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4542A - 다중불포화 지방산 염의 제조를 위한 다운스트림 공정 - Google Patents
다중불포화 지방산 염의 제조를 위한 다운스트림 공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44542A KR20220044542A KR1020227007226A KR20227007226A KR20220044542A KR 20220044542 A KR20220044542 A KR 20220044542A KR 1020227007226 A KR1020227007226 A KR 1020227007226A KR 20227007226 A KR20227007226 A KR 20227007226A KR 20220044542 A KR20220044542 A KR 202200445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anulation
- omega
- counter ion
- spray
- spray granul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5000020777 polyunsaturated fatty acid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11143 down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5
- 238000005469 gran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2
- 230000003179 granul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3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0
- 235000020660 omega-3 fatty aci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4
- 229940012843 omega-3 fatty acid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50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47
- KDXKERNSBIXSRK-YFKPBYRVSA-N L-lysine Chemical compound NCCCC[C@H](N)C(O)=O KDXKERNSBIXSRK-YFKPBYRVSA-N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5000020665 omega-6 fatty aci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29940033080 omega-6 fatty acid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9000004472 Lysi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29960003646 lysin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KDXKERNSBIXSRK-UHFFFAOYSA-N Lysine Natural products NCCCCC(N)C(O)=O KDXKERNSBIXSRK-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5000018977 lysin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1 krill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150000001732 carboxylic acid derivatives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4475 Argini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ODKSFYDXXFIFQN-BYPYZUCNSA-P L-argininium(2+) Chemical compound NC(=[NH2+])NCCC[C@H]([NH3+])C(O)=O ODKSFYDXXFIFQN-BYPYZUCNSA-P 0.000 claims description 11
- ODKSFYDXXFIFQN-UHFFFAOYSA-N arginine Natural products OC(=O)C(N)CCCNC(N)=N ODKSFYDXXFIFQ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5000009697 arginin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29960003121 arginin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AHLPHDHHMVZTML-BYPYZUCNSA-N L-Ornithine Chemical compound NCCC[C@H](N)C(O)=O AHLPHDHHMVZTML-BYPYZUCN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150000001450 anion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9
- 150000001768 cation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
- AHLPHDHHMVZTML-UHFFFAOYSA-N Orn-delta-NH2 Natural products NCCCC(N)C(O)=O AHLPHDHHMVZTML-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UTJLXEIPEHZYQJ-UHFFFAOYSA-N Ornithine Natural products OC(=O)C(C)CCCN UTJLXEIPEHZYQ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19198 oil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60003104 ornithin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8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150000001412 amin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7
- OEYIOHPDSNJKLS-UHFFFAOYSA-N choline Chemical compound C[N+](C)(C)CCO OEYIOHPDSNJKLS-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60001231 cholin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3826 table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19766 L-Lysin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NPYPAHLBTDXSSS-UHFFFAOYSA-N Potassium ion Chemical compound [K+] NPYPAHLBTDXSSS-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889 atomis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1476 alcohol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546 pharmaceutical excipi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ODKSFYDXXFIFQN-BYPYZUCNSA-N L-arginine Chemical compound OC(=O)[C@@H](N)CCCN=C(N)N ODKSFYDXXFIFQN-BYPYZUCN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30064664 L-arginine Natural produ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4852 L-arginin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3085 dilu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908 dry gran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21323 fish oi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9478 high shear gran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21388 linseed oi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944 linseed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909 melt gran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6186 oral dosage for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9491 slug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40106134 krill oil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825 pharmaceutical prepara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40127557 pharmaceutical product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0238366 Cephalopod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9484 Rapeseed oi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21324 borage oi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474 borage seed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460 hemp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014 plasticiz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3549 soybean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2424 soybean oi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828 canola oi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5000019519 canola oil Nutrition 0.000 claims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7907 direct compress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0
- 235000014113 dietary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1
- 229930195729 fatty ac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1
- 239000000194 fatty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1
- 150000004665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0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JAZBEHYOTPTENJ-JLNKQSITSA-N all-cis-5,8,11,14,17-icosapentae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CC(O)=O JAZBEHYOTPTENJ-JLNKQSITSA-N 0.000 description 15
- MBMBGCFOFBJSGT-KUBAVDMBSA-N all-cis-docosa-4,7,10,13,16,19-hexae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C/CCC(O)=O MBMBGCFOFBJSGT-KUBAVDMBSA-N 0.000 description 15
- JAZBEHYOTPTENJ-UHFFFAOYSA-N eicosapentaeno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O)=O JAZBEHYOTPTEN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2512 characteriz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5000020673 eicosapentaeno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3
