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071968A - 커넥터 하우징 - Google Patents

커넥터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1968A
KR20220071968A KR1020227013556A KR20227013556A KR20220071968A KR 20220071968 A KR20220071968 A KR 20220071968A KR 1020227013556 A KR1020227013556 A KR 1020227013556A KR 20227013556 A KR20227013556 A KR 20227013556A KR 20220071968 A KR20220071968 A KR 20220071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main body
latch arm
housing
connector hou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3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케시 키무라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ublication of KR20220071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1968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4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different pieces being moulded, cemented, welded, e.g. ultrasonic, or swaged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of successively moulded portions rigidly joined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25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one or more pieces being of resilient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bases or cases for contact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57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using means for adhering or bonding the layers or parts to each other
    • B29C2045/1659Fusion bo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래치 부재에 래칭하는 래치 부분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탄성 변형에 적합한 래치 암이 구비된 커넥터 하우징이 제공된다.
커넥터 하우징은 하우징 메인 바디 및 래치 암을 포함한다. 래치 암은 래치 암 메인 바디 및 래치 돌기를 포함한다. 하우징 메인 바디는 금형의 캐비티(70)의 하우징 메인 바디 부분(71)에 제1재료(21A)를 주입하여 성형된다. 래치 암 메인 바디는 하우징 메인 바디 부분(71)에 주입된 것과 동일한 제1재료를 캐비티(70)의 래치 암 메인 바디 부분(721)에 주입하여 성형된다. 래치 돌출부는 캐비티(70)의 래치 돌출 부분(722)에 제2재료(22A)를 주입하여 성형된다. 제2재료(22A)는 제1재료(21A)보다 강성이 높은 재료이다. 또한, 제1재료 및 제2재료가 서로 접촉하는 전이 영역(T)에서 제1재료 및 제2재료 사이의 혼합비는 연속적으로 변화한다.

Description

커넥터 하우징
본 발명은 래치 암을 구비한 커넥터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예를 들어 상대 하우징 등의 래치 부재에 걸려 래치 부재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래치 암이 구비된 커넥터 하우징이 널리 채용되고 있다(예: 특허문헌1 참조). 이러한 래치 암은 캔틸레버와 같은 하우징 메인 바디로부터 연장되고, 캔틸레버의 중간 부분에서 래치 부재에 걸리는 래치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특허문헌 2는 경질 재료로 구성된 하우징 메인바디와, 경질 재료와 다른 연질 재료로 구성된 힌지를 동시 사출 성형 기술을 사용하여 구비하는 커넥터 하우징을 개시한다.
또한, 특허문헌 3은 금형의 복수의 게이트(입구)에서 상이한 수지 재료를 주입하는 몰딩 장치를 개시한다.
인용 목록
특허 문헌
특허문헌1: JPH4-137474A
특허문헌2: JPH2-186569A
특허문헌3: JP2017-177738A
래치 암은 상대 하우징(또는 유사한 것)의 래치 부재에 걸릴 때(catch on) 한번의 탄성 변형이 요구된다. 따라서, 래치 암이 적당한 조작력에 의해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재료는 어느 정도의 부드러움(certain degree of softness)을 가진다.
여기서, 커넥터 하우징의 사이즈 축소에 대한 요구를 만족하기 위해 래치 암의 길이를 단축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 경우, 래치 암은 짧은 길이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정도의 탄성 변형을 달성할 것이 요구된다. 이를 만족하기 위해, 보다 부드러운 재료가 채택될 것이다.
한편, 래치 암의 일 부분이고, 래치 부재(latched member)에 래칭하는 래치 부분은 의도하지 않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부주의한 힘(inadvertent force)이 미리 설정된 힘을 초과하지 않는 한, 래치 부재에 대한 래칭을 유지할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부드러운 재질이 사용되는 경우, 부주의한 힘이 작용할 때 래치 부분은 금이 가거나 손실될 수 있으므로 래치 부분이 래칭을 유지하지 못할 수 있다.
