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087201A - 클린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클린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7201A
KR20220087201A KR1020200177677A KR20200177677A KR20220087201A KR 20220087201 A KR20220087201 A KR 20220087201A KR 1020200177677 A KR1020200177677 A KR 1020200177677A KR 20200177677 A KR20200177677 A KR 20200177677A KR 20220087201 A KR20220087201 A KR 20220087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clean gel
oil
sk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일연
Original Assignee
위즈티앤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즈티앤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즈티앤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7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7201A/ko
Publication of KR20220087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720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0Biolog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72Hypo-allergeni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린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정제수와 보존제, 보습제, 용매, 점도조절제, 안정화제 및 유화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첨가제와 식물추출물 및 식물성오일을 포함하여 배변 훈련 중인 어린이가 배변 후 부드러운 사용감으로 피부자극이 적고,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노워시 청결제로, 올바른 배변습관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클린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lean gel composi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클린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정제수와 보존제, 보습제, 용매, 점도조절제, 안정화제 및 유화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첨가제와 식물추출물 및 식물성오일을 포함하여 배변 훈련 중인 어린이가 배변 후 부드러운 사용감으로 피부자극이 적고,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노워시 청결제로, 올바른 배변습관을 가지도록 할 수 있는 클린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배변 후에 반드시 항문을 닦아야 하는데, 대부분 건조한 화장지를 이용하여 항문을 닦고 있다. 그러나 건조한 화장지만으로 제대로 닦이지 않아 비위생적이고, 항문질병이 원인이 되고 있으며, 특히 배변훈련 중인 어린이, 항문질환자들은 용변 후 처리하는데 있어 불편함과 고통을 느끼는 경우가 많이 발생되고 있다.
건조한 화장지로 용변 후 항문을 닦을 경우, 항문의 구조상 많은 주름으로 깨끗하게 닦기 어렵다. 깨끗하게 닦지 않을 경우, 배설물이 항문 및 항문 주위에 남아있게 됨에 따라 박테리아 등 세균이 증식하게 되어 악취, 피부염, 항문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고, 속옷이 더러워지게 된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평상시 물 세척, 클린젤 등으로 항상 항문을 청결하게 유지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야외활동을 하는 경우 공동화장실을 사용해야 되는데, 휴지통이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물에 녹는 클린젤이 아닐 경우, 뒤처리가 번거롭고, 매번 물을 사용하여 세척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10-2020-0122039호는 겔 타입 용변 잔여물 세척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겔화제, 방부보존제 및 물을 포함하며, 상기 겔화제는 카라기난, 로커스트빈검, 구아검, 곤약, 만나검, 카시아검, 트라가칸스빈검, 타라검, 젤란검, 잔탄검, 알긴, 알긴산, 알긴산염, 스크러로티움검, 휘셀레란, 가티검, 카라야검, 포셀란, 젤라틴, 한천, 스타치, 셀룰로오스계, 전분계, 펙틴, 카제인, 덱스트린 중 1종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겔 타입 용변 잔여물 세척용 조성물에 의하면, 세척력이 우수하여 용변 잔여물로 인한 피부질환 및 항문질환을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 편의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는 겔 타입 용변 잔여물 세척용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 대한민국 공개특허10-2020-0122039호는 세척강화제, 방부보존제의 성분이 연약한 어린이 피부에 사용하기 에는 안정성에 문제점이 있어 이러한 문제점 등이 개선된 제품에 대한 요구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20-0122039호(2020년10월27일)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의 용변 후 항문 세척을 위해 사용하는 세척용 조성물은 세척강화제, 방부보존제 등 어린이가 사용 시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어 정제수와 보존제, 보습제, 용매, 점도조절제, 안정화제 및 유화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첨가제와 식물추출물 및 식물성오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젤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정제수와 보존제, 보습제, 용매, 안정화제 및 유화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첨가제와 식물추출물 및 식물성오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첨가제 0.0001 내지 30 중량%, 식물추출물 0.0001 내지 1 중량% 및 식물성오일 0.0001 내지 5 중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식물추출물은 생강추출물, 당근추출물, 인삼추출물, 오렌지껍질추출물, 파파야열매추출물, 약모밀추출물, 아보카도열매추출물, 로즈마리잎추출물, 캐모마일꽃추출물, 참당귀뿌리추출물, 시호뿌리추출물, 소엽맥문동뿌리추출물, 병풀추출물, 녹차추출물, 쓴쑥추출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약모밀추출물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7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식물성오일은 로즈마리잎오일, 팔마로사오일, 오렌지껍질오일, 유칼립투스잎오일, 호호바씨오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클린젤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정제수, 첨가제, 식물추출물, 식물성오일을 준비하는 준비단계와 상기 정제수, 첨가제, 식물추출물, 식물성오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제조단계와 상기 혼합단계 이후 혼합물을 20 내지 30도로 냉각하는 냉각단계와 상기 냉각단계 이후 성상, 산도, 비중, 미생물을 검사하여 선별하는 선별단계 및 상기 선별단계 이후 혼합물을 포장하는 포장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혼합제조단계는 20 내지 80도에서 5 내지 20 rpm의 속도로 1분 내지 5분 패들믹서로 혼합하는 제1혼합단계와 20 내지 80도에서 1000 내지 2000 rpm의 속도로 1분 내지 5분 호모믹서로 혼합하는 제2혼합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클린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은 정제수와 보존제, 보습제, 용매, 점도조절제, 안정화제 및 유화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첨가제와 식물추출물 및 식물성오일로 구성되어 성인에 비해 저항력이 약한 어린이가 대변의 세균에 의해 항문, 엉덩이 주위에 피부질환, 발진 등을 방지하여 위생적이고, 피부자극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클린젤은 건조한 화장지에 필요한 양만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고, 노워시 청결제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클린젤 제조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순서도.