- 229960005135 eicosapentaeno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6014 omega-3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1694 spray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5000020669 docosahexaeno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29940024606 amino acid Drugs 0.000 description 8
- 235000001014 amino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YZXBAPSDXZZRGB-DOFZRALJSA-N arachidon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CC(O)=O YZXBAPSDXZZRGB-DOFZRALJSA-N 0.000 description 6
- 229940090949 docosahexaeno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1888 snacks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CYQFCXCEBYINGO-IAGOWNOFSA-N delta1-THC Chemical compound C1=C(C)CC[C@H]2C(C)(C)OC3=CC(CCCCC)=CC(O)=C3[C@@H]21 CYQFCXCEBYINGO-IAGOWNOF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40091250 magnesium supplement Drug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DVSZKTAMJJTWFG-SKCDLICFSA-N (2e,4e,6e,8e,10e,12e)-docosa-2,4,6,8,10,12-hexae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C\C=C\C(O)=O DVSZKTAMJJTWFG-SKCDLICFSA-N 0.000 description 4
- GZJLLYHBALOKEX-UHFFFAOYSA-N 6-Ketone, O18-Me-Ussuriedin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CC(O)=O GZJLLYHBALOKE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group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5872 dietary supplem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KAUVQQXNCKESLC-UHFFFAOYSA-N docosahexaenoic acid (DHA) Natural products COC(=O)C(C)NOCC1=CC=CC=C1 KAUVQQXNCKESL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50 formula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125000002496 methyl group Chemical group [H]C([H])([H])*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YUFFSWGQGVEMMI-JLNKQSITSA-N (7Z,10Z,13Z,16Z,19Z)-docosapentae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CCCC(O)=O YUFFSWGQGVEMMI-JLNKQSITSA-N 0.000 description 3
- AHANXAKGNAKFSK-PDBXOOCHSA-N all-cis-icosa-11,14,17-trie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CC(O)=O AHANXAKGNAKFSK-PDBXOOCHSA-N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721 carbon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3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HOBAELRKJCKHQD-QNEBEIHSSA-N dihomo-γ-linolen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CC(O)=O HOBAELRKJCKHQD-QNEBEIHS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1588 free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92 gaseous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6395 saturated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90 sol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KXVFBCSUGDNXQF-DZDBOGACSA-N (2z,4z,6z,8z,10z)-tetracosa-2,4,6,8,10-pentae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C/C=C\C=C/C(O)=O KXVFBCSUGDNXQF-DZDBOGACSA-N 0.000 description 2
- YHGJECVSSKXFCJ-KUBAVDMBSA-N (6Z,9Z,12Z,15Z,18Z,21Z)-tetracosahexae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C/CCCCC(O)=O YHGJECVSSKXFCJ-KUBAVDMBSA-N 0.000 description 2
- HOBAELRKJCKHQD-UHFFFAOYSA-N (8Z,11Z,14Z)-8,11,14-eicosatrieno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O)=O HOBAELRKJCKH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NPTIBOCVSPURCS-JLNKQSITSA-N (9Z,12Z,15Z,18Z,21Z)-tetracosapentae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CCCCCC(O)=O NPTIBOCVSPURCS-JLNKQSITSA-N 0.000 description 2
- OQOCQFSPEWCSDO-JLNKQSITSA-N 6Z,9Z,12Z,15Z,18Z-Heneicosapentae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CCC(O)=O OQOCQFSPEWCSDO-JLNKQSIT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4172 Cardiovascula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1001137251 Corv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298 Dihomo-γ-linole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GLUUGHFHXGJENI-UHFFFAOYSA-N Piperazine Chemical compound C1CNCCN1 GLUUGHFHXGJEN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017 Zea mays subsp may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79 acid--base ti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HQPCSDADVLFHHO-LTKCOYKYSA-N all-cis-8,11,14,17-icosatetrae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CC(O)=O HQPCSDADVLFHHO-LTKCOYKYSA-N 0.000 description 2
- TWSWSIQAPQLDBP-DOFZRALJSA-N all-cis-docosa-7,10,13,16-tetrae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CCCC(O)=O TWSWSIQAPQLDBP-DOFZRALJSA-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414 amino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342 arachido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40114079 arachido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173 baked goods and baking mix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510 cooky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779 crud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257 deester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IQLUYYHUNSSHIY-HZUMYPAESA-N eicosatetrae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C\C(O)=O IQLUYYHUNSSHIY-HZUMYPAESA-N 0.000 description 2
- PRHHYVQTPBEDFE-UHFFFAOYSA-N eicosatrieno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O)=O PRHHYVQTPBEDF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88 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76 function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OQOCQFSPEWCSDO-UHFFFAOYSA-N heneicosapentaeno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C(O)=O OQOCQFSPEWCSD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632 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4668 long chain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978 long-chain polyunsaturated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885 nephro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40094443 oxytocics prostaglandins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108 p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XAEFZNCEHLXOMS-UHFFFAOYSA-M potassium benzoate Chemical compound [K+].[O-]C(=O)C1=CC=CC=C1 XAEFZNCEHLXO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626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265 solid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858 star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371 tortilla/corn chip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626 triacylglycer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618 yogur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XSXIVVZCUAHUJO-HZJYTTRNSA-N (11Z,14Z)-icosadie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CC(O)=O XSXIVVZCUAHUJO-HZJYTTRNSA-N 0.000 description 1
- HVGRZDASOHMCSK-HZJYTTRNSA-N (13Z,16Z)-docosadie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CCCC(O)=O HVGRZDASOHMCSK-HZJYTTRNSA-N 0.000 description 1
