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9933A - Vehicle module assembly - Google Patents
Vehicle module assembl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49933A KR20220049933A KR1020200133665A KR20200133665A KR20220049933A KR 20220049933 A KR20220049933 A KR 20220049933A KR 1020200133665 A KR1020200133665 A KR 1020200133665A KR 20200133665 A KR20200133665 A KR 20200133665A KR 20220049933 A KR20220049933 A KR 2022004993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p
- slip gear
- gear
- motor
- timing bel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9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motoriz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대시 보드 조립체내부에 고정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 모듈; 상기 대시 보드 내부에 고정되어, 일측에 상기 액추에이터 모듈을 고정하고, 내부에 풀리, 타이밍벨트, 가이드 레일 및 타이밍벨트 클립를 수용하는 메인 하우징; 상기 액추에이터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이용하여 회전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 회전축에 연결되어 모터 회전축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풀리; 상기 메인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일측이 상기 풀리에 연결되어 모터 회전축으로부터 인가되는 회전 운동을 타이밍벨트를 통해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타이밍벨트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ckpit module assembly for a vehicle, comprising: an actuator module fixed inside a dashboard assembly to provide power; a main housing fixed inside the dashboard, fixing the actuator module to one side, and accommodating a pulley, a timing belt, a guide rail and a timing belt clip therein; a motor for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rotating shaft using the power provided from the actuator module; a pulley connected to the motor rotating shaft and rotating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rotating shaft; and a timing belt provided inside the main housing,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pulley, and converts rotational motion applied from the motor rotation shaft into linear motion through the timing belt.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장착되는 모니터의 슬라이딩을 위한 칵핏모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ckpit module assembly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ckpit module assembly for sliding a monitor mounted on a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의 대시 보드에는 차량의 AVN 기능, 네비게이션 기능, 공조 제어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운전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센터페시아 디스플레이 장치가 고정된 형태로 장착된다. In general, a center fasci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to a driver is mounted on a dashboard of a vehicle in a fixed form so as to control an AVN function, a navigation function, and an air conditioning control function of the vehicle.
그러나, 차량의 각 부분 단위로 생산하여 조립하는 경우, 조립 공정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when producing and assembling each part of the vehic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ssembly process becomes complicat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계기판(Instrument Panel), 크로스 바(Cross Bar), 공조시스템, 에어백(Airbag), 각종 계기판, 오디오 등 전장부품 스티어링 컬럼 및 휠, 페달 어셈블리 등을 조립된 상태, 즉, 슬라이딩 모니터용 모듈 조립체(Cockpit Module) 단위로 자동차 업체에 단위부품을 공급한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instrument panel, cross bar, air conditioning system, airbag, various instrument panels, audio, etc., steering column, wheel, pedal assembly, etc. are assembled, that is, sliding It supplies unit parts to automobile manufacturers as a unit of monitor module assembly (Cockpit Module).
이와 같이, 슬라이딩 모니터용 모듈 조립체 단위로 자동차 업체에 공급하는 경우 설계 업무의 효율화를 극대화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a module assembly unit for a sliding monitor is supplied to an automobile company, the efficiency of design work can be maximized.
이러한 슬라이딩 모니터용 모듈 조립체에 적용되는 이동형 타입의 모니터의 경우, 조립 구조를 통해 장치의 강건성을 유지할 수 있으나, 작동 부품의 외력에 의해 발생되는 하중에 대한 부하를 견디기 위한 별도의 구조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즉, 이동형 타입의 모니터의 경우, 모니터의 고정 또는 이동 상태에서 비정상적인 외력이 발생하면, 고정 또는 이동중인 모니터의 연결 부분에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the case of a movable type monitor applied to the module assembly for a sliding monitor, the robustness of the device can be maintained through the assembly structure, but there is a problem that a separate structure is required to withstand the load generated by the external force of the working part. there is. That is, in the case of a movable type monitor, when an abnormal external force is generated while the monitor is fixed or mov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nection part of the fixed or moving monitor is damaged.
그리고 종래 슬라이딩 무빙 모니터는 슬라이딩 구조가 이동에 따라 이동 거리 만큼 공간 확보가 필요하며 이로 인하여, 슬릿의 형태로 외관에 모니터의 이동 궤적이 드러나고, 외관 및 이물질에 의한 작동성 저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sliding moving monitor needs to secure space as much as the moving distanc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liding structure, so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monitor is revealed on the exterior in the form of a sli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bility may be deteriorated due to the appearance and foreign substances. there is.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형 타입의 모니터의 이동 또는 고정 시, 비정상 적인 외력에 의해 장치의 파손을 감소시킬 수 있는 모니터 작동 메커니즘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o provide a monitor operation mechanism that can reduce the damage of the device due to an abnormal external force when moving or fixing a movable type monito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라이딩 타입으로 작동되는 작동 메커니즘 내 별도 고정을 위한 록킹 수단을 추가하여 사용자에 의한 외력 및 관성하중 발생 시에도 장치를 고정하고, 장치의 사용상 안전성을 증대시키며, 슬립 기어와 록킹 수단을 동시 사용하여 장치 파손 방지할 수 있는 킬 수 있는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dd a locking means for separate fixing in the sliding-type operating mechanism to fix the device even when external force and inertial load occur by the user, increase the safety of the device in use, and lock the slip gear and lock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illable vehicle cockpit module assembly capable of preventing device damage by using the same mean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슬라이딩 타입으로 작동되는 모니터 구조에 있어 모니터 이동 궤적에 의하여 발생하는 슬릿 구조를 주변 상관품으로 은닉시킴으로써 외관성을 개선하고, 장치 사용의 안전성 증대시킬 수 있는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hicle cockpit module assembly that can improve the appearance and increase the safety of using the device by hiding the slit structure generated by the monitor movement trajectory in the sliding-type monitor structure with surrounding related products. would like to provide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object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는 대시 보드 조립체내부에 고정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 모듈; 상기 대시 보드 내부에 고정되어, 일측에 상기 액추에이터 모듈을 고정하고, 내부에 풀리, 타이밍벨트, 가이드 레일 및 타이밍벨트 클립를 수용하는 메인 하우징; 상기 액추에이터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이용하여 회전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후방 슬립 기어와 전방 슬립 기어의 중심에 상기 모터의 모터 회전축에 연결되고, 후방 슬립 기어와 전방 슬립 기어간 마찰력을 통해 상기 모터 회전축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슬립 기어 모듈; 상기 슬리 기어 모듈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풀리; 및 상기 메인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일측이 상기 풀리에 연결되어 모터 회전축으로부터 인가되는 회전 운동을 타이밍벨트를 통해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타이밍벨트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cockpit module assembly for a vehicle includes: an actuator module fixed inside a dashboard assembly to provide power; a main housing fixed inside the dashboard, fixing the actuator module to one side, and accommodating a pulley, a timing belt, a guide rail and a timing belt clip therein; a motor for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rotating shaft using the power provided from the actuator module; a slip gear module connected to the motor rotation shaft of the motor at the center of the rear slip gear and the front slip gear, and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motor rotation shaft through a friction force between the rear slip gear and the front slip gear; a pulley rotating by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slit gear module; and a timing belt provided inside the main housing and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pulley to convert rotational motion applied from the motor rotation shaft into linear motion through the timing belt.