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 및 주름용 조성물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다음에 소개되는 구체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구체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구체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기재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추출물’이란, 추출 대상을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침출하여 얻어진 추출물, 이산화탄소, 펜탄 등 초임계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 또는 그 추출물을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을 의미하며, 추출 방법은 활성물질의 극성, 추출 정도, 보존 정도를 고려하여 냉침, 환류, 가온, 초음파 방사, 초임계 추출 등 임의의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분획된 추출물의 경우 상기 추출물을 특정 용매에 현탁 시킨 후 극성이 다른 용매와 혼합·정치시켜 얻은 분획물, 상기 추출물을 실리카겔 등이 충진된 칼럼에 흡착시킨 후 소수성 용매, 친수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이동상으로 하여 얻은 분획물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상기 추출물의 의미에는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의 방식으로 추출용매가 제거된 농축된 액상의 추출물 또는 고형상의 추출물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추출용매로서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 더 바람직하게는 추출용매로서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클린젤 조성물 및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정제수(10)는
각종 무기물 및 유기물을 모두 제거한 순수한 물을 의미하고, 이온 교환법, 역삼투 방식 등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온 교환법은 물을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분리한 후, 이것을 다시 재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순도가 높은 정제수(10)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많이 쓰이고 하나의 탱크에서 양이온과 음이온을 분리하는 혼상식 방법과 두 개의 탱크에서 양이온과 음이온을 각각 분리하는 방식인 복상식을 사용하여 정제수(10)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역삼투 방식은 농도가 낮은 용액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역으로 이용하여 정제수(10)를 만드는 방법으로, 고농도의 용액과 저농도의 용액 중간에 투과막을 설치한 후, 고동도 용액쪽에 높은 압력을 가하게 되면 고농도 용액쪽으로 저농도의 용액이 빨려 들어가지 않고 저농도에 정제수(20)가 투과되도록 하여 정제수(10)를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높은 순도의 정제수(10)를 얻기 위하여 이온 교환법을 사용하여 제조된 정제수(1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첨가제(20)는
보존제, 보습제, 용매, 점도조절제, 안정화제 및 유화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존제는 방부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이라면 제한됨이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디올류, 파라옥시향산 에스테르류, 페녹시에탄올,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 페노닙 및 각종 천연 방부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피부에 보습과 영양을 줄 수 있는 물질이라면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의 예로는 글리세린, 글리세린의 폴리에틸렌글라이콜 에스테르, 글리세롤 모노프로폭실레이트,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솔비톨, 펄리에틸렌글라라이콜,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 공중합체, 코듐토멘토숨 추출물, 콜라겐 아미노산, 콜라겐 펩타이드, 크레아티닌, 디글리세롤, 바이오사카라이드검-1, 클루카민염, 글루쿠론산염, 글루탐산염, 글리코겐, 헥실렌클라이콜, 당밀,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메톡시 PEG10, 메틸글루세스-10 및 20, 펜타에리쓰리톨, 펜타디올, PPG-1 글리세릴 에테르, 하이알루로네이트염, 폴리아스파르테이트 염, 사카라이드 이성화물, 세리신, 실크아미노산, 아세틸하이알루로네이트 염, 폴리굴루타메이트 염, 소르베쓰 20, 당, 당 알코올, 당과 당 알코올 각각의 유도체, 트레할로스, 트리글리세롤, 트리메티올프로판, 트리스아미노메탄염, 보습용 식물추출물 및 구아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 에틸헥실글리세린,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카프릴릴글라이콜, 프로판디올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글리세린(Glycerin)은 지방족 3가 알코올의 하나로서 무색 무취이며 단맛이 나고 끈기가 있는 액체 형태로, 건조방지제, 용제, 감미료, 윤활제로 사용되거나 음식물의 보존에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은 피부컨디셔닝제로 습윤제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보습효과를 위해 주로 사용되며, 탈취효과, 다른 성분을 용해시키는 용제 역할 및 방부제의 항균력을 증가시켜 화장품에 첨가 시 방부제 사용량을 줄여줄 수 있다.
상기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은 무색, 무취의 저자극 원료로, 끈적임을 없애주어 발림성을 향상시키며, 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보다 보습력이 뛰어나지만 고가의 성분이고, 안정제, 용매제, 보습제, 피부컨디셔닝제, 습윤제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은 포도주, 토양효모, 옥수수오일, 해바라기 씨 오일 등에 함유되어 있으며 무색의 점성 액체 형태로, 수분을 더하고 유지시켜주는 보습제로 많이 사용되며, 정제수와의 상용성이 우수하다.
상기 카프릴릴글라이콜(Caprylyl glycol)은 코코넛 오일에서 추출되는 천연 성분으로, 피부를 부드럽게 해주는 동시에 항균, 수분조절, 보습유지 기능이 있으며 천연방부제 역할을 한다.
