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045861A - 차량용 시트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5861A
KR20220045861A KR1020200129029A KR20200129029A KR20220045861A KR 20220045861 A KR20220045861 A KR 20220045861A KR 1020200129029 A KR1020200129029 A KR 1020200129029A KR 20200129029 A KR20200129029 A KR 20200129029A KR 20220045861 A KR20220045861 A KR 20220045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frame
link
link member
hinged
set brack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9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무영
박상도
정호석
이혁승
정찬호
윤준영
이명수
정태주
이원영
황준식
김경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9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5861A/ko
Priority to US17/339,234 priority patent/US11453314B2/en
Priority to CN202110670745.9A priority patent/CN114379430A/zh
Priority to DE102021003146.6A priority patent/DE102021003146B4/de
Publication of KR20220045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5861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B60N2/18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characterised by the cinematic
    • B60N2/1821Combination of Rods and sl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B60N2/18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B60N2/02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B60N2/1803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with independent front and/or rear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B60N2/18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characterised by the cinematic
    • B60N2/1839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characterised by the cinematic pivoting about an axis located in an intermediate position
    • B60N2002/023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시트쿠션의 틸팅시 시트쿠션의 전방부는 상승되고 후방부는 하강됨에 따라 탑승자의 하체가 전체적으로 상승되지 않음으로써 탑승자의 발이 과도하게 뜨지 않는다. 이로 인해, 탑승자의 발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 발판이 요구되지 않으며, 탑승자의 안정적인 자세 구현을 통해 편의성이 향상되는 차량용 시트 조절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 조절 장치 {SEAT ADJUST APPARATUS FOR VEHICLE SEAT}
본 발명은 시트 쿠션의 틸트시 시트 쿠션의 전방은 승강되고 후방은 하강되어 탑승자의 안정적인 자세 구현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와 보조자가 착석하는 프론트 시트와 프론트 시트의 후방으로 추가적인 탑승자를 위한 리어 시트가 마련되며, 시트에는 탑승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편의장치가 설치된다.
예를 들어, 시트에 장착되는 편의장치는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시트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시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시트 위치 조절 장치, 시트백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리클라이닝 장치, 시트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하이트 장치와 더불어 시트가 틸팅 각도가 조절되는 틸팅 장치도 구성되고 있다.
