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047457A - 인쇄물의 색상 품질 검사 방법 - Google Patents

인쇄물의 색상 품질 검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7457A
KR20220047457A KR1020200130446A KR20200130446A KR20220047457A KR 20220047457 A KR20220047457 A KR 20220047457A KR 1020200130446 A KR1020200130446 A KR 1020200130446A KR 20200130446 A KR20200130446 A KR 20200130446A KR 20220047457 A KR20220047457 A KR 20220047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gamut
value
proof sheet
control unit
light sourc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0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5945B1 (ko
Inventor
태현철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30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945B1/ko
Publication of KR20220047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7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94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03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characteristics of the picture signal generator or the picture reproducer
    • H04N1/6033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characteristics of the picture signal generator or the picture reproducer using test pattern analy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46Measurement of colour; Colour measuring devices, e.g. colori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Spectrometry And Color Measurement (AREA)
  • Color Image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정지(S)가 제1 내지 제m 교정지 색영역(Sj)을 포함하며(j는 1이상 m이하의 자연수), 각각 다른 위치에 위치되는 제1 내지 제n 광원(120)과 촬영장치(110)가 구비되는 측색기기(100)를 이용하여, 상기 교정지(S)를 촬영하여 생성된 제1 내지 제n 이미지의 RGB값과(n은 2이상의 자연수), 상기 제1 내지 제m 교정지 색영역(Sj)에서 미리 결정되어 있는 반사율값을 학습함으로써, 인쇄물의 색상 품질을 판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쇄물의 색상 품질 검사 방법{Inspecting method the color quality of prints}
본 발명은 인쇄물의 색상 품질 검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쇄장치는 주로 롤러를 이용하여 인쇄를 수행하는데, 롤러를 사용할 경우 롤러의 위치에 따라 인쇄되는 잉크의 두께가 달라지고, 인쇄물의 색상이 고객이 요구한 색상과 대응되는지 판단이 필요한 바, 인쇄물을 검사하여야 한다. 인쇄물은 대량 생산되며, 대량 생산된 인쇄물을 검사할 필요가 있는 바, 인쇄물을 검사하는 시간을 줄이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종래에는, 색측기와 같은 장비를 사용하여 인쇄된 인쇄물의 색상을 검사하였다. 다만, 색측기와 같은 장비는 인쇄물의 스팟(spot)단위 또는 일부분을 검사할 수 있어, 인쇄물을 검사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측색기기에 인쇄된 인쇄물을 투입하여 인쇄물의 색상을 검사하는 것에 대한 인식이 있었다. 다만, 이러한 측색기기는 다수의 인쇄물의 반사율을 직접 측정하여, 인쇄물을 검사하는 바 인쇄물을 검사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8-196975호는 인쇄 장치 및 인쇄 장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쇄 장치에 인쇄물이 투입되면, 광원이 조사되고 광원이 조사될 때의 반사율을 측정하여 투입된 인쇄물의 색상을 측정한다. 다만,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인쇄물을 검사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326861호는 색채특성 측정장치, 색채특성 측정방법 및 촬상 데이터의 기억매체에 관한 것으로, 광원이 조사되고 광원이 조사될 때의 반사율을 측정하여 투입된 인쇄물의 색상을 측정한다. 다만,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인쇄물을 검사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8-196975호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326861호
