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086180A -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 Google Patents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6180A
KR20220086180A KR1020200176390A KR20200176390A KR20220086180A KR 20220086180 A KR20220086180 A KR 20220086180A KR 1020200176390 A KR1020200176390 A KR 1020200176390A KR 20200176390 A KR20200176390 A KR 20200176390A KR 20220086180 A KR20220086180 A KR 20220086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vehicle
terminal
power supply
operational amplifier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63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광섭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6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6180A/en
Publication of KR20220086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180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69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the isolation, e.g. ground fault or leak 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92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with use of redundant elements for safety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1Charging column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는 제1 스위치를 턴온시켜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의 제1 전원과 전기 자동차의 제2 접지 단자 사이에 폐회로를 형성하는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의 제1 시퀀스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에 대응하는 제1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1 감지부; 및 제2 스위치를 턴온시켜 상기 전기자동차 전원공급장치의 제1 접지 단자와 상기 제1 전원 사이에 폐회로를 형성하는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의 제2 시퀀스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에 대응하는 제2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2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감지부는, 상기 제1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제1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연산 증폭기(operation amplifier)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감지부는, 상기 제1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제2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연산 증폭기 소자;를 포함한다.The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urns on the first switch to form a closed circuit between the first power supply of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and the second ground terminal of the electric vehicle. a first sensing unit connected to the unit and outputting a first sensing signal corresponding to an on-off state of the first switch; and a second sequence unit of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that turns on a second switch to form a closed circuit between the first ground terminal of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and the first power supply, and turns on/off the second switch a second detection unit outputting a second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a state, wherein the first detection unit receives power from the first power supply and outputs the first detection signal (operation amplifier) ) device; and the second sensing unit receives power from the first power source and outputs a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device for outputting the second sensing signal.

Description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실시 예는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 relates to an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EV) 또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와 같은 친환경 자동차는 배터리 충전을 위하여 충전소에 설치된 전기 자동차 충전 설비(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EVSE)를 이용한다.Eco-friendly vehicles such as Electric Vehicles (EVs) or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PHEVs) use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EVSE) installed in charging stations to charge batteries. .

이를 위하여,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EVCC)는 EV 내에 탑재되며, EV 및 EVSE와 통신하며,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제어한다.To this end,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EVCC) is mounted in the EV, communicates with the EV and EVSE, and controls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예를 들어, EVCC가 전기 자동차로부터 충전 시작을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충전을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전기 자동차로부터 충전 종료를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충전을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EVCC receives a signal instructing the start of charging from the electric vehicle, it can control to start charging, and when receiving a signal instructing the end of charging from the electric vehicle, it can control to end charging.

전기 자동차의 충전 방법은 충전 시간에 따라 급속 충전과 완속 충전으로 구분될 수 있다. 급속 충전의 경우에는, 충전기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류에 의하여 배터리가 충전되고, 완속 충전의 경우에는 충전기에 공급되는 교류 전류에 의하여 배터리가 충전된다. 따라서 급속 충전에 사용되는 충전기를 급속 충전기 또는 직류 충전기라 칭하고, 완속 충전에 사용되는 충전기를 완속 충전기 또는 교류 충전기라 칭한다. The charging method of an electric vehicle may be divided into fast charging and slow charging according to the charging time. In the case of rapid charging, the battery is charged by the DC current supplied from the charger, and in the case of slow charging, the battery is charged by the AC current supplied to the charger. Therefore, a charger used for fast charging is called a fast charger or a DC charger, and a charger used for slow charging is called a slow charger or an AC charger.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은 고압의 전기를 통해 충전하므로 감전 등의 안전상 문제나 역전류 등에 의한 시스템 고장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은 충전 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 등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다양한 시퀀스를 통해 충전 과정을 제어하며,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구조를 제공하고 있다. Since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is charged through high-voltage electricity, safety problems such as electric shock or system failure due to reverse current may occur. Accordingly,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controls the charging process through various sequences in order to prevent various problems that may occur during charging in advance, and provides various structures for increasing the stability of the system.

하지만, 현재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은 배터리 충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를 모두 감지하거나 예방하지 못하고 있는바,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이 요구된다.However, the current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cannot detect or prevent all of the various problems that may occur during the battery charging process, and a solution is required to solve this problem.

실시 예는 전기 자동차와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 사이의 접지 라인 연결 상태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n embodiment is to provide an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capable of accurately detecting a ground line connection state between an electric vehicle and an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실시 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래에서 설명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in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will be said that the purpose or effect that can be grasped from the solving means or embodiment of the problem described below is also inclu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는 제1 스위치를 턴온시켜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의 제1 전원과 전기 자동차의 제2 접지 단자 사이에 폐회로를 형성하는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의 제1 시퀀스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에 대응하는 제1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1 감지부; 및 제2 스위치를 턴온시켜 상기 전기자동차 전원공급장치의 제1 접지 단자와 상기 제1 전원 사이에 폐회로를 형성하는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의 제2 시퀀스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에 대응하는 제2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2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감지부는, 상기 제1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제1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연산 증폭기(operation amplifier)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감지부는, 상기 제1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제2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연산 증폭기 소자;를 포함한다. The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urns on the first switch to form a closed circuit between the first power supply of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and the second ground terminal of the electric vehicle, the first sequence of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a first sensing unit connected to the unit and outputting a first sensing signal corresponding to an on-off state of the first switch; and a second sequence unit of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that turns on a second switch to form a closed circuit between the first ground terminal of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and the first power supply, and turns on/off the second switch a second detection unit outputting a second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a state, wherein the first detection unit receives power from the first power supply and outputs the first detection signal (operation amplifier) ) device; and the second sensing unit receives power from the first power source and outputs a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device for outputting the second sensing signal.

상기 제1 감지부는, 상기 제1 연산 증폭기의 반전 단자에 제1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1 연산 증폭기의 출력 단자에 제2단에 연결되는 제1 저항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sensing unit may include a first resistance element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an inverting terminal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상기 제2 감지부는, 상기 제2 연산 증폭기의 반전 단자에 제1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 연산 증폭기의 출력 단자에 제2단에 연결되는 제2 저항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sensing unit may include a second resistance element having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an inverting terminal of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and a second terminal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상기 제1 감지부 및 상기 제2 감지부에 공급되는 전압을 분배하는 전압 분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t may further include; a voltage divider for dividing the voltage supplied to the first sensing unit and the second sensing unit.

상기 전압 분배부는, 제2단이 상기 제1 연산 증폭기의 비반전 단자에 연결되는 제3 저항; 제1단이 제1 연산 증폭기의 비반전 단자 및 상기 제3 저항의 제2단에 연결되고 제2단이 상기 제2 접지 단자에 연결되는 제4 저항; 및 제1단이 상기 제3 저항의 제1단에 연결되고 제2단이 상기 제2 연산 증폭기의 비반전 단자에 연결되는 제5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The voltage divider may include: a third resistor having a second end connected to a non-inverting terminal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a fourth resistor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a non-inverting terminal of a first operational amplifier and a second end of the third resistor,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the second ground terminal; and a fifth resistor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a first end of the third resistor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a non-inverting terminal of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상기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로 인가되는 역전압을 차단하거나 상기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역전압을 차단하는 보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t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on unit that blocks the reverse voltage a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or blocks the reverse voltage applied from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상기 보호부는, 애노드 단자가 상기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캐소드 단자가 상기 제3 저항의 제1단 및 상기 제5 저항의 제1단에 연결되는 제1 다이오드; 및 애노드 단자가 상기 제5 저항의 제2단 및 상기 제2 연산 증폭기의 비반전 단자에 연결되고 캐소드 단자가 상기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otection unit may include: a first diode having an anode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and a cathode terminal connected to a first end of the third resistor and a first end of the fifth resistor; and a second diode having an anode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fifth resistor and a non-inverting terminal of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and a cathode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상기 제1 감지 신호 및 상기 제2 감지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 신호를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t may further include; a noise removing unit for removing the noise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detection signal and the second detection signal.

상기 노이즈 제거부는, 제1단이 상기 제1 연산 증폭기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이 상기 제2 접지 단자에 연결되는 제1 캐패시터; 및 제1단이 상기 제2 연산 증폭기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이 상기 제2 접지 단자에 연결되는 제2 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noise removing unit may include: a first capacitor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the second ground terminal; and a second capacitor having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and a second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ground terminal.

상기 제1 감지부, 상기 제2 감지부, 상기 전압 분배부 및 노이즈 제거부는, 상기 제1 접지 단자와 상기 제2 접지 단자를 연결하는 접지 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접지 라인을 통해 상기 제2 접지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sensing unit, the second sensing unit, the voltage dividing unit, and the noise removing unit are connected to a ground line connecting the first ground terminal and the second ground terminal, and are connected to the second ground through the ground line. I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상기 제1 감지 신호의 전압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1 접지 단자와 상기 제2 접지 단자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감지 신호의 전압값이 상기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제1 접지 단자와 상기 제2 접지 단자가 사이의 연결이 끊어진 것으로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f the voltage value of the first detection signal is less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ground terminal and the second ground terminal are connected, and if the voltage value of the first detection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the It may further include; a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ground terminal and the second ground terminal is broken.

