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6592A -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56592A KR20220056592A KR1020200141303A KR20200141303A KR20220056592A KR 20220056592 A KR20220056592 A KR 20220056592A KR 1020200141303 A KR1020200141303 A KR 1020200141303A KR 20200141303 A KR20200141303 A KR 20200141303A KR 20220056592 A KR20220056592 A KR 2022005659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
- disposed
- pixel
- material layer
- lay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 H01L27/3246—
-
- H01L27/1248—
-
- H01L27/3218—
-
- H01L27/3223—
-
- H01L27/3258—
-
- H01L27/3262—
-
- H01L51/5209—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6/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 H10D86/4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characterised by multiple TFTs
- H10D86/451—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characterised by multiple TF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s or shapes of the interlayer dielectric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10K50/813—An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ical arrangement of the RGB subpixel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8—Dummy elements, i.e. elements having non-function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명세서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퀀텀닷발광 표시장치 (QLED: Quantum dot Light Emitting Display), 무기발광 표시장치, 유기발광 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및 마이크로 엘이디 표시장치 (Micro-LED Display)와 같은 여러 가지 표시장치가 활용되고 있다.As the information society develops, the demand for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is increasing in various forms. Accordingly, in recent years, quantum dot light emitting display (QLED: Quantum dot Light Emitting Display), in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icro-LED display (Micro-LED Display) and The same various display devices are being used.
표시장치들 중에서 유기발광 표시장치, 퀀텀닷발광 표시장치, 무기발광 표시장치, 및 마이크로 엘이디 표시장치는 자체발광형으로서, 기존의 액정표시장치(LCD)에 비해 시야각, 대조비 등이 우수하며, 별도의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아 경량 박형이 가능하며, 소비전력이 유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자체발광형 표시장치는 직류저전압 구동이 가능하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특히 제조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Among display devices,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s, quantum dot light emitting displays, in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s, and micro LED displays are self-emissive and have superior viewing angles and contrast ratios compared to conventional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It does not require a backlight, so it can be lightweight and thin, and has the advantage of advantageous power consumption. In addition, the self-emission type display device can be driven with a low direct current voltage, has a fast response speed, and has the advantages of low manufacturing cost.
자체발광형 표시장치 중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2개 이상의 발광층들이 적층된 2 스택(stack) 이상의 탠덤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탠덤 구조로 형성된 발광층은 연장되어 복수의 서브 화소에서 공통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어느 한 서브 화소에서 인접한 서브 화소로 연장되어 공통적으로 형성된 발광층으로 인하여 전류가 누설될 수 있다. 이와같이, 공통층으로 형성된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누설 전류로 인해 색 재현율이 저하될 수 있다.Among self-emission type display devic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may be formed in a tandem structure of two or more stacks in which two or more light emitting layers are stacked. In this case, the emission layer formed in the tandem structure may be extended to form a common layer in the plurality of sub-pixels. Current may leak due to the common emission layer extending from one sub-pixel to an adjacent sub-pixel. As described above,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including the light emitting layer formed as a common layer, color reproducibility may be deteriorated due to leakage current.
본 명세서는 복수의 서브 화소들 사이에서 누설 전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 leakage current from occurring between a plurality of sub-pixels.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복수의 서브 화소를 포함하며 각 서브 화소 별로 박막 트랜지스터가 배치된 기판,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 배치된 보호층, 보호층 상에 배치된 유기 물질층, 유기 물질층 상에 배치되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하도록 배치된 무기 물질층, 무기 물질층 상에 배치되며 무기 물질층의 끝단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제1 전극, 제1 전극의 가장자리를 덮으며 무기 물질층의 끝단 보다 돌출되도록 배치된 뱅크, 뱅크 및 제1 전극 상에 배치되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단절된 발광층, 및 발광층 상에 배치된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substrate including a plurality of sub-pixels and on which a thin film transistor is disposed for each sub-pixel, a protective layer disposed on the thin film transistor, an organic material layer disposed on the protective layer, and an organic An inorganic material layer disposed on the material laye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a first electrode disposed on the inorganic material layer and positioned inside the end of the inorganic material layer, and covering the edges of the first electrode, The bank may include a bank disposed to protrude from an end of the inorganic material layer, an emission layer disposed on the bank and the first electrode and cut off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electrode disposed on the emission layer.
본 명세서에 따르면, 복수의 서브 화소들 사이에 구비된 뱅크의 일 측에 언더컷 구조를 가짐으로써, 전하 생성층이 다른 색 광을 방출하는 서브 화소들 사이에서 연결되지 않고 끊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는 다른 색 광을 방출하는 서브 화소들 간에 누설 전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by having the undercut structure on one side of the bank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sub-pixels, the charge generating layer may be disconnected without being connected between the sub-pixels emitting light of different colors.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leakage current from occurring between sub-pixels emitting light of different colors.
또한, 본 명세서는 뱅크의 언더 컷 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추가된 무기 물질층은 별도의 마스크를 이용하지 않고서, 발광소자의 제1 전극의 하부에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극의 하부에 형성된 무기 물질층을 이용하여 뱅크(118)의 언더 컷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색을 가지는 서브 화소들 사이에서 누설 전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언더컷 구조를 가지는 뱅크를 형성함에 있어서, 별도의 마스크 공정이 추가 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으며, 생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inorganic material layer added to form the undercut structure of the bank may be formed under the first electrod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without using a separate mask. In addition, an undercut structure of the
위에서 언급된 본 명세서의 효과 외에도, 본 명세서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o the effec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entioned above,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or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specifica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and description.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 따른 표시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소(P)내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화소중 어느 하나의 서브 화소에 대한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화소(P)내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I' 라인의 단면도이다.
도 5a내지 도 5f는 도 3의 I-I' 라인의 단면도로서,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 2 is a circuit diagram of any one sub-pixel among a plurality of sub-pixels included in the pixel P shown in FIG. 1 .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in the pixel P shown in FIG. 1 .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3 .
5A to 5F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II′ of FIG. 3 and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본 명세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예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명세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xample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o be complete, and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specifica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dicat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is specifica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명세서가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The shapes, sizes, proportions, angles, numbers,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example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illustrative and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matter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When 'including', 'having', 'consisting', etc.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When a component is expressed in the singular, cases including the plural are included unless otherwise explicitly stated.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In interpreting the components, it is construed as including an error range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whe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wo parts is described as 'on', 'on', 'on', 'beside', etc., 'right' Alternatively, one or more other parts may be positioned between two parts unless 'directly' is used.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요소는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명세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der, or numb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be interposed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ach component may be “interposed” or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본 명세서의 여러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Each of the features of the various example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partially or whol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technically various interlocking and driving are possible, and each example may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may be implemented together in a related relationship. .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따른 표시장치의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Hereinafter, an exampl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may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in different drawings.
도 1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10), 게이트 드라이버(120), 데이터 드라이버(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패널(110)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DA)과 정보가 표시 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 the
표시 패널(110)은 게이트 라인(GL)들, 데이터 라인(DL)들 및 게이트 라인(GL)들과 데이터 라인(DL)들의 교차 영역에 배치된 화소(P)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P)는, 표시소자및 표시소자를 구동하는 화소 구동부(PDC)를 포함한다. 화소(P)의 구동에 의해 표시 패널(110)에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The
제어부(140)는 게이트 드라이버(120)와 데이터 드라이버(130)를 제어할 수 있다.The
제어부(140)는 외부 시스템(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되는 수직/수평 동기신호와 클럭 신호를 이용하여, 게이트 드라이버(120)를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제어신호(GCS) 및 데이터 드라이버(13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제어신호(DCS)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영상데이터를 샘플링한 후 이를 재정렬하여, 영상데이터(RGB)를 데이터 드라이버(130)에 공급할 수 있다. The
게이트 제어신호(GCS)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 게이트 쉬프트 클럭(GSC),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 신호(GOE), 스타트 신호(Vst) 및 게이트 클럭(GCL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제어신호(GCS)에는 쉬프트 레지스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들이 포함될 수 있다.The gate control signal GCS may include a gate start pulse GSP, a gate shift clock GSC, a gate output enable signal GOE, a start signal Vst, and a gate clock GCLK. Also, the gate control signal GCS may include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the shift register.