래치 암 메인 바디 및 래치 부분을 그들에게 적합한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동시 사출 성형 기술(co-injection modling technique)을 적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동시 사출 성형은 성형 공정이 두번 수행되기 때문에 비용이 더 많이 들 수 있다. 또한, 사출 성형으로 인해 래치 암 메인 바디와 래치 부분이 그들의 접합부에서의 쉽게 분리되고, 부주의한 힘이 가해질 때 래치 부분이 손실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용된 특허문헌 3에는 커넥터 하우징에 대한 어떠한 개시도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면, 본 발명의 목적은 래치 부재에 래칭하는 래치 부분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탄성 변형에 적합한 래치암을 구비하는 커넥터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커넥터 하우징은, 하우징 메인 바디; 및 래치 암 메인 바디 및 래치 부분을 포함하는 래치 암 - 상기 래치 암 메인 바디는 제1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메인 바디로부터 캔틸래버(cantilever)처럼 연장하고, 상기 하우징 메인 바디에 대해 탄성적으로 변형하고, 상기 래치 부분은 상기 제1재료보다 강성이 높은 제2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래치 암 메인 바디로부터 돌출하고, 래치 부재를 래칭함 - 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제1재료 및 상기 제2재료 사이의 경계영역(boundary region)에서, 상기 제1재료 및 상기 제2재료의 혼합 비(mixing ratio)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전이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래치 암은 탄성적으로 쉽게 변형되는 제1재료로 형성되고, 동시에 상기 래치 부분은 제1재료보다 강성이 높은 제2재료로 형성된다. 이것은 동시 사출 성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1재료 및 상기 제2재료 사이의 혼합비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전이 영역을 가진다. 본 발명의 경우에서, 상기 전이 영역의 존재로 인해, 상기 래치 암 메인 바디 및 상기 래치 부분이 일체화되고, 이들의 분리가 높게 방지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래치 부재에 래칭되는 래치 부분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탄성 변형에 적합한 래치 암을 구비하는 커넥터 하우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1재료 및 상기 제2재료가 상호 접촉하는 상기 전이 영역은 상기 래치 암 메인 바디 내부로 잠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이 영역은 상기 래치 암 메인 바디 내부로 잠식하므로, 상기 래치 부분의 강도가 유지된다.
더욱이, 상기 전이 영역은 테이퍼진 형태로 상기 래치 암 메인 바디 내부로 잠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래치 암 메인 바디 내부로 쐐기(wedge)와 같이 테이퍼진 형태로 잠식하는 전이 영역이 형성되므로, 래치 부분의 강도가 더욱 증가한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래치 암은 통상적으로 본 발명의 커넥터 하우징과 메이팅 되는 상대 하우징에 래칭하는 래치 암이다.
다만, 본 발명의 내용에서 상기 래치 암은 상기 상대 하우징에 래칭하는 래칭 암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된 접점에 걸리는 래치 암(하우징 랜스(housing lence))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재료 및 상기 제2재료는 서로 색상이 상이한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들의 상이한 색상은 적절한 성형의 확인을 가능하게 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래치 부재에 래칭하는 래치 부분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탄성 변형에 적합한 래치 암을 구비하는 커넥터 하우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X-X 화살표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커넥터를 구성하는 커넥터 하우징의 제조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1은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에 도시된 X-X 화살표에 따른 단면도이다.
커넥터(10)에는 커넥터 하우징(20) 및 커넥터 하우징(20)에 삽입된 콘택트(30)(도 2 참조)가 구비된다.
케이블(40)은 커넥터(30)에 접속되고, 커넥터 하우징(20)의 외부로 연장된다. 도 1 및 도 2에서 커넥터 하우징(20) 주변의 케이블(40)의 일 부분만 도시되어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커넥터 하우징(20)은 하우징 메인 바디(21) 및 래치 암(22)을 포함한다. 커넥터 하우징(20)은 본 발명의 커넥터 하우징의 하나의 예시에 해당한다.
래치 암(22)은 하우징 메인 바디(21)에 연결되는 전단(22a)을 가지고, 전단(22a)를 고정단(fixed end)으로 하여 캔틸래버(cantilever)와 같이 후방으로 연장한다. 또한, 래치 암(22)에는 고정단인 전단(22a)과 자유단(free end)인 후단(22b) 사이로 연장하는 래치 암 메인 바디(221)와, 래치 암 메인 바디(221)의 중앙에 돌출되는 래치 돌기(222)가 구비된다.
커넥터(10)에는 도시되지 않은 상대 커넥터가 화살표 Z 방향으로 메이팅 된다. 메이팅 과정에서, 래치 돌기(222)는 상대 커넥터의 하우징에 의해 푸시(push)될 수 있다. 따라서, 래치 암(2)은 도 2에 도시된 화살표 Y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이후, 그들이 완전히 메이팅 된 상태에 도달하면, 래치 암(22)은 상대 커넥터에 의한 눌림(depression)이 해소되고, 그것의 원래 형상으로 돌아온다. 그것에 의해, 래치 돌기(222)는 상대 커넥터의 래치 부분(미도시)에 걸리고, 상대 커넥터가, 커넥터(20)로부터 쉽게 풀리지 않도록, 잠금 상태(locked state)가 된다.
