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074504A - 차량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4504A
KR20220074504A KR1020200163081A KR20200163081A KR20220074504A KR 20220074504 A KR20220074504 A KR 20220074504A KR 1020200163081 A KR1020200163081 A KR 1020200163081A KR 20200163081 A KR20200163081 A KR 20200163081A KR 20220074504 A KR20220074504 A KR 20220074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ipe
vehicle
driving unit
chan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3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정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3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4504A/ko
Priority to US17/526,165 priority patent/US11516577B2/en
Priority to CN202111430179.0A priority patent/CN114559885A/zh
Publication of KR20220074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4504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5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of the bass reflex type
    • H04R1/2823Vents, i.e. ports, e.g. shape thereof or tuning thereof with damping material
    • H04R1/2826Vents, i.e. ports, e.g. shape thereof or tuning thereof with damping material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7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loud-sp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60R16/0373Voice contro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01K1/026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arrangements for monitoring a plurality of temperatures, e.g. by multiplex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42Circuits effecting compensation of thermal inertia; Circuits for predicting the stationary value of a temperature
    • G01K7/427Temperature calculation based on spatial modeling, e.g. spatial inter- or extrapo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3Scree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3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2Temperatur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3Acoustic transducers and sound field adaptation i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차량 외부 및 내부의 온도가 변하더라도 차량에 마련된 인클로저의 포트의 길이 또는 포트의 단면적을 변경할 수 있어서, 인클로저의 공진주파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차량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 1 센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 면에 형성된 개구(opening)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스피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고, 개구(opening)가 상기 하우징의 일 면에 형성된 홀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파이프; 상기 파이프의 부피를 변경하는 구동부; 및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파이프의 부피를 변경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및 그 제어방법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상세하게는 기온에 관계없이 최적의 성능을 낼 수 있는 인클로저가 포함된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화석 연료, 전기 등을 동력원으로 하여 도로 또는 선로를 주행하는 이동 수단 또는 운송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차량은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을 이용하여 주행할 수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차량은 운전자를 보호하고 운전자에게 편의와 재미를 제공하기 위하여 스피커장치와 같은 전기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통상적인 스피커장치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유닛이 박스형태로 된 인클로저(Enclosure)에 장착된다. 스피커유닛의 음향은 진동판 전면에서 발생하는 음과 진동판 후면에서 발생한 음이 간섭되어 왜곡될 수 있는데, 인클로저는 스피커유닛의 전면 음과 후면 음의 간섭을 방지해 양호한 음향의 출력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인클로저 내부의 공명공간은 저음을 보강해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차량 외부 및 내부의 온도가 변하더라도 차량에 마련된 인클로저의 포트의 길이 또는 포트의 단면적을 변경할 수 있어서, 인클로저의 공진주파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차량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 1 센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 면에 형성된 개구(opening)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스피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고, 개구(opening)가 상기 하우징의 일 면에 형성된 홀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파이프; 상기 파이프의 부피를 변경하는 구동부; 및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파이프의 부피를 변경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 2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내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파이프의 부피를 변경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 및 상기 차량 내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의 온도를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하우징 내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파이프의 부피를 변경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 및 상기 차량 내부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파이프의 길이를 변경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 측이 상기 하우징의 좌측면과 밀착되고, 타 측이 상기 하우징의 우측면과 밀착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격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는, 상기 하우징의 좌측면, 우측면, 바닥면 및 상기 격벽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파이프의 길이가 변경되도록 상기 격벽을 상기 바닥면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 및 상기 차량 내부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격벽이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된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는, 상기 바닥면 및 상기 커버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파이프의 길이가 변경되도록 상기 커버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 및 상기 차량 내부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커버가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 및 상기 차량 내부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파이프의 단면적을 변경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 측이 상기 하우징의 좌측면과 밀착되고, 타 측이 상기 하우징의 우측면과 밀착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격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는, 상기 하우징의 좌측면, 우측면, 바닥면 및 상기 격벽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파이프의 단면적이 변경되도록 상기 격벽을 상기 바닥면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 및 상기 차량 내부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격벽이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는, 상기 바닥면 및 상기 