데이터 제어신호(DCS)는 소스 스타트 펄스(SSP), 소스 쉬프트 클럭신호(SSC), 소스 출력 이네이블 신호(SOE), 극성제어신호(PO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ata control signal DCS may include a source start pulse SSP, a source shift clock signal SSC, a source output enable signal SOE, a polarity control signal POL, and the like.
데이터 드라이버(130)는 표시 패널(110)의 데이터 라인(DL1~DLn: DL)들로 데이터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드라이버(130)는 제어부(140)로부터 입력된 영상데이터(RGB)를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 전압을 데이터 라인(DL)들에 공급할 수 있다. The
게이트 드라이버(120)는 1 프레임 동안 게이트 라인(GL1~GLn: GL)들에 게이트 펄스(GP)를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1 프레임이란, 표시 패널(110)을 통해 하나의 이미지가 출력되는 기간을 말한다. 또한, 게이트 드라이버(120)는 1 프레임 중 게이트 펄스(GP)가 공급되지 않는 나머지 기간 동안에는, 스위칭 소자를 턴오프시킬 수 있는 게이트 오프 신호(Goff)를 게이트 라인(GL)에 공급할 수 있다. 이하, 게이트 펄스(GP)와 게이트 오프 신호(Goff)를 총칭하여 스캔신호(SS)라 한다. Th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게이트 드라이버(120)는 표시 패널(110)에 실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게이트 드라이버(120)가 표시 패널(110)에 직접 실장되어 있는 구조를 게이트 인 패널(Gate In Panel: GIP) 구조라고 한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소(P)내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화소중 어느 하나의 서브 화소에 대한 회로도 이다.FIG. 2 is a circuit diagram of any one sub-pixel among a plurality of sub-pixels included in the pixel P shown in FIG. 1 .
도 2를 참조하면, 본 명세의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100)의 표시 패널은(110)은 화소 구동부(PDC) 및 화소 구동부(PDC)와 연결된 발광 소자(4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도 2의 회로도는 발광 소자(400)로 발광 다이오드 (LED)를 포함하는 표시장치(100)의 한 화소(P)에 배치된 하나의 서브 화소(SP)에 대한 등가 회로도이다.The circuit diagram of FIG. 2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one sub-pixel SP disposed in one pixel P of the
도 2의 화소 구동부(PDC)는 스위칭 트랜지스터(STr) 및 구동 트랜지스터(DT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 트랜지스터(STr)는 게이트 라인(GL) 및 데이터 라인(DL)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칭 트랜지스터(STr)는 게이트 라인(GL)을 통해 공급되는 스캔 신호(SS)에 의해 턴온 또는 턴오프될 수 있다. The pixel driver PDC of FIG. 2 may include a switching transistor STr and a driving transistor DTr. As shown in FIG. 2 , the switching transistor STr may be connected to the gate line GL and the data line DL. In addition, the switching transistor STr may be turned on or off by the scan signal SS supplied through the gate line GL.
데이터 라인(DL)은 화소 구동부(PDC)로 데이터 전압 (Vdata)을 제공하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STr)는 데이터 전압(Vdata)의 인가를 제공할 수 있다.The data line DL may provide the data voltage Vdata to the pixel driver PDC, and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STr may apply the data voltage Vdata.
전원 배선(PL)은 발광소자(400)로 구동 전압(Vdd)을 제공하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r)는 구동 전압(Vdd)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전압(Vdd)은 발광소자(400)를 구동하기 위한 화소 구동 전압이다. The power wiring PL provides the driving voltage Vdd to the
데이터 라인(DL) 및 전원 배선(PL)은 신호를 전달하는 라인들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라인(DL) 및 전원 배선(PL)을 신호 라인이라고 한다. 또한, 게이트 라인(GL) 역시 신호를 전달하기 때문에 신호 라인이라고 할 수 있다.The data line DL and the power line PL are lines that transmit signals. Accordingl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ata line DL and the power line PL are referred to as signal lines. In addition, since the gate line GL also transmits a signal, it may be referred to as a signal line.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STr)가 턴온될 때, 데이터 라인(DL)을 통해 공급된 데이터 전압(Vdata)이, 발광 소자(400)와 연결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r)의 게이트 전극으로 공급될 수 있다. 데이터 전압(Vdata)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r)의 게이트 전극(G)과 드레인 전극(D) 사이에 형성된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충전될수 있다.When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STr is turned on, the data voltage Vdata supplied through the data line DL may be suppli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connected to the
데이터 전압(Vdata)에 의해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r)을 통해 발광 소자(400)로 공급되는 전류의 양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전압(Vdata)에 의해, 발광 소자(400)로부터 출력되는 광의 계조가 제어될 수 있다.The amount of current supplied to the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화소(P)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화소(P)내에 형성된 복수의 서브화소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FIG. 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ructure in the pixel P shown in FIG. 1 . FIG. 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plurality of sub-pixels formed in the pixel P shown in FIG. 1 .
그리고, 도 4는 도 3의 I-I' 라인의 단면도이다. 도4는 도 3의 절취선 I-I' 선을 따라 자른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화소(P)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3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pixel P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aken along the cut line II′ of FIG. 3 .
도 3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화소(P), 데이터 라인(DL), 게이트 라인(GL), 전원 배선(PL), 제1 박막 트랜지스터(200), 제2 박막 트랜지스터(300), 및 발광소자(4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도 1 및 도3을 참조하면, 기판(110)에는 데이터 라인(DL) 및 데이터 라인(DL)과 교차하는 게이트 라인(GL)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라인(DL)과 게이트 라인(GL)의 교차 영역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화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P)가 배치될수 있다. 화소(P)는 제1 서브화소(SP1), 제2 서브화소(SP2) 및 제3 서브화소(SP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서브화소(SP1), 제2 서브화소(SP2) 및 제3 서브화소(SP3) 각각은 발광영역(EA) 및 비발광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1 and 3 , a data line DL and a gate line GL crossing the data line DL may be disposed on the
제1 서브화소(SP1)는 적색 화소이고, 제2 서브 화소(SP2)는 녹색 화소일 수 있다. 그리고, 제3 서브 화소(SP3)는 청색 화소일 수 있다. 제1 서브화소(SP1), 제2 서브화소(SP2) 및 제3 서브화소(SP3)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동일한 색상의 서브 화소들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서브화소(SP1), 제2 서브화소(SP2) 및 제3 서브화소(SP3) 각각은 게이트 라인(GL)의 게이트 신호가 입력되면 데이터 라인(DL)의 데이터 전압에 따라 발광소자(400)에 소정의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서브화소(SP1), 제2 서브화소(SP2) 및 제3 서브화소(SP3) 각각의 발광소자(400)는 소정의 전류에 따라 소정의 밝기로 발광할 수 있다. 또한, 전원 배선(PL)에는 전원 전압이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배선(PL)은 제1 서브화소(SP1), 제2 서브화소(SP2) 및 제3 서브화소(SP3)들 각각에 전원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The first sub-pixel SP1 may be a red pixel, and the second sub-pixel SP2 may be a green pixel. And, the third sub-pixel SP3 may be a blue pixel. The first sub-pixel SP1 , the second sub-pixel SP2 , and the third sub-pixel SP3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In addition, sub-pixels of the same color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Y-axis direction). Each of the first sub-pixel SP1 , the second sub-pixel SP2 , and the third sub-pixel SP3 is the light emitting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발광영역(EA)은 발광소자(400)의 발광층(412)이 발광되는 영역일 수 있다. 그리고, 발광영역(EA)은 뱅크(118)가 오픈 영역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발광영역(EA)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3 and 4 , the light emitting area EA may be an area from which the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각의 서브화소(SP1, SP2, SP3)가 동일한 너비로 나란히 위치하는 것과 같이 도시하였으나, 각 서브화소(SP1, SP2, SP3)는 서로 다른 너비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FIG. 3 ,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each of the sub-pixels SP1, SP2, and SP3 is illustrated as being positioned side by side with the same width, but each of the sub-pixels SP1, SP2, and SP3 has various structures with different widths. can have