실시 예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와 전기 자동차 사이의 접지 라인의 개방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충전 시스템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afety of the charging system may be improved by detecting whether the ground line between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and the electric vehicle is open.

신호 감지에 연산 증폭기 소자를 이용함으로써 이상 전류 등에 의한 마이크로 컨트롤러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By using an operational amplifier element for signal dete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microcontroller due to an abnormal current or the like in advance.

신호 감지에 연산 증폭기 소자를 이용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by using op amp devices for signal sensing.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Various and advantageous advantag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will be more easily understood in the course of describing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는 도 5에서 제1 접지 단자와 제2 접지 단자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상태 판단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 및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case in which the first ground terminal and the second ground terminal are not connected in FIG. 5 .
7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determining a connection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diagrams illustrating simulation results of an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ome embodiments described,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ed between the embodiments. It can be used by combining or substituted with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specifically defined and described explicitly. It may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general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dvance may be interpret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terminology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may also include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and when it is described as "at least one (or more than one) of A and (and) B, C", it is combined as A, B, C It may include one or more of all possible combination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by the term.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And,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lso with the component It may also include a case of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due to another element between the other elements.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r disposed on "above (above) or under (below)" of each component, top (above) or under (below) is one as well as when two components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Also includes a case in which another component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or disposed between two components. In addition, when expressed as "upper (upper) or lower (lower)", the meaning of not only an upper direction but also a lower direction based on one component may be includ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은 전기 에너지를 동력으로 동작하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fer to a system for charging a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that operates by using electric energy as power.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은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EVSE, 10) 및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EV, 2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EVSE, 10 ) and an electric vehicle (Electric Vehicle, EV, 20 ).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는 AC 또는 DC 전력을 공급하는 설비이며, 충전소에 배치되거나, 가정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휴대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는 충전소(supply), AC 충전소(AC supply) 및 DC 충전소(DC supply) 등과 혼용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는 주전원 측으로부터 AC 또는 DC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주전원은 전력 계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는 주전원으로부터 공급받은 AC 또는 DC 전력을 변압하거나 변환하여 전기 자동차(20)에 공급할 수 있다.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10 is a facility for supplying AC or DC power, and may be disposed in a charging station, may be disposed in a home, or may be implemented to be portable.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10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a charging station (supply), an AC charging station (AC supply), and a DC charging station (DC supply).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10 may receive AC or DC power from a main power source. The main power may include a power system and the like.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10 may transform or convert AC or DC power supplied from the main power supply to the electric vehicle 20 .

전기 자동차(20)는 탑재된 배터리로부터 에너지의 전부 혹은 일부를 공급받아 동작하는 자동차를 의미한다. 전기 자동차(20)는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 에너지만으로 주행하는 전기 자동차뿐만 아니라, 화석 연료를 이용하는 엔진을 병행하여 주행하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20)에 구비된 배터리는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다.The electric vehicle 20 refers to a vehicle that operates by receiving all or part of energy from a mounted battery. The electric vehicle 20 may include a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that runs in parallel with an engine using fossil fuel as well as an electric vehicle that runs only with electric energy charged in a battery. The battery provided in the electric vehicle 20 may be charg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10 .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은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EVSE), 케이블(50, cable), 커넥터(51, connector), 인렛(53, inlet), 정션 박스(100, junction box),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200,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EVCC), 배터리(300), 배터리 관리 시스템(400,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및 통합 전력 제어 장치(500, Electric Power Control Unit, EPCU)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에 포함된 구성은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 측(EVSE side)의 구성과 전기 자동차(20) 측(EV side)의 구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 측의 구성은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 케이블(50) 및 커넥터(51)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측의 구성은 인렛(53), 정션 박스(100),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200), 배터리(300), 배터리 관리 시스템(400) 및 통합 전력 제어 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10,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EVSE), a cable (50, cable), a connector (51, connector), an inlet (53, inlet), and a junction. A box (100, junction box),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200,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EVCC), a battery 300, a battery management system (400,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and an integrated power control device (500, Electric Power) Control Unit, EPCU). A configuration included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may be divided into a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10 side (EVSE side) and a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20 side (EV side).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10 side may include an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10 , a cable 50 , and a connector 51 .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side may include an inlet 53 , a junction box 100 , an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200 , a battery 300 , a battery management system 400 , and an integrated power control device 500 . This division i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is not limited thereto.

우선,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300)를 충전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한다.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는 주전원(예를 들어, 전력 계통)으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전기 자동차(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는 주전원으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감압하거나 변환하여 전기 자동차(20)에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가 AC 전력을 전기 자동차(20)에 공급하는 경우,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는 주전원으로부터 공급받은 AC 전력을 변압하여 전기 자동차(20)에 공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가 DC 전력을 전기 자동차(20)에 공급하는 경우,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는 주전원으로부터 공급받은 AC 전력을 DC 전력으로 변환하여 전기 자동차(20)에 공급할 수 있다. 전력의 변압이나 변환을 위하여,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는 전력 변환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는 정류기(rectifier), 절연 변압기(isolation transformer), 인버터(inverter), 컨버터(conver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First,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10 supplies power for charging the battery 300 of the electric vehicle.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10 may transmit power supplied from a main power source (eg, a power system) to the electric vehicle 20 . At this time,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10 may reduce or convert the power supplied from the main power supply to the electric vehicle 2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10 supplies AC power to the electric vehicle 20 ,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10 transforms the AC power supplied from the main power supply to the electric vehicle 20 . ) can be supplied.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10 supplies DC power to the electric vehicle 20 ,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10 converts AC power supplied from the main power source into DC power to convert the electric vehicle power to DC power. (20) can be supplied. In order to transform or convert power,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10 may include a power conver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10 may include a rectifier, an isolation transformer, an inverter, a converter, and the like.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는 전기 자동차(20)의 배터리(300)를 충전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고 배터리 충전 프로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충전 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제어장치는 전기 자동차(20)와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며 배터리 충전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충전 준비, 충전 종료, 근접 검출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제어장치는 전기 자동차(2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장치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계측 제어기 통신망(controller area network, CAN) 등을 이용하여 전기 자동차(2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장치는 충전 제어장치에 포함될 수도 있고, 별도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10 may include a charging control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arious control signals necessary for charging the battery 300 of the electric vehicle 20 and for controlling the battery charging process. The charging control device may transmit and receive a control signal to and from the electric vehicle 20 and perform a battery charging process. The control signal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charging preparation, charging termination, proximity detection, and the like. The charging control device may include a communication device for communicating with the electric vehicle 20 . The communication device may communicate with the electric vehicle 20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a controller area network (CAN), or the like. The communication device may be included in the charging control device or may be configured separately.

다음으로, 케이블(50), 커넥터(51) 및 인렛(53)은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와 전기 자동차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Next, the cable 50 , the connector 51 , and the inlet 53 electrically connect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10 and the electric vehicle.

케이블(50)은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와 전기 자동차(20) 사이에서 전력 및 신호를 전달한다. 케이블(50)은 전력을 전달하는 전력선, 충전에 관련한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선, 접지를 연결하는 접지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able 50 transfers power and signals between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10 and the electric vehicle 20 . The cable 50 may include a power line transmitting power, a signal line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related to charging, a ground line connecting the ground, and the like.

케이블(50)은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와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와 케이블(50)은 별도의 연결 구성 없이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와 케이블(50)은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에 구비된 소켓-아웃렛(socket-outlet)과 케이블(50)에 구비된 플러그(plug)의 결합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The cable 50 is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1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10 and the cable 50 may be directly connected without a separate connection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10 and the cable 50 are a socket-outlet provided in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10 and a plug provided in the cable 50 ( plug) can be connected.

