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1072A - Service zone based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using location information and service zone based social network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ervice zone based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using location information and service zone based social network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81072A KR20220081072A KR1020200170521A KR20200170521A KR20220081072A KR 20220081072 A KR20220081072 A KR 20220081072A KR 1020200170521 A KR1020200170521 A KR 1020200170521A KR 20200170521 A KR20200170521 A KR 20200170521A KR 20220081072 A KR20220081072 A KR 2022008107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rvice
- service zone
- social network
- zone
- location inform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68—Marker, boundary, call-sign, or like beacons transmitting signals not carrying directional information
-
- G06Q50/30—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3—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indoor environments, e.g. building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GPS signal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에 따른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서비스 존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은, 실내 위치 정보 및 실외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존을 설정하고, 서비스 존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각각의 서비스 존 별로 독립적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및 사용자의 현재 위치 또는 사용자 단말이 접속한 비콘에 접속 가능한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존은, 상기 비콘에 의하여 커버되는 실내의 적어도 일부 영역으로 설정되는 실내 서비스 존 및 어느 핫 플레이스 내에 존재하며 소정의 반경을 가지는 가상의 공간으로 설정되는 실외 서비스 존을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비콘의 식별 정보를 제공하면 상기 비콘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실내 서비스 존에 상기 사용자 단말을 연관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비콘의 식별정보 없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치정보를 제공하면 해당 GPS 위치에 대응되는 실외 서비스 존을 검색하고, 대응되는 실외 서비스 존에 상기 사용자 단말을 연관할 수 있다.A service zone-based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using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ets a service zone that can provide a social network service using indoor location information and outdoor location information, and is located in the service zone and a service server that independently provides a social network service for each service zone to a user, and a user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user's current location or a beacon accessed by the user terminal. The service zone includes an indoor service zone set as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room covered by the beacon and an outdoor service zone set as a virtual space existing in a certain hot place and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The service server, when the user terminal provid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eacon, associates the user terminal with the indoor service zon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eacon, and withou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eacon in the user terminal,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If the loc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an outdoor service zon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GPS location may be searched, and the user terminal may be associated with the corresponding outdoor service zone.
Description
본 발명은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서비스 존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ice zone-based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using location information and a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IT 기술 및 무선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환경에서 IT 기반의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various IT-based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in various environments.
이러한 IT 기반의 기술로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개발되어 다양한 소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As such an IT-based technology, social network services have been developed to provide various social services.
종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온라인 기반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위치를 연계하는 기술에 대한 개발들이 이루어지고 있다.The conventional social network service is implemented on an online basis, and recently, a technology for linking a social network service and a location has been developed.
종래 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0-2012-0087791호가 있으며, 이러한 종래 기술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소셜 네트워크에 자동으로 포스팅 하는 것에 관한 발명이다.As a prior art, there is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0-2012-0087791, which is an invention related to automatically posting information about a user's current location on a social network.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방식은, 위치 정보를 단순히 소셜 네트워크 메시지와 연계하거나, 또는 위치와 시간을 포스팅 하는 것에 불과하였다.However, in this conventional method, location information is simply associated with a social network message, or location and time are only posted.
반면, 사용자들의 니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다양한 분화와 구체화를 요구하고 있으며, 특히 위치 정보를 활용한 보다 특색있고 개인적인 서비스에 대한 니즈가 커지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needs of users require various differentiation and refinement of social network services, and in particular, the need for more distinctive and personal services utilizing location information is growing.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실외 위치 정보와 실내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존을 구성하고, 각 서비스 존에서 해당 서비스 존 내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서로를 인지할 수 있는 서비스 존을 대상으로 맞춤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서비스 존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One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 service zone is configured using outdoor location information and indoor location information, and in each service zone, a social network targeting users within the corresponding service zone is provided. To provide a service zone-based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using location information that can provide a customized social network service to a service zone where users can recognize each other by providing a service, and a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각 서비스 존 별로, 서비스 존 내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미팅 매칭, 개인 및 단체 채팅, 게시판 서비스 등을 제공함으로써, 오프라인과 온라인이 융합된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서비스 존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one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each service zone, by providing meeting matching, individual and group chatting, bulletin board service, etc. for users in the service zone, offline and online fused O2O (Online To Offline) service To provide a service zone-based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using location information that can provide
또한,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개인의 소셜 서비스 이력과 서비스 존의 소셜 서비스 성향을 분석하여, 개인의 소셜 서비스 성향에 따라 개인에게 적합한 서비스 존을 추천할 수 있는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서비스 존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one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a service zone using location information that can recommend a service zone suitable for an individual according to an individual's social service tendency by analyzing an individual's social service history and the social service tendency of the service zone. To provide a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연동하여 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서로 연관이 있는 사용자들이 동일한 서비스 존에 들어오면 이를 알려줌으로써, 사용자에게 통합적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서비스 존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grated social network service to users by notifying users who are related to each other in other social network services when they enter the same service zone in conjunction with other social network services. To provide a service zone-based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using location information and a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The above objects and various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서비스 존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을 제안한다.