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062217A - Method of Tracking Origin of Product Based on Blockchain - Google Patents

Method of Tracking Origin of Product Based on Blockcha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2217A
KR20220062217A KR1020200148170A KR20200148170A KR20220062217A KR 20220062217 A KR20220062217 A KR 20220062217A KR 1020200148170 A KR1020200148170 A KR 1020200148170A KR 20200148170 A KR20200148170 A KR 20200148170A KR 20220062217 A KR20220062217 A KR 20220062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code
origin
code
fabric
link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81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수범
Original Assignee
박수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수범 filed Critical 박수범
Priority to KR1020200148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2217A/en
Publication of KR20220062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2217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블록체인 기반의 원산지 추적 방법은, 원자재, 적어도 중간 제품, 및 최종 제품을 생산하는 각 공장에 고유한 ID를 부여하여 스마트 계약서를 생성하는 단계, 원자재의 원산지 관련 정보를 파악하고 현지 생산을 확인하여 원자재 공장에 관련된 스마트 계약서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중간 제품의 원산지 관련 정보를 파악하고 현지 생산을 확인하여 중간 제품 공장에 관련된 스마트 계약서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최종 제품의 원산지 관련 정보를 파악하고 현지 생산을 확인하여 최종 제품 공장에 관련된 스마트 계약서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소비자가 무선 통신을 통해 액세스 가능한 사이트에 스마트 계약서를 공개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스마트 계약서는 블록체인에 기반을 두며, 블록체인은 원자재 시험/검사 기관, 중간 제품 시험/검사 기관, 제품 인증 기관, 및 정부 또는 등록 기관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참여자로 한다.The blockchain-based origin tracking method creates a smart contract by assigning a unique ID to each factory that produces raw materials, at least intermediate products, and final products. Updating the smart contract related to the raw material factory, determining the origin-related information of the intermediate product and verifying the local production to update the smart contract related to the intermediate product factory, determining the origin-related information of the final product and verifying the local production updating the smart contract related to the final product factory, and publishing the smart contract on a site accessible by the consumer via wireless communication. A smart contract is based on a blockchain, where the blockchain has at least two participants: a raw material testing/inspection institution, an intermediate product testing/inspection institution, a product certification body, and a government or registrar.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의 제품 원산지 추적 방법{Method of Tracking Origin of Product Based on Blockchain}Method of Tracking Origin of Product Based on Blockchain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제품 원산지 추적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chain-based product origin tracking method.

원자재, 중간 제품, 그리고 최종 제품(완제품)으로 제조가 이루어지는 제품의 경우 원자재를 생산하는 국가와 중간 제품 및 최종 제품의 적어도 하나를 생산하는 국가가 다른 경우가 있다.In the case of products manufactured from raw materials, intermediate products, and final products (finished products), the country producing the raw material may be different from the country producing at least one of the intermediate product and the final product.

이 경우, 국가간 FTA 원산지 누적 기준 조항을 적용하여 제품에 대한 산지를 표기하거나 완제품의 가치에서 생산 가치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국가를 제품에 대한 원산지로 표기하기도 한다.In this case, the country of origin for the product is indicated by applying the provisions of the cross-border FTA on the accumulation of origin, or the country where the production value accounts for a high proportion of the value of the finished product is indicated as the origin of the product.

단, 이러한 원산지 표기는 수입 과정에서의 특혜 세율을 위한 것으로, 소비자의 입장에서 보면 어느 나라에서 원자재가 생산되었고 어느 나라에서 중간 제품이 생산되었으며 최종적으로 어느 나라에서 완제품이 제조되었는가에 대한 관심이 더 크다고 볼 수 있다.However, this country of origin mark is for preferential tax rates in the import process, and from the consumer's point of view, more attention is paid to which country the raw materials were produced in, in which country the intermediate products were produced, and finally in which country the finished products were manufactured. can be seen as large.

즉, 타국에서 제조된 제품을 국내에서 제조한 것처럼 라벨을 붙여서 판매하는 것은 시장에 범람하고 있는 가짜 국내 제품의 물결을 만들고 있기에, 소비자가 적절한 추적 시스템을 통해 제품의 출처를 확인하고 그 제품이 실제로 국내에서 제조된 정품인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In other words, selling products manufactured in other countries with labels as if they were made domestically is creating a wave of fake domestic products flooding the market, so consumers can verify the source of the product through an appropriate tracking system and ensure that the product is actually It is necessary to check whether the product is genuine and manufactured in Korea.

이것은 제품의 생산 및 판매에 있어서 최종적으로 소비자가 신뢰할 수 있는 시장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것으로, 원자재에서 최종 제품까지의 신뢰할 수 있는 원산지 표시 및 추적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특허문헌 1 참조).This is to create a market environment that consumers can ultimately trust in the production and sale of products, and requires a reliable origin indication and tracking system from raw materials to final products (see Patent Document 1).

의류 업계의 경우 대부분의 브랜드가 직접 제조 공장을 운영하고 있지 않으며, 각각의 생산 공정마다 브랜드의 생산 지시를 받아 생산을 진행하는 하청업체가 존재한다.In the apparel industry, most brands do not directly operate manufacturing plants, and there are subcontractors that carry out production under the brand's production instructions for each production process.

즉, 중앙 기관이 생산부터 판매까지의 전체 과정을 총괄하는 것이 아니라 각 단계의 생산 주체가 각자의 기준에 따라 생산 및 제어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중앙 제어의 부재로 인해 각 단계의 생산 참여자에 의존하여 환경과 윤리가 반영된 생산이 이루어지며, 결과적으로 중앙 기관이 통제하지 못함에 따라 각 단계의 생산 주체는 불투명하거나 불공정한 생산을 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In other words, the central agency does not oversee the entire process from production to sales, but the production entity at each stage carries out production and control according to their own standards. As such, due to the absence of central control, production that reflects the environment and ethics is made depending on the production participants at each stage. There is a possibility.

