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044950A - 내부 리어뷰 미러 및 차량 - Google Patents

내부 리어뷰 미러 및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4950A
KR20220044950A KR1020227003560A KR20227003560A KR20220044950A KR 20220044950 A KR20220044950 A KR 20220044950A KR 1020227003560 A KR1020227003560 A KR 1020227003560A KR 20227003560 A KR20227003560 A KR 20227003560A KR 20220044950 A KR20220044950 A KR 20220044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bezel
housing
vehicle
l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3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66719B1 (ko
Inventor
허만 안드레아스
한창균
임철호
허호진
홍원식
최건영
임창환
알리 프레시팔리
Original Assignee
마더슨 이노베이션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더슨 이노베이션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마더슨 이노베이션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44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4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66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6671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1/1207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lamps; with tur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3Anti-glare mirrors, e.g. "day-night" mirrors
    • B60R1/088Anti-glare mirrors, e.g. "day-night" mirrors using a cell of electrically changeable optical characteristic, e.g. liquid-crystal or electrochromic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23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sensors or transduc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53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cameras, video cameras or video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자동차에 사용되도록 구성된 내부 리어뷰 디바이스(1)에 관한 것으로, 상기 내부 리어뷰 디바이스는 반사 요소(10) 및 디스플레이 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리어뷰 요소-리어뷰 요소는 정상 상태 및 리어뷰 요소에서 광이 반사되는 결과로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경험하는 눈부심을 감소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눈부심 방지 상태를 가지고-; 상기 리어뷰 요소를 둘러싸며, 하우징(60)에 둘러싸이는 베젤(32);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40, 50)과 연결되는 센서 수단을 포함하는 제어 수단-상기 제어수단은 적어도 리어뷰 요소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60) 및 리어뷰 요소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디바이스(1)가 차량에 일반적으로 장착되면 상기 베젤(32)의 외곽 에지(31)는 노출되고,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게 시인가능하며; 상기 외곽 에지(31)는 상기 리어뷰 요소(10)의 전면 및/또는 반사면과 상기 하우징(60, 60') 사이에 위치하는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60)은 상기 외곽 에지(31)의 곡면을 너머 가장자리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65, 65')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65, 65')는 상기 차량에 상기 디바이스(1)가 일반적으로 장착되면 운전자에 의해 시인가능한 것을 포함한다. 상기 개시는 또한 이러한 내부 리어뷰 디바이스를 가지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부 리어뷰 미러 및 차량
실시 예는 내부 리어뷰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시장에는 다른 기능들을 가지는 다양한 내부 리어뷰 디바이스가 있다. 다음 참조는 그러한 스펙트럼을 가지는 디바이스들을 설명하는 출원인의 2개의 문서에 대한 것이다.
EP3 126 935 B1은 피봇 가능한 차량용 내부 미러에 관한 것으로, 피봇 디바이스와 작동 장치를 포함한다. 피봇 디바이스는 정상위치에서 디밍위치로 내부 미러가 이동하도록 설계되고, 디밍위치에서 내부미러에 의한 차량의 운전자의 눈부심은 감소된다. 작동장치는 운전자의 움직임에 응답하여 상기 피봇 디바이스를 작동시킨다.
차량에 사용되는 리어뷰 디바이스는 WO 2018/167096에 의해 하우징, 베젤 및 리어뷰 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베젤은 하나 이상의 광 어셈블리가 베젤 내부나 베젤 하부에 배치되어 주변을 조명하고, 운전자나 다른 사람에게 상이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하거나 크롬 기반의 코팅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다양한 표시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전자수단은 리어뷰 디바이스의 사용 공간을 최적화 하기 위해 베젤의 내부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내부 리어뷰 디바이스는 특히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인간-기계 인터페이스(HMI, Human machine interface)와 함께 제공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출원인의 EP3 017 545 A1은 투명한 패널 기판; 배면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광원; 및 배면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기판의 전면은 사용시 사용자에게 보이는 도전성 반투명층이 사용되고, 상기 광원은 조명된 아이콘이 커버패널의 전면에서 보이는 '온'상태와 조명된 아이콘이 상기 커버패널의 전면에서 보이지 않는 '오프'상태 사이에서 스위칭 가능하며, 상기 광원은 도전성 반투명층의 커패시턴스의 변화에 의해 오프 상태에서 온상태로 스위칭 가능하며, 상기 스위치는 사용자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출력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조명된 아이콘 부근에서 터치패널을 누름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최근의 디밍기능이 장착된 내부 리어뷰 디바이스에 전기변색 반사 요소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US 2013/0252979 A1은 전해질층이 고체일 수 있지만 아직 리어뷰 디바이스에는 사용되지 않은 특별한 전기변색요소를 개시한다.
US 2012/0236388 A1은 하우징 및 글래스 기판을 가지는 미러 반사 요소를 포함하는 내부 리어뷰 미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반사요소가 상기 하우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될 때 글래스 기판의 후면을 넘어 글래스 기판의 전면을 향해 돌출된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글래스 기판은 상기 리어뷰 요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하우징에 수용될 때 하우징의 상기 요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글래스 기판의 후면의 외곽 외주면을 따라 기울어진 후방 외곽 에지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글래스 기판은 상기 글래스 기판의 전면의 주변 원주를 따라 경사진 전면 주변을 포함한다. 상기 글래스 기판의 상기 경사진 전면 주변은 노출되고,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게 시인가능하다.
