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2665A -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82665A KR20220082665A KR1020200172764A KR20200172764A KR20220082665A KR 20220082665 A KR20220082665 A KR 20220082665A KR 1020200172764 A KR1020200172764 A KR 1020200172764A KR 20200172764 A KR20200172764 A KR 20200172764A KR 20220082665 A KR20220082665 A KR 2022008266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device
- user terminal
- frequency band
- noise
- noise sig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2—Speed or phase control by the received code signals, the signals containing no special synchronisation information
- H04L7/027—Speed or phase control by the received code signals, the signals containing no special synchronisation information extracting the synchronising or clock signal from the received signal spectrum, e.g. by using a resonant or bandpass circui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828—Arrangements for spectral shap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signals with specified spectral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개시의 전자 장치는 통신 인터페이스, 전자파 노이즈 신호를 검출하는 노이즈 센서, 메모리 및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동기화 요청 신호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면, 노이즈 센서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를 획득하고, 획득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의 주파수 대역 중 피크 노이즈를 포함하는 제1 주파수 대역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1 식별 정보로서 메모리에 저장하고,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와의 동기화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파 노이즈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점차 다양한 종류의 전자 장치가 널리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한편, 전자 장치가 동작할 때, 전자 장치 내에 포함된 각종 전장품에서는 전자파 노이즈가 발생될 수 있고, 발생된 전자파 노이즈는 서로 전자파 간섭(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EMI)을 일으켜 전자 장치의 오작동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전자 장치에서 발생된 전자파 노이즈는 인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전자 장치의 오동작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가 다른 전자 장치의 오동작을 유발하거나 사용자의 신체에 유해를 가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모든 전자 장치에서 EMI를 일으킬 수 있는 전자파 노이즈 방출량을 엄격히 규제하고 있다.
다양한 종류의 전자 장치의 개발자들은 전자 장치에서 방출될 수 있는 전자파 노이즈를 저감하기 위해 다양한 저감 장치를 연구 및 개발하고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 단말 장치와 동기화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인터페이스, 전자파 노이즈 신호를 검출하는 노이즈 센서, 메모리 및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동기화 요청 신호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노이즈 센서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의 주파수 대역 중 피크 노이즈(peak noise)를 포함하는 제1 주파수 대역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1 식별 정보로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와의 동기화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동기화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 후, 상기 노이즈 센서를 통해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 중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피크 노이즈를 포함하는 전자파 노이즈 신호에 대응되는 단말 장치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 식별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유형에 따른 전자파 노이즈 신호의 특성과 관련된 데이터 베이스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유형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유형 중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유형에 대응되는 유형의 사용자 단말 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식별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유형에 대응되는 유형의 사용자 단말 장치 중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피크 노이즈를 포함하는 전자파 노이즈 신호에 대응되는 단말 장치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제1 식별 정보에 매칭된 제1 동작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 연결되면,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동작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처리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에 포함된 피크 노이즈를 분산시키는 확산 스펙트럼 클럭(Spread Spectrum Clock) 발생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와의 동기화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에게 상기 동기화 요청에 대응되는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에게 상기 동기화 요청에 대응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동안, 상기 전자파 노이즈 신호의 주파수 대역 중 제2 주파수 대역에 피크 노이즈가 생성되도록 상기 확산 스펙트럼 클럭 발생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 생성된 피크 노이즈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와 동기화되면,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 피크 노이즈가 생성되지 않도록 상기 확산 스펙트럼 클럭 발생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 피크 노이즈가 생성되도록 상기 확산 스펙트럼 클럭 발생 모듈 중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로, 전자파 노이즈 신호를 검출하는 노이즈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동기화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노이즈 센서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의 주파수 대역 중 피크 노이즈를 포함하는 제1 주파수 대역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1 식별 정보로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와의 동기화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와 동기화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 후, 상기 노이즈 센서를 통해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 중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피크 노이즈를 포함하는 전자파 노이즈 신호에 대응되는 단말 장치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유형에 따른 전자파 노이즈 신호의 특성과 관련된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유형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유형 중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유형에 대응되는 유형의 사용자 단말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식별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유형에 대응되는 유형의 사용자 단말 장치 중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피크 노이즈를 포함하는 전자파 노이즈 신호에 대응되는 단말 장치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 연결되면, 상기 제1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제1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동작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처리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에 