커버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파이프의 단면적이 변경되도록 상기 커버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 및 상기 차량 내부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커버가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 면에 형성된 개구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스피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고 개구가 상기 하우징의 일 면에 형성된 홀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파이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은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파이프의 부피를 변경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의 부피를 변경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차량 내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파이프의 부피를 변경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의 부피를 변경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 및 상기 차량 내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의 온도를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하우징 내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파이프의 부피를 변경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의 부피를 변경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파이프의 길이를 변경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은, 일 측이 상기 하우징의 좌측면과 밀착되고, 타 측이 상기 하우징의 우측면과 밀착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격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는, 상기 하우징의 좌측면, 우측면, 바닥면 및 상기 격벽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파이프의 길이가 변경되도록 상기 격벽을 상기 바닥면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파이프의 길이를 변경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격벽이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된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는, 상기 바닥면 및 상기 커버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파이프의 길이가 변경되도록 상기 커버를 이동시키고, 상기 파이프의 길이를 변경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커버가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의 부피를 변경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파이프의 단면적을 변경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은, 일 측이 상기 하우징의 좌측면과 밀착되고, 타 측이 상기 하우징의 우측면과 밀착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격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는, 상기 하우징의 좌측면, 우측면, 바닥면 및 상기 격벽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파이프의 단면적이 변경되도록 상기 격벽을 상기 바닥면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파이프의 단면적을 변경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격벽이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는, 상기 바닥면 및 상기 커버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파이프의 단면적이 변경되도록 상기 커버를 이동시키고, 상기 파이프의 단면적을 변경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커버가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에 마련된 인클로저 내부의 온도를 추정하고, 인클로저 내부의 온도에 따라 포트의 길이 및 포트의 단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인클로저 내부의 온도에 따라 포트가 적절한 길이 또는 단면적을 가지도록 제어함으로써 인클로저가 최적의 성능을 낼 수 있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파이프의 길이가 증가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4의 (b)는 파이프의 길이가 감소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파이프의 단면적이 증가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5의 (b)는 파이프의 단면적이 감소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6은 격벽을 이용하여 파이프의 길이를 조절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커버를 이용하여 파이프의 길이를 조절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격벽을 이용하여 파이프의 단면적을 조절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커버를 이용하여 파이프의 단면적을 조절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절차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개시된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1, 도 2 를 참조하면,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은 파이프(110)와 스피커(120)를 수용하는 하우징(1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은 제 1 센서(210), 제 2 센서(220), 제어부(230), 구동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인클로저일 수 있다.
하우징(100)은 일 면에 구멍 즉, 홀(101)이 뚫려있어 하우징(100) 내부의 빈 공간과 하우징(100) 외부간에 공기가 통할 수 있다. 즉, 하우징(100)은 일면에 홀(101)이 뚫려있고, 내부에서 반사되는 저음을 다시 이용하는 저음반사형(bass-reflex) 인클로저일 수 있다.
하우징(100)은 저음반사형 인클로저 중에서도 일정 단면 및 길이의 포트를 포함하는 포트형 인클로저(vented-box enclosure)일 수 있다. 포트형 인클로저는 스피커(120)의 진동판이 진동하면 스피커(120)의 뒷면으로 출력되는 음의 위상을 반전시켜 포트 밖으로 출력함으로써 스피커(120)를 통해 전방으로 출력되는 음에 포트 밖으로 나온 음이 더해져서 향상된 저음을 생성할 수 있다.
파이프(110)는 하우징(1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내보냄으로써 저음을 쉽게 낼 수 있는 포트일 수 있다. 즉, 파이프(110)는 스피커(120) 및 하우징(100)의 저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파이프(110)의 형상은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라 해도 상관없다.
스피커(120)는 AMP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적 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피커(120)는 전기적인 신호를 기계적인 신호로 변환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계적인 신호에 따라 음압을 제공함에 따라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계적인 신호는 진동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AMP는 스피커(120)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으며,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AMP는 제어부(23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스피커(120)에 공급될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제 1 센서(210)는 차량(10) 외부의 실외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 센서일 수 있다. 이때 제 1 센서(210)는 측정된 차량(10) 외부의 온도 정보를 제어부(230)에 전달할 수 있다.
제 2 센서(220)는 차량(10) 내부의 실내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 센서일 수 있다. 이때 제 2 센서는 측정된 차량(10) 내부의 온도 정보를 제어부(23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차량(10) 외부의 온도에 기초해서 파이프(110)의 부피를 변경하도록 구동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230)는 차량(10) 내부의 온도에 기초해서 파이프(110)의 부피를 변경하도록 구동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차량(10) 내부 및 외부의 온도에 기초해서 하우징(100)의 내부 온도를 추정하고, 추정된 하우징(100) 내부의 온도에 기초해서 파이프(110)의 부피를 변경하도록 구동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구동부(240)는 제어부(23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파이프(110)의 부피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구동부(240)는 파이프(110)의 길이(L)를 변경하여 파이프(110)의 부피를 변경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구동부(240)는 파이프(110)의 단면적(A)을 변경하여 파이프(110)의 부피를 변경할 수 있다.
