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078548A -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uum space - Google Patents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uum sp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8548A
KR20220078548A KR1020220066274A KR20220066274A KR20220078548A KR 20220078548 A KR20220078548 A KR 20220078548A KR 1020220066274 A KR1020220066274 A KR 1020220066274A KR 20220066274 A KR20220066274 A KR 20220066274A KR 20220078548 A KR20220078548 A KR 20220078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ase
case
space
pipe
pipe pa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62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47150B1 (en
Inventor
정원영
윤덕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00452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408210B1/en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6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7150B1/en
Publication of KR20220078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8548A/en
Priority to KR1020230078988A priority patent/KR10265960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7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715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1Walls with condui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6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 F16L59/065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using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2Rigid pipes of metal
    • F16L9/06Corrugate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4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subatmospheric pres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를 구성하는 외부케이스와 내부케이스 사이에 진공 공간부를 형성하여 냉장고의 단열기능을 제고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는, 소정의 저장물이 수용될 수 있는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내측으로 상기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연통구가 형성된 내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가 수용되되, 그 내면이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면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내부케이스의 연통구과 대응되는 위치에 연통구가 형성된 외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사이에 마련되며, 그 내부가 밀폐되어 진공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사이의 단열작용을 수행하는 진공 공간부와; 상기 진공 공간부에서 상기 내부케이스의 연통구와 외부케이스의 연통구를 연결하여 배수 또는 배관이 통과하는 통로를 이루는 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having a vacuum space por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frigerator capable of improving the insulation function of the refrigerator by forming a vacuum space portion between an outer case and an inner case constituting the main body.
The refrigerator having a vacuum spa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storage space in which a predetermined storage material can be accommodated, wherein the main body has an inner case in which the storage space is formed inside and a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on one side. Wow; an outer case in which the inner case is accommodated, the inner surface of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hole of the inner case; a vacuum space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the inside of which is sealed and maintained in a vacuum state to perform an insulating action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ng pipe that connects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inner case and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outer case in the vacuum space part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drainage or piping passes.

Description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uum space}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uum space

본 발명은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를 구성하는 외부케이스와 내부케이스 사이에 진공 공간부를 형성하여 냉장고의 단열기능을 제고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having a vacuum space por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frigerator capable of improving the insulation function of the refrigerator by forming a vacuum space portion between an outer case and an inner case constituting the main body.

냉장고는 냉매 사이클을 이용하여 저장실의 온도를 영상 또는 영하의 온도로 유지하여, 저장물을 냉장보관 또는 냉동보관할 수 있는 전기 제품이다. BACKGROUND ART A refrigerator is an electrical appliance that can refrigerate or freeze storage by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a storage room at a temperature above zero or below zero by using a refrigerant cycle.

냉장고의 일반적인 구성을 보면, 저장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거나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그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한다.A general configuration of a refrigerator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storage space for storing stored items, and a door rotatably or slidably arranged on the main body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space.

본체의 경우,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내부케이스와, 내부케이스가 수용되는 외부케이스를 포함하는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사이에는 단열재가 배치되어 있다.The main body includes an inner case in which a storage space is formed and an outer case in which the inner case is accommodated, and a heat insulating material is disposed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이러한 단열재에 의하여 외부 온도에 의하여 저장공간 내의 온도가 영향받는 것이 억제된다.The temperature in the storage space is suppressed from being affected by the external temperature by such a heat insulating material.

상기 단열재로는 우레탄 발포재가 많이 사용되는데, 액상의 우레탄을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사이의 공간에 주입하여 발포 성형하였다.As the insulating material, a urethane foam material is often used, and liquid urethane is injec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and foamed.

다만, 단열재를 이용하여 단열효과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단열재의 두께가 어느 정도 확보되어야 하고, 이는 그만큼 단열재가 두꺼워지는 것을 의미하며, 자연적으로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간의 벽 두께가 두꺼워져서 냉장고의 크기가 그만큼 커지게 된다.However, in order to realize the insulation effect using the insulation material,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on material must be secured to a certain extent, which means that the insulation material becomes thicker. it gets bigger

그런데, 최근에는 냉장고의 컴팩트화 경향이 대두되어, 내부 저장공간의 용적은 크게 하면서도 외부 크기는 종전보다 감소시킬 수 있는 구조의 필요성이 나타났다.However, in recent years, the trend of compact refrigerators has emerged, and the need for a structure capable of increasing the internal storage space while reducing the external size has emerged.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냉장고의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사이에 단열재를 주입하는 것이 아니라, 진공 공간부를 형성하여 단열하는 새로운 구조의 냉장고를 제안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refrigerator of a new structure in which a vacuum space is formed to insulate, rather than injecting an insulating material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of the refrigerator.

한편, 냉장고에서는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증발기에 수증기가 냉각되어 서리로 되어 붙으므로 이를 가열하여 물로 만든 다음 제거하는 제상장치가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refrigerator, since water vapor is cooled and adheres to the evaporator constituting the refrigerating cycle, a defrosting device is provided that heats it to make water and then removes it.

이렇게 제상장치에 의해 융해된 물은 배수관을 통해 냉장고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연결되는데, 상기 배수관은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및 그 사이의 단열재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결된다.The water melted by the defrosting device is connected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through a drain pipe, and the drain pipe is connec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and the insulating material therebetween.

또한, 이러한 배수관 외에도 냉장고 내부에서 외부로 배관이 연결되는 경우가 있다.Also, in addition to the drain pipe, a pipe may be connected from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to the outside.

종래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사이의 공간에 발포재가 구비되는 냉장고의 경우에, 상기 배관은 상기 내부케이스, 단열재 및 외부케이스를 관통하도록 파이프를 단순히 연결하면 되었다.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refrigerator in which a foam material is provided i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the pipe may simply be connected to a pipe so as to pass through the inner case, the insulating material and the outer case.

그래서, 상기 파이프는 단순히 플라스틱으로 성형한 것을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를 관통하도록 배관한 다음 상기 단열재를 발포 성형하였다.So, the pipe was simply molded from plastic, and then piped to pass through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and then the insulating material was foam-molded.

그러나, 본 발명의 진공 냉장고의 경우, 상기 배관이 진공 공간부를 통과하도록 연결되면서도 진공 공간부의 밀폐 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플라스틱 파이프를 사용하는 경우 연결 부위의 밀폐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진공 공간부의 진공 압력을 견딜 수 없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vacuum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ipe must be connected to pass through the vacuum space while maintaining the sealed state of the vacuum space, when a plastic pipe is used, it is difficult not only to seal the connection part, but also to reduce the vacuum pressure of the vacuum space. I have an intolerable problem.