커넥터(51)는 케이블(5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인렛(53)은 전기 자동차(20)에 구비될 수 있다. 커넥터(51)와 인렛(53)을 묶어 커플러(coupler)로 명명할 수 있다. 커넥터(51)와 인렛(53)은 서로 결합 가능한 구조로서, 커넥터(51)와 인렛(53)의 결합을 통해 전기 자동차(20)와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인렛(53)과 커넥터(51)는 직접 연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댑터(adaptor, 52)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댑터(52)는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의 규격과 전기 자동차(20) 사이의 충전 규격이 상이하여 커넥터(51)와 인렛(53)이 직접 연결될 수 없을 때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HAdeMO 표준 스펙에 따른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의 커넥터(51)와 chaoji 표준 스펙에 따른 전기 자동차(20)의 인렛(53)을 연결하기 위하여, 어댑터(52)가 이용될 수 있다. The connector 51 may be connected to the cable 50 , and the inlet 53 may be provided in the electric vehicle 20 . The connector 51 and the inlet 53 may be bundled together to be referred to as a coupler. The connector 51 and the inlet 53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electric vehicle 20 and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coupling of the connector 51 and the inlet 53 . The inlet 53 and the connector 51 may be connected not only directly, but also through an adapter 52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dapter 52 is used when the connector 51 and the inlet 53 cannot be directly connected because the standard of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10 and the charging standard between the electric vehicle 20 are different. can be For example, in order to connect the connector 51 of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10 according to the CHAdeMO standard specification and the inlet 53 of the electric vehicle 20 according to the chaoji standard specification, the adapter 52 may be used. can

커넥터(51)와 인렛(53)은 서로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핀(pin)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핀 중 하나는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와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200) 사이에 CP(Control Pilot) 신호가 전송되는 CP 포트용 핀일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커넥터(51)와 인렛(53)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PD(Proximity Detection) 포트용 핀일 수 있으며, 또 다른 하나는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의 보호 접지와 연결되는 보호 접지(Protective Earth, PE) 포트용 핀일 수 있다. 복수의 핀 중 또 다른 하나는 주유구 플랩(flap)을 열기 위한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핀일 수 있고, 또 다른 하나는 모터를 센싱하기 위한 핀일 수 있으며, 또 다른 하나는 온도 센싱을 위한 핀일 수 있고, 또 다른 하나는 엘이디 센싱을 위한 핀일 수 있고, 또 다른 하나는 캔(CAN) 통신을 위한 핀일 수 있다. 복수의 핀 중 하나는 전기 자동차(20) 내 충돌 감지 센서로부터 인가되는 전압 라인용 핀일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전기 자동차(20)에 충전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핀일 수 있으며, 또 다른 하나는 고전압 보호용 핀일 수 있다. 그러나, 핀의 개수 및 기능은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The connector 51 and the inlet 53 may include a plurality of pins that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For example, one of the plurality of pins may be a pin for a CP port through which a CP (Control Pilot) signal is transmitted between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10 and the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200 , and the other is the connector 51 . ) and a pin for a PD (Proximity Detection) port that detects the proximity of the inlet 53, and another one is a Protective Earth (PE) port connected to the protective ground of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10 It may be a dragon pin. An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pins may be a pin for driving a motor for opening the fuel flap flap, another one may be a pin for sensing the motor, and another one may be a pin for sensing a temperature, Another one may be a pin for LED sensing, and another one may be a pin for CAN communication. One of the plurality of pins may be a pin for a voltage line applied from a collision detection sensor in the electric vehicle 20 , the other may be a battery pin for supplying charging power to the electric vehicle 20 , and the other is for high voltage protection It can be a pin. However, the number and function of the pins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정션 박스(100)는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배터리(300)에 전달한다.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고전압으로서 이를 배터리(300)에 직접 공급하게 되면 돌입 전류로 인하여 배터리(300)가 손상될 수 있다. 정션 박스(100)는 돌입 전류에 의한 배터리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relay)를 포함할 수 있다. The junction box 100 transmits power supplied from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10 to the battery 300 . The power supplied from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10 is a high voltage, and when it is directly supplied to the battery 300 , the battery 300 may be damaged due to the inrush current. The junction box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relay to prevent damage to the battery due to inrush current.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200)는 전기 자동차(20)의 배터리 충전에 관한 프로세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200)는 전기 자동차 통신 컨트롤러(Electric Vehicle Communication Controller, EVCC)로 명명될 수도 있다. The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200 may control part or all of a process related to charging a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20 . The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200 may be referred to as an electric vehicle communication controller (EVCC).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200)는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와 통신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200)는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로부터 배터리 충전 프로세스에 관한 제어 명령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200)는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에 구비된 충전 제어 장치와 통신할 수 있으며, 충전 제어 장치로부터 배터리 충전 프로세스에 관한 제어 명령을 송수신할 수 있다. The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200 may communicate with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10 .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200 may transmit/receive a control command related to a battery charging process from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1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200 may communicate with a charge control device provided in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10 , and may transmit/receive control commands related to a battery charging process from the charge control device .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200)는 전기 자동차(20)와 통신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200)는 전기 자동차(20)로부터 배터리 충전 프로세스에 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200)는 전기 자동차(20)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400)과 통신할 수 있으며, 배터리 관리 시스템(400)으로부터 배터리 충전 프로세스에 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200)는 전기 자동차(20)의 통합 전력 제어 장치(500)와 통신할 수 있으며, 통합 전력 제어 장치(500)로부터 배터리 충전 프로세스에 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The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200 may communicate with the electric vehicle 20 . The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200 may receive a control command related to a battery charging process from the electric vehicle 2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200 may communicate with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400 of the electric vehicle 20 , and may receive a control command related to a battery charging process from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400 . ha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200 may communicate with the integrated power control device 500 of the electric vehicle 20 and receive a control command regarding the battery charging process from the integrated power control device 500 . can receive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200)는 상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 controller unit, MCU), 통신 장치, 릴레이 장치 등을 구비할 수 있다. The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200 may include a micro controller unit (MCU), a communication device, a relay device, and the like to perform the above function.

배터리 관리 시스템(400)은 전기 자동차(20) 내 배터리(300)의 에너지 상태를 관리한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400)은 배터리(300)의 사용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효율적인 에너지 분배를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관리 시스템(400)은 에너지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전기 자동차(20)의 가용 전력 상황을 차량 통합 제어기 및 인버터 등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배터리 관리 시스템(400)은 배터리(300)의 각 셀 당 전압 편차를 보정하거나 배터리(300)를 적정 온도로 유지하기 위하여 냉각팬을 구동할 수 있다.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400 manages the energy state of the battery 300 in the electric vehicle 20 .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400 may monitor the usage status of the battery 300 and perform control for efficient energy distribution. For example,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400 may transmit the available power status of the electric vehicle 20 to the vehicle integrated controller and inverter for efficient use of energy. As another example,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400 may drive a cooling fan to correct a voltage deviation for each cell of the battery 300 or to maintain the battery 300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통합 전력 제어 장치(500)는 모터의 제어를 포함하여 전기 자동차의 전반적인 움직임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통합 전력 제어 장치(500)는 모터 제어 장치(Motor Control Unit, MCU), 저전압 직류 변환 장치(Low Voltage DC-DC Converter, LDC), 차량 통합 제어기(Vehicle Control Unit, VCU)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 제어 장치는 인버터(Inverter)로 명명될 수 있다. 모터 제어 장치는 배터리로부터 직류 전원을 수신하여 3상 교류 전원으로 변환시킬 수 있으며, 차량 통합 제어기의 명령에 따라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저전압 직류 변환 장치는 고전압 전원을 저전압(예를 들어, 12[V]) 전원으로 변환하여 전기 자동차(20)의 각 부품에 공급할 수 있다. 차량 통합 제어기는 전기 자동차(20) 전반에 관한 시스템의 성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차량 통합 제어기는 모터 제어 장치, 배터리 관리 시스템(400) 등 다양한 장치들과 함께 충전, 주행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integrated power control device 500 is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overall movement of the electric vehicle, including the control of the motor. The integrated power control device 500 may include a motor control unit (MCU), a low voltage DC-DC converter (LDC), and a vehicle control unit (VCU). The motor control device may be referred to as an inverter. The motor control device may receive DC power from the battery and convert it into three-phase AC power, and may control the motor according to a command from the vehicle integrated controller. The low voltage DC converter may convert high voltage power into low voltage (eg, 12 [V]) power and supply it to each component of the electric vehicle 20 . The vehicle integrated controller serves to maintain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with respect to the electric vehicle 20 as a whole. The integrated vehicle controller may perform various functions such as charging and driving together with various devices such as the motor control device and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400 .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의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200)는 제1 감지부(210) 및 제2 감지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200)는 전압 분배부(230), 보호부(240), 노이즈 제거부(250) 및 판단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the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sensing unit 210 and a second sensing unit 220 . The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voltage distribution unit 230 , a protection unit 240 , a noise removing unit 250 , and a determination unit 260 .

제1 감지부(210)는 제1 스위치를 턴온시켜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의 제1 전원과 전기 자동차의 제2 접지 단자 사이에 폐회로를 형성하는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의 제1 시퀀스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의 제1 시퀀스부는 제1 스위치를 턴온시킴으로써 전기 자동차 측에 배터리 충전 시작을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제1 시퀀스부는 제1 스위치를 턴온시켜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의 제1 전원과 전기 자동차의 제2 접지 단자 사이에 형성된 폐회로에 전류가 흐르게 함으로써 충전 시작을 위한 신호를 전기 자동차 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The first sensing unit 21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equence unit of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that turns on the first switch to form a closed circuit between the first power supply of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and the second ground terminal of the electric vehicle. ha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sequence unit of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may transmit a signal for starting battery charging to the electric vehicle by turning on the first switch. That is, the first sequence unit turns on the first switch to allow a current to flow in a closed circuit formed between the first power supply of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and the second ground terminal of the electric vehicle, thereby transmitting a signal for starting charging to the electric vehicle side. .

