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1651A - An Anode Bipolar Plate for Fuel Cell - Google Patents
An Anode Bipolar Plate for Fuel Cel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71651A KR20220071651A KR1020200159023A KR20200159023A KR20220071651A KR 20220071651 A KR20220071651 A KR 20220071651A KR 1020200159023 A KR1020200159023 A KR 1020200159023A KR 20200159023 A KR20200159023 A KR 20200159023A KR 20220071651 A KR20220071651 A KR 202200716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ydrogen
- fuel cell
- condensed water
- anode separator
- separa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0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0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150000002431 hydrogen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abstract 1
- 125000004435 hydrogen atom Chemical class [H]* 0.000 abstract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518 polymer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11 electrode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 hydrogen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16 miti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58—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channels, e.g. by the flow field of the reactant or coolant
- H01M8/026—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channels, e.g. by the flow field of the reactant or coolant characterised by grooves, e.g. their pitch or depth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58—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channels, e.g. by the flow field of the reactant or coolant
- H01M8/0265—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channels, e.g. by the flow field of the reactant or coolant the reactant or coolant channels having varying cross sec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2004/8678—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8684—Negative electrod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료전지 애노드 분리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일렬로 형성되는 경사벽이 전극의 길이 방향과 일정 각도의 경사를 가지면서 서로 평행하게 복수의 열을 형성하도록 하여, 고온부로 수분을 강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응축수의 정체를 최소화하고 원활한 수소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며, 강성의 확보를 통해 구조 손상을 방지하고, 이에 더하여 고온부의 Dry out을 완화하고 외부 공기 온도의 상승에도 냉각 효과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료전지 애노드 분리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cell anode separator, and more particularly, such that inclined walls formed in a lin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form a plurality of rows parallel to each other while having an inclination at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By making it possible to forcibly transfer moisture to the high-temperature part, it minimizes the stagnation of condensed water and enables the smooth supply of hydrogen, and prevents structural damage by securing rigidity. It relates to a fuel cell anode separator capable of maintaining a cooling effect even when rising.
연료전지는 연료가 가지고 있는 화학에너지를 전기화학적으로 반응시켜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에너지 변환장치로서, 산업용, 가정용 및 차량용 전력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소형의 전기/전자제품, 휴대기기의 전력을 공급하는데에도 이용될 수 있다. A fuel cell is an energy conversion device that converts chemical energy of fuel into electrical energy by electrochemically reacting it. can be used
연료전지는 여러 종류가 존재하나 높은 전력 밀도를 갖는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PEMFC,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가장 안쪽에 막전극접합체(MEA, Membrane Electrode Assembly)가 위치하고, 막전극접합체에는 수소이온을 이동시켜 줄 수 있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막과, 전해질막 양면에 수소와 산소가 반응할 수 있도록 촉매가 도포된 전극층인 캐소드(Cathode) 및 애노드(Anode)로 구성된다. There are several types of fuel cells, but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 with high power density is mainly used, and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 is located inside the membrane electrode The assembly consists of a soli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that can move hydrogen ions, and a cathode and anode, which are electrode layers coated with a catalyst so that hydrogen and oxygen can react on both sides of the electrolyte membrane.
또한, 연료전지는 냉각방식에 따라 수냉식 연료전지와 공냉식 연료전지로 구분될 수 있으며, 드론 등과 같이 연료전지의 초경량화가 필요한 경우에는 구조가 단순하고 가벼운 공냉식 연료전지가 사용되고 있다. In addition, the fuel cell can be divided into a water-cooled fuel cell and an air-cooled fuel cell according to a cooling method. When ultra-lightweight fuel cells such as drones are required, an air-cooled fuel cell with a simple structure and light weight is used.
한편, 연료전지는 수소의 공급 방식에 따라 Dead End 방식과 수소 재순환 방식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중 수소 재순환 방식은 수소를 지속적으로 순환시켜 수소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응축수의 제거와 수소 이용율 측면에서 높은 안정성과 효율을 보이고 있으나, 재순환 펌프 및 순환 구조를 형성해야 하므로 시스템의 경량·소형화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On the other hand, fuel cells can be divided into a dead end method and a hydrogen recircul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hydrogen supply method. The hydrogen recirculation method continuously circulates hydrogen to supply hydrogen, and the removal of condensate and the hydrogen utilization rate aspect It shows high stability and efficiency, but there is a limit to light weight and miniaturization of the system because it has to form a recirculation pump and a circulation structure.