(특허문헌 3) 일본공개특허공보 제310284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가 측색기기로 투입되어 촬영된 인쇄물의 이미지로 인쇄물의 반사율값과 Lab좌표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는 바, 인쇄물의 색상 품질을 신속하게 검사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부가 촬영장치가 촬영한 이미지의 RGB값과, 반사율값을 학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측색기기에 다수의 광원이 구비되어, 다수의 광원 중 하나를 번갈아 점등과 소등을 반복하며, 다양한 각도와 광도에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고, 제어부가 획득된 이미지로 학습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교정지(S)가 제1 내지 제m 교정지 색영역(Sj)을 포함하며(j는 1이상 m이하의 자연수), 각각 다른 위치에 위치되는 제1 내지 제n 광원(120)과 촬영장치(110)가 구비되는 측색기기(100)를 이용하여, 상기 교정지(S)를 촬영하여 생성된 제1 내지 제n 이미지의 RGB값과(n은 2이상의 자연수), 상기 제1 내지 제m 교정지 색영역(Sj)에서 미리 결정되어 있는 반사율값을 학습함으로써, 인쇄물의 색상 품질을 판단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교정지(S)가 상기 제1 내지 제n 광원(120) 이 구비되는 상기 측색기기(100)에 투입되는 단계; (b) 제어부(200)는, 상기 제1 내지 제n 광원(120)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이를 점등하고, 상기 제1 내지 제n 광원(120) 중 어느 하나가 점등되면 상기 촬영장치(110)가 상기 교정지(S)를 촬영하여 제1 내지 제n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하고, 상기 촬영장치(110)가 상기 교정지(S)를 촬영하면 상기 제1 내지 제n 광원(120) 중 상기 어느 하나가 소등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c)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1 내지 제n 광원(120) 중 다른 어느 하나들 모두에 대하여 상기 (b)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제1 내지 제n 이미지 모두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촬영장치(110)는 상기 생성한 제1 내지 제n 이미지를 상기 제어부(200)로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제1 내지 제n 이미지 각각에 대하여 각각 제1 내지 제m 교정지 색영역(Sj)과 대응되도록 구분함으로써, 다수의 이미지 색영역(Aik)(i는 1이상 m이하 자연수, k는 1이상 n이하의 자연수)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이미지 색영역(Aik)마다 RGB값을 각각 확인하는 단계; (f)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이미지 색영역(Aik)을 i값을 기준으로 그룹화하는 단계; 및 (g)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그룹화된 이미지 색영역(Aik)에서 확인된 RGB값과, 상기 제1 내지 제m 교정지 색영역(Sj) 중 j가 i인 색영역(Si)에서 미리 결정되어 있는 반사율값을 학습하되, i가 1부터 m인 경우까지 반복하여 학습하고, 상기 RGB값을 입력값으로 하고, 상기 반사율값을 출력값으로하여 학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는, 상기 (g)단계 이후, (h) 다른 교정지(S)가 상기 측색기기(110)로 투입되고, 상기 (a)단계 내지 (g)단계가 반복 수행되어 상기 제어부(200)가 학습되는 단계; 및 (i) 상기 측색기기(100)에 인쇄물이 투입되면, 상기 촬영장치(110)가 상기 인쇄물을 촬영하여 인쇄물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인쇄물 이미지 정보에서 RGB값을 판단하고, 상기 (g) 단계에서 학습된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판단된 RGB값에 대응되는 반사율값이 출력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상기 (i)단계 이후, (j)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i)단계에서 출력된 반사율값과 상기 인쇄물에 대한 요청 반사율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범위 내이면, 상기 (i)단계에서 투입된 인쇄물을 정상으로 판단하고, 상기 인쇄물 이미지 정보를 추가 학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상기 (i)단계 이후, (k)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i)단계에서 출력된 반사율값과 상기 요청 반사율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범위 외이면, 상기 (i)단계에서 투입된 인쇄물을 불량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상기 (g)단계 이후, (l)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이미지 색영역(Aik)에서의 Lab좌표값을 더 확인하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이미지 색영역(Aik)에서의 상기 RGB값을 입력값으로하고, 상기 반사율값과 상기 Lab좌표값을 출력값으로 하여 학습하는 단계; 및 (m) 다른 교정지(S)가 상기 측색기기(110)로 투입되고, 상기 (a)단계 내지 (l)단계가 반복 수행되어 상기 제어부(200)가 학습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는, 상기 방법이 적용되는 측색기기로서, n은 4이고, 상기 측색기기(100)의 내측 상면의 말단에 각각 제1 내지 제4광원(120)이 위치하는, 상기 측색기기(100)는, 상기 촬영장치(110)는 상기 측색기기(100)의 내측 상면의 정중앙에 위치하는, 상기 교정지(S)는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상기 측색기기(100)로 전달되는 것인, 측색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된다.
