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0002A - Vehicle safty control system for dark road driv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Vehicle safty control system for dark road driv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60002A KR20220060002A KR1020200144389A KR20200144389A KR20220060002A KR 20220060002 A KR20220060002 A KR 20220060002A KR 1020200144389 A KR1020200144389 A KR 1020200144389A KR 20200144389 A KR20200144389 A KR 20200144389A KR 20220060002 A KR20220060002 A KR 2022006000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dangerous object
- front camera
- control system
- controll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8000013135 deep lear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63659 Aver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163 sequencing technique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3—Head-up displays [HU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anti-collision purpo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steering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3—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3/931—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60—Structural details of dashboards or instruments
- B60K2360/65—Features of dashboards
- B60K2360/652—Crash protection fea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8—Radar; Laser, e.g. lida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05—Big data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08—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어두운 도로에서 차량의 전방에 출현할 수 있는 위험물체에 대해 차량을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safely controlling a vehicle against a dangerous object that may appear in front of the vehicle on a dark road.
자율주행 차량은 그 레벨에 따라 다양한 수준의 운전자 보조 기능을 제공하며, 궁극적으로는 운전자를 필요로 하지 않는 수준의 주행도 가능한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An autonomous vehicle provides various levels of driver assistance functions depending on its level, and ultimately can be defined as being capable of driving at a level that does not require a driver.
아직, 운전자의 개입이 전혀 불필요한 자율주행 차량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어서, 여기서 언급되는 자율주행 차량은 주로 운전자 보조 기능을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구비한 차량으로 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완전한 자율주행 차량을 의미할 수도 있다.Still,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no autonomous vehicle that does not require driver intervention at all, so the autonomous vehicle referred to here can be mainly viewed as a vehicle equipped with a relatively high level of driver assistance functions, and in some cases fully autonomous It can also mean a driving vehicle.
상기 자율주행 차량은 차량의 주행 중, 전방에 출현하는 위험물체를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이를 적절히 회피할 수 있어야 하는 바, 전방을 주시할 수 있는 전방레이더와 전방카메라를 주로 사용하여, 차량 전방의 위험물체 존부 및 그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autonomous vehicle must be able to automatically detect a dangerous object appearing in front of the vehicle while driving and appropriately avoid it.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presence of dangerous objects and their movements.
전방레이더와 전방카메라 모두를 사용하여 주행 중인 차량 전방을 정상적으로 관측하면, 이상적으로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 등 거의 모든 위험물체의 감지가 가능하지만, 야간에 가로등이 없거나 빛이 없는 어두운 도로에서는 전방카메라의 감지 범위가 좁아져서 전방 위험물체의 감지에 사각이 발생하고, 특히, 차량 앞으로 갑자기 출현하는 보행자 등과 같은 위험물체에 대해서는 적절한 대응이 어려운 실정이다.If you use both the front radar and the front camera to observe the front of the vehicle in motion, ideally, almost all dangerous objects such as other vehicles or pedestrians can be detected. Because the range is narrowed, blind spots occur in the detection of a front dangerous object, and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to properly respond to a dangerous object such as a pedestrian suddenly appearing in front of a vehicle.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The matters described as 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for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taken as acknowledging that they correspond to the prior art already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be
본 발명은 차량의 전방카메라에 의한 전방의 위험물체 감지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수준의 어두운 도로에서도, 차량 전방의 위험물체에 대한 보다 적절한 감지와 인식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러한 차량 전방 상황을 운전자에게 경고하거나 나아가 차량을 적절히 제어하여 위험물체와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어두운 도로의 차량 안전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 more appropriate detection and recognition of a dangerous object in front of the vehicle even on a dark road where it is difficult to detect a dangerous object in the front by the front camera of the vehicle, and warns the driver of such a situation in front of the vehicl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safety control system and a control method for a dark road that can further improve the safety of the vehicle by properly controlling the vehicle to avoid a collision with a dangerous object.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어두운 도로의 차량 안전 제어 시스템은, The present invention dark road vehicle safety control system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차량의 전방레이더 및 전방카메라;The vehicle's front radar and front camera;
광축을 차량의 좌우로 조절하여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조등장치;a headlamp device configured to illuminate by adjusting the optical axis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vehicle;
상기 전방카메라의 블락키지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전방카메라의 블락키지 상태가 소정의 기준레벨 이상인 상태에서, 상기 전방카메라의 감지범위를 벗어난 일측에 출현한 위험물체를 상기 전방레이더로 감지하면, 상기 전조등장치를 조작하여 상기 위험물체를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컨트롤러;Monitoring the blocking state of the front camera, and in a state in which the blocking state of the front camera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level, when a dangerous object that appears on one side out of the detection range of the front camera is detected by the front radar, the a controller configured to operate the headlamp device to irradiate the dangerous object;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방카메라의 블락키지 상태가 상기 기준레벨 이상인 상태에서, 상기 전방카메라의 감지범위를 벗어난 위치에 출현한 위험물체를 상기 전방레이더로 감지하는 상태가 소정의 제1기준시간 이상 지속되면, 운전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경고장치를 구동하고, 계기판이나 HUD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기 위험물체의 위치 및 정보를 표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controller detects a dangerous object appearing in a position outside the detection range of the front camera with the front radar in a state in which the blocking state of the front camera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reference level, the state of detecting a dangerous object with the front camera continues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first reference time , it may be configured to drive a warning device so that the driver can detect it, and to display the location and information of the dangerous object on at least one of the instrument panel and the HUD.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조등장치의 조작으로 위험물체에 광선을 조사함에 의해, 상기 전방카메라로 상기 위험물체가 감지되면, 상기 위험물체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계기판이나 HUD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기 위험물체에 대한 정보를 다시 표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dangerous object is detected by the front camera by irradiating a light beam to the dangerous object by the operation of the headlight device, the controller analyzes more accurate information about the dangerous object and displays it on at least one of the instrument panel and the HUD. It may be configured to re-express information about the dangerous object.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위험물체와 차량이 충돌할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운전자에게 이를 알리도록 상기 경고장치를 구동하고, 제동장치와 조향장치를 구동하여 차량을 안전한 위치로 대피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risk of collision between the dangerous object and the vehicle,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drive the warning device to notify the driver, and drive the braking device and steering device to evacuate the vehicle to a safe location. .