최근에는 자율주행차량의 개발도 진행됨에 따라 시트의 위치 조절이 더욱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다만, 종래의 틸팅 장치의 경우 시트가 전체적으로 틸팅됨에 따라 탑승자가 하체부터 엉덩이까지 모두 상승되게 된다. 이로 인해, 시트의 틸팅 모드시, 탑승자의 착좌 높이가 변경됨에 따라 착좌 자세가 불편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JP 2009-202844 A (2009.09.10)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시트쿠션의 틸팅시 시트쿠션의 전방부는 상승되고 후방부는 하강됨에 따라 탑승자의 하체가 전체적으로 상승되지 않음으로써 탑승자의 발이 과도하게 뜨지 않는다. 이로 인해, 탑승자의 발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 발판이 요구되지 않으며, 탑승자의 안정적인 자세 구현을 통해 편의성이 향상되는 차량용 시트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조절 장치는 후방부에 백프레임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셋트브라켓; 셋트브라켓의 상방에 배치되고 셋트브라켓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링크기구에 의해 틸팅되는 쿠션프레임;을 포함하며, 링크기구는, 셋트브라켓의 전방부에 힌지 결합되고 쿠션프레임의 전방부를 지지하며, 구동유닛과 연결되어 구동유닛의 동작 여부에 따라 쿠션프레임의 전방부를 승하강시키는 제1링크부재; 셋트브라켓의 후방부에 힌지 결합되고 쿠션프레임의 중단부 또는 후방부에 힌지 결합되어 쿠션프레임의 후방부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링크부재; 및 제1링크부재와 제2링크부재 사이에서 셋트브라켓과 쿠션프레임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쿠션프레임의 승강시 쿠션프레임의 틸팅 위치를 결정하는 제3링크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링크부재는, 쿠션프레임의 전방부에 결합되고 하방으로 연장되며 가이드슬롯이 형성된 가이드링크; 및 일단이 셋트브라켓의 전방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가이드링크의 가이드슬롯에 삽입되는 회전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이드링크는 쿠션프레임의 전방부에서 후방을 향해 사선으로 연장되고, 가이드슬롯이 가이드링크의 연장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연장되며, 회전링크는 쿠션프레임의 승강시 전방에서 후방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링크부재는 셋트브라켓 양측에 구비된 각 가이드링크의 가이드슬롯을 통과하여 각 회전링크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는 연결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동유닛은 쿠션프레임의 전방부에 설치된 구동모터; 및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동작 여부에 따라 직선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고 연결링크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구동모터의 동작시 연결링크를 이동시킴에 따라 연결링크와 함께 회전링크가 가이드슬롯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링크부재는 일단이 셋트브라켓의 후방에서 제1링크부재 및 제3링크부재보다 높은 위치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쿠션프레임의 중단부 또는 후방부에 힌지 결합되며, 하방으로 굴곡지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쿠션프레임의 중단부 또는 후방부에는 제2링크부재의 타단이 힌지 결합되는 힌지브라켓이 구비되고, 힌지브라켓은 하방을 향해 사선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링크부재는 세트브라켓에서 전방을 향해 사선으로 연장되어 쿠션프레임에 연결되고, 쿠션프레임의 승강시에도 전방에 대해 경사진 상태를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링크부재는 쿠션프레임의 중앙 부분에 위치되고 셋트브라켓과 쿠션프레임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쿠션프레임의 승강시 쿠션프레임의 전방부가 승강되고 후방부가 하강됨에 따라 탑승자의 다리 부분이 들어올려지면서 힙포인트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링크부재는 쿠션프레임의 후방부측에 위치되고 셋트브라켓과 쿠션프레임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쿠션프레임의 승강시 쿠션프레임의 전방부가 후방부 대비 더 큰 각도로 틸팅됨에 따라 탑승자의 다리 부분이 들어올려지되 탑승자의 힙포인트는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링크부재는 쿠션프레임의 전방부측에 위치되고 셋트브라켓과 쿠션프레임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쿠션프레임의 승강시 쿠션프레임의 후방부가 전방부 대비 더 큰 각도로 틸팅됨에 따라 탑승자의 다리 부분이 들어올려지는 높이 대비 탑승자의 힙포인트가 하방으로 더 낮게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시트 조절 장치는 시트쿠션의 틸팅시 시트쿠션의 전방부는 상승되고 후방부는 하강됨에 따라 탑승자의 하체가 전체적으로 상승되지 않음으로써 탑승자의 발이 과도하게 뜨지 않는다. 