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8066A - 선박용 게이트 러더 및 이를 구비한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용 게이트 러더 및 이를 구비한 선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78066A KR20220078066A KR1020200167185A KR20200167185A KR20220078066A KR 20220078066 A KR20220078066 A KR 20220078066A KR 1020200167185 A KR1020200167185 A KR 1020200167185A KR 20200167185 A KR20200167185 A KR 20200167185A KR 20220078066 A KR20220078066 A KR 2022007806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udder
- gear
- rotation
- pair
- shi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6—Steering by rudders
- B63H25/08—Steering gear
- B63H25/14—Steering gear power assisted; power driven, i.e. using steering engine
- B63H25/26—Steering engi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6—Steering by rudders
- B63H25/38—Rudd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2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6—Steering by rudders
- B63H2025/066—Arrangements of two or more rudders; Steering gear therefo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ars, Cams (AREA)
Abstract
선체의 조향을 위한 선박용 러더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선체에 마련된 프로펠러를 사이에 두고 좌우측으로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러더 날개부; 상기 선체에 마련된 구동부의 회전 동력을 상기 한 쌍의 러더 날개부에 제공하기 위한 단일의 스티어링 기어축; 및 상기 한 쌍의 러더 날개부 각각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스티어링 기어축과 기어 결합되는 한 쌍의 러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스티어링 기어축은 상기 한 쌍의 러더 회전축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거나 상기 한 쌍의 러더 회전축 모두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선체의 조향을 위한 선박용 러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체에 마련된 프로펠러를 사이에 두고 좌우측으로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러더 날개부를 구비하는 선박용 게이트 러더 및 이를 구비한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선체의 후미에 부착되어 있는 프로펠러(Propeller)가 회전할 때 발생하는 유체의 흐름을 이용하여 전진하며,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일정 속도를 갖기 위하여 엔진을 구동하게 된다.
여기에서, 엔진의 구동으로 인한 많은 양의 연료가 소모되고 그로 인한 대량의 온실가스가 배출됨에 따라 환경 오염 등의 문제를 야기하게 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세계적으로 환경규제가 강화되는 추세에 따라 질소산화물과 미세먼지 등 환경오염 물질의 배출량이 많은 디젤 엔진(Diesel engine) 선박보다는 액화천연가스(LNG; Liquefied Natural Gas)와 같이 황산화물이나 질소산화물 등의 오염 물질이 상대적으로 적은 친환경 연료 선박으로 대체해 나가고 있다.
특히, 글로벌 선사들의 친환경 고효율이라는 니즈(Needs)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자체적으로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친환경 전력 생산 기술이나 선박의 추진 시 소비되는 연료를 절감하여 연료 사용량을 감축할 수 있는 연료 절감 기술 등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선박에는 선체의 조향을 위한 러더(Rudder)가 설치되는데, 러더는 유체의 흐름 속에 놓여진 상태에서 좌우로 회전이 가능하며, 프로펠러 후류의 받음각(Angle of attack)을 이용하여 양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선박의 진행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최근 선박의 조종 성능을 고려한 연료 절감 기술의 일 예로서, 선박의 후미나 프로펠러, 또는 러더 등의 형상을 개량하거나 별도의 부가물을 부착함으로써 추진 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연료를 절감하는 연료 절감 장치(ESD: Energy Saving Device)가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러더는 프로펠러의 후방에 설치되므로 후류에 의한 저항 증가 요인으로 작용하여 추력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최근에는 선체의 선미측에 마련된 하나의 프로펠러의 양측으로 두개의 러더 블레이드를 평행하게 설치하여 추력의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른바 게이트 러더(Gate rudder)가 제안된 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17518호에는 하나의 프로펠러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어 프로펠러의 둘레를 선회 가능하게 마련되는 조타 장치, 즉 게이트 러더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서, 게이트 러더는 두개의 타판(Rudder blade)을 회전시키기 위한 스티어링 기어(Steering gear)가 타판 각각에 마련되며, 선체의 선미측 내부에는 두개의 스티어링 기어(Steering gear)가 설치되었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게이트 러더는, 두개의 타판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두개의 스티어링 기어가 필요하였으으나, 이는 비용 상승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두개의 스티어링 기어로 인해 선체의 선미측에 상당한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비효율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프로펠러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러더 블레이드를 하나의 스티어링 기어를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비용 