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9992A - Diffusers, blowers and dust collectors - Google Patents
Diffusers, blowers and dust collector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79992A KR20220079992A KR1020227016870A KR20227016870A KR20220079992A KR 20220079992 A KR20220079992 A KR 20220079992A KR 1020227016870 A KR1020227016870 A KR 1020227016870A KR 20227016870 A KR20227016870 A KR 20227016870A KR 20220079992 A KR20220079992 A KR 2022007999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w
- blades
- fixed
- blade
- stationar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2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36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5
- 210000001061 fore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22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1—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44—Bladed diffus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1—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7/08—Centrifugal pumps
- F04D17/16—Centrifugal pumps for displacing without appreciable compress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7/08—Centrifugal pumps
- F04D17/16—Centrifugal pumps for displacing without appreciable compression
- F04D17/165—Axial entry and discharg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6—Fan casings
- F04D29/4253—Fan casings with axial entry and discharg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1—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703—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specially for fans, e.g. fan guar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10—Stators
- F05D2240/12—Fluid guiding means, e.g. van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10—Stators
- F05D2240/12—Fluid guiding means, e.g. vanes
- F05D2240/129—Cascades, i.e. assemblies of similar profiles acting in parall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Abstract
베이스 링 부재(11)와 고정 블레이드(114) 다수 열을 포함하는 디퓨저(10)에 있어서, 각 고정 블레이드(114) 열은 베이스 링 부재(11)의 축방향을 따라 베이스 링 부재(11)의 외환벽(111) 상에 구성되며, 베이스 링 부재(11)의 둘레 방향을 따라 구성되며, 베이스 링 부재(11)의 상대적인 양측에 공기 유입측과 공기 배출측을 구성하여, 공기 유입측에서 공기 배출측을 따라, 고정 블레이드(114) 일 열의 현의 길이는 인접한 다음 고정 블레이드(114) 열의 현의 길이보다 크거나 같으며; 고정 블레이드(114)는 장착 각도를 구비하며, 공기 유입측에서 공기 배출측을 따라, 고정 블레이드(114) 일 열의 장착 각도는 인접한 다음 고정 블레이드(114) 열의 장착 각도보다 작거나 같다. 디퓨저(10) 상에 다수 고정 블레이드(114) 열을 구성하여, 디퓨저(10)를 통과하는 기류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 열의 다단 공기 흐름을 유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기류의 다단 감속 증압을 구현하여, 기류가 디퓨저(10)를 통과하는 과정에 발생하는 유동 손실을 줄여 준다.In the diffuser (10) comprising a base ring member (11) and a plurality of rows of stationary blades (114), each row of stationary blades (114) is a member of the base ring member (11)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base ring member (11). It is configured on the foreign exchange wall 111, is configur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ase ring member 11, and comprises an air inlet side and an air outlet side on the relative opposite sides of the base ring member 11, along the discharge side, the length of the chords of one row of stationary blades 114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length of the chords of the next adjacent row of stationary blades 114; The fixed blades 114 have a mounting angle, and from the air inlet side to the air outlet side, the mounting angle of one row of stationary blades 114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mounting angle of the next adjacent row of stationary blades 114 . By configuring a plurality of rows of fixed blades 114 on the diffuser 10, the airflow passing through the diffuser 10 can have the effect of inducing a multistage air flow of each row of fixed blades 114, so that the multistage deceleration and pressure of the airflow can be obtained. By implementing the, it reduces the flow loss that occurs in the process of the air flow passing through the diffuser (10).
Description
본 발명은 청소 장비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디퓨저, 송풍 장치 및 집진 장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technical field of cleaning equip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diffusers, blowers and dust collectors.
본 발명은 2020년 01월 06일자로 중국 국가지식재산권국에 제출된 출원번호가 CN202010010952.7이고, 발명 명칭이 "디퓨저, 송풍 장치 및 진공 청소기"인 발명에 대한 중국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The present invention claims the priority of the Chinese patent application for the invention with the application number CN202010010952.7 filed with the State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of China on January 06, 2020 and the invention title is "diffuser, blower and vacuum cleaner", ;
2020년 01월 06일자로 중국 국가지식재산권국에 제출된 출원번호가 CN202010010950.8이고, 발명 명칭이 "디퓨저, 팬 및 진공 청소기"인 발명에 대한 중국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Claiming the priority of the Chinese patent application for the invention with the application number CN202010010950.8, filed with the State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of China on January 06, 2020, and the invention title is "diffuser, fan and vacuum cleaner";
2020년 01월 06일자로 중국 국가지식재산권국에 제출된 출원번호가 CN202010011558.5이고, 발명 명칭이 "디퓨저, 팬 및 진공 청소기"인 발명에 대한 중국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Claiming the priority of the Chinese patent application for the invention with the application number CN202010011558.5 filed with the State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of China on January 06, 2020, and the invention title is "diffuser, fan and vacuum cleaner";
위에서 언급한 3개의 중국 특허 출원의 전부 내용은 원용의 방식으로 본 발명에 적용된다.All contents of the above-mentioned three Chinese patent applications apply to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reference.
일반적으로 집진 장비에는 송풍 장치가 구비되고, 송풍 장치 내부에 디퓨저를 구비하여, 송풍 장치를 통과하는 기류의 운동 에너지를 압력 에너지로 전환하고, 기류의 유동손실을 감소시킨다. 디퓨저 내부에 통상적으로 고정 블레이드를 구성하여, 기류의 유입을 유도하고 증압을 구현해 준다.In general, dust collecting equipment includes a blower and a diffuser inside the blower to convert the kinetic energy of the airflow passing through the blower into pressure energy and reduce the flow loss of the airflow. A fixed blade is usually configured inside the diffuser to induce the inflow of airflow and to increase the pressure.
단, 기존의 고정 블레이드에 대한 구성 방식은 기류가 디퓨저를 통과할 시에 운동 에너지와 압력 에너지 사이의 전환을 충분히 구현할 수 없어, 기류가 디퓨저를 통과하면서 유동 손실이 비교적 크다.However,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method for the fixed blade cannot sufficiently implement the conversion between kinetic energy and pressure energy when the air flow passes through the diffuser, so the flow loss is relatively large while the air flow passes through the diffuser.
본 실시예의 목적은 디퓨저를 제공하여 기류가 디퓨저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기류 유동 손실이 비교적 큰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o provide a diffuser to solve a technical problem in which an airflow flow loss that occurs when an airflow passes through the diffuser is relatively large.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기술방안을 채택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the following technical solutions:
첫번째 측면에서: 베이스 링 부재 및 다수의 고정 블레이드 열을 포함하는 디퓨저가 제공되며, 각 열에 있는 상기 고정 블레이드는 순차적으로 상기 베이스 링 부재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 링 부재의 외환벽 상에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 링 부재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베이스 링 부재는 해당 축 방향을 따라 베이스 링 부재의 상대적인 양측에 각각 공기 유입측과 배출측을 구성하여, 상기 유입측에서 상기 배출측까지, 이 중에서, 상기 고정 블레이드 일 열의 현의 길이는 인접한 상기 고정 블레이드 다음 열의 현 길이보다 크거나 같다;In a first aspect: there is provided a diffuser comprising a base ring member and a plurality of stationary blade rows, wherein the stationary blades in each row are sequentially configured along an axial direction of the base ring member on an external wall of the base ring member ,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ase ring member, the base ring member constitutes an air inlet side and an outlet side, respectively, on relative opposite sides of the base ring member along the corresponding axial direction, from the inlet side to the outlet side, Among them, the length of the chord of one row of the stationary blade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length of the chords of the row next to the adjacent stationary blade;
상기 고정 블레이드는 장착 각도를 구비하며, 상기 공기 유입측에서 상기공기 배출측까지, 상기 고정 블레이드 일 열의 장착 각도는 해당 열의 상기 고정 블레이드에 인접한 상기 고정 블레이드 다음 열의 장착 각도보다 작거나 같다. The fixed blade has a mounting angle, from the air inlet side to the air outlet side, the mounting angle of one row of stationary blades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mounting angle of the row next to the stationary blade adjacent to the stationary blades in the row.
두 번째 측면에서: 베이스 링 부재 및 다수 고정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디퓨저가 제공되며, 상기 다수 고정 블레이드는 상기 베이스 링 부재의 축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다수 열로 구성되고, 각 고정 블레이드 열에는 상기 고정 블레이드를 다수 개로 구성되며, 각 고정 블레이드 열에서 상기 다수 고정 블레이드는 상기 베이스 링 부재의 원주 방향을 따라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 링 부재의 횡단면은 원형을 나타내며; 상기 다수 고정 블레이드 열에서 적어도 1개의 고정 블레이드 열에 있는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의 프로파일은 고정 블레이드의 일측을 향해 경사지게 구성된다.In a second aspect: there is provided a diffuser comprising a base ring member and a plurality of stationary blades, wherein the plurality of stationary blades are sequentially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along an axial direction of the base ring member, and each stationary blade row includes the stationary blades.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ieces, and in each stationary blade row, the plurality of stationary blades are configur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ase ring member,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base ring member has a circular shape; The profile of each stationary blade in at least one stationary blade row in the plurality of stationary blade rows is configured to be inclined toward one side of the stationary blade.
세번째 측면에서: 베이스 링 부재 및 다수 고정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디퓨저가 제공되며, 상기 다수 고정 블레이드는 상기 베이스 링 부재의 축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다수 열로 구성되고, 각 고정 블레이드 열에서 상기 다수 고정 블레이드는 상기 베이스 링 부재의 원주 방향을 따라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 링 부재의 횡단면은 원형을 나타내며; 상기 다수 고정 블레이드 열에서 적어도 1개의 고정 블레이드 열에 있는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의 두께는 해당 고정 블레이드의 헤드부에서 테일부까지 일정하지 않게 구성된다.In a third aspect: there is provided a diffuser comprising a base ring member and a plurality of stationary blades, wherein the plurality of stationary blades are sequentially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along an axial direction of the base ring member, and in each stationary blade row, the plurality of stationary blades include: configured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ase ring member, wherein the cross section of the base ring member is circular; In the plurality of stationary blade rows, the thickness of each stationary blade in at least one stationary blade row is configured to be non-uniform from the head portion to the tail portion of the stationary blade.
네번째 측면에서: 상기 디퓨저를 포함하는 송풍 장치를 제공한다.In a fourth aspect: there is provided a blowing device including the diffuser.
다섯번째 측면에서: 상기 송풍 장치를 포함하는 집진 장비를 제공한다.In a fifth aspect: There is provided a dust collecting device including the blower.
본 실시예는 적어도 다음의 유익한 효과를 달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디퓨저에 있어서, 디퓨저 내부에서 베이스 링 부재의 축방향을 따라 다수 고정 블레이드 열을 구성하여, 디퓨저를 통과하는 기류는 각 고정 블레이드 열의 다단 기류 유도 작용을 얻을 수 있어, 기류의 다단 감속 증압을 구현하여, 기류가 디퓨저를 통과하는 과정에 발생하는 유동 손실을 줄여 준다.This embodiment achieves at least the following advantageous effects: In the diffuser provided 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stationary blade rows are configured inside the diffuser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base ring member, so that the airflow passing through the diffuser is each stationary. The multi-stage airflow induction action of the blade row can be obtained, and the multi-stage deceleration and pressure increase of the airflow is realized, thereby reducing the flow loss that occurs in the process of the airflow passing through the diffuser.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송풍 장치는 상기 디퓨저를 포함하고 있어, 기류가 상기 디퓨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디퓨저에 의해 큰 기류 손실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보장하는 전제 하에서 감속 증압을 원활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송풍 장치의 전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송풍 장치의 작업 중 에너지 소모도 절감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blower provided in this embodiment includes the diffuser, it is possible to smoothly implement deceleration pressure under the premise of ensuring that a large airflow loss is not caused by the diffuser in the process of airflow passing through the diffuser.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overall working efficiency of the blower and also reduce energy consumption during the operation of the blower.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집진 장비는, 상기 송풍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 장치를 통해 기류의 원활한 감속 및 증압을 구현할 수 있고, 작동 중 에너지 절감과 환경보호도 구현할 수 있어, 상기 송풍 장치를 포함하는 집진 장비의 진공 집진 효과를 개선해 주고, 이와 동시에, 집진 장비의 작동 에너지 소모도 절감해 준다.The dust collecting equipment provided in this embodiment includes the blowing device, and can implement smooth deceleration and pressure increase of airflow through the blowing device, and can also implement energy saving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during operation, including the blowing device It improves the vacuum dust collection effect of dust collecting equipment, and at the same time reduces the operating energy consumption of the dust collecting equipment.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재된 기술방안을 보다 분명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시예 또는 기존 기술 설명에 필요한 도면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며, 하기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명시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일반 기술자에 의해 창조적인 과정을 투입하지 않는 전제 하에서 이와 같은 도면을 통해 기타 관련 도면을 도출할 수도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 장치 구조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 장치의 디퓨저 구조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 장치의 디퓨저에 있는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의 캐스케이드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 장치의 디퓨저에 있는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 및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의 캐스케이드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 장치의 디퓨저에 있는 베이스 링 부재 구조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의 입체 구조 개략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디퓨저의 캐스케이드 평면 개략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디퓨저의 정면 구조 개략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디퓨저에 있는 베이스 링 부재 및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의 조감 구조 개략도이고;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디퓨저에서 베이스 링 부재와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의 저면 구조 개략도이고;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에서 베이스 링 부재 및 고정 블레이드 일 열이 베이스 링 부재의 반경방향 따른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에서 일 고정 블레이드의 자오면투영면 개략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퓨터에서 베이스 링 부재를 통과하는 축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타입의 송풍 장치 단면도이고;
도 1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타입의 송풍 장치 단면도이다.In order to more clearly explain the technical solution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or drawings necessary for the existing technical descrip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following drawings are specified to expla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other related drawings may be derived from such drawings under the premise that creative processes are not put i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1 is a structural schematic diagram of a blow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diffuser structure of a bl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ascade of a first row of stationary blades in a diffuser of a blow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ascade of fixed blades in a first row and fixed blades in a second row in a diffuser of a blow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tructural schematic diagram of a base ring member in a diffuser of a bl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a diff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cascade of the diffuser shown in Fig. 6;
Fig. 8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front structure of the diffuser shown in Fig. 6;
Fig. 9 is a schematic structural view of a base ring member and a second row of fixed blades in the diffuser shown in Fig. 8;
Fig. 10 is a schematic diagram of a bottom surface structure of a base ring member and a second row of fixed blades in the diffuser shown in Fig. 8;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shown in Fig. 8;
12 is a radial cross-sectional view of a base ring member and a row of fixed blades in a diff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eridian projection of one fixed blade in a diff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n axis through a base ring member in a diff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lowing device of a first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type of bl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기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며,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소자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갖는 소자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1 내지 도면16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안출되며, 본 발명에 대한 제한 요소로 이해되지 아니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the embodiments will be exemplarily shown through the drawings attach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or elements hav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Embodiments to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to 16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are only designed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to be understood as limiting elements for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설명에서 "길이", "폭", "위", "아래", "앞", "뒤", "왼쪽", "오른쪽", "수직", "수평", "상부", "밑", "내", "외" 등 용어와 같은 방향 표시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에 표시된 방향 또는 위치 관계에 기준하며,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의 편리와 단순화를 위한 것일 뿐이며, 언급된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 방향을 가지거나, 특정 방향으로 구성되거나 작동되어야 함을 지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은 아니기에, 본 발명에 대한 제한사항으로 이해하지 말아야 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length”, “width”, “top”, “bottom”, “front”, “back”, “left”, “right”, “vertical”, “horizontal”, “top”, “ Directional indications or positional relationships such as terms such as "under", "inside", "outside", etc. are based on the direction or positional relationship shown in the drawings, and are only for convenience and simplification of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ntioned device or element It does not necessarily indicate or imply that it has a specific orientation, or that it is configured or operated in a specific direction, so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a limitation on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제1" 및 "제2"라는 용어는 설명의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상대적 중요성을 나타내거나 암시하거나 표시된 기술적 특징 수를 암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로 한정된 특징은 이와 같은 특징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명시적으로 또는 묵시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다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 한, 2개 또는 2개 이상을 의미한다.Also, the terms “first” and “second” are used for descriptive purposes only,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ndicating or implying a relative importance or implying the number of technical features indicated. Accordingly, features defined as “first” and “second” may include explicitly or implicitly one or more of such features.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means two or two or more, unless specifically limi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명시된 규정이나 제한을 제외하고 "설치", "상호 연결", "연결", "고정" 등과 같은 용어는 광의적인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고정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연결 또는 일체화 연결일 수 있으며; 기계적 연결 또는 전기적 연결일 수도 있으며; 직접 연결 또는 중간 매개물을 통한 간접 연결일 수도 있으며, 구성된 2개 소자의 내부적인 관통 또는 2개 소자간의 상호작용 관계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상기 용어들의 구체적인 의미는 본 발명의 특정한 상황에 따라 이해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installation", "interconnection", "connection", "fixing", etc. should be understood in a broad sense, except for the provisions or limitations specified separately. It may be, for example, a fixed connection or a detachable connection or an integral connection; It may be a mechanical connection or an electrical connection; It may be a direct connection or an indirect connection through an intermediate intermediary, and may be an internal penetration of two configured elements or an interac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elements. F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specific meanings of the above terms may be understood according to specific circumstances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1:Example 1: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송풍 장치(20)용 디퓨저(10)를 제공하며, 해당 송풍 장치(20)는 집진 장비에 사용될 수 있으나 단,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중,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퓨저(10)는 베이스 링 부재(11)와 약간의 고정 블레이드(114) 열을 포함하며, 각 고정 블레이드(114) 열은 베이스 링 부재(11)의 축방향을 따라 베이스 링 부재(11)의 외환벽(111) 상에 순차적으로 구성되며, 또한, 전부 베이스 링 부재(11)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베이스 링 부재(11)의 축방향을 따른 상대적인 양측에 각각 공기 유입측과 공기 배출측을 구성하며, 베이스 링 부재(11)는 외환벽(111)과 내환벽(112)을 구비하며, 내환벽(112) 내부에는 약간의 장착홀(113)이 제공되고, 베이스 링 부재(11)는 볼트를 장착홀(113) 및 프레임(221)에 관통시키면서 단단히 조여주도록 구성되어, 디퓨저(10) 내부에서 고정과 연결을 구현한다. 공기 유입측에서 공기 배출측으로 구성까지, 고정 블레이드(114) 일 열의 현의 길이는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 열에 인접한 다음 고정 블레이드(114) 열의 현 길이보다 크거나 같다. 고정 블레이드(114) 는 장착 각도를 구비하며, 공기 유입측에서 공기 배출측까지 구성되며, 이 중에서, 고정 블레이드(114) 일 열의 장착 각도는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 열에 인접한 다음 고정 블레이드(114) 열의 장착 각도보다 작거나 같다.1, 2 and 4, 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a
우선, 도 3을 참조하여,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용어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자 한다:First, with reference to FIG. 3, technical terms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앞이마선, 다수 동일 열에 있는 고정 블레이드(114)의 헤드부 대응점을 연결한 라인을 앞이마선이라 지칭한다(도 3에서 L1로 도시).The forehead line, a line connecting the corresponding points of the heads of the
뒷이마선, 다수 동일 열에 있는 고정 블레이드(114)의 테일부 대응점을 연결한 라인을 뒷이마선이라 지칭한다(도 3에서 L2로 도시).The back forehead line, a line connecting the corresponding points of the tail portions of the
입구 장착 각도: 중간선과 앞이마선이 블레이드 헤드부와의 접선으로 이루어진 협각이다(도 3에서 α로 도시).Entrance mounting angle: The midline and the forehead line are the narrow angles formed by the tangent to the blade head (shown as α in FIG. 3).