이로 인해, 탑승자의 발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 발판이 요구되지 않으며, 탑승자의 안정적인 자세 구현을 통해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조절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시트 조절 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시트 조절 장치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시트 조절 장치의 구동유닛 및 제1링크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시트 조절 장치의 제2링크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시트 조절 장치의 제3링크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제3링크부재가 기준 위치시 작동 전,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제3링크부재가 기준 위치보다 후방에 배치됨에 따른 작동 전,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제3링크부재가 기준 위치보다 전방에 배치됨에 따른 작동 전,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조절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조절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시트 조절 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시트 조절 장치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시트 조절 장치의 구동유닛 및 제1링크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시트 조절 장치의 제2링크부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시트 조절 장치의 제3링크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제3링크부재가 기준 위치시 작동 전,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제3링크부재가 기준 위치보다 후방에 배치됨에 따른 작동 전,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제3링크부재가 기준 위치보다 전방에 배치됨에 따른 작동 전,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조절 장치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부(100b)에 백프레임(500)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셋트브라켓(100); 셋트브라켓(100)의 상방에 배치되고 셋트브라켓(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링크기구(300)에 의해 틸팅되는 쿠션프레임(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셋트브라켓(100)은 고정레일(R1)에서 슬라이딩되는 이동레일(R2)에 설치되어 이동레일(R2)과 함께 고정레일(R1)을 따라 이동된다. 이러한 셋트브라켓(100)에는 백프레임(500)의 설치 위치를 고려하여 베이스브라켓(110)이 구비될 수 있으며, 백프레임(500)이 베이스브라켓(110)에 리클라이너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셋트브라켓(100)에는 복수의 링크기구(300)가 구비되며, 복수의 링크기구(300)를 매개로 시트쿠션이 틸팅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링크기구(300)는, 셋트브라켓(100)의 전방부(100a)에 힌지 결합되고 쿠션프레임(200)의 전방부(200a)를 지지하며, 구동유닛(400)과 연결되어 구동유닛(400)의 동작 여부에 따라 쿠션프레임(200)의 전방부(200a)를 승하강시키는 제1링크부재(310); 셋트브라켓(100)의 후방부(100b)에 힌지 결합되고 쿠션프레임(200)의 중단부(200c) 또는 후방부(200b)에 힌지 결합되어 쿠션프레임(200)의 후방부(200b)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링크부재(320); 및 제1링크부재(310)와 제2링크부재(320) 사이에서 셋트브라켓(100)과 쿠션프레임(200)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쿠션프레임(200)의 승강시 쿠션프레임(200)의 틸팅 위치를 결정하는 제3링크부재(330);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링크부재(310)는 셋트브라켓(100)의 전방부(100a)에 힌지 결합되고 쿠션프레임(200)을 지지함으로써 제1링크부재(310)의 회전시 셋트브라켓(100)이 승강 또는 하강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링크부재(310)는 쿠션프레임(200) 또는 셋트브라켓(100)에 설치되는 구동유닛(400)에 의해 회전 운동될 수 있다.
제2링크부재(320)는 셋트브라켓(100)의 후방부(100b)와 쿠션프레임(200)의 중단부(200c) 또는 후방부(200b)에 힌지 결합된다. 이를 통해, 구동유닛(400)이 동작되고 제1링크부재(310)에 의한 쿠션프레임(200)의 전방부(200a)가 승강시, 쿠션프레임(200)의 후방부(200b)가 전방부(200a)의 승강에 대응하여 회전 이동됨으로써 쿠션프레임(200)의 틸팅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제3링크부재(330)는 제1링크부재(310)와 제2링크부재(320) 사이에서 셋트브라켓(100)과 쿠션프레임(200)에 힌지 결합되어 쿠션프레임(200)의 승강시 쿠션프레임(200)의 틸팅 위치를 결정한다. 즉, 쿠션프레임(200)의 승강시, 제3링크부재(330)가 쿠션프레임(200)과 함께 회전되면서 쿠션프레임(200)이 틸팅되도록 한다. 이렇게, 제3링크부재(330)가 쿠션프레임(200)의 승강시 함께 회전됨으로써, 쿠션프레임(200)의 전방부(200a)는 승강되되 전방부(200a)의 승강이 제3링크부재(330)에 의해 규제됨에 따라 쿠션프레임(200)의 후방부(200b)는 하강된다.
