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6114A - Connection fixing device for shelf assembly - Google Patents
Connection fixing device for shelf assembl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46114A KR20220046114A KR1020200129160A KR20200129160A KR20220046114A KR 20220046114 A KR20220046114 A KR 20220046114A KR 1020200129160 A KR1020200129160 A KR 1020200129160A KR 20200129160 A KR20200129160 A KR 20200129160A KR 20220046114 A KR20220046114 A KR 2022004611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rtical frame
- fixing device
- frame
- horizontal frame
- part fix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58—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without pan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91—Modular arrangements of similar assemblies of e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08—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regularly perforat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립식 선반의 연결부 고정장치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식 선반의 연결부에 설치하여 선반 프레임의 유격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fixing a connection part of a prefabricated shelf,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removing play between a shelf frame by installing it on a connection part of a prefabricated shelf.
종래에 조립식 선반은 그 조립과 해체, 운반을 쉽게 하고자, 수직 및 수평 프레임을 연결구 부품으로 연결하여 제작된다. 연결구 부품은 일반적으로 볼트와 나사 등 공지의 체결 수단을 이용하였으나, 최근에는 별도의 체결 수단이 없이 선반을 조립, 해체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었다.Conventionally, prefabricated shelves are manufactured by connecting vertical and horizontal frames with connector parts to facilitate their assembly, disassembly, and transportation. Connector parts generally use known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and screws, but recently, a technology capable of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a shelf without a separate fastening means has been disclosed.
예를 들어, 등록특허 제10-1478953호(“조립식 선반”)는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에 체결돌출부 또는 체결홈이 형성된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체결돌출부를 상기 체결홈에 끼워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을 결합하므로 작업자가 별도의 체결 수단 없이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다.For example, Patent Registration No. 10-1478953 (“prefabricated shelf”) discloses a configuration in which fastening protrusions or fastening grooves are formed in a vertical frame and a horizontal frame. Since the fasten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to combine the vertical frame and the horizontal frame, an operator can easily assemble it without a separate fastening means.
상기 특허는 작업자가 별도의 공구 없이 조립식 선반의 프레임을 연결할 수 있고, 원리도 간단하여 누구나 쉽게 작업이 가능하다. 하지만, 체결돌출부를 체결홈에 끼우는 결합은 프레임 사이의 유격을 필연적으로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In the above patent, the operator can connect the frame of the prefabricated lathe without a separate tool, and the principle is simple, so that anyone can work easily. However, the coupling in which the fasten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inevitably causes a gap between the frames.
프레임 부재 사이에 유격이 있는 경우, 선반이 흔들리므로 물건을 안전하게 지지하기 어렵다. 또한, 미세한 유격이라도 장시간 사용 시 쉽게 벌어져 선반 성능이 급격히 저하되며, 제품을 오랫동안 사용하기 어렵다. 즉, 프레임 연결부에서 발생한 유격은 선반의 사용성과 내구성을 저하하므로 이를 개선하는 기술의 필요가 있다.If there is play between the frame members, it is difficult to safely support the object because the shelf shakes. In addition, even a small gap is easily spread when used for a long time, which rapidly deteriorates shelf performance and makes it difficult to use the product for a long time. That is,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for improving the usability and durability of the shelf because the clearance generated at the frame connection part deteriorates.
따라서 본 발명은 조립식 선반의 연결부에 설치하여 연결부의 유격을 제거하는 연결부 고정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ion part fixing device that is installed in the connection part of the prefabricated shelf to remove the play of the connection part.
본 발명은 조립식 선반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을 밀착시키는 연결부 고정장치로서, 제1 면을 갖고 상기 수직프레임에 접촉하는 수직프레임 접촉부와,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을 갖는 수평프레임 압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2 면과 함께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을 압착한 것을 일 측면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necting part fixing device for closely contacting a vertical frame and a horizontal frame of a prefabricated shelf, a vertical frame contact part having a first surface and contacting the vertical frame, and a horizontal frame pressing with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Including a part, the first surface is a side of the second surface and the pressing of the vertical frame and the horizontal frame togeth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프레임 압착부는 상부에 상기 수직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제3 면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 접촉부는 연결부에서 돌출된 체결편과 간섭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의 간격은 점진적으로 변한다.Preferably, the horizontal frame compression portion includes a third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frame on the upper portion. In addition, the vertical frame contact portion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astening piece protruding from the connecting portion. 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is gradually changed.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 고정장치를 이용하면, 조립식 선반의 연결부 유격이 제거되어 선반의 내구성과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 고정장치는 구성이 간단하여 쉽게 제작 및 설치할 수 있다.When the connecting part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lay of the connecting part of the prefabricated shelf is removed, so that the durability and lifespan of the shelf are extended. In addition, the connection part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configuration and can be easily manufactured and installed.