포함된 피크 노이즈를 분산시키는 확산 스펙트럼 클럭 발생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방법은,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와의 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에게 상기 동기화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에게 상기 동기화 요청에 대응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동안, 상기 전자파 노이즈 신호의 주파수 대역 중 제2 주파수 대역에 피크 노이즈가 생성되도록 상기 확산 스펙트럼 클럭 발생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 생성된 피크 노이즈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와 동기화되면,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 피크 노이즈가 생성되지 않도록 상기 확산 스펙트럼 클럭 발생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파 노이즈 신호의 주파수 대역 중 제2 주파수 대역에 피크 노이즈가 생성되도록 상기 확산 스펙트럼 클럭 발생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 피크 노이즈가 생성되도록 상기 확산 스펙트럼 클럭 발생 모듈 중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회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전자 장치는 전자파 노이즈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를 효율적으로 식별하고 동기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
도 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를 식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전자파 노이즈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를 식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전자 장치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를 식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전자파 노이즈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를 식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전자 장치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덧붙여, 하기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 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사용자 단말 장치 각각은 예를 들면, 스마트 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PC, 랩탑 PC 또는 웨어러블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 및 사용자 단말 장치 각각은 예를 들면, AI 스피커, 디스플레이 장치,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 보안 컨트롤 패널, 미디어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와 사용자 단말 장치는 동일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서로 다른 장치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노이즈 센서(110), 메모리(120), 통신 인터페이스(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구성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의 적절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이 전자 장치(100)에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노이즈 센서(110)는 전자파 노이즈 신호를 검출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노이즈 센서(110)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주파수 대역 별로 전자파 노이즈 신호 세기)를 검출할 수 있다. 노이즈 센서(110)는 검출된 전자파 노이즈 신호에 대한 정보를 프로세서(140)에 전송할 수 있다.
노이즈 센서(110)는 하나일 수 있으나 2개 이상의 복수 개일 수 있다. 그리고, 노이즈 센서(110)는 전자 장치(100) 내부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나, 외부에 위치하여 전자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40)에 의해 액세스되며, 프로세서(14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메모리라는 용어는 메모리(120), 프로세서(140) 내 롬(미도시), 램(미도시) 또는 전자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미도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0)에는 디스플레이(170)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될 각종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20)는 전력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저장된 정보를 유지할 수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 저장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전력 공급이 필요한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에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의 주파수 대역 중 피크 노이즈가 포함된 주파수 대역이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로서 저장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 중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를 식별할 수 있게 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 중 149~151MHz 및 449~451MHz 주파수 대역에 피크 노이즈가 포함된 경우, 메모리(120)에는 149~151MHz 및 449~451MHz 주파수 대역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로서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120)에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유형에 따른 전자파 노이즈 신호의 특성과 관련된 데이터 베이스가 저장될 수 있다. 유형이 동일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 간의 특성(예를 들어, 전자파 노이즈 신호 방사 성향, 주파수 대비 신호의 세기 파형 등)은 동일하거나 임계 범위 이내의 오차가 존재할 수 있다. 각 사용자 단말 장치 유형 별로 전자파 노이즈 신호의 특성은 다양한 데이터 표현 방식(예를 들어,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으로 수집되어 메모리(120)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120)에는 식별 정보에 매칭된 동작이 저장될 수 있다.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동작은 프로세서(140)가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사용자 단말 장치를 식별할 때 수행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에는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제1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제1 동작이 저장될 수 있다.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동작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거나 통신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동작과 관련된 실시예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30)은 회로를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 장치 또는 그 외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30)가 사용자 단말 장치 또는 그 외의 외부 장치와 통신 연결되는 것은 제3 기기(예로, 중계기, 허브, 엑세스 포인트, 서버 또는 게이트웨이 등)를 거쳐서 통신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 또는 그 외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통신 인터페이스(130)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5G(5th Generation), LTE,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셀룰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무선 통신 모듈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전력(BLE), 지그비(Zigbee), 라디오 프리퀀시(RF), 보디 에어리어 네트워크(BAN) 또는 적외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통신 인터페이스(130)는 유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동기화 요청 신호 또는 페어링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통신 인터페이스(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사용자 단말 장치 상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메모리(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기능 및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동기화 요청 신호가 통신 인터페이스(130)을 통해 수신되면, 노이즈 센서(110)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전자파 노이즈 신호는 제1 사용자 단말 장치 상에서 전류가 급격히 변화하거나 스위칭 소자를 사용함에 따라 발생되는 노이즈 신호를 의미한다. 