WO 2012/051294 A1은 차량과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장착 구조를 가지는 리어뷰 어셈블리를 교시한다. 하우징은 장착구조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방 관찰 디바이스는 상기 하우징 및 장착 구조 중 하나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후방 관찰 디바이스는 차량 운전자에게 후방뷰를 제공하고, 전방기판 및 후방기판을 포함한다. 전방기판의 모든 전면은 노출되고, 모든 후방기판은 전방기판의 뒤에 위치한다. 은닉층은 전방기판과 후방기판 사이의 후방 관찰 디바이스의 주변부 주위에 배치된다. 부분적으로 광학적으로 투명한 베젤은 후방 관찰 디바이스 및 하우징 모두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광학적으로 투명한 베젤은 2.5mm보다 큰 반경을 가지고, 광학적으로 투명한 베젤은 전방 기판의 전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평면이다.
EP 3 126 935 B1은 차량을 위한 피봇가능한 내부 미러를 교시한다. 피봇 가능한 내부 미러는 특히 쐐기미러의 제1 면 형태의 미러 표면, 차량 운전자의 적어도 하나의 제스처 및/또는 상기 쐐기미러의 제1면에 충돌하는 광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장치, 미러 표면을 정상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눈부심 방지 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한 피봇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눈부심 방지 위치는 운전자가 미러 표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결과로 경험하는 눈부심이 감소되는 위치이다. 상기 피봇 장치는 상기 센서장치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신호의 기능과 같이 활성화 될 수 있다. 상기 센서 장치는 광전파시간을 측정하는데 적합하고 피봇 장치를 위한 작업자 제어 장치의 구성요소이다. 상기 작업자 제어장치는 내부 미러의 제1 영역 내에서 모션 패턴을 감지하고, 상기 내부 미러의 제2 영역 내에 적어도 하나의 가상 버튼을 제공한다.
WO 2017/191558 A1은 케이스가 없는 전기 광학 리어뷰 미러 반사요소 및 상기 반사요소의 후방에 부착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기광학 리어뷰 미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미러 반사 요소는 볼과 소켓 피봇 조인트를 통해 윈드실드 전자 모듈에 연결되고, 이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어 회로는 자동적으로 전기광학 매체의 디밍을 제어하기 위해 윈드실드 전자 모듈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대안적으로, 전기 광학 매체의 디밍은 장착된 차량의 다기능 후방 백업 카메라 시스템을 통해 자동적으로 제어된다. 선택적으로, 제어 회로는 미러 반사 요소의 전기변색 매체의 디밍은 상기 볼과 소켓 피봇 조인트를 통과하는 배선을 통해 제어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기능 후방 백업 카메라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 데이터는 주변광 결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내부 리어뷰 미러 어셈블리에 비디오 이미지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US 2015/0334354 A1은 차량의 내부 부분에 피봇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바이저가 상기 차량의 지붕을 따라 배치되는 비사용 위치와 상기 바이저 요소가 차량의 윈드실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따라 배치되는 사용 위치 사이에서 피봇가능한 바이저 요소를 포함하는 차량용 바이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화장 거울 반사 요소는 글래스 미러 기판 및 미러 반사 코팅을 포함한다. 상기 화장 거울 반사 요소는 바이저 요소에 배치되어 상기 바이저 요소가 사용 위치로 피봇되면 차량의 운전자에게 보여질 수 있다. 상기 미러 기판은 둥근 주변 에지를 가진다. 상기 둥근 주변 에지는 바이저 요소에 노출되고, 상기 바이저요소가 상기 차량의 내부 부분에 피봇가능하게 부착되고, 사용 위치에 있으면 차량의 운전자에게 보여질 수 있다.
다수의 내부 리어뷰 미러가 알려져 있는데도 불구하고, 여전히 기능과 디자인을 향상에 대한 니즈가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바람직하게는 특수한 조명효과 뿐만 아니라 작동하기 쉬운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를 허용하는 광학적으로 매력적인 내부 리어뷰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의 자동차와 함께 사용되는 내부 리어뷰 디바이스에 의해 해결된다. 상기 내부 리어뷰 디바이스는 반사요소 및 디스플레이 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리어뷰 요소; 상기 리어뷰 요소를 둘러싸며 하우징에 둘러싸이는 베젤; 및 상기 하우징을 차량에 부착하기 위해 구성된 마운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베젤의 외곽 에지는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차량에 일반적으로 장착되면,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게 노출되고, 차량의 운전자에게 시인가능하며; 상기 외곽에지는 상기 리어뷰 요소의 전면 및/또는 반사면과 하우징 사이에 위치하는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외곽 에지의 곡면을 너머 가장자리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차량에 디바이스가 일반적으로 장착되면 운전자에 의해 시인가능하다. 상기 돌출부는 높이가 0.1 내지 2.1mm 사이인 단차를 제공하고 또는 제공하거나 곡면의 곡률은 적어도 2.5mm의 반경을 가진다. 상기 베젤의 상기 외곽 에지의 곡면은 차량 내부의 운전자나 다른 사람의 부상을 유발할 수 있는 모서리를 방지하여 안전을 보장한다.
본 개시에 의하면 내부 리어뷰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광어셈블리를 더 포함합니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 어셈블리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젤의 내부 공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됨,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 어셈블리(300)는 베젤(32)이 상기 하우징(60)과 상기 반사요소(10) 사이의 적어도 영역을 발광시키기 위하고/위하거나 액츄에이션 수단(430)을 제공하기 위한 광 가이드(400) 역할을 하도록 광을 상기 베젤(32) 내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 어셈블리는 상기 베젤의 모든 표면에 다수의 다른 색상광을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모든 베젤이 하나의 시점에 하나의 색상을 가질 수 있음,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 어셈블리는 상기 베젤의 다른 영역들에 다수의 다른 색상광을 출력하도록 제공되어, 상기 베젤의 다른 영역들은 하나의 시점에 다른 색상을 가질 수 있음,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영역 또는 베젤의 모든 표면에 선택된 밝기 및/또는 색상으로 광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상기 베젤은 유색, 표면 마감, 투명 및 코팅 중 적어도 하나인 플라스틱 기판으로 구성됨; 및/또는 상기 베젤은 코팅되고, 상기 베젤의 코팅은 장식 코팅, 선진 표면 기술(Advanced surface technology) 표면코팅 및 스펙트럼 제어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임; 및/또는 상기 베젤은 폴리머 기판으로 형성되거나 성형된다.