또한, Dead End 방식은 수소를 격실 내에 정체시켜 수소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경량·소형화에 유리하나 수소가 정체되어 있어 응축수가 수소의 이동 통로를 막는 Flooding 현상으로 급격한 성능 저하가 발생하며, Hot spot 발생으로 전극과 스택 부품의 손상이 발생하기 쉬워 연료전지의 안정적 운전과 전류밀도 상승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In addition, the Dead End method stagnates hydrogen in the compartment to supply hydrogen. It is advantageous for light weight and miniaturization, but hydrogen is stagnant, causing rapid performance degradation due to the flooding phenomenon in which condensed water blocks the passage of hydrogen. It is easy to damage the electrode and stack parts due to the occurrence of hot spots, so there is a limit to the stable operation of the fuel cell and the increase in current density.
더욱 구체적으로, Dead End 방식으로 형성된 공냉식 연료전지에 있어서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수소와 공기의 흐름 방향이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평판형의 애노드분리판()과 일정 돌출부()를 가진 캐소드분리판()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이러한 경우 애노드 측에서는 공기 입구측의 과도한 냉각으로 인해 수분 응축부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수소의 퍼지시 수분이 충분히 배출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수분 응축부가 전극 촉매를 덮어 운전이 불가능한 Dead Zone을 형성하게 되며, 실제 반응 면적의 감소에 따른 전류밀도의 증가로 고온부(공기 출구부)의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거나 Hot Spot을 만들어 전극 손상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More specifically, in the air-cooled fuel cell formed in the dead-end method, the flow direction of hydrogen and air is formed to be vertical as shown i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and as shown in FIG. ) is generally formed of a cathode separator ( ) with However, in this case, a moisture condensing part is formed on the anode side due to excessive cooling of the air inlet side, and accordingly, moisture cannot be sufficiently discharged when hydrogen is purged. Therefore, this moisture condensing part covers the electrode catalyst to form a dead zone that cannot be operated, and the temperature of the high temperature part (air outlet part) rises rapidly or creates a hot spot due to the increase in current density according to the decrease in the actual reaction area.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damage.
(특허문헌)(Patent Literature)
등록특허공보 제10-2131702호(2020.07.02. 등록)"연료전지용 분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2131702 (Registered on July 2, 2020) "Separator plate for fuel cell and fuel cell stack including sam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일렬로 형성되는 경사벽이 전극의 길이 방향과 일정 각도의 경사를 가지면서 서로 평행하게 복수의 열을 형성하도록 하여, 고온부로 수분을 강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응축수의 정체를 최소화하고 원활한 수소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며, 강성의 확보를 통해 구조 손상을 방지하고, 이에 더하여 고온부의 Dry out을 완화하고 외부 공기 온도의 상승에도 냉각 효과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료전지 애노드 분리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rows in parallel with inclined wall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plurality of rows parallel to each other while having an inclination at a certain angl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thereby forcibly transporting moisture to a high-temperature part. Separation of fuel cell anode that minimizes stagnation and enables smooth hydrogen supply, prevents structural damage by securing rigidity, and alleviates dry out in high temperature areas and maintains cooling effect even when external air temperature rise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plate.
본 발명은 경사벽 사이의 공간이격부가 경사벽에 의해 폐쇄된 구조를 갖도록 하여, 경사벽 사이의 유동공간부 전체가 응축수의 정체없이 응축수에 의한 냉각 효과를 갖도록 함으로써 Flooding 및 Dry out 현상의 차단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연료전지 애노드 분리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paced portion between the inclined walls is closed by the inclined wall, so that the entire flow space between the inclined walls has a cooling effect by condensed water without stagnation of the condensed water, thereby preventing flooding and dry out phenomena.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el cell anode separator that can be made more effectively.
본 발명은 수소출구부의 단면적을 수소입구부보다 2배 이상 넓게 형성하도록 하여 효과적인 응축수의 포집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연료전지 애노드 분리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ode separator for a fuel cell that enables effective collection and discharge of condensed water by forming a hydrogen outlet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twice that of a hydrogen inlet.