따라서, 의류 제조에 필요한 원단 생산 업체, 부자재 생산 업체, 원단 가공 업체, 봉제 업체, 및 판매 업체 각각에 대해 신뢰할 수 있는 원산지 표시 및 추적 시스템이 요구된다.Therefore, a reliable origin indication and tracking system is required for each of the fabric producers, subsidiary material producers, fabric processing companies, sewing companies, and sellers required for garment manufacturing.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2013527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Publication No. 10-2013527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하나의 기술적 과제는, 원자재, 중간 제품, 및 최종 제품으로 제조되는 제품에 대해 소비자가 원자재에서 최종 제품까지의 출처를 확인하고 해당 제품이 정품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원산지 추적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on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consumers check the source from raw materials to final products for products manufactured from raw materials, intermediate products, and final products, and The goal is to provide a blockchain-based origin tracking method that can confirm whether the product is genuine.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o be solved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원자재, 중간 제품, 부자재, 및 최종 제품을 생산하는 각 공장에 고유한 ID를 부여하여 스마트 계약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원자재의 원산지 관련 정보를 파악하고 현지 생산을 확인하여 원자재 공장에 관련된 상기 스마트 계약서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중간 제품의 원산지 관련 정보를 파악하고 현지 생산을 확인하여 중간 제품 공장에 관련된 상기 스마트 계약서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부자재의 원산지 관련 정보를 파악하고 현지 생산을 확인하여 부자재 공장에 관련된 상기 스마트 계약서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최종 제품의 원산지 관련 정보를 파악하고 현지 생산을 확인하여 최종 제품 공장에 관련된 상기 스마트 계약서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소비자가 무선 통신을 통해 액세스 가능한 사이트에 상기 스마트 계약서를 공개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스마트 계약서는 블록체인에 기반을 두며, 상기 블록체인은 원자재 시험/검사 기관, 중간 제품 시험/검사 기관, 부자재 시험/검사 기관, 제품 인증 기관, 및 정부 또는 등록 기관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참여자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원산지 추적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ing a smart contract by assigning a unique ID to each factory that produces raw materials, intermediate products, subsidiary materials, and final products; Updating the smart contract related to the raw material factory by confirming the production, updating the smart contract related to the intermediate product factory by identifying the origin-related information of the intermediate product and confirming the local production, the country of origin related information of the subsidiary material updating the smart contract related to the subsidiary material factory by identifying and checking local production; Publishing the smart contract on a site accessibl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herein the smart contract is based on a block chain, wherein the block chain is a raw material testing/inspection institution, intermediate product testing/inspection institution, subsidiary material test /Provides a blockchain-based origin tracking method with at least two participants: an inspection body, a product certification body, and a government or registration authority.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기반의 원산지 추적 방법은, 상기 원자재의 생산 시에 생산된 원자재의 패키지에 상기 스마트 계약서에 링크된 제1 식별 코드를 부착 또는 표기하는 단계, 상기 중간 제품의 생산 시에 생산된 중간 제품의 패키지에 상기 스마트 계약서에 링크된 제2 식별 코드를 부착 또는 표기하는 단계, 상기 부자재의 생산 시에 생산된 부자재의 패키지에 상기 스마트 계약서에 링크된 제3 식별 코드를 부착 또는 표기하는 단계, 및 상기 최종 제품의 생산 시에 생산된 최종 제품의 패키지에 상기 스마트 계약서에 링크된 제4 식별 코드를 부착 또는 표기하는 단계를 더 구비한다.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 chain-based origin tracking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attaching or marking a first identification code linked to the smart contract to a package of raw materials produced at the time of production of the raw materials; attaching or marking a second identification code linked to the smart contract on the package of the intermediate product produced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intermediate product; 3 Attaching or marking the identification code, and attaching or marking the fourth identification code linked to the smart contract on the package of the final product produced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final product.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 코드는 상기 제2 식별 코드에 1:n(n=1 to m, m은 자연수) 또는 n:1로 연동되고, 상기 제2 식별 코드는 상기 제4 식별 코드에 1:n 또는 n:1로 연동된다.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identification code is linked to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in a ratio of 1:n (n=1 to m, m is a natural number) or n:1,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is linked to the fourth identification code by 1:n or n:1.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 코드는 적어도 상기 원자재의 원산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식별 코드는 적어도 상기 중간 제품의 원산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식별 코드는 적어도 상기 최종 제품의 원산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식별 코드는 적어도 상기 제1 식별 코드의 원산지 정보와 연동되고, 상기 제4 식별 코드는 적어도 상기 제2 식별 코드의 원산지 정보와 연동된다.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identification code includes at least the origin information of the raw material,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includes at least the origin information of the intermediate product, and the fourth identification code includes: at least the country of origin information of the final product,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is linked with at least the country of origin information of the first identification code, and the fourth identification code is linked with at least the country of origin information of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 코드 및 상기 제3 식별 코드는 각각 상기 제2 식별 코드에 1:n(n=1 to m, m은 자연수) 또는 n:1로 연동되고, 상기 제2 식별 코드는 상기 제4 식별 코드에 1:n 또는 n:1로 연동된다.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identification code and the third identification code are linked to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in 1:n (n=1 to m, m is a natural number) or n:1, respectively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is linked to the fourth identification code in a 1:n or n:1 ratio.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 코드는 적어도 상기 원자재의 원산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식별 코드는 적어도 상기 중간 제품의 원산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식별 코드는 적어도 상기 부자재의 원산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식별 코드는 적어도 상기 최종 제품의 원산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식별 코드는 적어도 상기 제1 식별 코드의 원산지 정보 및 상기 제3 식별 코드의 원산지 정보와 연동되고, 상기 제4 식별 코드는 적어도 상기 제2 식별 코드의 원산지 정보와 연동된다.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identification code includes at least the origin information of the raw material,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includes at least the origin information of the intermediate product, and the third identification code includes: at least the origin information of the auxiliary material, the fourth identification code includes at least the origin information of the final product,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includes at least the origin information of the first identification code and the origin of the third identification code. information, and the fourth identification code is linked with at least the origin information of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 코드는 적어도 상기 원자재의 원산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식별 코드는 적어도 상기 중간 제품의 원산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식별 코드는 적어도 상기 부자재의 원산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식별 코드는 적어도 상기 최종 제품의 원산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식별 코드는 적어도 상기 제1 식별 코드의 원산지 정보와 연동되고, 상기 제4 식별 코드는 적어도 상기 제2 식별 코드의 원산지 정보 및 상기 제3 식별 코드의 원산지 정보와 연동된다.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identification code includes at least the origin information of the raw material,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includes at least the origin information of the intermediate product, and the third identification code includes: at least including country of origin information of the auxiliary material, the fourth identification code includes at least country of origin information of the final product,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is linked with at least the country of origin information of the first identification code, and the fourth identification code The code is linked with at least the origin information of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and the origin information of the third identification code.

본 명세서에서 각각의 실시예는 독립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각각의 실시예는 상호 조합이 가능하며 조합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each embodiment is independently described, but each embodiment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the combined embodiment is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요약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어떠한 방식으로도 제한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설명적 양태, 실시예 및 특징에 덧붙여 추가의 양태, 실시예 및 특징이 도면 및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The above summary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in any way. In addition to the descriptive aspects, embodiments and features described above, further aspects, embodiments and features will become apparent by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원자재, 중간 제품, 및 최종 제품으로 제조되는 제품에 대해 소비자가 원자재에서 최종 제품까지의 출처를 확인하고 해당 제품이 정품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원산지 추적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products manufactured from raw materials, intermediate products, and final products, a blockchain-based system that allows consumers to check the source from raw materials to final products and to confirm whether the products are genuine.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method of tracing the origin.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제품 원산지 추적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제품 원산지 추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제품 원산지 추적 시스템에서 식별 코드로 QR 코드를 사용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에서 도 9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제품 원산지 추적 시스템에서 각 단계의 QR 코드의 연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blockchain-based product origin tracking system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block chain-based product origin tracking method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using a QR code as an identification code in a blockchain-based product origin tracking system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9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the interlocking relationship of QR codes in each step in the blockchain-based product origin tracking system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제품 원산지 추적 시스템(100)의 개념도이다. 도 1에서는 의류 원산지 추적을 예로 도시한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blockchain-based product origin tracking system 100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shows an example of tracking the origin of clothin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 생산 업체(110)는 특정 지역에서 생산된 섬유 원재료(예를 들어, 면화)를 사용하여 원단을 제조하여 원단 가공 업체(115)로 공급한다. 원단을 공급받은 원단 가공 업체(115)는 원단에 필요한 가공을 수행한다.As shown in FIG. 1 , the fabric producer 110 manufactures a fabric using raw materials for textiles (eg, cotton) produced in a specific region and supplies it to the fabric processor 115 . The fabric processing company 115 supplied with the fabric performs necessary processing on the fabric.

원단 시험/검사 기관(120)은 원단 가공 업체(115)가 가공한 원단을 검사하여 원단의 스펙 및 품질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원단 시험/검사 기관(120)이 제공하는 원단의 스펙 및 품질 데이터를 통해 원단의 품질에 대한 합격/불합격을 판정할 수 있다.The fabric test/inspection institution 120 inspects the fabric processed by the fabric processing company 115 and provides data on the specification and quality of the fabric. Through the specification and quality data of the fabric provided by the fabric testing/inspection organization 120 , it is possible to determine pass/fail for the quality of the fabric.

의류 생산에 있어서는 원단 이외에 다양한 부자재(예를 들어, 단추, 지퍼 등)가 필요한데, 도 1에 도시된 예에서는, 부자재 생산 업체(125)가 필요한 부자재를 생산해서 공급한다.In the garment production, various auxiliary materials (eg, buttons, zippers, etc.) are required in addition to the fabric.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 the auxiliary material producer 125 produces and supplies the necessary auxiliary materials.

부자재 시험/검사 기관(130)은 부자재 생산 업체(125)가 공급하는 부자재를 검사하여 부자재의 스펙 및 품질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부자재 시험/검사 기관(130)이 제공하는 부자재의 스펙 및 품질 데이터를 통해 부자재의 품질에 대한 합격/불합격을 판정할 수 있다.The subsidiary material test/inspection agency 130 provides data on the specifications and quality of the subsidiary material by inspecting the subsidiary material supplied by the subsidiary material producer 125 . Through the specification and quality data of the auxiliary material provided by the auxiliary material test/inspection organization 13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pass/fail for the quality of the auxiliary material.

원단 시험/검사 기관(120)의 시험 및 검사를 통과한 원단 및 부자재 시험/검사 기관(130)의 시험 및 검사를 통과한 부자재는 봉제 업체(135)로 공급되어 제품이 생산된다.Fabrics that have passed the tests and inspections of the fabric testing/inspection agency 120 and subsidiary materials that have passed the tests and inspections of the fabric and subsidiary material testing/inspection agencies 130 are supplied to the sewing company 135 to produce products.

봉제 업체(135)에 의해 생산된 제품은 제품 인증 기관(140)에 의해 품질 및 규격 등에 관한 인증을 받고 판매 업체(145)로 보내지거나 물류 보관 창고(155)로 보내진다. 판매 업체(145)로 보내진 제품은 등록 기관(또는 정부 기관)(150)에 등록된다.The product produced by the sewing company 135 is certified with respect to quality and specifications by the product certification authority 140 , and is sent to the sales company 145 or sent to the distribution warehouse 155 . Products sent to the vendor 145 are registered with a registration authority (or government agency) 150 .

소비자(최종 사용자(End User))(160)는 소비자 사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등록 기관(150)에 등록된 제품 또는 물류 보관 창고(155)에 보관되어 있는 제품의 생산 과정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A consumer (end user) 160 may check information about a product registered with the registration authority 150 or a production process of a product stored in the distribution warehouse 155 through the consumer use interface.