- HPSWUFMMLKGKDS-DNKOKRCQSA-N (2e,4e,6e,8e,10e,12e)-tetracosa-2,4,6,8,10,12-hexae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C\C=C\C=C\C(O)=O HPSWUFMMLKGKDS-DNKOKRCQSA-N 0.000 description 1
- VENRYLMOFDSSDJ-WMPRHZDHSA-N (6Z,9Z,12Z,15Z,18Z)-tetracosapentae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C/CCCCC(O)=O VENRYLMOFDSSDJ-WMPRHZDHSA-N 0.000 description 1
- YUFFSWGQGVEMMI-UHFFFAOYSA-N (7Z,10Z,13Z,16Z,19Z)-7,10,13,16,19-docosapentaeno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CC(O)=O YUFFSWGQGVEM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KSEMHZSFZXYJOW-KXFHCYBOSA-N (7Z,10Z,13Z,16Z,19Z)-docosa-7,10,13,16,19-pentaenoic acid pent-2-e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O)=O.CCC=CC(O)=O.CCC=CC(O)=O.CCC=CC(O)=O.CCC=CC(O)=O.CCC=CC(O)=O.CCC=CC(O)=O.CCC=CC(O)=O.CCC=CC(O)=O.CCC=CC(O)=O.CCC=CC(O)=O.CCC=CC(O)=O.CCC=CC(O)=O.CCC=CC(O)=O.CCC=CC(O)=O.CCC=CC(O)=O.CCC=CC(O)=O.CCC=CC(O)=O.CCC=CC(O)=O.CCC=CC(O)=O.CCC=CC(O)=O.CCC=CC(O)=O.CC\C=C/C\C=C/C\C=C/C\C=C/C\C=C/CCCCCC(O)=O KSEMHZSFZXYJOW-KXFHCYBOSA-N 0.000 description 1
- TWSWSIQAPQLDBP-CGRWFSSPSA-N (7e,10e,13e,16e)-docosa-7,10,13,16-tetrae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CCCC(O)=O TWSWSIQAPQLDBP-CGRWFSSPSA-N 0.000 description 1
- HVGRZDASOHMCSK-UHFFFAOYSA-N (Z,Z)-13,16-docosadieno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CC(O)=O HVGRZDASOHMCS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291564 Allium cep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732 Allium cepa var. cep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QGZKDVFQNNGYKY-UHFFFAOYSA-O Ammonium Chemical compound [NH4+] QGZKDVFQNNGYKY-UHFFFAOYSA-O 0.000 description 1
- AHANXAKGNAKFSK-UHFFFAOYSA-N Bishomo-a-linolen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O)=O AHANXAKGNAKFS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98 Brassica juncea var multisec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008 Brassica napus var nap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618 Brassica rapa subsp oleife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188595 Brassica sinapistr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977 Brassica sinapist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111471 Convolvulus scopari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294 Docosapentaeno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292 Docosatetraeno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297 Eicosadieno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121710 HMGCoA reductase inhibitor Drugs 0.000 description 1
- XSXIVVZCUAHUJO-UHFFFAOYSA-N Homo-gamma-linole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O)=O XSXIVVZCUAHUJ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751 Hypersensitiv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DGAQECJNVWCQMB-PUAWFVPOSA-M Ilexoside XXIX Chemical compound C[C@@H]1CC[C@@]2(CC[C@@]3(C(=CC[C@H]4[C@]3(CC[C@@H]5[C@@]4(CC[C@@H](C5(C)C)OS(=O)(=O)[O-])C)C)[C@@H]2[C@]1(C)O)C)C(=O)O[C@H]6[C@@H]([C@H]([C@@H]([C@H](O6)CO)O)O)O.[Na+] DGAQECJNVWCQMB-PUAWFVPOSA-M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ZLMJMSJWJFRBEC-UHFFFAOYSA-N Potassium Chemical compound [K] ZLMJMSJWJFRB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042 Zea may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824 Zea mays ssp. parviglum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482268 Zea mays subsp. may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43 active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978 adap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TWSWSIQAPQLDBP-UHFFFAOYSA-N adren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CC(O)=O TWSWSIQAPQLDB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63 ad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815 allerg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83 anti-obesity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29 anticholesterem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7226 anticholesterol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5682 antidementia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35 antidepress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05513 antidepressants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5708 antidiabetic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72 antidiabet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30600 antihypertensive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20 antihypertens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5710 antiobesity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30 appetite depress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452 baby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02 bimod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895 bisc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1 blea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641 brain develop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25 brain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429 brea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178 carboxy group Chemical group [H]OC(*)=O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748 cardiovascular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69 central nervous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51 chee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76 cleavage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20 cognitive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504 concent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822 cor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495 cracke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95 deproto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37 deproto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50 desser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78 dieta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CVCXSNONTRFSEH-UHFFFAOYSA-N docosa-2,4-die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CC=CC(O)=O CVCXSNONTRFSE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52 dosage for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38 encap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897 energy drin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494 ethyl est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089 extruded snack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988 fatty 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13317 fish oils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3 food additiv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8 food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08 freeze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03 