그리고, 서브화소(SP1, SP2, SP3)의 비발광영역(NEA)에는 제1 박막 트랜지스터(200) 및 제2 박막 트랜지스터(300)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서브화소(SP1, SP2, SP3)의 발광영역(EA) 상에는 각각 제1 전극(411), 발광층(412) 및 제2 전극(412)을 포함하는 발광소자 (400)가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제1 박막 트랜지스터(200)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STr)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박막 트랜지스터(300)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Tr)일 수 있다. 제1 박막 트랜지스터(200)와 제2 박막 트랜지스터(300)는 서로 연결되며, 제2 박막 트랜지스터(300)는 발광소자(40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박막 트랜지스터(200)의 제1 드레인 전극(213)은 제2 박막 트랜지스터(300)의 제2 게이트 전극(311)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박막 트랜지스터(300)의 제2 드레인 전극(313)은 발광 소자(400)의 제1 전극(411)과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도 3을 참조하며, 표시 패널(110)의 기판 상에 배치된 게이트 배선(GL), 데이터 라인(DL), 그리고 전원 배선(PL)에 의하여 각 서브화소(SP1, SP2, SP3)가 정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each sub-pixel SP1 , SP2 , and SP3 may be defined by the gate line GL, the data line DL, and the power line PL disposed on the substrate of the
제1 박막 트랜지스터(200)는 게이트 배선(GL)과 데이터 라인(DL)이 교차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박막 트랜지스터(200)는 각 서브화소(SP1, SP2, SP3)에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스위칭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박막 트랜지스터(200)는 제1 게이트 전극(211), 제1 반도체층(214), 제1 소스 전극(212) 및 제1 드레인 전극(21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박막 트랜지스터(200)의 제1 게이트 전극(211)은 게이트 배선(GL)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박막 트랜지스터(200)의 제1 소스 전극(212)은 데이터 라인(DL)과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또한, 제1 박막 트랜지스터(200)의 제1 반도체층(214)의 일측은 제1 컨택홀(CH1)을 통하여 제1 박막 트랜지스터(200)의 제1 소스 전극(212)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반도체층(214)의 타측은 제2 컨택홀(CH2)을 통하여 제1 박막 트랜지스터(200)의 제1 드레인 전극(213)과 연결될 수 있다.Also, one side of the
제2 박막 트랜지스터(300)는 제1 박막 트랜지스터(200)에 의해 인가된 신호를 바탕으로 각 서브화소(SP1, SP2, SP3)의 발광 소자(400)를 구동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박막 트랜지스터(300)는 제2 게이트 전극(311), 제2 반도체층(314), 제2 소스 전극(312) 및 제2 드레인 전극(31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박막 트랜지스터(300)의 제2 게이트 전극(311)은 제3 컨택홀(CH3)을 통하여 제1 박막 트랜지스터(200)의 제1 드레인 전극(213)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박막 트랜지스터(300)의 제2 소스 전극(312)은 전원 배선(PL)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박막 트랜지스터(300)의 제2 드레인 전극(313)은 제6 컨택홀(CH6)을 통하여 발광소자(400)의 제1 전극(411)과 연결될 수 있다. The second
제2 박막 트랜지스터(300)의 제2 반도체층(314)의 일측은 제4 컨택홀(CH4)을 통하여 제2 박막 트랜지스터(300)의 제2 소스 전극(312)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반도체층(314)의 타측은 제5 컨택홀(CH5)을 통하여 제2 박막 트랜지스터(300)의 제2 드레인 전극(313)과 연결될 수 있다. One side of the
도 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제2 박막 트랜지스터(300), 발광소자(400), 봉지부(500), 제1 서브화소(SP1), 제2 서브화소(SP2), 제3 서브화소(SP3), 더미 패턴(600), 전원 배선(PL), 데이터 배선(DL), 기판(110), 버퍼층(111), 게이트 절연층(112), 층간 절연층(113), 제1 보호층(114), 제2 보호층(115), 유기 물질층(116), 무기 물질층(117), 및 뱅크(118)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기판(110)은 표시장치(100)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지지할 수 있다. 기판(110)은 플렉서블리티(flexibility)를 갖는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판(110)이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PI)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도 4를 참조하면, 기판(110) 상에는 단층 또는 다층구조의 버퍼층(111)이 배치될 수 있다. 기판(110)상에 배치된 버퍼층(111)은 질화 실리콘(SiNx) 또는 산화 실리콘(SiOx)의 단일층 또는 이들의 다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a
버퍼층(111)은 버퍼층(111) 상에 형성되는 층들과 기판(110)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기판(110)으로부터 유출되는 알칼리 성분 등을 차단하는 역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버퍼층(111)은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니며, 기판(110)의 종류 및 물질, 박막 트랜지스터의 구조 및 타입 등에 기초하여 생략될 수도 있다.The
도 4를 참조하면, 화소(P)의 비발광영역(NEA)에서, 제2 박막 트랜지스터(300)는 버퍼층(1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박막 트랜지스터(300)는 제2 반도체층(314), 제2 게이트 전극(311), 제2 소스 전극(312) 및 제2 드레인 전극(31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화소(P)내 회로의 설계에 따라서, 제2 소스 전극(312)이 드레인 전극이 될 수 있으며, 제2 드레인 전극(313)이 소스 전극이 될 수 있다. 기판(110)의 버퍼층(111) 상에는 제2 박막 트랜지스터(300)의 제2 반도체층(314)이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in the non-emission area NEA of the pixel P, the second
제2 반도체층(314)은 폴리 실리콘(Poly-Silicon)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 실리콘 물질은 이동도가 높아(100㎠/Vs 이상), 에너지 소비 전력이 낮고 신뢰성이 우수하므로, 표시 소자용 박막 트랜지스터들을 구동하는 구동 소자용 게이트 드라이버 및/또는 멀티플렉서(MUX)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액티브층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표시장치의 특성에 따라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의 액티브층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버퍼층(111) 상에 아몰퍼스 실리콘(a-Si) 물질을 증착하고, 탈수소화 공정 및 결정화 공정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폴리 실리콘이 형성되고, 폴리 실리콘을 패터닝하여 제2 반도체층(314)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반도체층(314)은 제2 박막 트랜지스터(300)의 구동 시 채널이 형성되는 제2 채널 영역(314c), 제2 채널 영역(314c) 양 측의 제2 소스 영역(314s) 및 제2 드레인 영역(314d)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소스 영역(314s)은 제2 소스 전극(312)과 연결된 제2 반도체층(314)의 부분을 의미하며, 제2 드레인 영역(314d)은 제2 드레인 전극(313)과 연결된 제2 반도체층(314)의 부분을 의미한다. 제2 소스 영역(314s) 및 제2 드레인 영역(314d)은 제2 반도체층(314)의 이온 도핑(불순물 도핑)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제2 소스 영역(314s) 및 제2 드레인 영역(314d)은 폴리 실리콘 물질에 이온 도핑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제2 채널 영역(314c)은 이온 도핑되지 않고 폴리 실리콘 물질로 남겨진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The
또한, 제2 반도체층(314)은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산화물 반도체 물질은 폴리 실리콘 물질과 비교하여 밴드갭이 더 큰 물질이므로 오프(Off) 상태에서 전자가 밴드갭을 넘어가지 못하며, 이에 따라 오프-전류(Off-Current)가 낮다. 따라서,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진 액티브층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는 온(On) 시간이 짧고 오프(Off) 시간을 길게 유지하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에 적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표시장치의 특성에 따라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로 적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오프-전류가 작아서 보조 용량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으므로, 고해상도 표시 소자에 적합하다. 예를 들면, 제2 반도체층(314)은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어, IGZO(indium-gallium-zinc-oxide) 등과 같은 다양한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박막 트랜지스터(300)의 제2 반도체층(314)은 다양한 금속 산화물 중 IGZO로 이루어지는 것을 가정하여 IGZO층을 기초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IGZO가 아닌 IZO(indium-zinc-oxide), IGTO(indium-gallium-tin-oxide), 또는 IGO(indium-gallium-oxide) 등과 같은 다른 금속 산화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반도체층(314)은, 금속 산화물을 버퍼층(111) 상에 증착하고, 안정화를 위한 열처리 공정을 수행한 후, 금속 산화물을 패터닝하여 형성될 수 있다. Also, the