상기 모터 회전축에는 슬립 기어 모듈이 더 구비되고, 상기 슬립 기어 모듈은 상기 모터 회전축에 삽입되어 일측이 상기 모터 회전축과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고, 타측이 판형상으로 이루어진 후방 슬립 기어; 중공을 구비한 판 형상으로, 상기 중공에 상기 모터 회전축에 삽입되고 상기 후방 슬립 기어 하부에 구비된 슬립 플레이트; 상기 모터 회전축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슬립 플레이트에 접촉되는 일측이 중공을 구비한 판형상으로, 상기 슬립 플레이트와 마찰에 의해 후방 슬립 기어와 함께 회전하고, 타측이 상기 풀리와 연결되는 전방 슬립 기어; 및 상기 전방 슬립 기어와 상기 메인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전방 슬립 기어가 상기 슬립 플레이트 측으로 이동하기 위한 힘을 인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The motor rotation shaft further includes a slip gear module, the slip gear module is inserted into the motor rotation shaft,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motor rotation shaft to rotate together, and the other side is a rear slip gear having a plate shape; a slip plate having a hollow plate shape, inserted into the hollow shaft of the motor, and provided under the rear slip gear; It is inserted movably from the motor rotation shaft up and down, and one side in contact with the slip plate has a hollow plate shape, rotates with the rear slip gear by friction with the slip plate,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pulley front slip gear; and a spring provided between the front slip gear and the main housing to apply a force for the front slip gear to move toward the slip plate.
그리고 상기 전방 슬립 기어는, 상기 후방 슬립 기어와 상기 슬립 플레이트가 수용될 수 있도록 외주면을 따라 일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front slip gear further includes a guide part protruding to one side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accommodate the rear slip gear and the slip plate.
일측이 상기 타이밍벨트에 고정되어, 상기 타이밍벨트의 직선 운동에 따라 상기 메인 하우징 내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타이밍벨트 클립; 상기 타이밍벨트 클립에 고정되고, 상기 메인 하우징 외부에 구비되어 모니터 브라켓에 연결되는 연결프레임; 및 일측이 상기 연결프레임을 통해 고정되고, 타측이 모니터에 고정되는 모니터 브라켓을 포함한다. a timing belt clip having one side fixed to the timing belt and moving left and right in the main housing according to a linear motion of the timing belt; a connection frame fixed to the timing belt clip and provided outside the main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monitor bracket; and a monitor bracket having one side fixed through the connection frame and the other side fixed to the monitor.
또한 상기 슬립 기어 모듈은, 기설정된 마찰력 이상의 외력이 상기 전방 슬립 기어에 발생하면, 상기 슬립 플레이트와의 슬립이 발생되어 상기 외력에 의한 동력이 상기 모터 회전축에 전달되지 않도록 슬립되어 차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lip gear module, when an external forc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frictional force is generated on the front slip gear, slip with the slip plate is generated, so that the power by the external force is not transmitted to the motor rotating shaft It is preferable to slip and block it. .
한편, 상기 타이밍벨트 클립은 상기 연결프레임이 상기 타이밍벨트에 의해 이동 시,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이 상기 메인 하우징 외부에 더 구비된다. Meanwhile, in the timing belt clip, a guide rail for guiding when the connection frame is moved by the timing belt is further provided outside the main hous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립 기어 모듈은, 모터 회전축에 삽입되어 일측이 모터 회전축과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고, 타측이 판형상으로 이루어진 후방 슬립 기어; 중공을 구비한 판 형상으로, 상기 중공에 상기 모터 회전축에 삽입되고 상기 후방 슬립 기어 하부에 구비된 슬립 플레이트; 상기 모터 회전축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슬립 플레이트에 접촉되는 일측이 중공을 구비한 판형상으로, 상기 슬립 플레이트와 마찰에 의해 후방 슬립 기어와 함께 회전하고, 타측이 상기 풀리와 연결되는 전방 슬립 기어; 및 상기 전방 슬립 기어와 상기 메인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전방 슬립 기어가 상기 슬립 플레이트 측으로 이동하기 위한 힘을 인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A slip gea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ar slip gear inserted into a motor rotating shaft, one side connected to the motor rotating shaft and rotated together, and the other side having a plate shape; a slip plate having a hollow plate shape, inserted into the hollow shaft of the motor, and provided under the rear slip gear; It is inserted movably from the motor rotation shaft up and down, and one side in contact with the slip plate has a hollow plate shape, rotates with the rear slip gear by friction with the slip plate,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pulley front slip gear; and a spring provided between the front slip gear and the main housing to apply a force for the front slip gear to move toward the slip plate.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모니터의 슬라이딩 기능을 지원하면서도, 외부로부터 외력이 전달되더라도 해당 외력이 액추에이터 모듈 및 모터에 인가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supporting the sliding function of the monitor, even when an external force is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actuator module and the motor to prevent damage.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외력이 발생하더라도 모터에 의해 후방 슬립 기어만 회전하게 됨에 따라, 후방 슬립 기어와 전방 슬립 기어의 슬립에 의해 모니터의 슬라이딩을 위한 다른 구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only the rear slip gear is rotated by the motor even when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other components for sliding the monitor due to the slip of the rear slip gear and the front slip gear. there is an effect