본 발명은 제어부가 촬영된 인쇄물의 이미지만으로도 인쇄물의 반사율값과 Lab좌표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는 바, 별도의 검사과정 없이 인쇄물의 색상 품질을 신속하게 검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부가 촬영장치가 촬영한 이미지의 RGB값과, 반사율값을 학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색기기에 다수의 광원이 구비되어, 다수의 광원 중 하나를 번갈아 점등과 소등을 반복하며, 다양한 각도와 광도에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고, 제어부가 획득된 이미지로 학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측색기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제1 내지 제n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색영역을 구분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제1 내지 제n 이미지와 반사율값을 이용하여 학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RGB값과 반사율값을 학습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RGB"값은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 또는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의 백분율을 지정하여 색상을 정의하며, 이미지는 "RGB"값을 포함한다. "RGB"값은 후술하는 "Lab 좌표"로 변환이 가능하며, 이에 대하여는 주지된 기술인 바 변환방법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 "Lab 좌표"란, 색 좌표를 의미하는 것으로, L은 명도, a는 빨강색과 초록색의 정도, b는 노랑색과 파랑색의 정도를 나타내는 3차원의 입체 좌표를 의미한다. L*=0이면 검은색이며, L*=100이면 흰색을 나타낸다. a*이 음수이면 초록에 치우친 색깔이며, 양수이면 빨강, 보라 쪽으로 치우친 색깔이다. b*이 음수이면 파랑이고, b*이 양수이면 노랑이다.
이하, "교정지(S)"란, 제어부(200)를 학습시키기 위해, 미리 다수의 색영역을 포함하는 샘플 종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라 교정지(S)를 촬영하여 생성된 이미지의 RGB값과 제1 내지 제m 교정지 색영역(Sj)에서 미리 결정되는 반사율값을 학습하는 방법은, 측색기기(100)와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설명하고,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측색기기(100)의 구조를 설명한다.
측색기기(100)는 내측에 교정지(S) 및 인쇄물이 투입되어, 색을 검사하는 장치이다.
측색기기(100)는 촬영장치(110)와 광원(120)을 포함한다.
촬영장치(110)는 측색기기(100)의 일면에 위치된다.
촬영장치(110)는 측색기기(100)의 내측 상면으로 정중앙에 위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촬영장치(110)는 복수개로 위치될 수 있고, 후술되는 제1 내지 제n 광원(120)과 동일한 개수로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촬영장치(110)는 후술되는 제1 내지 제n 광원(120)과 동일한 위치에 함께 위치될 수 있다. 즉, 광원(120)과 촬영장치(110)는 하나의 제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내지 제n 광원(120) 중 어느 하나가 점등되면 제1 내지 제n 광원(120)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위치에 위치한 촬영장치(110)에서 교정지(S)를 촬영할 수 있다. 다만, 촬영장치(110)가 복수개로 위치될 경우 촬영장치(110)의 제어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촬영장치(110)는 후술되는 제1 내지 제n 광원(120) 중 어느 하나가 점등하면, 측색기기(100)에 투입된 교정지(S) 및 인쇄물을 촬영하여, 제1 내지 제n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 때, 촬영장치(110)는 카메라 또는 촬영센서일 수 있으나, 촬영을 할 수 있는 장치라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교정지(S)는 제1 내지 제m 교정지 색영역(Sj)(s는 1이상 m이하 자연수)을 포함한다.
이 때, 교정지 색영역(Sj)이란 교정지(S)가 포함하고 있는 색상 및 위치가 구분되는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교정지(S)가 m개로 구분되는 위치와 색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1 내지 제m 교정지 색영역(Sj)은 미리 반사율값이 측정된다.