게다가, 일반적으로 강판으로 형성되는 상기 내부케이스 및 외부케이스와 용접될 수 있는 금속 파이프를 사용하여 상기 배관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배관을 통해 열전달이 이루어져 냉장고의 단열 성능이 저해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pipe is formed using a metal pipe that can be welded to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which are generally made of a steel plate, there is a problem in that heat transfer occurs through the pipe, thereby impairing the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refrigerator.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사이에 진공공간을 형성하여 단열 효과를 높이는 한편, 외부 용적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forming a vacuum space between an inner case and an outer case to increase the thermal insulation effect and to achieve a compact external volume. have.

또한,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사이에 진공공간이 형성되면서도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가 외부 충격에 의해 변형되지 않고 그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지지구조를 가진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having a support structure capable of maintaining a gap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without being deformed by an external impact while a vacuum space is formed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또한, 본 발명은 진공 공간부를 관통하는 배수, 배관 또는 냉매관이 통과하면서 진공 압력을 견딜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연결관을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including a connection pip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withstanding vacuum pressure while a drain, pipe, or refrigerant pipe passing through a vacuum space passes.

또한, 진공 공간부를 관통하도록 연결된 연결관을 통한 열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연결관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ion pipe structure capable of minimizing heat transfer through the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pass through the vacuum spa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는, 소정의 저장물이 수용될 수 있는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내측으로 상기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연통구가 형성된 내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가 수용되되, 그 내면이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면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내부케이스의 연통구과 대응되는 위치에 연통구가 형성된 외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사이에 마련되며, 그 내부가 밀폐되어 진공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사이의 단열작용을 수행하는 진공 공간부와; 상기 진공 공간부에서 상기 내부케이스의 연통구와 외부케이스의 연통구를 연결하여 배수 또는 배관이 통과하는 통로를 이루는 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refrigerator having a vacuum space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storage space in which a predetermined storage material can be accommodated, wherein the main body has the storage space formed inside and one side of the refrigerator. an inner case in which a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an outer case in which the inner case is accommodated, the inner surface of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hole of the inner case; a vacuum space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the inside of which is sealed and maintained in a vacuum state to perform an insulating action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ng pipe that connects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inner case and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outer case in the vacuum space part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drainage or piping passes.

상기 연결관은 상기 진공 공간부의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강도를 유지하고 전도에 의한 열전달을 최소화하도록 그 측벽이 주름진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onnecting pipe has a corrugated sidewall to maintain strength to maintain airtightness of the vacuum space and to minimiz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상기 연결관은 벨로우즈(bellows) 타입의 파이프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ng pipe is preferably in the form of a bellows type pipe.

상기 연결관은 금속 박판을 성형하여 제작되고 상기 내부케이스 및 상기 외부케이스와 각각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pipe is manufactured by molding a thin metal plate and welded to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respectively.

상기 연결관의 측벽 주름부는 0.05~0.2mm의 금속 박판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ide wall corrugation of the connector is made of a thin metal plate of 0.05 to 0.2 mm.

상기 본체는,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의 서로 마주보는 표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구비되는 제1지지판과, 상기 제1지지판에 고정 배치되어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in body includes a first support plat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surfaces facing each other of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and is fixed to the first support plate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pacers.

상기 본체는,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의 서로 마주보는 표면 중 적어도 어느 타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지지판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second support plat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surfaces facing each other of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and disposed to face the first support plate.

상기 제2지지판의 내측면에는 상기 복수의 스페이스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late includes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so that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spaces are inserted.

상기 연결관은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와 간섭되지 않도록 스페이서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onnecting pipe is spaced apart from the spacers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plurality of spacers.

상기 연결관은 상기 제1지지판 및 상기 제2지지판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케이스 및 상기 외부케이스와 각각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onnection pipe penetrates the first support plate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and is welded to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respectively.

상기 연결관은 그 내면에 부식방지를 위해 플라스틱으로 코팅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ng pipe is preferably coated with plastic to prevent corrosion on its inner surface.

상기한 본 발명의 상기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의하면,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사이에 통상의 단열재가 아닌 진공 공간부를 형성하고, 이러한 진공 공간부에 의하여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간의 열 전달이 억제되는 단열작용이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vacuum space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not a conventional heat insulator, and heat transfer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is suppressed by the vacuum space portion. action takes place

진공 상태의 단열효과가 통상적인 단열재에 의한 단열효과보다 현저하게 우수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종래의 냉장고보다 단열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Since the thermal insulation effect in a vacuum state is significantly superior to the thermal insulation effect of the conventional thermal insulator,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thermal insulation is superior to that of the conventional refrigerator.

한편, 진공 공간부의 경우, 그 두께(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간의 간격)에 무관하게 진공 상태만 유지되면 단열이 되나, 통상의 단열재의 경우, 단열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단열재의 두께를 두껍게 해야 하고, 이러한 두께의 증가는 곧 냉장고의 크기의 증가로 이어진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vacuum space part, if only the vacuum state is maintained regardless of the thickness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heat insulation is achieved. The increase in thickness leads to an increase in the size of the refrigerator.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종래의 냉장고와 비교하여, 그 저장공간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도, 외부케이스 부분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서, 냉장고의 컴팩트화에 기여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size of the outer case portion while maintaining the same storage space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refrigerator, thereby contributing to the compactness of the refrigerator.

또한, 진공 공간부를 관통하는 배수 또는 배관이 통과하면서 진공 압력을 견딜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연결관을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including a connection pip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withstanding vacuum pressure while a drain or pipe passing through the vacuum space passes.

