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062414A -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체 - Google Patents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2414A
KR20220062414A KR1020227013224A KR20227013224A KR20220062414A KR 20220062414 A KR20220062414 A KR 20220062414A KR 1020227013224 A KR1020227013224 A KR 1020227013224A KR 20227013224 A KR20227013224 A KR 20227013224A KR 20220062414 A KR20220062414 A KR 20220062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sole structure
opening
midsole
perime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3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15963B1 (ko
Inventor
마이클 존스
마이클 에프 주버트
데렉 쿠오
용 에스 리
테아 모쇼프스키
랜달 에스 울프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ublication of KR20220062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2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15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1596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72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of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6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 e.g. cushioning loc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7Resiliency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material, e.g. foam, non liqui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7Resiliency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material, e.g. foam, non liquid materials
    • A43B13/188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9Resilient soles filled with a non-compressible fluid, e.g. gel,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43B13/40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with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1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provided with a pocket, e.g. for keys or a car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 A43B3/0078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provided with logos, letters, signatures or the like deco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신발류용 밑창 구조체는 상부면, 상부면 반대측의 저부면, 및 상부면과 저부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둘레면을 갖는 중창을 포함한다. 저부면은 둘레면에 제1 개구를 획정하는 리세스를 포함한다. 신발류용 밑창 구조체는 또한 리세스 내에 배치되고 제1 광택도 단위값(gloss unit value)을 갖는 제1 재료와, 제1 재료의 외면 상에 배치되고 제2 광택도 단위값을 갖는 제2 재료를 포함하는 인서트를 포함한다. 제2 재료는 제1 개구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Description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체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
본 PCT 국제출원은 2019년 9월 25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 16/581,840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미국 특허출원의 전체 내용은 참조에 의해 여기에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서트가 내부에 수용된 중창(midsole)을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이 섹션은 본 개시에 관한 배경기술 정보를 제공하며, 반드시 종래기술은 아니다.
신발류 물품은 통상적으로 갑피 및 밑창 구조체를 포함한다. 갑피는 밑창 구조체 상에 발을 수용,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해 임의의 적절한 재료(들)로 형성될 수 있다. 갑피는, 끈, 스트랩 또는 발 주위에서의 갑피의 맞음새를 조정하기 위해 다른 파스너와 협동할 수 있다. 발의 바닥면에 근접한 갑피의 저부는 밑창 구조체에 부착된다.
밑창 구조체는 일반적으로 지면과 갑피 사이에서 연장되는 층상형 구성을 포함한다. 밑창 구조체의 하나의 층은 지면에 대한 내마모성 및 정지마찰력을 제공하는 외창(outsole)을 포함한다. 외창은 고무 또는 지면과의 정지 마찰력을 증대시킬뿐만 아니라 내구성 및 내마모성을 부여하는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밑창 구조체의 다른 층은 외창과 갑피 사이에 배치되는 중창(midsole)을 포함한다. 중창은 발을 위한 완충 효과를 제공하고, 지면 반력을 감쇠시키는 것에 의해 발을 보호하기 위해 하중이 인가될 때에 탄성적으로 압축되는 폴리머 발포재로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창은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서 인서트(예컨대, 유체 충전 블래더 또는 발포 인서트)를 포함하여, 밑창 구조체의 내구성을 증가시키고 지면 반력을 줄이기 위해 인가된 하중 하에서 탄성 압축됨으로써 발에 완충을 제공할 수 있다. 밑창 구조체는 갑피의 저부 부분에 근접한 공간 내에 위치하는 편안함 증가 안창이나 깔창과, 갑피에 부착되고 중창과 안창이나 깔창 사이에 배치되는 스트로벨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인서트 채용 중창은 통상적으로 유사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인서트를 수용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 리세스를 포함한다. 인서트는 통상, 운동 동작 등 중에 인가된 하중 하에서 탄성 압축될 때에 굴곡되고 지지를 제공하는 발포재로 구성된다. 이에 관하여, 인서트는 통상 발에 대한 지지와 완충 특징 - 이 완충 특징은 인서트가 인가된 하중 하에서 탄성 압축될 때에 반응성을 제공함 - 의 균형을 맞추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도면은 단지 선택된 구성의 예시를 위한 것이지,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원리에 따른 신발류 물품의 측부 입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신발류 물품의 밑창 구조체의 저부 평면도이며,
도 3은 밑창 구조체의 종축에 대응하는 도 2의 선 3-3을 따라 취한 도 2의 밑창 구조체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밑창 구조체의 측방향 축에 대응하는 도 2의 선 4-4를 따라 취한 도 2의 밑창 구조체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신발류 물품의 중창의 저부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신발류 물품의 인서트의 분해 사시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인서트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개시의 원리에 따른 도 1의 신발류 물품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다른 인서트의 평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인서트의 측부 입면도이고,
도 10는 도 8의 인서트의 전방 입면도이다.
대응하는 참조부호는 도면 전반에 걸쳐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이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예시적인 구성을 보다 충분히 설명하겠다. 본 개시를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개시의 범위를 충분히 알려주기 위해, 예시적인 구성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구성에 관한 완벽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구성요소, 디바이스 및 방법에 관한 예와 같은 특정 상세가 기술된다. 특정 상세는 반드시 채용될 필요는 없으며, 예시적인 구성은 여러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특정 상세와 예시적인 구성이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별한 예시적인 구성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지, 제한하려는 의도는 없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복수 형태도 또한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될 수 있다. "구성하다", "구성된", "포함하는" 및 "갖는"이라는 용어는 포괄적인 것으로, 이에 따라 언급한 피쳐(feature), 완전체, 단계, 공정, 요소 및/또는 구성요소들의 존재를 특정하지만, 다른 피쳐, 완전체, 단계, 공정, 요소,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불가능하게 하지는 않는다. 여기에서 설명한 방법 단계, 프로세스 및 공정은, 수행 순서로서 구체적으로 확인되지 않는 한, 설명하거나 예시한 특정 순서로 반드시 수행되어야만 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추가의 또는 대안의 단계가 채용될 수 있다.