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서비스 존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은, 실내 위치 정보 및 실외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존을 설정하고, 서비스 존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각각의 서비스 존 별로 독립적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및 사용자의 현재 위치 또는 사용자 단말이 접속한 비콘에 접속 가능한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존은, 상기 비콘에 의하여 커버되는 실내의 적어도 일부 영역으로 설정되는 실내 서비스 존 및 어느 핫 플레이스 내에 존재하며 소정의 반경을 가지는 가상의 공간으로 설정되는 실외 서비스 존을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비콘의 식별 정보를 제공하면 상기 비콘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실내 서비스 존에 상기 사용자 단말을 연관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비콘의 식별정보 없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치정보를 제공하면 해당 GPS 위치에 대응되는 실외 서비스 존을 검색하고, 대응되는 실외 서비스 존에 상기 사용자 단말을 연관할 수 있다.One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ervice zone-based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using location information. The service zone-based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sets a service zone that can provide a social network service using indoor location information and outdoor location information, and provides each service zone for users located in the service zone. A service server that independently provides a social network service for each service zone and a user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current location of a user or a beacon accessed by the user terminal are included. The service zone includes an indoor service zone set as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room covered by the beacon and an outdoor service zone set as a virtual space existing in a certain hot place and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The service server, when the user terminal provid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eacon, associates the user terminal with the indoor service zon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eacon, and withou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eacon in the user terminal,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If the loc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an outdoor service zon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GPS location may be searched, and the user terminal may be associated with the corresponding outdoor service zon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비콘의 식별 정보 또는 상기 GPS 위치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비콘의 식별 정보 및 상기 GPS 위치정보를 기 저장된 서비스 존의 위치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어느 서비스 존 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서비스 존 확인부 및 각각의 서비스 존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을 해당 서비스 존을 기준으로 연관하고, 각 서비스 존에 대하여 개별적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설정 권한을 제공하는 소셜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ervice server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eacon or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compa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eacon and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with location information of a pre-stored service zone, and compares the A service zone check unit that determines in which service zone a user terminal exists and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located in each service zone are associated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corresponding service zone, and the right to set individual social network services for each service zone It may include a social service provider that provides.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각 사용자에 대하여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선호도를 설정하고, 각 서비스 존에 대하여 기 제공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력으로부터 각 서비스 존의 소셜 네트워크 제공 선호도를 설정하며, 사용자의 선호도와 관련성이 있는 소셜 네트워크 제공 선호도를 가지는 서비스 존을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개인화 서비스 제공부를 더 포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rvice server sets the user's social network service preference for each user, and sets the social network provision preference of each service zone from the history of previously provided social network services for each service zone, , a personalized service providing unit that selects a service zone having a social network provision preference related to the user's preference and recommends it to the user may be further includ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관리자 단말로부터 비콘의 식별 정보를 제공받아 실내 서비스 존을 설정하고, 설정된 실내 서비스 존에 대한 관리 권한을 상기 관리자 단말에 부여하는 서비스 존 설정부를 더 포함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ervice server may further include a service zone sett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beacon from a manager terminal to set an indoor service zone, and to grant a management right for the set indoor service zone to the manager terminal hav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비스 존 확인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GPS 위치정보를 제공받는 GPS 확인 모듈,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비콘의 식별 정보를 제공받는 비콘 확인 모듈 및 비콘의 식별 정보의 우선 순위를 GPS 위치정보의 우선순위 보다 높게 설정하고, 상기 비콘의 식별 정보 및 상기 GPS 위치정보를 기 저장된 서비스 존의 위치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 존 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서비스 존 확인모듈을 포함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rvice zone confirmation unit, the GPS confirmation module receiving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the beacon confirmation module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eacon from the user terminal, and the priority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eacon GPS location It may include a service zone confirmation module that sets higher than the priority of information and determines whether the user terminal exists in the service zone by comparing the beac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with pre-stor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rvice zone. .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셜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서비스 존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미팅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팅 매칭 모듈, 상기 서비스 존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개인 또는 단체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모듈 및 상기 서비스 존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게시판 서비스를 제공하는게시판 모듈을 포함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ocial service providing unit, a meeting matching module for providing a meeting matching service to a user located in the service zone, a chat providing individual or group chat service to a user located in the service zone It may include a module and a bulletin board module that provides a bulletin board service to users located in the service zon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셜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서비스 존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간의 친구 설정 기능을 제공하는 친구설정 모듈 및 친구 관계인 사용자들이 동일한 서비스 존에 있는 경우 친구로 설정된 사용자들에게 친구가 입장하였음을 알리는 친구 알림 모듈을 더 포함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ocial service providing unit, a friend setting module that provides a friend setting function between users located in the service zone, and friends who are users in the same service zone, to notify users who are set as friends that a friend has entered the service zone. The notification may further include a friend notification module.
본 발명의 다른 일 기술적 측면은 실외 및 실내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서비스 존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실외 및 실내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서비스 존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에 서비스 존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에서 수행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실내 위치 정보 및 실외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존을 설정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치정보 또는 비콘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서비스 존에 연관하는 단계 및 서비스 존에 연관된 사용자를 대상으로 각각의 서비스 존 별로 독립적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존은, 상기 비콘에 의하여 커버되는 실내의 적어도 일부 영역으로 설정되는 실내 서비스 존 및 어느 핫 플레이스 내에 존재하며 소정의 반경을 가지는 가상의 공간으로 설정되는 실외 서비스 존을 포함 할 수 있다.Another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ervice zone-based social network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outdoor and indoor location information. The service zone-based social network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 outdoor and indoor location information is a social network service providing method performed in a service server that provides a service zone-based social network service to a user terminal by interworking with a user terminal, Setting up a service zone that can provide a social network service using location information and outdoor location information, us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beacon to associate a user with the service zone and providing a social network service independently for each service zone to a user associated with the service