또한, 본 발명은 차량 후방을 감지할 수 있는 후방레이더;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ar radar capable of detecting the rear of the vehicle;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Consists of further comprising,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위험물체와 차량이 충돌할 위험과, 차량 주변의 차선을 포함한 도로 상황에 기초한 안전지대를 동시에 판단하여, 상기 위험물체와의 충돌을 회피함과 동시에, 상기 후방레이더로 차량 후방의 다른 차량을 확인하면서, 상기 제동장치와 조향장치를 구동하여, 상기 안전지대로 차량을 대피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ler simultaneously determines the risk of collision between the dangerous object and the vehicle and the safety zone based on the road conditions including the lanes around the vehicle, avoiding the collision with the dangerous object, and at the same time as the rear radar It may be configured to evacuate the vehicle to the safety zone by driving the braking device and the steering device while checking other vehicles.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위험물체와 차량이 충돌할 위험의 판단을 빅데이터 기반 딥러닝에 의해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e risk of collision between the dangerous object and the vehicle by big data-based deep learning.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방카메라의 블락키지 상태가 소정의 기준레벨 이상인 상태에서, 상기 전방카메라의 감지범위를 벗어난 양측에서 위험물체들이 동시에 감지되면, 상기 전조등장치는 이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운전자가 상기 위험물체들을 알아차릴 수 있도록 상기 경고장치를 구동하여 경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e controller, when dangerous objects are simultaneously detected from both sides outside the detection range of the front camera when the blocking state of the front camera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level, the headlamp device maintains the previous state, and the driver It may be configured to warn by driving the warning device to recognize dangerous objects.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어두운 도로의 차량 안전 제어 시스템 제어 방법은,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safety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of the dark road,
컨트롤러가 전방카메라의 블락키지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블락키지 상태가 소정의 기준레벨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determining, by the controller, the blocking status of the front camera to determine whether the blocking status is high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level;
상기 전방카메라의 블락키지 상태가 소정의 기준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컨트롤러가 전방레이더로 상기 전방카메라의 감지범위를 벗어난 위치에 출현하는 위험물체를 감지하는 단계;detecting, by the controller, a dangerous object appearing in a position outside the detection range of the front camera with a front radar when the blocking state of the front camera is high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level;
상기 위험물체가 상기 전방카메라의 감지범위를 벗어난 일측에서만 감지된 경우, 상기 컨트롤러가 전조등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위험물체를 조사하도록 하는 단계;when the dangerous object is detected only from one side out of the detection range of the front camera, the controller controls the headlight device to irradiate the dangerous object;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방카메라의 블락키지 상태가 상기 기준레벨 이상인 상황이 소정의 제2기준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상기 전방레이더로 상기 전방카메라의 감지범위를 벗어난 위치에 출현하는 위험물체를 감지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ler detects a dangerous object appearing in a location outside the detection range of the front camera with the front radar when the situation in which the blocking state of the front camera is above the reference level continues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second reference time steps can be performed.
본 발명은 상기 전방카메라의 블락키지 상태가 상기 기준레벨 이상인 상태에서, 상기 전방카메라의 감지범위를 벗어난 위치에 출현하는 위험물체를 상기 전방레이더로 감지하는 상태가 소정의 제1기준시간 이상 지속되면, 운전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경고장치를 구동하고, 계기판이나 HUD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기 위험물체의 위치 및 정보를 표출하는 단계;In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blocking state of the front camera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reference level, the detection of a dangerous object appearing in a position outside the detection range of the front camera with the front radar continues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first reference time , driving a warning device to be detected by the driver, and displaying the location and information of the dangerous object on at least one of an instrument panel and a HUD;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본 발명은 상기 전조등장치의 조작으로 위험물체에 광선을 조사함에 의해, 상기 전방카메라로 상기 위험물체가 감지되면, 상기 위험물체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when the dangerous object is detected by the front camera by irradiating a light beam to the dangerous object by manipulating the headlamp device, analyzing more accurate information about the dangerous object;
상기 계기판이나 HUD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기 위험물체에 대한 정보를 다시 표출하는 단계;re-expressing the information on the dangerous object on at least one of the instrument panel and the HUD;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본 발명은 상기 전방카메라로 감지된 상기 위험물체에 대한 정보를 분석한 결과, 상기 위험물체와 차량이 충돌할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운전자에게 이를 알리도록 상기 경고장치를 구동하고, 제동장치와 조향장치를 구동하여 차량을 안전한 위치로 대피시키는 단계;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risk of collision between the dangerous object and the vehicl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ormation on the dangerous object detected by the front camera, the warning device is driven to notify the driver of this, and the braking device and evacuating the vehicle to a safe location by driving the steering device;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상기 차량을 안전한 위치로 대피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위험물체와의 충돌을 회피함과 동시에, 후방레이더로 차량 후방의 다른 차량을 확인하면서 안전지대로 차량을 대피시킬 수 있다.In the step of evacuating the vehicle to a safe location, it is possible to avoid a collision with the dangerous object and evacuate the vehicle to a safe area while checking other vehicles behind the vehicle with a rear radar.
상기 위험물체와 차량이 충돌할 위험의 판단은 빅데이터 기반 딥러닝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Determination of the risk of collision between the dangerous object and the vehicle may be performed by big data-based deep learning.