기판(110)의 표시영역(DA)에서, 제2 박막 트랜지스터(300)의 제2 반도체층(314) 상에 게이트 절연층(112)이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112)은 질화 실리콘(SiNx) 또는 산화 실리콘(SiOx)의 단일층 또는 이들의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112)에는 제2 박막 트랜지스터(300)의 제2 소스 전극(312) 및 제2 드레인 전극(313) 각각이 제2 박막 트랜지스터(300)의 제2 반도체층(314)의 제2 소스 영역(314s) 및 제2 드레인 영역(314d) 각각에 연결되기 위한 컨택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게이트 절연층(112)은 기판(110)의 벤딩영역(BA)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게이트 절연층(112)은 기판(110)의 비표시 영역(NDA)에도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In the display area DA of the
게이트 절연층(112) 상에 제2 박막 트랜지스터(300)의 제2 게이트 전극(311), 제2 게이트 전극(311)과 연결되는 게이트 라인(GL)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게이트 전극(311) 및 게이트 라인(GL)은 몰리브덴(Mo), 구리(Cu), 티타늄(Ti),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니켈(Ni), 및 네오디뮴(Nd)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게이트 전극(311)은 제2 박막 트랜지스터(300)의 제2 반도체층(314)의 제2 채널 영역(314c)과 중첩되도록 게이트 절연층(11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The
게이트 절연층(112) 상에는 제2 게이트 전극(311) 및 게이트 라인(GL)을 커버하도록 제1 층간 절연층(113)이 배치될 수 있다. 층간 절연층(113)은 질화 실리콘(SiNx) 또는 산화 실리콘(SiOx)의 단일층 또는 이들의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A first
도 4를 참조하면, 게이트 절연층(112) 및 층간 절연층(113)에는 제2 박막 트랜지스터(300)의 제2 반도체층(314)을 노출하기 위한 컨택홀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반도체층(314)의 제2 소스 영역(314s)을 노출시키기 위한 제4 컨택홀(CH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반도체층(314)의 제2 드레인 영역(314d)을 노출시키기 위한 제5 컨택홀(CH5)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a contact hole for exposing the
층간 절연층(113) 상에는 제2 박막 트랜지스터(300)의 제2 소스 전극(312) 및 제2 드레인 전극(313)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박막 트랜지스터(300)의 제2 소스 전극(312) 및 제2 드레인 전극(313)은 게이트 절연층(112) 및 층간 절연층(113)에 형성된 컨택홀을 통하여 제2 박막 트랜지스터(300)의 제2 반도체층(314)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박막 트랜지스터(300)의 제2 소스 전극(312)은 게이트 절연층(112) 및 층간 절연층(113)에 형성된 제4 컨택홀(CH4)을 통하여 제2 반도체층(314)의 제2 소스 영역(314s)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박막 트랜지스터(300)의 제2 드레인 전극(313)은 게이트 절연층(112) 및 층간 절연층(113)에 형성된 제5 컨택홀(CH5)을 통하여 제2 반도체층(314)의 제2 드레인 영역(314d)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층간 절연층(113) 상에는 전원 배선(PL) 및 데이터 라인(DL)이 배치될 수 있다.A
전원 배선(PL), 데이터 라인(DL), 제2 소스 전극(312) 및 제2 드레인 전극(313)은 몰리브덴(Mo), 구리(Cu), 티타늄(Ti),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전원 배선(PL), 데이터 라인(DL), 제2 소스 전극(312) 및 제2 드레인 전극(313)은 도전성 금속 물질로 이루어진 티타늄(Ti)/알루미늄(Al)/티타늄(Ti)의 3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ower wiring PL, the data line DL, the
기판(110)의 비발광영역(NEA)에서, 전원 배선(PL), 데이터 라인(DL), 제2 소스 전극(312) 및 제2 드레인 전극(313) 상에는 제1 보호층(114)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보호층(114)은 질화 실리콘(SiNx) 또는 산화 실리콘(SiOx)의 단일층 또는 이들의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the non-emission area NEA of the
제1 보호층(114) 상에는 제2 보호층(115)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보호층(115)은 질화 실리콘(SiNx) 또는 산화 실리콘(SiOx)의 단일층 또는 이들의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2 보호층(115)은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등의 유기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장치(100)에서 제2 보호층(115)은 배치되지 않고 제1 보호층(114)만이 배치될 수도 있다.A
도 4를 참조하면, 제2 보호층(115) 상에 유기 물질층(116)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유기 물질층(116)은 제3 박막 트랜지스터(300)의 상부를 평탄화하고 보호하기 위한 층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유기 물질층(116)은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또는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등의 유기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a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 물질층(116) 상에는 무기 물질층(117)이 형성될 수있다. 무기 물질층(117)은 질화 실리콘(SiNx) 또는 산화 실리콘(SiOx)의 단일층 또는 이들의 다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4 , an
무기 물질층(117), 유기 물질층(116), 제2 보호층(115) 및 제1 보호층(114)에는 제2 박막 트랜지스터(300)의 제2 드레인 전극(313)을 노출시키기 위한 제6 컨택홀(CH6)이 형성될 수 있다. 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기 물질층(117)은 유기 물질층(116)상에서 서브 화소 (SP1, SP2, SP3) 별로 패터닝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브 화소(SP1)에 하나의 무기물질층(117)이 형성되고, 제2 서브 화소(SP2)에 다른 하나의 무기 물질층(117)이 형성되고, 제3 서브 화소(SP3)에 또 다른 하나의 무기 물질층(117)이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 the
도 4를 참조하면, 제1 서브 화소(SP1)에 제1 무기물질층(117a)이 형성되고, 제2 서브 화소(SP2)에 제2 무기 물질층(117b)이 형성되고, 제3 서브 화소(SP3)에 제3 무기 물질층(117c)이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a first
제1 무기 물질층(117a)은 제1 서브화소(SP1)의 발광 영역(EA)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제2 무기 물질층(117b)은 제2 서브화소(SP2)의 발광 영역(EA)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무기 물질층(117c)은 제3 서브화소(SP3)의 발광영역(EA)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무기 물질층(117a), 제2 무기 물질층(117b) 및 제3 무기 물질층(117c)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제1 무기 물질층(117a), 제2 무기 물질층(117b) 및 제3 무기 물질층(117c)은 데이터 라인(DL) 및 전원 배선(PL) 중 적어도 하나의 배선을 기준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무기 물질층(117a), 제2 무기 물질층(117b) 및 제3 무기 물질층(117c)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무기 물질층(117a), 제2 무기 물질층(117b) 및 제3 무기 물질층(117c)은 데이터 라인(DL)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향으?* 연장되어 형성된 제1 무기 물질층(117a), 제2 무기 물질층(117b) 및 제3 무기 물질층(117c)의 일부 영역은 제2 박막 트랜지스터(300)의 제2 드레인 전극(313)을 노출시키기 위한 제6 컨택홀(CH6)을 형성하기 위하여 식각될 수 있다.The first
제1 무기 물질층(117a), 제2 무기 물질층(117b) 및 제3 무기 물질층(117c)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됨에 따라, 평탄화층(116)의 상부면은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라인(DL)과 중첩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평탄화층(116)의 상부면에는 제1 무기 물질층(117a), 제2 무기 물질층(117b) 및 제3 무기 물질층(117c)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As the first
도 4를 참조하면, 무기물질층(117) 상에는 발광소자(400)의 제1 전극(41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411)은 무기 물질층(117), 유기 물질층(116), 제2 보호층(115) 및 제1 보호층(114)에 형성된 제6 컨택홀(CH6)을 통하여 제2 박막 트랜지스터(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소자(400)의 제1 전극(411)은 제6 컨택홀(CH6)을 통하여 제2 박막 트랜지스터(300)의 제2 드레인 전극(31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광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제1 전극(411)은 투명한 금속물질, 반투과 금속물질 또는 반사율이 높은 금속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장치(100)가 상부 발광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 전극(411)은 알루미늄과 티타늄의 적층 구조(Ti/Al/Ti), 알루미늄과 ITO의 적층 구조(ITO/Al/ITO), Ag 합금, 및 Ag 합금과 ITO의 적층 구조(ITO/Ag 합금/ITO)과 같은 반사율이 높은 금속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Ag 합금은 은(Ag), 팔라듐(Pd), 및 구리(Cu) 등의 합금일 수 있다. 표시장치(100)가 하부 발광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 전극(411)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ITO, IZO와 같은 투명한 금속물질(TCO,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또는 마그네슘(Mg), 은(Ag), 또는 마그네슘(Mg)과 은(Ag)의 합금과 같은 반투과 금속물질(Semi-transmissive Conductive Material)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극(411)은 애노드 전극일 수 있다.The
