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086594A - 에어로졸 발생제품 연기발생구간의 충진량 정량분석에 적용하는 램프 검측 방법과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발생제품 연기발생구간의 충진량 정량분석에 적용하는 램프 검측 방법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6594A
KR20220086594A KR1020227014911A KR20227014911A KR20220086594A KR 20220086594 A KR20220086594 A KR 20220086594A KR 1020227014911 A KR1020227014911 A KR 1020227014911A KR 20227014911 A KR20227014911 A KR 20227014911A KR 20220086594 A KR20220086594 A KR 20220086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generating
smoke
lamp
produ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4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윈 다이
닝닝 옌
원옌 자오
용 장
정 천
전난 황
위에펑 천
성홍 위엔
Original Assignee
윈난 시크어 사이언스 &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윈난 시크어 사이언스 &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윈난 시크어 사이언스 &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86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59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2/00Methods or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of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the variations of parameters of electromagnetic or acoustic waves applied directly to the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 G01F23/284Electromagnetic waves
    • G01F23/292Light, e.g. infrared or ultraviole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G01N21/49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 G01N21/53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within a flowing fluid, e.g. smo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 Manufacture Of Tobacco Products (AREA)

Abstract

에어로졸 발생제품 연기발생구간의 충진량 정량분석에 적용하는 램프검측방법은 에어로졸 발생제품(3)을 고정시킬 수 있는 램프검측장치 및 수평 빔을 제공할 수 있는 면 광원(1)을 제공한다. 램프검측장치에 고정한 에어로졸 발생제품(3)의 축선과 수평면의 선면(line and plane) 협각은 0° 내지 90°이며; 램프검측장치에 고정한 에어로졸 발생제품(3)의 축선은 면 광원(1)이 제공한 수평 빔과 수직된다. 에어로졸 발생제품 연기발생구간의 충진량 정량분석에 적용하는 램프검측장치를 더 제공하며, 이 램프검측장치는 에어로졸 발생제품(3) 연기발생구간(31)의 충진량을 정확하게 검측해내고, 에어로졸 발생원이 캐비티를 가득 채웠는지 여부를 감별하고, 정량해 충진량을 확정할 수 있어 제품 검사에 편리하고 에어로졸 발생원이 적게 충진되거나 또는 충진되지 않은 데 대한 검사문제를 해결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발생제품 연기발생구간의 충진량 정량분석에 적용하는 램프 검측 방법과 장치
본 발명의 특허는 저온 가열 불연소 제품의 생산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에어로졸 발생제품 연기발생구간의 충진량 정량분석에 적용하는 램프 검측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에어로졸 발생제품의 연기발생구간은 주로 입자식, 대담배(cut tobacco) 또는 박편식과 크림 형상의 연기 발생 재료이다. 에어로졸 발생제품은 신형 연초(煙草)제품에 속하고, 그 외관구조, 성형공정, 연기 발생 매커니즘 등이 모두 종래의 권련과 다르고, 제품의 특수성으로, 현재는 아직 확정적인 표준 요구가 없어 시판되고 있는 에어로졸 발생제품의 품질이 고르지 않고, 특히, 입자식, 크림 형상 연기발생재료로 구성된 에어로졸 발생제품의 충진량은 대응되는 검사수단이 부족하다. 에어로졸 발생원 물질 충진량의 양은 에어로졸 발생제품의 연기 발생 효과에 대해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감각기관의 흡입 품질에 영향을 미친다. 종래기술은 주로 중량을 달아 에어로졸 발생제품의 충진량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지만, 에어로졸 발생제품은 구조가 복잡하고, 사용하는 재료가 비교적 많고, 중량 변동이 아주 커 인공으로 중량을 달 경우, 노동강도가 높고 효율이 낮다.
램프 검측은 품질 검사의 중요한 수단으로서,현재에는 주로 약품, 식품, 화학공업, 농약 등 업계에서 앰플(ampoule) 병, 바이알(vial) 병, 물약에 대한 검측에 사용한다.
