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0161A - Open and close apparatus for a tailgate of vehicle - Google Patents
Open and close apparatus for a tailgate of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60161A KR20220060161A KR1020200145802A KR20200145802A KR20220060161A KR 20220060161 A KR20220060161 A KR 20220060161A KR 1020200145802 A KR1020200145802 A KR 1020200145802A KR 20200145802 A KR20200145802 A KR 20200145802A KR 20220060161 A KR20220060161 A KR 202200601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ube
- motor
- tailgate
- shaft
- ca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 E05F15/62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using screw-and-nut mechanism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05F15/5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swinging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4—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meshing gear wheels, one of which being mounted at the wing pivot axis; operated by a motor acting directly on the wing pivot axi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34—Electromotors; Details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74—Compression spr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96—Screw mechanism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6—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upward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테일게이트를 닫으려는 외력이 작용할 시 상기 외력이 모터로 전달되는 것을 완전 차단할 수 있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는, 제1 튜브와, 상기 제1 튜브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튜브와, 상기 제1 튜브 내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제1 튜브 및 상기 제2 튜브가 이루는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며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스핀들축과,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수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모터의 구동 시 상기 제2 튜브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무빙축과, 상기 모터 및 상기 스핀들축 사이에 배치되는 단속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단속 유닛은, 상기 제1 튜브 내에 설치되고 내부의 축방향 일면에 내측 단속면이 형성된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 내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의 구동 여부에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내측 단속면에 의해 단속(斷續)되는 클러치를 포함한다.There is provided a tailgate opening/closing device for a vehicle capable of completely blocking transmission of the external force to a motor when an external force to close the tailgate is applied.
To this end, the tailgate opening/clos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tube, a second tube axially movably installed on the first tube, a motor installed in the first tube, and the first tube. A spindle shaft disposed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first tube and the second tube,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and having a male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female thread disposed in the inner space and screwed with the male screw thread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moving shaft for moving the second tube in the axial direction when the motor is driven, and an intermittent unit disposed between the motor and the spindle shaft, wherein the intermittent unit is installed in the first tube and has an internal It includes a fixed ring having an inner intermittent surface formed on one surface in the axial direction, and a clutch disposed in the fixed ring and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according to whether the motor is driven and interrupted by the inner intermittent surfa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의 구동력으로 테일게이트를 자동 개폐할 수 있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ilgate opening/closing devic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ailgate opening/closing device for a vehicle capable of automatically opening/closing a tailgate by a driving force of a motor.
일반적으로 차량의 후미에는 화물칸인 트렁크 룸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트렁크 룸을 개폐하는 테일게이트가 설치되어 있다.In general, a trunk room, which is a cargo compartment, is provided at the rear of a vehicle, and a tailgat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runk room is installed.
종래에는 상기 테일게이트를 닫은 상태로 붙들고 있는 잠금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잠금장치가 상기 테일게이트를 잠금해제한 후,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테일게이트를 들어올리면 가스리프터가 테일게이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수동적인 테일게이트 개폐장치가 사용되었다.Conventionally, there is provided a locking device for holding the tailgate in a closed state, and after the locking device unlocks the tailgate, when the user directly lifts the tailgate by hand, the gas lifter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tailgate. An in-tailgate switchgear was used.
하지만, 최근에는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테일게이트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파워 테일게이트'가 개발되어, 사용자가 무거운 짐을 든 채로 차량 후미 밑에 발을 집어넣는 동작으로, 센서가 상기 발을 감지하고 이를 통해 상기 모터가 작동되어서 상기 테일게이트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되었다.However, recently, a 'power tailgate' that can automatically open and close the tailgate using the driving force of a motor has been developed, and the user puts his/her foot under the rear of the vehicle while carrying a heavy load, and the sensor detects the foot. And through this, the motor is operated to automatically open and close the tailgate.
국제공개번호 WO2017/081277(2017.05.18.)(이하, '종래 기술'이라 함)에는 상기 파워 테일게이트인 '스핀들 구동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종래 기술의 이해를 위해, 상기 종래 기술의 문헌에 기재된 주요구성에 도면부호를 병기하겠으나, 이 도면부호는 본 출원서의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으므로, 종래 기술의 문헌을 참고하면 될 것이다.International Publication No. WO2017/081277 (2017.05.18.)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iscloses a 'spindle driving device' that is the power tailgate. Here,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prior art, reference numerals will be added to the main components described in the literature of the prior art. However, since these reference numerals are not shown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application, reference will be made to the literature of the prior art.
상기 종래 기술은 모터 유닛(9a)의 구동력에 의해 스핀들(11)이 회전됨으로써, 차량의 테일게이트인 플랩(2)이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the prior art, the spindle 11 is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unit 9a, so that the flap 2, which is the tailgate of the vehicle, is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그런데, 상기 종래 기술과 같은 스핀들 구동 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소유자는 상기 스핀들 구동 장치의 기능을 알고 있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으나, 상기 스핀들 구동 장치의 기능을 모르고 있는 사람은 플랩(2)이 개방된 상태에서 플랩(2)을 수동으로 닫을려고 시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랩(2)이 개방된 상태에서 플랩(2)에 닫힐려는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상기 외력이 모터 유닛(9a)에 전달되어 상기 모터 유닛(9a)이 파손되거나 고장날 수 있으므로, 상기 종래 기술에는 상기 외력이 상기 모터 유닛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속 유닛(13)이 설치된다.However, it is not a problem for the owner of a vehicle in which the spindle driving device as in the prior art is installed knows the function of the spindle driving device. Attempt to manually close the flap (2). As described above, when an external force to close the flap 2 is applied to the flap 2 in the open state, the exter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motor unit 9a and the motor unit 9a may be damaged or broken. In the prior art, an intermittent unit 13 for preventing the external force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motor unit is installed.