본 발명은 상기 위험물체가 상기 전방카메라의 감지범위를 벗어난 양측에서 동시에 감지된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조등장치를 이전 상태로 그대로 유지하고, 운전자가 상기 위험물체들을 알아차릴 수 있도록 상기 경고장치를 구동하여 경고하는 단계;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angerous object is simultaneously detected from both sides outside the detection range of the front camera, the controller maintains the headlight device as it is in the previous state, and the warning device is provided so that the driver can recognize the dangerous objects. warning by driving;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본 발명은 차량의 전방카메라에 의한 전방의 위험물체 감지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수준의 어두운 도로에서도, 차량 전방의 위험물체에 대한 보다 적절한 감지와 인식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러한 차량 전방 상황을 운전자에게 경고하거나 나아가 차량을 적절히 제어하여 위험물체와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 more appropriate detection and recognition of a dangerous object in front of the vehicle even on a dark road where it is difficult to detect a dangerous object in the front by the front camera of the vehicle, and warns the driver of such a situation in front of the vehicle Alternatively, by appropriately controlling the vehicle to avoid a collision with a dangerous object, the safety of the vehicle can be further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두운 도로의 차량 안전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2는 전방카메라의 블락키지 상태를 비교 설명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차량 전방 일측에 위험물체가 출현하는 예를 설명한 도면,
도 4는 컨트롤러가 조향장치와 제동장치를 구동하여 차량의 안전지대로 대피시키는 것을 개념적으로 설명한 도면,
도 5는 컨트롤러가 차량의 안전지대로 대피시키는 과정을 예시한 순서도,
도 6은 전방카메라에 감지된 위험물체의 예상위치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
도 7은 전방카메라로 차량 전방에 출현하는 위험물체를 감지하는 다양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차량의 전방 양측에 위험물체가 출현하는 예를 설명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어두운 도로의 차량 안전 제어 시스템 제어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과 기존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의 제어 전환의 예를 설명한 순서도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safety control system on a dark ro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comparing and explaining the blockage state of the front camera;
3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dangerous object appears on one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a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conceptually explaining that the controller drives the steering device and the braking device to evacuate to a safety zone of the vehicle;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by which the controller evacuates to a safety zone of the vehicle;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expected position of the dangerous object detected by the front camera;
7 is a view illustrating various states of detecting a dangerous object appearing in front of the vehicle with a front camera;
8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dangerous object appears on both sides of the front of the vehicle a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safety control system on a dark ro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control switching betwee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xisting forward collision avoidance system.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are on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ince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elem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lement may be call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describ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exists, and includes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y are not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describ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figure indicate like element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 어두운 도로의 차량 안전 제어 시스템의 실시예는, 차량(V)의 전방레이더(1) 및 전방카메라(3); 광축을 차량(V)의 좌우로 조절하여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조등장치(5); 상기 전방카메라(3)의 블락키지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전방카메라(3)의 블락키지 상태가 소정의 기준레벨 이상인 상태에서, 상기 전방카메라(3)의 감지범위를 벗어난 일측에 출현한 위험물체(M)를 상기 전방레이더(1)로 감지하면, 상기 전조등장치(5)를 조작하여 상기 위험물체(M)를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컨트롤러(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ure 1, an embodiment of the vehicle safety control system on a dark roa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radar (1) and the front camera (3) of the vehicle (V); a
상기 전방카메라(3)의 블락키지(blockage) 상태는 상기 전방카메라(3)로 획득하는 영상 데이터의 품질에 장애로 작용할 수 있는 상태를 포괄적으로 의미하는 바, 카메라의 렌즈 오염 등과 같은 카메라 자체적인 상태와 렌즈에 입사되는 역광, 안개, 주변 광량 등과 같은 카메라 외부적인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The blockage state of the
예컨대, 도 2를 참조하면, A 상태는 전방카메라(3)의 블락키지 상태가 0레벨로서, 매우 정상적인 영상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어서, 차량(V)이 주행하는 도로의 해당 차선은 물론 인접 차선까지 충분한 시야로 촬영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2 , in state A, the blocked state of the
B의 상태는 블락키지가 1레벨인 상태로서 야간이지만, 가로등 점등 등에 의해 주변 광량이 어느 정도 확보되어, 전방카메라(3)의 시야는 인접 차선까지 충분한 시야로 촬영할 수 있는 상태이다. 물론 주간과 같이 충분한 광량의 확보는 어렵기 때문에 동일한 상황의 주간에 확보할 수 있는 영상 데이터 보다는 다소간의 품질저하가 예상되는 상태인 것이다.The state B is a state in which the blockage is
C의 상태는 블락키지가 3레벨 이상인 상태로서, 차량(V)이 야간에 주변 광량이 현저히 적은 도로를 주행하고 있는 상황으로서, 전방카메라(3)의 촬영 가능한 시야는 전조등의 조사 범위 내로 제한되는 상태임을 나타낸다.The state of C is a state in which the blockage is at
상기 블락키지의 레벨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전방카메라(3)에 의한 영상 데이터의 품질이 저하될수록 더 높은 레벨로 다수의 레벨로 구성해 둘 수 있다.The level of the blockage may be configured as a plurality of levels with a higher level as the quality of image data by the
참고로, 도 2에서 전방레이더(1)의 감지 범위를 함께 표시하고 있는 바, C의 상태에서는 전방레이더(1)는 정상적인 감지 범위를 확보할 수 있지만, 그에 비해 전방카메라(3)의 감지범위는 상기 전조등의 조사 범위 내로 제한됨을 확인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detection range of the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전방카메라(3)의 감지 범위가 전조등의 조사 범위 내로 제한되는 상황에서, 상기 전방레이더(1)에 의해서는 감지가 가능하지만, 전방카메라(3)로는 감지가 어려운 위치에 위험물체(M)가 출현한 경우를 주로 초점으로 맞추고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a situation where the detection range of the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방카메라(3)의 블락키지 상태가 소정의 기준레벨 이상인 상태에서, 상기 전방카메라(3)의 감지범위를 벗어난 일측에 출현한 위험물체(M)를 상기 전방레이더(1)로 감지하면, 상기 전조등장치(5)를 조작하여 상기 위험물체(M)를 조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in a state in which the blocking state of the
따라서, 상기 기준레벨은 상술한 바와 같은 취지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을 것인 바, 상기 도 2에 설명한 예에서는 예컨대 상기 기준레벨은 3레벨이 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reference level may be appropriately set according to the purpose as described above. In the example illustrated in FIG. 2 , the reference level may be, for example, three levels.
