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048525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8525A
KR20220048525A KR1020200131366A KR20200131366A KR20220048525A KR 20220048525 A KR20220048525 A KR 20220048525A KR 1020200131366 A KR1020200131366 A KR 1020200131366A KR 20200131366 A KR20200131366 A KR 20200131366A KR 20220048525 A KR20220048525 A KR 20220048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ive member
lens group
lens
camera module
optical pat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1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철
임태연
정필호
조용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1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8525A/ko
Priority to TW113135919A priority patent/TWI875662B/zh
Priority to TW110111437A priority patent/TWI834964B/zh
Priority to TW113104103A priority patent/TWI860242B/zh
Priority to US17/339,220 priority patent/US12013519B2/en
Priority to CN202311027932.0A priority patent/CN117031714A/zh
Priority to CN202121613733.4U priority patent/CN215340511U/zh
Priority to CN202210463930.5A priority patent/CN114779451B/zh
Priority to CN202110794797.7A priority patent/CN114415331B/zh
Publication of KR20220048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525A/ko
Priority to US18/641,780 priority patent/US20240280793A1/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5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 G02B13/006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having a beam-folding prism or mirror
    • H04N5/2257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02B15/16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with interdependent non-linearly related movements between one lens or lens group, and another lens or lens group
    • G02B15/163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with interdependent non-linearly related movements between one lens or lens group, and another lens or lens group having a first movable lens or lens group and a second movable lens or lens group, both in front of a fixed lens or lens group
    • G02B15/167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with interdependent non-linearly related movements between one lens or lens group, and another lens or lens group having a first movable lens or lens group and a second movable lens or lens group, both in front of a fixed lens or lens group having an additional fixed front lens or group of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02B15/22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with movable lens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ocusing at close distan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correction, e.g. distorsion,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87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index gradi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7Bodies with reflectors arranged in beam forming the photographic image, e.g. for reducing dimensions of camer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H04N5/2254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02B15/142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two group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2003/0093Simple or compound len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Len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물체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렌즈 군; 제1광로 변환 수단; 제2렌즈 군; 및 제2광로 변환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제1광로 변환 수단은 상기 제1렌즈 군으로부터 상기 제2렌즈 군 사이의 광축 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1고정 반사 부재 및 제1가동 반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광로 변환 수단은 상기 제2렌즈 군으로부터 상면 사이의 광축 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고정 반사 부재 및 제2가동 반사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초점배율의 조정이 가능하면서 휴대 단말기에 탑재 가능한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렌즈가 일렬로 배치되는 침통식 광학계는 렌즈의 매수가 증가할수록 광학계의 전체 길이가 증가한다. 예를 들어, 5매 렌즈로 구성되는 촬상 광학계는 3매 렌즈로 구성되는 촬상 광학계에 비해 소형화가 어렵다. 때문에, 초점배율의 조정이 가능한 줌 카메라 모듈은 박형의 휴대 단말기에 탑재가 어렵다.
본 발명은 긴 초점거리를 가지면서도 박형화된 소형 단말기에 탑재 가능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은 물체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렌즈 군; 제1광로 변환 수단; 제2렌즈 군; 및 제2광로 변환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제1광로 변환 수단은 상기 제1렌즈 군으로부터 상기 제2렌즈 군 사이의 광축 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1고정 반사 부재 및 제1가동 반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광로 변환 수단은 상기 제2렌즈 군으로부터 상면 사이의 광축 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고정 반사 부재 및 제2가동 반사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초점배율의 조정이 가능하면서 휴대 단말기에 탑재 가능한 카메라 모듈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제1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1변배 위치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제2변배 위치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제1변배 위치에서 수차 곡선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제2변배 위치에서 수차 곡선이다.
도 5는 제2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1변배 위치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제2변배 위치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제1변배 위치에서 수차 곡선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제2변배 위치에서 수차 곡선이다.
도 9는 제3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1변배 위치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제2변배 위치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제1변배 위치에서 수차 곡선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제2변배 위치에서 수차 곡선이다.
도 13은 제4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1변배 위치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제2변배 위치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제1변배 위치에서 수차 곡선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제2변배 위치에서 수차 곡선이다.
도 17은 제5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1변배 위치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제2변배 위치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제1변배 위치에서 수차 곡선이다.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제2변배 위치에서 수차 곡선이다.
도 21은 제6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1변배 위치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제2변배 위치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23은 도 21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제1변배 위치에서 수차 곡선이다.
도 24는 도 22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제2변배 위치에서 수차 곡선이다.
도 25는 제7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1변배 위치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제2변배 위치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27은 도 25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제1변배 위치에서 수차 곡선이다.
도 28은 도 26에 도시된 촬상 광학계의 제2변배 위치에서 수차 곡선이다.
도 29 및 30은 제1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다른 형태이다.
도 31 내지 33은 제1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의 배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 함은 이들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제1렌즈는 물체(또는 피사체)와 가장 가까운 렌즈를 의미하고, 제5렌즈는 상면(또는 이미지 센서)과 가장 가까운 렌즈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렌즈의 곡률 반지름(Radius), 두께(Thickness), TTL1, TTL2, IMGHT(상면의 대각길이의 1/2), 초점거리의 단위는 모두 ㎜ 단위이다. 아울러, 렌즈의 두께, 렌즈 간의 간격, TTL1, TTL2은 렌즈의 광축을 기준으로 산출된 값이다. 아울러, 렌즈의 형상에 관한 설명에서 일면이 볼록하다 라는 설명은 해당 면의 광축 부분이 볼록하다는 의미이고, 일면이 오목하다 라는 설명은 해당 면의 광축 부분이 오목하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렌즈의 일면이 볼록한 형상이라고 설명되어도, 렌즈의 가장자리 부분은 오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렌즈의 일면이 오목한 형상이라고 설명되어도, 렌즈의 가장자리 부분은 볼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장착 가능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스마트폰, 노트북, PDA 등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장치에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적용범위가 전술된 전자장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화상통신용 모니터 등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최전방 렌즈로부터 상면까지의 광 경로를 굴곡시켜 카메라 모듈의 전체적인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다. 최전방 렌즈와 상면 사이에는 카메라 모듈의 길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광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최전방 렌즈로부터 상면까지의 직선거리(TLD)는 최전방 렌즈로부터 상면을 연결하는 광축 길이(TTL1, TTL2)보다 작을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제1렌즈 군, 제2렌즈 군, 제1광로 변환 수단, 제2광로 변환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카메라 모듈이 전술된 구성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리개(stop)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은 적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적외선 차단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은 광학계를 통해 입사된 피사체의 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즉, 촬상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은 렌즈와 렌즈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간격 유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은 광 경로를 굴곡(fold) 또는 굴절시키도록 구성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프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즘은 제1렌즈 군의 물체 측에 배치된다. 프리즘은 대체로 높은 굴절률을 갖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즘의 굴절률은 1.7 이상 2.0 미만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긴 초점거리 및 초점배율의 조정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제1렌즈 군과 제2렌즈 군 사이의 거리 및 제2렌즈 군과 상면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켜 초점배율을 조정할 수 있다. 제1렌즈 군과 제2렌즈 군 사이의 광 경로 및 제2렌즈 군과 상면 사이의 광 경로는 제1렌즈 군의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복수의 렌즈 군과 복수의 광로 변환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제1렌즈 군, 제2렌즈 군, 제1광로 변환 수단, 제2광로 변환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 군, 제1광로 변환 수단, 제2렌즈 군, 제2광로 변환 수단은 물체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광로 변환 수단은 제1렌즈 군과 제2렌즈 군 사이에 배치되고, 제2광로 변환 수단은 제2렌즈 군과 상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광로 변환 수단은 광 경로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광로 변환 수단은 제1렌즈 군과 제2렌즈 군 사이의 광축 거리를 가변시키고, 제2광로 변환 수단은 제2렌즈 군과 상면 사이의 광축 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다. 제1광로 변환 수단 및 제2광로 변환 수단은 반사경, 프리즘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광로 변환 수단은 제1고정 반사 부재와 제1가동 반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 반사 부재는 제1렌즈 군과 제2렌즈 군 사이에 배치되어 제1렌즈 군과 제2렌즈 군을 연결하는 광축을 굴곡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고정 반사 부재는 제1렌즈 군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제1렌즈 군의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1고정 반사 부재는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고정 반사 부재는 제1렌즈 군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제1가동 반사 부재로 반사시키는 제1고정 반사면과 제1가동 반사 부재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제2렌즈 군으로 반사시키는 제2고정 반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가동 반사 부재는 제1렌즈 군과 제2렌즈 군 사이의 광축 거리를 실질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가동 반사 부재는 제1고정 반사 부재와 가까워지도록 이동하거나 또는 제1고정 반사 부재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여 제1렌즈 군과 제2렌즈 군 사이의 광축 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다. 제1가동 반사 부재는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가동 반사 부재는 제1고정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빛을 후술하는 제2가동 반사면으로 반사시키는 제1가동 반사면과 제1가동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빛을 제2고정 반사면으로 반사시키는 제2가동 반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광로 변환 수단은 제2고정 반사 부재와 제2가동 반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고정 반사 부재는 제2렌즈 군과 상면 사이에 배치되어 제2렌즈 군과 상면을 연결하는 광축을 굴곡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고정 반사 부재는 제2렌즈 군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제2렌즈 군의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2고정 반사 부재는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고정 반사 부재는 제2렌즈 군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제2가동 반사 부재로 반사시키는 제3고정 반사면과 제2가동 반사 부재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상면으로 반사시키는 제4고정 반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2고정 반사 부재가 반드시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4고정 반사면은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제2가동 반사 부재는 제2렌즈 군과 상면 사이의 광축 거리를 실질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가동 반사 부재는 제2고정 반사 부재와 가까워지도록 이동하거나 또는 제2고정 반사 부재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여 제2렌즈 군과 상면 사이의 광축 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다. 제2가동 반사 부재는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가동 반사 부재는 제3고정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빛을 후술하는 제4가동 반사면으로 반사시키는 제3가동 반사면과 제3가동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빛을 제4고정 반사면 또는 상면으로 반사시키는 제4가동 반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 반사 부재와 제1가동 반사 부재 간의 거리는 제2고정 반사 부재와 제2가동 반사 부재 간의 거리와 소정의 상관관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고정 반사 부재와 제2가동 반사 부재 간의 거리가 축소되면, 제1고정 반사 부재와 제1가동 반사 부재 간의 거리는 증가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2고정 반사 부재와 제2가동 반사 부재 간의 거리가 증가하면, 제1고정 반사 부재와 제1가동 반사 부재 간의 거리는 축소될 수 있다.
제1렌즈 군은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은 굴절력을 갖는 제1렌즈 및 굴절력을 갖는 제2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 및 제2렌즈는 특유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는 물체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고, 제2렌즈는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제1렌즈 및 제2렌즈는 서로 다른 특성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가 정의 굴절력을 가지면, 제2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2렌즈 군은 제1렌즈 군과 마찬가지로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군은 굴절력을 갖는 제3렌즈, 굴절력을 갖는 제4렌즈, 굴절력을 갖는 제5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3렌즈 내지 제5렌즈는 특유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렌즈는 물체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고, 제4렌즈는 물체 측면이 볼록한 형상이고, 제5렌즈는 물체 측면이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제3렌즈 내지 제5렌즈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특성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렌즈는 제3렌즈 또는 제5렌즈와 다른 특성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5렌즈가 정의 굴절력을 가지면, 제4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광경로 변환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제1렌즈 군의 물체 측에 배치되는 프리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복수의 렌즈 군과 복수의 광로 변환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제1렌즈 군, 제2렌즈 군, 제1광로 변환 수단, 제2광로 변환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광로 변환 수단은 제1렌즈 군과 제2렌즈 군 사이에 배치되고, 제2광로 변환 수단은 제2렌즈 군과 상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광로 변환 수단은 렌즈 군의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광 경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광로 변환 수단은 제1렌즈 군의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광 경로를 형성하고, 제2광로 변환 수단은 제2렌즈 군의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광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광로 변환 수단은 광 경로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광로 변환 수단은 제1렌즈 군과 제2렌즈 군 사이의 광축 거리를 증가 또는 축소시키고, 제2광로 변환 수단은 제2렌즈 군과 상면 사이의 광축 거리를 증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광로 변환 수단에 의해 제1렌즈 군의 최전방 렌즈(제1렌즈)의 물체 측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가 가변될 수 있다. 제1렌즈의 물체 측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최대거리(TTL1)와 제1렌즈의 물체 측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최소거리(TTL2)는 소정의 관계식을 만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의 물체 측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최대거리(TTL1)와 제1렌즈의 물체 측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최소거리(TTL2) 간의 비(TTL1/TTL2)는 0.90 ~ 1.20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복수의 초점거리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을 구성하는 촬상 광학계는 광로 변환 수단의 위치에 따라 상대적으로 원거리의 촬상이 가능한 최대 초점거리(ft)와 상대적으로 근거리 촬상이 가능한 최소 초점거리(fw)를 가질 수 있다. 촬상 광학계의 최대 초점거리(ft)와 최소 초점거리(fw)는 소정의 관계식을 만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의 최대 초점거리(ft)와 최소 초점거리(fw) 간의 비(ft/fw)는 1.8 ~ 2.2일 수 있다.
촬상 광학계의 최대 초점거리(ft)는 제1렌즈의 물체 측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최소거리(TTL2)와 소정의 관계식을 만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의 물체 측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최소거리(TTL2)와 촬상 광학계의 최대 초점거리(ft) 간의 비(TTL2/ft)는 2.0 ~ 4.0일 수 있다. 촬상 광학계의 최대 초점거리(ft)는 상면의 높이(IMGHT)와 소정의 관계식을 만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의 최대 초점거리(ft)와 상면의 높이(IMGHT) 간의 비(ft/IMGHT)는 14 ~ 20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광경로 변환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제1렌즈 군의 물체 측에 배치되는 프리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카메라 모듈의 촬상 광학계를 설명한다.
