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1853A - H-beam pullout machinery of pressing the web by a hinge style and adjustment style - Google Patents
H-beam pullout machinery of pressing the web by a hinge style and adjustment sty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91853A KR20220091853A KR1020200183003A KR20200183003A KR20220091853A KR 20220091853 A KR20220091853 A KR 20220091853A KR 1020200183003 A KR1020200183003 A KR 1020200183003A KR 20200183003 A KR20200183003 A KR 20200183003A KR 20220091853 A KR20220091853 A KR 2022009185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b
- pressing
- hinge
- plate
- vertic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4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101100045694 Caenorhabditis elegans art-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9 suppor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9/00—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 E02D9/02—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by withdraw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both placing and remov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or mould-pip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26—Devices for erecting or removing fences
- E04H17/261—Devices for erecting or removing fences for post and wire handling
- E04H17/265—Devices for erecting or removing fences for post and wire handling for removing pos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5—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at least a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힌지구조와 보정구조에 의해 H-빔의 웨브(Web)를 압착하는 H-빔 인발기에 관한 것으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Web 가압판(350)의 「힌지구조」와, 그리고 제1, 2 직선유도수용부(322)(342)와 제1, 2 직선유도돌출부(212)(214)에 의한 「보정구조」가 그 핵심구조로서 「힌지구조」에 의해 Web 가압판(350)의 수직상부위치에서 인발기의 진입 폭이 최소화되고, 또 수직하부위치에서 Web 가압판(350)이 H-빔의 양측 플랜지내에 삽입·돌출되어 Web 압착이동거리가 최소화되는 한편, 「보정구조」에 의해 제1, 2 가압실린더(310)(312)의 압착전진방향이 제1, 2 직선유도수용부(322)(342) 및 제1, 2 직선유도돌출부(212)(214)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대칭직선평행전진방향”이 됨으로써 파손의 우려가 없어 제1, 2 가압실린더(310)(312)의 내구성이 최대화된 발명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H-beam drawing machine for compressing a web of an H-beam by a hinge structure and a correction structure. 2 The "correction structure" by the linear induction and receiving
「보정구조」가 추가됨으로써 제1, 2 가압실린더의 불가피한 비대칭 가압력이 대칭 가압력으로 보정되어 제1, 2 가압실린더의 파손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대칭 가압력에 의해 「H-빔의 Web」에 대한 압착력이 최대화되면서 그에 대한 슬립현상이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Web 가압판(350)이 H-빔의 양측 플랜지 내에 삽입·돌출됨으로써 돌출 Web 가압판(350)의 「Web」까지의 압착이동거리가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By adding “correction structure”, the unavoidable asymmetric pressing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urizing cylinders is corrected with the symmetrical pressurizing force to prevent damage to the first and second pressurized cylinders as well as the compression force on the “H-beam web” by the symmetrical pressurizing force. As this is maximized, not only the slip phenomenon is minimized, but also the
이와 같이 「Web」압착 시 「Web」압착력의 최대화, 압착력에 대한 슬립의 최소화 및 Web 가압판(350)의 「Web」까지의 압착이동거리의 최소화와, 그리고 인발기 진입 시 「Web 가압판」이 수직상부에 위치됨으로써 인발기 진입로 폭의 최소화로 인해 H-빔의 인발의 효율성과 인발기장비가 소형화되는 유용한 발명이다.In this way, maximizing the “Web” compression force when crimping the “Web”, minimizing the slip on the pressing force, and minimizing the crimping movement distance to the “Web” of the
지하구축물의 구축에는 가설지하지지보호막 구조가 필수적이다. For the construction of underground structures, a temporary supportive protective film structure is essential.
지하굴착을 위해서다. 가설지하지지보호막 구조로는 흙막이 토류벽과 H-빔으로 이루어진다. H-빔은 수직구조지지재이고, 토류벽은 수평지지재이다.for underground excavation. The structure of the temporary support protective film consists of a retaining earth wall and an H-beam. The H-beam is a vertical support member, and the earth wall is a horizontal support member.
지하구축물이 완성된 후에는 그 H-빔을 뽑아내야한다. 이때 사용되는 장비가 H-빔 인발기이다. After the underground structure is completed, the H-beam must be pulled out. The equipment used at this time is an H-beam drawing machine.
H-빔의 형상은 도1과 같다. The shape of the H-beam is shown in FIG. 1 .
인발기는 H-빔에 대하여 2가지 압착방식이 있다. The drawing machine has two compression methods for the H-beam.
하나의 압착방식은 플랜지(F1)(F2)의 날개단부(a1-a1, b2-b2)만을 압착하는 「플랜지(F)날개단부압착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Web”와 “플랜지(F1)(F2)날개단부(a1-a1, b2-b2)”를 동시에 압착하는 「Web-플랜지(F)날개단부압착방식」이다.One crimping method is the “Flange (F) wing end crimping method” that crimps only the wing ends (a1-a1, b2-b2) of the flanges (F1) (F2), and the other is “Web” and “Flange (F1)”. )(F2) It is "Web-Flange (F) wing end crimping method" that simultaneously crimps the wing ends (a1-a1, b2-b2).
H-빔과의 압착력이 클수록 인발시 슬립이 최소화된다. 인발기는 슬립의 최소화가 그 생명이기 때문이다. The greater the pressing force with the H-beam, the more minimal slippage during drawing. This is because the minimization of slip is the lifeblood of the drawing machine.
먼저, 「플랜지(F)날개단부압착방식」에 대하여 살펴본다.First, look at the "flange (F) wing end compression method".
그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10-1028845호(종래기술-1; 도2)와 등록특허 10-1050579호(종래기술-2; 도3a)가 있다.As the prior art, there are registered Patent No. 10-1028845 (Prior Art-1; FIG. 2) and Registered Patent No. 10-1050579 (Prior Art-2; FIG. 3A).