상승을 최소화하고 선체의 선미측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선박용 게이트 러더 및 이를 구비한 선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의 조향을 위한 선박용 러더로서, 상기 선체에 마련된 프로펠러를 사이에 두고 좌우측으로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러더 날개부; 상기 선체에 마련된 구동부의 회전 동력을 상기 한 쌍의 러더 날개부에 제공하기 위한 단일의 스티어링 기어축; 및 상기 한 쌍의 러더 날개부 각각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스티어링 기어축과 기어 결합되는 한 쌍의 러더 회전축을 포함하는 선박용 게이트 러더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티어링 기어축은 상기 한 쌍의 러더 회전축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거나 상기 한 쌍의 러더 회전축 모두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티어링 기어축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는 메인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티어링 기어축은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기어와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러더 회전축 중 어느 하나에 고정 결합되는 제1 회전 기어; 및
상기 한 쌍의 러더 회전축 중 나머지 하나에 고정 결합되는 제2 회전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회전 기어 및 상기 제2 회전 기어는 상기 메인 기어의 상하 방향 길이보다 큰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회전 기어는 하면이 상기 한 쌍의 러더 회전축 중 어느 하나의 하단부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회전 기어의 하면은 상기 한 쌍의 러더 회전축 중 나머지 하나의 하단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기어는, 상기 제1 회전 기어 및 상기 제2 회전 기어 모두가 맞물리는 위치와 상기 제1 회전 기어 및 상기 제2 회전 기어 중 어느 하나만 맞물리는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기어는, 상기 제1 회전 기어 및 상기 제2 회전 기어 모두가 맞물리는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회전 기어에만 맞물리는 제 2위치, 및 상기 제1 위치에서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회전 기어에만 맞물리는 제 3위치를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기어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기 전 전방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되며, 상하 방향 이동이 완료된 후 다시 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회전 기어 및 상기 제2 회전 기어 중 적어도 하나에 맞물릴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선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프로펠러; 및 제 1항에 따른 선박용 게이트 러더를 포함하고, 상기 스티어링 기어축은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러더 회전축은 상기 스티어링 기어축의 전후 방향 이동에 의해 좌우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프로펠러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러더 날개부 각각의 상단에 연결되는 러더 회전축과 선체에 마련된 단일의 스티어링 기어축을 기어 결합시켜 비용 상승을 최소화하고 선체의 선미측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스티어링 기어축은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간단한 구조를 통해 한 쌍의 러더 날개부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거나 한 쌍의 러더 날개부 모두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게이트 러더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게이트 러더에서 러더 날개부의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게이트 러더에서 주요 구성을 분리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개략적인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게이트 러더에서 러더 날개부의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게이트 러더에서 주요 구성을 분리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개략적인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프로펠러를 사이에 두고 두개의 러더 블레이드가 대향 배치되되, 두개의 스티어링 기어 각각에 의해 구동되는 종래기술과 달리 단일의 스티어링 기어축 통해 두개의 러더 블레이드(또는, 러더 날개부)가 동시 또는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도록 그 구조를 개선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게이트 러더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러더 날개부의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게이트 러더에서 주요 구성을 분리하여 측면과 평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게이트 러더(100)는, 선체에 마련된 프로펠러를 사이에 두고 좌우측으로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러더 날개부(110)와, 한 쌍의 러더 날개부(110) 각각의 상단에 연결되어 스티어링 기어축(130)과 기어 결합되는 한 쌍의 러더 회전축(120)과, 선체에 마련된 구동부(140)의 회전 동력을 한 쌍의 러더 회전축(120)에 전달하는 단일의 스티어링 기어축(Steering gear shaft)(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러더 날개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더 회전축(120)의 하단에 결합되고 선체의 외측 방향을 향하도록 하향 절곡되어 선체의 후미에 마련된 프로펠러(P)를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도면을 기준으로, 한 쌍의 러더 날개부(110) 중 좌측에 위치되는 러더 날개부(110)는 제1 날개부(110a), 우측에 위치되는 러더 날개부(110)는 제2 날개부(110b)로 구분하도록 한다.