이때, 후방 슬립 기어와 전방 슬립 기어 사이의 마찰력보다 높은 외력이 발생하는 경우, 슬립이 발생하고, 슬립이 발생한 후방 슬립 기어(810)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나 나머지 장치는 정지되어 슬라이딩을 위한 나머지 구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t this time, when an external force higher than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rear slip gear and the front slip gear is generated, slip occurs, and the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상측 가니쉬의 삽입 가이드 홀이 일정 길이를 가지면서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시선과 대칭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시선에서는 내부 슬릿 형상 및 내부 구조가 노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ion guide hole of the upper garnish has a certain length and is formed symmetrically with the driver's or passenger's gaze, so that the inner slit shape and internal structure are not exposed from the driver's or passenger's gaze there i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가 적용된 차량용 모니터링 슬라이딩 시스템을 나타낸 참고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의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모니터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의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모니터의 슬라이딩을 위한 동력전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연결프레임을 운전자 측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연결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외부 외력에 의해 모니터가 운전자 측으로 이동하는 비정상 작동 구간이 발생 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모니터의 정지에 따른 외력 인가 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7 내지 도 25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cockpit module assembly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 vehicle monitoring sliding system to which the vehicle cockpit modul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cockpit module assembly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the movement of the monito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8 are referenc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vehicle cockpit module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view of a cockpit module assembly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power transmission process for the sliding of the monitor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frame is slid toward the driver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to 13 are referenc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for fixing the sliding connection frame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state when an abnormal operation section occurs in which the monitor moves toward the driver by an external external force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stat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ccording to the stop of the monitor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cockpit module assembly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to 25 are reference views for explaining the assembly process of the cockpit module assembly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On the other hand, the terms us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mentioned. or addition is not exclude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가 적용된 차량용 모니터링 슬라이딩 시스템을 나타낸 참고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의 부분 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cockpit module assembly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 monitoring sliding system for a vehicle to which the cockpit module assembly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3 is th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cockpit module assembly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칵핏모듈(cockpit module) 조립체는 액추에이터 모듈(100), 메인 하우징(200), 모터(300), 직선 동력 전달부(400), 연결프레임(500)을 포함하고, 슬립 기어 모듈(800)을 더 포함한다. 1, the cockpit module assembly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액추에이터 모듈(100)은 모터(300)에 전력을 제공해주는 것으로, 메인 하우징(200)의 일측에 구비된다. The
메인 하우징(200)은 상측 대시 보드(11)와 하측 대시 보드(13)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대시 보드 조립체(10) 내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메인 하우징(200)은 액추에이터 모듈(100)로부터 모터(300)를 통해 제공되는 동력을 이용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프레임(500)이 좌우 슬라이딩되도록 대시 보드 조립체(10) 내부에 구비된다. The
이러한, 메인 하우징(200)은 대시 보드(10) 내부에 고정되어 일측에 액추에이터 모듈(100)을 고정하고, 내부에 풀리(410), 타이밍벨트(420), 타이밍벨트 클립(430)로 이루어진 직선 동력 전달부(400)를 수용하고, 가이드 레일(440)이 외부에 구비된다. The
모터(300)는 액추에이터 모듈(100)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모터 회전축(310)을 통해 회전력을 풀리(410)에 제공한다. The
그리고, 직선 동력 전달부(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300)로부터 인기되는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한다. And, the linear
이를 위해 직선 동력 전달부(400)는 풀리(410), 타이밍벨트(420), 타이밍벨트 클립(430)를 포함하고, 가이드레일(4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linear
풀리(410)는 모터 회전축(310)에 연결되어 슬립 기어 모듈(800)로부터 모터 회전축(310)을 통해 인가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고, 연결된 타이밍벨트(420)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The
타이밍벨트(420)는 메인 하우징(200) 내부에 구비되고 일측이 풀리(410)에 연결되어 모터 회전축(310)으로부터 인가되는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한다. 이때, 타이밍벨트(420)는 풀리(410)로부터 인가되는 동력을 메인 프레임(200) 범위 내에서 모니터가 좌우로 이동하기 위한 동력을 전달한다. 한편, 타이밍벨트(420)의 타단에는 롤러(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The
이때, 타이밍벨트(420)는 사용 환경에 따라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장치 사용성을 증대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되는 좌우 작동거리 390mm로 설정할 수 있으나, 차종 및 작동 컨셉에 따라 가변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타이밍벨트 클립(430)은 일측이 타이밍벨트(420)에 고정되어, 타이밍벨트(420)의 직선 운동에 따라 메인 하우징(200) 내에서 좌우로 이동한다. 그리고 타이밍벨트 클립(430)은 연결프레임(500)과 연결된다. One side of the
그리고 가이드레일(440)은 메인 하우징(200)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프레임(500) 이동 시, 좌우 슬라이딩을 가이드 한다. 이를 위해, 연결프레임(500)에는 가이드레인(440)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부가 구비된다. And the
연결프레임(500)은 일측이 타이밍벨트 클립(430)와 연결되고, 타측이 모니터와 연결된다. 이에, 연결프레임(5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 측에 위치해 있다가 동승자 측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됨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자측 측에 위치하고 있다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승자 측으로 연결프레임(500)과 연결된 모니터가 대시 보드 상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The
도 6은 도 1의 'V' 확대도이다. 6 is an enlarged view of 'V' of FIG. 1 .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 회전축(310)에는 슬립 기어 모듈(8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슬립 기어 모듈(8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회전축(310)에 후방 슬립 기어(810), 슬립 플레이트(820) 전방 슬립 기어(830) 및 스플링(8400)을 포함한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후방 슬립 기어(810)는 상기 모터 회전축(310)에 삽입되어 회전축(310)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슬립 플레이트(820)와 접속되도록 타측이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슬립 플레이트(820)는 중공을 구비한 판 형상으로, 상기 모터 회전축(310)에 삽입되고 후방 슬립 기어(810)와 전방 슬립 기어(830) 사이에 구비된다. 슬립 플레이트(820)는 재질로 이루어진다.The