제1 감지부(210)는 제1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에 대응하는 제1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감지부(210)는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의 제1 전원과 전기 자동차의 제2 접지 단자 사이에 형성된 폐회로에 포함된 감지 노드의 전압을 제1 감지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감지 신호는 전기 자동차 충전 표준 규격인 CHAdeMO의 D1 신호(charging sequence1)에 대응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first detection unit 210 may output a first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an on-off state of the first switch. The first sensing unit 210 may output a voltage of a sensing node included in a closed circuit formed between the first power supply of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and the second ground terminal of the electric vehicle as a first sensing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detection signal may correspond to a D1 signal (charging sequence1) of CHAdeMO, which is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ndar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1 감지부(210)는 제1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제1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연산 증폭기(operation amplifier)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부(210)는 제1 연산 증폭기의 반전 단자에 제1단이 연결되고 제1 연산 증폭기의 출력 단자에 제2단에 연결되는 제1 저항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detection unit 210 may include a first operation amplifier device that receives power from a first power source and outputs a first detection signal. The first sensing unit 210 may include a first resistance element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an inverting terminal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제2 감지부(220)는 제2 스위치를 턴온시켜 전기자동차 전원공급장치의 제1 접지 단자와 제1 전원 사이에 폐회로를 형성하는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의 제2 시퀀스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의 제2 시퀀스부는 제2 스위치를 턴온시킴으로써 전기 자동차 측에 배터리 충전 시작을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제2 시퀀스부는 제2 스위치를 턴온시켜 전기자동차 전원공급장치의 제1 접지 단자와 제1 전원 사이에 형성된 폐회로에 전류가 흐르게 함으로써 충전 시작을 위한 신호를 전기 자동차 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The second sensing unit 220 may be connected to a second sequence unit of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that turns on the second switch to form a closed circuit between the first ground terminal and the first power supply of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sequence unit of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may transmit a signal for starting battery charging to the electric vehicle by turning on the second switch. That is, the second sequence unit may transmit a signal for starting charging to the electric vehicle by turning on the second switch to cause a current to flow in a closed circuit formed between the first ground terminal of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and the first power supply.

제2 감지부(220)는 제2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에 대응하는 제2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감지부(220)는 전기자동차 전원공급장치의 제1 접지 단자와 제1 전원 사이에 형성된 폐회로에 포함된 감지 노드의 전압을 제2 감지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감지 신호는 전기 자동차 충전 표준 규격인 CHAdeMO의 D2 신호(charging sequence2)에 대응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second detection unit 220 may output a second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an on-off state of the second switch. The second sensing unit 220 may output a voltage of a sensing node included in a closed circuit formed between the first ground terminal of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and the first power source as a second sensing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detection signal may correspond to a D2 signal (charging sequence2) of CHAdeMO, which is a standard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2 감지부(220)는 제1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제2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연산 증폭기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감지부(220)는 제2 연산 증폭기의 반전 단자에 제1단이 연결되고 제2 연산 증폭기의 출력 단자에 제2단에 연결되는 제2 저항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sensing unit 220 may include a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element receiving power from the first power source and outputting a second sensing signal. The second sensing unit 220 may include a second resistance element having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an inverting terminal of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and a second terminal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전압 분배부(230)는 제1 감지부(210) 및 제2 감지부(220)에 공급되는 전압을 분배할 수 있다. 전압 분배부(230)는 복수의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전압 분배부(230)에 포함된 복수의 저항의 크기는 전기 자동차 충전 표준 규격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The voltage divider 230 may divide the voltage supplied to the first sensing unit 210 and the second sensing unit 220 . The voltage divider 2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sistors. The sizes of the plurality of resistors included in the voltage divider 230 may be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consideration of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ndards, and the like.

보호부(240)는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로 인가되는 역전압을 차단하거나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역전압을 차단할 수 있다. 보호부(240)는 복수의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는 제1 시퀀스부에 의해 형성되는 폐회로에 배치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다이오드는 제2 시퀀스부에 의해 형성되는 폐회로에 배치될 수 있다. The protection unit 240 may block the reverse voltage a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or block the reverse voltage applied from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The protection unit 2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di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t least one diode may be disposed in a closed circuit formed by the first sequence unit, and the other diode may be disposed in a closed circuit formed by the second sequence unit.

노이즈 제거부(250)는 제1 감지 신호 및 제2 감지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노이즈 제거부(250)는 복수의 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캐패시터는 제1 감지부(210)에서 제1 감지 신호가 출력되는 감지 노드 및 제2 감지부(220)에서 제2 감지 신호가 출력되는 감지 노드에 연결되어, 제1 감지 신호 및 제2 감지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노이즈 제거부(250)는 로우 패스 필터(low pass filter)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noise removing unit 250 may remove a noise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detection signal and the second detection signal. The noise removing unit 25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apacitors. The plurality of capacitors are connected to a detection node from which a first detection signal is output from the first detection unit 210 and a detection node from which a second detection signal is output from the second detection unit 220, the first detection signal and the second detection signal A noise signal included in the detection signal may be remo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noise removing unit 250 may be a low pass filt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제1 감지부(210), 제2 감지부(220), 전압 분배부(230) 및 노이즈 제거부(250)는 제1 접지 단자와 제2 접지 단자를 연결하는 접지 라인에 연결되며, 접지 라인을 통해 제2 접지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지 라인은 전기 자동차 충전 표준 규격인 CHAdeMO의 protective conductor 라인에 대응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sensing unit 210, the second sensing unit 220, the voltage dividing unit 230 and the noise removing unit 250 are connected to a ground line connecting the first ground terminal and the second ground terminal, 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ground terminal through the ground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ground line may correspond to a protective conductor line of CHAdeMO, which is a standard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판단부(260)는 제1 감지 신호의 전압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으면 제1 접지 단자와 제2 접지 단자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260)는 제1 감지 신호의 전압값이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제1 접지 단자와 제2 접지 단자가 사이의 연결이 끊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determination unit 260 may determine that the first ground terminal and the second ground terminal are connected when the voltage value of the first detection signal is less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When the voltage value of the first detection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the determination unit 260 may determine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ground terminal and the second ground terminal is broken.

판단부(260)는 마이크로컨트롤러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판단부(260)는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200)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판단부(260)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determination unit 260 may be implemented including a microcontroller and a memory. The determination unit 260 may be included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200 ,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determination unit 260 may be implemented as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of the electric vehicle.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200)는 제1 감지부(210), 제2 감지부(220), 전압 분배부(230), 보호부(240), 노이즈 제거부(250) 및 판단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etection unit 210 , a second detection unit 220 , a voltage distribution unit 230 , a protection unit 240 , It may include a noise removing unit 250 and a determining unit 260 .

제1 감지부(210)는 제1 연산 증폭기(AMP1) 및 제1 저항(R1)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sensing unit 210 may include a first operational amplifier AMP1 and a first resistor R1 .

제1 연산 증폭기(AMP1)는 비반전 (입력) 단자, 반전 (입력) 단자, 정측 전원단자, 부측 전원단자 및 출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산 증폭기(AMP1)의 비반전 단자는 전압 분배부(23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산 증폭기(AMP1)의 비반전 단자는 제4 저항(R4)의 제2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산 증폭기(AMP2)의 비반전 단자는 제3 저항(R3)의 제1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산 증폭기(AMP1)의 반전 단자는 제1 저항(R1)의 제1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산 증폭기(AMP1)의 출력 단자는 제1 저항(R1)의 제2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산 증폭기(AMP1)의 출력 단자는 판단부(26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산 증폭기(AMP1)의 정측 전원단자는 제1 전원(V1)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산 증폭기(AMP1)의 부측 전원단자는 제1 접지 단자(GND1)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산 증폭기(AMP1)는 정측 전원단자 및 부측 전원단자에 의해 공급되는 구동 전압에 따른 최대 출력 전압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출력 단자에 연결된 판단부(260)는 소정의 범위 내에서 제1 감지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어, 돌입 전류 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AMP1 may include a non-inverting (input) terminal, an inverting (input) terminal, a positive power terminal, a negative power terminal, and an output terminal. The non-inverting terminal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AMP1 may be connected to the voltage divider 230 . The non-inverting terminal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AMP1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fourth resistor R4 . The non-inverting terminal of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AMP2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of the third resistor R3 . The inverting terminal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AMP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of the first resistor R1 .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AMP1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first resistor R1 .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AMP1 may be connected to the determination unit 260 . The positive power terminal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AMP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ource V1 . The negative power terminal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AMP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ground terminal GND1 . Since the maximum output voltage according to the driving voltage supplied by the positive power terminal and the negative power terminal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AMP1 is set, the determination unit 260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is configured to provide a first detection signal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can be input, so it can be protected from inrush current and the like.