촬상 광학계는 제1렌즈 군 및 제2렌즈 군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 군은 제1렌즈 및 제2렌즈를 포함하고, 제2렌즈 군은 제3렌즈 내지 제5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 내지 제5렌즈는 물체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는 물체와 가장 가깝게 배치되고, 제5렌즈는 상면과 가장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렌즈들의 배치순서는 렌즈를 통과하는 광축을 기준으로 정해진 것이므로 물리적인 위치와는 다를 수 있다.
제1렌즈는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1렌즈는 일면이 볼록하고 타면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는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제1렌즈는 비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의 물체 측면 및 상 측면은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 제1렌즈는 소정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의 굴절률은 1.55 이상 1.7 미만일 수 있다. 제1렌즈는 소정의 초점거리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의 초점거리는 38 mm 이상 300 mm 미만일 수 있다.
제2렌즈는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2렌즈는 일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예를 들어, 제2렌즈는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제2렌즈의 오목 형상이 상 측면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렌즈는 물체 측면 또는 물체 측면 및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제2렌즈는 비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의 물체 측면 및 상 측면은 비구면일 수 있다. 제2렌즈는 제1렌즈보다 작은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의 굴절률은 1.5 이상 1.6 미만일 수 있다. 제2렌즈는 소정의 초점거리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의 초점거리는 -40 mm 이상 -10 mm 미만일 수 있다.
제3렌즈는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렌즈는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3렌즈는 일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예를 들어, 제3렌즈는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제3렌즈는 비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렌즈의 물체 측면 및 상 측면은 비구면일 수 있다. 제3렌즈는 제1렌즈보다 작은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렌즈의 굴절률은 1.50 이상 1.58 미만일 수 있다. 제3렌즈는 소정의 초점거리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3렌즈의 초점거리는 300 mm 이상 5000 mm 미만이고,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3렌즈의 초점거리는 -4000 mm 이상 -100 mm 미만일 수 있다.
제4렌즈는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4렌즈는 일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예를 들어, 제4렌즈는 물체 측면이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제4렌즈는 비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렌즈의 물체 측면 및 상 측면은 비구면일 수 있다. 제4렌즈는 제3렌즈보다 큰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렌즈의 굴절률은 1.58 이상 1.70 미만일 수 있다. 제4렌즈는 소정의 초점거리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렌즈의 초점거리는 -40 mm 이상 -10 mm 미만일 수 있다.
제5렌즈는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5렌즈는 일면이 볼록한 형상이다. 예를 들어, 제5렌즈는 물체 측면이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제5렌즈는 비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렌즈의 물체 측면 및 상 측면은 비구면일 수 있다. 제5렌즈는 제4렌즈보다 작은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렌즈의 굴절률은 1.50 이상 1.58 미만일 수 있다. 제5렌즈는 소정의 초점거리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렌즈의 초점거리는 8.0 mm 이상 20 mm 미만일 수 있다.
제1렌즈 내지 제5렌즈는 1.0보다 큰 굴절률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내지 제5렌즈는 플라스틱 또는 유리 재질로 이루어진다. 제1렌즈 내지 제5렌즈는 전술한 바와 같이 비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 내지 제5렌즈의 비구면은 수학식 1로 표현될 수 있다. 참고로, 위에서는 제1렌즈 내지 제5렌즈가 모두 비구면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제1렌즈 내지 제5렌즈를 구면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c는 해당 렌즈의 곡률 반지름의 역수이고, K는 코닉 상수이고, r은 비구면 상의 임의의 점으로부터 광축까지의 거리이고, A ~ J는 비구면 상수이고, Z(또는 SAG)는 비구면 상의 임의의 점으로부터 해당 비구면의 정점까지의 광축 방향으로의 높이이다.
카메라 모듈 또는 카메라 모듈의 촬상 광학계는 소정의 수치조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 또는 카메라 모듈의 촬상 광학계는 하기 조건식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할 수 있다.
0.1 < ft/f1 < 1.2
-1.0 < ft/f3 < 1.0
-2.0 < ft/f4 < -0.7
1.0 < ft/f5 < 3.4
4.0 < TTL1/fw < 1.2
40 < TTL1/IMGHT < 50
7.0 < fw/IMGHT < 10
0.4 < TLD/TTL1 < 0.6
1.0 < TLD/fw < 2.0
상기 조건식에서 ft는 촬상 광학계의 최대 초점거리이고, fw는 촬상 광학계의 최소 초점거리이고, f1은 제1렌즈의 초점거리이고, f3은 제3렌즈의 초점거리이고, f4은 제4렌즈의 초점거리이고, f5는 제5렌즈의 초점거리이고, TTL1은 제1렌즈의 물체 측면으로부터 상면을 연결하는 광축 상의 최대거리이고, TTL2는 제1렌즈의 물체 측면으로부터 상면을 연결하는 광축 상의 최소거리이고, IMGHT는 상면의 높이이고, 최전방 렌즈로부터 상면까지의 직선거리(TLD)이다.
다음에서는 여러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제1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한다.
카메라 모듈(100)은 프리즘(P), 제1렌즈 군(G1), 제2렌즈 군(G2), 제1광로 변환 수단(M1), 제2광로 변환 수단(M2), 필터(IF), 이미지 센서(IP)를 포함한다.
프리즘(P)은 카메라 모듈(100)의 개구에 배치된다. 프리즘(P)은 카메라 모듈(100)의 일 측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의 경로를 카메라 모듈(100)의 길이 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체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경로(OP)는 프리즘(P)에 의해 제1광축(C1) 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다.
제1렌즈 군(G1)은 프리즘(P)의 상 측에 배치되고, 제1렌즈(110) 및 제2렌즈(120)를 포함한다. 제1렌즈(1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2렌즈(1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2렌즈 군(G2)은 제1렌즈 군(G1)의 상 측에 배치되고, 제3렌즈(130), 제4렌즈(140), 제5렌즈(150)를 포함한다. 제3렌즈(13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4렌즈(14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5렌즈(15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1광로 변환 수단(M1)은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 사이에 배치된다. 제1광로 변환 수단(M1)은 제1고정 반사 부재(FM1)와 제1가동 반사 부재(DM1)를 포함한다.
제1고정 반사 부재(FM1)는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 사이에 배치된다. 부연 설명하면, 제1고정 반사 부재(FM1)는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을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가상의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고정 반사 부재(FM1)는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고정 반사 부재(FM1)는 제1고정 반사면(FMS1)과 제2고정 반사면(FM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 반사면(FMS1)은 제2렌즈(120)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고정 반사면(FMS1)은 제1광축(C1)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1광축(C1)과 교차하는 제2광축(C2)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2고정 반사면(FMS2)은 제1가동 반사 부재(DM1)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제2렌즈 군(G2)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고정 반사면(FMS2)은 제4광축(C4)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4광축(C4)과 교차하는 제5광축(C5)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1가동 반사 부재(DM1)는 제1고정 반사 부재(FM1)의 일 측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1가동 반사 부재(DM1)는 제2광축(C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가동 반사 부재(DM1)는 제2광축(C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가동 반사 부재(DM1)는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제1고정 반사 부재(FM1)와 가까워지도록 이동하거나 또는 제1고정 반사 부재(FM1)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제1가동 반사 부재(DM1)는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가동 반사 부재(DM1)는 제1가동 반사면(DMS1)과 제2가동 반사면(DM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가동 반사면(DMS1)은 제2광축(C2)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3광축(C3) 방향으로 반사시키고, 제2가동 반사면(DMS2)은 제3광축(C3)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2고정 반사면(FMS2)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1가동 반사 부재(DM1)는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을 연결하는 광 경로(C2, C4)의 길이를 증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을 연결하는 광 경로(C2, C4)의 길이는 제1가동 반사 부재(DM1)가 제1고정 반사 부재(FM1)와 가까워짐에 따라 축소되고, 제1가동 반사 부재(DM1)가 제1고정 반사 부재(FM1)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증가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제1광로 변환 수단(M1)은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을 연결하는 광 경로를 우회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1광로 변환 수단(M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을 연결하는 광 경로의 길이를 증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제1광로 변환 수단(M1)을 통해 초점 및 초점배율을 조정할 수 있다.
제2광로 변환 수단(M2)은 제2렌즈 군(G2)과 이미지 센서(IP) 사이에 배치된다. 제2광로 변환 수단(M2)은 제2고정 반사 부재(FM2)와 제2가동 반사 부재(DM2)를 포함한다.
제2고정 반사 부재(FM2)는 제2렌즈 군(G2)과 이미지 센서(IP)를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가상의 선상에 배치된다. 제2고정 반사 부재(FM2)는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고정 반사 부재(FM2)는 제3고정 반사면(FMS3)과 제4고정 반사면(FMS4)을 포함할 수 있다. 제3고정 반사면(FMS3)은 제5렌즈(150)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고정 반사면(FMS3)은 제5광축(C5)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5광축(C5)과 교차하는 제6광축(C6)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4고정 반사면(FMS4)은 제2가동 반사 부재(DM2)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이미지 센서(IP)로 반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고정 반사면(FMS4)은 제8광축(C8)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8광축(C8)과 교차하는 제9광축(C9)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2가동 반사 부재(DM2)는 제2고정 반사 부재(FM2)의 일 측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2가동 반사 부재(DM2)는 제6광축(C6)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가동 반사 부재(DM2)는 제6광축(C6)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가동 반사 부재(DM2)는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제2고정 반사 부재(FM2)와 가까워지도록 이동하거나 또는 제2고정 반사 부재(FM2)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제2가동 반사 부재(DM2)는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가동 반사 부재(DM2)는 제3가동 반사면(DMS3)과 제4가동 반사면(DMS4)을 포함할 수 있다. 제3가동 반사면(DMS3)은 제6광축(C6)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7광축(C7) 방향으로 반사시키고, 제4가동 반사면(DMS4)은 제7광축(C7)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4고정 반사면(FMS4)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2가동 반사 부재(DM2)는 제2렌즈 군(G2)과 이미지 센서(IP)를 연결하는 광 경로(C6, C8)의 길이를 증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군(G2)과 이미지 센서(IP)를 연결하는 광 경로(C6, C8)의 길이는 제2가동 반사 부재(DM2)가 제2고정 반사 부재(FM2)와 가까워짐에 따라 축소되고, 제2가동 반사 부재(DM2)가 제2고정 반사 부재(FM2)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증가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제2광로 변환 수단(M2)은 제2렌즈 군(G2)과 이미지센서(IP)를 연결하는 광 경로를 우회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2광로 변환 수단(M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2렌즈 군(G1)과 이미지 센서(IP)를 연결하는 광 경로의 길이를 증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제2광로 변환 수단(M2)을 통해 초점 및 초점배율을 조정할 수 있다.
필터(IF)는 이미지 센서(IP)의 물체 측에 배치된다. 필터(IF)는 입사되는 광에 포함된 특정 파장의 빛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IF)는 적외선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IP)는 입사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이미지 센서(IP)는 다수의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IP)는 CCD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이미지 센서(IP)의 형태가 CCD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2가지 모드로 촬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0)은 중거리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상하는 제1모드와 원거리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상하는 제2모드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 모듈(100)는 피사체를 제1배율로 확대 촬상하는 제1모드와 피사체를 제2배율로 확대 촬상하는 제2모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카메라 모듈(100)의 촬상 형태가 2가지 모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0)은 제1모드에서 제2모드로 전환하는 특정단계 또는 제2모드에서 제1모드로 전환하는 특정단계에서 촬상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카메라 모듈(100)의 제1모드를 설명한다.
카메라 모듈(100)의 제1모드는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 간의 광 경로의 길이를 최대로 확장시킨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모드에서 카메라 모듈(100)은 제1고정 반사 부재(FM1)와 제1가동 반사 부재(DM1) 간의 거리를 증가시켜,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 간의 광 경로의 길이를 최대로 확장시킬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 모듈(100)은 제2고정 반사 부재(FM2)와 제2가동 반사 부재(DM2) 간의 거리를 축소시키면서 제1모드의 초점을 조정할 수 있다. 제1모드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중거리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상하거나 또는 제1배율로 피사체를 확대하여 촬상할 수 있다. 도 3은 제1모드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의 수차곡선이다.
다음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카메라 모듈(100)의 제2모드를 설명한다.
카메라 모듈(100)의 제2모드는 제2렌즈 군(G2)과 이미지 센서(IP) 간의 광 경로의 길이를 최대로 확장시킨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모드에서 카메라 모듈(100)은 제2고정 반사 부재(FM2)와 제2가동 반사 부재(DM2) 간의 거리를 증가시켜, 제2렌즈 군(G2)과 이미지 센서(IP) 간의 광 경로의 길이를 최대로 확장시킬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 모듈(100)은 제1고정 반사 부재(FM1)와 제1가동 반사 부재(DM1) 간의 거리를 축소시키면서 제2모드의 초점을 조정할 수 있다. 제2모드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원거리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상하거나 또는 제1배율보다 큰 제2배율로 피사체를 확대하여 촬상할 수 있다. 도 4는 제2모드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의 수차곡선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카메라 모듈(100)은 복수의 광로 변환 수단(M1, M2)을 통해 중거리 및 원거리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상하거나 또는 복수의 배율로 피사체를 확대 촬상할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 모듈(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100)의 내부에 굴곡된 광 경로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100)의 소형화를 가능케 할 수 있다.
참고로, 표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렌즈 특성을 나타낸 것이고, 표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비구면 값이다.