본 발명은 애노드 분리판의 일측면을 따라 응축수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여 응축수의 정체를 방지하고 더욱 효과적인 응축수의 포집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연료전지 애노드 분리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el cell anode separator that prevents stagnation of condensate by forming a space through which condensed water can flow along one side of the anode separator and enables more effective collection and discharge of condensed water. .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an embodiment having the following configur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애노드 분리판은 애노드 측으로 돌출되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일렬로 형성되는 경사벽과; 상기 경사벽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공간이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벽은 전극의 길이 방향과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며,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복수개의 열을 형성하여 각 열 사이로 수소 및 응축수가 유동하는 유동공간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el cell anode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clined wall protruding toward the anode, a plurality of inclined wall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ormed in a line; a plurality of spaced portions formed between the inclined walls, wherein the inclined walls ar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and form a plurality of rows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so that hydrogen and condensed water flow between the row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form a flow space par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애노드 분리판에 있어서, 상기 경사벽은 전극의 길이 방향과 1~89°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uel cell anode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ed wall is formed to have an angle of 1 to 89°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애노드 분리판에 있어서, 상기 공간이격부는 수소의 진행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일직선 상에서 상기 경사벽에 의해 폐쇄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uel cell anode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ed part is formed to be closed by the inclined wall on a straight line that is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hydrogen flow.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애노드 분리판은 분리판 일단에 형성되어 수소가 주입되는 수소입구부와, 분리판 타단에 형성되어 수소 및 응축수가 배출되는 수소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소출구부는 수소입구부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el cell anode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ydrogen inlet formed at one end of the separator to inject hydrogen, and a hydrogen outlet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eparator to discharge hydrogen and condensed water. Inclu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hydrogen outlet portion is formed to have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hydrogen inlet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애노드 분리판은 상기 수소입구부 및 수소출구부가 형성되는 일측면을 따라 형성되어 강제 이송에 실패한 응축수가 수소출구부로 이송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배출공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el cell anode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long one side where the hydrogen inlet and the hydrogen outlet are formed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condensed water that has failed to be forcedly transferred is transferred to the hydrogen outle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discharge space portion.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by the configuration, combination, and use relationship described below with the present embodiment.
본 발명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일렬로 형성되는 경사벽이 전극의 길이 방향과 일정 각도의 경사를 가지면서 서로 평행하게 복수의 열을 형성하도록 하여, 고온부로 수분을 강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응축수의 정체를 최소화하고 원활한 수소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며, 강성의 확보를 통해 구조 손상을 방지하고, 이에 더하여 고온부의 Dry out을 완화하고 외부 공기 온도의 상승에도 냉각 효과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rows in parallel with inclined wall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plurality of rows parallel to each other while having an inclination at a certain angl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thereby forcibly transporting moisture to a high-temperature part. It minimizes stagnation and enables smooth hydrogen supply, prevents structural damage by securing rigidity, and in addition, has the effect of alleviating dry out in the high temperature part and maintaining the cooling effect even when the external air temperature rises.
본 발명은 경사벽 사이의 공간이격부가 경사벽에 의해 폐쇄된 구조를 갖도록 하여, 경사벽 사이의 유동공간부 전체가 응축수의 정체없이 응축수에 의한 냉각 효과를 갖도록 함으로써 Flooding 및 Dry out 현상의 차단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paced portion between the inclined walls is closed by the inclined wall, so that the entire flow space between the inclined walls has a cooling effect by condensed water without stagnation of the condensed water, thereby preventing flooding and dry out phenomena. It has the effect of making it more effective.
전극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연통되지 않고 서로 벗어나게 형성되도록 하여, 응축수의 정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t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stagnation of condensate by forming the electrodes apart from each other without communicating vertically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s.
본 발명은 수소출구부의 단면적을 수소입구부보다 2배 이상 넓게 형성하도록 하여 효과적인 응축수의 포집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abling the effective collection and discharge of condensed water by form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hydrogen outlet to be more than twice that of the hydrogen inlet.
본 발명은 애노드 분리판의 일측면을 따라 응축수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여 응축수의 정체를 방지하고 더욱 효과적인 응축수의 포집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stagnation of condensate by forming a space through which condensed water can flow along one side of the anode separator and enabling more effective collection and discharge of condensed water.
