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086159A - 음식 용기 받침대 - Google Patents

음식 용기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6159A
KR20220086159A KR1020200176351A KR20200176351A KR20220086159A KR 20220086159 A KR20220086159 A KR 20220086159A KR 1020200176351 A KR1020200176351 A KR 1020200176351A KR 20200176351 A KR20200176351 A KR 20200176351A KR 20220086159 A KR20220086159 A KR 20220086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food container
support
container
support pa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6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상
김주희
조한결
Original Assignee
조용상
김주희
조한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상, 김주희, 조한결 filed Critical 조용상
Priority to KR1020200176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6159A/ko
Publication of KR20220086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15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8Plate-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8Stabilizing containers or article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용기를 받치는 제1받침부; 상기 제1용기보다 작은 용기를 받치며, 상기 제1받침부보다 면적이 작은 제2받침부; 및 상기 제1받침부와 제2받침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2받침부를 상기 제1받침부보다 높은 곳으로 위치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음식 용기 받침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식 용기 받침대{support for food container}
본 발명은 음식 용기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명절 또는 각종 행사가 개최되거나 요식업체 서비스의 경우 여러 가지의 음식물이 제공되지만, 식탁이나 밥상 위의 공간이 제한적이므로 상기 음식물을 모두 올려놓기가 어렵다.
특히, 메인 요리가 담긴 큰 접시와 더불어 개개인에게 독립적으로 제공되는 소스, 셀러드 등이 담긴 작은 접시들이 제공되는 경우, 많은 접시들을 식탁에 올려 놓게 되면, 식탁이 복잡해지며, 비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개개인에게 제공되는 작은 접시들은 공유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인에게 가까이 두어야 하는데, 본인 앞의 공간이 협소하여 식사하는 데 매우 불편해지게 된다.
<선행문헌>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22631호
본 발명은 메인 요리가 담긴 큰 접시와 더불어 개개인에게 독립적으로 제공되는 소스, 셀러드 등이 담긴 작은 접시들을 식탁의 좁은 공간에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음식 용기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메인 접시와 개개인에게 제공되는 작은 접시들이 함께 배치되어 일체감을 느끼게 해주는 음식 용기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작은 접시들이 메인 접시와 근접하게 배치되어 본인에게 보다 가깝게 배치되므로 식사하는 데 매우 편해질 수 있는 음식 용기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기존 급식형 4각 식기를 대체하여 품격을 높이는데 일조할 수 있는 음식 용기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 및 추가적 과제에 대하여 아래에서 자세히 서술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제1용기를 받치는 제1받침부; 상기 제1용기보다 작은 용기를 받치며, 상기 제1받침부보다 면적이 작은 제2받침부; 및 상기 제1받침부와 제2받침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2받침부를 상기 제1받침부보다 높은 곳으로 위치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음식 용기 받침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중앙부가 외측으로 볼록하게 굴곡진, 음식 용기 받침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형태 변형이 가능한, 음식 용기 받침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받침대는 위에서 볼 때, 제1받침대의 일부와 겹치며, 제2받침대가 제1받침대와 겹치는 면적은 제2받침대 총면적 대비 30% 이상 90% 이하인, 음식 용기 받침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받침대는 원형이며, 상기 제2받침대는 다수의 접시를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제1받침대의 외주에 상응하여 타원형으로 길게 형성되되, 제1받침대의 중앙과 근접한 영역은 제2받침대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제1받침대의 외곽은 접시가 미끄러져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턱부가 구비된, 음식 용기 받침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받침대의 중앙은 보관대의 수직부에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개방된 천공부가 형성된, 음식 용기 받침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 용기 받침대는, 메인 요리가 담긴 큰 접시와 더불어 개개인에게 독립적으로 제공되는 소스, 셀러드 등이 담긴 작은 접시들을 식탁의 좁은 공간에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접시와 개개인에게 제공되는 작은 접시들이 함께 배치되어 일체감을 느끼게 해준다.
또한, 작은 접시들이 메인 접시와 근접하게 배치되어 본인에게 보다 가깝게 배치되므로 식사하는 데 매우 편해질 수 있다.
또한, 기존 급식형 4각 식기를 대체하여 품격을 높이는데 일조할 수 있다.