여기서, 하우징 메인 바디(21A)에는 예를 들어, 유리를 혼합하지 않은 제1종류의 수지 재료가 사용된다. 하우징 메인 바디에 사용된 같은 제1종류의 수지 재료가 래치 암(22)을 구성하는 래치 암 메인 바디(221)에도 사용된다. 한편, 래치 암(22)을 구성하는 래치 부분(222)에는 예를 들어, 제1종류의 수지 재료에 유리를 혼합하여 상대적으로 높아진 강성을 가지는 제2재료가 사용된다. 또한, 이러한 래치 돌기(222)에는 래치 부분(222)을 하우징 메인 바디(21) 및 래치 암 메인 바디(221)와 한눈에 구별할 수 있는 색상을 가지는 안료가 혼합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래치 돌기(222)에 안료를 혼합하는 대신, 하우징 메인 바디(21) 및 래치 암 메인 바디(221)의 재료에 안료가 혼합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커넥터를 구성하는 커넥터 하우징의 제조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커넥터 하우징(20)을 제조하기 위한 금형(미도시)의 캐비티(70)가 여기에 도시되어 있다. 캐비티(70)는 하우징 메인 바디(21)을 성형하는 하우징 메인 바디 부분(71)과, 래치 암(22)을 성형하는 래치 암 부분(72)을 포함한다. 또한, 래치 암 부분(72)은 래치 암 메인 바디(221)을 성형하는 래치 암 메인 바디 부분(721)과, 래치 돌기(222)를 성형하는 래치 돌기 부분(72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금형은 하우징 메인 바디 부분(71) 및 래치 암 부분(72)에 연결되고, 금형 내부로 재료가 투입되는 주입구들(71a, 72a)을 포함한다. 래치 암 부분(72)에 연결되는 주입구(72a)는 래치 돌기 부분(722)의 말단(distal end)에 제공된다.
추가적으로, 두개의 실린더(51, 52)가 여기에 제공된다. 하나의 실린더(51)는 주입구(71a)에 연결된다. 또한, 하우징 메인 바디(21) 및 래치 암 메인 바디(22)의 재료(21a)가 실린더(51)에 수용된다. 추가적으로, 다른 실린더(52)는 주입구(72a)에 연결된다. 또한, 래치 부분(222)의 재료(22A)가 실린더(52)에 수용된다.
이후, 밸브들(61, 62)을 개방하는 타이밍이 조정되고, 재료들(21A, 22A)이 금형의 캐비티(70) 내부로 주입된다. 그것으로 인해, 하우징 메인 바디(21) 및 래치 암 메인 바디(221)의 재료(21A)가 캐비티(70)의 하우징 메인 바디 부분(71) 및 래치 암 메인 바디 부분(721)으로 주입된다. 또한, 래치 돌기(222)의 재료(22A)가 캐비티(70)의 래치 돌기 부분(722)으로 주입된다.
그것으로 인해, 두 종류의 재료(22A, 22B)가 경화(curing)전에 접촉하는 경계 영역에서 두 재료(22A, 22B)가 혼합되는 전이 영역(T)이 형성된다. 상기 전이 영역(T)은 래치 암 메인 바디(221)을 구성하는 재료(21A)의 비율이 래치 암 메인 바디 부분((721)으로 깊게 잠식하는 전이 영역(T) 방향으로 증가하고, 래치 돌기(222)를 구성하는 재료(22A)의 비율이 래치 돌출 부분(722)을 향해 증가하는 영역이다.
여기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래치 암 메인 바디 부분(721) 및 래치 돌기 부분(722) 사이 경계에서 두 종류의 재료(21A, 22A)가 상호 접촉되도록, 우선 두 종류의 재료들(21A, 22A)가 주입된다. 그 후, 금형에 접촉하는 주입된 재료(21A, 22A)의 외측 영역(outer boundary)이 어느 정도 경화되고, 이후 래치 암 메인 바디 부분(721) 내로 재료(22A)를 밀어넣도록 실린더(52)의 압력이 증가한다. 그것으로 인해, 레치 암 메인 바디 부분(721) 내부로 실질적으로 쐐기와 같은 형상(wedge-like shape), 즉 테이퍼진 형상으로 잠식하는 전이 영역(T)이 형성된다. 이로써, 전이 영역(T)은, 두 종류의 재료(21A, 22A)가 래치 암 메인 바디 부분(721) 및 래치 돌기 부분(722) 사이 경계에서 서로 접촉하도록 주입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래치 부분(222)의 강도가 보다 증가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 변형에 적합한 재료(21A)로 형성된 래치 암 메인 바디 부분(221)과 높은 강성을 가지는 재료(22A)로 형성된 래치 돌기(222)를 가지는 커넥터 하우징(20)이 완성된다. 더욱이, 커넥터 하우징(20)은, 동시 사출 성형(co-injection modling)으로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과 달리, 재료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전이 영역(T)을 포함한다. 따라서, 래치 암 메인 바디(221)로부터의 래치 돌기(222)의 사고 손실(accidental loss)이 높은 신뢰성으로 방지된다.
