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055076A - 360도 전방위로 기류를 감지할 수 있는 기류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360도 전방위로 기류를 감지할 수 있는 기류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5076A
KR20220055076A KR1020200139182A KR20200139182A KR20220055076A KR 20220055076 A KR20220055076 A KR 20220055076A KR 1020200139182 A KR1020200139182 A KR 1020200139182A KR 20200139182 A KR20200139182 A KR 20200139182A KR 20220055076 A KR20220055076 A KR 20220055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flow
unit
rotation
disposed
pass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6182B1 (ko
Inventor
김원선
Original Assignee
김원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선 filed Critical 김원선
Priority to KR1020200139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6182B1/ko
Publication of KR20220055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18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5/00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 G01P5/10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by measuring thermal variables
    • G01P5/12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by measuring thermal variables using variation of resistance of a heated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Indicating Or Recording The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60도 전ㄴ방위로 기류를 감지할 수 있는 기류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우징과 하우징에 연결되어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고, 일방향으로 흐르는 기류가 통과되도록 통로공간을 포함하는 선택적 기류통과부와 선택적 기류통과부에 연결되고, 제어부로부터 회전신호를 수신받아 선택적 기류통과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와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되, 회전부를 관통하여 일부분이 선택적 기류통과부의 통로공간에 배치되는 기류감지부와 기류감지부에서 감지된 기류의 특성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기류감지부로부터 수신받은 기류특성신호를 표시부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360도 전방위로 기류를 감지할 수 있는 기류 측정 장치{AIRFLOW MEASUREMENT DEVICE CAPABLE OF DETECTING AIRFLOW IN ALL DIRECTIONS}
본 발명은 기류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360도 전방위로 기류를 감지할 수 있는 기류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공정에서 조절되어야 할 요소 중 하나는 기류이다. 기류는 반도체 제조설비로 미세먼지 등을 유입시켜 반도체 성능 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반도체 작업장에서는 공기를 여과하여 깨끗한 공기를 공급하고 있다.
아무리 깨끗한 공기라 하더라도, 기류형성에 의해 미세먼지는 발생될 수 있다. 기류에 따라 공기의 오염 정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종래에 반도체 작업장에서는 엔지니어들의 주관에 의해 기류를 주시하였다. 기류 탐지는 사람의 생각과 느낌에 의해 감지되어서, 고도로 숙련된 엔지니어라고 하더라도 높은 정확도를 갖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그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치며 개발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람의 직관에 의존하지 않고 일정공간 내 기류의 방향이나 속도와 같은 기류 특성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기류 측정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기류 방향에 맞춰 회전 조절되어, 어느 한 방향의 기류에 한정됨 없이, 모든 방향의 기류에 대하여 감지할 수 있는 기류 측정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국면은, 하우징과 하우징에 연결되어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고, 일방향으로 흐르는 기류가 통과되도록 통로공간을 포함하는 선택적 기류통과부와 선택적 기류통과부에 연결되고, 제어부로부터 회전신호를 수신받아 선택적 기류통과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와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되, 회전부를 관통하여 일부분이 선택적 기류통과부의 통로공간에 배치되는 기류감지부와 기류감지부에서 감지된 기류의 특성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기류감지부로부터 수신받은 기류특성신호를 표시부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하우징은 전방에 배치되고, 선택적 기류통과부와의 결합을 위해 형성된 제1 결합공을 포함하는 프론트 케이스 및 프로튼 케이스에 결합되어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 케이스를 포함하고, 선택적 기류통과부는, 통로공간을 에워싸는 차단패널과 일방향으로 흐르는 기류를 통과시키는 대향하는 한 쌍의 개방면 및 차단패널의 하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프론트 케이스의 제1 결합공에 삽입되는 제1 끼움부를 포함한다.
또한, 제1 끼움부는 측면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된 제2 결합공을 포함하고, 회전부는, 외주면에 이가 형성된 기어부 및 기어부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선택적 기류통과부의 제1 끼움부 안쪽에 삽입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결합부는, 외주면에 제1 끼움부의 제2 결합공에 끼워지는 걸림턱을 포함한다.