요소 또는 층은 다른 요소 또는 층 "상에" 있거나, 이들에 "체결되거나", 이들에 "연결되거나" 또는 "커플링된" 것으로 언급될 때, 다른 요소 또는 층 바로 위에 있거나, 이들에 직접 체결, 연결 또는 커플링될 수도 있고, 개재되는 요소 또는 층이 존재할 수도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요소가 다른 요소나 층 "바로 위에 있거나", 다른 요소나 층에 "직접 체결되거나", 다른 요소나 층에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다른 요소나 층에 "직접 커플링되는" 것으로 언급될 때, 개재되는 요소 또는 층이 존재할 수 없다.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다른 단어들도 동일한 방식(예컨대, "사이" 대 "사이에 직접", "인접" 대 "바로 인접" 등)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또는"은 관련하여 열거된 아이템 모두 또는 이들 아이템 중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여기에서 다양한 요소, 구성요소, 영역, 층 및/또는 섹션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요소, 구성요소, 영역, 층 및/또는 섹션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는 것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는 단지 요소, 구성요소, 영역, 층 및 섹션을 서로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될 수 있다. "제1", "제2" 및 다른 서수 용어는, 문맥상 명확히 나타내지 않는 한, 순차 또는 순서를 의미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아래에서 설명되는 제1 요소, 구성요소, 영역, 층 또는 섹션은 예시적인 구성의 교시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제2 요소, 구성요소,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 명명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양태는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체를 제공한다. 밑창 구조체는 상부면, 상부면 반대측의 저부면, 및 상부면과 저부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둘레면을 갖는 중창을 포함한다. 저부면은 둘레면에 제1 개구를 획정하는 리세스를 포함한다. 밑창 구조체는 또한 리세스 내에 배치되고 제1 광택도 단위값(gloss unit value)을 갖는 제1 재료와, 제1 재료의 외면 상에 배치되고 제2 광택도 단위값을 갖는 제2 재료를 포함하는 인서트를 포함한다. 제2 재료는 제1 개구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본 개시의 구현은 아래의 선택적 피쳐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제1 재료는 제2 재료를 통해 볼 수 있다. 제1 개구는 중창의 안쪽 측부(medial side)에 배치될 수 있다. 리세스는 둘레면에 제2 개구를 획정할 수 있고, 제2 재료는 제2 개구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개구는 중창의 안쪽 측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개구는 안쪽 측부 반대측에 있는 중창의 바깥 측부(lateral side)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예에서, 밑창 구조체는 중창이나 인서트 중 적어도 하나에 커플링되는 외창을 포함하고, 구멍을 획정하며, 제2 재료가 구멍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여기에서, 인서트는 구멍 내에 배치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재료는 돌출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구성에서, 인서트는 중심 부재 및 둘레 부재를 포함하고, 둘레 부재는 제1 개구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여기에서, 제2 재료는 둘레 부재 상에 배치된다. 몇몇 예에서, 제2 광택도 단위값은 제1 광택도 단위값보다 크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는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체를 제공한다. 밑창 구조체는 상부면, 상부면 반대측의 저부면, 및 상부면과 저부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둘레면을 갖는 중창을 포함한다. 중창은 (i) 상부면과 저부면 사이에 배치되고, (ii) 둘레면에 제1 개구를 획정하는 리세스를 포함한다. 밑창 구조체는 또한, 리세스 내에 배치되고 제1 광택도 단위값을 갖는 제1 재료와, 제1 재료의 외면 상에 배치되고 제2 광택도 단위값을 갖는 제2 재료를 포함하는 인서트를 포함한다. 제2 재료는 제1 개구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본 개시의 이 양태의 구현은 아래의 선택적 피쳐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구성에서, 제1 재료는 제2 재료를 통해 볼 수 있다. 제1 개구는 중창의 안쪽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리세스는 둘레면에 제2 개구를 획정할 수 있고, 제2 재료는 제2 개구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여기에서, 제1 개구는 중창의 안쪽 측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개구는 안쪽 측부 반대측에 있는 중창의 바깥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외창은 중창이나 인서트 중 적어도 하나에 커플링되고, 구멍을 획정하며, 제2 재료가 구멍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여기에서, 인서트는 구멍 내에 배치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재료는 돌출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예에서, 인서트는 중심 부재 및 둘레 부재를 포함하고, 둘레 부재는 제1 개구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여기에서, 제2 재료는 둘레 부재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2 광택도 단위값은 제1 광택도 단위값보다 크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 관한 세부사항은 첨부 도면 및 이하의 설명에서 기술된다. 다른 양태, 피쳐 및 장점이 설명 및 도면과 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신발류 물품(10)은 갑피(100)와, 밑창 구조체(200)를 포함한다. 신발류 물품(10)은 하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상기 영역들은 전족 영역(12), 중족 영역(14) 및 힐 영역(16)을 포함할 수 있다. 전족 영역(12)은 지골(phalange)에 대응하는 토우 부분(12T)과, 발의 중족골(metatarsal bone)에 연관된 볼 부분(12B)으로 세분될 수 있다. 중족 영역(14)은 발의 아치 영역에 대응할 수 있고, 힐 영역(16)은 종골(calcaneus bone)을 포함하는, 발의 후방 부분에 대응할 수 있다.
신발류(10)는 전족 영역(12)의 최전방 지점과 관련된 전방 단부(18)와 힐 영역(16)의 최후방 지점에 대응하는 후방 단부(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발류(10)의 종축(AF)은 신발류(10)의 길이를 따라 지면에 평행하게 전방 단부(18)에서 후방 단부(20)로 연장된다. 종축(AF)은 신발류(10) 길이를 따라 중심에 위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종축(AF)은 일반적으로 신발류(10)를 안쪽 측부(22)와 바깥 측부(24)로 분할한다. 따라서, 안쪽 측부(22)와 바깥 측부(24)는 각각 신발류(10)의 양측부에 대응하고, 영역(12, 14, 16)에 걸쳐 연장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종방향"이라는 용어는 전방 단부(18)에서 후방 단부(20)로 연장되는 방향을 말하며, "측방향"이라는 용어는 종방향을 가로질러 안쪽 측부(22)에서 바깥 측부(24)로 연장되는 방향을 말한다.
신발류 물품, 보다 구체적으로 밑창 구조체(200)는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둘레 영역(26)과 내부 영역(28)을 포함하는 것으로 더욱 설명된다. 둘레 영역(26)은 일반적으로 내부 영역(28)과 밑창 구조체(200)의 외주부 사이의 영역으로서 설명된다. 특히, 둘레 영역(26)은 안쪽 측부(22)와 바깥 측부(24)를 따라 전족 영역(12)에서 힐 영역(16)으로 연장되고, 전족 영역(12)와 힐 영역(16) 각각의 주위를 둘러싼다. 내부 영역(28)은 둘레 영역(26)으로 둘러싸이고, 밑창 구조체(200)의 중앙부를 따라 전족 영역(12)에서 힐 영역(16)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전족 영역(12), 중족 영역(14) 및 힐 영역(16)은 둘레 영역(26)과 내부 영역(28)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갑피(100)는, 발을 수용하고 밑창 구조체(200) 상에서 지지하도록 고정하게 구성되는 내부 공간(102)을 획정하는 내면(101)을 포함한다. 갑피(100)는 내부 공간(102)을 형성하도록 함께 스티칭되거나 접착제로 접합되는 하나 이상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갑피(100)에 적합한 재료로는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메시, 피륙, 발포체, 가죽 또는 합성 가죽을 들 수 있다. 재료는, 내구성, 통기성, 내마모성, 유연성 및 편안함의 속성을 부여하도록 선택되고 위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일부 예에서 갑피(100)는, 밑창 구조체(200)에 대향하는 저부면과, 내부 공간(102)의 풋베드(footbed)(106)를 획정하는 대향하는 상부면을 갖는 스트로벨(104)을 포함한다. 스티칭 또는 접착제가 갑피(100)에 스트로벨을 고정할 수 있다. 풋베드(106)는 발의 저부면(예컨대, 발바닥)의 프로파일을 따르도록 윤곽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갑피(100)는 스트로벨(104) 상에 배치될 수 있는 안창(108)이나 깔창과 같은 추가의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안창이나 깔창(108)은 신발류 물품(10)의 편안함을 증가시키기 위해 갑피(100)의 내부 공간(102) 내에 놓이고 발의 발바닥면을 수용하도록 위치 설정될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고하면, 힐 영역(16)에 있는 발목 개구(114)는 내부 공간(102)에 대한 접근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발목 개구(114)는 내부 공간(102) 내에 발을 고정하도록 발을 수용하고, 내부 공간(102)에 대한 발의 진입 및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몇몇 예에서, 하나의 이상의 파스너(110)가 갑피(100)를 따라 연장되어, 발 주위의 내부 공간(102)의 맞음새를 조정하고, 내부 공간에 대한 발의 진입 및 제거를 허용한다. 갑피(100)는 아이렛(eyelet)과 같은 구멍 및/또는 파스너(110)를 수용하는 직물 또는 메시 루프와 같은 다른 체결 피쳐를 포함할 수 있다. 파스너(110)는 끈, 스트랩, 코드, 후크 앤 루프(hook-and-loop)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타입의 파스너를 포함할 수 있다. 갑피(100)는 내부 공간(102)과 파스너(110) 사이에서 연장되는 설포부(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밑창 구조체(200)는 밑창 구조체(200)에 완충 특징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중창(202)과, 신발류 물품(10)의 지면 맞물림면(30)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외창 부재(204)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중창(202)은 지역적 완충 및 성능 특징을 제공하기 위해 복수 개의 하위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중창(202)은 주요 부재(206) 및 보조 부재나 인서트(208)를 포함할 수 있다. 중창(202)의 하위 구성요소(206, 208)들은, 예컨대 접착식 접합 및 결합을 비롯한 다양한 접합 방법을 이용하여 서로 조립되고 고정될 수 있다.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외창(204)은 중창(202)의 하위 구성요소(206, 208)에 오버몰딩될 수 있고, 따라서 중창(202)은 신발류(10)의 지면 맞물림면(30)의 프로파일을 획정한다.