즉, 종래 기술은 플랩(2)에 닫힐려는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종래 기술 문헌의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핀들(11)이 역회전되면서 아래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조정부재(18)가 아래가 이동되면서 스프링 유닛(21)을 압착시키며, 스프링 유닛(21)의 복원력에 의해 제동대응부재(20)가 제동부재(19)와 마찰됨으로써, 제동부재(19)가 설치된 컴포넌트(15)의 역회전이 방지되므로, 상기 외력이 상기 모터 유닛(9a)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at is, in the prior art, when an external force to close is applied to the flap 2, as shown in FIG. 2 of the prior art document, the spindle 11 is moved downward while being reversely rotated, and accordingly, the adjusting member 18 is As the bottom moves, the spring unit 21 is compressed, and the braking response member 20 rubs against the braking member 19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unit 21, so that the component 15 in which the braking member 19 is installed Since reverse rotation is preven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xternal force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motor unit 9a.
하지만, 상기 종래 기술은 상기 제동부재(19) 및 상기 제동대응부재(20)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상기 외력이 상기 모터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상기 모터로 전달되는 상기 외력을 완전 차단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prior art uses the friction force of the braking member 19 and the braking response member 20 to prevent the external force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motor, so that the external force transmitted to the motor can be completely blocked. There was a problem that it didn't exist.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테일게이트를 닫으려는 외력이 작용할 시 상기 외력이 모터로 전달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ailgate opening/closing device for a vehicle capable of completely blocking transmission of an external force to a motor when an external force to close the tailgate is applied.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는, 제1 튜브, 제2 튜브, 모터, 스핀들축, 무빙축 및 단속 유닛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 튜브는 상기 제1 튜브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모터는 상기 제1 튜브 내에 설치된다. 상기 스핀들축은 상기 제1 튜브 및 상기 제2 튜브가 이루는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스핀들축은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스핀들축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무빙축은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무빙축의 내주면에는 상기 수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무빙축은 상기 모터의 구동 시 상기 제2 튜브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단속 유닛은 상기 모터 및 상기 스핀들축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단속 유닛은 고정링 및 클러치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링은 상기 제1 튜브 내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링의 내부에는 축방향 일면에 내측 단속면이 형성된다. 상기 클러치는 상기 고정링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클러치는 상기 모터의 구동 여부에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내측 단속면에 의해 단속(斷續)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tailgate opening/clos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tube, a second tube, a motor, a spindle shaft, a moving shaft, and an intermittent unit. The second tube is axially movably installed on the first tube. The motor is installed in the first tube. The spindle shaft is disposed in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first tube and the second tube. The spindle shaft is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A male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pindle shaft. The moving shaft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A female thread screwed to the male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ving shaft. The moving shaft moves the second tube in an axial direction when the motor is driven. The intermittent unit is disposed between the motor and the spindle shaft. The regulation unit is composed of a fixed ring and a clutch. The fixing ring is installed in the first tube. An inner intermittent surface is formed on one surface in the axial direction inside the fixing ring. The clutch is disposed inside the fixing ring. The clutch is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motor is driven and is intermittent by the inner intermittent surface.
상기 단속 유닛에는 입력축 및 출력축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축에는 상기 모터의 구동력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입력축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고정링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출력축은 상기 클러치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출력축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고정링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출력축은 상기 스핀들축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입력축의 축방향 일면과, 상기 클러치의 축방향 일면 중, 어느 하나에는 쐐기형의 제1 캠돌기가 형성될 수 있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1 캠돌기가 삽입되는 쐐기형의 제1 캠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출력축의 축방향 일면과, 상기 클러치의 축방향 타면 중, 어느 하나에는 쐐기형의 제2 캠돌기가 형성될 수 있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2 캠돌기가 삽입되는 쐐기형의 제2 캠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shaft and an output shaft.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may be input to the input shaft. At least a portion of the input shaft may be inserted into the fixing ring. The output shaft may be rotated by the clutch.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put shaft may be inserted into the fixing ring. The output shaft may be coupled to the spindle shaft. A wedge-shaped first cam projection may be formed on one of the axial surface of the input shaft and the axial surface of the clutch, and a wedge-shaped first cam groove into which the first cam projection is inserted. can be formed. A wedge-shaped second cam projection may be formed on one of the axial surface of the output shaft and the other axial surface of the clutch, and a wedge-shaped second cam groove into which the second cam projection is inserted. can be formed.
상기 내측 단속면은 제1 내측 걸림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의 축방향 일면에는 상기 제1 내측 걸림돌기에 걸림되는 제2 내측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intermittent surface may be formed as a first inner locking protrusion. A second inner locking projection caught by the first inner locking projection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lutch.
상기 제1 내측 걸림돌기 및 상기 제2 내측 걸림돌기 각각은 복수개의 치형상으로 형성되어 기어면을 이룰 수 있다.Each of the first inner locking projection and the second inner locking projection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tooth shapes to form a gear surface.
상기 제1 캠돌기는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캠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캠홈은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캠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캠돌기는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캠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캠홈은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캠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am protrusion may be formed of a pair of first cam protrusions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The first cam groove may be formed of a pair of first cam grooves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The second cam projection may be formed of a pair of second cam projections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The second cam groove may be formed as a pair of second cam grooves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에는, 가이드 튜브, 메인 스프링 및 차체 결합부재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튜브는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튜브에는 상기 스핀들 축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튜브에는 상기 무빙축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스프링의 하단은 상기 가이드 튜브의 하단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로워 플랜지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스프링의 상단은 상기 무빙축의 상단부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어퍼 플랜지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차체 결합부재는 상기 제1 튜브의 하단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차체 결합부재에는 차체 결합링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체 결합링은 상기 제1 튜브의 하단에 결합된 로워 엔드 캡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기 제1 튜브의 외부에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무빙축에는 테일게이트 결합링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일게이트 결합링은 상기 제2 튜브의 상단에 결합된 어퍼 엔드 캡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기 제2 튜브의 외부에 돌출 배치될 수 있다.The tailgate opening/clos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guide tube, a main spring, and a vehicle body coupling member. The guide tube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The spindle shaft may be inserted into the guide tube. The moving shaft may be installed in the guide tube to be movable in an axial direction. A lower end of the main spring may be supported by a lower flange protruding radially outward from a lower end of the guide tube. An upper end of the main spring may be supported by an upper flange protruding radially outward from an upper end of the moving shaft. The vehicle body coupling member may be installed inside a lower end of the first tube. A vehicle body coupling ring may be formed on the vehicle body coupling member. The vehicle body coupling ring may be disposed to protrude outside the first tube through a hole formed in a lower end cap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first tube. A tailgate coupling ring may be formed on the moving shaft. The tailgate coupling ring may be disposed to protrude outside the second tube through a hole formed in an upper end cap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second tube.
