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0254A - Block system equipped with surface for absorbing noise having function of regulating porosity - Google Patents
Block system equipped with surface for absorbing noise having function of regulating porosit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60254A KR20220060254A KR1020200146046A KR20200146046A KR20220060254A KR 20220060254 A KR20220060254 A KR 20220060254A KR 1020200146046 A KR1020200146046 A KR 1020200146046A KR 20200146046 A KR20200146046 A KR 20200146046A KR 20220060254 A KR20220060254 A KR 2022006025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rosity
- sound
- block system
- absorbing
- arbitraril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404—Sound-absorbing elements block-shape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23—Tray or frame type panels or block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 E04B2001/8433—Tray or frame type panels or block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with holes in their fa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하게 기립하여 전면(front face)과 후면(rear face)을 상호 병렬적으로 이격되는 보디를 형성하는 한 쌍의 업소빙 플레이트부; 한 쌍의 업소빙 플레이트부 각각을 상호 연결하며, 상호 이격된 공간에 홀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복수 개의 크로스 브릿지부; 및 한 쌍의 업소빙 플레이트부의 외향 표면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음파를 트래핑하여 감쇄시키는 트래핑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pair of absorbing plate portion to form a body that is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parallel to the front (front face) and rear (rear face); a plurality of cross-bridge units interconnecting each of the pair of absorbing plate units to form holes in spa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trapping unit formed on the outward surface of the pair of absorbing plate parts to trap and attenuate sound waves flowing in from the outside.
Description
본 발명은 흡음 서페이스를 가지는 블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블록 시스템에 있어서 표면 즉, 서페이스(surface) 상에 흡음 기능이 구비되도록 함은 물론, 그 외의 표면 역시 입자의 공극률의 조절을 통해 흡흠 기능이 구비될 수 있도록 하는,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흡음 기능이 구비된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에 관한 기술 분야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 system having a sound-absorbing surface, and more specifically, to provide a sound-absorbing function on the surface, that is, a surface in the block system, as well as other surfaces through adjustment of the porosity of the particles It is a technical field related to a surface block system equipped with a sound-absorbing function that allows the porosity to be arbitrarily adjusted so that the sound-absorbing function can be provided.
대한건설협회는 레미콘, 철근, 시멘트 등 10개주요 건설자재의 2020년도 수급전망을 발표했다. 2017년부터 시작된 건설수주 감소세가 2020년까지 4년 연속으로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2019년에 이어 2020년에도 전반적으로 자재 수요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주택시장 규제 강화 및 민간 주거부문 건설경기 악화에 따른 자재수요의 전반적 감소가 지속될 것으로 예측됐다. The Korea Construction Association announced the 2020 supply and demand forecast for 10 major construction materials such as ready-mixed concrete, rebar, and cement. The decline in construction orders, which started in 2017, is expected to continue for four consecutive years until 2020, and the overall demand for materials is expected to decrease in 2020 following 2019. In particular, it is predicted that the overall decline in material demand will continue due to the tightening of regulations on the housing market and the deterioration of the private housing sector construction market.
자재별 2019년 수요실적을 살펴보면 타일이 전년 대비 12.2%로 감소폭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레미콘 6.9%, 콘크리트 파일 6.6% 등 아스콘을 제외한 대부분의 자재에서 전반적인 수요 감소가 발생했다. 올해는 토목부문 건설투자액이 2019년에 감소세가 멈춘 데 이어 전년 대비 소폭 증가할전망임에도 불구하고 민간 주택시장의 하락세가 전체 건설투자액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Looking at the 2019 demand performance by material, tile showed the largest decrease at 12.2%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and overall demand decreased for most materials except asphalt concrete, such as ready-mixed concrete 6.9% and concrete pile 6.6%. This year, although the construction investment in the civil engineering sector is expected to increase slightly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after stopping in 2019, the decline in the private housing market is expected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overall construction investment.