도 5를 참고하면, 주요 부재(206)는 신발류(10)의 전방 단부(18)에 있는 제1 단부(212)에서 신발류의 후방 단부(20)에 있는 제2 단부(214)로 연장된다. 따라서, 주요 부재(206)는 신발류(10)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주요 부재(206)는 상부면(216)과 주요 부재(206)에 있어서 상부면(216) 반대측에 형성된 저부면(2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주요 부재(206)의 상부면(216)은 갑피(100)의 스트로벨(104)에 대향하도록 구성되고, 발의 형상에 대응하는 풋베드(106)의 프로파일을 획정하도록 윤곽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면(216)과 저부면(218) 사이의 거리가 주요 부재(206)의 두께(TFE)를 획정하며, 이 두께는 밑창 구조체(200)의 길이를 따라 변할 수 있다.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주요 부재(206)는 상부면(216)과 저부면(218) 사이에서 연장되는 둘레측면(220)을 더 포함한다. 둘레측면(220)은 일반적으로 밑창 구조체(200)의 외주부를 획정한다.
도 5를 참고하면, 주요 부재(206)는 인서트(208)를 수용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 리세스(226)를 포함할 수 있다. 리세스(226)는 밑창 구조체(200)의 전족 영역(12)에 형성될 수 있고, 전방 둘레측벽(232)과 후방 둘레측벽(233)에 의해 획정될 수 있다. 전방 둘레측벽(232)과 후방 둘레측벽(233)은 주요 부재(206)의 저부면(218)으로부터 상부면(216)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리세스(226)는 주요 부재(206)를 전방 세그먼트(228)와 후방 세그먼트(230)로 분리한다. 전방 세그먼트(228)는 리세스(226)와 밑창 구조체(200)의 전방 단부(18) 사이에서 연장되고, 후방 세그먼트(230)는 리세스(226)와 밑창 구조체(200)의 후방 단부(20) 사이에서 연장된다. 이에 관하여, 전방 둘레측벽(232)이 전방 세그먼트(228)의 전방 단부에 배치될 수 있고, 후방 둘레측벽(233)이 후방 세그먼트(230)의 전방 단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방 둘레측벽(232)은 일반적으로 후방 둘레측벽(233)과 대향하거나 마주한다.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몇몇 구현예에서 전방 둘레측벽(232)은 오목한 "U"자 형상을 획정하고, 후방 둘레측벽(233)은 볼록한 "U"자 형상을 획정한다. 그러나, 전방 둘레측벽(232)과 후방 둘레측벽(233)은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다른 형상(예컨대, 아치형, 사인곡선형, 지그재그형 등)을 획정할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 리세스(226)의 전방 둘레측벽(232)과 후방 둘레측벽(233)은 저부면(218)에서 상부면(216)으로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저부면(218)과 상부면(216) 사이에 배치된 중간면(234)에서 종결된다. 이에 따라,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저부면(218)에서 중간면(234)까지 측정된 리세스(226)의 깊이(DR)는 주요 부재(206)의 두께(TFE)를 부분적으로만 관통하여 연장된다. 여기에서, 주요 부재(206)의 전방 세그먼트(228)와 후방 세그먼트(230)는 중간면(234)과 상부면(216) 사이에 형성된 주요 부재(206)의 부분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주요 부재(206)는 전족 영역(12)에서 힐 영역(16)으로 연장되는 단일 구조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몇몇 예에서 전방 둘레측벽(232) 및 후방 둘레측벽(233)은 주요 부재(206)의 둘레측면(220)과 교차하여, 주요 부재(206)의 둘레측면(220)을 관통하여 리세스(226) 내로의 개구(235)를 획정한다. 도 5를 참고하면, 몇몇 예에서 리세스(226)는 인서트(208)를 수용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242)을 형성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리셉터클(242)의 프로파일은 리세스(226)의 전방 둘레측벽(232) 및 후방 둘레측벽(233)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인서트(208)의 외주 프로파일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 중간면(234)과 전방 둘레측벽(232) 및 후방 둘레측벽(233)이 인서트(208)에 맞물릴 수 있고, 이에 따라 각각의 리셉터클(242)이 실질적으로 인서트(208)로 채워진다.
도 1, 도 3, 도 4,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예시한 실시예에서 인서트(208)는 밑창 구조체(200)의 전족 영역(12)에 완충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멀티 구성요소로서 형성된다. 예컨대, 도 4, 도 6 및 도 7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인서트(208)는 중심 부재(236), 바깥쪽 둘레 부재(238) 및 안쪽 둘레 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중심 부재(236)와 바깥쪽 둘레 부재(238) 및 안쪽 둘레 부재(240)는, 예컨대 접착식 접합 및 결합을 비롯한 다양한 접합 방법을 이용하여 서로 조립되고 고정될 수 있다.
