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8049A - Pad for brassiere - Google Patents
Pad for brassie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78049A KR20220078049A KR1020200167143A KR20200167143A KR20220078049A KR 20220078049 A KR20220078049 A KR 20220078049A KR 1020200167143 A KR1020200167143 A KR 1020200167143A KR 20200167143 A KR20200167143 A KR 20200167143A KR 20220078049 A KR20220078049 A KR 2022007804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p
- pad
- chest
- bra
- correc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 A41C3/14—Stiffening or bust-forming insert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007—Brassieres with stay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021—Brassieres with suspension construction for the breast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 A41C3/122—Stay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래지어 컵 보정용 패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크기의 가슴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되, 가슴의 형태 보완 내지 보정을 위해 가슴을 과도하게 압박하지 않고서도 가슴을 볼륨감 있게 표현하여, 불필요하게 가슴을 압박해서 오는 통증, 이물감, 부작용 등을 배제하고 동시에 착용감을 대폭 개선할 수 있으며, 적정 강도를 가지고, 형태가 유지되도록 해 외부 요인에 의해 가슴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가슴을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으며, 물을 흡수하지 않는 비친수성 재질로 구성되어 별도 세탁을 할 필요 없이 단순 물세척만으로 유지 관리가 가능하여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가슴 주위에 통기성을 부여해 가슴을 구성하는 피부를 보다 청결히 관리할 수 있는 브래지어 컵 보정용 패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d for correcting a bra cup, and more particularly, to accommodate breasts of various sizes, and to express the breasts in a voluminous manner without excessive pressure on the breasts to supplement or correct the shape of the breasts. , It is possible to eliminate pain, foreign body sensation, and side effects from unnecessary pressure on the chest, and at the same time greatly improve the fit. It is made of a non-hydrophilic material that does not absorb water and can be maintained semi-permanently by simply washing with water without the need for separate washing. It relates to a bra cup correction pad that can be manag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브래지어 컵 보정용 패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크기의 가슴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되, 가슴의 형태 보완 내지 보정을 위해 가슴을 과도하게 압박하지 않고서도 가슴을 볼륨감 있게 표현하여, 불필요하게 가슴을 압박해서 오는 통증, 이물감, 부작용 등을 배제하고 동시에 착용감을 대폭 개선할 수 있으며, 적정 강도를 가지고, 형태가 유지되도록 해 외부 요인에 의해 가슴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가슴을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으며, 물을 흡수하지 않는 비친수성 재질로 구성되어 별도 세탁을 할 필요 없이 단순 물세척만으로 유지 관리가 가능하여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가슴 주위에 통기성을 부여해 가슴을 구성하는 피부를 보다 청결히 관리할 수 있는 브래지어 컵 보정용 패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d for correcting a bra cup, and more particularly, to accommodate breasts of various sizes, and to express the breasts in a voluminous manner without excessive pressure on the breasts to supplement or correct the shape of the breasts. , It is possible to eliminate pain, foreign body sensation, and side effects from unnecessary pressure on the chest, and at the same time greatly improve the fit. It is made of a non-hydrophilic material that does not absorb water and can be maintained semi-permanently by simply washing with water without the need for separate washing. It relates to a bra cup correction pad that can be managed.
일반적으로 여성들이 가슴에 착용하는 브래지어는 상의로 드러나는 가슴의 형태가 아름답도록 가슴의 모양을 교정하고 가슴의 하부에서 받쳐주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In general, the bra worn by women on the chest corrects the shape of the chest so that the shape of the chest exposed by the top is beautiful, and serves to support and protect the lower part of the chest.
이러한 브래지어는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눠지는데 가슴의 실루엣이 아름답게 표현될 수 있도록 컵의 형태가 보정된 컵형, 유방이 쳐지지 않도록 단단하게 고정하는 업리프트형, 오프숄더탑을 착용했을때 어깨끈이 보이지 않도록 어깨끈을 없앤 스트랩리스형, 브래지어 컵 아래 밴드 부분이 보통보다 넓게 형성된 롱라인형 등등이 있다.These bras are divided into several types according to their use. The cup shape is corrected so that the silhouette of the chest can be expressed beautifully, the uplift type is fixed firmly to prevent the breast from sagging, and the shoulder strap when wearing an off-shoulder top. There are strapless types with no shoulder straps to make them invisible, and long line types in which the band under the bra cup is wider than usual.