출구 장착 각도: 중간선과 뒷이마선이 블레이드 테일부와의 접선으로 이루어진 협각(도 3에서 β로 도시)이다.장착 각도: 고정 블레이드(114)의 앞이마선과 현의 길이 사이의 협각을 지칭하며, 해당 각도는 현의 길이가 변화함에 따라 변한다(도 3에서 θ로 도시).Exit mounting angle: is the included angle (shown as β in Fig. 3) where the midline and the posterior forehead line are tangent to the blade tail. Mounting angle: refers to the included angle between the front forehead line of the
고정 블레이드(114)의 헤드부: 베이스 링 부재(11)의 축방향을 따라, 고정 블레이드(114)의 최전방에 위치하는 헤드 부분(도 3에서 a로 도시);a head portion of the fixed blade 114: a head portion (shown as a in Fig. 3) located at the forefront of the
고정 블레이드(114)의 테일부: 베이스 링 부재(11)의 축방향을 따라, 고정 블레이드(114)의 최종 위치에 있는 꼬리 부분(도 3에서 b로 도시)이다.Tail portion of the fixed blade 114: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고정 블레이드(114)의 높이: 고정 블레이드(114)가 베이스 링 부재(11) 반경 방향에서의 길이이다.Height of the fixed blade 114 : The
블레이드 팁: 고정 블레이드(114)가 반경 방향을 따라 상단 부위까지 증가되는 위치를 블레이드 팁으로 지칭한다.Blade tip: A position at which the
현의 길이: 중간선이 고정 블레이드(114)의 헤드부와 고정 블레이드(114)의 테일부 사이의 직선 거리를 현의 길이로 지칭한다(도 3에서 L4로 도시).Chord Length: The middle line refers to the straight distance between the head portion of the
중간선: 고정 블레이드(114)의 두께 방향에서의 각 중간점을 고정 블레이드(114)의 헤드부로부터 테일부까지 연결하여 형성된 곡선을 중간선이라 지칭한다(도 3에서 L3로 도시).Midline: A curve formed by connecting each midpoint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디퓨저에 있어서, 디퓨저 내부에서 베이스 링 부재의 축방향을 따라 다수 고정 블레이드(114) 열을 구성하여, 디퓨저를 통과하는 기류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 열의 다단 기류 유도 작용을 얻을 수 있어, 기류의 다단 감속 증압을 구현하여, 기류가 디퓨저를 통과하는 과정에 발생하는 유동 손실을 줄여 준다.In the diffuser provided 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디퓨저(10)를 다음과 같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통해 제공하는 디퓨저(10) 내부에서 베이스 링 부재의 축방향을 따라 다수 고정 블레이드(114) 열을 구성하여, 디퓨저(10)를 통과하는 기류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 열의 다단 기류 유도 작용을 얻을 수 있어, 우선적으로 기류의 다단 감속 증압을 구현한다. 베이스 링 부재(11)의 공기 유입측에서 공기 배출측으로 구성되며, 이 중, 고정 블레이드(114) 일 열의 현의 길이는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 열에 인접한 다음 고정 블레이드(114) 열의 현 길이보다 크거나 같다. 이러한 방식으로, 고정 블레이드(114)의 각 열은 기류에 의해 발생하는 유동 분리 현상을 단계적으로 약화시킬 수 있고, 기류가 디퓨저(10)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유동 손실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고정 블레이드(114) 각 열의 흐름 유도의 작용 하에서, 큰 유동 손실이 없는 것을 전제로 기류의 감속 및 증압을 원활하게 구현 수 있다.The
본 실시예에서, 고정 블레이드(114) 헤드부는 입구 장착 각도를 구비하며, 공기 유입측에서 공기 배출측까지, 고정 블레이드(114) 일 열의 입구 장착 각도는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 열에 인접한 다음 고정 블레이드(114) 열의 입구 장착 각도보다 작거나 같다. 이 중에서, 고정 블레이드(114) 일 열의 출구 장착 각도는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 열에 인접한 다음 고정 블레이드(114) 열의 출구 장착 각도보다 작거나 같다.In this embodiment, the head portion of the fixed
구체적으로, 고정 블레이드(114) 일 열의 입구 장착 각도는 다음 고정 블레이드(114) 열의 입구 장착 각도보다 작거나 같게 구성되며, 이 중, 고정 블레이드(114) 일 열의 출구 장착 각도는 다음 고정 블레이드(114) 열의 출구 장착 각도보다 작거나 같게 구성되어, 기류가 고정 블레이드(114)의 이전 열에서 고정 블레이드(114)의 다음 열로 유동할 때 발생하는 흐름의 불균일성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해 주고, 또한, 기류가 고정 블레이드(114)의 이전 열에서 고정 블레이드(114)의 다음 열로 유동할 때 발생하는 유동 분리 현상도 효과적으로 억제해 주고, 진일보로, 기류가 고정 블레이드(114)의 이전 열에서 고정 블레이드(114)의 다음 열로 유동할 때 발생하는 유동 손실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기류의 유동 효율을 향상시켜 준다.Specifically, the inlet mounting angle of one row of fixed
본 실시예에서, 고정 블레이드(114) 테일부는 출구 장착 각도를 구비하며, 공기 유입측에서 공기 배출측까지, 고정 블레이드(114) 일 열의 출구 장착 각도는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 열에 인접한 다음 고정 블레이드(114) 열의 입구 장착 각도보다 작거나 같다. 이를 통해, 기류는 이전 고정 블레이드(114) 열에서 다음 고정 블레이드(114) 열로 원활하게 유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 중, 고정 블레이드(114) 일 열의 출구 장착 각도는 해당 열이 인접한 다음 고정 블레이드(114) 열의 입구 장착 각도보다 클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tail portion of the fixed
본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퓨저(10)는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와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를 포함하며,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와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는 공기 유입측에서 공기 유출측을 향해 베이스 링 부재(11)의 축방향을 따라 베이스 링 부재(11)의 외환벽(111) 상에 순차적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고정 블레이드(114)의 열 수는 2열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한편으로는 기류를 충분히 유도하고 확압하기 위한 충분한 수의 고정 블레이드(114)를 보장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고정 블레이드(114)의 열 수가 과다하지 않도록 보장해 주고, 진일보로, 디퓨저(10)의 컴팩트한 디자인을 구현한다.As shown in FIG. 2 in this embodiment, the
본 실시예에서,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의 입구 장착 각도의 값은 5°~20°이고, 제2열의 고정 블레이드(13)의 입구 장착 각도의 값은 20°~40°이다. 구체적으로,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의 입구 장착 각도의 값은 5°, 5.5°, 6°, 6.5°, 7°, 7.5°, 8°, 8.5°, 9°, 9.5°, 10°, 10.5°, 11°, 11.5°, 12°, 12.5°, 13°, 13.5°, 14°, 14.5°, 15°, 15.5°, 16°, 16.5°, 17°, 17.5°, 18°, 18.5°, 19°, 19.5 또는 20°일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value of the entrance mounting angle of the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의 입구 장착 각도의 값은 20°, 20.5°, 21°, 21.5°, 22°, 22.5°, 23°, 23.5°, 24°, 24.5°, 25°, 25.5°, 26°, 26.5°, 27°, 27.5°, 28°, 28.5°, 29°, 29.5°, 30°, 30.5°, 31°, 31.5°, 32°, 32.5°, 33°, 33.5°, 34°, 34.5, 35°, 35.5°, 36°, 36.5°, 37°, 37.5°, 38°, 38.5°, 39°, 39.5° 또는 40°일 수 있다.The values of the inlet mounting angles of the fixed
제1열의 고정 블레이드(12)의 입구 장착 각도의 값을 5°~20°로 설정하고,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의 입구 장착 각도의 값을 20°~40°로 설정하여, 진일보로, 기류가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와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를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유동 불균일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이와 동시에,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가 기류에 대한 효과적인 유도도 보장해 준다.Set the value of the inlet mounting angle of the fixed
본 실시예에서,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의 출구 장착 각도의 값은 10°~60°이고,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의 입구 장착 각도의 값은 60°~80°이다. 구체적으로,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의 출구 장착 각도의 값은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또는 60°일 수 있다.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의 입구 장착 각도의 값은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또는 80°일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value of the outlet mounting angle of the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의 출구 장착 각도의 값을 10°~60°로 설정하고,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의 입구 장착 각도의 값을 60°~80°로 설정하여, 기류가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에서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로 유동할 때 발생하는 유동 분리 현상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주고, 진일보로 기류의 유동 상태를 최적화하며, 진일보로,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에서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로 유동할 때 발생하는 유동 손실을 감소시켜 주며, 동시에, 진일보로 기류의 유동 효율을 향상시킨다.The value of the outlet mounting angle of the fixed
본 실시예에서,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 현의 길이와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 현의 길이의 비는 1 내지 5이다. 구체적으로,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 현의 길이와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 현의 길이의 비율을 1, 1.2, 1.5, 1.7, 2, 2.2, 2.5, 2.7, 3, 3.2, 3.5, 3.7, 4, 4.2, 4.5, 4.7 또는 5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 현의 길이와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 현의 길이의 비율이 1 내지 5로 되게 한다. 이를 통해, 기류가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에서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로 유동하면서 발생하는 유동분리 현상을 진일보로 감소시키고, 기류가 디퓨저(10)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유동 손실을 진일보로 감소하게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chords of the fixed
본 실시예에서,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의 블레이드 수는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의 블레이드 수 이하이며,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 및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는 각각 외환벽의 원주 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분포되며,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 및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는 외환벽의 축방향을 따라 서로 어긋나게 분포되며,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 중의 적어도 1개의 고정 블레이드(114)의 헤드부 또는 테일부와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 중의 1개의 고정 블레이드(114)의 헤드부 또는 테일부가 외환벽의 축방향에서 맞춰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와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 사이의 연결이 더 강해져, 기류가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에서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으로의 고효율 유동에 유리해진다.In this embodiment, the number of blades of the fixed
본 실시예에서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의 블레이드 수는 6개~20개이고,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의 블레이드 수는 10개~30개이다. 구체적으로,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의 블레이드 수는 6개, 7개, 8개, 9개, 10개, 11개, 12개, 13개, 14개, 15개, 16개, 17개, 18개, 19개 또는 20개일 수 있고,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의 블레이드 수는 10개, 11개, 12개, 13개, 14개, 15개, 16개, 17개, 18개, 19개, 20개, 21개, 22개, 23개, 24개, 25개, 26개, 27개, 28개, 29개 또는 30개일 수 있다.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의 블레이드 수를 6개~20개로 설정하고,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의 블레이드 수를 10개~30개로 설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류가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로부터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까지 유동하면서,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로부터 보다 충분한 기류 유도와 확압 작용을 받게 되고, 진일보로, 유속을 감소시키고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바, 이와 같은 방식으로 진일보로 디퓨저(10)의 증압 효과를 향상시켜 준다.In this embodiment, the number of blades of the fixed
본 실시예에서,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와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는 1:1의 대응 관계도 아니고 엄밀한 N:1 관계도 아니지만 우선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의 수량을 결정하고,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 중의 특정 고정 블레이드(114)와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112) 중의 특정 고정 블레이드(114)의 특정 일단을 포지셔닝하여 맞춰 준 다음,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를 베이스 링 부재(11)의 외환벽 상에 균일하게 분포시켜,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에 대한 분포를 완성한 후, 다시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에 대한 분포를 진행한다.In this embodiment, the fixed
본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의 헤드부와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의 테일부 사이의 베이스 링 부재(11)의 축 방향을 따른 간격(도 2에서 D로 도시) 은 3mm 이하이다. 구체적으로,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의 헤드부와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의 테일부 사이의 베이스 링 부재(11)의 축 방향을 따른 간격(도 2에 도시된 D부분)을 3mm 이하로 설정하여, 한편으로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와 제2열의 고정 블레이드(13)가 기류 유도에 대한 원활한 연결을 구현하여, 기류의 유동 효율을 보장해 주며, 다른 한편으로,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와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의 가공 치수 오차에 따른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와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2) 상호간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 the spac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선택적으로,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의 헤드부와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의 테일부 사이의 베이스 링 부재(11)의 축 방향을 따른 간격은 1mm 이상 및 3mm이하일 수 있다.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 헤드부와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 테일부 사이의 베이스 링 부재(11)의 축 방향을 따른 간격을 진일보로 1mm 이상 및 3mm이하로 한정하여, 기류의 유동 효율을 보장하고,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와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 상호간 간섭을 피해 최상의 평형을 달성하여,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와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가 상호간 간섭을 피하는 것을 전제로,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와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를 통과하는 기류가 최적의 기류 유도와 확압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한다. Optionally, the distance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본 실시예에서, 출구 장착 각도는 고정 블레이드(114)의 블레이드 루트 부위에 위치한 제1 출구 장착 각도 및 고정 블레이드(114)의 블레이드 팁 부위에 위치한 제2 출구 장착 각도를 포함하며, 제1 출구 장착 각도와 제2 출구 장착 각도의 값 차이는 0°~20°이다.In this embodiment, the outlet mounting angle includes a first outlet mounting angle located at a blade root portion of the
이와 같이, 제1 출구 장착 각도의 값과 제2 출구 장착 각도의 값 차이가 0°가 아닌 경우, 베이스 링 부재(11)의 반경 방향을 따른 고정 블레이드(114)의 등고선은 곡선으로 나타내게 되는데, 이는 고정 블레이드(114)가 베이스 링 부재(11)의 반경 방향을 따라 만곡 진행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만약 두 각도 값의 차이가 0°이면, 고정 블레이드(114)가 베이스 링 부재(11)의 반경 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연장되고, 출구 장착 각도의 값은 반경 방향을 따라 변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As such,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value of the first outlet mounting angle and the value of the second outlet mounting angle is not 0°, the contour line of the fixed
구체적으로, 제1 출구 장착 각도의 값과 제2 출구 장착 각도의 값 사이의 차이는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또는 20°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value of the first outlet mounting angle and the value of the second outlet mounting angle is 0°, 1°, 2°, 3°, 4°, 5°, 6°, 7°, 8°, 9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or 20°.