종래기술-1의 인발기는, 이동부재(110), 베이스(112), 본체(113), 메인 승하강실린더(111a, 111b), 클램프실린더 및 클램프(114a, 114b) 및 보조 승하강실린더(131a, 131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drawing machine of the prior art-1, the
본체(113)는 대략 U자형으로 이루어지며, U자형의 내부홈으로 매설된 H-빔이 삽입된다. The
H-빔이 삽입된 상태에서 클램프실린더에 의해 클램프(114a, 114b) 및 클램프척(114c, 114d)이 수평 전진 이동되어 H-빔의 플랜지(F1)(F2)의 날개단부(a1-a1, b2-b2)를 클램핑(압착)하게 된다. In the state in which the H-beam is inserted, the
이때 클램프(114a, 114b)에는 메인 승하강실린더(111a, 111b)를 중심으로 좌우에 한 쌍씩 클램프실린더가 장착되어 클램프(114a, 114b)의 수평이동 및 H-빔의 클램핑력을 더욱 상승시키게 된다. At this time, a pair of clamp cylinders are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elevating
그런데 클램프실린더에 의해 클램프(114a, 114b) 및 클램프척(114c, 114d)이 수평 전진 이동되어 H-빔의 플랜지(F1)(F2)의 날개단부(a1-a1, b2-b2)만을 클램핑(압착)하기 때문에 날개단부(a1-a1, b2-b2)가 찌그러지면서 변형된다(도3c의 점선부분 참조). 클램프실린더가 클램프(114a, 114b) 및 클램프척(114c, 114d)을 가압하면 할수록 그 변형도 커지게 된다. 이러한 날개단부(a1-a1, b2-b2)의 변형은 인발시 압착력 부족을, 그리고 그 결과 슬립현상이 불가피하여 H-빔의 인발효율이 크게 감소되는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게 된다. By the way, the
종래기술-2의 인발기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승강 지지판(200)과, 가압 바이스(300)와, 가압 유압 장치(400)와, 승강 유압 장치(500), 걸림 고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rawing machine of the prior art-2 includes a
가압 바이스(300)는 가압 유압 장치(400)에 의해 승강 지지판(200)의 상면에서 전·후진된다. 또 가압 바이스(300)가 가압 가이드 홈(201)의 양측에 가서로 대향·배치된다. 가압 가이드 홈(201)에 H-빔(P)이 삽입된다.The
가압 바이스(300)의 전진에 의해 H-빔(P)의 플랜지(F1)(F2)날개단부(a1-a1, b2-b2)가 가압된다. 이때 가압 바이스(300)가 H-빔(P)의 플랜지(F1)(F2)날개단부(a1-a1, b2-b2)만을 가압하기 때문에 날개단부(a1-a1, b2-b2)가 찌그러지면서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다(도3c 의 점선부분 참조). 가압 바이스(300)의 가압이 클수록 날개단부(a1-a1, b2-b2)의 변형도 커지게 된다. 이러한 날개단부(a1-a1, b2-b2)의 변형은 인발시 압착력 부족을, 그리고 그 결과 슬립현상이 불가피하여 H-빔의 인발효율이 크게 감소되는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게 된다. By the advancement of the
종래기술-2에서는 이러한 찌그러짐으로 인한 슬립현상의 감소를 위해 도3b에서와 같이 가압 바이스(300)의 일측에 스토퍼 로드(330)가 형성된 것이 그 특징이다.In the prior art-2, the
위에서 살핀바와 같이 종래기술-1, -2의 「플랜지(F)날개단부압착방식」의 첫 번째 문제점은, 위에서 살핀바와 같이 클램프압착부가 1곳이면서 그 위치가 H-빔의 플랜지(F1)(F2)의 날개단부(a1-a1, b2-b2)이기 때문에 클램프실린더의 가압에 의해 그 날개단부(a1-a1, b2-b2)가 찌그러지면서 변형되므로 인발시 압착력 부족으로 슬립현상이 불가피하여 인발효율이 크게 감소되는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게 된다. As salpin bar above, the first problem of "flange (F) wing end crimping method" of prior art -1 and -2 is, as in the above salpin bar, there is one clamp crimping part and the position is the flange (F1) of the H-beam ( Since it is the wing end (a1-a1, b2-b2) of F2), the wing end (a1-a1, b2-b2) is deformed while being crushed by the pressurization of the clamp cylinder. There is an inefficiency problem in which the efficiency is greatly reduced.
두 번째 문제점은, 도3a에서와 같이 1개의 가압 바이스(300; 즉, 클램프)에 대하여 일정간격(d)의 2개의 가압유압장치(400; 즉, 클램프실린더)에 의해 가압되는 구조이다.The second problem is, as shown in Fig. 3a, with respect to one pressurizing vise 300 (ie, clamp), the structure is pressurized by two pressurizing hydraulic devices 400 (ie, clamp cylind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d).
유압실린더의 에너지는 유체의?유량에 의한 것이므로 동일한 직경의 분기관이라 하더라도 각기 분기관의 미세유속의 차이, 유압실린더의 가압발휘의 미세 시간적 차이, 이에 따른 미세 토출량의 차이 등으로 인하여 불가피하게 2개의 유압실린더의 초기동작유압발휘가 비대칭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Since the energy of the hydraulic cylinder is due to the flow rate of the fluid, even if it is a branch pipe of the same diameter, it is inevitably 2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micro flow velocity of each branch pipe, the minute time difference in the pressuriza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and the difference in the fine discharge amoun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nitial operation of hydraulic cylinders is asymmetrical.
오일 공급탱크에 대하여 2개의 분기관 길이의 차이가 클수록 이러한 비대칭의 문제가 커지는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다. It is for this reason that the larg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ngths of the two branch pipes with respect to the oil supply tank, the greater the problem of asymmetry.
2개의 유압실린더의 초기동작유압발휘가 비대칭인 상태에서 유압실린더가 가압되면 될수록 유압실린더의 로드도 비대칭이 되어 유압실린더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이는 2개의 유압실린더의 전진방향이 같은 방향이 아닌 엇갈린 경사진 방향으로 서로 가압되기 때문에 그렇다. When the hydraulic cylinder is pressurized in a state where the initial operating hydraulic pressure of the two hydraulic cylinders is asymmetrical, the rod of the hydraulic cylinder becomes asymmetrical,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hydraulic cylinder is damaged. This is because the advancing directions of the two hydraulic cylinders are pressed against each other in staggered, inclined directions, not in the same direction.
다음으로, “Web”와 “플랜지(F1)(F2)날개단부(a1-a1, b2-b2)”가 동시에 압착되는 「Web-플랜지(F) 날개단부압착방식」에 대하여 살펴본다.Next, we will look at “Web-Flange (F) wing end compression method” in which “Web” and “flange (F1) (F2) wing end (a1-a1, b2-b2)” are simultaneously compressed.
이 방식에 대한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번호 10-2019-0138080호(종래기술-3)가 대표적이다.As a prior art for this method,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138080 (Prior Art-3) is representative.