또한,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사이의 진공 공간부를 관통하도록 연결된 연결관을 통한 열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heat transfer through the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penetrate the vacuum space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그리고, 상기 연결관의 측벽부의 적어도 일부를 벨로우즈 타입의 파이프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탄성 변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다.In addition, since at least a portion of the side wall of the connection pipe is formed in a bellows-type pipe shape, elastic deformation is possible, and thus durability against external impact is excellen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에서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사이의 진공 공간부를 관통하여 연결관이 연결된 것을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연결관과 그 주위의 내부케이스 및 외부케이스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연결관을 별도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및 그 사이의 스페이서와 그 조립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케이스 구조에 도 4의 연결관이 용접되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연결관 내면에 플라스틱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a connector is connected through a vacuum space between an inner case and an outer case i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necting tube of FIG. 2 and an inner case and an outer case around it.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eparately showing the connector of Figure 3;
5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ner case and an outer case, a spacer therebetween, and an assembly structure thereof.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pipe of FIG. 4 is welded and assembled to the case structure of FIG. 5 .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at a plastic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or of FIG. 3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에서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사이의 진공 공간부를 관통하여 연결관이 연결된 것을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도 2의 연결관과 그 주위의 내부케이스 및 외부케이스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연결관을 별도로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1 shows an example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a connector is connected through a vacuum space between an inner case and an outer case i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necting pipe of FIG. 2 and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around it.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separately.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저장실이 형성되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좌측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도어(4)와, 상기 본체(1)의 우측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도어(5)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 in which a storage compartment is formed, a first door 4 rotatably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main body 1 , and the main body 1 . and a second door 5 rotatably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

여기서, 상기 제1도어(4)는 저장실 중 냉동실을 개폐하고, 제2도어(5)는 저장실 중 냉장실을 개폐하는 기능을 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조의 냉장고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first door 4 opens and closes the freezing compartment of the storage compartment, and the second door 5 functions to open and clos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of the storage compartmen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refrigerator having this structure.

즉, 도 1의 냉장고는 냉동실이 좌측에 배치되고 냉장실이 우측에 배치된 소위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by-side type) 냉장고이나, 본 발명의 냉장고는 냉장실과 냉동실이 어떻게 배치되든지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냉장실 또는 냉동실만 구비된 냉장고나 냉장실 및 냉동실 이외에 별도의 냉각실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at is, the refrigerator of FIG. 1 is a so-called side-by-side type refrigerator in which the freezing compartment is disposed on the lef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on the right side, but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frigerator of any type regardless of how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are arranged. Can be applied to refrigerators. In addition,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refrigerator having only a refrigerating compartment or a freezing compartment, or a refrigerator further including a separate cooling compartment in addition to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상기 본체(1)의 구조를 보면, 내측으로 상기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내부케이스(110)와; 상기 내부케이스가 수용되되, 상기 내부케이스와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외부케이스(120)와;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사이에 마련되며, 그 내부가 밀폐되어 진공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사이의 단열작용을 수행하는 진공 공간부(130)와; 상기 진공 공간부에서 상기 내부케이스의 연통구(112)와 외부케이스의 연통구(122)를 연결하여 배수 또는 배관이 통과하는 통로를 이루는 연결관(200)을 포함한다.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main body 1, the inner case 110 in which the storage space is formed on the inside; an outer case 120 in which the inner case is accommodated and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as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vacuum space unit 130 provided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the inside of which is sealed and maintained in a vacuum state, to perform an insulating action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In the vacuum space portion, the communication port 112 of the inner case and the communication port 122 of the outer case are connected, and a connection pipe 200 forming a passage through which a drain or pipe passes is included.

상기 외부케이스(120)와 내부케이스(110)는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으며, 이 공간에는 별도의 단열재가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오로지 진공 상태로 유지되어 단열작용을 한다.The outer case 120 and the inner case 110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separate insulating material is not disposed in this space, but is maintained only in a vacuum state to perform an insulating action.

즉, 상기 외부케이스(120)와 내부케이스(110) 사이에는 진공 공간부(130)가 형성됨으로서, 상기 내부케이스(110)와 상기 외부케이스(120) 간의 열전달을 매개하는 매질이 제거된 상태를 유지한다.That is, the vacuum space 130 is formed between the outer case 120 and the inner case 110, so that the medium mediating the heat transfer between the inner case 110 and the outer case 120 is removed. keep

그럼으로써 상기 외부케이스(120) 외부의 더운 공기의 열이 상기 내부케이스(110) 및 그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eat of the hot air outside the outer case 120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inner case 110 and the inside thereof.

한편, 도 1에서는 편의상 상기 연결관(200)을 생략한 상태로 상기 내부케이스(110)와 외부케이스(120) 및 스페이서(150)를 도시하였다.Meanwhile, in FIG. 1 , the inner case 110 , the outer case 120 , and the spacer 150 are illustrated in a state where the connection pipe 200 is omitted for convenience.

상기 연결관(200)과 상기 스페이서(150)에 대하여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한다.The connection pipe 200 and the spacer 1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상기 연결관(200)은 이를 통해 증발기 등의 제상수를 배출하기 위한 통로로 이용되거나 상기 내부케이스(110)의 내부로부터 외부케이스(120)의 외부로 연결되는 배관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로서 이용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ipe 200 is used as a passage for discharging defrost water such as an evaporator, or a passage through which a pipe connected from the inside of the inner case 110 to the outside of the outer case 120 can pass. can be

상기 연결관(200)은 진공 공간부(130)를 관통하면서 진공 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진공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상기 내부케이스(110) 및 외부케이스(120)와의 연결부가 각각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connection pipe 200 has to maintain a vacuum state while penetrating the vacuum space 130 ,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portions with the inner case 110 and the outer case 120 are each welded to withstand the vacuum pressure.

이를 위해, 상기 내부케이스(110) 및 외부케이스(120)는 모두 강판으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상기 연결관(200)은 강판과 용접될 수 있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since both the inner case 110 and the outer case 120 are generally made of a steel plate, the connecting pipe 200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that can be welded to the steel plate.

또한, 상기 연결관(200)은 상기 진공 공간부(130)의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강도를 유지하고 전도에 의한 열전달을 최소화하도록 그 측벽이 주름진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ide wall of the connector 200 is corrugated to maintain strength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of the vacuum space 130 and to minimiz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상기 연결관(200)의 주름진 형태로 이루어진 측벽 부분을 측벽 주름부(240)라 명명한다.A sidewall portion of the connector 200 having a corrugated shape is referred to as a sidewall corrugation 240 .

이 측벽 주름부(240)는 진공 공간부(130) 내외의 진공 압력차를 견뎌야 하므로 강도가 우수해야 한다.The sidewall corrugation 240 has to withstand the vacuum pressure difference inside and outside the vacuum space 130 , so it must have excellent strength.

큰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단순히 두꺼운 강판으로 파이프 형태의 연결관을 만들어 용접하여 연결하는 경우, 강도는 충분할지 모르나 연결관을 통해 전도되는 열에 의해 단열 성능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In the case of simply making a pipe-type connector with a thick steel plate and welding it to secure high strength, the strength may be sufficient, but the heat insulation performance may be significantly reduced due to heat conducted through the connector.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측벽 주름부(2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구멍이 뚫린 복수의 금속 박판을 적층하되 그 내경 부위와 외경 부위끼리 순차적으로 용접하여 측면 윤곽이 지그재그 형태를 이루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prevent this, as shown in FIG. 3 , the side wall wrinkle part 240 is laminated with a plurality of thin metal plates with holes therein, but the inner and outer diameter portions are sequentially welded to form a zigzag side profile. It is preferable to be manufactured to achieve this.