베이스 링 부재(11)의 외부환벽(111)에 가까운 고정 블레이드(114)의 출구 장착 각도의 값과 고정 블레이드(114)의 블레이드 팁 단부면에 가까운 출구 장착 각도의 값 사이의 차이를 0°~20°로 설정하여, 기류가 고정 블레이드(114) 테일부 상에서의 기류의 불균일성을 진일보로 억제하여, 고정 블레이드(114)가 기류에 대한 효과적인 유도를 진일보로 보장해 준다.0 ° ~ By setting it to 20°, the airflow further suppresses the non-uniformity of the airflow on the tail portion of the fixed
본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블레이드(114)는 원호형 블레이드이다. 구체적으로, 고정 블레이드(114)를 원호형 블레이드로 설정하여, 고정 블레이드(114)가 보다 원활하고 매끄러운 유도 곡선을 구비하게 하여, 기류가 보다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고정 블레이드(114)를 통과하게 한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2, the fixed
본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퓨저(10)의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상단면은 전부 윈드 커버(21)의 내측벽과 맞닿아 접촉한다. 구체적으로,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상단면을 전부 윈드 커버(21)의 내측벽에 맞닿게 하여, 각 고정 블레이드(114)가 베이스 링 부재(11)와 윈드 커버(21)로 둘러싸인 영역을 충분히 차지할 수 있게 하여, 송풍 장치(20)의 기류에 대한 충분한 유도 효과를 달성하고, 진일보로, 기류에 대한 충분한 확압 감속을 달성한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 the top surface of each fixed
위에서 언급한 매개변수에 대한 설정에 기반하여, 다수 유형의 구체적인 디퓨저(10) 구조를 제공하며, 본 실시예에서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의 입구 장착 각도는 15°, 출구 장착 각도는 24°이며,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의 입구 장착 각도는 35°이고 출구 장착 각도는 75°이다. 또한,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 테일부와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 헤드부 사이의 축 방향 거리는 1.8mm이며, 디퓨저(10)가 상기 매개변수에 따라 값을 취하면, 양호한 공기역학적 성능을 가지며, IEC60312 표준에 따르면 13mm 유공판 측정 여건에서 상기 디퓨저를 구비한 송풍 장치(20) 전체의 효율은 약 54%이다.Based on the settings for the above-mentioned parameters, it provides multiple types of
본 실시예에서,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의 입구 장착 각도의 값은 20°이고, 출구 장착 각도는 27°이며, 제2열의 고정 블레이드(13)의 입구 장착 각도의 값은 42°이고, 출구 장착 각도는 60°이다. 또한,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 테일부와 대응된 제2 고정 블레이드(13)의 헤드부 사이의 축방향 거리는 1.3mm이며, 디퓨저(10)가 상기 매개변수에 따라 값을 취하면, 양호한 공기역학적 성능을 가지게 되며, IEC60312 표준에 따르면 13mm 유공판 측정 여건에서 상기 디퓨저를 구비한 송풍 장치(20) 전체의 효율은 약 54.2%이다.In this embodiment, the value of the inlet mounting angle of the fixed
본 실시예는 또한 상술한 디퓨저(10)를 포함하는 공기 공급 장치(20)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송풍 장치(20)는 윈드 커버(21), 구동기구(22), 이동임펠러(23) 및 디퓨저(10)를 포함하며, 구동기구(22)는 윈드 커버(21) 내부에 구성되고, 이동 임펠러(23)는 구동기구(22)와 연결되며, 윈드 커버(21)의 공기 유입구(24)에 대응되게 구성되며, 디퓨저(10)는 윈드 커버(21) 내부에 고정되며, 이동 임펠러(23)의 공기 유입구(24)와 배향된 일측에 위치한다. This embodiment also provides an
구체적으로, 구동 기구(22)는 프레임(221), 모터(222) 및 회로 기판(223)을 포함하며, 프레임(221) 및 회로 기판(223)은 전부 윈드 커버(21) 내부에 고정되고, 모터(222)는 프레임(221) 상에 구성되고, 구동 모터(222)의 구동축(224)은 프레임(221)과 디퓨저(10)를 관통하며 이동 임펠러(23)와 연결되어 이동 임펠러(23)가 회전하도록 구동시킨다.Specifically, the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송풍 장치는 상기 디퓨저를 포함하고 있어, 기류가 상기 디퓨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디퓨저에 의해 큰 기류 손실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보장하는 전제 하에서 감속 증압을 원활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송풍 장치의 전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송풍 장치의 작업 중 에너지 소모도 절감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blower provided in this embodiment includes the diffuser, it is possible to smoothly implement deceleration pressure under the premise of ensuring that a large airflow loss is not caused by the diffuser in the process of airflow passing through the diffuser.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overall working efficiency of the blower and also reduce energy consumption during the operation of the blower.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송풍 장치를 포함하는 집진 장비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집진 장비는, 상기 송풍 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송풍 장치를 통해 기류의 원활한 감속 및 증압을 구현할 수 있고, 작동 중 에너지 절감과 환경보호도 구현할 수 있어, 상기 송풍 장치를 포함하는 집진 장비의 진공 집진 효과를 개선해 주고, 이와 동시에, 집진 장비의 작동 에너지 소모도 절감해 준다.In this embodiment, there is also provided a dust collection equipment including the blower. The dust collecting equipment provided in this embodiment includes the blower, an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smooth deceleration and pressure increase of the airflow through the blower, and also to save energy and protect the environment during operation. It improves the vacuum dust collection effect of the dust collection equipment, and at the same time reduces the operating energy consumption of the dust collector equipment.
실시예2:Example 2: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를 통해 제공하는 디퓨저(10)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자 한다: 디퓨저(10)는 베이스 링 부재(11) 및 다수 고정 블레이드(114)를 포함하며, 다수 고정 블레이드(114)는 다수의 열로 분할되고, 다수 고정 블레이드(114) 열은 베이스 링 부재(11)의 축 방향을 따라 구성되며, 각 고정 블레이드(114) 열에 있는 고정 블레이드(114)의 수는 다수 개이며, 각 고정 블레이드(114) 열에 있는 다수 고정 블레이드(114)는 베이스 링 부재(11)의 원주 방향 따라 구성되어; 2개의 인접한 고정 블레이드(114) 사이에 기류 유동을 유도하는 데 사용되는 유로(15)를 형성할 수 있다. 기류가 베이스 링 부재(11) 주변측에 있는 2개의 인접한 고정 블레이드(114) 사이의 유로(15)를 통과할 때, 고정 블레이드(114)에 의해 유동이 유도되어, 기류는 보다 안정적으로 유동되고, 와류를 줄이고 에너지 손실을 감소시켜 준다. 베이스 링 부재(11)의 횡단면은 원형으로 되어 있어, 기류가 베이스 링 부재(11)의 반경방향에서 베이스 링 부재(11)의 축방향으로 유동할 경우, 베이스 링 부재(11)의 외주측 각 부위로 유동하는 거리가 비슷해지고, 받는 저항력도 비슷하여, 기류가 베이스 링 부재(11)의 외주측으로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어, 에너지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수 고정 블레이드(114)를 베이스 링 부재(11)의 축 방향을 따라 다수 열로 구성하고, 이와 같은 다수 열의 고정 블레이드(114)을 통해 점차적으로 기류의 유동을 유도할 수 있어, 에너지 손실을 줄여 주고, 확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6 and 7, the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류가 디퓨저(10)를 통과할 때, 기류의 입구 방향은 위, 앞 또는 헤드로 설정되며, 기류의 출구 방향은 아래, 뒤 또는 테일로 정의한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when the airflow passes through the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수 고정 블레이드(114)를 베이스 링 부재(11)의 축방향을 따라 2개 열로 분할하고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와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로 정의한다. 즉, 제1 열의 블레이드(12)는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의 이전 열이고,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는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의 다음 열이다. 다수 고정 블레이드(114)는 베이스 링 부재(11)의 축 방향을 따라 3개의 열로 분할되며,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와,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 및 제3 열의 고정 블레이드(114)로 배열된다. 다수 고정 블레이드(114)는 베이스 링 부재(11)의 축 방향을 따라 4개 이상의 열로 분할되며,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 제3 열의 고정 블레이드(114)...... 등과 같이 배열된다. 즉, 다수 고정 블레이드(114)를 베이스 링 부재(11)의 축방향을 따라 N(N은 양의 정수, N≥22)열로 구성하면,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제1 열, 제2 열...... 제 N열로 분할되며; 이 중, 제M-1 열의 고정 블레이드(114)는 제M 열의 고정 블레이드(114)의 이전 고정 블레이드(114) 열이며, 제M 열의 고정 블레이드(114)는 제M-1열의 고정 블레이드(114)의 다음 고정 블레이드(114) 열이다(M은 양의 정수, M≤N).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lurality of fixed
도 11을 함께 참조하면, 고정 블레이드(114)의 프로파일(18)은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의 블레이드 루트(17)와 블레이드 팁(16) 사이의 2개의 측면을 지칭하며; 고정 블레이드(114)의 블레이드 루트(17)와 블레이드 팁(16) 사이에 있는 2개의 측면은 각각 흡력면(19)과 압력면(14)이며, 흡력면(19)과 압력면(14)을 통합적으로 프로파일(18)로 지칭하며; 고정 블레이드(114)의 블레이드 루트(17)는 고정 블레이드(114) 높이가 베이스 링 부재(11)에서 가까이에 있는 루트 부위를 지칭하며; 고정 블레이드(114)의 블레이드 팁(16)은 고정 블레이드(114) 높이가 베이스 링 부재(11)에서 멀리 떨어진 정상 부위를 지칭하며; 고정 블레이드(114)의 헤드부는 기류 유동 방향을 따라 고정 블레이드(114)의 전단 부위에 위치, 즉, 고정 블레이드(114) 상에서 기류와 접촉하기 시작하는 부위를 지칭하며; 고정 블레이드(114)의 테일부는 기류 유동 방향을 따라 고정 블레이드(114)의 후단 부위에 위치, 즉, 기류가 고정 블레이드(114)을 떠날 때 대응되는 고정 블레이드(114) 상의 부위를 지칭한다.11 , the
도 6을 참조하면,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에서: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2개 측면은 각각 흡력면(19a)과 압력면(14a)이며, 흡력면(19a)과 압력면(14a)을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의 프로파일(18a)로 일괄 지칭하며; 상호 인접한 2개의 고정 블레이드(114) 사이에 기류 유동을 유도하는 유로(15a)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에서: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2개 측면은 각각 흡력면(19b)과 압력면(14b)이며, 흡력면(19b)과 압력면(14b)을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의 프로파일(18b)로 일괄 지칭하며; 상호 인접한 2개의 고정 블레이드(114) 사이에서 기류 유동을 유도하는 유로(15b)를 형성할 수 있다.6 , in the first row of fixed blades 12: the two sides of each fixed
본 실시예에서, 도 6을 참조하면, 다수 고정 블레이드(114)는 베이스 링 부재(11) 축 방향을 따라 2개의 열로 분할되며,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와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로 배열되며, 즉,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는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의 이전 열이며,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는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의 다음 열에 해당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다수 고정 블레이드(114)은 베이스 링 부재(11)의 축 방향을 따라 3개, 4개 또는 그 이상의 열로 분할된다.In this embodiment, referring to FIG. 6 , the plurality of fixed
본 실시예에서 도 7을 참조하면, 고정 블레이드(114)의 높이 방향의 중간 부위에서 같은 단위의 두께를 가지며 베이스 링 부재(11)와 형상이 같은 곡면을 취하며, 해당 곡면은 원통형 모양을 나타내며, 해당 곡면은 베이스 링 부재(11)와 동축으로 구성되며, 해당 곡면을 평면 상에 전개하여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평면 캐스케이드 도면을 얻는다. 평면 캐스케이드 도면에서, 각 고정 블레이드(114) 열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 헤드부 대응점의 연결선을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열의 앞이마선(L1)으로 지칭하며, 동시에, 앞이마선(L1)은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 열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 헤드부 대응점의 접선이며; 각 고정 블레이드(114) 열에서 각 고정 블레이드(114) 테일부의 대응점의 연결선을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 열의 뒷이마선(L2)으로 지칭하며, 동시에, 뒷이마선(L2)은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 열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 테일부 대응점의 접선이며;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두께(H) 중간점을 연결하여 얻은 곡선을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의 중간선(L3)으로 지칭하며; 중간선(L3)이 대응된 고정 블레이드(114) 헤드부 상에서의 접선과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 헤드부 대응점의 접선간의 협각은 입구 장착 각도(α)이며, 즉, 중간선(L3)이 고정 블레이드(114) 헤드부 상에서의 접선과 대응된 앞이마선(L1) 사이의 협각이 입구 장착 각도(α)이며; 중간선(L3)이 고정 블레이드(114) 테일부 상에서의 접선과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 테일부의 대응된 접선 사이의 협각이 출구 장착 각도(β)이며, 즉, 중간선(L3)이 고정 블레이드(114) 테일부 상에서의 접선과 해당 뒷이마선(L2) 사이의 협각이 출구 장착 각도(β)이며; 중간선(L3)이 고정 블레이드(114) 헤드부와 테일부 사이의 거리가 현의 길이(L4)이고, 중간선(L3) 상의 상이한 위치와 고정 블레이드(114)의 헤드부 사이의 직선 거리가 위치 현의 길이(L5)이며, 즉, 중간선(L3) 위의 각 점과 고정 블레이드(114) 헤드부 사이의 직선거리가 해당 점의 위치 현의 길이(L5)이며; 고정 블레이드(114)의 특정 위치 상의 위치 현의 길이(L5)는 장착 각도(θ)를 가지며, 위치 현의 길이(L5)의 장착 각도(θ)는 해당 위치와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 헤드부의 동일한 높이 위치 사이의 선분과 대응된 앞이마선(L1) 사이의 협각이다.Referring to FIG. 7 in this embodiment, the fixed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를 예로 들면: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에서 각 고정 블레이드(114) 헤드부 대응점의 연결선은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의 앞이마선(L1a)이며, 동시에, 해당 앞이마선(L1a)은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 헤드부 대응점의 접선이며;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에서 각 고정 블레이드(114) 테일부 대응점의 연결선은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의 뒷이마선(L2a)이며, 동시에, 해당 뒷이마선(L2a)은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 테일부 대응점의 접선이며;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 상의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두께(Ha) 중간점을 연결하여 얻은 곡선을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의 중간선(L3a)으로 지칭하며;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중간선(L3a)이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 헤드부 상에서의 접선과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 헤드부 대응점의 접선간의 협각은 입구 장착 각도(αa)이며;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중간선(L3a)이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 테일부 상에서의 접선과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 테일부 대응점의 접선 사이의 협각이 출구 장착 각도(βa)이며;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중간선(L3a)이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 헤드부와 테일부 사이에서의 거리가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의 현의 길이(La)이고,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중간선(L3a) 상의 특정점과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 헤드부 사이의 직선 거리가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 상의 대응점의 위치 현의 길이(L5a)이며;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특정 위치 상의 위치 현의 길이(L5a)는 장착 각도(θa)를 가지며, 위치 현의 길이(L5a)의 장착 각도(θa)는 해당 위치와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 헤드부의 동일한 높이 부위 사이의 선분과 대응된 앞이마선(L1a) 사이의 협각이다. Taking the fixed blades 12 of the first row as an example: in the fixed blades 12 of the first row, the connecting line of the corresponding points of the heads of each fixed blade 114 is the forehead line