제1 전극(411)은 무기 물질층(117)상에서 서브 화소 (SP1, SP2, SP3) 별로 패터닝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브 화소(SP1)에 배치된 제1 무기 물질층(117a) 상에 하나의 제1 전극(411)이 형성되고, 제2 서브 화소(SP2)에 배치된 제2 무기 물질층(117b) 상에 다른 하나의 제1 전극(411)이 형성되고, 제3 서브 화소(SP3)에 배치된 제3 무기 물질층(117c) 상에 또 다른 하나의 제1 전극(411)이 형성될 수 있다. The
도 4를 참조하면, 제1 전극(411)은 무기 물질층(117)의 상부면과 직접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제1 전극(411)의 폭은 무기물질층(117)의 폭 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서브 화소(SP2)에 배치된 제1 전극(411)의 폭은 제2 서브 화소(SP2)에 배치된 제2 무기 물질층(117b)의 폭 보다 작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그리고, 제1 전극(411)이 서로 이격된 거리는 무기 물질층(117)이 서로 이격된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2 서브화소(SP2)에 배치된 제1 전극(411)과 제3 서브화소(SP3)에 배치된 제1 전극(411)이 서로 이격된 거리는 제2 무기 물질층(117b)와 제3 무기 무질층(117c)이 이격된 거리보다 클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도 4를 참조하면, 제1 전극(411)의 끝단은 무기 물질층(117)의 끝단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서브 화소(SP2)에 배치된 제1 전극(411)은 제2 무기 물질층(117b)의 끝단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서브 화소(SP3)에 배치된 제1 전극(411)은 제3 무기 물질층(117c)의 끝단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서브 화소(SP1)에 배치된 제1 전극(411)은 제1 무기 물질층(117a)의 끝단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end of the
도 4를 참조하면, 발광 영역(EA)에 대응하는 제1 전극(411)의 하부면은 무기 물질층(117)의 상부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영역(EA)에 대응하는 제1 전극(411)의 하부면은 모두 무기 물질층(117)의 상부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lower surface of the
뱅크(118)는 제1 전극(411) 및 무기 절연층(117)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뱅크(118)는 서브 화소들(SP1, SP2, SP3)) 각각에 구비된 제1 전극들(411)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뱅크(118)는 제1 전극들(411) 각각의 끝단을 덮고 제1 전극(411) 각각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뱅크(118)는 제1 전극(411)의 끝단에 전류가 집중되어 발광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뱅크(118)는 복수의 서브 화소들(SP1, SP2, SP3) 각각에 발광 영역(EA)을 정의할 수 있다. 뱅크(118)는 표시장치(100)의 발광영역을 정의할 수 있으므로 화소 정의막이라고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서브 화소(SP1, SP2, SP3)에서 뱅크(118)가 형성되지 않고 제1 전극(411)이 노출된 영역이 발광 영역(EA)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발광 영역(EA)을 제외한 영역은 비발광 영역(NEA)이 될 수 있다.The
그리고, 뱅크(118)는 유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뱅크(118)는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또는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Also, the
이러한 뱅크(118)는 복수의 서브 화소들(SP1, SP2, SP3)각각에 구비된 복수의 뱅크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뱅크(118)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서브 화소들 사이에 구비된 제1 뱅크 패턴(118a), 제2 뱅크 패턴(118b), 및 제3 뱅크 패턴(118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뱅크 패턴(118a)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2개의 서브 화소들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제1 전극(411)의 가장자리를 덮을 수 있다. 제2 뱅크 패턴(118b)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2개의 서브 화소들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된 제1 전극(411)의 가장자리를 덮을 수 있다. 그리고, 제3 뱅크 패턴(118c)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2개의 서브 화소들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된 제1 전극(411)의 가장자리를 덮을 수 있다.The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제1 뱅크 패턴(118a)은 제1 서브 화소(SP1)에 배치된 제1 전극(411)의 가장자리를 덮을 수 있다. 제2 뱅크 패턴(118b)은 제2 서브 화소(SP2)에 배치된 제1 전극(411)의 가장자리를 덮을 수 있다. 제3 뱅크 패턴(118c)은 제3 서브화소(SP3)에 배치된 제1 전극(411)의 가장자리를 덮을 수 있다. 그리고, 제1 뱅크 패턴(118a), 제2 뱅크 패턴(118b) 및 제3 뱅크 패턴(118c) 각각은 제1 전극(411)을 노출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 , 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뱅크(118)는 제1 전극(411)의 양측을 덮을 수 있다. 또한, 뱅크(118)는 무기물질층(117)의 양측의 상부면을 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뱅크(118)의 하부면은 제1 전극(411)의 양측의 측면 및 상부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뱅크(118)의 하부면은 제1 전극(411)과 중첩하지 않고 노출된 무기절연층(117)의 상부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뱅크(118)의 하부면은 유기물질층(116)의 상부면과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뱅크(118)의 제2 뱅크패턴(118b)을 예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1 뱅크 패턴(118a) 및 제3 뱅크 패턴(118c)은 제2 뱅크 패턴(118b)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4 , the
제2 서브 화소(SP2)에 배치된 제2 뱅크 패턴(118b)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뱅크 패턴(118b)은 제2 서브 화소(SP2)에 배치된 제1 전극(411)의 가장자리를 덮을 수 있다. 그리고, 제2 서브 화소(SP2)에 배치된 제1 전극(411)의 일측을 덮고 있는 제2 뱅크 패턴(118b)은 제1 뱅크 패턴(118a)과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마주할 수 있다. 또한, 제2 서브 화소(SP2)에 배치된 제1 전극(411)의 타측을 덮고 있는 제2 뱅크 패턴(118b)은 제3 뱅크 패턴(118c)과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마주할 수 있다. The
뱅크(118)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인접한 서브 화소에는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인접한 서브 화소에는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The
도 4를 참조하면, 제2 무기 물질층(117b)은 제2 서브 화소(SP2)에 배치된 제1 전극(411)의 끝단 보다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뱅크 패턴(118b)은 제2 무기 물질층(117b)의 끝단 보다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무기 물질층(117b)의 양측의 측면은 제2 뱅크 패턴(118b)의 하부면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second
제2 뱅크 패턴(118b)과 제3 뱅크 패턴(118c)의 이격 거리는 제2 무기 물질층(117b)과 제3 무기 물질층(117c)의 이격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제2 무기 물질층(117b)과 제3 무기 물질층(117c)의 이격 거리는 제2 서브화소(SP2)에 배치된 제1 전극(411)과 제3 서브 화소(SP3)에 배치된 제1 전극(411)의 이격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도 4를 참조하면, 뱅크(118) 및 제1 전극(411) 상에 발광 소자(400)의 발광층(412)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유기 물질층(116)상에 더미 패턴(600)의 제1 더미 패턴(6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더미 패턴(611)과 발광층(412)은 동일한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미 패턴(600)의 제1 더미 패턴(611)은 서로 이격하여 배치된 무기 물질층(11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더미 패턴(611)은 제1 무기 물질층(117a) 및 제2 무기 물질층 (117b)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더미 패턴(611)은 제2 무기 물질층(117b)및 제3 무기 물질층(117c)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발광층(412)은 전하 생성층(Charge Generation Layer: CGL)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제1 발광층 및 제2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발광층 및 제2 발광층 중 어느 하나의 발광층은 청색광을 생성하고, 제1 및 제2 발광층 중 나머지 하나의 발광층은 노란색-녹색광을 생성함으로써 제1 및 제2 발광층을 통해 백색광이 생성될 수 있다. 발광층(412)에서 생성된 백색광은 발광층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컬러 필터에 입사되어 컬러 영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 The
예를 들어, 제1 색의 광을 발광하는 제1 스택, 제2 색의 광을 발광하는 제2 스택, 및 제1 스택과 제2 스택 사이에 구비된 전하 생성층(CGL)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it may include a first stack emitting light of a first color, a second stack emitting light of a second color, and a charge generation layer (CGL) provided between the first stack and the second stack. there is.