CN 208969019 U가 공개한 램프검측기는 충격 완화 풋(foot), 충격 완화 풋에 설치한 램프검측실, 램프검측실의 내부에 설치한 적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장치는 모터, 등록데스크, 커넥팅 로드와 척(chuck)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는 램프검측실의 내부에 설치해 램프검측실의 바닥부에 장착하고, 이 모터의 전동축은 램프 검측 데스크의 기하 중심과 서로 연결하고, 상기 램프 검측 데스크의 표면의 중심 위치는 제1 검사 램프가 설치되고, 이 검사 데스크의 외측에는 제1 검사 램프를 에워싸고 있는 병 거치 홈이 설치되고, 상기 병 거치 홈의 바닥부에는 제2 검사 램프와 경고 램프가 설치되고, 상기 커넥팅 로드는 램프 검측 데스크에 설치하고, 이 커넥팅 로드는 전체 로드를 관통하는 캐비티가 설치되고, 커넥팅 로드 캐비티의 내부에는 제1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스프링의 일단이 램프 검측 데스크와 서로 연결하는 일단은 척과 서로 연결한다. 이 램프검측기는 주로 인공으로 검측판과 병을 클램핑하는 것이 불안정하고 램프 광선에 검사 음영 사각지대가 존재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CN 208537445 U가 공개한 수평식 램프 검측 박스는 수송 체인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통 수송 체인과 종방향을 이루도록 설치한 종방향 램프 검측 박스 및 통 수송 체인과 평행을 이루도록 설치한 횡방향 램프 검측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횡방향 램프 검측 박스와 종방향 램프 검측 박스는 고정해 연결하고, 상기 횡방향 램프 검측 박스의 하방에는 고정 지지대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 지지대는 동력을 전달하도록 연결한 회전 스윙휠과 신축 스크루 및 잠금 스크루를 통해 통 전송 체인과 연결하고, 상기 종방향 및 횡방향 램프 검측 박스는 모두 LED 평행 백라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종방향 및 횡방향 램프 검측 박스의 LED 평행 백라이트에는 모두 적어도 2개의 드럼 지지대가 설치된다.
CN 203299141U가 공개한 램프검측기는 램프 검측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 검측 박스의 내부에는 광원이 설치되고, 상기 램프 검측 박스의 꼭대기부에는 투명한 램프 검측 작업대가 설치되고, 상기 램프 검측 박스의 일측에는 차광판이 더 설치되고, 상기 차광판은 각각 램프 검측 작업대 및 램프 검측 박스의 측판과 힌지 연결하고, 상기 광원은 차광판의 하방에 위치한다.
총체적으로, 종래의 램프검측장치는 주로 앰플 병, 바이알 병, 물약의 액체 중에 현탁액이 존재하는 여부를 검사하는 데 사용하므로, 그의 램프검측장치의 광원이 모두 검측 견본의 하방에 위치하고, 광원은 검측 견본을 관통해 지나가고, 검측자는 검측 견본 병 중에 현탁 불순물이 있는 여부를 관찰한다.
하지만, 종래기술의 램프검측장치는 복잡하고 원가가 높고 견본량이 적어 산업화 생산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다. 더 중요한 것은, 종래의 이런 램프검측장치는 에어로졸 발생제품 연기발생구간의 충진량에 대한 검측에 부합되지 않는 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 발생제품은 검측판에 수평으로 놓여지고, 광원은 검측판의 하방에 위치하여 에어로졸 발생제품을 향하고, 검측자는 에어로졸 발생제품의 상방에서부터 그의 연기발생구간이 전부에 연기 발생 재료가 충진된 여부를 관찰하며, 연기 발생 입자를 충진하는 것을 예로 들 경우, 연기 발생 입자는 광선을 투과하지 않으므로, 연기발생구간 중의 연기 발생 입자 충진량이 50%이상에 달하면 검측자는 에어로졸 발생제품의 연기발생구간으로부터 모두 연기 발생 입자를 투과한 광선을 볼 수 없고, 심지어, 충진량의 25%뿐인 경우에도 검측자는 에어로졸 발생제품 연기발생구간의 가장자리에서만 아주 적은 양의 광선을 관찰할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에어로졸 발생제품 중 연기발생구간의 충진량을 검측할 경우, 직접 아래의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1. 검측 결과가 정확하지 않아 충진량이 50%이하인 연기발생구간만 검측해낼 수 있고, 충진량이 50%보다 같거나 크면 검측자의 눈에는 모두 완전히 충진된 것으로 보여지며; 2. 충진량이 50%이하인 연기발생구간에 대한 검측에서도 정성 검측일 뿐이고, 충진량의 양을 같은 양으로 정확하게 확정할 수 없으며; 3. 검측자의 노동강도가 높고 검측 효율이 낮다.
이외에도, 에어로졸 발생제품은 직경이 비교적 작고 길이도 비교적 길고 형상이 원기둥체로서, 수평으로 놓고 검측할 때 쉽게 굴러가고 직립해 검사할 때 쉽게 미끄러지면서 쓰러져 인공을 투입해 피(被)검측물을 손으로 잡아줘야 하므로, 노동강도가 높고 효율이 낮다. 따라서, 에어로졸 발생제품의 형상과 연기 발생 재료 충진의 특수성에 의해 에어로졸 발생제품 연기발생구간의 충진량에 적용하는 램프검측장치를 설계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원가가 낮고 조작이 간단하고 감별도가 높고 대량으로 검사할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제품 연기발생구간의 충진량에 적용하는 램프검측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이는 에어로졸 발생원 물질이 캐비티에 가득 채워졌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감별할 수 있어 제품 검사에 편리하다.