제1 저항(R1)은 제1 단이 제1 연산 증폭기(AMP1)의 반전 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이 제1 연산 증폭기(AMP1)의 출력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resistor R1 may have a first end connected to an inverting terminal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AMP1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AMP1 .

제2 감지부(220)는 제2 연산 증폭기(AMP2) 및 제2 저항(R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sensing unit 220 may include a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AMP2 and a second resistor R2 .

제2 연산 증폭기(AMP2)는 비반전 (입력) 단자, 반전 (입력) 단자, 정측 전원단자, 부측 전원단자 및 출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산 증폭기(AMP2)의 비반전 단자는 전압 분배부(23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산 증폭기(AMP2)의 비반전 단자는 제5 저항(R5)의 제2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산 증폭기(AMP2)의 비반전 단자는 보호부(24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산 증폭기(AMP2)의 비반전 단자는 제2 다이오드(D2)의 애노드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산 증폭기(AMP2)의 반전 단자는 제2 저항(R2)의 제1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산 증폭기(AMP2)의 출력 단자는 제2 저항(R2)의 제2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산 증폭기(AMP2)의 출력 단자는 판단부(26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산 증폭기(AMP2)의 정측 전원단자는 제1 전원(V1)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산 증폭기(AMP2)의 부측 전원단자는 제1 접지 단자(GND1)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산 증폭기(AMP2)는 정측 전원단자 및 부측 전원단자에 의해 공급되는 구동 전압에 따른 최대 출력 전압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출력 단자에 연결된 판단부(260)는 소정의 범위 내에서 제2 감지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어, 돌입 전류 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AMP2 may include a non-inverting (input) terminal, an inverting (input) terminal, a positive power terminal, a negative power terminal, and an output terminal. The non-inverting terminal of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AMP2 may be connected to the voltage divider 230 . The non-inverting terminal of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AMP2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fifth resistor R5 . The non-inverting terminal of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AMP2 may be connected to the protection unit 240 . The non-inverting terminal of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AMP2 may be connected to the anode terminal of the second diode D2 . The inverting terminal of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AMP2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of the second resistor R2 .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AMP2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second resistor R2 .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AMP2 may be connected to the determination unit 260 . The positive power terminal of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AMP2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ource V1 . The negative power terminal of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AMP2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ground terminal GND1 . Since the maximum output voltage according to the driving voltage supplied by the positive power terminal and the negative power terminal is set in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AMP2 , the determination unit 260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econd detection signal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can be input, so it can be protected from inrush current and the like.

제2 저항(R2)은 제1 단이 제2 연산 증폭기(AMP2)의 반전 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이 제2 연산 증폭기(AMP2)의 출력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resistor R2 may have a first end connected to an inverting terminal of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AMP2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AMP2 .

전압 분배부(230)는 복수의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압 분배부(230)는 제3 저항(R3), 제4 저항(R4) 및 제5 저항(R5)을 포함할 수 있다. The voltage divider 2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sist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voltage divider 230 may include a third resistor R3 , a fourth resistor R4 , and a fifth resistor R5 .

제3 저항(R3)은 제1단이 제1 연산 증폭기(AMP1)의 비반전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저항(R3)은 제1단이 제4 저항(R4)의 제2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저항(R3)은 제2단이 제1 접지 단자(GND1)에 연결될 수 있다. A first terminal of the third resistor R3 may be connected to a non-inverting terminal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AMP1 . A first end of the third resistor R3 may be connected to a second end of the fourth resistor R4 . A second terminal of the third resistor R3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ground terminal GND1 .

제4 저항(R4)은 제1단이 제5 저항(R5)의 제1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4 저항(R4)은 제1단이 보호부(240)에 연결될 수 있다. 제4 저항(R4)은 제1단이 제1 다이오드(D1)의 캐소드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제4 저항(R4)은 제2단이 제3 저항(R3)의 제1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4 저항(R4)은 제2단이 제1 연산 증폭기(AMP1)의 비반전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A first end of the fourth resistor R4 may be connected to a first end of the fifth resistor R5 . A first end of the fourth resistor R4 may be connected to the protection unit 240 . The fourth resistor R4 may have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the cathode terminal of the first diode D1 . A second end of the fourth resistor R4 may be connected to a first end of the third resistor R3 . A second end of the fourth resistor R4 may be connected to a non-inverting terminal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AMP1 .

제5 저항(R5)은 제1단이 제4 저항(R4)의 제1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5 저항(R5)은 보호부(240)에 연결될 수 있다. 제5 저항(R5)은 제1단이 제1 다이오드(D1)의 캐소드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제5 저항(R5)은 제2단 제2 연산 증폭기(AMP2)의 비반전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제5 저항(R5)은 제2단이 보호부(240)에 연결될 수 있다. 제5 저항(R5)은 제2단이 제2 다이오드(D2)의 애노드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A first end of the fifth resistor R5 may be connected to a first end of the fourth resistor R4 . The fifth resistor R5 may be connected to the protection unit 240 . A first terminal of the fifth resistor R5 may be connected to the cathode terminal of the first diode D1 . The fifth resistor R5 may be connected to the non-inverting terminal of the second stag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AMP2 . A second end of the fifth resistor R5 may be connected to the protection unit 240 . A second end of the fifth resistor R5 may be connected to the anode terminal of the second diode D2.

보호부(240)는 복수의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부(240)는 제1 다이오드(D1) 및 제2 다이오드(D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otection unit 2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di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tection unit 240 may include a first diode D1 and a second diode D2.

제1 다이오드(D1)는 애노드 단자가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다이오드(D1)는 애노드 단자가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의 제2 전원(V2)에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다이오드(D1)의 애노드 단자와 제2 전원(V2) 사이에는 제1 스위치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다이오드(D1)는 캐소드 단자가 전압 분배부(23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다이오드(D1)는 캐소드 단자가 제4 저항(R4)의 제1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다이오드(D1)는 캐소드 단자가 제5 저항(R5)의 제1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다이오드(D1)는 전기 자동차 측으로부터 유입되는 역전류를 차단하여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 The first diode D1 may have an anode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The first diode D1 may have an anode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source V2 of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first switch may be disposed between the anode terminal of the first diode D1 and the second power source V2. The first diode D1 may have a cathode terminal connected to the voltage divider 230 . The cathode terminal of the first diode D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of the fourth resistor R4. The cathode terminal of the first diode D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of the fifth resistor R5. The first diode D1 may protect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by blocking a reverse current flowing from the electric vehicle side.

제2 다이오드(D2)는 애노드 단자가 제2 감지부(22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다이오드(D2)는 애노드 단자가 제2 연산 증폭기(AMP2)의 비반전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다이오드(D2)는 애노드 단자가 전압 분배부(23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다이오드(D2)는 애노드 단자가 제5 저항(R5)의 제2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다이오드(D2)는 캐소드 단자가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다이오드(D2)는 캐소드 단자가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의 제2 접지 단자(GND2)에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다이오드(D2)의 캐소드 단자와 제2 접지 단자(GND2) 사에에는 제2 스위치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다이오드(D2)는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유입되는 역전류를 차단하여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를 보호할 수 있다.The second diode D2 may have an anode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sensing unit 220 . The anode terminal of the second diode D2 may be connected to the non-inverting terminal of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AMP2. The anode terminal of the second diode D2 may be connected to the voltage divider 230 . The anode terminal of the second diode D2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fifth resistor R5. The second diode D2 may have a cathode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The second diode D2 may have a cathode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ground terminal GND2 of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second switch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athode terminal of the second diode D2 and the second ground terminal GND2. The second diode D2 may block a reverse current flowing from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to protect the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노이즈 제거부(250)는 복수의 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노이즈 제거부(250)는 제1 캐패시터(C1) 및 제2 캐패시터(C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noise removing unit 25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apacit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noise removing unit 250 may include a first capacitor C1 and a second capacitor C2 .

제1 캐패시터(C1)는 제1 감지부(21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캐패시터(C1)는 제1단이 제1 연산 증폭기(AMP1)의 출력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캐패시터(C1)는 제1단이 판단부(26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캐패시터(C1)는 제1 연산 증폭기(AMP1)의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제1 감지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캐패시터(C1)는 제1 감지 신호에 포함된 고주파 신호를 제거함으로써 마이크로 컨트롤러로 구현된 판단부(260)를 보호할 수 있다. 제1 캐패시터(C1)는 제2단이 제1 접지 단자(GND1)와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capacitor C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ensing unit 210 . The first capacitor C1 may have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AMP1 . A first end of the first capacitor C1 may be connected to the determination unit 260 . The first capacitor C1 may remove noise of the first sensing signal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AMP1 . For example, the first capacitor C1 may protect the determination unit 260 implemented as a microcontroller by removing a high frequency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detection signal. The second terminal of the first capacitor C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ground terminal GND1.

