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076597A - Mask having support frame - Google Patents

Mask having support fr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6597A
KR20220076597A KR1020200165258A KR20200165258A KR20220076597A KR 20220076597 A KR20220076597 A KR 20220076597A KR 1020200165258 A KR1020200165258 A KR 1020200165258A KR 20200165258 A KR20200165258 A KR 20200165258A KR 20220076597 A KR20220076597 A KR 20220076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frame
fastening
support frame
body pa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52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협
Original Assignee
이상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협 filed Critical 이상협
Priority to KR1020200165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6597A/en
Publication of KR20220076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597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4Closures using snap faste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상 편리성이 개선될 수 있으며 대화나 호흡 간에 마스크의 위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코와 입 부위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입 사이에 개재되어 내측공간을 형성하되 본체부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마스크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sk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improving wearing comfort and preventing displacement of the mask during conversation or breathing, comprising a body disposed to cover the nose and mouth, the body and It is interposed between the mouth to form an inner space, but provides a mask comprising a frame portion coupled to the body portion so as to be rotatable up and down.

Description

지지프레임을 가지는 마스크{MASK HAVING SUPPORT FRAME}Mask with support frame {MASK HAVING SUPPORT FRAME}

본 발명은 호흡 마스크와 관련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상 편리성이 개선될 수 있으며 대화나 호흡 간에 마스크의 위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프레임을 가지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eathing mask, and more particularly, to a mask having a frame having a structure that can improve usability and prevent displacement of the mask between conversations and breathing.

마스크는 보건위생상 병균이나 먼지 등의 흡입 및 침 등의 비산(飛散)을 막기 위하여 코와 입을 가리는 물건을 말한다.A mask is an object that covers the nose and mouth to prevent inhalation of germs or dust and scattering of saliva for health and hygiene reasons.

이러한 마스크는 통상 거즈나 부직포를 이용하여 생산하는데, 초기에는 1919년 세계적으로 유행한 스페인 감기인 인플루엔자가 유행하였을 때부터 본격적으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알려져있다. These masks are usually produced using gauze or non-woven fabrics, and it is known that they were used in earnest since the outbreak of influenza, the Spanish cold, which was prevalent worldwide in 1919 in the early days.

즉, 초기부터 감기 바이러스나 세균의 유입을 막기 위하여 사용되었으나 점차적으로 찬 공기의 유입을 막거나 먼지를 막기 위하여서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근래에는 미세먼지 증가와 바이러스로 인한 판데믹의 영향으로 전 인류가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일상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That is, it was used to prevent the inflow of cold viruses or bacteria from the beginning, but is gradually being used to prevent the inflow of cold air or to prevent dust. In addition, in recent years, due to the increase in fine dust and the effect of a pandemic caused by viruses, it is becoming common for all mankind to wear a mask.

통상 마스크는 정형화된 생산라인에서 제조되기 때문에 크기와 형상이 일정하고 일반적으로 이렇게 기성화된 마스크를 구매하여 착용하게 된다. 그런데, 마스크 착용이 일상화되면서 불편함이 더욱 크게 인식되고 있는데, 호흡이 원활하지 않아 갑갑한 문제는 물론, 대화의 불편함을 초래하고, 특히 운동이나 대화 또는 호흡 중에도 마스크가 제대로 입 부위를 덮지 못하고 자리를 이탈하는 경우가 흔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다. Since masks are usually manufactured in a standardized production line, the size and shape are constant, and in general, these ready-made masks are purchased and worn. However, as wearing a mask is becoming more common, discomfort is becoming more recognized, and breathing is not smooth, which causes cramping problems as well as discomfort in conversation. You can find a problem that often occurs when you deviate from .

한국 공개실용 제20-2020-0001161호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얼굴에 밀착성을 높이도록 길이조절이 가능한 마스크를 제시하고 있다. 도 1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개선된 마스크에 대한 사시도이며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Korean Public Utility No. 20-2020-0001161 proposes a mask that can be adjusted in length to increase adhesion to the fac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1 is a perspective view of such an improved mask of the prior art, and it will be looked at in detail.

안면에 둘레부분이 밀착되는 마스크 몸체(10)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양 측단부분(10a)에 각각 양단(21)이 고정설치된 귀걸이용 밴드(20)와, 상기 마스크 몸체(10)의 양 측단부분(10a)에 각각 형성된 귀걸이용 밴드(20)의 길이를 조절을 위한 길이조절용 절개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길이조절용 절개부(30)는 마스크 몸체(10)의 양 측단부분(10a)에 각각 형성되며, 이러한 길이조절용 절개부(30)는 필요시 칼과 같은 절개수단을 이용하여 절단을 한 후, 귀걸이용 밴드(20)의 중간부분(22)을 길이조절용 절개부(30)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마스크 몸체(10)의 끝단부(11)를 감아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A mask body 10 that has a peripheral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a band 20 for earring having both ends 21 fixed to both side end portions 10a of the mask body 10, and the mask body 1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ength adjustment cutout 30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earring band 20 formed on both side end portions 10a, respectively. The length adjustment cutout 30 is formed on both side end portions 10a of the mask body 10, respectively, and the length adjustment cutout 30 is cut using a cutting means such as a knife if necessary, The length can be adjusted by winding the end 11 of the mask body 10 in such a way that the middle portion 22 of the earring band 20 is inserted into the cutout 30 for length adjustment.