전방 슬립 기어(830)는 모터 회전축(310)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슬립 플레이트(820)에 접촉되는 일측이 중공을 구비한 판형상으로, 상기 슬립 플레이트(820)와 마찰에 의해 후방 슬립 기어(810)와 함께 회전하고, 타측이 풀리(410)와 연결된다. 이러한 전방 슬립 기어(830)는 상기 후방 슬립 기어와 상기 슬립 플레이트가 수용될 수 있도록 외주면을 따라 일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부(8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831)에 의해 후방 슬립 기어(810) 및 슬립 플레이트(820)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스프링(840)은 전방 슬립 기어(830)와 상기 메인 하우징(20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전방 슬립 기어(830)가 슬립 플레이트(820) 측으로 이동하기 위한 힘을 인가한다. A
따라서, 슬립 기어 모듈(800)은 후방 슬립 기어(810)와 전방 슬립 기어(830)의 중심에 모터 회전축(310)이 연결되고, 후방 슬립 기어(810)와 전방 슬립 기어(830)간 마찰력을 통해 모터 회전축(310)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직선 동력 전달부(400)에 전달한다. Accordingly, in the
이러한 슬립 기어 모듈(800)은 기설정된 마찰력 이상의 외력이 전방 슬립 기어(830)에 발생하면, 슬립 플레이트(820)와의 슬립이 발생되어 상기 외력에 의한 동력이 상기 모터 회전축(310)에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In the
이하,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를 이용한 모니터의 슬라이딩 과정에 대하여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sliding process of the monitor using the cockpit module assembly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1)를 일측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모터(300)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모니터(1)가 동승자 측 종단까지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모니터가 운전자 측에서 동승자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모니터(1)를 일측에 고정시키기 위해 모터(300)이 회전을 종료한다. First, as shown in FIG. 7 , when the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프레임(500)을 동승자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액추에이터 모듈(100)을 통해 모터(300)를 동작시킨다.That is, as shown in FIG. 7 , in order to move the
그러면, 모터(300)의 회전력이 모터 회전축(310)를 통해 풀리(410)에 전달되고, 풀리(410)가 회전됨에 따라 풀리(410)에 의해 타이밍벨트(420)가 이동하게 된다.The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이때, 타이밍벨트 클립(430)은 타이밍벨트(420)에 연결된 상태이기 때문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밍벨트(420)의 이동에 따라 같이 메인 프레임(200) 내부에서 이동하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이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를 이용한 모니터의 슬라이딩 과정 중 외력 발생시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고, In more detail, FIG. 8 is a reference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process when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during a sliding process of a monitor using a cockpit module assembly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만약,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300)에는 후방 슬립 기어(810), 슬립 플레이트(820), 전방 슬립 기어(830) 및 스프링(840)으로 이루어진 슬립 기어 모듈(800)가 더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슬립 기어 모듈(800)은 모터(300)로부터 인가되는 회전력이 풀리(410)에 인가되되, 외부로부터 기 설정된 힘 이상의 외력이 발생하는 경우, 외력이 상기 모터 회전축(310)에 인가되어 모터(300) 및 액추에이터 모듈(1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If, as shown in FIG. 8 , the
즉, 후방 슬립 기어(810), 슬립 플레이트(820) 및 전방 슬립 기어(830)가 모터 회전축(310)에 삽입된 상태로 삽입되고, 스프링(840)이 전방 슬립 기어(830)와 메인 하우징(200)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방 슬립 기어(830)에 탄성력을 인가한다. That is, the
이에, 후방 슬립 기어(810), 슬립 플레이트(820) 및 후방 슬립 기어(810)가 스프링(840)의 탄성력에 의해 밀착된다. Accordingly, the
이렇게, 후방 슬립 기어(810), 슬립 플레이트(820) 및 후방 슬립 기어(810)가 밀착된 상태에서, 모터(300)가 구동하게 되어 모터 회전축(310)이 회전하게 되면, 모터 회전축(310)에 삽입된 후방 슬립 기어(810)가 모터 회전축(310)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In this way, when the
이어서, 슬립 플레이트(820)를 사이에 두고 후방 슬립 기어(810)와 전방 슬립 기어(830)가 스프링(840)에 의해 밀착된 상태이기 때문에, 후방 슬립 기어(810)와 슬립 플레이트(820)의 마찰력, 그리고 슬립 플레이트(820)와 전방 슬립 기어(830)의 마찰력에 의해 슬립 플레이트(820)와 전방 슬립 기어(830) 또한 모터 회전축(310)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Next, since the
이에, 전방 슬립 기어(830)가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고, 전방 슬립 기어(830)와 연결된 풀리(410) 또한 회전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그리고, 풀리(4000와 연결된 타이밍벨트(420)의 구동에 따라, 타이밍벨트(420)에 연결된 타이밍벨트 클립(430), 연결프레임(500)이 좌우로 슬라이딩 하게 된다. An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만약,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되는 모니터 또는 모니터브라켓(570)에 외력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외력은 이물질이 삽입되어 모니터가 슬라이딩되지 않은 힘 또는 사용자 및 외부의 힘에 의해 모니터가 역방향 또는 정방향에 인가되는 힘일 수 있다. If, as shown in FIG. 8 , an external force may be generated on the sliding monitor or monitor bracket 570 . Here, the external force may be a force applied to the monitor in a reverse or forward direction by a force that does not slide the monitor due to a foreign substance inserted therein, or a user and an external force.
이와 같이, 모니터, 모니터브라켓(570), 연결프레임(500), 타이밍벨트(420), 가이드 레일(440) 등에 외력이 발생하면, 해당 외력은 타이밍벨트(420)를 통해 풀리(410)에 전달되고, 풀리(410)에 전달된 외력은 전방 슬립 기어(830)에 전달된다.As such, when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in the monitor, monitor bracket 570,
이렇게 전방 슬립 기어(830)에 외력이 전달되면, 슬립 플레이트(820)와 전방 슬림 기어(830)간 마찰력을 외력의 범위를 초과하게 되어 슬립 플레이트(820)와 전방 슬립 기어(830)간 슬립이 발생하게 된다.When the exter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이에, 전방 슬립 기어(830)는 슬립 플레이트(820)와 슬립이 발생하기 때문에 함께 회전하지 않게 되어, 전방 슬립 기어(830)를 통해 전달되는 외력이 슬립 플레이트(820) 및 후방 슬립 기어(810)를 따라 모터(300)에 전달되지 않고 차단됨으로써, 외부 외력으로부터 모터 및 액추에이터 모듈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ly, the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9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cockpit module assembly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ckpit module assembly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는 일 실시예의 액추에이터 모듈(100), 메인 하우징(200), 모터(300), 직선 동력 전달부(400) 및 연결프레임(500)를 포함하고, 슬립 기어 모듈(800)과 고정 기어 모듈(900)을 더 포함한다. The cockpit module assembly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액추에이터 모듈(100)을 고정한 메인 하우징(200)은 상측 대시 보드(11)와 하측 대시 보드(13)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대시 보드 조립체(10) 내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메인 하우징(200)은 액추에이터 모듈(100)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이용하여 모니터가 좌우 슬라이딩되도록 대시 보드 조립체(10) 내부에서 가이드한다. The