이와 같이 브래지어는 미적 측면과 신체의 보호 측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여러가지 섬유소재를 접목하여 제작되기도 하는데 왜냐하면 기본적인 면, 나일론 및 스판 등등이 있으며 특히 부드러우면서도 어느 정도의 탄성이 있어 신체의 변화에도 쉽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해야하기 때문이다.As such, bras are widely used in terms of aesthetics and body protection, and are also made by combining various fiber materials. because you have to be able to do it.
또한 브래지어는 쉽게 착용이 가능하므로 대부분의 현대 여성들은 각각의 신체 사이즈에 맞는 브래지어를 구매하여 착용한다.In addition, since bras are easy to wear, most modern women purchase and wear a bra that fits their body size.
하지만 현대에는 신체 노출이 일반적인 일이 되어가고 있으므로 여성으로서의 매력을 더욱 어필하기 위해 많은 여성들은 자신의 신체 사이즈보다 더 큰 브래지어에 보정용 브래지어 패드를 삽입하여 가슴을 끌어모은 상태로 몸매를 보정한 후 겉옷을 입는 일이 일반적이다.However, in modern times, body exposure is becoming a common thing, so in order to appeal more as a woman, many women insert a correction bra pad into a bra that is larger than their body size, correct the body with the breasts gathered, and then wear outerwear. It is common to wear
이때 사용되는 일반적인 브래지어 패드는 우레탄폼, 스폰지, 실리콘 등등의 탄성소재에 열을 가하여 가슴 형태로 성형한 충전재를 사용한다.A general bra pad used at this time uses a filling material molded in the shape of a chest by applying heat to an elastic material such as urethane foam, sponge, or silicone.
이와 같은 브래지어 패드는 브래지어 컵과 착용자의 가슴 사이에 보형물로 삽입되는 것이지만 상기 나열한 일반적인 소재들은 가슴에서 발생하는 땀을 흡수하고 배출해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lthough such a bra pad is inserted as an implant between the bra cup and the chest of the wearer, the general materials listed above have a problem in that they cannot absorb and discharge sweat generated from the chest.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성형된 브래지어 패드의 충전재 표면에 땀 흡수와 배출을 위해 천을 덧대어 함께 열처리 가공하여 제작하는 형식의 브래지어 패드가 개발되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bra pad of a type in which a fabric is added to the surface of the filling material of the molded bra pad for sweat absorption and discharge, and then heat-treated together has been developed.
이와 같이 브래지어 패드 표면에 덧대어 열처리 가공되는 천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합성섬유소재로써 가격이 저렴하고 열에 강해 열을 가하여 가공하더라도 타지않고 가공된 형태가 유지되기는 하나 브래지어 패드와 분리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기때문에 착용시 발생하는 땀이 지속적으로 브래지어 패드의 겉감에 누적되게 되며, 이로인해 겉감에 세균이 번식하여 피부표면에 염증을 일으킬 수 있는 등 위생상 불결한 문제점도 부각되었다.In this way, the cloth that is heat treated by adding to the surface of the bra pad is a synthetic fiber material that is generally used, has a low price and is strong against heat. For this reason, sweat generated during wearing continuously accumulates on the outer material of the bra pad, and as a result, bacteria multiply on the outer material and cause inflammation on the skin surface, highlighting hygienic problems.