본 발명은 제1 측면에서 에어로졸 발생제품 연기발생구간의 충진량 정량분석에 적용하는 램프검측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에어로졸 발생제품을 고정시킬 수 있는 램프검측장치 및 수평 빔을 제공할 수 있는 면 광원을 제공하며;
상기 램프검측장치에 고정한 상기 에어로졸 발생제품의 축선과 수평면의 선면(line and plane) 협각은 0° 내지 90°이며; 상기 램프검측장치에 고정한 상기 에어로졸 발생제품의 축선은 면 광원이 제공한 수평 빔과 수직된다.
선면 협각은 평면에 평행되지 않는 직선 상의 하나의 지점을 지나도록 평면의 수직선을 그리고, 이 직선과 평면의 교점 및 원래 직선과 평면의 교점의 연결선이 원래 직선과 구성하는 예각 또는 직각을 가리킨다.
본 발명은 제2 측면에서 에어로졸 발생제품 연기발생구간의 충진량 정량분석에 적용하는 램프검측장치를 제공하고, 이는 면 광원(1)과 램프 검측 박스(2)를 포함하며;
상기 램프 검측 박스(2)는 케이스(21), 상기 케이스(21) 내부의 다수 개의 차단편(22) 및 다수 개의 상기 차단편(22)에 의해 나누어진 다수 개의 견본 수용홈(23)을 포함하고, 상기 견본 수용홈(23)의 내부는 에어로졸 발생제품을 수용하고, 상기 에어로졸 발생제품 연기발생구간의 내부는 연기 발생 입자 또는 연기발생 젤을 충진하며;
상기 면 광원(1)은 수평 빔을 제공해 상기 램프 검측 박스(2) 중에 수용한 에어로졸 발생제품을 관통해 지나가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에어로졸 발생제품의 축선과 수평면의 선면 협각은 0° 내지 90°이며; 상기 에어로졸 발생제품의 축선은 상기 면 광원(1)이 제공한 수평 빔과 수직된다.
여기에서, 상기 램프 검측 박스(2)는 하나의 외부 덮개를 더 포함하고, 이는 견본 수용홈(23)의 외측에 위치하고, 목적은 견본 수용홈(23)에 수용한 에어로졸 발생제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데 있다. 여기에서, 외부 덮개는 광선이 투과하는 재료로서, 투명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에서부터 선택되어 외부 덮개가 닫힌 후에도 상기 램프 검측 박스(2)가 내부의 에어로졸 발생제품을 관측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스(21)는 광선이 투과하는 재료로서, 투명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에서부터 선택되어 빔이 이를 관통해 지나가 에어로졸 발생제품에 투과되도록 보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단편(22)은 광선이 투과하지 않는 재료로서, 갈색유리 또는 짙은 색 플라스틱 또는 금속 또는 세라믹 등에서부터 선택되며, 다시 말해, 램프 검측 박스(2)가 에어로졸 발생제품을 수용하지 않은 지점은 광선이 투과되지 않아 면 광원(1)이 발사해 내보낸 수평 빔이 검측자의 눈을 자극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 견본 수용홈(23)은 사이즈가 단일 에어로졸 발생제품의 사이즈와 매칭되거나 또는 다수 개가 병렬된 에어로졸 발생제품의 사이즈와 매칭되어 에어로졸 발생제품을 고정시킨다. 다시 말해, 견본 수용홈(23)의 길이, 너비, 깊이는 테스트되는 에어로졸 발생제품을 수용하는 데 알맞도록 구성하는 것을 위주로 하거나 또는 견본 수용홈(23)의 길이, 너비, 깊이는 다수 개가 차례대로 배열되어 테스트되는 에어로졸 발생제품을 수용하는 데 알맞도록 구성하는 것을 위주로 하며, 여기에서, 견본 수용홈(23)을 형성하는 차단편(22)도 횡방향으로 배열되고 종방향으로 배열된 차단편으로 나눈다.
