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4287A - Shaft member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method - Google Patents
Shaft member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64287A KR20220064287A KR1020210096556A KR20210096556A KR20220064287A KR 20220064287 A KR20220064287 A KR 20220064287A KR 1020210096556 A KR1020210096556 A KR 1020210096556A KR 20210096556 A KR20210096556 A KR 20210096556A KR 20220064287 A KR20220064287 A KR 2022006428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ft member
- upper flange
- lower flange
- flange
- box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02D17/083—Shoring stru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28—Shapes rectangula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넓은 면적의 흙막이에 필요한 축부재로 범용제품인 H빔과 철판 또는 형강을 보강하여 효율적인 단면구조의 축부재를 형성하여 H빔의 보강전 약축이 강축방향의 축부재로 축부재력을 크게 향상시킴과 동시에 축력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한 축부재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 연결구조는 일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 및 상기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 사이에 수직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H빔과; 상기 H빔의 양측단에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의 내측 또는 외측에 용접 접합되는 축력마감판으로 구성된 축부재가 배치되고, 타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 및 상기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 사이에 수직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H빔과; 상기 H빔의 양측단에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의 내측 또는 외측에 용접 접합되는 축력마감판으로 구성된 축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일측의 축부재와 타측의 축부재의 사이에 박스형 연결소켓을 매개로 볼팅 접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 연결방법은 사각통상의 박스형 연결소켓의 일측과 타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 및 상기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 사이에 수직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웨브로 이루어진 H빔의 좌우측 양측단의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의 내측 또는 외측에 축력마감판을 접합하여 축력마감판이 보강된 축부재를 각각 삽입하고, 상기 박스형 연결소켓과 축부재를 볼팅 접합하여 연결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haft member necessary for retaining a large area, and by reinforcing an H-beam, a general-purpose product, and an iron plate or section steel to form a shaft member with an efficient cross-sectional structure, the weak axis of the H-beam is a shaft member in the strong axis direction before reinforcemen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aft member connection structure and a connection method to minimize loss of axial force at the same time.
The shaft member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n upper flange and a lower flange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on one side, and an H-beam integrally formed vertically between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A shaft member composed of an axial force end plate welded to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i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H-beam, and an upper flange and a lower flange and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part are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ther side. an H-beam integrally formed between the flanges; A shaft member composed of an axial force end plate welded to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i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H-beam, and a box-type connection socket is disposed between the shaft member on one side and the shaft member on the other si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bolted together.
In addition, the shaft member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upper flange and a lower flange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a rectangular tubular box-shaped connection socket, and between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The shaft members reinforced with the axial force closure plate are respectively inserted by joining the axial force closure plate to the inner or outer side of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beam made of a vertically integrally formed web, and the box-type connection socket and shaf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embers are connected by bolt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축부재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설 흙막이 공사용 버팀보로 사용되는 H빔의 양단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에 일정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마감판을 접합하여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 사이을 폐쇄시켜 일정길이를 갖는 단위 축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단위 축부재를 박스형 연결소켓을 이용하여 연결하여 장대화 버팀보를 형성하는 축부재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aft member connection structure and a connection method, and in particular, by bonding a finishing plate of a certain shape to the upper flange and lower flange of both ends of the H-beam used as braces for temporary retaining construction, and closing between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It relates to a shaft member connection structure and a connection method for forming a unit shaft member having a length, and connecting the unit shaft member using a box-type connection socket to form a pole beam.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를 H빔의 약축 방향을 최소의 부재로 보강하여 부재가 갖는 단면계수, 단면2차모멘트, 회전반경 등 부재력을 효율적으로 개선하는 축부재 연결방법과 결합된 축부재 간 축력 손실을 최소화하는 연결방법으로, H빔에 보강 결합되어 일체화된 보강된 H빔의 축부재와 보강된 축부재 간을 박스형 연결소켓을 이용한 연결방법으로 축부재의 길이를 연장하여 장대화 가설 흙막이 공사에 보강된 버팀보를 시공하여 버팀간격과 좌굴길이를 크게함으로써 경제성과 시공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축부재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In particular, a shaft member combined with a shaft member connection method that effectively improves member forces such as section modulus, cross-sectional second moment, and rotation radius of the shaf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reinforcing the weak axis direction of the H-beam with a minimum member A connection method that minimizes the loss of axial force between the H-beams, and the length of the shaft member is extended by connecting the shaft member of the reinforced H-beam integrated with the H-beam and the reinforced shaft member using a box-type connection socket. It relates to a shaft member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method that can greatly improve economic efficiency and workability by increasing the brace spacing and buckling length by constructing reinforced braces for retaining work.
종래부터, 건축물이나 그 외의 구조물에서는 지진력이나 풍력 등의 수평력에 저항시키는 구조 요소로서 좌굴구속부재가 사용되고 있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in buildings and other structures, buckling restraint members are used as structural elements to resist horizontal forces such as seismic force or wind force.