이와 같이, 쿠션프레임(200)은 구동유닛(400)의 동작시 제1링크부재(310), 제2링크부재(320), 제3링크부재(330)에 의해 전방부(200a)가 승강되고 후방부(200b)가 하강되는 틸팅 동작이 수행됨으로써, 탑승자가 전체적으로 상승되는 것이 아니라 다리의 앞쪽 부분만 상승됨에 따라 편안한 착좌 자세가 유지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 내지 4에서 볼 수 있듯이, 제1링크부재(310)는, 쿠션프레임(200)의 전방부(200a)에 결합되고 하방으로 연장되며 가이드슬롯(312)이 형성된 가이드링크(311); 및 일단이 셋트브라켓(100)의 전방부(100a)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가이드링크(311)의 가이드슬롯(312)에 삽입되는 회전링크(3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제1링크부재(310)는 가이드링크(311)와 회전링크(313)로 구성되며, 회전링크(313)의 회전시 회전링크(313)가 가이드링크(311)의 가이드슬롯(312)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가이드링크(311)가 회전링크(313)의 회전 운동에 의해 직선 운동되어 쿠션프레임(200)이 승하강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가이드링크(311)는 쿠션프레임(200)의 전방부(200a)에서 후방을 향해 사선으로 연장되고, 가이드슬롯(312)이 가이드링크(311)의 연장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회전링크(313)는 쿠션프레임(200)의 승강시 전방에서 후방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유닛(400)의 동작시, 회전링크(313)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가이드링크(311)는 가이드슬롯(312)을 따라 이동되는 회전링크(313)에 의해 들어올려짐으로써, 쿠션프레임(200)이 승강 동작될 수 있다. 여기서, 쿠션프레임(200)의 승강시 회전링크(313)의 회전방향과 가이드링크(311)의 연장방향은 반대로 구성할 수 있으나, 반대로 구성할 경우 각 링크가 쿠션프레임(200)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는바, 회전링크(313)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회전되고 가이드링크(311)는 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제1링크부재(310)는 셋트브라켓(100) 양측에 구비된 각 가이드링크(311)의 가이드슬롯(312)을 통과하여 각 회전링크(313)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는 연결링크(3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셋트브라켓(100)의 양측에 구비되는 제1링크부재(310)는 연결링크(314)의 연결에 의해 동시에 회전 동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링크부재(310)뿐만 아니라, 제2링크부재(320)와 제3링크부재(330)도 셋트브라켓(100)의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된다.
제1링크부재(310)를 회전시키는 구동유닛(400)은 쿠션프레임(200)의 전방부(200a)에 설치된 구동모터(410); 및 구동모터(410)에 연결되어 구동모터(410)의 동작 여부에 따라 직선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고 연결링크(314)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구동모터(410)의 동작시 연결링크(314)를 후방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연결링크(314)와 함께 회전링크(313)가 가이드슬롯(312)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동력전달부(420);를 포함한다.
여기서, 구동모터(410)는 정역 회전이 가능한 모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모터브라켓(411)을 통해 쿠션프레임(200)에 설치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420)는 구동모터(41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인출 또는 인입되는 로드스크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동력전달부(420)는 연결링크(314)와 연결브라켓(315)를 매개로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구동모터(410) 동작시 후방으로 인출 동작된다.
이로 인해, 쿠션프레임(200)을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모터(410)의 동작시, 구동모터(410)가 동작됨에 따라 동력전달부(420)가 인출되어 연결링크(314)를 후방으로 밀어주게 되고, 연결링크(314)에 연결된 회전링크(313)들이 후방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가이드링크(311)의 가이드슬롯(312)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가이드링크(311)가 회전링크(313)에 의해 들어올려져 쿠션프레임(200)을 승강시킬 수 있다. 이처럼, 하나의 구동유닛(400)으로 연결링크(314)를 이동시킴으로써, 셋트브라켓(100)의 양측에 마련되는 가이드링크(311)와 회전링크(313)가 동시에 회전되어 쿠션프레임(200)을 안정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링크부재(320)는 일단이 셋트브라켓(100)의 후방에서 제1링크부재(310) 및 제3링크부재(330)보다 높은 위치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쿠션프레임(200)의 중단부(200c) 또는 후방부(200b)에 힌지 결합되며, 하방으로 굴곡지게 연장될 수 있다.