도 1은 종래 애노드분리판(a), 캐소드분리판(b)의 구조 및 수분응축부(c)의 형성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애노드 분리판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4는 종래 다른 구조의 애노드분리판 및 이에 따른 Flooding 형성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종래 또 다른 구조의 애노드분리판 및 이에 따른 Flooding 완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의 문제점을 나타내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anode separator (a), the cathode separator (b) and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moisture condensing portion (c)
2 is a plan view of a fuel cell anode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2
4 is a view showing an anode separator having a different structure in the prior art and a flooding formation process according thereto;
5 is a view showing an anode separator of another conventional structure and a flooding mitigation process according thereto;
6 is a view showing the problem of FIG. 5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애노드 분리판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fuel cell anode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well-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애노드 분리판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애노드 분리판은 애노드 측으로 돌출되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일렬로 형성되는 경사벽(1)과; 상기 경사벽(1)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공간이격부(2)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경사벽(1) 사이에서 수소 및 응축수가 이송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유동공간부(3)와; 분리판 일단에 형성되어 수소가 주입되는 수소입구부(4)와; 분리판 타단에 형성되어 수소 및 응축수가 배출되는 수소출구부(5)와; 상기 수소입구부(4) 및 수소출구부(5)가 형성되는 일측면을 따라 형성되어 강제 이송에 실패한 응축수가 수소출구부(5)로 이송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배출공간부(6);를 포함한다. 1 to 6 of the fuel cell anode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ode separator protrudes toward the anode, and a plurality of inclined walls are formed in a lin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1) class; a plurality of spaced portions (2) formed between the inclined walls (1); a
종래 애노드분리판(200)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평판의 형태로 형성되었으며,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기입구측의 낮은 온도로 인해 수분이 응축된 수분응축부가 형성되고, 수분응축부의 정체에 따른 Flooding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수소의 이동이 막힐 뿐만 아니라 반응 전극의 감소에 따른 전류 밀도의 증가로 공기출구부에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Hot Spot이 발생되어 전극을 손상시키게 된다. The
따라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애노드분리판(200)에 격벽(201)을 형성하여 캐소드분리판(100) 측에서의 공기의 유동방향과 수직으로 수소의 유동 방향을 형성하는 것을 생각해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1에 비하여 Flooding 현상을 완화할 수는 있으나 수소 유로가 전극 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에 따라 cold zone에 쉽게 물이 모여 도 1과 같이 Flooding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극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애노드분리판(200)은 구조물의 적층에 따른 변형이 쉽게 발생하여 변형된 부분에 응축수가 고일 수 있고, 이에 따라 Flooding 현상이 더욱 쉽게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3 , it is conceivable to form a
또한, 응축수에 의한 정체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격벽(201)을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하여 패턴 형상을 갖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극과 수직 방향으로의 수소 및 물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Flooding 현상을 완화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캐소드분리판(100)의 돌출부(101)에 의해 기체확산층(GDL,300)이 눌려 변형이 발생하고 Cross Section에 의해 응축수가 정체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여전히 고온부(공기출구부)에서는 냉각이 어려워 Dry out 현상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연료전지의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alleviate the stagnant phenomenon caused by condensed water, as shown in FIG. 4 , the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극의 길이 방향과 경사진 방향으로 수소와 함께 응축수가 강제 이송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여, 응축수의 정체를 최소화하도록 함과 함께 응축수의 이송을 통한 고온부(공기출구부)의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어 Dry out 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 공기 온도가 올라가는 경우에도 응축수의 이송에 의한 냉각으로 냉각 효과를 유지하도록 하여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by forming a space in which condensed water can be forcibly transported together with hydrogen in the longitudinal and inclined directions of the electrode, stagnation of condensed water is minimized and condensed water is transported through It is possible to cool the high temperature part (air outlet part), so that the dry out phenomenon can be alleviated. In addition, even when the external air temperature rises,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cooling effect by cooling by transferring the condensate, thereby enabling stable operation.