이렇게 귀 부분으로 이어지는 끈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밀착성을 강화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다수 발견되고 있는데, 좌우로 당겨서 밀착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는 하고 있으나 근본적으로 상하로 마스크가 움직이는 현상을 제어하지는 못하는 한계가 있다. There are many attempts to strengthen the adhesion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tring leading to the ear. Although it contributes to strengthening the adhesion by pulling it left and right, there is a limit that cannot fundamentally control the movement of the mask up and down. .

또한, 과도한 당김으로 인하여 입 부위나 귀 부위의 통증 호소가 증가하고 있으며, 내면이 입 부위에 닿아 대화나 호흡에 더 큰 불편함이 생기기도 한다. 구체적으로, 입이 마스크에 닿게 되어 숨이 막히거나 불결함과 차가운 불쾌감이 있으며 대화할 때 소리가 깨끗하게 들리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경우 손으로 잡게 되기 때문에 오염물이 마스크에 부착되는 위험도 존재한다. In addition, pain complaints in the mouth or ears are increasing due to excessive pulling, and the inner surface touches the mouth, causing greater discomfort in conversation or breathing. Specifically,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mouth came into contact with the mask, causing choking, filthiness and cold discomfort,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ound was not heard clearly when talking. In this case, there is also a risk of contaminants adhering to the mask because it is held by hand.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입 부위의 공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오랜 대화나 강의 그리고 호흡과 운동간 마스크의 정확한 위치의 배치상태를 보장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지지프레임을 가지는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 structure that can ensure the correct positioning of the mask between long conversations, lectures, breathing and exercise while stably securing the space of the mouth area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sk having a support frame having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간적인 이점을 향상하면서도 생산비용의 증가를 억제하여 생산성과 경제성이 보장되고, 사용상 편리성도 증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프레임을 가지는 마스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sk having a support frame that improves the spatial advantage and suppresses the increase in production cost to ensure productivity and economy, and to increase convenience in us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코와 입 부위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의 내측공간에 배치되는 프레임부(300)와, 상기 프레임부와 본체부를 연결하는 체결 및 회동부(400)를 포함하는 지지프레임을 가지는 마스크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body part 100 disposed to cover the nose and mouth, the frame part 300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part, and the fastening connecting the frame part and the body part And it provides a mask having a support frame including a rotating part (400).

상기 프레임부는 체결 및 회동부를 기준을 본체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되도록 결합되어 하악의 움직임에 따라 본체부에 내부에서 이동하여 본체부의 신체와의 결합 위치와 형상을 유지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The frame portion may be coupled to rotate relative to the body portion based on the fastening and rotation portion, and may function to move inside the body por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andible to maintain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body portion coupled with the body.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 및 회동부는, 본체부와 프레임부의 전후를 관통하여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Preferably, the fastening and rotating parts are symmetrically disposed on both sides through the front and rear of the body part and the frame part.

또한, 상기 본체부와 프레임부 사이에 개재되어 탈착 가능한 필터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detachable filter unit 200 interpos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frame unit.

상기 프레임부는, 복수의 유통홀(301)과, 체결 및 회동부와의 체결 위치를 상하 또는 좌우로 변경 가능한 가변슬릿(3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frame un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distribution holes 301 and a variable slit 310 capable of changing a fastening position with a fastening and a rotating part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일실시예로, 상기 본체부는 일회용 마스크, 면마스크, 입체형 마스크, 스카프, 넥워머, 두건 또는 바라클라바 중의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body part may be composed of any one of a disposable mask, a cotton mask, a three-dimensional mask, a scarf, a neck warmer, a bandana, or balaclava.

일실시예로, 상기 체결 및 회동부는 스냅버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astening and rotating part may be made of a snap button.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여, 마스크 내부 공간을 어떠한 환경에서도 보장할 수 있기 때문에 호흡의 불편함을 초래하지 않으며 입의 움직임을 자연스럽게 허용할 수 있어 상시적인 착용에 있어서도 편리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since the inner space of the mask can be ensured in any environment, it does not cause discomfort in breathing, and the movement of the mouth can be allowed naturally, so that the convenience is increased even when worn at all times. have.

또한, 탈착될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함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일회용 마스크, 스카프, 바라클라바 등에 적용될 수 있어서 상품성이 향상되며, 마스크 내부에서 턱이나 피부의 움직임에 따라 마스크의 형태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프레임부가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대화나 호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adopting a detachable structure,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disposable masks, scarves, balaclava, etc., thus improving marketability. Since the frame part can be moved, there is an effect that conversation or breathing can be performed smoothly.

