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059107A - 플로팅 구조를 갖는 방수타입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로팅 구조를 갖는 방수타입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9107A
KR20220059107A KR1020200144316A KR20200144316A KR20220059107A KR 20220059107 A KR20220059107 A KR 20220059107A KR 1020200144316 A KR1020200144316 A KR 1020200144316A KR 20200144316 A KR20200144316 A KR 20200144316A KR 20220059107 A KR20220059107 A KR 20220059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tact
flow
type connector
outs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4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종만
김용태
설진환
유민헌
강동희
Original Assignee
한국프레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프레틀(주) filed Critical 한국프레틀(주)
Priority to KR1020200144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9107A/ko
Publication of KR20220059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9107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 제1터미널과 상기 제2터미널의 접촉시 축 틀어짐에 대응하여 상기 제2터미널을 좌우 유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유동바디가 구비됨으로써, 축 틀어짐을 안정적으로 보정할 수 있는 플로팅 구조를 갖는 방수타입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플로팅 구조를 갖는 방수타입 커넥터는, 서로 조립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리셉터클부와 플러그부로로 이루어지되, 상기 리셉터클부는, 상기 플러그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터미널; 상기 제1터미널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고정바디; 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부는, 상기 제1터미널과 접촉하는 제2터미널; 상기 제2터미널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유동바디; 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바디는 상기 제1터미널과 상기 제2터미널의 접촉시 축 틀어짐에 대응하여 상기 제2터미널을 좌우 유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Description

플로팅 구조를 갖는 방수타입 커넥터{Waterproof type connector with floating structure}
본 발명은 플로팅 구조를 갖는 방수타입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별도의 스프링을 추가하지 않고 플러그측을 유동 가능하게 구성한 플로팅 구조를 갖는 방수타입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위한 교환국장비, 기지국장비 및 중계기 등의 설비와 부품에는 주파수가 높은RF신호와 같은 특정신호를 상호 송수신하기 위하여 RF(radio frequency) 케이블이 연결된다.
이러한 RF케이블은용도 및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동축 커넥터를 구비하고 있으며, 연결 부품의 구조적 특징에 적합하게 제작된 커넥터를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동축 커넥터(Co-Axial Connector)의 종류에는 N-Type, BNC-Type, TNC-Type, SMA-Type 등이 있으며, 상기와 같은 분류는 커넥터의 형태, 케이블의 종류, 신호의 주파수 범위, 결합방법 등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N-Type 커넥터는 중간 정도의 동축케이블용으로 사용되며, 나사 조임 방식으로 서로 결합되고, N-J 안테나 커넥터로 많이 이용된다. 상기 BNC-Type 커넥터는 가는 케이블용으로 소형이면서 경량이고, 신속 착탈이 가능한 콘센트 핀(Bayonet) 조임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PCB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상기 TNC-Type 커넥터는 무선 이동통신 기기용으로 많이 사용되며, 소형의 나사 조임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SMA-Type 커넥터는 초가소성 금속합금(SMA: Sub miniature type A) 타입을 의미하는 것으로 50Ω 임피던스를 갖는 커넥터로서, 특정 자동설비의 가는 케이블용으로 많이 사용되며, 푸시온(push-on) 방식과 나사 조임방식으로 구분된다.
이 종류의 동축 커넥터의 소켓에는, 소켓의 중앙에 배치된 소켓측 중심 콘택트와, 소켓측 중심 콘택트의 외측에 배치된 소켓측 셸을 구비하며, 플러그와의 접속시에는, 소켓측 중심 콘택트 및 소켓측 셸의 양방이 상대방의 플러그측 중심 콘택트 및 플러그측 셸과 적절하게 접속되는 일이 필요시된다.
따라서, 전자기기에 내장된 기판이나 섀시 등의 지지체에 대한 소켓 및 플러그의 장착 위치 등에 따라, 상호 접속되는 플러그와 소켓과의 사이에 축 방향 또는 직경 방향으로 위치 어긋남이 발생했다고 해도 양동축 커넥터의 접속시에는, 위치 어긋남이 수정되어야 한다.