또한, 하우징은, 일면이 개구된 박스 형태의 리어 케이스에서 상측면의 안쪽표면에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회전저지부를 포함하고, 기어부는, 리어 케이스의 상측면과 회전저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과정에서 회전저지부와의 충돌이 발생되지 않고, 회전부는, 기어부의 하측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배치되어, 회전부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회전범위조절부를 포함하고, 회전범위조절부는, 기어부 중심과 회전범위조절부의 외측면 간 거리길이가 기어부의 중심과 리어 케이스 회전저지부의 내측면 간 거리길이보다 길어, 기어부의 회전과정에서 리어 케이스의 회전저지부와 충돌되어 회전부를 정지시킨다.
또한, 기류감지부는, 외부로 돌출되어 기류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센서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센서부로 전류를 공급하는 복수 개의 연결선을 포함하고, 기류 측정 장치는, 복수 개의 연결선의 꼬임을 방지하고, 회전부의 기어부와 결합부를 관통하는 관통부에 삽입되어 기류감지부를 고정시키는 꼬임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회전부는, 기어부의 하측면에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끼움부를 포함하고, 관통부에 삽입되는 꼬임방지부는, 기류감지부 센서부의 하면을 지지하여 기류감지부를 고정시키는 지지부 및 지지부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제2 끼움부의 안쪽에 끼워지고, 복수 개의 연결선을 개별적으로 이격시키는 분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연결선은, 최내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연결선과 제1 연결선의 외측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연결선 및 최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3 연결선을 포함하고, 분리부는, 한 쌍의 제1 연결선 사이에 배치되어 한 쌍의 제1 연결선을 이격시키는 제1 분리유닛과 제1 연결선과 제2 연결선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연결선과 제2 연결선을 이격시키는 제2 분리유닛 및 제2 연결선과 제3 연결선 사이에 배치되어 제2 연결선과 제3 연결선을 이격시키는 제3 분리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기류의 속도나 방향 등을 정밀하게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공간 내 측정된 기류 특성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조절을 통하여 어떠한 방향에 국한되지 않고 흐르는 기류의 특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기류 측정 장치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인 기류 측정 장치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인 기류 측정 장치에 따른 실시예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기류 측정 장치에 따른 실시예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기류 측정 장치에 따른 실시예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기류 측정 장치에 따른 실시예의 기류감지부 및 꼬임방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인 기류 측정 장치에 따른 실시예(1000)는 일정공간 내 기류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어느 한 방향으로 흐르는 기류에 한정되지 않고 전방위로 흐르는 기류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1000)은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의해 방향이 설정됨으로써 특정 방향으로의 기류에 한정됨 없이 모든 방향으로의 기류를 측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1000)의 구체적인 원리에 대하여 본원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기류 측정 장치에 따른 실시예(10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1000)은 하우징(1000), 선택적 기류통과부(1200), 회전부(1300), 기류감지부(1400), 표시부(1500) 그리고 제어부(160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0)은 여러 구성들이 내재된 함체로서 대략 직육면체 형태의 박스형으로 형성된다.
선택적 기류통과부(1200)는 일방향으로 흐르는 기류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기 위해, 일방향으로 연통된 튜브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선택적 기류통과부(1200)는 후술할 기류감지부(1400)를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선택적 기류통과부(1200)는 하우징(1100)의 외부에 배치된 채로 하우징(1100)에 연결된다. 선택적 기류통과부(1200)는 일방향으로 흐르는 기류가 통과할 수 있도록 통로공간(S1)을 포함한다.
회전부(1300)는 선택적 기류통과부(1200)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서, 하우징(1100)에 내재된 채 하우징(1100)을 관통하여 선택적 기류통과부(1200)의 하측에 연결된다. 회전부(13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어 선택적 기류통과부(1200)의 회전각도를 조절한다.
기류감지부(1400)는 하우징(1100)의 내부에 배치되나, 일구성(1410)이 선택적 기류통과부(1200)의 통로공간(S1)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기류감지부(1400)는 통로공간(S1)에 배치된 일구성(1410)을 통해 선택적 기류통과부(1200)를 통과하는 기류의 방향이나 속도 등을 감지하는데, 구체적인 원리는 후술한다.