래치 암 메인 바디(221) 및 래치 돌기(222)는 서로 상이한 색상을 가진다. 따라서, 전이 영역(T)에서 재료들이 서로 잘 혼합되었는지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유리를 혼합하거나 또는 혼합하지 않음으로써 강성이 조정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예시로써 여기에 설명되었음을 유의해야 한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시로써, 그 안에 혼합되는 유리의 양이 변화하거나, 다른 성분이 혼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수지 재료 자체가 상이한 수지 재료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여기에서 상대 커넥터의 하우징에 래칭하는 래치 암이 선택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내용에서 래치 암은 상대 커넥터의 하우징에 래칭하는 래치 암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내용에서 래치 암은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된 접점에 걸려, 접점이 해지되는 것을 방지하는 래치 암(예: 도 2의 컨택 랜스(23))일 수 있다.
10: 커넥터
20: 커넥터 하우징
21: 하우징 메인 바디
21A: 하우징 메인 바디 및 래치 암 메인 바디의 재료(제1재료)
22: 래치 암
221: 래치 암 메인 바디
222: 래치 돌기(래치 부분)
22A: 래치 돌기의 재료(제2재료)

Claims (5)

  1. 커넥터 하우징에 있어서,
    하우징 메인 바디; 및
    래치 암 메인 바디 및 래치 부분을 포함하는 래치 암 - 상기 래치 암 메인 바디는 제1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메인 바디로부터 캔틸래버(cantilever)처럼 연장하고, 상기 하우징 메인 바디에 대해 탄성적으로 변형하고, 상기 래치 부분은 상기 제1재료보다 강성이 높은 제2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래치 암 메인 바디로부터 돌출하고, 래치 부재를 래칭함 -
    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제1재료 및 상기 제2재료 사이의 전이영역(transition region)에서, 상기 제1재료 및 상기 제2재료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혼합 비(mixing ratio)를 가지는 전이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하우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재료 및 상기 제2재료가 서로 접촉하는 상기 전이 영역은 상기 래치 암 메인 바디 내부로 잠식(encroaches)하는 커넥터 하우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영역은 테이퍼진 형태(tapered shape)로 상기 래치 암 메인 바디 내부로 잠식하는 커넥터 하우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암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메이트되는 상대 하우징에 래칭하는 래치 암인 커넥터 하우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재료 및 제2재료는 서로 색상이 다른 재료인 커넥터 하우징.