상기 제1 튜브 내에는 감속기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감속기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상기 입력축으로 전달할 수 있다.A reduction gear may be further installed in the first tube. The reducer may reduce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tion shaft of the motor and transmit it to the input shaft.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는, 모터의 구동 시에는 클러치가 축방향 일측으로 이동되어 고정링 내부의 축방향 일면에 형성된 내측 단속면에서 연결해제되기 때문에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스핀들축이 회전 가능하게 되므로, 제2 튜브가 축방향으로 이동되어서 테일게이트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고, 상기 모터가 구동되지 않을 시에는 상기 클러치가 축방향 타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내측 단속면에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스핀들축의 역회전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상기 테일게이트를 닫으려는 외력이 상기 모터로 전달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tailgate opening/clos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otor is driven, the clutch is moved to one side in the axial direction and is disconnected from the inner intermittent surface formed on the axial direction inside the fixing ring, so that the spindle shaft is driven by the motor. Since this rotatable, the second tube moves in the axial direction to automatically open and close the tailgate, and when the motor is not driven, the clutch moves to the other side in the axial direction and is connected to the inner intermittent surface. Since the reverse rotation of the spindle shaft is impossibl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completely block the external force to close the tailgate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motor.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의 하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의 상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단속 유닛의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단속 유닛의 일부 절개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단속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단속 유닛의 측면도로서, 모터의 구동 시 단속 유닛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단속 유닛의 측면도로서, 모터가 구동되지 않을 시 단속 유닛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ailgat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ower portion of the tailgat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vehicle shown in FIG. 1;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upper portion of the tailgat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vehicle shown in FIG. 1;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mittent unit shown in FIG. 2 in detail;
5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mittent unit shown in FIG. 4;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mittent unit shown in FIG. 5;
7 is a side view of the intermittent unit shown in FIG. 5,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intermittent unit when the motor is driven;
8 is a side view of the intermittent unit shown in FIG. 5 , and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intermittent unit when the motor is not drive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tailgate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의 하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의 상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ailgate opening/clos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ower portion of the tailgate opening/closing device of the vehicle shown in FIG. 1, and FIG. 3 is the vehicle shown in FIG. It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upper part of the tailgate switchgear of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1)는, 차량의 후미에 구비된 화물칸인 트렁크 룸을 개폐하기 위해, 상기 차량의 후미에 구비되는 도어인 테일게이트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장치로서, 두 개가 한 세트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1) 중, 어느 하나는 하단부가 상기 트렁크 룸의 좌측부 차체에 설치될 수 있고 상단부는 상기 테일게이트의 하면 좌측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는 하단부가 상기 트렁크 룸의 우측부 차체에 설치될 수 있고 상단부는 상기 테일게이트의 하면 우측부에 설치될 수 있다.1 to 3 , the tailgate opening/closing device 1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oor, which is a tail, provid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to open and close a trunk room, which is a cargo compartment provid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As a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a gate, two may be provided as a set. That is, one of the two tailgate opening and closing devices 1 may have a lower end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body of the trunk room, an upper end may be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tailgate, and the other one having a lower end portion of the trunk. It may be installed on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body of the room, and the upper end may be installed on the right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tailgate.
이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1)는 하나만 예로 들어 설명하겠으며, 상기 테일게이트가 개방된 상태일 때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1)의 위치에 따라서 상하로 구분하였고, 축방향은 상하방향과 동일한 방향일 수 있다.Hereinafter, only one tailgate opening/closing device 1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and the tailgate opening/closing device 1 is divid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ailgate opening/closing device 1 when the tailgate is open, and the axial direction is the same as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1)는, 제1 튜브(100), 제2 튜브(200), 모터(300), 스핀들축(400), 무빙축(500), 단속 유닛(600), 가이드 튜브(700), 메인 스프링(800) 및 차체 결합부재(90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ailgate opening/closing device 1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제1 튜브(100)는 상하로 긴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튜브(100)의 내부에는 원형 종단면을 가지는 내부 공간이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제2 튜브(200)도 상하로 긴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튜브(200)의 내부에도 원형 종단면을 가지는 내부 공간이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제2 튜브(200)는 제1 튜브(100)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튜브(100)의 상단부가 제2 튜브(200)의 하단부로 삽입되어서, 제2 튜브(200)가 제1 튜브(10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예시되어져 있으나, 제2 튜브(200)의 하단부가 제1 튜브(100)의 상단부로 삽입되어서, 제2 튜브(200)가 제1 튜브(10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The