상기 프로판디올은 옥수수에서 추출되는 천연 유래 성분으로, 보습효과가 뛰어나 보습제로 주로 사용되고, 용매제로 사용되기도 하며, 방부효과가 있어 화장품에 첨가 시 방부제 사용양을 줄여줄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보습제는 클린젤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3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보습력이 미미해지고, 3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보습제의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어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10 내지 20 중량%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용매는 구성성분을 용해시키는 물질로 정제수, 벤질알코올, 부톡시에탄올, 부틸렌글라이콜, 부틸아세테이트, n-부틸알코올, 아세톤, 에탄올, 에칠아세테이트, 옥타메칠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올레일알코올, 1,2-헥산다이올 등이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첨가할 수도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용매는 1,2-헥산다이올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은 소수성과 친수성을 모두 가지고 있는 계면활성제 구조의 무취 물질로, 주로 용매, 보습제 역할을 하며, 항균제, 방부제 역할을 하기도 한다.
상기 점도조절제는 클린젤의 점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성분으로 제품의 안정성, 질감 및 사용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점도증가제와 점도감소제로 나눌 수 있다. 이런 목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에는 감자전분, 구아검, 구아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글라이콜디스테아레이트, 글리세레스-26, 글리세린, 덱스트린, 디펜타에리스라이트패티애씨드에스터,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라놀린알코올, 라놀린왁스, 라우라마이드디이에이, 라우릴베타인, 메칠셀룰로오스, 무수규산피복마이카, 면실유, 미리스탈코늄클로라이드, 밀전분, 벤질알코올, 벤토나이트, 카보머 등이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첨가할 수도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점도조절제는 카보머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카보머(Carbomer)는 부드럽고 촉촉한 발림감을 주는 성분으로, 폭 넓은 산도(PH) 영역에서 투명하게 점증이 가능하며, 위험성과 피부 자극이 적다. 물을 흡수하고 유지하는 능력이 뛰어나며, 미생물에 의한 영향이 적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안정화제는 클린젤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물질로, 썩시닉애씨드, 아미노메칠프로판디올, 아세틱애씨드, 디소듐포스페이트, 소듐보레이트, 타타릭애씨드, 카보머, 콜라겔, 젤라틴, 에틸셀룰로스, 잔탄검, 트로메타민 등이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첨가할 수도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정화제는 트로메타민이 사용되는 것이 좋다.
상기 트로메타민(Tromethamine)은 지방족 화합물 성분으로, 트리스 아미노메테인이라고 불리우리도 하며, 상온에서 흰색의 결정성 가루로 존재한다.
주로 산도조절제로 사용하며, 계면활성제, 착향제, 점증제, 용해제 등의 역할을 한다.
상기 유화제는 수상 성분과 유상 성분의 원활한 혼합을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코카마이드메칠엠이에이,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글리콜 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피이지-40스테아레이트, 피이지-20스테아레이트,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폴리소르베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60, 폴리소르베이트 80, 폴리글리세릴-4카프레이트,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소르비탄 올리베이트, 세테아릴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바틸 알코올, 아라키딜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C14-22 알코올, 부틸 글루코사이드, C10-16 알킬 글루코사이드, C12-18 알킬 글루코사이드, C12-20 알킬 글루코사이드, 카프릴릴 글루코사이드, 카프릴릴/카프릴 글루코사이드, 데실 글루코사이드, 라우릴 글루코사이드, 옥틸도데실 글루코사이드, 옥틸도데세스-5, 옥틸도데세스-10, 옥틸도데세스-16, 옥틸도데세스-20, 옥틸도데세스-25 등과 같은 옥틸도데세스류,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및 아라키딜 글루코사이드 등이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첨가할 수도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화제는 옥틸도데세스-20이 사용되는 것이 좋다.
상기 옥틸도데세스-20(Octyldodeceth-20)는 피부친화성이 좋아 다른 유효성분들이 피부에 흡수되는 것을 도와주는 천연성분이고, 제품의 안정성이 높은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용해보조제), 유화제, 세정제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린젤 조성물은 이외에도 다양한 제약성분, 방부제, 살균제, 착색제, 염료, 안료, 식물 엑기스, pH 완충제, 산화방지제, 자외선흡수제, 자외선산란제, 향료 등의 추가적인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첨가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식물성추출물(30)은
생강추출물, 당근추출물, 인삼추출물, 오렌지껍질추출물, 파파야열매추출물, 약모밀추출물, 아보카도열매추출물, 로즈마리잎추출물, 캐모마일꽃추출물, 참당귀뿌리추출물, 시호뿌리추출물, 소엽맥문동뿌리추출물, 병풀추출물, 녹차추출물, 쓴쑥추출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생강추출물은 매운 맛을 내는 진저롤, 다량의 무기질 및 쇼가올, 폴리페놀류, 플라보노이드 같은 항산화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피부진정, 세정력, 염증억제, 피부에 해로운 물질이 활성화 하지 못하도록 돕는 등의 효능이 있다.
생강추출물은 생강을 건조 및 파쇄하여 분말화한 것을 추출에 적용할 수 있고, 생강의 잎, 줄기, 줄기껍질, 가지, 가지껍질, 뿌리, 뿌리줄기, 꽃 또는 이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뿌리 또는 뿌리줄기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생강추출물은 클린젤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피부진정, 세정력 등의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1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생강 특유의 냄새가 강해질 수 있어 어린이, 유아에게 기호성이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0.0001 내지 0.01 중량%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당근추출물은 피부 진정, 보습, 탄력에 도움을 주고, 베타카로틴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피부막을 강화시켜 바이러스와 세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 하는 등의 효능이 있다.