fruit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35 gastrointestinal trac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03 gelatin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5456 glycerid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68 granola/muesli ba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357 guanidi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402 health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71 hydroxymethylglutaryl coenzyme A reductase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43 ice crea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866 inflammator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7053 inorganic sal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446 instant nood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09 instant so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56 liqui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63 liquid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9000000003 magnesium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67 medium chain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86 memory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ZWYZXLIPXDOLR-UHFFFAOYSA-N metformin Chemical compound CN(C)C(=N)NC(N)=N XZWYZXLIPXDOL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105 metform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459 muff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290 n-3 DP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64 nootrop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17 nutraceutic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436 nutraceutical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571 nu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771 pancak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594 pastr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904 phospho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77 por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1 potas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0 potas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06 potato chip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84 potato crisp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434 pretze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991 processed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88 proto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438 salad dressing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66 salt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017 sc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66 short chain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91 short chain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3 si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813 small intest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1 snack ba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47 sweet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RZHACVKGHNMWOP-ZWZRQGCWSA-N tetracosatetraenoic acid n-6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C\C=C\C=C\C(O)=O RZHACVKGHNMWOP-ZWZRQGCW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776 toaster past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09 transester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1 transform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054 transpla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81 veh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95 vitamin supplem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773 waff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1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ompressed table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23L33/12—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20—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 A61K31/20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e.g. linolenic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11—Inorganic compoun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17—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82—Proces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82—Processes
- A61K9/1688—Processes resulting in pure drug agglomerate optionally containing up to 5% of excipi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09—Inorganic compoun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13—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4—Cellulose; Cellulose derivatives, e.g.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9—Starch, including chemically or physically modified derivatives; Amylose; Amylopectin; Dextr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41—Filling 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485—Inorganic compoun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41—Filling 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4858—Organic compoun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 B01J2/02—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by dividing the liquid material into drops, e.g. by spraying, and solidifying the drop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접 압축에 의한 정제화에 적합한 다중불포화 지방산 염의 제조를 위한 개선된 다운스트림 공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직접 압축에 의한 정제화에 적합한 다중불포화 지방산 염의 제조를 위한 개선된 다운스트림 공정을 제공한다.
오메가-3 지방산, 특히 에이코사펜타엔산 (EPA) 및 도코사헥사엔산 (DHA)과 같은 다중불포화 지방산 (PUFA)은 심혈관계, 염증성 장애, 뇌 발달 및 기능, 중추 신경계 교란 및 다른 영역에서의 수많은 긍정적 건강 효과와 연관이 있다 (C. H. S. Ruxton, S. C. Reed, M. J. A. Simpson, K. J. Millington, J. Hum. Nutr. Dietet 2004, 17, 449). 따라서, 오메가-3 지방산의 섭취는 규제 기관의 고지에 의해 지원된다. 예를 들어, EFSA (유럽 식품 안전청)는 성인에게 1일 250 mg의 EPA + DHA의 섭취를 권장한다 (EFSA Panel on Dietetic Products, Nutrition and Allergies, EFSA Journal 2010, 8 (3), 1461). AHA (미국 심장 협회)는 확인된 심혈관 장애가 없는 사람은 1주일에 적어도 두 끼의 지방성 어류의 섭취, 확인된 심혈관 장애가 있는 사람은 어류 또는 식품 보충제로부터의 1일 약 1 g의 EPA + DHA의 섭취 및 상승된 혈중 지질 수치의 치료를 위해서는 1일 2-4 g의 EPA + DHA의 섭취를 권고한다 (P. M. Kris-Etherton, W. S. Harris, L. J. Appel, Circulation 2002, 106, 2747). 더욱이, 관계당국은 임상 연구를 토대로 결정된 오메가-3 지방산에 대한 건강 클레임을 특별히 승인하였다 (EU Register on Nutrition and Health Claims; 또한: EFSA Journal 2011, 9 (4), 2078 참조). 따라서, 특히 어유 뿐만 아니라 다른 식물 또는 미생물 공급원으로부터의 오메가-3 지방산이 식품 보충제, 식품 첨가제 및 의약으로서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표준 명명법에 따르면, 다중불포화 지방산은 이중 결합의 개수 및 위치에 따라 분류된다. 지방산의 메틸 말단에 가장 가까운 이중 결합의 위치에 따라, 2가지의 계열 또는 부류가 존재한다. 오메가-3 계열은 세번째 탄소 원자에서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반면, 오메가-6 계열은 여섯번째 탄소 원자까지 이중 결합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도코사헥사엔산 (DHA)은 메틸 말단으로부터 세번째 탄소 원자에서 시작하는 6개의 이중 결합과 함께 22개의 탄소 원자의 쇄 길이를 가지며, "22:6 n-3"으로 지칭된다 (올-시스-4,7,10,13,16,19-도코사헥사엔산). 또 다른 중요한 오메가-3 지방산은 에이코사펜타엔산 (EPA)이며, 이는 "20:5 n-3"으로 지칭된다 (올-시스-5,8,11,14,17-에이코사펜타엔산).