이 때, 반사율값은 다수의 파장을 교정지(S), 인쇄물 등 종이에 조사할 때, 반사되는 빛의 반사율을 의미하는 것이다. 반사율값은 교정지(S) 및 인쇄물의 색상에 따라 달라지는 값으로, 역으로 반사율값을 알면 그 때의 색상을 추정할 수 있다.
촬영장치(110)가 교정지(S)를 촬영하여, 제1 내지 제n 이미지를 생성하면, 제1 내지 제n 이미지를 각각 제1 내지 제m 교정지 색영역(Sj)(j는 1이상 m이하 자연수)와 대응되는 위치로, 제1 내지 제n 이미지의 각각의 이미지 색영역을 구분한다. 이에 대해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광원(120)은 제1 내지 제n 광원(120)(n은 2이상의 자연수)를 포함하며, 제1 내지 제n 광원(120)은 각각 다른 위치에 위치된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n은 4일 경우를 도시한다. 제1 내지 제4 광원(120)은 측색기기(100)의 내측 상면의 모서리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도 2(b)는 촬영장치(110)와 광원(120)이 위치한 측색기기(100)의 면을 도시한 것이나, 촬영장치(110)와 광원(120)의 위치, 형상 및 구조는 각각 도시된 바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촬영장치(110)는 제1 내지 제n 광원(120) 중 어느 하나가 점등되었을 때 교정지(S)를 촬영하여, 광원(120)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교정지(S)의 RGB값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이 때, 제1 내지 제n 광원(120)은 LED 조명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내지 제n 광원(120)의 각각의 광도는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위치의 광원(120)에서도 광도를 조절하여, 다른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 때, 광원(120)은 LED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특정 종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측색기기(100)는 컨베이어 벨트와 연결될 수 있어, 교정지(S)가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자동으로 투입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200)는 촬영장치(110)로부터 촬영된 제1 내지 제n 이미지를 전송받는다.
제어부(200)는 제1 내지 제n 이미지 각각에 대하여 각각 제1 내지 제m 교정지 색영역(Sj)과 대응되도록 구분함으로써, 다수의 이미지 색영역(Aik)(k는 1이상 n이하의 자연수, i는 1이상 m이하 자연수)으로 구분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는 제1 이미지일 때, k값은 1이고, 제1 이미지는 이미지 색영역(A11), 이미지 색영역(A21) 등을 포함한다. 이 때, 이미지 색영역(A11)은 제1 교정지 색영역(S1)과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는 영역이다.
이후, 제어부(200)가 이미지 색영역(Aik)을 i값을 기준으로 그룹화하고, 제어부(200)는 그룹화된 이미지 색영역(Aik)에서 확인되는 RGB값과, 제1 내지 제m 교정지 색영역(Sj)에서 각각 미리 결정되는 반사율값을 이용하여 학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200)는 인쇄물이 투입될 때, 반사율값을 예측하고, 인쇄물의 색상 품질을 검사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어부(200)는 측색기기(10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제1 내지 제n 이미지에서 구분된 이미지 색영역(Aik) 은 각각 다른 RGB값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제1 내지 제n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자세히 설명한다.
교정지(S)가 제1 내지 제n 광원(120)(n은 2이상의 자연수)이 설치되는 측색기기(100)에 투입된다.
제어부(200)가 제1 내지 제n 광원(120) 중 어느 하나를 점등하면, 촬영장치(110)가 교정지(S)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한다. 즉, 이미지는 제1 내지 제n 광원(120) 중 어느 하나가 점등될 때 촬영된다.