면번호 비고 곡률반지름 두께/거리
(제1모드)
두께/거리
(제2모드)
굴절률 아베수
S1 프리즘 Infinity 8.000 8.000 1.717 29.50
S2 Infinity 8.000 8.000 1.717 29.50
S3 Infinity 2.000 2.000
S4 제1렌즈 9.644 2.750 2.750 1.660 20.40
S5 9.124 2.850 2.850
S6 제2렌즈 50.052 1.950 1.950 1.560 37.30
S7 13.644 0.000 0.000
S8 Infinity 6.500 6.500
S9 Infinity 0.000 0.000
S10 Infinity 24.000 7.800
S11 Infinity 0.000 0.000
S12 Infinity 9.000 9.000
S13 Infinity 0.000 0.000
S14 Infinity 24.000 7.800
S15 Infinity 0.000 0.000
S16 Infinity 5.000 5.000
S17 제3렌즈 7.809 2.490 2.490 1.544 56.00
S18 6.701 0.594 0.594
S19 제4렌즈 10.963 0.650 0.650 1.615 25.90
S20 7.066 0.634 0.634
S21 제5렌즈 7.792 2.660 2.660 1.544 56.00
S22 87.106 5.000 5.000
S23 Infinity 0.000 0.000
S24 Infinity 11.000 17.806
S25 Infinity 0.000 0.000
S26 Infinity 8.000 8.000
S27 Infinity 0.000 0.000
S28 Infinity 11.000 17.806
S29 Infinity 5.000 5.000
S30 필터 Infinity 0.220 0.220 1.516 64.10
S31 Infinity 5.780 5.780
S32 상면 Infinity 0.000 0.000
면번호 S4 S5 S6 S7 S17
K 0 0 0 0 0
A 1.936E-04 2.395E-04 -1.585E-04 -5.702E-05 -1.991E-05
B -3.825E-06 -5.154E-06 1.938E-05 1.580E-05 -4.125E-07
C -3.606E-08 -3.495E-07 -1.657E-07 5.173E-07 7.712E-08
D -1.181E-09 -1.497E-09 -9.518E-10 -1.740E-08 1.524E-09
E 6.075E-11 2.577E-10 -5.755E-10 -9.078E-10 -4.200E-11
F 0 0 0 0 0
G 0 0 0 0 0
H 0 0 0 0 0
J 0 0 0 0 0
면번호 S18 S19 S20 S21 S22
K 0 0 0 0 0
A 2.987E-05 6.119E-05 -3.885E-05 -4.183E-05 3.922E-05
B -4.357E-07 -1.788E-06 1.749E-06 -8.568E-08 -5.176E-06
C -1.198E-07 -1.461E-07 1.526E-07 -8.824E-08 -1.083E-07
D -2.190E-09 4.480E-09 1.478E-09 -1.256E-08 -2.251E-09
E 9.345E-10 5.281E-10 3.127E-10 3.599E-10 -4.245E-10
F 0 0 0 0 0
G 0 0 0 0 0
H 0 0 0 0 0
J 0 0 0 0 0
도 5 내지 8을 참조하여 제2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한다.
카메라 모듈(200)은 프리즘(P), 제1렌즈 군(G1), 제2렌즈 군(G2), 제1광로 변환 수단(M1), 제2광로 변환 수단(M2), 필터(IF), 이미지 센서(IP)를 포함한다.
프리즘(P)은 카메라 모듈(200)의 개구에 배치된다. 프리즘(P)은 카메라 모듈(200)의 일 측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의 경로를 카메라 모듈(200)의 길이 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체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경로(OP)는 프리즘(P)에 의해 제1광축(C1) 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다.
제1렌즈 군(G1)은 프리즘(P)의 상 측에 배치되고, 제1렌즈(210) 및 제2렌즈(220)를 포함한다. 제1렌즈(2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2렌즈(2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2렌즈 군(G2)은 제1렌즈 군(G1)의 상 측에 배치되고, 제3렌즈(230), 제4렌즈(240), 제5렌즈(250)를 포함한다. 제3렌즈(23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4렌즈(24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5렌즈(25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1광로 변환 수단(M1)은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 사이에 배치된다. 제1광로 변환 수단(M1)은 제1고정 반사 부재(FM1)와 제1가동 반사 부재(DM1)를 포함한다.
제1고정 반사 부재(FM1)는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 사이에 배치된다. 부연 설명하면, 제1고정 반사 부재(FM1)는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을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가상의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고정 반사 부재(FM1)는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고정 반사 부재(FM1)는 제1고정 반사면(FMS1)과 제2고정 반사면(FM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 반사면(FMS1)은 제2렌즈(220)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고정 반사면(FMS1)은 제1광축(C1)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1광축(C1)과 교차하는 제2광축(C2)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2고정 반사면(FMS2)은 제1가동 반사 부재(DM1)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제2렌즈 군(G2)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고정 반사면(FMS2)은 제4광축(C4)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4광축(C4)과 교차하는 제5광축(C5)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1가동 반사 부재(DM1)는 제1고정 반사 부재(FM1)의 일 측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1가동 반사 부재(DM1)는 제2광축(C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가동 반사 부재(DM1)는 제2광축(C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가동 반사 부재(DM1)는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제1고정 반사 부재(FM1)와 가까워지도록 이동하거나 또는 제1고정 반사 부재(FM1)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제1가동 반사 부재(DM1)는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가동 반사 부재(DM1)는 제1가동 반사면(DMS1)과 제2가동 반사면(DM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가동 반사면(DMS1)은 제2광축(C2)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3광축(C3) 방향으로 반사시키고, 제2가동 반사면(DMS2)은 제3광축(C3)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2고정 반사면(FMS2)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1가동 반사 부재(DM1)는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을 연결하는 광 경로(C2, C4)의 길이를 증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을 연결하는 광 경로(C2, C4)의 길이는 제1가동 반사 부재(DM1)가 제1고정 반사 부재(FM1)와 가까워짐에 따라 축소되고, 제1가동 반사 부재(DM1)가 제1고정 반사 부재(FM1)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증가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제1광로 변환 수단(M1)은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을 연결하는 광 경로를 우회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1광로 변환 수단(M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을 연결하는 광 경로의 길이를 증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200)은 제1광로 변환 수단(M1)을 통해 초점 및 초점배율을 조정할 수 있다.
제2광로 변환 수단(M2)은 제2렌즈 군(G2)과 이미지 센서(IP) 사이에 배치된다. 제2광로 변환 수단(M2)은 제2고정 반사 부재(FM2)와 제2가동 반사 부재(DM2)를 포함한다.
제2고정 반사 부재(FM2)는 제2렌즈 군(G2)과 이미지 센서(IP)를 사이에 배치된다. 제2고정 반사 부재(FM2)는 하나의 반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고정 반사 부재(FM2)는 제3고정 반사면(FMS3)을 포함할 수 있다. 제3고정 반사면(FMS3)은 제5렌즈(250)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고정 반사면(FMS3)은 제5광축(C5)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5광축(C5)과 교차하는 제6광축(C6)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2가동 반사 부재(DM2)는 제2고정 반사 부재(FM2)의 일 측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2가동 반사 부재(DM2)는 제6광축(C6)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가동 반사 부재(DM2)는 제6광축(C6)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가동 반사 부재(DM2)는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제2고정 반사 부재(FM2)와 가까워지도록 이동하거나 또는 제2고정 반사 부재(FM2)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제2가동 반사 부재(DM2)는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가동 반사 부재(DM2)는 제3가동 반사면(DMS3)과 제4가동 반사면(DMS4)을 포함할 수 있다. 제3가동 반사면(DMS3)은 제6광축(C6)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7광축(C7) 방향으로 반사시키고, 제4가동 반사면(DMS4)은 제7광축(C7)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이미지 센서(IP)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2가동 반사 부재(DM2)는 제2렌즈 군(G2)과 이미지 센서(IP)를 연결하는 광 경로(C6, C8)의 길이를 증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군(G2)과 이미지 센서(IP)를 연결하는 광 경로(C6, C8)의 길이는 제2가동 반사 부재(DM2)가 제2고정 반사 부재(FM2)와 가까워짐에 따라 축소되고, 제2가동 반사 부재(DM2)가 제2고정 반사 부재(FM2)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증가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제2광로 변환 수단(M2)은 제2렌즈 군(G2)과 이미지센서(IP)를 연결하는 광 경로를 우회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2광로 변환 수단(M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2렌즈 군(G1)과 이미지 센서(IP)를 연결하는 광 경로의 길이를 증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200)은 제2광로 변환 수단(M2)을 통해 초점 및 초점배율을 조정할 수 있다.
필터(IF)는 이미지 센서(IP)의 물체 측에 배치된다. 필터(IF)는 입사되는 광에 포함된 특정 파장의 빛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IF)는 적외선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IP)는 입사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이미지 센서(IP)는 다수의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IP)는 CCD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이미지 센서(IP)의 형태가 CCD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200)은 2가지 모드로 촬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200)은 중거리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상하는 제1모드와 원거리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상하는 제2모드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 모듈(200)는 피사체를 제1배율로 확대 촬상하는 제1모드와 피사체를 제2배율로 확대 촬상하는 제2모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카메라 모듈(200)의 촬상 형태가 2가지 모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200)은 제1모드에서 제2모드로 전환하는 특정단계 또는 제2모드에서 제1모드로 전환하는 특정단계에서 촬상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카메라 모듈(200)의 제1모드를 설명한다.
카메라 모듈(200)의 제1모드는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 간의 광 경로의 길이를 최대로 확장시킨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모드에서 카메라 모듈(200)은 제1고정 반사 부재(FM1)와 제1가동 반사 부재(DM1) 간의 거리를 증가시켜,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 간의 광 경로의 길이를 최대로 확장시킬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 모듈(200)은 제2고정 반사 부재(FM2)와 제2가동 반사 부재(DM2) 간의 거리를 축소시키면서 제1모드의 초점을 조정할 수 있다. 제1모드에 따른 카메라 모듈(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중거리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상하거나 또는 제1배율로 피사체를 확대하여 촬상할 수 있다. 도 7은 제1모드에 따른 카메라 모듈(200)의 수차곡선이다.
다음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카메라 모듈(200)의 제2모드를 설명한다.
카메라 모듈(200)의 제2모드는 제2렌즈 군(G2)과 이미지 센서(IP) 간의 광 경로의 길이를 최대로 확장시킨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모드에서 카메라 모듈(200)은 제2고정 반사 부재(FM2)와 제2가동 반사 부재(DM2) 간의 거리를 증가시켜, 제2렌즈 군(G2)과 이미지 센서(IP) 간의 광 경로의 길이를 최대로 확장시킬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 모듈(200)은 제1고정 반사 부재(FM1)와 제1가동 반사 부재(DM1) 간의 거리를 축소시키면서 제2모드의 초점을 조정할 수 있다. 제2모드에 따른 카메라 모듈(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원거리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상하거나 또는 제1배율보다 큰 제2배율로 피사체를 확대하여 촬상할 수 있다. 도 8은 제2모드에 따른 카메라 모듈(200)의 수차곡선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카메라 모듈(200)은 복수의 광로 변환 수단(M1, M2)을 통해 중거리 및 원거리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상하거나 또는 복수의 배율로 피사체를 확대 촬상할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 모듈(20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200)의 내부에 굴곡된 광 경로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200)의 소형화를 가능케 할 수 있다.
참고로, 표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렌즈 특성을 나타낸 것이고, 표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비구면 값이다
면번호 비고 곡률반지름 두께/거리
(제1모드)
두께/거리
(제2모드)
굴절률 아베수
S1 프리즘 Infinity 7.000 7.000 1.717 29.50
S2 Infinity 7.000 7.000 1.717 29.50
S3 Infinity 3.098 3.098
S4 제1렌즈 8.511 2.750 2.750 1.660 20.40
S5 11.625 1.699 1.699
S6 제2렌즈 398.852 1.950 1.950 1.560 37.30
S7 9.833 0.000 0.000
S8 Infinity 6.500 6.500
S9 Infinity 0.000 0.000
S10 Infinity 24.000 7.800
S11 Infinity 0.000 0.000
S12 Infinity 9.000 9.000
S13 Infinity 0.000 0.000
S14 Infinity 24.000 7.800
S15 Infinity 0.000 0.000
S16 Infinity 5.000 5.000
S17 제3렌즈 8.035 2.354 2.354 1.544 56.00
S18 7.173 0.621 0.621
S19 제4렌즈 12.865 0.650 0.650 1.615 25.90
S20 7.200 0.550 0.550
S21 제5렌즈 7.926 2.660 2.660 1.544 56.00
S22 1152.879 5.000 5.000
S23 Infinity 0.000 0.000
S24 Infinity 11.200 17.806
S25 Infinity 0.000 0.000
S26 Infinity 8.000 8.000
S27 Infinity 0.000 0.000
S28 Infinity 11.200 17.806
S29 Infinity 1.000 1.000
S30 필터 Infinity 0.220 0.220 1.516 64.10
S31 Infinity 11.170 11.170
S32 상면 Infinity 0.000 0.000
면번호 S4 S5 S6 S7 S17
K 0 0 0 0 0
A 2.904E-05 9.588E-06 3.489E-05 4.662E-05 -1.285E-06
B 1.097E-06 1.263E-06 3.219E-06 4.470E-06 7.228E-07
C 5.008E-09 8.143E-08 2.422E-07 -3.851E-08 8.502E-09
D -1.217E-09 1.148E-08 1.256E-08 1.063E-08 1.666E-09
E 7.642E-11 1.651E-10 4.182E-21 -2.181E-21 -3.497E-11
F 0 0 0 0 0
G 0 0 0 0 0
H 0 0 0 0 0
J 0 0 0 0 0
면번호 S18 S19 S20 S21 S22
K 0 0 0 0 0
A 2.317E-06 -6.933E-06 6.541E-06 8.337E-07 2.329E-06
B -1.563E-07 -7.322E-07 6.551E-07 -2.789E-07 -1.095E-07
C 4.164E-08 -6.000E-08 5.819E-08 -6.752E-08 -1.772E-07
D -4.703E-10 7.489E-09 -2.413E-09 -1.823E-08 -1.235E-08
E 1.114E-20 -2.706E-21 1.304E-20 -2.614E-20 1.415E-20
F 0 0 0 0 0
G 0 0 0 0 0
H 0 0 0 0 0
J 0 0 0 0 0
도 9 내지 12를 참조하여 제3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한다.
카메라 모듈(300)은 프리즘(P), 제1렌즈 군(G1), 제2렌즈 군(G2), 제1광로 변환 수단(M1), 제2광로 변환 수단(M2), 필터(IF), 이미지 센서(IP)를 포함한다.
프리즘(P)은 카메라 모듈(300)의 개구에 배치된다. 프리즘(P)은 카메라 모듈(300)의 일 측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의 경로를 카메라 모듈(300)의 길이 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체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경로(OP)는 프리즘(P)에 의해 제1광축(C1) 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다.