상기 경사벽(1)은 애노드분리판(200)에서 애노드(전극)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수소의 이동경로를 구획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경사벽(1)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의 길이 방향과 1 ~ 89°의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의 입구(저온부)에서 응축되는 응축수가 경사벽(1) 사이의 유동공간부(3)를 따라 공기의 출구(고온부) 측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경사벽(1)은 복수개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일렬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일렬로 형성되는 경사벽(1) 사이에는 공간이격부(2)가 형성되어 수소 및 응축수의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경사벽(1)은 복수개가 일렬로 형성된 상태에서 서로 평행하게 복수의 열을 형성하도록 형성되어 미세패턴 형상을 갖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응축수의 정체를 방지하고 강제 이송을 통해 Flooding 및 Dry out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경사벽(1)은 일정간격 이격되는 미세패턴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분리판의 강성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구조 손상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The
상기 공간이격부(2)는 일렬로 형성되는 경사벽(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수소 및 응축수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공간이격부(2)는 유동공간부(3)를 통한 수소 및 응축수의 유동이 정체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고, 수소의 원활한 공급과 응축수의 고온부 이송을 통한 냉각과 Dry out 방지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이격부(2)는 수소의 진행 방향, 즉 유동공간부(3)가 형성되는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에서 상기 경사벽(1)에 의해 폐쇄되도록 하여 고온부측을 향하는 응축수가 경사벽(1) 사이의 유동공간부(3) 전체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응축수의 정체에 따른 Flooding 현상과 고온부에 의한 Dry out 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복수 열의 공간이격부(2)가 수소의 진행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일직선 상에서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경우 공간이격부(2)를 통과하는 응축수가 다음 열의 공간이격부(2)로 유통되어 빠져나갈 수 있고, 이렇게 되면 수소 진행 방향의 경사벽(1) 사이는 응축수의 이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응축수의 정체가 발생하며, 이에 따른 Flooding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고온부에서 응축수의 이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종래와 같이 Dry out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공간이격부(2)는 수소가 진행하는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에서 경사벽(1)에 의해 폐쇄되도록 하여 공간이격부(2)를 통과하는 응축수가 수소의 진행 방향을 따라 경사벽(1) 사이 공간을 유동할 수 있도록 하여 응축수의 정체와 Dry out 현상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The spaced
상기 유동공간부(3)는 평행을 이루는 경사진 경사벽(1) 사이에 형성되어 수소 및 응축수가 유동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경사벽(1)이 1~89°의 각도를 가짐에 따라 유동공간부(3)도 동일한 1~89°의 각도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응축수는 유동공간부(3)를 따라 고온부 측으로 이송되면서 정체 현상이 완화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공간이격부(2)를 통해서도 유동이 이루어지므로 정체 현상이 더욱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동공간부(3)는 경사진 상태로 평행을 이루면서 전체 분리판 상에 복수의 열을 이루어 형성되고, 전체 전극에 대해 수소의 원활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극의 반응 면적을 극대화하여 전력 생산 효율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 The
상기 수소입구부(4)는 애노드 분리판 상에 수소의 주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판의 일단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The
상기 수소출구부(5)는 전극 상에서 반응을 마친 수소와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성으로, 수소입구부(4)의 반대측인 분리판 타단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소출구부(5)는 수소입구부(4)보다 2배 이상의 단면적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분리판 상의 응축수를 효과적으로 수집하여 배출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소출구부(5)는 분리판의 일측에 형성되는 배출공간부(6)와도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고온부 측으로 강제 이송되지 못하는 응축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응축수에 의한 Flooding 현상을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다. The
상기 배출공간부(6)는 분리판의 일측단을 따라 형성되어 고온부로 이송되지 못하는 응축수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경사벽(1)의 일측 끝단과 분리판 끝단 사이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유동공간부(3)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고온부로 이송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배출공간부(6)에 수용되며, 상기 배출공간부(6)는 수소출구부(5)와 연통되어 수용된 응축수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공간부(6)은 응축수의 배출을 유도하여 응축수의 정체에 따른 Flooding 현상을 완화하도록 할 수 있다. The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above, the applicant has described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embodiments are only one embodiment that implement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y changes or modifications are not allowed as long a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1: 경사벽
2: 공간이격부
3: 유동공간부
4: 수소입구부
5: 수소출구부
6: 배출공간부
* 종래기술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캐소드분리판 101: 돌출부
200: 애노드분리판 201: 격벽
300: 기체확산층1: inclined wall
2: space separation
3: flow space part
4: hydrogen inlet
5: Hydrogen outlet
6: exhaust space
* Explanation of symbols related to the prior art
100: cathode separator 101: protrusion
200: anode separator 201: bulkhead
300: gas diffusion layer
Claims (5)
상기 경사벽은 전극의 길이 방향과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며,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복수개의 열을 형성하여 각 열 사이로 수소 및 응축수가 유동하는 유동공간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애노드 분리판.an inclined wall protruding toward the anod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inclined walls formed in a line; Including;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ormed between the inclined wall;
The inclined wall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and a plurality of rows are formed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to form a flow space in which hydrogen and condensed water flow between each row.
전극의 길이 방향과 1~89°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애노드 분리판.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clined wall is
A fuel cell anode separ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have an angle of 1 to 89°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수소의 진행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일직선 상에서 상기 경사벽에 의해 폐쇄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애노드 분리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aced part
A fuel cell anode separ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be closed by the inclined wall on a straight line that is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hydrogen propagation.