상기 베젤이 반사 특징을 나타낼 때 추가적인 이점이 제공되며, 베젤은 투명하고, 크롬 기반의 코팅을 포함하고, 특히 하나 이상의 광원을 발광전까지 상기 베젤 아래에 숨기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크롬 기반의 코팅은 크롬 및 도핑된 물질의 합금이다. 상기 도핑 물질은 조밀육방 전이 금속들(hexagonally close-packed transition metals)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합금은 2차 오메가 조밀육방상(secondary omega hexagonally close-packed phase)과 공존하는 1차 체심입방상(primary body-centered cubic phase)으로 구성된 결정구조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곽 에지 및/또는 곡면은 크롬기반 코팅과 함께 제공됨, 및/또는 상기 외곽 에지 및/또는 상기 곡면은 센서수단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엑츄에이션 요소와 함께 제공되며, 상기 액츄에이션 요소는 특히 마크, 아이콘 및/또는 가상 버튼을 제공하는 컷-아웃으로 구성된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과 상기 리어뷰 요소 사이에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이 제공될 수 있고/ 또는 하나 이상의 광 어셈블리와 연결되고/연결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된 센서 수단으로 구성된 제어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매우 단순한 구조는 상기 베젤은 하우징 커버로 제공되고,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 센서 수단 및/또는 하나 이상의 광 어셈블리는 상기 하우징 커버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 커버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사 요소를 위해 특히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접근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 및/또는 특히 상기 센서수단의 센서로 방사광을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와 함께 제공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와 함께 상기 센서수단은 TOF(Time of Flight) 센서 형태로 구성된, 특히 TOF카메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100, 102), 및/또는 주변광센서(ALS, Ambient Light Sensor)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센서,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차량내부에 배치된 추가 광원에 의해 조사되는 광전센서 형태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3 센서(106, 108),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가상버튼을 제공하는 터치센서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제4 센서(104)를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제1 센서, 제1-2 센서, 제1-3 센서 및/또는 제1-4센서는 상기 반사요소의 반사표면에, 특히 반사표면 상 또는 반사표면 아래에, 방사를 투과하기 위한 윈도우(12)와 함께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측에 설치되고/되거나 제2-2 센서은 반사 표면 또는 반사표면의 아래로부터 상기 디바이스의 반대측에 설치되고, 바람직하게는 방사를 투과하기 위한 윈도우와 함께 제공됨, 및/또는 제2-3 센서 및/또는 제2-4 센서는 상기 베젤 상이나 내부에 설치됨, 및/또는 제3-3 센서 및/또는 제3-4 센서는 상기 하우징 상이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은 상기 내부 리어뷰 디바이스가 상기 베젤 상이나 내부, 상기 하우징 및/또는 반사 요소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션 수단,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버튼, 특히 가상버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터치센서로 구성되고/구성되거나 상기 제어 수단에 연결된 카메라에 의해 감시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반사표면에 대한 제1 공간 간격의 모션 패턴들을 검출하기 적합하고/하거나 제2 공간 간격에 적어도 하나의 가상 버튼을 제공하는 것을 제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공간 간격은 상기 제어수단의 제1 영역에 제공되고, 상기 제2 공간 간격은 상기 제어수단의 제2 영역에 제공된다. 특히 상기 제2 공간 간격은 상기 제1 공간간격보다 상기 반사 표면에 더 가깝게 배열된다.
본 개시와 함께 상기 제어수단은 특히 상기 장치를 제어할 때 차량의 상태 및/또는 차량의 주변 환경을 고려하도록 상기 차량의 제어 유닛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도록 제안된다.
또한, 리어뷰 요소는 정상상태 및 리어뷰 수단에서 광이 반사의 결과로 차량의 운전자가 경험하는 눈부심이 감소되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방지상태를 가지고, 특히 상기 반사 요소는 전기변색요소를 포함하는 경우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내부 리어뷰 디바이스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인쇄회로기판이 바람직하게는 EC 인쇄회로기판, 및/또는 센서 및/또는 액츄에이션 수단 인쇄회로기판 형태로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마운트 어셈블리의 연결수단과의 관섭을 피하기 위해 성형되고, 구부러지고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컷아웃이 제공되는 것이 제안된다.
본 개시는 본 개시의 내부 리어뷰 디바이스가 장착된 차량을 제공한다.
차량은 액츄에이션 수단의 작동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및/또는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내부 리어뷰 디바이스(1)의 다양한 실시 예는 장식 및/또는 정보 제공을 위한 조명 기능, 디밍 기능, HMI 기능 등을 포함하는 다기능 뿐만 아니라 구현된 보안 기능과 결합된 특별한 만족스러운 매력을 제공하는 디자인 다양성을 설명한다.