메인 하우징(200)은 대시 보드(10) 내부에 고정되어 일측에 액추에이터 모듈(100)을 고정하고, 내부에 풀리(410), 타이밍벨트(420), 가이드 레일(440) 및 타이밍벨트 클립(430)를 수용한다.The
모터(300)는 액추에이터 모듈(100)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이용하여 회전축(310)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The
그리고, 직선 동력 전달부(400)는 모터(300)로부터 인기되는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한다. And, the linear
이를 위해 직선 동력 전달부(400)는 풀리(410), 타이밍벨트(420), 타이밍벨트 클립(430)을 포함하고 가이드레일(440)더 구비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linear
풀리(410)는 풀리 회전축(401)을 구비하고, 슬립 기어 모듈(800)을 통해 폴리 회전축(401)에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한다. 한편, 풀리 회전축(401)에는 연동 기어(910), 록킹 기어(930)로 이루어진 고정 기어 모듈(900)이 구비된다. The
타이밍벨트(420)는 메인 하우징(200) 내부에 구비되고 일측이 풀리(410)에 연결되어 풀리 회전축(401)으로부터 인가되는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킨다. 이때, 타이밍벨트(420)는 메인 프레임(200) 내에 구비되어, 풀리(410)로부터 인가되는 회전 동력을 메인 프레임(200) 범위 내에서 모니터가 좌우로 이동하기 위한 직선 동력을 전달한다. The
그리고 타이밍벨트(420)는 사용 환경에 따라 운전자 또는 동승석 사용자의 장치 사용성을 증대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되는 좌우 작동거리 390mm로 설정할 수 있으나, 차종 및 작동 컨셉에 따라 가변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또한 타이밍벨트 클립(430)은 일측이 타이밍벨트(420)에 고정되어, 타이밍벨트(420)의 직선 운동에 따라 메인 하우징(200) 내에서 좌우로 이동한다. 한편, 타이밍벨트 클립(430)는 연결프레임(500)이 타이밍벨트(420)에 의해 이동 시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440)이 메인 하우징(200)에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이러한 연결프레임(500)에는 연결프레임(500)을 일측 종단에 고정 시, 록킹 기어(930)가 후방 슬립 기어(810)에 물리적으로 결속될 수 있도록, 일측으로 이동되는 위치에 따라 록킹 기어(930)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는 가이드 리브(510)를 더 구비된다. When the
이러한, 모터 회전축(310)에는 후방 슬립 기어(810), 슬립 플레이트(820), 전방 슬립 기어(830) 및 스프링(840)를 포함하는 슬립 기어 모듈(800)이 구비된다. The
슬립 기어 모듈(800)의 후방 슬립 기어(810)는 모터 회전축(310)에 삽입되어 회전축(310)과 함께 회전한다. The
이러한 후방 슬립 기어(810)는 전방 슬립 기어 연결부(811)와 록킹 기어 연결부(813)를 포함한다. This
전방 슬립 기어 연결부(811)는 풀리 회전축(401)이 중심에 삽입되고, 하부면이 슬립 플레이트(820)와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The front slip
록킹 기어 연결부(813)는 전방 슬립 기어 연결부(811) 상부에 구비되어 모터 회전축(310)과 함께 회전하고, 록킹 기어(930)의 하단 일부분에 구비된 삽입 기어(931)에 맞물린다. The locking
이때, 록킹 기어(930)에는 풀리 회전축(401)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상태인 경우, 연동 기어(910)를 통해 인가되는 회전력이 풀리 회전축(401)을 통해 풀리(410)에 인가되도록, 록킹 기어(930)에 일 회전 방향의 힘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950)이 더 구비된다. At this time, in a state in which an external force is not applied to the
한편, 후방 슬립 기어(810)와 록킹 기어(930)간 체결구조는 록킹 기어(930)의 하단부에 후방 슬립 기어(810)에 맞물리기 위한 삽입 기어(931)가 일부분 구비되고, 록킹 기어(930)의 타측에는 연결프레임(500)의 가이드리브(610)에 접속하기 위한 가이드돌기(933)가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fastening structure between the
그리고 후방 슬립 기어(810)에는 록킹 기어(930)의 삽입 기어(931)가 안착하기 위한 록킹 기어 연결부(813)가 구비될 수 있다. And the
그리고, 후방 슬립 기어(810)와 록킹 기어(930) 물리적 결속은 후방 슬립 기어(810)가 슬립 플레이트(820)간 슬립이 발생하도록, 마찰력 이상의 외력이 인가된다. In addition, in the physical coupling of the
그리고, 슬립 플레이트(820)는 상기 후방 슬립 기어(810)의 하부에 구비된다.In addition, the
또한 전방 슬립 기어(830)는 상기 모터 회전축(31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슬립 플레이트(820)에 접촉 시 마찰에 의해 상기 후방 슬립 기어(810)와 함께 회전하되, 기설정된 마찰력 이상의 외력 발생 시 슬립 플레이트(820)와의 슬립이 발생되어 상기 외력에 의한 동력이 상기 모터 회전축(310)에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된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스프링(840)은 전방 슬립 기어(830)와 메인 하우징(200) 사이에 구비되어 전방 슬립 기어(830)가 슬립 플레이트(820) 측으로 이동하기 위한 힘을 인가한다. The
한편, 고정 기어 모듈(900)의 연동 기어(910)는 슬립 기어 모듈(800)의 전방 슬립 기어(830)와 맞물려 전방 슬립 기어(83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것으로, 폴리 회전축(401)이 중심에 삽입되고, 전방 슬립 기어(830)에 물리적으로 결속되어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폴리 회전축(401)에 전달한다. On the other hand, the interlocking
록킹 기어(930)는 사용자에 의한 외력 및 관성하중 발생 시에도 슬라이딩되는 연결프레임(500)을 종단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풀리 회전축(401)이 중심에 삽입되고, 상기 연동 기어(910) 상측에 구비되며, 외부에서 외력 인가 시, 상기 후방 슬립 기어(810)와 결속되어 상기 후방 슬립 기어(810)를 물리적으로 록킹시킨다. The
이하,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작동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모니터의 슬라이딩 시 동력전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10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power transmission process when the monitor slides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연결프레임(500)을 슬라이딩시키기 위해서는, 풀리 회전축(410)이 삽입된 록킹 기어(930)가 토션 스프링(950)에 의해 일 회전방향으로 회전되어, 후방 슬립 기어(810)와 맞물리지 않은 상태이고, 전방 슬립 기어(830)와 연동 기어(910)는 맞물림 상태이다. First, in order to slide the
이와 같이, 록킹 기어(930)와 후방 슬립 기어(810)가 맞물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전방 슬립 기어(830)로부터 인가되는 회전력이 연동 기어(910)에 인가되어 풀리(410)를 회전시킨다. As such, in a state in which the
이러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 모듈(100)이 모터(300)에 전력을 제공하면, 모터(300)에 의해 모터 회전축(310)이 회전하게 되고, 모터 회전축(310)에 삽입된 후방 슬립 기어(810)가 회전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이때, 후방 슬립 기어(810) 하부에 구비된 슬립 플레이트(820)와 상기 슬립 플레이트(820) 하부에 구비된 전방 슬립 기어(830)는 스프링(840)에 의해 밀착되고, 각 마찰력에 의해 후방 슬립 기어(810)와 함께 전방 슬립 기어(830)가 회전한다. At this time, the
이에, 전방 슬립 기어(830)와 맞물린 연동 기어(910) 또한 회전하게 되고, 연동 기어(910)에 의해 풀리 회전축(410)도 회전한다. Accordingly, the interlocking
그리고 풀리 회전축(410)의 회전에 따라 풀리(410)가 회전하게 되고, 풀리(410)에 의해 타이밍벨트(420)가 직선 이동하게 된다. 이때, 타이밍벨트 클립(430)은 타이밍벨트(420)에 연결된 상태이기 때문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밍벨트(420)의 이동에 따라 같이 메인 프레임(200) 내부에서 이동하게 된다.In addition, the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연결프레임(500)을 동승자 측에서 운전자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11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for moving the