바람직하게, 상기 면 광원(1)은 LED 확산판 램프이고, 이 광원은 너비 분포가 균일하고 스트로보가 없고 색온도가 안정적이며, 외접된 조절기를 통해 밝기를 임의로 조절해 검측자의 피로감을 덜고 검사 효율을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스(21)는 눈금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제3 측면에서 상기 램프검측장치로 에어로졸 발생제품 연기발생구간의 충진량 정량분석을 진행하는 램프검측방법을 제공하며, 이는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 검측할 에어로졸 발생제품을 견본 수용홈(23)에 충진하고, 그 다음, 상기 램프 검측 박스(2)를 상기 면 광원(1)의 전방에 놓고, 상기 에어로졸 발생제품의 축선과 수평면의 선면 협각은 0° 내지 90°이고, 상기 에어로졸 발생제품의 축선은 상기 면 광원(1)이 제공한 수평 빔과 수직되며;
단계 (2) 면 광원(1)을 작동시켜 상기 면 광원(1)이 발사해 내보낸 빔이 상기 램프 검측 박스(2) 중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제품을 관통해 지날 수 있도록 하고, 에어로졸 발생제품의 연기발생구간 중에서 광선이 투과하지 않는 구역의 음영 면적과 연기발생구간의 음영 면적의 비율에 의해 연기발생구간의 충진량을 계산하며;
충진량=연기발생구간 중에서 광선이 투과하지 않는 구역의 음영 면적/연기발생구간의 음영 면적*100%이다.
여기에서, 검측자가 면 광원을 향해 램프 검측 박스의 전방에 위치하고, 램프 검측 박스는 에어로졸 발생제품을 수용하지 않는 지점이 광선을 투과하지 않도록 구성해 면 광원(1)이 발사해 내보낸 수평 빔이 검측자의 눈을 자극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카메라로 촬영한 후, 다시 분석하는 방법을 이용해 충진량을 계산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스(21)는 눈금을 구비하고, 다른 눈금은 연기발생구간의 다른 충진량과 매칭되고, 연기발생구간 중에서 광선이 투과하지 않는 구역의 수평면에 대응되는 눈금 및 상기 에어로졸 발생제품의 축선과 수평면의 선면 협각을 통해 연기발생구간의 충진량을 확정한다.
본 출원에 기재된 에어로졸 발생원은 에어로졸 발생제품 연기발생구간에 충진된 연기 발생 입자 또는 연기발생 젤을 가리킨다.
종래기술에 비해, 본 발명은 아래의 기술효과를 이룬다.
1. 본 발명은 에어로졸 발생제품의 형상 및 연기 발생 재료 충진의 특수성에 대해, 최초로 에어로졸 발생제품 연기발생구간의 충진량에 적용하는 램프검측장치를 설계하여 에어로졸 발생원이 캐비티를 가득 채웠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감별하고, 정량해 충진량을 확정할 수 있어 제품 검사에 편리하고 에어로졸 발생원이 적게 충진되거나 또는 충진되지 않은 데 대한 현재 업계의 검사문제를 해결한다.
2. 본 발명에 따른 램프검측장치에 있어서, 램프 검측 박스(2)는 실제 수요에 따라 검사 수량을 원활하게 설계할 수 있고, 램프 검측 박스(2)는 사이즈를 맞춤형으로 제작해 대량의 제품 검사를 실현할 수 있고, 케이스(21)와 차단편(22)을 분리할 수 있어 조작하는 데 편리하다. 이외에도, 견본 수용홈(23)은 사이즈가 에어로졸 발생제품의 사이즈와 매칭되거나 또는 다수 개가 배열된 에어로졸 발생제품의 사이즈와 매칭되어 에어로졸 발생제품을 고정시킨다. 다시 말해, 견본 수용홈(23)의 길이, 너비, 깊이는 테스트되는 에어로졸 발생제품을 수용하는 데 알맞도록 구성하는 것을 위주로 하거나 또는 견본 수용홈(23)의 길이, 너비, 깊이는 다수 개가 차례대로 배열되어 테스트되는 에어로졸 발생제품을 수용하는 데 알맞도록 구성하는 것을 위주로 하며, 이렇게 램프 검측 박스(2)가 수평으로 놓여지든지 아니면 수직으로 놓여지든지를 막론하고 에어로졸 발생제품이 모두 견본 수용홈(23)의 내부에 정연하게 놓여지도록 보장할 수 있어 인공을 투입해 피(被)검측물을 손으로 잡아주는 것을 피해 인공을 절약하고 검측 효율을 향상시킨다.
3. 본 발명에 따른 램프검측장치는 종래의 램프검측장치를 에어로졸 발생제품의 검측에 사용할 경우, 충진량이 50%보다 같거나 크면 정확하게 검측해낼 수 없는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하였다. 본 발명에 기재된 램프검측장치를 이용할 경우, 에어로졸 발생제품 연기발생구간의 충진량 양이 얼마냐를 막론하고 모두 정확하게 검측해 낼 수 있고, 조작이 간단하고, 검사 효율을 대폭 향상사키고, 램프 검측 정확율이 100%에 달할 수 있다.