제1 스택은 제1 전극(4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스택은 정공주입층(Hole Injecting Layer; HIL),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HTL), 제1 색의 광을 발광하는 제1 발광층, 및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ETL)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발광층은 적색 광을 발광하는 적색 발광층, 녹색 광을 발광하는 녹색 발광층, 청색 광을 발광하는 청색 발광층 및 황색 광을 발광하는 황색 발광층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stack may be disposed on the
제1 스택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는 연장되지 않고 단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택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인접한 복수의 서브 화소들(SP1, SP2, SP3) 사이에서 단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스택은 제1 서브 화소(SP1)와 제2 서브 화소(SP2) 사이, 제2 서브 화소(SP2)와 제3 서브 화소(SP3) 사이에서 단절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스택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더컷 구조를 가지는 뱅크(118)에 의하여 단절될 수 있다. The first stack may be cut without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For example, the first stack may be disconnected between the plurality of sub-pixels SP1 , SP2 , and SP3 adjacent in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Specifically, the first stack may be disconnected between the first sub-pixel SP1 and the second sub-pixel SP2 , and between the second sub-pixel SP2 and the third sub-pixel SP3 . As an example, the first stack may be disconnected by the
반면, 제1 스택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는 단절되지 않고, 제2 방향(y축방향)으로 인접한 복수의 서브 화소들 사이에서 연결될 수 있다. 전하 생성층(CGL)은 제1 스택에 전자(electron)를 제공하기 위한 N형 전하 생성층 및 제2 스택에 정공(hole)을 제공하기 위한 P형 전하 생성층이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stack may not be disconnected in the second direction (y-axis direction), but may be connected between a plurality of sub-pixels adjacent in the second direction (y-axis direction). The charge generation layer CGL may have a stacked structure in which an N-type charge generation layer for providing electrons to the first stack and a P-type charge generation layer for providing holes to the second stack are stacked. .
제2 스택은 전하 생성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스택은 정공수송층(HTL), 제2 색의 광을 발광하는 제2 발광층, 전자 수송층(ETL),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ng Layer; EIL)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발광층은 적색 광을 발광하는 적색 발광층, 녹색 광을 발광하는 녹색 발광층, 청색 광을 발광하는 청색 발광층 및 황색 광을 발광하는 황색 발광층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 second stack may be disposed on the charge generation layer. The second stack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hole transport layer (HTL), a second light emitting layer that emits light of a second color, an electron transport layer (ETL),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EIL) are sequentially stacked, but it must be It is not limited.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may be at least one of a red light emitting layer emitting red light, a green light emitting layer emitting green light, a blue light emitting layer emitting blue light, and a yellow light emitting layer emitting yellow light, but is not limited thereto.
다만, 제2 발광층은 제1 발광층과 상이한 색의 광을 발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발광층은 청색 광을 발광하는 청색 발광층을 포함하고, 제2 발광층은 황색 광을 발광하는 황색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발광층은 청색 광을 발광하는 청색 발광층을 포함하고, 제2 발광층은 적색 광을 발광하는 적색 발광층 및 녹색 광을 발광하는 녹색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However,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may emit light of a different color from that of the first light emitting layer. For example, the first emission layer may include a blue emission layer emitting blue light, and the second emission layer may include a yellow emission layer emitting yellow light.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emission layer may include a blue emission layer emitting blue light, and the second emission layer may include a red emission layer emitting red light and a green emission layer emitting green light.
제2 스택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는 연장되지 않고 단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택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인접한 복수의 서브 화소들(SP1, SP2, SP3) 사이에서 단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스택은 제1 서브 화소(SP1)와 제2 서브 화소(SP2) 사이, 제2 서브 화소(SP2)와 제3 서브 화소(SP3) 사이에서 단절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스택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더컷 구조를 가지는 뱅크(118)에 의하여 단절될 수 있다. The second stack may be cut without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For example, the first stack may be disconnected between the plurality of sub-pixels SP1 , SP2 , and SP3 adjacent in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Specifically, the first stack may be disconnected between the first sub-pixel SP1 and the second sub-pixel SP2 , and between the second sub-pixel SP2 and the third sub-pixel SP3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 the second stack may be disconnected by the
반면, 제2 스택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는 단절되지 않고, 제2 방향(y축방향)으로 인접한 복수의 서브 화소들 사이에서 연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stack may not be disconnected in the second direction (y-axis direction), but may be connected between a plurality of sub-pixels adjacent in the second direction (y-axis direction).
도 4를 참조하면, 발광층 (412) 상에는 제2 전극(413)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411)과 제2 전극(413)에 전압이 인가되면 정공과 전자가 각각 정공 수송층과 전자 수송층을 통해 발광층(412)으로 이동하게 되며, 발광층(412)에서 서로 결합하여 발광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4 , a
발광층(412)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는 연장되지 않고 단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층(412)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인접한 복수의 서브 화소들(SP1, SP2, SP3) 사이에서 단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층(412)은 제1 서브 화소(SP1)와 제2 서브 화소(SP2) 사이, 제2 서브 화소(SP2)와 제3 서브 화소(SP3) 사이에서 단절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발광층(412)은, 언더컷 구조를 가지는 뱅크(118)에 의하여 단절될 수 있다. The
반면, 발광층(412)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는 단절되지 않고, 제2 방향(y축방향)으로 인접한 복수의 서브 화소들 사이에서 연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구체적으로, 언더컷 구조를 가지는 제1 뱅크 패턴(118a) 및 제2 뱅크 패턴(118b)에 의해 발광층(412) 및 제2 전극(413)은 제1 서브 화소(SP1)와 제2 서브 화소(SP2) 사이에서 연결되지 않고 끊어질 수 있다. 그리고, 언더컷 구조를 가지는 제2 뱅크 패턴(118b) 및 제3 뱅크 패턴(118c)에 의해 발광층(412) 및 제2 전극(413)은 제2 서브 화소(SP2)와 제3 서브 화소(SP3) 사이에서 연결되지 않고 끊어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그리고, 제1 더미 패턴(611)은 복수의 서브 화소 (SP1, SP2, SP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더미 패턴(611)은 제1 뱅크 패턴(118a)과 제2 뱅크 패턴(118b)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더미 패턴(611)은 제2 뱅크 패턴(118b)과 제3 뱅크 패턴(118c)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제1 더미 패턴(611)은 유기 물질층(116)의 상부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제1 더미 패턴(611)과 무기 물질층(117)은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더미 패턴(611)과 무기 물질층(117)은 유기 물질층(116)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더미 패턴(611)의 하부면과 무기 물질층(117)의 하부면은 모두 유기 물질층(116)의 상부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Also, the
제1 더미 패턴(611)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는 단절되지 않고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더미 패턴(611)은 제2 방향(y축방향)으로 인접한 복수의 서브 화소들 사이에서 연결될 수 있다.The
도 4를 참조하면, 발광층(412) 상에 제2 전극(413)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더미 패턴(611) 상에 제2 더미 패턴(61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더미 패턴(612)과 제2 전극(413)은 동일한 적층 구조를 가지며,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a
제2 전극(413)은 서로 다른 색을 가지는 서브 화소들(SP1, SP2, SP3) 사이에서 단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전극(413)은 제1 서브 화소(SP1)와 제2 서브 화소(SP2) 사이에서 단절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전극(413)은 제2 서브 화소(SP2)와 제3 서브 화소(SP3) 사이에서 단절될 수 있다. 제2 전극(413)은 서브 화소들(SP1, SP2, SP3) 사이에서 단절되더라도 표시 패널(110)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뱅크 패턴(118a), 제2 뱅크 패턴(118b) 및 제3 뱅크 패턴(118c)은 제2 방향(Y축 방향)을 따라 비표시 영역(NDA)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2 전극(413) 및 발광층(412)은 표시 영역(DA)을 덮으면서 비표시 영역(NDA) 일부까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전극(413)은 발광층(412) 보다 큰 형성 면적을 가질 수 있다. The
이에 따라, 제2 전극(413)은 표시 패널(110)의 외곽 영역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제2 전극(413)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는 단절되지 않고, 제2 방향(y축방향)으로 인접한 복수의 서브 화소들 사이에서 연결될 수 있다.The