시장에 출시된 대부분의 오메가-3 지방산 제품은 약 30%의 오메가-3 지방산 함량을 갖는 어유에서부터 EPA 또는 DHA 또는 이들 두 오메가-3 지방산의 혼합물의 90% 초과의 함량을 갖는 농축물에 이르는 오일의 형태로 제공된다. 사용되는 제형은 우세하게 연질 젤라틴 캡슐이다. 또한, 수많은 추가의 제품 형태, 예컨대 마이크로캡슐화 또는 분말 제제가 기재된 바 있다 (C. J. Barrow, B. Wang, B. Adhikari, H. Liu, Spray drying and encapsulation of omega-3 oils, in: Food enrichment with omega-3 fatty acids (Eds.: C. Jacobsen, N. S. Nielsen, A. Frisenfeldt Horn, A.-D. Moltke Soerensen), pp. 194-225, Woodhead Publishing Ltd., Cambridge 2013, ISBN 978-0-85709-428-5; T.-L. Torgersen, J. Klaveness, A. H. Myrset, US 2012/0156296 A1). 화학적으로, 이들은 통상적으로 다양한 농도의 오메가-3 지방산을 갖는 트리글리세리드 또는 지방산 에틸 에스테르이지만, 예를 들어 크릴 오일과 같이 인지질, 유리 지방산 (T. J. Maines, B. N. M. Machielse, B. M. Mehta, G. L. Wisler, M. H. Davidson, P. R. Wood, US 2013/0209556 A1; M. H. Davidson, G. H. Wisler, US 2013/0095179 A1; N. J. Duragkar, US 2014/0018558 A1; N. J. Duragkar, US 2014/0051877 A1) 및 지방산의, 예를 들어 칼륨, 나트륨, 암모늄 (H. J. Hsu, S. Trusovs, T. Popova, US 8203013 B2), 칼슘 및 마그네슘 (J. A. Kralovec, H. S. Ewart, J. H. D. Wright, L. V. Watson, D. Dennis, C. J. Barrow, J. Functional Foods 2009, 1, 217; G. K. Strohmaier, N. D. Luchini, M. A. Varcho, E. D. Frederiksen, US 7,098,352 B2) (여기서 이들 염은 수용성이 아님), 아미노알콜 (P. Rongved, J. Klaveness, US 2007/0213298 A1), 아민 화합물 예컨대 피페라진 (B. L. Mylari, F. C. Sciavolino, US 2014/0011814 A1), 및 구아니딘 화합물 예컨대 메트포르민 (M. Manku, J. Rowe, US 2012/0093922 A1; B. L. Mylari, F. C. Sciavolino, US 2012/0178813 A1; B. L. Mylari, F. C. Sciavolino, US 2013/0281535 A1; B. L. Mylari, F. C. Sciavolino, WO 2014/011895 A2)과의 다양한 염이 또한 공지되어 있다. 인체에서의 상이한 오메가-3 유도체의 생체이용률은 매우 다양하다. 유리 지방산으로서의 오메가-3 지방산은 모노아실 글리세리드와 함께 소장에서 흡수되기 때문에, 유리 오메가-3 지방산의 생체이용률이, 소화관에서 먼저 유리 지방산으로 절단되어야 하는 트리글리세리드 또는 에틸 에스테르의 생체이용률보다 더 우수하다 (J. P. Schuchhardt, A. Hahn, Prostaglandins Leukotrienes Essent. Fatty Acids 2013, 89, 1). 산화에 대한 안정성 역시 상이한 오메가-3 유도체에서 매우 다양하다. 유리 오메가-3 지방산은 산화에 매우 민감한 것으로 기재되고 있다 (J. P. Schuchhardt, A. Hahn, Prostaglandins Leukotrienes Essent. Fatty Acids 2013, 89, 1). 고체인 오메가-3 형태의 사용의 경우에, 액체 제품과 비교하여 증가된 안정성이 가정된다 (J. A. Kralovec, H. S. Ewart, J. H. D. Wright, L. V. Watson, D. Dennis, C. J. Barrow, J. Functional Foods 2009, 1, 217).
