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6562A - 데드 볼륨이 제거된 vcm 장치 및 흡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데드 볼륨이 제거된 vcm 장치 및 흡기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66562A KR20220066562A KR1020200152734A KR20200152734A KR20220066562A KR 20220066562 A KR20220066562 A KR 20220066562A KR 1020200152734 A KR1020200152734 A KR 1020200152734A KR 20200152734 A KR20200152734 A KR 20200152734A KR 20220066562 A KR20220066562 A KR 2022006656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lve
- flap
- runner
- rotation shaft
- vc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7/00—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 F02B27/02—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 F02B27/0226—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characterised by the means generating the charging effect
- F02B27/0268—Valves
- F02B27/0273—Flap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7/00—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 F02B27/02—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 F02B27/0294—Actuators or controllers therefor; Diagnosis; Calibr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1/00—Modifying induction systems for imparting a rotation to the charge in the cylinder
- F02B31/08—Modifying induction systems for imparting a rotation to the charge in the cylinder having multiple air inle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006—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elements of the air intake system in direction of the air intake flow, i.e. between ambient air inlet and supply to the combustion chamber
- F02M35/10072—Intake runn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42—Devices or means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to air intakes; Air intakes combined with other engine or vehicle parts
- F02M35/10255—Arrangements of valves; Multi-way valv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Description
10 : 밸브
20 : 밸브 회전 축 21 : 원형 로드
21-1 : 플랩 구간부 21-2 : 밸브 구간부
22 : 수평면 25 : 수직면
30 : 플랩 30a,...,30n : 제1 내지 n 플랩
31 : 플랩 바디
32 : 축 보스 33 : 플랩 엔드
35 : 플랩 홀
40 : 밸브 매스 41 : 러너 고정부
41-1 : 러너 돌기 43 : 밸브 고정부
43-1 : 밸브 돌기 45 : 스토퍼
45-1 : 직선형 스토퍼 46 : 하단 면 접촉부
47 : 상단 면 접촉부 45-2 : 요철형 스토퍼
48 : 하단 요철 접촉부 49 : 상단 요철 접촉부
50 : 링크 기구 51 : 직선 이동 로드
52 : 각운동 레버 60 : 액추에이터
70 : ECU(Electronic Control Unit)
100 : 흡기 시스템 110 : 흡기 매니폴드(Intake Manifold)
120 : 러너(Runner) 121 : 러너 홀
Claims (18)
- 축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함으로써 상하 움직임을 형성하는 밸브가 포함되고,
상기 밸브는 회전 운동이 발생되는 밸브 회전 축, 상기 밸브 회전 축의 플랩 구간부에 위치되고, 상기 밸브 회전 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상하 움직임이 발생되는 플랩, 및 상기 플랩 구간부에서 상기 플랩과 고정되고, 상기 플랩 구간부에서 돌출되어 공기 흐름을 상기 플랩쪽으로 안내 해주는 밸브 매스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CM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 매스는 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CM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 매스는 오버몰딩(Over-Molding) 공법으로 상기 밸브 회전 축과 상기 플랩에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CM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 회전 축에는 상기 플랩이 각각 위치되도록 상기 플랩 구간부가 밸브 구간부를 이격 간격으로 하여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CM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 매스는 상기 플랩 구간부의 직각 구조에 위치되고, 상기 직각 구조는 상기 플랩의 상면과 이어지는 수평면과 상기 플랩의 끝부위 측면과 이어지는 수직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CM 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밸브 매스는 수평한 직선 길이로 이루어진 러너 고정부, 및 상기 러너 고정부에서 꺾인 수직한 직선 길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랩의 플랩 홀에 끼워지는 밸브 돌기로 상기 플랩의 끝부위 측면에 고정되는 밸브 고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CM 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러너 고정부는 상기 수평면의 위치에서 돌출되어 상기 플랩의 끝부위를 연장하는 상기 직선 길이로 상기 공기 흐름이 정체되는 데드 볼륨(Dead Volume)의 형성을 제거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CM 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러너 고정부는 상면부와 하면부로 단차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하면부에 공기가 흐르는 러너의 러너 홀에 끼워져 고정되는 러너 돌기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CM 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는 상기 플랩 구간부의 상기 수평면과 상기 러너의 이격 간격을 직선 구간으로 이어주고, 상기 직선 구간은 상기 공기 흐름을 스트림 라인으로 형성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CM 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밸브 돌기는 상기 밸브 고정부의 한쪽 면에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CM 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밸브 매스는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밸브 회전 축의 회전에 따른 상기 밸브 고정부의 움직임을 상기 러너 고정부에서 제한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CM 장치.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밸브 고정부에서 돌출된 하단 면 접촉부 및 상기 러너 고정부에서 돌출된 상단 면 접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단 면 접촉부와 상기 상단 면 접촉부는 직선 면으로 접촉을 형성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CM 장치.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밸브 고정부에서 돌출된 하단 요철 접촉부 및 상기 러너 고정부에서 돌출된 상단 요철 접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단 요철 접촉부와 상기 하단 요철 접촉부는 요철(凹凸) 결합 구조로 접촉을 형성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CM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밸브 회전 축을 링크 기구와 연결하고, 상기 링크 기구는 액추에이터와 연결되어 상기 밸브 회전 축을 움직여 주며, 상기 액추에이터는 모터를 구동하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CM 장치.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링크 기구는 상기 모터의 회전을 직선 이동으로 전환하는 직선 이동 로드, 및 상기 직선 이동을 각운동을 전환하여 상기 밸브 회전 축으로 전달하는 각운동 레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CM 장치.