표시부(1500)는 기류감지부(1400)에서 감지된 기류의 특성을 표시한다. 표시부(1500)는 하우징(1100)에 내재되므로, 사용자가 표시부(1500)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우징(1100)의 개구된 일면에 표시부 필름(1510)이 배치된다. 표시부 필름(1510)은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져, 사용자는 표시부 필름(1510)을 통해 하우징(1100) 내부에 배치된 표시부(1500)로 기류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600)는 하우징(1100)에 내재되어 기류감지부(1400)로부터 수신받은 기류특성신호를 표시부(1500)로 송신한다. 기류특성신호는 기류감지부(1400)를 통해 감지된 기류의 방향이나 속도 등과 같은 정보를 보유하는 신호로서, 기류감지부(1400)에서 생성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인 기류 측정 장치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하우징(1100)은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 케이스(1110)를 포함한다. 프론트 케이스(1110)는 선택적 기류통과부(1200)와의 결합을 위해 형성된 제1 결합공(1112)을 포함한다. 선택적 기류통과부(1200)는 제1 결합공(1112)에 삽입되어 프론트 케이스(1110)와 결합된다. 또한, 하우징(1100)은 후방에 배치되어 프론트 케이스(1110)와 결합되는 리어 케이스(112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0)은 프론트 케이스(1110)와 리어 케이스(1120)의 전후방 결합을 통해 박스형태의 함체를 이룬다.
선택적 기류통과부(1200)는 통로공간(S1)을 에워싸는 차단패널(1210)과 개방면(1220)을 포함한다. 차단패널(1210)은 대향하는 한 쌍의 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를 갖어, 일방향의 기류를 가로지르는 기류를 차단한다. 여기서, 일방향의 기류는 선택적 기류통과부(1200)의 통로공간(S1)을 통해 통과되는 기류이다. 또한, 일방향의 기류는 선택적 기류통과부(1200)에서 대향하는 한 쌍의 개방면(1220)을 통과하여 통로공간(S1)으로 흐른다.
선택적 기류통과부(1200)는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차단패널(1210)의 하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 끼움부(1230)를 포함한다. 제1 끼움부(1230)는 프론트 케이스(1110)의 제1 결합공(1112)에 삽입되어, 선택적 기류통과부(1200)가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인 기류 측정 장치에 따른 실시예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제1 끼움부(1230)는 선택적 기류통과부(1200)와 후술할 회전부(1300)의 결합을 위해 제2 결합공(1232)를 포함한다. 제2 결합공(1232)은 도 2에서 나타나듯이 제1 끼움부(1230) 측면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된다.
회전부(1300)는 선택적 기류통과부(1200)의 회전조절을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외주면에 이가 형성된 기어부(1310)를 포함한다. 기어부(1310)는 톱니바퀴 형태로 형성되어, 래치(1340)와의 맞물림에 의해 단계적으로 회전된다. 래치(134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회전부(1300)는 선택적 기류통과부(1200)와의 결합을 위해 기어부(1310)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결합부(1320)를 포함한다. 결합부(1320)는 연장된 형태로 제1 끼움부(1230)의 안쪽으로 삽입된다. 여기서, 결합부(1320)는 제1 끼움부(1230)와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외주면에 걸림턱(1322)을 포함한다. 걸림턱(1322)은 결합부(1320)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구성으로서, 제1 끼움부(1230)의 제2 결합공(1232)에 삽입된다.
도 5는 본 발명인 기류 측정 장치에 따른 실시예(1000)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하우징(1100)은 회전부(1300)의 회전을 저지하여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회전저지부(1130)를 포함한다. 회전저지부(1130)는 일면이 개구된 박스 형태의 리어 케이스(1120)에서 상측면의 안쪽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회전저지부(1130)는 후술할 회전범위조절부(1330)와의 충돌로 회전부(1300)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다. 여기서, 기어부(1310)는 회전 과정에서 회전저지부(1130)와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리어 케이스(1120)의 상측면과 회전저지부(1130) 사이에 배치된다.
회전부(1300)는 회전저지부(1130)와 충돌하는 회전범위조절부(1330)를 포함한다. 회전범위조절부(1330)는 기어부(1310)의 하측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배치된다. 여기서, 기어부(1310) 중심과 회전범위조절부(1330)의 외측면 간 거리길이(L)는 기어부(1310)의 중심과 회전저지부(1130)의 내측면 간 거리길이(l)보다 길다. 이에 따라, 회전범위조절부(1330)는 회전부(1300)의 회전과정에서 회전저지부(1130)와 충돌되어, 회전부(1300)의 회전범위가 제한된다. 실시예에서 회전범위조절부(1330)는 호의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갖고, 기어부(1310) 원주의 1/4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는다. 회전범위조절부(1330)는 약 90도 정도의 회전제한범위를 제공하여, 회전부(1300)는 정방향으로 약 180도 정도의 회전범위와 역방향으로 약 90도 정도의 회전범위를 갖는다.