메모리는 전술한 동작 및 후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으며, 제어부(230)는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제어부(230)와 메모리가 복수인 경우에, 이들이 하나의 칩에 집적되는 것도 가능하고, 물리적으로 분리된 위치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메모리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S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랩(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데이터를 장기간 저장하기 위한 롬(Read Only Memory),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이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각종 논리 회로와 연산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로부터 제공된 프로그램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일정한 부피(V0)를 가진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내부 공간에 일정한 단면적(A)과 길이(L)를 가진 파이프(110)를 포함하는 헬름홀츠 공진기(Helmholtz resonator)일 수 있다.
이때, 하우징(100)은 특정 주파수의 음에 대하여 최대 효율로 진동할 수 있다. 즉, 하우징(100)은 특정 주파수인 공진주파수(fH)의 음에 대하여 공진하게 된다.
이때, 공진주파수(fH)와 파이프(110)의 단면적(A), 길이(L) 및 하우징(100)의 부피(V0)와의 관계는 하기 수학식 1 과 같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공진주파수(fH)는 하우징(100) 및 파이프(110)의 구조적인 특징 외에도 하우징(100) 및 파이프(110) 내부의 공기의 특성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학식 1 을 참조하면 하우징(100)의 공진주파수(fH)는 내부 공기의 음속(v)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음속은 공기의 온도(T)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음속과 공기의 온도(T)의 관계는 하기 수학식 2와 같다.
<수학식 2>
V(m/s) = (331.3 + 0.606 ⅹ T(℃))
수학식 2 에 기초하여 음속(v)을 계산하면 -30℃ 에서는 약 313.12m/s 이며, 40℃에서는 약 355.54m/s이다. 즉 음속(v)은 -30℃의 조건 및 40℃의 조건에서 14%정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공기의 온도(T)에 따라 음속이 달라지고, 음속에 따라 공진주파수(fH)가 달라지면 하우징(100)이 최대 효율을 낼 수 있는 주파수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가정용의 오디오, 스피커 등의 경우 실내에서 사용되므로 이러한 공기의 온도에 의한 편차는 크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차량의 경우 판매 지역이나 계절에 의하여 영하 30도에서 영상 40도까지 온도 조건의 차이가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우징(100)이 제작될 때 의도했던 주파수에서 공진이 되지 않아서 음질에 영향이 미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10) 외부의 기온에 기초하여 하우징(100) 내부의 파이프(110)의 부피를 조절하여 하우징(100)의 공진주파수(fH)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학식 1 을 참조하면, 음속(v)이 변화하는 경우 나머지 변수가 그대로이면 공진주파수(fH)도 변하게 되나, 하우징(100)의 부피(V0), 파이프(110)의 단면적(A) 및 길이(L)를 적절하게 조절하면 공진주파수(fH)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처럼 공기의 온도(T), 즉 하우징(100) 내부의 온도(Tenclosure)가 달라지더라도 파이프(110)의 단면적(A) 및 길이(L)를 조절하여 공진주파수(fH)를 일정하게 유지하면, 하우징(100) 및 스피커가 온도 조건에 관계없이 최적의 성능을 내도록 할 수 있다.
하우징(100) 내부의 온도(Tenclosure)는 보통 차량(10)의 외판보다는 안쪽, 실내 내장재보다는 바깥쪽에 장착되므로, 차량(10) 내부 및 외부의 기온 양쪽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제어부(230)는 하우징(100) 내부의 온도(Tenclosure)를 차량(10) 내부 및 외부 기온에 적절한 가중치를 부여한 평균값으로 추정할 수 있다.
하우징(100) 내부의 온도(Tenclosure), 차량(10) 외부의 온도(Toutside), 차량(10) 내부의 온도(Tinside) 및 가중치(α)의 관계는 하기 수학식 3과 같다.
<수학식 3>
Figure pat00002
이때, 가중치(α)는 개발과정에서 시험을 통하여 알아낸 값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제 1 센서(210)가 측정한 차량(10) 외부의 온도(Toutside), 제 2 센서(220)가 측정한 차량(10) 내부의 온도(Tinside), 가중치(α) 및 수학식3에 기초해서 하우징(100)의 내부 온도(Tenclosure)를 추정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추정된 하우징(100)의 내부 온도(Tenclosure) 및 수학식 2에 기초하여 하우징(100)의 내부 온도가 Tenclosure일 때의 하우징(100) 내부 공기의 음속(v Tenclosure)을 추정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추정된 하우징(100) 내부 공기의 음속(v Tenclosure) 및 수학식 1에 기초하여 공진주파수(fH)가 동일한 값으로 유지될 수 있는 파이프(110)의 길이(L) 및 파이프(110)의 단면적(A)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결정된 파이프(110)의 길이(L) 및 파이프(110)의 단면적(A)으로 파이프(110)의 형태를 변경하도록 구동부(240)를 제어함으로써 하우징(100) 및 스피커(120)가 온도 조건에 관계없이 최적의 성능을 내도록 할 수 있다.