이 좌굴구속부재는 구조물에 있어서의 주요한 골조의 층간에 짜여지는 것으로, 큰 층간변형이 생겼을 때에 심재가 되는 강재가 소성변형으로서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으로써 흔들림을 감쇠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This buckling constraining member is interwoven between the layers of the main frame of the structure, and when a large interlayer deformation occurs, the steel material serving as the core material absorbs energy as a plastic deformation to attenuate vibration.
좌굴구속부재는 강제의 중심축력부재를 강관 등의 폐쇄단면 안에 설치하여, 중심축력부재의 주위에 콘크리트 등의 상온경화형의 재료를 충전하고, 이 타입에서는 콘크리트와의 부착을 방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중심축력부재의 주위에 부착방지피막을 설치하여 콘크리트 및 부착방지피막은 강관의 거의 전장에 걸쳐서 시행된다.As for the buckling restraint member, it is necessary to install a steel central axial force member in the closed section of a steel pipe, etc., and fill the periphery of the central axial force member with a room temperature hardening material such as concrete, and in this type, it is necessary to prevent adhesion to concrete. , by installing an anti-adhesion film around the central axial force member, the concrete and anti-adhesion film are applied over almost the entire length of the steel pipe.
상기한 좌굴구속부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The above-described buckling restraint member has the following problems.
(1) 콘크리트 등의 상온경화형의 재료의 사용량이 많고, 한편 제조공정이 증가하는 것으로 공정관리가 복잡해져, 비용이 고가인 동시에 자중이 큰 것이 된다.(1) The amount of use of a room temperature hardening type material such as concrete is large, and on the other hand, as the manufacturing process increases, the process control becomes complicated, and the cost is high and its own weight is large.
(2) 콘크리트 타설시에 있어 중심축력부재의 휘어짐이 생기기 쉽고, 콘크리트 등의 재료의 품질관리작업이 증가함과 동시에 건조시간 등이 필요하다.(2) The bending of the central axial force member is easy to occur when pouring concrete, and the quality control work of materials such as concrete increases, and at the same time, drying time is required.
(3) 중심축력부재를 강판으로 구성할 경우, 단부 접합부 부분에서 국부적인 좌굴을 일으키기 쉬워지기 때문에, 널빤지를 크게 하거나 접합부에 강판을 용접하여 보강하는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3) When the central axial force member is made of a steel plate, local buckling tends to occur at the end joint portion, so measures such as enlargement of the plank or reinforcement by welding a steel plate to the joint portion are necessary.
(4) 중심축력부재의 신축이 자유롭도록 신축부의 끝부분에서는 가요성 재료를 [0009]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배제할 필요가 있다.(4) It is necessary to exclude concrete by installing a flexible material at the end of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part so that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central axial force member is free.
(5) 단부에 볼트 접합부를 설치할 경우, 볼트공에 의한 단면결손을 보완하기 위해 접합부의 폭을 넓히는 경우가 많다.(5) When installing a bolt joint at the end, the width of the joint is often widened to compensate for the cross-sectional defect caused by the bolt hole.
그 때문에, 제작상, 강관의 폐쇄단면의 내경을 접합부가 수납할 수 있도록 크게 할 필요가 발생한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inner diameter of the closed cross-section of the steel pipe so that the joint can be accommodated in manufacturing.
(6) 콘크리트의 영계수는 강재의 약 1/10이며, 좌굴강도는 대체로 영계수에 비례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부분의 좌굴구속 효과는 강재와 비교했을 경우의 1/10정도이므로, 콘크리트 부분은 중심축부 외주의 강관 사이의 단순한 충전재에 지나지 않는 문제가 있다.(6) The Young's modulus of concrete is about 1/10 of that of steel, and since buckling strength is generally proportional to Young's modulus, the buckling restraint effect of concrete is about 1/10 of that of steel.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hing more than a simple filling material between the steel pipes of
따라서 좌굴구속의 효율이 떨어지고, 부재들의 단면 형상이 커지는 한 요인이기도 하다.Therefore, the efficiency of the buckling restraint decreases and is also a factor in increasing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embers.
이에,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특허 10-2055005 축부재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이 제안되었다.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Patent Registration No. 10-2055005 shaft member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method has been proposed.