한편, 연결프레임(500)을 운전자 측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 모듈(100)과 모터(300)를 이용하여 연결프레임(500)을 운전자 측으로 슬라이딩시킨다.Meanwhile, in order to fix the connecting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 측으로 이동하다가 운전자 측 종단에 오면, 연결프레임(500)을 고정해야 한다.As shown in FIG. 12 , when moving toward the driver and coming to the end of the driver's side, the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연결프레임(500)을 고정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 측으로 이동하다 보면, 모니터와 연결된 연결프레임(500)의 가이드 리브(510)가 록킹 기어(930)에 구비된 가이드돌기(933)에 접촉된다.Looking at the process of fixing the
이렇게 록킹 기어(930)의 가이드돌기(933)와 연결프레임(500)의 가이드 리브(510)가 접촉된 상태에서 모니터가 운전자 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록킹 기어(930)의 하단부에 형성된 가이드돌기(933)는 연결프레임(500)에 의해 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When the monitor moves toward the driver while the
이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에 연결된 연결프레임(500)이 운전자 측 종단까지 이동하게 되면, 록킹 기어(930)가 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록킹 기어(930)의 하단 일부분에 구비된 삽입 기어(931)가 후방 슬립 기어(810)에 맞물리면서 고정된다.Then, as shown in FIG. 13, when the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외력에 의해 모니터가 운전자 측으로 이동하는 비정상 작동 구간이 발생하여, 타이밍벨트(420)를 통해 외력이 전달되더라도, 외력(P1)이 풀리(410), 풀리 회전축(401), 연동 기어(910)를 통해 전방 슬립 기어(830)에 전달되고, 슬립 플레이트(820)와 전방 슬립 기어(830)간 마찰력보다 클 경우 슬립이 발생한다. Meanwhile,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4 , an abnormal operation section occurs in which the monitor moves toward the driver due to an external external force, and even if the external force is transmitted through the
이에, 외력(P1)이 전방 슬립 기어(830)와, 모터 회전축(310)을 따라 모터(300) 및 액추에이터 모듈(10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external force P1 is block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외력이 발생하더라도 모터(300)에 의해 후방 슬립 기어(810)만 회전하게 됨에 따라, 후방 슬립 기어(810)와 전방 슬립 기어(830)의 슬립에 의해 모니터의 슬라이딩을 위한 다른 구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only the
반면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정상 구동 중 외력에 의해 모니터가 멈추는 경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의 정지에 따라, 타이밍벨트(420), 풀리(410), 풀리 회전축(401), 연동 기어(910), 전방 슬립 기어(830) 순으로 회전 및 이동 정지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onitor is stopped by an external force during normal driving, as shown in FIG. 15, according to the stop of the monitor, the
이때, 후방 슬립 기어(810)와 전방 슬립 기어(830) 사이의 마찰력보다 높은 외력이 발생하는 경우, 슬립이 발생하고, 슬립이 발생한 후방 슬립 기어(810)는 모터(300)에 의해 회전하나 나머지 장치는 정지되어 슬라이딩을 위한 나머지 구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t this time, when an external force higher than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16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cockpit module assembly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는 대시 보드 연결 브라켓(520), 레일 아세이 조립체(530), 연결 브라켓(540), 모니터 브라켓(57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6 , the cockpit module assembly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대시 보드 조립체(10)의 상측 대시 보드(11)는 모니터가 대시 보드 전방에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측 대시 보드(13) 결합 시, 모니터가 좌우로 슬라이딩하기 위해 일정 길이를 갖는 슬라이딩 구(15)가 상기 하측 대시 보드(13) 사이에 형성된다. The
대시 보드 조립체(10) 내부에는 상기 모니터와 연결된 연결 브라켓(540)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타이밍벨트(420) 및 풀리(410)가 수용되는 레일 어세이 조립체(530)가 내부에 구비된다.A
대시 보드 연결 브라켓(520)은 상측 대시 보드(11)의 절곡된 내측면과 동일한 형상의 절곡부(521)를 구비하고, 절곡부(521)로부터 연장된 일측에 레일 아세이 조립체(530)가 삽입되기 위한 구조체 삽입홈(523)이 구비된다. The
레일 아세이 조립체(530)는 풀리(410), 타이밍벨트(420) 및 타이밍벨트 클립(430)으로 이루어진 직선 동력 전달부(400)가 수용되는 메인 하우징(200)과 상기 메인 하우징(200)을 상기 대시 보드 연결 브라켓(52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브라켓(531)을 포함한다. The
그리고, 레일 아세이 조립체(530)의 고정용 브라켓(531)에는 메인 하우징(200)에 수용된 타이밍벨트 클립(430)과 연결되는 연결 브라켓(540)이 좌우로 이동하기 위한 홀(533)이 일정 이동 범위내에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용 브라켓(531)은 제품의 강성을 위하여 상부와 하부가 일부 절곡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fixing bracket 531 of the
연결 브라켓(540)에는 벨트 연결부재(541), 연장부재(543), 하측 고정부재(545), 지지부재(547) 및 모니터 연결부재(549)를 포함한다.The
벨트 연결부재(541)는 일측이 고정용 브라켓(531)의 홀(533)에 삽입된 후 타이밍 벨트 클립(430)과 연결되고, 연장부재(543)는 벨트 연결부재(541)의 일측에서 수직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하측 고정부재(545)는 상기 벨트 연결부재(541) 종단에 구비되고, 지지부재(547)는 연장부재(543)의 종단에서 상측 대시 보드(11) 또는 대시 보드 연결 브라켓(520)과 평행하도록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며, 모니터 연결부재(549)는 지지부재(547)의 종단에서 운전자의 시선과 대칭되는 하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모니터 브라켓(570)과 연결된다.The
한편, 상기 가니쉬(600)는 상측 가니쉬(610), 및 하측 가니쉬(630)로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상측 가니쉬(610)는 대시 보드(10)의 개방된 부분이 폐쇄할 수 있도록, 상측 대시 보드(11)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고, 모니터 연결부재(549)가 관통되도록 삽입 가이드 홀(611)이 구비된다. The
따라서, 상측 가니쉬(610)는 대시 보드(10)의 개방된 부분이 폐쇄될 수 있도록, 상기 상측 대시 보드(11)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여기서, 상측 가니쉬(610)에 구비된 삽입 가이드 홀(611)은 모니터 연결부재(549)가 삽입된 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이와 같이, 상측 가니쉬(610)의 삽입 가이드 홀(611)이 일정 길이를 가지면서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시선과 대칭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시선에서는 내부 슬릿 형상 및 내부 구조가 노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As such, the
모니터 브라켓(570)은 상측 가니쉬(610)를 관통한 모니터 연결부재(549)와 체결되는 상측 연결부(571)와 상측 연결부(571)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573)와, 연장부(573)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모니터와 연결되는 모니터 연결부(575)로부터 연장되어 하측 고정부재(545)와 체결되는 하측 연결부(577)로 이루어진다.The monitor bracket 570 includes an
그리고 하측 가니쉬(630)는 모니터 브라켓(570)의 하측 연결부(577)의 일측에 체결되고, 하측 대시 보드(13)를 덮는다.And the
한편 상측 대시 보드(11)는 운전자에게 노출되는 제1 보드와, 상기 제1 보드의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제 2 보드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it is preferable that the
그리고 대시 보드 연결 브라켓(520)은 상기 상측 대시 보드(11) 하부면에 고정되는 제1 브라켓과, 상기 제1 브라켓으로부터 일정 각도 절곡되는 제 2 브라켓으로 이루어진다. The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의 조립 과정에 대하여 도 17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assembly process of the cockpit module assembly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7 to 23 .