zone. The service zone may include an indoor service zone set as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room covered by the beacon and an outdoor service zone set as a virtual space existing in a certain hot place and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를 서비스 존에 연관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비콘의 식별 정보를 제공하면 상기 비콘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실내 서비스 존에 상기 사용자 단말을 연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비콘의 식별정보 없이 상기 GPS 위치정보를 제공하면 해당 GPS 위치에 대응되는 실외 서비스 존을 검색하고, 대응되는 실외 서비스 존에 상기 사용자 단말을 연관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associating the user with the service zone, when the user terminal provi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eacon, associating the user terminal with the indoor service zon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eacon, and the user terminal If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withou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eacon, the method may include searching for an outdoor service zone corresponding to the GPS location and associating the user terminal with the corresponding outdoor service zon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존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미팅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존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개인 또는 단체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존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게시판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providing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includes providing a meeting matching service to users located in the service zone, and providing an individual or group chat service to users located in the service zone. and providing a bulletin board service to users located in the service zon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존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간의 친구 설정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 및 친구 관계인 사용자들이 동일한 서비스 존에 있는 경우 친구로 설정된 사용자들에게 친구가 입장하였음을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providing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includes providing a friend setting function between users located in the service zone, and when users who are friends are in the same service zone, a friend enters users who are set as friends. It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notifying that has been don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비스 존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은, 각 사용자에 대하여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선호도를 설정하고, 각 서비스 존에 대하여 기 제공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력으로부터 각 서비스 존의 소셜 네트워크 제공 선호도를 설정하며, 사용자의 선호도와 관련성이 있는 소셜 네트워크 제공 선호도를 가지는 서비스 존을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단계를 더 포함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thod for providing a social network service based on the service zone sets the user's preference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for each user, and sets the social network service preference of each service zone from the history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previously provided for each service zon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etting a social network provision preference, selecting a service zone having a social network provision preference related to the user's preference, and recommending the service zone to the user.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수단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means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do not enumerate all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derstoo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실외 위치 정보와 실내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존을 구성하고, 각 서비스 존에서 해당 서비스 존 내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서로를 인지할 수 있는 서비스 존을 대상으로 맞춤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rvice zone is configured using outdoor location information and indoor location information, and a social network service is provided in each service zone to users within the corresponding service zone, so that users can recognize each other.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customized social network service to a service zone that can be us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각 서비스 존 별로, 서비스 존 내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미팅 매칭, 개인 및 단체 채팅, 게시판 서비스 등을 제공함으로써, 오프라인과 온라인이 융합된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ach service zone, by providing meeting matching, individual and group chatting, bulletin board service, etc. for users in the service zone, offline and online convergence O2O (Online To Offline) It has the ability to provide service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개인의 소셜 서비스 이력과 서비스 존의 소셜 서비스 성향을 분석하여, 개인의 소셜 서비스 성향에 따라 개인에게 적합한 서비스 존을 추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commend a service zone suitable for an individual according to the individual's social service tendency by analyzing the individual's social service history and the social service tendency of the service zon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연동하여 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서로 연관이 있는 사용자들이 동일한 서비스 존에 들어오면 이를 알려줌으로써, 사용자에게 통합적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grated social network service can be provided to users by notifying when users who are related to each other in other social network services enter the same service zone in conjunction with other social network services. there is an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서비스 존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의 일 적용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예시적인 컴퓨팅 운영 환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서비스 존 확인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소셜 서비스 제공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개인화 서비스 제공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소셜 서비스 연동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존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 service zone-based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using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anag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computing operating environment of a servic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service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service zone check unit shown in FIG. 5 .
7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social service provider shown in FIG. 5 .
FIG. 8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ersonalization service providing unit shown in FIG. 5 .
9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a service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social service interworking unit shown in FIG. 9 .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zone-based social network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Howeve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in order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즉,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at is, the above-describ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so, as used herei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various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some of which components or some steps are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not include,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성요소 및 그의 하부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 및 그의 하부 구성요소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 등 다양한 형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각 요소들은 해당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적 구성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전자적 시스템에서 구동 가능한 소프트웨어 자체이거나 그러한 소프트웨어의 일 기능적인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전자적 구성과 그에 대응되는 구동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various components and sub-components thereof are described below in order to describe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se components and sub-components thereof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For example, each element may be implemented as an electronic configuration for performing a corresponding function, or may be software itself operable in an electronic system or implemented as a functional element of such software. Alternatively, it may be implemented with an electronic configuration and corresponding driving software.