상기한 축부재 연결구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직경 및 길이를 갖는 강관(10)과; 상기 강관(10)의 일단에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일정한 두께 및 직경을 갖는 강판으로 이루어진 축력마감판(20)이 용접 설치된 일정한 직경 및 두께를 갖는 축부재용 관 또는 철관으로 이루어진 내관(30)과; 상기 내관(30)의 외주면에 삽입됨과 동시에 용접 결합되며, 일정한 직경 및 두께를 갖는 축부재용 강관 또는 철관으로 이루어진 외관(40)으로 구성되고, 상기 축력마감판(20)의 주연부에 일정한 각도로 절취부(22)가 형성되어, 상기 축력마감판(20)은 내관(30)에 가해지는 축력하중을 직각으로 손실없이 전달할 수 있고, 상기 외관(40)은 내관(30)에 발생되는 좌굴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shaft member connection structure includes a
또한, 상기한 축부재 연결방법은 일정한 직경 및 두께를 갖는 축력마감판(20)의 외주연에 일정한 각도를 갖도록 절취하여 절취부(22)를 형성하고, 상기 절취부(22)가 형성된 축력마감판(20)을 소정의 직경 및 길이를 갖는 강관(10)의 단부에 용접하여 내관(30)을 제작한 후, 상기 내관(30)의 일측과 타측에 걸쳐 외관(40)을 삽입하되, 상기 내관(30)에 부착된 축력마감판(20) 간을 서로 맞대거나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하여 외관(40)을 삽입한 후, 상기 내관(30)과 외관(40)을 용접하여 일체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shaft member connection method is cut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axial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축부재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은 외관과 그 내에 수납되는 축력마감판 및 내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축력마감판 및 내관은 외관의 내경과 조금 작거나 동일한 외경으로 또한 중간부분에 단수 또는 복수의 축력마감판은 내관의 항복이 선행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축력마감판의 단면적을 조정함으로써, 축력마감판에서 좌굴하기 어려운 임의의 항복 축력을 얻을 수 있다.The conventional shaft member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method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mposed of an exterior and an axial force end plate and an inner tube accommodated therein. Since the yielding of the inner tube occurs in a single or multiple axial force end plate in the middle part, by adjust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axial force end plate, an arbitrary yield axial force that is difficult to buckle in the axial force end plate can be obtained.
또한, 차단판의 외주연을 가공하여 그 단면형상이 내관 내에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In addition, by process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blocking plate, the cross-sectional shape can be sufficiently secured in the inner tube.
그리고, 접합부를 외관 내에 삽입할 수 있기 때문에 축력마감판과 내관의 접합부의 제작을 끝난 후에 축력마감판과 내관을 외관내에 수납할 수 있다.And, since the junction part can be inserted into the exterior, the axial force end plate and the inner tube can be accommodated in the exterior after the production of the junction part between the axial force end plate and the inner tube is finished.
또한, 내관의 자중으로 인한 처짐 및 좌굴을 그 내관의 단부에 축력마감판을 설치하고, 외부에 외관을 설치함으로써, 축력마감판은 내관에 가해지는 축력하중을 직각으로 손실없이 전달할 수 있고, 외관은 내관에 발생되는 좌굴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installing an axial force end plate at the end of the inner tube to prevent sagging and buckling due to the self-weight of the inner tube and installing the outer exterior, the axial force end plate can transmit the axial force applied to the inner tube at a right angle without loss, and the appearance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buckling occurring in the inner tube.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축부재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요부재로 원형 강관을 버팀보로 사용함으로, 작업자가 작업 시 강관 버팀보를 통행하기가 불편하여 별도의 이동로를 신설 또는 추가 설치해야 하는 폐단이 있으며, 특히 원형 강관으로 이루어진 버팀보와 띠장 및 경사 버팀보 등과의 연결 및 결합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haft member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method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uses a circular steel pipe as a main member as a brace as shown in FIGS. 1 and 2, so it is difficult for an operator to pass the steel pipe brace during work. It is inconvenient,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 separate movement path must be newly installed or additionally installed, and in particular,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difficult to connect and combine the braces made of round steel pipe, wales, and inclined braces.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넓은 면적의 흙막이에 필요한 축부재로 범용제품인 H빔과 철판 또는 형강을 보강하여 효율적인 단면구조의 축부재를 형성하여 H빔의 보강전 약축이 강축방향의 축부재로 축부재력을 크게 향상시킴과 동시에 축력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한 축부재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s a shaft member necessary for retaining a large area, an H beam, a general-purpose product, and an iron plate or section steel are reinforced to form a shaft member with an efficient cross-sectional structure to form an H bea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aft member connection structure and a connection method in which the weak shaft is a shaft member in the direction of the strong shaft before reinforcing the shaft member to greatly improve the shaft member force and minimize the loss of the shaft forc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 연결구조는 일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 및 상기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 사이에 수직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H빔과; 상기 H빔의 양측단에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의 내측 또는 외측에 용접 접합되는 축력마감판으로 구성된 축부재가 배치되고, 타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 및 상기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 사이에 수직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H빔과; 상기 H빔의 양측단에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의 내측 또는 외측에 용접 접합되는 축력마감판으로 구성된 축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일측의 축부재와 타측의 축부재의 사이에 박스형 연결소켓을 매개로 볼팅 접합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shaft member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n upper flange and a lower flange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on one side and an H-beam integrally formed vertically between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A shaft member composed of an axial force end plate welded to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i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H-beam, and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and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part are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ther side. an H-beam integrally formed between the flanges; A shaft member composed of an axial force end plate welded to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i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H-beam, and a box-shaped connection socket is disposed between the shaft member of the one side and the shaft member of the other si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bolted together.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 연결방법은 사각통상의 박스형 연결소켓의 일측과 타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 및 상기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 사이에 수직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웨브로 이루어진 H빔의 좌우측 양측단의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의 내측 또는 외측에 축력마감판을 용접 접합하여 축력마감판이 보강된 축부재를 각각 삽입하고, 상기 박스형 연결소켓과 축부재를 볼팅 접합하여 연결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haft member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upper flange and a lower flange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a rectangular tubular box-shaped connection socket, and between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The axial force end plate is welded to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of the left and right both ends of the H-beam made of a vertically integrally formed web, and the shaft member reinforced with the axial force end plate is inserted, respectively, and the box-type connection socket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ft member is connected by bolting.