도 1은 종래기술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마스크를 나타내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을 가지는 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을 가지는 마스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지지프레임을 가지는 마스크의 작동을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지지프레임을 가지는 마스크의 사용상태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지지프레임을 가지는 마스크에서 프레임부에 대한 추가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sk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prior art.
2 is a rear view for explaining a mask having a support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ask having a support fram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for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mask having a support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tate diagram of a mask having a support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frame portion in the mask having the support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지지프레임을 가지는 마스크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ask having a support frame of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However,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merely for explaining in detail enough that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 invention, which limi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n't mean

이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나 장치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a case in which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a case in which another element or device is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코와 입 부위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입 사이에 개재되어 내측공간을 형성하되 본체부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마스크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provides a mask comprising a body part disposed to cover the nose and mouth, and a frame part interposed between the body part and the mouth to form an inner space but coupled to the body part so as to be rotatably up and down. to provide.

본 발명에서 마스크란 먼지, 바이러스, 세균과 같은 외부 이물의 코나 입으로의 유입이나 타액이나 콧물의 외부 비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기본적으로는 양측에서 귀에 걸림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나, 이러한 마스크의 형태, 재질, 용도 및 배치형태는 본 발명의 개념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스카프와 같은 형태로 입 주변을 감싸는 경우나 바라클라바(Balaclava)와 같이 머리 부위를 대략 전체적으로 덮는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도 입과 코 부위를 감싸면서 소정의 이물 유입 내지는 유출을 방지한다면 본 발명의 마스크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sk is used to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viruses, and bacteria into the nose or mouth or the external scattering of saliva or runny nose. The shape, material, use and arrangement of the mask do not limit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wrapping around the mouth in the form of a scarf or in the case of covering the head area as a whole, such as balaclava, a predetermined foreign body is prevented from entering or outflowing while covering the mouth and nose. If so, it will be understood to be included in the concept of the 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설명에서 본체부가 입을 감싸는 부위를 내측으로 외기를 바라보는 방향을 외측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dy part covers the mouth is defined as the outside direction to the insid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을 가지는 마스크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2 is a rear view for explaining a mask having a support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체부(100)는 입과 코 주변을 감싸고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외부와 입 부위의 공간을 격리할 수 있으면 족하다. 이러한 본체부(100)는 기성의 일회용 또는 반영구적 마스크일 수 있으며, 하드타입이나 소프트타입의 재질은 불문한다. 또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상기와 같다. The main body 100 is form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mouth and nose, and it is sufficient as long as it can isolate the space between the outside and the mouth. The main body 100 may be a ready-made disposable or semi-permanent mask, regardless of the material of the hard type or soft type. In addition, it can be made in various forms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본적으로 양측에 귀에 걸 수 있는 걸이부(110)를 가지는 형태로 예시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100)의 내면은 피부에 접촉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유연하며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it is exemplified in the form of having a hook part 110 that can be hung on both sides of the ear. Since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is in contact with the skin, it may be generally made of a flexible and soft material.

외부 먼지나 바이러스와 같은 이물을 거를 수 있도록 이러한 본체부(100)는 소정의 레이어에 중첩되는 형태로서 필터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프레임부(300)가 본체부(100)의 내측에 결합되기 때문에 필터의 탈착이 가능한 구조를 형성한다. 이에, 상기 본체부(100)와 프레임부(300)의 사이에 개재되어 교체 가능한 필터부(200)가 별체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부(200)는 합성섬유나, 솜,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유형의 필터부재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이와 관련하여서는 공지의 것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실시예는 생략하도록 한다. 이러한 필터부는 후술될 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으며 프레임부(300)와 함께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양면테이프를 통하여 본체부 또는 프레임부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필터부가 위치 이탈되거나 접히는 문제가 해소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인 포켓 삽입식 교체형 마스크의 경우 손으로 만지기 때문에 오염이 되는 문제가 있으나 이러한 문제가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In order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such as external dust or viruses, the main body 100 may have a filter in the form of overlapping with a predetermined layer. However, in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rame part 300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ody part 100, a structure in which the filter can be detached is formed. Accordingly, the filter unit 200 which is interposed between the body unit 100 and the frame unit 300 and is replaceable may be separated. Various types of filter members made of synthetic fibers, cotton, metal, etc. may be applied to the filter unit 200, and in this regard, well-known ones may be applied, so a specific embodiment will be omitted. Such a filter unit may be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not show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fastening hole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be fixed together with the frame unit 300 . In addition, it may be attached to the body portion or the frame portion through a double-sided tape. In this case, the problem of the filter unit being displaced or folded may be solved. In the case of a general pocket insertion type replaceable mask, there is a problem of contamination because it is touched by hand, but this problem is expected to be resolved.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에는 프레임부(300)가 배치되어 기본적으로 내측 공간의 변형에 대응하여 소정의 공간을 확보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부(300)의 형상은 선택적이나 최소한 본체부(100)의 내면(101)에서 코와 입의 범위를 커버할 수 있는 형상과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rame part 300 is disposed inside the body part 100 to basically function to secure a predetermined space in response to the deformation of the inner space. The shape of the frame part 300 is optional, but at least the inner surface 101 of the body part 100 may have a shape and size that can cover the range of the nose and mouth.