즉, 제2링크부재(320)는 'C'형태로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일단이 셋트브라켓(100)에 구비되는 베이스브라켓(110)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쿠션프레임(200)의 중단부(200c) 또는 후방부(200b)에 힌지 결합되어 쿠션프레임(200)이 승강됨에 따른 틸팅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2링크부재(320)는 쿠션프레임(200)의 중단부(200c) 또는 후방부(200b)에서 회전포인트가 설정되도록 하여, 쿠션프레임(200)의 전방부(200a)는 승강되고 후방부(200b)는 하강되도록 한다. 만약, 제2링크부재(320)가 단순히 직선상으로 형성될 경우, 쿠션프레임(200)의 전방부(200a) 승강시 제2링크부재(320)가 함께 상방으로 회전되면서 쿠션프레임(200)을 전방으로 상승시키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2링크부재(320)는 'C'형태로 굴곡지게 형성됨으로써, 쿠션프레임(200)의 승강시 쿠션프레임(200)이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쿠션프레임(200)의 전방부(200a) 승강과 동시에 후방부(200b)의 하강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쿠션프레임(200)의 중단부(200c) 또는 후방부(200b)에는 제2링크부재(320)의 타단이 힌지 결합되는 힌지브라켓(120)이 구비되고, 힌지브라켓(120)은 하방을 향해 사선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굴곡지게 형성되는 제2링크부재(320)가 힌지브라켓(120)을 통해 직선상으로 연결됨에 따라, 쿠션프레임(200)의 승강시 쿠션프레임(200)의 전방부(200a)가 상승되고 후방부(200b)가 하강됨에 따른 기울어짐에 대해 제2링크부재(320)가 힌지브라켓(120)을 매개로 쿠션프레임(2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쿠션프레임(200)이 전방부(200a)와 후방부(200b)로 분리 구성될 경우 힌지브라켓(120)이 쿠션프레임(200)의 전방부(200a)와 후방부(200b)를 연결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한편, 제3링크부재(330)는 셋트브라켓(100)에서 전방을 향해 사선으로 연장되어 쿠션프레임(200)에 연결되고, 쿠션프레임(200)의 승강시에도 전방에 대해 경사진 상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제3링크부재(330)는 셋트브라켓(100)에서 전방을 향해 사선으로 연장됨으로써, 쿠션프레임(200)의 승강시 쿠션프레임(200)의 전방부(200a) 상승에 대응하면서 쿠션프레임(200)이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한다. 이를 위해, 제3링크부재(330)는 제1링크부재(310)가 펼쳐진 최종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3링크부재(330)는 제1링크부재(310)와 제2링크부재(320) 사이에서, 그 설치 위치에 따라 쿠션프레임(200)의 틸팅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링크부재(330)는 쿠션프레임(200)의 중앙 부분에 위치되고 셋트브라켓(100)과 쿠션프레임(200)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쿠션프레임(200)의 승강시 쿠션프레임(200)의 전방부(200a)가 승강되고 후방부(200b)가 하강됨에 따라 탑승자의 다리 부분이 들어올려지면서 힙포인트가 하방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제3링크부재(330)는 쿠션프레임(200)의 전방부(200a)에 연결되는 제1링크부재(310)와 쿠션프레임(200)의 중단부(200c) 또는 후방부(200b)에 연결되는 제2링크부재(320) 사이에서 중앙측에 설치됨으로써, 쿠션프레임(200)의 승강시 쿠션프레임(200)의 전방부(200a)는 승강되고 후방부(200b)는 하강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즉,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쿠션프레임(200)의 승강시, 제3링크부재(330)가 쿠션프레임(200)의 회전 위치를 규제함에 따라 쿠션프레임(200)의 전방부(200a)는 31mm정도 상승되고, 쿠션프레임(200)의 후방부(200b)는 23mm정도 하강된다.
이로 인해, 탑승자의 다리 부분이 들어올려져 상방으로 이동되고, 동시에 탑승자의 힙포인트가 하방으로 이동되게 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링크부재(330)는 쿠션프레임(200)의 후방부(200b)측에 위치되고 셋트브라켓(100)과 쿠션프레임(200)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쿠션프레임(200)의 승강시 쿠션프레임(200)의 전방부(200a)가 후방부(200b) 대비 더 큰 각도로 틸팅됨에 따라 탑승자의 다리 부분이 들어올려지되 탑승자의 힙포인트는 유지된다.