제어부(200)는 촬영장치(110)가 교정지(S)를 촬영하면 제1 내지 제n 광원(120) 중 상기 어느 하나를 소등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00)는 제1 내지 제n 광원(120) 중 다른 어느 하나들 모두에 대하여 상기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제1 내지 제n 이미지 모두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는 제1 광원(120)을 점등하고, 촬영장치(110)가 교정지(S)를 촬영하여 제1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후, 제1 광원(120)은 소등된다. 제어부(200)는 제1 광원(120)이 소등되면 제2 광원(120)을 점등하고, 촬영장치(110)가 교정지(S)를 촬영하여 제2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후, 제2 광원(120)은 소등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촬영장치(110)는 제1 내지 제n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n 이미지는 각각의 제1 내지 제n 광원(120)이 점등하였을 때 생성된다.
촬영장치(110)는 생성한 제1 내지 제n 이미지를 제어부(200)로 전송한다.
이 때, 제1 내지 제n 광원(120)은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순차로 점등될 수 있고, 촬영장치(110)가 동작되면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소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제1 내지 제n 광원(120)은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점등된 이후 자동으로 소등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제1 내지 제n 이미지에서 색영역을 구분하는 것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지(S)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이 때, 도 4에 도시된 교정지(S)가 포함하는 색영역의 개수는 예시이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교정지(S)는 제1 내지 제m 교정지 색영역(Sj)을 포함한다.
이 때, 제1 내지 제m 교정지 색영역(Sj)은 서로 다른 RGB값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어부(200)는 교정지(S)의 제1 내지 제m 교정지 색영역(Sj)에서의 각각의 반사율값이 미리 저장된다.
도 5를 참조하여, 교정지(S)의 제1 내지 제m 교정지 색영역(Sj)과, 제1 내지 제n 이미지에서의 이미지 색영역(Aik) 이 대응되는 것을 설명한다.
제어부(200)는 제1 내지 제n 이미지 각각에 대하여 각각 제1 내지 제m 교정지 색영역(Sj)과 대응되도록 구분함으로써, 다수의 이미지 색영역(Aik)(i는 1이상 m이하 자연수, k는 1이상 n이하의 자연수)으로 구분한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m 교정지 색영역(Sj)이 m=30일 경우, 제1 내지 제n 이미지는 m=30의 이미지 색영역(Aik)을 포함한다. 이는 도 5에 도시된다.
또한 예를 들어, k가 1이고 m이 4이면, 제1 교정지 색영역(S1), 제2 교정지 색영역(S2), 제3 교정지 색영역(S3), 제4 교정지 색영역(S4)와 각각 대응되는 제1 이미지에서 구분된 이미지 색영역(A11), 이미지 색영역(A21), 이미지 색영역(A31), 이미지 색영역(A41)등으로 구분된다.
제1 내지 제n 이미지는 모두 교정지(S)를 촬영하여 획득한 정보인 바, 교정지(S)가 포함하는 제1 내지 제m 교정지 색영역(Sj)과 대응되도록 이미지 색영역(Aik) 을 구분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 색영역(Aik)은 제1 내지 제m 교정지 색영역(Sj)과 위치가 대응되도록 각각 이미지 색영역(Aik)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미지 색영역(A11)과 이미지 색영역(A12)은 각각 제1 교정지 색영역(S1)의 위치와 대응될 수 있다. 또는, 이미지 색영역(Aik)은 제1 내지 제m 교정지 색영역(Sj)과 위치가 대응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색상이 기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것을 기준으로 대응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고, 위치와 색상을 모두 고려하여 대응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제어부(200)가 제1 내지 제n 이미지가 포함하는 RGB값과 반사율값을 이용하여 학습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제어부(200)가 이미지 색영역(Aik)을 i값을 기준으로 그룹화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는 i가 모두 1로 동일한, 이미지 색영역(A11), 이미지 색영역(A12), 이미지 색영역(A13) 등을 동일한 그룹으로 그룹화한다.
제어부(200)는 그룹화된 이미지 색영역(Aik)에서 확인된 RGB값과, 제1 내지 제m 교정지 색영역(Sj) 중 j가 i인 색영역(Si)에서 미리 결정되어 있는 반사율값을 학습하되, i가 1부터 m인 경우까지 반복하여 학습한다.