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haft member connection structure and the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은 빔의 양단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에 일정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축력마감판을 접합하여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 사이를 폐쇄시켜 일정길이를 갖는 단위 축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단위 축부재들을 박스형 연결소켓을 이용하여 볼팅 접합하는 연결방법으로 단위 축부재의 길이를 연장하여 장대화 축부재를 형성하여 흙막이 가시설을 시공함으로써, 넓은 면적의 흙막이에 필요한 버팀보로 범용제품인 H빔과 철판 또는 형강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단면구조로 형성하여 강축 방향으로 좌굴저항 길이가 증가되고, 부재 단면에 비하여 버팀 축력을 향상시켜, 경제성 및 시공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unit shaft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by bonding an axial force end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to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at both ends of the beam and closing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and the unit shaft members are box-shaped. A general-purpose product, H-beam and steel plate or section, is used as a support for large-area retaining by extending the length of the unit shaft member to form a long shaft member and constructing a temporary retaining facility by using a connecting socket to connect by bolting. By forming an efficient cross-sectional structure, the length of the buckling resistance is increased in the direction of the strong axis, and the bearing axial force is improved compared to the cross-section of the member, thereby improving economic efficiency and workability.
둘째, 본 발명은 가설 흙막이 공사용 버팀보로 사용되는 H빔의 약축 방향을 철판 또는 형강으로 보강하여 H빔이 갖는 단면계수, 단면 2차모멘트, 회전반경 등의 부재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reinforces the weak axis direction of the H-beam used as a brace for temporary retaining construction with an iron plate or section steel to improve member forces such as the section modulus, the cross-sectional secondary moment, and the turning radius of the H-beam.
셋째, 본 발명은 가설 흙막이 공사용 버팀보로 사용되는 H빔의 약축 방향을 철판 또는 형강으로 보강하여 형강이 보강된 H빔 버팀보와 형강이 보강된 H빔 버팀보들을 다양한 연결재를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버팀 간격과 좌굴 길이를 크게 하여 경제성과 시공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Third, the present invention reinforces the weak axis direction of the H-beam used as a brace for temporary retaining construction with an iron plate or section steel to connect the H-beam braces with the section steel and the H-beam braces with the section steel reinforced by using various connecting materials. It has the effect of greatly improving economic feasibility and constructability by increasing the buckling length and buckling length.
도 1은 종래의 축부재 연결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축부재 연결구조에서 강관과 축력마감판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1,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를 도시한 정면도 1,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1,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와 박스형 연결소켓 간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1,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와 박스형 연결소켓 간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1,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와 박스형 연결소켓 간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1,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2,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를 도시한 정면도 2,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2,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와 박스형 연결소켓 간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2,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와 박스형 연결소켓 간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2,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와 박스형 연결소켓 간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2.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haft member connection structure;
2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steel pipe and the axial force end plate in the conventional shaft member connection structure.
3 is a
Figure 4 is a
5 is a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shaft member and the box-type connection socket according to the
7 is a
8 is an exploded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af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Figure 10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haf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11 is a plan view 2 showing a shaf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shaft member and the box-type connection so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shaft member and the box-type connection so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shaft member and the box-type connection so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exemplary drawings.
[축부재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of shaft member]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f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haf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shaf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M)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20) 및 상기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20) 사이에 수직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웨브(130)로 이루어진 H빔(100)과; 상기 H빔(100)의 양측단의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2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용접(200) 접합되는 축력마감판(300)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shaft member (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etween the
즉,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M)는 H빔(100)과 축력마감판(300)이 용접(200) 결합된 구조이다.That is, the shaft member (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H-
여기서, 상기 H빔(100)은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20) 및 웨브(130)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20)의 폭이 긴 H자 형상으로 형강으로 압연하여 제작하며, 건축용 철골, 교량, 흙막이 공사 등의 구조용 부재나 공사용 가설재로서 적합하다.Here, the H-
또한, 상기 축력마감판(300)은 그 단면형상에 따라 I형강, 산형강, 홈형강, 평강, 각관, 강관, 강판, 철판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axial
여기서, 상기 I형강은 강괴를 가열하여 소정의 I형 단면 형상으로 압연한 강재로서, H빔(100)의 양측단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20)의 내측 또는 외측에 I형강을 용접(200) 접합하여 사용한다.Here, the I-beam is a steel material rolled into a predetermined I-shaped cross-sectional shape by heating a steel ingot, and the I-beam is welded to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또한, 상기 산형강은 소정의 L형 단면 형상으로 압연한 강재로서, 등변 산형강과 부등변 산형강이 있다.In addition, the angular steel is a steel material rolled into a predetermined L-shaped cross-sectional shape, and there are an equilateral angular steel and an equilateral angular steel.