이 때, 소비자(160)가 소비자 사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확인하는 등록 기관(150)에 등록된 제품 또는 물류 보관 창고(155)에 보관되어 있는 제품의 생산 과정에 관한 정보가 각 단계에서의 자재 또는 제품(원단, 부자재, 중간 제품, 최종 제품 등)의 원산지 정보를 포함하고 있고 이러한 정보가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라면 소비자(160)가 해당 제품의 구입 시에 원산지를 확인한 후 안심하고 구입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product stored in the product or the logistics storage warehouse 155 or the product registered with the registration authority 150 that the consumer 160 checks through the consumer use interface is the material or product in each step. If the country of origin information (fabric, subsidiary material, intermediate product, final product, etc.) is included and this information is safe and reliable information, the consumer 160 can purchase with confidence after confirming the country of origin when purchasing the product. .

종래의 의류 생산 프로세스는, 기획, 생산, 판매의 세단계로 이루어진다. 기획 단계에서는, 브랜드에 의한 상품 기획 및 디자인, 원자재 개발 및 발주, 및 생산 수량 및 업체 선정이 이루어진다. 생산 단계에서는 원자재 생산 업체(외주)로부터 봉재 업체(외주)로 원자재가 납품되며, 이 단계에서 브랜드는 품질 관리 및 생산 공정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판매 단계에서는 브랜드의 재고 관리와 매장 및 온라인 판매가 이루어진다.The conventional clothing production process consists of three steps: planning, production, and sales. In the planning stage, product planning and design by brand, raw material development and ordering, and production quantity and company selection are made. In the production stage, raw materials are delivered from a raw material producer (outsourced) to a bar material company (outsourced), and in this stage, the brand performs quality control and production process monitoring. In the sales phase, the brand's inventory management and in-store and online sales take place.

이와 같은 종래의 의류 생산 프로세스에서는 원자재 생산에 따른 환경 문제와 봉제 업체에 따른 윤리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In such a conventional garment production process, there is a risk of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by raw material production and ethical problems caused by sewing companies.

소비자(160)가 소비자 사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확인하는 등록 기관(150)에 등록된 제품 또는 물류 보관 창고(155)에 보관되어 있는 제품의 생산 과정에 관한 정보가 각 단계에서의 자재 또는 제품(원단, 부자재, 중간 제품, 최종 제품 등)의 원산지 정보를 포함하고 있고 이러한 정보가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이기 위해서는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계약서를 사용할 수 있다.Information on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product stored in the product or the logistics storage warehouse 155 registered with the registration authority 150 that the consumer 160 checks through the consumer use interface is the material or product (fabric, It contains information on the origin of subsidiary materials, intermediate products, final products, etc.), and in order for this information to be safe and reliable information, a blockchain-based smart contract can be used.

스마트 계약이란, 계약 당사자가 사전에 협의한 내용을 미리 프로그래밍하여 전자 계약서 문서 내에 넣어두고, 이 계약 조건이 모두 충족되면 자동으로 계약 내용이 실행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즉, 스마트 계약은 중간에 제삼의 보증기관의 개입 없이 개인간(P2P)에 원하는 계약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해주는 디지털 전자 계약 기능이다.A smart contract is a system that pre-programs the contents agreed upon by the contracting parties in advance, puts them in the electronic contract document, and automatically executes the contract contents when all these contract conditions are satisfied. In other words, a smart contract is a digital electronic contract function that allows a desired contract to be concluded between individuals (P2P) without the intervention of a third-party guarantee institution in the middle.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계약에는 기본적으로 모든 트랜잭션(Transaction) 로그가 저장된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와 스마트 계약의 상태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두가지가 존재한다.There are basically two types of blockchain-based smart contracts: a blockchain database that stores all transaction logs and a database that stores the state of the smart contract.

스마트 계약은 상태의 변경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이라고 할 수 있고, 스마트 계약의 상태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는 변소라고 할 수 있으며, 이를 변경하기 위한 입력 값은 트랜잭션에 포함되어 있다.A smart contract can be said to be an application whose state can be changed, and the state of a smart contract can be said to be a toilet used by the application, and the input value for changing it is included in the transaction.

스마트 계약은 트랜잭션(Transaction)과 쿼리(Query)의 두가지 인터페이스를 공개하고 있다. 트랜잭션을 통한 인터페이스는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면서 스마트 계약의 상태를 변경하고, 쿼리는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을 남기지 않으면서 스마트 계약의 상태를 읽는 작업이다. 즉, 트랜잭션은 쓰기, 삭제, 및 수정을 실행하고, 쿼리는 읽기를 통한 조회만을 실행한다.Smart contracts expose two interfaces: Transaction and Query. The interface through the transaction changes the state of the smart contract while saving it in the transaction database, and the query is the operation of reading the state of the smart contract without leaving a record in the transaction database. That is, a transaction executes write, delete, and modification, and a query executes only inquiry through read.

예를 들어, 상품의 거래는 스마트 계약 시스템에서 (i)기록 저장, (ii)상품 조회, 및 (iii)계약 이행의 시퀀스를 통해 작동한다.For example, the transaction of goods operates through a sequence of (i) record storage, (ii) product inquiry, and (iii) contract fulfillment in a smart contract system.

기록 저장에서, 판매자가 상품을 업로드하는 내용을 코딩하여 트랜잭션을 작성한 다음에 블록체인으로 전송한다. 상품 등록 트랜잭션의 발생 시에 네트워크의 모든 노드는 상품 등록 트랜잭션을 공유하고 블록을 생성한 후 생성한 블록을 브로드캐스팅한다. 블록을 전달받은 각 노드는 해당 블록을 자신의 블록체인 마지막에 추가하고 해당 블록에 저장되어 있는 트랜잭션을 적용하여 자신의 스마트 계약 데이터베이스를 동기화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모든 블록체인의 노드가 스마트 계약 상태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하게 된다.In record storage, the seller creates a transaction by coding the upload of the product and then sending it to the blockchain. When a product registration transaction occurs, all nodes in the network share the product registration transaction, create a block, and then broadcast the created block. Each node that receives the block adds the block to the end of its block chain and synchronizes its smart contract database by applying the transaction stored in the block. Through this process, all blockchain nodes share the smart contract state database.

상품 조회에서, 구매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상품을 조회한다. 스마트 계약에 쓰는 것은 트랜잭션을 발생시키지만 기 저장되어 있는 값을 읽는 것은 트랜잭션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블록체인의 어떠한 데이터도 변경할 필요 없이 스마트 계약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된 상태 값만 조회하면 되므로 쿼리 정보는 블록체인에 동기화할 필요가 없으며 블록 동기화 타이밍에 관계없이 바로 응답할 수 있다.In product inquiry, the buyer inquires the product on the blockchain network. Writing to a smart contract generates a transaction, but reading a pre-stored value does not generate a transaction. Since there is no need to change any data in the blockchain, only the state value stored in the smart contract database is searched, query information does not need to be synchronized to the blockchain, and it can respond immediately regardless of the block synchronization timing.

계약 이행에서, 구매자가 상품 구매 트랜잭션을 보내면 트랜잭션을 공유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동기화한다. 모든 노드의 스마트 계약 데이터베이스에 상품 구매자를 등록하고 대금을 판매자에게 전송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등록된 상품의 소유권이 판매자로부터 구매자로 이동하게 된다.In contract fulfillment, when a buyer sends a transaction to purchase a product, the transaction is shared and synchronized to the blockchain network. Registers the product buyer in the smart contract database of all nodes and sends the payment to the seller. By doing so, the ownership of the registered product is transferred from the seller to the buyer.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참여자는 원자재 시험/검사 기관, 부자재 시험/검사 기관, 제품 인증 기관, 및 등록 기관을 포함한다. 소비자는 소비자 사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등록 기관에 접속하여 생산 과정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blockchain participants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raw material testing/inspection institutions, subsidiary material testing/inspection institutions, product certification institutions, and registration institutions. The consumer can at least access the registration authority through the consumer use interface to check the production process information.

스마트 계약을 통해 해킹의 위험이 낮아지고 보안 비용이 절감되며 중개자가 필요 없으므로 수수료도 절감되고, 데이터 정합성 혹은 무결성 검증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계약의 투명성으로 인해 규제 비용이 절감되고 이중지불의 위험도 사라지며, 정보통신 시스템 구축 비용이 절감되고, 신사업 서비스로 확장성도 가질 수 있다. 일정한 형식의 반복적인 계약이 많은 분야, 원격자 간 계약 체결이 필요한 분야, 제품의 유통 추적이 필요한 분야 등에서 스마트 계약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Smart contracts lower the risk of hacking, reduce security costs, reduce fees because no intermediaries are required, and shorten data integrity or integrity verification time. In addition, due to the transparency of the contract, regulatory costs are reduced, the risk of double payment is eliminat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construction costs are reduced, and new business services can have scalability. Smart contracts can be effective in fields where there are many repetitive contracts of a certain type, where contracts between remote parties are required, and where product distribution tracking is required.