종래기술-3의 인발기(100)는, 도4a에서와 같이 가압지지 상판(111)(113)과 가압지지 하판(112)(114)이 상하부에 서로 대향되게 구비된 구성이다. The
서로 대향된 2개의 가압지지 상판(111)(113)에는 제1, 2 가압실린더(140)(141)에 의해 전·후진되는 제1, 2 가압 부재(120)(130)가 설치된다. 제1, 2 가압부재(120)(130)는 가압지지 상판(111)(113)에 고정·설치된 제1, 2 가압실린더(140)(141)에 의해 전·후진된다.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상기 제1, 2 가압부재(120)(130)의 전면에는 제1, 2 가압판(121)(131)이 형성된다. 제1, 2 가압판(121)(131)에 의해 H-빔(200)의 “플랜지(F1)(F2)날개단부(a1-a1, b2-b2)”가 가압·압착된다.First and second
제1, 2 가압부재(120)(130) 중앙부의 끼움홈(162)에는 승하강연결부재(161)의 일측 단부가, 그리고 승하강연결부재(161)의 타측 선단부의 맞물림홈(163)에는 증압가압판(160)이 삽입·조립된다.One end of the elevating connecting
승하강연결부재(161)와 증압가압판(160)의 삽입·조립은, 쐐기경사면을 갖는 쐐기구조이다. Insertion and assembly of the
종래기술-3의 인발기(100)는, H-빔에 대하여 「2곳 동시 압착」되는 구조이다.The
즉, 「1곳」은, 「증압가압판(160)」에 의한 「H-빔의 Web」압착이고, 그리고 「다른 1곳」은 「제1, 2 가압판(121)(131)」에 의한 「H-빔의 플랜지(F1, F2)날개」압착이다. That is, "one place" is "H-beam web" compression by the "pressure-increasing
「증압가압판(160)」과 「제1, 2 가압판(121)(131)」의 가압은, 「제1, 2 가압실린더(140)(141)」에 의한 동시가압이다.The pressurization of the "pressure-increasing
종래기술-3의 인발기(100)는, 「압착면」이 1곳뿐인 종래기술-1, -2와는 달리 「H-빔의 Web」압착이 추가된 「2곳 압착력이 동시발휘」되는 것이므로 「H-빔」인발 시 「발휘되는 압착력의 크기」와 「압착력에 대한 슬립억제력의 크기」가 배가되어 슬립현상이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Since the
그러나 종래기술-3의 인발기(100)역시 종래기술-1, -2와 똑같이 제1, 2 가압실린더(140)(141)에 의해 가압지지 상판(111)(113)이 가압되는 구조이므로 종래기술-1, -2의 문제점이 그대로 존재한다. 즉 각기 제1, 2 가압실린더(140)(141)의 초기동작유압이 서로 대칭을 이루지 못한 관계로 야기되는 불가피한 문제점(즉, 유압실린더의 파손)이 바로 그것이다. However, the drawing
이는 2개의 제1, 2 가압실린더(140)(141)의 전진방향이 동일방향이 아닌 엇갈린 경사진 방향으로 서로 가압되기 때문에 그렇다. This is because the advancing directions of the two first and
그뿐만 아니라 2개의 제1, 2 가압실린더(140)(141)가 엇갈린 경사진 방향으로 진행될 경우, 「증압가압판(160)」이 「H-빔의 Web」에 정확히 진입되지 못하게 됨으로써 「증압가압판(160)」에 의한 「H-빔의 Web」와 「가압지지 상판(111)(113)」에 의한 「H-빔의 플랜지(F1)(F2)의 날개단부(a1-a1, b2-b2)」, 2곳「압착력이 동시에 발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two first and
이러한 문제점은, 유압실린더 자체의 문제점이긴 하지만 제1, 2 가압실린더(140)(141)의 엇갈린 경사진 방향에 대하여 보정할 다른 수단이 없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Although this problem is a problem of the hydraulic cylinder itself, the biggest problem is that there is no other means to correct the staggered inclination directions of the first and
여기에다 종래기술-3의 인발기(100)는, 도3a에서 A방향으로 진입되는 바와 같이 도4b의 B방향으로 진입된다. 도4b에는 B방향으로의 진입을 위해 양측 E의 공간이 더 필요하다. E는 「증압가압판(160)」의 돌출 장애 공간으로서 걸림돌이 되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drawing
양측 「증압가압판(160)」의 돌출 장애 공간 E로 인해 인발기(100)의 규모가 더 커지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이는 A방향으로 진입되면서 「증압가압판(160)」이 없는 도3b에 비해 상대적 규모면에서 경제적이기 때문이다. There is an uneconomical problem in that the scale of the
⒜ 본 발명은, 지지상판에 형성된 제1, 2 직선유도돌출부와, 이에 대응·형성된 제1, 2 가압부재의 제1, 2 직선유도수용부에 의한 “대칭직선평행진입”의 「보정구조」가 추가됨으로써 제1, 2 가압실린더의 불가피한 비대칭 가압력이 대칭 가압력으로 보정되어 제1, 2 가압실린더의 파손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대칭 가압력에 의해 「H-빔의 Web」에 대한 압착력이 최대화되면서 그에 대한 슬립현상이 최소화되게 함에 그 목적이 있고, ⒜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rrection structure” of “symmetrical straight parallel entry” by the first and second straight line guide protrusions formed on the support plate, and the first and second straight line guide receiving sec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members corresponding and formed thereto By adding , the unavoidable asymmetric pressing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urizing cylinders is corrected with a symmetrical pressurizing force to prevent damage to the first and second pressurized cylinders as well as the symmetrical pressurizing force to maximize the compression force on the “H-beam Web”. The purpose is to minimize the slip phenomenon for
⒝ 힌지구조에 의해 「Web 가압판」이 「180도 상하 회전구조」가 되게 함으로써 「H-빔의 Web」압착 시에는 「회전」된 「Web 가압판」이 수직하부 제1, 2 가압부재의 전면에 위치되어 인발기 진입통로에 돌출되고, 인발기 진입 시에는 「회전」된 「Web 가압판」이 제1, 2 가압부재(120)(130)의 수직상부에 위치되어 진입통로가 활짝 열려 진입장애가 없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으며, ⒝ By making the “Web pressure plate” into a “180 degree vertical rotation structure” by the hinge structure, when crimping the “Web of H-beam”, the “rotated” Web pressure plate is plac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ly lower pressing members. It is positioned so that it protrudes into the access passage of the drawing machine, and when entering the drawing machine, the "rotated" Web pressure plate is located on the vertical upper part of the first and
⒞ 「Web」압착 시에는 “대칭직선평행진입”의 「보정구조」에 의해 제1, 2 가압실린더의 대칭 가압력이 최대화되면서 「H-빔의 Web」압착력이 최대화되고 이와 동시에 압착력에 대한 슬립현상이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Web 가압판(350)이 H-빔의 양측 플랜지내에 돌출·삽입됨으로써 돌출 Web 가압판(350)의 「Web」까지의 압착이동거리가 최소화되는 한편, 인발기 진입 시에는 「Web 가압판」의 「회전」에 의해 진입로에서 벗어나 수직상부로 올라감으로써 인발기 진입로 폭이 최소화되게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고,⒞ During crimping of 「Web」, the symmetrical pressing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cylinders is maximized by the 「compensation structure」 of “Symmetrical straight parallel entry”, and the crimping force of 「Web of H-beam」 is maximized, and at the same time, the slip phenomenon against the compression force Not only this is minimized, but the
⒟ 이와 같이 「Web」압착 시 「Web」압착력의 최대화, 압착력에 대한 슬립의 최소화 및 Web 가압판(350)의 「Web」까지의 압착이동거리의 최소화와, 그리고 인발기 진입 시 「Web 가압판」이 수직상부로 올라감으로써 인발기 진입로 폭의 최소화됨으로 인해 H-빔의 인발의 효율성과 인발기장비가 소형화되게 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In this way, when “Web” is pressed, the “Web” compression force is maximized, the slip on the compression force is minimized, and the compression movement distance to the “Web” of the
본 발명 힌지방식에 의해 H-빔의 웨브(Web)를 압착하는 H-빔 인발기는, 종래기술-3의 문제점을 개선한 것이다. 본원과 종래기술-3의 출원인이 동일하다. 종래기술-3이나 본 발명의 인발기는 종래기술-2와 같이 H-빔의 진입방향이 모두 A방향으로 동일하다. 다만 제1, 2 가압부재(320)(340)에 대하여 힌지구조에 의한 「Web 가압판의 중앙 수직상하 180도 회전구조」와, 그리고 지지상판의 제1, 2 직선유도돌출부와 이에 대응된 제1, 2 가압부재의 제1, 2 직선유도수용부에 의한 “대칭직선평행진입”의 「보정구조」가 추가된 구성이다. The H-beam drawing machine for pressing the web of the H-beam by the hing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provement of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3. The applicant of this application and prior art-3 is the same. In the prior art-3 or the draw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ry direction of the H-beam is the same in the A direction as in the prior art-2. However,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이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핵심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r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is.