회전부(1300)는 기어부(1310)의 정밀한 회전을 위해 래치(1340)를 포함한다. 래치(1340)는 하우징(1100)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340a)와 기어부(1310)의 회전에 의해 탄성이동되는 이동부재(1340b)를 포함한다. 래치(1340)는 프론트 케이스(1110)의 상부에 형성된 꺾음부에 끼워져 고정된다. 꺾음부는 프론트 케이스(1110) 상부 안쪽표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중산부분에서 절곡된 형태를 갖어 대략 'ㄴ'자 단면형상을 갖는다. 꺾음부는 대향하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한 쌍의 꺾음부 사이에 래치(1340)가 끼워져 고정된다. 이동부재(1340b)는 기어부(1310)의 회전과정에서 기어부(1310)의 이에 의해 가압되어 절개공간(S2)으로 들어간 후 다시 탄성력에 의해 제자리로 위치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기어부(1310)는 래치(1340)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어, 회전부(1300)는 불연속적으로 회전된다. 즉, 기어부(1310)는 선택적 기류통과부(1200)의 회전을 섬세하게 조절하여, 본 발명은 기류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인 기류 측정 장치에 따른 실시예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기류 측정 장치에 따른 실시예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기류 측정 장치에 따른 실시예의 기류감지부 및 꼬임방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에서 알 수 있듯이, 기류감지부(1400)는 외부로 돌출되어 기류를 감지하는 센서부(1410)를 포함한다. 센서부(1410)는 저항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기류를 감지한다. 센서부(1410)는 히터 역할을 하는 히터 저항의 좌우측에 박막 저항을 포함하고, 박막 저항은 전원이 인가된 히터 저항에 의해 가열된다. 박막 저항은 흐르는 공기에 의해 냉각되므로, 센서부(1410)는 냉각된 박막 저항의 저항값 차이를 통해 기류를 감지한다.
기류감지부(1400)는 센서부(1410)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센서부(1410)로 전류를 공급하는 복수 개의 연결선(1420)을 포함한다. 연결선(1420)은 전원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통전되고, 전원부는 제어부(1600)에 의해 외부 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는다.
본 발명(1000)은 복수 개의 연결선(1420)의 꼬임을 방지하는 꼬임방지부(1700)를 포함한다. 꼬임방지부(1700)는 기어부(1310)와 결합부(1320)를 관통하는 관통부(S3)에 삽입되어, 기류감지부(1400)를 고정시킨다. 꼬임방지부(1700)는 기류감지부 센서부(1410)의 하면을 지지하여 기류감지부(1400)를 고정시키는 지지부(171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센서부(1410)는 지지부(1710)의 일면에 안착되어, 기류감지부(1400)는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회전부(1300)는 기어부(1310)의 하측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너 형성되는 제2 끼움부(1350)를 포함한다. 꼬임방지부(1700)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제2 끼움부(1350)의 안쪽에 끼워지는 분리부(1720)를 포함한다. 분리부(1720)는 복수 개의 연결선(1420)을 개별적으로 이격시켜 연결선(1420) 간 꼬임을 방지한다.
복수 개의 연결선(1420)은 도 8에서 나타나듯이 최내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연결선(1422)을 포함하고, 제1 연결선(1422) 각각으로부터 외측으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연결선(1424)를 포함한다. 나아가, 복수 개의 연결선(1420)은 최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3 연결선(1426)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연결선(1420)은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더욱이 회전부(1300)의 회전으로 인하여 꼬임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분리부(1720)는 한 쌍의 제1 연결선(1422)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연결선들(1422)을 이격시키는 제1 분리유닛(1722)을 포함한다. 제1 분리유닛(1722)은 분리부(1720)의 중심영역에 배치되어 회전부(1300)의 회전중심에서의 연결선(1420) 꼬임을 방지한다.