L1a of the fixed blades 12 of the first row, and at the same time , the corresponding forehead line L1a is a tangent to the corresponding point of the head portion of each fixed blade 114 in the fixed blade 12 in the first row; In the fixed blade 12 of the first row, the connecting line of the corresponding point of the tail of each fixed blade 114 is the rear forehead line L2a of the fixed blade 12 of the first row, and at the same time, the corresponding rear forehead line L2a is the first a tangent to the corresponding point of the tail of each stationary blade 114 on the stationary blades 12 of the row; A curve obtained by connecting the midpoints of the thickness Ha of each stationary blade 114 on the stationary blade 12 of the first row is referred to as the midline L3a of the stationary blade 114; The midline L3a of each stationary blade 114 in the stationary blade 12 of the first row is the included angle between the tangent on the head of the stationary blade 114 and the tangent of the corresponding point of the head of the stationary blade 114 is the inlet is the mounting angle (αa); The midline L3a of each fixed blade 114 in the first row of fixed blades 12 is the included angle between the tangent on the tail of the fixed blade 114 and the tangent of the corresponding point of the tail of the fixed blade 114 exit mounting angle βa; The midline L3a of each fixed blade 114 in the first row of fixed blades 12 indicates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 and the tail of the fixed blade 114 is the length of the chord of the fixed blade 114 ( La), and the linear distance between a specific point on the midline L3a of each fixed blade 114 in the first row of fixed blades 12 and the head of the fixed blade 114 is is the length (L5a) of the location chord of the corresponding point; The length L5a of the positioning chord on a particular position of each stationary blade 114 in the first row of stationary blades 12 has a mounting angle θa, and the mounting angle θa of the length L5a of the positioning chord is It is the included angle between the line segment between the corresponding position and the same height part of the head of the fixed blade 114 and the corresponding frontal line L1a.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를 예로 들면: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에서 각 고정 블레이드(114) 헤드부 대응점의 연결선은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의 앞이마선(L1b)이며, 동시에, 해당 앞이마선(L1b)은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 헤드부 대응점의 접선이며;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에서 각 고정 블레이드(114) 테일부 대응점의 연결선은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의 뒷이마선(L2b)이며, 동시에, 해당 뒷이마선(L2b)은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 테일부 대응점의 접선이며;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 상의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두께(Hb) 중간점을 연결하여 얻은 곡선을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의 중간선(L3b)으로 지칭하며;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중간선(L3b)이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 헤드부 상에서의 접선과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 헤드부 대응점의 접선간의 협각은 입구 장착 각도(αb)이며;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중간선(L3b)이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 테일부 상에서의 접선과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 테일부 대응점의 접선 사이의 협각이 출구 장착 각도(βb)이며;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중간선(L3b)이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 헤드부와 테일부 사이에서의 거리가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의 현의 길이(Lb)이고,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중간선(L3b) 상의 특정점과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 헤드부 사이의 직선 거리가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 상의 대응점의 위치 현의 길이(L5b)이며;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특정 위치 상의 위치 현의 길이(L5b)는 장착 각도(θb)를 가지며, 위치 현의 길이(L5b)의 장착 각도(θb)는 해당 위치와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 헤드부의 동일한 높이 부위 사이의 선분과 대응된 앞이마선(L1b) 사이의 협각이다. Taking the stationary blades 13 of the second row as an example: in the stationary blades 13 of the second row, the connecting line of the corresponding points of the heads of each stationary blade 114 is the forehead line L1b of the stationary blades 13 of the second row, and at the same time , the corresponding forehead line L1b is a tangent to the corresponding point of the head of each fixed blade 114 in the second row of fixed blades 13; In the fixed blade 13 of the second row, the connecting line of the corresponding point of the tail of each fixed blade 114 is the rear forehead line L2b of the fixed blade 13 of the second row, and at the same time, the corresponding rear forehead line L2b is the second a tangent to the corresponding point of the tail of each stationary blade 114 on the stationary blades 13 of the row; A curve obtained by connecting the midpoints of the thickness Hb of each stationary blade 114 on the stationary blades 13 of the second row is referred to as the midline L3b of the stationary blades 114; The midline L3b of each stationary blade 114 in the second row of stationary blades 13 is the included angle between the tangent line on the head of the stationary blade 114 and the tangent of the corresponding point of the head of the stationary blade 114 is the inlet is the mounting angle (αb); The midline L3b of each fixed blade 114 in the second row of fixed blades 13 is the included angle between the tangent on the tail of the fixed blade 114 and the tangent of the corresponding point of the tail of the fixed blade 114 exit mounting angle (βb); The midline L3b of each stationary blade 114 in the second row of stationary blades 13 indicates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 and tail of the stationary blade 114 is the length of the chord of the stationary blade 114 ( Lb), and the linear distance between a specific point on the midline L3b of each fixed blade 114 in the second row of fixed blades 13 and the head of the fixed blade 114 is is the length (L5b) of the location chord of the corresponding point; The length L5b of the positioning chord on a specific position of each stationary blade 114 in the second row of stationary blades 13 has a mounting angle θb, and the mounting angle θb of the length L5b of the positioning chord is It is the included angle between the line segment between the corresponding position and the same height portion of the head of the fixed blade 114 and the corresponding front forehead line L1b.
본 실시예에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다수 열의 고정 블레이드(114)에 있어서, 적어도 1개 열의 고정 블레이드(114) 중의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두께(H)는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 헤드부에서 테일부까지 일정하지 않게 구성되어, 기류가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 중의 서로 인접한 2개의 고정 블레이드(114) 사이의 유로(15)로 유입 시의 유동 분리를 개선하고, 유동 분리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기류가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 열에 있는 고정 블레이드(114) 사이의 유로(15)를 통과 시, 와류를 개선할 수 있고, 블레이드 루트(17) 부위의 유동 분리를 조절 통제할 수 있으며; 기류가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 열에 있는 고정 블레이드(114) 사이의 유로(15)로부터 유출 시의 기류 불균일성을 감소시키고, 확압 효과를 개선하는 동시에, 기류 유동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referring to FIGS. 6 and 7 , in the plurality of rows of fixed
본 실시예의 디퓨저(10)에 있어서, 베이스 링 부재(11)의 외주부에 다수 열의 고정 블레이드(114)를 구성하며, 다수 고정 블레이드(114)를 통해 점차적으로 기류를 유도하여 기류의 절대속도를 감소시키고 증압 효과를 개선해 주며; 적어도 1개 열의 고정 블레이드(114)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두께(H)는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 헤드부에서 테일부까지 일정하지 않게 구성되어, 기류가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 중의 서로 인접한 2개의 고정 블레이드(114) 사이의 유로(15)로 유입 시의 유동 분리를 개선하고, 유동 분리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기류가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 열에 있는 고정 블레이드(114) 사이의 유로(15)를 통과 시, 와류를 개선할 수 있고, 블레이드 루트(17) 부위의 유동 분리를 조절 통제할 수 있으며; 기류가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 열에 있는 고정 블레이드(114) 사이의 유로(15)로부터 유출 시의 기류 불균일성을 감소시키고, 확압 효과를 개선하는 동시에, 기류 유동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the
본 실시예에서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길이 방향은 베이스 링 부재(11)의 축방향으로 기울어지며,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길이 방향은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의 헤드부와 테일부를 연결하여 이루는 방향을 의미하며, 기류가 2개의 고정 블레이드(114) 사이의 유로(15)를 통과할 때, 기류 방향의 점차적인 변화를 유도하여 기류 에너지 손실을 줄여준다.In this embodimen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fixed
본 실시예에서, 디퓨저(10)가 다수 고정 블레이드(114) 열을 포함할 때, 고정 블레이드(114) 일 열 중의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두께(H)는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의 헤드부로부터 테일부까지 일정하지 않게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 중에 있는 여러 열의 고정 블레이드(114)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두께(H)는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의 헤드부에서 테일부까지 일정하지 않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각 고정 블레이드(114)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두께(H)는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의 헤드부에서 테일부까지 일정하지 않게 구성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본 실시예에서 두께(H)가 일정하지 않게 설정된 각 고정 블레이드(114)에 있어서,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두께(H)는 고정 블레이드(114)의 헤드부에서 테일부로 점차 증가하다가 다시 점차 감소하여, 기류가 고정 블레이드(114) 사이의 유로(15)를 통과할 때, 우선, 기류의 원주 속도 및 절대 속도를 점차적으로 감소시켜 이동 분리 손실을 줄여 준 후, 와류를 개선하여 기류가 고정 블레이드(114) 사이의 유로(15) 밖으로 유동할 때의 불균일성을 감소시켜 주고, 유동 분리 손실을 감소하고 확압 효과가 향상되며 기류의 유동 소음을 줄여 준다.In each
본 실시예에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두께(H)가 일정하지 않게 설정된 각 고정 블레이드(114)에 있어서: 각 고정 블레이드(114) 두께(H)가 최대인 부위의 위치 현의 길이(L5)는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의 현의 길이(L)의 30%~45%에 상당하며, 즉,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중간선 상의 각 점에 대응되는 두께(H)에 있어서, 최대 두께(H) 부위의 대응된 중간선 상의 점의 위치 현의 길이(L5)는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의 현의 길이(L)의 30%~45%에 상당하여; 기류가 고정 블레이드(114)에서 우선 기류의 원주 속도와 절대 속도를 감소시켜 준 후, 점차적으로 기류를 유도하여 기류의 유동 균일성을 개선하고, 기류의 유동 분리 손실을 감소시켜 주며, 확압 효과를 향상시켜 주고, 기류의 유동 소음을 줄여 준다.In this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 in each fixed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를 예로 들면: 제1 고정 블레이드(12)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두께(Ha)를 비항구불변적으로 설정될 때, 해당 각 고정 블레이드(114)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 중간선 상의 각 위치가 대응된 두께(Ha)에 있어서, 최대 두께(Ha)에 대응되는 점의 위치 현의 길이(L5a)는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의 현의 길이(La)의 30%~45%에 상당하다.Taking the first row of fixed
제 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를 예로 들면: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의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두께(Hb)가 일정하지 않게 설정될 때, 해당 각 고정 블레이드(114)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 중간선 상의 각 위치에 대응된 두께(Hb)에 있어서, 최대 두께(Hb)에 대응되는 점의 위치 현의 길이(L5b)는 고정 블레이드(114)의 현의 길이(Lb)의 30%~45%에 상당하다.Taking the second row of fixed
본 실시예에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두께(H)가 일치하지 않게 설정된 각 고정 블레이드(114)에 있어서, 각 고정 블레이드(114) 두께(H)가 최대인 부위의 위치 현의 길이(L5)는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의 현의 길이(L)의 35%~45%에 상당하며, 즉,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중간선 상의 각 점에 대응되는 두께(H)에 있어서, 최대 두께(H) 부위의 대응된 중간선 상의 점의 위치 현의 길이(L5)는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의 현의 길이(L)의 35%~45%에 상당하여, 기류의 유동 분리 손실을 감소시켜 주며, 와류를 개선하고, 확압 효과가 향상되며, 기류의 유동 소음을 줄여 준다.In this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 in each fixed
본 실시예에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에 있어서,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두께(Hb)는 다음 관계를 충족하며, 즉,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에 있어서,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중간선 상의 각 점에 대응하는 두께(Hb)는 다음의 관계를 충족한다:6 and 7, in the second row of fixed
각 고정 블레이드(114) 헤드부의 두께범위는 0.1-0.8mm이며;The thickness range of each fixed
각 고정 블레이드(114) 위치 현 길이(L5b)가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의 현의 길이(Lb)의 40%인 부위의 두께(Hb) 범위는 1.1-1.4mm이며;The thickness (Hb) range of each
각 고정 블레이드(114) 테일부의 두께 범위는 0.1-1mm이다.The thickness range of the tail portion of each fixed
이를 통해, 보다 양호하게 유동 분리 손실을 줄여 줄 수 있으며, 와류를 개선하고, 확압 효과가 향상되고, 기류 유동 소음을 줄여 준다.This can better reduce the flow separation loss, improve the vortex, improve the pressurization effect, and reduce the airflow flow noise.