도 1은 종래의 조립식 선반의 수직프레임 및 수평프레임의 결합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고정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연결부 고정장치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5의 상태를 수직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1 is a view to explain the coupling principle of the vertical frame and the horizontal frame of the conventional prefabricated shelf.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part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a connection part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connecting part fixing device.
6 is a view illustrating the state of FIG. 5 as viewed from the vertical top.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present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addi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의 (a) 내지 (c)는 종래의 조립식 선반의 수직프레임(10) 및 수평프레임(20)의 결합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수직프레임(10)은 조립식 선반의 기둥 부재이며, 일정한 간격의 구멍으로 형성된 체결공(12)을 포함한다. 1 (a) to (c) are shown to explain the principle of coupling the
수평프레임(20)은 수직프레임(10)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선반의 지지면을 받치는 부재이며, 그 양단에 체결공(12)과 결합할 수 있는 체결편(22)을 포함한다. 체결편(22)을 체결공(12)의 넓은 부분에 삽입 후 체결공(12)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밀면, 체결편(22)이 체결공(12)에 꽉 맞물려 수직프레임(10)과 수평프레임(20)을 연결할 수 있다. 조립식 선반의 연결부는 수평프레임(20)과 수직프레임(10)이 연결되어 서로 접한 부분에 해당한다.The
이와 같은 체결방식은 프레임의 연결이 간편하나, 프레임 간 유격이 크고 시간이 지날수록 연결부가 느슨해지는 문제가 있다.In this fastening method, the connection of the frames is simple,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gap between the frames is large and the connection part becomes loose as time goes by.
한편, 도 1은 선반 조립의 일 예이며, 체결공(12)과 체결편(22)의 형태는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연결부는 이와 다른 형태의 공지된 체결 형식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FIG. 1 is an example of shelf assembly, and the shapes of the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고정장치(100)의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연결부 고정장치(100)는 수직프레임(10)에 접촉하는 수직프레임 접촉부(110)와 수평프레임(20)에 접촉하는 수평프레임 압착부(120)를 포함한다.2 and 3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of a connection
수직프레임 접촉부(110)는 수직프레임(10)에 접촉하는 제1 면(112)을 구비하고, 수평프레임 압착부(120)는 수평프레임(20)에 접촉하는 제2 면(122)을 구비한다. 제1 면(112)과 제2 면(122)은 서로 소정의 간격을 띄고 대향된다.The vertical
제1 면(112)과 제2 면(122)의 간격에 조립식 선반의 연결부가 끼워질 수 있으며, 이때 제1 면(112)은 수직프레임(10)에 압력을 가하고, 제2 면(122)은 수평프레임(20)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즉, 제1 면(112) 또는 제2 면(122)은 상기 연결부를 압착하여 수직프레임(10)과 수평프레임(20)을 최대한 밀착시킨다.The connection part of the prefabricated shelf may be fitted in the gap between the
또한, 제1 면(112)과 제2 면(122)의 간격은 점진적으로 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면(112)과 제2 면(122)의 상부측 간격이 하부측 간격보다 더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립식 선반의 연결부가 상기 간격의 하부측에서 진입하여 상부측에서 끼워질 수 있다.Also, the distance between the
또한, 제1 면(112)과 제2 면(122)의 간격은 적어도 수직프레임(10) 두께 이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면(112)과 제2 면(122)의 간격은 적어도 수직프레임(10)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 고정장치(100)는 제1 면(112)과 제2 면(122) 간격에 수직프레임(10)을 끼워 수직프레임(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val between the
또한, 제1 면(112)과 제2 면(122)의 간격은 수직프레임(10)과 수평프레임(20)의 두께를 합한 것보다 얇게 형성된 구간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간격에 연결부를 끼우면, 제1 면(112)과 제2 면(122)이 연결부에 압력을 가한다.In addition, the interval between the
또한, 제1 면(112) 또는 제2 면(122)은 연결부와 접촉하는 면에 마찰력을 높이거나, 그 표면의 손상 방지를 위해 표면마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면마찰부(미도시)는 제1 면(112) 또는 제2 면(122)의 표면에 구비되고, 탄성 또는 연성 재질의 돌기로 형성되어 연결부와 접촉하는 면을 보호하고 마찰력을 높인다.In addition, the
한편, 수평프레임 압착부(120)는 수직프레임(10)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제3 면(124)을 포함한다. 제3 면(124)은 연결부 고정장치(100)가 작업자로부터 효율적으로 힘을 전달받도록 기능한다. 연결부 고정장치(100)의 설치 시, 작업자는 제3 면(124)에 힘 또는 충격을 가하여 조립식 선반의 연결부를 쉽게 설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orizontal