또한, 브래지어 패드는 가슴 형태를 보정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가슴에 과도하게 밀착되는 경우가 많아 이물감을 배제시킬 수 없었고, 심하게는 가슴을 과도하게 압박해 가슴의 혈액순환을 방해한다거나 모양을 변형시키는 부작용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bra pad is used for the purpose of correcting the shape of the chest, it is often excessively close to the chest, so the feeling of foreign body cannot be excluded. There was a problem that caused side effects.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다양한 크기의 가슴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되, 가슴의 형태 보완 내지 보정을 위해 가슴을 과도하게 압박하지 않고서도 가슴을 볼륨감 있게 표현하여, 불필요하게 가슴을 압박해서 오는 통증, 이물감, 부작용 등을 배제하고, 동시에 착용감을 대폭 개선할 수 있으며, 적정 강도를 가지고, 형태가 유지되도록 해 외부 요인에 의해 가슴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가슴을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으며, 물을 흡수하지 않는 비친수성 재질로 구성되어 별도 세탁을 할 필요 없이 단순 물세척만으로 유지 관리가 가능하여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가슴 주위에 통기성을 부여해 가슴을 구성하는 피부를 보다 청결히 관리할 수 있는 브래지어 컵 보정용 패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prior art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roblems, and to accommodate breasts of various sizes, but to compensate for or correct the shape of the chest, the chest can feel voluminous without excessive pressure. By expressing it clearly, it is possible to eliminate pain, foreign body sensation, and side effects that come from unnecessary pressure on the chest,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fit, and to have appropriate strength and to maintain the shape even if the chest is impacted by external factors. It can effectively defend the chest, and it is made of a non-hydrophilic material that does not absorb water and can be maintained semi-permanently by simply washing with water without the need for separate washing.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d for correcting a bra cup that can manage skin more cleanly.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면은 돌출되고 배면은 함몰되어 내부가 빈 반 구의 컵 형태로 이루어지며 중앙에 통기구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통기구를 가로지르는 지지대가 형성되고 전체가 경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컵부; 및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컵부의 배면에 씌워져 착용자의 가슴에 맞닿으면서 상기 컵부의 함몰 부위로 신장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ront side is protruding and the back side is recessed so that it is made in the form of a cup with an empty hemisphere inside, a vent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a support is formed across the vent hole, and the whole is made of a hard material Cup portion made of; and a cover part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cover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cup part, and extended to the recessed part of the cup part while contacting the wearer's chest.
또한, 상기 컵부의 후방측 둘레에는 연질의 완충링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완충링이 커버부를 매개로 가슴 주위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soft buffer ring is integrally formed around the rear side of the cup part, so that the buffer ring is configur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hest through the cover part.
또, 상기 완충링은 외곽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얇아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uffer ring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gradually thinner as it goes outward.
또한, 상기 컵부의 후방측 둘레에는 연질의 완충캡이 착탈 가능하게 감싸져 상기 완충캡이 커버부를 매개로 가슴 주위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soft buffer cap is removably wrapped around the rear side of the cup part, so that the buffer cap is configur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hest through the cover part.
또, 상기 완충캡은 컵부의 후방측 둘레를 연속적으로 감싸는 폐쇄링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uffer cap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in the form of a closing ring continuously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rear side of the cup portion.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오목하게 함몰 형성된 컵부의 함몰 공간 내로 다양한 크기의 가슴의 수용이 가능해지므로, 하나의 패드로 다양한 가슴 크기의 착용자에 고루 적용할 수 있다.First, since it is possible to accommodate chests of various sizes into the recessed space of the cup part formed in a concave depression, one pad can be evenly applied to wearers of various chest sizes.
둘째, 가슴의 형태 보완 내지 보정을 위해 컵부가 가슴을 과도하게 압박하지 않고서도 가슴을 볼륨감 있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가슴을 압박해서 오는 통증, 이물감 등을 배제하고 각종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착용감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Second, because the cup part can express the chest in a voluminous way without excessive pressure on the chest for supplementing or correcting the shape of the chest, it is possible to exclude pain and foreign body sensation from unnecessary pressure on the chest and prevent various side effects. At the same time, the wearing comfort can be greatly improved.
셋째, 컵부가 적정 강도를 가지는 경질 재료로 구성되므로 일정한 형태가 유지되며, 이에, 외부 요인에 의해 가슴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가슴을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으며, 물을 흡수하지 않는 비친수성 재질로 구성되어 별도 세탁을 할 필요 없이 단순 물세척만으로 유지 관리가 가능하여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Third, since the cup part is made of a hard material with appropriate strength, a certain shape is maintained. I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because it can be maintained by simply washing with water without the need for separate washing.