전술한 요약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읽으면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면의 목적은 본 개시의 특정 실시 예가 도면에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개시는 도시된 정확한 배열 및 수단에 제한되지 않는 것을 이해해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 통합되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장치의 구현을 개략적으로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개시내용과 일치하는 장점 및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a는 본 개시의 제1 실시 예의 내부 리어뷰 디바이스의 정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내부 리어뷰 디바이스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2 실시 예의 내부 리어뷰 디바이스의 분해도이다;
도 3a는 인쇄회로기판을 지지하는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3b는 하우징 커버를 구비한 대안적인 인쇄회로기판을 지지하는 하우징의 분해도이다;
도 3c는 본 개시의 제3 실시 예의 내부 리어뷰 디바이스의 반사 요소 뿐만 아니라 인쇄회로기판 및 하우징 커버를 지지하는 하우징의 분해도이다;
도 4a는 본 개시의 제4 실시 예의 내부 리어뷰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c는 본 개시의 제5 실시 예의 내부 리어뷰 디바이스의 도 4b에 대한 대안적인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제6 실시 예의 내부 리어뷰 디바이스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의 a) 내지 f)는 본 개시의 제7 실시 예의 내부 리어뷰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머신 인터페이스(HM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과 하우징 사이의 예시적인 결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
본 개시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개시는 구성의 세부사항 및 하기 설명에 제시되거나 도면에 예시된 구성요소의 배열에 대한 적용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은 특허 보호가 요구되는 개시내용을 만들고 사용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개시는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 및 수행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명확성과 이해를 위해 상업적인 실시 예의 모든 특징이 도시되지 않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통상의 기술자는 또한 본 개시의 양태를 포함하는 실제 상업적 실시예의 개발이 상업적 실시예에 대한 개발자의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많은 구현-특정 결정을 요구할 것이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노력은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노력은 본 개시의 이점을 갖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일상적인 사업이 될 것이다.
또한, 여기에 사용된 어구 및 용어는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됨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a”와 같은 단수 용어의 사용은 아이템의 개수를 제한하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상”, “하”, “왼쪽”, “오른쪽” “상부”, “하부”, “아래”, “위”, “측”, “모서리”와 같은 관계용어의 사용은 도면들의 특정 참조번호에서 상세한 설명을 명확화 하기 위해 사용되며 본 개시내용 또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특징들 중 임의의 하나는 개별적으로 또는 다른 특징들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시스템들, 방법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을 검토하면 통상의 기술자에게 분명하거나 분명해질 것이다. 이러한 모든 시스템들, 방법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본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고, 본 개시 내용의 범위내에 있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보호되도록 의도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개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내부 리어뷰 디바이스(1)를 도시한다. 각각의 리어뷰 디바이스(1)는 예를 들어, 전기 변색 글래스(EC, electrochromic 11) 형태의 반사 요소를 갖는 다기능 리어뷰 디바이스이다. 상기 EC 글래스(10)는 하우징 커버(30)에 부착되기 위해 양면 접착 테이프(10)에 부착된다. 이것은 상기 하우징 커버(30)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EC 인쇄회로기판(40) 및 버튼 인쇄회로기판(50)을 갖는 하우징(60)에 장착된다. 버튼(80)은 하우징(60)에 장착되고, 마운팅 수단(90)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공되며, 각각의 장착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상기 하우징(60)은 볼트(72)를 통해 마운팅 어셈블리(70)에 장착되고, 도시되지 않은 차량, 예를 들어, 차량의 윈드실드에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윈드실드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OF(time of light) 센서 형태의 센서(100)는 반사 표면 상의 상기 EC 글래스(10)의 상부 영역에 부착된다. 상기 센서(100)는 EC 글래스(10)의 디밍을 제어하기에 적합하므로, 인쇄회로기판(40)에 연결된다. 상기 센서(100) 뿐만 아니라 상기 반사요소(10)의 전극들의 연결목적을 위해 하우징 커버(30)는 개구(34)를 제공한다.
EC 글래스(10)가 상기 반사요소(10)의 주변을 둘러싸는 베젤(32)을 구비한 하우징 커버(30)에 수용되면 상기 하우징 커버(30)는 상기 하우징 커버(30)의 주변을 둘러싸는 하우징(60)과 함께 하우징(60)에 수용된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리어뷰 미러(1)가 프레임리스 같은 느낌을 얻기 위해, 상기 하우징 커버(30)의 상기 베젤(32)은 적어도 반사 코팅, 특히 예를들어, WO 2018/167096 A1에 도시된 크롬 기반 코팅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추가로, 상기 하우징(60)에도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러한 코팅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리어뷰 디바이스의 정면도는 EC 글래스(10) 뿐만 아니라 상기 베젤(32) 및 상기 베젤(32)을 둘러싸는 하우징의 정면도를 제공하는 점에 유의하고,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는 상기 센서(100)가 방사의 투과를 허용하는 EC 글래스(10) 뒤에 배열되는 점에서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것과 다른 본 개시의 대안적인 내부 리어뷰 디바이스(1)의 주요 구성요소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이는 EC 글래스(10)가 개별적으로 감소된 반사율을 가지도록 선택되거나 상기 센서(100) 영역의 EC 글래스(10)의 반사층의 윈도우(12)를 제공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하우징(60)에 고정된 EC 인쇄회로기판(40)을 도시한다. 이것은 인쇄회로기판(40)에 2개의 나사 구멍(42)이 제공되고, 상기 하우징(60)의 다수의 후크(64)를 통해 상기 하우징에 연결된 도 3a에 더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60)에는 인쇄회로기판(40)의 지지를 위한 서포트 리브(62)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50)은 상기 하우징(6)에 고정되고 HMI의 버튼(80)과 연결된다.
도 3b는 대안적인 EC 회로 기판(40)을 가지는 하우징(60)을 도시하고, 상기 대안적인 EC 회로 기판(40)에는 상기 하우징(60)이 차량에 장착될 때 상기 마운트 어셈블리(70)의 볼트(72)와의 임의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컷-아웃(40)이 제공된다.
도 3b는 또한 하우징 커버(30)의 추가적인 세부사항을 도시하고, 상기 EC 글래스(10) 및 개구(34)를 위한 상기 베젤(32) 및 서포트 파트(33)가 제공될 뿐만 아니라 아래에서 설명될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센서에 대한 관통홀(36)과 쉽게 조립하기 위한 나사 구멍(38) 및 부착 수단(39)을 가진다.