본 실시예에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에 있어서,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두께(Hb)는 다음 관계를 충족하며, 즉,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에 있어서,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중간선 상의 각 점에 대응하는 두께(Hb)는 다음의 관계를 충족한다:6 and 7, in the second row of fixed
각 고정 블레이드(114) 헤드부의 두께범위는 0.1-0.8mm이며;The thickness range of each fixed
각 고정 블레이드(114) 위치 현 길이(L5b)가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 현의 길이(Lb)의 30%인 부위의 두께(Hb) 범위는 1-1.3mm이며;The thickness (Hb) range of each
각 고정 블레이드(114)위치 현 길이(L5b)가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의 현의 길이(Lb)의 40%인 부위의 두께(Hb) 범위는 1.1-1.4mm이며;The thickness (Hb) range of each
각 고정 블레이드(114) 위치 현 길이(L5b)가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의 현의 길이(Lb)의 50%인 부위의 두께(Hb) 범위는 1-1.3mm이며;The thickness (Hb) range of each
각 고정 블레이드(114) 위치 현 길이(L5b)가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의 현의 길이(Lb)의 60%인 부위의 두께(Hb) 범위는 0.9-1.2mm이며;The thickness (Hb) range of each
각 고정 블레이드(114) 위치 현 길이(L5b)가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의 현의 길이(Lb)의 70%인 부위의 두께(Hb) 범위는 0.8-1.1mm이며;The thickness (Hb) range of each fixed
각 고정 블레이드(114) 테일부의 두께 범위는 0.1-1mm이다.The thickness range of the tail portion of each fixed
이를 통해 보다 양호하게 고정 블레이드(114) 각 부위의 두께를 확정하고, 진일보로, 유동 분리 손실을 줄여 줄 수 있으며, 와류를 개선하고, 확압 효과가 향상되고, 기류 유동 소음을 줄여 준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better determine the thickness of each part of the fixed
본 실시예에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114) 중간선 상의 각 점에 대응된 두께(Hb)는 다음의 공식을 충족한다: In this embodiment, referring to FIGS. 6 and 7 , in the second row of fixed
T2≤Hb≤T1;T2≤Hb≤T1;
T1=0.82+0.68L1b-0.17L1b 2+0.011L1b3;T1=0.82+0.68L1b-0.17L1b 2 +0.011L1b 3 ;
T2=0.68L1b-0.17L1b2+0.011L1b3;T2=0.68L1b-0.17L1b 2 +0.011L1b 3 ;
여기서, L1b는 상기 고정 블레이드(114)의 중간선 상의 대응점에서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 헤드부까지의 거리, 즉, L1b는 고정 블레이드(114) 중간선 상의 대응점의 위치 현의 길이이며, L1b2는 L1b의 제곱이고, L1b3은 L1b의 세제곱, 0.68L1b는 L1b의 0.68배, 0.17L1b2는 L1b2의 0.17배, 0.011L1b3은 L1b3의 0.011배이며, T1은 상기 고정 블레이드(114)의 중간선 상에 있는 대응점 부위의 최대 두께 관계식이며, T2는 상기 고정 블레이드(114)의 중간선 상에 있는 대응점 부위의 최소 두께 관계식을 나타낸다.Here, L1b is the distance from the corresponding point on the midline of the
상기 공식을 통해,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중간선 상의 각 점에 대응되는 두께(Hb)를 통해, 보다 양호하게 유동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고, 기류의 불균일성과 와류를 개선하고, 확압 효과가 향상되며, 기류의 유동 소음을 줄여 줄 수 있다.Through the above formula, through the thickness Hb corresponding to each point on the midline of each fixed
본 실시예에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114) 중간선 상의 각 점에 대응된 두께(Hb)는 다음의 공식을 충족한다: Hb=0.32+0.68L1b-0.17L1b2+0.011L1b3. 여기서, L1b는 상기 고정 블레이드(114)의 중간선 상의 대응점에서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 헤드부까지의 거리, 즉, L1b는 고정 블레이드(114) 중간선 상의 대응점의 위치 현의 길이이며, L1b2는 L1b의 제곱이고, L1b3은 L1b의 세제곱, 0.68L1b는 L1b의 0.68배, 0.17L1b2는 L1b2의 0.17배, 0.011L1b3은 L1b3의 0.011배이다. 이를 통해, 보다 양호하게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두께를 확정하고, 유동 손실을 진일보로 줄여 주며,기류의 불균일성 및 와류 개선하고, 확압 효과가 향상되며, 기류 유동 소음을 줄여 준다.In this embodiment, referring to FIG. 7 , the thickness Hb corresponding to each point on the midline of each
본 실시예에서, 도 6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베이스 링 부재(11)의 외경 범위는 35-80mm이다. 이에 따라, 고정 블레이드(114)의 두께(H)가 베이스 링(11)과 보다 충분하게 매칭되어, 인접한 고정 블레이드(114) 사이의 유로(15)의 사이즈를 보장해 주고, 기류에 대한 저항. 에너지 손실이 감소되며, 확압 효과가 향상된다.In this embodiment, referring to FIGS. 6 and 8 together, the outer diameter range of the
본 실시예에서, 도 12를 참조하면, 두께(H)가 일정하지 않게 설정되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에 있어서,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중간선 상의 임의의 위치에 대응하는 블레이드 루트(17)의 두께는 H1이고, 해당 위치의 블레이드 팁(16)의 두께는 H2이며, H1≥H2, 즉,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중간선 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블레이드 루트(17)의 두께(H1)는 해당 위치에 있는 블레이드 팁(16) 부위의 두께(H2)보다 크거나 같게 설정하여, 보다 충분하게 블레이드 루트(17) 부근의 유동 분리를 조절해 주고 유동 분리 손실을 줄여주며, 확압 효과가 향상된다.In this embodiment, referring to FIG. 12 , in each fixed
본 실시예에서, 도 12를 참조하여, 두께(H)가 일정하지 않게 설정된 각 고정 블레이드(114)에 있어서, 0≤H1-H2≤0.5mm; 즉, 각 고정 블레이드(114) 임의의 위치의 블레이드 루트(17)는 블레이드 팁(16)에 비해 두께 차이가 0.5mm 이하로 설정되기에, 가공 제작이 편리하고, 각 고정 블레이드(114) 각 부위의 블레이드 팁(16)의 강도를 보장함과 동시에, 블레이드 루트(17) 부근의 유동 분리를 조절해 주고, 유동 분리 손실을 감소시켜 주어, 확산 효과를 향상시킨다.In this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FIG. 12 , in each fixed
본 실시예에서, 도 12를 참조하여, 두께(H)가 일정하지 않게 설정된 각 고정 블레이드(114)에 있어서, 각 고정 블레이드(114) 중간선 상의 각 부위의 두께(H)를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의 블레이드 루트(17)에서 블레이드 팁(16)까지 점차적으로 증가하도록 설정하여, 보다 충분하게 고정 블레이드 루트(17) 부근의 유동 분리를 조절해 주고, 유동 분리 손실을 감소시켜 주며 확압 효과가 향상된다.In this embodiment, referring to FIG. 12 , in each fixed
디퓨저(10) 사용 시, 기류는 이동 임펠러의 출구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및 원주방향으로 고속 유동하며, 윈드 커버의 극히 짧은 거리에서 축방향으로 전환하여 디퓨저(10)로 진입하기에, 이동 임펠러 출구 유동 분리가 엄중해 진다.When the
본 실시예에서,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장착 각도(θ)는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의 헤드부에서 테일부로 점차적으로 증가하도록 설정하여, 기류의 원주속도 및 절대속도를 점차 감소시켜 주어, 감속 증압의 효과를 향상시켜 주며, 동시에, 정적 블레이드(114)의 경사진 프로파일 표면(18)에 협력하여, 진일보로 유로(15)의 와류를 감소시키고, 에너지 손실을 줄여 주며, 증압 효과가 향상된다.In this embodiment, the mounting angle θ of each fixed
본 실시예에서, 고정 블레이드(114)의 상이한 위치의 현의 길이(L5)의 장착 각도(θ) 변화는 다음과 같다: 고정 블레이드(114)의 전반부 각 부위의 장착 각도(θ)는 기본적으로 입구 장착 각도(α)와 동일하여, 전반부 고정 블레이드(114) 사이의 유로(15) 면적을 균일하게 증가하여, 기류의 절대 속도를 균일하게 감소하고 증압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고정 블레이드(114)의 후반부 장착 각도(θ)는 입구 장착 각도(α)에서 출구 장착 각도(β)까지 증가하여 기류의 원주 속도 및 절대 속도를 줄여 주고, 진일보로 감속 및 과급 효과를 향상시켜 준다. In this embodiment, the change in the mounting angle θ of the length L5 of the chord at different positions of the fixed
본 실시예에서, 도 7을 참조하면,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에 있어서: 각 고정 블레이드(114) 입구의 장착 각도(αa) 범위는 5도~10도이다.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입구 장착 각도(αa)의 범위는 5도~10도이며, 이는 고정 블레이드(114)의 입구에서 높은 원주 속도를 가지도록 기류를 보다 충분하게 매칭하여, 기류의 절대 속도를 균일하게 감소시키고 증압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referring to FIG. 7 , in the fixed
본 실시예에서, 도 7을 참조하면,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에 있어서,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입구 장착 각도(αb )의 범위는 20도~ 60도이다. 각 고정 블레이드(114) 입구 장착 각도(αb) 범위는 20도~ 60도로 설정하여, 고정 블레이드(114) 입구가 고원주속도의 기류를 가지도록 보다 충분히 매칭해 주어, 기류의 절대 속도를 균일하게 감소시키고 증압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referring to FIG. 7 , in the
본 실시예에서,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에 있어서, 각 고정 블레이드(114) 입구의 장착 각도(αa) 범위는 5도~10도이다.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에 있어서,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입구 장착 각도(αb )의 범위는 20도~ 60도이다. 기류가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에서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로 유동하게 하여, 원주 속도와 절대 속도를 점차적으로 감소할 수 있으며,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 테일부 기류의 불균일성을 감소시키며, 진일보로 유동 손실을 감소 시키고, 증압 효과를 향상 시킬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in the fixed
본 실시예에서,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에 있어서,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출구 장착 각도(βa) 범위는 10도~ 20도이며, 기류가 고정 블레이드(114) 테일부로부터 유출되면서, 기류 각도 분포가 더 불균일해기 때문에, 출구 장착 각도(βa) 범위는 10도~ 20도로 설정하여, 고정 블레이드(114) 테일부 출구 유동의 불균일성을 진일보로 억제하여, 에너지 손실을 줄이고, 감속 및 증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fixed
본 실시예에서,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에 있어서: 각 고정 블레이드(114) 입구의 장착 각도(αa) 범위는 10도~20도이다.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에 있어서,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입구 장착 각도(αb) 범위는 20도~ 60도이다. 기류는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에서 제2열의 고정 블레이드(13)까지 유동하면서 원주 속도와 절대 속도가 점차적으로 감소할 수 있으며, 기류 유동 과정에서 유동 손실이 완만하게 감소되고, 증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for the fixed
본 실시예에서, 제2열의 고정 블레이드(13)에 있어서,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출구 장착 각도(βb) 범위는 50도~90도이며, 기류가 고정 블레이드(114) 테일부로부터 유출될 때, 기류 각도 분포가 더욱 불균일해 지기에, 출구 장착 각도(βb) 범위를 50도~90도로 설정하여, 고정 블레이드(114) 테일부 출구 유동의 불균일성을 진일보로 억제할 수 있어, 에너지 손실을 줄이고 감속 및 증압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in the fixed
본 실시예에서,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에 있어서, 각 고정 블레이드(114) 입구의 장착 각도(αa) 범위는 10도~20도이다.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에 있어서,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입구 장착 각도(αb) 범위는 50도~ 90도이다. 기류는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로부터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를 통과하여, 원주 속도와 절대 속도가 점차적으로 감소될 수 있으며,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 테일부의 기류 불균일성을 줄여주고, 증압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in the fixed
본 실시예에서, 제2열의 고정 블레이드(13)에 있어서,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출구 장착 각도(βb) 범위는 60도~90도이며, 각 고정 블레이드(114) 입구 장착 각도(ka) 범위를 25도~50도로 설정하여, 고정 블레이드(114) 테일부 출구 유동의 불균일성을 보다 충분하게 억제할 수 있어, 에너지 손실을 줄이고 감속 및 증압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in the second row of fixed
본 실시예에서, 각 고정 블레이드(114) 입구 장착 각도(α)가 베이스 링 부재(11)의 반경 방향을 따른 변화 폭은 10도 이하, 즉,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입구 장착 각도(α)가 블레이드 루트(17)에서 블레이드 팁(16)까지의 변화폭은 10도 이하이며,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블레이드 루트(17) 부위의 입구 장착 각도(α)는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 블레이드 팁(16)부위의 입구 장착 각도(α)보다 크거나 같게 설정하여, 한편으로, 가공 제작이 편리해 지고, 다른 한편으로, 유동 분리 손실이 감소되고 확산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hange width of the inlet mounting angle α of each fixed
본 실시예에서,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호 인접한 2개 열의 고정 블레이드(114)에 있어서, 다음 고정 블레이드(114) 일 열에 있는 고정 블레이드(114)의 수는 이전 고정 블레이드(114) 일 열에 있는 고정 블레이드(114) 수의 1.5~3배에 상당하다. 이전 고정 블레이드(114) 일 열에 있는 고정 블레이드(114)의 수는 상대적으로 적게 설정하고, 다음 고정 블레이드(114) 일 열에 있는 고정 블레이드(114)의 수는 더 많게 설정하여, 기류가 순차적으로 각 고정 블레이드(114) 열을 통과할 때, 점차적으로 기류 유도를 강화할 수 있고, 기류 감속과 증압을 향상 시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referring to FIGS. 6 and 8 , in two rows of fixed
본 실시예에서,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서로 인접한 2개 열의 고정 블레이드(114)에 있어서, 이전 고정 블레이드(114) 일 열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테일부가 베이스 링 부재(11)의 원주방향을 따라 인근에 있는 대응된 다음 고정 블레이드(114) 열에서 멀어지는 헤드부에 대한 각도는 20도 이하이다. 즉, 이전 고정 블레이드(114) 일 열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테일부 블레이드 루트(17)와 베이스 링 부재(11)의 축선을 관통하는 평면, 및 다음 고정 블레이드(114) 일 열에 있는 헤드부 블레이드 루트(17)와 베이스 링 부재(11)의 축선을 관통하는 평면에 있어서, 해당 2개 평면 사이의 협각은 20도 이하로 설정되어, 기류의 불균일성을 줄여 주고, 유동 분리 손실을 감소하고 증압 효과를 향상 시킨다. In this embodiment, referring to FIGS. 6 and 8 , in two rows of fixed
본 실시예에서, 도 14를 참조하면, 서로 인접한 2개 열의 고정 블레이드(114)에 있어서, 이전 고정 블레이드(114) 일 열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테일부는 인근에 있는 대응된 다음 고정 블레이드(114) 열의 헤드부와 맞춰 구성되어, 기류의 불균일성을 줄여 주고, 유동 분리 손실을 감소하고 증압 효과를 향상 시킨다. In this embodiment, referring to FIG. 14 , in two rows of
본 실시예에서 도 9, 도10 및 도11을 참조하면, 고정 블레이드(114) 상의 특정점 부위의 프로파일(18)의 경사각(Q)은, 고정 블레이드(114) 상의 해당 점을 통과하는 베이스 링 부재(11)의 반경 방향의 면에 있어서, 고정 블레이드(114)의 프로파일(18)과 해당 반경방향의 면이 교차하는 선분과 고정 블레이드(114) 상의 해당 점을 통과하는 반경방향의 선 사이의 협각을 지칭한다.9, 10 and 11 in this embodiment, the inclination angle Q of the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링 부재(11)의 반경 방향의 면은 베이스 링 부재(11)의 축방향에 수직인 평면을 지칭하며, 반경 방향의 선은 베이스 링 부재(11)의 반경 방향의 선이며, 베이스 링 부재(11)의 반경 방향의 선은 베이스 링 부재(11)가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을 의미하며, 고정 블레이드(114) 상의 해당 점을 통과하는 반경 방향의 선은 베이스 링 부재(11)의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해당 점을 통과하는 직선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adial face of the
본 실시예에서, 프로파일(18)이 경사지게 구성된 각 고정 블레이드(114)에 있어서,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헤드부 프로파일(18)의 경사각은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의 헤드부 프로파일(18)의 경사 각도보다 크거나 같다. 각 고정 블레이드(114)에 있는 테일부 프로파일(18)의 경사각은 헤드부 프로파일(18)의 경사각보다 크거나 같게 설정되어, 기류가 고정 블레이드(114) 사이의 유로(15) 통과 시, 고정 블레이드(114)는 점차적으로 기류에 대한 유도와 조절을 강화하여, 유로(15)의 와류를 개선하고 분리 손실을 줄여 주며, 진일보로, 기류의 에너지 손실과 소음을 줄여 준다.In this embodiment, for each fixed
본 실시예에서, 프로파일(18)이 경사지게 구성된 각 고정 블레이드(114)에 있어서,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프로파일(18)의 경사각은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의 헤드부로부터 테일부까지 점차적으로 증가하도록 설정되어, 기류가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 사이의 유로(15) 통과 시, 점차적으로 기류를 조절할 수 있어, 기류의 분리 손실을 개선하고, 에너지 손실과 소음을 줄여 줄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each fixed
본 실시예에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에 있어서,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헤드부 프로파일(18b)의 경사각은 Q1이고,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테일부 프로파일(18b)의 경사각은 Q2이며, Q2≥Q1을 충족시킨다.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테일부 프로파일(18b)의 경사각(Q1)은 헤드부 프로파일(18b)의 경사각(Q1) 이상으로 설정되어, 기류가 고정 블레이드(114) 사이에 있는 유로(15b)를 통과 시, 고정 블레이드(114)가 점차적으로 기류에 대한 유도와 조절을 강화하여, 유로(15b)의 와류를 개선하고, 분리 손실이 감소되며, 진일보로, 기류의 에너지 손실 및 소음이 감소된다.In this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 in the second row of fixed
본 실시예에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에 있어서, Q1의 값 범위는 0도~30도이며, 즉,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헤드부 프로파일(18b)의 경사각(Q1)이 30도 이하인 경우, 기류가 고정 블레이드(114) 사이의 유로(15b)로 유입될 때, 기류의 과도한 코너 각도 조절에 따른 비교적 큰 에너지 손실을 피할 수 있다. Q2의 값 범위는 0도~40도이며, 즉,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헤드부 프로파일(18b)의 경사각(Q2)을 40도 이하로 구성하여, 기류가 고정 블레이드(114) 사이의 유로(15b)를 통과 시, 과도한 기류 조절에 따른 비교적 큰 에너지 손실을 피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referring to FIGS. 9 and 10 , for the
본 실시예에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에 있어서, Q1의 값 범위는 12도~18도로 설정되어, 기류가 고정 블레이드(114) 사이의 유로(15b)로 유입할 때, 보다 충분하게 유동 분리 손실과 소음을 줄일 수 있다. Q2의 값 범위는 20도 ~ 35도이고, Q2 ≥ Q1을 충족시킨다. 기류가 고정 블레이드(114) 사이의 유로(15b) 통과 시, 보다 충분하게 유동 분리 손실을 감소시키고, 에너지 손실을 줄이고 기류의 유동 소음이 감소된다.In this embodiment, referring to FIGS. 9 and 10 , in the