제1, 2 가압실린더(310)(312)에 의한 제1, 2 가압부재(320)(340)의 가압에 의해 H-빔이 압착된 상태에서 지지하판(220)을 지지판으로 하여 제1, 2 승강실린더(110)(120)가 상승되면서 지지상판(210)도 함께 상승되고, 이와 동시에 그 상승과 함께 H-빔이 인발되는 통상의 H-빔 인발기에 있어서 In a state in which the H-beam is compressed by the pressure of the first and
제1, 2 가압부재(320)(340)의 중앙부에 위치된 Web 가압판(350)이 힌지구조에 의해 제1, 2 가압부재(320)(340)의 중앙수직방향으로 상하 180도 회전 가능하고, 힌지구조는 제1, 2 가압부재(320)(340)의 L형 상면(320c)(340c)의 고정힌지부(320e)(340e)와 Web 가압판(350)에 고정된 회전아암부재(360)와의 힌지축(320g)(340g)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때 힌지 회전된 Web 가압판(350)의 수직상부는 제1, 2 가압부재(320)(340)의 L형 상면(320c)(340c)에 서있는 위치이면서 L형 수직 단턱(320d)(340d)에 지지된 상태이고, 힌지 회전된 Web 가압판(350)의 수직하부는 제1, 2 가압부재(320)(340)에 중앙수직면에 접면된 위치인 한편, H-빔으로의 인발기 진입 시에는 Web 가압판(350)의 힌지회전에 의해 Web 가압판(350)이 수직상부에 위치되어 그 진입통로가 열려 자유롭고, 그리고 인발 시에는 Web 가압판(350)이 수직하부에 위치된 제1, 2 가압부재(320)(340)의 중앙수직면에 접면되며, 이 상태에서 제1, 2 가압부재(320)(340)의 가압에 의해 Web 가압판(350)이 「Web」을 압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방식에 의해 H-빔의 웨브(Web)를 압착하는 H-빔 인발기이다.The
여기에다, here,
지지상판(210)에 접면되어 제1, 2 가압실린더(310)(312)에 의해 전 ? 후진되는 제1, 2 가압부재(320)(340)의 저면부(320f)(340f)에는 제1, 2 직선유도수용부(322)(342)가, 그리고 이에 대응되는 지지상판(210)의 상면부에는 제1, 2 직선유도돌출부(212)(214)가 형성되고, 또 제1, 2 직선유도돌출부(212)(214)가 제1, 2 직선유도수용부(322)(342)에 서로 조립·결합된 「보정구조」가 형성되게 하되 제1, 2 가압실린더(310)(312)가 제1, 2 가압부재(320)(340)의 센터라인(c-c)에 평행이고, 제1, 2 직선유도수용부(322)(342) 및 제1, 2 직선유도돌출부(212)(214)가 센터라인(c-c)에 대하여 대칭이면서 서로 평행인 한편, 제1, 2 가압실린더(310)(312)의 가압전진방향이 센터라인(c-c)과 항시 평행이 유지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방식에 의해 H-빔의 웨브(Web)를 압착하는 H-빔 인발기이다. The first and
그뿐 아니라, Not only that,
제1, 2 가압부재(320)(340)의 수직면(320a)(340a)에는 길이방향으로 넌 슬립 톱니부(320b)(340b)가, 그리고 이에 대응되는 Web 가압판(350)의 후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후면 넌 슬립 톱니부(354)가 형성되고, 상기 넌 슬립 톱니부(320b)(340b)와 후면 넌 슬립 톱니부(354)가 인발 시 서로 치합·압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방식에 의해 H-빔의 웨브(Web)를 압착하는 H-빔 인발기이다. The vertical surfaces 320a and 340a of the first and second
또한,In addition,
상기 회전아암부재(360)에 있어 그 일단은 Web 가압판(350)의 상면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상하회전힌지공(362)이 형성되며, 상하회전힌지공(362)과 제1, 2 가압부재(320)(340)의 고정힌지부(320e)(340e)이 힌지축(364)에 의해 힌지구조를 이루되 회전아암부재(360)의 상부회전에 의해 Web 가압판(350)이 제1, 2 가압부재(320)(340)의 수직상부에 위치되어 인발기 진입로로부터 벗어나는 한편, 회전아암부재(360)의 하부회전에 의해 Web 가압판(350)이 H-빔의 양측 플랜지내부에 삽입·돌출되고, 이때 Web 가압판(350)의 전면 압착부(352)로부터 「Web」까지의 압착거리가 최소화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방식에 의해 H-빔의 웨브(Web)를 압착하는 H-빔 인발기이다. In the
그리고,and,
Web 가압판(350)의 상하회전이 Web유압실린더의 양단회전구조에 의해 이루어지되 Web유압실린더의 일단회전구조는 Web유압실린더의 로드와 회전아암부재(360)의 lift up-down 홀(366)에 의해 이루어지고, 그 타단회전구조는 Web유압실린더의 실린더와 제1, 2 승강실린더(110)(120)의 어느 하나에 의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방식에 의해 H-빔의 웨브(Web)를 압착하는 H-빔 인발기이다.The vertical rotation of the
또한, In addition,
하부회전에 의해 Web 가압판(350)이 H-빔의 양측 플랜지내에 삽입·돌출된 상태에서 제1, 2 가압실린더(310)(312)에 의해 제1, 2 가압부재(320)(340)의 가압과 함께 Web 가압판(350)의 「Web」압착과 동시에 제1, 2 가압부재(320)(340)의 플랜지(F1)(F2)의 a1-b2, a1-b2를 압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방식에 의해 H-빔의 웨브(Web)를 압착하는 H-빔 인발기이다.The first and secon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Web 가압판(350)의 「힌지구조」와, 그리고 제1, 2 직선유도수용부(322)(342)와 제1, 2 직선유도돌출부(212)(214)에 의한 「보정구조」가 그 핵심구조이다.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inge structure" of the
「힌지구조」에 의해 Web 가압판(350)의 수직상부위치에서 인발기의 진입 폭이 최소화되고, 또 수직하부위치에서 Web 가압판(350)이 H-빔의 양측 플랜지내에 삽입·돌출되어 Web 압착이동거리가 최소화되는 한편, 「보정구조」에 의해 제1, 2 가압실린더(310)(312)의 압착전진방향이 제1, 2 직선유도수용부(322)(342) 및 제1, 2 직선유도돌출부(212)(214)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대칭직선평행전진방향”이 됨으로써 파손의 우려가 없어 제1, 2 가압실린더(310)(312)의 내구성이 최대화된 것에 그 특징이 있다.The entry width of the drawing machine is minimized at the vertically upper position of the
⒜ 본 발명은, 지지상판에 형성된 제1, 2 직선유도돌출부와, 이에 대응·형성된 제1, 2 가압부재의 제1, 2 직선유도수용부에 의한 “대칭직선평행진입”의 「보정구조」가 추가됨으로써 제1, 2 가압실린더의 불가피한 비대칭 가압력이 대칭 가압력으로 보정되어 제1, 2 가압실린더의 파손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대칭 가압력에 의해 「H-빔의 Web」에 대한 압착력이 최대화되면서 그에 대한 슬립현상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고, ⒜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rrection structure” of “symmetrical straight parallel entry” by the first and second straight line guide protrusions formed on the support plate, and the first and second straight line guide receiving sec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members corresponding and formed thereto By adding , the unavoidable asymmetric pressing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urizing cylinders is corrected with a symmetrical pressurizing force to prevent damage to the first and second pressurized cylinders as well as the symmetrical pressurizing force to maximize the compression force on the “H-beam Web”. It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slip phenomenon for