그래서, 종래의 동축 커넥터의 소켓에는, 기판이나 박스체 등의 지지체에 고정되는 소켓 기부에 대하여 직경 방향(x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소켓 본체를 구비하고, 소켓 본체를 플러그와 접속시키도록 한 플로팅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소켓 기부에는, 소켓 본체를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통 형상의 소켓측 셸과, 소켓측 셸 내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중심 도체부와, 중심 도체부와 소켓측 셸을 절연하는 절연 부재와, 소켓측 셸에 유지된 커넥터 본체를 직경 방향을 향하여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이나 접시 스프링 등의 가압 수단을 구비하고, 축 어긋남이 발생해도 커넥터 본체가 상대방 동축 커넥터와 상호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플로팅 기구를 구비한 동축 커넥터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1)와 소켓(12)과의 사이에 전후 방향으로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 절연하우징(210) 가동부(82)와 플러그(2)는, 절연하우징(210) 가동부(82)의 유도면부(821a)에 유도되어 상호 감합하려고 하고, 요동 스프링부(93)의 탄성 신축부(931)가 휘어 전후로 줄어들고, 절연하우징(210) 기부(81)에 대한 절연하우징(210) 가동부(82) 및 소켓측 중심 콘택트(6)의 접촉부(424)의 전후 이동을 허용하고, 플러그측 중심 콘택트(3)와 소켓측 중심 콘택트(6)가 접속된다.
그때, 플러그측 셸(4), 즉, 가동 셸(42)은, 절연하우징(210) 가동부(82)의 외측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양 탄성 접촉편부(72, 72) 사이에 협지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됨과 함께, 가동 셸(42)의 하단이 셸 맞닿음판부(73,73) 상을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소켓측 셸(7)과 안정된 접속 상태에 있다.
그러나 종래의 플로팅 기구는 소켓(12) 측에 판스프링 형태로 구비되어 구조가 복잡하며, 이로 인해 제조 단가가 증가하고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방수 구조를 요하는 경우 수밀 유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6218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터미널과 상기 제2터미널의 접촉시 축 틀어짐에 대응하여 상기 제2터미널을 좌우 유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유동바디가 구비됨으로써, 축 틀어짐을 안정적으로 보정할 수 있는 플로팅 구조를 갖는 방수타입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플로팅 구조를 갖는 방수타입 커넥터는, 서로 조립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리셉터클부와 플러그부로로 이루어지되, 상기 리셉터클부는, 상기 플러그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터미널; 상기 제1터미널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고정바디; 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부는, 상기 제1터미널과 접촉하는 제2터미널; 상기 제2터미널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유동바디; 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바디는 상기 제1터미널과 상기 제2터미널의 접촉시 축 틀어짐에 대응하여 상기 제2터미널을 좌우 유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유동바디는, 상기 유동바디는, 상기 제2터미널의 외측을 감싸는 절연체; 상기 제2터미널과 상기 절연체의 둘레를 감싸는 플러그바디; 상기 플러그바디의 외측에 장착되는 제1유동바디; 를 포함하되, 상기 제1유동바디의 외측에는 상기 유동공에 삽입 배치되되 직경이 상기 유동공의 내경보다 작은 유격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유동바디는 상기 유동공에 삽입되어 일정 각도 회전 결합되며, 상기 유격부의 하단에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유동바디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 통과하는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유동바디의 회전 결합시 상기 결합돌기와 접하여 상기 제1유동바디를 상기 리셉터클부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제2유동바디의 내측에는 상기 제2터미널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탄성결합부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탄성결합부는 상기 제1유동바디의 외측과 접하여 상기 제1유동바디가 상기 유동공에 중앙에 배치되도록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상기 제1유동바디의 하단 외측에는 둘레를 따라 고정지지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탄성결합부는 상기 유동공에 상기 제1유동바디가 삽입될 때 상기 고정지지부와 접하여 상기 제1유동바디의 되빠짐을 저지한다.