본 실시예에서,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에 있어서, Q1의 값 범위는 0도~30도로 설정되어, 기류가 고정 블레이드(114) 사이에 있는 유로(15b)로 유입할 때 기류의 과도한 코너 각도 조절에 따른 비교적 큰 에너지 손실을 피할 수 있다. Q2의 값 범위는 15도~40도를 취하여, 기류가 고정 블레이드(114) 사이의 유로(15b)를 통과 시, 기류의 과도한 조절에 따른 비교적 큰 에너지 손실을 피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for the
본 실시예에서, 도 9를 참조하면, 각 고정 블레이드(114) 헤드부의 블레이드 루트(17) 및 베이스 링 부재(11) 축선에 대응된 평면과,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 테일부 블레이드 루트(17)와 베이스 링 부재(11) 축선의 대응된 평면 사이의 협각은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의 랩 각도(P)이다.In this embodiment, referring to FIG. 9 , a plane corresponding to the axis of the
본 실시예에서, 도 9를 참조하면, 서로 인접한 2개 열의 고정 블레이드(114)에 있어서, 이전 고정 블레이드(114) 일 열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랩 각도는 다음 고정 블레이드(114) 일 열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랩 각도보다 크거나 같다. 이전 고정 블레이드(114) 일 열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랩 각도를 크게 설정하면, 기류를 점차적으로 더 잘 유도하고, 분리 손실을 줄이고, 확압 효과를 향상 시킬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referring to FIG. 9 , in two rows of fixed
본 실시예에서, 도 7을 참조하여, 서로 인접한 2개 열의 고정 블레이드(114)에 있어서, 이전 고정 블레이드(114) 일 열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현의 길이(La)는 다음 고정 블레이드(114) 일 열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현의 길이(Lb)보다 크거나 같으며; 기류가 디퓨저(10)로 유입할 시, 비교적 큰 원주 속도를 가지게 되어, 기류가 각 고정 블레이드(114) 통과 시, 이전 고정 블레이드(114) 일 열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현의 길이를 비교적 길게 설정하여, 기류를 보다 충분히 유도할 수 있고, 기류의 원주 속도를 줄여주고, 각 열의 고정 블레이드(114)를 통해 점차적으로 유도하여 분리 손실을 줄여 줄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referring to FIG. 7 , in two rows of fixed
본 실시예에서, 도 13을 참조하면, 베이스 링 부재(11)의 축방향을 통과하는 평면은 해당 디퓨저(10)의 자오면이고, 각 고정 블레이드(114)는 베이스 링 부재(11)의 원주방향을 따라 자오면에 투영되어,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의 자오면투영면이 된다.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선단선(214)은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의 헤드부를 자오면에 투영하여 얻은 선분이다.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후단선(215)은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의 테일부를 자오면에 투영하여 얻은 선분이다. 베이스 링 부재(11)의 반경 방향의 면과 자오면투영면의 교차선은 베이스 링 부재(11)의 축 방향에 수직인 선분이다.In this embodiment, referring to FIG. 13 , a plane passing through the axial direction of the
본 실시예에서, 적어도 1개 열의 고정 블레이드(114)에 있어서,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선단선(214)은 베이스 링 부재(11)의 반경 방향의 면에 대해 경사지게 구성된다. 즉,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 열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 선단선(214)이 자오면투영면 상에서의 선분은 베이스 링 부재(11)의 반경 방향으로 경사지고, 유동 분리 손실을 줄이고 확압 효과가 향상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n at least one row of
본 실시예에서, 디퓨저(10)가 다수 고정 블레이드(114) 열을 포함할 때, 이 중 고정 블레이드(114) 일 열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선단선(214)은 베이스 링 부재(11)의 반경 방향의 면에 대해 경사지게 구성된다. 물론, 이 중 다수 고정 블레이드(114) 열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선단선(214)을 베이스 링 부재(11)의 반경 방향의 면에 대해 경사지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각 고정 블레이드(114) 열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선단선(214)을 베이스 링 부재(11)의 반경 방향의 면에 대해 경사지게 구성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when the
본 실시예에서, 도 13을 참조하여,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선단선(214)과 상기 베이스 링 부재(11)의 반경 방향의 면 사이의 경사각(B1)의 절대값은 25도 이하이다.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선단선(214)과 베이스 링 부재(11)의 반경 방향의 면 사이의 경사각(B1)의 절대값은 25도 이하로 설정하여, 유동 분리 손실을 보다 충분히 줄이고, 확압 효과가 향상된다.In this embodiment, referring to FIG. 13 , in the second row of fixed
본 실시예에서, 도 13를 참조하여,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에 있어서, 각 고정 블레이드(114) 선단선(214)에서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의 테일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성하여, 블레이드 루트(17) 부근의 유동 분리를 진일보로 조절해 주며, 유동 분리 손실을 감소해 주고, 확압 효과가 향상된다.In this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FIG. 13 , in the second row of fixed
본 실시예에서, 적어도 1개 열의 고정 블레이드(114)에 있어서,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후단선(215)은 베이스 링 부재(11)의 반경 방향의 면에 대해 경사지게 구성된다. 즉,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 열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 후단선(215)이 자오면투영면 상에서의 선분은 베이스 링 부재(11)의 반경 방향으로 경사지고, 고정 블레이드(114) 출구 부위의 기류 유동 불균일성을 줄이고 확압 효과가 향상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n at least one row of fixed
본 실시예에서, 디퓨저(10)가 다수 고정 블레이드(114) 열을 포함할 때, 이 중 고정 블레이드(114) 일 열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후선단(215)은 베이스 링 부재(11)의 반경 방향의 면에 대해 경사지게 구성된다. 물론, 이 중 다수 고정 블레이드(114) 열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후단선(215)을 베이스 링 부재(11)의 반경 방향의 면에 대해 경사지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각 고정 블레이드(114) 열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후단선(215)을 베이스 링 부재(11)의 반경 방향의 면에 대해 경사지게 구성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본 실시예에서, 도 13을 참조하여,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후단선(215)과 상기 베이스 링 부재(11)의 반경 방향의 면 사이의 경사각(B2)의 절대값은 30도 이하이다.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후단선(215)과 베이스 링 부재(11)의 반경 방향의 면 사이의 경사각(B2)의 절대값은 30도 이하로 설정하여, 고정 블레이드(114) 출구 부위의 기류 유동 균일성을 보다 충분히 개선해 주고, 확압 효과가 향상된다.In this embodiment, referring to FIG. 13 , in the second row of fixed
본 실시예에서, 디퓨저(10)는 하우징(미도시)을 더 포함하며, 베이스 링 부재(11)는 하우징 내부에 구성되고, 각 고정 블레이드(114)는 베이스 링 부재(11)와 하우징 사이에 위치된다. 하우징을 구성하여 각 고정 블레이드(114)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베이스 링 부재(11)와 하우징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여, 기류가 유동하는 통로를 보다 충분히 한정하여, 해당 디퓨저(10)가 상이한 송풍 장치에서의 사용상 일관성을 보장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본 실시예에서,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상부면 면적의 적어도 80%의 영역은 하우징의 내표면과 접촉하며, 즉,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블레이드 팁(16) 면적의 적어도 80%의 영역은 하우징 내표면과 접촉하여, 보다 충분하게 각 고정 블레이드(114), 베이스 링 부재(11) 및 하우징을 통해 기류가 통과하는 유로(15)를 한정하여, 기류 유동을 보다 충분히 유도해 주어, 확압 효과를 향상켜 준다.In this embodiment, an area of at least 80% of the area of the top surface of each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 베이스 링 부재(11) 및 각 고정 블레이드(114)는 일체로 형성되어, 하우징과 각 고정 블레이드(114) 사이의 양호한 연결을 보장함과 동시에 해당 디퓨저(10)의 강도를 증가시킨다.In this embodiment, the housing, the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별도로 제작되어, 고정 블레이드(114)를 갖는 베이스 링 부재(11)를 하우징 내부에 구성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housing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and the
본 실시예에서 디퓨저(10)를 통해 유로(15)의 와류를 양호하게 개선할 수 있고, 분리 손실과 에너지 손실을 줄이며, 증압 효과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기류 유동 소음도 줄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디퓨저(10)를 사용는 송풍 장치의 경우, 비교적 큰 흡력을 생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동 소음도 비교적 작다. 본 실시예의 디퓨저(10)는 송풍 장치 뿐만 아니라 집진 장비, 레인지후드, 헤어드라이어 등과 같은 가전제품에도 적용될 수 있다.Through the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송풍 장치(20)를 더 제공하며, 해당 송풍 장치(20)는 프레임(221), 임펠러(31),윈드 커버(32), 모터(222) 및 상기 임의의 실시예에 기재된 상기 디퓨저(10)를 포함하며; 디퓨저(10)는 프레임(221)에 설치되고, 임펠러(31)는 디퓨저(10)의 전단에 구성되며, 윈드 커버(32)는 임펠러(31) 위를 커버하며, 윈드 커버(32)는 프레임(221) 상에 장착되며, 모터(222)는 프레임(221) 내부에 장착되고, 모터(222)는 임펠러(31)에 연결된다. 해당 송풍 장치(20)는 상술한 실시예의 디퓨저(10)를 사용함으로써, 에너지 손실을 감소시키고 작동 소음을 줄여, 전력이 같은 상황에서 보다 큰 흡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provides a
본 실시예에서, 도 15를 참조하면, 베이스 링 부재(11)에 베어링(225)이 설치되고, 모터(222)의 구동축(224)은 베어링(225)을 관통하여 임펠러(31)에 연결되어, 모터(222)가 보다 원활하게 임펠러(31)의 회동을 구동하게 한다.In this embodiment, referring to FIG. 15 , a
본 실시예에서, 도 15를 참조하면, 임펠러(31)는 폐쇄형 원심 임펠러(31a)이다. 본 실시예에서 임펠러(31)는 개방형 원심 임펠러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11을 참조하면, 임펠러(31)는 혼류형 임펠러(31b)일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referring to Fig. 15, the impeller 31 is a closed centrifugal impeller 31a. In this embodiment, the impeller 31 may be an open centrifugal impeller. In this embodiment, referring to FIG. 11 , the impeller 31 may be a mixed flow impeller 31b.
본 실시예에서, 도 16을 참조하면, 윈드 커버(32)는 디퓨저(10)의 테일부로 연장될 수 있으며, 즉, 윈드 커버(32)는 임펠러(31)와 디퓨저(10)를 동시에 커버하여, 임펠러(31) 출구의 기류를 보다 양호하게 디퓨저(10)로 유도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referring to FIG. 16 , the wind cover 32 may extend to the tail portion of the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221)은 윈드 커버(32)와 일체로 형성되어 프레임(221)과 원드 커버(32) 사이의 연결 강도를 보장해준다.In this embodiment, the
본 실시예에 기재된 송풍 장치(20)는 청소기, 레인지후드, 헤어드라이어, 팬 등의 가전제품에도 적용될 수 있다.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임의의 실시예에 기재된 상기 송풍 장치(20)를 포함하는 집진 장비를 더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기재된 집진 장비는 상술한 송풍 장치(20)를 사용하여, 고출력 및 고효율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소음 또한 낮다.In this embodiment, the dust collection equipment including the
실시예3:Example 3:
본 실시예는 실시예 2에 비해 다음과 같은 상이한 부분을 포함한다: 도 6,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다수 고정 블레이드(114) 열에 있어서, 적어도 일 열의 고정 블레이드(114)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프로파일(18)은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의 일측에 경사지게 구성된다.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의 프로파일(18)은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의 일측으로 경사지게 구성되며, 즉,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의 프로파일(18)의 높이 방향은 베이스 링 부재(11)의 반경방향으로 경사지게 구성되어, 기류가 고정 블레이드(114) 이탈 시, 경계층 분리를 효과적으로 개선하여, 분리 손실을 줄이고, 고정 블레이드(114) 사이의 유로(15)에 생성되는 와류를 개선하며, 진일보로, 유동 손실을 줄여주고, 기류의 에너지 손실 및 기류 유동에 따른 소음이 감소된다.This embodiment includes the following different parts compared to Embodiment 2: With reference to FIGS. 6, 9 and 10 , in a row of multiple
본 실시예에서,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프로파일(18a)은 경사지게 구성될수 있어, 기류가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 통과 시, 기류의 절대 속도를 감소시키면서, 분리 손실이 감소되고, 증압 효과를 향상 시킨다.In this embodiment, the
본 실시예에서,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2 고정 블레이드(13)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프로파일(18b)은 경사지게 구성될 수 있서, 기류가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 통과 시, 기류의 절대 속도를 감소시키면서, 분리 손실이 감소되고, 증압 효과를 향상 시킨다.In this embodiment, referring to FIGS. 6 and 8 , the
본 실시예에서, 제1 고정 블레이드(12)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 및 제2 고정 블레이드(13)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 의 프로파일(18) 모두를 경사지게 구성할 수 있어, 기류 속도와 분리 손실을 보다 충분히 감소 시키며, 기류의 불균일도를 줄여주고, 증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both the
본 실시예에서, 디퓨저(10)가 다수 고정 블레이드(114) 열을 포함할 때, 이 중, 고정 블레이드(114) 일 열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프로파일(18)은 경사지게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이 중에서 여러 열의 고정 블레이드(114)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프로파일(18)은 경사지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각 고정 블레이드(114) 열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프로파일(18)은 경사지게 구성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when the
본 실시예에서, 프로파일(18)이 경사지게 구성된 각 고정 블레이드(114)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레이드(114)의 프로파일(18)은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을 향한 흡력면(19)의 일측에 경사지게 구성된다. 기류의 경계층 분리를 보다 양호하게 개선할 수 있으며, 고정 블레이드(114) 사이의 유로(15)에 생성되는 와류를 개선하며, 에너지 손실 및 기류 유동에 따른 소음이 감소된다.In this embodiment, in each fixed
본 실시예에서,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프로파일(18)을 경사지게 구성할 경우, 해당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프로파일(18)은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를 향한 흡력면(19)의 일측에 경사지게 구성된다.In this embodiment, when the
본 실시예에서, 도 6 및 도 9을 참조하여,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프로파일(18b)을 경사지게 구성할 경우, 해당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프로파일(18b)은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을 향한 흡력면(19)의 일측에 경사지게 구성된다.In this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9 , when the
본 실시예에서, 프로파일(18)이 경사지게 구성된 각 고정 블레이드(114)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레이드(114)의 프로파일(18)은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을 향한 압력면(14)의 일측에 경사지게 구성된다. 기류의 불균일성을 보다 양호하게 개선할 수 있으며, 고정 블레이드(114) 사이의 유로(15)에 생성되는 와류를 개선하며, 에너지 손실 및 기류 유동에 따른 소음이 감소된다.In this embodiment, in each fixed
본 실시예에서,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프로파일(18a)을 경사지게 구성할 경우, 해당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12)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프로파일(18a)은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을 향한 압력면(14a)의 일측에 경사지게 구성된다.In this embodiment, when the
본 실시예에서, 도 6 및 도 9을 참조하면,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프로파일(18b)을 경사지게 설정할 경우, 해당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13)에 있는 각 고정 블레이드(114)의 프로파일(18)은 해당 고정 블레이드(114)을 향한 압력면(14b)의 일측에 경사지게 구성된다.In this embodiment, referring to FIGS. 6 and 9 , when the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함이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와 원칙을 벗어나지 않는 한, 이루어진 모든 수정, 동등 교체 및 개선 등은 전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The foregoing is only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all modifications, equivalent replacements and improvements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and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cluded 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디퓨저;11―베이스 링 부재;
12―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
13―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 14―압력면; 15―유로;
16― 블레이드 팁; 17 ―블레이드 루트; 18― 프로파일;
19―흡력면; 20 ―송풍 장치;
21―윈드 커버;
22 ―구동기구; 23―이동 임펠러; 24―공기 유입구;
111 ―외환벽; 112―내환벽; 113―장착홀;
114―고정 블레이드; 221―프레임; 222―모터;
223 ―회로 기판; 224 ―구동축; 225― 베어링.10 - diffuser; 11 - base ring member;
12—the first row of fixed blades;
13—Second row of fixed blades; 14 - pressure side; 15 - euros;
16— blade tip; 17 - Blade Root; 18—profile;
19 - suction side; 20 — blower;
21 - wind cover;
22 - drive mechanism; 23 - moving impeller; 24 - air inlet;
111 - foreign exchange wall; 112—Environment-resistant wall; 113 - mounting hole;
114 - fixed blade; 221 - frame; 222 - motor;
223 - circuit board; 224 - drive shaft; 225— Bearings.