도 3, 도 4, 도 6 및 도 7에 예시한 바와 같이, 중심 부재(236)는 상부면(243), 중심 부재(236)에 있어서 상부면(243) 반대측에 형성된 저부면(244) 및 상부면(243)과 저부면(244) 사이에서 연장되는 둘레측면(24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둘레측면(246)은 일반적으로 중심 부재(236)의 외주부를 획정한다. 조립 구성에서, 중심 부재(236)의 상부면(243)은 주요 부재(206)의 중간면(234)에 대향할 수 있고(예컨대, 맞물릴 수 있고), 둘레측면(246)은 바깥쪽 둘레 부재(238) 및 안쪽 둘레 부재(240) 또는 리세스(226)를 획정하는 전방 둘레측벽(232) 및 후방 둘레측벽(233)에 대향할 수 있다(예컨대, 맞물릴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둘레측면(246)은 (i) 주요 부재(206)의 중간면(234) 또는 전방 둘레측벽(232)이나 후방 둘레측벽(233), 또는 (ii) 바깥쪽 둘레 부재(238)나 안쪽 둘레 부재(240)의 프로파일 또는 형상에 매칭되도록 윤곽 형성된다. 이에 관하여,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면과 둘레측면(243, 244, 246) 중 하나 이상은 복수 개의 로브(lobe)를 갖는 로브 형상을 포함하는 중심 부재(236)의 형상을 획정할 수 있다. 예컨대, 중심 부재(236)는 전방 로브(248), 바깥쪽 후방 로브(250) 및 안쪽 후방 로브(252)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 로브 각각은 표면(243, 244, 246) 중 하나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획정된다. 특히, 전방 로브(248), 바깥쪽 후방 로브(250) 및 안쪽 후방 로브(252)는 각각 둘레면(246)의 볼록한 "U"자 형상부에 의해 획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중심 부재(236)는 실질적으로 클로버 형상 구조를 획정한다.
도 2 및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중심 부재(236)의 저부면(244)은 돌출ㅂ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돌출부(253)는 저부면(244)의 부분(244-1)을 둘러싸는 둘레 립을 획정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저부면(244)의 부분(244-1)은 오목하다.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다시피, 조립 구성에서 저부면(244)의 부분(244-1)은 외창(204)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중심 부재(236)의 둘레면(246)은 중심 부재(236)의 일부 주위에서 연장되는 바깥쪽 둘레 홈(254) 및 안쪽 둘레 홈(25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바깥쪽 후방 로브(250)는 바깥쪽 둘레 홈(254)을 포함할 수 있고, 안쪽 후방 로브(252)는 안쪽 둘레 홈(25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바깥쪽 둘레 홈(254)은 한 쌍의 로브(248, 250, 252) 사이[예컨대, 바깥쪽 후방 로브(250)와 안쪽 후방 로브(252) 사이]에 배치된 제1 단부(258)에서 다른 쌍의 로브(248, 250 252) 사이[예컨대 바깥쪽 후방 로브(250)와 전방 로브(248) 사이]에 배치된 제2 단부(260)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안쪽 둘레 홈(256)은 한 쌍의 로브(248, 250, 252) 사이[예컨대, 바깥쪽 후방 로브(250)와 안쪽 후방 로브(252) 사이]에 배치된 제1 단부(264)에서 다른 쌍의 로브(248, 250 252) 사이[예컨대 안쪽 후방 로브(252)와 전방 로브(248) 사이]에 배치된 제2 단부(266)로 연장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예시한 바와 같이, 바깥쪽 둘레 홈(254)과 안쪽 둘레 홈(256) 각각의 제1 단부(258, 264)는 중심 부재(236)의 제1 외향 돌출부(268)에 의해 분리될 수 있고, 바깥쪽 둘레 홈(254)과 안쪽 둘레 홈(256) 각각의 제2 단부(260, 266)는 중심 부재(236)의 제2 외향 돌출부(270)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외향 돌출부(268)와 제2 외향 돌출부(270)에서, 상부면(243), 저부면(244) 또는 둘레면(246) 중 하나 이상이 상부면(243), 저부면(244) 또는 둘레면(246) 각각의 인접부에 대해 외향 연장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둘레 홈(254, 256)의 단면 형상은 바깥쪽 둘레 부재(238)와 안쪽 둘레 부재(240)의 외측 단면 형상에 대응(예컨대, 매칭)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바깥쪽 둘레 홈(254)과 안쪽 둘레 홈(256)이 중심 부재(236)의 상부면(243)에서 저부면(244)으로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저부면(244)과 상부면(243) 사이에 배치된 바깥쪽 중간면(272)과 안쪽 중간면(274) 각각에서 종결되고, 이에 따라 중심 부재(236)는 중심 부재(236)의 둘레면(246)과 중심부로부터 외향 연장되는 바깥쪽 플랜지(273)와 안쪽 플랜지(275)를 포함한다. 플랜지(273, 275)는 저부면(244)과 중간면(272, 274)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획정될 수 있다. 이에 관하여, 대응하는 둘레면(246)이 둘레 홈(254, 256)에서 중심 부재(236)의 두께의 일부만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바깥쪽 둘레 부재(238)의 크기, 형상 및 조립 구성은 안쪽 둘레 부재(240)의 크기, 형상 및 구성과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바깥쪽 둘레 부재(238) 및 안쪽 둘레 부재(240)의 유사한 피쳐를 기술하는 데 사용될 것이다. 둘레 부재(238, 240)는 각각 대향하는 내주면(276) 및 외주면(278)과, 대향하는 근위 단부(280) 및 원위 단부(282)를 포함할 수 있다. 내주면(276)과 외주면(278)은 근위 단부(280)에서 원위 단부(282)로 연장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외주면(278)은 근위 단부(280)와 원위 단부(282) 사이에서 연장되는 볼록한 프로파일을 획정한다. 예컨대, 외주면(278)의 프로파일은 중심 부재(236)의 둘레면(246)의 프로파일에 매칭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외측 둘레면(276)의 프로파일은 중심 부재(256)의 둘레면(246)의 프로파일에 매칭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중심 부재(236)와 바깥쪽 둘레 부재(238) 및 안쪽 둘레 부재(240)는 각각 적어도 부분적으로 폴리머 발포재로 형성된다. 예컨대, 중심 부재(236)는 제1 세트의 특성(예컨대, 밀도, 탄성계수, 강성계수, 강성 등)을 갖는 제1 폴리머 발포재로 구성될 수 있고, 바깥쪽 둘레 부재(238) 또는 안쪽 둘레 부재(240)는 제2 세트의 특성(예컨대, 밀도, 탄성계수, 강성계수, 강성 등)을 갖는 제2 폴리머 발포재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세트의 특성은 제1 특성의 세트와 다를 수 있고, 이에 따라 바깥쪽 둘레 부재(238)와 안쪽 둘레 부재(240)는 중심 부재(236) 및 바깥쪽 둘레 부재(238)와 안쪽 둘레 부재(240)에 힘이 인가될 시에 중심 부재(236)와 상이한 반응(예컨대, 휨, 전단, 압축 등)을 갖는다. 예컨대, 바깥쪽 둘레 부재(238)와 안쪽 둘레 부재(240)는 중심 부재(236)의 강성계수나 탄성계수보다 큰 강성계수나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고, 이에 의해 둘레 부재(238, 240)의 외주면(278)이나 중심 부재(236)의 상부면(243)에 인가되는 힘이 중심 부재(236)에 의해 감소되는 것과 둘레 부재(238, 240)에 의해 감소되는 것이 상이하다. 특히, 둘레 부재(238, 240)는 인가되는 힘을 받아 중심 부재(236)보다 덜 압축되어, 인서트(208) 전반에 걸친 다양한 힘의 분배 및 능동적인 완충, 안정성, 및 신발류(10)의 전방 달리기 동작 중에 지면 반력을 감소시키는 것에 의한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둘레 부재(238, 240) 및/또는 중심 부재(236)는 외주면(278), 상부면(243) 및/또는 저부면(244)의 적어도 일부에 재료(2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재료(284)는 외주면(278)과 저부면(244)[예컨대, 저부면(244)의 부분(244-1)] 상의 층으로서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재료(284)는 오버몰딩, 페인팅 또는 다른 적절한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외주면(278)과 저부면(244)에 적용될 수 있다. 