당근추출물은 당근을 건조 및 파쇄하여 분말화한 것을 추출에 적용할 수 있고, 당근의 줄기, 뿌리, 뿌리줄기, 꽃 또는 이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뿌리 또는 뿌리줄기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당근추출물은 클린젤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1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피부 진정, 보습, 탄력, 세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1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함량 증가에 따른 효능 증가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0.0001 내지 0.01 중량 %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인삼추출물은 피부 재생, 보습, 기미, 잡티, 각질연화, 기미에 도움을 주고, 캘러스 성분이 항염, 항산화, 항노화 등의 효능이 있다.
인삼추출물은 인삼을 건조 및 파쇄하여 분말화한 것을 추출에 적용할 수 있고, 생강의 잎, 줄기, 줄기껍질, 가지, 가지껍질, 뿌리, 뿌리줄기, 꽃 또는 이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뿌리 또는 뿌리줄기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인삼추출물은 클린젤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1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피부 재생, 피부 보습 등의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1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함량 증가에 따른 효능 증가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0.0001 내지 0.01 중량%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오렌지껍질추출물은 피로회복, 피부 보습, 피부 탄력, 외부물질 활성을 억제 등의 효능이 있다.
오렌지껍질추출물은 오렌지껍질을 건조 및 파쇄하여 분말화한 것을 추출에 적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오렌지 겉껍질, 속껍질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오렌지껍질추출물은 클린젤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1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피부 보습, 외부물질 활성 억제 등의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1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함량 증가에 따른 효능 증가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0.0001 내지 0.01 중량%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파파야열매추출물은 베타카로틴, 비타민 C, 무기질, 유기산, 파파인 효소 등이 함유되어 있어 피부 보습, 피부장벽 개선, 소변의 단백질 부산물을 깔끔하게 제거하는 효능이 있고, 파파야 열매, 잎, 줄기 등의 모든 부분 또는 일부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 파파야 열매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파야열매추출물은 클린젤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1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피부보습, 대변의 단백질 부산물을 깔끔하게 제거하는 효능이 제대로 나타나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1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알레르기 반응 또는 피부에 자극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0.0001 내지 0.01 중량%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약모밀추출물은 멸 또는 어성초라고도 불리우며, 아피질린, 베타시토스테롤, 메틸노닐케톤, 미르센, 쿠에르시트린, 아이소쿠에르시트린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살균, 향균, 면역증강, 항염증, 이뇨, 진해 등의 효능이 있다.
약모밀추출물은 약모밀을 건조 및 파쇄하여 분말화한 것을 추출에 적용할 수 있고, 약모밀의 잎, 줄기, 줄기껍질, 가지, 가지껍질, 뿌리, 뿌리줄기, 꽃 또는 이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약모밀추출물은 클린젤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7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살균, 향균, 면역증강, 항염증, 이뇨, 진해 등의 효능을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7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함량 증가에 따른 효능 증가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0.01 내지 0.15 중량%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아보카도열매추출물은 지방산, 탄수화물, 단백질, 비타민 등이 함유되어 있어 피부 보습, 피부 진정 등의 효능이 있다.
아보카도열매추출물은 아보카도를 건조 및 파쇄하여 분말화한 것을 추출에 적용할 수 있고, 아보카도의 과육, 씨, 껍질 또는 이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아보카도추출물은 클린젤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1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보습, 진정 등의 효능을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1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함량 증가에 따른 효능 증가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0.0001 내지 0.01 중량%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로즈마리잎추출물은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B6, 엽산, 펄분, 마그네슘, 칼륨, 망간, 리보플라빈, 미네랄, 카르노산, 보르네올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피부보호, 피부보습, 피부진정, 향균, 항염, 항알러지 등의 효능이 있다.
로즈마리잎추출물은 로즈마리를 건조 및 파쇄하여 분말화한 것을 추출에 적용할 수 있고, 잎, 꽃, 줄기, 줄기껍질, 뿌리, 뿌리줄기 또는 이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잎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한다.
로즈마리잎추출물은 클린젤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1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피부보호, 피부진정, 항균, 항염, 항알러지 등의 효능을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1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함량 증가에 따른 효능 증가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0.0001 내지 0.01 중량%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캐모마일꽃추출물은 비타민 A, 비타민 B, 니아신, 베타카로틴, 카모아줄렌, 테르펜, 폴리페놀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피부치유, 피부재생, 피부진정, 염증완화 등의 효능이 있다.
캐모마일꽃추출물은 캐모마일을 건조 및 파쇄하여 분말화한 것을 추출에 적용할 수 있고, 잎, 꽃, 줄기, 줄기껍질, 뿌리, 뿌리줄기 또는 이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꽃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한다.
캐모마일잎추출물은 클린젤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1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피부재생, 피부진정, 염증완화 등의 효능을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1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함량 증가에 따른 효능 증가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0.0001 내지 0.01 중량%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참당귀뿌리추출물은 데쿠르신, 데쿠르시놀 안겔레이트, 노다케닌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피부진정, 피부보호, 항염 등의 효능이 있다.