⒝ 힌지구조에 의해 「Web 가압판」이 「180도 상하 회전구조」가 됨으로써 「H-빔의 Web」압착 시에는 「회전」된 「Web 가압판」이 수직하부 제1, 2 가압부재의 전면에 위치되어 인발기 진입통로에 돌출되고, 인발기 진입 시에는 「회전」된 「Web 가압판」이 제1, 2 가압부재(120)(130)의 수직상부에 위치되어 진입통로가 활짝 열려 진입장애가 없어 인빌기의 진입이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Due to the hinge structure, the "Web pressure plate" becomes a "180 degree vertical rotation structure", so when "H-beam web" is pressed, the "rotated" Web pressure plate is located on the front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ly lower pressure members It protrudes from the access passage of the drawing machine, and when entering the drawing machine, the "rotated" "Web pressure plate" is located on the vertical upper part of the first and
⒞ 「Web」압착 시에는 “대칭직선평행진입”의 「보정구조」에 의해 제1, 2 가압실린더의 대칭 가압력이 최대화되면서 「H-빔의 Web」압착력이 최대화되고 이와 동시에 압착력에 대한 슬립현상이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Web 가압판(350)이 H-빔의 양측 플랜지내에 돌출·삽입됨으로써 돌출 Web 가압판(350)의 「Web」까지의 압착이동거리가 최소화되는 한편, 인발기 진입 시에는 「Web 가압판」의 「회전」에 의해 진입로에서 벗어나 수직상부로 올라감으로써 인발기 진입로 폭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고,⒞ During crimping of 「Web」, the symmetrical pressing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cylinders is maximized by the 「compensation structure」 of “Symmetrical straight parallel entry”, and the crimping force of 「Web of H-beam」 is maximized, and at the same time, the slip phenomenon against the compression force Not only this is minimized, but the
⒟ 이와 같이 「Web」압착 시 「Web」압착력의 최대화, 압착력에 대한 슬립의 최소화 및 Web 가압판(350)의 「Web」까지의 압착이동거리의 최소화와, 그리고 인발기 진입 시 「Web 가압판」이 수직상부로 올라감으로써 인발기 진입로 폭의 최소화됨으로 인해 H-빔의 인발의 효율성과 인발기장비가 소형화되는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 In this way, when “Web” is pressed, the “Web” compression force is maximized, the slip on the compression force is minimized, and the compression movement distance to the “Web” of the
[도1] 인발되는 H-빔의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
[도2] 종래기술-1의 인발기의 사시도
[도3a] 종래기술-2의 인발기의 사시도
[도3b] 가압 유압 장치(400)의 가압에 의해 가압 바이스(300)의 상부점선 휘어짐에 대하여 스토퍼 로드(330)가 지지하고 있는 모습을 보인 평면 상태도
[도3c] 가압 유압 장치(400)의 가압에 의해 가압 바이스(300)의 하부점선 휘어짐의 모습을 보인 평면 상태도
[도4a] 종래기술-3의 인발기의 사시도
[도4b] H-빔의 인발을 위한 도4a의 평면도
[도5a] 본 발명의 힌지구조에 의해 Web 가압판(350)이 제1, 2 가압부재(320)(340)의 상부수직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인발기(P)가 H-빔을 향해 진입하는 모습을 보인 시시도
[도5b] 도5a의 A-A단면도
[도6]본 발명의 힌지구조에 의해 Web 가압판(350)이 제1, 2 가압부재(320)(340)의 수직하부로 회전된 상태에서 Web 가압판(350)이 H-빔에 압착하는 모습을 보인 시시도
[도7] 본 발명 제1, 2 가압부재(320)(340)의 제1, 2 직선유도수용부(322)(342)에 이에 대응된 지지상판(210)의 제1, 2 직선유도돌출부(212)(214)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 2 가압실린더(310)(312)에 의해 전진되는 모습을 보인 상태사시도
[도8a] 도5a의 평면도
[도8b] 도6의 평면도
[도8c] 도8b의 Web 가압판(350)이 H-빔에 압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Figure 1]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drawn H-beam
[Figure 2] A perspective view of the drawing machine of the prior art-1
[Figure 3a] A perspective view of the drawing machine of the prior art-2
[Fig. 3b] A plan view showing the state that the
[Fig. 3c] a plan view showing the bending of the lower dotted line of the
[Figure 4a] A perspective view of the drawing machine of the prior art-3
[Fig. 4b] Plan view of Fig. 4a for drawing of the H-beam
[Fig. 5a] In the state in which the
[FIG. 5B] AA sectional view of FIG. 5A
[Figure 6] A state in which the
[Figure 7] The first and second linear induction and
[Fig. 8a] A plan view of Fig. 5a
[Fig. 8b] A plan view of Fig. 6
[Fig. 8c]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본 발명 힌지방식에 의해 H-빔의 웨브(Web)를 압착하는 H-빔 인발기는, 종래기술-3의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핵심구조인 Web 가압판(350)의 「힌지구조」와, 그리고 제1, 2 가압실린더(310)(312)의 “대칭직선평행전진방향” 「보정구조」를 중심으로 이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핵심구조이외의 동작구조는 종래기술-3과 동일하기 때문이다. The H-beam drawing machine for pressing the web of the H-beam by the hing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provement of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3, and the "hinge structure" of the
1) Web 가압판(350)의 힌지구조에 대하여1) About the hinge structure of the
Web 가압판(350)은 힌지구조에 의해 제1, 2 가압부재(320)(340)의 중앙에서 수직방향으로 상하 180도 회전된다.