이러한 프레임부(300)는 섬유나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본체부(100) 보다는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재질이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엘라스토머(elastomer), 실리콘(silicone), PE(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및 PP(폴리프로필렌)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출성형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rame part 300 may be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maintaining its shape rather than the body part 100 which may be made of fibers or non-woven fabric, for example, elastomer, silicone, PE (polyethylene). , polyurethane and PP (polypropylene) may be formed in such a way that any one or more is injection-molded.

상기 프레임부(300)는 통기성을 고려하여 복수의 유통홀(301)들을 구비할 수 잇으며, 상기 유통홀(301)의 형태와 배열에 의하여 소정의 미관적인 향상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The frame unit 3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distribution holes 301 in consideration of air permeability, and a predetermined aesthetic improvement may be considered by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distribution holes 301 .

상기 유통홀(301) 중의 어느 하나로서 기능하면서도 본체부(100)와 결합할 수 있는 체결 및 회동부(40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체결공이 구비될 수 있으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비교적 종방향으로 긴 형상의 가변슬릿(310)이 적용되어 있다. 이러한 가변슬릿(310)은 체결 및 회동부(400)의 장착 위치를 형상과 사용 형태에 따라 가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체결 및 회동부(400)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기준위치가 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하도록 한다.A fastening hole may be provided so that the fastening and rotational part 400 that can be coupled with the main body part 100 while functioning as any one of the distribution holes 301 passes through, an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it is relatively longitudinal. A variable slit 310 having a long shape is applied. This variable slit 310 can be a reference position rotated around the fastening and rotating part 400 while allowing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fastening and rotating part 400 to be varied according to the shape and use form, and the specific Examples will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부(300)가 체결 및 회동부(400)를 통하여 본체부(100)와 결합되되, 체결 및 회동부(400)를 중심으로 본체부(100)에 대해 상대적 회동이 가능한 개념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피부와 접촉되는 부위의 마찰력으로 인하여 본체부(100)의 밀착성이 약화되거나 바람직하지 않은 위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체부(100)는 코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덮어 어느 정도 신체 쪽으로 꺾여져 있는 코지지부(121)를 가지며, 프레임부(300)는 하측에서 턱 내지는 입술 아래쪽 부위와 접촉할 수 있는 턱지지부(323)를 가질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part 300 is coupled with the body part 100 through the fastening and rotating part 400, and the concept of being able to rotate relative to the main body part 100 with the fastening and rotating part 400 as the center. is presenting Through this, it will be possible to prevent the adhesion of the main body 100 from being weakened or from being separated to an undesirable position due to the frictional force of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kin. Accordingly, the body part 100 has a nose support part 121 that is bent toward the body to some extent by covering a part or all of the nose, and the frame part 300 has a chin support part that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chin or the lower part of the lip from the lower side. (323).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을 가지는 마스크의 분해사시도이다.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ask having a support fram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체부(100)는 대략 전방측으로 볼록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입 부위에 공간을 마련해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을 가지는 일반적인 마스크는 유연성이 높아서 변형이 잘 되기 때문에 이러한 공간은 쉽게 변형되고 입 부위에 붙거나 잘 이탈되는 등 문제가 발행한다. 프레임부(300)는 이러한 현상을 해결하면서 원활하게 호흡할 수 있으면서도 대화할 때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보장해주도록 기능한다. The body part 100 has a substantially convex shape toward the front side, and thus can provide a space in the mouth region. As described above, since a general mask having a support frame has high flexibility and is easily deformed, such a space is easily deformed and problems such as sticking to the mouth or well detached occur. The frame unit 300 functions to ensure an internal space so as to minimize discomfort during conversation while being able to breathe smoothly while solving this phenomenon.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걸이부(110)가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지지 않고 본체부(100)와 일체로 구성되어 탄성 변형이 용이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나타나 있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it is shown that the hook part 110 is not made in the form of a wire, but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easily elastically deformable because i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part 100 .

상기 프레임부(300)는 본체부(100)의 내측에 접촉된 상태로 체결 및 회동부(400)에 의하여 체결되며, 상기 체결 및 회동부(400)는 본체부(100)의 외면으로부터 프레임부(300)의 내면을 관통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시 사항에서는 상기 체결 및 회동부(400)가 스냅 버튼 형태로 이루어지는 예가 나타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체결 및 회동부(400)는 본체부(100)에 결합된 단추와 같은 방식, 스크류체결하는 방식, 후크 방식 등 다양한 체결방식이 선택될 수 있으며, 프레임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형태면 족하다. The frame part 300 is fastened by the fastening and rotating part 400 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main body part 100 , and the fastening and rotating part 400 is the frame 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100 . It may be disposed in a manner that penetrates the inner surface of the 300 . In the drawings, an example in which the fastening and rotating part 400 is formed in the form of a snap button is shown. In some cases, various fastening methods such as a button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a screw fastening method, a hook method, etc. may be selected for the fastening and rotating part 400, and the frame par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orm is sufficient.