또한, 수평프레임 압착부(120)는 연결부 고정장치(100)를 설치했을 때 제3 면(124)이 수평프레임(20)의 상단 높이와 같거나 낮게 위치하도록 제3 면(124)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도 4 및 도 5는 연결부 고정장치(100)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수직프레임(10)과 수평프레임(20)이 체결된 후, 연결부 고정장치(100)를 수직프레임(10)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연결부까지 끼워 넣는다.4 and 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connection
수직프레임(10)의 내부에 공간이 있는 경우, 연결부 고정장치(100)의 일부분이 상기 공간에 삽입 가능한 모양일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 고정장치(100)는 그 일부분이 수직프레임(1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수직프레임(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When there is a space inside the
연결부 고정장치(100)의 형상과 크기 등은 수직프레임(10) 또는 수평프레임(20)의 다양한 형상 또는 체결 방법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하, “당업자”라고 함.)이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The shape and size of the connecting
도 6은 도 5를 위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1 면(112)과 제2 면(122)이 각각 수직프레임(10)과 수평프레임(20)에 압력을 가하여 밀착한다. 또한, 수직프레임 접촉부(110)는 연결부에서 돌출된 체결편(22)에 간섭되지 않도록 단차가 형성된다. 결국, 수직프레임 접촉부(110)는 제1 면(112)이 수직프레임(10)에 접촉하면서, 연결부 고정장치(100) 설치 시 체결편(22)에 의해 간섭되지 않는 형상을 구비한다. 이때, 간섭되지 않는다는 것은 수직프레임 접촉부(110)가 체결편(22)에 접촉될 수 있지만, 연결부 고정장치(100)의 이동을 불가능하게 할 정도는 아닌 상태를 포함한다. 그밖에, 수직프레임 접촉부(110)의 형상은 다양한 연결부 형태에 적합하게 당업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6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FIG. 5 is viewed from above. The
연결부 고정장치(100)는 수직프레임(10) 형상에 따라 복수의 수직프레임 접촉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과 같이 수직프레임(10)의 단면이 직각으로 절곡된 경우, 서로 직각인 두 면이 각각 수평프레임(20)과 연결되어 두 개의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ng
연결부 고정장치(100)는 서로 직각인 두 개의 수직프레임 접촉부(110)를 구비하여 전술한 두 개의 연결부와 각각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수평프레임 압착부(120)는 서로 직각인 두 개의 제2 면(122)을 구비하여, 두 개의 제2 면(122)이 두 개의 수평프레임(20)에 각각 접촉할 수 있다.The connection
수직프레임(10)의 단면에 따라 연결부 고정장치(100)는 복수의 수직프레임 접촉부(110) 또는 수평프레임 압착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수직프레임 접촉부(110) 또는 수평프레임 압착부(120)의 개수와 형태는 당업자가 적절히 변형 가능한 것을 포함한다. Depending on the cross-section of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수직프레임
12: 체결공
20: 수평프레임
22: 체결편
10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고정장치
110: 수직프레임 접촉부
112: 제1 면
120: 수평프레임 압착부
122: 제2 면
124: 제3 면10: vertical frame
12: fastener
20: horizontal frame
22: fastening piece
100: connection part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vertical frame contact
112: first side
120: horizontal frame crimping unit
122: second side
124: third side
Claims (6)
제1 면을 갖고 상기 수직프레임에 접촉하는 수직프레임 접촉부와,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을 갖는 수평프레임 압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면 또는 상기 제2 면은 상기 수직프레임 또는 상기 수평프레임을 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 고정장치.In the connection part fixing device of the vertical frame and the horizontal frame of the prefabricated shelf,
a vertical frame contact portion having a first surface and contacting the vertical frame;
Comprising a horizontal frame crimping unit having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The connecting part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urface or the second surface presses the vertical frame or the horizontal frame.
상기 수평프레임 압착부는 상부에 상기 수직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직각인 제3 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 고정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part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izontal frame crimping portion comprises a third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frame on the upper portion.