상기 제1유동바디와 상기 제2유동바디 사이에 배치되는 수밀링; 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유동바디의 외측에는 상기 수밀링의 일면과 접하는 접촉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유동바디에는 상기 수밀링이 삽입 고정되는 수밀홈이 형성된다.
고정바디는, 상기 제1터미널을 외측을 감싸는 절연하우징; 상기 절연하우징의 외측에 장착되며,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탄성돌기가 형성된 탄성셀; 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플로팅 구조를 갖는 방수타입 커넥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제1유동바디(420)가 상기 제2유동바디(430)에 대해 수평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1터미널(100)과 상기 제2터미널(300)의 접촉시 축 틀어짐을 안정적으로 보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제1유동바디(420)의 외측에 상기 유동공(431)에 삽입 배치되되 직경이 상기 유동공(431)의 내경보다 작은 유격부(421)가 형성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유동 범위를 제한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유동바디(420)의 회전 결합시 상기 결합돌기(422)가 상기 지지돌기(433)와 접하여 상기 리셉터클부(A) 방향으로 하강함으로써,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결합돌기(422)가 상기 경사면(433a)을 따라 하강하여 상기 지지면(433b)에 배치됨으로써, 조립을 편리하게 하고, 상기 제1유동바디(420)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여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접촉부(424)가 상기 수밀링(440)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접촉부(424)와 상기 수밀링(440)의 밀착력을 증가시켜 수밀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하, 상기 제2유동바디(430)에 상기 탄성결합부(434)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유동바디(420)가 탄력적으로 좌우 유동 할 수 있고, 다시 중앙으로 복원되도록 가이드 하여 축틀어짐에 의한 접촉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탄성결합부(434)는 상기 고정지지부(423)와 접하여 상기 제1유동바디(420)가 상기 유동공(431)에서 되빠지지 않도록 고정하여 고정력과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커넥터의 단면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구조를 갖는 방수타입 커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구조를 갖는 방수타입 커넥터 리셉터클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구조를 갖는 방수타입 커넥터의 플러그부의 일방향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구조를 갖는 방수타입 커넥터의 플러그부의 타방향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구조를 갖는 방수타입 커넥터의 리셉터클부와 플러그의 결합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구조를 갖는 방수타입 커넥터의 리셉터클부와 플러그의 회전시 단면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구조를 갖는 방수타입 커넥터는, 서로 조립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리셉터클부(A)와 플러그부(B)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셉터클부(A)는 제1터미널(100) 및 고정바디(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터미널(100)은 상기 플러그부(B)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중앙이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관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터미널(100)의 외측에는 중공과 연결되는 측면홈(110)이 개방 형성된다.
상기 고정바디(200)는 상기 제1터미널(100)의 외측을 감싸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절연하우징(210)과 탄성셀(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절연하우징(210)은 상하 관통된 중공을 갖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절연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단에는 하향 경사지게 모따기된 가이드부(211)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탄성셀(220)은 상기 절연하우징(210)의 외측을 감싸며, 상단에는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탄성돌기(221)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탄성돌기(221)는 상단이 외측 방향으로 볼록한 호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탄성력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플러그부(B)는 제2터미널(300)과 유동바디(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터미널(300)은 상기 제1터미널(100)과 접촉하는 것으로, 길이가 긴 핀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유동바디(400)는 상기 제2터미널(300)의 외측을 감싸게 형성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절연체(410), 플러그바디(415), 제1유동바디(420), 제2유동바디(430), 수밀링(4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절연체(410)는 상기 제2터미널(300)의 중간부분을 감싸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러그바디(415)는 중공을 갖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절연체의 둘레를 감싸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플러그바디(415)는 길이가 상기 제2터미널(300) 보다 길게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제2터미널(300)이 완전히 삽입된다.