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되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Unit)", "서버(Server)" 및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각 기능은 모듈단위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및 기록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다.The various technique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with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both, where appropriate. As used herein, terms such as "Unit", "Server" and "System" likewise refer to computer-related entities, i.e. hardware,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software or It can be treated as equivalent to software at the time of execution. In addition, each function executed in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in units of modules, and may be recorded in one physical memory, or may be recorded while being dispersed between two or more memories and recording media.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순서도가 개시되고 있으나, 이는 각 단계의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반드시 순서도의 순서에 따라 각 단계가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즉, 순서도에서의 각 단계는, 서로 동시에 수행되거나, 순서도에 따른 순서대로 수행되거나, 또는 순서도에서의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도 수행될 수 있다. Although various flowcharts are disclosed to describ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f each step, and each step is not necessari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flowchart. That is, each step in the flowchart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each other, performed in an order according to the flowchart, or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opposite to the order in the flowchart.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서비스 존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a service zone-based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using location information and a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서비스 존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의 일 적용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 service zone-based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using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위치 정보를 이용한 (이하, '서비스 존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이라 칭함)은 사용자 단말(100), 관리자 단말(200) 및 서비스 서버(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a 'service zone-based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using location information includes a
서비스 서버(300)는 실내 위치 정보 및 실외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존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 실외 서비스 존(10)과 실내 서비스 존(20)이 도시되고 있다.The
서비스 서버(300)는 비콘(20)에 의하여 커버되는 실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실내 서비스 존으로 설정할 수 있다. The
또는 서비스 서버(30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을 이용하여, 어느 핫 플레이스 내에서 존재하는 반경 30m 내지 50m의 가상의 공간을 실외 서비스 존으로 설정할 수 있다. 실외 서비스 존에는 실외 서비스 존 임을 표시하는 표식이 존재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서비스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비콘의 식별 정보를 제공하면 비콘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실내 서비스 존에 사용자 단말을 연관할 수 있다. 즉, 실내 서비스 존에 해당 사용자 단말을 연관시켜, 사용자가 실내 서비스 존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받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한편, 사용자 단말(100)에서 비콘의 식별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면, 즉, 사용자 단말(100)에서 비콘의 식별정보 없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치정보를 제공하면, 서비스 서버(300)는 해당 GPS 위치에 대응되는 실외 서비스 존을 검색하고, 대응되는 실외 서비스 존에 사용자 단말을 연관할 수 있다. 즉, 실외 서비스 존에 해당 사용자 단말을 연관시켜, 사용자가 실외 서비스 존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받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이와 같이, 서비스 서버(300)는 비콘 식별정보를 우선으로 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확인하는데, 이는 사용자 단말(100)이 실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GPS 위치가 부정확하게 설정되기 때문이다.As such, the
서비스 서버(300)는 서비스 존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각 서비스 존 단위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존 내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미팅 매칭, 개인 또는 단체 채팅, 게시판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The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로 식별되며, 사용자 단말(100)을 이용하여 서비스 존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A user is identified as the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모바일 단말로서 사용자의 GPS 정보 또는 접속한 비콘 정보를 확인하여 서비스 서버(300)에 제공하고, 서비스 서버(300)와 연동하여 자신이 속한 서비스 존에서 수행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The
실내 서비스 존(20)에는 비콘(21)이 설치되고, 사용자 단말(100)은 비콘(21)에 접속하여 비콘(21)으로부터 비콘(21)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서비스 서버(300)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00)이 어느 실내 서비스 존에 있는지 알려준다.A beacon 21 is installed in the
실내 서비스 존(20)에는 관리자 단말(200)이 구비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200)은 실내 서비스 존(20)에 할당되는 단말로서,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200)를 통하여 서비스 서버(300)와 연동하여, 실내 서비스 존에 소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이하,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존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component of the service zone-based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9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가 서비스 존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사용되는 휴대용 단말로서, 다양한 휴대용 단말이 적용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2 , the
예컨대, 사용자 단말(100)은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무선 통신 장치 및 거치형 PC, 노트북과 같은 휴대용 컴퓨팅 장치를 포괄한다.For example, the
사용자 단말(100)은 통신부(110), 입출력부(120), GPS 부(130), 제어부(140) 및 사용자 어플(15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통신부(110)는 무선 네트워크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서비스 서버(300)와의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The
통신부(110)는 비콘(21)에 연결되어, 비콘(21)으로부터 비콘(21)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비콘(21)의 식별 정보는 서비스 서버(300)에 제공되어, 사용자 단말(100)이 어느 실내 서비스 존에 있는지 식별되는데 사용된다.The
입출력부(120)는 사용자에게 입력 수단 및 출력 수단을 제공하며,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경우 입출력부는 터치 스크린이 될 수 있다. The input/
GPS 부(130)는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100)의 타 구성요소들을 제어한다. The
사용자 어플(150)은 사용자 단말(100)에서 구동되어 서비스 서버(300)와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사용자 어플(150)은 제어부(140)와 연동하여 통신부(110) 및 입출력부(120)에 대한 적어도 일부 권한을 획득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The
사용자 어플(150)은 GPS 부(130)에서 획득한 위치 정보 또는 통신부(110)가 획득한 비콘 식별 정보를 서비스 서버(300)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어느 서비스 존에 있는지 알려줄 수 있다. 사용자 어플(150)은 서비스 서버(300)와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사용자 어플(150)은 다양한 프로그램 타입으로 구현 가능하다. 예컨대,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서비스 서버가 제공하는 웹 서비스에 접속하는 웹 브라우저로 구현 될 수 도 있다.The
사용자 어플(150)은 서비스 서버(300)와 연동하여 동작하므로, 서비스 서버(300)의 설명을 참조하여 이루어지는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쉽게 이해할 수 있다. Since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anag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관리자 단말(200)은 통신부(210), 입출력부(220), 제어부(230) 및 관리자 어플(24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the
통신부(210)는 무선 네트워크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서비스 서버(300)와의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The
통신부(210)는 비콘(21)과 연동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110)는 비콘(21)으로부터 비콘(21)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입출력부(220)는 사용자에게 입력 수단 및 출력 수단을 제공하며, 제어부(230)는 사용자 단말(200)의 타 구성요소들을 제어한다. The input/
관리자 어플(240)은 관리자 단말(200)에서 구동되어 서비스 서버(300)와 연동하여 서비스 존 내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제공을 제어할 수 있다. The
관리자 어플(240)은 통신부(210)를 통하여 획득한 비콘(21)의 식별 정보를 서비스 서버(300)에 제공하여, 실내 서비스 존을 설정할 수 있다.The
관리자 어플(240)은 제어부(230)와 연동하여 통신부(210) 및 입출력부(220)에 대한 적어도 일부 권한을 획득하여 서비스 존 내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이벤트 생성, 데이터 입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The
관리자 어플(240) 또한 서비스 서버(300)와 연동하여 동작하므로, 서비스 서버(300)의 설명을 참조하여 이루어지는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쉽게 이해할 수 있다. Since the
이하,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서비스 서버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ervice serve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10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예시적인 컴퓨팅 운영 환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computing operating environment of a servic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서비스 서버(300)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적합한 컴퓨팅 환경의 일반적이고 단순화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300)의 일 예로서 컴퓨팅 장치가 도시된다. 4 is intended to provide a general and simplified description of a suitable computing environment in which embodiments of the
컴퓨팅 장치는 적어도 프로세싱 유닛(303)과 시스템 메모리(30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mputing device may include at least a