넷째, 통기구를 통해 컵부 내부가 효과적으로 환기될 수 있게 구성되므로 컵부 내부의 열기 배출 성능이 대폭 향상되고, 가슴에 맺힌 땀방을을 보다 신속하게 증발시킬 수 있는 구조가 갖춰지게 된다.Fourth, since the inside of the cup part is configured to be effectively ventilated through the vent, the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inside the cup part is greatly improved, and a structure is provided that can more quickly evaporate sweat from the chest.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브래지어 컵 보정용 패드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브래지어 컵 보정용 패드의 전면측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브래지어 컵 보정용 패드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브래지어 컵 보정용 패드의 후면측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3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브래지어 컵 보정용 패드의 착용에 따라 커버부가 신장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3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완충링이 적용된 브래지어 컵 보정용 패드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컵부와 완충캡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완충캡이 적용된 브래지어 컵 보정용 패드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완충링 및 완충캡이 적용된 브래지어 컵 보정용 패드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1 to 2 are views showing a wearing state of a pad for correcting a bra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front side of the bra cup correction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n exploded configuration of the bra cup correction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rear side of the bra cup correction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based on the line AA shown in FIG.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part is extended according to the wearing of the pad for correcting the bra cup shown in FIG. 6 ;
FIG. 8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ad for correcting a bra cup to which a cushioning ring is applied based on the line AA shown in FIG. 3 .
9 is a view showing the disassembled configuration of the cup portion and the buffer cap.
FIG. 10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ad for correcting a bra cup to which a buffer cap is applied based on the line AA shown in FIG. 3 .
1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ad for correcting a bra cup to which a buffer ring and a buffer cap are applied based on the line AA shown in FIG. 3 .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is example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members in each drawing are sometimes shown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브래지어 컵 보정용 패드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브래지어 컵 보정용 패드의 전면측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브래지어 컵 보정용 패드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브래지어 컵 보정용 패드의 후면측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브래지어 컵 보정용 패드의 착용에 따라 커버부가 신장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3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완충링이 적용된 브래지어 컵 보정용 패드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컵부와 완충캡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완충캡이 적용된 브래지어 컵 보정용 패드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완충링 및 완충캡이 적용된 브래지어 컵 보정용 패드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 to 2 are views showing a wearing state of the pad for correcting a bra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front side of the pad for correcting a bra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view showing the disassembled configuration of the pad for correcting the bra cup, FIG. 5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rear side of the pad for correcting the bra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based on the line A-A shown in FIG. 3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part is stretched according