게다가, 다양한 아미노산, 예컨대 리신 및 아르기닌을 갖는 오메가-3 지방산의 제제가 혼합물로서 (P. Literati Nagy, M. Boros, J. Szilbereky, I. Racz, G. Soos, M. Koller, A. Pinter, G. Nemeth, DE 3907649 A1) 또는 염으로서 (B. L. Mylari, F. C. Sciavolino, WO 2014/011895 A1; T. Bruzzese, EP 0699437 A1; T. Bruzzese, EP0734373 B1; T. Bruzzese, US 5750572, J. Torras et al., Nephron 1994, 67, 66; J. Torras et al., Nephron 1995, 69, 318; J. Torras et al., Transplantation Proc. 1992, 24 (6), 2583; S. El Boustani et al., Lipids 1987, 22 (10), 711; H. Shibuya, US 2003/0100610 A1) 공지되어 있다. 분무-건조에 의한 오메가-3 아미노알콜 염의 제조가 또한 언급되어 있다 (P. Rongved, J. Klaveness, US 2007/0213298 A1).
EP 0734373 B1에는 고진공 및 저온 하에서의 증발 건조 또는 동결-건조에 의한 DHA 아미노산 염의 제조가 기재되어 있다. 생성된 생성물은 매우 농후하고 투명한 오일로서 기재되어 있으며, 이는 저온에서 왁스성 외관 및 점조도의 고형물로 변형된다. 상당한 양의 흡착 희석제가 사용된 정제화 제형이 또한 언급되어 있지만, 보다 대규모의 정제화에 있어서 이러한 오일성 물질을 사용하는 것은 상당한 가공상의 어려움을 제기한다. 더욱이, 상이한 저장 온도에서 이러한 정제의 점조도가 변경될 수 있다.
WO 2016/102323 A1 및 WO 2016/102316 A1에는 다중불포화 오메가-3 지방산 또는 오메가-6 지방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산화에 대한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i) 적어도 1종의 다중불포화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지방산 성분을 포함하는 출발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ii) 리신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iii) 출발 조성물 및 리신 조성물의 수성, 수성-알콜성 또는 알콜성 용액들을 혼합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후속적으로 분무 건조 조건에 적용하여, 이로써 리신으로부터 유래된 양이온과 다중불포화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지방산으로부터 유래된 음이온의 적어도 1종의 염을 포함하는 고체 생성물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해당 발명에 분무 건조 조건을 사용하여 아미노산의 고체 PUFA 염을 제조하기 위한 유용한 방법이 기재되어 있지만, 최종적으로 수득된 분말은 정제와 같은 투여 형태의 제조를 위해 필요한 유용한 특성이 결여되어 있다.
과제: PUFA 아미노산 염은 선행 기술에 공지되어 있으며, 그의 제조 방법 또한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분말을, 특히 상업용 규모의 기계 상에서의 정제화에 적합하도록 만들기 위해서는, 분말 특징을 최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제화 적용에 적합한 (오메가 아미노산 염의) 분말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과립화, 건조 및 사이징과 같은 1종 이상의 추가적인 다운스트림 공정이 요구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이는 비용 및 산업상 이용가능성의 관점에서 볼 때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정제화에 적합한 오메가 아미노산 염 분말을 제조함과 동시에, 건조 및 과립화 둘 다를 위한 단일 단계 다운스트림 공정을 개발하는 것이 요구된다.
해결책: 단순한 분무 건조와 대조적으로, PUFA 아미노산 염 고체 분말의 제조에서의 다운스트림 공정으로서 분무 과립화 공정을 사용함으로써, 정제화에 매우 적합한, 월등히 우수한 분말 특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추가적으로, 또한, PSD 곡선에서 특정 특징을 갖는 특정한 실질적 일봉 입자 크기 분포 또는 쌍봉 분포가 특별한 이점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최적의 분말 특징을 초래하기 위해서는 일부 규모-비의존적 공정 파라미터가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분무 과립화 공정, 예컨대 연속 분무 과립화 및 상부 분무 배치 과립화 공정의 추가의 적합화 / 변형 / 개선이 동등하게 잘 작용한다.
문헌 WO 2016/102323 A1 및 WO 2016/102316 A1에는 PUFA의 산화에 대한 안정화를 위한 분무-건조 조건이 개시되어 있다. 해당 발명에 따른 분무 건조 조건은, 건조 분말이 액체 또는 슬러리로부터 고온 기체를 사용한 급속 건조에 의해 제조되는 단순한 분무 건조, 및 분무 건조 단계 후에 자유-유동성 과립이 액체로부터 제조되는 분무 과립화를 포함한다. 분무 과립화 공정의 경우에, 공정 기술상의 파라미터 및 구성의 설정에 의해 생성물 특성이 많은 방식으로 달라질 수 있다.