그리고, 동기화 요청 신호는 전자파 노이즈 신호에 기초하여 양 장치 간에 페어링(pairing) 또는 동기화 동작을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페어링 또는 동기화 동작은 전자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 장치 간에 무선 통신 연결을 수행하기 위해 수행되는 동작이다. 즉, 페어링 또는 동기화 동작은 전자 장치(100)가 사용자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를 등록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프로세서(140)는 노이즈 센서(110)를 통해 획득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에 기초하여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40)는 x 축은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고, y 축은 전자파 노이즈 신호의 전계 강도(예로, 단위는 db(uV/m))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프로세서(140)는 x 축 및 y 축 상에 다른 물리량이 대입된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으며, x 축 및 y 축에 대입될 물리량을 사용자 명령에 의해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프로세서(140)는 생성된 그래프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생성된 그래프가 포함된 UI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7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40)는 생성된 그래프가 포함된 UI를 생성할 수 있게 하는 신호를 입출력 인터페이스(160)를 통해 외부에 연결된 디스플레이(17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60)와 연결된 디스플레이(170)는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그래프가 포함된 UI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획득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의 주파수 대역 중 피크 노이즈(peak noise)가 포함된 제1 주파수 대역을 검출할 수 있다. 피크 노이즈는 전자파 노이즈 신호의 전체 주파수 대역 중 특정 대역 상에서 다른 대역의 노이즈처럼 분산되지 않고 큰 진폭을 가지는 노이즈를 의미한다.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는, 동기화 신호 요청을 전자 장치(100)에 전송하는 동안,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 중 제1 주파수 대역에 피크 노이즈가 발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의 주파수 대역 중 피크 노이즈가 발생된 대역이 있는 경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는 다른 장치와 동기화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장치임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는 제1 주파수 대역 상에 피크 노이즈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주기적으로 발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방출된 전자파 노이즈 신호의 세기가 기정의된 EMI 규격 라인(200)을 초과하는지 여부는 준 첨두치(Quasi-Peak) 값을 기준으로 판단된다. 순간적으로 기설정된 짧은 시간 동안 발생되는 피크 노이즈는 준 첨두치 값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피크 노이즈 신호 발생에 의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 신호의 세기가 EMI 규격 라인(200) 초과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 노이즈 신호 중 특정 주파수 대역에 피크 노이즈를 생성하는 실시예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로, 도 2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40)는 획득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 중 특정 대역(예로, 150MHz) 상에서 분산되지 않고 큰 진폭을 가지는 피크 노이즈(210)를 검출할 수 있다. 도 2b에는 전체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의 대역에서 피크 노이즈가 발생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2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피크 노이즈가 발생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피크 노이즈가 포함된 제1 주파수 대역을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1 식별 정보로서 메모리(120)에 저장하고,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와 동기화 동작 또는 페어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와 동기화 동작 또는 페어링 동작을 수행하면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유형, 맥 어드레스(Mac address), 제1 사용자 단말 장치 상에 저장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 등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120)에 저장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와 동기화 동작이 수행된 후, 프로세서(140)는 노이즈 센서(110)를 통해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기설정된 거리는 노이즈 센서(110)의 성능 등에 따라 연구 또는 실험에 의해 도출된 값일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제1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 중 제1 주파수 대역에서 피크 노이즈가 포함된 전자파 노이즈 신호를 방출하는 장치를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 식별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에 포함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유형에 대응되는 전자파 노이즈 신호 특성을 이용하여,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유형을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유형 중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유형과 동일한 유형의 사용자 단말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제1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식별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유형과 동일한 유형의 사용자 단말 장치 중 제1 주파수 대역에 피크 노이즈가 포함된 전자파 노이즈 신호에 대응되는 단말 장치를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식별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 연결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와 제1 사용자 단말 장치가 한 번 제1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동기화되면, 프로세서(140)는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와 제1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제1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 연결되면, 제1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제1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제1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제1 동작에 대한 정보는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통신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40)는 제1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제1 동작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동작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처리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제1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 연결되면, 제1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제1 동작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 상에서 출력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오디오 컨텐츠 또는 영상 컨텐츠 등)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처리하고, 처리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통신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수신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에에 불과하며 입출력 인터페이스(160)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전자 장치(100)가 스마트 무드(mood) 등으로 구현되고 제1 동작이 무드 등에 포함된 LED 등을 턴 온(ON)하는 동작인 경우를 가정한다. 