도 3c는 분해도에서 EC 글래스(10)와 함께 도 3b의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4a는 특히 상기 하우징 커버(30)의 또 다른 특징을 도시한다. 이러한 특징을 설명하기 전에 EC 인쇄회로기판(40)은 상기 하우징 커버(30)의 서포트 파트(33)에 제공되는 상기 개구(34)와 중첩되는 것을 다시 도면에서 볼 수 있다. 상기 EC 글래스(10)를 둘러싸는 상기 하우징 커버(30)의 상기 베젤(32)에는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EC 글래스(10)의 전면 및 상기 하우징(60) 사이의 둘레에 곡면 에지(31)가 제공된다. 따라서, 주변 에지(31)는 상기 EC 글래스(1) 및 상기 하우징(60) 사이에 배치되는 바람직하게는 2.8mm의 곡률반경(r)을 가지는 곡면으로 구성된다.
도 4b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커버(30)는 상기 하우징(60)의 단차(61)에 부합하는 단차(37)가 제공됨으로써 하우징(60)에 형태 맞춤된다. 상기 하우징(60)에는 또한 상기 하우징 커버(30)를 넘어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65)가 제공되고, 이에 따라 상기 베젤(32) 뿐만 아니라 돌출부(65)는 상기 내부 리어뷰 디바이스의 정면에서 볼 수 있다. 상기 돌출부(65)는 또한 예를 들어, 1mm의 높이(h)를 갖는 단차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는 아래의 설명과 같이 다양한 기능들을 허용한다.
도 4c는 광 어셈블리(300)가 상기 베젤(32)이 광가이드 역할을 하도록 상기 베젤(32)에 광을 방출하도록 배열된 다수의 기능들 중 하나를 도시한다. 이를 위해, 추가적인 렌즈 기능을 갖는 수광 표면(410)은 광 가이드(400)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광 가이드(400)는 광 어셈블리(300)로부터의 광을 상기 EC 글래스(10)와 상기 하우징(60) 사이의 곡면 에지(31) 영역의 발광 표면(420)으로 향하게 한다. 이러한 배열은 예를 들어, 다른 강도의 광 및/또는 색상이 상기 반사 요소(10) 및 상기 하우징(60) 사이에 제공됨으로써 다수의 다른 광학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허용한다.
상기 광의 상기 강도 및 색상은 모두 상기 운전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내부 리어뷰 디바이스(1)의 매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광의 효과들에 더하여, 도 4c의 구조는 예를 들어, 레이저 컷 아웃 가상 버튼(430)을 가지고, 액츄에이션 수단을 제공하는 발광 표면(410)을 제공함으로써 매우 간단한 HMI를 허용한다. 예를 들어, 가상 버튼(430)을 터치하거나 단지 손가락이 상기 버튼에 가까이 근접하기만 하는 경우에도 광은 상기 광 가이드(400)에 반사될 것이고, 상기 광 어셈블리(300)에 센서 수단이 제공되는 경우 작동을 감지하기 위해 감지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기능 리어뷰 디바이스(1)와 관련하여 상이한 HMI들이 가능하다. 도 5는 상기 베젤(32) 너머로 연장되는 버튼(80, 82, 84)을 갖는 대안적인 가능성을 도시한다.
도 6과 관련하여 본 개시내용의 다기능 리어뷰 디바이스(1)의 HMI의 다음 일 예가 설명된다. 도 6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3개의 센서들(102, 104, 106)은 상기 EC 글래스(10)의 반사 표면 상에 제공된다. 제1 센서(102)는 TOF 센서의 형태일 수 있고, 제2 센서(104)는 도 4c와 관련하여 설명된 터치 센서 형태일 수 있고, 제3 센서(106)는 광전 센서일 수 있다.
도 6b) 및 c)는 광전 센서(106)의 기능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센서는 발광하고 수광하는 포토 커플러로 제공될 수 있으므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이 감지되지 않는 한 작동이 감지되지 않는다. 그러나, 예를 들어, 운전자의 손(200)이 도 6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센서(106)에 근접하자마자 손가락이 빛을 차단하고, 이를 반사함에 따라 반사가 발생한다. 이 경우, 상기 운전자의 작동 의도가 감지되고, 예를 들어, 그 결과로 EC 글래스(10)의 디밍이 변경된다.
본 개시의 내부 리어뷰 디바이스(1) 앞에서 손(200)의 제스처를 더 잘 감지하기 위해 도 6d)와 같이 상기 센서(102)에 추가하여 카메라(120)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EC 글래스(10) 상에 센서를 제공하는 대신 도 6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60)의 하부에 추가 센서(108)를 배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각의 센서(108)는 광전 센서일 수 있고, 도 6f)와 같이 손(200)의 손가락이 접근하면 작동을 감지하는 센서(106)와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와 함께 센서가 상기 반사 요소 상에 배치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특히 도 4b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베젤(32)은 상기 반사 요소(10)의 주변을 둘러싸고, 상기 하우징(60)은 상기 베젤(32)의 주변을 감싸는 사실로 인해 상기 센서가 상기 베젤 또는 하우징에 상에 배치될 수 있음으로 매우 다수의 다른 액츄에이션 수단 또는 더 나은 대안적인 HMI가 가능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60')은 상기 하우징 커버(30')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60')의 둘레 길이는 상기 하우징 커버(30')의 둘레 길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소정의 돌출부 또는 단차(65')는 상기 하우징(60') 및 하우징 커버(30')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60')으로부터 상기 하우징 커버(30')를 향해 연장된 둘레면은 자연스러운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상기 하우징(60')의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운전자에게 노출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내부 리어뷰 디바이스(1)의 다양한 실시 예는 장식 및/또는 정보 제공을 위한 조명 기능, 디밍 기능, HMI 기능 등을 포함하는 다기능 뿐만 아니라 구현된 보안 기능과 결합된 특별한 만족스러운 매력을 제공하는 디자인 다양성을 설명한다.