유동화 베드에서의 분무 과립화에 의해 액체가 직접적으로 특정한 생성물 특성을 갖는 자유-유동성 과립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고형물을 함유하는 액체, 예컨대 용액, 현탁액 또는 용융물이 유동화 베드 시스템으로 분무된다. 큰 열 교환으로 인해, 수성 또는 유기 용액이 즉각적으로 증발하고, 고형물이 출발물 코어로서 작은 입자를 형성한다. 이들에 다른 액체가 분무되며, 이는 증발 후에, 최종적으로 출발물 코어 주위에 경질 코팅을 형성한다. 이러한 단계가 유동화 베드에서 연속적으로 반복되어, 과립이 양파처럼 층별로 성장한다. 대안적으로, 적합한 출발물 코어의 한정된 부피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옵션에서, 액체는 단지 적용될 고형물을 위한 비히클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공정 변형법이 공기-분급 배출이 수반되는 연속 유동화 베드 시스템에서 종종 사용된다. 건조실로부터 완성된 과립이 연속적으로 제거되기 때문에, 유동화 베드에서의 입자의 양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과립은, 이들이 층층이 성장해 있기 때문에 매우 치밀할 수 있고, 따라서 마모에 대해 저항성이 있다. 입자 크기, 잔류 수분 및 고형물 함량과 같은 파라미터가 가장 다양한 생성물 특성을 달성하도록 특정하게 적합화될 수 있다. 분무 과립화를 사용하면, 50 마이크로미터 내지 5 밀리미터의 중간-크기의 입자가 제조될 수 있다. 분무 과립화를 사용함으로써, 유동하는 능력, 마모되지 않는 능력, 박리되지 않는 능력, 용이하게 용해되는 능력 또는 최적으로 투여되는 능력과 같은 특성이 고형물에 부여될 수 있다. 무분진 과립은 치밀한 표면 구조 및 높은 벌크 밀도를 가지며, 그의 작은 표면으로 인해 낮은 흡습성을 갖는다. 액체 물질을 고체 생성물 형태로 변환시키기 위한 최적의 해결책이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PUFA라는 용어는 다중불포화 지방산이라는 용어와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되며, 하기와 같이 정의된다: 지방산은 탄소 쇄의 길이 및 포화 특징에 따라 분류된다. 단쇄 지방산은 2 내지 약 6개의 탄소를 가지며, 전형적으로 포화된다. 중쇄 지방산은 약 6 내지 약 14개의 탄소를 가지며, 이 또한 전형적으로 포화된다. 장쇄 지방산은 16 내지 24개 또는 그 초과의 탄소를 가지며, 포화 또는 불포화될 수 있다. 장쇄 지방산에 1개 또는 그 초과의 불포화 포인트가 존재할 수 있어, 각각 "단일불포화" 및 "다중불포화"라는 용어를 만들어낸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20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갖는 장쇄 다중불포화 지방산이 다중불포화 지방산 또는 PUFA로 지칭된다.
널리 확립된 명명법에 따르면, PUFA는 지방산 내 이중 결합의 개수 및 위치에 따라 분류된다. 지방산의 메틸 말단에 가장 가까운 이중 결합의 위치에 따라, LC-PUFA의 2가지의 주요 계열 또는 부류가 존재한다: 오메가-3 계열은 세번째 탄소에서 이중 결합을 함유하는 반면, 오메가-6 계열은 여섯번째 탄소까지 이중 결합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도코사헥사엔산 (DHA)은 메틸 말단으로부터 세번째 탄소에서 시작하는 6개의 이중 결합과 함께 22개의 탄소의 쇄 길이를 가지며, "22:6 n-3"으로 지칭된다 (올-시스-4,7,10,13,16,19-도코사헥사엔산). 또 다른 중요한 오메가-3 PUFA는 에이코사펜타엔산 (EPA)이며, 이는 "20:5 n-3"으로 지칭된다 (올-시스-5,8,11,14,17-에이코사펜타엔산). 중요한 오메가-6 PUFA는 아라키돈산 (ARA)이며, 이는 "20:4 n-6"으로 지칭된다 (올-시스-5,8,11,14-에이코사테트라엔산).