H빔(100)의 양측단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2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산형강을 용접(200) 접합하여 사용한다. The
그리고, 상기 홈형강은 ㄷ형 단면 형상으로 압연한 강재로서, 굽힘에 대한 단면계수가 큰 부재로서, H빔(100)의 양측단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20)의 내측 또는 외측에 홈형강을 서로 대향되게 용접(200) 접합하여 사용한다.In addition, the grooved steel is a steel rolled into a C-shaped cross-sectional shape, a member with a large section modulus for bending, and grooves on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또한, 상기 평강은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로, 단면이 직사각형이다.In addition, the flat steel is a general structural rolled steel, and h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H빔(100)의 양측단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20)의 내측 또는 외측에 평강을 용접(200) 접합하여 사용한다.Flat steel is welded 200 to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또한, 상기 각관은 사각통상의 강재이다.In addition, the square tube is a rectangular tubular steel.
H빔(100)의 양측단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20)의 내측 또는 외측에 각관을 용접(200) 접합하여 사용한다.The H-
여기서, 상기 각관은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20) 사이의 공간에 맞는 대형 각관을 사용할 수도 있고, 소형 각관을 다수개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Here, as the square tube, a large square tube suitable for the space between the
그리고, 상기 강관은 원통상의 강재이다.And, the steel pipe is a cylindrical steel material.
H빔(100)의 양측단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20)의 내측 또는 외측에 강관을 용접(200 접합하여 사용한다.A steel pipe is welded (200 joined) to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여기서, 상기 강관은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20) 사이의 공간에 맞는 대형 강관을 용접(200) 접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소형 강관을 다수개 용접(200) 접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Here, the steel pipe may be used by welding 200 joining a large steel pipe suitable for the space between the
또한, 상기 강판 또는 철판은 H빔(100)의 양측단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20)의 내측 및 외측단에 수직으로 용접(200) 설치된다.In addition, the steel plate or the iron plate is vertically welded 200 installed at the inner and outer ends of the
즉, 상기 강판 또는 철판은 H빔(100)의 외부 보강형 및 내부 보강형 부재이다.That is, the steel plate or the iron plate is an external reinforcement type and an internal reinforcement type member of the H-
상기 강판 또는 철판은 필요에 따라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20) 사이의 공간에 맞도록 절곡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steel plate or iron plate may be bent to fit the space between the
한편, 상기 상부플랜지(110) 및 하부플랜지(120)는 그 선단의 양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내측으로 요입홈(140)이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M)는 H빔(100)의 양단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2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일정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축력마감판(300)을 용접(200) 접합하여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20) 사이를 폐쇄시킴으로써, 효율적인 단면구조로 형성하여 강축 방향으로 좌굴 저항 길이가 증가되고, 부재 단면에 비하여 버팀 축력이 향상되는 작용효과가 있다.The shaft member (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an axial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 연결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haft member 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축부재 연결구조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of shaft member connection structur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와 박스형 연결소켓 간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1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와 박스형 연결소켓 간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1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와 박스형 연결소켓 간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1이다.6 is a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 연결구조는 일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20) 및 상기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20) 사이에 수직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H빔(100)과; 상기 H빔(100)의 양측단에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2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용접(200) 접합되는 축력마감판(300)으로 구성된 축부재(M)가 배치되고, 타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20) 및 상기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20) 사이에 수직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H빔(100)과; 상기 H빔(100)의 양측단에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2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용접(200) 접합되는 축력마감판(300)으로 구성된 축부재(M)가 배치되며, 상기 일측의 축부재(M)와 타측의 축부재(M)의 사이에 박스형 연결소켓(400)을 매개로 볼팅(500) 접합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shaft member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etween the
즉,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 연결구조는 단위부재인 축부재(M)를 박스형 연결소켓(400)의 일측 및 타측에 삽입하고, 상기 박스형 연결소켓(400)과 축부재(M)를 볼팅(500)으로 강결 접합된 것이다.That is, the shaft member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erts the shaft member (M), which is a unit member,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ox-
상기 축력마감판(300)은 I형강, 산형강, 홈형강, 평강, 각관, 강관, 강판, 철판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The axial
한편, 상기 상부플랜지(110) 및 하부플랜지(120)는 그 선단의 양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내측으로 요입홈(140)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박스형 연결소켓(40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 통상으로 구성되고, 그 내측 상면과 하면에 스터드볼트(410)가 용접 접합되거나, 그 상부가 길이방향으로 개구부(420)가 형성된다.The box-shaped