4.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방안에서, 상기 램프 검측 박스(2)의 케이스(21)는 눈금을 구비하고, 다른 눈금은 연기발생구간의 다른 충진량과 매칭되고, 연기발생구간 중에서 광선이 투과하지 않는 구역의 수평면에 대응되는 눈금을 통해 연기발생구간의 충진량을 확정하고, 상기 램프 검측 박스(2)와 수평 방향이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놓여지는 경우라도, 연기발생구간 중에서 광선이 투과하지 않는 구역의 수평면에 대응되는 눈금 및 이 각도를 통해 연기발생구간의 충진량을 확정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램프검측방법은 에어로졸 발생원 물질이 캐비티에 가득 채워졌는지 여부를 정성 감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관건적인 것은 에어로졸 발생원의 충진량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정량 확정한다.
5. 본 발명에 따른 램프검측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단편(22)은 광선이 투과하지 않는 재료로서, 차단편(22)은 견본 수용홈(23)을 격리시켜 형성해 테스트할 에어로졸 발생제품을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면 광원(1)이 발사해 내보낸 수평 빔이 검측자의 눈을 자극하는 것을 방지해 관측자의 피로감을 덜 수도 있다.
6. 종래에 중량을 달아 에어로졸 발생제품의 충진량을 평가하는 데 대비해, 본 발명에 따른 램프검측장치를 사용할 경우, 인공 강도가 낮고 정확율과 효율이 높다.
7. 본 발명에 따른 램프검측장치에 있어서, 상기 면 광원(1)은 LED확산판 램프이고, 이 광원은 너비 분포가 균일하고 스트로보가 없고 색온도가 안정적이며, 외접된 조절기를 통해 밝기를 임의로 조절해 검측자의 피로감을 덜고 검사 효율을 향상시킨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램프검측장치가 에어로졸 발생제품의 검측에 사용될 경우에 대한 설명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램프검측장치가 에어로졸 발생제품의 검측에 사용될 경우에 대한 설명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램프검측장치가 에어로졸 발생제품의 검측에 사용될 경우에 대한 설명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검측할 경우, 램프 검측 박스(2)의 구조 설명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검측할 경우, 램프 검측 박스(2)의 구조 설명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서 검측할 경우, 램프 검측 박스(2)의 구조 설명도이다.
이하, 실시예와 도면을 결합해 본 발명을 한층 더 상세히 설명하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할 뿐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원은 연기 발생 입자를 예로 들며, 그의 검측 장치와 방법은 연기발생 젤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한다.
에어로졸 발생제품(3)은 연기발생구간(31), 격리부재(32), 빈 튜브 구간(34)과 필터구간(33)을 포함한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에어로졸 발생제품 연기발생구간의 충진량에 적용하는 램프검측방법과 정량분석의 램프검측방법을 설명하며, 이는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측할 에어로졸 발생제품을 견본 수용홈(23)에 충진하고, 그 다음, 상기 램프 검측 박스(2)를 상기 면 광원(1)의 전방에 놓고, 상기 에어로졸 발생제품의 축선과 수평면의 선면(line and plane) 협각은 90°이고, 상기 에어로졸 발생제품의 축선은 상기 면 광원(1)이 제공한 수평 빔과 수직되며;
단계 (2), 면 광원(1)을 작동시켜 상기 면 광원(1)이 발사해 내보낸 빔이 상기 램프 검측 박스(2) 중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제품을 관통해 지날 수 있도록 하고, 에어로졸 발생제품의 연기발생구간 중에서 광선이 투과하지 않는 구역의 음영 면적과 연기발생구간의 음영 면적의 비율에 의해 연기발생구간의 충진량을 계산하며;
충진량=연기발생구간 중에서 광선이 투과하지 않는 구역의 음영 면적/연기발생구간의 음영 면적*100%이다.
더 나아가, 상기 케이스(21)눈금을 구비하고, 다른 눈금은 연기발생구간의 다른 충진량과 매칭되고, 연기발생구간 중에서 광선이 투과하지 않는 구역의 수평면에 대응되는 눈금을 통해 연기발생구간의 충진량을 확정한다.
더 직관적으로 설명할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 광원(1)이 발생한 수평 빔은 지면 내측에서부터 지면 외측을 향하고, 검측자는 지면 외측에서부터 종이와 수직되게 램프 검측 박스(2) 중의 에어로졸 발생제품을 관찰한다.