도 2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제품 원산지 추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block chain-based product origin tracking method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의류의 제조 과정에 걸쳐서 스마트 계약을 업데이트하고, 소비자가 최종 제품에 대한 스마트 계약서를 통해 제품의 원산지를 확인하는 예를 보여준다.2 shows an example in which smart contracts are updated throughout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clothing, and the consumer confirms the origin of the product through the smart contract for the final product.

원자재에서 최종 제품을 제조하기까지의 각 공장에는 고유한 ID가 부여되며, 이는 해당 공장에 대한 스마트 계약이 된다(스텝 S210). 공장의 법규 준수, 감사 사실, 수상 경력, 및 단점 등에 대한 전체 기록이 승인자 및 작성자와 함께 스마트 계약서에 기록된다.Each factory from raw material to final product is given a unique ID, which becomes a smart contract for that factory (step S210). A full record of the factory's compliance, audit facts, awards, and shortcomings is recorded in the smart contract with the approvers and authors.

예를 들어, 직물 공급 업체의 경우, 검사자가 원단의 원산지에 관련된 인보이스, 영수증, 및 수입 서류 등을 조사한다(스텝 S215). 이 경우, 검사자가 공장, 기계 시설, 및 생산품을 조사해서 직물이 실제로 현장에서 생산되는지 확인한다(스텝 S220). 검사는 무작위로 진해되며, 각기 다른 검사자가 방문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textile supplier, the inspector examines invoices, receipts, and import documents related to the origin of the fabric (step S215). In this case, the inspector inspects the factory, the machine facility, and the product to confirm whether the fabric is actually produced on site (step S220). Tests are randomized, and different examiners may visit.

검사원이 프로세스에 만족하면 메모를 작성하고 디지털 서명으로 프로세스에 서명한다(스텝 S225). 이를 통해 공장과 관련된 스마트 계약이 업데이트된다(스텝 S230).When the inspector is satisfied with the process, a memo is made and the process is signed with a digital signature (step S225). Through this, the smart contract related to the factory is updated (step S230).

검사자가 전체 프로세스에 대한 메모 및 디지털 서명을 수행하면(스텝 S235), 이를 통해 공장과 관련된 공급 업체의 스마트 계약이 업데이트된다(스텝 S240). 공급 업체는 원자재 생산 업체, 최종 제품 제조 업체, 유통 업체, 도소매 업체 등을 포함하는 공급 체인에 관련된 누구나 될 수 있다. 이 스마트 계약서는 누구나 볼 수 있도록 공개된다(스텝 S245).When the inspector performs a memo and digital signature for the entire process (step S235), the smart contract of the supplier related to the factory is updated through this (step S240). A supplier can be anyone involved in the supply chain, including raw material producers, end-product manufacturers, distributors, wholesalers and retailers. This smart contract is disclosed for anyone to see (step S245).

이제 소비자는 소비자 사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 계약의 상태를 보고 구매 대상 상품의 원산지를 확인할 수 있다(스텝 S250). 뿐만 아니라, 제조 업체가 원하는 프로세스의 세부적인 정도에 따라 제조와 관련된 소스를 확인할 수 있다.Now, the consumer can view the state of the smart contract through the consumer use interface and confirm the origin of the product to be purchased (step S250).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granularity of the process desired by the manufacturer, the source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can be identified.

즉,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제품 원산지 추적 시스템에 포함되기를 원하는 모든 주요 생산자를 포함하는 추적 시스템을 구축하고, 분산 네트워크를 실행하여 제조 업체에서부터 소비자에 이르기까지 필요한 테스트를 거쳐서 온라인을 통해 일반에 공개하는 절차를 수행한다.That is, a tracking system including all major producers who want to be included in the blockchain-based product origin tracking system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uilt, and a distributed network is executed to test necessary from manufacturers to consumers. through the process of making it publicly available online.

보다 구체적으로, 검사자가 직물 제조 공장을 검사하여 사용되는 원자재(예를 들어, 면화)가 실제로 특정 지역에서 생산되어 공급되었음을 확인하기 위해 특정 지역으로부터의 수입 영수증을 확인한다. 수입 영수증이 확인되면 직물 시트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특정 지역에서 생산되는 면화(목화)를 사용하고 있음을 스마트 계약서에 업데이트한다.More specifically, an inspector inspects a textile manufacturing plant to verify import receipts from a particular region to confirm that the raw material used (eg, cotton) was actually produced and supplied in that particular region. When the import receipt is verified, the smart contract is updated to indicate that cotton (cotton) produced in a specific region is being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fabric sheet.

직물 제조 업체는 직물을 시트로 제조한다. 제조된 시트는 소정의 길이로 잘라지고 각 시트의 소정의 부분에 스마트 계약서에 링크된 QR 코드가 부착(또는 표기)된다. 이는 시트 단위가 아닌 박스 단위로도 수행이 가능하다. 이후 직물이 의류 제조 업체로 배송된다.Fabric manufacturers make fabric into sheets. The manufactured sheet is cut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QR code linked to the smart contract is attached (or marked)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each sheet. This can be performed in units of boxes rather than sheets. The fabric is then shipped to the garment manufacturer.

의류 제조 업체에서 검사자는 공장을 검사하여 메모를 작성하고 스마트 계약서에 서명한다. 의류 제조 업체는 시트를 사용하여 직물을 원단으로 해서 봉제를 시작한다. 봉제를 시작하기 전에 QR 코드를 스캔하여 봉제 과정에서 사용된 천으로 등록한다.In a garment maker, inspectors inspect factories, write notes and sign smart contracts. Garment manufacturers start sewing the fabric into fabric using sheets. Before starting sewing, scan the QR code to register with the fabric used in the sewing process.

의류가 완성되면 라인 작업자는 의류 태그에 스티커를 부착한다. 이 스티커에는 QR 코드가 표기되어 있고 이는 의류 제조 업체의 스마트 계약서로 연결된다. 이전의 QR 코드는 스마트 계약을 연결하는 이 스티커와 연동된다.When the garment is complete, the line worker attaches a sticker to the garment tag. The sticker is marked with a QR code, which leads to the clothing manufacturer's smart contract. Previous QR codes are linked with this sticker that connects smart contracts.

완성된 의류는 매장으로 배송되고, 스티커는 어느 매장으로 제품이 배송되었는지를 보여주기 위해 업데이트된다.The finished garment is shipped to the store, and the sticker is updated to show which store the product was shipped to.

매장에서 구매자는 의류를 구입하고 스마트폰을 통해 의류 제조 업체가 부착한 스티커의 QR 코드를 스캔한다. 스캔이 완료되면 의류에 대한 모든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모바일 사이트로 리다이렉션 된다. 이로써 구매자는 의류 제조와 연계된 모든 과정이 기록된 의류 업체의 스마트 계약서를 통해 면이 수확된 지역에서 의류가 제조된 지역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At the store, the shopper buys clothes and scans the QR code on a sticker affixed by the apparel maker through a smartphone. When the scan is complete, you will be redirected to a mobile site where all information about the clothing is stored. This allows buyers to check the entire process from the area where the cotton is harvested to the area where the garment is made, through the clothing company's smart contract, which records all processes related to garment manufacturing.

즉, 구매자는 제품 구입 시에 제품의 QR 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제품의 원산지가 어디인지(제품이 정품인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when purchasing a product, a buyer can scan the product's QR code to check the origin of the product (whether the product is genuine).

온라인 판매의 경우에는 매장의 웹사이트에서 판매되는 의류와 관련된 모든 과정을 보여주는 스마트 계약서를 구매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위와 같은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In the case of online sales, the above procedure can be performed by providing the buyer with a smart contract that shows all processes related to the clothing sold on the store's websit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구매자는 제품의 원산지를 확인하고 추적할 수 있다. 각 제조 업체는 공개하고자 하는 세부 정보를 지정할 수 있다. 공급 체인의 각 단계부터 스마트 계약서를 연결 및 업데이트함으로써 제품의 원산지를 증명하는 철저하고 안전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As such, 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rchaser can ascertain and track the origin of the product. Each manufacturer can specify the details they wish to disclose. By linking and updating smart contracts from each stage of the supply chain, it is possible to establish a thorough and secure system that proves the origin of a product.

독립적인 검사자에게 고유 ID를 부여하고 각 공장마다 고유 ID를 부여함으로써 무작위 공장 검사가 특정 표준에 맞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구매자(소비자)에게 스마트 계약서를 볼 수 있는 웹사이트를 제공함으로써 구매자가 구매한 제품의 구체적인 정보를 한눈에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에 대한 추적 기능은 블록체인에 설정되어 위조할 수 없게 된다.Random factory inspections can also be set to a specific standard by assigning unique IDs to independent inspectors and a unique ID for each plant. By providing the buyer (consumer) with a website where they can view the smart contract, the buyer can grasp the specific information of the purchased product at a glance. The tracking function for this information is set in the blockchain so that it cannot be forged.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공급자는 패키지에 작은 식별 코드(예를 들어, QR 코드)를 부착한다. QR 코드는 레이저 에칭, 인쇄, 또는 스티커로 제공되며, 해당하는 QR 이미지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된다.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lier attaches a small identification code (eg, a QR code) to the package. QR codes can be laser etched, printed, or provided as a sticker, and the corresponding QR image is automatically generated by the software.