이러한 측벽 주름부(240)의 형태를 벨로우즈(bellows) 타입의 파이프 형태라고 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연결관(200)은 그 측벽의 적어도 일부가 벨로우즈 타입의 파이프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hape of the sidewall corrugation 240 may be a bellows-type pipe, and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sidewall of the connecting pip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ellows-type pipe.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200)의 측벽 주름부(240)는 금속 박판을 적층하면서 그 내경 부위와 외경 부위끼리 순차적으로 용접하여 제작되고, 상기 측벽 주름부(240)는 다시 상부관부(220) 및 하부관부(230)와 그 상부 및 하부에서 용접되어 일체로 제작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idewall corrugation 240 of the connecting pipe 200 is manufactured by sequentially welding the inner and outer diameter portions while stacking thin metal plates, and the sidewall corrugation 240 is again the upper tube portion ( 220) and the lower pipe portion 230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hereof are welded and integrally manufactured.

상기 연결관(200)의 상부관부(220)와 하부관부(230)는 각각 소정의 높이, 지름 및 두께를 가진 원형 파이프 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측벽 주름부(240)와 용접되어 연결관(200)을 구성한다.The upper pipe part 220 and the lower pipe part 230 of the connection pipe 200 are each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circular pip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diameter and thickness, and are welded to the sidewall corrugation part 240 to connect the pipe 200. make up

상기 연결관(200)의 상부관부(220)와 하부관부(230)의 높이는 상기 측벽 주름부(240)와 상기 진공 공간부(130)의 높이를 고려하여 적절히 형성할 수 있다.The height of the upper pipe part 220 and the lower pipe part 230 of the connection pipe 200 may be appropriately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heights of the sidewall wrinkle part 240 and the vacuum space part 130 .

예를 들어, 상기 연결관(200)의 상부관부(220)와 하부관부(230)는 상기 외부케이스(120) 및 내부케이스(110)와 용접되었을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케이스(120)의 상면 및 상기 내부케이스(110)의 하면보다 각각 상방 및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용접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pper pipe part 220 and the lower pipe part 230 of the connecting pipe 200 are welded to the outer case 120 and the inner case 110, as shown in FIG. 3 , the external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2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10 may be welded to protrude upward and downward, respectively.

또한, 이와 달리, 상기 연결관(200)의 상부관부(220)와 하부관부(230)는 상기 외부케이스(120) 및 내부케이스(110)와 용접되었을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케이스(120)의 상면 및 상기 내부케이스(110)의 하면과 그 높이가 일치되도록 하여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unlike this, when the upper pipe part 220 and the lower pipe part 230 of the connection pipe 200 are welded to the outer case 120 and the inner case 110, as shown in FIG. 6 , the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2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10 may be formed so that their heights coincide with each other so that they do not protrude.

아울러, 상기 연결관(200)의 측벽 주름부(240)의 높이도 상기 진공 공간부(130)의 높이와 일치되도록 형성하거나, 그보다 작게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sidewall corrugation 240 of the connection pipe 200 may also be formed to match the height of the vacuum space 130 , or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at of the vacuum space 130 .

도 3에서는 상기 측벽 주름부(240)의 높이가 상기 진공 공간부(130)의 높이와 일치되도록 도시되어 있는 반면에, 도 6에서는 상기 측벽 주름부(240)의 높이가 상기 진공 공간부(130)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In FIG. 3 , the height of the sidewall pleats 240 is shown to match the height of the vacuum space 130 , whereas in FIG. 6 , the height of the sidewall pleats 240 is the height of the vacuum space 130 . ) is formed smaller than the height of

상기 연결관(200)의 측벽 주름부(240)의 형태는 금속 박판으로 형성되는바, 상기 측벽 주름부(240)의 형태에 의해 금속 박판의 강도를, 특히 반경 방향의 진공 압력에 견디는 강도를 훨씬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관(200)을 통해 열이 전도되는 경로를 매우 길게 형성함으로써 전도에 의한 열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이다.The shape of the sidewall corrugation 240 of the connector 200 is formed of a thin metal plate, and the strength of the thin metal plate by the shape of the sidewall corrugation 240, in particular, the strength to withstand the vacuum pressure in the radial direction. It is a structure capable of minimizing heat transfer by conduction by forming a very long path through which heat is conducted through the connection pipe 200 as well as much increase.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110) 및 외부케이스(120)에는 미리 연통구(112, 122, 도 6 참조)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inner case 110 and the outer case 120, communication ports 112 and 122 (refer to FIG. 6) are formed in advance, respectively.

상기 연결관(200)은 상기 상부관부(220)가 상기 외부케이스(120)의 연통구(112)와 용접되고 상기 하부관부(230)가 상기 내부케이스(110)의 연통구(122)와 용접되어 조립될 수 있다.In the connection pipe 200 , the upper pipe part 220 is welded to the communication hole 112 of the outer case 120 , and the lower pipe part 230 is welded to the communication hole 122 of the inner case 110 . and can be assembled.

그리고, 상기 연결관(200)의 측벽 주름부(240)는 금속 박판을 적층하면서 용접하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도 있지만, 상기 상부관부(220), 측벽 주름부(240) 및 하부관부(230)가 가압 성형 방식에 의해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idewall corrugation 240 of the connector 200 may be manufactured by welding while laminating thin metal plates, but the upper pipe part 220, the sidewall corrugation 240 and the lower pipe part 230 are It may be integrally manufactured by a press molding method.

이렇게 제작된 연결관(200)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The connector 200 manufactured in this way is shown in FIG. 4 .

상기 연결관(200)의 측벽 주름부(240)는 0.05~0.2mm의 금속 박판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idewall corrugation 240 of the connector 200 is preferably made of a thin metal plate of 0.05 to 0.2 mm.

상기 측벽 주름부(240)는 진공 공간부 내에서 진공 압력을 견뎌야 하므로 0.05mm 이상이 되어야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Since the sidewall corrugation 240 has to withstand the vacuum pressure in the vacuum space, it may have sufficient strength to be 0.05 mm or more.

또한, 상기 측벽 주름부(240)는 상기 외부케이스(120)로부터 내부케이스(110)로 전도에 의해 열이 전달되는 통로가 되므로, 0.2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since the sidewall corrugation 240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heat is transferred from the outer case 120 to the inner case 110 by conduction, it is preferable to have a thickness of 0.2 mm or less.