제2 캐패시터(C2)는 제2 감지부(2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캐패시터(C2)는 제1단이 제2 연산 증폭기(AMP2)의 출력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캐패시터(C2)는 제1단이 판단부(26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캐패시터(C2)는 제2 연산 증폭기(AMP2)의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제2 감지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캐패시터(C2)는 제2 감지 신호에 포함된 고주파 신호를 제거함으로써 마이크로 컨트롤러로 구현된 판단부(260)를 보호할 수 있다.The second capacitor C2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sensing unit 220 . A first end of the second capacitor C2 may be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AMP2. A first end of the second capacitor C2 may be connected to the determination unit 260 . The second capacitor C2 may remove noise of the second sensing signal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AMP2 . For example, the second capacitor C2 may protect the determination unit 260 implemented as a microcontroller by removing a high frequency signal included in the second detection signal.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200)는 제1 감지부(210), 제2 감지부(220), 전압 분배부(230), 보호부(240), 노이즈 제거부(250) 및 판단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the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etection unit 210 , a second detection unit 220 , a voltage distribution unit 230 , a protection unit 240 , It may include a noise removing unit 250 and a determining unit 260 .

제1 감지부(210)는 제1 연산 증폭기(AMP1) 및 제1 저항(R1)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sensing unit 210 may include a first operational amplifier AMP1 and a first resistor R1 .

제1 연산 증폭기(AMP1)는 비반전 (입력) 단자, 반전 (입력) 단자, 정측 전원단자, 부측 전원단자 및 출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산 증폭기(AMP1)의 비반전 단자는 전압 분배부(23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산 증폭기(AMP1)의 비반전 단자는 제4 저항(R4)의 제2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산 증폭기(AMP2)의 비반전 단자는 제3 저항(R3)의 제1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산 증폭기(AMP1)의 반전 단자는 제1 저항(R1)의 제1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산 증폭기(AMP1)의 출력 단자는 제1 저항(R1)의 제2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산 증폭기(AMP1)의 출력 단자는 판단부(26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산 증폭기(AMP1)의 정측 전원단자는 제1 전원(V1)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산 증폭기(AMP1)의 부측 전원단자는 제1 접지 단자(GND1)에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AMP1 may include a non-inverting (input) terminal, an inverting (input) terminal, a positive power terminal, a negative power terminal, and an output terminal. The non-inverting terminal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AMP1 may be connected to the voltage divider 230 . The non-inverting terminal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AMP1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fourth resistor R4 . The non-inverting terminal of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AMP2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of the third resistor R3 . The inverting terminal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AMP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of the first resistor R1 .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AMP1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first resistor R1 .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AMP1 may be connected to the determination unit 260 . The positive power terminal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AMP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ource V1 . The negative power terminal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AMP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ground terminal GND1 .

제1 저항(R1)은 제1 단이 제1 연산 증폭기(AMP1)의 반전 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이 제1 연산 증폭기(AMP1)의 출력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resistor R1 may have a first end connected to an inverting terminal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AMP1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AMP1 .

제2 감지부(220)는 제2 연산 증폭기(AMP2) 및 제2 저항(R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sensing unit 220 may include a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AMP2 and a second resistor R2 .

제2 연산 증폭기(AMP2)는 비반전 (입력) 단자, 반전 (입력) 단자, 정측 전원단자, 부측 전원단자 및 출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산 증폭기(AMP2)의 비반전 단자는 전압 분배부(23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산 증폭기(AMP2)의 비반전 단자는 제5 저항(R5)의 제2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산 증폭기(AMP2)의 비반전 단자는 보호부(24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산 증폭기(AMP2)의 비반전 단자는 제2 다이오드(D2)의 애노드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산 증폭기(AMP2)의 반전 단자는 제2 저항(R2)의 제1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산 증폭기(AMP2)의 출력 단자는 제2 저항(R2)의 제2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산 증폭기(AMP2)의 출력 단자는 판단부(26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산 증폭기(AMP2)의 정측 전원단자는 제1 전원(V1)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산 증폭기(AMP2)의 부측 전원단자는 제1 접지 단자(GND1)에 연결될 수 있다.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AMP2 may include a non-inverting (input) terminal, an inverting (input) terminal, a positive power terminal, a negative power terminal, and an output terminal. The non-inverting terminal of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AMP2 may be connected to the voltage divider 230 . The non-inverting terminal of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AMP2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fifth resistor R5 . The non-inverting terminal of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AMP2 may be connected to the protection unit 240 . The non-inverting terminal of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AMP2 may be connected to the anode terminal of the second diode D2 . The inverting terminal of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AMP2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of the second resistor R2 .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AMP2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second resistor R2 .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AMP2 may be connected to the determination unit 260 . The positive power terminal of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AMP2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source V1 . The negative power terminal of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AMP2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ground terminal GND1 .

제2 저항(R2)은 제1 단이 제2 연산 증폭기(AMP2)의 반전 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이 제2 연산 증폭기(AMP2)의 출력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resistor R2 may have a first end connected to an inverting terminal of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AMP2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AMP2 .

전압 분배부(230)는 복수의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압 분배부(230)는 제3 저항(R3), 제4 저항(R4) 및 제5 저항(R5)을 포함할 수 있다. The voltage divider 2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sist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voltage divider 230 may include a third resistor R3 , a fourth resistor R4 , and a fifth resistor R5 .

제3 저항(R3)은 제1단이 제1 연산 증폭기(AMP1)의 비반전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저항(R3)은 제1단이 제4 저항(R4)의 제2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저항(R3)은 제2단이 제1 접지 단자(GND1)에 연결될 수 있다. A first terminal of the third resistor R3 may be connected to a non-inverting terminal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AMP1 . A first end of the third resistor R3 may be connected to a second end of the fourth resistor R4 . A second terminal of the third resistor R3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ground terminal GND1 .

제4 저항(R4)은 제1단이 제5 저항(R5)의 제1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4 저항(R4)은 제1단이 보호부(240)에 연결될 수 있다. 제4 저항(R4)은 제1단이 제1 다이오드(D1)의 캐소드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제4 저항(R4)은 제2단이 제3 저항(R3)의 제1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4 저항(R4)은 제2단이 제1 연산 증폭기(AMP1)의 비반전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A first end of the fourth resistor R4 may be connected to a first end of the fifth resistor R5 . A first end of the fourth resistor R4 may be connected to the protection unit 240 . The fourth resistor R4 may have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the cathode terminal of the first diode D1 . A second end of the fourth resistor R4 may be connected to a first end of the third resistor R3 . A second end of the fourth resistor R4 may be connected to a non-inverting terminal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AMP1 .

제5 저항(R5)은 제1단이 제4 저항(R4)의 제1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5 저항(R5)은 보호부(240)에 연결될 수 있다. 제5 저항(R5)은 제1단이 제1 다이오드(D1)의 캐소드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제5 저항(R5)은 제2단 제2 연산 증폭기(AMP2)의 비반전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제5 저항(R5)은 제2단이 보호부(240)에 연결될 수 있다. 제5 저항(R5)은 제2단이 제2 다이오드(D2)의 애노드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A first end of the fifth resistor R5 may be connected to a first end of the fourth resistor R4 . The fifth resistor R5 may be connected to the protection unit 240 . A first terminal of the fifth resistor R5 may be connected to the cathode terminal of the first diode D1 . The fifth resistor R5 may be connected to the non-inverting terminal of the second stag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AMP2 . A second end of the fifth resistor R5 may be connected to the protection unit 240 . A second end of the fifth resistor R5 may be connected to the anode terminal of the second diode D2.

보호부(240)는 복수의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부(240)는 제1 다이오드(D1) 및 제2 다이오드(D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otection unit 2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di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tection unit 240 may include a first diode D1 and a second diode D2.

제1 다이오드(D1)는 애노드 단자가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다이오드(D1)는 애노드 단자가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의 제2 전원(V2)에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다이오드(D1)의 애노드 단자와 제2 전원(V2) 사이에는 제1 스위치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다이오드(D1)는 캐소드 단자가 전압 분배부(23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다이오드(D1)는 캐소드 단자가 제4 저항(R4)의 제1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다이오드(D1)는 캐소드 단자가 제5 저항(R5)의 제1단에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diode D1 may have an anode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The first diode D1 may have an anode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source V2 of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first switch may be disposed between the anode terminal of the first diode D1 and the second power source V2. The first diode D1 may have a cathode terminal connected to the voltage divider 230 . The cathode terminal of the first diode D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of the fourth resistor R4. The cathode terminal of the first diode D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of the fifth resistor R5.

제2 다이오드(D2)는 애노드 단자가 제2 감지부(22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다이오드(D2)는 애노드 단자가 제2 연산 증폭기(AMP2)의 비반전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다이오드(D2)는 애노드 단자가 전압 분배부(23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다이오드(D2)는 애노드 단자가 제5 저항(R5)의 제2단에 연결될 수 있다. The second diode D2 may have an anode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sensing unit 220 . The anode terminal of the second diode D2 may be connected to the non-inverting terminal of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AMP2. The anode terminal of the second diode D2 may be connected to the voltage divider 230 . The anode terminal of the second diode D2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fifth resistor R5.