프로세서(140)는, 제1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 연결되면, 제1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제1 동작에 따라 LED 등을 턴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가 다른 사용자 단말 장치로 동기화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자 할 때, 프로세서(140)는 전자 장치(100)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의 주파수 대역 중 특정 영역에 피크 노이즈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전자 장치(100)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에 포함된 피크 노이즈를 분산시키는 확산 스펙트럼 클럭 발생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확산 스펙트럼 클럭 발생 모듈은 전자파 노이즈 신호에서 생성되는 피크 노이즈를 분산시킬 수 있는 회로가 포함된 하드웨어 모듈을 의미한다.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와의 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프로세서(140)는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에게 동기화 요청에 대응되는 신호를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는 전자 장치(100)와 기설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파 노이즈 신호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와 동기화 동작을 수행하라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프로세서(140)는 기설정된 거리 내에서 전자파 노이즈 신호를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UI(User interface)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70)를 제어할 수 있다. UI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 중 제2 사용자 단말 장치가 선택되면, 프로세서(140)는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에게 동기화 요청에 대응되는 신호를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에게 동기화 요청에 대응되는 신호를 전송하는 동안, 프로세서(140)는 전자파 노이즈 신호의 주파수 대역 중 제2 주파수 대역에 피크 노이즈가 생성되도록 확산 스펙트럼 클럭 발생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40)는 전자 장치(100)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제2 주파수 대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전자 장치(100)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주파수 대역을 제2 주파수 대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40)는 전자 장치(100)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 중 특정 대역을 제2 주파수 대역으로 설정하라는 사용자 명령을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입력 받을 수 있다.
확산 스펙트럼 클럭 발생 모듈에는 각 주파수 대역에 발생되는 피크 노이즈를 분산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 회로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제2 주파수 대역에 피크 노이즈가 생성되도록 확산 스펙트럼 클럭 발생 모듈 중 제2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49~151MHz 대역이 제2 주파수 대역으로 설정되면, 프로세서(140)는 확산 스펙트럼 클럭 발생 모듈 중 149~151MHz 대역을 제어할 수 있는 회로의 셋팅 값을 턴 오프(off)함으로써, 149~151MHz 대역에 피크 노이즈가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방식으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도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주파수 대역 중 제1 주파수 대역에 피크 노이즈가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주파수 대역에 생성된 피크 노이즈에 기초하여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와 동기화되면, 프로세서(140)는 제2 주파수 대역에 피크 노이즈가 생성되지 않도록 확산 스펙트럼 클럭 발생 모듈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확산 스펙트럼 클럭 발생 모듈 중 제2 주파수 대역을 제어할 수 있는 회로의 셋팅 값을 턴 온함으로써, 제2 주파수 대역에 피크 노이즈가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4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s)를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프로세서(140)는 인공지능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별도의 AI 전용 프로세서인 GPU(graphics-processing unit), NPU(Neural Processing Unit), VPU(Visual Processing Un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동기화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전자 장치(100)는 노이즈 센서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S310). 한편,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에 기초하여 그래프를 생성하고, 생성된 그래프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의 주파수 대역 중 피크 노이즈가 포함된 제1 주파수 대역을 검출할 수 있다(S320).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는, 동기화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때,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 중 제1 주파수 대역에서 피크 노이즈가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가 피크 노이즈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방식은 전자 장치(100)가 특정 주파수 대역에 피크 노이즈를 생성하는 방식과 동일하므로, 해당 방식은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전자 장치(100)는 피크 노이즈가 포함된 제1 주파수 대역을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1 식별 정보로서 저장하고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와의 동기화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330). 전자 장치(100)는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와의 동기화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면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한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한 정보는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유형, 맥 어드레스, 제1 사용자 단말 장치 상에 저장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와의 동기화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 이후, 전자 장치(100)는 저장된 제1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 중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를 식별하고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와 제1 사용자 단말 장치가 동기화 동작을 수행한 경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면, 제1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와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는 자동으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실시예는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가 전자파 노이즈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를 식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의 S330 이후 즉, 전자 장치(100)가 제1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와 동기화 동작을 수행한 이후의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즉, 도 4는 전자 장치와 동기화 된 후, 사용자 단말 장치가 기설정된 거리 밖으로 이동되어 제1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연결된 통신이 끊어지고, 다시 전자 장치(100)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로 이동된 경우를 가정한다.