참당귀뿌리추출물은 참당귀를 건조 및 파쇄하여 분말화한 것을 추출에 적용할 수 있고, 잎, 꽃, 줄기, 줄기껍질, 뿌리, 뿌리줄기 또는 이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뿌리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한다.
참당귀뿌리추출물은 클린젤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1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피부진정, 항염, 피부보호 등의 효능을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1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함량 증가에 따른 효능 증가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0.0001 내지 0.01 중량%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시호뿌리추출물은 정유, 트리테르페노이드 사포닌, 폴리아세틸렌, 플라보노이드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해열, 진정, 진통, 진해, 항염증 등의 효능이 있다.
시호뿌리추출물은 시호를 건조 및 파쇄하여 분말화한 것을 추출에 적용할 수 있고, 잎, 꽃, 줄기, 줄기껍질, 뿌리, 뿌리줄기 또는 이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뿌리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한다.
시호뿌리추출물은 클린젤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1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피부진정, 항염증 등의 효능을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1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함량 증가에 따른 효능 증가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0.0001 내지 0.01 중량%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소엽맥문동뿌리추출물은 사포닌, 호모이소플라본, 다당류, 오피오포고닌, 세로토닌 등이 함유되어 있어 피부보습, 진통, 해열, 항염증 등의 효능이 있다.
소엽맥문동뿌리추출물은 소엽맥문동을 건조 및 파쇄하여 분말화한 것을 추출에 적용할 수 있고, 잎, 꽃, 줄기, 줄기껍질, 뿌리, 뿌리줄기 또는 이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뿌리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한다.
소엽맥문동뿌리추출물은 클린젤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1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진통, 항염증, 피부보습 등의 효능을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1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함량 증가에 따른 효능 증가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0.0001 내지 0.01 중량%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병풀추출물은 아시아티코사이드, 아시아디글리코시드, 마데카소사이드, 마데카식산, 센텔라사포닌 등의 트리페노이드 성분 및 플라보노이드, 유기산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피부 재생, 소염, 진정, 항염, 피부질환 개선 등의 효능이 있다.
병풀추출물은 병풀을 건조 및 파쇄하여 분말화한 것을 추출에 적용할 수 있고, 잎, 꽃, 줄기, 줄기껍질, 뿌리, 뿌리줄기 또는 이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병풀추출물은 클린젤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1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피부재생, 피부진정, 피부질환 개선 등의 효능을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1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함량 증가에 따른 효능 증가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0.0001 내지 0.01 중량%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녹차추출물은 카테킨, 테아닌, 세키세놀, 비타민, 나이아신, 펜토텐산, 이노시톨, 루틴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 항염, 피부진정 등의 효능이 있다.
녹차추출물은 녹차를 건조 및 파쇄하여 분말화한 것을 추출에 적용할 수 있고, 잎, 꽃, 줄기, 줄기껍질 또는 이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녹차추출물은 클린젤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1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항염, 피부진정 등의 효능을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1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함량 증가에 따른 효능 증가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0.0001 내지 0.01 중량%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쓴쑥추출물은 세스퀴테르펜, 락톤, 정유, 플라보노이드, 리그난, 쿠마린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항염증, 항산화, 항균, 피부 신진대사 촉진 등의 효능이 있다.
쓴쑥추출물은 쓴쑥을 건조 및 파쇄하여 분말화한 것을 추출에 적용할 수 있고, 잎, 꽃, 줄기, 줄기껍질, 뿌리, 뿌리줄기 또는 이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쓴쑥추출물은 클린젤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1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피부재생, 피부진정, 피부질환 개선 등의 효능을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1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함량 증가에 따른 효능 증가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0.0001 내지 0.01 중량% 포함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식물추출물(30)은 육종용추출물, 조구등추출물, 백미꽃추출물, 율피추출물을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개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서, 피부진정, 피부보습, 항균, 항염 등의 효능이 있다.
상기 육종용추출물은 페닐에타노이드 글리코사이드, 이리도이드, 리그난, 올리고당, 다당류, 탄수화물, 아크디오사이트, 에크시나코시드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피부 보습, 트러블개선, 세정 효능 등이 있고, 열당과 여러해살이풀 육종용(Cistanchis Herba)이 꽃이 필 때 채취한 줄기를 건조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육종용추출물은 클린젤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피부 보습, 트러블개선, 세정 효능이 제대로 나타나지 않고,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함량 증가에 따른 효능 증가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0.001 내지 0.05중량 %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조구등추출물은 인돌 알칼로이드, 이소코리녹세인, 코리녹세인, 카담빈, 히르수틴, 코리난테인, 아쿠암미긴, 발레시아코타민, 하이페린, 트리폴린, 옥살산칼슘, 헥소사민, 베타-요힘빈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피부 진정, 항균, 항염 등의 효능이 있고, 줄기, 잎 등의 모든 부분 또는 일부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조구등추출물은 클린젤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5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피부 진정, 항균, 항염 등의 효능이 제대로 나타나지 않고,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함량 증가에 따른 효능 증가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0.001 내지 0.05중량 %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백미꽃추출물은 시낸콜, 스테롤, 정유, 사포닌, 강심배당체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피부진정, 피부보습, 피부재생 등의 효능이 있고, 줄기, 꽃, 잎, 줄기껍질 등의 모든 부분 또는 일부에서 추출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꽃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백미꽃추출물은 클린젤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피부진정, 피부보습, 피부재생 등의 효능이 제대로 나타나지 않고,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함량 증가에 따른 효능 증가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0.001 내지 0.05중량 %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율피추출물은 폴리페놀, 탄닌질, 비타민 K, 히페린, 우르솔산, 베툴린 및 루페올 등의 트리테르테노이드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항염, 피부보습, 항알레르기 등의 효능이 있다.