제1 튜브(100) 및 제2 튜브(200)가 결합된 상태일 때, 제1 튜브(100) 및 제2 튜브(200)의 내부에는 폐쇄적이고 원형 종단면을 가지는 내부 공간이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제1 튜브(100)의 하단부는 제2 튜브(200)의 하단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튜브(200)의 상단부는 제1 튜브(100)의 상단보다 위에 배치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제1 튜브(100)의 하단에는 차체 결합링(950)이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차체 결합링(950)은 차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테일게이트가 개방될 상태일 때 테일게이트 개폐장치(1)는 상기 차체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2 튜브(200)의 상단에는 테일게이트 결합링(550)이 돌출 배치될 수 있다. 테일게이트 결합링(550)은 상기 테일게이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테일게이트가 개방된 상태일 때 테일게이트 개폐장치(1)는 상기 테일게이트를 지지할 수 있다.A vehicle
모터(300)는 제1 튜브(10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모터(300)는 제1 튜브(100) 내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튜브(100)의 하부는 상부에 비해 내경 및 외경이 크게 형성되어서, 제1 튜브(100)의 하부 내부에는 모터(30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The
모터(300)는 상기 테일게이트를 개폐하는 구동원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1)는, 모터(300)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테일게이트를 개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터(300)의 회전축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2 튜브(200)는 제1 튜브(100)에 대해 상측으로 이동되어서, 테일게이트 개폐장치(1)의 상하길이가 늘어나면서 상기 테일게이트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모터(300)의 회전축이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2 튜브(200)는 제1 튜브(100)에 대해 하측으로 이동되어서, 테일게이트 개폐장치(1)의 상하길이가 줄어들면서 상기 테일게이트를 닫을 수 있다.The
제1 튜브(100) 내에는 감속기(35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감속기(350)는 제1 튜브(100) 내에서 모터(300)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감속기(350)는 복수개의 기어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감속기(350)의 입력축은 모터(300)의 회전축과 연결될 수 있고, 감속기(350)의 출력축은 단속 유닛(600)의 입력축(630, 도 4 내지 도 8 참조)과 연결될 수 있다. 감속기(350)는 모터(300)의 회전축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입력축(630)으로 전달할 수 있다.A
모터(300)의 회전축은 모터(300)의 상측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고, 감속기(350)의 입력축은 감속기(350)의 하측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으며, 감속기(350)의 출력축은 감속기(350)의 상측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고, 단속 유닛(600)의 입력축(630)은 단속 유닛(600)의 내부공간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단속 유닛(600)의 출력축(640, 도 4 내지 도 8 참조)은 단속 유닛(600)의 내부공간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rotating shaft of the
스핀들축(400)은 제1 튜브(100) 및 제2 튜브(200)가 이루는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스핀들축(400)은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스핀들축(400)의 하단부는 단속 유닛(600)의 출력축(640)과 연결되어서, 스핀들축(400)은 모터(30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The
무빙축(500)은 제1 튜브(100) 및 제2 튜브(200)가 이루는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무빙축(500)은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moving
스핀들축(400)의 상부는 무빙축(500)의 하부로 삽입될 수 있다. 무빙축(500)은 두 개의 파트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스핀들축(400)이 삽입되는 하부의 내외부가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빙축(500)은 이종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테일게이트를 지지할 수 있는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An upper portion of the
스핀들축(400)의 하부는 무빙축(500)의 하단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고, 무빙축(500)의 상부는 스핀들축(400)의 상단보다 위에 배치될 수 있다.A lower portion of the
스핀들축(400)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무빙축(500)의 내주면에는 상기 수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300)가 구동되면 스핀들축(400)이 회전되어서, 무빙축(500)은 축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2 튜브(200)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테일게이트가 개폐될 수 있다.A male thread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무빙축(500)에는 테일게이트 결합링(550)이 형성될 수 있다. 테일게이트 결합링(550)은 무빙축(50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테일게이트 결합링(550)은 상기 테일게이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
제2 튜브(200)의 상단에는 어퍼 엔드 캡(250)이 결합될 수 있다. 어퍼 엔드 캡(250)은 제2 튜브(200)의 상단 외주에 씌워질 수 있다. 어퍼 엔드 캡(250)은 제2 튜브(2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성들의 조립을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테일게이트 결합링(550)은 어퍼 엔드 캡(250)에 형성된 홀을 통해 제2 튜브(200)의 외부에 돌출 배치될 수 있다.An
단속 유닛(600)은 모터(300) 및 스핀들축(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테일게이트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테일게이트에 닫힐려는 외력이 작용하면, 단속 유닛(600)은 상기 외력이 모터(30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서, 모터(300)의 파손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The
단속 유닛(60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하고, 가이드 튜브(700), 메인 스프링(800) 및 차체 결합부재(900)에 대해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가이드 튜브(700)는 제1 튜브(100) 및 제2 튜브(200)가 이루는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튜브(700)는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튜브(700)는 하단부가 제1 튜브(100) 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The
가이드 튜브(700)에는 원형의 종단면을 가지는 내부 공간이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튜브(700)의 내부 공간에는 스핀들 축(400)이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튜브(700)에는 무빙축(500)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the