상기 장치를 이용해 제1 차 12개의 에어로졸 발생제품에 대해 검측을 진행하며, 램프 검측 박스(2)의 구조를 더 뚜렷하게 볼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본 1-1(제1 열의 위에서부터 아래로 첫 번째, 아래 같음), 견본 1-2(제1 열의 위에서부터 아래로 두 번째), 견본 2-1(제2 열의 위에서부터 아래로 첫 번째), 견본 2-2(제2 열의 위에서부터 아래로 두 번째)만 그리며, 도 4에서부터 알 수 있다 시피, 제1 차 견본 중에서 견본 1-1을 제외하고, 다른 에어로졸 발생제품 연기발생구간(31)은 모두 완전하게 충진되어 충진율이 100%이고, 램프 검측 박스(2) 케이스(21)의 눈금 라인에 의해 견본 1-1의 충진량이 80%인 것이 정확하게 보여진다.
실시예 2
본 실시예가 이용하는 램프검측방법은 실시예 1과 일치하고, 구별되는 차이점은, 상기 램프 검측 박스(2) 중에 수용한 에어로졸 발생제품(3)의 축선과 수평면의 선면 협각이 0°인 데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면 광원(1)이 발사해 내보낸 수평 빔이 에어로졸 발생제품(3)을 관통해 지나고, 상기 에어로졸 발생제품의 축선은 상기 면 광원(1)이 제공한 수평 빔과 수직된다. 다시 말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기초상에서, 직접 램프 검측 박스(2)를 90° 회전시킨다.
더 직관적으로 설명할 경우, 도 4와 마찬가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면 광원(1)이 발생한 수평 빔은 지면 내측에서부터 지면 외측을 향하고, 검측자는 지면 외측에서부터 종이와 수직되게 램프 검측 박스(2) 중의 에어로졸 발생제품을 관찰한다.
상기 장치를 이용해 제2 차 12개의 에어로졸 발생제품에 대해 검측을 진행하며, 램프 검측 박스(2)의 구조를 더 뚜렷하게 볼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본 1-1(제1 라인의 좌측에서부터 첫 번째), 견본 1-2(제1 라인의 좌측에서부터 두 번째), 견본 2-1(제2 라인의 좌측에서부터 첫 번째), 견본 2-2(제2 라인의 좌측에서부터 두 번째)만 그리며, 도 5에서부터 알 수 있다 시피, 제2 차 견본 중에서 견본 1-1을 제외하고, 다른 에어로졸 발생제품 연기발생구간(31)은 모두 완전하게 충진되어 충진율이 100%이고, 램프 검측 박스(2) 케이스(21)의 눈금 라인에 의해 견본 1-1의 충진량이 80%인 것이 정확하게 보여진다.
실시예 3
본 실시예가 이용하는 램프검측방법은 실시예 1과 일치하고, 구별되는 차이점은, 상기 램프 검측 박스(2) 중에 수용한 에어로졸 발생제품(3)의 축선과 수평면의 선면 협각이 60°인 데 있으며, 상기 면 광원(1)이 발사해 내보낸 수평 빔이 에어로졸 발생제품(3)을 관통해 지나고, 상기 에어로졸 발생제품의 축선은 상기 면 광원(1)이 제공한 수평 빔과 수직된다. 다시 말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기초상에서, 직접 램프 검측 박스(2)를 30° 회전시킨다.
더 직관적으로 설명할 경우, 도 4와 마찬가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면 광원(1)이 발생한 수평 빔은 지면 내측에서부터 지면 외측을 향하고, 검측자는 지면 외측에서부터 종이와 수직되게 램프 검측 박스(2) 중의 에어로졸 발생제품을 관찰한다.
상기 장치를 이용해 제2 차 12개의 에어로졸 발생제품에 대해 검측을 진행하며, 램프 검측 박스(2)의 구조를 더 뚜렷하게 볼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본 1-1(제1 열의 위에서부터 아래로 첫 번째, 아래 같음), 견본 1-2(제1 열의 위에서부터 아래로 두 번째), 견본 2-1(제2 열의 위에서부터 아래로 첫 번째), 견본 2-2(제2 열의 위에서부터 아래로 두 번째)만 그리며, 도 6에서부터 알 수 있다 시피, 제3 차 견본 중에서 견본 1-1을 제외하고, 다른 에어로졸 발생제품 연기발생구간(31)은 모두 완전하게 충진되어 충진율이 100%이고, 음영 면적에 의해 견본 1-1의 충진량이 80%인 것을 산출할 수 있다.