to the wearing of the bra cup correction pad shown in FIG. 6, and FIG. 8 is a bra cup correction to which a buffer ring is applied based on the line A-A shown in FIG. It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ad, FIG. 9 is a view showing the disassembled configuration of the cup part and the buffer cap, and FIG. 10 shows an embodiment of the pad for correcting the bra cup to which the buffer cap is applied based on the line A-A shown in FIG. FIG. 1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ad for correcting a bra cup to which a buffer ring and a buffer cap are applied based on the line A-A shown in FIG. 3 .
본 발명에 따른 브래지어 컵(2) 보정용 패드(1)(이하 패드(1)라 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브래이저의 컵(2) 내부로 삽입되어 가슴의 크기 및 형태를 보완 내지 보정하는 보형물로서, 크게, 컵부(10) 및 커버부(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The pad 1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d 1) for correcting the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엄밀하지 않은 패드(1)의 방향기준을 특정하면, 착용자의 가슴에 인접한 방향을 후방이라 하고, 후방에 대향되는 측을 전방이라 특정하고, 이 기준에 따라 패드(1)를 설명하도록 한다.Prior to the specific descrip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f the direction standard of the
먼저, 컵부(10)는 본 발명에 따른 패드(1)가 일정 형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패드(1)의 주요 골격을 구성한다.First, the
컵부(10)의 전면은 반 구 형태로 볼록하게 돌출되고 배면은 이에 상보적으로 오목하게 함몰되는 컵 형태로 이루어져 브래이저 컵(2) 내부로 수용되었을 때 브래이저 컵(2)을 전방으로 밀어 가슴이 보다 풍만해 보일 수 있도록 가슴의 크기와 형태를 보완한다.The front side of the
컵부(10)의 내부에는 함몰 공간(1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함몰 공간(13)으로는 착용자의 가슴이 수용될 수 있다.A recessed
컵부(10)의 중앙에는 통기구(11)가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이 통기구(11)를 좌우로 양분하도록 통기구(11)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지지대(12)가 형성될 수 있다.A
즉, 지지대(12)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으로 통기구(11)가 분절되어 대칭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ventilation holes 11 may be segmen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with respect to the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지지대(12)는 컵부(10)의 형태 유지에 기여함과, 동시에 손잡이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When configured in this way, the
이에, 지지대(12)를 한 손으로도 충분히 파지할 수 있게 구성되기 때문에 후술 될 커버부(20)의 교환시 컵부(10)의 한 손 파지가 용이하며, 다른 한 손으로 커버부(20)를 자유롭게 조작 가능한 구조를 갖출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20)의 교체를 보다 신속하고 수월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통기구(11)는 컵부(10)의 내부 환기가 가능해지도록 외기를 컵부(10)의 내부로 안내한다. 즉, 컵부(10)의 내부에 수용된 가슴에 땀이 찰 경우 흡입된 외기에 의해 신속한 자연건조가 가능해진다.The
특히, 통기구(11)는 좌우 대칭 형성되는 구조를 갖추기 때문에 한 쪽의 통기구(11)로 유입된 외기가 반대측 통기구(11)로 곧장 배출될 수 있게 되어 컵부(10)의 내부로 안내된 외기가 컵부(10)의 내부에서 불필요하게 계류되지 않고 컵부(10) 내부를 연속적으로 순환할 수 있게 되는 구조가 갖춰진다.In particular, since the
즉, 컵부(10) 내부에서는 외기의 흐름성이 저하되지 않으므로, 컵부(10) 내부의 열기 배출 성능이 대폭 향상되고, 가슴에 맺힌 땀방을을 보다 신속하게 증발시킬 수 있는 구조가 갖춰지게 되는 등 컵부(10)의 환기작용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That is, since the flow of outside air is not reduced inside the
아울러, 컵부(10)는 내부가 빈 반 구 형태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컵부(10) 상에 지지대(12)를 중앙에 두고 통기구(11)가 좌우로 대칭되게 관통 형성될 경우 컵부(10)의 후면을 제외한 전면, 측면, 상면, 하면 모두에서 통기구(11)를 관측할 수 있는 구조가 되기 때문에 컵부(10) 주변 사방의 외기를 컵부(10)의 내부로 흡입할 수 있는 구조가 갖춰지게 되어 외기 흡입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컵부(10)는 전체가 소정의 경도를 가지는 경질 재료로 이루어져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컵부(10)는 내부로 수용된 가슴을 보호하고, 실제 가슴 크기가 빈약하더라도 컵부(10)의 풍융도에 따라 외부로는 가슴을 충분히 풍만하게 보이도록 보완할 수 있다.The
컵부(10)는 예컨대, PP, PE 등의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The
컵부(10)는 경질 재료로 구성되는 만큼 소성변형이 일어날 정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고서는 쉽게 변형되지 않으므로, 운동 등과 같이 신체 위험 요인에 노출되는 환경에서도 가슴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Since the