KR1020227013556A 2019-10-18 2020-09-26 커넥터 하우징 Pending KR202200719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90919 2019-10-18
JP2019190919 2019-10-18
PCT/JP2020/036490 WO2021075242A1 (ja) 2019-10-18 2020-09-26 コネクタハウジン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968A true KR20220071968A (ko) 2022-05-31

Family

ID=75537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3556A Pending KR20220071968A (ko) 2019-10-18 2020-09-26 커넥터 하우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2040573B2 (ko)
EP (1) EP4047758B1 (ko)
JP (1) JP7288072B2 (ko)
KR (1) KR20220071968A (ko)
WO (1) WO20210752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5242A1 (ja) * 2019-10-18 2021-04-22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ハウジング
USD1069728S1 (en) 2023-09-21 2025-04-08 Molex, Llc Connector
USD1075689S1 (en) * 2023-09-21 2025-05-20 Molex, Llc Connector
USD1067198S1 (en) * 2023-09-21 2025-03-18 Molex, Llc Connector
USD1074615S1 (en) 2023-09-21 2025-05-13 Molex, Llc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86569A (ja) 1989-01-12 1990-07-20 Nippon Ee M P Kk ヒンジ付き電気コネクタハウジング
JP2627357B2 (ja) 1990-09-28 1997-07-02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ダブルロック型電気コネクタ
JP2575631Y2 (ja) * 1996-03-18 1998-07-02 矢崎総業株式会社 半嵌合検知機構付コネクタ
DE69911081T2 (de) * 1998-02-03 2004-07-15 The Whitaker Corp., Wilmington Steckverbinder
JP2001351734A (ja) 2000-06-06 2001-12-21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US20060094281A1 (en) * 2004-11-04 2006-05-04 Carlyle, Inc. Latching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7267570B2 (en) * 2005-07-22 2007-09-1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Double beam latch connector
US7255593B2 (en) * 2006-01-09 2007-08-14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CPA) member
SG143088A1 (en) * 2006-11-22 2008-06-27 Mea Technologies Pte Ltd Electrical connector
SG149732A1 (en) * 2007-07-31 2009-02-27 Mea Technologies Pte Ltd Electric connector
US8109776B2 (en) * 2008-02-27 2012-02-07 Cooper Technologies Company Two-material separable insulated connector
US7972164B2 (en) * 2009-03-24 2011-07-0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with a latch
US8926355B2 (en) * 2012-06-29 2015-01-06 Lear Corporatio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for a connector assembly
US9106013B2 (en) * 2012-12-18 2015-08-11 Nvidia Corporation Externally latching I/O cable
JP6440714B2 (ja) * 2013-12-12 2018-12-19 ハルティング エレクトリック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HARTING Electric GmbH & Co. KG プラグインコネクタ用の保持フレー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モジュールの挿入方法
JP6397996B2 (ja) * 2014-09-03 2018-09-26 マイクロ モーショ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ラッチ付きコネクタ
US9813832B2 (en) * 2015-02-23 2017-11-07 Te Connectivity Corporation Mating assurance system and method
US10184970B2 (en) * 2015-10-07 2019-01-22 Te Connectivity Corporation Connector mating assurance system and method
US9939483B2 (en) * 2015-10-07 2018-04-10 Te Connectivity Corporation Connector mating assurance system and method
JP2017177738A (ja) 2016-03-31 2017-10-05 日本ガスケット株式会社 樹脂成形装置
JP6844516B2 (ja) 2017-11-30 2021-03-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支持体
US10355414B1 (en) * 2018-02-08 2019-07-16 Delphi Technologies, Llc Connector with a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US11296462B2 (en) * 2019-10-10 2022-04-05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nector assembly with a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indicator
US10784621B1 (en) * 2019-10-15 2020-09-22 Lear Corporation Connector housing latch
WO2021075242A1 (ja) * 2019-10-18 2021-04-22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ハウジン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75242A1 (ja) 2021-04-22
US20220239038A1 (en) 2022-07-28
EP4047758A1 (en) 2022-08-24
EP4047758B1 (en) 2024-08-07
US12040573B2 (en) 2024-07-16
JPWO2021075242A1 (ko) 2021-04-22
CN114514659A (zh) 2022-05-17
JP7288072B2 (ja) 2023-06-06
EP4047758A4 (en) 2023-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71968A (ko) 커넥터 하우징
CN110518399B (zh) 仿真销
US10263363B2 (en) Connector
US10153586B1 (en) Reinforced position assurance member
US9774125B2 (en) Connector having a moving plate
CN111864465B (zh) 连接器外壳
CN101013784B (zh) 制造锁定装置的方法
JP6405623B2 (ja) 封止される連結部を有するケース
US20100055954A1 (en) Sealed electrical connector
CN114514659B (en) Connector housing
US6012945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on to a fuel injector
KR20190084748A (ko) 슬라이딩 이너코어를 구비한 볼조인트 사출 금형장치
US7232261B1 (en) Optical ferrule and molding method therefor, and optical connector using this optical ferrule
US6416700B1 (en) Method of producing resin-molded assembly and method producing double-retaining connector
WO2013161337A1 (ja) 防水コネクタ
JPS62130817A (ja) 射出成形用金型
JPH10162925A (ja) 端子係止用部材付コネクタハウジングの製造方法
KR0141047B1 (ko) 성형수축 방지장치
US20240145975A1 (en) Electrical connector
JP3456147B2 (ja) リテーナ付きコネクタ
JP2011119073A (ja) コネクタの製造方法及びコネクタ
KR101995743B1 (ko) 체결링 예비홈을 구비한 볼 조인트
JPH08287991A (ja) コネクタ
JP2024139311A (ja) コネクタおよびハウジングの製造方法
CN116325378A (zh) 保护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42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308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3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