상기 상부관부(220)와 하부관부(230)는 상기 측벽 주름부(240)에 비해 더 두껍게 형성할 수 있겠지만, 적정 강도만 유지할 수 있다면 전도에 의한 열전달을 줄이기 위해 너무 두껍지 않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upper pipe part 220 and the lower pipe part 230 may be formed thicker than the sidewall wrinkle part 240, but if only an appropriate strength can be maintained, it is preferable to form not too thick to reduc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will be.

한편, 상기 본체(1)는 상기 내부케이스(110)와 외부케이스(210)의 서로 마주보는 표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구비되는 제1지지판(160)과, 상기 제1지지판에 고정 배치되어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스페이서(1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main body 1 includes a first support plate 160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surfaces facing each other of the inner case 110 and the outer case 210, and is fixedly disposed on the first support plate to provide the inner cas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pacers 150 that support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case and the outer cas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케이스(110)와 상기 외부케이스(120) 사이의 진공 공간부(130)가 그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내부케이스(110)와 상기 외부케이스(120) 간의 간격을 유지하게 하는 복수의 스페이서(spacer)(150)가 내부케이스(110)와 외부케이스(12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복수의 스페이서(150)는 상기 내부케이스(110)와 상기 외부케이스(12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다수 개가 배치되어 지지한다.2, in order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vacuum space 130 between the inner case 110 and the outer case 120, the inner case 110 and the outer case 120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spacers 150 to maintain a distance therebetween are disposed between the inner case 110 and the outer case 120 . A plurality of spacers 150 are arranged and supported to maintain a distance between the inner case 110 and the outer case 120 .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150)는 상기 내부케이스(110)와 상기 외부케이스(120) 사이에 복수 개가 고정되어야 하는데, 이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로서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150)가 상기 제1지지판(160)에 일체로 형성되어 배치된다.A plurality of spacers 150 should be fixed between the inner case 110 and the outer case 120 , and as a structure for fixing them, the plurality of spacers 150 are provided on the first support plate 160 . formed integrally with the

상기 제1지지판(160)은 상기 내부케이스(110)와 외부케이스(120)의 서로 마주보는 표면 중 어느 일면에 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plate 160 may be provid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any one of the facing surfaces of the inner case 110 and the outer case 120 .

도 2에서는 상기 제1지지판(160)이 상기 내부케이스(110)의 외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나, 상기 제1지지판(160)이 상기 외부케이스(120)의 내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In FIG. 2 , the first support plate 160 is disposed to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10 , but the first support plate 160 may be disposed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20 .

또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판(160)이 상기 내부케이스(110)의 외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외부케이스(120)의 내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제2지지판(170)을 더 구비하여 상기 제1지지판(160)의 스페이서(150)가 상기 제2지지판(170)에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 the first support plate 160 is dispos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10 and is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20 . A second support plate 170 may be further provided so that the spacers 150 of the first support plate 160 are in contact with the second support plate 170 .

도 3에 도시된 상기 연결관(200)을 보면, 그 측벽 주름부(240)가 인접하는 두 스페이서(150)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connecting pipe 200 shown in FIG. 3 , the sidewall wrinkle portion 240 may be formed to have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interval between the two adjacent spacers 150 .

하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200)은 인접하는 4개의 스페이서(150) 사이에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However, as shown in FIG. 2 , the connector 200 may be dispos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four adjacent spacers 150 .

즉, 상기 연결관(200)은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150)와 간섭되지 않도록 스페이서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pipe 200 is spaced apart from the spacers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plurality of spacers 150 .

그럼으로써, 상기 연결관(200)을 복수의 스페이서(150)가 배치된 제1지지판(160)과 제2지지판(170) 사이에 배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기 연결관(200)으로부터 상기 스페이서(150)로의 열 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onnecting pipe 200 can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pporting plate 160 and the second supporting plate 170 on which the plurality of spacers 150 are disposed, as well as from the connecting pipe 200 to the Heat transfer to the spacer 150 may be minimized.

상기 본체(1)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케이스(110)와 외부케이스(120)의 서로 마주보는 표면 중 어느 타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지지판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지지판(17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S. 5 and 6 , the main body 1 is provided on any other surface of the surfaces facing each other of the inner case 110 and the outer case 120 and is disposed to face the first support plat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second support plate 170 .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지지판(170)이 상기 외부케이스(120)의 내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150)는 상기 제1지지판(160)에 고정 배치되어 제1지지판(160)과 제2지지판(17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한다.5 and 6 , the second support plate 170 is disposed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20 , and the plurality of spacers 150 are fixed to the first support plate 160 . is disposed to support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first support plate 160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170 .

상기 제1지지판(160)은 상기 내부케이스(110)의 외면과 접촉되어 있고, 상기 제2지지판(170)은 상기 외부케이스(120)의 내면과 접촉되어 있으므로,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150)는 결국 상기 내부케이스(110)와 외부케이스(12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것이다.Since the first support plate 160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10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170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20 , the plurality of spacers 150 are As a result, it is supported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inner case 110 and the outer case 120 .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제1지지판(160)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제2지지판(170)을 구비하고 있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스페이서(150)가 일체로 고정되어 배치된 제1지지판(160)만 상기 내부케이스(110)와 외부케이스(120)의 사이에 구비될 수도 있다.5 and 6, the first support plate 160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170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provided, but as shown in FIG. 2, a plurality of spacers 150 are integrated. Only the first support plate 160 fixedly arranged as may be provided between the inner case 110 and the outer case 120 .

이렇게 상기 제2지지판(170)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150)의 단부가 상기 외부케이스(120)의 내면에 직접 접촉되도록 배치될 것이다.In this way, in the absence of the second support plate 170 ,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spacers 150 may be disposed to directly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20 .

도 5에서는 편의상 상기 연결관(200)을 생략한 상태로 도시하였음이 이해될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that in FIG. 5, the connection pipe 200 is omitted for convenience.

또한, 도 5의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판(170)은 그 내측면에 상기 복수의 스페이스(150)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홈부(17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5 , the second support plate 170 preferably includes a plurality of groove portions 175 formed so that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spaces 150 are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 thereof. .

상기 제2지지판(170)에 형성된 복수의 홈부(175)는 상기 제1지지판(160)에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스페이스(150)에 상기 제2지지판(170)을 포갤 때 스페이서(150)들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The plurality of groove portions 175 formed in the second support plate 170 are formed in the spacers 150 when the second support plate 170 is superimposed on the plurality of spaces 150 integrally formed in the first support plate 160 . to be fixed relative to the

또한,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150)의 단부는 볼록한 곡면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spacers 150 have a convex curved surface.