가이드 튜브(700)의 하단에는 로워 플랜지(710)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무빙축(500)의 상단부에는 어퍼 플랜지(510)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로워 플랜지(710) 및 어퍼 플랜지(510)는 제1 튜브(100) 및 제2 튜브(200)가 이루는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A
무빙축(500)의 하단부는 가이드 튜브(700)의 상단을 통해 가이드 튜브(70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moving
무빙축(500) 중 어퍼 플랜지(510)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부분은 메인 스프링(800)의 상단을 통해 메인 스프링(80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튜브(700) 중 로워 플랜지(710)보다 위에 배치되는 부분은 메인 스프링(800)의 하단을 통해 메인 스프링(80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A portion of the moving
메인 스프링(800)은 코일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스프링(800)은 어퍼 플랜지(510) 및 로워 플랜지(7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메인 스프링(800)의 상단은 어퍼 플랜지(510)에 지지될 수 있고, 메인 스프링(800)의 하단은 로워 플랜지(710)에 지지될 수 있다.The
차체 결합부재(900)는 제1 튜브(100)의 하단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차체 결합부재(900)는 제1 튜브(100) 내에서 모터(300)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The vehicle
차체 결합부재(900)에는 차체 결합링(950)이 형성될 수 있다. 차체 결합링(950)은 차체 결합부재(900)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차체 결합링(950)은 상기 차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 vehicle
제1 튜브(100)의 하단에는 로워 엔드 캡(150)이 결합될 수 있다. 로워 엔드 캡(150)은 제1 튜브(100)의 하단에 씌워질 수 있다. 로워 엔드 캡(150)은 제1 튜브(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성들의 조립을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차체 결합링(950)은 로워 엔드 캡(150)에 형성된 홀을 통해 제1 튜브(100)의 외부에 돌출 배치될 수 있다.A
한편, 상기 테일게이트가 개방되어 모터(300)가 구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테일게이트에 닫힐려는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단속 유닛(600)은 스핀들축(400)의 역회전을 방지하여서, 상기 테일게이트에 작용하는 상기 외력이 모터(300)로 전달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게 한다. 물론, 모터(300)의 구동 시에 단속 유닛(600)은 스핀들축(400)의 회전 및 역회전을 가능하게 하여서 상기 테일게이트가 개폐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단속 유닛(6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아래에서 살펴보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ailgate is opened and an external force to close the tailgate is applied to the tailgate while the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단속 유닛의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단속 유닛의 일부 절개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단속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4 is a detailed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mittent unit shown in FIG. 2 , FIG. 5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mittent unit shown in FIG. 4 , and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mittent unit shown in FIG. 5 .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단속 유닛(600)은, 고정링(610), 클러치(620), 입력축(630) 및 출력축(640)을 포함할 수 있다.1 to 6 , the
고정링(610)은 제1 튜브(10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단속 유닛(600)은 제1 튜브(100) 내에서 모터(300) 및 감속기(350)보다 상측에 배치되므로, 고정링(610)은 제1 튜브(100) 내에서 모터(300) 및 감속기(350)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고정링(610)은 제1 튜브(100) 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The fixing
고정링(610)의 내부에는 축방향 일면에 내측 단속면(611)이 형성될 수 있고, 클러치(620)는 모터(300)의 구동 여부에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내측 단속면(611)에 의해 단속(斷續, 연결되거나 연결해제)될 수 있다.An inner
고정링(610)의 내부에는 제1 링형 돌기(612)가 형성될 수 있고, 내측 단속면(611)은 제1 링형 돌기(612)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A first ring-shaped
또한, 고정링(610)의 내부에는 제2 링형 돌기(613)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링형 돌기(613)는 반경방향으로 제1 링형 돌기(612)보다 적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링형 돌기(613)는 축방향으로 제1 링형 돌기(612)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링형 돌기(613)는 제1 링형 돌기(612)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cond ring-shaped
내측 단속면(611)은 제1 내측 걸림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내측 걸림돌기는 복수개의 치형상으로 형성되어 기어면을 이룰 수 있다. 이하, 내측 단속면(611)은 제1 내측 걸림돌기(611)로 설명한다.The inner
제1 내측 걸림돌기(611)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내측 걸림돌기(611)는 제1 링형 돌기(612)의 상면에 원주방향으로 전체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클러치(620)는 고정링(6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클러치(620)는 제2 링형 돌기(613)의 배치될 수 있다.The clutch 620 may be disposed inside the fixing
클러치(620)는 모터(300)가 구동되지 않을 시 축방향 일측으로 이동되어 제1 내측 걸림돌기(611)에 걸림되어 스핀들축(400)의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클러치(620)는 모터(300)의 구동 시 축방향 타측으로 이동되어 제1 내측 걸림돌기(611)에서 걸림해제되어 스핀들축(400)을 회전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When the
입력축(630)에는 모터(300)의 구동력이 입력될 수 있다. 입력축(630)은 감속기(350)의 출력축과 연결되어 모터(300)의 구동력이 입력될 수 있다.The driving force of the
입력축(630)의 하단부 반경방향 양측은 개구될 수 있고, 감속기(350)의 출력축의 상단부 반경방향 양측도 개구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축(630)의 하단부는 감속기(350)의 출력축의 상단부에 형성된 상기 개구로 삽입될 수 있고, 감속기(350)의 출력축의 상단부는 입력축(630)의 하단부에 형성된 상기 개구로 삽입될 수 있다.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입력축(630)은 고정링(610)의 내부공간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축(630)은 도면에 고정링(610)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되어져 있으나, 입력축(630)의 적어도 일부가 고정링(610)의 내부에 삽입되면 가능하다.The
입력축(630)의 상면 중심에는 제1 링형 돌기(612)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제1 삽입부(63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삽입부(631)는 원형의 종단면을 가질 수 있다.A
출력축(640)은 클러치(62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출력축(640)은 고정링(610)의 내부공간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출력축(640)은 도면에 고정링(610)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되어져 있으나, 입력축(630)의 적어도 일부가 고정링(610)의 내부에 삽입되면 가능하다.The
입력축(630)에는 축방향 일면인 상면에는 제1 캠돌기(635)가 형성될 수 있다. 클러치(620)의 축방향 일면인 하면에는 제1 캠홈(625)이 형성될 수 있다. 출력축(640)의 축방향 일면인 하면에는 제2 캠돌기(645)가 형성될 수 있다. 클러치(620)의 축방향 타면인 상면에는 제2 캠홈(626)이 형성될 수 있다. 입력축(630)의 제1 캠돌기(635)가 클러치(620)의 제1 캠홈(625)에 삽입되고, 출력축(640)의 제2 캠돌기(645)가 클러치(620)의 제2 캠홈(626)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입력축(630)의 회전되면 클러치(620)가 회전될 수 있고, 출력축(640)은 클러치(62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A