제1 날개부(110a)와 제2 날개부(110b) 각각은, 러더 회전축(120)의 하단에서 러더 회전축(120)에 수직되게 결합하는 천장부(111)와, 일측이 천장부(111)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 타측이 선체의 외측 방향을 향하도록 하향 경사지는 경사부(112)와, 경사부(112) 타측 단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측벽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제1 날개부(110a)와 제2 날개부(110b)는, 프로펠러(P)의 직경과 동일 내지 프로펠러(P)의 직경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 천장부(111)와 천장부(111)의 일측 단부에서 선체의 외측 방향을 향하도록 하향 경사지는 경사부(112)를 포함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의 제1 날개부(110a)와 제2 날개부(110b)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부(114)가 프로펠러(P)의 직경보다 큰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고 천장부(114)의 일측 단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수직되게 측벽부(115)가 형성되어 전체적인 모습이 L자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부(113)의 말단으로부터 프로펠러(P)의 회전축 중심을 향하도록 절곡되는 절곡부(116)를 더 포함하여 하측이 개방된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여기에서, 측벽부(11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기어축(130)의 회전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연장선과 평행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고, 또는 경사부(112)의 타측 단부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프로펠러(P)와 근접하게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본 실시예의 제1 날개부(110a)와 제2 날개부(110b)는 천장부(111, 114)와 경사부(112) 및 측벽부(113, 1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중앙부가 선체의 외측 방향을 향하도록 볼록하게 돌출되어 라운드진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선체에는 하나의 스티어링 기어축(130)이 마련되며, 제1 날개부(110a)와 제2 날개부(110b)의 상단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러더 회전축(120)이 스티어링 기어축(130)과 기어 결합되어, 스티어링 기어축(130)이 한 쌍의 러더 회전축(120)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거나 한 쌍의 러더 회전축(120) 모두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게이트 러더(100)는, 스티어링 기어축(130)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는 메인 기어(150)와, 메인 기어(150)와 맞물릴 수 있도록 한 쌍의 러더 회전축(120) 각각에 고정 결합되는 회전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스티어링 기어축(130)은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도면을 기준으로, 한 쌍의 러더 회전축(120) 중 좌측에 위치되는 러더 회전축(120)을 제1 회전축(121), 우측에 위치되는 러더 회전축(120)을 제2 회전축(123)으로 구분하고, 제1 회전축(121)에 고정 결합되는 회전 기어를 제1 회전 기어(160), 제2 회전축(123)에 고정 결합되는 회전 기어를 제2 회전 기어(170)로 구분하도록 한다.
제1 회전 기어(160)와 제2 회전 기어(170)는, 메인 기어(150)의 상하 방향 길이(또는, 두께)보다 큰 길이를 가지며, 메인 기어(150)의 상하 방향 길이보다 약 2배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회전 기어(160)는 하면이 제1 회전축(121)의 하단부와 동일한 선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제2 회전 기어(170)의 하면은 제2 회전축(123)의 하단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게이트 러더(100)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스티어링 기어축(130)의 하단에 마련된 메인 기어(150)의 상하 방향 이동에 따라 한 쌍의 러더 회전축(120)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거나 한 쌍의 러더 회전축(120) 모두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메인 기어(150)는 제1 회전 기어(160)와 제2 회전 기어(170) 모두가 맞물리는 위치기와 제1 회전 기어(160)와 제2 회전 기어(170) 중 어느 하나만 맞물리는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메인 기어(150)는, 제1 회전 기어(160)와 제2 회전 기어(170) 모두가 맞물리는 제1 위치(도 3의 ‘A’ 참조)에서 제1 날개부(110a)와 제2 날개부(110b)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메인 기어(150)는 제1 위치(A)에서 하부 방향의 제2 위치(도 3의 ‘B’ 참조)로 이동하게 되면 제1 회전 기어(160)에만 맞물리게 되어 제1 날개부(110a)만 회전시킬 수도 있으며, 이와 반대로, 메인 기어(150)가 제1 위치(A)에서 상부 방향의 제3 위치(도 3의 ‘C’ 참조)로 이동하게 되면 제2 회전 기어(170)에만 맞물리게 되어 제2 날개부(110b)만 회전시킬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메인 기어(15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기 전 전방, 즉 선수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될 수 있다.