본 개시는 설명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으로 제한되지 않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본 개시는 여기에 설명되거나 묘사된 특정 요소 및/또는 특징과 관련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는 개시된 실시 예 또는 실시 예들로 제한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설명되고 정의되는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재배열, 수정 및 대체가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상세한 설명 및 아래의 청구항 전반에 걸쳐, 문맥에서 다르게 요구하지 않는한, “구성되다” 및 “포함되는”이라는 단어와 “구성된” 및 “포함된”과 같은 변형은 명시된 정수 또는 정수 그룹을 포함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고, 그러나 다른 정수와 다른 정수 그룹의 제외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1: 다기능 리어뷰 디바이스
10: EC 글래스
12: 윈도우
20: 양면 접착 테이프
30, 30': 하우징 커버
31: 곡면 에지
32: 베젤
33: 서포트 파트
34: 개구
35: 윈도우
36: 관통홀
37: 단차
38: 나사구멍
39: 부착 수단
40: EC 인쇄회로기판
42: 나사 구멍
44: 컷 아웃
50: 버튼 인쇄회로기판
60, 60': 하우징
61: 단차
62: 서포트 리브
64: 후크
65, 65': 돌출부
70: 마운트 어셈블리
72: 볼트
80 - 84: 버튼
100: 센서
101: 센서 영역
102: 센서
103: 커버층
104 - 108: 센서
110: 센서
120: 카메라
200: 손
300: 센서수단을 가지는 광 어셈블리
400: 라이트 가이드
410: 수광 표면
420: 발광 표면
430: 레이저 컷 아웃 가상 버튼

Claims (19)

  1. 자동차에 사용되도록 구성된 내부 리어뷰 디바이스에 있어서, 내부 리어뷰 디바이스는,
    반사 요소(10) 및 디스플레이 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리어뷰 요소;
    상기 리어뷰 요소를 둘러싸며, 하우징(60)에 둘러싸이는 베젤(32); 및
    상기 하우징(60, 60')을 차량에 부착하기 위해 구성된 마운트 어셈블리(70)를 포함하고,
    상기 베젤(32)의 외곽 에지(31)는 상기 디바이스(1)가 상기 차량에 일반적으로 장착되면,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게 노출되고, 차량의 운전자에 의해 시인가능하며,
    상기 외곽 에지(31)는 상기 리어뷰 요소(10)의 전면 및/또는 반사면과 상기 하우징(60, 60') 사이에 위치하는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60, 60')은 상기 외곽 에지(31)의 곡면을 너머 가장자리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65, 65')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65, 65')는 상기 차량에 상기 디바이스(1)가 일반적으로 장착되면 운전자에 의해 시인가능한 내부 리어뷰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65, 65')는 높이가 0.1 내지 2.1mm 사이인 단차를 제공함, 및/또는
    상기 곡면의 곡률은 적어도 2.5mm의 반경을 가지는 내부 리어뷰 디바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 어셈블리(3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 어셈블리(300)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베젤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도록 배치됨,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 어셈블리(300)는 베젤(32)이 상기 하우징(60)과 상기 반사요소(10) 사이의 적어도 영역을 발광시키기 위하고/위하거나 액츄에이션 수단(430)을 제공하기 위한 광 가이드(400) 역할을 하도록 광을 상기 베젤(32) 내부로 출력하는 내부 리어뷰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 어셈블리는 상기 베젤(32)의 모든 표면에 다수의 다른 색상광을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모든 베젤(32)은 하나의 시점에 하나의 색상을 가짐,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 어셈블리는 상기 베젤(32)의 다른 영역들에 다수의 다른 색상광을 출력하도록 제공되어, 상기 베젤(32)의 다른 영역들은 하나의 시점에 다른 색상을 가짐,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영역 또는 상기 베젤(32)의 모든 표면에 선택된 밝기 및/또는 색상으로 광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내부 리어뷰 디바이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32)은 유색, 표면 마감, 투명 및 코팅 중 적어도 하나인 플라스틱 기판으로 구성됨, 및/또는
    상기 베젤(32)은 코팅되고, 상기 베젤(32)의 코팅은 장식코팅, 선진 표면 기술(AST, advanced surface technology) 표면 코팅, 및 스펙트럼 제어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임, 및/또는
    상기 베젤(32)은 폴리머 기판으로부터 형성되거나 성형(molded)된 내부 리어뷰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32)은 투명하고, 크롬 기반 코팅을 포함하고, 특히 하나 이상의 광원(300)을 발광 전까지 상기 베젤(32) 아래에 숨기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크롬 기반 코팅은 크롬 및 도핑 물질의 합금이고, 상기 도핑 물질은 조밀육방 전이 금속들(hexagonally close-packed transition metals)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합금은 2차 오메가 조밀육방상(secondary omega hexagonally close-packed phase)과 공존하는 1차 체심입방상(primary body-centered cubic phase)으로 구성된 결정구조를 가지는 내부 리어뷰 디바이스.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 에지(31) 및/또는 곡면은 크롬기반 코팅과 함께 제공됨, 및/또는
    상기 외곽 에지(31) 및/또는 곡면은 센서 수단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또는 액츄에이션 수단의 적어도 하나와 함께 제공되고,
    상기 엑츄에이션 수단은 특히 마크, 아이콘 및/또는 가상 버튼을 제공하는 컷-아웃(430)으로 구성된 내부 리어뷰 디바이스.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60)과 상기 리어뷰 요소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40, 50); 및/또는
    하나 이상의 광 어셈블리와 연결되고/연결되고나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40, 50)과 연결된 센서수단(40, 50)을 포함하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내부 리어뷰 디바이스.
