Unmanned Exterminator for Smart Green House
KR101945482B1 (en) 2018-09-19 2019-02-0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Eco-Friendly whitefly unmanned exterminato in greenhous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0345A (en) * 1995-11-23 2000-01-18 ユニバーシティー オブ サザンプトン Pest trap
KR100853616B1 (en) 2007-12-31 2008-08-22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Adhesive trap using color contrast and pest control method
KR101819426B1 (en) 2017-07-28 2018-01-18 주식회사 신안그린테크 Eco-Friendly Whitefly Unmanned Exterminator for Smart Green House
KR101804563B1 (en) * 2017-08-03 2017-12-04 이청용 Sticky insect trap with zipper bag
KR101945482B1 (en) 2018-09-19 2019-02-0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Eco-Friendly whitefly unmanned exterminato in greenho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8854B1 (en) 2023-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andel et al. The potato tuber moth, Phthorimaea operculella (Zeller), in India: biology, ecology, and control
CN103548798A (en) Method and device for microbial pest control based on light luring
Boiteau et al. Physical barriers for the control of insect pests
Abbas et al. Integrated pest management of guava, citrus and mango fruitflies at three districts of Punjab
Pinnamaneni et al. Integrated Pest Management (IPM) in Oil Palm, Elaeis guineensis Jacq.
Dey et al. Vectorborne diseases: Prevalence, impacts, and strategies to address disease burden and threats
KR102538854B1 (en) Trap for catch Bemisia tabaci
KR102334384B1 (en) A Catching trap for Ricania shantungensis
Rajan et al. Integrated pest management in coconut
JP2002220306A (en) Insect repellent rope, insect repellent rope device, insect repellent net, and simple insect repellent device
EP3261429A1 (en) Thorny carpet
Alston et al. San Jose Scale (Quadraspidiotus perniciosus)
Shaw et al. Managing insects and diseases of Oregon conifers
Tanwar et al. Mealybugs and their management Technical Bulletin 19, September, 2007
Gargani et al. Aclees sp. cf. foveatus, a real threat to Ficus carica in the Mediterranean area
Martini et al. 2023–2024 Florida Citrus Production Guide: Plant Bugs, Chewing Insect Pests, Caribbean Fruit Fly, and Thrips
Cranshaw et al. Codling moth: Control in home plantings
Martini et al. 2023–2024 Florida Citrus Production Guide: Plant Bugs, Chewing Insect Pests, Caribbean Fruit Fly, and Thrips: CPG ch. 26, CG005/ENY-605, rev. 5/2023
Martini et al. 2022–2023 Florida Citrus Production Guide: Plant Bugs, Chewing Insect Pests, Caribbean Fruit Fly, and Thrips: CPG ch. 27, CG005/ENY-605, rev. 3/2022
Martini et al. 2020–2021 Florida Citrus Production Guide: Plant Bugs, Chewing Insect Pests, Caribbean Fruit Fly, and Thrips: Chapter 27, ENY-605/CG005
Martini et al. 2021–2022 Florida Citrus Production Guide: Plant Bugs, Chewing Insect Pests, Caribbean Fruit Fly, and Thrips: CG005/ENY-605, rev. 3/2021
Stansly et al. 2018–2019 Florida Citrus Production Guide: Plant Bugs, Chewing Insect Pests, Caribbean Fruit Fly, and Thrips: ENY-605/CG005, rev. 5/2018
Ogbalu et al. Oviposition deterrent effect of extracts of neem against Atherigona orientalis (Schiner) on pepper (Capsicum annum) and tomato (Lycopersicon ecsulentum) fruits in Nigeria
Martini et al. 2019–2020 Florida Citrus Production Guide: Plant Bugs, Chewing Insect Pests, Caribbean Fruit Fly, and Thrips: ENY-605/CG005, rev. 3/2019
Spears et al. First Detector Guide to Invasive Ins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08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