전자 장치(100)는 노이즈 센서를 통해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S410).
전자 장치(100)는 제1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 중 제1 주파수 대역에 피크 노이즈가 포함된 전자파 노이즈 신호에 대응되는 단말 장치를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 식별할 수 있다(S420).
일 실시예로, 전자 장치(100)는, 데이터 베이스에 포함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유형에 대응되는 전자파 노이즈 신호 특성을 이용하여,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유형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베이스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유형에 따라 방출되는 전자파 노이즈 신호의 특성과 관련된 데이터가 수집된 데이터 베이스를 의미한다.
전자 장치(100)는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유형 중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유형에 대응되는 유형의 사용자 단말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와 동기화를 수행하면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유형을 수신하여 저장하였으므로, 전자 장치(100)는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유형 중 저장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유형과 동일한 유형의 사용자 단말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식별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유형에 대응되는 유형의 사용자 단말 장치 중 제1 주파수 대역에 피크 노이즈가 포함된 전자파 노이즈 신호에 대응되는 단말 장치를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식별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S430). 즉, 전자 장치(100)와 제1 사용자 단말 장치가 한 번 동기화 된 경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제1 사용자 단말 장치가 존재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 연결되면, 제1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제1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단말 장치가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는 자동으로 제1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제1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제1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제1 동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자 장치(100)는 제1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제1 동작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가 전자 장치(100)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전자 장치(100)는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와의 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S510). 여기서, 제2 사용자 단말 장치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파 노이즈 신호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와 동기화 동작을 수행하라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전자 장치(100)는 기설정된 거리 내에서 전자파 노이즈 신호를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UI를 표시할 수 있다. UI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 중 제2 사용자 단말 장치가 선택되면, 전자 장치(100)는 선택된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에게 동기화 요청에 대응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에게 동기화 요청에 대응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520).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에게 동기화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동안, 전자 장치(100)는 전자파 노이즈 신호의 주파수 대역 중 제2 주파수 대역에 피크 노이즈가 생성되도록 확산 스펙트럼 클럭 발생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S530).
한편,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제2 주파수 대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제2 주파수 대역에 피크 노이즈가 생성되도록 확산 스펙트럼 클럭 발생 모듈 중 제2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확산 스펙트럼 클럭 발생 모듈 중 제2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회로의 셋팅 값을 턴 오프할 수 있다.