Claims (58)
각 열에 있는 상기 고정 블레이드는 순차적으로 상기 베이스 링 부재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 링 부재의 외환벽 상에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 링 부재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베이스 링 부재는 상기 축방향을 따라 베이스 링 부재의 상대적인 양측에 각각 공기 유입측과 배출측을 구성하여, 상기 유입측에서 상기 배출측까지, 상기 고정 블레이드 일 열의 현의 길이는 인접한 다음 고정 블레이드 열의 현 길이보다 크거나 같으며;
상기 고정 블레이드는 장착 각도를 구비하며, 상기 공기 유입측에서 상기 공기 배출측까지, 상기 고정 블레이드 일 열의 장착 각도는 인접한 다음 상기 고정 블레이드 일 열의 장착 각도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A diffuser comprising a base ring member and a plurality of stationary blade rows, the diffuser comprising:
The fixed blades in each row are sequentially configured on the foreign exchange wall of the base ring member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base ring member,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ase ring member, the base ring member in the axial direction to constitute an air inlet side and an outlet side respectively on the relative opposite sides of the base ring member along, from the inlet side to the outlet side, the length of the chord of one row of fixed blade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length of the chord of the next adjacent row of fixed blades, ;
wherein the fixed blades have a mounting angle, and from the air inlet side to the air outlet side, the mounting angle of the one row of stationary blades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mounting angle of the next row of stationary blades.
상기 고정 블레이드의 헤드부는 입구 장착 각도를 구비하며, 상기 공기 유입측에서 상기 공기 배출측까지, 상기 고정 블레이드 일 열의 상기 입구 장착 각도는 인접한 다음 열의 상기 고정 블레이드의 상기 입구 장착 각도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According to claim 1,
the head portion of the fixed blade has an inlet mounting angle, from the air inlet side to the air outlet side, the inlet mounting angle of one row of fixed blades being less than or equal to the inlet mounting angle of the stationary blades of the adjacent next row Features a diffuser.
상기 고정 블레이드의 테일부는 출구 장착 각도를 구비하며, 상기 공기 유입측에서 상기 공기 배출측까지, 상기 고정 블레이드 일 열의 상기 출구 장착 각도는 인접한 다음 열의 상기 고정 블레이드의 상기 출구 장착 각도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3. The method of claim 2,
the tail portion of the fixed blade has an outlet mounting angle, from the air inlet side to the air outlet side, the outlet mounting angle of one row of fixed blades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outlet mounting angle of the fixed blades of the next adjacent row Features a diffuser.
상기 공기 유입측에서 상기 공기 배출측까지, 상기 고정 블레이드 일 열의 상기 출구 장착 각도는 인접한 다음 열의 상기 고정 블레이드의 상기 입구 장착 각도보다 작거나 같으며; 또는, 상기 고정 블레이드 일 열의 상기 출구 장착 각도는 인접한 다음 열의 고정 블레이드의 상기 입구 장착 각도보다 크거나 같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4. The method of claim 3,
from the air inlet side to the air outlet side, the outlet mounting angle of one row of fixed blades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inlet mounting angle of the fixed blades of an adjacent next row; Alternatively, the outlet mounting angle of one row of the fixed blades is configured to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inlet mounting angle of the fixed blades of the next adjacent row.
상기 디퓨저는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와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와 상기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는 상기 공기 유입측에서 상기 공기 유출측을 향해 상기 베이스 링 부재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 링 부재의 외환벽 상에 순차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5. The method of claim 4,
The diffuser includes a first row of stationary blades and a second row of stationary blades, wherein the first row of stationary blades and the second row of stationary blades are arranged in an axial direction of the base ring member from the air inlet side toward the air outlet side Diffuser, characterized in that sequentially configured on the foreign exchange wall of the base ring member along the.
상기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의 입구 장착 각도의 값은 5°~20°이고, 상기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의 입구 장착 각도의 값은 20°~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6. The method of claim 5,
The diffu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value of the inlet mounting angle of the fixed blades in the first row is 5° to 20°, and the value of the inlet mounting angle of the fixed blades in the second row is 20° to 40°.
상기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의 출구 장착 각도의 값은 10°~60°이고, 상기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의 출구 장착 각도의 값은 60°~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6. The method of claim 5,
The diffu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value of the exit mounting angle of the fixed blades in the first row is 10° to 60°, and the value of the exit mounting angle of the fixed blades in the second row is 60° to 80°.
상기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의 현의 길이와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의 현의 길이의 비는 1 내지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6. The method of claim 5,
The diffu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chords of the fixed blades of the first row to the length of the chords of the fixed blades of the second row is 1 to 5 or less.
상기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의 블레이드 수는 상기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의 블레이드 수 이하이며, 상기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 및 상기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는 각각 외환벽의 원주 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분포되며, 상기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 및 상기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는 상기 외환벽의 축방향을 따라 서로 어긋나게 분포되며, 상기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 중의 적어도 1개의 고정 블레이드의 헤드부 또는 테일부와 상기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 중의 1개의 고정 블레이드의 헤드부 또는 테일부가 외환벽의 축방향에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6. The method of claim 5,
The number of blades of the fixed blades of the first row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number of blades of the fixed blades of the second row, and the fixed blades of the first row and the fixed blades of the second row are uniformly distribut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oreign exchange wall, respectively, and The fixed blades of the first row and the fixed blades of the second row are displaced from each other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foreign exchange wall, and the head or tail of at least one of the fixed blades of the first row and the second row are fixed A diffuser, characterized in that a head portion or a tail portion of one of the fixed blades is align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oreign exchange wall.
상기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의 블레이드 수는 6개~20개이고, 상기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의 블레이드 수는 10개~30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10. The method of claim 9,
Diffu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blades of the fixed blades in the first row is 6-20, and the number of blades of the fixed blades in the second row is 10-30.
상기 제1 열의 고정 블레이드의 헤드부와 상기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의 테일부 사이의 상기 베이스 링 부재의 축 방향을 따른 간격은 3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6. The method of claim 5,
The diffus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distance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base ring member between the head of the fixed blades in the first row and the tail of the fixed blades in the second row is 3 mm or less.
상기 출구 장착 각도는 상기 고정 블레이드의 블레이드 루트 부위에 위치한 제1 출구 장착 각도 및 상기 고정 블레이드의 블레이드 팁 부위에 위치한 제2 출구 장착 각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출구 장착 각도와 상기 제2 출구 장착 각도의 값 차이는 0°~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12.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11,
The outlet mounting angle includes a first outlet mounting angle located at a blade root portion of the fixed blade and a second outlet mounting angle located at a blade tip portion of the fixed blade, the first outlet mounting angle and the second outlet mounting angle Diffu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ifference in the value of the angle is 0° to 20°.
상기 고정 블레이드는 원호형 블레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According to claim 1,
The fixed blade is a diffu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arc-shaped blade.
상기 다수 고정 블레이드는 상기 베이스 링 부재의 축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다수 열로 구성되고, 각 고정 블레이드에 있는 상기 고정 블레이드 수는 다수 개이며, 각 고정 블레이드 열에서 상기 다수 고정 블레이드는 상기 베이스 링 부재의 원주 방향을 따라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 링 부재의 횡단면은 원형을 나타내며; 상기 다수 고정 블레이드 열에서 적어도 1개의 고정 블레이드 열에 있는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의 두께는 헤드부에서 테일부까지 일정하지 않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A diffuser comprising a base ring member and a plurality of fixed blades,
The plurality of fixed blades are sequentially configured in a plurality of rows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base ring member, the number of the fixed blades in each fixed blade is plural, and in each fixed blade row, the plurality of fixed blades is the base ring member. configured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wherein the cross-section of the base ring member is circular; The diffus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ckness of each fixed blade in at least one fixed blade row in the plurality of stationary blade rows is not constant from the head portion to the tail portion.
두께가 일정하지 않게 설정된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의 두께는 상기 고정 블레이드의 헤드부에서 테일부로 점차 증가하다가 다시 점차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15. The method of claim 14,
In each of the fixed blades having a non-uniform thickness, the thickness of each of the fixed blades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head portion to the tail portion of the fixed blade and then gradually decreases again.
두께가 일정하지 않게 설정된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의 두께가 최대인 부위의 위치 현의 길이는 해당 고정 블레이드 현의 길이의 30%~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16. The method of claim 15,
In each of the fixed blades having a non-uniform thickness, the length of the chord at the location where the thickness of each of the fixed blades is maximum is 30% to 45% of the length of the chord of the fixed blade.
제2 고정 블레이드의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의 중간선 상의 각 점에 대응하는 두께는,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 헤드부의 두께범위는 0.1-0.8mm이며;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 위치 현 길이가 해당 고정 블레이드의 현의 길이의 40%인 부위의 두께 범위는 1.1-1.4mm이며;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 테일부의 두께 범위는 0.1-1mm인 관계를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thickness corresponding to each point on the midline of each fixed blade of the second fixed blade is,
The thickness range of each fixed blade head is 0.1-0.8mm;
The thickness of each stationary blade location chord length of 40% of the chord length of the stationary blade is 1.1-1.4mm;
The diffu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range of each fixed blade tail portion satisfies the relationship of 0.1-1mm.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 중간선 상의 각 점에 대응된 두께는 다음의 공식:
T2≤Hb≤T1;
T1=0.82+0.68L1b-0.17L1b2+0.011L1b3;
T2=0.68L1b-0.17L1b2+0.011L1b3;을 충족하며,
여기서, L1b는 상기 고정 블레이드의 중간선 상의 대응점에서 해당 고정 블레이드 헤드부까지의 거리이며, L1b2는 L1b의 제곱이고, L1b3은 L1b의 세제곱이며, T1은 상기 고정 블레이드의 중간선 상에 있는 대응점 부위의 최대 두께 관계식이며, T2는 상기 고정 블레이드의 중간선 상에 있는 대응점 부위의 최소 두께 관계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15. The method of claim 14,
For the second row of stationary blades, the thickness corresponding to each point on the midline of each stationary blade is calculated by the formula:
T2≤Hb≤T1;
T1=0.82+0.68L1b-0.17L1b 2 +0.011L1b 3 ;
T2=0.68L1b-0.17L1b 2 +0.011L1b 3 ;
where L1b is the distance from the corresponding point on the midline of the stationary blade to the head of the stationary blade, L1b 2 is the square of L1b, L1b 3 is the cube of L1b, and T1 is on the midline of the stationary blade. Diffu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aximum thickness relational expression of the corresponding point portion, and T2 is the minimum thickness relational expression of the corresponding point portion on the midline of the fixed blade.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 중간선 상의 각 점에 대응된 두께는 다음의 공식:
Hb=0.32+0.68L1b-0.17L1b2+0.011L1b3 을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19. The method of claim 18,
For the second row of stationary blades, the thickness corresponding to each point on the midline of each stationary blade is calculated by the formula:
A diffuser, characterized in that it satisfies Hb=0.32+0.68L1b-0.17L1b 2 +0.011L1b 3 .
두께가 일정하지 않게 설정된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의 중간선 상의 임의의 위치에 대응되는 블레이드 루트와 블레이드 팁의 두께는 각각 H1과 H2이며, H1≥H2을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15. The method of claim 14,
In each of the fixed blades with non-uniform thickness, the thickness of the blade root and the blade tip corresponding to an arbitrary position on the midline of each fixed blade is H1 and H2, respectively, and H1 ≥ H2, characterized in that a diffuser.
0≤H1-H2≤0.5mm를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21. The method of claim 20,
Diffuser, characterized in that 0≤H1-H2≤0.5mm.
적어도 1개 열의 상기 고정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의 선단선은 상기 베이스 링 부재의 반경 방향의 면에 대해 경사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15. The method of claim 14,
In at least one row of the stationary blades, a front end of each stationary blade is configur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a radial surface of the base ring member.
제2 열의 상기 고정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의 선단선과 상기 베이스 링 부재의 반경 방향의 면 사이의 경사각의 절대값은 25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23. The method of claim 22,
In the second row of the stationary blades, the absolute value of the inclination angle between the leading edge of each stationary blade and the radial surface of the base ring member is 25 degrees or less.
적어도 1개 열의 상기 고정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의 후단선은 상기 베이스 링 부재의 반경 방향의 면에 대해 경사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15. The method of claim 14,
In at least one row of the fixed blades, a rear end line of each of the fixed blades is configur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a radial surface of the base ring member.
제2 열의 상기 고정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의 선단선과 상기 베이스 링 부재의 반경 방향의 면 사이의 경사각의 절대값은 30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24. The method of claim 23,
In the second row of the stationary blades, the absolute value of the inclination angle between the leading edge of each stationary blade and the radial surface of the base ring member is 30 degrees or less.
서로 인접한 2개 열의 상기 고정 블레이드에 있어서, 이전 고정 블레이드 일 열에 있는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의 현의 길이는, 다음 고정 블레이드 일 열에 있는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의 현의 길이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15. The method of claim 14,
In the two rows of fixed blades adjacent to each other, the chord length of each stationary blade in one row of previous stationary blade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length of the chords of each stationary blade in one row of next stationary blades. .
서로 인접한 2개 열의 상기 고정 블레이드에 있어서, 다음 고정 블레이드 일 열에 있는 고정 블레이드 수는, 이전 고정 블레이드 일 열에 있는 고정 블레이드 수의 1.5~3배에 상당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15. The method of claim 14,
In the two rows of fixed blades adjacent to each other, the number of stationary blades in the next row of stationary blades is equivalent to 1.5 to 3 times the number of stationary blades in the row of previous stationary blades.
서로 인접한 2개 열의 상기 고정 블레이드에 있어서, 이전 고정 블레이드 일 열에 있는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의 랩 각도는, 다음 고정 블레이드 일 열에 있는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의 랩 각도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15. The method of claim 14,
In the two rows of fixed blades adjacent to each other, the lap angle of each stationary blade in a previous row of stationary blade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wrap angle of each stationary blade in a row of next stationary blades.
서로 인접한 2개 열의 상기 고정 블레이드에 있어서, 이전 고정 블레이드 일 열에 있는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의 테일부는, 인근에 있는 다음 열의 대응된 상기 고정 블레이드의 헤드부에 맞춰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in said two rows of said stationary blades adjacent to each other, the tail portion of each stationary blade in one row of said stationary blades is adapted to match the head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stationary blade in the next adjacent row.
서로 인접한 2개 열의 상기 고정 블레이드에 있어서, 이전 고정 블레이드 일 열에 있는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의 테일부가 상기 베이스 링 부재의 원주방향을 따라 인근에 있는 대응된 다음 고정 블레이드 열에서 멀어지는 헤드부 각도는 20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15. The method of claim 14,
In the two rows of fixed blades adjacent to each other, the angle of the head portion away from the corresponding next fixed blade row adjacen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ase ring member is 20 degrees Diffu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ollowing.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 상의 각 부위의 장착 각도는 해당 고정 블레이드의 헤드부로부터 테일부까지 점차적으로 증가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diffu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angle of each part on each fixed blade is set to gradually increase from the head portion to the tail portion of the fixed blade.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 입구의 장착 각도가 상기 베이스 링 부재의 반경 방향을 따른 변화 폭은 10도 이하이며,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의 블레이드 루트 부위의 입구 장착 각도는 해당 고정 블레이드의 블레이드 팁 부위의 입구 장착 각도보다 크거나 같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mounting angle of the inlet of each fixed blade has a variation width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base ring member of 10 degrees or less, and the inlet mounting angle of the blade root portion of each fixed blade is the inlet mounting angle of the blade tip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fixed blade. A diffus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t to be greater than or equal to.
상기 디퓨저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링 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성되며,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는 상기 베이스 링 부재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diffuser further comprises a housing, wherein the base ring member is configured inside the housing, and each of the stationary blades is positioned between the base ring member and the housing.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의 상부면의 적어도 80%의 영역은 상기 하우징의 내표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34. The method of claim 33,
and an area of at least 80% of the upper surface of each stationary blade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상기 다수 고정 블레이드는 상기 베이스 링 부재의 축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다수 열로 구성되고, 각 고정 블레이드 열에서 상기 다수 고정 블레이드는 상기 베이스 링 부재의 원주 방향을 따라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 링 부재의 횡단면은 원형을 나타내며; 상기 다수 고정 블레이드 열에서 적어도 1개의 고정 블레이드 열에 있는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의 프로파일은 해당 고정 블레이드의 일측을 향해 경사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 A diffuser comprising a base ring member and a plurality of fixed blades,
The plurality of stationary blades are sequentially configured in a plurality of rows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base ring member, and in each stationary blade row, the plurality of stationary blades are configur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ase ring member,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base ring member is represents a circle; The diffus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file of each fixed blade in at least one fixed blade row in the plurality of stationary blade rows is configured to be inclined toward one side of the fixed blade row.