또한, 상기 플러그바디(415)는 내경이 상기 절연체(410)의 외경과 같거나 크게 형성되므로 상기 제2터미널(300)과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1유동바디(420)는 상기 절연체(410)의 외측을 감싸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절연체(410)와 결합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유동바디(420)의 외측에는 유격부(421), 결합돌기(422), 고정지지부(423) 및 접촉부(424)가 형성된다.
상기 유격부(421)는 후술할 상기 제2유동바디(430)의 유동공(431)에 삽입 배치되는 부분으로, 외경이 상기 유동공(43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유동공(431) 내부에서 좌우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유격부(421)에 의해 상기 유동바디(400)는 상기 제1터미널(100)과 상기 제2터미널(300)의 접촉시 축 틀어짐에 대응하여 상기 제2터미널(300)을 좌우 유동 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유동바디(420)는 상기 제2유동바디(430)에 삽입시 일정 각도 회전하여 결합된다.
상기 결합돌기(422)는 상기 유격부(421)의 하부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으로, 4개로 이루어져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결합돌기(422)는 후술할 상기 제2유동바디(430)의 결합홈(432)을 통과하여 상기 제2유동바디(430)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고정지지부(423)는 상기 유격부(421)의 하부에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것으로, 상기 결합돌기(422)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지지부(423)는 후술할 상기 제2유동바디(430)의 탄성결합부(434)와 접하여 상기 제1유동바디(420)가 상기 제2유동바디(430)에서 되빠지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상기 접촉부(424)는 상기 유격부(421)의 상부에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으로,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유동공(431)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접촉부(424)는 후술할 상기 수밀링(440)에 밀착되어 상기 제1유동바디(420)와 제2유동바디(430) 사이의 틈새를 밀폐한다.
한편, 상기 제2유동바디(430)는 하단이 개방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며, 중앙에는 상기 유동공(431)이 상하 관통 형성되고, 상기 유동공(431)의 내주연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결합홈(432)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432)은 상기 제1유동바디(420)와 상기 제2유동바디(430)의 결합시 상기 결합돌기(422)가 삽입 통과하는 구멍으로, 상기 결합돌기(422)와 마찬가지로 4개로 이루어져 내주연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유동바디(430)의 하부에는 지지돌기(433), 탄성결합부(434)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수밀홈(435)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기(433)는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4개로 이루어져 상기 유동공(431)의 내주연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결합홈(432)과 이웃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지지돌기(433)의 하부에는 경사면(433a)과 지지면(433b)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433a)은 하형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유동바디(420)의 회전 결합시 상기 결합돌기(422)와 접하여 상기 제1유동바디(420)를 상기 리셉터클부(A)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접촉부(424)는 상기 수밀링(440)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 지지면(433b)은 상기 경사면(433a)와 연결되며, 수평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면(433b)은 상기 제1유동바디(420)의 회전시 상기 경사면(433a)을 따라 이동한 상기 결합돌기(422)와 접하게 되며, 상기 접촉부(424)가 상기 수밀링(440)에 계속 밀착되도록 지지하게 된다.