한편, 상기 버튼부(410)의 단부측은 피부와 직접 접촉될 수 있기 때문에 열 전도성이 낮은 섬유나 고무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이러한 재질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피부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재질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고무, PE나 PP등이 적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end side of the button part 410 can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it is preferable to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low thermal conductivity, such as fiber or rubber, or to be attached to such a material.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material capable of minimizing skin irritation is applied. For example, rubber, PE or PP may be applied.

체결 및 회동부(400)가 스냅버튼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본체부(100)의 외부로부터 본체부(100)의 양측에 형성되는 체결홀(참조번호 미표시)에 관통 배치되는 장착부(420)와, 상기 장착부(420)에 본체부(100)의 내면(101)에서 체결되는 고정부(420)와, 프레임부(300)의 내측에서 프레임부(300)의 체결공을 관통하여 고정부(420)측에 체결되는 버튼부(4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버튼부(410)의 외경은 체결공의 개방된 폭보다는 넓게 이루어질 수 있다. When the fastening and rotating part 400 is made of a snap button, the mounting part 420 is disposed through the fastening holes (reference number not show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part 100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part 100, and the mounting part The fixing part 420 fastened to the inner surface 101 of the main body 100 to 420, and the fixing part 420 side through the fastening hole of the frame part 300 from the inside of the frame part 300 It may include a button unit 410 to be fastened. The outer diameter of the button portion 410 may be made wider than the open width of the fastening hole.

상기와 같이 스냅버튼중 링스냅버튼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버튼부에 홀을 형성하여 전선 또는 에어호스와 같은 라인을 관통시키고 필터 혹은 입부분으로 바로 연결시키는 경우도 고려될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체부(100) 전면을 통해 외부 에어장비등의 기타장치가 본체부(100)의 외부노출없이 얼굴을 감싸면서도 필터 혹은 입과 코에 직접 도달할수 있으며 이러한 라인은 프레임부(300)혹은 회동부(400)에 고정할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a ring snap button among the snap buttons, a case may be considered in which a hole is formed in the button portion to pass through a line such as an electric wire or an air hose and directly connected to a filter or mouth. In this case, other devices such as external air equipment through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0 can reach the filter or the mouth and nose directly while covering the face without external exposure of the main body 100, and these lines are the frame 300 or It can be fixed to the rotating part (400).

이러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프레임부(300)의 변경, 프레임부(300)의 배치상태의 변경, 필터부(200)의 교체가 필요할 때 버튼부(410)를 고정부(420)에서 탈거하여 간편하게 탈착 동작이 가능할 것이다. With this structure, when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frame part 300, change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frame part 300, or replace the filter part 200, the button part 410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fixing part 420. A detachment operation will be possible.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프레임부(300)의 상측은 오목한 형태로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콧등 부분이 프레임부(300)의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측개방부(323)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측개방부(323)에 노출된 콧등의 부분이 본체부(100)의 코지지부(121)에 정확하게 지지될 수 있고, 후술될 상대 회동 동작시 본체부(1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illustrated example, a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side of the frame part 300 in a concave shape, which forms the upper opening part 323 so that the bridge of the nose can be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frame part 300 . Accordingly, the portion of the nose bridge exposed to the upper opening 323 can be accurately supported by the nose support 121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100 can be fixed during a relative rotation operation to be described later. let it be

도 4는 본 발명의 지지프레임을 가지는 마스크의 작동을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이다. Figure 4 is a side view for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mask having the support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느 정도 입체적인 형상을 가지는 본체부(100)의 내측에 프레임부(300)가 배치되어 소정의 공간을 보장할 수 있음은 상기와 같다. 본체부(100)의 내면(101)과 프레임부(300)의 외면 사이에는 밀착되는 부위와 이격되는 부위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격 부위는 회동시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격공간(510)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It is as described above that the frame part 300 is disposed inside the body part 100 having a certain three-dimensional shape to ensure a predetermined space. Between the inner surface 101 of the body portion 10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portion 300, there may be a portion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a portion that is spaced apart, and this spaced portion is a clearance space 510 that can minimize resistance during rotation. can function

프레임부(300)와 본체부(100)를 연결하는 체결 및 회동부(400)는 결합의 견고성과 회동의 효율성을 고려한 위치와 개수로 선택될 수 있을 것이며, 기본적으로 입 가장자리에서 어느 정도 거리를 가지고 이격되어 양측에서 한 쌍이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e fastening and rotating parts 400 that connect the frame part 300 and the body part 100 may be selected at positions and numbers in consideration of the rigidity of the coupling and the efficiency of rotation, and basically, a certain distance from the edge of the mouth It would be desirable to have a pair of symmetrically arranged on both sides spaced apart.