분리부(1720)는 제1 연결선(1422)과 제2 연결선(1424)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연결선(1422)과 제2 연결선(1424)을 이격시키는 제2 분리유닛(1724)을 포함한다. 또한, 분리부(1720)는 순차적으로 제2 연결선(1424)과 제3 연결선(1426) 사이에 배치되어 제2 연결선(1424)과 제3 연결선(1426)을 이격시키는 제3 분리유닛(1726)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연속하여 이격배치되는 연결선들(1400)은 회전에도 불구하고 꼬임없이 안정적으로 본 형태를 유지한 채 통전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끼움부(1350)는 내부를 가로지르는 격벽(1352)을 포함하는데, 분리부(1720)는 제2 끼움부(1350)에 삽입된 상태에서 격벽(1352)과 마주보는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격벽(1352)에 접함으로써 꼬임방지부(1700)를 고정시키는 고정돌출유닛(1728) 을 포함한다. 고정돌출유닛(1728)은 분리부(1720)에서 격벽(1352)과 대향하는 일면으로부터 융기되어 형성된 구성으로서, 상기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높이는 상기 일면과 격벽(1352)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제2 끼움부(1350)에 삽입된 꼬임방지부(1700)는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고정돌출유닛(1728)은 도 8에서 나타나듯이 중심측으로 연장되어 제2 및 제3 연결선(1424, 1426)을 가압하여 절곡시키는 절곡형성부(1728a) 를 포함한다. 그로 인해, 제2 및 제3 연결선(1424, 1426)은 회전부(1300)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흔들림없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하우징:1100
프론트 케이스:1110
제1 결합공:1112
리어 케이스:1120
회전저지부:1130
선택적 기류통과부:1200
통로공간:S1
차단패널:1210
개방면:1220
제1 끼움부:1230
제2 결합공:1232
회전부:1300
기어부:1310
결합부:1320
걸림턱:1322
회전범위조절부:1330
래치:1340
고정부재:1340a
이동부재:1340b
절개공간:S2
관통부:S3
제2 끼움부:1350
격벽:1352
기류감지부:1400
센서부:1410
연결선:1420
제1 연결선:1422
제2 연결선:1424
제3 연결선:1426
표시부:1500
표시부 필름:1510
제어부:1600
꼬임방지부:1700
지지부:1710
분리부:1720
제1 분리유닛:1722
제2 분리유닛:1724
제3 분리유닛:1726
고정돌출유닛:1728
절곡형성부:1728a

Claims (6)

  1. 하우징에 연결되어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고, 일방향으로 흐르는 기류가 통과되도록 통로공간을 포함하는 선택적 기류통과부;
    선택적 기류통과부에 연결되고, 제어부로부터 회전신호를 수신받아 선택적 기류통과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 및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되, 회전부를 관통하여 일부분이 선택적 기류통과부의 통로공간에 배치되는 기류감지부를 포함하는,
    360도 전방위로 기류를 감지할 수 있는 기류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기류감지부에서 감지된 기류의 특성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기류감지부로부터 수신받은 기류특성신호를 표시부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하우징은,
    전방에 배치되고, 선택적 기류통과부와의 결합을 위해 형성된 제1 결합공을 포함하는 프론트 케이스; 및
    프로튼 케이스에 결합되어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 케이스를 포함하고,
    선택적 기류통과부는,
    통로공간을 에워싸는 차단패널;
    일방향으로 흐르는 기류를 통과시키는 대향하는 한 쌍의 개방면; 및
    차단패널의 하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프론트 케이스의 제1 결합공에 삽입되는 제1 끼움부를 포함하는,
    360도 전방위로 기류를 감지할 수 있는 기류 측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제1 끼움부는,
    측면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된 제2 결합공을 포함하고,
    회전부는,
    외주면에 이가 형성된 기어부; 및
    기어부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선택적 기류통과부의 제1 끼움부 안쪽에 삽입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결합부는,
    외주면에 제1 끼움부의 제2 결합공에 끼워지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360도 전방위로 기류를 감지할 수 있는 기류 측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일면이 개구된 박스 형태의 리어 케이스에서 상측면의 안쪽표면에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회전저지부를 포함하고,
    기어부는,
    리어 케이스의 상측면과 회전저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과정에서 회전저지부와의 충돌이 발생되지 않고,
    회전부는,
    기어부의 하측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배치되어, 회전부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회전범위조절부를 포함하고,
    회전범위조절부는,
    기어부 중심과 회전범위조절부의 외측면 간 거리길이가 기어부의 중심과 리어 케이스 회전저지부의 내측면 간 거리길이보다 길어, 기어부의 회전과정에서 리어 케이스의 회전저지부와 충돌되어 회전부를 정지시키는,
    360도 전방위로 기류를 감지할 기류 측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기류감지부는,
    외부로 돌출되어 기류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센서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센서부로 전류를 공급하는 복수 개의 연결선을 포함하고,
    기류 측정 장치는,