여기서, 상기 박스형 연결소켓(400)은 하나의 일체형으로 구성되거나, 2개로 분리된 분리형으로 구성된다.Here, the box-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 연결방법은 사각통상의 박스형 연결소켓(400)의 일측과 타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20) 및 상기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20) 사이에 수직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웨브(130)로 이루어진 H빔(100)의 좌우측 양측단의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2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축력마감판(300)을 용접(200) 접합하여 축력마감판(300)이 보강된 축부재(M)를 삽입하고, 상기 박스형 연결소켓(400)과 축부재(M)를 볼팅(500) 접합하여 연결하되, 상기 상부플랜지(110) 및 하부플랜지는 그 선단의 양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내측으로 요입홈(140)을 형성하고, 상기 축력마감판(300)은 I형강, 산형강, 홈형강, 평강, 각관, 강관, 강판, 철판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하며, 상기 박스형 연결소켓(40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 통상으로 형성하고, 그 내측 상면과 하면에 스터드볼트(410)를 용접 접합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shaft member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n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 및 방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M)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은 단위부재인 축부재(M)를 박스형 연결소켓(400)의 일측 및 타측에 삽입하여 볼팅(500) 접합으로 연결함으로써, 강축방향으로 좌굴저항 길이가 증가되고, 부재 단면에 비하여 버팀 축력이 향상되는 작용효과가 있다.The shaft member (M)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structure and method as described above is a bolting (500) by inserting the shaft member (M), which is a unit member, in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ox-type connection socket (400). By connecting by bonding, the length of the buckling resistance is increased in the strong axis direction, and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holding axial force compared to the cross section of the member.
[축부재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of shaft member]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2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를 도시한 정면도 2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2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2 showing the shaf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front view 2 showing the shaf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plan view 2 showing the shaf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20) 및 상기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20) 사이에 수직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웨브(130)로 이루어진 H빔(100)과; 상기 상부플랜지(110) 및 하부플랜지는 그 선단의 양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내측으로 요입 형성된 요입홈(140)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shaf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vertically integrated between the
즉,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M)는 H빔(100)에 요입홈(140)이 형성된 구조이다.That is, the shaft member (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여기서, 상기 H빔(100)은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20) 및 웨브(130)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20)의 폭이 긴 H자 형상으로 형강으로 압연하여 제작하며, 건축용 철골, 교량, 흙막이 공사 등의 구조용 부재나 공사용 가설재로서 적합하다.Here, the H-
특히, 상기 상부플랜지(110) 및 하부플랜지(120)는 그 선단의 양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내측으로 한 쌍의 요입홈(140)이 형성된 구조이다.In particular, the
이와 같은 요입홈(140)은 H빔(100)이 박스형 연결소켓(400)에 삽입시 상기 H빔(100)의 삽입위치를 잡아주기 위함이다.This
한편, 상기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2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축력마감판(300)이 용접 접합되며, 상기 축력마감판(300)은 I형강, 산형강, 홈형강, 평강, 각관, 강관, 강판, 철판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axial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M)는 H빔(100)의 양단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20)에 요입홈(140)을 형성함으로써, 박스형 연결소켓에 H빔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shaft member (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forms the
[축부재 연결구조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of shaft member connection structure]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와 박스형 연결소켓 간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2,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와 박스형 연결소켓 간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2,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와 박스형 연결소켓 간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2이다.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shaft member and the box-type connection so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shaft member and the box-type connection so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Figure 14 i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2 showing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shaft member and the box-type connection socket.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 연결구조는 일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20) 및 상기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20) 사이에 수직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웨브(130)로 이루어진 H빔(100)과; 상기 상부플랜지(110) 및 하부플랜지(120)는 그 선단의 양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내측으로 요입 형성된 요입홈(140)으로 구성된 축부재가 삽입 배치되고, 타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20) 및 상기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20) 사이에 수직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웨브(130)로 이루어진 H빔(100)과; 상기 상부플랜지(110) 및 하부플랜지(120)는 그 선단의 양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내측으로 요입 형성된 요입홈(140)으로 구성된 축부재가 삽입 배치되며, 상기 일측의 축부재(M)와 타측의 축부재(M)의 사이에 박스형 연결소켓(400)을 매개로 볼팅(500) 접합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shaft member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etween the
즉,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 연결구조는 H빔(100)의 상부플랜지(110) 및 하부플랜지(120)는 그 선단의 양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내측으로 요입홈(140)이 형성된 단위부재인 축부재(M2)를 내측에 스터드볼트가 부착된 박스형 연결소켓(400)의 일측 및 타측에 삽입하고, 상기 박스형 연결소켓(400)과 축부재(M2)를 볼팅(500)으로 강결 접합된 것이다.That is, the shaft member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unit member in which the
여기서, 상기 H빔(100)의 상부플랜지(110) 및 하부플랜지(120)는 그 선단의 양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내측으로 요입홈(140)이 형성된다.Here, the
또한, 상기 박스형 연결소켓(40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 통상으로 구성되고, 그 내측 상면과 하면에 스터드볼트(410)가 용접 접합된다.In addition, the box-