상기 프레임부(300)의 내측으로는 내측공간(520)이 형성되며, 이러한 내측공간(520)은 본체부(100)의 내부에서 프레임부(300)가 배치되는 공간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An inner space 520 is formed inside the frame part 300 , and this inner space 520 may be understood as a space in which the frame part 300 is disposed inside the body part 100 .

상기 프레임부(300)와 본체부(100)의 사이에는 필터부(200)가 탈착 가능하게 더 배치될 수 있다. A filter unit 200 may be further detachably disposed between the frame unit 300 and the body unit 100 .

본체부(100)의 상단측인 코지지부(121)는 인체의 상측에서 지지되고, 프레임부(300)의 하단측인 턱지지부(323)는 인체의 하측에서 지지되며 서로 회동시 지지위치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실시예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보도록 한다. The nose support part 121, which is the upper end of the body part 100, is supported on the upper side of the human body, and the chin support part 323, which is the lower part of the frame part 300, is support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body and functions as a support position when rotating with each other. It can be done, and an embodiment for this will be seen below.

도 5는 본 발명의 지지프레임을 가지는 마스크의 사용상태도들이다. 5 is a state diagram of a mask having a support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체부(100)가 코와 입을 대부분 덮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귀에 걸려서 고정할 수 있는 걸이부(110)를 구성하고 있으나 이러한 형태나 사용방식은 제한되지 않는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100 is formed to cover most of the nose and mouth and constitutes the hook portion 110 that can be fixed by being caught on the ear, but this form or method of use is not limited.

도 5의 (a)는 정상적인 착용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여기서 정상적인 상태란 본체부(100)를 정확한 위치에 배치하고 걸이부(110)를 귀에 걸어서 고정하여 입을 닫은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본체부(100)는 정확하게 입과 코 주변을 감싸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에 형성되는 내측공간(520)은 호흡이 가능하며 외부와 어느 정도 격리된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프레임부(300)는 이러한 내측공간(520)을 보장할 수 있음은 상기와 같다.Figure 5 (a) shows a normal wearing state, where the normal state may mean a state in which the mouth is closed by arranging the main body part 100 at an accurate position and hooking the hook part 110 to the ear to fix it. Accordingly,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main body 100 accurately surrounds the mouth and nose. The inner space 520 formed o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is breathing and forms a space isolated to some extent from the outside, and the frame part 300 can ensure this inner space 520 . is the same as above.

프레임부(300)의 상측은 대략 콧등 부위에 걸쳐지거나 상기와 같이 상측개방부(323)에서 노출을 시킬 수 있으며 본체부(100)의 상단측인 코지지부(121)는 콧등 부위에 밀착 및 지지되어 있다. 프레임부(300)의 하단측은 최소한 입술 아래쪽 부위, 턱 부분에 밀착 및 지지되고 있다. The upper side of the frame part 300 can be roughly spread over the bridge of the nose or exposed from the upper opening 323 as described above, and the nose support part 121, which is the upper end of the body part 100, closely adheres to and supports the bridge of the nose. has been The lower end of the frame part 300 is closely adhered to and supported by at least the lower lip and the chin.

도 5의 (b)는 상대적인 회동을 허용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대화를 하거나 입으로 호흡하는 경우에는 하악을 벌려서 내측공간(520)을 상하로 길게 형성하고자 하는 힘이 작용된다. Fig. 5 (b) shows a state allowing relative rotation. For example, when having a conversation or breathing through the mouth, a force is applied to form the inner space 520 vertically by spreading the mandible.

이때, 코지지부(121)에 의하여 지지되는 본체부(100)는 입과 코를 기준으로 위치를 고정하고 있으며, 턱 부위에 지지되는 턱지지부(323)를 따라서 프레임부(300)는 체결 및 회동부(40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하악의 움직임을 추종한다. 프레임부(300)는 상기와 같이 본체부(100)에 대해 비교적 경성의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내면(101)과의 마찰력이 피부보다는 작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유격공간(510)에서 어느 정도 유동을 허용하고 있기 때문에 피부가 직접 접촉하는 경우에 비하여 본체부(100)에 가해지는 마찰력이 적다. 따라서, 내측공간(520)은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턱의 움직임에 따라 프레임부(300)가 회동되고 본체부(100)의 내측공간(520)의 격리 및 고정 상태는 그대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At this time, the body part 100 supported by the nose support part 121 is fixed in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mouth and nose, and the frame part 300 is fastened and rotated along the chin support part 323 supported on the chin. It rotates around the eastern part 400 to follow the movement of the mandibl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rame portion 300 is made of a relatively hard material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100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inner surface 101 is smaller than that of the skin. In addition, since a certain amount of flow is allowed in the clearance space 510 , the frictional force applied to the body part 100 is less than when the skin is in direct contact. Accordingly, in a state where the inner space 520 is maintained as it is, the frame part 300 is rota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jaw, and the isolation and fixation state of the inner space 520 of the main body 100 can be maintained as it is.