Web 가압판(350)의 힌지구조는 회전아암부재(360)와 제1, 2 가압부재(320)(340)의 고정힌지부(320e)(340e)에 의해 이루어진다. The hinge structure of the
힌지구조의「회전」에 의해 Web 가압판(350)이 수직상부에 위치된 때, 인발기가 도5a 및 도8a 에서와 같이 A방향으로 H-빔을 향해 진입된다. 이때 인발기 진입로에는 진입장애물이 없기 때문에 인발기 진입이 용이하면서 그만큼 인발기의 진입 폭이 최소화되는 특징이 있다. 인발기의 진입 시 그 폭은 도8b의 (B + 2a)의 폭과 같다. Web 가압판(350)의 돌출길이를 f 라 하면, f>a 가 되므로 인발기의 진입로의 한쪽 폭을 (f-a)만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그렇다. When the
힌지구조의「회전」에 의해 Web 가압판(350)이 수직하부에 위치된 때는 Web 가압판(350)이 1, 2 가압부재(320)(340)의 중앙수직면에 접면·돌출된 상태다. 이 상태는 H-빔의 인발준비를 위한 단계이다. 이때 Web 가압판(350)의 위치는 도6 및 도8b에서 보는바와 같이 H-빔의 플랜지(F1)(F2) 폭B의 내부이면서 웨브(Web)사이에 위치된다. 이 삽입 상태는 Web 가압판(350)의 전면 압착부(352)로부터 「Web」까지의 압착거리가 최소화된 상태이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는 인발기의 진입이 불가능하다. 이에 대하여 그 진입이 가능하면서 압착거리의 최소화가 동시에 이루어지게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한 것이 바로 Web 가압판(350)의 「힌지회전구조」이다. When the
도8b에서 f>a의 전제하에 a, b의 관계에 따라 그 압착의 개수가 달라진다. In Fig. 8b, under the premise that f>a, the number of compressions varies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a and b.
즉, ① a>b에서는 1곳만이 압착된다. 그 1곳은 Web 가압판(350)의 Web 압착이다(도8c참조).That is, in ① a > b, only one place is compressed. One place is the web compression of the web pressure plate 350 (see Fig. 8c).
② a = b에서는 2곳에서 압착된다. 그 1곳은 Web 가압판(350)의 Web 압착이고, 다른 1곳은 제1, 2 가압부재(320)(340)의 H-빔의 양측 플랜지(F1)(F2)단부이다. ② At a = b, it is compressed in two places. The one place is the Web compression of the
이에 따라 인발기 진입 폭의 최소화 및 Web 가압판(350)의 압착거리의 최소화로 인해 H-빔의 인발이 효율적이면서 인발기장비가 소형화되는 경제적인 이점이 있을 뿐 아니라 2중 동시압착으로 인해 H-빔 인발의 효율이 최대화되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ly, the extraction of the H-beam is efficient due to the minimization of the entry width of the drawing machine and the minimization of the compression distance of the
가) Web 가압판(350)의 후면 넌 슬립 톱니부(354)과 제1, 2 가압부재(320)(340)의 넌 슬립 톱니부(320b)(340b)에 대하여A) With respect to the rear non-slip
제1, 2 가압부재(320)(340) 수직면(320a)(340a)의 넌 슬립 톱니부(320b)(340b)와, 이와 대응된 Web 가압판(350)의 후면 넌 슬립 톱니부(354)가 서로 치합·압착됨으로써 H-빔 인발 시 슬립이 방지된다.The first and second
나) Web 가압판(350)의 상하회전에 대하여B) About vertical rotation of the
Web 가압판(350)의 상하회전은 Web유압실린더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Web유압실린더의 양단회전구조가 바람직하다. The vertical rotation of the
예컨대, Web유압실린더의 일단회전구조는 Web유압실린더의 로드와 회전아암부재(360)의 lift up-down 홀(366)에 의해 이루어지고, 그 타단회전구조는 Web유압실린더의 실린더와 제1, 2 승강실린더(110)(120)의 어느 하나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단회전구조는 통상적인 회전구조이다.For example, the one end rotational structure of the Web hydraulic cylinder is made by the lift up-down
회전아암부재(360)의 일단은 Web 가압판(350) 상면 고정용접부(356)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상하회전힌지공(362)으로 구성된다.One end of the
회전아암부재(360)의 상하회전힌지공(362)은 제1, 2 가압부재(320)(340)의 L형 상면(320c)(340c)에 형성된 고정힌지부(320e)(340e)와 힌지축(364)에 의해 힌지구조를 이룬다. The vertical
Web 가압판(350)은 힌지축(364)의 힌지구조에 의해 제1, 2 가압부재(320)(340)의 수직상부와 수직하부에 위치된다. 수직하부에 위치된 경우는 제1, 2 가압부재(320)(340)와 접면된 위치이고, 수직상부는 제1, 2 가압부재(320)(340)의 L형 상면(320c)(340c)에 서있는 위치이면서 그 L형 수직 단턱(320d)(340d)에 의해 Web 가압판(350)이 지지된다.