  9.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32)은 하우징 커버(30, 30’)로 제공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40, 50), 센서 수단 및/또는 하나 이상의 광 어셈블리는 하우징 커버(30, 30’) 및 상기 하우징(60, 60’)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 커버(30, 30’)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사요소(10)를 위해
    특히 상기 인쇄회로기판(40, 50)에 접근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34), 및/또는
    특히 상기 센서수단의 센서로 방사광을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35)와 함께 제공되는 지지부(33) 를 포함하는 내부 리어뷰 디바이스.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수단은,
    - TOF(Time of Flight) 센서 형태로 구성된, 특히 TOF카메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100, 102), 및/또는
    - 주변광센서(ALS, Ambient Light Sensor)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센서(110), 및/또는
    - 바람직하게는 차량내부에 배치된 추가 광원에 의해 조사되는 광전센서 형태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3 센서(106, 108), 및/또는
    - 바람직하게는 가상버튼을 제공하는 터치센서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제4 센서(104)를 포함하는 내부 리어뷰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100, 102), 제1-2 센서, 제1-3 센서(106) 및/또는 제1-4센서(104)는 상기 반사요소(10)의 반사표면에, 특히 반사표면 상 또는 반사표면 아래에, 방사를 투과하기 위한 윈도우(12)와 함께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1)의 측에 설치됨, 및/또는
    제2-2 센서(110)은 반사 표면 또는 반사표면의 아래로부터 상기 디바이스(1)의 반대측에 설치되고, 특히 방사를 투과하기 위한 윈도우(12)와 함께 제공됨, 및/또는
    제2-3 센서 및/또는 제2-4 센서는 상기 베젤(32) 상이나 내부에 설치됨, 및/또는
    제3-3 센서(108) 및/또는 제3-4 센서는 상기 하우징(60) 상이나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 리어뷰 디바이스.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션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션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젤(32), 상기 하우징(60) 및/또는 상기 반사 요소(1) 상이나 내부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버튼(80-84), 특히 가상의 버튼들,으로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터치센서로 구성되고/구성되거나 상기 제어수단에 연결된 카메라(120)에 의해 감시되는 내부 리어뷰 디바이스.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반사표면에 대한 제1 공간 간격의 모션 패턴들을 검출하기 적합함, 및/또는
    제2 공간 간격에 적어도 하나의 가상 버튼을 제공함,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공간 간격은 상기 제어수단의 제1 영역에 제공되고, 상기 제2 공간 간격은 상기 제어수단의 제2 영역에 제공됨,
    특히 상기 제2 공간 간격은 상기 제1 공간간격보다 상기 반사 표면에 더 가깝게 배열되는 내부 리어뷰 디바이스.
  14.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특히 상기 장치를 제어할 때 차량의 상태 및/또는 차량의 주변 환경을 고려하도록 상기 차량의 제어 유닛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내부 리어뷰 디바이스.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뷰 요소는 정상상태 및 리어뷰 수단에서 광이 반사의 결과로 차량의 운전자가 경험하는 눈부심이 감소되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방지상태를 가지고,
    특히, 상기 반사 요소(10)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전기변색(EC, electrochromic) 요소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기변색요소는 제1 전극, 제2 를 포함하는 내부 리어뷰 디바이스.
  16. 제8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40, 50)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바람직하게는 EC인쇄회로기판(40) 및/또는 센서 및/또는 액츄에이션 수단 인쇄회로기판(50)의 형태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내부 리어뷰 디바이스.
  17. 제8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40, 50)은 상기 마운트 어셈블리(70)의 연결수단(72)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성형되고, 구부러지고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컷아웃(44)이 제공되는 내부 리어뷰 디바이스.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내부 리어뷰 디바이스가 장착된 차량.
  19. 제18항에 있어서,
    액츄에이션 수단의 작동을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20) 및/또는 광원을 더 포함하는 차량.
KR1020227003560A 2019-07-29 2020-07-23 내부 리어뷰 미러 및 차량 Active KR1027667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16524953A 2019-07-29 2019-07-29
DE102019120396 2019-07-29
US16/524,953 2019-07-29
DE102019120396.1 2019-07-29
PCT/EP2020/070774 WO2021018718A1 (en) 2019-07-29 2020-07-23 Internal rearview device and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4950A true KR20220044950A (ko) 2022-04-12
KR102766719B1 KR102766719B1 (ko) 2025-02-11

Family

ID=7195058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3560A Active KR102766719B1 (ko) 2019-07-29 2020-07-23 내부 리어뷰 미러 및 차량
KR1020227003561A Active KR102759429B1 (ko) 2019-07-29 2020-07-23 회로기판이 장착된 차량용 리어뷰 디바이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3561A Active KR102759429B1 (ko) 2019-07-29 2020-07-23 회로기판이 장착된 차량용 리어뷰 디바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2) EP4003787B1 (ko)
KR (2) KR102766719B1 (ko)
CN (2) CN114174118A (ko)
WO (2) WO20210187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4987A1 (en) * 2022-10-03 2024-04-11 Gentex Corporation Rearview mirror assembl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80937A1 (en) * 2022-03-22 2023-09-28 Gentex Corporation Full display mirror assembly with through bezel infrared illumin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04260A1 (en) * 2000-07-12 2003-04-23 Alejandro Rodriguez Barros Rear-view mirror with multiple interchangeable signals for vehicles with two, three, four or more wheels
US20050052883A1 (en) * 2002-02-25 2005-03-10 Chen Qi Optical fiber decoration device using led light source and article decorated thereby
US20060044523A1 (en) * 2002-11-07 2006-03-02 Teijido Juan M Illumination arrangement for a projection system
EP2119595A1 (en) * 2008-05-16 2009-11-18 SMR PATENTS S.à.r.l. Turn-indicator light module for a vehicle mirror assembly and vehicle mirror assembly comprising a turn-indicator light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53710A2 (en) * 2005-11-01 2007-05-10 Donnelly Corporation Interior rearview mirror with display