프로파일이 경사지게 구성된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레이드의 프로파일은 해당 고정 블레이드을 향한 흡력면의 일측에 경사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36. The method of claim 35,
In each of the fixed blades having an inclined profile, the profile of the fixed blade is configured to be inclined on one side of the suction surface facing the fixed blade.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의 테일부 프로파일의 경사각은 해당 고정 블레이드의 헤드부 프로파일의 경사각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37. The method of claim 36,
The diffu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tail portion profile of each fixed blad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head portion profile of the fixed blade.
제2 열에 있는 상기 고정 블레이드의 프로파일은 해당 고정 블레이드를 향한 흡력면의 일측에 경사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36. The method of claim 35,
The diffu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file of the fixed blades in the second row is configured to be inclined on one side of the suction surface toward the fixed blade.
상기 제2 열의 고정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의 헤드부 프로파일의 경사각은 Q1이고,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의 테일부 프로파일의 경사각은 Q2이며, Q1의 값 범위는 0도~30도이며, Q2의 값 범위는 0도~4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39. The method of claim 38,
In the second row of fixed blade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head portion profile of each fixed blade is Q1,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tail portion profile of each fixed blade is Q2, the value of Q1 ranges from 0 degrees to 30 degrees, Q2 The value range of the diffuser, characterized in that 0 to 40 degrees.
프로파일이 경사지게 구성된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레이드의 프로파일은 해당 고정 블레이드을 향한 압력면의 일측에 경사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36. The method of claim 35,
In each of the fixed blades having an inclined profile, the profile of the fixed blade is configured to be inclined on one side of the pressure surface facing the fixed blade.
프로파일이 경사지게 구성된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의 프로파일의 경사각은 해당 고정 블레이드의 헤드부로부터 테일부까지 점차적으로 증가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36. The method of claim 35,
In each of the fixed blades having an inclined profil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profile of each fixed blade is set to gradually increase from the head portion to the tail portion of the fixed blade.
적어도 1개 열의 상기 고정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의 선단선은 상기 베이스 링 부재의 반경 방향의 면에 대해 경사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36. The method of claim 35,
In at least one row of the stationary blades, a front end of each stationary blade is configur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a radial surface of the base ring member.
제2 열의 상기 고정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의 선단선과 상기 베이스 링 부재의 반경 방향의 면 사이의 경사각의 절대값은 25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43. The method of claim 42,
In the second row of the stationary blades, the absolute value of the inclination angle between the leading edge of each stationary blade and the radial surface of the base ring member is 25 degrees or less.
적어도 1개 열의 상기 고정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의 후단선은 상기 베이스 링 부재의 반경 방향의 면에 대해 경사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36. The method of claim 35,
In at least one row of the fixed blades, a rear end line of each of the fixed blades is configur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a radial surface of the base ring member.
제2 열의 상기 고정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의 선단선과 상기 베이스 링 부재의 반경 방향의 면 사이의 경사각의 절대값은 30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45. The method of claim 44,
In the second row of the stationary blades, the absolute value of the inclination angle between the leading edge of each stationary blade and the radial surface of the base ring member is 30 degrees or less.
서로 인접한 2개 열의 상기 고정 블레이드에 있어서, 이전 고정 블레이드 일 열에 있는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의 현의 길이는, 다음 고정 블레이드 일 열에 있는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의 현의 길이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36. The method of claim 35,
In the two rows of fixed blades adjacent to each other, the chord length of each stationary blade in one row of previous stationary blade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length of the chords of each stationary blade in one row of next stationary blades. .
서로 인접한 2개 열의 상기 고정 블레이드에 있어서, 다음 고정 블레이드 일 열에 있는 고정 블레이드 수는, 이전 고정 블레이드 일 열에 있는 고정 블레이드 수의 1.5~3배에 상당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36. The method of claim 35,
In the two rows of fixed blades adjacent to each other, the number of stationary blades in the next row of stationary blades is equivalent to 1.5 to 3 times the number of stationary blades in the row of previous stationary blades.
서로 인접한 2개 열의 상기 고정 블레이드에 있어서, 이전 고정 블레이드 일 열에 있는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의 랩 각도는, 다음 고정 블레이드 일 열에 있는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의 랩 각도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36. The method of claim 35,
In the two rows of fixed blades adjacent to each other, the lap angle of each stationary blade in a previous row of stationary blade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wrap angle of each stationary blade in a row of next stationary blades.
서로 인접한 2개 열의 상기 고정 블레이드에 있어서, 이전 고정 블레이드 일 열에 있는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의 테일부는, 인근에 있는 다음 열의 대응된 상기 고정 블레이드의 헤드부에 맞춰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36. The method of claim 35,
wherein in said two rows of said stationary blades adjacent to each other, the tail portion of each stationary blade in one row of said stationary blades is adapted to match the head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stationary blade in the next adjacent row.
서로 인접한 2개 열의 상기 고정 블레이드에 있어서, 이전 고정 블레이드 일 열에 있는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의 테일부가 상기 베이스 링 부재의 원주방향을 따라 인근에 있는 대응된 다음 고정 블레이드 열에서 멀어지는 헤드부 각도는 20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36. The method of claim 35,
In the two rows of fixed blades adjacent to each other, the angle of the head portion away from the corresponding next fixed blade row adjacen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ase ring member is 20 degrees Diffu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ollowing.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 상의 각 부위의 장착 각도는 해당 고정 블레이드의 헤드부로부터 테일부까지 점차적으로 증가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36. The method of claim 35,
The diffu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angle of each part on each fixed blade is set to gradually increase from the head portion to the tail portion of the fixed blade.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 입구의 장착 각도가 상기 베이스 링 부재의 반경 방향을 따른 변화 폭은 10도 이하이며,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의 블레이드 루트 부위의 입구 장착 각도는 해당 고정 블레이드의 블레이드 팁 부위의 입구 장착 각도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36. The method of claim 35,
The mounting angle of the inlet of each fixed blade has a variation width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base ring member of 10 degrees or less, and the inlet mounting angle of the blade root portion of each fixed blade is the inlet mounting angle of the blade tip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fixed blade. Diffuser, characterized in that set above.
제2 열의 상기 고정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의 입구 장착 각도 범위는 20도~6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36. The method of claim 35,
In the second row of the fixed blades, the diffu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let mounting angle range of each of the fixed blades is 20 to 60 degrees.
제2 열의 상기 고정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의 출구 장착 각도 범위는 50도~9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36. The method of claim 35,
In the second row of the fixed blades, the diffu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let mounting angle range of each of the fixed blades is 50 degrees to 90 degrees.
상기 디퓨저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링 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성되며,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는 상기 베이스 링 부재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36. The method of claim 35,
The diffuser further comprises a housing, wherein the base ring member is configured inside the housing, and each of the stationary blades is positioned between the base ring member and the housing.
상기 각 고정 블레이드의 상부면의 적어도 80%의 영역은 상기 하우징의 내표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56. The method of claim 55,
and an area of at least 80% of the upper surface of each stationary blade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2010010952.7 | 2020-01-06 | ||
CN202010011558.5 | 2020-01-06 | ||
CN202010010950.8A CN113074138B (en) | 2020-01-06 | 2020-01-06 | Diffusion device, fan and dust catcher |
CN202010011558.5A CN113074142B (en) | 2020-01-06 | 2020-01-06 | Diffusion device, fan and dust catcher |
CN202010010950.8 | 2020-01-06 | ||
CN202010010952.7A CN113074140B (en) | 2020-01-06 | 2020-01-06 | Diffuser, air supply device and dust collector |
PCT/CN2020/137650 WO2021139508A1 (en) | 2020-01-06 | 2020-12-18 | Diffuser, air supply apparatus, and dust collection equipm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9992A true KR20220079992A (en) | 2022-06-14 |
Family
ID=76787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16870A Ceased KR20220079992A (en) | 2020-01-06 | 2020-12-18 | Diffusers, blowers and dust collectors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2241479B2 (en) |
EP (1) | EP4050222A4 (en) |
JP (3) | JP7407931B2 (en) |
KR (1) | KR20220079992A (en) |
WO (1) | WO2021139508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183402A (en) * | 2020-09-14 | 2022-03-15 | 北京石头世纪科技股份有限公司 | Fan and cleaning equipment |
Family Cites Families (3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798661A (en) * | 1954-03-05 | 1957-07-09 | Westinghouse Electric Corp | Gas turbine power plant apparatus |
US3173604A (en) * | 1962-02-15 | 1965-03-16 | Gen Dynamics Corp | Mixed flow turbo machine |
US3861826A (en) * | 1972-08-14 | 1975-01-21 | Caterpillar Tractor Co | Cascade diffuser having thin, straight vanes |
US5152661A (en) * | 1988-05-27 | 1992-10-06 | Sheets Herman E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fluid pressure and controlling boundary layer |
US4981414A (en) * | 1988-05-27 | 1991-01-01 | Sheets Herman E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fluid pressure and controlling boundary layer |
JPH04505199A (en) | 1989-02-14 | 1992-09-10 | エアフロー リサーチ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ュアリング コーポレーション | Centrifugal blower with airfoil vanes in a circular spiral envelope |
US4946348A (en) * | 1989-02-14 | 1990-08-07 | Airflow Research & Manufacturing Corporation | Centrifugal fan with airfoil vanes in annular volute envelope |
JP3110205B2 (en) * | 1993-04-28 | 2000-11-20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Centrifugal compressor and diffuser with blades |
CN2209231Y (en) | 1994-09-27 | 1995-10-04 | 李洛虎 | Rotary axial-flow fan |
US5743710A (en) | 1996-02-29 | 1998-04-28 | Bosch Automotive Motor Systems Corporation | Streamlined annular volute for centrifugal blower |
JPH11173296A (en) | 1997-12-11 | 1999-06-29 | Ebara Corp | Diffuser device for pump |
JPH11257290A (en) | 1998-03-13 | 1999-09-21 |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 Centrifugal compressor diffuser |
US8016557B2 (en) | 2005-08-09 | 2011-09-13 | Praxair Technology, Inc. | Airfoil diffuser for a centrifugal compressor |
EP1873402A1 (en) | 2006-06-26 | 2008-01-02 | Siemens Aktiengesellschaft | Compressor in particular for turbocharger |
RU2402695C1 (en) * | 2009-06-19 | 2010-10-27 |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овомет-Пермь" | Distributor of radial-flow multistage pump |
US8602728B2 (en) | 2010-02-05 | 2013-12-10 | Cameron International Corporation | Centrifugal compressor diffuser vanelet |
JP5544318B2 (en) | 2011-03-01 | 2014-07-09 |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 Electric blower and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the same |
EP2765893B1 (en) | 2011-10-13 | 2016-11-30 | Aktiebolaget Electrolux | Vacuum cleaner |
DE102012202491B3 (en) | 2012-02-17 | 2013-08-08 | E.G.O. Elektro-Gerätebau GmbH | Guide wheel for an impeller pump and impeller pump |
US20130280060A1 (en) | 2012-04-23 | 2013-10-24 | Shakeel Nasir | Compressor diffuser having vanes with variable cross-sections |
AU2014372177B2 (en) | 2013-12-23 | 2018-11-08 |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 Blower for breathing apparatus |
US10024335B2 (en) | 2014-06-26 | 2018-07-17 | General Electric Company | Apparatus for transferring energy between a rotating element and fluid |
US20150377240A1 (en) | 2014-06-27 | 2015-12-31 | Electro-Motive Diesel Inc. | Turbocharger having vaned compressor inlet recirculation passage |
DE102014223942A1 (en) | 2014-11-25 | 2016-06-30 | Ksb Aktiengesellschaft | Centrifugal pump with a guide |
DE102015207800A1 (en) | 2015-04-28 | 2016-11-03 | Ziehl-Abegg Se | Diagonal or centrifugal fan, guide for such a fan and system with such a fan or with several such fans |
CN106089807A (en) | 2016-06-28 | 2016-11-09 | 中国科学院工程热物理研究所 | A kind of diffuser based on fractal blade |
CN106640768B (en) | 2016-10-18 | 2023-06-16 |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 Centrifugal fan and dust collector with same |
US10641282B2 (en) * | 2016-12-28 | 2020-05-05 | Nidec Corporation | Fan device and vacuum cleaner including the same |
JP2018105268A (en) | 2016-12-28 | 2018-07-05 | 日本電産株式会社 | Blowing device and cleaner equipped with the same |
CN206636838U (en) | 2017-03-30 | 2017-11-14 | 苏州工业园区星德胜电机有限公司 | A kind of new diffuser and the blower fan including the diffuser |
JP2018173020A (en) | 2017-03-31 | 2018-11-08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Centrifugal compressor |
JP2018193940A (en) * | 2017-05-18 | 2018-12-06 | 日本電産株式会社 | Blower and cleaner |
JP7145588B2 (en) | 2017-06-14 | 2022-10-03 |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Electric blower and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the same |
CN108644152B (en) | 2018-04-04 | 2020-05-15 | 中国航发湖南动力机械研究所 | Diffuser twisted blade, design method, diffuser and centrifugal/oblique flow compressor |
GB2573813A (en) * | 2018-05-18 | 2019-11-20 | Dyson Technology Ltd | A Compressor |
CN110513304B (en) * | 2018-05-22 | 2021-09-21 |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 Centrifugal fan and dust collector |
CN208634069U (en) | 2018-05-31 | 2019-03-22 |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 Diagonal flow fan and household appliance |
CN211666920U (en) * | 2020-01-06 | 2020-10-13 | 广东威灵电机制造有限公司 | Air supply device and dust collector |
CN212079745U (en) * | 2020-05-13 | 2020-12-04 | 广东威灵电机制造有限公司 | Diffusion device, fan and dust catcher |
-
2020
- 2020-12-18 KR KR1020227016870A patent/KR20220079992A/en not_active Ceased
- 2020-12-18 EP EP20911796.9A patent/EP4050222A4/en active Pending
- 2020-12-18 JP JP2022529913A patent/JP7407931B2/en active Active
- 2020-12-18 WO PCT/CN2020/137650 patent/WO2021139508A1/en unknown
-
2022
- 2022-06-01 US US17/829,872 patent/US12241479B2/en active Active
-
2023
- 2023-06-28 JP JP2023106405A patent/JP7616702B2/en active Active
- 2023-06-28 JP JP2023106404A patent/JP7521873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23115279A (en) | 2023-08-18 |
JP7407931B2 (en) | 2024-01-04 |
EP4050222A4 (en) | 2022-12-21 |
JP7616702B2 (en) | 2025-01-17 |
US12241479B2 (en) | 2025-03-04 |
JP7521873B2 (en) | 2024-07-24 |
JP2023503929A (en) | 2023-02-01 |
EP4050222A1 (en) | 2022-08-31 |
WO2021139508A1 (en) | 2021-07-15 |
JP2023115280A (en) | 2023-08-18 |
US20220290689A1 (en) | 2022-09-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066194A (en) | Fan orifice structure and cover for outside enclosure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 |
CN108252949A (en) | Mixed flow wind wheel and flow-mixing blower fan | |
CN211398054U (en) | Diffusion device, fan and dust catcher | |
CN109779970A (en) | Fin-shaped bionic noise reduction centrifugal fan | |
US20230332604A1 (en) | Fan Assembly and Vacuum Cleaner | |
CN113074141B (en) | Diffuser, air supply device and dust collector | |
CN107339260B (en) | Boosting flow centrifugal fan | |
CN106368983A (en) | High-efficiency low-noise pearly nautilus bionic fan | |
CN209925295U (en) | Fin-shaped bionic noise-reduction centrifugal fan | |
JP7521873B2 (en) | Diffusers, blowers and dust collection equipment | |
CN113074127B (en) | Air supply device and dust collector | |
CN118855731B (en) | Blowing equipment | |
CN112879352B (en) | Air supply device and dust collector | |
CN113074138B (en) | Diffusion device, fan and dust catcher | |
CN113074139B (en) | Diffusion device, fan and dust collector | |
CN216447178U (en) | Backward centrifugal fan | |
CN215109624U (en) | Combined fan and cooking utensil | |
CN113074142B (en) | Diffusion device, fan and dust catcher | |
CN222436671U (en) | A centrifugal fan | |
CN222026041U (en) | Centrifugal fan | |
CN222924650U (en) | A multi-blade centrifugal fan impeller | |
CN223152366U (en) | Axial flow fan, axial flow fan and air supply equipment | |
CN223152361U (en) | Axial flow fan and air conditioner | |
CN218915112U (en) | Diversion structure and raise boring machine with same | |
CN223152367U (en) | Axial flow fan, axial flow fan and air supply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2051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410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