율피추출물은 클린젤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5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피부보습, 항염, 항알레르기 등의 효능이 제대로 나타나지 않고,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함량 증가에 따른 효능 증가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0.001 내지 0.05중량 % 포함되는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물추출물(30)은 각 식물에 대해 증류 방식에 의해 추출하고 얻어진 각 추출물을 혼합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식물들을 함께 증류 방식에 의해 추출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증류 방식은 감압 증류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감압 증류는 낮은 압력에서 물질의 끓는점이 내려가는 현상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분리법으로서, 상압에서 끓는점까지 물질을 가열하면 분해할 우려가 있는 물질을 증류할 때 사용되며, 이에 따라, 생성물의 분해나 불필요한 고분자 생성물을 억제할 수 있다.
감압 증류 방식으로 수득된 식물 추출물은 입자가 미세하여 피부세포에 잘 흡수될 수 있으며, 눈에 보이지 않는 불순물까지 다 걸러내기 때문에 잔류 농약, 중금속 등과 같은 유해물질이 남아있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식물성오일(40)은
로즈마리잎오일, 팔마로사오일, 오렌지껍질오일, 유칼립투스잎오일, 호호바씨오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식물성오일(40)은 향미감이 우수하고, 산화방지제, 수분증발차단제, 피부보호, 향균, 보습, 항염, 청량감증진 등의 효과가 있다.
상기 로즈마리잎오일은 피부보호, 향균, 호흡기 보호 등에 효능이 있고, 로스마리노스 속의 식물로부터 추출되며 바람직하게는 로즈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Rosemarinus officinalis)에서 추출된다. 상기 식물은 2m 정도의 관목으로 바늘 모양의 잎과 연청색 꽃을 가지고 있는데, 잎에서 추출한 오일을 사용한다.
상기 팔마로사오일은 게라니올, 파르네솔, 시트로넬롤, 시트랄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항박테리아, 항바이러스, 항진균, 살균 등의 효능이 있고, 줄기, 꽃, 잎, 줄기껍질 등의 모든 부분 또는 일부에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오렌지껍질오일은 플라보노이드, 비타민 C, 리모넨, 피넨, 미르센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피부진정, 항균, 피부보습 등의 효능이 있다. 오렌지 겉껍질, 속껍질에서 추출한 오일을 사용한다.
상기 유칼립투스잎오일은 정유성분, 플라보노이드, 탄닌, 트리테르페노이드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항균, 살충, 항염증, 진통 등의 효능이 있다.
상기 호호바씨오일은 토코페놀, 시몬드신, 비타민 A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 피부보습, 피부진정, 피부재생 등의 효능이 있다. 호호바나무 잎, 줄기, 줄기껍질, 꽃, 열매, 씨 등의 모든 부분 또는 일부에서 추출할 수 있으나, 체적으로는 씨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식물성오일(40)은 클린젤 총 중량에 대해 0.0001 내지 5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0001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식물성오일(40)의 효과가 미미하고, 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함량 증가에 따른 효능 증가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0.001 내지 0.01 중량% 포함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클린젤 조성물은 유효성분 및 식물추출물에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성질을 저해하지 않은 양으로 각종 공지의 성분 등을 추가하여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클린젤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 팩인 경우 공지의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롤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클린젤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인 경우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클린젤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비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클린젤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이소스테아릴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스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롤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가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클린젤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세정제인 경우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도면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클린젤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클린젤 제조방법은 도면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제수(10), 첨가제(20), 식물추출물(30), 식물성오일(40)을 준비하는 준비단계(S10)와 상기 정제수(10), 첨가제(20), 식물추출물(30), 식물성오일(40)을 혼합하는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제조단계(S20)와 상기 혼합제조단계(S20) 이후 혼합물을 20 내지 30도로 냉각하는 냉각단계(S30)와 상기 냉각단계(S30) 이후 성상, 산도, 비중, 미생물을 검사하여 선별하는 선별단계(S40) 및 상기 선별단계(S40) 이후 혼합물을 포장하는 포장단계(S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준비단계(S10)는 클린젤 총 조성물에 대하여 정제수(10) 60 내지 75 중량%, 첨가제(20) 0.0001 내지 30 중량%, 식물추출물(30) 0.0001 내지 1 중량%, 식물성오일(40) 0.0001 내지 5 중량%를 준비한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제조단계(S20)는 상기 준비단계(S10)에서 준비된 정제수(10), 첨가제(20), 식물추출물(30), 식물성오일(40)을 함께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제조단계(S20)는 20 내지 80℃(도)에서 5 내지 20 회전수(rpm, revolution per minute)로 1 내지 5분 패들믹서로 혼합하는 제1혼합단계(S21)와 20 내지 80℃(도)에서 1000 내지 2000 회전수로 1 내지 5분 호모믹서로 혼합하는 제2혼합단계(S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혼합단계(S21)는 20 내지 80℃(도)에서 정제수(10), 첨가제(20), 식물추출물(30), 식물성오일(40)이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5 내지 20 회전수의 저속으로 1 내지 5분간 패들믹서로 혼합한다.