재료(284)는 높은 광택 마감을 포함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높은 광택 마감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재료(284)는 바깥쪽 둘레 부재(238) 및 안쪽 둘레 부재(240)[예컨대, 표면(278)]의 광택도보다 큰 제1 광택도 단위값에 대응하는 광택도를 가질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재료(284)는 바깥쪽 둘레 부재(238) 및 안쪽 둘레 부재(240) 및/또는 중심 부재(236)가 재료(284)를 통해 보이도록 투명하거나 반투명하다. 대안으로서, 재료(284) 자체가 불투명한 고광택 마감을 형성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재료(284)와 바깥쪽 둘레 부재(238) 및 안쪽 둘레 부재(240)는 동일한 광택도 단위값을 가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밑창 구조체(200)가 조립될 때, 바깥쪽 둘레 부재(238) 및 안쪽 둘레 부재(240)는 둘레 홈(254, 256) 내에 각각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바깥쪽 둘레 부재(238) 및 안쪽 둘레 부재(240)의 내주면(276)은 중심 부재(236)의 둘레면(246)과 맞물리고, 근위 단부(280) 및 원위 단부(282)는 둘레 홈(254, 256)에 의해 획정된 대응하는 단부(258, 260, 264, 266)에 맞물린다. 인서트(208)는, 중심 부재(236)의 상부면(243)이 주요 부재(206)의 중간면(234)과 맞물리도록 리세스(226)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중심 부재(236)의 저부면(244)은, 바깥쪽 둘레 부재(238) 및 안쪽 둘레 부재(240)[예컨대, 재료(284)]가 노출되거나 주요 부재(206)의 개구(235) 내에서 보이도록 주요 부재(206)의 저부면(218)과 동일한 높이(예컨대, 동일 평면)일 수 있다. 특히, 도 5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시피 리셉터클(242)은 인서트(208)의 구성요소를 수용할 수 있다. 예컨대, 예시한 예에서 전방 로브(248)는 리셉터클(242) 중 제1 리셉터클 내에 배치될 수 있고, 바깥쪽 둘레 부재(238)를 포함하는 바깥쪽 후방 로브(250)는 리셉터클(242) 중 제2 리셉터클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안쪽 둘레 부재(240)를 포함하는 안쪽 후방 로브(252)는 리셉터클(242) 중 제3 리셉터클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둘레 부재(238, 240)와 중심 부재(236)는 밑창 구조체(200)에 국소화 완충 특징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둘레 부재(238, 240)의 종방향 위치는 전족 영역(12)의 볼 부분(12B)에 있는 발의 중족지절(MTP) 관절의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의 단면도를 참고하면, 밑창 구조체(200)가 조립될 때, 주요 부재(206)와 인서트(208)가 협동하여 지면 맞물림면(30)의 프로파일을 획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중창(202)은 지면 맞물림면(30)의 프로파일을 획정하는 것으로 언급될 수 있고, 외창(204)은 실제로 지면 맞물림면(30)을 형성한다. 예컨대, 지면 맞물림면(30)의 형상은 중창(202)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외창(204)은 중창(202) 상에 오버몰딩되어, 내마모성 및 정지마찰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외창(204)은 중창(202)과는 별도로 형성될 수 있고, 중창(202)에 접합될 수 있다. 외창(204)은 중창(202)의 다양한 구성요소(206, 208, 210)의 협동에 의해 획정되는 프로파일과 거의 유사한 프로파일을 갖는 지면 맞물림면(30)을 형성할 수 있다. 외창(204)은 주요 부재(206)의 저부면(218)과 인서트(208)이 저부면(244)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내면(299)을 갖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외창(204)의 외면(300)은 내면(299) 반대측에 형성될 수 있고, 밑창 구조체(200)의 지면 맞물림면(30)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외창(204)은 주요 부재(206)와 인서트(208) 각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몇몇 구현예에서 외창(204)은 구멍(302)을 포함한다. 구멍(302)은 내면(299)과 외면(300)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조립 구성에서, 인서트(208)의 돌출부(253)는, 저부면(244)의 부분(244-1)이 구멍(302)을 통해 노출되도록(예컨대, 볼 수 있도록) 구멍(30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인서트(208)의 완충 및 성능 특성이 지면 맞물림면(30)에 부여된다. 특히, 달리기 또는 점핑 동작 중에 전족의 밀어내기와 연관된 힘이 인서트(208)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더욱이, 중심 부재(236)의 강성계수나 탄성계수보다 일반적으로 높은 바깥쪽 둘레 부재(238) 및 안쪽 둘레 부재(240)의 강성계수나 탄성계수는, 바깥쪽 둘레 부재(238) 및 안쪽 둘레 부재(240)에 비교적 국소적인 강성 영역을 제공할 수 있고, 이는 측방 움직임 중에 뱅킹(banking)을 지원한다.
이제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신발류 물품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다른 인서트(208a)가 마련된다. 인서트(208)에 대한 인서트(208a)의 구조 및 기능의 실질적인 유사성의 관점에서, 이후 그리고 도면에서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유사한 참조부호가 사용되고, 수정된 구성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문자 확장자를 포함하는 유사한 참조부호가 사용된다.
예시한 바와 같이, 인서트(208a)는 밑창 구조체(200)의 전족 영역(12)에 완충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단일 구조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인서트(208a)는 모놀리식 구조를 갖는 중심 부재(236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중심 부재(236a)는 상부면(243a), 중심 부재(236a)에 있어서 상부면(243a) 반대측에 형성된 저부면(244a) 및 상부면(243a)과 저부면(244a) 사이에서 연장되는 둘레측면(246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둘레측면(246a)은 일반적으로 중심 부재(236a)의 외주부를 획정한다. 조립 구성에서, 중심 부재(236a)의 상부면(243a)은 주요 부재(206)의 중간면(234)에 대향할 수 있고(예컨대, 맞물릴 수 있고), 둘레측면(246a)은 리세스(226)를 획정하는 전방 둘레측벽(232) 및 후방 둘레측벽(233)에 대향할 수 있다(예컨대, 맞물릴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둘레측면(246a)은 주요 부재(206)의 중간면(234) 또는 전방 둘레측벽(232)이나 후방 둘레측벽(233)의 프로파일 또는 형상에 매칭되도록 윤곽 형성된다. 이에 관하여, 상부면, 저부면 및 둘레측면(243a, 244a, 246a) 중 하나 이상은 복수 개의 로브를 갖는 로브 형상을 포함하는 중심 부재(236a)의 형상을 획정할 수 있다. 예컨대, 중심 부재(236a)는 전방 로브(248a), 바깥쪽 후방 로브(250a) 및 안쪽 후방 로브(252a)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 로브 각각은 표면(243a, 244a, 246a) 중 하나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획정된다. 특히, 전방 로브(248a), 바깥쪽 후방 로브(250a) 및 안쪽 후방 로브(252a)는 각각 둘레면(246a)의 볼록한 "U"자 형상부에 의해 획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중심 부재(236a)는 실질적으로 클로버 형상 구조를 획정한다.