즉, 제어부(200)는 i값을 기준으로 그룹화된 이미지 색영역(Aik)의 RGB값과 이 때의 색영역(Si)에서 미리 결정되어 있는 반사율 값을 학습한다.
이 때, 제어부(200)는 RGB값을 입력값으로 하고, 반사율값을 출력값으로 하여 학습한다. 다만, 학습방법은 특정한 방법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다른 교정지(S)가 측색기기(110)로 투입되고, 상기 과정이 반복 수행되어 제어부(200)가 더 학습될 수 있다.
이 때, 다른 교정지(S)가 포함하는 색영역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반사율값은 이미 학습된 교정지(S)의 색영역의 반사율값과 다를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동일한 교정지(S)가 포함하는 교정지 색영역(Si)의 색상이더라도 광원(120)의 각도 및 광도에 따라 색상이 달라지는 것을 반영하여 학습할 수 있다.
이상, 교정지(S)를 측색기기(100)에 투입하여 촬영하되, 각각 광원(120)의 각도 및 광도에 따라 달라지는 제1 내지 제n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제어부(200)에서 교정지(S)가 포함하는 제1 내지 제m 교정지 색영역(Sj)과 대응되는 제1 내지 제n 이미지 각각에서의 이미지 색영역(Aik)을 구분하고 i값을 기준으로, 이미지 색영역(Aik)을 그룹화하고 그 때의 교정지 색영역(Si)에서의 반사율값을 학습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광원(120)의 각도 및 광도에 따라 색상이 다르게 측정되는 것을 반영하여 학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200)는 측색기기(100)에 인쇄물이 투입되면, 촬영장치(110)가 인쇄물을 촬영하여 인쇄물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고, 제어부(200)는 인쇄물 이미지 정보에서 RGB값을 판단하고, 학습된 모델을 이용하여 판단된 RGB값에 대응되는 반사율값이 출력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에서는 광원(120)의 점등을 조절하면서 인쇄물의 색상을 검사할 수 있는 바, 광원(120)의 각도 및 광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보다 정확하게 인쇄물의 색상을 검사할 수 있다.
이 때, 인쇄물은 인쇄기로부터 출력되어, 색상을 검사하기 위해 측색기기(100)에 투입된 종이를 의미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Lab좌표값을 추가 학습할 수 있다.
이 때, Lab좌표값은 i값을 기준으로 그룹화된 이미지 색영역(Aik)이 포함한 RGB값을 평균하여 평균된 RGB값을 변환한 값을 의미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는 Lab좌표값은 교정지 색영역(Sj)에서 미리 확인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RGB값을 입력값으로 하고, 반사율값과 Lab좌표값을 출력값으로 하여 학습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학습방법은 특정한 방법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한다. 이 때, n은 4이고, m은 3이라 가정한다. 제어부(200)는 이미지 색영역(A11), 이미지 색영역(A12), 이미지 색영역(A13) 및 이미지 색영역(A14)에서 확인한 RGB값을 입력값으로 하고, 반사율값과 이 때의 LAB좌표값을 출력값으로 하여 학습하며, 다른 위치에서의 색영역도 동일한 과정을 통해 학습한다.
제어부(200)가 학습한 후, 인쇄물을 검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측색기기(100)에 인쇄물이 투입되면, 촬영장치(110)가 인쇄물을 촬영하여 인쇄물 이미지 정보를 생성한다.
제어부(200)는 인쇄물 이미지 정보에서 RGB값을 판단하고, 판단된 RGB값에 대응되는 반사율값과 Lab좌표값이 출력한다.
제어부(200)는 출력된 반사율값과 Lab좌표값이 요청 반사율값과 Lab좌표값과의 차이가 각각 기설정된 범위 내이면, 인쇄물을 정상으로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이 때 투입된 인쇄물의 인쇄물 이미지 정보를 추가 학습할 수 있다.