먼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시 보드 조립체(10)의 상측 대시 보드(11)에 대시 보드 연결 브라켓(520)의 절곡부(521)을 삽입하여 고정한다. First, as shown in FIG. 17 , the
이후, 메인 프레임(200)과 고정용 브라켓(531)으로 이루어진 레일 아세이 조립체(530)를 연결 브라켓(540)과 결합한 상태에서 대시 보드 연결 브라켓(520)의 구조체 삽입홈(523)에 고정용 브라켓(351)이 삽입한 후 고정한다. Thereafter, in a state in which the
여기서, 레일 아세이 조립체(530)는 풀리(410), 타이밍벨트(420) 및 타이밍벨트 클립(430)으로 이루어진 직선 동력 전달부(400)가 수용되는 메인 하우징(200)과 상기 메인 하우징(200)을 상기 대시 보드 연결 브라켓(52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브라켓(531)을 포함한다. Here, the
그리고, 연결 브라켓(540)은 상기 메인 하우징(200)의 홀(53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타이밍벨트(420) 및 풀리(410)에 연결되는 벨트 연결부재(541)와 상기 벨트 연결부재(541)의 일측에서 수직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재(543)와 상기 벨트 연결부재(541) 종단에 구비된 하측 고정부재(545)와 상기 연장부재(543)의 종단에서 상기 상측 대시 보드(11) 또는 대시 보드 연결 브라켓(520)과 평행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된 지지부재(547)와 상기 지지부재(547)의 종단에서 하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모니터 브라켓(570)과 연결되는 모니터 연결부재(549)으로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이후,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 연결부재(549)를 상측 가니쉬(610)의 삽입 가이드 홀(611)에 관통시켜 조립한다. 이때, 상측 가니쉬(610)는 상측 대시 보드(11)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됨으로써, 대시 보드(10)의 개방된 부분을 폐쇄할 수 있다. Thereafter, as shown in FIGS. 18 and 19 , the
이후,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가니쉬(610)의 삽입 가이드 홀(611)을 관통한 모니터 연결부재(549)을 모니터 브라켓(570)의 상측 연결부(571)와 조립하고, 연결 브라켓(540)의 하측 고정부재(545)를 모니터 브라켓(570)의 하측 연결부(577)와 체결한다. Then, as shown in FIGS. 20 and 21, the
여기서, 모니터 브라켓(570)은 상측 가니쉬(610)를 관통한 상기 모니터 연결부재(549)와 체결되는 상측 연결부(571)와 상기 상측 연결부(571)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573)와, 상기 연장부(573)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모니터와 연결되는 모니터 연결부(575)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측 고정부재(545)와 체결되는 하측 연결부(577)로 이루어진다. Here, the monitor bracket 570 includes an
이후,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가니쉬(630)를 모니터 브라켓(570)의 하측 연결부(577)와 체결하면서 하측 대시 보드(13)를 덮는다. Thereafter, as shown in FIGS. 22 and 23 ,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는 대시 보드 전방에서 좌우로 이동할 수 있고, 모니터가 좌우로 이동하더라도 상측 가니쉬(610)의 삽입 가이드 홀(611)을 통해 운전자가 내부 슬릿의 형상이나 내부 구조가 노출되지 않은 효과가 있다. As such,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24 and 25 , the monitor can move from side to side in front of the dashboard, and even if the monitor moves from side to side, the insertion guide of the
상측 가니쉬(610)에 구비된 삽입 가이드 홀(611)은, 모니터 연결부재(549)가 삽입된 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이상,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서는 아니되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this is possible. Therefor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defined by the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7)
상기 대시 보드 내부에 고정되어, 일측에 상기 액추에이터 모듈을 고정하고, 내부에 풀리, 타이밍벨트를 수용하는 메인 하우징;
상기 액추에이터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이용하여 모터 회전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후방 슬립 기어와 전방 슬립 기어의 중심에 상기 모터의 모터 회전축에 연결되고, 후방 슬립 기어와 전방 슬립 기어간 마찰력을 통해 상기 모터 회전축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슬립 기어 모듈;
상기 슬립 기어 모듈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풀리; 및
상기 메인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일측이 상기 풀리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 회전축으로부터 인가되는 회전 운동을 타이밍벨트를 통해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타이밍벨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
an actuator module fixed inside the dashboard assembly to provide power;
a main housing fixed inside the dashboard, fixing the actuator module to one side, and accommodating a pulley and a timing belt therein;
a motor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motor rotating shaft by using the power provided from the actuator module;
a slip gear module connected to the motor rotation shaft of the motor at the center of the rear slip gear and the front slip gear, and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motor rotation shaft through a friction force between the rear slip gear and the front slip gear;
a pulley rotating by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slip gear module; and
and a timing belt provided inside the main housing and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pulley to convert the rotational motion applied from the motor rotation shaft into a linear motion through the timing belt.