상기 컨트롤러(7)는 상기 전방카메라(3)의 블락키지 상태가 상기 기준레벨 이상인 상태에서, 상기 전방카메라(3)의 감지범위를 벗어난 위치에 출현한 위험물체(M)를 상기 전방레이더(1)로 감지하는 상태가 소정의 제1기준시간 이상 지속되면, 운전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경고장치를 구동하고, 계기판이나 HUD(Head Up Display)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기 위험물체(M)의 위치 및 정보를 표출하도록 구성된다.The
예컨대, 도 3의 A와 같이 전방카메라(3)의 블락키지 상태가 예컨대 3레벨 이상이어서, 전방카메라(3)의 시야가 전조등의 조사 범위만으로 좁은 상태이고, 전방레이더(1)에는 감지되는 위험물체(M)가 상기 전방카메라(3)에는 감지되지 않는 상황이 인식되는 상황이 상기 제1기준시간 이상 지속되면, 상기 컨트롤러(7)는 이러한 상황 자체를 상기 경고장치로 운전자에게 알리고, 계기판이나 HUD 등을 통해 위험물체(M)의 위치 등과 같은 가능한 최대한의 정보를 표출하도록 하는 것이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3A, the blocking state of the
따라서, 상기 제1기준시간은 예컨대 1초 등과 같이, 가급적 빠른 시간 내에 상기와 같은 위험물체(M)의 출현이 어느 정도 확실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는 정도로 설정되어, 노이즈에 의한 오판을 방지하면서도, 신속한 알림으로 위험 회피에 보다 유리한 상황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Accordingly, the first reference time is set to such a degree that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appearance of the dangerous object M is certain to a certain extent within as short a time as possible, such as 1 second, to prevent misjudgment by noise, and to quickly It would be desirable to allow the notification to bring about a more favorable situation for risk aversion.
상기 경고장치로는 경고등이나 알람, 음성 안내, 시트 진동, 스티어링휠 진동 등과 같은 종래 운전자에게 위험을 경고할 수 있는 수단을 구현할 수 있는 모든 장치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As the warning device, any device capable of implementing a means capable of warning the driver of a danger, such as a warning lamp, an alarm, voice guidance, seat vibration, steering wheel vibration, and the like, may be used.
도 3의 B는 상기 컨트롤러(7)가 A와 같은 상황을 인식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전조등장치(5)를 조작하여 상기 위험물체(M)를 조사하도록 광축을 변경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전방카메라(3)의 시야가 상기 위험물체(M)를 향할 수 있게 됨을 설명하고 있다.3B shows that the
상기 컨트롤러(7)는 상기 전조등장치(5)의 조작으로 위험물체(M)에 광선을 조사함에 의해, 상기 전방카메라(3)로 상기 위험물체(M)가 감지되면, 상기 위험물체(M)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계기판(9)이나 HUD(1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기 위험물체(M)에 대한 정보를 다시 표출하도록 구성된다.When the dangerous object M is detected by the
즉, 상기 전방레이더(1)에만 감지되고 전방카메라(3)에는 감지되지 않던 위험물체(M)를 상기 전조등장치(5)로 조사함에 의해, 도 3의 C와 같이 전방카메라(3)가 상기 위험물체(M)를 감지할 수 있게 되면, 이때 상기 전방카메라(3)의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획득되는 추가적인 정보, 예컨대 해당 위험물체(M)의 종류, 예상 경로 등에 대한 정보를 계기판(9)이나 HUD(11) 등에 표출하여, 운전자가 보다 정확한 정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by irradiating a dangerous object M detected only by the
상기 컨트롤러(7)는 상기 위험물체(M)와 차량(V)이 충돌할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운전자에게 이를 알리도록 상기 경고장치(13)를 구동하고, 제동장치(15)와 조향장치(17)를 구동하여 차량(V)을 안전한 위치로 대피시키도록 구성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risk of collision between the dangerous object M and the vehicle V, the
즉, 도 3의 D와 같이 위험물체(M)가 차량(V)에 접근하여 충돌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컨트롤러(7)는 상술한 바와 같은 경고장치(13)를 구동하여 운전자에게 이러한 상황을 알리고, 나아가 제동장치(15)와 조향장치(17)를 자동적으로 구동하여, 차량(V)을 안전한 위치로 대피시키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risk of collision by the dangerous object M approaching the vehicle V as shown in D of FIG. 3 , the
참고로, 여기서 단순히 "차량(V)"은 본 발명이 적용된 당해 차량(V)을 의미하는 것이다.For reference, here, simply “vehicle V” means the vehicle V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발명이 적용된 차량(V)은 차량(V) 후방을 감지할 수 있는 후방레이더(1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vehicle (V)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즉, 차량(V)에 구비된 BCW(Blind-Spot Collision Warning) 장치 등을 구성하는 후방레이더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7)가 입력 받아, 당해 차량(V) 후방의 다른 차량을 감시 내지는 확인하여 위험 상황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즉, 도 3의 D와 같은 상황에서 상기 컨트롤러(7)는 상기 위험물체(M)와 차량(V)이 충돌할 위험과, 차량(V) 주변의 차선을 포함한 도로 상황에 기초한 안전지대를 동시에 판단하여, 상기 위험물체(M)와의 충돌을 회피함과 동시에, 상기 후방레이더(19)로 차량(V) 후방의 다른 차량을 확인하면서, 상기 제동장치(15)와 조향장치(17)를 구동하여, 도 4와 같이 시점 t로부터 t+1의 시점에 걸쳐 안전지대로 차량(V)을 대피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That is, in a situation such as D of FIG. 3 , the
상기 컨트롤러(7)는 상기 위험물체(M)와 차량(V)이 충돌할 위험의 판단을 빅데이터 기반 딥러닝(Deep Learning)에 의해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즉,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방카메라(3) 영상 데이터를 딥러닝 처리하여, 위험물체(M)에 대한 정보는 물론, 가드레일이나, 벽, 끝 차선 등과 같은 도로의 주요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차량(V)을 이동시킬 안전지대를 인식 내지는 찾아내어, 차량(V)의 조향 및 제동 제어를 통해 차량(V)을 안전지대로 대피시키는 것이다.That is, as exemplified in FIG. 5, by deep learning processing the image data of the
참고로, 도 5에서 안전지대를 인식하고, BCW의 후방레이더(19)로 후방의 차량을 확인하며, 차량(V) 전방 위험물체(M)와 거리를 확보하면서 조향 및 제동 제어를 통해 차량(V)을 안전지대로 대피시키는 동작들은 실제로는 거의 동시에 병렬적으로 처리되는 것이지만, 이해의 편의를 위해 시계열적으로 나열한 것이다.For reference, the vehicle (V) through steering and braking control while recognizing the safety zone in FIG. 5, checking the vehicle behind with the