분리판 일단에 형성되어 수소가 주입되는 수소입구부와, 분리판 타단에 형성되어 수소 및 응축수가 배출되는 수소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소출구부는 수소입구부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애노드 분리판.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uel cell anode separator is
A hydrogen inlet formed at one end of the separator to inject hydrogen, and a hydrogen outlet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eparator to discharge hydrogen and condensed water,
The hydrogen outlet portion is a fuel cell anode separat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have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hydrogen inlet portion.
상기 수소입구부 및 수소출구부가 형성되는 일측면을 따라 형성되어 강제 이송에 실패한 응축수가 수소출구부로 이송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배출공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로전지 애노드 분리판.
5. The fuel cell anode separato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and a discharge space formed along one side where the hydrogen inlet and the hydrogen outlet are formed to form a space through which the condensed water that has failed to be forcedly transferred is transferred to the hydrogen outle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9023A KR102516958B1 (en) | 2020-11-24 | 2020-11-24 | An Anode Bipolar Plate for Fuel Cel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9023A KR102516958B1 (en) | 2020-11-24 | 2020-11-24 | An Anode Bipolar Plate for Fuel Cel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1651A true KR20220071651A (en) | 2022-05-31 |
KR102516958B1 KR102516958B1 (en) | 2023-04-03 |
Family
ID=81785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59023A Active KR102516958B1 (en) | 2020-11-24 | 2020-11-24 | An Anode Bipolar Plate for Fuel Cel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16958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101686A1 (en) * | 2022-11-08 | 2024-05-16 | 테라릭스 주식회사 | Fuel cell separator having point contact channel structure |
WO2025110304A1 (en) * | 2023-11-24 | 2025-05-30 | 테라릭스 주식회사 | Fuel cell separato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29639A (en) * | 2012-08-29 | 2014-03-1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 stack for simulating cell voltage reversal behavior in fuel cells |
KR20170003275A (en) * | 2015-06-30 | 2017-01-0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Separato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Fuel cell stack comprising the same |
-
2020
- 2020-11-24 KR KR1020200159023A patent/KR10251695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29639A (en) * | 2012-08-29 | 2014-03-1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 stack for simulating cell voltage reversal behavior in fuel cells |
KR20170003275A (en) * | 2015-06-30 | 2017-01-0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Separato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Fuel cell stack comprising the sam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101686A1 (en) * | 2022-11-08 | 2024-05-16 | 테라릭스 주식회사 | Fuel cell separator having point contact channel structure |
WO2025110304A1 (en) * | 2023-11-24 | 2025-05-30 | 테라릭스 주식회사 | Fuel cell separa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16958B1 (en) | 2023-04-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294280B1 (en) | Fuel cell stack | |
RU2269842C2 (en) | Fuel-cell module using solid polymeric electrolyte, fuel cell pile, and method for feeding chemically active gas to fuel cell | |
US7691511B2 (en) | Fuel cell having coolant flow field wall | |
US10553881B2 (en) | Fuel cell | |
KR20220071651A (en) | An Anode Bipolar Plate for Fuel Cell | |
KR100637504B1 (en) | Fuel cell system and its stack | |
US9847546B2 (en) | Separator for fuel cell and fuel cell including the same | |
KR20060081603A (en) | Stack for Fuel Cell and Fuel Cell System with the Same | |
KR102525953B1 (en) | An Anode Bipolar Plate for Fuel Cell | |
KR20240097049A (en) | Fuel cell stack | |
EP4358199A1 (en) | Membrane humidifier cartridge and fuel cell membrane humidifier comprising same | |
JP2013157315A (en) | Fuel battery | |
KR100921568B1 (en) | Fuel cell divider having different channel lengths of cooling flow path and fuel cell stack having same | |
KR102824561B1 (en) | Fuel cell humidifier | |
KR101542970B1 (en) | Fuel cell stack | |
JP2002141086A (en) | Fuel cell | |
JP7044564B2 (en) | Fuel cell stack | |
JP2025519001A (en) | Fuel cell separator with point contact channel structure | |
KR101186797B1 (en) | fuel cell with flow field structure having multiple channels maintaining different pressure each other | |
KR101181821B1 (en) | Fuel cell system and stack of the same | |
KR101698826B1 (en) | Separator for fuel cell and fuel cell having the same | |
KR102642570B1 (en) | Performance improved fuel cell by adjusting flow pattern | |
KR20200000913A (en) | The separator for fuel cell | |
KR101581409B1 (en) | Fuel cell system having dissimilar fuel cells | |
US20220109164A1 (en) | Fuel Cel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0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3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3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