또한, 공급자는 각 제품에 대한 고유 식별자와 회사 코드를 가지며, 공급 체인에 있는 누구나 QR 코드를 스캔할 수 있는 유통 업체 모바일 앱의 사본을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suppliers have a unique identifier and company code for each product, and anyone in the supply chain can get a copy of the retailer's mobile app where they can scan the QR code.

사용자는 QR 코드를 스캔하여 스마트폰의 링크로 이동하거나 앱을 다운로드하여 제품의 출처가 정품임을 확인할 수 있다.Users can scan the QR code to go to a link on their smartphone or download the app to verify that the product is genuine.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제품 원산지 추적 시스템(100)은, 모바일 웹 페이지, 원산지 증명을 위한 블록 체인 및 온라인 포털/대시 보드로 구성된 하이브리드 시스템일 수 있으며, 시스템 관리, 제작자 추가, 사용자 데이터 추적 등이 포함된다. 뿐만 아니라, 고객의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모바일 앱을 사용하여 시스템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block chain-based product origin tracking system 100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hybrid system consisting of a mobile web page, a block chain for proof of origin, and an online portal/dashboard, system management, This includes adding creators, tracking user data, and more. In addition, the mobile app can be used to enhance the system to enhance the customer experience.

도 3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제품 원산지 추적 시스템(100)에서 식별 코드로 QR 코드를 사용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using a QR code as an identification code in the blockchain-based product origin tracking system 100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원단 생산 업체(110)는 생산된 원단의 패키지에 제1 QR 코드인 QR 코드(310)을 부착 또는 표기할 수 있다. 원단 가공 업체(115)는 가공된 원단의 패키지에 제2 QR 코드인 QR 코드(320)을 부착 또는 표기할 수 있다. 이 때 제2 QR 코드인 QR 코드(320)에는 제1 QR 코드인 QR 코드(310)가 연동되어 가공에 사용된 원단의 출처를 알 수 있도록 한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3 , the fabric producer 110 may attach or mark the QR code 310 , which is the first QR code, on the package of the fabricated fabric. The fabric processing company 115 may attach or mark the QR code 320, which is the second QR code, on the package of the processed fabric. At this time, the QR code 310, which is the first QR code, is interlocked with the QR code 320, which is the second QR code, so that the source of the fabric used for processing can be known.

마찬가지로, 부자재 생산 업체(125)는 생산된 부자재의 패키지에 제3 QR 코드인 QR 코드(330)을 부착 또는 표기할 수 있다. 봉제 업체(135)는 제조한 의류의 패키지에 제4 QR 코드인 QR 코드(340)을 부착 또는 표기할 수 있다. 이 때 제4 QR 코드인 QR 코드(340)에는 제2 QR 코드인 QR 코드(320) 및 제4 QR 코드인 QR 코드(340)가 연동되어 의류의 제조에 사용된 원단 및 부자재의 출처를 알 수 있도록 한다.Similarly, the subsidiary material producer 125 may attach or mark the QR code 330, which is the third QR code, on the package of the produced subsidiary material. The sewing company 135 may attach or mark the QR code 340, which is the fourth QR code, on the package of the manufactured clothing. At this time, the fourth QR code, the QR code 340, is linked with the second QR code, the QR code 320, and the fourth QR code, the QR code 340, to know the source of the fabric and subsidiary materials used in the manufacture of clothing. make it possible

도 4에서 도 9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제품 원산지 추적 시스템(100)에서 각 단계의 QR 코드의 연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4 to 9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the interlocking relationship of QR codes of each step in the blockchain-based product origin tracking system 100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서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원단 생산 업체(110)가 원단의 패키지에 부착 또는 표기한 제1 QR 코드인 QR 코드(310), 원단 가공 업체(115)가 가공된 원단의 패키지에 부착 또는 표기한 제2 QR 코드인 QR 코드(320), 부자재 생산 업체(125)가 생산된 부자재의 패키지에 부착 또는 표기한 제3 QR 코드인 QR 코드(330), 및 봉제 업체(135)가 제조한 의류의 패키지에 부착 또는 표기한 제4 QR 코드인 QR 코드(340)의 연동 관계를 설명한다.4 to 9 are the first QR code 310, which is the first QR code attached or marked by the fabric producer 110 shown in FIG. The second QR code attached or marked QR code 320, the third QR code 330 attached or marked on the package of the subsidiary material produced by the subsidiary material producer 125, and the sewing company 135 An interlock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ourth QR code, which is the QR code 340 attached or marked on the package of manufactured clothes, will be described.

도 4는 생산 업체(110)가 생산한 원단의 패키지, 원단 가공 업체(115)가 가공한 원단의 패키지, 및 봉제 업체(135)가 제조한 의류의 패키지가 1:1로 대응하는 경우의 연동 관계를 나타내며, QR 코드(310)가 QR 코드(320)에 연동되고 QR 코드(320)가 QR 코드(340)에 연동되어, 최종적으로 QR 코드(310)에 기록된 원단 생산 업체(110)가 생산한 원단의 원산지 정보와 QR 코드(320)에 기록된 원단 가공 업체(115)가 가공한 원단의 원산지 정보가 QR 코드(340)에 연동된다.4 is a case in which the package of the fabric produced by the producer 110, the package of the fabric processed by the fabric processing company 115, and the package of the garment manufactured by the sewing company 135 correspond 1:1. Representing the relationship, the QR code 310 is linked to the QR code 320 and the QR code 320 is linked to the QR code 340, and finally the fabric producer 110 recorded in the QR code 310 is The origin information of the fabric produced and the origin information of the fabric processed by the fabric processing company 115 recorded in the QR code 320 are linked to the QR code 340 .

따라서, 소비자가 의류의 패키지에 부착 또는 표기된 QR 코드(340)를 스캔하기만 함으로써 생산 업체(110)가 생산한 원단 및 원단 가공 업체(115)가 가공한 원단의 원산지를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sumer can check the origin of the fabric produced by the producer 110 and the fabric processed by the fabric processor 115 by simply scanning the QR code 340 attached or marked on the package of the clothing.

생산 업체(110)가 생산한 원단의 패키지와 원단 가공 업체(115)가 가공한 원단의 패키지가 1:1로 대응한다는 것은 생산 업체(110)가 생산한 원단의 패키지 하나의 원단이 원단 가공 업체(115)가 가공한 원단의 패키지 하나로 생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The one-to-one correspondence between the package of the fabric produced by the producer 110 and the package of the fabric processed by the fabric processing company 115 means that the fabric of one package of the fabric produced by the producer 110 is a fabric processing company. (115) means that it is produced in one package of the processed fabric.

도 5는 생산 업체(110)가 생산한 원단의 패키지가 원단 가공 업체(115)가 가공한 원단의 패키지와 1:n(n은 자연수)으로 대응하고 원단 가공 업체(115)가 가공한 원단의 패키지와 봉제 업체(135)가 제조한 의류의 패키지가 1:1로 대응하는 경우의 연동 관계를 나타내며, QR 코드(310)가 QR 코드(320-1)와 QR 코드(320-2)에 연동되고 QR 코드(320-1) 및 QR 코드(320-2)가 각각 QR 코드(340-1) 및 QR 코드(340-2)에 연동되어, 최종적으로 QR 코드(310)에 기록된 원단 생산 업체(110)가 생산한 원단의 원산지 정보와 QR 코드(320-1)에 기록된 원단 가공 업체(115)가 가공한 원단의 원산지 정보가 QR 코드(340-1)에 연동되고, QR 코드(310)에 기록된 원단 생산 업체(110)가 생산한 원단의 원산지 정보와 QR 코드(320-2)에 기록된 원단 가공 업체(115)가 가공한 원단의 원산지 정보가 QR 코드(340-2)에 연동된다.5 shows that the package of the fabric produced by the producer 110 corresponds to the package of the fabric processed by the fabric processing company 115 and 1:n (n is a natural number), and the fabric processed by the fabric processing company 115 It represents the interlocking relationship when the package and the garment package manufactured by the sewing company 135 correspond 1:1, and the QR code 310 is linked to the QR code 320-1 and the QR code 320-2. and the QR code 320-1 and the QR code 320-2 are linked to the QR code 340-1 and the QR code 340-2, respectively, and finally the fabric producer recorded in the QR code 310 The origin information of the fabric produced by 110 and the origin information of the fabric processed by the fabric processing company 115 recorded in the QR code 320-1 are linked to the QR code 340-1, and the QR code 310 ), the origin information of the fabric produced by the fabric producer 110 recorded in the QR code 320-2 and the origin information of the fabric processed by the fabric processor 115 recorded in the QR code 320-2 are stored in the QR code 340-2. are linked

따라서, 소비자가 의류의 패키지에 부착 또는 표기된 QR 코드(340-1) 또는 QR 코드(340-2)를 스캔하기만 함으로써 생산 업체(110)가 생산한 원단 및 원단 가공 업체(115)가 가공한 원단의 원산지를 확인할 수 있다.Therefore, the fabric produced by the producer 110 and the fabric processed by the fabric processor 115 are processed by the consumer simply by scanning the QR code 340-1 or QR code 340-2 attached or marked on the package of clothing. You can check the origin of the fabric.