    복수 개의 연결선의 꼬임을 방지하고, 회전부의 기어부와 결합부를 관통하는 관통부에 삽입되어 기류감지부를 고정시키는 꼬임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회전부는,
    기어부의 하측면에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끼움부를 포함하고,
    관통부에 삽입되는 꼬임방지부는,
    기류감지부 센서부의 하면을 지지하여 기류감지부를 고정시키는 지지부; 및
    지지부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제2 끼움부의 안쪽에 끼워지고, 복수 개의 연결선을 개별적으로 이격시키는 분리부를 포함하는,
    360도 전방위로 기류를 감지할 수 있는 기류 측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연결선은,
    최내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연결선;
    제1 연결선의 외측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연결선; 및
    최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3 연결선을 포함하고,
    분리부는,
    한 쌍의 제1 연결선 사이에 배치되어 한 쌍의 제1 연결선을 이격시키는 제1 분리유닛;
    제1 연결선과 제2 연결선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연결선과 제2 연결선을 이격시키는 제2 분리유닛; 및
    제2 연결선과 제3 연결선 사이에 배치되어 제2 연결선과 제3 연결선을 이격시키는 제3 분리유닛을 포함하는,
    360도 전방위로 기류를 감지할 수 있는 기류 측정 장치.
KR1020200139182A 2020-10-26 2020-10-26 360도 전방위로 기류를 감지할 수 있는 기류 측정 장치 Active KR102466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182A KR102466182B1 (ko) 2020-10-26 2020-10-26 360도 전방위로 기류를 감지할 수 있는 기류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182A KR102466182B1 (ko) 2020-10-26 2020-10-26 360도 전방위로 기류를 감지할 수 있는 기류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076A true KR20220055076A (ko) 2022-05-03
KR102466182B1 KR102466182B1 (ko) 2022-11-15

Family

ID=81591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182A Active KR102466182B1 (ko) 2020-10-26 2020-10-26 360도 전방위로 기류를 감지할 수 있는 기류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618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6306A (ja) * 1993-11-25 1995-06-06 Murata Mfg Co Ltd 風速センサ
JP2011089844A (ja) * 2009-10-21 2011-05-06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風向風速計測装置および風向風速計測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6306A (ja) * 1993-11-25 1995-06-06 Murata Mfg Co Ltd 風速センサ
JP2011089844A (ja) * 2009-10-21 2011-05-06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風向風速計測装置および風向風速計測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6182B1 (ko) 2022-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7643B2 (en) Laser sensor module for particle density detection
US7520051B2 (en) Packaging methods and systems for measuring multiple measurands including bi-directional flow
US11692925B2 (en) Optical particle sensor module
KR100496801B1 (ko) 필터의 유효수명 감시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6661514B1 (en) Tube blockage monitor
US9689903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measuring current
US20120006907A1 (en) Sensor arrangement for acquiring state variables
KR101489921B1 (ko) 수도 계량기 원격검침 장치
JPH01314573A (ja) 配管内の空気の存在を検知するための装置
JP5218378B2 (ja) 空気流量測定装置
CA3114588C (en) Electronics housing with thermal fluid detection
US20070198139A1 (en) Auto-address multi-sensor network
KR20220055076A (ko) 360도 전방위로 기류를 감지할 수 있는 기류 측정 장치
EP3548855B1 (en) Shorted thermocouple diagnostic
US20100088044A1 (en) Gas measurement system
EP0962685A1 (en) Valve arrangement
EP2930502A1 (en) Gas sensor
EP1591850A3 (en) Numerically controlled drive device with device for detecting operating anomalis intended for detecting accidental collisions and method of detecting operating anomalies for this device
WO2005096798A1 (en) Device and procedure for seed counting in seed drill
KR20190037428A (ko) 차량의 실내온도 감지센서
ES2621797T3 (es) Dispositivo de medición de posición
JP7012294B2 (ja) 感度調整機能を有する液漏れ検知センサー
KR20070080661A (ko) 전자식 수도미터 역회전 감지장치
KR101391131B1 (ko) 압력감지 일체형 압력계
KR100871123B1 (ko) 차량용 다기능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4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8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