상기 컨트롤러(7)는 딥러닝 기법에 의해 학습된 모델을 내장하여, 상기 전방카메라(3)에 의해 전방의 위험물체(M)가 감지되기 시작하면, 도 6과 같이 물체의 n-1시점의 위치와 현재인 n시점의 위치 및 그 이동시간 등의 시계열적 정보를 분석하여, n+1시점의 상기 위험물체(M)의 예상 위치를 산출하도록 하는 것이다.The
또한, 상기 컨트롤러(7)는 상기 전방카메라(3)로 감지되는 위험물체(M)의 예상위치 판단에 따라 TTC(Time To Collision)를 산출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이를 경고하고, 이에 기반하여 차량(V)을 안전지대로 대피시키는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한편, 차량(V)의 주행 중, 상기 차량(V) 전방으로 위험물체(M)가 출현하는 상황은 도 7의 A 내지 D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가 있을 수 있는 바, A와 같이 차량(V)의 주행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차량(V) 전방으로 위험물체(M)가 이동하는 상황, B와 같이 차량(V)의 주행방향에 수직하게 위험물체(M)가 이동해 오는 상황, C와 같이 차량(V) 전방의 위험물체(M)와 당해 차량(V)의 거리가 점차 좁아지는 상황, D와 같이 당해 차량(V)이 정지되어 있는 위험물체(M)를 향해 접근하지만 주행 경로상 충돌을 회피할 수 있는 상황 등이 발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ituation in which the dangerous object M appears in front of the vehicle V while the vehicle V is driving may have various forms as exemplified in A to D of FIG. 7 , the vehicle as shown in A (V) A situation in which the dangerous object (M) moves in front of the vehicle (V)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V), a situation in which the dangerous object (M) is moving perpendicular to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V) as in B, C and Similarly, in a situation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dangerous object M in front of the vehicle V and the vehicle V gradually decreases, as in D, the vehicle V approaches the stationary dangerous object M, but on the driving route Circumstances in which a collision can be avoided may occur.
상기 컨트롤러(7)는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전방카메라(3)로 감지되는 위험물체(M)의 예상 위치를 상기한 바와 같이 산출하여, 그에 따라 상기 TTC를 산출하고, 이를 활용하여 차량(V)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다.In various cases as described above, the
물론, 상기 컨트롤러(7)는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경우에 대하여 미리 딥러닝(Deep Learning)의 기법으로 학습된 모듈을 탑재하고, 이를 활용하여, 상기 전방 물체의 예상위치 및 TTC를 산출하는 것이다.Of course, the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7)의 모듈을 딥러닝으로 학습함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경우의 물체 출현 상황에 대한 빅데이터를 준비하여, 이를 활용하여 상기 모듈이 학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러한 딥러닝은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의 방식 또는 비지도학습(unsupervised learning)의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in learning the module of the
한편, 상기 컨트롤러(7)는 상기 전방카메라(3)의 블락키지 상태가 소정의 기준레벨 이상인 상태에서, 상기 전방카메라(3)의 감지범위를 벗어난 양측에서 위험물체(M)들이 동시에 감지되면, 상기 전조등장치(5)는 이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운전자가 상기 위험물체(M)들을 알아차릴 수 있도록 상기 경고장치(13)를 구동하여 경고하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즉, 도 8의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카메라(3)의 블락키지 상태가 예컨대 3레벨 이상이고, 상기 전방카메라(3)의 감지범위를 벗어난 양측에서 위험물체(M)들이 상기 전방레이더(1)에 의해 감지되면, B와 같이 전조등장치(5)는 계속해서 전방을 주시하도록 그대로 유지하고, 운전자에게 위험물체(M)들의 출현을 경고하도록 상기 경고장치(13)를 구동하는 것이다.That is, as illustrated in A of FIG. 8 , the blocking state of the
물론, 이 경우에도 상기 도 3의 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위험물체(M)들의 출현을 어느 정도 이상의 정확도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기준시간을 적용하여, 상기 제1기준시간 이상의 시간 동안 위험물체(M)들이 감지되는 경우에, 운전자에게 위험물체(M)의 출현을 경고하도록 할 수 있다.Of course, even in this case, as mentioned in the example of FIG. 3, the first reference time is applied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dangerous objects M can be confirmed with more than a certain degree of accuracy, and the dangerous objects for a time equal to or longer than the first reference time When the (M) are detected, it is possible to warn the driver of the appearance of the dangerous object (M).
또한, 상기 컨트롤러(7)는 도 8의 C와 같이 상기 전방카메라(3)가 상기 위험물체(M)들을 감지할 수 있게 되면, 상기 전방카메라(3)의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획득되는 추가적인 정보, 예컨대 해당 위험물체(M)의 종류, 예상 경로 등에 대한 정보를 계기판(9)이나 HUD(11) 등에 표출하여, 운전자가 보다 정확한 정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또한, 마찬가지로 상기 컨트롤러(7)는 도 8의 D와 같이 위험물체(M)들이 차량(V)에 접근하여 충돌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컨트롤러(7)는 상술한 바와 같은 경고장치(13)를 구동하여 운전자에게 이러한 상황을 알리고, 나아가 제동장치(15)와 조향장치(17)를 자동적으로 구동하여, 차량(V)을 안전한 위치로 대피시키도록 하는 것이다.Also,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risk of collision by the dangerous objects M approaching the vehicle V as shown in D of FIG. 8 , th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도 9와 같은 어두운 도로의 차량 안전 제어 시스템 제어 방법으로도 표현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also be expressed as a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safety control system on a dark road as shown in FIG. 9 .