제2 주파수 대역에 생성된 피크 노이즈에 기초하여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와 동기화되면, 전자 장치(100)는 제2 주파수 대역에 피크 노이즈가 생성되지 않도록 확산 스펙트럼 클럭 발생 모듈 제어할 수 있다(S540).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노이즈 센서(110), 메모리(120), 통신 인터페이스(130), 프로세서(140), 사용자 인터페이스(150), 입출력 인터페이스(160), 디스플레이(170), 스피커(180) 및 마이크(190)를 포함할 수 있다. 노이즈 센서(110), 메모리(120), 통신 인터페이스(130), 프로세서(140)는 도 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는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는 버튼, 터치 패드, 마우스 및 키보드와 같은 장치로 구현되거나, 상술한 디스플레이 기능 및 조작 입력 기능도 함께 수행 가능한 터치 스크린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버튼은 전자 장치(100)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임의의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터치 패드,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버튼이 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는 전자 장치(100)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의 주파수 대역 중 특정 영역을 피크 노이즈가 생성될 수 있는 대역으로 설정하라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는 사용자 단말 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동작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는 제1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제1 동작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60)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MHL (Mobile High-Definition Link), USB (Universal Serial Bus), DP(Display Port), 썬더볼트(Thunderbolt), VGA(Video Graphics Array)포트, RGB 포트, D-SUB(D-subminiatur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중 어느 하나의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60)는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입출력 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입출력 인터페이스(160)는 오디오 신호만을 입출력하는 포트와 비디오 신호만을 입출력하는 포트를 별개의 포트로 포함하거나,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모두 입출력하는 하나의 포트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70)는 프로세서(140)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170)는 전자 장치(100)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의 주파수 대역 중 특정 영역을 피크 노이즈가 생성될 수 있는 대역으로 설정하기 위한 UI를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17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전자파 노이즈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그래프를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1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는 사용자 단말 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동작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UI를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170)는 전자 장치(100)의 기설정된 거리 내에서 전자파 노이즈 신호를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UI를 표시할 수 있다. UI를 통해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가 선택되면, 프로세서(140)는 선택된 사용자 단말 장치에 동기화 요청 신호를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170)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7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70)내에는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70)는 터치 센서와 결합된 터치 스크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스피커(180)는 오디오 처리부(미도시)에 의해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과 같은 다양한 처리 작업이 수행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스피커(18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60)에서 처리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스피커(180)는 다른 사용자 단말 장치와 동기화되었다는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180)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마이크(190)는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다. 마이크(190)는 전자 장치(1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에 구비되어 전자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마이크(190)는 전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는 리모컨에 구비될 수 있다. 리모컨에 구비된 마이크(190)는, 사용자로부터 음성 신호(예로, 아날로그 음성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음성 신호를 디지털화(digitization)하고, 디지털화된 신호를 무선 통신 모듈(예를 들어, 블루투스 모듈 또는 Wi-Fi 모듈 등)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컨에 구비된 마이크(190)에 전자 장치(1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이 포함된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면, 리모컨은 명령이 포함된 사용자 음성을 전자 장치(100)에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디지털화하고, 디지털화된 사용자 음성에 대해 자연어 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하여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명령을 인식하고, 인식된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리모컨(190)은 명령이 포함된 사용자 음성에 대해 자연어 처리를 수행하여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로, 전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는 리모컨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 장치 상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리모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이 포함된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는 입력된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전자 장치에 설치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전자 장치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또는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만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에 구비된 임베디드 서버, 또는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개시의 일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는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예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 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노이즈 센서
120: 메모리
130: 통신 인터페이스 140: 프로세서
130: 통신 인터페이스 140: 프로세서
Claims (17)
- 전자 장치에 있어서,
통신 인터페이스;
전자파 노이즈 신호를 검출하는 노이즈 센서;
메모리; 및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동기화 요청 신호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노이즈 센서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의 주파수 대역 중 피크 노이즈(peak noise)를 포함하는 제1 주파수 대역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1 식별 정보로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와의 동기화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동기화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 후, 상기 노이즈 센서를 통해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 중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피크 노이즈를 포함하는 전자파 노이즈 신호에 대응되는 단말 장치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유형에 따른 전자파 노이즈 신호의 특성과 관련된 데이터 베이스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유형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유형 중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유형에 대응되는 유형의 사용자 단말 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식별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유형에 대응되는 유형의 사용자 단말 장치 중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피크 노이즈를 포함하는 전자파 노이즈 신호에 대응되는 단말 장치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 식별하는 전자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제1 식별 정보에 매칭된 제1 