또한, 컵부(10)는 물을 흡수하지 않는 비친수성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패드(1)를 착용하고 수영 등의 수중 활동을 가능케 한다. 아울러, 오염된 부분이 있을 경우 별도 세탁을 요하지 않고, 간단한 물세척으로 유지보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그리고, 컵부(10)는 일정한 형태를 가지도록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가슴을 직접적으로 압박하지 않아, 별도의 이물감을 배제할 수 있다.And, since the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컵부(10)의 후방측 둘레가 착용자의 신체를 향하는 방향이 되기 때문에, 이 부위가 가슴 기저부 주변에 접촉되면 통증 내지 이물감을 야기시킬 수 있게 되므로, 이 부위에 후술될 완충링(30)과 완충캡(40)을 마련하여 신체와의 접촉점을 형성하였다.However,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since the periphery of the rear side of the
이에,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컵부(10)의 후방측 둘레에는 연질의 완충링(30)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완충링(30)이 가슴 주위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the
이때, 완충링(30)은 컵부(10)의 후방측 둘레에서 확장되는 형태로 컵부(10)에 일체화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상기 완충링(30)은 실리콘과 같은 연질 재료로 이루어져 가슴 주위 기저부에 보다 유연하게 접촉되어 통증과 이물감을 방지한다.The
아울러, 완충링(30)은 가슴 기저부의 만곡도, 형태 등과 같은 신체적 특징에 대응되게 탄성변형이 가능하므로 패드(1)의 착용감을 개선한다.In addition, the
완충링(30)은 컵부(10)의 후방측 둘레를 연속적으로 감싸는 폐쇄링 형태로 이루어져 컵부(10)가 가슴의 기저부 특정 부위에서 들떠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완충링(30)은 상황에 따라 브래지어 컵(2)의 둘레부위와 접촉될 수 있는데, 이때, 완충링(30)은 외곽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얇아지게 구성되어 완충링(30)에 의해 브래지어 컵(2)의 둘레가 신체로부터 들뜨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The
만일, 완충링(30)의 두께가 일률적으로 구성될 경우 완충링(30)의 두께 만큼 브래지어 컵(2)이 신체에서 들뜸이 발생하기 때문에, 브래지어의 착용감을 저하시키거나, 들뜬 부위로 의복이 끼는 등의 문제를 유발한다.If the thickness of the
다음으로, 커버부(20)는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컵부(10)의 배면에 씌워져 개방된 배면 부위를 폐쇄한다.Next, the
패드(1)가 가슴에 밀착되면, 커버부(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가슴에 맞닿으면서 가슴을 전체적으로 감싼 채 상기 컵부(10)의 함몰 부위로 신장된다.When the
이 상태에서 커버부(20)는 가슴을 착용자의 신체 방향으로 탄성 가압해 가슴이 쳐지거나 흔들리지 않도록 보정하고, 특히, 컵부(10)의 함몰 공간(13)에서 가슴을 신체 방향으로 최대한 밀착시켜 컵부(10)의 함몰 부위를 최대한 빈 공간으로 확보한다.In this state, the
즉, 쳐진 가슴에 의해 컵부(10)의 함몰 공간(13) 체적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가슴에 의해 통기구(11)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여 함몰 공간(13)의 통기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That is, it prevents the volume of the recessed
만일, 가슴이 함몰 공간(13) 내주면에 밀착 구성될 경우 가슴이 통기구(11)를 부분 또는 완전히 폐쇄하거나, 함몰 공간(13)의 체적이 줄어 함몰 공간(13)으로 외기가 잘 통하지 않게 되므로 통기성이 현저하게 저하될 우려가 있다.If the chest is configur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커버부(20)가 컵부(10)의 개방된 배면 부위를 폐쇄하도록 씌워지면 완충링(30)의 배면까지 자연스레 덮도록 씌워질 수 있다. 이에, 완충링(30)은 커버부(20)를 매개로 가슴 주위 기저부에 접촉될 수 있다.When the
커버부(20)는 일례로, 실크, 나일론 등의 편물로서 신축성을 가지는 주머니 형태로 이루어져, 컵부(10)의 배면측 개방부위를 덮되 입구측 둘레 부위가 완충링(30)의 전방을 덮도록 구성되는 외피(21) 및 상기 외피(21)의 입구측 둘레 부위에 내장되어 외피(21)의 입구측 둘레가 완충링(30) 전면에 탄성가압되도록 하는 탄성밴드(22)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밴드(22)는 필요에 따라 생략하거나 비슷한 기능의 대체품으로 치환될 수도 있다.The
외피(21)는 실크, 나일론 등의 편물로서 충분한 통기성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이에 가슴에 접촉되었을 때 가슴으로 공기흐름을 원할하게 하여 가슴에 땀이 차는 것을 최소화시킨다.The
이때, 외피(21)의 입구측 둘레 부위는 탄성밴드(22)로 하여금 완충링(30)에 강하게 밀착 구성되기 때문에 커버부(20) 자체가 컵부(10)에서 슬립되어 임의로 벗겨지거나 위치가 틀어지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특히, 완충링(30) 자체는 컵부(10)의 후방측 둘레에서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동시에 탄성밴드(22)가 외피(21)의 입구 둘레를 수렴작용하기에 완충링(30)이 언더컷 형태로 작용해 커버부(20)가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되고, 더욱이, 연질의 완충링(30) 상에 외피(21)의 입구측 둘레 부위가 강하게 접촉됨에 따라 마찰저항에 의해 커버부(20)의 슬립이 억제되어 커버부(20)가 컵부(10) 상에서 더욱 더 임의로 벗겨지기 힘든 구조가 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따라서, 패드(1)를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자의 과도한 움직임이 발생되더라도 컵부(10)와 패드(1)가 임의로 분리되는 현상을 원천 차단할 수 있다.Accordingly, even if excessive movement of the wearer occurs while wearing the
필요에 따라 외피(21)는 망사원단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커버부(20)를 상황에 따라 손쉽게 교체사용할 수 있다.If necessary, the