2) “대칭직선평행전진방향”의 「보정구조」에 대하여2) About 「Correction Structure」 of “Symmetrical Linear Parallel Forward Direction”
“대칭직선평행전진방향”의 「보정구조」는 제1, 2 가압부재(320)(340) 저면부(320f)(340f)의 제1, 2 직선유도수용부(322)(342)와, 이에 대응되는 지지상판(210)의 제1, 2 직선유도돌출부(212)(214)가 서로 조립·결합된 구조이다.The "correction structure" of the "symmetrical straight parallel advancing direction" includes the first and second
제1, 2 가압실린더(140)(141)는 도8a에서와 같이 센터라인(c-c)에 대하여 평행대칭이고 그 간격은 d(도3b참조)로 배치된 구조이긴 하나 여기에 유압이 공급되면 그 전진방향이 불가피하게 서로 평행을 유지하지 못하고 엇갈리게 되는 것이 유압시스템이 갖는 불가피한 문제점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한 것이 「보정구조」이다. 제1, 2 가압실린더(140)(141)가 「보정구조」에 의해 “대칭직선평행전진방향”이 유지되도록 한 것이다.The first and
2개의 제1 가압실린더(310)(310)[또는 2개의 제2 가압실린더(312)(312)]는 센터라인(c-c)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된다. 유압시스템이 작동될 때에도 긴 수평부재의 제1, 2 가압부재(320)(340)가 2개의 제1 가압실린더(310)(310)[또는 2개의 제2 가압실린더(312)(312)]에 의해 똑같이 평행 전진되도록 한 것이 「보정구조」이다. The two
「보정구조」에 의해 파손의 우려가 없어 제1, 2 가압실린더(140)(141)의 내구성이 최대화되는 특징이 있다.There is no risk of damage due to the "correction structure", and the durability of the first and
P; 인발기(P)
100; 승강실린더, 110; 제1 승강실린더(110), 120; 제2 승강실린더(120),
140; 제1 가압실린더(140), 141; 제2 가압실린더(141),
200; 지지판, 210; 지지상판(210), 212; 제1 직선유도돌출부(212), 214; 제2 직선유도돌출부(214), 220; 지지하판(220),
300; 가압부, 310; 제1 가압실린더(310), 312; 제2 가압실린더(312),
320; 제1 가압부재(320), 320a; 수직면(320a), 320b; 넌 슬립 톱니부(320b), 320c; L형 상면(320c), 320d; L형 수직 단턱(320d), 320e; 고정힌지부(320e), 320f; 저면부(320f), 322; 제1 직선유도수용부(322),
340; 제2 가압부재(340), 340a; 수직면(340a), 340b; 넌 슬립 톱니부(340b), 340c; L형 상면(340c), 340d; L형 수직 단턱(340d), 340e; 고정힌지부(340e), 340f; 측면부(340f), 340g; 저면부(340g), 342; 제2 직선유도수용부(342),
350; Web 가압판(350), 352; 전면 압착부(352). 354, 후면 넌 슬립 톱니부(354), 356; 상면고정용접부(356),
360; 회전아암부재(360), 362; 상하회전힌지공(362), 364; 힌지축(364), 366; lift up-down 홀(366),P; Drawing machine (P)
100; lift cylinder, 110; The first elevating
140; a
200; support plate, 210;
300; Pressing unit, 310; a
320; first pressing
340; second pressing
350;
360;
Claims (6)
제1, 2 가압부재(320)(340)의 중앙부에 위치된 Web 가압판(350)이 힌지구조에 의해 제1, 2 가압부재(320)(340)의 중앙수직방향으로 상하 180도 회전 가능하고, 힌지구조는 제1, 2 가압부재(320)(340)의 L형 상면(320c)(340c)의 고정힌지부(320e)(340e)와 Web 가압판(350)에 고정된 회전아암부재(360)와의 힌지축(320g)(340g)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때 힌지 회전된 Web 가압판(350)의 수직상부는 제1, 2 가압부재(320)(340)의 L형 상면(320c)(340c)에 서있는 위치이면서 L형 수직 단턱(320d)(340d)에 지지된 상태이고, 힌지 회전된 Web 가압판(350)의 수직하부는 제1, 2 가압부재(320)(340)에 중앙수직면에 접면된 위치인 한편, H-빔으로의 인발기 진입 시에는 Web 가압판(350)의 힌지회전에 의해 Web 가압판(350)이 수직상부에 위치되어 그 진입통로가 열려 자유롭고, 그리고 인발 시에는 Web 가압판(350)이 수직하부에 위치된 제1, 2 가압부재(320)(340)의 중앙수직면에 접면되며, 이 상태에서 제1, 2 가압부재(320)(340)의 가압에 의해 Web 가압판(350)이 「Web」을 압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방식에 의해 H-빔의 웨브(Web)를 압착하는 H-빔 인발기In a state in which the H-beam is compressed by the pressure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members 320 and 340 by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cylinders 310 and 312, the first, 2 In a conventional H-beam drawing machine in which the lifting cylinders 110 and 120 are raised, the support plate 210 is also raised together, and at the same time the H-beam is drawn with the rise.
The web pressure plate 350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members 320 and 340 can rotate up and down 180 degrees in the center vertical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members 320 and 340 by the hinge structure. , the hinge structure is a rotating arm member 360 fixed to the fixed hinge portions 320e and 340e of the L-shaped upper surfaces 320c and 340c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members 320 and 340 and the Web pressing plate 350. ) and the hinge shaft (320g) (340g), wherein the vertical upper portion of the hinge-rotated Web pressing plate 350 is the L-shaped upp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members 320 and 340 (320c) (340c) The vertical lower part of the hinge-rotated Web pressing plate 350 is in a state of being supported by the L-shaped vertical step (320d) and (340d) while being in a standing position in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members 320 and 340 in contact with the central vertical surface. On the other hand, when entering the drawing machine into the H-beam, the Web pressure plate 350 is positioned at the vertical upper part by the hinge rotation of the Web pressure plate 350, and the access passage is open and free, and when drawing, the Web pressure plate 350 ) is in contact with the central vertical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members 320 and 340 located in the vertical lower portion, and in this state, by pressing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members 320 and 340, the Web pressing plate 350 H-beam drawing machine for crimping the web of the H-beam by a hing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is “Web” is crimped
지지상판(210)에 접면되어 제1, 2 가압실린더(310)(312)에 의해 전·후진되는 제1, 2 가압부재(320)(340)의 저면부(320f)(340f)에는 제1, 2 직선유도수용부(322)(342)가, 그리고 이에 대응되는 지지상판(210)의 상면부에는 제1, 2 직선유도돌출부(212)(214)가 형성되고, 또 제1, 2 직선유도돌출부(212)(214)가 제1, 2 직선유도수용부(322)(342)에 서로 조립·결합된 「보정구조」가 형성되게 하되 제1, 2 가압실린더(310)(312)가 제1, 2 가압부재(320)(340)의 센터라인(c-c)에 평행이고, 제1, 2 직선유도수용부(322)(342) 및 제1, 2 직선유도돌출부(212)(214)가 센터라인(c-c)에 대하여 대칭이면서 서로 평행인 한편, 제1, 2 가압실린더(310)(312)의 가압전진방향이 센터라인(c-c)과 항시 평행이 유지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방식에 의해 H-빔의 웨브(Web)를 압착하는 H-빔 인발기2. The method of claim 1
The bottom surfaces 320f and 340f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members 320 and 340 that are in contact with the support upper plate 210 and are moved forward and backward by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cylinders 310 and 312 have a first , 2 linear induction and receiving portions 322, 342, and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support top plate 210 corresponding thereto, first and second linear induction protrusions 212 and 214 are formed, and the first and second straight lines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cylinders 310 and 312 are formed so that the induction protrusions 212 and 214 are assembled and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first and second linear induction and receiving portions 322 and 342. Parallel to the center line (cc)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members 320 and 340, the first and second linear induction and receiving portions 322 and 342 and the first and second linear induction protrusions 212 and 214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cc) and parallel to each other, while the pressing forward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cylinders 310 and 312 is always maintained parallel to the center line (cc). H-beam drawing machine that presses the web of H-beam by
제1, 2 가압부재(320)(340)의 수직면(320a)(340a)에는 길이방향으로 넌 슬립 톱니부(320b)(340b)가, 그리고 이에 대응되는 Web 가압판(350)의 후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후면 넌 슬립 톱니부(354)가 형성되고, 상기 넌 슬립 톱니부(320b)(340b)와 후면 넌 슬립 톱니부(354)가 인발 시 서로 치합·압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방식에 의해 H-빔의 웨브(Web)를 압착하는 H-빔 인발기2. The method of claim 1
The vertical surfaces 320a and 340a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members 320 and 340 have non-slip toothed portions 320b and 340b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rear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Web pressing plate 35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 hing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non-slip toothed portion 354 is formed, and the non-slip toothed portion 320b, 340b and the rear non-slip toothed portion 354 are engaged and compressed with each other during drawing H- H-beam drawing machine for crimping the web of the beam