제1렌즈 군(G1)은 프리즘(P)의 상 측에 배치되고, 제1렌즈(310) 및 제2렌즈(320)를 포함한다. 제1렌즈(3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2렌즈(3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2렌즈 군(G2)은 제1렌즈 군(G1)의 상 측에 배치되고, 제3렌즈(330), 제4렌즈(340), 제5렌즈(350)를 포함한다. 제3렌즈(33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4렌즈(34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5렌즈(35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1광로 변환 수단(M1)은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 사이에 배치된다. 제1광로 변환 수단(M1)은 제1고정 반사 부재(FM1)와 제1가동 반사 부재(DM1)를 포함한다.
제1고정 반사 부재(FM1)는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 사이에 배치된다. 부연 설명하면, 제1고정 반사 부재(FM1)는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을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가상의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고정 반사 부재(FM1)는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고정 반사 부재(FM1)는 제1고정 반사면(FMS1)과 제2고정 반사면(FM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 반사면(FMS1)은 제2렌즈(320)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고정 반사면(FMS1)은 제1광축(C1)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1광축(C1)과 교차하는 제2광축(C2)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2고정 반사면(FMS2)은 제1가동 반사 부재(DM1)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제2렌즈 군(G2)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고정 반사면(FMS2)은 제4광축(C4)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4광축(C4)과 교차하는 제5광축(C5)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1가동 반사 부재(DM1)는 제1고정 반사 부재(FM1)의 일 측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1가동 반사 부재(DM1)는 제2광축(C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가동 반사 부재(DM1)는 제2광축(C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가동 반사 부재(DM1)는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제1고정 반사 부재(FM1)와 가까워지도록 이동하거나 또는 제1고정 반사 부재(FM1)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제1가동 반사 부재(DM1)는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가동 반사 부재(DM1)는 제1가동 반사면(DMS1)과 제2가동 반사면(DM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가동 반사면(DMS1)은 제2광축(C2)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3광축(C3) 방향으로 반사시키고, 제2가동 반사면(DMS2)은 제3광축(C3)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2고정 반사면(FMS2)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1가동 반사 부재(DM1)는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을 연결하는 광 경로(C2, C4)의 길이를 증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을 연결하는 광 경로(C2, C4)의 길이는 제1가동 반사 부재(DM1)가 제1고정 반사 부재(FM1)와 가까워짐에 따라 축소되고, 제1가동 반사 부재(DM1)가 제1고정 반사 부재(FM1)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증가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제1광로 변환 수단(M1)은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을 연결하는 광 경로를 우회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1광로 변환 수단(M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을 연결하는 광 경로의 길이를 증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300)은 제1광로 변환 수단(M1)을 통해 초점 및 초점배율을 조정할 수 있다.
제2광로 변환 수단(M2)은 제2렌즈 군(G2)과 이미지 센서(IP) 사이에 배치된다. 제2광로 변환 수단(M2)은 제2고정 반사 부재(FM2)와 제2가동 반사 부재(DM2)를 포함한다.
제2고정 반사 부재(FM2)는 제2렌즈 군(G2)과 이미지 센서(IP)를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가상의 선상에 배치된다. 제2고정 반사 부재(FM2)는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고정 반사 부재(FM2)는 제3고정 반사면(FMS3)과 제4고정 반사면(FMS4)을 포함할 수 있다. 제3고정 반사면(FMS3)은 제5렌즈(350)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고정 반사면(FMS3)은 제5광축(C5)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5광축(C5)과 교차하는 제6광축(C6)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4고정 반사면(FMS4)은 제2가동 반사 부재(DM2)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이미지 센서(IP)로 반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고정 반사면(FMS4)은 제8광축(C8)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8광축(C8)과 교차하는 제9광축(C9)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2가동 반사 부재(DM2)는 제2고정 반사 부재(FM2)의 일 측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2가동 반사 부재(DM2)는 제6광축(C6)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가동 반사 부재(DM2)는 제6광축(C6)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가동 반사 부재(DM2)는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제2고정 반사 부재(FM2)와 가까워지도록 이동하거나 또는 제2고정 반사 부재(FM2)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제2가동 반사 부재(DM2)는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가동 반사 부재(DM2)는 제3가동 반사면(DMS3)과 제4가동 반사면(DMS4)을 포함할 수 있다. 제3가동 반사면(DMS3)은 제6광축(C6)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7광축(C7) 방향으로 반사시키고, 제4가동 반사면(DMS4)은 제7광축(C7)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4고정 반사면(FMS4)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2가동 반사 부재(DM2)는 제2렌즈 군(G2)과 이미지 센서(IP)를 연결하는 광 경로(C6, C8)의 길이를 증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군(G2)과 이미지 센서(IP)를 연결하는 광 경로(C6, C8)의 길이는 제2가동 반사 부재(DM2)가 제2고정 반사 부재(FM2)와 가까워짐에 따라 축소되고, 제2가동 반사 부재(DM2)가 제2고정 반사 부재(FM2)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증가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제2광로 변환 수단(M2)은 제2렌즈 군(G2)과 이미지센서(IP)를 연결하는 광 경로를 우회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2광로 변환 수단(M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2렌즈 군(G1)과 이미지 센서(IP)를 연결하는 광 경로의 길이를 증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300)은 제2광로 변환 수단(M2)을 통해 초점 및 초점배율을 조정할 수 있다.
필터(IF)는 이미지 센서(IP)의 물체 측에 배치된다. 필터(IF)는 입사되는 광에 포함된 특정 파장의 빛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IF)는 적외선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IP)는 입사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이미지 센서(IP)는 다수의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IP)는 CCD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이미지 센서(IP)의 형태가 CCD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300)은 2가지 모드로 촬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300)은 중거리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상하는 제1모드와 원거리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상하는 제2모드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 모듈(300)는 피사체를 제1배율로 확대 촬상하는 제1모드와 피사체를 제2배율로 확대 촬상하는 제2모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카메라 모듈(300)의 촬상 형태가 2가지 모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300)은 제1모드에서 제2모드로 전환하는 특정단계 또는 제2모드에서 제1모드로 전환하는 특정단계에서 촬상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도 9를 참조하여 카메라 모듈(300)의 제1모드를 설명한다.
카메라 모듈(300)의 제1모드는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 간의 광 경로의 길이를 최대로 확장시킨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모드에서 카메라 모듈(300)은 제1고정 반사 부재(FM1)와 제1가동 반사 부재(DM1) 간의 거리를 증가시켜,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 간의 광 경로의 길이를 최대로 확장시킬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 모듈(300)은 제2고정 반사 부재(FM2)와 제2가동 반사 부재(DM2) 간의 거리를 축소시키면서 제1모드의 초점을 조정할 수 있다. 제1모드에 따른 카메라 모듈(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중거리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상하거나 또는 제1배율로 피사체를 확대하여 촬상할 수 있다. 도 11은 제1모드에 따른 카메라 모듈(300)의 수차곡선이다.
다음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카메라 모듈(300)의 제2모드를 설명한다.
카메라 모듈(300)의 제2모드는 제2렌즈 군(G2)과 이미지 센서(IP) 간의 광 경로의 길이를 최대로 확장시킨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모드에서 카메라 모듈(300)은 제2고정 반사 부재(FM2)와 제2가동 반사 부재(DM2) 간의 거리를 증가시켜, 제2렌즈 군(G2)과 이미지 센서(IP) 간의 광 경로의 길이를 최대로 확장시킬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 모듈(300)은 제1고정 반사 부재(FM1)와 제1가동 반사 부재(DM1) 간의 거리를 축소시키면서 제2모드의 초점을 조정할 수 있다. 제2모드에 따른 카메라 모듈(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원거리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상하거나 또는 제1배율보다 큰 제2배율로 피사체를 확대하여 촬상할 수 있다. 도 12는 제2모드에 따른 카메라 모듈(300)의 수차곡선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카메라 모듈(300)은 복수의 광로 변환 수단(M1, M2)을 통해 중거리 및 원거리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상하거나 또는 복수의 배율로 피사체를 확대 촬상할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 모듈(300)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300)의 내부에 굴곡된 광 경로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300)의 소형화를 가능케 할 수 있다.
참고로, 표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렌즈 특성을 나타낸 것이고, 표 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비구면 값이다. 참고로, 본 실시 예에 따른 제1렌즈 내지 제5렌즈는 모두 구면으로 형성된다.
면번호 비고 곡률반지름 두께/거리
(제1모드)
두께/거리
(제2모드)
굴절률 아베수
S1 프리즘 Infinity 7.000 7.000 1.717 29.50
S2 Infinity 7.000 7.000 1.717 29.50
S3 Infinity 3.098 3.098
S4 제1렌즈 14.350 2.739 2.739 1.660 20.40
S5 17.580 1.524 1.524
S6 제2렌즈 -59.424 0.550 0.550 1.560 37.30
S7 21.131 0.000 0.000
S8 Infinity 6.500 6.500
S9 Infinity 0.000 0.000
S10 Infinity 24.000 7.800
S11 Infinity 0.000 0.000
S12 Infinity 9.000 9.000
S13 Infinity 0.000 0.000
S14 Infinity 24.000 7.800
S15 Infinity 0.000 0.000
S16 Infinity 5.000 5.000
S17 제3렌즈 7.445 2.922 2.922 1.544 56.00
S18 6.434 0.566 0.566
S19 제4렌즈 10.302 0.592 0.592 1.615 25.90
S20 6.578 0.604 0.604
S21 제5렌즈 7.343 2.660 2.660 1.544 56.00
S22 52.129 5.000 5.000
S23 Infinity 0.000 0.000
S24 Infinity 10.800 17.806
S25 Infinity 0.000 0.000
S26 Infinity 8.000 8.000
S27 Infinity 0.000 0.000
S28 Infinity 10.800 17.806
S29 Infinity 5.000 5.000
S30 필터 Infinity 0.220 0.220 1.516 64.10
S31 Infinity 5.746 5.746
S32 상면 Infinity 0.000 0.000
면번호 S4 S5 S6 S7 S17
K 0 0 0 0 0
A 0 0 0 0 0
B 0 0 0 0 0
C 0 0 0 0 0
D 0 0 0 0 0
E 0 0 0 0 0
F 0 0 0 0 0
G 0 0 0 0 0
H 0 0 0 0 0
J 0 0 0 0 0
면번호 S18 S19 S20 S21 S22
K 0 0 0 0 0
A 0 0 0 0 0
B 0 0 0 0 0
C 0 0 0 0 0
D 0 0 0 0 0
E 0 0 0 0 0
F 0 0 0 0 0
G 0 0 0 0 0
H 0 0 0 0 0
J 0 0 0 0 0
도 13 내지 16을 참조하여 제4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한다.
카메라 모듈(400)은 프리즘(P), 제1렌즈 군(G1), 제2렌즈 군(G2), 제1광로 변환 수단(M1), 제2광로 변환 수단(M2), 필터(IF), 이미지 센서(IP)를 포함한다.
프리즘(P)은 카메라 모듈(400)의 개구에 배치된다. 프리즘(P)은 카메라 모듈(400)의 일 측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의 경로를 카메라 모듈(400)의 길이 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체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경로(OP)는 프리즘(P)에 의해 제1광축(C1) 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다.
제1렌즈 군(G1)은 프리즘(P)의 상 측에 배치되고, 제1렌즈(410) 및 제2렌즈(420)를 포함한다. 제1렌즈(4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2렌즈(4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2렌즈 군(G2)은 제1렌즈 군(G1)의 상 측에 배치되고, 제3렌즈(430), 제4렌즈(440), 제5렌즈(450)를 포함한다. 제3렌즈(43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4렌즈(44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5렌즈(45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1광로 변환 수단(M1)은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 사이에 배치된다. 제1광로 변환 수단(M1)은 제1고정 반사 부재(FM1)와 제1가동 반사 부재(DM1)를 포함한다.
제1고정 반사 부재(FM1)는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 사이에 배치된다. 부연 설명하면, 제1고정 반사 부재(FM1)는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을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가상의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고정 반사 부재(FM1)는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고정 반사 부재(FM1)는 제1고정 반사면(FMS1)과 제2고정 반사면(FM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 반사면(FMS1)은 제2렌즈(420)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고정 반사면(FMS1)은 제1광축(C1)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1광축(C1)과 교차하는 제2광축(C2)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2고정 반사면(FMS2)은 제1가동 반사 부재(DM1)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제2렌즈 군(G2)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고정 반사면(FMS2)은 제4광축(C4)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4광축(C4)과 교차하는 제5광축(C5)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1가동 반사 부재(DM1)는 제1고정 반사 부재(FM1)의 일 측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1가동 반사 부재(DM1)는 제2광축(C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가동 반사 부재(DM1)는 제2광축(C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가동 반사 부재(DM1)는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제1고정 반사 부재(FM1)와 가까워지도록 이동하거나 또는 제1고정 반사 부재(FM1)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제1가동 반사 부재(DM1)는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가동 반사 부재(DM1)는 제1가동 반사면(DMS1)과 제2가동 반사면(DM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가동 반사면(DMS1)은 제2광축(C2)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3광축(C3) 방향으로 반사시키고, 제2가동 반사면(DMS2)은 제3광축(C3)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2고정 반사면(FMS2)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1가동 반사 부재(DM1)는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을 연결하는 광 경로(C2, C4)의 길이를 증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을 연결하는 광 경로(C2, C4)의 길이는 제1가동 반사 부재(DM1)가 제1고정 반사 부재(FM1)와 가까워짐에 따라 축소되고, 제1가동 반사 부재(DM1)가 제1고정 반사 부재(FM1)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증가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제1광로 변환 수단(M1)은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을 연결하는 광 경로를 우회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1광로 변환 수단(M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을 연결하는 광 경로의 길이를 증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400)은 제1광로 변환 수단(M1)을 통해 초점 및 초점배율을 조정할 수 있다.
제2광로 변환 수단(M2)은 제2렌즈 군(G2)과 이미지 센서(IP) 사이에 배치된다. 제2광로 변환 수단(M2)은 제2고정 반사 부재(FM2)와 제2가동 반사 부재(DM2)를 포함한다.