제2 다이오드(D2)는 캐소드 단자가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다이오드(D2)는 캐소드 단자가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의 제2 접지 단자(GND2)에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다이오드(D2)의 캐소드 단자와 제2 접지 단자(GND2) 사에에는 제2 스위치가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diode D2 may have a cathode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The second diode D2 may have a cathode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ground terminal GND2 of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second switch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athode terminal of the second diode D2 and the second ground terminal GND2.

노이즈 제거부(250)는 복수의 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노이즈 제거부(250)는 제1 캐패시터(C1) 및 제2 캐패시터(C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noise removing unit 25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apacit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noise removing unit 250 may include a first capacitor C1 and a second capacitor C2 .

제1 캐패시터(C1)는 제1 감지부(21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캐패시터(C1)는 제1단이 제1 연산 증폭기(AMP1)의 출력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캐패시터(C1)는 제1단이 판단부(26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캐패시터(C1)는 제1 연산 증폭기(AMP1)의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제1 감지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캐패시터(C1)는 제1 감지 신호에 포함된 고주파 신호를 제거함으로써 마이크로 컨트롤러로 구현된 판단부(260)를 보호할 수 있다. 제1 캐패시터(C1)는 제2단이 제1 접지 단자(GND1)와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capacitor C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ensing unit 210 . The first capacitor C1 may have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AMP1 . A first end of the first capacitor C1 may be connected to the determination unit 260 . The first capacitor C1 may remove noise of the first sensing signal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AMP1 . For example, the first capacitor C1 may protect the determination unit 260 implemented as a microcontroller by removing a high frequency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detection signal. The second terminal of the first capacitor C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ground terminal GND1.

제2 캐패시터(C2)는 제2 감지부(2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캐패시터(C2)는 제1단이 제2 연산 증폭기(AMP2)의 출력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캐패시터(C2)는 제1단이 판단부(26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캐패시터(C2)는 제2 연산 증폭기(AMP2)의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제2 감지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캐패시터(C2)는 제2 감지 신호에 포함된 고주파 신호를 제거함으로써 마이크로 컨트롤러로 구현된 판단부(260)를 보호할 수 있다.The second capacitor C2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sensing unit 220 . A first end of the second capacitor C2 may be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AMP2. A first end of the second capacitor C2 may be connected to the determination unit 260 . The second capacitor C2 may remove noise of the second sensing signal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AMP2 . For example, the second capacitor C2 may protect the determination unit 260 implemented as a microcontroller by removing a high frequency signal included in the second detection signal.

제1 감지부(210), 제2 감지부(220), 전압 분배부(230) 및 노이즈 제거부(250)는 제1 접지 단자(GND1)와 제2 접지 단자(GND2)를 연결하는 접지 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산 증폭기(AMP1)의 부측 전원단자, 제3 저항(R3)의 제2단, 제1 캐패시터(C1)의 제2단, 제2 연산 증폭기(AMP2)의 부측 전원단자, 및 제1 캐패시터(C1)의 제2단은 전기 자동차의 접지 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연산 증폭기(AMP1)의 부측 전원단자, 제3 저항(R3)의 제2단, 제1 캐패시터(C1)의 제2단, 제2 연산 증폭기(AMP2)의 부측 전원단자 및 제1 캐패시터(C1)의 제2단은 개별적으로 제1 접지 단자에 연결되지 않고 접지 라인에 연결됨으로써, 제1 접지 단자(GND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감지부(210), 제2 감지부(220), 전압 분배부(230) 및 노이즈 제거부(250)는 접지 라인을 통해 제2 접지 단자(GND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지 라인은 전기 자동차 충전 표준 규격인 CHAdeMO의 protective conductor 라인에 대응할 수 있다.The first sensing unit 210 , the second sensing unit 220 , the voltage dividing unit 230 , and the noise removing unit 250 are a ground line connecting the first ground terminal GND1 and the second ground terminal GND2 . can be connected to The negative power terminal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AMP1, the second terminal of the third resistor R3, the second terminal of the first capacitor C1, the negative power terminal of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AMP2, and the first capacitor The second end of (C1) may be connected to the ground line of the electric vehicle. That is, the negative power terminal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AMP1, the second terminal of the third resistor R3, the second terminal of the first capacitor C1, the negative power terminal of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AMP2, and the first The second end of the capacitor C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ground terminal GND1 by being connected to the ground line instead of being individually connected to the first ground terminal. The first sensing unit 210 , the second sensing unit 220 , the voltage dividing unit 230 , and the noise removing unit 25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ground terminal GND2 through a ground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ground line may correspond to a protective conductor line of CHAdeMO, which is a standard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도 6는 도 5에서 제1 접지 단자와 제2 접지 단자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case in which the first ground terminal and the second ground terminal are not connected in FIG. 5 .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접지 라인(LINE1)은 전기 자동차 측의 제1 접지 단자(GND1)와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 측의 제2 접지 단자(GND2)를 연결하는 라인을 의미할 수 있다. 접지 라인(LINE1)은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 측의 접지 라인과 전기 자동차 측의 접지 라인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 측의 접지 라인은 제2 접지 단자(GND2)와 연결되며, 전기 자동차 측의 접지 라인은 제1 접지 단자(GND1)와 연결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 측의 접지 라인과 전기 자동차 측의 접지 라인은 커넥터와 인렛의 결합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 the ground line LINE1 may refer to a line connecting the first ground terminal GND1 of the electric vehicle side and the second ground terminal GND2 of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The ground line LINE1 may be divided into a ground line on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side and a ground line on the electric vehicle side. The ground line of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ground terminal GND2 , and the ground line of the electric vehicle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ground terminal GND1 . The ground line of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side and the ground line of the electric vehicle sid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coupling of the connector and the inlet.

한편,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커넥터와 인렛의 결합 불량 등으로 인해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 측의 접지 라인과 전기 자동차 측의 접지 라인이 서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감지부(210), 제2 감지부(220), 전압 분배부(230) 및 노이즈 제거부(250)에 연결된 제1 접지 단자(GND1)가 제2 접지 단자(GND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으므로, 제2 전원(V2)에 의해 인가된 전압보다 큰 전압이 전압 분배부에 인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원(V2)이 제2 접지 단자의 접지 전원을 기준으로 12[V]의 전압이 인가되더라도, 전압 분배부(230)는 제1 접지 단자의 접지 전원이 연결되므로, 12[V]보다 큰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이에 판단부(260)는, 제1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 측의 접지 라인과 전기 자동차 측의 접지 라인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6 , the ground line of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side and the ground line of the electric vehicle side may not be connected to each other due to poor coupling between the connector and the inlet. In this case, the first ground terminal GND1 connected to the first detecting unit 210 , the second detecting unit 220 , the voltage dividing unit 230 , and the noise removing unit 250 is connected to the second ground terminal GND2 and GND2 . Since they are not electrically connected, a voltage greater than the voltage applied by the second power source V2 may be applied to the voltage divider. For example, even if a voltage of 12 [V] is applied to the second power V2 based on the ground power of the second ground terminal, the voltage divider 230 is connected to the ground power of the first ground terminal, so that 12 A voltage greater than [V] may be applied. Accordingly, the determination unit 260 may determine the electrical connection state of the ground line of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side and the ground line of the electric vehicle side based on the first detection signal.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상태 판단 방법의 순서도이다. 7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determining a connection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판단부(260)는 제1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의 제2 접지 단자와 전기 자동차의 제1 접지 단자 사이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The determination unit 260 may determine an electrical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second ground terminal of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and the first ground terminal of the electric vehicle based on the first detection signal.

도 7을 참조하면, 판단부(260)는 제1 감지부(210)로부터 제1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710).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일 수 있으며, 판단부(260)는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Analog Digital Converter, ADC)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determination unit 260 may receive a first detection signal from the first detection unit 210 ( S71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etection signal may be an analog signal, and the determination unit 260 may include an analog digital converter (ADC) for converting it into a digital signal.

판단부(260)는 제1 감지 신호와 기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할 수 있다(S720). 실시예에 따르면, 판단부(260)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제1 감지 신호를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unit 260 may compare the first detection signal with a preset threshold ( S72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etermination unit 260 may compare the first detection signal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with a preset threshold value.

비교 결과, 제1 감지 신호의 전압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으면, 판단부(260)는 제1 접지 단자와 제2 접지 단자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730).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감지 신호의 전압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으면, 판단부(260)는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 측의 접지 라인과 전기 자동차 측의 접지 라인이 정상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f the voltage value of the first detection signal is smaller than the preset threshold value, the determination unit 260 may determine that the first ground terminal and the second ground terminal are connected ( S73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voltage value of the first detection signal is less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the determination unit 260 may determine that the ground line of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and the ground line of the electric vehicle are normally connected. have.