도 5의 확대된 원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150)의 단부를 볼록한 곡면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조립시 각 스페이서(150)의 단부가 상기 제2지지판(170)에 형성된 홈부(175)에 쉽게 안착되기 때문에 조립작업이 훨씬 용이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enlarged circle of FIG. 5 , by forming the end of the spacer 150 in a convex curved shape, the end of each spacer 150 is in the groove 175 formed in the second support plate 170 during assembly. As it is easily seated, assembly work can be much easier.

또한, 상기 제2지지판(170)의 복수의 홈부(175)는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150)의 형태에 대응하여 오목한 곡면 형태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groove portions 175 of the second support plate 170 have a concave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lurality of spacers 150 .

상기 제2지지판(170)의 복수의 홈부(175)가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15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조립시 위치 결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조립 후에도 제2지지판(170)이 그 표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Since the plurality of groove portions 175 of the second support plate 170 ar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lurality of spacers 150, positioning is easy during assembly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170 is not only easily positioned after assembly. It can be fixed so as not to move in a direction parallel to its surface.

상기 연결관(200)은 상기 제1지지판(160) 및 상기 제2지지판(170)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케이스(110) 및 상기 외부케이스(120)와 각각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pipe 200 penetrates the first support plate 160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170 to be welded to the inner case 110 and the outer case 120, respectively.

도 6을 보면, 상기 내부케이스(110) 및 외부케이스(120)에 상기 연결관(200)의 하부와 상부가 용접될 수 있도록 각각 연통구(112, 122)가 형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6 , communication holes 112 and 122 are formed in the inner case 110 and the outer case 120 so that the lower and upper portions of the connection pipe 200 can be welded to each other.

즉, 상기 연결관(200)의 상부관부(220)와 하부관부(230)의 각 외측면은, 상기 내부케이스(110)의 연통구(112) 및 외부케이스(120)의 연통구(122)에 각각 용접된다.That is, each of the outer surfaces of the upper pipe part 220 and the lower pipe part 230 of the connection pipe 200 is the communication hole 112 of the inner case 110 and the communication hole 122 of the outer case 120 . are welded to each.

또한, 상술한 제1지지판(160)과 제2지지판(170)에도 상기 연결관(200)과 동심원인 연통구(162, 17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communication holes 162 and 172 concentric with the connecting pipe 200 are also formed in the above-described first support plate 160 and second support plate 170 , respectively.

상기 제1지지판(160)과 제2지지판(170)의 연통구(162, 172)는 상기 내부케이스(110) 및 외부케이스(120)의 연통구(112, 122)보다 지름이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mmunication holes 162 and 172 of the first support plate 160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170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communication holes 112 and 122 of the inner case 110 and the outer case 120 . do.

상기 내부케이스(110) 및 외부케이스(120)는 강판으로 제작되고 상기 제1지지판(160)과 제2지지판(170)은 금속, 세라믹, 강화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inner case 110 and the outer case 120 are made of a steel plate, and the first support plate 160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170 may be made of any one of metal, ceramic, and reinforced plastic.

그래서, 상기 연결관(200)을 상기 내부케이스(110) 및 외부케이스(120)와 용접할 때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150)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인 제1지지판(160)과 제2지지판(170)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케이스의 연통구(162, 172)를 상기 지지판의 연통구(112, 122)보다 더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when the connecting pipe 200 is welded to the inner case 110 and the outer case 120 , the first support plate 160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170 are structures for supporting the plurality of spacers 150 . ),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communication openings 162 and 172 of the case larger than the communication openings 112 and 122 of the support plate.

마지막으로, 상기 연결관(200)은 그 내면에 부식방지를 위해 플라스틱으로 코팅된 것이 바람직하다.Finally, the connecting pipe 200 is preferably coated with plastic to prevent corrosion on the inner surface.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연결관(200)은 그 내면으로 물이나 냉매 등의 액체가 흐르거나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으므로 내면이 부식될 수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ipe 200 made of a thin metal plate may be corroded because a liquid such as water or a refrigerant may flow into the inner surface or external air may be introduced.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200)의 내면에 플라스틱 등으로 코팅층(260)을 형성함으로써 부식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7 , by forming a coating layer 260 of plastic or the lik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ipe 200 , corrosion can be prevented and durability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의하면, 진공 공간부를 관통하는 배수 또는 배관이 통과하면서 진공 압력을 견딜 수 있는 연결관 구조를 가진 냉장고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having a vacuum space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having a connection tube structure capable of withstanding vacuum pressure while drainage or piping passing through the vacuum space portion passes.

또한, 상기 연결관의 측벽을 주름진 벨로우즈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연결관을 통한 열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heat transfer through the connector can be minimized by manufacturing the sidewall of the connector in the form of a corrugated bellows.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se specific example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appropriately fit within the scope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 will be possible.

1: 본체
4, 5: 도어
110: 내부케이스
112: 연통구
120: 외부케이스
122: 연통구
130: 진공 공간부
150: 스페이서
160: 제1지지판
162: 연통구
170: 제2지지판
172: 연통구
175: 홈부
200: 연결관
220: 상부관부
230: 하부관부
240: 측벽 주름부
260: 코팅층
1: body
4, 5: Door
110: inner case
112: Yeontong-gu
120: outer case
122: Yeontonggu
130: vacuum space
150: spacer
160: first support plate
162: Yeontong-gu
170: second support plate
172: Yeontong-gu
175: groove
200: connector
220: upper pipe part
230: lower pipe
240: sidewall pleats
260: coating layer

Claims (16)