제2고정 반사 부재(FM2)는 제2렌즈 군(G2)과 이미지 센서(IP)를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가상의 선상에 배치된다. 제2고정 반사 부재(FM2)는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고정 반사 부재(FM2)는 제3고정 반사면(FMS3)과 제4고정 반사면(FMS4)을 포함할 수 있다. 제3고정 반사면(FMS3)은 제5렌즈(450)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고정 반사면(FMS3)은 제5광축(C5)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5광축(C5)과 교차하는 제6광축(C6)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4고정 반사면(FMS4)은 제2가동 반사 부재(DM2)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이미지 센서(IP)로 반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고정 반사면(FMS4)은 제8광축(C8)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8광축(C8)과 교차하는 제9광축(C9)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2가동 반사 부재(DM2)는 제2고정 반사 부재(FM2)의 일 측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2가동 반사 부재(DM2)는 제6광축(C6)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가동 반사 부재(DM2)는 제6광축(C6)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가동 반사 부재(DM2)는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제2고정 반사 부재(FM2)와 가까워지도록 이동하거나 또는 제2고정 반사 부재(FM2)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제2가동 반사 부재(DM2)는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가동 반사 부재(DM2)는 제3가동 반사면(DMS3)과 제4가동 반사면(DMS4)을 포함할 수 있다. 제3가동 반사면(DMS3)은 제6광축(C6)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7광축(C7) 방향으로 반사시키고, 제4가동 반사면(DMS4)은 제7광축(C7)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4고정 반사면(FMS4)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2가동 반사 부재(DM2)는 제2렌즈 군(G2)과 이미지 센서(IP)를 연결하는 광 경로(C6, C8)의 길이를 증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군(G2)과 이미지 센서(IP)를 연결하는 광 경로(C6, C8)의 길이는 제2가동 반사 부재(DM2)가 제2고정 반사 부재(FM2)와 가까워짐에 따라 축소되고, 제2가동 반사 부재(DM2)가 제2고정 반사 부재(FM2)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증가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제2광로 변환 수단(M2)은 제2렌즈 군(G2)과 이미지센서(IP)를 연결하는 광 경로를 우회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2광로 변환 수단(M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2렌즈 군(G1)과 이미지 센서(IP)를 연결하는 광 경로의 길이를 증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400)은 제2광로 변환 수단(M2)을 통해 초점 및 초점배율을 조정할 수 있다.
필터(IF)는 이미지 센서(IP)의 물체 측에 배치된다. 필터(IF)는 입사되는 광에 포함된 특정 파장의 빛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IF)는 적외선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IP)는 입사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이미지 센서(IP)는 다수의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IP)는 CCD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이미지 센서(IP)의 형태가 CCD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400)은 2가지 모드로 촬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400)은 중거리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상하는 제1모드와 원거리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상하는 제2모드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 모듈(400)는 피사체를 제1배율로 확대 촬상하는 제1모드와 피사체를 제2배율로 확대 촬상하는 제2모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카메라 모듈(400)의 촬상 형태가 2가지 모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400)은 제1모드에서 제2모드로 전환하는 특정단계 또는 제2모드에서 제1모드로 전환하는 특정단계에서 촬상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도 13을 참조하여 카메라 모듈(400)의 제1모드를 설명한다.
카메라 모듈(400)의 제1모드는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 간의 광 경로의 길이를 최대로 확장시킨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모드에서 카메라 모듈(400)은 제1고정 반사 부재(FM1)와 제1가동 반사 부재(DM1) 간의 거리를 증가시켜,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 간의 광 경로의 길이를 최대로 확장시킬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 모듈(400)은 제2고정 반사 부재(FM2)와 제2가동 반사 부재(DM2) 간의 거리를 축소시키면서 제1모드의 초점을 조정할 수 있다. 제1모드에 따른 카메라 모듈(4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중거리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상하거나 또는 제1배율로 피사체를 확대하여 촬상할 수 있다. 도 15는 제1모드에 따른 카메라 모듈(400)의 수차곡선이다.
다음에서는 도 14를 참조하여 카메라 모듈(400)의 제2모드를 설명한다.
카메라 모듈(400)의 제2모드는 제2렌즈 군(G2)과 이미지 센서(IP) 간의 광 경로의 길이를 최대로 확장시킨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모드에서 카메라 모듈(400)은 제2고정 반사 부재(FM2)와 제2가동 반사 부재(DM2) 간의 거리를 증가시켜, 제2렌즈 군(G2)과 이미지 센서(IP) 간의 광 경로의 길이를 최대로 확장시킬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 모듈(400)은 제1고정 반사 부재(FM1)와 제1가동 반사 부재(DM1) 간의 거리를 축소시키면서 제2모드의 초점을 조정할 수 있다. 제2모드에 따른 카메라 모듈(4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원거리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상하거나 또는 제1배율보다 큰 제2배율로 피사체를 확대하여 촬상할 수 있다. 도 16는 제2모드에 따른 카메라 모듈(400)의 수차곡선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카메라 모듈(400)은 복수의 광로 변환 수단(M1, M2)을 통해 중거리 및 원거리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상하거나 또는 복수의 배율로 피사체를 확대 촬상할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 모듈(400)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400)의 내부에 굴곡된 광 경로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400)의 소형화를 가능케 할 수 있다.
참고로, 표 7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렌즈 특성을 나타낸 것이고, 표 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비구면 값이다. 참고로, 본 실시 예에 따른 제1렌즈 내지 제5렌즈는 모두 구면으로 형성된다.
면번호 비고 곡률반지름 두께/거리
(제1모드)
두께/거리
(제2모드)
굴절률 아베수
S1 프리즘 Infinity 6.000 6.000 1.717 29.50
S2 Infinity 6.000 6.000 1.717 29.50
S3 Infinity 3.098 3.098
S4 제1렌즈 14.611 2.750 2.750 1.660 20.40
S5 17.861 1.837 1.837
S6 제2렌즈 56.742 0.650 0.650 1.560 37.30
S7 21.744 0.000 0.000
S8 Infinity 6.500 6.500
S9 Infinity 0.000 0.000
S10 Infinity 24.000 7.800
S11 Infinity 0.000 0.000
S12 Infinity 9.000 9.000
S13 Infinity 0.000 0.000
S14 Infinity 24.000 7.800
S15 Infinity 0.000 0.000
S16 Infinity 5.000 5.000
S17 제3렌즈 7.600 2.973 2.973 1.544 56.00
S18 6.508 0.566 0.566
S19 제4렌즈 10.532 0.650 0.650 1.615 25.90
S20 6.694 0.550 0.550
S21 제5렌즈 7.349 2.660 2.660 1.544 56.00
S22 55.937 5.000 5.000
S23 Infinity 0.000 0.000
S24 Infinity 11.000 17.800
S25 Infinity 0.000 0.000
S26 Infinity 8.000 8.000
S27 Infinity 0.000 0.000
S28 Infinity 11.000 17.800
S29 Infinity 5.000 5.000
S30 필터 Infinity 0.220 0.220 1.516 64.10
S31 Infinity 5.746 5.746
S32 상면 Infinity 0.000 0.000
면번호 S4 S5 S6 S7 S17
K 0 0 0 0 0
A 0 0 0 0 0
B 0 0 0 0 0
C 0 0 0 0 0
D 0 0 0 0 0
E 0 0 0 0 0
F 0 0 0 0 0
G 0 0 0 0 0
H 0 0 0 0 0
J 0 0 0 0 0
면번호 S18 S19 S20 S21 S22
K 0 0 0 0 0
A 0 0 0 0 0
B 0 0 0 0 0
C 0 0 0 0 0
D 0 0 0 0 0
E 0 0 0 0 0
F 0 0 0 0 0
G 0 0 0 0 0
H 0 0 0 0 0
J 0 0 0 0 0
도 17 내지 20을 참조하여 제5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한다.
카메라 모듈(500)은 프리즘(P), 제1렌즈 군(G1), 제2렌즈 군(G2), 제1광로 변환 수단(M1), 제2광로 변환 수단(M2), 필터(IF), 이미지 센서(IP)를 포함한다.
프리즘(P)은 카메라 모듈(500)의 개구에 배치된다. 프리즘(P)은 카메라 모듈(500)의 일 측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의 경로를 카메라 모듈(500)의 길이 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체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경로(OP)는 프리즘(P)에 의해 제1광축(C1) 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다.
제1렌즈 군(G1)은 프리즘(P)의 상 측에 배치되고, 제1렌즈(510) 및 제2렌즈(520)를 포함한다. 제1렌즈(5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2렌즈(5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2렌즈 군(G2)은 제1렌즈 군(G1)의 상 측에 배치되고, 제3렌즈(530), 제4렌즈(540), 제5렌즈(550)를 포함한다. 제3렌즈(53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4렌즈(54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5렌즈(55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1광로 변환 수단(M1)은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 사이에 배치된다. 제1광로 변환 수단(M1)은 제1고정 반사 부재(FM1)와 제1가동 반사 부재(DM1)를 포함한다.
제1고정 반사 부재(FM1)는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 사이에 배치된다. 부연 설명하면, 제1고정 반사 부재(FM1)는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을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가상의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고정 반사 부재(FM1)는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고정 반사 부재(FM1)는 제1고정 반사면(FMS1)과 제2고정 반사면(FM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 반사면(FMS1)은 제2렌즈(520)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고정 반사면(FMS1)은 제1광축(C1)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1광축(C1)과 교차하는 제2광축(C2)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2고정 반사면(FMS2)은 제1가동 반사 부재(DM1)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제2렌즈 군(G2)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고정 반사면(FMS2)은 제4광축(C4)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4광축(C4)과 교차하는 제5광축(C5)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1가동 반사 부재(DM1)는 제1고정 반사 부재(FM1)의 일 측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1가동 반사 부재(DM1)는 제2광축(C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가동 반사 부재(DM1)는 제2광축(C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가동 반사 부재(DM1)는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제1고정 반사 부재(FM1)와 가까워지도록 이동하거나 또는 제1고정 반사 부재(FM1)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제1가동 반사 부재(DM1)는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가동 반사 부재(DM1)는 제1가동 반사면(DMS1)과 제2가동 반사면(DM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가동 반사면(DMS1)은 제2광축(C2)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3광축(C3) 방향으로 반사시키고, 제2가동 반사면(DMS2)은 제3광축(C3)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2고정 반사면(FMS2)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1가동 반사 부재(DM1)는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을 연결하는 광 경로(C2, C4)의 길이를 증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을 연결하는 광 경로(C2, C4)의 길이는 제1가동 반사 부재(DM1)가 제1고정 반사 부재(FM1)와 가까워짐에 따라 축소되고, 제1가동 반사 부재(DM1)가 제1고정 반사 부재(FM1)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증가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제1광로 변환 수단(M1)은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을 연결하는 광 경로를 우회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1광로 변환 수단(M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을 연결하는 광 경로의 길이를 증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500)은 제1광로 변환 수단(M1)을 통해 초점 및 초점배율을 조정할 수 있다.
제2광로 변환 수단(M2)은 제2렌즈 군(G2)과 이미지 센서(IP) 사이에 배치된다. 제2광로 변환 수단(M2)은 제2고정 반사 부재(FM2)와 제2가동 반사 부재(DM2)를 포함한다.
제2고정 반사 부재(FM2)는 제2렌즈 군(G2)과 이미지 센서(IP)를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가상의 선상에 배치된다. 제2고정 반사 부재(FM2)는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고정 반사 부재(FM2)는 제3고정 반사면(FMS3)과 제4고정 반사면(FMS4)을 포함할 수 있다. 제3고정 반사면(FMS3)은 제5렌즈(550)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고정 반사면(FMS3)은 제5광축(C5)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5광축(C5)과 교차하는 제6광축(C6)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4고정 반사면(FMS4)은 제2가동 반사 부재(DM2)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이미지 센서(IP)로 반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고정 반사면(FMS4)은 제8광축(C8)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8광축(C8)과 교차하는 제9광축(C9)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2가동 반사 부재(DM2)는 제2고정 반사 부재(FM2)의 일 측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2가동 반사 부재(DM2)는 제6광축(C6)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가동 반사 부재(DM2)는 제6광축(C6)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가동 반사 부재(DM2)는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제2고정 반사 부재(FM2)와 가까워지도록 이동하거나 또는 제2고정 반사 부재(FM2)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제2가동 반사 부재(DM2)는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가동 반사 부재(DM2)는 제3가동 반사면(DMS3)과 제4가동 반사면(DMS4)을 포함할 수 있다. 제3가동 반사면(DMS3)은 제6광축(C6)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7광축(C7) 방향으로 반사시키고, 제4가동 반사면(DMS4)은 제7광축(C7)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4고정 반사면(FMS4)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2가동 반사 부재(DM2)는 제2렌즈 군(G2)과 이미지 센서(IP)를 연결하는 광 경로(C6, C8)의 길이를 증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군(G2)과 이미지 센서(IP)를 연결하는 광 경로(C6, C8)의 길이는 제2가동 반사 부재(DM2)가 제2고정 반사 부재(FM2)와 가까워짐에 따라 축소되고, 제2가동 반사 부재(DM2)가 제2고정 반사 부재(FM2)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증가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제2광로 변환 수단(M2)은 제2렌즈 군(G2)과 이미지센서(IP)를 연결하는 광 경로를 우회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2광로 변환 수단(M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2렌즈 군(G1)과 이미지 센서(IP)를 연결하는 광 경로의 길이를 증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500)은 제2광로 변환 수단(M2)을 통해 초점 및 초점배율을 조정할 수 있다.
필터(IF)는 이미지 센서(IP)의 물체 측에 배치된다. 필터(IF)는 입사되는 광에 포함된 특정 파장의 빛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IF)는 적외선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IP)는 입사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이미지 센서(IP)는 다수의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IP)는 CCD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이미지 센서(IP)의 형태가 CCD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500)은 2가지 모드로 촬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500)은 중거리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상하는 제1모드와 원거리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상하는 제2모드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 모듈(500)는 피사체를 제1배율로 확대 촬상하는 제1모드와 피사체를 제2배율로 확대 촬상하는 제2모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카메라 모듈(500)의 촬상 형태가 2가지 모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500)은 제1모드에서 제2모드로 전환하는 특정단계 또는 제2모드에서 제1모드로 전환하는 특정단계에서 촬상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도 17을 참조하여 카메라 모듈(500)의 제1모드를 설명한다.