상기 제2혼합단계(S22)는 20 내지 80℃(도)에서 상기 제1혼합단계(S21)에서 균일하게 혼합된 정제수(10), 첨가제(20), 식물추출물(30), 식물성오일(40)을 층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제1혼합단계(S21) 보다 더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1000 내지 2000 회전수의 고속으로 1 내지 5분 호모믹서로 혼합하여 사용감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냉각단계(S30)는 상기 혼합제조단계(S20)단계 이후 혼합물을 실온에서 20 내지 30도(℃)가 될 수 있도록 서서히 냉각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냉각단계(S30)는 실온에서 서서히 냉각하지 않고, 급속 냉각할 경우, 혼합된 정제수(10), 첨가제(20), 식물추출물(30), 식물성오일(40)이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실온에서 서서히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별단계(S40)는 상기 냉각단계(S30) 이후 성상, 산도, 비중, 미생물을 검사하여 완제품을 선별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성상은 완제품의 성질 및 상태를 검사하는 것으로, 점도계를 이용하여 25℃(도), 5/50rpm, 15초 동안 완제품의 점도를 측정하여 200 내지 1500 점성도(centi poise, cps)를 만족하는지 측정한다.
상기 산도는 25℃(도)에서 완제품의 산도가 pH 6 내지 8을 만족하는지 측정한다.
상기 비중은 25℃(도)에서 1.000내지 1.100을 만족하는지 측정한다.
상기 미생물은 총 호기성 생균 수가 100CFU(Colony-Forming Unit, 군집을 형성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균의 수)/ml 이하인지 측정한다.
상기 포장단계(S50)는 상기 선별단계(S40)를 거친 혼합물을 다양한 용도에 따른 용량으로 알맞은 소분용기에 충전하여 포장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관능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클린젤의 관능평가를 위해 8세 내지 12세의 어린이 20명을 대상으로 클린젤을 2주간 사용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피부 자극감, 피부질환 및 전체적인 기호도를 부모님과 어린이에게 평가하도록 하였다.
관능검사는 5점 척도법((5: 매우 우수하다, 4: 우수하다, 3: 보통이다, 2: 나쁘다, 1: 매우 나쁘다)에 따라 실시되었으며, 상기 특성을 조사한 후 이를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산술평균하였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및 비교예 1)
먼저 건조된 생강, 당근, 인삼, 오렌지껍질, 파파야열매, 약모밀, 아보카도열매, 로즈마리잎, 캐모마일꽃, 유칼립투스잎, 참당귀뿌리, 시호뿌리, 소엽맥문동뿌리, 병풀, 녹차, 쓴쑥, 팔마로사, 호호바씨에서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해 각각 1kg을 에탄올 각 10kg에 침지하고 3시간 동안 환류하여 1차 추출하였으며, 이를 여과하여 고형분과 액상성분을 각각 수득하였다. 그 다음 고형분에 동일한 용매 5kg으로 동일 조건 하에서 재추출하여 액상성분을 수득한 다음, 이를 1차 추출 시 수득한 액상성분과 혼합하고 감압농축기에서 1kg이 될 때까지 농축하였다. 얻어진 농축물을 정제수 3kg과 혼합하고 이를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보관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분리하여 식물성오일과 식물추출물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원료들과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제조하였다.
(중량%)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글리세린 20 20 20 20 20 20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10 10 10 10 10 10
생강추출물 0.07 0.07 0.001 0.001 0.001 -
약모밀추출물 0.07 0.001 0.07 0.001 0.001 -
아보카도열매추출물 0.001 0.001 0.001 0.001 0.001 0.001
로즈마리잎추출물 0.001 0.001 0.001 0.001 0.001 0.001
캐모마일꽃추출물 0.001 0.001 0.001 0.001 0.001 0.001
참당귀뿌리추출물 0.001 0.001 0.001 0.001 0.001 0.001
시호뿌리추출물 0.001 0.001 0.001 0.001 0.001 0.001
소엽맥문동뿌리추출물 0.001 0.001 0.001 0.001 0.001 0.001
당근추출물 0.001 0.001 0.001 0.001 0.001 0.001
인삼추출물 0.001 0.001 0.001 0.001 0.001 0.001
병풀추출물 0.07 0.001 0.001 0.07 0.001 -
녹차추출물 0.001 0.001 0.001 0.001 0.001 0.001
파파야열매추출물 0.07 0.001 0.001 0.001 0.07 -
쓴쑥추출물 0.001 0.001 0.001 0.001 0.001 0.001
로즈마리잎오일 0.001 0.001 0.001 0.001 0.001 0.001
팔마로사오일 0.001 0.001 0.001 0.001 0.001 0.001
오렌지껍질오일 0.001 0.001 0.001 0.001 0.001 0.001
유칼립투스잎오일 0.001 0.001 0.001 0.001 0.001 0.001
호호바씨오일 0.001 0.001 0.001 0.001 0.001 0.001
카보머 0.001 0.001 0.001 0.001 0.001 0.001
트로메타민 0.001 0.001 0.001 0.001 0.001 0.001
부틸렌글라이콜 0.001 0.001 0.001 0.001 0.001 0.001
옥틸도데세스-20 0.001 0.001 0.001 0.001 0.001 0.001
에틸헥실글리세린 0.001 0.001 0.001 0.001 0.001 0.001
카프릴릴글라이콜 0.001 0.001 0.001 0.001 0.001 0.001
프로판다이올 0.001 0.001 0.001 0.001 0.001 0.001
1,2-헥산다이올 0.001 0.001 0.001 0.001 0.001 0.00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피부자극감 2 3 5 3 4 1
피부질환 2 4 5 4 3 1
기호도 2 3 5 3 4 1
상기 표 2와 같이 본원발명에 따라 제조된 클린젤은 피부자극감과 피부질환이 적은 것으로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피부자극감과 피부질환은 다른 식물추출물 보다 약모밀추출물이 많은 실시예 3의 경우, 가장 우수한 효과를 보이고 있으며, 관능검사 결과에서도 낮은 자극감과 피부질환이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실시예 3의 클린젤은 사용 후 만족도 결과에서도 17명이 아주 좋다고 평가하였다.