도 4의 (a)는 파이프의 길이가 증가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하우징의 단면도이며, 도 4의 (b)는 파이프의 길이가 감소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수학식 1을 참조하면 음속이 변하더라도 공진주파수(fH)가 동일한 값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매개변수는 파이프(110)의 길이(L) 및 파이프(110)의 단면적(A)이다.
이때, 파이프(110)의 단면적(A)은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파이프(110)의 길이(L)를 변경하는 방법으로도 공진주파수(fH)가 동일한 값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기본 음속(v20℃)은 하우징(100)의 내부 온도(Tenclosure)가 20℃일 때의 하우징(100) 내부 공기의 음속(v Tenclosure)일 수 있다.
제어부(230)가 길이를 조절하지 않은 상태의 파이프(110)의 길이(L)는 기본 포트 길이(L20℃)일 수 있다.
기본 포트 길이(L20℃)는 하우징(100) 내부의 온도(Tenclosure)가 20℃일 때 의도된 공진주파수(fH)를 출력할 수 있는 파이프(110)의 길이일 수 있다.
하우징(100) 내부의 온도(Tenclosure)가 20℃가 아닐 때 필요한 파이프(110)의 길이 변화량(ΔL)은 수학식 1을 변형하여 수학식 4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pat00003
즉, 기본 포트 길이(L20℃), 기본 음속(v20℃), 추정된 하우징(100)의 내부 온도(Tenclosure) 및 수학식 4에 기초하면 대응되는 파이프(110)의 길이 변화량(ΔL)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00)의 내부 온도(Tenclosure)에 따라 대응되는 파이프(110)의 길이 변화량(ΔL)은 개발과정에서 시험을 통하여 알아낸 값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즉, 하우징(100)의 내부 온도(Tenclosure)에 따라 대응되는 파이프(110)의 길이 변화량(ΔL)은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230)는 하우징(100)의 내부 온도(Tenclosure) 및 메모리에 저장된 값에 기초하여 하우징(100)의 내부 온도(Tenclosure)에 대응하는 파이프(110)의 길이 변화량(ΔL)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파이프(110)의 길이(L)가 기본 포트 길이(L20℃)에서 ΔL만큼 변하도록 구동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의 내부 온도(Tenclosure)가 20℃일 때 격벽(130) 및 커버(140) 중 적어도 하나는 기본위치에 위치하고 파이프(110)의 길이(L)는 기본 포트 길이(L20℃)일 수 있다.
하우징(100)의 내부 온도(Tenclosure)가 20℃를 초과하면 파이프(110)의 길이(L)가 하우징(100)의 내부 온도(Tenclosure)에 대응하는 파이프(110)의 길이 변화량(ΔL)만큼 더 증가해야 공진주파수(fH)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30)는 파이프(110)의 길이(L)가 기본 포트 길이(L20℃)에서 ΔL만큼 증가하도록 구동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의 내부 온도(Tenclosure)가 20℃ 미만인 경우 파이프(110)의 길이(L)가 하우징(100)의 내부 온도(Tenclosure)에 대응하는 파이프(110)의 길이 변화량(ΔL)만큼 더 감소해야 공진주파수(fH)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30)는 파이프(110)의 길이(L)가 기본 포트 길이(L20℃)에서 ΔL만큼 감소하도록 구동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예는 하우징(100)의 내부 온도(Tenclosure)가 20℃인 경우를 기준으로 삼았지만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다른 온도를 기준으로 삼는 예시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도 5의 (a)는 파이프(110)의 단면적이 증가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하우징(100)의 단면도이며, 도 5의 (b)는 파이프(110)의 단면적이 감소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하우징(100)의 단면도이다.
수학식 1을 참조하면 파이프(110)의 길이(L)는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파이프(110)의 단면적(A)을 변경하는 방법으로도 공진주파수(fH)가 동일한 값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제어부(230)가 단면적(A)을 조절하지 않은 상태의 파이프(110)의 단면적(A)은 기본 포트 단면적(A20℃)일 수 있다.
기본 포트 단면적(A20℃)은 하우징(100) 내부의 온도(Tenclosure)가 20℃일 때 의도된 공진주파수(fH)를 출력할 수 있는 파이프(110)의 단면적일 수 있다.