카메라 모듈(500)의 제1모드는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 간의 광 경로의 길이를 최대로 확장시킨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모드에서 카메라 모듈(500)은 제1고정 반사 부재(FM1)와 제1가동 반사 부재(DM1) 간의 거리를 증가시켜,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 간의 광 경로의 길이를 최대로 확장시킬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 모듈(500)은 제2고정 반사 부재(FM2)와 제2가동 반사 부재(DM2) 간의 거리를 축소시키면서 제1모드의 초점을 조정할 수 있다. 제1모드에 따른 카메라 모듈(5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중거리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상하거나 또는 제1배율로 피사체를 확대하여 촬상할 수 있다. 도 19는 제1모드에 따른 카메라 모듈(500)의 수차곡선이다.
다음에서는 도 18을 참조하여 카메라 모듈(500)의 제2모드를 설명한다.
카메라 모듈(500)의 제2모드는 제2렌즈 군(G2)과 이미지 센서(IP) 간의 광 경로의 길이를 최대로 확장시킨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모드에서 카메라 모듈(500)은 제2고정 반사 부재(FM2)와 제2가동 반사 부재(DM2) 간의 거리를 증가시켜, 제2렌즈 군(G2)과 이미지 센서(IP) 간의 광 경로의 길이를 최대로 확장시킬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 모듈(500)은 제1고정 반사 부재(FM1)와 제1가동 반사 부재(DM1) 간의 거리를 축소시키면서 제2모드의 초점을 조정할 수 있다. 제2모드에 따른 카메라 모듈(5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원거리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상하거나 또는 제1배율보다 큰 제2배율로 피사체를 확대하여 촬상할 수 있다. 도 20은 제2모드에 따른 카메라 모듈(500)의 수차곡선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카메라 모듈(500)은 복수의 광로 변환 수단(M1, M2)을 통해 중거리 및 원거리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상하거나 또는 복수의 배율로 피사체를 확대 촬상할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 모듈(500)은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500)의 내부에 굴곡된 광 경로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500)의 소형화를 가능케 할 수 있다.
참고로, 표 9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렌즈 특성을 나타낸 것이고, 표 10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비구면 값이다.
면번호 비고 곡률반지름 두께/거리
(제1모드)
두께/거리
(제2모드)
굴절률 아베수
S1 프리즘 Infinity 4.000 4.000 1.717 29.50
S2 Infinity 4.000 4.000 1.717 29.50
S3 Infinity 1.942 1.942
S4 제1렌즈 8.000 2.602 2.602 1.574 37.40
S5 9.123 0.850 0.850
S6 제2렌즈 -581.950 0.650 0.650 1.544 56.00
S7 9.093 0.000 0.000
S8 Infinity 6.500 6.500
S9 Infinity 0.000 0.000
S10 Infinity 14.000 6.800
S11 Infinity 0.000 0.000
S12 Infinity 9.000 9.000
S13 Infinity 0.000 0.000
S14 Infinity 14.000 6.800
S15 Infinity 0.000 0.000
S16 Infinity 5.000 5.000
S17 제3렌즈 5.003 1.732 1.732 1.544 56.00
S18 4.499 0.487 0.487
S19 제4렌즈 7.599 1.293 1.293 1.608 27.40
S20 4.387 0.320 0.320
S21 제5렌즈 4.827 2.274 2.274 1.544 56.00
S22 26.925 5.000 5.000
S23 Infinity 0.000 0.000
S24 Infinity 6.500 17.806
S25 Infinity 0.000 0.000
S26 Infinity 8.000 8.000
S27 Infinity 0.000 0.000
S28 Infinity 6.500 17.806
S29 Infinity 5.000 5.000
S30 필터 Infinity 0.220 0.220 1.516 64.10
S31 Infinity 5.156 5.156
S32 상면 Infinity 0.000 0.000
면번호 S4 S5 S6 S7 S17
K 0 0 0 0 0
A 6.251E-05 1.523E-05 9.862E-05 2.454E-04 2.170E-05
B 8.872E-06 1.394E-05 2.337E-05 5.826E-05 7.395E-06
C 3.271E-07 8.202E-07 6.330E-06 -2.079E-06 1.216E-07
D -1.050E-07 6.717E-07 7.526E-07 5.121E-07 1.076E-07
E 6.416E-09 1.614E-08 7.126E-19 -3.718E-19 -9.652E-09
F 0 0 0 0 0
G 0 0 0 0 0
H 0 0 0 0 0
J 0 0 0 0 0
면번호 S18 S19 S20 S21 S22
K 0 0 0 0 0
A -2.420E-05 -7.384E-06 8.626E-06 2.806E-05 1.113E-05
B -2.521E-06 -7.931E-06 4.340E-06 2.420E-06 3.297E-07
C 1.113E-06 -1.801E-06 1.206E-06 -7.959E-07 -3.734E-06
D -5.741E-08 4.854E-07 -2.183E-07 -1.095E-06 -5.708E-07
E 1.891E-18 -4.592E-19 2.215E-18 -4.439E-18 2.403E-18
F 0 0 0 0 0
G 0 0 0 0 0
H 0 0 0 0 0
J 0 0 0 0 0
도 21 내지 24를 참조하여 제6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한다.
카메라 모듈(600)은 프리즘(P), 제1렌즈 군(G1), 제2렌즈 군(G2), 제1광로 변환 수단(M1), 제2광로 변환 수단(M2), 필터(IF), 이미지 센서(IP)를 포함한다.
프리즘(P)은 카메라 모듈(600)의 개구에 배치된다. 프리즘(P)은 카메라 모듈(600)의 일 측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의 경로를 카메라 모듈(600)의 길이 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체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경로(OP)는 프리즘(P)에 의해 제1광축(C1) 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다.
제1렌즈 군(G1)은 프리즘(P)의 상 측에 배치되고, 제1렌즈(610) 및 제2렌즈(620)를 포함한다. 제1렌즈(6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2렌즈(6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2렌즈 군(G2)은 제1렌즈 군(G1)의 상 측에 배치되고, 제3렌즈(630), 제4렌즈(640), 제5렌즈(650)를 포함한다. 제3렌즈(63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4렌즈(64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5렌즈(65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1광로 변환 수단(M1)은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 사이에 배치된다. 제1광로 변환 수단(M1)은 제1고정 반사 부재(FM1)와 제1가동 반사 부재(DM1)를 포함한다.
제1고정 반사 부재(FM1)는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 사이에 배치된다. 부연 설명하면, 제1고정 반사 부재(FM1)는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을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가상의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고정 반사 부재(FM1)는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고정 반사 부재(FM1)는 제1고정 반사면(FMS1)과 제2고정 반사면(FM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 반사면(FMS1)은 제2렌즈(620)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고정 반사면(FMS1)은 제1광축(C1)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1광축(C1)과 교차하는 제2광축(C2)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2고정 반사면(FMS2)은 제1가동 반사 부재(DM1)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제2렌즈 군(G2)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고정 반사면(FMS2)은 제4광축(C4)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4광축(C4)과 교차하는 제5광축(C5)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1가동 반사 부재(DM1)는 제1고정 반사 부재(FM1)의 일 측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1가동 반사 부재(DM1)는 제2광축(C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가동 반사 부재(DM1)는 제2광축(C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가동 반사 부재(DM1)는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제1고정 반사 부재(FM1)와 가까워지도록 이동하거나 또는 제1고정 반사 부재(FM1)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제1가동 반사 부재(DM1)는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가동 반사 부재(DM1)는 제1가동 반사면(DMS1)과 제2가동 반사면(DM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가동 반사면(DMS1)은 제2광축(C2)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3광축(C3) 방향으로 반사시키고, 제2가동 반사면(DMS2)은 제3광축(C3)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2고정 반사면(FMS2)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1가동 반사 부재(DM1)는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을 연결하는 광 경로(C2, C4)의 길이를 증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을 연결하는 광 경로(C2, C4)의 길이는 제1가동 반사 부재(DM1)가 제1고정 반사 부재(FM1)와 가까워짐에 따라 축소되고, 제1가동 반사 부재(DM1)가 제1고정 반사 부재(FM1)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증가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제1광로 변환 수단(M1)은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을 연결하는 광 경로를 우회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1광로 변환 수단(M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을 연결하는 광 경로의 길이를 증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600)은 제1광로 변환 수단(M1)을 통해 초점 및 초점배율을 조정할 수 있다.
제2광로 변환 수단(M2)은 제2렌즈 군(G2)과 이미지 센서(IP) 사이에 배치된다. 제2광로 변환 수단(M2)은 제2고정 반사 부재(FM2)와 제2가동 반사 부재(DM2)를 포함한다.
제2고정 반사 부재(FM2)는 제2렌즈 군(G2)과 이미지 센서(IP)를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가상의 선상에 배치된다. 제2고정 반사 부재(FM2)는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고정 반사 부재(FM2)는 제3고정 반사면(FMS3)과 제4고정 반사면(FMS4)을 포함할 수 있다. 제3고정 반사면(FMS3)은 제5렌즈(650)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고정 반사면(FMS3)은 제5광축(C5)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5광축(C5)과 교차하는 제6광축(C6)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4고정 반사면(FMS4)은 제2가동 반사 부재(DM2)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이미지 센서(IP)로 반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고정 반사면(FMS4)은 제8광축(C8)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8광축(C8)과 교차하는 제9광축(C9)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2가동 반사 부재(DM2)는 제2고정 반사 부재(FM2)의 일 측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2가동 반사 부재(DM2)는 제6광축(C6)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가동 반사 부재(DM2)는 제6광축(C6)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가동 반사 부재(DM2)는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제2고정 반사 부재(FM2)와 가까워지도록 이동하거나 또는 제2고정 반사 부재(FM2)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제2가동 반사 부재(DM2)는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가동 반사 부재(DM2)는 제3가동 반사면(DMS3)과 제4가동 반사면(DMS4)을 포함할 수 있다. 제3가동 반사면(DMS3)은 제6광축(C6)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7광축(C7) 방향으로 반사시키고, 제4가동 반사면(DMS4)은 제7광축(C7)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4고정 반사면(FMS4)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2가동 반사 부재(DM2)는 제2렌즈 군(G2)과 이미지 센서(IP)를 연결하는 광 경로(C6, C8)의 길이를 증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군(G2)과 이미지 센서(IP)를 연결하는 광 경로(C6, C8)의 길이는 제2가동 반사 부재(DM2)가 제2고정 반사 부재(FM2)와 가까워짐에 따라 축소되고, 제2가동 반사 부재(DM2)가 제2고정 반사 부재(FM2)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증가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제2광로 변환 수단(M2)은 제2렌즈 군(G2)과 이미지센서(IP)를 연결하는 광 경로를 우회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2광로 변환 수단(M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2렌즈 군(G1)과 이미지 센서(IP)를 연결하는 광 경로의 길이를 증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600)은 제2광로 변환 수단(M2)을 통해 초점 및 초점배율을 조정할 수 있다.
필터(IF)는 이미지 센서(IP)의 물체 측에 배치된다. 필터(IF)는 입사되는 광에 포함된 특정 파장의 빛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IF)는 적외선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IP)는 입사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이미지 센서(IP)는 다수의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IP)는 CCD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이미지 센서(IP)의 형태가 CCD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600)은 2가지 모드로 촬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600)은 중거리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상하는 제1모드와 원거리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상하는 제2모드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 모듈(600)는 피사체를 제1배율로 확대 촬상하는 제1모드와 피사체를 제2배율로 확대 촬상하는 제2모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카메라 모듈(600)의 촬상 형태가 2가지 모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600)은 제1모드에서 제2모드로 전환하는 특정단계 또는 제2모드에서 제1모드로 전환하는 특정단계에서 촬상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도 21을 참조하여 카메라 모듈(600)의 제1모드를 설명한다.
카메라 모듈(600)의 제1모드는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 간의 광 경로의 길이를 최대로 확장시킨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모드에서 카메라 모듈(600)은 제1고정 반사 부재(FM1)와 제1가동 반사 부재(DM1) 간의 거리를 증가시켜,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 간의 광 경로의 길이를 최대로 확장시킬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 모듈(600)은 제2고정 반사 부재(FM2)와 제2가동 반사 부재(DM2) 간의 거리를 축소시키면서 제1모드의 초점을 조정할 수 있다. 제1모드에 따른 카메라 모듈(6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중거리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상하거나 또는 제1배율로 피사체를 확대하여 촬상할 수 있다. 도 23은 제1모드에 따른 카메라 모듈(600)의 수차곡선이다.
다음에서는 도 22를 참조하여 카메라 모듈(600)의 제2모드를 설명한다.
카메라 모듈(600)의 제2모드는 제2렌즈 군(G2)과 이미지 센서(IP) 간의 광 경로의 길이를 최대로 확장시킨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모드에서 카메라 모듈(600)은 제2고정 반사 부재(FM2)와 제2가동 반사 부재(DM2) 간의 거리를 증가시켜, 제2렌즈 군(G2)과 이미지 센서(IP) 간의 광 경로의 길이를 최대로 확장시킬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 모듈(600)은 제1고정 반사 부재(FM1)와 제1가동 반사 부재(DM1) 간의 거리를 축소시키면서 제2모드의 초점을 조정할 수 있다. 제2모드에 따른 카메라 모듈(6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원거리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상하거나 또는 제1배율보다 큰 제2배율로 피사체를 확대하여 촬상할 수 있다. 도 24은 제2모드에 따른 카메라 모듈(600)의 수차곡선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카메라 모듈(600)은 복수의 광로 변환 수단(M1, M2)을 통해 중거리 및 원거리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상하거나 또는 복수의 배율로 피사체를 확대 촬상할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 모듈(600)은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600)의 내부에 굴곡된 광 경로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600)의 소형화를 가능케 할 수 있다.
참고로, 표 1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렌즈 특성을 나타낸 것이고, 표 1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비구면 값이다.