생산 업체(110)가 생산한 원단의 패키지와 원단 가공 업체(115)가 가공한 원단의 패키지가 1:n으로 대응한다는 것은 생산 업체(110)가 생산한 원단의 패키지 하나의 원단이 원단 가공 업체(115)가 가공한 원단의 패키지 n개로 생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5에서는 생산 업체(110)가 생산한 원단의 패키지가 원단 가공 업체(115)가 가공한 원단의 패키지와 1:2로 대응하는 관계를 보여주고 있지만 n의 값은 생산 업체(110)가 생산한 원단의 패키지 하나로부터 원단 가공 업체(115)가 가공하는 원단의 패키지 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fact that the package of the fabric produced by the producer 110 and the package of the fabric processed by the fabric processing company 115 correspond to 1:n means that the fabric of one package of the fabric produced by the producer 110 is a fabric processing company (115) means that the processed fabric is produced with n packages. 5 shows a relationship between the package of the fabric produced by the producer 110 and the package of the fabric processed by the fabric processing company 115 in a 1:2 relationship, but the value of n is produced by the producer 110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number of packages of fabric processed by the fabric processing company 115 from one package of one fabric.

도 6은 생산 업체(110)가 생산한 원단의 패키지가 원단 가공 업체(115)가 가공한 원단의 패키지와 n:1로 대응하고 원단 가공 업체(115)가 가공한 원단의 패키지와 봉제 업체(135)가 제조한 의류의 패키지가 1:1로 대응하는 경우의 연동 관계를 나타내며, QR 코드(310-1)와 QR 코드(310-2)가 QR 코드(320)에 연동되고 QR 코드(320)가 QR 코드(340)에 연동되어, 최종적으로 QR 코드(310-1) 및 QR 코드(310-2)에 기록된 원단 생산 업체(110)가 생산한 원단의 원산지 정보와 QR 코드(320)에 기록된 원단 가공 업체(115)가 가공한 원단의 원산지 정보가 QR 코드(340)에 연동된다.6 shows that the package of the fabric produced by the producer 110 corresponds to the package of the fabric processed by the fabric processing company 115 and n:1, and the package and the sewing company of the fabric processed by the fabric processing company 115 ( 135) shows the interlocking relationship when the package of clothes manufactured by 1:1 correspondence, the QR code 310-1 and the QR code 310-2 are linked to the QR code 320, and the QR code 320 ) is linked to the QR code 340, and finally, the origin information and QR code 320 of the fabric produced by the fabric producer 110 recorded in the QR code 310-1 and the QR code 310-2. The origin information of the fabric processed by the fabric processing company 115 recorded in is linked to the QR code 340 .

따라서, 소비자가 의류의 패키지에 부착 또는 표기된 QR 코드(340)를 스캔하기만 함으로써 생산 업체(110)가 생산한 원단 및 원단 가공 업체(115)가 가공한 원단의 원산지를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sumer can check the origin of the fabric produced by the producer 110 and the fabric processed by the fabric processor 115 by simply scanning the QR code 340 attached or marked on the package of the clothing.

생산 업체(110)가 생산한 원단의 패키지와 원단 가공 업체(115)가 가공한 원단의 패키지가 n:1로 대응한다는 것은 생산 업체(110)가 생산한 원단의 패키지 n개의 원단이 원단 가공 업체(115)가 가공한 원단의 패키지 하나로 생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6에서는 생산 업체(110)가 생산한 원단의 패키지가 원단 가공 업체(115)가 가공한 원단의 패키지와 2:1로 대응하는 관계를 보여주고 있지만 n의 값은 생산 업체(110)가 생산한 원단의 패키지 몇개로부터 원단 가공 업체(115)가 가공하는 원단의 패키지 하나가 생산되는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at the package of the fabric produced by the producer 110 and the package of the fabric processed by the fabric processing company 115 correspond to n:1 means that the package n of the fabric produced by the producer 110 is the fabric processing company. (115) means that it is produced in one package of the processed fabric. 6 shows a relationship between the package of the fabric produced by the producer 110 and the package of the fabric processed by the fabric processing company 115 in a 2:1 relationship, but the value of n is produced by the producer 110 It may vary depending on how many packages of one fabric are produced from one package of fabric processed by the fabric processing company 115 .

도 7은 생산 업체(110)가 생산한 원단의 패키지와 부자재 생산 업체(125)가 공급하는 부자재가 각각 원단 가공 업체(115)가 가공한 원단의 패키지, 및 봉제 업체(135)가 제조한 의류의 패키지와 1:1로 대응하는 경우의 연동 관계를 나타내며, QR 코드(310)와 QR 코드(330)가 QR 코드(320)에 연동되고 QR 코드(320)가 QR 코드(340)에 연동되어, 최종적으로 QR 코드(310)에 기록된 원단 생산 업체(110)가 생산한 원단의 원산지 정보, 부자재 생산 업체(125)가 공급한 부자재의 원산지 정보, 및 QR 코드(320)에 기록된 원단 가공 업체(115)가 가공한 원단의 원산지 정보가 QR 코드(340)에 연동된다.7 shows the package of the fabric produced by the producer 110 and the subsidiary material supplied by the subsidiary material producer 125, respectively, the package of the fabric processed by the fabric processing company 115, and the garment manufactured by the sewing company 135 Indicates the interlocking relationship in the case of 1:1 correspondence with the package of the QR code 310 and the QR code 330 are interlocked with the QR code 320 and the QR code 320 is interlocked with the QR code 340 , the origin information of the fabric produced by the fabric producer 110 finally recorded in the QR code 310, the origin information of the subsidiary material supplied by the subsidiary material producer 125, and the fabric processing recorded in the QR code 320 The origin information of the fabric processed by the company 115 is linked to the QR code 340 .

따라서, 소비자가 의류의 패키지에 부착 또는 표기된 QR 코드(340)를 스캔하기만 함으로써 생산 업체(110)가 생산한 원단, 부자재 생산 업체(125)가 공급한 부자재, 및 원단 가공 업체(115)가 가공한 원단의 원산지를 확인할 수 있다.Therefore, by simply scanning the QR code 340 attached or marked on the package of clothing, the fabric produced by the producer 110, the subsidiary material supplied by the subsidiary material producer 125, and the fabric processing company 115 are You can check the origin of the processed fabric.

도 8은 생산 업체(110)가 생산한 원단의 패키지와 부자재 생산 업체(125)가 공급하는 부자재의 패키지가 각각 원단 가공 업체(115)가 가공한 원단의 패키지와 1:n(n은 자연수)으로 대응하고 원단 가공 업체(115)가 가공한 원단의 패키지와 봉제 업체(135)가 제조한 의류의 패키지가 1:1로 대응하는 경우의 연동 관계를 나타내며, QR 코드(310)와 QR 코드(330)가 각각 QR 코드(320-1)와 QR 코드(320-2)에 연동되고 QR 코드(320-1) 및 QR 코드(320-2)가 각각 QR 코드(340-1) 및 QR 코드(340-2)에 연동되어, 최종적으로 QR 코드(310)에 기록된 원단 생산 업체(110)가 생산한 원단의 원산지 정보, QR 코드(330)에 기록된 부자재 생산 업체(125)가 공급한 부자재의 원산지 정보, 및 QR 코드(320-1)에 기록된 원단 가공 업체(115)가 가공한 원단의 원산지 정보가 QR 코드(340-1)에 연동되고, QR 코드(310)에 기록된 원단 생산 업체(110)가 생산한 원단의 원산지 정보, QR 코드(330)에 기록된 부자재 생산 업체(125)가 공급한 부자재의 원산지 정보, 및 QR 코드(320-2)에 기록된 원단 가공 업체(115)가 가공한 원단의 원산지 정보가 QR 코드(340-2)에 연동된다.8 shows that the package of the fabric produced by the producer 110 and the package of the subsidiary material supplied by the subsidiary material producer 125 are respectively 1:n (n is a natural number) with the package of the fabric processed by the fabric processing company 115. and shows the interlocking relationship when the package of the fabric processed by the fabric processing company 115 and the package of the garment manufactured by the sewing company 135 correspond 1:1, and the QR code 310 and the QR code ( 330) is linked to the QR code 320-1 and the QR code 320-2, respectively, and the QR code 320-1 and the QR code 320-2 are respectively the QR code 340-1 and the QR code ( 340-2), the origin information of the fabric produced by the fabric producer 110 finally recorded in the QR code 310, and the subsidiary material supplied by the subsidiary material producer 125 recorded in the QR code 330 Origin information of and the origin information of the fabric processed by the fabric processing company 115 recorded in the QR code 320-1 are linked to the QR code 340-1, and the fabric production recorded in the QR code 310 The origin information of the fabric produced by the company 110, the origin information of the subsidiary material supplied by the subsidiary material producer 125 recorded in the QR code 330, and the fabric processing company 115 recorded in the QR code 320-2 ), the origin information of the processed fabric is linked to the QR code 340-2.