하우징(100) 내부의 온도(Tenclosure)가 20℃가 아닐 때 필요한 파이프(110)의 단면적 변화량(ΔA)은 수학식 1을 변형하여 수학식 5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5>
Figure pat00004
즉, 기본 포트 단면적(A20℃), 기본 음속(v20℃), 추정된 하우징(100)의 내부 온도(Tenclosure) 및 수학식 5에 기초하면 대응되는 파이프(110)의 단면적 변화량(ΔA)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00)의 내부 온도(Tenclosure)에 따라 대응되는 파이프(110)의 단면적 변화량(ΔA)은 개발과정에서 시험을 통하여 알아낸 값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즉, 하우징(100)의 내부 온도(Tenclosure)에 따라 대응되는 파이프(110)의 단면적 변화량(ΔA)은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230)는 하우징(100)의 내부 온도(Tenclosure) 및 메모리에 저장된 값에 기초하여 하우징(100)의 내부 온도(Tenclosure)에 대응하는 파이프(110)의 단면적 변화량(ΔA)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파이프(110)의 단면적(A)이 기본 포트 단면적(A20℃)에서 ΔA만큼 변하도록 구동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의 내부 온도(Tenclosure)가 20℃일 때 격벽(130) 및 커버(140) 중 적어도 하나는 기본위치에 위치하고 파이프(110)의 단면적(A)은 기본 포트 단면적(A20℃)일 수 있다.
하우징(100)의 내부 온도(Tenclosure)가 20℃ 미만이면 파이프(110)의 단면적(A)이 하우징(100)의 내부 온도(Tenclosure)에 대응하는 파이프(110)의 단면적 변화량(ΔA)만큼 더 증가해야 공진주파수(fH)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30)는 파이프(110)의 단면적(A)이 기본 포트 단면적(A20℃)에서 ΔA만큼 증가하도록 구동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의 내부 온도(Tenclosure)가 20℃를 초과하면 파이프(110)의 단면적(A)이 하우징(100)의 내부 온도(Tenclosure)에 대응하는 파이프(110)의 단면적 변화량(ΔA)만큼 더 감소해야 공진주파수(fH)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30)는 파이프(110)의 단면적(A)이 기본 포트 단면적(A20℃)에서 ΔA만큼 감소하도록 구동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예는 하우징(100)의 내부 온도(Tenclosure)가 20℃인 경우를 기준으로 삼았지만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다른 온도를 기준으로 삼는 예시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도 6은 격벽을 이용하여 파이프의 길이를 조절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커버를 이용하여 파이프의 길이를 조절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격벽을 이용하여 파이프의 단면적을 조절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는 커버를 이용하여 파이프의 단면적을 조절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도7 및 도8을 참조하면, 이송 레일(102)은 구동부(240)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에 기초하여 격벽(130) 및 커버(140)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송 레일(102)로 격벽(130)에 작은 힘이 가해지더라도 격벽(130) 및 커버(140)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성이 채택될 수 있다. 일 예로, 이송 레일(102)은 복수 개의 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이송 레일(102)이 구동부(240)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에 기초하여 격벽(130) 및 커버(140)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는 경우, 이송 레일(102)은 마찰력이 강한 소재로 구성되거나 격벽(130) 및 커버(140)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이송 레일(102)은 컨베이어 시스템의 컨베이어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송 레일(102)은 구동부(240)로부터 구동력을 제공 받을 수 있으며, 이 구동력에 기초하여 격벽(130) 및 커버(140) 중 적어도 하나가 이동할 수 있다.
구동부(240)는 제어부(23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격벽(130) 및 커버(140)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부(240)는 격벽(130) 및 커버(140)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기 위한 각종 구성에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 모터 및 제어부(2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 모터에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구동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모터는 구동 회로로부터 구동 전력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구동 전력을 회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이송 레일(102)은 구동 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모터에 의하여 생성된 회전력은 기어 등을 통하여 이송 레일(102)에 전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구동 모터는 기어 등을 통하여 이송 레일(102)을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구동 모터에 의하여 생성된 회전력은 유체와 피스톤 등을 통하여 이송 레일(102)에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회로는 구동 모터에 구동 전력을 공급하거나 구동 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릴레이 등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격벽(130) 및 커버(140)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은 앞서 설명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 범위 내의 다양한 기술이 채택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하우징(100)의 바닥면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100)의 내부에 마련된 격벽(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격벽(130)의 일 측은 하우징(100)의 좌측면과 밀착되고, 타 측이 하우징(100)의 우측면과 밀착되도록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파이프(110)는 하우징(100)의 좌측면, 우측면, 바닥면 및 격벽(1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격벽(130)이 하우징(100)의 바닥면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면 파이프(110)의 길이(L)가 변경될 수 있다.
이송 레일(102)은 격벽(130)을 하우징(100)의 전면 방향 또는 후면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격벽(130)의 일부는 이송 레일(102)과 맞닿아 있을 수 있다.