내측으로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내부케이스;
상기 내부케이스가 수용되되, 그 내면이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면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그 외면이 외부공간을 구비하는 외부케이스;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사이에 마련되며, 그 내부가 밀폐되어 진공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사이의 단열작용을 수행하는 진공 공간; 및
상기 진공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통과하는 통로를 이루며, 진공 압력을 견디도록 구비되는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은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일부에 형성된 연통구에 연결되도록 제공되며,
상기 저장공간에 수용될 수 있는 저장물 외의 물체는 상기 연결관을 통과할 수 있고, 상기 저장물은 상기 연결관을 통과할 수 없고,
상기 연결관은 상기 진공 공간과 상기 외부공간을 연결하는 연결관의 내부에 마련되는 연결관 내부공간을 가지고,
상기 연결관 내부공간은 상기 진공 공간에 비하여 압력이 높고,
상기 연결관 내부공간은 상기 저장공간과 같은 압력이거나 상기 연결관 내부공간은 상기 외부공간과 같은 압력이고,
상기 연결관은,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사이에 위치하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은, 내경 부위와 외경 부위끼리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측면 윤곽이 지그재그 형태를 이루도록 제작되는 냉장고.
an inner case having a storage space formed inside;
an outer case accommodating the inner case, the inner surface of which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outer surface of which has an outer space;
a vacuum space provided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the inside of which is sealed and maintained in a vacuum state to perform an insulating action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and
It forms a passage through at least a portion of the vacuum space and includes a connection pipe provided to withstand vacuum pressure,
The connecting pipe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hole formed in a part of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Objects other than storage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may pass through the connection pipe, and the storage cannot pass through the connection pipe,
The connecting pipe has a connecting pipe inner space provided inside the connecting pipe connecting the vacuum space and the external space,
The inner space of the connection pipe has a higher pressure than the vacuum space,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nection pipe is the same pressure as the storage space, or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nection pipe is the same pressure as the external space,
The connecting tube includes a side wall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and the side wall is manufactured such that the inner diameter portion and the outer diameter portion are sequentially coupled to form a zigzag side profi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경 부위와 상기 외경 부위는 용접으로 조립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A refrigerator in which the inner diameter portion and the outer diameter portion are assembled by weld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상기 측벽에 연결되는 상부관부와 하부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이 제작된 이후에, 상기 측벽에 상기 상부관부와 상기 하부관부가 각각 조립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ng pipe includes an upper pipe part and a lower pipe part connected to the side wall, and after the side wall is manufactured, the upper pipe part and the lower pipe part are respectively assembled to the side wal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과 상기 상부관부, 또는 상기 측벽과 상기 하부관부는 용접으로 조립되는 냉장고.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ide wall and the upper pipe part or the side wall and the lower pipe part are assembled by welding.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에 상기 상부관부와 상기 하부관부가 각각 조립된 이후에, 상기 상부관부와 상기 하부관부는 상기 외부케이스 및 상기 내부케이스에 각각 조립되는 냉장고.
4. The method of claim 3,
After the upper pipe part and the lower pipe part are respectively assembled to the side wall, the upper pipe part and the lower pipe part are assembled to the outer case and the inner case, respectively.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관부와 상기 하부관부는, 상기 상부관부와 상기 하부관부가 상기 외부케이스 및 상기 내부케이스와 조립되었을 때,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면 및 상기 내부케이스의 하면과 그 높이가 일치되도록 하여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냉장고.
4. The method of claim 3,
The upper pipe part and the lower pipe part, when the upper pipe part and the lower pipe part are assembled with the outer case and the inner case,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cas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case so that the heights coincide with each other so as not to protrude Refrigerator forme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관부와 상기 외부케이스, 또는 상기 하부관부와 상기 내부케이스는 용접으로 조립되는 냉장고.
7. The method of claim 6,
The upper pipe part and the outer case, or the lower pipe part and the inner case are assembled by welding.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관부와 상기 하부관부는, 상기 상부관부와 상기 하부관부가 상기 외부케이스 및 상기 내부케이스와 조립되었을 때,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면 및 상기 내부케이스의 하면보다 각각 상방 및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냉장고.
4. The method of claim 3,
The upper pipe part and the lower pipe part are formed to protrude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cas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case, respectively, when the upper pipe part and the lower pipe part are assembled with the outer case and the inner case refrigerato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관부와 상기 외부케이스, 또는 상기 하부관부와 상기 내부케이스는 용접으로 조립되는 냉장고.
9. The method of claim 8,
The upper pipe part and the outer case, or the lower pipe part and the inner case are assembled by weld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상기 측벽에 연결되는 상부관부와 하부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의 높이는, 상기 진공 공간부의 높이와 일치되거나 작게 형성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ng pipe includes an upper pipe part and a lower pipe part connected to the side wall, and a height of the side wall is equal to or smaller than a height of the vacuum space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상기 내측케이스의 하면보다 더 내부로 돌출되고 상기 외측케이스의 상면보다 더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내측케이스의 하면과 그 높이가 일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외측케이스의 상면과 그 높이가 일치되도록 형성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ng pipe is formed to protrude more inward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case and to protrude more outward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case, or is formed to match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case and the height thereof, and the upper surface and the height of the outer case A refrigerator that is formed to matc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상기 측벽에 연결되는 상부관부와 하부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관부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면보다 더 외부로 돌출되거나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면과 그 높이가 일치되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하부관부는 상기 내부케이스의 하면보다 더 내부로 돌출되거나 상기 내부케이스의 하면과 그 높이가 일치되도록 형성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on pipe includes an upper pipe part and a lower pipe part connected to the side wall, and the upper pipe part protrudes further out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case or is formed to match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case in height, or the lower part The tube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more inward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case or to match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case in height.
내측으로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내부케이스;
상기 내부케이스가 수용되되, 그 내면이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면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그 외면이 외부공간을 구비하는 외부케이스;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사이에 마련되며, 그 내부가 밀폐되어 진공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사이의 단열작용을 수행하는 진공 공간; 및
상기 진공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통과하는 통로를 이루며, 진공 압력을 견디도록 구비되는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은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일부에 형성된 연통구에 연결되도록 제공되며,
상기 저장공간에 수용될 수 있는 저장물 외의 물체는 상기 연결관을 통과할 수 있고, 상기 저장물은 상기 연결관을 통과할 수 없고,
상기 연결관은 상기 진공 공간과 상기 외부공간을 연결하는 연결관의 내부에 마련되는 연결관 내부공간을 가지고,
상기 연결관 내부공간은 상기 진공 공간에 비하여 압력이 높고,
상기 연결관 내부공간은 상기 저장공간과 같은 압력이거나 상기 연결관 내부공간은 상기 외부공간과 같은 압력이고,
상기 연결관은,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사이에 위치하는 측벽 및 상기 측벽에 연결되는 상부관부와 하부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이 제작된 이후에, 상기 측벽에 상기 상부관부와 상기 하부관부가 각각 조립되는 냉장고.
an inner case having a storage space formed inside;
an outer case accommodating the inner case, the inner surface of which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outer surface of which has an outer space;
a vacuum space provided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the inside of which is sealed and maintained in a vacuum state to perform an insulating action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and
It forms a passage through at least a portion of the vacuum space and includes a connection pipe provided to withstand vacuum pressure,
The connecting pipe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hole formed in a part of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Objects other than storage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may pass through the connection pipe, and the storage cannot pass through the connection pipe,
The connecting pipe has a connecting pipe inner space provided inside the connecting pipe connecting the vacuum space and the external space,
The inner space of the connection pipe has a higher pressure than the vacuum space,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nection pipe is the same pressure as the storage space, or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nection pipe is the same pressure as the external space,
The connecting pipe includes a side wall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and an upper pipe part and a lower pipe part connected to the side wall, and after the side wall is manufactured, the upper pipe part and the lower pipe part are attached to the side wall Each refrigerator is assembled.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과 상기 상부관부, 또는 상기 측벽과 상기 하부관부는 용접으로 조립되는 냉장고.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ide wall and the upper pipe part or the side wall and the lower pipe part are assembled by welding.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에 상기 상부관부와 상기 하부관부가 각각 조립된 이후에, 상기 상부관부와 상기 하부관부는 상기 외부케이스 및 상기 내부케이스에 각각 조립되는 냉장고.
14. The method of claim 13,
After the upper pipe part and the lower pipe part are respectively assembled to the side wall, the upper pipe part and the lower pipe part are assembled to the outer case and the inner case, respectively.
내측으로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내부케이스;
상기 내부케이스가 수용되되, 그 내면이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면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그 외면이 외부공간을 구비하는 외부케이스;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사이에 마련되며, 그 내부가 밀폐되어 진공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사이의 단열작용을 수행하는 진공 공간; 및
상기 진공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통과하는 통로를 이루며, 진공 압력을 견디도록 구비되는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은 상기 내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일부에 형성된 연통구에 연결되도록 제공되며,
상기 저장공간에 수용될 수 있는 저장물 외의 물체는 상기 연결관을 통과할 수 있고, 상기 저장물은 상기 연결관을 통과할 수 없고,
상기 연결관은 상기 진공 공간과 상기 외부공간을 연결하는 연결관의 내부에 마련되는 연결관 내부공간을 가지고,
상기 연결관 내부공간은 상기 진공 공간에 비하여 압력이 높고,
상기 연결관 내부공간은 상기 저장공간과 같은 압력이거나 상기 연결관 내부공간은 상기 외부공간과 같은 압력이고,
상기 연결관은,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사이에 위치하는 측벽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의 높이는, 상기 진공 공간부의 높이와 일치되거나 작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관은, 상기 측벽에 연결되는 상부관부 및 하부관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an inner case having a storage space formed inside;
an outer case accommodating the inner case, the inner surface of which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outer surface of which has an outer space;
a vacuum space provided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the inside of which is sealed and maintained in a vacuum state to perform an insulating action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and
It forms a passage through at least a portion of the vacuum space and includes a connection pipe provided to withstand vacuum pressure,
The connecting pipe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hole formed in a part of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Objects other than storage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may pass through the connection pipe, and the storage cannot pass through the connection pipe,
The connecting pipe has a connecting pipe inner space provided inside the connecting pipe connecting the vacuum space and the external space,
The inner space of the connection pipe has a higher pressure than the vacuum space,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nection pipe is the same pressure as the storage space, or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nection pipe is the same pressure as the external space,
The connecting pipe includes a side wall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the height of the side wall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vacuum space, and the connecting pipe includes an upper pipe part and a lower part connected to the side wall. A refrigerator containing a pipe part.
KR1020220066274A 2021-01-13 2022-05-30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uum space Active KR1025471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6274A KR102547150B1 (en) 2021-01-13 2022-05-30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uum space
KR1020230078988A KR102659606B1 (en) 2021-01-13 2023-06-20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uum sp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522A KR102408210B1 (en) 2019-10-02 2021-01-13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uum space
KR1020220066274A KR102547150B1 (en) 2021-01-13 2022-05-30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uum spa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522A Division KR102408210B1 (en) 2019-10-02 2021-01-13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uum spac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8988A Division KR102659606B1 (en) 2021-01-13 2023-06-20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uum spa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548A true KR20220078548A (en) 2022-06-10
KR102547150B1 KR102547150B1 (en) 2023-06-26