주요 자재별로는 신규 착공물량의 감소 등으로 콘크리트 파일은 5,400천톤(8.8%↓), 타일 수요량은 133,910천㎡(7.2%↓), 시멘트 수요량은 51,100천톤(6.6%↓)으로 전망되며 합판, 레미콘 역시 각 4.2%, 4.1% 하락할 것으로 예측되는 등 전방위적으로 자재 수요가 축소할 것으로 나타났다.By major material, due to a decrease in new construction starts, concrete piles are expected to be 5,400 thousand tons (8.8%↓), tile demand is 133,91 million m² (7.2%↓), and cement demand is 51,100 thousand tons (6.6%↓). Demand for materials is expected to decrease in all directions, with a 4.2% and 4.1% decline, respectively.
블록과 관련하여 기술적인 시도는 일부 존재하였는데, 예컨대, “투수성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제조방법(등록번호 제10-0837184호, 특허문헌1)”가 존재한다.There have been some technical attempts in relation to the block, for example, "permeable concrete block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Registration No. 10-0837184, Patent Document 1)" exists.
특허문헌1에 따른 발명의 경우, 투수성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입도 3.0 내지 7.5mm인 혼합골재가 45중량% 내지 60중량%, 입도 0.1 내지 3.0mm인 혼합골재가 15 내지 30중량% 및, 시멘트가 15 내지 25중량%의 비율로 혼합되어 기층 골재 혼합물을 형성하는 공정과, 입도 0.5 내지 5.0mm인 규사가 30 내지 60중량%, 입도 0.5 내지 5.0mm인 천연골재가 10 내지 25중량%, 입도 0.5 내지 5.0mm를 갖는 재생골재가 10 내지 30중량% 및, 시멘트가 15 내지 25중량%의 비율로 혼합되어 표층 골재 혼합물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원재료 혼합공정; 상기 기층 골재 혼합물을 12 내지 19% 부피 가압율로 가압하는 1차성형공정과, 상기 표층 골재 혼합물을 상기 1차성형공정에서 가압된 기층 골재 혼합물에 12 내지 19% 부피 가압율로 가압하는 2차성형공정을 포함하는 골재 혼합물 성형공정; 상기 성형된 골재 혼합물을 양생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성형제품의 골재와 골재 사이의 공극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투수성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강도를 기준치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In the cas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아울러, “황토 표면층을 가진 콘크리트 블록(등록번호 제10-0581405호, 특허문헌2)”도 존재한다.In addition, "concrete block with loess surface layer (registration number 10-0581405, Patent Document 2)" also exists.
특허문헌2에 따른 발명의 경우,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성형된 블록 본체의 표면에 황토 분말과 미세 모래, 시멘트 등을 혼합하여 제작된 황토 모르타르를 일정한 두께로 형성시켜서 블록을 완성한 후, 이 블록을 조적하되, 수직 및 수평 접합용 모르타르는 시멘트 모르타르를 사용하며, 블록 사이의 줄눈 치장용 모르타르는 상기 사용된 황토 모르타르를 이용하여 조적하는 대략적인 구성을 갖는다. In the cas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또한, “콘크리트 블록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벽체의 시공 방법(등록번호 제10-1117675호, 특허문헌3)”이 존재한다.In addition, "concrete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of a building wall using the same (registration number 10-1117675, Patent Document 3)" exists.