상기 탄성결합부(434)는 상기 유동공(431)의 내주연에서 내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432)과 상기 지지돌기(433) 사이에 하나씩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탄성결합부(434)는 상기 유격부(421)와 접하여 상기 제1유동바디(420)가 상기 유동공(431)에 중앙에 배치되도록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결합부(434)는 상기 제1유동바디(420)가 상기 유동공(431)에 삽입될 때 상기 고정지지부(423)와 접하며, 상기 제1유동바디(420)가 다시 되빠지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상기 수밀홈(435)은 상기 제2유동바디(430)의 상부에 원형의 링 형태로 개방 형성되며, 깊이가 후술할 상기 수밀링(440)의 최대 높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밀홈(435)에 상기 수밀링(440)이 삽입되면 상기 수밀링(440)은 상부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수밀홈(435)의 상부에는 상기 접촉부(424)가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수밀링(440)은 탄성을 갖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며, 링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수밀링(440)은 상기 수밀홈(435)에 삽입되며, 상기 제1유동바디(420)와 제2유동바디(430)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여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수밀링(440)은 상기 수밀홈(435)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부(424)와 접하게 되며, 상기 제1유동바디(420)의 회전시 상기 접촉부(424)가 상기 리셉터클부(A)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압축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유동바디(420)와 상기 제2유동바디(430) 사이에 상기 수밀링(440)을 설치하여 방수가 가능하며, 상기 제1유동바디(420)의 회전 결합시 상기 접촉부(424)가 상기 수밀링(440)을 가압함으로써, 밀착력이 강화되어 수밀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구조를 갖는 방수타입 커넥터는, 상기 제1유동바디(420)가 상기 제2유동바디(430)에 대해 수평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1터미널(100)과 상기 제2터미널(300)의 접촉시 축 틀어짐을 안정적으로 보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제1유동바디(420)의 외측에 상기 유동공(431)에 삽입 배치되되 직경이 상기 유동공(431)의 내경보다 작은 유격부(421)가 형성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유동 범위를 제한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유동바디(420)의 회전 결합시 상기 결합돌기(422)가 상기 지지돌기(433)와 접하여 상기 리셉터클부(A) 방향으로 하강함으로써,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결합돌기(422)가 상기 경사면(433a)을 따라 하강하여 상기 지지면(433b)에 배치됨으로써, 조립을 편리하게 하고, 상기 제1유동바디(420)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여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접촉부(424)가 상기 수밀링(440)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접촉부(424)와 상기 수밀링(440)의 밀착력을 증가시켜 수밀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하, 상기 제2유동바디(430)에 상기 탄성결합부(434)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유동바디(420)가 탄력적으로 좌우 유동 할 수 있고, 다시 중앙으로 복원되도록 가이드 하여 축틀어짐에 의한 접촉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탄성결합부(434)는 상기 고정지지부(423)와 접하여 상기 제1유동바디(420)가 상기 유동공(431)에서 되빠지지 않도록 고정하여 고정력과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A : 리셉터클부
B : 플러그부
100 : 제1터미널
200 : 고정바디
210 : 절연하우징
220 : 탄성셀
300 : 제2터미널
400 : 유동바디
410 : 절연체
415 : 플러그바디
420 : 제1유동바디
421 : 유격부
422 : 결합돌기
423 : 고정지지부
424 : 접촉부
430 : 제2유동바디
431 : 유동공
432 : 결합홈
433 : 지지돌기
433a : 경사면
433b : 지지면
434 : 탄성결합부
435 : 수밀홈
440 : 수밀링

Claims (7)

  1. 서로 조립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리셉터클부와 플러그부로로 이루어지되,
    상기 리셉터클부는,
    상기 플러그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터미널;
    상기 제1터미널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고정바디; 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부는,
    상기 제1터미널과 접촉하는 제2터미널;
    상기 제2터미널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유동바디; 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바디는 상기 제1터미널과 상기 제2터미널의 접촉시 축 틀어짐에 대응하여 상기 제2터미널을 좌우 유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구조를 갖는 방수타입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바디는,
    상기 제2터미널의 외측을 감싸는 절연체;
    상기 제2터미널과 상기 절연체의 둘레를 감싸는 플러그바디;
    상기 플러그바디의 외측에 장착되는 제1유동바디;
    상기 제1유동바디가 관통 삽입 배치되는 유동공이 형성된 제2유동바디; 를 포함하되,
    상기 제1유동바디의 외측에는 상기 유동공에 삽입 배치되되 직경이 상기 유동공의 내경보다 작은 유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구조를 갖는 방수타입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동바디는 상기 유동공에 삽입되어 일정 각도 회전 결합되며, 상기 유격부의 하단에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유동바디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 통과하는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유동바디의 회전 결합시 상기 결합돌기와 접하여 상기 제1유동바디를 상기 리셉터클부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구조를 갖는 방수타입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동바디의 내측에는 상기 제2터미널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탄성결합부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탄성결합부는 상기 제1유동바디의 외측과 접하여 상기 제1유동바디가 상기 유동공에 중앙에 배치되도록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구조를 갖는 방수타입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동바디의 하단 외측에는 둘레를 따라 고정지지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탄성결합부는 상기 유동공에 상기 제1유동바디가 삽입될 때 상기 고정지지부와 접하여 상기 제1유동바디의 되빠짐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구조를 갖는 방수타입 커넥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동바디와 상기 제2유동바디 사이에 배치되는 수밀링; 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유동바디의 외측에는 상기 수밀링의 일면과 접하는 접촉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유동바디에는 상기 수밀링이 삽입 고정되는 수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구조를 갖는 방수타입 커넥터.