즉, 제3링크부재(330)는 쿠션프레임(200)의 후방부(200b)에서 제2링크부재(320)가 쿠션프레임(200)에 연결되는 위치에 인접하게 설치될 경우, 쿠션프레임(200)의 승강시 쿠션프레임(200)의 전방부(200a)는 승강되되 후방부(200b)는 상대적으로 하강되는 길이를 작게 한다. 이에 따라, 도 8에서 볼 수 있듯이, 쿠션프레임(200)의 승강시, 제3링크부재(330)가 쿠션프레임(200)의 회전 위치를 규제함에 따라 쿠션프레임(200)의 전방부(200a)는 30mm정도 상승되고, 쿠션프레임(200)의 후방부(200b)는 16mm정도 하강된다.
이로 인해, 탑승자의 다리 부분이 들어올려지되 탑승자의 힙포인트는 높이 변화가 크게 발생되지 않음에 따라 힙포인트의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링크부재(330)는 쿠션프레임(200)의 전방부(200a)측에 위치되고 셋트브라켓(100)과 쿠션프레임(200)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쿠션프레임(200)의 승강시 쿠션프레임(200)의 후방부(200b)가 전방부(200a) 대비 더 큰 각도로 틸팅됨에 따라 탑승자의 다리 부분이 들어올려지는 높이 대비 탑승자의 힙포인트가 하방으로 더 낮게 이동될 수 있다.
즉, 제3링크부재(330)는 쿠션프레임(200)의 전방부(200a)에서 제1링크부재(310)가 쿠션프레임(200)에 연결되는 위치에 인접하게 설치될 경우, 쿠션프레임(200)의 승강시 쿠션프레임(200)의 전방부(200a)가 승강되는 높이는 상대적으로 작되 후방부(200b)의 하강되는 길이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에서 볼 수 있듯이, 쿠션프레임(200)의 승강시, 제3링크부재(330)가 쿠션프레임(200)의 회전 위치를 규제함에 따라 쿠션프레임(200)의 전방부(200a)는 17mm정도 상승되고, 쿠션프레임(200)의 후방부(200b)는 24mm정도 하강된다.
이로 인해, 탑승자의 다리 부분이 들어올려지는 높이 대비 탑승자의 힙포인트가 하방으로 더 낮게 이동될 수 있다.
이처럼, 제3링크부재(330)에 의해 쿠션프레임(200)의 승강시 쿠션프레임(200)의 전방부(200a)는 승강되고 후방부(200b)는 하강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제3링크부재(330)의 설치 위치에 따라 쿠션프레임(200)의 틸팅 궤적이 변경됨으로써 탑승자가 요구하는 시트 착좌 자세에 부합하는 최적의 자세를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초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프레임(200)이 위치된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프레임(200)의 틸팅 동작시 구동유닛(400)이 동작됨에 따라 제1링크부재(310)의 가이드링크(311) 및 회전링크(313)의 펼쳐짐 동작에 의해 쿠션프레임(200)의 전방부(200a)가 승강된다. 이때, 제3링크부재(330)도 쿠션프레임(200)과 함께 회전되면서 쿠션프레임(200)의 틸팅을 가이드하고, 제2링크부재(320)가 회전되면서 쿠션프레임(200)의 전방부(200a)는 승강되고 후방부(200b)는 하강되게 된다.