그리고, 상기 박스형 연결소켓은 그 상부가 길이방향으로 개구부(420)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box-shaped connection socket has an
한편, 상기 박스형 연결소켓(400)은 하나의 일체형으로 구성되거나, 2개로 분리된 분리형으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box-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 연결방법은 일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20) 및 상기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20) 사이에 수직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웨브(130)로 이루어진 H빔(100)과; 상기 상부플랜지(110) 및 하부플랜지(120)는 그 선단의 양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내측으로 요입 형성된 요입홈(140)으로 구성된 축부재를 삽입 하고, 타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20) 및 상기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20) 사이에 수직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웨브(130)로 이루어진 H빔(100)과; 상기 상부플랜지(110) 및 하부플랜지(120)는 그 선단의 양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내측으로 요입 형성된 요입홈(140)으로 구성된 축부재를 삽입하며, 상기 일측의 축부재(M)와 타측의 축부재(M)의 사이에 박스형 연결소켓(400)을 매개로 볼팅(500) 접합된다.The shaft member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s between the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 및 방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M)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은 H빔의 상부플랜지 및 하부플랜지에 요입홈이 형성된 단위부재인 축부재(M)를 내부에 스터드볼트가 부착된 박스형 연결소켓(400)의 일측 및 타측에 삽입하여 볼팅(500) 접합으로 연결함으로써, 강축방향으로 좌굴저항 길이가 증가되고, 부재 단면에 비하여 버팀 축력이 향상되는 작용효과가 있다.The shaft member (M)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structure and method as described above is a shaft member (M), which is a unit member with concave grooves formed in the upper flange and lower flange of the H-beam, with stud bolts inside. By inserting in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ox-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한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한정적인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에 의해서 나타나 있고, 그들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중에 들어가는 모든 변형 예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falling within the meaning of those claim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ncluded
100: H빔 110: 상부플랜지
120: 하부플랜지 130: 웨브
140: 요입홈 200: 용접
300: 축력마감판 400: 박스형 연결소켓
410: 스터드볼트 420: 개구부
500: 볼팅 M: 축부재
M2: 축부재100: H-beam 110: upper flange
120: lower flange 130: web
140: concave groove 200: welding
300: axial force end plate 400: box-type connection socket
410: stud bolt 420: opening
500: bolting M: shaft member
M2: shaft member
Claims (21)
상기 축력마감판은 I형강, 산형강, 홈형강, 평강, 각관, 강관, 강판, 철판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부재 연결구조.According to claim 1,
The axial force end plate is a shaft member connec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ny one of I-beams, ridges, grooved steels, flat steels, square pipes, steel pipes, steel plates, and iron plates.
상기 상부플랜지 및 하부플랜지는 그 선단의 양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내측으로 요입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부재 연결구조.According to claim 1,
The shaft member connec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are formed with concave grooves inwardly at regular intervals on both sides of their front ends.
상기 박스형 연결소켓은 전체적으로 사각형 통상으로 구성되고, 그 내측 상면과 하면에 스터드볼트가 용접 접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부재 연결구조.According to claim 1,
The box-type connection socket is generally composed of a rectangular tube, and a shaft member connec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tud bolts are welded to each other.
상기 박스형 연결소켓은 그 상부가 길이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부재 연결구조.According to claim 1,
The box-shaped connection socket shaft member connec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ortion is formed with an open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박스형 연결소켓은 하나의 일체형으로 구성되거나, 2개로 분리된 분리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부재 연결구조.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4, 5,
The box-type connection socket is a shaft member connec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one integral type, or is composed of a separate type separated into two.
상기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의 내측 또는 외측에 축력마감판이 용접 접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부재 연결구조.8. The method of claim 7,
A shaft member connec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axial force end plate is welded to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상기 축력마감판은 I형강, 산형강, 홈형강, 평강, 각관, 강관, 강판, 철판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부재 연결구조.8. The method of claim 7,
The axial force end plate is a shaft member connec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ny one of I-beams, ridges, grooved steels, flat steels, square pipes, steel pipes, steel plates, and iron plates.
상기 박스형 연결소켓은 전체적으로 사각형 통상으로 구성되고, 그 내측 상면과 하면에 스터드볼트가 용접 접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부재 연결구조.8. The method of claim 7,
The box-type connection socket is generally composed of a rectangular tube, and a shaft member connec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tud bolts are welded to each other.
상기 박스형 연결소켓은 그 상부가 길이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부재 연결구조.8. The method of claim 7,
The box-shaped connection socket shaft member connec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ortion is formed with an open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박스형 연결소켓은 하나의 일체형으로 구성되거나, 2개로 분리된 분리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부재 연결구조.12.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7, 10 or 11,
The box-type connection socket is a shaft member connec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one integral type, or is composed of a separate type separated into two.