인서트(208a)는 상부면(243a), 저부면(244a) 및 둘레측면(246a)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재료(2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료(284)는 바깥쪽 후방 로브(250a)와 안쪽 후방 로브(252a)에 근접한 둘레측면(246a)의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재료(284)는 둘레측면(246a), 상부면(243a) 및 저부면(244a) 중 하나 이상에 층으로서 적용된다. 예컨대, 재료(284)는 오버몰딩, 페인팅 또는 다른 적절한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둘레측면(246a), 상부면(243a) 및/또는 저부면(244a)에 적용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재료(284)는 바깥쪽 후방 로브(250a)에서 제1 단부(280a)와 제2 단부(282a) 사이에서 연장되는 바깥쪽 둘레부(238a)와, 안쪽 후방 로브(252a)에서 제1 단부(280a)와 제2 단부(282a) 사이에서 연장되는 안쪽 둘레부(240a)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바깥쪽 둘레부(238a)와 안쪽 둘레부(240a)의 제2 단부(282a)는 중심 부재(236a)의 제1 부분(268a)에 의해 분리되고, 바깥쪽 둘레부(238a)와 안쪽 둘레부(240a)의 제1 단부(280a)는 각각 중심 부재(236a)의 제2 부분(270a)에 의해 분리된다. 몇몇 구현예에서, 재료(284)는 돌출부(253)와 저부면(244)의 대응부(244-1)를 포함하여 저부면(244) 상에 배치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재료(284)는 중심 부재(236a)의 전체 외면[예컨대, 상부면(243a), 저부면(244) 및 둘레측면(246a)]을 커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재료(284)는 높은 광택 마감을 포함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높은 광택 마감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재료(284)는 중심 부재(236a)[예컨대, 둘레측면(246a)]의 광택도보다 큰 제1 광택도 단위값에 대응하는 광택도를 가질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재료(284)는 재료(284)에 의해 커버된 중심 부재(236a)의 부분[예컨대, 바깥쪽 둘레부(238a) 및 안쪽 둘레부(240a)]이 재료(284)를 통해 보이도록 투명하거나 반투명하다. 대안으로서, 재료(284) 자체가 불투명한 고광택 마감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재료(284)와 바깥쪽 둘레부(238a) 및/또는 안쪽 둘레부(240a)는 동일한 광택도 단위값을 가질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중심 부재(236a)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폴리머 발포재로 형성된다. 예컨대, 중심 부재(236a)는 중심 재료(236)와 유사한 제1 세트의 특성(예컨대, 밀도, 탄성계수, 강성계수, 강성 등)을 갖는 제1 폴리머 발포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도 5 및 도 8을 참고하면, 밑창 구조체(200)가 조립될 때, 인서트(208a)는, 중심 부재(236a)의 상부면(243a)이 주요 부재(206)의 중간면(234)과 맞물리고, 바깥쪽 둘레부(238a) 및 안쪽 둘레부(240a)[예컨대, 재료(284)]가 주요 부재(206)의 개구(235) 내에서 노출되거나 볼 수 있도록 리세스(226)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도 5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시피 리셉터클(242)은 인서트(208a)의 구성요소를 수용할 수 있다. 예컨대, 예시한 예에서 전방 로브(248a)는 리셉터클(242)들 중 제1 리셉터클 내에 배치될 수 있고, 바깥쪽 둘레부(238a)를 포함하는 바깥쪽 후방 로브(250a)는 리셉터클(242)들 중 제2 리셉터클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안쪽 둘레부(240a)를 포함하는 안쪽 후방 로브(252a)는 리셉터클(242)들 중 제3 리셉터클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외창(204)의 내면(299)은 주요 부재(206)의 저부면(218)과 인서트(208a)의 저부면(244a)에 부착될 수 있다. 외창(204)의 외면(300)은 내면(299) 반대측에 형성될 수 있고, 밑창 구조체(200)의 지면 맞물림면(30)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외창(204)은 주요 부재(206)와 인서트(208a) 각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서트(208a)의 돌출부(253)는, 저부면(244a)의 부분(244a-1)이 구멍(302)을 통해 노출되도록(예컨대, 볼 수 있도록) 외창(204)의 구멍(30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둘레부(238a, 240a)와 중심 부재(236a)는 밑창 구조체(200)에 국소화 완충 특징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둘레부(238a, 240a)의 종방향 위치는 전족 영역(12)의 볼 부분(12B)에 있는 발의 중족지절(MTP) 관절의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아래의 항은 전술한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체를 위한 예시적인 구성을 제공한다.
항 1: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체로서, 상부면, 상부면 반대측의 저부면, 및 상부면과 저부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둘레면을 갖는 중창으로서, 저부면은 둘레면에 제1 개구를 획정하는 리세스를 포함하는 것인 중창 및 리세스 내에 배치되고 제1 광택도 단위값을 갖는 제1 재료와, 제1 재료의 외면 상에 배치되고 제2 광택도 단위값을 갖는 제2 재료를 포함하는 인서트를 포함하고, 제2 재료는 제1 개구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재료는 제2 재료를 통해 볼 수 있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 3: 제1항에 있어서, 제1 개구는 중창의 안쪽 측부에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 4: 제1항에 있어서, 리세스는 둘레면에 제2 개구를 획정하고, 제2 재료는 제2 개구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 5: 제4항에 있어서, 제1 개구는 중창의 안쪽 측부에 배치되고, 제2 개구는 안쪽 측부 반대측의 중창의 바깥 측부에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 6: 제1항에 있어서, 중창이나 인서트 중 적어도 하나에 커플링되고 구멍을 획정하는 외창을 더 포함하고, 제2 재료가 상기 구멍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 7: 제6항에 있어서, 인서트는 상기 구멍 내에 배치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 8: 제7항에 있어서, 제2 재료는 돌출부 상에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 9: 제1항에 있어서, 인서트는 중심 부재 및 둘레 부재를 포함하고, 둘레 부재는 제1 개구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 10: 제9항에 있어서, 제2 재료는 둘레 부재 상에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 11: 제1항에 있어서, 제2 광택도 단위값은 제1 광택도 단위값보다 큰 것인 밑창 구조체.
항 12: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체로서, 상부면, 상부면 반대측의 저부면, 및 상부면과 저부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둘레면을 갖는 중창으로서, (i) 상부면과 저부면 사이에 배치되고, (ii) 둘레면에 제1 개구를 획정하는 리세스를 포함하는 중창 및 리세스 내에 배치되고 제1 광택도 단위값을 갖는 제1 재료와, 제1 재료의 외면 상에 배치되고 제2 광택도 단위값을 갖는 제2 재료를 포함하는 인서트를 포함하고, 제2 재료는 제1 개구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 13: 제12항에 있어서, 제1 재료는 제2 재료를 통해 볼 수 있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 14: 제12항에 있어서, 제1 개구는 중창의 안쪽 측부에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 15: 제12항에 있어서, 리세스는 둘레면에 제2 개구를 획정하고, 제2 재료는 제2 개구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 16: 제15항에 있어서, 제1 개구는 중창의 안쪽 측부에 배치되고, 제2 개구는 안쪽 측부 반대측의 중창의 바깥 측부에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 17: 제12항에 있어서, 중창이나 인서트 중 적어도 하나에 커플링되고 구멍을 획정하는 외창을 더 포함하고, 제2 재료가 상기 구멍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 18: 제17항에 있어서, 인서트는 상기 구멍 내에 배치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 19: 제18항에 있어서, 제2 재료는 돌출부 상에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 20: 제12항에 있어서, 인서트는 중심 부재 및 둘레 부재를 포함하고, 둘레 부재는 제1 개구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 21: 제20항에 있어서, 제2 재료는 둘레 부재 상에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항 22: 제12항에 있어서, 제2 광택도 단위값은 제1 광택도 단위값보다 큰 것인 밑창 구조체.