컴퓨팅 장치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협조하는 복수의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의 정확한 구성 및 유형에 의존하여, 시스템 메모리(301)는 휘발성(예컨대, 램(RAM)), 비휘발성(예컨대, 롬(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301)는 플랫폼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적합한 운영 체제(302)를 포함하는데, 예컨대 마이크로소프트사로부터의 WINDOWS 운영체제와 같은 것일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301)는 프로그램 모듈, 애플리케이션 등의 같은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 A comput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ing units that cooperate in executing a program. Depending on the exact configuration and type of computing device,
컴퓨팅 장치는 자기 디스크, 광학적 디스크, 또는 테이프와 같은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 장치(30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적 저장소는 이동식 저장소 및/또는 고정식 저장소 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인스트럭션,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저장정보를 위한 임의의 방법이나 기법으로 구현되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이동식 및 고정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301), 저장소(304)는 모두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의 예시일 뿐이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램(RAM), 롬(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메모리 기법, CD-ROM, DVD 또는 다른 광학적 저장소,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다른 자기적 저장 장치, 또는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고 컴퓨팅 장치(300)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computing device may include additional
컴퓨팅 장치의 입력 장치(305), 예컨대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장치, 터치 입력 장치, 및 비교 가능한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장치(306)는, 예컨대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및 다른 유형의 출력 장치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들 장치는 본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컴퓨팅 장치는 예컨대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의 네트워크, 예컨대, 유무선 네트워크, 위성 링크, 셀룰러 링크, 근거리 네트워크, 및 비교가능한 메커니즘을 통해 장치가 다른 장치들과 통신하도록 허용하는 통신 장치(307)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장치(307)는 통신 매체의 한가지 예시이며, 통신 매체는 그 안에 컴퓨터 판독 가능 인스트럭션,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통신 매체는 유선 네트워크나 직접 유션 접속과 같은 유선 매체, 및 음향, RF, 적외선 및 다른 무선 매체와 같은 무선 매체를 포함하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omputing devices may include
서비스 서버(300)는 이러한 컴퓨팅 환경에서 구현되는 기능적 구성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서비스 서버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service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을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300)는 가입 관리부(310), 서비스 존 설정부(320), 서비스 존 확인부(330), 소셜 서비스 제공부(340), 개인화 서비스 제공부(350) 및 데이터베이스(3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가입 관리부(310)는 사용자 및 관리자의 시스템 가입을 제공할 수 있다. The
가입 관리부(310)는 관리자 어플(240)과 연동하여, 비콘 식별 정보와 매장 정보 등 기타 관리자 정보를 제공받고, 이를 서비스 존 설정부(32)에 제공하여 관리자 어플(240)이 관리하는 실내 서비스 존을 생성할 수 있다. The
일 실시예에서, 가입 관리부(310)는 사용자 단말(100) 또는 관리자 단말(200)에게 사용자 어플 또는 관리자 어플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 제공부(310)는 QR 코드와 연동되는 사용자 어플 다운로드 링크 또는 관리자 어플 다운로드 링크를 유지 및 관리하여, 링크에 접속하는 단말에 해당 어플을 제공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서비스 존 설정부(320)는 서비스 존을 설정할 수 있다. The service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존 설정부(320)는 관리자 단말(200)로부터 비콘(21)의 식별 정보를 제공받아 실내 서비스 존을 설정할 수 있다. 서비스 존 설정부(320)는 설정된 실내 서비스 존에 대한 관리자 단말(200)에 관리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service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존 설정부(320)는 어느 핫 플레이스 내에 존재하며 소정의 반경을 가지는 가상의 공간을 실외 서비스 존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실외 서비스 존의 설정은 시스템의 운영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service
서비스 존 확인부(330)는 사용자 단말(100)과 연동하여 각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service
서비스 존 확인부(33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비콘의 식별 정보 또는 GPS 위치정보를 제공받는다. 서비스 존 확인부(330)는 비콘의 식별 정보 및 GPS 위치정보를 기 저장된 서비스 존의 위치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100)이 서비스 존 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The service
소셜 서비스 제공부(340)는 서비스 존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각각의 서비스 존 별로 독립적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존 A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서비스 존 B와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예컨대, 서비스 존 A에서는 내부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미팅 매칭을, 서비스 존 B에서는 내부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단체 채팅을 각각 서비스 할 수 있다.The
소셜 서비스 제공부(340)는 각각의 서비스 존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을 해당 서비스 존을 기준으로 하여 연관하고, 각 서비스 존에 대하여 개별적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설정 권한을 제공할 수 있다. 소셜 서비스 제공부(340)는 실내 서비스 존에 대해서는 관리자 단말(200)에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설정 권한을, 실외 서비스 존에 대해서는 해당 서비스 존에 연관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에 관리자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The social
소셜 서비스 제공부(340)는 서비스 존 내에서 제공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로서, 서비스 존 내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미팅 매칭 서비스, 서비스 존 내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개인 및/또는 단체 채팅 서비스, 서비스 존 내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게시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일 실시예에서, 소셜 서비스 제공부(340)는 사용자 간의 친구 설정 기능을 제공하고, 친구 관계인 사용자들이 동일한 서비스 존에 있는 경우 친구로 설정된 사용자들에게 친구가 입장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개인화 서비스 제공부(350)는 각 사용자에 대하여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선호도를 설정하고, 설정된 선호도와 관련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주로 제공하는 서비스 존을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The personalization
예컨대, 개인화 서비스 제공부(350)는 각 사용자에 대하여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선호도를 설정하고, 각 서비스 존에 대하여 기 제공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력으로부터 각 서비스 존의 소셜 네트워크 제공 선호도를 설정하며, 사용자의 선호도와 관련성이 있는 소셜 네트워크 제공 선호도를 가지는 서비스 존을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데이터베이스(370)는 서비스 서버의 운영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유지 관리할 수 있다. The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서비스 존 확인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service zone check unit shown in FIG. 5 .
도 6을 참조하면, 서비스 존 확인부(330)는 GPS 확인모듈(321), 비콘 확인 모듈(322) 및 서비스 존 확인모듈(333)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the service
GPS 확인모듈(321)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GPS 위치정보를 제공받고, 비콘 확인 모듈(322)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비콘의 식별 정보를 제공받는다.The GPS confirmation module 321 receives GPS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서비스 존 확인모듈(333)는 비콘의 식별 정보 및 GPS 위치정보를 기 저장된 서비스 존의 위치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100)이 어느 서비스 존 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The service
서비스 존 확인모듈(333)는 비콘의 식별 정보의 우선 순위를 GPS 위치정보의 우선순위 보다 높게 설정하여 서비스 존 내에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실내에 존재하면 GPS 위치정보의 오차가 커지므로, 실내 서비스 존과 인접한 실외 서비스 존이 있는 경우, GPS 위치정보의 오차에 의하여 실내 서비스 존에 있음과 함께 실외의 서비스 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콘의 식별 정보가 있다면, 서비스 존 확인모듈(333)는 비콘의 식별 정보를 기준으로 서비스 존 내에 있는지 판단한다.The service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소셜 서비스 제공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social service provider shown in FIG. 5 .
도 7을 참조하면, 소셜 서비스 제공부(340)는 미팅 매칭 모듈(341), 채팅 모듈(342), 게시판 모듈(343), 친구설정 모듈(344), 친구 알림 모듈(345) 및 정보 알림 모듈(346)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the
미팅 매칭 모듈(341)은 서비스 존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미팅 매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존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미팅 지원자를 선출하고, 미팅 지원자들의 요구 조건을 고려하여 미팅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The
채팅 모듈(342)은 서비스 존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개인 또는 단체 채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채팅 모듈(342)은 미팅 매칭 모듈(341)에 의하여 매칭된 사용자들 간에 개인 채팅을 개설할 수 있다.The
게시판 모듈(343)은 서비스 존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게시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친구설정 모듈(344)은 서비스 존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간의 친구 설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친구 알림 모듈(345)은 친구 관계인 사용자들이 동일한 서비스 존에 있는 경우 친구로 설정된 사용자들에게 친구가 입장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 The
정보 알림 모듈(346)은 서비스 존 주변의 정보를 서비스 존 내의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예컨대, 정보 알림 모듈(346)은 서비스 존이 속한 지역에 대한 할인 정보, 상태 정보, 공공 안내 정보, 코로나 알림 정보 등의 주변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림 메시지나 공지 사항의 형태로 알려줄 수 있다.The
도 8은 도 5에 도시된 개인화 서비스 제공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FIG. 8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ersonalization service providing unit shown in FIG. 5 .