즉, 본 발명 어두운 도로의 차량 안전 제어 시스템 제어 방법은, 컨트롤러(7)가 전방카메라(3)의 블락키지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블락키지 상태가 소정의 기준레벨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0); 상기 전방카메라(3)의 블락키지 상태가 소정의 기준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컨트롤러(7)가 전방레이더(1)로 상기 전방카메라(3)의 감지범위를 벗어난 위치에 출현하는 위험물체(M)를 감지하는 단계(S20); 상기 위험물체(M)가 상기 전방카메라(3)의 감지범위를 벗어난 일측에서만 감지된 경우, 상기 컨트롤러(7)가 전조등장치(5)를 제어하여 상기 위험물체(M)를 조사하도록 하는 단계(S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safety control system on a dark road, comprising: the
상기 컨트롤러(7)는 상기 전방카메라(3)의 블락키지 상태가 상기 기준레벨 이상인 상황이 소정의 제2기준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상기 전방레이더(1)로 상기 전방카메라(3)의 감지범위를 벗어난 위치에 출현하는 위험물체(M)를 감지하는 단계(S20)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The
즉, 여기서 상기 제2기준시간은 상기 전방카메라(3)의 블락키지 상태가 기준레벨 이상인 것이 확실한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컨대 15초 등과 같이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That is, here, the second reference time i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blocking state of th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방카메라(3)의 블락키지 상태가 상기 기준레벨 이상인 상태에서, 상기 전방카메라(3)의 감지범위를 벗어난 위치에 출현하는 위험물체(M)를 상기 전방레이더(1)로 감지하는 상태가 소정의 제1기준시간 이상 지속되면, 운전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경고장치(13)를 구동하고, 계기판(9)이나 HUD(1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기 위험물체(M)의 위치 및 정보를 표출하는 단계(S40)를 더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blocking state of the
상기 제1기준시간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가급적 빠른 시간 내에 상기와 같은 위험물체(M)의 출현이 어느 정도 확실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는 정도로 설정되도록 하여, 노이즈에 의한 오판을 방지하면서도, 신속한 알림으로 위험 회피에 보다 유리한 상황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reference time is set to such a degree that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appearance of the dangerous object M as described above is certain to a certain extent within the shortest possible time, thereby preventing erroneous judgment due to noise and providing a prompt notification of danger.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bring about a situation more favorable to avoidanc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조등장치(5)의 조작으로 위험물체(M)에 광선을 조사함에 의해, 상기 전방카메라(3)로 상기 위험물체(M)가 감지되면, 상기 위험물체(M)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S50); 상기 계기판(9)이나 HUD(1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기 위험물체(M)에 대한 정보를 다시 표출하는 단계(S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angerous object M is detected by th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방카메라(3)로 감지된 상기 위험물체(M)에 대한 정보를 분석한 결과, 상기 위험물체(M)와 차량(V)이 충돌할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운전자에게 이를 알리도록 상기 경고장치(13)를 구동하고, 제동장치(15)와 조향장치(17)를 구동하여 차량(V)을 안전한 위치로 대피시키는 단계(S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the information on the dangerous object (M) detected by the front camera (3),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risk of the dangerous object (M) and the vehicle (V) collide, the driver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tep (S70) of driving the
상기 차량(V)을 안전한 위치로 대피시키는 단계(S70)에서는, 상기 위험물체(M)와의 충돌을 회피함과 동시에, 후방레이더(19)로 차량(V) 후방의 다른 차량(V)을 확인하면서 안전지대로 차량(V)을 대피시키도록 한다.In the step (S70) of evacuating the vehicle (V) to a safe location, while avoiding the collision with the dangerous object (M), the
물론, 상기 위험물체(M)와 차량(V)이 충돌할 위험의 판단은 빅데이터 기반 딥러닝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Of course, the determination of the risk of collision between the dangerous object M and the vehicle V may be performed by big data-based deep learning.
또한, 상기 위험물체(M)가 상기 전방카메라(3)의 감지범위를 벗어난 양측에서 동시에 감지된 경우, 상기 컨트롤러(7)는 상기 전조등장치(5)를 이전 상태로 그대로 유지하고, 운전자가 상기 위험물체(M)들을 알아차릴 수 있도록 상기 경고장치(13)를 구동하여 경고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angerous object M is simultaneously detected from both sides outside the detection range of th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전방카메라(3)의 블락키지 상태 및 그 상태의 유지 여부에 따라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blocking state of the
예컨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카메라(3)의 블락키지 상태가 예컨대 3레벨 이상 15초 이상 발생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제어를 수행하도록 전환하고, 또한 본 발명의 제어를 수행하다가 블락키지가 3레벨 미만인 상태가 되면, 이 상태가 예컨대 5초 이상 유지되는지 판단하여, 유지되면 기존의 전방 충돌 방지 시스템으로 제어를 넘기고, 그렇지 않으면 다시 본 발명의 제어를 수행하도록 전환하는 것이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when the blocking state of the
참고로, 도 10에서는 본 발명의 수행을 운전자가 수동으로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바, 이 경우에는 운전자의 별도 해제 동작이 없는 한 계속해서 본 발명에 의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For reference, FIG. 10 shows that the driver can manually select the perform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this case, th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tinuously performed unless there is a separate release operation by the driver.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이 완전 자율주행 차량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장치나 단계는 생략되거나, 탑승자에게 경고하기 위한 것으로 전용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pplied to a fully autonomous vehicle, the device or step for warning the driver may be omitted or may be dedicated to warning the occupant.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it is with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improv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V; 차량
M; 위험물체
1; 전방레이더
3; 전방카메라
5; 전조등장치
7; 컨트롤러
9; 계기판
11; HUD
13; 경고장치
15; 제동장치
17; 조향장치
19; 후방레이더V; vehicle
M; dangerous object
One; front radar
3; front camera
5; headlight device
7; controller
9; instrument panel
11; HUD
13; warning device
15; brake
17; steering
19; rear radar
Claims (15)
광축을 차량의 좌우로 조절하여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조등장치;
상기 전방카메라의 블락키지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전방카메라의 블락키지 상태가 소정의 기준레벨 이상인 상태에서, 상기 전방카메라의 감지범위를 벗어난 일측에 출현한 위험물체를 상기 전방레이더로 감지하면, 상기 전조등장치를 조작하여 상기 위험물체를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컨트롤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두운 도로의 차량 안전 제어 시스템.The vehicle's front radar and front camera;
a headlamp device configured to illuminate by adjusting the optical axis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vehicle;
Monitoring the blocking state of the front camera, and in a state in which the blocking state of the front camera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level, when a dangerous object that appears on one side out of the detection range of the front camera is detected by the front radar, the a controller configured to operate the headlamp device to irradiate the dangerous object;
A vehicle safety control system on a dark roa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방카메라의 블락키지 상태가 상기 기준레벨 이상인 상태에서, 상기 전방카메라의 감지범위를 벗어난 위치에 출현한 위험물체를 상기 전방레이더로 감지하는 상태가 소정의 제1기준시간 이상 지속되면, 운전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경고장치를 구동하고, 계기판이나 HUD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기 위험물체의 위치 및 정보를 표출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어두운 도로의 차량 안전 제어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controller detects a dangerous object appearing in a position outside the detection range of the front camera with the front radar in a state in which the blocking state of the front camera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reference level, the state of detecting a dangerous object with the front camera continues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first reference time , configured to drive a warning device so that the driver can detect it, and to display the location and information of the dangerous object on at least one of the instrument panel or HUD