전술한 설명은 예시와 설명을 목적으로 제공되었다. 전술한 설명은 본 개시를 총망라하거나 본 개시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특정 구성의 개별 요소 또는 피쳐는 일반적으로 특별한 구성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적용 가능하다면 상호 교환 가능하고,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지 않더라도 선택된 구성에서 사용될 수 있다. 특정 구성의 개별 요소 또는 피쳐는 또한 여러 방식으로 변할 수 있다. 그러한 변형은 본 개시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으며, 그러한 수정 모두는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2)

  1.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체로서,
    상부면, 상부면 반대측의 저부면, 및 상부면과 저부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둘레면을 갖는 중창(midsole)으로서, 저부면은 둘레면에 제1 개구를 획정하는 리세스를 포함하는 것인 중창; 및
    리세스 내에 배치되고 제1 광택도 단위값(gloss unit value)을 갖는 제1 재료와, 제1 재료의 외면 상에 배치되고 제2 광택도 단위값을 갖는 제2 재료를 포함하는 인서트
    를 포함하고, 제2 재료는 제1 개구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재료는 제2 재료를 통해 볼 수 있는 것인 밑창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제1 개구는 중창의 안쪽 측부(medial side)에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리세스는 둘레면에 제2 개구를 획정하고, 제2 재료는 제2 개구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제1 개구는 중창의 안쪽 측부에 배치되고, 제2 개구는 안쪽 측부 반대측의 중창의 바깥 측부(lateral side)에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6. 제1항에 있어서, 중창이나 인서트 중 적어도 하나에 커플링되고 구멍을 획정하는 외창(outsole)을 더 포함하고, 제2 재료가 상기 구멍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7. 제6항에 있어서, 인서트는 상기 구멍 내에 배치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8. 제7항에 있어서, 제2 재료는 돌출부 상에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9. 제1항에 있어서, 인서트는 중심 부재 및 둘레 부재를 포함하고, 둘레 부재는 제1 개구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10. 제9항에 있어서, 제2 재료는 둘레 부재 상에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11. 제1항에 있어서, 제2 광택도 단위값은 제1 광택도 단위값보다 큰 것인 밑창 구조체.
  12.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체로서,
    상부면, 상부면 반대측의 저부면, 및 상부면과 저부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둘레면을 갖는 중창으로서, (i) 상부면과 저부면 사이에 배치되고, (ii) 둘레면에 제1 개구를 획정하는 리세스를 포함하는 중창; 및
    리세스 내에 배치되고 제1 광택도 단위값을 갖는 제1 재료와, 제1 재료의 외면 상에 배치되고 제2 광택도 단위값을 갖는 제2 재료를 포함하는 인서트
    를 포함하고, 제2 재료는 제1 개구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제1 재료는 제2 재료를 통해 볼 수 있는 것인 밑창 구조체.
  14. 제12항에 있어서, 제1 개구는 중창의 안쪽 측부에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15. 제12항에 있어서, 리세스는 둘레면에 제2 개구를 획정하고, 제2 재료는 제2 개구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제1 개구는 중창의 안쪽 측부에 배치되고, 제2 개구는 안쪽 측부 반대측의 중창의 바깥 측부에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17. 제12항에 있어서, 중창이나 인서트 중 적어도 하나에 커플링되고 구멍을 획정하는 외창을 더 포함하고, 제2 재료가 상기 구멍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인서트는 상기 구멍 내에 배치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제2 재료는 돌출부 상에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20. 제12항에 있어서, 인서트는 중심 부재 및 둘레 부재를 포함하고, 둘레 부재는 제1 개구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21. 제20항에 있어서, 제2 재료는 둘레 부재 상에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22. 제12항에 있어서, 제2 광택도 단위값은 제1 광택도 단위값보다 큰 것인 밑창 구조체.
KR1020227013224A 2019-09-25 2020-09-24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체 Active KR1027159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581,840 2019-09-25
US16/581,840 US11291271B2 (en) 2019-09-25 2019-09-25 Sole structure for an article of footwear
PCT/US2020/052357 WO2021061883A1 (en) 2019-09-25 2020-09-24 Sole structure for an article of footwe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2414A true KR20220062414A (ko) 2022-05-16
KR102715963B1 KR102715963B1 (ko) 2024-10-11

Family

ID=72811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3224A Active KR102715963B1 (ko) 2019-09-25 2020-09-24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291271B2 (ko)
EP (1) EP4033930A1 (ko)
KR (1) KR102715963B1 (ko)
CN (2) CN119366729A (ko)
WO (1) WO20210618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91271B2 (en) * 2019-09-25 2022-04-05 Nike, Inc. Sole structure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D964717S1 (en) * 2020-09-11 2022-09-27 Saucony, Inc. Footwear sole
USD936945S1 (en) * 2020-09-30 2021-11-30 Nike, Inc. Shoe
USD935150S1 (en) * 2020-09-30 2021-11-09 Nike, Inc. Shoe
USD934546S1 (en) * 2020-09-30 2021-11-02 Nike, Inc. Shoe
USD999495S1 (en) * 2020-09-30 2023-09-26 Nike, Inc. Shoe
USD935152S1 (en) * 2020-12-22 2021-11-09 Nike, Inc. Shoe
USD974720S1 (en) * 2020-12-22 2023-01-10 Nike, Inc. Shoe
USD934541S1 (en) * 2020-12-22 2021-11-02 Nike, Inc. Shoe
USD934545S1 (en) * 2020-12-22 2021-11-02 Nike, Inc. Shoe
USD942747S1 (en) * 2021-03-03 2022-02-08 Nike, Inc. Shoe
USD1029469S1 (en) 2021-03-24 2024-06-04 Nike, Inc. Shoe
USD949533S1 (en) * 2021-06-09 2022-04-26 Nike, Inc. Shoe
USD972822S1 (en) * 2021-09-30 2022-12-20 Nike, Inc. Shoe
USD998305S1 (en) 2022-12-02 2023-09-12 Nike, Inc. Sho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45192A1 (en) * 2002-09-06 2004-03-11 Lin Li Chieh Air bladder device having pattern changing mechanism
US20140259749A1 (en) * 2013-03-15 2014-09-18 Nike, Inc. Fluid-Filled Chamber With A Tensile Element
WO2016164551A1 (en) 2015-04-08 2016-10-13 Nike Innovate C.V. Method of manufacturing a bladder element with an etched feature and article having a bladder element with an etched feature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4188A (en) 1980-10-06 1982-12-21 Wolverine World Wide, Inc. Running shoe with rear stabilization means
JPS6036081Y2 (ja) 1982-06-26 1985-10-26 美津濃株式会社 靴の中敷
JPS59103605U (ja) 1982-12-28 1984-07-12 美津濃株式会社 運動靴の靴底
FR2553636B1 (fr) 1983-10-21 1986-04-25 Adidas Chaussures Semelle intermediaire et chaussure comportant une telle semelle intermediaire
US4667423A (en) 1985-05-28 1987-05-26 Autry Industries, Inc. Resilient composite midsole and method of making
IT1226514B (it) * 1989-05-24 1991-01-24 Fila Sport Calzatura sportiva incorporante, nel tallone, un inserto elastico.