이러한 제2 전극(413)은 투명한 금속물질, 반투과 금속물질 또는 반사율이 높은 금속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장치(100)가 상부 발광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2 전극(413)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ITO, IZO와 같은 투명한 금속물질(TCO,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또는 마그네슘(Mg), 은(Ag), 또는 마그네슘(Mg)과 은(Ag)의 합금과 같은 반투과 금속물질(Semi-transmissive Conductive Material)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장치(100)가 하부 발광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2 전극(413)은 알루미늄과 티타늄의 적층 구조(Ti/Al/Ti), 알루미늄과 ITO의 적층 구조(ITO/Al/ITO), Ag 합금, 및 Ag 합금과 ITO의 적층 구조(ITO/Ag 합금/ITO)과 같은 반사율이 높은 금속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Ag 합금은 은(Ag), 팔라듐(Pd), 및 구리(Cu) 등의 합금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전극(413)은 캐소드 전극일 수 있다.The
그리고, 제2 더미 패턴(612)은 복수의 서브 화소 (SP1, SP2, SP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더미 패턴(612)은 제1 뱅크 패턴(118a)과 제2 뱅크 패턴(118b)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더미 패턴(612)은 제2 뱅크 패턴(118b)과 제3 뱅크 패턴(118c)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제2 더미 패턴(612)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는 단절되지 않고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더미 패턴(612)은 제2 방향(y축방향)으로 인접한 복수의 서브 화소들 사이에서 연결될 수 있다.The
이와 같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뱅크(118)가 언더컷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제1 전극(411)과 유기 절연층(116) 사이에 무기 절연층(117)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언더컷 구조를 가지는 뱅크(118)에 의해, 발광층(412) 및 제2 전극(413)이 서로 다른 색을 가지는 서브 화소들 사이에서 단절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서로 다른 색을 가지는 서브 화소들 사이에 누설 전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결과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언더컷 구조를 가진 뱅크(118)를 이용하여 누설 전류를 방지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봉지부(500)는 발광소자(400) 및 더미 패턴(600)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극(413) 및 제2 더미 패턴(612) 상에는 수분 침투를 억제하는 봉지부(50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The
봉지부(500)는 제1 무기 봉지층(511), 제2 유기 봉지층(512), 및 제3 무기 봉지층(513)을 포함할 수 있다. 봉지부(500)의 제1 무기 봉지층(511)은 제2 전극(412)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유기 봉지층(512)은 제1 무기 봉지층(511)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무기 봉지층(513)은 제2 무기 봉지층(512)상에 배치될 수 있다. 봉지부(500)의 제1 무기 봉지층(511) 및 제3 무기 봉지층(153)은 질화 실리콘(SiNx) 또는 산화 실리콘(SiOx)등의 무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봉지부(500)의 제2 유기 봉지층(512)은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및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등의 유기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컬러필터는 봉지막 상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컬러 필터는 발광소자(400) 및 박막 트랜지스터(200, 300) 사이의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컬러필터는 복수의 서브 화소(SP1, SP2, SP3)들 각각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서브 화소(SP1)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컬러 필터는 적색 컬러필터일 수 있다. 제2 서브 화소(SP2)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컬러 필터는 녹색 컬러필터일 수 있다. 제3 서브 화소(SP3)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컬러 필터는 청색 컬러필터일 수 있다.The color filter may be formed on the encapsulation film,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color filter may be disposed in a region between the light emitting
도 5a 내지 도 5f는 도 3의 I-I' 라인의 단면도로서,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도록 한다. 5A to 5F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I-I' of FIG. 3 and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Descriptions of the component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ose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4 will be simplified or omitted.
도 5a를 참조하면, 제2 박막 트랜지스터(300), 전원 배선(PL) 및 테이터 라인(DL)상에 제1 보호층(114), 제2 보호층(115), 유기 물질층(116), 및 무기 물질층(117)이 형성될 수 있다. 뱅크(118)의 언더 컷 구조 형성을 위하여 무기 물질층(117)이 추가 되었지만, 별도의 마스크를 이용한 식각 공정의 추가가 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5A , a
그리고, 도 5b를 참조하면, 무기 물질층(117), 유기 물질층(116), 제2 보호층(115) 및 제1 보호층(114)에는 마스크를 이용한 식각 공정에 의해 제2 드레인 전극(313)을 노출시키기 위한 제6 컨택홀(CH6)이 형성될 수 있다.5B, the
그리고, 도 5c를 참조하면, 무기 물질층(117) 상에 금속층을 형성한 후, 패터닝하여 복수의 서브 화소(SP1, SP2, SP3) 각각에 제1 전극(411)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브 화소(SP1)에 하나의 제1 전극(411)이 형성되고, 제2 서브 화소(SP2)에 다른 하나의 제1 전극(411)이 형성되고, 제3 서브 화소(SP3)에 또 다른 하나의 제1 전극(411)이 형성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 5C , a
도 5d를 참조하면, 무기 물질층(117) 및 제1 전극(411)상에 뱅크(118)가 형성될 수 있다. 뱅크(118)는 서브 화소 (SP1, SP2, SP3) 별로 패터닝되어 배치된 제1 전극(411)의 가장자리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뱅크(118)는 제1 전극들(411) 각각의 끝단을 덮도록 형성되며, 제1 전극(411) 각각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D , a
뱅크(118)는 제1 뱅크 패턴(118a), 제2 뱅크 패턴(118b) 및 제3 뱅크 패턴(118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뱅크 패턴(118a)은 제1 서브 화소(SP1)에 배치된 제1 전극(411)의 가장자리를 덮을 수 있다. 제2 뱅크 패턴(118b)은 제2 서브 화소(SP2)에 배치된 제1 전극(411)의 가장자리를 덮을 수 있다. 제3 뱅크 패턴(118c)은 제3 서브화소(SP3)에 배치된 제1 전극(411)의 가장자리를 덮을 수 있다. 그리고, 제1 뱅크 패턴(118a), 제2 뱅크 패턴(118b) 및 제3 뱅크 패턴(118c) 각각은 제1 전극(411)을 노출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그리고, 제1 뱅크 패턴(118a)은 제1 서브 화소(SP1)에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인접한 서브 화소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뱅크 패턴(118b)은 제2 서브 화소(SP2)에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인접한 서브 화소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뱅크 패턴(118c)은 제3 서브 화소(SP3)에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인접한 서브 화소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뱅크 패턴(118a)과 제2 뱅크 패턴(118b)에 의해, 무기 물질층(117)은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된 제2 뱅크 패턴(118b)과 제3 뱅크 패턴(118c)에 의해, 무기 물질층(117)은 노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도 5e를 참조하면, 뱅크(118)의 언더 컷 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마스크를 이용한 식각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식각 공정을 이용하여, 노출된 무기 물질층(117)을 제거하여 패터닝할 수 있다. 무기 물질층(117)을 패터닝하기 위한 식각 공정 시, 무기 물질로 이루어진 무기 물질층(117)과 유기 물질로 이루어진 뱅크(118)의 식각률의 차이에 의해 뱅크(118)의 하부면에 위치한 무기 물질층(117)의 일부가 식각이 되어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뱅크(118)의 하부면이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뱅크(118)의 하부면은 유기 물질층(116)과 이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E , an etching process using a mask may be performed to form an undercut structure of the
따라서, 뱅크(118)는 무기 물질층(117)의 끝단보다 돌출된 언더 컷 구조를 가질 수 있다. Accordingly, the
식각 공정에 의해 패터닝된 무기 물질층(117)은 제1 무기 물질층(117a), 제2 무기 물질층(117b) 및 제3 무기 물질층(117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기 물질층(117a)과 제2 무기 물질층(117b)은 서로 이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무기 물질층(117b)과 제3 무기 물질층(117c)은 서로 이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따라서, 제1 무기 물질층(117a)과 제2 무기 물질층(117b)의 이격 거리는 제1 뱅크 패턴(118a)과 제2 뱅크 패턴(118b)의 이격 거리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제2 무기 물질층(117b)과 제3 무기 물질층(117c)의 이격 거리는 제2 뱅크 패턴(118b)과 제3 뱅크 패턴(118c)의 이격 거리보다 클 수 있다.Accordingly,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이와 같이, 뱅크(118)의 언더 컷 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추가된 무기 물질층(117)은 별도의 마스크를 이용하지 않고서, 제1 전극(411)의 하부에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극(411)의 하부에 형성된 무기 물질층(117)을 이용하여 뱅크(118)의 언더 컷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서로 다른 색을 가지는 서브 화소들 사이에서 누설 전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언더컷 구조를 가지는 뱅크(118)를 형성함에 있어서, 별도의 마스크 공정이 추가 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In this way, the
도 5f를 참조하면, 뱅크(118) 및 제1 전극(411) 상에 발광층(412) 및 제2 전극(4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발광층(412) 및 제2 전극(413)은 연결되지 않고 단절되어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F , an
발광층(412) 및 제2 전극(413)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는 연장되지 않고 단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층(412) 및 제2 전극(413)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인접한 복수의 서브 화소들(SP1, SP2, SP3) 사이에서 단절될 수 있다.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인접한 서브 화소(SP1, SP2, SP3)는 서로 다른 색을 가질 수 있다. The
발광층(412) 및 제2 전극(413)은 제1 서브 화소(SP1)와 제2 서브 화소(SP2) 사이에서 단절될 수 있다. 또한, 발광층(412) 및 제2 전극(413)은 제2 서브 화소(SP2)와 제3 서브 화소(SP3) 사이에서 단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광층(412) 및 제2 전극(413)은 언더컷 구조를 가지는 뱅크(118)에 의하여 단절될 수 있다. The
반면, 발광층(412) 및 제2 전극(413)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는 단절되지 않고, 제2 방향(y축방향)으로 인접한 복수의 서브 화소들 사이에서 연결될 수 있다.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인접한 복수의 서브 화소들은 동일한 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브 화소(SP1)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인접한 서브 화소들은 제1 서브 화소(SP1)와 동일한 색을 가질 수 있다. 제2 서브 화소(SP2)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인접한 서브 화소들은 제2 서브 화소(SP2)와 동일한 색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3 서브 화소(SP3)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인접한 서브 화소들은 제3 서브 화소(SP3)와 동일한 색을 가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는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명세서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명세서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명세서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have been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explanation rather than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100: 표시장치