한편,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완충링(30) 대신 컵부(10)의 후방측 둘레에 연질의 완충캡(40)이 착탈 가능하게 감싸지는 실시예를 예시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9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이를 위해, 컵부(10)의 후방측 둘레에는 일정 면적 플랜지(14)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a
완충캡(40)은 컵부(10)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여 상황에 맞게 채택 가능한 선택적 구성으로서 활용할 수 있다.The
완충캡(40)은 전술한 완충링(30)과 마찬가지로, 커버부(20)를 매개로 가슴 주위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며, 컵부(10)의 후방측 둘레, 즉 플랜지(14)를 연속적으로 감싸는 폐쇄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완충캡(40)의 내주면에는 상기 플랜지(14)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41)이 원주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될 수 있다.A
특히, 상기 끼움홈(41)은 완충캡(40) 중앙을 기준으로 전방측으로 치우치게 구성되어 완충캡(40) 후방측에 충분한 두께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해 가슴에 접촉되는 부분에서 완충캡(40) 자체의 완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춘다.In particular, the
이에 더하여, 완충캡(4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부(10)와 일체화된 완충링(30)의 외측을 착탈 가능하게 감싸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이렇게 구성되면 전술한 완충링(30)에 더하여 완충캡(40)이 보강되는 구조가 되기 때문에 완충링(30) 부분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에, 컵부(10)의 후방측 둘레 부위를 가슴 주위 기저부에 보다 강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When configured in this way, since the
기저부 면적이 상대적으로 좁은 착용자의 경우 이와 같이 완충링(30)에 완충캡(40)을 보강결합한 패드(1)를 착용하게 되면 기저부와 컵부(10) 사이 빈 부분을 완충링(30)과 완충캡(40)으로 보충할 수 있게 되어 착용감이 개선되고 패드(1) 자체가 가슴에 보다 강하게 밀착구성될 수 있어 패드(1)의 유지력이 향상된다.In the case of a wearer having a relatively narrow base area, when the
완충캡(40)은 컵부(10)의 후방측 둘레, 플랜지(41) 또는 완충링(30)을 양 측에서 파지할 수 있다.The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it will be well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mentioned i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Moreo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ion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패드
10: 컵부
20: 커버부
30: 완충링
40: 완충캡1: pad
10: cup part
20: cover part
30: buffer ring
40: buffer cap
Claims (5)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컵부의 배면에 씌워져 착용자의 가슴에 맞닿으면서 상기 컵부의 함몰 부위로 신장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지어 컵 보정용 패드. a cup part with a front surface protruding and a recessed rear surface formed in the form of a cup of a half sphere with an empty interior, a vent hole through the center, a support traversing the ventilation hole, and the whole made of a hard material; and
and a cover part made of an elastic material, cover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cup part, and extending to the recessed part of the cup part while contacting the wearer's chest.
상기 컵부의 후방측 둘레에는 연질의 완충링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완충링이 커버부를 매개로 가슴 주위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지어 컵 보정용 패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ad for correcting a bra cup, characterized in that the soft buffer ring is integrally formed around the rear side of the cup part so that the buffer ring is configur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hest through the cover part.
상기 완충링은 외곽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얇아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지어 컵 보정용 패드.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pad for correcting a bra cup, characterized in that the cushioning ring is configured to gradually decrease in thickness toward the outside.
상기 컵부의 후방측 둘레에는 연질의 완충캡이 착탈 가능하게 감싸져 상기 완충캡이 커버부를 매개로 가슴 주위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지어 컵 보정용 패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ad for correcting a bra cup, characterized in that the soft buffer cap is removably wrapped around the rear side of the cup part so that the buffer cap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hest through the cover part.