따라서, 소비자가 의류의 패키지에 부착 또는 표기된 QR 코드(340-1) 또는 QR 코드(340-2)를 스캔하기만 함으로써 생산 업체(110)가 생산한 원단, 부자재 생산 업체(125)가 공급한 부자재, 및 원단 가공 업체(115)가 가공한 원단의 원산지를 확인할 수 있다.Therefore, by simply scanning the QR code 340-1 or QR code 340-2 attached or marked on the package of clothing, the fabric produced by the producer 110, the fabric produced by the producer 110, and the The origin of the subsidiary material and the fabric processed by the fabric processing company 115 can be confirmed.

도 9는 생산 업체(110)가 생산한 원단의 패키지와 부자재 생산 업체(125)가 공급한 부자재의 패키지가 각각 원단 가공 업체(115)가 가공한 원단의 패키지와 n:1로 대응하고 원단 가공 업체(115)가 가공한 원단의 패키지와 봉제 업체(135)가 제조한 의류의 패키지가 1:1로 대응하는 경우의 연동 관계를 나타내며, QR 코드(310-1), QR 코드(310-2), QR 코드(330-1), 및 QR 코드(330-2)가 QR 코드(320)에 연동되고 QR 코드(320)가 QR 코드(340)에 연동되어, 최종적으로 QR 코드(310-1) 및 QR 코드(310-2)에 기록된 원단 생산 업체(110)가 생산한 원단의 원산지 정보, QR 코드(330-1) 및 QR 코드(330-2)에 기록된 부자재 생산 업체(125)가 공급한 부자재의 원산지 정보, 및 QR 코드(320)에 기록된 원단 가공 업체(115)가 가공한 원단의 원산지 정보가 QR 코드(340)에 연동된다.9 shows that the package of the fabric produced by the producer 110 and the package of the subsidiary material supplied by the subsidiary material producer 125 correspond to the package of the fabric processed by the fabric processing company 115, respectively, in n:1, and fabric processing It shows the interlocking relationship when the package of the fabric processed by the company 115 and the package of the garment manufactured by the sewing company 135 correspond 1:1, QR code 310-1, QR code 310-2 ), the QR code 330-1, and the QR code 330-2 are linked to the QR code 320 and the QR code 320 is linked to the QR code 340, and finally the QR code 310-1 ) and the origin information of the fabric produced by the fabric producer 110 recorded in the QR code 310-2, and the subsidiary material producer 125 recorded in the QR code 330-1 and QR code 330-2 The origin information of the subsidiary material supplied by , and the origin information of the fabric processed by the fabric processing company 115 recorded in the QR code 320 are linked to the QR code 340 .

따라서, 소비자가 의류의 패키지에 부착 또는 표기된 QR 코드(340)를 스캔하기만 함으로써 생산 업체(110)가 생산한 원단, 부자재 생산 업체(125)가 공급한 부자재, 및 원단 가공 업체(115)가 가공한 원단의 원산지를 확인할 수 있다.Therefore, by simply scanning the QR code 340 attached or marked on the package of clothing, the fabric produced by the producer 110, the subsidiary material supplied by the subsidiary material producer 125, and the fabric processing company 115 are You can check the origin of the processed fabric.

이상, 도 4에서 도 9는 원단 생산 업체(110)가 원단의 패키지에 부착 또는 표기한 제1 QR 코드인 QR 코드(310), 원단 가공 업체(115)가 가공된 원단의 패키지에 부착 또는 표기한 제2 QR 코드인 QR 코드(320), 부자재 생산 업체(125)가 생산된 부자재의 패키지에 부착 또는 표기한 제3 QR 코드인 QR 코드(330), 및 봉제 업체(135)가 제조한 의류의 패키지에 부착 또는 표기한 제4 QR 코드인 QR 코드(340)의 연동 관계를 설명하였으나, 1:n의 연동 관계는 n:1의 연동 관계로 될 수도 있다.4 to 9 are the first QR code 310, which is the first QR code attached or marked by the fabric producer 110 on the package of the fabric, and the fabric processor 115 is attached or marked on the package of the fabric processed A second QR code, the QR code 320 , the third QR code 330 , which is attached or marked on the package of the subsidiary material produced by the subsidiary material producer 125 , and the garment manufactured by the sewing company 135 . Although the linkage relationship of the QR code 340, which is the fourth QR code attached or marked on the package of , has been described, the linkage relationship of 1:n may be an linkage relationship of n:1.

즉, 제1 식별 코드는 제2 식별 코드에 1:n(n=1 to m, m은 자연수) 또는 n:1(n=1 to m, m은 자연수)로 연동되고, 제2 식별 코드는 제4 식별 코드에 1:n(n=1 to m, m은 자연수) 또는 n:1(n=1 to m, m은 자연수)로 연동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identification code is linked to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by 1:n (n=1 to m, m is a natural number) or n:1 (n=1 to m, m is a natural number),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is The fourth identification code may be linked to 1:n (n=1 to m, m is a natural number) or n:1 (n=1 to m, m is a natural number).

마찬가지로, 제1 식별 코드 및 제3 식별 코드는 각각 제2 식별 코드에 1:n(n=1 to m, m은 자연수) 또는 n:1(n=1 to m, m은 자연수)로 연동되고, 제2 식별 코드는 제4 식별 코드에 1:n(n=1 to m, m은 자연수) 또는 n:1(n=1 to m, m은 자연수)로 연동될 수 있다.Similarly, the first identification code and the third identification code are linked to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in 1:n (n=1 to m, m is a natural number) or n:1 (n=1 to m, m is a natural number), respectively, and ,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may be linked to the fourth identification code in a ratio of 1:n (n=1 to m, m is a natural number) or n:1 (n=1 to m, m is a natural number).

또한, 제1 식별 코드 제2 식별 코드에 1:n(n=1 to m, m은 자연수) 또는 n:1(n=1 to m, m은 자연수)로 연동되고, 제2 식별 코드와 제3 식별 코드는 제4 식별 코드에 1:n(n=1 to m, m은 자연수) 또는 n:1(n=1 to m, m은 자연수)로 연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identification code is linked to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1:n (n=1 to m, m is a natural number) or n:1 (n=1 to m, m is a natural number),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3 identification codes may be linked to the fourth identification code in a ratio of 1:n (n=1 to m, m is a natural number) or n:1 (n=1 to m, m is a natural number).

블록체인 시스템은 참여 주체가 안전하고 변경 불가능한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분산 원장 시스템(Distributed Ledger System)으로, 이러한 블록체인 시스템의 데이터 안전성은 블록체인 시스템 내에서 거래되는 제품을 추적하고 탐지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A blockchain system is a Distributed Ledger System that allows participating entities to store data in a secure and immutable manner.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의류에 추적 시스템을 만들고 필요에 따라 유통 업체 및 소매점을 추적 시스템에 참여시킨다. 이를 위해서는 최종 사용자(소비자)가 업스트림 공급 업체의 참여 여부와 관계없이 국내 제품의 출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racking system is created for clothing and, if necessary, distributors and retailers are engaged in the tracking system. This will allow end users (consumers) to verify the origin of domestic products, with or without the involvement of upstream supplier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원자재, 중간 제품, 및 최종 제품으로 제조되는 제품에 대해 소비자가 원자재에서 최종 제품까지의 출처를 확인하고 해당 제품이 정품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원산지 추적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products manufactured from raw materials, intermediate products, and final products, the consumer can check the source from the raw material to the final product and check whether the product is genuine. A blockchain-based origin tracking method can be provided.