물론, 제1 캠돌기(635) 및 제1 캠홈(625)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도 있다. 즉, 제1 캠돌기(635)는 클러치(620)의 하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제1 캠홈(625)이 입력축(630)의 상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캠돌기(645) 및 제2 캠홈(626)의 위치도 서로 바뀔 수도 있다. 즉, 제2 캠돌기(645)는 클러치(620)의 상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제2 캠홈(626)은 출력축(640)의 하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Of course, the positions of the
다시 말해, 입력축(630)의 축방향 일면과, 클러치(620)의 축방향 일면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캠돌기(635)가 형성될 수 있고, 다른 하나에는 제1 캠돌기(635)가 삽입되는 제1 캠홈(62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출력축(640)의 축방향 일면과, 클러치(620)의 축방향 타면 중, 어느 하나에는 제2 캠돌기(645)가 형성될 수 있고, 다른 하나에는 제2 캠돌기(645)가 삽입되는 제2 캠홈(626)이 형성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제1 캠돌기(635), 제1 캠홈(625), 제2 캠돌기(645) 및 제2 캠홈(626) 각각은 쐐기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캠돌기(635), 제1 캠홈(625), 제2 캠돌기(645) 및 제2 캠홈(626) 각각의 원주방향 양측면은 경사부로 형성될 수 있다.Each of the
모터(300)가 구동되어 입력축(630)이 회전되면, 제1 캠돌기(635)의 상기 경사부가 제1 캠홈(625)의 상기 경사부를 밀어내기 때문에 클러치(620)는 상측으로 약간 이동되어서 제1 내측 걸림돌기(611)에서 걸림해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클러치(620)가 회전되면서 출력축(640)이 회전되어 스핀들축(400)이 회전됨으로써, 상기 테일게이트가 개폐될 수 있다.When the
상기 테일게이트가 개방되어 모터(300)가 구동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테일게이트의 자중 또는 상기 테일게이트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스핀들축(400)이 약간 역회전되면서 출력축(640)이 역회전될 수 있는데, 이 때 제2 캠돌기(645)의 상기 경사부가 제2 캠홈(626)의 상기 경사부를 밀어내기 때문에 클러치(620)는 하측으로 약간 이동되어서 제1 내측 걸림돌기(6110)에 걸림되고, 이에 따라 클러치(620)는 회전되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테일게이트의 자중 또는 상기 테일게이트에 작용하는 외력이 모터(30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When the tailgate is opened and the
출력축(640)의 하면 중심에는 제2 링형 돌기(613)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제2 삽입부(64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삽입부(641)는 원형의 종단면을 가질 수 있다.A
출력축(640)은 스핀들축(400)과 결합될 수 있다. 출력축(640)의 상단부 반경방향 양측은 개구될 수 있고, 스핀들축(400)의 하단부 반경방향 양측도 개구될 수 있다. 이 경우, 출력축(640)의 상단부는 스핀들축(400)의 하단부에 형성된 상기 개구로 삽입될 수 있고, 스핀들축(400)의 하단부는 출력축(640)의 상단부에 형성된 상기 개구로 삽입될 수 있다.The
클러치(620)의 축방향 일면인 하면에는 제1 내측 걸림돌기(611)에 걸림되는 제2 내측 걸림돌기(62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내측 걸림돌기(621)는 복수개의 치형상으로 형성되어 기어면을 이룰 수 있다. 제1 내측 걸림돌기(611) 및 제2 내측 걸림돌기(621)는 서로 맞물리는 기어면을 이룰 수 있다.A second
제2 내측 걸림돌기(621)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내측 걸림돌기(621)는 클러치(620)의 하면에 원주방향으로 전체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inner locking
입력축(630)의 상면은 제1 링형 돌기(612)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 입력축(63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제1 삽입부(631)는 제1 링형 돌기(612)의 내부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클러치(620)의 하면 중심에는 제3 삽입부(62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3 삽입부(622)는 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클러치(620)의 상면 중심에는 제4 삽입부(62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4 삽입부(623)는 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삽입부(622)는 제1 링형 돌기(612)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4 삽입부(623)는 제2 링형 돌기(613)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A
제2 내측 걸림돌기(621)는 제3 삽입부(622)보다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내측 걸림돌기(621)의 외측면은 클러치(620)의 외주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출력축(640)의 하면은 제2 링형 돌기(613)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출력축(640)의 하면에 돌출 형성된 제2 삽입부(641)는 제2 링형 돌기(613)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A lower surface of the
제1 캠돌기(635)는 제1 삽입부(631)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고, 제1 캠돌기(635)의 외측면은 제1 삽입부(631)의 외주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1 캠홈(625)은 제3 삽입부(622)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제2 캠돌기(645)는 제2 삽입부(641)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캠돌기(645)의 외측면은 제2 삽입부(641)의 외주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2 캠홈(626)은 제4 삽입부(623)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제1 캠돌기(635)는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캠돌기(635)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캠홈(625)은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캠홈(625)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캠돌기(645)는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캠돌기(645)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캠홈(626)은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캠홈(626)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단속 유닛의 측면도로서, 모터의 구동 시 단속 유닛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단속 유닛의 측면도로서, 모터가 구동되지 않을 시 단속 유닛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7 is a side view of the intermittent unit shown in FIG. 5 ,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intermittent unit when the motor is driven, and FIG. 8 is a side view of the intermittent unit shown in FIG. 5 , the operation of the intermittent unit when the motor is not driven It is a drawing showing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tailgate opening/closing device 1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7을 참조하면, 모터(300)의 회전축이 일방향(A)으로 회전되면 상기 테일게이트는 개방될 수 있고, 모터(300)의 회전축이 타방향(B)으로 회전되면 상기 테일게이트는 닫힐 수 있다. 즉, 모터(300)의 회전축이 일방향(A) 또는 타방향(B)으로 회전되면 입력축(630)도 모터(300)의 회전축과 동일한 방향인 일방향(A) 또는 타방향(B)으로 회전되는데, 이 때 쐐기형의 제1 캠돌기(635)의 원주방향 양측에 형성된 상기 경사부가 쐐기형의 제1 캠홈(625)의 원주방향 양측에 형성된 상기 경사부를 축방향으로 밀게 되므로, 클러치(620)가 축방향(C)으로 살짝 이동되어서 제2 내측 걸림돌기(621)가 고정링(610)의 제1 내측 걸림돌기(611)에서 빠져나와 걸림해제된다.Referring to FIG. 7 , when the rotating shaft of the