상기 완충캡은 컵부의 후방측 둘레를 연속적으로 감싸는 폐쇄링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지어 컵 보정용 패드.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cushioning cap is a pad for correcting a bra cup,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closing ring that continuously surrounds the periphery of the rear side of the cup.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7143A KR102482107B1 (en) | 2020-12-03 | 2020-12-03 | Pad for brassie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7143A KR102482107B1 (en) | 2020-12-03 | 2020-12-03 | Pad for brassier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8049A true KR20220078049A (en) | 2022-06-10 |
KR102482107B1 KR102482107B1 (en) | 2022-12-29 |
Family
ID=81986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67143A Active KR102482107B1 (en) | 2020-12-03 | 2020-12-03 | Pad for brassie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82107B1 (en)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281186A (en) * | 1993-01-26 | 1994-01-25 | Buckley Caroline M | Protective breast cup arrangement |
JPH0719306U (en) * | 1993-09-08 | 1995-04-07 | 昭栄シャローム株式会社 | Bust pad |
KR200274740Y1 (en) | 2002-01-17 | 2002-05-09 | (주)아이디어누리 | Pad for brassiere using gel |
KR200387849Y1 (en) * | 2005-04-04 | 2005-06-28 | 고정찬 | Bandless Adsorption type Brassiere |
JP3188983U (en) * | 2013-09-17 | 2014-02-20 | 株式会社Mic | Bust pad and bust cup |
KR20170000901U (en) * | 2015-09-01 | 2017-03-09 | 이대원 | Brassiere pad cover |
KR20170048689A (en) * | 2015-10-27 | 2017-05-10 | 이대원 | Brassiere pad with expansion ring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88983B2 (en) | 1992-04-25 | 2001-07-16 | 能美防災株式会社 | Sensor base |
-
2020
- 2020-12-03 KR KR1020200167143A patent/KR10248210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281186A (en) * | 1993-01-26 | 1994-01-25 | Buckley Caroline M | Protective breast cup arrangement |
JPH0719306U (en) * | 1993-09-08 | 1995-04-07 | 昭栄シャローム株式会社 | Bust pad |
KR200274740Y1 (en) | 2002-01-17 | 2002-05-09 | (주)아이디어누리 | Pad for brassiere using gel |
KR200387849Y1 (en) * | 2005-04-04 | 2005-06-28 | 고정찬 | Bandless Adsorption type Brassiere |
JP3188983U (en) * | 2013-09-17 | 2014-02-20 | 株式会社Mic | Bust pad and bust cup |
KR20170000901U (en) * | 2015-09-01 | 2017-03-09 | 이대원 | Brassiere pad cover |
KR20170048689A (en) * | 2015-10-27 | 2017-05-10 | 이대원 | Brassiere pad with expansion r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82107B1 (en) | 2022-12-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332825B1 (en) | Breast supporting garment utilizing slip resistant materials to control position of garment | |
US20050266770A1 (en) | Breast supporting garment utilizing slip resistant materials to control position of garment | |
KR101957931B1 (en) | Brassiere having elastic force and breathability | |
KR101848566B1 (en) | Brassiere capable of size and shape adjustment | |
JP3103563U (en) | Bra cups with two different hardness materials | |
KR101957930B1 (en) | How to manufacture brassiere | |
KR20220078049A (en) | Pad for brassiere | |
KR200326295Y1 (en) | brassiere cup | |
JP3141924U (en) | Breast prosthesis pad | |
KR200484295Y1 (en) | Brassiere pad cover | |
KR200252448Y1 (en) | Brassiere combine under shirt | |
KR101427386B1 (en) | Functional brassier | |
KR200322618Y1 (en) | Pad for brassiere | |
KR200334357Y1 (en) | brassiere without string | |
KR200386088Y1 (en) | Volume up pad for brassiere | |
KR200322608Y1 (en) | a brassiere | |
CN211458877U (en) | Comfortable brassiere of no steel ring | |
KR20170048689A (en) | Brassiere pad with expansion ring | |
KR200447051Y1 (en) | Bra pads | |
CA2101509A1 (en) | Beauty breast | |
US20230109796A1 (en) | Unitary polymeric foam brassiere | |
CN212697708U (en) | Environment-friendly underwear | |
KR200448062Y1 (en) | Head correction correction tool | |
KR200463565Y1 (en) | Winter inner wear equipped with the brassiere | |
CN216776188U (en) | Fully-fitted comfortable traceless light plastic mas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05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0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7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19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