1: 면 광원
2: 램프 검측 박스
3: 에어로졸 발생제품
21: 케이스
22: 차단편
23: 견본 수용홈
31: 연기발생구간
32: 격리부재
33: 필터구간
34: 빈 튜브 구간

Claims (9)

  1. 에어로졸 발생제품 연기발생구간의 충진량 정량분석에 적용하는 램프검측방법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제품을 고정시킬 수 있는 램프검측장치 및 수평 빔을 제공할 수 있는 면 광원을 제공하며;
    상기 램프검측장치에 고정한 상기 에어로졸 발생제품의 축선과 수평면의 선면(line and plane) 협각은 0° 내지 90°이며; 상기 램프검측장치에 고정한 상기 에어로졸 발생제품의 축선은 면 광원이 제공한 수평 빔과 수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제품 연기발생구간의 충진량 정량분석에 적용하는 램프검측방법.
  2. 에어로졸 발생제품 연기발생구간의 충진량 정량분석에 적용하는 램프검측장치에 있어서,
    이는 면 광원(1)과 램프 검측 박스(2)를 포함하며;
    상기 램프 검측 박스(2)는 케이스(21), 상기 케이스(21) 내부의 다수 개의 차단편(22) 및 다수 개의 상기 차단편(22)에 의해 나누어진 다수 개의 견본 수용홈(23)을 포함하고, 상기 견본 수용홈(23)의 내부는 에어로졸 발생제품을 수용하고, 상기 에어로졸 발생제품 연기발생구간의 내부는 연기 발생 입자 또는 연기발생 젤을 충진하며;
    상기 면 광원(1)은 수평 빔을 제공해 상기 램프 검측 박스(2) 중에 수용한 에어로졸 발생제품을 관통해 지나가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에어로졸 발생제품의 축선과 수평면의 선면 협각은 0° 내지 90°이며; 상기 에어로졸 발생제품의 축선은 상기 면 광원(1)이 제공한 수평 빔과 수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제품 연기발생구간의 충진량 정량분석에 적용하는 램프검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1)는 광선이 투과하는 재료로서, 투명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에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검측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편(22)은 광선이 투과하지 않는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검측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견본 수용홈(23)은 사이즈가 단일 에어로졸 발생제품의 사이즈와 매칭되거나 또는 다수 개가 병렬된 에어로졸 발생제품의 사이즈와 매칭되어 에어로졸 발생제품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검측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면 광원(1)은 LED 확산판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검측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1)는 눈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검측장치.
  8. 제2항의 램프검측장치로 에어로졸 발생제품 연기발생구간의 충진량 정량분석을 진행하는 램프검측방법에 있어서,
    이하의 단계,
    단계 (1),검측할 에어로졸 발생제품을 견본 수용홈(23)에 충진하고, 그 다음, 상기 램프 검측 박스(2)를 상기 면 광원(1)의 전방에 놓고, 상기 에어로졸 발생제품의 축선과 수평면의 선면 협각은 0° 내지 90°이고, 상기 에어로졸 발생제품의 축선은 상기 면 광원(1)이 제공한 수평 빔과 수직되고;
    단계 (2), 광원(1)을 작동시켜 상기 면 광원(1)이 발사해 내보낸 빔이 상기 램프 검측 박스(2) 중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제품을 관통해 지날 수 있도록 하고, 에어로졸 발생제품의 연기발생구간 중에서 광선이 투과하지 않는 구역의 음영 면적과 연기발생구간의 음영 면적의 비율에 의해 연기발생구간의 충진량을 계산하며;
    충진량=연기발생구간 중에서 광선이 투과하지 않는 구역의 음영 면적/연기발생구간의 음영 면적*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검측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1)는 눈금을 구비하고, 다른 눈금은 연기발생구간의 다른 충진량과 매칭되고, 연기발생구간 중에서 광선이 투과하지 않는 구역의 수평면에 대응되는 눈금 및 상기 에어로졸 발생제품의 축선과 수평면의 선면 협각을 통해 연기발생구간의 충진량을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검측방법.