Family

ID=8198675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6274A Active KR102547150B1 (en) 2021-01-13 2022-05-30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uum space
KR1020230078988A Active KR102659606B1 (en) 2021-01-13 2023-06-20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uum space
KR1020240051419A Pending KR20240054252A (en) 2021-01-13 2024-04-17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uum space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8988A Active KR102659606B1 (en) 2021-01-13 2023-06-20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uum space
KR1020240051419A Pending KR20240054252A (en) 2021-01-13 2024-04-17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uum sp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54715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88707A (en) * 1924-07-23 1926-06-15 Csiga Alexander Vacuum ice chest
EP0071090A1 (en) * 1981-07-16 1983-02-09 INDESIT INDUSTRIA ELETTRODOMESTICI ITALIANA S.p.A. Thermal insulating system for refrigerating apparatus and relative realization process
JPS60137293U (en) * 1984-02-22 1985-09-11 株式会社クボタ Double wall piping structure for vacuum insul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88707A (en) * 1924-07-23 1926-06-15 Csiga Alexander Vacuum ice chest
EP0071090A1 (en) * 1981-07-16 1983-02-09 INDESIT INDUSTRIA ELETTRODOMESTICI ITALIANA S.p.A. Thermal insulating system for refrigerating apparatus and relative realization process
JPS60137293U (en) * 1984-02-22 1985-09-11 株式会社クボタ Double wall piping structure for vacuum insu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3232A (en) 2023-06-27
KR20240054252A (en) 2024-04-25
KR102659606B1 (en) 2024-04-22
KR102547150B1 (en) 202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02728B2 (en) Refrigerator
US10337788B2 (en) Refrigerator comprising vacuum space
KR20130049495A (en)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uum space
KR20130048527A (en)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uum space
KR102031216B1 (en)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uum space
KR102408210B1 (en)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uum space
KR102123614B1 (en)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uum space
KR102547150B1 (en)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uum space
KR102082314B1 (en)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uum space
KR102206077B1 (en)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uum space
KR101994217B1 (en)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uum space
KR102491917B1 (en)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uum space
KR101960320B1 (en)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uum space
KR101962146B1 (en)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uum space
KR102011824B1 (en)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uum space
KR102332599B1 (en)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uum space
KR102488991B1 (en)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uum space
KR102182071B1 (en)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uum space
KR20200070195A (en)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cuum sp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0530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210113

Application number text: 10202100045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6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4I

Patent event date: 20220530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0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17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620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210113

Application number text: 1020210004522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6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6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