특허문헌3에 따른 발명은 콘크리트 블록의 양 끝단에 몰탈을 바르지 않은 상태로 옆 콘크리트 블럭의 양 끝단과 맞춘 후, 이로 인해 생기는 수직공 내부에 몰탈을 채우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블럭 양 끝단에 몰탈을 바르지 않더라도 콘크리트 블록 간의 연결에 있어 빈틈이 없이 시공될 수 있는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건축물 벽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시멘트와 모래를 버무려 틀에 박아 건조시킨 네모진 건축 재료이며, 그 내부가 통공되도록 소정 개수의 수직공이 형성되어 있는 콘크리트 블록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중앙에 위치하며 그 상부 개구부가 일정 두께를 가지는 몰탈로 밀폐되어 있는 중앙 수직공과; 상기 중앙 수직공을 중심으로 그 양측으로 대칭되게 배열되어 있는 복수개의 수직공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에 관한 것이다.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기존의 선행 특허문헌들의 경우, 보강토 옹벽의 전면에 배치되어, 토압을 지지하여 옹벽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강화시키는 기술적 특징을 개시하고 있으나, 기존의 선행문헌들에서 사용되는 보강재는 고속도로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 혹은 흡음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In the case of the existing prior patent documents, it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nd discloses the technical feature of supporting the earth pressure to enhance the stability and durability of the retaining wall, but the reinforcement used in the existing prior documents is the noise generated on the highway.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not reduce or absorb sound.
본 발명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The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poros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presents the following problems to be solved.
첫째, 내벽 혹은 외벽을 구성하는 블록상에서 별도의 외부 플레이트가 장치 없이 흡음이 이루어지는 블록을 제공하고자 한다.First, on the block constituting the inner wall or outer wall, a separate outer plate is intended to provide a block in which sound is absorbed without a device.
둘째, 블록의 표면 상에서 혹은 블록 자체에서 흡음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Second, it enables sound absorption on the surface of the block or on the block itself.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The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poros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problem solving means for the problem to be solved above.
본 발명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의 경우, 수직하게 기립하여 전면(front face)과 후면(rear face)을 상호 병렬적으로 이격되는 보디를 형성하는 한 쌍의 업소빙 플레이트부; 상기 한 쌍의 업소빙 플레이트부 각각을 상호 연결하며, 상호 이격된 공간에 홀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복수 개의 크로스 브릿지부; 및 상기 한 쌍의 업소빙 플레이트부의 외향 표면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음파를 트래핑하여 감쇄시키는 트래핑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poros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absorbing plate parts to form a bod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parallel to each other by standing vertically; a plurality of cross-bridges interconnecting each of the pair of absorptive plate parts to form a hole in a spac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trapping unit formed on the outward surface of the pair of absorptive plate parts to trap and attenuate sound waves flowing in from the outside.
본 발명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의 경우, 상기 한 쌍의 업소빙 플레이트부는,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 연장되어 형성되는 윙 브릿지부를 각각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poros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absorbing plate portions may further include a wing bridge portion formed to protrude from both sides, respectively.
본 발명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의 경우, 상기 트래핑 유닛은, 상기 업소빙 플레이트부의 표면으로부터 함입되어 내향 표면을 형성하는 배리어부; 및 상기 업소빙 플레이트부의 표면으로부터 함입되며, 상기 배리어부에 의해 둘러 싸이는 인시던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poros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pping unit may include: a barrier portion recessed from the surface of the absorbing plate portion to form an inwardly facing surface; And it is recessed from the surface of the absorptive plate por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cident portion surrounded by the barrier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의 경우, 상기 배리어부는, 상기 업소빙 플레이트부의 표면으로부터 내향 확장되는 형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poros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rrier por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formation extending inwardly from the surface of the absorbing plate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의 경우, 상기 인시던스부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음파를 상기 배리어부로 반사시키면, 상기 배리어부는 상기 인시던스부로부터 반사된 음파를 상기 배리어부 내에서 트래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poros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cident unit reflects a sound wave coming from the outside to the barrier unit, the barrier unit traps the sound wave reflected from the incident unit within the barrier unit. can be characterized as
본 발명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의 경우, 상기 업소빙 플레이트부는, 스톤(stone)으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범위를 가지는 크기의 오브젝트에 해당하는 스톤부; 및 상기 스톤부를 수용하며, 시멘트와 물을 주 배합성분으로 하는 콤파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poros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sorptive plate portion is made of a stone (stone), the stone portion corresponding to an object of a size having a predetermined range; And it accommodates the stone part,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mpound part containing cement and water as main mixing components.