상기 축력마감판(300)은 I형강, 산형강, 홈형강, 평강, 각관, 강관, 강판, 철판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부재 연결방법.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axial force end plate 300 is a shaft member conne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ny one of I-beam steel, mountain-beam steel, groove-beam steel, flat steel, square tube, steel tube, steel plate, and iron plate.
상기 상부플랜지(110) 및 하부플랜지(120)는 그 선단의 양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내측으로 요입홈(14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부재 연결방법.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haft member conne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flange (110) and the lower flange (120) are formed with concave grooves (140) inwardly at regular intervals on both sides of their front ends.
상기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2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축력마감판(300)이 용접 접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부재 연결방법.17. The method of claim 16,
A shaft member conne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axial force end plate (300) is welded to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upper flange (110) and the lower flange (120).
상기 축력마감판(300)은 I형강, 산형강, 홈형강, 평강, 각관, 강관, 강판, 철판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부재 연결방법.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axial force end plate 300 is a shaft member conne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ny one of I-beam steel, mountain-beam steel, groove-beam steel, flat steel, square tube, steel tube, steel plate, and iron plate.
상기 박스형 연결소켓(40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 통상으로 구성되고, 그 내측 상면과 하면에 스터드볼트(410)가 용접 접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부재 연결방법.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box-shaped connection socket (400) is generally composed of a rectangular tube, and a shaft member conne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tud bolts (410) are welded.
상기 박스형 연결소켓은 그 상부가 길이방향으로 개구부(42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부재 연결방법.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box-type connection socket is a shaft member conne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420)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박스형 연결소켓(400)은 하나의 일체형으로 구성되거나, 2개로 분리된 분리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부재 연결방법.
21.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6, 19 or 20,
The box-type connection socket 400 is a shaft member conne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as one integral type or as a separate type separated into tw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49870 | 2020-11-11 | ||
KR20200149870 | 2020-11-11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64287A true KR20220064287A (en) | 2022-05-18 |
Family
ID=81800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96556A Ceased KR20220064287A (en) | 2020-11-11 | 2021-07-22 | Shaft member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64287A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101603A (en) | 1986-10-18 | 1988-05-06 | Babcock Hitachi Kk | Fine powder coal combus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
KR102055005B1 (en) | 2019-01-02 | 2019-12-12 | (주)토네이도건설 | Axial member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method |
-
2021
- 2021-07-22 KR KR1020210096556A patent/KR20220064287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101603A (en) | 1986-10-18 | 1988-05-06 | Babcock Hitachi Kk | Fine powder coal combus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
KR102055005B1 (en) | 2019-01-02 | 2019-12-12 | (주)토네이도건설 | Axial member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62928B1 (en) | Concrete Filled Steel Pipe Column | |
KR100918974B1 (en) | Concrete Filled Steel Tub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KR102079008B1 (en) | E-z connecting structure for beam and column wherein the end-moment and bending resistibility are reinforced | |
KR101174548B1 (en) | Column system of concrete filled steel tube | |
KR101622522B1 (en) | Concrete Filled Steel Tube Columns using H-beam and bending iron plate | |
KR101406938B1 (en) | The composite girder with various pattern as web members | |
CN105569191A (en) | Steel-encased concrete composite beam-steel pipe column connection joint | |
KR101990496B1 (en) | Mamufacturing method of prefabricated steel pipe with tube for the cft columns | |
KR20080108880A (en) | Trench forme method for the steel concrete column | |
KR20190063645A (en) | Connecting structure of Composite column and H-bea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2002070326A (en) | Reinforcement structure of steel frame material | |
KR100939970B1 (en) |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mplex girder and its structure | |
KR101404513B1 (en) | Steel Reinforced Concrete with Steel Angles or T Bars | |
CN110725405A (en) |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rigid-connected joints of H-shaped steel beams with reinforced concrete-filled steel tubular columns | |
TW201739994A (en) | Column-beam joint structure and steel reinforced concrete column | |
KR101373262B1 (en) | Connecting plate crossing type concrete filled tubular column | |
CN213897669U (en) | Prefabricated built-in corrugated steel plate reinforced concrete combined shear wall | |
KR20200089793A (en) | Non-welding beam-to-column connection structure with reinforcing plate and through bolt | |
KR20220064287A (en) | Shaft member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method | |
CN219527949U (en) | Beam column connection node | |
KR20190041276A (en) | Thrust Structure Using Double Steel Tub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
CN212613381U (en) | High-strength thin-wall steel pipe concrete combined column | |
CN211690754U (en) | Assembled concrete building connected node | |
CN112323977B (en) | An assembled large-span cold-formed solid-web arch structure | |
JP4127225B2 (en) | Beam-column joi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305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302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2307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305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2305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303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230224 |
|
X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