면번호 비고 곡률반지름 두께/거리
(제1모드)
두께/거리
(제2모드)
굴절률 아베수
S1 프리즘 Infinity 5.000 5.000 1.717 29.50
S2 Infinity 5.000 5.000 1.717 29.50
S3 Infinity 1.942 1.942
S4 제1렌즈 8.398 2.750 2.750 1.567 40.50
S5 11.709 0.916 0.916
S6 제2렌즈 -41.072 0.650 0.650 1.544 56.00
S7 10.862 0.000 0.000
S8 Infinity 6.500 6.500
S9 Infinity 0.000 0.000
S10 Infinity 18.000 6.800
S11 Infinity 0.000 0.000
S12 Infinity 9.000 9.000
S13 Infinity 0.000 0.000
S14 Infinity 18.000 6.800
S15 Infinity 0.000 0.000
S16 Infinity 5.000 5.000
S17 제3렌즈 5.632 1.613 1.613 1.544 56.00
S18 5.771 0.602 0.602
S19 제4렌즈 12.495 0.400 0.400 1.596 30.60
S20 5.868 0.320 0.320
S21 제5렌즈 6.831 1.128 1.128 1.544 56.00
S22 957.353 5.000 5.000
S23 Infinity 0.000 0.000
S24 Infinity 9.000 13.500
S25 Infinity 0.000 0.000
S26 Infinity 8.000 8.000
S27 Infinity 0.000 0.000
S28 Infinity 9.000 13.500
S29 Infinity 5.000 5.000
S30 필터 Infinity 0.220 0.220 1.516 64.10
S31 Infinity 2.310 2.310
S32 상면 Infinity 0.000 0.000
면번호 S4 S5 S6 S7 S17
K 0 0 0 0 0
A -1.771E-04 -4.247E-04 -7.951E-05 -1.201E-05 6.462E-05
B -5.529E-07 -1.707E-05 -1.557E-05 3.572E-05 7.652E-06
C 2.574E-07 -4.071E-07 1.388E-06 -3.017E-06 1.010E-06
D -2.661E-08 2.432E-07 1.713E-07 7.409E-08 4.006E-08
E 1.220E-09 5.731E-09 7.268E-19 -3.877E-19 -7.125E-09
F 0 0 0 0 0
G 0 0 0 0 0
H 0 0 0 0 0
J 0 0 0 0 0
면번호 S18 S19 S20 S21 S22
K 0 0 0 0 0
A -2.621E-05 -4.111E-05 2.819E-05 4.340E-05 -2.599E-06
B -3.890E-07 -1.253E-05 4.940E-06 9.279E-06 -1.192E-05
C 7.219E-07 -3.197E-06 1.758E-06 -4.833E-07 -1.223E-06
D -7.307E-08 2.794E-07 -3.498E-07 -8.217E-07 -5.376E-07
E 1.888E-18 -4.590E-19 2.213E-18 -4.440E-18 2.402E-18
F 0 0 0 0 0
G 0 0 0 0 0
H 0 0 0 0 0
J 0 0 0 0 0
도 25 내지 28을 참조하여 제7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한다.
카메라 모듈(700)은 프리즘(P), 제1렌즈 군(G1), 제2렌즈 군(G2), 제1광로 변환 수단(M1), 제2광로 변환 수단(M2), 필터(IF), 이미지 센서(IP)를 포함한다.
프리즘(P)은 카메라 모듈(700)의 개구에 배치된다. 프리즘(P)은 카메라 모듈(700)의 일 측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의 경로를 카메라 모듈(700)의 길이 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체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경로(OP)는 프리즘(P)에 의해 제1광축(C1) 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다.
제1렌즈 군(G1)은 프리즘(P)의 상 측에 배치되고, 제1렌즈(710) 및 제2렌즈(720)를 포함한다. 제1렌즈(7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2렌즈(7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오목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2렌즈 군(G2)은 제1렌즈 군(G1)의 상 측에 배치되고, 제3렌즈(730), 제4렌즈(740), 제5렌즈(750)를 포함한다. 제3렌즈(73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4렌즈(74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5렌즈(75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 측면이 볼록하고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이다.
제1광로 변환 수단(M1)은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 사이에 배치된다. 제1광로 변환 수단(M1)은 제1고정 반사 부재(FM1)와 제1가동 반사 부재(DM1)를 포함한다.
제1고정 반사 부재(FM1)는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 사이에 배치된다. 부연 설명하면, 제1고정 반사 부재(FM1)는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을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가상의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고정 반사 부재(FM1)는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고정 반사 부재(FM1)는 제1고정 반사면(FMS1)과 제2고정 반사면(FM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 반사면(FMS1)은 제2렌즈(720)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고정 반사면(FMS1)은 제1광축(C1)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1광축(C1)과 교차하는 제2광축(C2)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2고정 반사면(FMS2)은 제1가동 반사 부재(DM1)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제2렌즈 군(G2)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고정 반사면(FMS2)은 제4광축(C4)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4광축(C4)과 교차하는 제5광축(C5)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1가동 반사 부재(DM1)는 제1고정 반사 부재(FM1)의 일 측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1가동 반사 부재(DM1)는 제2광축(C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가동 반사 부재(DM1)는 제2광축(C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가동 반사 부재(DM1)는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제1고정 반사 부재(FM1)와 가까워지도록 이동하거나 또는 제1고정 반사 부재(FM1)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제1가동 반사 부재(DM1)는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가동 반사 부재(DM1)는 제1가동 반사면(DMS1)과 제2가동 반사면(DM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가동 반사면(DMS1)은 제2광축(C2)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3광축(C3) 방향으로 반사시키고, 제2가동 반사면(DMS2)은 제3광축(C3)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2고정 반사면(FMS2)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1가동 반사 부재(DM1)는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을 연결하는 광 경로(C2, C4)의 길이를 증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을 연결하는 광 경로(C2, C4)의 길이는 제1가동 반사 부재(DM1)가 제1고정 반사 부재(FM1)와 가까워짐에 따라 축소되고, 제1가동 반사 부재(DM1)가 제1고정 반사 부재(FM1)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증가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제1광로 변환 수단(M1)은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을 연결하는 광 경로를 우회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1광로 변환 수단(M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을 연결하는 광 경로의 길이를 증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700)은 제1광로 변환 수단(M1)을 통해 초점 및 초점배율을 조정할 수 있다.
제2광로 변환 수단(M2)은 제2렌즈 군(G2)과 이미지 센서(IP) 사이에 배치된다. 제2광로 변환 수단(M2)은 제2고정 반사 부재(FM2)와 제2가동 반사 부재(DM2)를 포함한다.
제2고정 반사 부재(FM2)는 제2렌즈 군(G2)과 이미지 센서(IP)를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가상의 선상에 배치된다. 제2고정 반사 부재(FM2)는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고정 반사 부재(FM2)는 제3고정 반사면(FMS3)과 제4고정 반사면(FMS4)을 포함할 수 있다. 제3고정 반사면(FMS3)은 제5렌즈(750)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고정 반사면(FMS3)은 제5광축(C5)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5광축(C5)과 교차하는 제6광축(C6)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4고정 반사면(FMS4)은 제2가동 반사 부재(DM2)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이미지 센서(IP)로 반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고정 반사면(FMS4)은 제8광축(C8)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8광축(C8)과 교차하는 제9광축(C9)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2가동 반사 부재(DM2)는 제2고정 반사 부재(FM2)의 일 측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2가동 반사 부재(DM2)는 제6광축(C6)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가동 반사 부재(DM2)는 제6광축(C6)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가동 반사 부재(DM2)는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제2고정 반사 부재(FM2)와 가까워지도록 이동하거나 또는 제2고정 반사 부재(FM2)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제2가동 반사 부재(DM2)는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가동 반사 부재(DM2)는 제3가동 반사면(DMS3)과 제4가동 반사면(DMS4)을 포함할 수 있다. 제3가동 반사면(DMS3)은 제6광축(C6)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7광축(C7) 방향으로 반사시키고, 제4가동 반사면(DMS4)은 제7광축(C7)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4고정 반사면(FMS4)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2가동 반사 부재(DM2)는 제2렌즈 군(G2)과 이미지 센서(IP)를 연결하는 광 경로(C6, C8)의 길이를 증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군(G2)과 이미지 센서(IP)를 연결하는 광 경로(C6, C8)의 길이는 제2가동 반사 부재(DM2)가 제2고정 반사 부재(FM2)와 가까워짐에 따라 축소되고, 제2가동 반사 부재(DM2)가 제2고정 반사 부재(FM2)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증가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제2광로 변환 수단(M2)은 제2렌즈 군(G2)과 이미지센서(IP)를 연결하는 광 경로를 우회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2광로 변환 수단(M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2렌즈 군(G1)과 이미지 센서(IP)를 연결하는 광 경로의 길이를 증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700)은 제2광로 변환 수단(M2)을 통해 초점 및 초점배율을 조정할 수 있다.
필터(IF)는 이미지 센서(IP)의 물체 측에 배치된다. 필터(IF)는 입사되는 광에 포함된 특정 파장의 빛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IF)는 적외선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IP)는 입사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이미지 센서(IP)는 다수의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IP)는 CCD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이미지 센서(IP)의 형태가 CCD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700)은 2가지 모드로 촬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700)은 중거리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상하는 제1모드와 원거리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상하는 제2모드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 모듈(700)는 피사체를 제1배율로 확대 촬상하는 제1모드와 피사체를 제2배율로 확대 촬상하는 제2모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카메라 모듈(700)의 촬상 형태가 2가지 모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700)은 제1모드에서 제2모드로 전환하는 특정단계 또는 제2모드에서 제1모드로 전환하는 특정단계에서 촬상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도 25를 참조하여 카메라 모듈(700)의 제1모드를 설명한다.
카메라 모듈(700)의 제1모드는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 간의 광 경로의 길이를 최대로 확장시킨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모드에서 카메라 모듈(700)은 제1고정 반사 부재(FM1)와 제1가동 반사 부재(DM1) 간의 거리를 증가시켜,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 간의 광 경로의 길이를 최대로 확장시킬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 모듈(700)은 제2고정 반사 부재(FM2)와 제2가동 반사 부재(DM2) 간의 거리를 축소시키면서 제1모드의 초점을 조정할 수 있다. 제1모드에 따른 카메라 모듈(7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중거리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상하거나 또는 제1배율로 피사체를 확대하여 촬상할 수 있다. 도 27은 제1모드에 따른 카메라 모듈(700)의 수차곡선이다.
다음에서는 도 26을 참조하여 카메라 모듈(700)의 제2모드를 설명한다.
카메라 모듈(700)의 제2모드는 제2렌즈 군(G2)과 이미지 센서(IP) 간의 광 경로의 길이를 최대로 확장시킨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모드에서 카메라 모듈(700)은 제2고정 반사 부재(FM2)와 제2가동 반사 부재(DM2) 간의 거리를 증가시켜, 제2렌즈 군(G2)과 이미지 센서(IP) 간의 광 경로의 길이를 최대로 확장시킬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 모듈(700)은 제1고정 반사 부재(FM1)와 제1가동 반사 부재(DM1) 간의 거리를 축소시키면서 제2모드의 초점을 조정할 수 있다. 제2모드에 따른 카메라 모듈(7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원거리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상하거나 또는 제1배율보다 큰 제2배율로 피사체를 확대하여 촬상할 수 있다. 도 28은 제2모드에 따른 카메라 모듈(700)의 수차곡선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카메라 모듈(700)은 복수의 광로 변환 수단(M1, M2)을 통해 중거리 및 원거리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상하거나 또는 복수의 배율로 피사체를 확대 촬상할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 모듈(700)은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700)의 내부에 굴곡된 광 경로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700)의 소형화를 가능케 할 수 있다.
참고로, 표 1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렌즈 특성을 나타낸 것이고, 표 1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비구면 값이다. 참고로, 본 실시 예에 따른 제1렌즈 내지 제5렌즈는 모두 구면으로 형성된다.
면번호 비고 곡률반지름 두께/거리
(제1모드)
두께/거리
(제2모드)
굴절률 아베수
S1 프리즘 Infinity 6.000 6.000 1.717 29.50
S2 Infinity 6.000 6.000 1.717 29.50
S3 Infinity 3.098 3.098
S4 제1렌즈 13.552 2.574 2.574 1.660 20.40
S5 16.668 0.776 0.776
S6 제2렌즈 -70.345 0.550 0.550 1.560 37.30
S7 19.573 0.000 0.000
S8 Infinity 6.500 6.500
S9 Infinity 0.000 0.000
S10 Infinity 24.000 7.800
S11 Infinity 0.000 0.000
S12 Infinity 9.000 9.000
S13 Infinity 0.000 0.000
S14 Infinity 24.000 7.800
S15 Infinity 0.000 0.000
S16 Infinity 5.000 5.000
S17 제3렌즈 7.369 2.970 2.970 1.544 56.00
S18 6.358 0.585 0.585
S19 제4렌즈 10.067 0.550 0.550 1.615 25.90
S20 6.450 0.614 0.614
S21 제5렌즈 7.237 2.660 2.660 1.544 56.00
S22 47.856 5.000 5.000
S23 Infinity 0.000 0.000
S24 Infinity 11.000 18.000
S25 Infinity 0.000 0.000
S26 Infinity 8.000 8.000
S27 Infinity 0.000 0.000
S28 Infinity 11.000 18.000
S29 Infinity 5.000 5.000
S30 필터 Infinity 0.220 0.220 1.516 64.10
S31 Infinity 5.412 5.412
S32 상면 Infinity 0.000 0.000
면번호 S4 S5 S6 S7 S17
K 0 0 0 0 0
A 0 0 0 0 0
B 0 0 0 0 0
C 0 0 0 0 0
D 0 0 0 0 0
E 0 0 0 0 0
F 0 0 0 0 0
G 0 0 0 0 0
H 0 0 0 0 0
J 0 0 0 0 0
면번호 S18 S19 S20 S21 S22
K 0 0 0 0 0
A 0 0 0 0 0
B 0 0 0 0 0
C 0 0 0 0 0
D 0 0 0 0 0
E 0 0 0 0 0
F 0 0 0 0 0
G 0 0 0 0 0
H 0 0 0 0 0
J 0 0 0 0 0
표 15 및 표 16은 제1실시 예 내재 제7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특성값 및 조건식 값이다.