상기의 효과 및 추가적 효과에 대하여 아래에서 자세히 서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 용기 받침대의 개략 구성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 용기 받침대의 개략 구성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 용기 받침대에 접시가 올려진 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 용기 받침대의 부분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 용기 받침대의 평면도 및 그 보관 상태에 관한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 용기 받침대의 개략 구성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 용기 받침대의 개략 구성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 용기 받침대에 접시가 올려진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 용기 받침대는 제1용기를 받치는 제1받침부(10), 상기 제1용기보다 작은 제2용기를 받치며, 상기 제1받침부(10)보다 면적이 작은 제2받침부(20), 및 상기 제1받침부(10)와 제2받침부(20)를 연결하고, 상기 제2받침부(20)를 상기 제1받침부(10)보다 높은 곳으로 위치시키는 연결부재(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 용기 받침대는, 메인 요리가 담긴 큰 접시와 더불어 개개인에게 독립적으로 제공되는 소스, 셀러드 등이 담긴 작은 접시들을 식탁의 좁은 공간에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접시와 개개인에게 제공되는 작은 접시들이 함께 배치되어 일체감을 느끼게 해준다. 또한, 작은 접시들이 메인 접시와 근접하게 배치되어 본인에게 보다 가깝게 배치되므로 식사하는 데 매우 편해질 수 있다.
상기 제1받침부(10)는 제1용기를 받치게 된다. 제1용기는 메인 요리가 담기는 용기일 수 있으며, 접시 형태일 수 있다. 제1받침부(10)는 평평한 형태일 수 있으며, 외곽부가 다소 올라온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제2받침부(20)는 제2용기를 받치게 된다. 제2용기는 소스 용기, 샐러드 용기, 곁들여 먹는 반찬 용기 등일 수 있으며, 제1용기보다 작으므로, 상기 제2받침부(20)는 제1받침부(10)보다 면적이 작은 것이 좋다. 면적이 작음으로서, 제1받침부(10)에 올려진 제1용기를 가리지 않거나, 가리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0)는 상기 제1받침부(10)와 제2받침부(20)를 연결하고, 상기 제2받침부(20)를 상기 제1받침부(10)보다 높은 곳으로 위치시키게 된다. 연결부재(30)가 제1받침부(10)와 제2받침부(20)와 각각 연결되는 위치는 제한되지 않으며, 제1받침부(10)와 제2받침부(20)의 측면일 수도 있고, 제1받침부(10)의 상부 외곽 영역, 제2받침부(20)의 하부 외곽 영역일 수 있다.
제1받침부(10)와 제2받침부(20)는 높이적으로 중첩되지 않으므로, 제2받침부(20)를 상기 제1받침부(10)의 중앙측으로 가까이 둘 수 있도록 연결부재(30)가 구성될 수 있다. 제1받침부(10)와 제2받침부(20)의 중첩 면적은 연결부재(30)에 의해 결정된다. 좋기로는 상기 제2받침부(20)는 위에서 볼 때, 제1받침부(10)의 일부와 겹치며, 제2받침부(20)가 제1받침부(10)와 겹치는 면적은 제2받침부(20) 총면적 대비 30% 이상 90% 이하인 것이 좋다. 겹치는 면적이 30% 미만인 경우 식탁의 공간 사용 효율성이 떨어지고, 식사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제2접시가 멀어 일체감이 떨어질 수 있다. 겹치는 면적이 90%를 초과하는 경우 제2받침부(20)가 제1접시를 과도하게 가려서 식사하는 것이 불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30)는 상하를 기준으로 중앙부가 외측으로 볼록하게 굴곡진 것이 좋다. 중앙부가 외측으로 볼록하게 굴곡짐으로 인해, 제1접시의 외곽이 연결부재(30)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다 큰 제1접시를 제1받침부(10)에 수용 가능하게 된다(도 3 참고).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연결부재(30)는 형태 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변성 재질을 채용할 수 있으며, 일례로 연성이 뛰어난 철재 등의 금속이 사용될 수 있으며, 표면은 실리콘이나 고무재질 등으로 피복될 수 있다. 형태 변형이 가능함으로 인해, 사용자의 취향이나 접시의 종류, 크기, 높이에 따라 맞춤형으로 제2받침부(20)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음식 용기 받침대 보관시 연결부재(30)의 형태를 변형시킴으로써 손쉽게 적층이 가능하다(도 5 참고).
한편, 상기 제1받침대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으나 메인 요리를 담는 접시가 주로 원형이므로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2접시를 제1받침대의 외주를 따라 배치할 수 있어 좋다.
또한, 상기 제2받침대는 다수의 접시를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제1받침대의 외주에 상응하여 타원형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런 형상을 통해, 다수의 접시를 제1받침대의 외주를 따라 배치할 수 있어 일체감이 높게 된다. 다만, 제1받침대의 중앙과 근접한 영역은 제2받침대가 제1접시를 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받침대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도 2, 도 5 참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 용기 받침대의 부분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받침대의 외곽은 접시가 미끄러져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턱부(21)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 용기 받침대의 평면도 및 그 보관 상태에 관한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받침대의 중앙은 보관대(40)의 수직부(41)에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개방된 천공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보관대(40)의 수직부(41)에 제1받침대의 천공부(11)를 삽입하여 적층하게 되면 손쉽게 보관이 가능하다. 연결부재(30)가 변형 가능한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상태로 변형시켜 적층을 할 수 있으며, 연결부재(30)가 변형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1받침대의 천공부(11)를 수직부(41)에 삽입하여 적층하여 보관하되, 제2받침대가 겹치지 않도록 적절히 회전시켜 적층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 용기 받침대에 관한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30)가 견고하고 구부러진 판 형상일 수 있으며, 변형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받침대(10) 중앙의 천공부(11)에 보관대의 수직부(41, 도 5 참고)를 삽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천공부(11)의 일영역과 연결되고 제1받침대(10)의 외주까지 완전 개방된 개방부(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받침대(10)의 개방부(12)를 통해 보관대의 수직부를 천공부(11)까지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0: 제1받침부
11: 천공부
12: 개방부
20: 제2받침부
21: 방지턱부
30: 연결부재
40: 보관대
41: 수직부