이송 레일(102)은 구동부(240)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에 기초하여 격벽(130)을 하우징(100)의 전면 방향 또는 후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고, 격벽(130)에 가해지는 수평 방향의 힘에 응답하여 격벽(130)을 하우징(100)의 전면 방향 또는 후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송 레일(102)로 인하여 하우징(100)의 바닥면에 수평인 방향의 힘이 격벽(130)에 작용하면, 격벽(130)은 수평 방향으로 쉽게 이동될 수 있다.
격벽(130)이 하우징(100)의 전면 방향으로 이동하면 파이프(110)의 길이(L)는 짧아지고, 격벽(130)이 하우징(100)의 후면 방향으로 이동하면 파이프(110)의 길이(L)는 길어질 수 있다.
제어부(230)는 파이프(110)의 길이(L)가 하우징(100)의 내부 온도(Tenclosure)에 대응되는 적절한 길이가 되도록 구동부(240)를 제어하여 격벽(130)을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하우징(100)의 바닥면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100)의 내부에 마련된 커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110)는 하우징(100)의 바닥면 및 커버(140)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커버(140)가 하우징(100)의 바닥면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면 파이프(110)의 길이(L)가 변경될 수 있다.
이송 레일(102)은 커버(140)를 하우징(100)의 전면 방향 또는 후면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커버(140)의 일부는 이송 레일(102)과 맞닿아 있을 수 있다.
이송 레일(102)은 구동부(240)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에 기초하여 커버(140)를 하우징(100)의 전면 방향 또는 후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고, 커버(140)에 가해지는 수평 방향의 힘에 응답하여 커버(140)를 하우징(100)의 전면 방향 또는 후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송 레일(102)로 인하여 하우징(100)의 바닥면에 수평인 방향의 힘이 커버(140)에 작용하면 커버(140)가 수평 방향으로 쉽게 이동될 수 있다.
커버(140)가 하우징(100)의 전면 방향으로 이동하면 파이프(110)의 길이(L)는 짧아지고, 커버(140)가 하우징(100)의 후면 방향으로 이동하면 파이프(110)의 길이(L)는 길어질 수 있다.
제어부(230)는 파이프(110)의 길이(L)가 하우징(100)의 내부 온도(Tenclosure)에 대응되는 적절한 길이가 되도록 구동부(240)를 제어하여 커버(140)를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하우징(100)의 바닥면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100)의 내부에 마련된 격벽(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격벽(130)의 일 측은 하우징(100)의 좌측면과 밀착되고, 타 측이 하우징(100)의 우측면과 밀착되도록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파이프(110)는 하우징(100)의 좌측면, 우측면, 바닥면 및 격벽(1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격벽(130)이 하우징(100)의 바닥면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면 파이프(110)의 단면적(A)이 변경될 수 있다.
이송 레일(102)은 격벽(130)을 하우징(100)의 상면 방향 또는 하면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격벽(130)의 일부는 이송 레일(102)과 맞닿아 있을 수 있다.
이송 레일(102)은 구동부(240)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에 기초하여 격벽(130)을 하우징(100)의 상면 방향 또는 하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고, 격벽(130)에 가해지는 수직 방향의 힘에 응답하여 격벽(130)을 하우징(100)의 상면 방향 또는 하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송 레일(102)로 인하여 하우징(100)의 바닥면에 수직인 방향의 힘이 격벽(130)에 작용하면, 격벽(130)은 수직 방향으로 쉽게 이동될 수 있다.
격벽(130)이 하우징(100)의 상면 방향으로 이동하면 파이프(110)의 단면적(A)은 증가하고, 격벽(130)이 하우징(100)의 하면 방향으로 이동하면 파이프(110)의 단면적(A)은 감소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파이프(110)의 단면적(A)이 하우징(100)의 내부 온도(Tenclosure)에 대응되는 적절한 단면적이 되도록 구동부(240)를 제어하여 격벽(130)을 상면 또는 하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하우징(100)의 바닥면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100)의 내부에 마련된 커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110)는 하우징(100)의 바닥면 및 커버(140)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커버(140)가 하우징(100)의 바닥면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면 파이프(110)의 단면적(A)이 변경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송 레일(102)은 커버(140)를 하우징(100)의 상면 방향 또는 하면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커버(140)의 일부는 이송 레일(102)과 맞닿아 있을 수 있다.
이송 레일(102)은 구동부(240)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에 기초하여 커버(140)를 하우징(100)의 상면 방향 또는 하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고, 커버(140)에 가해지는 수직 방향의 힘에 응답하여 커버(140)를 하우징(100)의 상면 방향 또는 하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송 레일(102)로 인하여 하우징(100)의 바닥면에 수직인 방향의 힘이 커버(140)에 작용하면 커버(140)가 수직 방향으로 쉽게 이동될 수 있다.