개인화 서비스 제공부(350)는 각 사용자에 대하여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선호도를 설정하고, 설정된 선호도와 관련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주로 제공하는 서비스 존을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The personalization
도 8을 참조하면, 개인화 서비스 제공부(350)는 개인 성향 분석모듈(351), 서비스 존 성향 분석모듈(352) 및 서비스 존 추천모듈(353)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 the personalized
개인 성향 분석모듈(351)은 각 사용자에 대하여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선호도를 설정할 수 있다.The personal
서비스 존 성향 분석모듈(352)은 각 서비스 존에 대하여 기 제공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력으로부터 각 서비스 존의 소셜 네트워크 제공 선호도를 설정할 수 있다.The service zone
서비스 존 추천모듈(353)은, 사용자의 선호도와 관련성이 있는 소셜 네트워크 제공 선호도를 가지는 서비스 존을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The service
예컨대, 사용자 A는 미팅 서비스를 가장 많이 참가하였고, 서비스 존 B는 미팅 서비스를 가장 자주 수행하였다면, 서비스 존 추천모듈(353)은 사용자 A의 선호도와 서비스 존 B의 제공 선호도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 A에게 서비스 존 B를 추천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user A participated in the meeting service the most and service zone B performed the meeting service most often, the service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9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a service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300)는 가입 관리부(310), 서비스 존 확인부(330), 서비스 존 설정부(320), 소셜 서비스 제공부(340), 개인화 서비스 제공부(350), 소셜 서비스 연동부(360), 데이터베이스(370) 및 결제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여기에서, 가입 관리부(310) 내지 개인화 서비스 제공부(350), 데이터베이스(370)에 대한 설명은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쉽게 이해 가능하므로, 이하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Here, the description of the
소셜 서비스 연동부(360)는 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연동 가능하다. 소셜 서비스 연동부(360)는 사용자에게 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의 연동 기능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연동을 설정하면 타 소셜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와 연관성을 가지는 다른 사용자들이 사용자와 동일한 또는 인접한 서비스 존에 있으면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The social
즉, 소셜 서비스 연동부(360)는 O2O 서비스의 일환으로서 서비스 존이라는 오프라인의 위치적 특성을 온라인에 연동하여 O2O 소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at is, the social
결제부(380)는 서비스 존 내의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결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결제부(380)의 결제 지급방식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부(380)는 QR코드나 메시지 등의 결재 요청 확인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그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 활동에 따라 결재를 수행하는 스마트 페이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통신사 결제, 타 스마트 페이 연동, 카드 결제 등 다양한 결제 수단이 적용 가능하다.The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소셜 서비스 연동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FIG.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social service interworking unit shown in FIG. 9 .
도 10을 참조하면, 소셜 서비스 연동부(360)는 SNS 연동설정 모듈(361), 사용자 연관성 설정모듈(362) 및 알림 모듈(363)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social
SNS 연동설정 모듈(361)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사용자와 사용자의 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연동할 수 있다. The SNS
사용자 연관성 설정모듈(362)은 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사용자와 연관성을 가진 다른 사용자들을 확인할 수 있다.The user
알림 모듈(363)은 소셜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와 연관성을 가지는 다른 사용자들이 사용자와 동일한 또는 인접한 서비스 존에 있으면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The
이상에서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서비스 존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In the above, various embodiments of a service zone-based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using location informa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서비스 존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zone-based social network service using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이하에서 설명할 서비스 존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기 설명한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서비스 존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을 기초로 수행되므로, 도 1 내지 도 10에서 기 설명한 내용을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The service zone-based social network service providing method,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is performed based on the service zone-based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 It can be understood more easily by referring to the descrip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존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service zone-based social network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300)는 실내 위치 정보 및 실외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존을 설정 할 수 있다(S1110).Referring to FIG. 11 , the
서비스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치정보 또는 비콘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서비스 존에 연관 할 수 있다(S1120).The
서비스 서버(300)는 서비스 존에 연관된 사용자를 대상으로 각각의 서비스 존 별로 독립적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다(S1130).The
여기에서, 서비스 존은, 비콘에 의하여 커버되는 실내의 적어도 일부 영역으로 설정되는 실내 서비스 존 및 어느 핫 플레이스 내에 존재하며 소정의 반경을 가지는 가상의 공간으로 설정되는 실외 서비스 존을 포함 할 수 있다.Here, the service zone may include an indoor service zone set as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room covered by the beacon and an outdoor service zone set as a virtual space existing in a certain hot place and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단계 S112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비콘의 식별 정보를 제공하면 비콘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실내 서비스 존에 사용자 단말(100)을 연관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100)에서 비콘의 식별정보 없이 GPS 위치정보를 제공하면, 서비스 서버(300)는 해당 GPS 위치에 대응되는 실외 서비스 존을 검색하고, 대응되는 실외 서비스 존에 사용자 단말(100)을 연관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for step S1120, the
단계 S113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서버(300)는, 서비스 존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미팅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서비스 존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개인 또는 단체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서비스 존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게시판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for step S1130, the
단계 S113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서버(300)는, 서비스 존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간의 친구 설정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 및 친구 관계인 사용자들이 동일한 서비스 존에 있는 경우 친구로 설정된 사용자들에게 친구가 입장하였음을 알리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step S1130, the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서버(300)는 서비스 존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은, 각 사용자에 대하여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선호도를 설정하고(S1441), 각 서비스 존에 대하여 기 제공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력으로부터 각 서비스 존의 소셜 네트워크 제공 선호도를 설정하며, 사용자의 선호도와 관련성이 있는 소셜 네트워크 제공 선호도를 가지는 서비스 존을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단계를 더 수행 할 수 있다(S1142).In an embodiment,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is limi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recognize that it can be easily changed and modified.