본 발명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의 경우, 상기 업소빙 플레이트부는, 상기 콤파운드부의 점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스톤부의 공극률을 미리 설정된 가상의 라인을 따르는 영역별로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poros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sorbing plate part selectively adjusts the viscosity of the compound part to selectively adjust the porosity of the stone part for each area along a preset virtual line. can be characterized as
본 발명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의 경우, 상기 업소빙 플레이트부는, 상기 미리 설정된 가상의 라인으로 구획된 영역을 상호 교차적으로 구비하도록 임의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poros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sorptive plate por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bitrarily set to have an area partitioned by the preset virtual line to cross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의 경우, 상기 미리 설정된 가상의 라인으로 구획되는 영역은, 상기 공극률이 하부로부터 상부에 이르기까지 연속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임의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poros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partitioned by the preset virtual line can be arbitrarily set so that the porosity continuously increases or decreases from the bottom to the top can be done with
본 발명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의 경우, 상기 미리 설정된 가상의 라인은, 상기 업소빙 플레이트부의 전체면으로 그 경계가 확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poros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t virtual lin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s boundary is expandable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absorbing plate portion.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e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poros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외벽 혹은 내벽을 구성하는 블록으로 형성되어, 내력벽 혹은 비내력벽을 형성하거나, 건물 외부의 토지 경계선으로서 물리적인 구획 기능도 수행하게 된다.First, it is formed as a block constituting an outer wall or an inner wall, forming a load-bearing wall or a non-bearing wall, or performing a physical division function as a land boundary line outside the building.
둘째,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노이즈를 표면을 통해 흡음하게 된다.Second, noise generated from the outside is absorbed through the surface.
셋째, 내부 공극의 조절을 통해 노이즈의 저감을 형성하게 된다. Third, noise reduction is achieved through adjustment of the internal air gap.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의 제1 부분 확대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의 제2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의 제3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 중, 미리 설정된 가상의 라인을 따른 영역별로 다양한 공극률 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을 도시한 예시이다.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 중, 미리 설정된 가상의 라인을 따른 영역별로 공극률이 교차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예시들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poros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a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poros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irst partial enlarged view of a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poros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econd partial enlarged view of the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poros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third enlarged view of a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poros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ample showing that various porosity adjustment is made for each area along a preset virtual line among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s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poros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examples showing that the porosity is formed alternately for each area along a preset virtual line among the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poros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poros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의 제1 부분 확대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의 제2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의 제3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 중, 미리 설정된 가상의 라인을 따른 영역별로 다양한 공극률 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을 도시한 예시이다. 도 7및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 중, 미리 설정된 가상의 라인을 따른 영역별로 공극률이 교차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예시들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poros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a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poros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irst partial enlarged view of a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poros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econd partial enlarged view of the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poros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third enlarged view of a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poros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ample showing that various porosity adjustment is made for each area along a preset virtual line among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s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poros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examples showing that the porosity is formed alternately for each area along a preset virtual line among the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poros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 블록(block) 상에 형성되는 흡음 매커니즘에 관한 것에 해당한다. In the case of a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poros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it corresponds to a sound-absorbing mechanism formed on a porous block.