WO2004103772A2 (en) * 2003-05-19 2004-12-02 Donnelly Corporation Mirror assembly for vehicle
DE10300232A1 (de) * 2003-01-02 2004-07-15 Schefenacker Vision Systems Germany Gmbh & Co. Kg Innenrückblickspiegel für Fahrzeuge, vorzugsweise für Kraftfahrzeuge
US20050152054A1 (en) * 2004-01-14 2005-07-14 Gentex Corporation Reflective element holder for rearview mirror
CN1818745A (zh) * 2006-03-02 2006-08-16 孙强 一种汽车用智能后视系统
WO2013071070A1 (en) * 2011-11-11 2013-05-16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Rearview mirror assembly
EP2485921B1 (en) * 2009-10-07 2016-06-15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Frameless in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US9346403B2 (en) * 2009-10-07 2016-05-24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Rearview mirror assembly
US10261648B2 (en) * 2009-10-07 2019-04-16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Ex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WO2012051294A2 (en) 2010-10-12 2012-04-19 Gentex Corporation Clear bezel
US8987285B2 (en) 2010-12-03 2015-03-24 Portola Pharmaceuticals,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dosage forms and new forms of the compound of formula (I),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1935312B1 (ko) * 2011-08-31 2019-01-04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차량용 도어 미러
US9316347B2 (en) * 2012-01-24 2016-04-19 Gentex Corporation Rearview assembly with interchangeable rearward viewing device
WO2018167096A1 (en) 2017-03-13 2018-09-20 Motherson Innovations Company Ltd. Light emitting mirror bezel
US9327648B2 (en) * 2013-01-04 2016-05-03 Gentex Corporation Rearview assembly with exposed carrier plate
DE102013203530A1 (de) * 2013-03-01 2014-09-04 Magna Mirrors Holding Gmbh Rückspiegelanordnung für Kraftfahrzeuge
WO2015001496A1 (en) 2013-07-02 2015-01-08 Smr Patents S.A.R.L. Capacitive touch panel
EP2927780A1 (de) 2014-04-03 2015-10-07 SMR Patents S.à.r.l. Schwenkbarer Innenspiegel für ein Fahrzeug
US20150334354A1 (en) 2014-05-15 2015-11-19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Mirror element for vehicle
US10484587B2 (en) * 2015-03-09 2019-11-19 Magna Electronics Inc. Vehicle camera with connector system for high speed transmission
US10948798B2 (en) 2016-05-02 2021-03-16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Caseless rearview mirror assembly
EP3480062B1 (en) * 2017-11-01 2020-09-09 SMR Patents S.à.r.l. Rearview device with moveable head assembly
CN208232934U (zh) * 2018-05-11 2018-12-14 广东远峰汽车电子有限公司 一种流媒体后视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04260A1 (en) * 2000-07-12 2003-04-23 Alejandro Rodriguez Barros Rear-view mirror with multiple interchangeable signals for vehicles with two, three, four or more wheels
US20050052883A1 (en) * 2002-02-25 2005-03-10 Chen Qi Optical fiber decoration device using led light source and article decorated thereby
US20060044523A1 (en) * 2002-11-07 2006-03-02 Teijido Juan M Illumination arrangement for a projection system
EP2119595A1 (en) * 2008-05-16 2009-11-18 SMR PATENTS S.à.r.l. Turn-indicator light module for a vehicle mirror assembly and vehicle mirror assembly comprising a turn-indicator light modu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4987A1 (en) * 2022-10-03 2024-04-11 Gentex Corporation Rearview mirror assembly
US12330560B2 (en) 2022-10-03 2025-06-17 Gentex Corporation Rearview mirr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03786A1 (en) 2022-06-01
EP4003787A1 (en) 2022-06-01
KR102759429B1 (ko) 2025-01-22
CN114174118A (zh) 2022-03-11
CN217415615U (zh) 2022-09-13
KR102766719B1 (ko) 2025-02-11
KR20220044951A (ko) 2022-04-12
WO2021018730A1 (en) 2021-02-04
WO2021018718A1 (en) 2021-02-04
EP4003786B1 (en) 2023-10-25
EP4003787B1 (en) 2023-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23814A (en) Sensor for vehicle accessories
US6407468B1 (en) Rearview mirror with buttons incorporating display
US6420800B1 (en) Rearview mirror with buttons incorporating display
KR20120099671A (ko) 무프레임 내부 후사경 조립체
KR102438097B1 (ko) 차량용 사이드미러 어셈블리
KR20190121604A (ko) 디스플레이 아래에 배치된 센서에 의해 반사된 광을 차단하기 위한 편광 부재 및 위상 지연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7107825A (zh) 显示镜组件
KR102766719B1 (ko) 내부 리어뷰 미러 및 차량
JP6672461B2 (ja) 光スイッチを備えたバイモーダル機構
WO2023062132A1 (en) Vehicular overhead console with light transmissive panel
US11833970B2 (en) Internal rearview device and vehicle
US12208735B2 (en) Rearview mirror device
US11840174B2 (en) Vehicular overhead console with light transmissive panel
KR101337305B1 (ko) 차량용 계기판의 표시기
JP2021000993A (ja) 車両用ルームミラー
EP4003788B1 (en) Interior rearview device with human machine interface and vehicle therewith
EP4496731A1 (en) Full display mirror assembly with through bezel infrared illumination
CN112542112A (zh) 带有用户界面的车辆部件
JP4289297B2 (ja) 車両用ルームミラーを利用したスイッチ装置
CN108216042A (zh) 用于机动车辆的后视镜
US20250115182A1 (en) Rearview mirror device
US20250214511A1 (en) Vehicular in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with proximity / touch sensor
US20230194890A1 (en) Vehicle part with user interface
WO2025134054A1 (en) Vehicle rearview assembly with through bezel infrared illumination and proximity sensor
US11820299B2 (en) Rear view camera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2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7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0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