이상, 본 발명은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정제수 20 : 첨가제
30 : 식물추출물 40 : 식물성오일

Claims (7)

  1. 정제수(10);
    보존제, 보습제, 용매, 안정화제, 안료 및 유화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첨가제(20);
    식물추출물(30); 및
    식물성오일(4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젤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첨가제 0.0001 내지 30 중량%, 식물추출물 0.0001 내지 1 중량% 및 식물성오일 0.0001 내지 5 중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젤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추출물(30)은,
    생강추출물, 당근추출물, 인삼추출물, 오렌지껍질추출물, 파파야열매추출물, 약모밀추출물, 아보카도열매추출물, 로즈마리잎추출물, 캐모마일꽃추출물, 참당귀뿌리추출물, 시호뿌리추출물, 소엽맥문동뿌리추출물, 병풀추출물, 녹차추출물, 쓴쑥추출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젤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약모밀추출물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7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젤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오일(40)은,
    로즈마리잎오일, 팔마로사오일, 오렌지껍질오일, 유칼립투스잎오일, 호호바씨오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젤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클린젤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정제수(10), 첨가제(20), 식물추출물(30), 식물성오일(40)을 준비하는 준비단계(S10);
    상기 정제수(10), 첨가제(20), 식물추출물(30), 식물성오일(40)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제조단계(S20);
    상기 혼합단계(S20) 이후 혼합물을 20 내지 30℃로 냉각하는 냉각단계(S30);
    상기 냉각단계(S30) 이후 성상, 산도, 비중, 미생물을 검사하여 선별하는 선별단계(S40); 및
    상기 선별단계(S40) 이후 혼합물을 포장하는 포장단계(S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젤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단계(S20)는,
    20 내지 80℃에서 5 내지 20 rpm의 속도로 1분 내지 5분 패들믹서로 혼합하는 제1혼합단계(S21);
    20 내지 80℃에서 1000 내지 2000 rpm의 속도로 1분 내지 5분 호모믹서로 혼합하는 제2혼합단계(S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젤 제조방법.
KR1020200177677A 2020-12-17 2020-12-17 클린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eased KR202200872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677A KR20220087201A (ko) 2020-12-17 2020-12-17 클린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677A KR20220087201A (ko) 2020-12-17 2020-12-17 클린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201A true KR20220087201A (ko) 2022-06-24

Family

ID=82215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677A Ceased KR20220087201A (ko) 2020-12-17 2020-12-17 클린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720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2039A (ko) 2019-04-17 2020-10-27 홍경환 겔 타입 용변 잔여물 세척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2039A (ko) 2019-04-17 2020-10-27 홍경환 겔 타입 용변 잔여물 세척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3193B1 (ko) 청호,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102257342B1 (ko) 항균 및 항염증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5207664B2 (ja) 化粧品
KR102366247B1 (ko) 물티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213096A (zh) 一种植物型防晒霜及其制备方法
KR101914623B1 (ko) 식물 유래의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1302222B1 (ko) 아토피 피부염 및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식물성 혼합 추출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00132B1 (ko) 지속성 냉감 효과를 가지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KR102447999B1 (ko) 티트리잎, 페퍼민트잎, 약모밀, 녹차, 노니 및 파슬리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14628B1 (ko) 식물 유래의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764355B1 (ko) 수소 및 천연 보존 성분을 함유한 화장품과 그 제조방법
KR20220087201A (ko) 클린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29389B1 (ko) 천연식물 유래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 냄새 제거용 소취제 조성물
KR102275552B1 (ko) 유색 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조성물
KR20230079665A (ko) 천연식물 유래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질 분비물 냄새 제거용 소취제 조성물
KR102101448B1 (ko)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조성물
KR20180111016A (ko) 식물 유래의 오일 또는 하이드로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88133B1 (ko) 감국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콜라겐 생성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2309956B1 (ko) 카모마일 꽃 분말을 포함하는 피부 혈행 개선용 조성물
KR20160054672A (ko) 대맥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조성물과 이의 이용
KR101625598B1 (ko) 포제를 활용하여 가공된 천연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2027453B1 (ko) 포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230079666A (ko) 천연식물 유래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모니아 냄새 제거용 소취제 조성물
JP3734222B2 (ja) 皮膚外用剤、細胞賦活剤、及び抗酸化剤
KR101769606B1 (ko) 바위솔, 삼백초, 및 더위지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및 피부손상 회복 촉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07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4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