CA2014256A1 (en) 1990-04-10 1991-10-10 Graeme K. Lydiard Interchangeable inserts for the midsole of shoes
US5155927A (en) * 1991-02-20 1992-10-20 Asics Corporation Shoe comprising liquid cushioning element
US5220737A (en) * 1991-09-27 1993-06-22 Converse Inc. Shoe sole having improved lateral and medial stability
JP2651434B2 (ja) * 1991-09-27 1997-09-10 コンバー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クッション作用・安定化装置
TW234081B (ko) * 1993-02-04 1994-11-11 Converse Inc
TW286269B (ko) * 1994-11-28 1996-09-21 Marion Frank Rudy
US5718063A (en) * 1995-07-17 1998-02-17 Asics Corporation Midsole cushioning system
US5704137A (en) * 1995-12-22 1998-01-06 Brooks Sports, Inc. Shoe having hydrodynamic pad
US5930918A (en) * 1997-11-18 1999-08-03 Converse Inc. Shoe with dual cushioning component
US5993585A (en) * 1998-01-09 1999-11-30 Nike, Inc. Resilient bladder for use in footwear and method of making the bladder
US20020121031A1 (en) * 1998-01-30 2002-09-05 Steven Smith 2a improvements
US6038790A (en) * 1998-02-26 2000-03-21 Nine West Group, Inc. Flexible sole with cushioned ball and/or heel regions
FR2819385B1 (fr) * 2001-01-12 2004-01-09 Salomon Sa Semelle intermediaire et chaussure equipee d'une telle semelle
US7000334B2 (en) * 2001-02-16 2006-02-21 Srl, Inc. Shoe outsole
US20050167029A1 (en) * 2001-11-26 2005-08-04 Nike, Inc. Method of thermoforming a fluid-filled bladder
US7426792B2 (en) 2002-05-09 2008-09-23 Nike, Inc. Footwear sole component with an insert
US7707745B2 (en) 2003-07-16 2010-05-04 Nike, Inc. Footwear with a sole structure incorporating a lobed fluid-filled chamber
US7707744B2 (en) 2003-07-16 2010-05-04 Nike, Inc. Footwear with a sole structure incorporating a lobed fluid-filled chamber
US7000335B2 (en) 2003-07-16 2006-02-21 Nike, Inc. Footwear with a sole structure incorporating a lobed fluid-filled chamber
US7490416B2 (en) 2004-01-26 2009-02-17 Townsend Herbert E Shoe with cushioning and speed enhancement midsole components and method for construction thereof
US7200955B2 (en) 2004-06-04 2007-04-10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sole structure with compressible inserts
US7802378B2 (en) * 2005-02-14 2010-09-28 New Balance Athletic Shoe, Inc. Insert for article of footwea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insert
ITTO20050427A1 (it) * 2005-06-16 2006-12-17 Diadora Invicta S P A Calzatura con sistema di stabilizzazione regolabile, particolarmente per il controllo della pronazione e/o supinazione
US7444767B2 (en) 2005-11-15 2008-11-04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midsole having higher density peripheral portion
EP1962636B8 (en) * 2005-12-23 2017-07-26 Polyworks, Inc. Method of making polymeric articles
KR100807642B1 (ko) 2007-05-09 2008-02-28 한성수 신발 중창 및 그 제조방법
US7841108B2 (en) * 2007-05-29 2010-11-30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visible indicia
US8572867B2 (en) * 2008-01-16 2013-11-05 Nike, Inc. Fluid-filled chamber with a reinforcing element
US9044067B2 (en) * 2008-11-14 2015-06-02 Convers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shock-absorbing elements in the sole
US8196316B2 (en) 2009-01-26 2012-06-12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two part midsole assembly
US8479412B2 (en) * 2009-12-03 2013-07-09 Nike, Inc. Tethered fluid-filled chambers
US8702895B2 (en) * 2010-04-07 2014-04-22 Nike, Inc. Cushioning elements for apparel and other product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cushioning elements
US9038285B2 (en) * 2010-12-10 2015-05-26 Converse Inc. Footwear sole with midsole protrusions
JP5688168B2 (ja) 2011-03-18 2015-03-25 コロンビア スポーツウエア ノース アメリ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高安定性複数密度ミッドソール
US9009991B2 (en) 2011-06-23 2015-04-21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 cavity viewing system
US9491984B2 (en) * 2011-12-23 2016-11-15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elevated plate sole structure
US10856612B2 (en) * 2012-09-20 2020-12-08 Nike, Inc. Sole structures and articles of footwear having plate moderated fluid-filled bladders and/or foam type impact force attenuation members
CN103005781B (zh) 2012-12-20 2015-07-08 茂泰(福建)鞋材有限公司 可置换减震片的鞋底
US10212988B2 (en) * 2015-12-01 2019-02-26 Nike, Inc. Articles of footwear and sole structures for articles of footwear
US12171300B2 (en) * 2019-03-28 2024-12-24 Nike, Inc. Sole structure of an article of footwear
US11291271B2 (en) * 2019-09-25 2022-04-05 Nike, Inc. Sole structure for an article of footwea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45192A1 (en) * 2002-09-06 2004-03-11 Lin Li Chieh Air bladder device having pattern changing mechanism
US20140259749A1 (en) * 2013-03-15 2014-09-18 Nike, Inc. Fluid-Filled Chamber With A Tensile Element
WO2016164551A1 (en) 2015-04-08 2016-10-13 Nike Innovate C.V. Method of manufacturing a bladder element with an etched feature and article having a bladder element with an etched feature
EP3280284B1 (en) * 2015-04-08 2020-07-29 Nike Innovate C.V. Method of manufacturing a bladder element with an etched feature and article having a bladder element with an etched fea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33930A1 (en) 2022-08-03
US11291271B2 (en) 2022-04-05
US20240138519A1 (en) 2024-05-02
US20220211145A1 (en) 2022-07-07
CN119366729A (zh) 2025-01-28
KR102715963B1 (ko) 2024-10-11
WO2021061883A1 (en) 2021-04-01
US11889892B2 (en) 2024-02-06
CN114521115B (zh) 2024-12-31
CN114521115A (zh) 2022-05-20
US20210085028A1 (en) 2021-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15963B1 (ko)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체
US20240206590A1 (en)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US11844398B2 (en)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particulate matter
US11963575B2 (en)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US11266203B2 (en) Footwear construction
US20230225453A1 (en) Cushioning member for article of footwear
US12225971B2 (en) Article with sole structure having multiple components
JP6386491B2 (ja) 履物物品およびソール組立体
EP1857004A1 (en) Footwear construction
CN114080168A (zh) 带有嵌入式板的鞋类鞋底结构和鞋面
US11272760B2 (en) Sole structure including cantilevered outsole elements
WO2022241468A1 (en) Sole structures and articles of footwear having separate and separable outsole and midsole components
US20230346069A1 (en) Article of footwear including a heel stabilizing element
US20230329394A1 (en) Sole structure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12262787B2 (en) Sole structure for an article of footwe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42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0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