비고 제1실시예 제2실시예 제3실시예 제4실시예 제5실시예 제6실시예 제7실시예
TTL1 129.0786 129.5235 126.2232 127.1015 95.0839 103.4086 125.4101
TTL2 110.2906 110.3355 107.8352 108.3015 103.2959 90.0086 107.0101
TLD 59.0786 59.1235 56.6232 57.1015 54.0839 49.4086 55.4101
fw 25.50 25.50 25.50 25.50 16.00 16.00 25.50
ft 48.00 48.00 48.00 48.00 30.00 32.00 48.00
f1 231.680 43.386 87.188 89.682 60.819 39.998 81.451
f2 -33.699 -18.483 -27.222 -27.438 -16.379 -15.651 -26.748
f3 -416.597 -3493.170 4176.698 -2215.400 382.450 83.841 2230.721
f4 -34.509 -27.940 -31.227 -31.656 -19.953 -18.824 -30.721
f5 15.544 14.590 15.317 15.188 10.387 12.585 15.248
F No 7.8~10.3 7.6~10.0 8.1~10.8 8.1~10.7 9.5~12.7 7.5~10.0 8.1~10.8
IMGHT 2.70 2.70 2.70 2.70 2.10 2.10 2.70
조건식 제1실시예 제2실시예 제3실시예 제4실시예 제5실시예 제6실시예 제7실시예
ft/f1 0.1101 0.5877 0.2925 0.2843 0.2631 0.4000 0.3131
ft/f3 -0.0612 -0.0073 0.0061 -0.0115 0.0418 0.1908 0.0114
ft/f4 -0.7389 -0.9127 -0.8166 -0.8055 -0.8019 -0.8500 -0.8301
ft/f5 1.6405 1.7478 1.6648 1.6790 1.5404 1.2713 1.6723
TTL1/TTL2 1.1704 1.1739 1.1705 1.1736 0.9205 1.1489 1.1719
ft/fw 1.8824 1.8824 1.8824 1.8824 1.8750 2.0000 1.8824
TTL2/ft 2.2977 2.2987 2.2466 2.2563 3.4432 2.8128 2.2294
ft/IMGHT 17.7778 17.7778 17.7778 17.7778 14.2857 15.2381 17.7778
TTL1/fw 5.0619 5.0794 4.9499 4.9844 5.9427 6.4630 4.9180
TTL1/IMGHT 47.8069 47.9717 46.7493 47.0746 45.2781 49.2422 46.4482
fw/IMGHT 9.4444 9.4444 9.4444 9.4444 7.6190 7.6190 9.4444
TLD/TTL1 0.4577 0.4565 0.4486 0.4493 0.5688 0.4778 0.4418
TLD/fw 1.2308 1.2317 1.1796 1.1896 1.8028 1.5440 1.1544
제1실시 예 내지 제7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도 29 및 도 30에 도시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즘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카메라 모듈(100)은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즘(P)을 회전시킬 수 있다. 아울러, 광로변환수단(FM1, DM1, FM2, DM2)은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즘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29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100)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의 평면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은 도 32 및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카메라 모듈(30, 50)과 함께 휴대 단말기(10)에 탑재될 수 있다. 일 예로, 카메라 모듈(100)은 근거리 촬상용 카메라 모듈(30)과 함께 휴대 단말기(10)에 탑재될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 모듈(100)의 일부 영역은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카메라 모듈(30)의 탑재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카메라 모듈(100)은 근거리 촬상용 카메라 모듈(30) 및 중거리 촬상용 카메라 모듈(50)과 함께 휴대 단말기(10)에 탑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6)

  1. 물체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렌즈 군;
    제1광로 변환 수단;
    제2렌즈 군; 및
    제2광로 변환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제1광로 변환 수단은 상기 제1렌즈 군으로부터 상기 제2렌즈 군 사이의 광축 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1고정 반사 부재 및 제1가동 반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광로 변환 수단은 상기 제2렌즈 군으로부터 상면 사이의 광축 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고정 반사 부재 및 제2가동 반사 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제1렌즈 군은,
    굴절력을 갖는 제1렌즈; 및
    굴절력을 갖는 제2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는 물체 측면이 볼록한 형상인 카메라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는 상 측면이 오목한 형상인 카메라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제2렌즈 군은,
    굴절력을 갖는 제3렌즈;
    굴절력을 갖는 제4렌즈; 및
    굴절력을 갖는 제5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렌즈는 물체 측면이 볼록한 형상인 카메라 모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4렌즈는 물체 측면이 볼록한 형상인 카메라 모듈.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5렌즈는 물체 측면이 볼록한 형상인 카메라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 군의 물체 측에 배치되는 프리즘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 반사 부재와 상기 제1가동 반사 부재 간의 거리는 상기 제2고정 반사 부재와 상기 제2가동 반사 부재 간의 거리가 증가하면 축소되도록 구성되는 카메라 모듈.
  11. 제1렌즈 군;
    제2렌즈 군;
    상기 제1렌즈 군과 상기 제2렌즈 군 사이에 배치되는 제1광로 변환 수단; 및
    상기 제2렌즈 군과 상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2광로 변환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제1광로 변환 수단 및 상기 제2광로 변환 수단은 상기 제1렌즈 군의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광 경로를 증가 또는 축소시키도록 구성되는 카메라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 군의 최전방 렌즈의 물체 측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최대거리(TTL1)와 최소거리(TTL2) 간의 비(TTL1/TTL2)는 0.90 ~ 1.20인 카메라 모듈.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 군, 상기 제2렌즈 군, 상기 제1광로 변환 수단, 및 상기 제2광로 변환 수단으로 구성되는 촬상 광학계의 최대 초점거리(ft)와 최소 초점거리(fw) 간의 비(ft/fw)는 1.8 ~ 2.2인 카메라 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 군의 최전방 렌즈의 물체 측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최소거리(TTL2)와 상기 최대 초점거리(ft) 간의 비(TTL2/ft)는 2.0 ~ 4.0인 카메라 모듈.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초점거리(ft)와 상기 상면의 높이(IMGHT: 대각길이의 1/2) 간의 비(ft/IMGHT)는 14 ~ 20인 카메라 모듈.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 군의 물체 측에 배치되는 프리즘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200131366A 2020-10-12 2020-10-12 카메라 모듈 Pending KR202200485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366A KR20220048525A (ko) 2020-10-12 2020-10-12 카메라 모듈
TW113135919A TWI875662B (zh) 2020-10-12 2021-03-30 照相機模組以及包含其的電子裝置
TW110111437A TWI834964B (zh) 2020-10-12 2021-03-30 照相機模組以及包含其的電子裝置
TW113104103A TWI860242B (zh) 2020-10-12 2021-03-30 照相機模組以及包含其的電子裝置
US17/339,220 US12013519B2 (en) 2020-10-12 2021-06-04 Camera module
CN202311027932.0A CN117031714A (zh) 2020-10-12 2021-07-14 相机模块及包括相机模块的电子设备
CN202121613733.4U CN215340511U (zh) 2020-10-12 2021-07-14 相机模块及包括相机模块的电子设备
CN202210463930.5A CN114779451B (zh) 2020-10-12 2021-07-14 相机模块及包括相机模块的电子设备
CN202110794797.7A CN114415331B (zh) 2020-10-12 2021-07-14 相机模块及包括相机模块的电子设备
US18/641,780 US20240280793A1 (en) 2020-10-12 2024-04-22 Camera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366A KR20220048525A (ko) 2020-10-12 2020-10-12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525A true KR20220048525A (ko) 2022-04-20

Family

ID=79567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366A Pending KR20220048525A (ko) 2020-10-12 2020-10-12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2013519B2 (ko)
KR (1) KR20220048525A (ko)
CN (4) CN114779451B (ko)
TW (3) TWI834964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9174A1 (ko) * 2022-05-27 2023-11-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165692A (ko) * 2022-05-27 2023-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2160651B2 (en) 2022-05-27 2024-1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Lens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8525A (ko) * 2020-10-12 2022-04-20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EP4533178A1 (en) * 2022-11-07 2025-04-09 Huawei Technologies Co., Ltd. An optomechanical system and an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said optomechanical system
US12328494B2 (en) * 2022-11-09 2025-06-1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03726A (en) * 1969-01-22 1971-09-07 Donovan L Garber Electro-optical simulator system
JPS57200126A (en) * 1981-06-04 1982-12-08 Nippon Kogaku Kk Self-knowledge eye refractive force measuring apparatus
US5166718A (en) * 1987-10-30 1992-11-24 Canon Kabushiki Kaisha Finder optical system
JP2513403B2 (ja) 1993-06-08 1996-07-03 日本電気株式会社 投射型立体表示装置
US6094210A (en) 1997-05-30 2000-07-25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focusing
JP3455444B2 (ja) 1998-11-17 2003-10-14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実像式ファインダー光学系
DE19950792A1 (de) 1999-10-21 2001-04-26 Technolas Gmbh Wellenfrontsensor mit Mehrleistungsstrahlmodi und unabhängiger Abgleichkamera
US6746121B2 (en) 2001-04-27 2004-06-08 Denwood F. Ross Defocus and astigmatism compensation in a wavefront aberration measurement system
DE10349293B4 (de) 2003-10-23 2010-10-21 Carl Zeiss Surgical Gmbh Stereo-Mikroskopiesystem und Stereo-Mikroskopieverfahren
WO2005040866A2 (de) 2003-10-23 2005-05-06 Zeiss Carl Ag Abbildungsoptiken mit einstellbarer brechkraft und verfahren zum einstellen einer brechkraft einer optik
JP2005215160A (ja) 2004-01-28 2005-08-11 Ftc:Kk 撮影レンズ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
DE102004048101B4 (de) * 2004-09-30 2018-04-05 Carl Zeiss Microscopy Gmbh Einstellbarer Mikroskoptubus
JP2006154702A (ja) * 2004-10-29 2006-06-15 Konica Minolta Opto Inc 変倍光学系、撮像レンズ装置及びデジタル機器
JP4882263B2 (ja) * 2005-03-31 2012-02-22 株式会社ニコン ズームレンズ
JP4788953B2 (ja) * 2005-11-16 2011-10-05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ズームレンズ
JP2007149934A (ja) 2005-11-28 2007-06-14 Juki Corp 部品位置認識装置、基板認識装置及び電子部品実装装置
WO2012176468A1 (ja) 2011-06-24 2012-12-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WO2013005376A1 (ja) 2011-07-04 2013-01-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実像式ズームファインダーおよび撮影装置
CN105122129A (zh) 2012-11-08 2015-12-02 威动光有限公司 微型光学变焦镜头
JP2014202541A (ja) 2013-04-02 2014-10-2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屈折率変化量測定装置および方法
EP4137868A1 (en) 2013-07-29 2023-02-22 Bio-Rad Laboratories, Inc. Mechanical zoom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US9557627B2 (en) 2014-03-07 2017-01-31 Apple Inc. Folded camera lens systems
US9316810B2 (en) * 2014-03-07 2016-04-19 Apple Inc. Folded telephoto camera lens system
JP2016095490A (ja) * 2014-11-10 2016-05-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系、観察光学系および光学装置
KR101740815B1 (ko) 2015-10-14 2017-05-26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KR101792344B1 (ko) * 2015-10-19 2017-11-01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US9986223B2 (en) * 2016-06-08 2018-05-29 Qualcomm Incorporated Folded optic passive depth sensing system
US9967547B2 (en) * 2016-06-08 2018-05-08 Qualcomm Incorporated Wafer level optics for folded optic passive depth sensing system
WO2018139280A1 (ja) 2017-01-30 2018-08-02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US11415776B2 (en) 2018-09-14 2022-08-1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Optical imaging system
CN110261997A (zh) 2019-06-11 2019-09-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镜头、摄像模组及电子设备
CN110879454A (zh) * 2019-12-25 2020-03-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摄像头模组、潜望式摄像头模组、摄像头组件及电子装置
CN111308688A (zh) 2020-03-16 2020-06-19 南昌欧菲精密光学制品有限公司 透镜系统、成像模组及电子装置
KR20220048525A (ko) * 2020-10-12 2022-04-20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9174A1 (ko) * 2022-05-27 2023-11-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165692A (ko) * 2022-05-27 2023-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2160651B2 (en) 2022-05-27 2024-1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Lens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779451B (zh) 2023-09-05
CN215340511U (zh) 2021-12-28
TW202501133A (zh) 2025-01-01
CN117031714A (zh) 2023-11-10
CN114415331B (zh) 2023-09-05
US20220113520A1 (en) 2022-04-14
TW202422194A (zh) 2024-06-01
TWI860242B (zh) 2024-10-21
TW202215135A (zh) 2022-04-16
CN114779451A (zh) 2022-07-22
CN114415331A (zh) 2022-04-29
TWI875662B (zh) 2025-03-01
US20240280793A1 (en) 2024-08-22
TWI834964B (zh) 2024-03-11
US12013519B2 (en) 2024-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48525A (ko) 카메라 모듈
KR102437800B1 (ko) 카메라 모듈
KR102449626B1 (ko) 촬상 광학계
KR102491440B1 (ko) 촬상 광학계
KR102409108B1 (ko) 촬상 광학계
KR102544194B1 (ko) 촬상 광학계
KR20170043943A (ko) 촬상 광학계
KR102534057B1 (ko) 촬상 광학계
KR102364957B1 (ko) 촬상 광학계
KR20200059534A (ko) 촬상 광학계
KR20240150748A (ko)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20059463A (ko) 촬상 광학계
KR20210060316A (ko)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20029636A (ko) 촬상 광학계
CN117999506A (zh) 光学系统以及包括该光学系统的光学模块和相机模块
KR20220062464A (ko) 촬상 광학계
US12313827B2 (en) Optical system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KR102716405B1 (ko)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30100342A (ko) 촬상 광학계
KR20230094643A (ko) 촬상 광학계
KR20220115259A (ko) 촬상 광학계
KR102410847B1 (ko) 촬상 광학계
KR102348000B1 (ko) 촬상 광학계
KR20250097649A (ko) 촬상 광학계
KR20230032046A (ko) 촬상 광학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1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309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10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