다공 블록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부(H)의 개수의 제한이 없으며, 일반적인 다공 블록 외, 사각 박스 형태의 블록에 해당하여도 무방하다.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porous block is not limited in the number of the hole portions (H), and may correspond to a rectangular box-shaped block in addition to a general porous block.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의 경우, 업소빙 플레이트(absorbing plate)부(110), 크로스 브릿지(cross bridge)부(200), 및 트래핑 유닛(trapping unit, 300)을 포함할 수 있다.First, in the case of a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poros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먼저, 업소빙 플레이트부(110)의 경우,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하게 기립하여 전면(front face)과 후면(rear face)을 상호 병렬적으로 이격되는 보디를 형성하는 한 쌍에 해당하게 된다.First, in the case of the
즉, 삼공 블록 상에서 전면(front)과 후면(rear face)를 형성하는 구성하여, 개별적인 블록들을 상하로 적체하게 되면, 주된 하중의 지지와 내력을 형성하는 구성이 바로 업소빙 플레이트부(110)에 해당한다.That is, when the individual blocks are stacked up and down by configuring the front and rear faces on the three-hole block, the configuration that forms the main load support and proof force is just the
업소빙 플레이트부(110)는 콘크리트, 혹은 시멘트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Absorbing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 브릿지부(200)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한 쌍의 업소빙 플레이트부(110) 각각을 상호 연결하며, 상호 이격된 공간에 홀부(H)를 형성하도록 하는 구성이다.1 and 2, in the case of the
크로스 브릿지부(200)의 경우, 블록이 삼공 블록이면 한 쌍으로 이격되어 병렬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업소빙 플레이트부(110)를 4개의 크로스 브릿지부(200)가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물론, 크로스 브릿지부(200)의 개수 자체는 홀부(H)의 개수를 설정함에 따라 임의로 재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case of the
트래핑 유닛(300)의 경우, 한 쌍의 업소빙 플레이트부(110)의 전면과 후면의 외향하는 표면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음파를 트래핑하여 감쇄시키는 구성에 해당한다.In the case of the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래핑 유닛(300)은 상하로 내향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필요에 따라 트래핑 유닛(300)의 방향은 가로로 내향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하 및 가로로 교차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가로 세로 1 제곱 센치미터 혹은 필요에 따라 다른 크기의 면적을 가진 스팟(spot)의 집합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1 to 3 , the
본 발명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의 업소빙 플레이트부(110)의 경우, 윙 브릿지(wing bridge)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absorbing
윙 브릿지부(120)의 경우, 업소빙 플레이트부(110)의 좌우측의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 연장되어 형성되는 구성이다. In the case of the
블록과 블록을 수평적으로 상호 접합하도록 배치할 경우, 윙 브릿지부(120)는 상호 마주 접합되면서, 블록과 블록 사이에 홀부(H)를 형성시키게 된다. When the block and the block are arranged to be horizontally bonded to each other, the
본 발명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의 트래핑 유닛(300)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리어(barrier)부(310) 및 인시던스(incidence)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먼저, 배리어부(310)의 경우,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소빙 플레이트부(110)의 표면으로부터 함입되어 내향 표면을 형성하는 구성이다.First, in the case of the
아울러, 인시던스부(320)의 경우,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소빙 플레이트부(110)의 표면으로부터 함입되며, 배리어부(310)에 의해 둘러 싸이는 구성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배리어부(310)는 업소빙 플레이트부(110)의 표면으로부터 내향 확장되는 형성을 구비하는 구성이다.As described above, the
아울러, 인시던스부(320)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음파를 배리어부(310)로 반사시키면, 배리어부(310)는 인시던스부(320)로부터 반사된 음파를 배리어부(310) 내에서 트래핑시키는 구성이다.In addition, when the
즉, 외부로부터 소음 즉, 음파가 업소빙 플레이트부(110)에 수직하게 입사하는 예외적인 경우 외에는 대부분의 음파는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업소빙 플레이트부(110)에 들어오며, 이렇게 들어온 음파 중,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오목하게 형성된 트패핑 유닛(300) 내부로 들어오면 인시던스부(320)에 충돌한 음파는 배리어부(310)에 반사된 후, 다시 내향 반사되는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트래핑 유닛(300) 내에 갇히고 쇄락하게 된다.That is, most of the sound waves enter the
물론, 인시던스부(320)로 수직하게 입사하는 음파라 할지라도, 몸체를 형성하는 업소빙 플레이트부(110)의 재질에 의하여 난반사 등의 형태를 가지며, 이에 따라 많은 부분의 음파 에너지는 트래핑 유닛(300) 내에 갇히고 쇄락하게 된다.Of course, even sound waves that are perpendicularly incident to the
본 발명에 따른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의 업소빙 플레이트부(110)의 경우, 스톤(stone)부(111) 및 콤파운드(compound)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absorbing
스톤부(111)의 경우, 자갈, 암석 등의 돌 즉, 스톤(stone)으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범위를 가지는 크기의 오브젝트에 해당한다.In the case of the
즉, 스톤부(111)는 물에 용해되지 않으며, 물과 시멘트의 배합물에 같이 용해되지 않는 오브젝트에 해당한다. That is, the
콤파운드부(112)의 경우, 스톤부(111)를 수용하며, 시멘트와 물을 주 배합성분으로 하는 구성이다. In the case of the