110: 기판
200: 제1 박막 트랜지스터
300: 제2 박막 트랜지스터
400: 발광 소자
500: 봉지부
P: 화소
SP1, SP2, SP3: 서브 화소
111: 버퍼층
112: 게이트 절연층
113: 층간 절연층
114: 제1 보호층
115: 제2 보호층
116: 유기 물질층
117: 무기 물질층
118: 뱅크100: display device
110: substrate
200: first thin film transistor
300: second thin film transistor
400: light emitting element
500: encapsulation unit
P: pixel
SP1, SP2, SP3: sub-pixel
111: buffer layer
112: gate insulating layer
113: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14: first protective layer
115: second protective layer
116: organic material layer
117: inorganic material layer
118: bank
Claims (10)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 배치된 보호층;
상기 보호층 상에 배치된 유기 물질층;
상기 유기 물질층 상에 배치되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하도록 배치된 무기 물질층;
상기 무기 물질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무기 물질층의 끝단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의 가장자리를 덮으며, 상기 무기 물질층의 끝단 보다 돌출되도록 배치된 뱅크;
상기 뱅크 및 상기 제1 전극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단절된 발광층; 및
상기 발광층 상에 배치된 제2 전극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a substrate including a plurality of sub-pixels, on which a thin film transistor is disposed for each sub-pixel;
a protective layer disposed on the thin film transistor;
an organic material layer disposed on the passivation layer;
an inorganic material layer disposed on the organic material laye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first direction;
a first electrode disposed on the inorganic material layer and positioned inside the end of the inorganic material layer;
a bank covering an edge of the first electrode and disposed to protrude from an end of the inorganic material layer;
a light emitting layer disposed on the bank and the first electrode and cut off in the first direction; and
and a second electrode disposed on the light emitting layer.
상기 서브 화소는, 제1 서브 화소, 상기 제1 방향으로 기준으로 상기 제1 서브 화소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2 서브 화소, 및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서브 화소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3 서브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sub-pixel may include a first sub-pixel, a second sub-pixel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sub-pixel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sub-pixel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sub-pixel in the first direction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third sub-pixel.
상기 무기 물질층은,
상기 제1 서브 화소에 배치된 제1 무기 물질층,
상기 제2 서브 화소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무기 물질층과 이격하는 제2 무기 물질층, 및
상기 제3 서브 화소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무기 물징층과 이격하는 제3 무기 물질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inorganic material layer,
a first inorganic material layer disposed on the first sub-pixel;
a second inorganic material layer disposed on the second sub-pixel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inorganic material layer; and
and a third inorganic material layer disposed on the third sub-pixel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inorganic material layer.
상기 뱅크는,
상기 제1 서브 화소에 배치된 제1 뱅크 패턴,
상기 제2 서브 화소에 배치된 제2 뱅크 패턴, 및
상기 제3 서브 화소에 배치된 제3 뱅크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뱅크 패턴과 상기 제2 뱅크 패턴이 이격된 거리는 상기 제1 무기 물질층과 상기 제2 무기 물질층이 이격된 거리보다 작으며, 상기 제2 뱅크 패턴과 상기 제3 뱅크 패턴이 이격된 거리는 상기 제2 무기 물질층과 상기 제3 무기 물질층이 이격된 거리보다 작은 표시장치4. The method of claim 3,
The bank is
a first bank pattern disposed on the first sub-pixel;
a second bank pattern disposed on the second sub-pixel; and
a third bank pattern disposed on the third sub-pixel;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bank pattern and the second bank pattern is smaller than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inorganic material layer and the second inorganic material layer, and the second bank pattern and the third bank pattern are spaced apart.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inorganic material layer and the third inorganic material layer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m.
상기 발광층은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는 단절되지 않고,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서브 화소들 사이에서 연결된 표시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 emitting layer is not disconnecte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but is connected between a plurality of sub-pixels disposed in the second direction.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단절된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electrode is cut off in the first direction.
유기 물질층 상에 있으며, 서로 이격하여 배치된 상기 무기물질층 사이에 배치된 더미 패턴을 더 포함하며,
상기 더미 패턴은 제1 더미 패턴 및 상기 제1 더미 패턴 상에 있는 제2 더미 패턴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It is on the organic material layer, further comprising a dummy pattern disposed between the inorganic material layer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dummy pattern includes a first dummy pattern and a second dummy pattern disposed on the first dummy pattern.
상기 제1 더미 패턴은 상기 발광층과 동일한 적층 구조를 가지고,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더미 패턴은 상기 제2 전극과 동일한 적층 구조를 가지고,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표시장치.8.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st dummy pattern has the same stacked structure as the light emitting layer and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The second dummy pattern has the same stacked structure as the second electrode and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상기 제1 더미 패턴의 하부면과 상기 무기 물질층의 하부면은 상기 유기 물질층의 상부면과 직접 접촉하는 표시장치.8. The method of claim 7,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dummy pattern and a lower surface of the inorganic material layer are in direct contact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organic material layer.
상기 제1 서브 화소에 배치된 상기 제1 무기물질층 상에 하나의 제1 전극이 배치되고, 제2 서브 화소에 배치된 상기 제2 무기물질층 상에 다른 하나의 제1 전극이 배치되고, 제3 서브 화소에 배치된 상기 제3 무기물질층 상에 또 다른 하나의 제1 전극이 배치된 표시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One first electrode is disposed on the first inorganic material layer disposed on the first sub-pixel, and another first electrode is disposed on the second inorganic material layer disposed on the second sub-pixel; A display device in which another first electrode is disposed on the third inorganic material layer disposed in a third sub-pixe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41303A KR20220056592A (en) | 2020-10-28 | 2020-10-28 | Display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41303A KR20220056592A (en) | 2020-10-28 | 2020-10-28 | Display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56592A true KR20220056592A (en) | 2022-05-06 |
Family
ID=81584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41303A Pending KR20220056592A (en) | 2020-10-28 | 2020-10-28 | Display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56592A (en) |
-
2020
- 2020-10-28 KR KR1020200141303A patent/KR20220056592A/en active Pen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736112B1 (en) | Electroluminescence display apparatus | |
KR102608669B1 (en) | Eletroluminescence display apparatus | |
KR102565907B1 (en) |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luminescence display | |
KR102573919B1 (en) | Display apparatus | |
KR101258260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JP6994558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sens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JP2022013773A (en) | Display device | |
KR100608403B1 (en) |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7488324B2 (en) | Display device | |
KR102713769B1 (en) | Eletroluminescence display apparatus | |
US12250850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mprising multi type thin film transistor | |
KR100623844B1 (en) |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20210083917A (en) | Display apparatus | |
KR20210086247A (en) | Display apparatus | |
KR101258261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US11997880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KR20220096626A (en) | Display device | |
KR102822831B1 (en) | Eletroluminescence display apparatus | |
KR20220056592A (en) | Display device | |
TW202228281A (en) | Display device | |
CN114464647A (en) | display device | |
US12245458B2 (en) | Display with dyed interlayer to reduce external reflectance | |
KR20250102311A (en) | Display apparatus | |
KR20240143052A (en) | Display apparatus | |
CN120239467A (en) | Transparent display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307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10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6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