  7.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바디는,
    상기 제1터미널을 외측을 감싸는 절연하우징;
    상기 절연하우징의 외측에 장착되며,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탄성돌기가 형성된 탄성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구조를 갖는 방수타입 커넥터.



KR1020200144316A 2020-11-02 2020-11-02 플로팅 구조를 갖는 방수타입 커넥터 Pending KR202200591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316A KR20220059107A (ko) 2020-11-02 2020-11-02 플로팅 구조를 갖는 방수타입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316A KR20220059107A (ko) 2020-11-02 2020-11-02 플로팅 구조를 갖는 방수타입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107A true KR20220059107A (ko) 2022-05-10

Family

ID=81592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316A Pending KR20220059107A (ko) 2020-11-02 2020-11-02 플로팅 구조를 갖는 방수타입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91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8163A (ko) * 2022-08-24 2024-03-05 주식회사 신화콘텍 카메라 모듈용 커넥터 어셈블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2188B1 (ko) 2015-08-04 2018-05-29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플로팅 기구 부착 동축 커넥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2188B1 (ko) 2015-08-04 2018-05-29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플로팅 기구 부착 동축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8163A (ko) * 2022-08-24 2024-03-05 주식회사 신화콘텍 카메라 모듈용 커넥터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8177B2 (en) Floating coaxial connector
CN108736197B (zh) 用于将印刷电路板相互连接的浮动连接器
KR101862188B1 (ko) 플로팅 기구 부착 동축 커넥터
KR101992258B1 (ko) 동축 커넥터
US7717716B2 (en) Pivoting printed board connector
CN115224521B (zh) 浮动连接器及其组合
EP3196989B1 (en) Coaxial connector equipped with floating mechanism
US11056807B2 (en) Float connector for interconnecting printed circuit boards
US8414328B2 (en) Method of installing antenna and coaxial connector
JP2008532244A (ja) 遊動型電子コネクタ
JP6290391B2 (ja) プラグインコネクタ
JP5727003B2 (ja) 無線受信機のためのアンテナインタフェース
JP2017126512A (ja) 中継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接続組立体
KR102383904B1 (ko) 상보적인 커넥터의 접촉 핀을 수용하기 위해 말단이 포크인 편평한 중앙 접촉부 및 접촉 핀을 안내하는 고체 절연체를 포함하는 rf 커넥터
KR20190060662A (ko) 기판연결용 커넥터
JP2023517065A (ja) コネクタアセンブリ
CN115735303A (zh) 板接通连接器以及具备其的板接通组件
KR20220059107A (ko) 플로팅 구조를 갖는 방수타입 커넥터
JP5071587B2 (ja) 検査用同軸コネクタ
CN103887626A (zh) 同轴连接器
TWM634393U (zh) 浮動連接器
KR101685604B1 (ko) 동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US20240347988A1 (en) Coaxial board connector with an improved inner conductor
US20240120693A1 (en) Connector with floating mechanism
KR101172773B1 (ko) 알에프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2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41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