위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업소빙 플레이트부(110)의 경우, 콤파운드부(112)의 점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스톤부(111)의 공극률을 미리 설정된 가상의 라인(L)을 따르는 영역별로 선택적으로 조절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여기서, 미리 설정된 가상의 라인(L)의 경우, 사람의 육안으로 관찰할 수 없는 개념적인 하나의 영역적 구획 라인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는 공극률의 불연속적인 차이의 의하여 드러낼 수 있다. Here, in the case of the preset virtual line L, it can be defined as a conceptual regional division line that cannot be observed with the human eye, which can be revealed by the discontinuous difference in porosity.
아울러, 미리 설정된 가상의 라인(L)의 경우, 업소빙 플레이트부(110)의 전체면으로 그 경계가 확장 즉, 보디 유닛(100) 아웃 라인 전체를 하나의 미리 설정된 가상의 라인(L)으로 확장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preset virtual line (L), the boundary is extend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absorbing
미리 설정된 가상의 라인이 폐곡선으로 형성되면, 하나의 구획된 영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하나의 구획된 영역은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혹은 상하로 구획될 수도 있다.When the preset virtual line is formed as a closed curve, it may be composed of one divided area, and as shown in FIGS. 4 and 5 , one divided area may be divided left and right or up and down.
하나의 구획된 영역은 공극률을 상대적으로 밀한 영역으로 할 수도 있고, 다른 구획된 영역은 공극률을 상대적으로 소한 영역으로 할 수도 있다. One partitioned region may have a relatively dense porosity, and the other partitioned region may have a relatively small porosity.
이렇게 밀한 영역과 소한 영역을 좌우 수평적 구획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상하로 구획되도록 할 수 있다. As such, the dense area and the small area can be divided horizontally on the left and right, as well as vertically.
아울러, 밀하고 소한 공극률의 경우, 하나의 영역 내에서도 상하로 밀하고 소한 영역이 연속적으로 변화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dense and small porosity,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change the dense and small regions up and down even within one region.
이를 통해,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소빙 플레이트부(110)는 미리 설정된 가상의 라인(L)으로 구획된 영역을 상호 교차적으로 구비하도록 임의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Through this, as shown in FIGS. 7 and 8 , the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가상의 라인(L)으로 구획되는 영역의 경우, 공극률이 하부로부터 상부에 이르기까지 연속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임의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a region partitioned by a preset virtual line L, of course, the porosity may be arbitrarily set to continuously increase or decrease from the bottom to the top.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parentheses used in the claims are not described for selective limitation, but are used for clear components, and descriptions in parentheses are also interpreted as essential components. should be
e: 에지(edge)부
H: 홀(hole)부
100: 보디 유닛(body unit)
110: 업소빙 플레이트(absorbing plate)부
111: 스톤(stone)부
112: 콤파운드(compound)부
120: 윙 브릿지(wing bridge)부
200: 크로스 브릿지(cross bridge)부
300: 트래핑 유닛(trapping unit)
310: 배리어(barrier)부
320: 인시던스(incidence)부e: edge portion
H: hole part
100: body unit (body unit)
110: absorbing plate (absorbing plate) part
111: stone (stone) part
112: compound (compound) part
120: wing bridge (wing bridge) part
200: cross bridge (cross bridge) part
300: trapping unit (trapping unit)
310: barrier (barrier) portion
320: incident (incidence) part
Claims (10)
상기 한 쌍의 업소빙 플레이트부 각각을 상호 연결하며, 상호 이격된 공간에 홀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복수 개의 크로스 브릿지부; 및
상기 한 쌍의 업소빙 플레이트부의 외향 표면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음파를 트래핑하여 감쇄시키는 트래핑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
A pair of absorbing plate portions to form a body that is vertically standing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parallel with the front (front face) and the rear (rear face);
a plurality of cross bridge parts interconnecting each of the pair of absorptive plate parts to form a hole in a spac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ormed on the outward surface of the pair of absorptive plate part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rapping unit for attenuating by trapping sound waves coming from the outside, porosity arbitrarily adjustable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 연장되어 형성되는 윙 브릿지부를 각각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ir of absorbing plate portion,
A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porosit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wing bridge portion formed to protrude from both sides.