이 때, 요청 반사율값은 고객이 미리 요청한 반사율값을 의미하며, 색상은 반사율값에 따라 달라지는 바, 반사율값을 요청한다는 것은 인쇄물의 색상 품질을 요청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제어부(200)는 출력된 반사율값이 요청 반사율값과 차이 중 어느 하나가 기설정된 범위 내이면, 인쇄물을 정상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는 출력된 반사율값과 Lab좌표값이 요청 반사율값과 요청된 Lab좌표값과의 차이가 모두 기설정된 범위 내이면, 투입된 인쇄물을 정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출력된 반사율값이 요청 반사율값과 Lab좌표값과의 차이가 각각 기설정된 범위 외이면, 투입된 인쇄물을 불량으로 판단한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측색 기기
110: 촬영장치
120: 광원
200: 제어부
S: 교정지
Sj: 교정지 색영역
Aik: 이미지 색영역

Claims (6)

  1. 교정지(S)가 제1 내지 제m 교정지 색영역(Sj)을 포함하며(j는 1이상 m이하의 자연수), 각각 다른 위치에 위치되는 제1 내지 제n 광원(120)과 촬영장치(110)가 구비되는 측색기기(100)를 이용하여, 상기 교정지(S)를 촬영하여 생성된 제1 내지 제n 이미지의 RGB값과(n은 2이상의 자연수), 상기 제1 내지 제m 교정지 색영역(Sj)에서 미리 결정되어 있는 반사율값을 학습함으로써, 인쇄물의 색상 품질을 판단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교정지(S)가 상기 제1 내지 제n 광원(120) 이 구비되는 상기 측색기기(100)에 투입되는 단계;
    (b) 제어부(200)는, 상기 제1 내지 제n 광원(120)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이를 점등하고, 상기 제1 내지 제n 광원(120) 중 어느 하나가 점등되면 상기 촬영장치(110)가 상기 교정지(S)를 촬영하여 제1 내지 제n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하고, 상기 촬영장치(110)가 상기 교정지(S)를 촬영하면 상기 제1 내지 제n 광원(120) 중 상기 어느 하나가 소등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c)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1 내지 제n 광원(120) 중 다른 어느 하나들 모두에 대하여 상기 (b)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제1 내지 제n 이미지 모두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촬영장치(110)는 상기 생성한 제1 내지 제n 이미지를 상기 제어부(200)로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제1 내지 제n 이미지 각각에 대하여 각각 제1 내지 제m 교정지 색영역(Sj)과 대응되도록 구분함으로써, 다수의 이미지 색영역(Aik)(i는 1이상 m이하 자연수, k는 1이상 n이하의 자연수)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이미지 색영역(Aik)마다 RGB값을 각각 확인하는 단계;
    (f)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이미지 색영역(Aik)을 i값을 기준으로 그룹화하는 단계; 및
    (g)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그룹화된 이미지 색영역(Aik)에서 확인된 RGB값과, 상기 제1 내지 제m 교정지 색영역(Sj) 중 j가 i인 색영역(Si)에서 미리 결정되어 있는 반사율값을 학습하되, i가 1부터 m인 경우까지 반복하여 학습하고, 상기 RGB값을 입력값으로 하고 상기 반사율값을 출력값으로하여 학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단계 이후,
    (h) 다른 교정지(S)가 상기 측색기기(110)로 투입되고, 상기 (a)단계 내지 (g)단계가 반복 수행되어 상기 제어부(200)가 학습되는 단계; 및
    (i) 상기 측색기기(100)에 인쇄물이 투입되면, 상기 촬영장치(110)가 상기 인쇄물을 촬영하여 인쇄물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인쇄물 이미지 정보에서 RGB값을 판단하고, 상기 (g) 단계에서 학습된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판단된 RGB값에 대응되는 반사율값이 출력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i)단계 이후,
    (j)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i)단계에서 출력된 반사율값과 상기 인쇄물에 대한 요청 반사율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범위 내이면, 상기 (i)단계에서 투입된 인쇄물을 정상으로 판단하고, 상기 인쇄물 이미지 정보를 추가 학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i)단계 이후,
    (k)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i)단계에서 출력된 반사율값과 상기 요청 반사율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범위 외이면, 상기 (i)단계에서 투입된 인쇄물을 불량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단계 이후,
    (l)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이미지 색영역(Aik)에서의 Lab좌표값을 더 확인하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이미지 색영역(Aik)에서의 상기 RGB값을 입력값으로 하고, 상기 반사율값과 상기 Lab좌표값을 출력값으로 하여 학습하는 단계; 및