10 : 야외 서비스 존
20 : 실내 서비스 존
21 : 비콘
100 : 사용자 단말
200 : 관리자 단말
300 : 서비스 서버
110 : 통신부
120 : 입출력부
130 : GPS부
140 : 제어부
150 : 사용자 어플
210 : 통신부
220 : 입출력부
230 : 제어부
240 : 관리자 어플
301 : 시스템 메모리
302 : 운영체제
303 : 프로세싱 유닛
304 : 저장소
305 : 입력장치
306 : 출력장치
307 : 통신장치
310 : 가입 관리부
320 : 서비스 존 설정부
330 : 서비스 존 확인부
340 : 소셜 서비스 제공부
350 : 개인화 서비스 제공부
360 : 소셜 서비스 연동부
370 : 데이터베이스
380 : 결제부
331 : GPS 확인 모듈
332 : 비콘 확인 모듈
333 : 서비스 존 확인모듈
341 : 미팅 매칭 모듈
342 : 채팅 모듈
343 : 게시판 모듈
344 : 친구 설정 모듈
345 : 친구 알림 모듈
346 : 정보 알림 모듈
351 : 개인성향 분석모듈
352 : 서비스존 성향 분석모듈
361 : SNS 연동설정 모듈
362 : 사용자 연관성 설정모듈
363 : 알림모듈10: outdoor service zone 20: indoor service zone
21 : beacon
100: user terminal 200: administrator terminal
300 : service server
110: communication unit 120: input/output unit
130: GPS unit 140: control unit 150: user application
210: communication unit 220: input/output unit
230: control unit 240: manager application
301: system memory 302: operating system
303
305: input device 306: output device
307: communication device
310: subscription management unit 320: service zone setting unit
330: service zone confirmation unit 340: social service provision unit
350: personalization service providing unit 360: social service interworking unit
370: database 380: payment unit
331: GPS confirmation module 332: beacon confirmation module
333: service zone confirmation module
341: meeting matching module 342: chatting module
343: bulletin board module 344: friend setting module
345: friend notification module 346: information notification module
351: individual tendency analysis module 352: service zone tendency analysis module
361: SNS interworking setting module 362: user association setting module
363: notification module
Claims (12)
사용자의 현재 위치 또는 사용자 단말이 접속한 비콘에 접속 가능한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존은
상기 비콘에 의하여 커버되는 실내의 적어도 일부 영역으로 설정되는 실내 서비스 존; 및
어느 핫 플레이스 내에 존재하며 소정의 반경을 가지는 가상의 공간으로 설정되는 실외 서비스 존;
을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비콘의 식별 정보를 제공하면 상기 비콘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실내 서비스 존에 상기 사용자 단말을 연관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비콘의 식별정보 없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치정보를 제공하면 해당 GPS 위치에 대응되는 실외 서비스 존을 검색하고, 대응되는 실외 서비스 존에 상기 사용자 단말을 연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서비스 존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a service server that sets a service zone capable of providing a social network service using indoor location information and outdoor location information, and independently provides a social network service for each service zone to users located in the service zone; and
a user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or a beacon accessed by the user terminal;
including,
The service zone is
an indoor service zone set to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room covered by the beacon; and
an outdoor service zone that exists in a certain hot place and is set as a virtual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including,
the service server
When the user terminal provid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eacon, the user terminal is associated with the indoor service zon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eacon, and when the user terminal provides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location information withou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eacon Searching for an outdoor service zon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GPS location, and associating the user terminal with the corresponding outdoor service zone
A service zone-based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using location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비콘의 식별 정보 또는 상기 GPS 위치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비콘의 식별 정보 및 상기 GPS 위치정보를 기 저장된 서비스 존의 위치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어느 서비스 존 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서비스 존 확인부; 및
각각의 서비스 존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을 해당 서비스 존을 기준으로 연관하고, 각 서비스 존에 대하여 개별적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설정 권한을 제공하는 소셜 서비스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서비스 존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rvice server
Receives the beac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nd compares the beac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with pre-stored location information of a service zone to determine in which service zone the user terminal exists service zone confirmation unit; and
a social service providing unit for associating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located in each service zone based on the corresponding service zone, and providing an individual social network service setting authority for each service zone;
A service zone-based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using location information, comprising:
각 사용자에 대하여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선호도를 설정하고, 각 서비스 존에 대하여 기 제공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력으로부터 각 서비스 존의 소셜 네트워크 제공 선호도를 설정하며, 사용자의 선호도와 관련성이 있는 소셜 네트워크 제공 선호도를 가지는 서비스 존을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개인화 서비스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서비스 존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rvice server
The user's social network service preference is set for each user, and the social network provision preference of each service zone is set from the history of previously provided social network services for each service zone, and a social network that is related to the user's preference. a personalized service providing unit that selects a service zone having a provision preference and recommends it to a user;
Service zone-based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using location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관리자 단말로부터 비콘의 식별 정보를 제공받아 실내 서비스 존을 설정하고, 설정된 실내 서비스 존에 대한 관리 권한을 상기 관리자 단말에 부여하는 서비스 존 설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서비스 존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rvice server
a service zone sett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beacon from a manager terminal, set an indoor service zone, and grant a management right for the set indoor service zone to the manager terminal;
Service zone-based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using location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GPS 위치정보를 제공받는 GPS 확인 모듈;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비콘의 식별 정보를 제공받는 비콘 확인 모듈; 및
비콘의 식별 정보의 우선 순위를 GPS 위치정보의 우선순위 보다 높게 설정하고, 상기 비콘의 식별 정보 및 상기 GPS 위치정보를 기 저장된 서비스 존의 위치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어느 서비스 존 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서비스 존 확인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서비스 존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rvice zone check unit
a GPS confirmation module receiving GPS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 beacon confirmation module receiving beac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nd
Set the priority of the beac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higher than the priority of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and compare the beac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with the previously stor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rvice zone to determine in which service zone the user terminal exists. a service zone confirmation module for judging;
A service zone-based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using location information, comprising:
상기 서비스 존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미팅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팅 매칭 모듈;
상기 서비스 존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개인 또는 단체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모듈; 및
상기 서비스 존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게시판 서비스를 제공하는게시판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서비스 존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ocial service providing unit
a meeting matching module for providing a meeting matching service to users located in the service zone;
a chatting module for providing individual or group chatting services to users located in the service zone; and
a bulletin board module that provides a bulletin board service to users located in the service zone;
A service zone-based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using location information, comprising:
상기 서비스 존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간의 친구 설정 기능을 제공하는 친구설정 모듈; 및
친구 관계인 사용자들이 동일한 서비스 존에 있는 경우 친구로 설정된 사용자들에게 친구가 입장하였음을 알리는 친구 알림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서비스 존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ocial service providing unit
a friend setting module for providing a friend setting function between users located in the service zone; and
a friend notification module for notifying users who have been set as friends when the users who are friends are in the same service zone;