이로 인해, 시트의 틸팅 모드시, 탑승자의 엉덩이가 높게 뜨지 않음에 따라 탑승자의 하체가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시트 조절 장치는 시트쿠션의 틸팅시 시트쿠션의 전방부는 상승되고 후방부는 하강됨에 따라 탑승자게 하체가 전체적으로 상승되지 않음으로써 탑승자의 발이 과도하게 뜨지 않는다. 이로 인해, 탑승자의 발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 발판이 요구되지 않으며, 탑승자의 안정적인 자세 구현을 통해 편의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셋트브라켓 200:쿠션프레임
300:링크기구 310:제1링크부재
311:가이드링크 312:가이드슬롯
313:회전링크 314:연결링크
320:제2링크부재 330:제3링크부재
400:구동유닛 410:구동모터
420:동력전달부 500:백프레임

Claims (11)

  1. 후방부에 백프레임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셋트브라켓;
    셋트브라켓의 상방에 배치되고 셋트브라켓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링크기구에 의해 틸팅되는 쿠션프레임;을 포함하며,
    링크기구는, 셋트브라켓의 전방부에 힌지 결합되고 쿠션프레임의 전방부를 지지하며, 구동유닛과 연결되어 구동유닛의 동작 여부에 따라 쿠션프레임의 전방부를 승하강시키는 제1링크부재;
    셋트브라켓의 후방부에 힌지 결합되고 쿠션프레임의 중단부 또는 후방부에 힌지 결합되어 쿠션프레임의 후방부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링크부재; 및
    제1링크부재와 제2링크부재 사이에서 셋트브라켓과 쿠션프레임에 힌지 결합되어 쿠션프레임의 승강시 쿠션프레임의 틸팅 위치를 결정하는 제3링크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조절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링크부재는, 쿠션프레임의 전방부에 결합되고 하방으로 연장되며 가이드슬롯이 형성된 가이드링크; 및
    일단이 셋트브라켓의 전방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가이드링크의 가이드슬롯에 삽입되는 회전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조절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가이드링크는 쿠션프레임의 전방부에서 후방을 향해 사선으로 연장되고, 가이드슬롯이 가이드링크의 연장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연장되며,
    회전링크는 쿠션프레임의 승강시 전방에서 후방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조절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링크부재는 셋트브라켓 양측에 구비된 각 가이드링크의 가이드슬롯을 통과하여 각 회전링크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는 연결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조절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구동유닛은 쿠션프레임의 전방부에 설치된 구동모터; 및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동작 여부에 따라 직선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고 연결링크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구동모터의 동작시 연결링크를 이동시킴에 따라 연결링크와 함께 회전링크가 가이드슬롯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조절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링크부재는 일단이 셋트브라켓의 후방에서 제1링크부재 및 제3링크부재보다 높은 위치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쿠션프레임의 중단부 또는 후방부에 힌지 결합되며, 하방으로 굴곡지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조절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쿠션프레임의 중단부 또는 후방부에는 제2링크부재의 타단이 힌지 결합되는 힌지브라켓이 구비되고, 힌지브라켓은 하방을 향해 사선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조절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제3링크부재는 세트브라켓에서 전방을 향해 사선으로 연장되어 쿠션프레임에 연결되고, 쿠션프레임의 승강시에도 전방에 대해 경사진 상태를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조절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제3링크부재는 쿠션프레임의 중앙 부분에 위치되고 셋트브라켓과 쿠션프레임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쿠션프레임의 승강시 쿠션프레임의 전방부가 승강되고 후방부가 하강됨에 따라 탑승자의 다리 부분이 들어올려지면서 힙포인트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조절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제3링크부재는 쿠션프레임의 후방부측에 위치되고 셋트브라켓과 쿠션프레임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쿠션프레임의 승강시 쿠션프레임의 전방부가 후방부 대비 더 큰 각도로 틸팅됨에 따라 탑승자의 다리 부분이 들어올려지되 탑승자의 힙포인트는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조절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제3링크부재는 쿠션프레임의 전방부측에 위치되고 셋트브라켓과 쿠션프레임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쿠션프레임의 승강시 쿠션프레임의 후방부가 전방부 대비 더 큰 각도로 틸팅됨에 따라 탑승자의 다리 부분이 들어올려지는 높이 대비 탑승자의 힙포인트가 하방으로 더 낮게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조절 장치.