도 6은 본 발명의 지지프레임을 가지는 마스크에서 프레임부에 대한 추가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6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frame portion in the mask having the support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프레임부(300)는 상기와 같이 크기와 형상이 선택적이나, 기본적으로 호흡의 불편함을 야기하지 않기 위하여 통기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복수의 유통홀(301)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폐쇄된 면적보다 개방된 면적이 더 큰 것이 좋다. 이러한 유통홀(301)의 형상과 배열은 선택적이며 미관을 고려하여 다양한 모양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frame unit 300 is optional in size and shape as described above, but it is important to secure ventilation in order not to cause discomfort in breathing. Accordingly, a plurality of distribution holes 301 are disposed,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n area is larger than the overall closed area.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distribution hole 301 are optional, and various shapes may be applied in consideration of the aesthetics.

체결공은 유통홀(301)의 기능을 공유하되 체결 및 회동부(40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경우 체결되는 위치 및 회동되는 기준점이 될 수 있다. The fastening hole shares the function of the distribution hole 301, but when the fastening and rotating part 400 is inserted and fixed, it may be a fastening position and a pivoting reference point.

상기 체결공은 상하 및/또는 좌우로 체결 및 회동부(400)와의 결합위치를 가변할 수 있는 가변슬릿(310)과 어느 정도 체결 및 회동부(400)의 체결되는 부위의 크기와 모양에 대응되는 고정홀(311)로 구별될 수 있다. The fastening hole corresponds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fastening part of the fastening and rotating part 400 with the variable slit 310 that can change the fastening position up and down and/or left and right and the coupling position with the rotating part 400 to some extent. It can be distinguished by a fixing hole 311 that is

상기 가변슬릿(310)과 고정홀(311)들은 가로방향 중심선에 대해서 양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변슬릿(310)는 상하방향으로 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어느 정도 형상 적응력이 높도록 대각선으로 긴 형태 또는 호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외측 방향으로 가상의 중심을 둔 호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고려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일측으로는 세 개가 좌우로 배열될 수 있으나 이러한 개수는 선택적이다. 이때, 위치 변경이 이루어지는 경우는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다시 내려갔다 올라올 수 있을 것이다. The variable slit 310 and the fixing holes 311 may be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center line. The variable slit 310 may be formed in a long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t may be preferable to have a diagonally long shape or an arc shape so as to have a high degree of shape adaptability. For example, as shown, a case in which an arc is centered on both sides of the virtual arc may be considered, and as shown in the figure, three may be arranged left and right on either side, but this number is optional. At this time, if the position is changed, it will be able to go down agai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또한, 상기 가변슬릿(310)의 하측으로는 고정된 위치를 선택하기 위한 고정홀(311)들이 선택적인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In addition, fixing holes 311 for selecting a fixed position may be arranged at a selective position below the variable slit 310 .

한편, 상기 가변슬릿(310)에 대해 버튼부(410)와 고정부(420)가 견고하게 밀착되지 않은 경우는 상하로 어느 정도 유동을 허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하악의 움직임에 따라 어느 정도 상하 방향의 회동은 물론 상하 및/또는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도 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복합적인 얼굴의 변형이나 움직임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button part 410 and the fixing part 420 are not firmly in close contact with the variable slit 310, it will be possible to allow the flow up and down to some extent. In this case, it will be possible to respond to a more complex facial deformation or movement because it is possible to rot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some extent as well as to slide in the vertical and/or left and right direction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andible.

또한, 상기의 상측개방부(323)와 달리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측연장부(321)를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unlike the upper open portion 323, it may extend upward to constitute the upper extension portion 321 .

추가적으로, 상기 프레임부(300)에는 내측 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리브(참조번호 미표시)가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리브는 큰 공극률에도 형상을 고절할 수 있는 지지프레임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리브는 다른 부위의 단면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어 강성을 향상할 수 있을 것이다. Additionally, one or more ribs (reference number not shown) protruding inward or outward may be disposed on the frame portion 300 , and these ribs may function as a support frame capable of fixing a shape even with a large porosity. These ribs may be formed thicker than cross-sections of other parts to improve rigidity.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지지프레임을 가지는 마스크에 의하여, 마스크 내부 공간을 어떠한 환경에서도 보장할 수 있기 때문에 호흡의 불편함을 초래하지 않으며 입의 움직임을 자연스럽게 허용할 수 있어 상시적인 착용에 있어서도 편리성이 증가된다.By the mask having the support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inner space of the mask can be ensured in any environment, it does not cause discomfort in breathing and allows the movement of the mouth naturally, so it is convenient for regular wear sex is increased

또한, 탈착될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함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일회용마스크, 스카프, 바라클라바 등에 적용될 수 있어서 상품성이 높다.In addition, by adopting a detachable structure,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disposable masks, scarves, balaclava, etc., and thus has high marketability.