A vehicle safety control system on dark roads, characterized by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조등장치의 조작으로 위험물체에 광선을 조사함에 의해, 상기 전방카메라로 상기 위험물체가 감지되면, 상기 위험물체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계기판이나 HUD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기 위험물체에 대한 정보를 다시 표출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어두운 도로의 차량 안전 제어 시스템.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n the dangerous object is detected by the front camera by irradiating a light beam to the dangerous object by the operation of the headlight device, the controller analyzes more accurate information about the dangerous object and displays it on at least one of the instrument panel and the HUD. Constructed to re-express information about dangerous objects
A vehicle safety control system on dark roads, characterized by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위험물체와 차량이 충돌할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운전자에게 이를 알리도록 상기 경고장치를 구동하고, 제동장치와 조향장치를 구동하여 차량을 안전한 위치로 대피시키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어두운 도로의 차량 안전 제어 시스템.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risk of collision between the dangerous object and the vehicle, the controller drives the warning device to notify the driver, and drives the braking device and the steering device to evacuate the vehicle to a safe location
A vehicle safety control system on dark roads, characterized by
차량 후방을 감지할 수 있는 후방레이더;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위험물체와 차량이 충돌할 위험과, 차량 주변의 차선을 포함한 도로 상황에 기초한 안전지대를 동시에 판단하여, 상기 위험물체와의 충돌을 회피함과 동시에, 상기 후방레이더로 차량 후방의 다른 차량을 확인하면서, 상기 제동장치와 조향장치를 구동하여, 상기 안전지대로 차량을 대피시키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어두운 도로의 차량 안전 제어 시스템.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a rear radar capable of detecting the rear of the vehicle;
Consists of further comprising,
The controller simultaneously determines the risk of collision between the dangerous object and the vehicle and the safety zone based on the road conditions including the lanes around the vehicle, avoiding the collision with the dangerous object, and at the same time as the rear radar configured to evacuate the vehicle to the safety zone by driving the braking device and the steering device while checking other vehicles
A vehicle safety control system on dark roads, characterized by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위험물체와 차량이 충돌할 위험의 판단을 빅데이터 기반 딥러닝에 의해 판단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어두운 도로의 차량 안전 제어 시스템.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e risk of collision between the dangerous object and the vehicle by big data-based deep learning
A vehicle safety control system on dark roads, characterized by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방카메라의 블락키지 상태가 소정의 기준레벨 이상인 상태에서, 상기 전방카메라의 감지범위를 벗어난 양측에서 위험물체들이 동시에 감지되면, 상기 전조등장치는 이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운전자가 상기 위험물체들을 알아차릴 수 있도록 상기 경고장치를 구동하여 경고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어두운 도로의 차량 안전 제어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controller, when dangerous objects are simultaneously detected from both sides outside the detection range of the front camera when the blocking state of the front camera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level, the headlamp device maintains the previous state, and the driver configured to warn by driving the warning device to recognize dangerous objects
A vehicle safety control system on dark roads, characterized by
상기 전방카메라의 블락키지 상태가 소정의 기준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컨트롤러가 전방레이더로 상기 전방카메라의 감지범위를 벗어난 위치에 출현하는 위험물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위험물체가 상기 전방카메라의 감지범위를 벗어난 일측에서만 감지된 경우, 상기 컨트롤러가 전조등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위험물체를 조사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두운 도로의 차량 안전 제어 시스템 제어 방법. determining, by the controller, the blocking status of the front camera to determine whether the blocking status is high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level;
detecting, by the controller, a dangerous object appearing in a position outside the detection range of the front camera with a front radar when the blocking state of the front camera is high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level;
when the dangerous object is detected only from one side out of the detection range of the front camera, the controller controls the headlight device to irradiate the dangerous object;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safety control system on a dark roa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방카메라의 블락키지 상태가 상기 기준레벨 이상인 상황이 소정의 제2기준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상기 전방레이더로 상기 전방카메라의 감지범위를 벗어난 위치에 출현하는 위험물체를 감지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어두운 도로의 차량 안전 제어 시스템 제어방법.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roller detects a dangerous object appearing in a location outside the detection range of the front camera with the front radar when the situation in which the blocking state of the front camera is above the reference level continues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second reference time doing the steps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safety control system on a dark road,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전방카메라의 블락키지 상태가 상기 기준레벨 이상인 상태에서, 상기 전방카메라의 감지범위를 벗어난 위치에 출현하는 위험물체를 상기 전방레이더로 감지하는 상태가 소정의 제1기준시간 이상 지속되면, 운전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경고장치를 구동하고, 계기판이나 HUD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기 위험물체의 위치 및 정보를 표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두운 도로의 차량 안전 제어 시스템 제어 방법.9. The method of claim 8,
In a state in which the blocking state of the front camera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reference level, if the state of detecting a dangerous object appearing in a position outside the detection range of the front camera with the front radar continues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first reference time, the driver driving a warning device to be detected, and displaying the location and information of the dangerous object on at least one of an instrument panel and a HUD;
A vehicle safety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on a dark roa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상기 전조등장치의 조작으로 위험물체에 광선을 조사함에 의해, 상기 전방카메라로 상기 위험물체가 감지되면, 상기 위험물체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계기판이나 HUD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기 위험물체에 대한 정보를 다시 표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두운 도로의 차량 안전 제어 시스템 제어 방법.11. The method of claim 10,
analyzing more accurate information on the dangerous object when the dangerous object is detected by the front camera by irradiating a light beam to the dangerous object by manipulating the headlight device;