KR1020200129029A 2020-10-06 2020-10-06 차량용 시트 조절 장치 Pending KR2022004586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029A KR20220045861A (ko) 2020-10-06 2020-10-06 차량용 시트 조절 장치
US17/339,234 US11453314B2 (en) 2020-10-06 2021-06-04 Seat adjustment apparatus for vehicle
CN202110670745.9A CN114379430A (zh) 2020-10-06 2021-06-17 用于车辆的座椅调节装置
DE102021003146.6A DE102021003146B4 (de) 2020-10-06 2021-06-18 Sitzverstell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029A KR20220045861A (ko) 2020-10-06 2020-10-06 차량용 시트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5861A true KR20220045861A (ko) 2022-04-13

Family

ID=80738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9029A Pending KR20220045861A (ko) 2020-10-06 2020-10-06 차량용 시트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53314B2 (ko)
KR (1) KR20220045861A (ko)
CN (1) CN114379430A (ko)
DE (1) DE102021003146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5357B1 (ko) * 2022-07-25 2023-01-09 주식회사 휴곤오토모빌 차량용 시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3572A (ko) * 2021-11-02 2023-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모빌리티용 시트 조절 장치
CN117284176A (zh) * 2022-06-16 2023-12-26 李尔公司 用于调节座椅位置的组件
US12208710B2 (en) * 2022-08-31 2025-01-28 Lear Corporation Seat assembly
KR20240033822A (ko) * 2022-09-06 2024-03-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2844A (ja) 2008-02-29 2009-09-10 Aisin Seiki Co Ltd シートリフ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17810A1 (de) 1986-05-27 1987-12-03 Keiper Recaro Gmbh Co Fahrzeugsitz mit einer in ihrer hoehe und neigung verstellbaren sitzflaeche
JP2001097083A (ja) * 1999-09-29 2001-04-10 Aisin Seiki Co Ltd シートバーチカル装置
JP4069672B2 (ja) * 2002-05-15 2008-04-02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シートバーチカル装置
CN100473562C (zh) * 2003-10-30 2009-04-01 白木工业株式会社 座椅
DE102017206679A1 (de) 2017-04-20 2018-10-25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Verstelleinrichtung für die Längsverstellung eines Fahrzeugsitzes
DE102017126944B4 (de) * 2017-11-16 2019-08-29 Grammer Aktiengesellschaft Fahrzeugsitz mit Führungseinrichtung
KR102586461B1 (ko) 2019-03-25 2023-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피로 저감 시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2844A (ja) 2008-02-29 2009-09-10 Aisin Seiki Co Ltd シートリフタ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5357B1 (ko) * 2022-07-25 2023-01-09 주식회사 휴곤오토모빌 차량용 시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379430A (zh) 2022-04-22
US11453314B2 (en) 2022-09-27
US20220105835A1 (en) 2022-04-07
DE102021003146A1 (de) 2022-04-07
DE102021003146B4 (de) 2025-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45861A (ko) 차량용 시트 조절 장치
KR102805145B1 (ko)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
CN101130344B (zh) 车辆用座椅装置
JP5087974B2 (ja) 車両用シート
US7533936B2 (en) Vehicle seat assembly
US6095610A (en) Automotive seat with electrically actuated ottoman
KR102602914B1 (ko) 차량용 시트의 높이 조절 장치
KR102804806B1 (ko)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
CN111186345A (zh) 一种提高汽车座椅舒适度及增加乘座空间的装置
KR20240016050A (ko) 모빌리티용 시트 조절 장치
JPH08266370A (ja) スイングシートの連動式フットレスト
KR100457396B1 (ko) 차량용 시트의 높이조절장치
JP2008049847A (ja) 自動車用シート装置
KR20210082813A (ko) 효율적인 자동차 시트 헤드레스트 조절 장치
KR20230063572A (ko) 모빌리티용 시트 조절 장치
KR102338310B1 (ko) 차량용 시트
JP2003040002A (ja) シートの上下調節機構
JP5056125B2 (ja) 車両用シート
JP4534831B2 (ja) 自動車のシート位置調整装置
JP2008049846A (ja) 自動車用シート装置
CN218773619U (zh) 一种手臂支撑结构
KR20220069246A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위치 조절 장치
JPS5941876Y2 (ja) 座席
JP2000333764A (ja) 車両用シート
CN222629156U (zh) 座垫可高调和前移的前排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