커버(140)가 하우징(100)의 상면 방향으로 이동하면 파이프(110)의 단면적(A)은 증가하고, 커버(140)가 하우징(100)의 하면 방향으로 이동하면 파이프(110)의 단면적(A)은 감소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파이프(110)의 단면적(A)이 하우징(100)의 내부 온도(Tenclosure)에 대응되는 적절한 단면적이 되도록 구동부(240)를 제어하여 커버(140)를 상면 또는 하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절차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일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이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 1 센서(210)는 차량(10) 외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고, 제 2 센서(220)는 차량(1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1001).
이때, 제 1 센서(210)는 차량(10) 외부의 온도 정보를 제어부(230)에 전달할 수 있고, 제 2 센서(220)는 차량(10) 내부의 온도 정보를 제어부(23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차량(10) 내부의 온도(Tinside) 및 차량(10) 외부의 온도(Toutside)에 기초하여 하우징(100) 내부의 온도(Tenclosure)를 추정할 수 있다(1002).
이때, 제어부(230)는 하우징(100) 내부의 온도(Tenclosure)를 차량(10) 내부의 온도(Tinside) 및 외부의 온도(Toutside)에 적절한 가중치를 부여한 평균값으로 추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230)는 제 1 센서(210)가 측정한 차량(10) 외부의 온도(Toutside), 제 2 센서(220)가 측정한 차량(10) 내부의 온도(Tinside), 가중치(α) 및 수학식3에 기초해서 하우징(100)의 내부 온도(Tenclosure)를 추정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하우징(100)의 내부 온도(Tenclosure)에 기초하여 파이프(110)의 길이(L) 또는 면적(A)의 변경값을 결정할 수 있다(1003).
즉, 제어부(230)는 하우징(100)의 내부 온도(Tenclosure) 및 메모리에 저장된 값에 기초하여 하우징(100)의 내부 온도(Tenclosure)에 대응하는 파이프(110)의 길이 변화량(ΔL)을 결정하거나, 하우징(100)의 내부 온도(Tenclosure)에 대응하는 파이프(110)의 단면적 변화량(ΔA)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결정된 파이프(110)의 길이 변화량(ΔL) 또는 파이프(110)의 단면적 변화량(ΔA)에 따라 파이프(110)의 길이(L) 또는 파이프(110)의 단면적(A)이 변경되도록 구동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1004).
이때, 파이프(110)의 길이(L) 및 파이프(110)의 단면적(A)을 변경시키는 것은 하우징(100) 내부에 마련된 격벽(130) 및 커버(140) 중 적어도 하나를 하우징(100)의 바닥면에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격벽(130) 및 커버(140)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는 것은 이동 레일(102)을 이용한 방식일 수 있다.
하지만 파이프(110)의 길이(L) 및 파이프(110)의 단면적(A)을 변경시키는 것은 격벽(130), 커버(140) 및 이동 레일(102)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 범위 내의 다양한 기술이 채택될 수 있다.
제어부(230)는 하우징(100)의 내부 온도에 대응하는 적절한 파이프(110)의 길이(L) 및 파이프(110)의 단면적(A)으로 파이프(110)의 형태를 변경하도록 구동부(240)를 제어함으로써 하우징(100) 및 스피커(120)가 온도 조건에 관계없이 최적의 성능을 내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 차량
100: 하우징
101: 홀
102: 이송 레일
110: 파이프
120: 스피커
130: 격벽
140: 커버
210: 제 1 센서
220: 제 2 센서
230: 제어부
240: 구동부

Claims (18)

  1. 차량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 1 센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 면에 형성된 개구(opening)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스피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고, 개구(opening)가 상기 하우징의 일 면에 형성된 홀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파이프;
    상기 파이프의 부피를 변경하는 구동부; 및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파이프의 부피를 변경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차량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 2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내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파이프의 부피를 변경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 및 상기 차량 내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의 온도를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하우징 내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파이프의 부피를 변경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차량.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 및 상기 차량 내부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파이프의 길이를 변경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차량.
  5. 제4항에 있어서,
    일 측이 상기 하우징의 좌측면과 밀착되고, 타 측이 상기 하우징의 우측면과 밀착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격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는,
    상기 하우징의 좌측면, 우측면, 바닥면 및 상기 격벽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파이프의 길이가 변경되도록 상기 격벽을 상기 바닥면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 및 상기 차량 내부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격벽이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차량.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된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는,
    상기 바닥면 및 상기 커버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파이프의 길이가 변경되도록 상기 커버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 및 상기 차량 내부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커버가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차량.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 및 상기 차량 내부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파이프의 단면적을 변경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차량.