상기 수직프레임 접촉부는,
연결부에서 돌출된 체결편과 간섭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 고정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ertical frame contact portion,
Connection part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astening piece protruding from the connection part.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의 간격은 점진적으로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 고정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part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is changed gradually.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의 간격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두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 고정장치.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connecting part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vertical frame.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의 간격은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두께를 합한 것보다 얇은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 고정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necting part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comprises a section thinner than the sum of the thicknesses of the vertical frame and the horizontal fram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9160A KR102421768B1 (en) | 2020-10-07 | 2020-10-07 | Connection fixing device for shelf assemb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9160A KR102421768B1 (en) | 2020-10-07 | 2020-10-07 | Connection fixing device for shelf assembl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46114A true KR20220046114A (en) | 2022-04-14 |
KR102421768B1 KR102421768B1 (en) | 2022-07-18 |
Family
ID=81211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29160A Active KR102421768B1 (en) | 2020-10-07 | 2020-10-07 | Connection fixing device for shelf assembl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2176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55992A (en) | 2022-10-21 | 2024-04-30 | 주식회사 금하산업개발 | Angle Assembly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22608A (en) * | 1985-07-24 | 1987-01-30 | 増本 栄 | Assembling type shelf |
JPH02275105A (en) * | 1989-04-13 | 1990-11-09 | Tadao Tokuyama | Corner fixing device for prefabricated furniture |
JP3079006B2 (en) * | 1995-03-22 | 2000-08-21 | シャープ株式会社 | Voice recognition control device |
JP4070485B2 (en) * | 2001-05-09 | 2008-04-02 | 株式会社東芝 | Semiconductor device |
JP5014569B2 (en) * | 2004-09-16 | 2012-08-29 | オリザ油化株式会社 | Skin care composition |
KR101478953B1 (en) | 2014-08-04 | 2015-01-05 | 고진희 | Prefabricated shelf |
KR20180131781A (en) * | 2017-06-01 | 2018-12-11 | 주식회사 유영 | Angle shelf frame |
-
2020
- 2020-10-07 KR KR1020200129160A patent/KR10242176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22608A (en) * | 1985-07-24 | 1987-01-30 | 増本 栄 | Assembling type shelf |
JPH02275105A (en) * | 1989-04-13 | 1990-11-09 | Tadao Tokuyama | Corner fixing device for prefabricated furniture |
JP3079006B2 (en) * | 1995-03-22 | 2000-08-21 | シャープ株式会社 | Voice recognition control device |
JP4070485B2 (en) * | 2001-05-09 | 2008-04-02 | 株式会社東芝 | Semiconductor device |
JP5014569B2 (en) * | 2004-09-16 | 2012-08-29 | オリザ油化株式会社 | Skin care composition |
KR101478953B1 (en) | 2014-08-04 | 2015-01-05 | 고진희 | Prefabricated shelf |
KR20180131781A (en) * | 2017-06-01 | 2018-12-11 | 주식회사 유영 | Angle shelf fr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21768B1 (en) | 2022-07-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84688B2 (en) | Waveguide connector and assembly using deformable convex conductive portions | |
JP5594617B2 (en) | Antenna fixing unit | |
KR102421768B1 (en) | Connection fixing device for shelf assembly | |
JP6563830B2 (en) | Installation structure of spring bracket, soundproof panel and soundproof panel | |
TW202126227A (en) | Connection device | |
JPH06862Y2 (en) | Spacer | |
KR102180561B1 (en) | Structure for connecting cable tray having improved earthquake resistance ability | |
JPH10308991A (en) | Speaker fitting structure | |
JP2012219964A (en) | Support device | |
KR101977790B1 (en) | Joint apparatus, grounding apparatus for cable tray and cable tray comprising the same | |
KR101939200B1 (en) | Multi beam clamp | |
KR101852985B1 (en) | Apparatus for connecting deck plates | |
JP6734108B2 (en) | Corner cover | |
KR101844721B1 (en) | Wood deck system | |
KR102130350B1 (en) | Mandrel unit for bending molding | |
WO2009145367A1 (en) | Deck fastener and structure for connecting deck board | |
KR101925179B1 (en) | A Partition panel contract | |
JP2008031737A (en) | Connecting structure of wall panel and ceiling backing material | |
JP5694008B2 (en) | Widening jig | |
KR102628434B1 (en) | Fixing clip and wood board and wood deck fixed using it | |
CN113180396B (en) | connecting device | |
JP3704735B2 (en) | Electronic equipment casing | |
TW201604431A (en) | Rail structure of linear guide rail and covering band therefor | |
JP7320390B2 (en) | bolt support | |
WO2015147753A1 (en) | Furniture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1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1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7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7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