동작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 연결되면, 상기 제1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처리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에 포함된 피크 노이즈를 분산시키는 확산 스펙트럼 클럭(Spread Spectrum Clock) 발생 모듈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와의 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에게 상기 동기화 요청에 대응되는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에게 상기 동기화 요청에 대응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동안, 상기 전자파 노이즈 신호의 주파수 대역 중 제2 주파수 대역에 피크 노이즈가 생성되도록 상기 확산 스펙트럼 클럭 발생 모듈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 생성된 피크 노이즈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와 동기화되면,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 피크 노이즈가 생성되지 않도록 상기 확산 스펙트럼 클럭 발생 모듈을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 피크 노이즈가 생성되도록 상기 확산 스펙트럼 클럭 발생 모듈 중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회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 전자파 노이즈 신호를 검출하는 노이즈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동기화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노이즈 센서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의 주파수 대역 중 피크 노이즈를 포함하는 제1 주파수 대역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1 식별 정보로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와의 동기화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와 동기화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 후, 상기 노이즈 센서를 통해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 중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피크 노이즈를 포함하는 전자파 노이즈 신호에 대응되는 단말 장치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유형에 따른 전자파 노이즈 신호의 특성과 관련된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유형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유형 중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유형에 대응되는 유형의 사용자 단말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식별된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유형에 대응되는 유형의 사용자 단말 장치 중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피크 노이즈를 포함하는 전자파 노이즈 신호에 대응되는 단말 장치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 연결되면, 상기 제1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제1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처리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에 포함된 피크 노이즈를 분산시키는 확산 스펙트럼 클럭 발생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와의 동기화를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에게 상기 동기화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에게 상기 동기화 요청에 대응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동안, 상기 전자파 노이즈 신호의 주파수 대역 중 제2 주파수 대역에 피크 노이즈가 생성되도록 상기 확산 스펙트럼 클럭 발생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 생성된 피크 노이즈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장치와 동기화되면,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 피크 노이즈가 생성되지 않도록 상기 확산 스펙트럼 클럭 발생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노이즈 신호의 주파수 대역 중 제2 주파수 대역에 피크 노이즈가 생성되도록 상기 확산 스펙트럼 클럭 발생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전자파 노이즈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 피크 노이즈가 생성되도록 상기 확산 스펙트럼 클럭 발생 모듈 중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회로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72764A KR20220082665A (ko) | 2020-12-10 | 2020-12-10 |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PCT/KR2021/014536 WO2022124560A1 (ko) | 2020-12-10 | 2021-10-19 |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72764A KR20220082665A (ko) | 2020-12-10 | 2020-12-10 |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82665A true KR20220082665A (ko) | 2022-06-17 |
Family
ID=81973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72764A Pending KR20220082665A (ko) | 2020-12-10 | 2020-12-10 |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82665A (ko) |
WO (1) | WO2022124560A1 (ko)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783260B2 (en) * | 2006-04-27 | 2010-08-24 | Crestcom,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ly controlling signals |
JP2013145999A (ja) * | 2012-01-16 | 2013-07-25 | Renesas Electronics Corp | クロック制御回路、復調装置及びスペクトラム拡散方法 |
JP6067867B2 (ja) * | 2012-10-15 | 2017-01-25 | イカノス・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Ikanos Communications,Inc. | 通信システムに影響する雑音事象と他の事象とを検出し、分析する方法および装置 |
KR101659964B1 (ko) * | 2015-01-20 | 2016-09-27 | 오학서 | 다중 주파수 대역을 이용해 노이즈 간섭을 회피하는 무선 통신 방법 |
CN113608174A (zh) * | 2015-04-20 | 2021-11-05 | 瑞思迈传感器技术有限公司 | 多传感器射频检测 |
-
2020
- 2020-12-10 KR KR1020200172764A patent/KR20220082665A/ko active Pending
-
2021
- 2021-10-19 WO PCT/KR2021/014536 patent/WO2022124560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2124560A1 (ko) | 2022-06-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863483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electronic device in a communication system | |
KR102262086B1 (ko) |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 |
KR20160046426A (ko) | 전자 장치 | |
US11972762B2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20150099280A (ko) | 영상 처리 방법 및 전자 장치 | |
EP2961197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malfunction in an electronic device | |
US11589222B2 (en) | Electronic apparatus, user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apparatus and the user terminal | |
KR102143943B1 (ko)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US9924299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electronic device | |
KR20220080270A (ko)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 |
KR102581146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KR20200078184A (ko)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EP3677991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ition from low power always listening mode to high power speech recognition mode | |
US11710498B2 (en) |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KR20150142476A (ko) | 전자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 |
KR20220082665A (ko) |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
KR20150081761A (ko) | 화면 출력 조절 방법 및 장치 | |
US12114039B2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EP4343758A1 (en) |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US20240161752A1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US11575980B2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US20250210022A1 (en) |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10832566B2 (en) | Remote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system | |
KR102582332B1 (ko) | 전자 장치, 이의 모바일 장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 |
US20230180001A1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1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