상기 업소빙 플레이트부의 표면으로부터 함입되어 내향 표면을 형성하는 배리어부; 및
상기 업소빙 플레이트부의 표면으로부터 함입되며, 상기 배리어부에 의해 둘러 싸이는 인시던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pping unit,
a barrier portion recessed from the surface of the absorptive plate portion to form an inwardly facing surface; and
It is recessed from the surface of the absorptive plat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cident portion surrounded by the barrier portion, porosity arbitrarily adjustable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상기 업소빙 플레이트부의 표면으로부터 내향 확장되는 형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The barrier portion,
A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porosity,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formation that extends inwardly from the surface of the absorptive plate portion.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음파를 상기 배리어부로 반사시키면, 상기 배리어부는 상기 인시던스부로부터 반사된 음파를 상기 배리어부 내에서 트래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ncident unit,
When a sound wave introduced from the outside is reflected to the barrier part, the barrier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pping the sound wave reflected from the incident part in the barrier part, the porosity arbitrarily adjustable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스톤(stone)으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범위를 가지는 크기의 오브젝트에 해당하는 스톤부; 및
상기 스톤부를 수용하며, 시멘트와 물을 주 배합성분으로 하는 콤파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bsorptive plate portion,
a stone unit made of a stone and corresponding to an object of a size having a predetermined range; and
Accommodating the ston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mpound portion having cement and water as the main mixing components, the porosity arbitrarily adjustable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상기 콤파운드부의 점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스톤부의 공극률을 미리 설정된 가상의 라인을 따르는 영역별로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6, The absorptive plate portion,
By selectively adjusting the viscosity of the compound part, the porosity of the stone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selectively adjusting the porosity for each area along a preset virtual line, the porosity arbitrarily adjustable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상기 미리 설정된 가상의 라인으로 구획된 영역을 상호 교차적으로 구비하도록 임의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bsorptive plate portion,
A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porosit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bitrarily set to have an area divided by the preset virtual line to cross each other.