상기 회전아암부재(360)에 있어 그 일단은 Web 가압판(350)의 상면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상하회전힌지공(362)이 형성되며, 상하회전힌지공(362)과 제1, 2 가압부재(320)(340)의 고정힌지부(320e)(340e)이 힌지축(364)에 의해 힌지구조를 이루되 회전아암부재(360)의 상부회전에 의해 Web 가압판(350)이 제1, 2 가압부재(320)(340)의 수직상부에 위치되어 인발기 진입로로부터 벗어나는 한편, 회전아암부재(360)의 하부회전에 의해 Web 가압판(350)이 H-빔의 양측 플랜지내부에 삽입·돌출되고, 이때 Web 가압판(350)의 전면 압착부(352)로부터 「Web」까지의 압착거리가 최소화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방식에 의해 H-빔의 웨브(Web)를 압착하는 H-빔 인발기2.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rotary arm member 360, one end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eb pressing plate 350, the other end is formed with a vertical rotation hinge hole 362, the vertical rotation hinge hole 362 and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The fixed hinge parts 320e and 340e of the members 320 and 340 form a hinge structure by the hinge shaft 364, and by the upper rotation of the rotary arm member 360, the Web pressing plate 350 is first, 2 The pressing members 320 and 340 are located in the vertical upper part to escape from the access road of the drawing machine, while the web pressing plate 350 is inserted and protruded inside the flanges on both sides of the H-beam by the lower rotation of the rotary arm member 360. At this time, H-beam drawing for compressing the web of the H-beam by a hing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ression distance from the front pressing part 352 of the web pressure plate 350 to the "Web" is minimized. energy
Web 가압판(350)의 상하회전이 Web유압실린더의 양단회전구조에 의해 이루어지되 Web유압실린더의 일단회전구조는 Web유압실린더의 로드와 회전아암부재(360)의 lift up-down 홀(366)에 의해 이루어지고, 그 타단회전구조는 Web유압실린더의 실린더와 제1, 2 승강실린더(110)(120)의 어느 하나에 의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방식에 의해 H-빔의 웨브(Web)를 압착하는 H-빔 인발기2. The method of claim 1
The vertical rotation of the web pressure plate 350 is made by the rotation structure at both ends of the web hydraulic cylinder, but the one-end rotation structure of the web hydraulic cylinder is in the lift up-down hole 366 of the rod of the web hydraulic cylinder and the rotating arm member 360. The web of the H-beam by a hing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end rotational structure is made by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ifting cylinders 110 and 120 and the cylinder of the Web hydraulic cylinder. H-beam drawing machine for crimping
하부회전에 의해 Web 가압판(350)이 H-빔의 양측 플랜지내에 삽입·돌출된 상태에서 제1, 2 가압실린더(310)(312)에 의해 제1, 2 가압부재(320)(340)의 가압과 함께 Web 가압판(350)의 「Web」압착과 동시에 제1, 2 가압부재(320)(340)의 플랜지(F1)(F2)의 a1-b2, a1-b2를 압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방식에 의해 H-빔의 웨브(Web)를 압착하는 H-빔 인발기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members 320 and 340 by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cylinders 310 and 312 in a state in which the Web pressing plate 350 is inserted and protruded into the flanges on both sides of the H-beam by lower rot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1-b2 and a1-b2 of the flanges (F1) and (F2)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members 320 and 340 are pressed at the same time as the “Web” of the web pressing plate 350 is pressed together with the pressing. H-beam drawing machine that compresses the H-beam web by the hinge metho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3003A KR102457983B1 (en) | 2020-12-24 | 2020-12-24 | H-beam pullout machinery of pressing the web by a hinge style and adjustment sty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3003A KR102457983B1 (en) | 2020-12-24 | 2020-12-24 | H-beam pullout machinery of pressing the web by a hinge style and adjustment sty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91853A true KR20220091853A (en) | 2022-07-01 |
KR102457983B1 KR102457983B1 (en) | 2022-10-21 |
Family
ID=82396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83003A Active KR102457983B1 (en) | 2020-12-24 | 2020-12-24 | H-beam pullout machinery of pressing the web by a hinge style and adjustment sty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5798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96362A (en) * | 2021-12-23 | 2023-06-30 | 곽주민 | H-beam pullout machinery of pressing a pressuring member and a web by a adjustment type and compensation typ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61181B1 (en) | 2023-11-30 | 2024-04-26 | 주식회사 티에스산업 | H-beam process automation device and system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38080A (en) * | 2018-06-04 | 2019-12-12 | 곽주민 | H-beam pulling system |
KR20200101267A (en) * | 2019-02-19 | 2020-08-27 | 곽주민 | System pulling H-beam from underground by rotational axis way and apparatus pulling H-beam thereof |
-
2020
- 2020-12-24 KR KR1020200183003A patent/KR10245798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38080A (en) * | 2018-06-04 | 2019-12-12 | 곽주민 | H-beam pulling system |
KR20200101267A (en) * | 2019-02-19 | 2020-08-27 | 곽주민 | System pulling H-beam from underground by rotational axis way and apparatus pulling H-beam thereof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96362A (en) * | 2021-12-23 | 2023-06-30 | 곽주민 | H-beam pullout machinery of pressing a pressuring member and a web by a adjustment type and compensation typ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57983B1 (en) | 2022-10-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57983B1 (en) | H-beam pullout machinery of pressing the web by a hinge style and adjustment style | |
CN1030711A (en) | The forming method of box-like frame members | |
US4559691A (en) | Device for securing a sleeve on the abutting ends of reinforcing bars | |
CN118385318B (en) | Automatic straightening equipment and straightening method for spiral welded pipe processing | |
US7004005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pipe from metal plate | |
CN100540169C (en) | UOE steel pipe manufacturing method and its manufacturing device | |
KR102619549B1 (en) | H-beam pullout machinery of pressing a pressuring member and a web by a adjustment type and compensation type | |
CN211229581U (en) | A vertical steel bar positioning frame | |
US3889508A (en) | Pole bending apparatus | |
KR102521631B1 (en) | Hydraulic Press of Continuous Internal Face with Vertical Top-Down | |
CN206810965U (en) | A kind of bender fast fixture | |
CN1227892A (en) | Common rai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CN216972994U (en) | Turnout switch rail correcting device | |
AU736749B2 (en) | "C" block roll bending | |
CN214133495U (en) | Steel band prosthetic devices is strutted in colliery | |
CN214556414U (en) | A steel pipe alignment structure for municipal works | |
CN211915313U (en) | Portable reinforcing bar equipment of bending of building site | |
CN211872996U (en) | Anchor static pile driver | |
CN209998133U (en) | curved member repairing device | |
JP4388767B2 (en) | Pipe press molding method | |
US7415857B1 (en) | Plate bending machines and methods | |
US10974305B2 (en) | Die for swage press | |
CN117583488B (en) | Symmetrical positioning mechanism applied to longitudinal beam of caravan | |
CN215801587U (en) | Quick centering pile extension device | |
CN213409907U (en) | Integral type material press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1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0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10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