KR1020227014911A 2020-09-11 2020-10-21 에어로졸 발생제품 연기발생구간의 충진량 정량분석에 적용하는 램프 검측 방법과 장치 Ceased KR202200865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954898.1A CN114166304B (zh) 2020-09-11 2020-09-11 一种适用于气溶胶发生制品发烟段装填量定量分析的灯检方法和装置
CN202010954898.1 2020-09-11
PCT/CN2020/122513 WO2022052220A1 (zh) 2020-09-11 2020-10-21 一种适用于气溶胶发生制品发烟段装填量定量分析的灯检方法和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594A true KR20220086594A (ko) 2022-06-23

Family

ID=80476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4911A Ceased KR20220086594A (ko) 2020-09-11 2020-10-21 에어로졸 발생제품 연기발생구간의 충진량 정량분석에 적용하는 램프 검측 방법과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14277A1 (ko)
JP (1) JP2023513721A (ko)
KR (1) KR20220086594A (ko)
CN (1) CN114166304B (ko)
TW (1) TWI795880B (ko)
WO (1) WO202205222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943B1 (ko) * 2023-08-04 2024-02-07 주식회사 인포앤 3d머신비전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9136692A (zh) * 2022-05-04 2024-12-13 韩国烟草人参公社 气溶胶生成制品及气溶胶生成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40491A1 (de) * 1986-11-27 1988-06-09 Focke & Co Verpackungsmaschine fuer zigaretten
US5792117A (en) * 1994-07-22 1998-08-11 Raya Systems, Inc. Apparatus for optically determining and electronically recording injection doses in syringes
DE102005024126A1 (de) * 2005-05-23 2006-11-30 Hauni Maschinenbau Ag Befüllungsprüfverfahren und -vorrichtung
CN101403706B (zh) * 2008-11-06 2011-06-08 清华大学 全自动瓶装药液检查机
CN204495422U (zh) * 2015-04-24 2015-07-22 广州蓝勃生物科技有限公司 基于ccd线阵测量的液体体积测量装置
JP6847927B2 (ja) * 2015-09-16 2021-03-24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可視的な液体容器を有する電子たばこ
CN205809053U (zh) * 2016-06-23 2016-12-14 建水乌月山泉有限责任公司 桶装水灯检装置
CN107091811B (zh) * 2017-04-21 2019-10-22 无限极(中国)有限公司 一种灯检方法
CN110608782A (zh) * 2018-06-15 2019-12-24 涂勇 在线微量油水自动计量系统及其计量方法
CN208537445U (zh) * 2018-07-19 2019-02-22 广东鼎湖山泉有限公司 一种卧式灯检箱
TWI685660B (zh) * 2018-09-20 2020-02-21 大陸商信泰光學(深圳)有限公司 光學檢測裝置
CN210894155U (zh) * 2019-10-17 2020-06-30 青岛崂鼎饮用水有限公司 一种桶装水生产用灯检装置
CN212567573U (zh) * 2020-09-11 2021-02-19 云南喜科科技有限公司 一种气溶胶发生制品发烟段装填量定量分析的灯检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943B1 (ko) * 2023-08-04 2024-02-07 주식회사 인포앤 3d머신비전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166304B (zh) 2025-01-28
CN114166304A (zh) 2022-03-11
TWI795880B (zh) 2023-03-11
JP2023513721A (ja) 2023-04-03
TW202210822A (zh) 2022-03-16
WO2022052220A1 (zh) 2022-03-17
US20230014277A1 (en) 2023-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73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headspace analysis
KR20220086594A (ko) 에어로졸 발생제품 연기발생구간의 충진량 정량분석에 적용하는 램프 검측 방법과 장치
US20120268748A1 (en) Method and system for optically inspecting parts
KR102076545B1 (ko) 광보호성 재료 기반의 신규 포장 설계의 생산 방법
US20230160810A1 (en)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defects in pharmaceutical cylindrical containers
US2549574A (en) Apparatus for making fluorophotometric measurements
JPH10339694A (ja) 静的およびまたは動的光散乱を測定する測定装置
US11841327B2 (en)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defects in pharmaceutical cylindrical containers
NO152669B (no) Kyvetter for optiske undersoekelser av vaesker.
US11255719B2 (en) Material property inspection apparatus
JP2015057591A (ja) 懸濁液中の懸濁物濃度の分析方法および分析装置
ES2662027T3 (es)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la determinación de parámetros de contaminantes en una solución líquida
CN212567573U (zh) 一种气溶胶发生制品发烟段装填量定量分析的灯检装置
US12259337B2 (en)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defects in pharmaceutical cylindrical containers
WO2023182907A1 (ru) Способ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поточного рентгеноспектрального анализа руды и шихты
Wulandari et al. A simple colorimeter based on microcontrollers to detect food dyes
CN212845025U (zh) 用于底部或侧向检测的发光免疫分析仪校准的计量标准器
CN204882357U (zh) 一种光学特性测量装置
CN209745812U (zh) 漫反射光谱测量装置
Duy et al. Axially perpendicular offset scheme for obtaining Raman spectra of housed samples in glass bottles with minimized glass-peak background
Mathew et al. Techniques used in fish and fishery products analysis
US168133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turbid suspensions
RU2782965C1 (ru) Способ поточного рентгеноспектрального анализа руды и шихт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US587254A (en) Compounds
CN106442334B (zh) 一种激光测量物质种类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0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06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