Service zone-based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using location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실내 위치 정보 및 실외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존을 설정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치정보 또는 비콘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서비스 존에 연관하는 단계; 및
서비스 존에 연관된 사용자를 대상으로 각각의 서비스 존 별로 독립적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존은
상기 비콘에 의하여 커버되는 실내의 적어도 일부 영역으로 설정되는 실내 서비스 존; 및
어느 핫 플레이스 내에 존재하며 소정의 반경을 가지는 가상의 공간으로 설정되는 실외 서비스 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서비스 존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A method of providing a social network service performed in a service server that interworks with a user terminal and provides a service zone-based social network service to the user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setting a service zone capable of providing a social network service using indoor location information and outdoor location information;
associating a user with a service zone us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beacon; and
independently providing a social network service for each service zone to a user associated with the service zone;
including,
The service zone is
an indoor service zone set to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room covered by the beacon; and
an outdoor service zone that exists in a certain hot place and is set as a virtual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A method of providing a service zone-based social network service using location information, comprising: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비콘의 식별 정보를 제공하면 상기 비콘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실내 서비스 존에 상기 사용자 단말을 연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비콘의 식별정보 없이 상기 GPS 위치정보를 제공하면 해당 GPS 위치에 대응되는 실외 서비스 존을 검색하고, 대응되는 실외 서비스 존에 상기 사용자 단말을 연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서비스 존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associating the user with a service zone comprises:
associating the user terminal with an indoor service zon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eacon when the user terminal provi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eacon; and
when the user terminal provides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withou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eacon, searching for an outdoor service zone corresponding to the GPS location, and associating the user terminal with the corresponding outdoor service zone;
A method of providing a service zone-based social network service using location information, comprising:
상기 서비스 존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미팅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존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개인 또는 단체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존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게시판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서비스 존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providing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comprises:
providing a meeting matching service to users located in the service zone;
providing an individual or group chat service to users located in the service zone; and
providing a bulletin board service to users located in the service zone;
A method of providing a service zone-based social network service using location information, comprising:
상기 서비스 존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간의 친구 설정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 및
친구 관계인 사용자들이 동일한 서비스 존에 있는 경우 친구로 설정된 사용자들에게 친구가 입장하였음을 알리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서비스 존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providing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comprises:
providing a friend setting function between users located in the service zone; and
informing users who have been set as friends that the friend has entered when the users who are friends are in the same service zone;
Service zone-based social network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location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각 사용자에 대하여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선호도를 설정하고, 각 서비스 존에 대하여 기 제공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력으로부터 각 서비스 존의 소셜 네트워크 제공 선호도를 설정하며, 사용자의 선호도와 관련성이 있는 소셜 네트워크 제공 선호도를 가지는 서비스 존을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서비스 존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ervice zone-based social network service providing method comprises:
The user's social network service preference is set for each user, and the social network provision preference of each service zone is set from the history of previously provided social network services for each service zone, and a social network that is related to the user's preference. selecting a service zone having a provision preference and recommending it to a user;
Service zone-based social network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location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70521A KR20220081072A (en) | 2020-12-08 | 2020-12-08 | Service zone based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using location information and service zone based social network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70521A KR20220081072A (en) | 2020-12-08 | 2020-12-08 | Service zone based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using location information and service zone based social network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81072A true KR20220081072A (en) | 2022-06-15 |
Family
ID=81987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70521A Ceased KR20220081072A (en) | 2020-12-08 | 2020-12-08 | Service zone based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using location information and service zone based social network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81072A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87791A (en) | 2010-12-20 | 2012-08-07 | 하르만 인터내셔날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posting user-location information to a social network |
-
2020
- 2020-12-08 KR KR1020200170521A patent/KR20220081072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87791A (en) | 2010-12-20 | 2012-08-07 | 하르만 인터내셔날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posting user-location information to a social network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948583B2 (en) | Channel based communication and transaction system | |
KR101803799B1 (en) |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with respect to job-offering and job-hunting | |
US20240406127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navigating nodes in channel based chatbots using 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 |
US20120063367A1 (en) | Crowd and profile based communication addresses | |
US20120047565A1 (en) | Proximity-based social graph creation | |
US20120150960A1 (en) | Social Networking | |
US10339584B2 (en) | Automated ranking of online service or product providers | |
US20140074610A1 (en) | Generating a point of interest profile based on third-party social comments | |
CN104871203A (en) | Network access based on social-networking information | |
KR102187546B1 (en) | Group Communic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 |
KR102615244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user's privacy control | |
He et al. | Applications of machine learn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 |
US20150071181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adapting bandwidth consumption | |
JP2023020794A (en) | Electronic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based on presence/absence of user account and method therefor | |
KR101803800B1 (en) | Computer recordable medium storing the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with respect to job-offering and job-hunting | |
KR20160086679A (en) | A dating service method based on local network | |
JP2016045927A (en) | User authentication method and user authentication system for service account, and storage medium | |
JP2020047251A (en) | Job offer job application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 |
KR20220081072A (en) | Service zone based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using location information and service zone based social network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102765285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user profile | |
Lin et al. | A scheme for stimulating message relaying cooperation | |
GB2509142A (en) | A social network system and authentication method | |
KR20030037256A (en) | Notice method for nearby acquaintance using mobilephone | |
KR102773387B1 (en) | System for providing local based community service | |
KR102242733B1 (en) | Method, server, program,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nspecting product using collective intelligen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0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304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10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