  8. 제7항에 있어서,
    일 측이 상기 하우징의 좌측면과 밀착되고, 타 측이 상기 하우징의 우측면과 밀착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격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는,
    상기 하우징의 좌측면, 우측면, 바닥면 및 상기 격벽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파이프의 단면적이 변경되도록 상기 격벽을 상기 바닥면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 및 상기 차량 내부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격벽이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차량.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는,
    상기 바닥면 및 상기 커버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파이프의 단면적이 변경되도록 상기 커버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 및 상기 차량 내부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커버가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차량.
  10.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 면에 형성된 개구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스피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고 개구가 상기 하우징의 일 면에 형성된 홀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파이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파이프의 부피를 변경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의 부피를 변경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차량 내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파이프의 부피를 변경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부피를 변경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 및 상기 차량 내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의 온도를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하우징 내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파이프의 부피를 변경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부피를 변경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파이프의 길이를 변경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일 측이 상기 하우징의 좌측면과 밀착되고, 타 측이 상기 하우징의 우측면과 밀착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격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는,
    상기 하우징의 좌측면, 우측면, 바닥면 및 상기 격벽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파이프의 길이가 변경되도록 상기 격벽을 상기 바닥면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파이프의 길이를 변경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격벽이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된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는,
    상기 바닥면 및 상기 커버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파이프의 길이가 변경되도록 상기 커버를 이동시키고,
    상기 파이프의 길이를 변경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커버가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부피를 변경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파이프의 단면적을 변경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일 측이 상기 하우징의 좌측면과 밀착되고, 타 측이 상기 하우징의 우측면과 밀착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격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는,
    상기 하우징의 좌측면, 우측면, 바닥면 및 상기 격벽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파이프의 단면적이 변경되도록 상기 격벽을 상기 바닥면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파이프의 단면적을 변경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격벽이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는,
    상기 바닥면 및 상기 커버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파이프의 단면적이 변경되도록 상기 커버를 이동시키고,
    상기 파이프의 단면적을 변경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커버가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200163081A 2020-11-27 2020-11-27 차량 및 그 제어방법 Pending KR2022007450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081A KR20220074504A (ko) 2020-11-27 2020-11-27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17/526,165 US11516577B2 (en) 2020-11-27 2021-11-15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2111430179.0A CN114559885A (zh) 2020-11-27 2021-11-29 车辆及控制该车辆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081A KR20220074504A (ko) 2020-11-27 2020-11-27 차량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504A true KR20220074504A (ko) 2022-06-03

Family

ID=81712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3081A Pending KR20220074504A (ko) 2020-11-27 2020-11-27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16577B2 (ko)
KR (1) KR20220074504A (ko)
CN (1) CN11455988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88392B (zh) * 2023-01-12 2024-01-16 华为技术有限公司 扬声器模组、扬声器系统和车辆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89825B2 (en) * 1994-05-09 2012-05-29 Breed David S Sound management techniques for vehicles
WO2006022199A1 (ja) * 2004-08-23 2006-03-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スピーカ装置
JP5198959B2 (ja) * 2007-07-27 2013-05-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ピー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74400A1 (en) 2022-06-02
CN114559885A (zh) 2022-05-31
US11516577B2 (en) 202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8459A (en) Loudspeaker system with simulated baffle for improved base reproduction
US5461676A (en) Device for improving bass reproduction in loudspeaker system with closed housings
KR101316467B1 (ko) 차량의 보행자 경고장치
US5125241A (en) Refrigerating apparatus having noise attenuation
EP2233373A1 (en) automobile equipped with speaker unit
KR20220074504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20090301805A1 (en) Active noise control system
GB2260464A (en) Improved bass reproduction
JP2005502040A5 (ko)
CN105308433A (zh) 振动传感器和使得振动传感器中的振动变化的方法
US11872936B2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6459970B2 (en) Control data setting method and data storage medium of active mount control apparatus
KR970000395B1 (ko) 액압구동 스피이커 및 스피이커 구동장치
JP5315861B2 (ja) 車体構造体および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US20240127787A1 (en) Cancellation of noise of a wiper system in a vehicle
US11102598B1 (en) Personal ai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032564A (ko)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공조 부하를 예측하는 공기조화기, 클라우드 서버, 공기조화기의 구동방법
KR20110098229A (ko) 능동방음벽시스템
CN113765496A (zh) 散热组件、散热结构以及散热方法、电子设备和装置
JPH0722438B2 (ja) スピ−カ装置
JP2011247314A (ja) アクティブ除振装置
KR20210012617A (ko) 반려동물 소음 감소장치
WO2023021735A1 (ja) センサモジュール、アクティブ制御装置、アクティブ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067384A (ja) 作業車両のキャビン
KR101405195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배기음 구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311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11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