상기 공극률이 하부로부터 상부에 이르기까지 연속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임의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area partitioned by the preset virtual line,
The porosit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set arbitrarily to continuously increase or decrease from the bottom to the top, the porosity arbitrarily adjustable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상기 업소빙 플레이트부의 전체면으로 그 경계가 확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극률 임의 조절이 가능한 흡음 서페이스 블록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9, wherein the preset virtual line,
A sound-absorbing surface block system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poros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boundary is expandable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absorptive plate par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46046A KR102591302B1 (en) | 2020-11-04 | 2020-11-04 | Block system equipped with surface for absorbing noise having function of regulating porosit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46046A KR102591302B1 (en) | 2020-11-04 | 2020-11-04 | Block system equipped with surface for absorbing noise having function of regulating porosit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60254A true KR20220060254A (en) | 2022-05-11 |
KR102591302B1 KR102591302B1 (en) | 2023-10-18 |
Family
ID=81607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46046A Active KR102591302B1 (en) | 2020-11-04 | 2020-11-04 | Block system equipped with surface for absorbing noise having function of regulating porosit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91302B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36028A (en) * | 1998-05-28 | 1999-12-07 | Kagaichi Jitsugyo Kk | Sound-absorption block |
JP3083399U (en) * | 2001-07-13 | 2002-01-25 | エスビック株式会社 | Architectural concrete block |
KR100581405B1 (en) | 2003-12-29 | 2006-05-23 | (주) 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 Concrete block with ocher surface layer |
KR100837184B1 (en) | 2007-04-25 | 2008-06-13 | 주식회사 이노블록 | Permeable concrete block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KR20090088765A (en) * | 2008-02-16 | 2009-08-20 |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 Sound absorption block |
KR101117675B1 (en) | 2008-11-05 | 2012-03-07 | 김선미 | Concrete Block And Method For Construct The Wall of Building Using That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83399B2 (en) * | 1992-04-21 | 2000-09-04 | 松下冷機株式会社 | Control device for air conditioner |
-
2020
- 2020-11-04 KR KR1020200146046A patent/KR10259130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36028A (en) * | 1998-05-28 | 1999-12-07 | Kagaichi Jitsugyo Kk | Sound-absorption block |
JP3083399U (en) * | 2001-07-13 | 2002-01-25 | エスビック株式会社 | Architectural concrete block |
KR100581405B1 (en) | 2003-12-29 | 2006-05-23 | (주) 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 Concrete block with ocher surface layer |
KR100837184B1 (en) | 2007-04-25 | 2008-06-13 | 주식회사 이노블록 | Permeable concrete block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KR20090088765A (en) * | 2008-02-16 | 2009-08-20 |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 Sound absorption block |
KR101117675B1 (en) | 2008-11-05 | 2012-03-07 | 김선미 | Concrete Block And Method For Construct The Wall of Building Using Tha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91302B1 (en) | 2023-10-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67752B2 (en) | Interlocking construction systems and methods | |
CN110273438A (en) | A kind of step type vibration isolation ditch barri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JP2007510829A (en) | Block-type building stone used for building materials for walls and manufacturing method | |
CN111519668A (en) | A sandwich multi-layer assembled vibration isolation trench | |
US20100254795A1 (en) | Modular cemented planar structure | |
CN106638627A (en) | Stone laying face protection structure of half pouring concrete | |
KR20220060254A (en) | Block system equipped with surface for absorbing noise having function of regulating porosity | |
CN207538074U (en) | Retaining Walls of Hollow Concrete Blocks | |
JP2007291656A (en) | Permeable lid for rainwater storage tank, and rainwater storage facility | |
EP0833989A1 (en) | Wall structure | |
CN202519855U (en) | Aerated concrete block | |
MX2012010360A (en) | Block for construction and method to build walls with said block. | |
JP3547587B2 (en) | Sound absorbing wall structure | |
CN202055222U (en) | Six arriss body stone masonry prefabricated block | |
JPS6195110A (en) | Method of increasing stability of block type weir | |
KR20160035282A (en) | block | |
CN110748037A (en) | A kind of inner filling gypsum block load-bearing composite wallboard and its masonry method | |
KR102495825B1 (en) | Floor structure for reducing floor impact sound | |
CN216196267U (en) | Heat preservation floor structure | |
RU2791088C1 (en) | Wall fixed concrete formwork for the construction of wall structures | |
KR20090115694A (en) | Noise reduction panel between building floors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CN212534104U (en) | Novel super-long concrete seamless construction structure | |
JP4436789B2 (en) | Widening construction method | |
CN107130729A (en) | A kind of assembled horizontal hole building block | |
JP2002088960A (en) | Slab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8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302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8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302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10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307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305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302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10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0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10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