- 플랩의 상하 움직임을 위한 회전 중심으로 작용하는 밸브 회전 축의 플랩 구간부에 밸브 매스가 위치되고, 상기 밸브 매스로 상기 플랩쪽으로 안내되는 공기 흐름을 정체시키는 데드 볼륨(Dead Volume)의 형성이 방지되는 VCM 장치(Variable Charge Motion); 및
상기 플랩의 움직임으로 러너 단면적이 조절되는 공기 흐름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밸브 매스로 상기 플랩과 형성하는 이격 간격이 이어지는 러너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시스템.
-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밸브 매스는 러너 돌기와 밸브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러너 돌기는 러너 홀에 끼워져 상기 러너와 고정되며, 상기 밸브 돌기는 플랩 홀에 끼워져 상기 플랩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시스템.
-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밸브 매스는 “ㄱ"자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ㄱ"자 단면 형상은 상기 플랩 구간부에서 상기 러너쪽으로 위치되어 상기 이격 간격을 이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2734A KR102430722B1 (ko) | 2020-11-16 | 2020-11-16 | 데드 볼륨이 제거된 vcm 장치 및 흡기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2734A KR102430722B1 (ko) | 2020-11-16 | 2020-11-16 | 데드 볼륨이 제거된 vcm 장치 및 흡기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66562A true KR20220066562A (ko) | 2022-05-24 |
KR102430722B1 KR102430722B1 (ko) | 2022-08-09 |
Family
ID=81807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52734A Active KR102430722B1 (ko) | 2020-11-16 | 2020-11-16 | 데드 볼륨이 제거된 vcm 장치 및 흡기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30722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04975A (ja) * | 2000-01-01 | 2000-07-25 | Toyota Motor Corp | エンジンのインテ―クマニホルド |
KR20010036758A (ko) * | 1999-10-11 | 2001-05-07 | 정주호 | 플라스틱 가변 흡기 매니폴드용 밸브 조립체 및 그 장착방법 |
JP2007278131A (ja) | 2006-04-04 | 2007-10-25 | Toyota Motor Corp | 点火時期制御装置 |
KR101903895B1 (ko) * | 2017-06-19 | 2018-10-02 |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 흡기매니폴드의 가변밸브 구동장치 |
-
2020
- 2020-11-16 KR KR1020200152734A patent/KR10243072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36758A (ko) * | 1999-10-11 | 2001-05-07 | 정주호 | 플라스틱 가변 흡기 매니폴드용 밸브 조립체 및 그 장착방법 |
JP2000204975A (ja) * | 2000-01-01 | 2000-07-25 | Toyota Motor Corp | エンジンのインテ―クマニホルド |
JP2007278131A (ja) | 2006-04-04 | 2007-10-25 | Toyota Motor Corp | 点火時期制御装置 |
KR101903895B1 (ko) * | 2017-06-19 | 2018-10-02 |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 흡기매니폴드의 가변밸브 구동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30722B1 (ko) | 2022-08-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958863B2 (en) | Intake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US4762102A (en) | Intake devic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KR100205995B1 (ko) | 내연기관의 흡기 조절장치 | |
KR102430722B1 (ko) | 데드 볼륨이 제거된 vcm 장치 및 흡기 시스템 | |
KR101459932B1 (ko) | 텀블 발생용 흡기장치 | |
JPS5922046B2 (ja) | 内燃機関の吸気装置 | |
KR101903895B1 (ko) | 흡기매니폴드의 가변밸브 구동장치 | |
DE102009001409A1 (de) | Einlassströmungssteuervorrichtung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 |
JPH11210479A (ja) | エンジンの吸気装置 | |
JP2008095510A (ja) | 内燃機関の吸気通路構造 | |
KR200152903Y1 (ko) | 내연기관의 흡기조절장치 | |
JP2006029300A (ja) | スロットル弁 | |
KR100765613B1 (ko) | 유동 저항이 개선된 스로틀플레이트 | |
JP4352618B2 (ja) | 吸気渦流発生装置 | |
JP2007182831A (ja) | 内燃機関の吸気装置 | |
KR101210637B1 (ko) | 디젤엔진의 스월 컨트롤 밸브와 쓰로틀 밸브의 공용화 장치 | |
KR20110052918A (ko) | 엔진의 가변흡기장치 | |
KR100211357B1 (ko) | 엔진의 흡기장치 | |
JPH10299625A (ja) | 内燃機関のガスガイド装置 | |
KR960013356B1 (ko) | 자동차 엔진의 유량 조절밸브 | |
JPH09228908A (ja) | ガソリンエンジンの吸気装置 | |
JP2002235546A (ja) | 吸気渦流発生装置 | |
JP2003239751A (ja) | 内燃機関の吸気装置 | |
DE3229361C2 (de) | Thermoregler des Luftstroms für das Einlaßsystem eines Verbrennungsmotors | |
JP2006283697A (ja) | 内燃機関の吸気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3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0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8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8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