따라서, 모터(300)의 회전축은 일방향(A) 또는 타방향(B)으로 회전가능하게 되므로, 모터(300)의 회전축은 입력축(630)을 일방향(A) 또는 타방향을 회전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클러치(620) 및 출력축(640)이 입력축(630)과 함께 입력축(63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스핀들축(400)이 회전 또는 역회전되어 상기 테일게이트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since the rotation shaft of the
도 8을 참조하면, 한편, 상기 테일게이트가 개방된 상태일 때는 모터(300)가 구동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테일게이트의 자중 또는 상기 테일게이트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스핀들축(400)이 약간 역회전되면서 출력축(640)이 역방향(E)으로 회전될 수 있는데, 이 때 제2 캠돌기(645)의 상기 경사부가 제2 캠홈(626)의 상기 경사부를 밀어내기 때문에 클러치(620)는 축방향(F)으로 약간 이동되어서 제2 내측 걸림돌기(621)가 제1 내측 걸림돌기(611)에 걸림되고, 이에 따라 클러치(620)는 역방향(E)으로 회전되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테일게이트의 자중 또는 상기 테일게이트에 작용하는 외력이 모터(30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on the other hand, when the tailgate is in an open state, the
따라서, 상기 테일게이트가 개방된 상태일 때, 상기 테일게이트에 닫힐려는 외력이 작용하여도, 스핀들축(400)이 역회전되지 않게 되므로, 상기 외력이 모터(300)로 전달되지 않으므로, 모터(300)의 파손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tailgate is in an open state, even if an external force to close the tailgate is applied to the tailgate, th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1)는, 모터(300)의 구동 시에는 클러치(620)가 축방향 일측으로 이동되어 고정링(610) 내부의 축방향 일면에 형성된 내측 단속면(611)에서 연결해제되기 때문에 모터(300)의 구동에 의해 스핀들축(400)이 회전 가능하게 되므로, 제2 튜브(200)가 축방향으로 이동되어서 테일게이트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고, 모터(300)가 구동되지 않을 시에는 클러치(620)가 축방향 타측으로 이동되어 내측 단속면(611)에 연결되기 때문에 스핀들축(400)의 역회전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상기 테일게이트를 닫으려는 외력이 모터(300)로 전달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tailgat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100 : 제1 튜브
150 : 로워 엔드 캡
200 : 제2 튜브
250 : 어퍼 엔드 캡
300 : 모터
350 : 감속기
400 : 스핀들축
500 : 무빙축
510 : 어퍼 플랜지
550 : 테일게이트 결합링
600 : 단속 유닛
610 : 고정링
611 : 내측 단속면
620 : 클러치
621 : 제2 내측 걸림돌기
625 : 제1 캠홈
626 : 제2 캠홈
630 : 입력축
635 : 제1 캠돌기
640 : 출력축
645 : 제2 캠돌기
700 : 가이드 튜브
710 : 로워 플랜지
800 : 메인 스프링
900 : 차체 결합부재
950 : 차체 결합링1: vehicle tailgat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 first tube
150: lower end cap 200: second tube
250: upper end cap 300: motor
350: reducer 400: spindle shaft
500: moving shaft 510: upper flange
550: tailgate coupling ring 600: intermittent unit
610: fixing ring 611: inner intermittent surface
620: clutch 621: second inner locking projection
625: first cam groove 626: second cam groove
630: input shaft 635: first cam projection
640: output shaft 645: second cam projection
700: guide tube 710: lower flange
800: main spring 900: body coupling member
950: body coupling ring
Claims (7)
상기 제1 튜브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튜브;
상기 제1 튜브 내에 설치되는 모터;
상기 제1 튜브 및 상기 제2 튜브가 이루는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며,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스핀들축;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수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모터의 구동 시 상기 제2 튜브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무빙축; 및
상기 모터 및 상기 스핀들축 사이에 배치되는 단속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단속 유닛은,
상기 제1 튜브 내에 설치되고, 내부의 축방향 일면에 내측 단속면이 형성된 고정링; 및
상기 고정링 내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의 구동 여부에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내측 단속면에 의해 단속(斷續)되는 클러치;를 포함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a first tube;
a second tube axially movably installed on the first tube;
a motor installed in the first tube;
a spindle shaft disposed in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first tube and the second tube,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and having an external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moving shaft disposed in the inner space and having a female screw thread screw-coupled to the male screw thread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 moving the second tube in an axial direction when the motor is driven; and
Including; intermittent unit disposed between the motor and the spindle shaft;
The control unit is
a fixing ring installed in the first tube and having an inner intermittent surface formed on one surface in the axial direction therein; and
and a clutch disposed in the fixing ring,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depending on whether the motor is driven, and interrupted by the inner intermittent surface.
상기 단속 유닛은,
상기 모터의 구동력이 입력되고, 상기 고정링의 내부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입력축; 및
상기 클러치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고정링의 내부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스핀들축과 결합되는 출력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축의 축방향 일면과, 상기 클러치의 축방향 일면 중, 어느 하나에는 쐐기형의 제1 캠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1 캠돌기가 삽입되는 쐐기형의 제1 캠홈이 형성되며,
상기 출력축의 축방향 일면과, 상기 클러치의 축방향 타면 중, 어느 하나에는 쐐기형의 제2 캠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2 캠돌기가 삽입되는 쐐기형의 제2 캠홈이 형성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an input shaft to which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is input, at least a part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fixing ring; and
An output shaft rotated by the clutch,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fixing ring, and coupled to the spindle shaft; further comprising,
A wedge-shaped first cam projection is formed on one of the axial surface of the input shaft and the axial surface of the clutch, and a wedge-shaped first cam groove into which the first cam projection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other. ,
Among the one axial surface of the output shaft and the other axial surface of the clutch, a wedge-shaped second cam projection is formed in one, and a wedge-shaped second cam groove into which the second cam projection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other. The vehicle's tailgate opening and closing device.