또한, 마스크 내부에서 턱이나 피부의 움직임에 따라 마스크의 형태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프레임부가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대화나 호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rame part can move without straining the shape of the mask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hin or skin inside the mask, conversation or breathing can be performed smoothly.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limited only by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100...본체부 101...내면
110...걸이부 121...코지지부
122...하측연장부 200...필터부
300...프레임부 301...유통홀
310...가변슬릿 311...고정홀
321...상측연장부 322...턱지지부
323...상측개방부 400...체결 및 회동부
410...버튼부 420...고정부
420...장착부 510...유격공간
520...내측공간
100...Body 101...Inner
110...Hook 121...Nose Support
122...Lower extension 200...Filter
300...Frame part 301...Distribution hole
310...Variable slit 311...Fixed hole
321...Upper extension 322...Chin support
323...Upper opening 400...Fixing and rotating part
410...Button part 420...Fixed part
420...Mounting part 510...Gap space
520...inner space

Claims (5)

코와 입 부위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의 내측공간에 배치되는 프레임부(300);
상기 프레임부와 본체부를 연결하는 체결 및 회동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체결 및 회동부를 기준을 본체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되도록 결합되어 하악의 움직임에 따라 본체부에 내부에서 이동하여 본체부의 신체와의 결합 위치와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지지프레임을 가지는 마스크.
a body part 100 disposed to cover the nose and mouth;
a frame part 300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part;
It includes; a fastening and rotating part 400 that connects the frame part and the body part.
The frame part,
A mask having a support frame that is coupled so that the fastening and rotation parts are rotated relative to the body part based on the reference and move inside the body par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andible to maintain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body part coupled with the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및 회동부는,
본체부와 프레임부의 전후를 관통하여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지지프레임을 가지는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1,
The fastening and rotating part,
A mask having a support frame symmetrically disposed on both sides through a body portion and a front and rear of the frame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프레임부 사이에 개재되어 탈착 가능한 필터부(200);를 더 포함하는 지지프레임을 가지는 마스크.
3. The method of claim 2,
A mask having a support frame further comprising; a removable filter unit 200 interposed between the body unit and the frame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복수의 유통홀(301)과, 체결 및 회동부와의 체결 위치를 상하 또는 좌우로 변경 가능한 가변슬릿(310)을 포함하는 지지프레임을 가지는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1,
The frame part,
A mask having a support frame including a plurality of distribution holes 301 and variable slits 310 capable of changing a fastening position with a fastening and rotating part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일회용 마스크, 면마스크, 입체형마스크, 스카프, 두건, 넥워머 또는 바라클라바 중의 어느 하나이며,
상기 체결 및 회동부는,
스냅버튼으로 이루어지는 지지프레임을 가지는 마스크.
5. The method of claim 4,
The body part,
Any one of disposable mask, cotton mask, three-dimensional mask, scarf, bandana, neck warmer or balaclava,
The fastening and rotating part,
A mask having a support frame made of snap buttons.
KR1020200165258A 2020-12-01 2020-12-01 Mask having support frame Pending KR2022007659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258A KR20220076597A (en) 2020-12-01 2020-12-01 Mask having support fr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258A KR20220076597A (en) 2020-12-01 2020-12-01 Mask having support fr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597A true KR20220076597A (en) 2022-06-08

Family

ID=81981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5258A Pending KR20220076597A (en) 2020-12-01 2020-12-01 Mask having support fr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659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51064B1 (en) Sanitary mask for the protection of others
KR20100100558A (en) The device with which man can fix something on the face and the mouth shielder use the device
KR20180129228A (en) Eye protection Integral type Protective mask
JP2006288650A (en) mask
KR102584190B1 (en) Sports mask
KR102276972B1 (en) Ear covers for protection against the cold
KR20220076597A (en) Mask having support frame
KR102003183B1 (en) A Face mask
JP3207842U (en) 3D mask
JP3227739U (en) mask
JP2022131976A (en) inner frame for mask
KR20210000416U (en) Face shield mask
KR20100128663A (en) Hygiene
JP4473562B2 (en) Sanitary cap
KR20220055891A (en) Multifunctional all-in-one mask
KR20220099678A (en) Mask having lower ventilation structure
JPH08158134A (en) Hygiene cap
KR102667364B1 (en) Support pad for sanitary mask
KR102676086B1 (en) Mask comprising control unit
KR102380283B1 (en) Device For Preventing Epidemics Shaped As Hat
JP6941719B1 (en) Separation mask
JP6837176B1 (en) mask
KR200494959Y1 (en) Mask with improved wearing method
JP3163707U (en) Face protection
CN208464428U (en) A kind of hygienic eyeshade for virtual implementing helm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