여기에서, 메인 기어(150)의 전방 이동 거리는, 메인 기어(150)가 제1 회전 기어(160) 및 제2 회전 기어(170)가 맞물리지 않을 수 있는 거리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메인 기어(150)는, 상하 방향 이동이 완료된 후 다시 후방으로 이동되어 제1 회전 기어(160) 및 제2 회전 기어(170) 중 적어도 하나가 맞물릴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 기어(150)가 제1 회전 기어(160) 및 제2 회전 기어(170) 중 적어도 하나와 맞물린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제1 회전 기어(160) 및 제2 회전 기어(170) 중 어느 하나가 메인 기어(150)와 맞물리지 않은 상태의 경우에는, 메인 기어(150)의 상하 이동 시 메인 기어(150)와 맞물리는 부위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게이트 러더는, 제1 위치(A)와 제2 위치(B), 또는 제1 위치(A)와 제3 위치(C) 사이를 이동하기 전에 선수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기어(150)는 제1 회전 기어(160)와 제2 회전 기어(170)가 메인 기어(150)에 맞물리지 않은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기어가 맞물리는 부위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메인 기어(150)의 상하 방향 이동이 완료된 상태에서 다시 후방으로 이동하여 제1 회전 기어(160) 및 제2 회전 기어(170) 중 적어도 하나와 다시 맞물림으로써, 한 쌍의 러더 회전축(120)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거나 한 쌍의 러더 회전축(120) 모두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프로펠러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러더 날개부 각각의 상단에 연결되는 러더 회전축과 선체에 마련된 단일의 스티어링 기어축을 기어 결합시켜 비용 상승을 최소화하고 선체의 선미측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스티어링 기어축은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간단한 구조를 통해 한 쌍의 러더 날개부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거나 한 쌍의 러더 날개부 모두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게이트 러더(Gate rudder)
110: 러더 날개부(Rudder blade)
111, 114: 천장부
112: 경사부
113, 115: 측벽부
116: 절곡부:
120: 러더 회전축(Rudder shaft)
121: 제1 회전축
123: 제2 회전축
130: 스티어링 기어축(Steering gear shaft)
140: 구동부
150: 메인 기어
160: 제1 회전 기어
170: 제2 회전 기어
110: 러더 날개부(Rudder blade)
111, 114: 천장부
112: 경사부
113, 115: 측벽부
116: 절곡부:
120: 러더 회전축(Rudder shaft)
121: 제1 회전축
123: 제2 회전축
130: 스티어링 기어축(Steering gear shaft)
140: 구동부
150: 메인 기어
160: 제1 회전 기어
170: 제2 회전 기어
Claims (8)
- 선체의 조향을 위한 선박용 러더로서,
상기 선체에 마련된 프로펠러를 사이에 두고 좌우측으로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러더 날개부;
상기 선체에 마련된 구동부의 회전 동력을 상기 한 쌍의 러더 날개부에 제공하기 위한 단일의 스티어링 기어축; 및
상기 한 쌍의 러더 날개부 각각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스티어링 기어축과 기어 결합되는 한 쌍의 러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스티어링 기어축은 상기 한 쌍의 러더 회전축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거나 상기 한 쌍의 러더 회전축 모두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선박용 게이트 러더.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기어축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는 메인 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티어링 기어축은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선박용 게이트 러더.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기어와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러더 회전축 중 어느 하나에 고정 결합되는 제1 회전 기어; 및
상기 한 쌍의 러더 회전축 중 나머지 하나에 고정 결합되는 제2 회전 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 기어 및 상기 제2 회전 기어는 상기 메인 기어의 상하 방향 길이보다 큰 길이를 갖는 선박용 게이트 러더.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기어는 하면이 상기 한 쌍의 러더 회전축 중 어느 하나의 하단부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회전 기어의 하면은 상기 한 쌍의 러더 회전축 중 나머지 하나의 하단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선박용 게이트 러더.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기어는,