상기 내측 단속면은 제1 내측 걸림돌기로 형성되고,
상기 클러치의 축방향 일면에는 상기 제1 내측 걸림돌기에 걸림되는 제2 내측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inner intermittent surface is formed as a first inner locking projection,
A tailgate opening/closing device for a vehicle in which a second inner locking protrusion caught by the first inner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on one axial surface of the clutch.
상기 제1 내측 걸림돌기 및 상기 제2 내측 걸림돌기 각각은 복수개의 치형상으로 형성되어 기어면을 이루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Each of the first inner lock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inner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in a plurality of tooth shapes to form a gear surface.
상기 제1 캠돌기는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캠돌기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캠홈은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캠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캠돌기는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캠돌기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캠홈은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캠홈으로 형성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first cam projection is formed of a pair of first cam projections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The first cam groove is formed of a pair of first cam grooves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The second cam projection is formed of a pair of second cam projections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The second cam groove is a tailgate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vehicle formed of a pair of second cam grooves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스핀들축이 삽입되고, 상기 무빙축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튜브;
상기 가이드 튜브의 하단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로워 플랜지에 하단이 지지되고, 상단은 상기 무빙축의 상단부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어퍼 플랜지에 상단이 지지되는 메인 스프링; 및
상기 제1 튜브의 하단 내부에 설치되는 차체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체 결합부재에는 상기 제1 튜브의 하단에 결합된 로워 엔드 캡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기 제1 튜브의 외부에 돌출 배치되는 차체 결합링이 형성되고,
상기 무빙축에는 상기 제2 튜브의 상단에 결합된 어퍼 엔드 캡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기 제2 튜브의 외부에 돌출 배치되는 테일게이트 결합링이 형성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a guide tub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into which the spindle shaft is inserted, and the moving shaft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a main spring having a lower end supported on a lower flange protruding radially outwardly from a lower end of the guide tube, and an upper end supported by an upper flange protruding radially outwardly from an upper end of the moving shaft; and
Further comprising; a vehicle body coupling member installed inside the lower end of the first tube,
A vehicle body coupling ring is formed on the vehicle body coupling member to protrude outside of the first tube through a hole formed in a lower end cap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first tube;
A tailgate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vehicle having a tailgate coupling ring protruding from the second tube through a hole formed in an upper end cap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second tube is formed on the moving shaft.
상기 제1 튜브 내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상기 입력축으로 전달하는 감속기;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7. The method of claim 6,
and a reducer installed in the first tube and configured to reduc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ting shaft of the motor and transmit it to the input shaf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45802A KR20220060161A (en) | 2020-11-04 | 2020-11-04 | Open and close apparatus for a tailgate of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45802A KR20220060161A (en) | 2020-11-04 | 2020-11-04 | Open and close apparatus for a tailgate of vehic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60161A true KR20220060161A (en) | 2022-05-11 |
Family
ID=81606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45802A Pending KR20220060161A (en) | 2020-11-04 | 2020-11-04 | Open and close apparatus for a tailgate of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60161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50517A (en) * | 2021-05-04 | 2022-11-11 |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 Open and close apparatus for a tailgate of vehicl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81277A1 (en) | 2015-11-11 | 2017-05-18 |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Bamberg | Spindle drive |
-
2020
- 2020-11-04 KR KR1020200145802A patent/KR20220060161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81277A1 (en) | 2015-11-11 | 2017-05-18 |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Bamberg | Spindle driv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50517A (en) * | 2021-05-04 | 2022-11-11 |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 Open and close apparatus for a tailgate of vehic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822856B2 (en) | Electromechanical strut with electromechanical brake and method of allowing and preventing movement of a closure member of a vehicle | |
EP1101968B1 (en) | Drive device having motor and speed reduction mechanism | |
US8006817B2 (en) | Power strut assembly | |
US10208844B2 (en) | Drive device | |
US5915514A (en) | Clutch unit for automatically cancelling connection between input source and output shaft | |
CN210422286U (en) |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 |
JPS61254778A (en) | Control device for moving parts | |
US7802664B2 (en) | Power strut assembly | |
US20150276031A1 (en) | Rotation and stop retention switching apparatus | |
KR20220060161A (en) | Open and close apparatus for a tailgate of vehicle | |
KR20220076645A (en) | Open and close apparatus for a tailgate of vehicle | |
KR102566746B1 (en) | Open and close apparatus for a tailgate of vehicle | |
JP7141900B2 (en) | Locking device and door drive unit with locking device | |
CN112412198B (en) | Passive whole-course locking device based on direction control | |
KR20220063423A (en) | Open and close apparatus for a tailgate of vehicle | |
EP1411203B1 (en) | Clutch | |
KR20220052480A (en) | Open and close apparatus for a tailgate of vehicle | |
KR20220053153A (en) | Open and close apparatus for a tailgate of vehicle | |
KR102566747B1 (en) | Open and close apparatus for a tailgate of vehicle | |
KR200486293Y1 (en) | Clutch Type gear box for door-lock | |
US20230193961A1 (en) | Bidirectional torque limiter | |
JP6946380B2 (en) | Angle position holding device | |
KR101666679B1 (en) | A gas spring | |
JP2015158238A (en) | Simplified free type bidirectional clutch | |
JP2016204885A (en) | Drive device and back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0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2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