본 명세서에서 각각의 실시예는 독립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각각의 실시예는 상호 조합이 가능하며 조합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each embodiment is independently described, but each embodiment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the combined embodiment is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 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t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having the knowledge of, of course,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블록체인 기반의 제품 원산지 추적 시스템
110: 원단 생산 업체
115: 원단 가공 업체
120: 원단 시험/검사 기관
125: 부자재 생산 업체
130: 부자재 시험/검사 기관
135: 봉제 업체
140: 제품 인증 기관
145: 판매 업체
150: 등록 기관(또는 정부 기관)
155: 물류 보관 창고
160: 소비자(최종 사용자)
100: Blockchain-based product origin tracking system
110: fabric producer
115: fabric processing company
120: fabric testing / inspection agency
125: subsidiary material producer
130: subsidiary material testing / inspection agency
135: sewing company
140: product certification body
145: Vendor
150: Registrar (or government agency)
155: logistics storage warehouse
160: consumer (end user)

Claims (7)

원자재, 중간 제품, 부자재, 및 최종 제품을 생산하는 각 공장에 고유한 ID를 부여하여 스마트 계약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원자재의 원산지 관련 정보를 파악하고 현지 생산을 확인하여 원자재 공장에 관련된 상기 스마트 계약서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중간 제품의 원산지 관련 정보를 파악하고 현지 생산을 확인하여 중간 제품 공장에 관련된 상기 스마트 계약서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부자재의 원산지 관련 정보를 파악하고 현지 생산을 확인하여 부자재 공장에 관련된 상기 스마트 계약서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최종 제품의 원산지 관련 정보를 파악하고 현지 생산을 확인하여 최종 제품 공장에 관련된 상기 스마트 계약서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소비자가 무선 통신을 통해 액세스 가능한 사이트에 상기 스마트 계약서를 공개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스마트 계약서는 블록체인에 기반을 두며, 상기 블록체인은 원자재 시험/검사 기관, 중간 제품 시험/검사 기관, 부자재 시험/검사 기관, 제품 인증 기관, 및 정부 또는 등록 기관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참여자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원산지 추적 방법.
creating a smart contract by assigning a unique ID to each factory that produces raw materials, intermediate products, subsidiary materials, and final products;
updating the smart contract related to the raw material factory by identifying the origin-related information of the raw material and confirming local production;
updating the smart contract related to the intermediate product factory by identifying the origin-related information of the intermediate product and confirming the local production;
updating the smart contract related to the subsidiary material factory by identifying the origin-related information of the subsidiary material and confirming local production;
updating the smart contract related to the final product factory by identifying the origin-related information of the final product and confirming local production; and
publishing the smart contract on a site accessible via wireless communication by a consumer;
The smart contract is based on a blockchain, and the blockchain includes at least two or more of a raw material testing/inspection institution, an intermediate product testing/inspection institution, an auxiliary material testing/inspection institution, a product certification institution, and a government or registration institution as participants. doing,
A blockchain-based origin tracking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자재의 생산 시에 생산된 원자재의 패키지에 상기 스마트 계약서에 링크된 제1 식별 코드를 부착 또는 표기하는 단계;
상기 중간 제품의 생산 시에 생산된 중간 제품의 패키지에 상기 스마트 계약서에 링크된 제2 식별 코드를 부착 또는 표기하는 단계;
상기 부자재의 생산 시에 생산된 부자재의 패키지에 상기 스마트 계약서에 링크된 제3 식별 코드를 부착 또는 표기하는 단계; 및
상기 최종 제품의 생산 시에 생산된 최종 제품의 패키지에 상기 스마트 계약서에 링크된 제4 식별 코드를 부착 또는 표기하는 단계
를 더 구비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원산지 추적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ttaching or marking a first identification code linked to the smart contract on a package of raw materials produced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raw materials;
attaching or marking a second identification code linked to the smart contract on the package of the intermediate product produced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intermediate product;
attaching or marking a third identification code linked to the smart contract on the package of the subsidiary material produced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subsidiary material; and
Attaching or marking the fourth identification code linked to the smart contract on the package of the final product produced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final product
further comprising,
A blockchain-based origin tracking metho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 코드는 상기 제2 식별 코드에 1:n(n=1 to m, m은 자연수) 또는 n:1로 연동되고,
상기 제2 식별 코드는 상기 제4 식별 코드에 1:n 또는 n:1로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원산지 추적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identification code is linked to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in 1:n (n=1 to m, m is a natural number) or n:1,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is linked to 1:n or n:1 to the fourth identification code,
A blockchain-based origin tracking metho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 코드는 적어도 상기 원자재의 원산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식별 코드는 적어도 상기 중간 제품의 원산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식별 코드는 적어도 상기 최종 제품의 원산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식별 코드는 적어도 상기 제1 식별 코드의 원산지 정보와 연동되고,
상기 제4 식별 코드는 적어도 상기 제2 식별 코드의 원산지 정보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원산지 추적 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identification code includes at least the origin information of the raw material,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includes at least origin information of the intermediate product;
the fourth identification code includes at least country of origin information of the final product;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is linked with at least the origin information of the first identification code,
The fourth identification code is at least linked with the origin information of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A blockchain-based origin tracking metho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 코드 및 상기 제3 식별 코드는 각각 상기 제2 식별 코드에 1:n(n=1 to m, m은 자연수) 또는 n:1로 연동되고,
상기 제2 식별 코드는 상기 제4 식별 코드에 1:n 또는 n:1로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원산지 추적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identification code and the third identification code are each linked to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in 1:n (n=1 to m, m is a natural number) or n:1,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is linked to 1:n or n:1 to the fourth identification code,
A blockchain-based origin tracking metho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 코드는 적어도 상기 원자재의 원산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식별 코드는 적어도 상기 중간 제품의 원산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식별 코드는 적어도 상기 부자재의 원산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식별 코드는 적어도 상기 최종 제품의 원산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식별 코드는 적어도 상기 제1 식별 코드의 원산지 정보 및 상기 제3 식별 코드의 원산지 정보와 연동되고,
상기 제4 식별 코드는 적어도 상기 제2 식별 코드의 원산지 정보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원산지 추적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identification code includes at least the origin information of the raw material,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includes at least origin information of the intermediate product;
The third identification code includes at least the origin information of the subsidiary material,
the fourth identification code includes at least country of origin information of the final product;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is linked with at least the origin information of the first identification code and the origin information of the third identification code,
The fourth identification code is at least linked with the origin information of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A blockchain-based origin tracking metho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 코드는 적어도 상기 원자재의 원산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식별 코드는 적어도 상기 중간 제품의 원산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식별 코드는 적어도 상기 부자재의 원산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식별 코드는 적어도 상기 최종 제품의 원산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식별 코드는 적어도 상기 제1 식별 코드의 원산지 정보와 연동되고,
상기 제4 식별 코드는 적어도 상기 제2 식별 코드의 원산지 정보 및 상기 제3 식별 코드의 원산지 정보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원산지 추적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identification code includes at least the origin information of the raw material,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includes at least origin information of the intermediate product;
The third identification code includes at least the origin information of the subsidiary material,
the fourth identification code includes at least country of origin information of the final product;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is linked with at least the origin information of the first identification code,
The fourth identification code is linked with at least the origin information of the second identification code and the origin information of the third identification code,
A blockchain-based origin tracking method.
KR1020200148170A 2020-11-07 2020-11-07 Method of Tracking Origin of Product Based on Blockchain Pending KR2022006221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170A KR20220062217A (en) 2020-11-07 2020-11-07 Method of Tracking Origin of Product Based on Blockcha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170A KR20220062217A (en) 2020-11-07 2020-11-07 Method of Tracking Origin of Product Based on Blockchai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2217A true KR20220062217A (en) 2022-05-16

Family

ID=81802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170A Pending KR20220062217A (en) 2020-11-07 2020-11-07 Method of Tracking Origin of Product Based on Blockchai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221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52992A (en) * 2023-04-18 2023-05-23 浙江安吉智电控股有限公司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of charging request and start code for charging ser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3527B1 (en) 2018-08-28 2019-08-22 최은철 System and method for trading raw material using blockchai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3527B1 (en) 2018-08-28 2019-08-22 최은철 System and method for trading raw material using blockchai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52992A (en) * 2023-04-18 2023-05-23 浙江安吉智电控股有限公司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of charging request and start code for charging service
CN116152992B (en) * 2023-04-18 2023-09-01 浙江安吉智电控股有限公司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of charging request and start code for charging ser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59146B2 (en) Fork chain product label and usage
US114754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guaranteeing authenticity of branded goods
CN113874893A (en) Food Chain Product Labeling and Usage and Food Trust Identifier System
Habib et al. Blockchain-based supply chain for the automation of transaction process: Case study based validation
US9208494B2 (en) Code based product tracking methods and apparatus
AU2012386707B2 (en) Transaction management system and transaction management program
KR101572943B1 (en) System for managing integration of smart warranty and method therefor
EP4035102A1 (en) System for providing supply chain information
KR20190127573A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Product Safety
CN111899072A (en) Block chain based product sale method and system
CA2880014C (en) Transaction support system
JP2018005471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20220062217A (en) Method of Tracking Origin of Product Based on Blockchain
KR100382837B1 (en) The electronic commerce on business method using an enterprise reource planning and management system
Su et al. Eco-accounting infrastructure
KR20230127019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online parts book service through block-chain network
WO2010067716A1 (en) Emission allowance trading system and emission allowance trading method
Teli et al. Impact of certification program on supplier selection to reduce quality cost
JP7299940B2 (en)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nd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KR20220055185A (en) pricing method of imported goods using big data
Moratanch et al. Traceguard: Eradicating counterfeits with blockchain transparency
Basak et al. Blockchain-enabled Crafts Supply Chain for Rural Handicraft Artisans: An Implementation Approach
KR20010104843A (en) Goods Information Offer By Internet And Electron Commercial Transaction
Khan et al. Supply Chain Strategic Fit: Choosing an Optimal Solution for an Apparel Manufacturer
WO2010089404A1 (en) Method and system for data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0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