    (m) 다른 교정지(S)가 상기 측색기기(110)로 투입되고, 상기 (a)단계 내지 (m)단계가 반복 수행되어 상기 제어부(200)가 학습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따른 방법이 적용되는 측색기기로서,
    n은 4이고, 상기 측색기기(100)의 내측 상면의 말단에 각각 제1 내지 제4광원(120)이 위치하는,
    상기 측색기기(100)는,
    상기 촬영장치(110)는 상기 측색기기(100)의 내측 상면의 정중앙에 위치하는,
    상기 교정지(S)는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상기 측색기기(100)로 전달되는 것인,
    측색기기.
KR1020200130446A 2020-10-08 2020-10-08 인쇄물의 색상 품질 검사 방법 Active KR102485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446A KR102485945B1 (ko) 2020-10-08 2020-10-08 인쇄물의 색상 품질 검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446A KR102485945B1 (ko) 2020-10-08 2020-10-08 인쇄물의 색상 품질 검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7457A true KR20220047457A (ko) 2022-04-18
KR102485945B1 KR102485945B1 (ko) 2023-01-11

Family

ID=81390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0446A Active KR102485945B1 (ko) 2020-10-08 2020-10-08 인쇄물의 색상 품질 검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94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3490A (ja) * 1996-02-20 1997-09-05 Toyo Ink Mfg Co Ltd 色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JP6107264B2 (ja) * 2013-03-15 2017-04-05 株式会社リコー 撮像ユニット、測色装置、画像形成装置、測色システムおよび距離測定方法
JP2018196975A (ja) * 2017-05-25 2018-12-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3490A (ja) * 1996-02-20 1997-09-05 Toyo Ink Mfg Co Ltd 色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JP6107264B2 (ja) * 2013-03-15 2017-04-05 株式会社リコー 撮像ユニット、測色装置、画像形成装置、測色システムおよび距離測定方法
JP2018196975A (ja) * 2017-05-25 2018-12-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5945B1 (ko) 2023-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2644B2 (en) Remote adjustment of print settings
US9633287B2 (en) Colo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ol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lor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EP238691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pecting image,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image inspecting program
RU2570218C2 (ru)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US20070291291A1 (en) Printing device, carriage and color measurement method
US9280729B2 (en) Method of creating sample page, program, and image forming system
JP2016206760A (ja) 色判別方法及び色判別装置、並びに印刷機色調制御方法
US7259857B2 (en) Methods for automated uniformity assessment and modification of image non-uniformities
JP3871760B2 (ja) 多色画像の印刷品質を自動的に検査するための方法
JP7081785B2 (ja) 印刷物検査方法および印刷物検査装置
JPH11151801A (ja) カラー光学センサ及びそれを用いた印刷紙面検査装置
KR102485945B1 (ko) 인쇄물의 색상 품질 검사 방법
JPS59128419A (ja) 印刷物検査装置
JPH11132849A (ja) 測色値の補正方法及び測色機
JP202213860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064801A (ja) 画像形成装置
Hauck Automated CtP Calibration for Offset Printing–Dot Gain Compensation, Register Variation and Trapping Evaluation
JP2010283524A (ja) 階調変換補正方法及びその方法を実施する写真プリント装置
JP2008500545A (ja) 対象物の色を光学的に決定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15082828A (ja) 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7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