상기 제1 회전 기어 및 상기 제2 회전 기어 모두가 맞물리는 위치와 상기 제1 회전 기어 및 상기 제2 회전 기어 중 어느 하나만 맞물리는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선박용 게이트 러더.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기어는,
상기 제1 회전 기어 및 상기 제2 회전 기어 모두가 맞물리는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회전 기어에만 맞물리는 제 2위치, 및 상기 제1 위치에서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회전 기어에만 맞물리는 제 3위치를 선택적으로 이동하는 선박용 게이트 러더. -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기어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기 전 전방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되며, 상하 방향 이동이 완료된 후 다시 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회전 기어 및 상기 제2 회전 기어 중 적어도 하나에 맞물리는 선박용 게이트 러더. - 선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프로펠러; 및
제 1항에 따른 선박용 게이트 러더를 포함하고,
상기 스티어링 기어축은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러더 회전축은 상기 스티어링 기어축의 전후 방향 이동에 의해 좌우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선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7185A KR20220078066A (ko) | 2020-12-03 | 2020-12-03 | 선박용 게이트 러더 및 이를 구비한 선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7185A KR20220078066A (ko) | 2020-12-03 | 2020-12-03 | 선박용 게이트 러더 및 이를 구비한 선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8066A true KR20220078066A (ko) | 2022-06-10 |
Family
ID=81986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67185A Pending KR20220078066A (ko) | 2020-12-03 | 2020-12-03 | 선박용 게이트 러더 및 이를 구비한 선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78066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49183A (ko) | 2023-04-05 | 2024-10-14 | 에이치디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 선박용 방향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17518A (ko) | 2014-01-31 | 2016-10-10 | 가부시키가이샤 케이 세븐 | 조타 장치 및 그 조타 방법 |
-
2020
- 2020-12-03 KR KR1020200167185A patent/KR20220078066A/ko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17518A (ko) | 2014-01-31 | 2016-10-10 | 가부시키가이샤 케이 세븐 | 조타 장치 및 그 조타 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49183A (ko) | 2023-04-05 | 2024-10-14 | 에이치디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 선박용 방향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81441B1 (ko) | 선박용 추진 장치 | |
EP3495257A1 (en) | Propeller setting small duct, and ship | |
KR20220078066A (ko) | 선박용 게이트 러더 및 이를 구비한 선박 | |
JP5404403B2 (ja) | 船の側方方向舵 | |
KR101402537B1 (ko) | 가변형 날개부를 갖는 선박용 추진 장치 | |
KR102452422B1 (ko) | 선박용 러더 및 이를 구비한 선박 | |
JP6026161B2 (ja) | 船舶 | |
KR102452421B1 (ko) | 선박용 게이트 러더 및 이를 구비한 선박 | |
KR102452420B1 (ko) | 선박용 러더 및 이를 구비한 선박 | |
KR20140131725A (ko) | 선미 핀이 장착된 선박 | |
KR101402534B1 (ko) | 선박용 추진 장치 | |
KR102684484B1 (ko) | 선박의 능동형 연료절감장치 | |
KR101236944B1 (ko) | 에너지 회수 장치를 구비한 선박 | |
KR102778409B1 (ko) | 선박용 러더 | |
JP2012045968A (ja) | 船舶用の舵、船舶、及び船舶の設計方法 | |
KR102204035B1 (ko) | 선박용 러더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
KR101763956B1 (ko) | 선박용 러더 | |
KR20140015918A (ko) | 선박용 러더 및 선박용 추진 장치 | |
KR102529977B1 (ko) | 선박 | |
EP4563453A1 (en) | Ship structure | |
JP7326172B2 (ja) | 船舶 | |
KR20220104433A (ko) | 쌍축선 러더 | |
CN118062209A (zh) | 一种具有快速调节功能的船舶螺旋桨节能毂帽鳍 | |
KR20240043462A (ko) | 선박의 굴뚝을 활용한 윙 세일 | |
KR101402432B1 (ko) | 선박용 러더 및 선박용 추진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0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5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