re-expressing the information on the dangerous object on at least one of the instrument panel and the HUD;
A vehicle safety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on a dark roa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상기 전방카메라로 감지된 상기 위험물체에 대한 정보를 분석한 결과, 상기 위험물체와 차량이 충돌할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운전자에게 이를 알리도록 상기 경고장치를 구동하고, 제동장치와 조향장치를 구동하여 차량을 안전한 위치로 대피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두운 도로의 차량 안전 제어 시스템 제어 방법.12. The method of claim 11,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ormation on the dangerous object detected by the front camera,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risk of a collision between the dangerous object and the vehicle, the warning device is driven to notify the driver of this, and the braking device and the steering device are operated. evacuating the vehicle to a safe location by driving;
A vehicle safety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on a dark roa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상기 차량을 안전한 위치로 대피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위험물체와의 충돌을 회피함과 동시에, 후방레이더로 차량 후방의 다른 차량을 확인하면서 안전지대로 차량을 대피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어두운 도로의 차량 안전 제어 시스템 제어 방법.13. The method of claim 12,
In the step of evacuating the vehicle to a safe location, avoiding a collision with the dangerous object and evacuating the vehicle to a safe area while checking other vehicles behind the vehicle with the rear radar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safety control system on a dark road,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위험물체와 차량이 충돌할 위험의 판단은 빅데이터 기반 딥러닝에 의해 수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어두운 도로의 차량 안전 제어 시스템 제어 방법.14. The method of claim 13,
Determination of the risk of collision between the dangerous object and the vehicle is performed by big data-based deep learn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safety control system on a dark road,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위험물체가 상기 전방카메라의 감지범위를 벗어난 양측에서 동시에 감지된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조등장치를 이전 상태로 그대로 유지하고, 운전자가 상기 위험물체들을 알아차릴 수 있도록 상기 경고장치를 구동하여 경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두운 도로의 차량 안전 제어 시스템 제어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n the dangerous object is simultaneously detected from both sides outside the detection range of the front camera, the controller maintains the headlight device as it is and drives the warning device so that the driver can recognize the dangerous object to warn to do;
A vehicle safety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on a dark roa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44389A KR20220060002A (en) | 2020-11-02 | 2020-11-02 | Vehicle safty control system for dark road driv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44389A KR20220060002A (en) | 2020-11-02 | 2020-11-02 | Vehicle safty control system for dark road driv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60002A true KR20220060002A (en) | 2022-05-11 |
Family
ID=81607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44389A Pending KR20220060002A (en) | 2020-11-02 | 2020-11-02 | Vehicle safty control system for dark road driv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60002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23205232A1 (en) * | 2023-06-05 | 2024-12-05 |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 Information system for a motor vehicle, method for situational suppression of an output of information and motor vehicl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78775A (en) | 2017-12-27 | 2019-07-05 |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ying collision risk on the road |
-
2020
- 2020-11-02 KR KR1020200144389A patent/KR20220060002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78775A (en) | 2017-12-27 | 2019-07-05 |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ying collision risk on the road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23205232A1 (en) * | 2023-06-05 | 2024-12-05 |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 Information system for a motor vehicle, method for situational suppression of an output of information and motor vehicle |
DE102023205232B4 (en) | 2023-06-05 | 2025-02-20 |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 Information system for a motor vehicle, method for situational suppression of an output of information and motor vehic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142814B2 (en) | Autonomous driving control system and vehicle | |
JP6557843B1 (en) | VEHICLE CONTROL DEVICE, CONTROL SYSTEM, AND CONTROL PROGRAM | |
EP1334871B1 (en) | Movable body safety system and movable body operation support method | |
EP2492165B1 (en) | Blind spot avoidance system | |
KR20210008034A (en) | Passive infrared pedestrian detection and avoidance system | |
US20190023281A1 (en) | Vehicle control device and vehicle control method | |
JP2013203251A (en) | Light emission control device, emission warning system, light control system, and light emission control program | |
KR20180132668A (en) | Method for controlling automatic display of a pictogram indicating the presence of a distress situation in front of a vehicle | |
US10220771B2 (en) | Method and driver assistance system for assisting a driver of a vehicle | |
JP2009217495A (en) | Hazard warning device | |
KR20220060002A (en) | Vehicle safty control system for dark road driv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491177B1 (en) | Night view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957922B1 (en) | Method and apparatus of avoiding vehicle collision | |
US11951903B2 (en) | Driving assistance system | |
GB2579237A (en) | Method of autonomous reverse gear activation in critical situation | |
KR102616203B1 (en) | Alarm controlling device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 |
KR20220052428A (en) | Autonomous lane change system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220071560A (en) | Apparatus amd method for warning pedestrian in emergency breaking situation | |
KR20210082303A (en) | Warning apparatus and method of assisting forward collision prevention of slopes | |
KR102646042B1 (en) | the traffic accident prevention system by the rotate right vehicles and method thereof | |
US12347316B2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ell distinguishable warning levels for obstacles in different visibility areas in the vicinity of a vehicle | |
US12122291B1 (en) | Method and system for warning nearby road-users at risk using exterior vehicle lights | |
KR20220060004A (en) | Wildlife collision accident prevention systme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12039869B2 (en) | Driver assistance system including pedestrian protection function | |
JP7037611B1 (en) | Vehicle driving support device, vehicle driving support method and vehicle driving support progra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0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311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11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