상기 슬립 기어 모듈은
상기 모터 회전축에 삽입되어 일측이 상기 모터 회전축과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고, 타측이 판형상으로 이루어진 후방 슬립 기어;
중공을 구비한 판 형상으로, 상기 중공에 상기 모터 회전축에 삽입되고 상기 후방 슬립 기어 하부에 구비된 슬립 플레이트;
상기 모터 회전축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슬립 플레이트에 접촉되는 일측이 중공을 구비한 판형상으로, 상기 슬립 플레이트와 마찰에 의해 후방 슬립 기어와 함께 회전하고, 타측이 상기 풀리와 연결되는 전방 슬립 기어; 및
상기 전방 슬립 기어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방 슬립 기어가 상기 슬립 플레이트 측으로 이동하기 위한 힘을 인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slip gear module is
a rear slip gear inserted into the motor rotating shaft so that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motor rotating shaft to rotate together,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in a plate shape;
a slip plate having a hollow plate shape, inserted into the hollow shaft of the motor and provided under the rear slip gear;
It is inserted movably from the motor rotation shaft up and down, and one side in contact with the slip plate has a hollow plate shape, rotates with the rear slip gear by friction with the slip plate,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pulley front slip gear; and
and a spring provided under the front slip gear to apply a force to move the front slip gear toward the slip plate.
상기 전방 슬립 기어는,
상기 후방 슬립 기어와 상기 슬립 플레이트가 수용될 수 있도록 외주면을 따라 일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ront slip gear is
The cockpit module assembly for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guide part protruding to one side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accommodate the rear slip gear and the slip plate.
상기 타이밍벨트 클립에 고정되고, 상기 메인 하우징 외부에 구비되어 모니터 브라켓에 연결되는 연결프레임; 및
일측이 상기 연결프레임을 통해 고정되고, 타측이 모니터에 고정되는 모니터 브라켓으로 이루어진 연결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a connection frame fixed to the timing belt clip and provided outside the main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monitor bracket; and
The cockpit module assembly for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on frame comprising a monitor bracket having one side fixed through the connection frame and the other side fixed to the monitor.
상기 슬립 기어 모듈은,
기설정된 마찰력 이상의 외력이 상기 전방 슬립 기어에 발생하면, 상기 슬립 플레이트와의 슬립이 발생되어 상기 외력에 의한 동력이 상기 모터 회전축에 전달되지 않도록 슬립되어 차단되는 것인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lip gear module is
When an external force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frictional force is generated on the front slip gear, slip with the slip plate is generated, and the vehicle cockpit module assembly is slipped and blocked so that the external force is not transmit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motor.
상기 타이밍벨트 클립은
상기 연결프레임이 상기 타이밍벨트에 의해 이동 시,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이 상기 메인 하우징 외부에 더 구비되는 것인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timing belt clip
When the connection frame is moved by the timing belt, a guide rail for guiding the vehicle cockpit module assembly is further provided outside the main housing.
중공을 구비한 판 형상으로, 상기 중공에 상기 모터 회전축에 삽입되고 상기 후방 슬립 기어 하부에 구비된 슬립 플레이트;
상기 모터 회전축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슬립 플레이트에 접촉되는 일측이 중공을 구비한 판형상으로, 상기 슬립 플레이트와 마찰에 의해 후방 슬립 기어와 함께 회전하고, 타측이 상기 풀리와 연결되는 전방 슬립 기어; 및
상기 전방 슬립 기어와 상기 메인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전방 슬립 기어가 상기 슬립 플레이트 측으로 이동하기 위한 힘을 인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슬립 기어 조립체. The rear slip gear is inserted into the motor rotation shaft,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motor rotation shaft to rotate together,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in a plate shape;
a slip plate having a hollow plate shape, inserted into the hollow shaft of the motor and provided under the rear slip gear;
It is inserted movably from the motor rotation shaft up and down, and one side in contact with the slip plate has a hollow plate shape, rotates with the rear slip gear by friction with the slip plate,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pulley front slip gear; and
and a spring provided between the front slip gear and the main housing to apply a force to move the front slip gear toward the slip plate.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33665A KR102838053B1 (en) | 2020-10-15 | Vehicle module assembly | |
CN202122490358.5U CN216733915U (en) | 2020-10-15 | 2021-10-15 | Vehicle cockpit module assembly and sliding gear module |
DE202021105623.1U DE202021105623U1 (en) | 2020-10-15 | 2021-10-15 | Vehicle Cockpit Module Assembly |
US17/502,696 US11938866B2 (en) | 2020-10-15 | 2021-10-15 | Vehicle cockpit module assemb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33665A KR102838053B1 (en) | 2020-10-15 | Vehicle module assembl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49933A true KR20220049933A (en) | 2022-04-22 |
KR102838053B1 KR102838053B1 (en) | 2025-07-24 |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57234B1 (en) | Apparatus of driving car seat by sliding and gearbox used therein | |
US7108307B1 (en) | Vehicle sun visor apparatus | |
US11370474B2 (en) | Steering column including a rotational blocking device actuated by a motorization | |
EP3901002B1 (en) | Steering device | |
KR20220049935A (en) | Vehicle sliding module assembly | |
KR20040016781A (en) | Installation unit for motor vehicle | |
EP1647457B1 (en) | Steering lock apparatus | |
KR20190023775A (en) | Pop-up type steering wheel device | |
US11938866B2 (en) | Vehicle cockpit module assembly | |
KR20220049933A (en) | Vehicle module assembly | |
CN102605992A (en) | Vehicle door handle device and vehicle | |
KR20220049934A (en) | Vehicle module assembly | |
KR102838053B1 (en) | Vehicle module assembly | |
KR102837116B1 (en) | Vehicle module assembly | |
US9415688B2 (en) | Vehicular display unit | |
JP2008013056A (en) | Sun visor equipment | |
US7571958B2 (en) | Sunshade panel apparatus | |
JP2015020678A (en) | Vehicular air-conditioning operation device | |
US4786092A (en) | Device for locking detachable roof in motor vehicle | |
JP3513095B2 (en) | In-vehicle device slide mechanism and in-vehicle monitor device having the same | |
KR200354247Y1 (en) | Apparatus for reducing impact energy of steering device for vehicle | |
KR100305558B1 (en) | A rewinding device for the seat beat belt having a pinion | |
JP7392450B2 (en) | Slide mechanism, display panel drive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 |
JP5939761B2 (en) | Vehicle display device | |
KR20220052219A (en) | Camera mirror assembly for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1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