비교 결과, 제1 감지 신호의 전압값이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판단부(260)는 제1 접지 단자와 제2 접지 단자가 사이의 연결이 끊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740).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감지 신호의 전압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판단부(260)는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 측의 접지 라인과 전기 자동차 측의 접지 라인이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260)는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 측의 접지 라인과 전기 자동차 측의 접지 라인의 연결이 끊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f the voltage value of the first detection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the determination unit 260 may determine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ground terminal and the second ground terminal is broken ( S740 ).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hen the voltage value of the first detection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threshold value, the determination unit 260 determines that the ground line of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side and the ground line of the electric vehicle are not connected. can do. The determination unit 260 may determine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ground line of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and the ground line of the electric vehicle is disconnected.

도 8 및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8 and 9 are diagrams illustrating simulation results of an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서와 같이,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 측의 접지 라인과 전기 자동차 측의 접지 라인이 정상적으로 연결된 경우,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제1 감지 신호는 약 1.48 [V] 크기의 전압값을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 when the ground line of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side and the ground line of the electric vehicle side are normally connected, as shown in FIG. 8 , the first detection signal has a magnitude of about 1.48 [V] can have a voltage value of

반면, 도 6에서와 같이,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 측의 접지 라인과 전기 자동차 측의 접지 라인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제1 감지 신호는 약 2.32 [V] 크기의 전압값을 가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in FIG. 6 , when the ground line of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side and the ground line of the electric vehicle are not connected, as shown in FIG. 9 , the first detection signal is a voltage of about 2.32 [V]. can have a value.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 측의 접지 라인과 전기 자동차 측의 접지 라인의 연결 상태에 따라, 제1 감지 신호의 전압값은 유의미한 차이값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는 소정의 임계값(예를 들어, 2[V])을 기 설정하고, 제1 감지 신호의 전압값과 비교함으로써 접지 라인의 연결 상태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8 and 9 , it can be seen that the voltage value of the first detection signal h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onnection state of the ground line of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side and the ground line of the electric vehicle side. Accordingly, the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ts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eg, 2 [V]) and compares the voltage value of the first detection signal to determine the connection state of the ground line. can be accurately detected.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n the above, the embodiment has been mainly described,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re not exemplified above in the rang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can be seen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by modification. And differences related to such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200 :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
210 : 제1 감지부
220 : 제2 감지부
230 : 전압 분배부
240 : 보호부
250 : 노이즈 제거부
260 : 판단부
200: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210: first detection unit
220: second sensing unit
230: voltage divider
240: protection
250: noise canceling unit
260: judgment unit

Claims (11)

제1 스위치를 턴온시켜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의 제1 전원과 전기 자동차의 제2 접지 단자 사이에 폐회로를 형성하는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의 제1 시퀀스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에 대응하는 제1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1 감지부; 및
제2 스위치를 턴온시켜 상기 전기자동차 전원공급장치의 제1 접지 단자와 상기 제1 전원 사이에 폐회로를 형성하는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의 제2 시퀀스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에 대응하는 제2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2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감지부는, 상기 제1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제1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연산 증폭기(operation amplifier)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감지부는, 상기 제1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제2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연산 증폭기 소자;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
It is connected to the first sequence unit of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that turns on the first switch to form a closed circuit between the first power supply of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and the second ground terminal of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on/off of the first switch a first detection unit outputting a first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tate; and
It is connected to a second sequence unit of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that turns on a second switch to form a closed circuit between the first ground terminal of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and the first power source, and the on-off state of the second switch Including; a second detection unit for outputting a second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ction unit includes a first operational amplifier (operation amplifier) element receiving power from the first power supply and outputting the first detection signal;
and the second sensing unit, a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element receiving power from the first power source and outputting the second sensing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부는,
상기 제1 연산 증폭기의 반전 단자에 제1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1 연산 증폭기의 출력 단자에 제2단에 연결되는 제1 저항 소자;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ensing unit,
and a first resistance element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an inverting terminal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지부는,
상기 제2 연산 증폭기의 반전 단자에 제1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 연산 증폭기의 출력 단자에 제2단에 연결되는 제2 저항 소자;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sensing unit,
and a second resistance element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an inverting terminal of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부 및 상기 제2 감지부에 공급되는 전압을 분배하는 전압 분배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
4. The method of claim 3,
The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further comprising a; a voltage divider that divides the voltage supplied to the first sensing unit and the second sensing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분배부는,
제2단이 상기 제1 연산 증폭기의 비반전 단자에 연결되는 제3 저항;
제1단이 제1 연산 증폭기의 비반전 단자 및 상기 제3 저항의 제2단에 연결되고 제2단이 상기 제2 접지 단자에 연결되는 제4 저항; 및
제1단이 상기 제3 저항의 제1단에 연결되고 제2단이 상기 제2 연산 증폭기의 비반전 단자에 연결되는 제5 저항;을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
5. The method of claim 4,
The voltage divider,
a third resistor having a second stage connected to a non-inverting terminal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a fourth resistor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a non-inverting terminal of a first operational amplifier and a second end of the third resistor,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the second ground terminal; and
and a fifth resistor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a first end of the third resistor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a non-inverting terminal of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로 인가되는 역전압을 차단하거나 상기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역전압을 차단하는 보호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
6. The method of claim 5,
The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further comprising: a protection unit that blocks the reverse voltage a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or blocks the reverse voltage applied from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애노드 단자가 상기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캐소드 단자가 상기 제3 저항의 제1단 및 상기 제5 저항의 제1단에 연결되는 제1 다이오드; 및
애노드 단자가 상기 제5 저항의 제2단 및 상기 제2 연산 증폭기의 비반전 단자에 연결되고 캐소드 단자가 상기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
7. The method of claim 6,
The protection unit,
a first diode having an anode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and a cathode terminal connected to a first end of the third resistor and a first end of the fifth resistor; and
and a second diode having an anode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fifth resistor and a non-inverting terminal of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and a cathode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 신호 및 상기 제2 감지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 신호를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
8. The method of claim 7,
The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further comprising a; a noise removing unit for removing the noise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detection signal and the second detection signa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제거부는,
제1단이 상기 제1 연산 증폭기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이 상기 제2 접지 단자에 연결되는 제1 캐패시터; 및
제1단이 상기 제2 연산 증폭기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이 상기 제2 접지 단자에 연결되는 제2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
9. The method of claim 8,
The noise removing unit,
a first capacitor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the second ground terminal; and
and a second capacitor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the second ground termina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부, 상기 제2 감지부, 상기 전압 분배부 및 노이즈 제거부는,
상기 제1 접지 단자와 상기 제2 접지 단자를 연결하는 접지 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접지 라인을 통해 상기 제2 접지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st sensing unit, the second sensing unit, the voltage dividing unit and the noise removing unit,
An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connected to a ground line connecting the first ground terminal and the second ground terminal,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ground terminal through the ground lin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 신호의 전압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1 접지 단자와 상기 제2 접지 단자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감지 신호의 전압값이 상기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제1 접지 단자와 상기 제2 접지 단자가 사이의 연결이 끊어진 것으로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
11. The method of claim 10,
If the voltage value of the first detection signal is less than a preset threshold,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ground terminal and the second ground terminal are connected,
and a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ground terminal and the second ground terminal is broken when the voltage value of the first detection sig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KR1020200176390A 2020-12-16 2020-12-16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Pending KR2022008618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390A KR20220086180A (en) 2020-12-16 2020-12-16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390A KR20220086180A (en) 2020-12-16 2020-12-16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180A true KR20220086180A (en) 2022-06-23

Family

ID=82221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390A Pending KR20220086180A (en) 2020-12-16 2020-12-16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618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232552A1 (en) * 2023-05-09 2024-11-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Evcc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232552A1 (en) * 2023-05-09 2024-11-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Evcc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6435B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US11285830B2 (en) Charging cable
CN109946555B (en) Electric vehicle ground fault monitoring system
CN103858297B (en) Electric vehicles charge and discharge device
US20160072320A1 (en) Overcurrent detection device, and charging/discharging system, distribution board, charging control device, charging/discharging device for vehicle and electrical apparatus for vehicle, using the overcurrent detection device
EP3068658B1 (en)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and vehicle used therein
US20230138878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and electric vehicle charger comprising same
KR102032554B1 (en) Changeable charging control system for eletric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126199A (en) Compatible Charging Adapter for CAN-PLC Data Communication
EP4272996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US20230061714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arrangement and method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KR20220020661A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KR20220086180A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KR20220070798A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JP7657812B2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US20230249565A1 (en) Charge and discharge system,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charge and discharge system
US20240294089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KR102642061B1 (en) Apparatus for driving relay of electric vehicle
KR20220157108A (en) Communication moduule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KR20210090999A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and method for detecting fault of electric vehicle using the same
KR20210091000A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and method for detecting fault of electric vehicle using the same
EP4353519A1 (en) Power adapter and method therefor, electric vehicle and method therefor
CN113858989B (en) Charging switching device and vehicle
CN110816316B (en) Method for testing a charging process
WO2025075427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