Claims (6)

  1. 제1용기를 받치는 제1받침부;
    상기 제1용기보다 작은 용기를 받치며, 상기 제1받침부보다 면적이 작은 제2받침부; 및
    상기 제1받침부와 제2받침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2받침부를 상기 제1받침부보다 높은 곳으로 위치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음식 용기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중앙부가 외측으로 볼록하게 굴곡진, 음식 용기 받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형태 변형이 가능한, 음식 용기 받침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받침대는 위에서 볼 때, 제1받침대의 일부와 겹치며, 제2받침대가 제1받침대와 겹치는 면적은 제2받침대 총면적 대비 30% 이상 90% 이하인, 음식 용기 받침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받침대는 원형이며,
    상기 제2받침대는 다수의 접시를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제1받침대의 외주에 상응하여 타원형으로 길게 형성되되, 제1받침대의 중앙과 근접한 영역은 제2받침대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제1받침대의 외곽은 접시가 미끄러져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턱부가 구비된, 음식 용기 받침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받침대의 중앙은 보관대의 수직부에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개방된 천공부가 형성된, 음식 용기 받침대.
KR1020200176351A 2020-12-16 2020-12-16 음식 용기 받침대 Ceased KR202200861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351A KR20220086159A (ko) 2020-12-16 2020-12-16 음식 용기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351A KR20220086159A (ko) 2020-12-16 2020-12-16 음식 용기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159A true KR20220086159A (ko) 2022-06-23

Family

ID=82221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351A Ceased KR20220086159A (ko) 2020-12-16 2020-12-16 음식 용기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615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5184B2 (en) Adjustable dish rack
US5332106A (en) Spoon and fork holder
US9949595B1 (en) Cookware rack
US20090057252A1 (en) Multifunctional lazy susan
US20090095754A1 (en) Stackable cover for container
US10486856B2 (en) Plate attachment assembly
JP2007523808A (ja) 容器用のカバー兼メディアディスク表示器具
KR101522323B1 (ko) 실린더형 제품, 특히 사탕의 튜브를 위한 모듈 전시 장치 및, 그것의 구성 요소들을 위한 모듈 요소
KR20220086159A (ko) 음식 용기 받침대
US20240270443A1 (en) Stackable vented food container
US10561280B1 (en) Pot lid stand
US10477966B2 (en) System for optimizing use of storage space
WO2005020766A2 (en) Combination meal serving tray
KR102162747B1 (ko) 다용도 선반
JP2975936B1 (ja) コッヘル
KR200491336Y1 (ko) 컵 캐리어 구조체
US20190343308A1 (en) Tableware Organizer for Large Group Gatherings
USD1024689S1 (en) Food container
US20140173982A1 (en) Combinational plant pot
TWM607895U (zh) 圓餐盒
CN210076817U (zh) 一种快餐盒
USD1067722S1 (en) Cooking vessel exterior base plate
CN2321292Y (zh) 外带型可容纳茶具的茶几池组
KR102074054B1 (ko) 다중 적층이 가능한 냄비
ES1065717U (es) Envase plegable para uso domestic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6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08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614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2112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