다른 오메가-3 PUFA는 하기를 포함한다: 에이코사트리엔산 (ETE) 20:3 (n-3) (올-시스-11,14,17-에이코사트리엔산), 에이코사테트라엔산 (ETA) 20:4 (n-3) (올-시스-8,11,14,17-에이코사테트라엔산), 헨에이코사펜타엔산 (HPA) 21:5 (n-3) (올-시스-6,9,12,15,18-헨에이코사펜타엔산), 도코사펜타엔산 (클루파노돈산) (DPA) 22:5 (n-3) (올-시스-7,10,13,16,19-도코사펜타엔산), 테트라코사펜타엔산 24:5 (n-3) (올-시스-9,12,15,18,21-테트라코사펜타엔산), 테트라코사헥사엔산 (니신산) 24:6 (n-3) (올-시스-6,9,12,15,18,21-테트라코사헥사엔산).
다른 오메가-6 PUFA는 하기를 포함한다: 에이코사디엔산 20:2 (n-6) (올-시스-11,14-에이코사디엔산), 디호모-감마-리놀렌산 (DGLA) 20:3 (n-6) (올-시스-8,11,14-에이코사트리엔산), 도코사디엔산 22:2 (n-6) (올-시스-13,16-도코사디엔산), 아드렌산 22:4 (n-6) (올-시스-7,10,13,16-도코사테트라엔산), 도코사펜타엔산 (오스본드산) 22:5 (n-6) (올-시스-4,7,10,13,16-도코사펜타엔산), 테트라코사테트라엔산 24:4 (n-6) (올-시스-9,12,15,18-테트라코사테트라엔산), 테트라코사펜타엔산 24:5 (n-6) (올-시스-6,9,12,15,18-테트라코사펜타엔산).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서 사용되는 바람직한 오메가-3 PUFA는 도코사헥사엔산 (DHA) 및 에이코사펜타엔산 (EPA)이다.
본 발명의 방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다중불포화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지방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상당량의 유리 다중불포화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지방산을 함유하는 임의의 조성물일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유리 형태의 다른 자연 발생 지방산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조성물은, 그 자체가 실온 및 표준 대기압에서 고체, 액체 또는 기체상인 구성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응하는 액체 구성성분은, 증발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으며, 따라서 휘발성 구성성분으로 간주될 수 있는 구성성분 뿐만 아니라, 증발에 의해 제거되기 어려우며, 따라서 비-휘발성 구성성분으로 간주될 수 있는 구성성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체상 구성성분은 휘발성 구성성분으로 간주된다. 전형적인 휘발성 구성성분은 물, 알콜 및 초임계 이산화탄소이다.
본 발명의 방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다중불포화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지방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임의의 적합한 공급원 물질로부터 수득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공급원 물질은 그를 가공하는 임의의 적합한 방법에 의해 추가적으로 가공되어 있을 수 있다. 전형적인 공급원 물질은 임의의 부위의 어류 지육, 채소 및 다른 식물 뿐만 아니라 미생물 및/또는 조류 발효로부터 유래된 물질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물질은 상당량의 다른 자연 발생 지방산을 추가로 함유한다. 이러한 공급원 물질의 전형적인 가공 방법은 추출 및 공급원 물질의 분리와 같은 미정제 오일을 수득하기 위한 단계, 뿐만 아니라 침강 및 탈검, 탈산, 표백, 및 탈취와 같은 미정제 오일을 정제하기 위한 단계, 및 탈산, 에스테르교환, 농축, 및 탈취와 같은 정제 오일로부터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PUFA-농축물을 제조하기 위한 추가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헌 [EFSA Scientific Opinion on Fish oil for Human Consumption] 참조). 공급원 물질의 임의의 가공은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PUFA-에스테르를 상응하는 유리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PUFA 또는 그의 무기 염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형시키기 위한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을 위해 사용되는 다중불포화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지방산을 포함하는 바람직한 조성물은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PUFA 및 다른 자연 발생 지방산의 에스테르로 주로 이루어진 조성물로부터, 에스테르 결합의 절단 및 이전에 에스테르로서 결합되어 있던 알콜의 후속 제거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 절단은 염기성 조건 하에 수행된다. 에스테르 절단을 위한 방법은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불포화 지방산 염을 과립화하는 방법으로서:
i. 적어도 1종의 다중불포화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지방산 성분을 포함하는 출발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ii. 반대 이온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iii. 출발 조성물 및 반대 이온 조성물의 수성, 수성-알콜성 또는 알콜성 용액들을 혼합하는 단계, 및
iv. 생성된 혼합물을 후속적으로 유동화 베드에서의 분무 과립화에 적용하여, 이로써 반대 이온으로부터 유래된 양이온과 다중불포화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지방산으로부터 유래된 음이온의 적어도 1종의 염을 포함하는 고체 생성물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여기서 반대 이온 조성물은 단계 (i)에서 제공된 출발 조성물 중 카르복실산 관능기의 양 및 단계 (ii)에서 제공된 반대 이온의 양의 비가 몰 기준으로 1 : 0.5 내지 1 : 2 (카르복실산 관능기 : 반대 이온)의 범위에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제공되는 것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대 이온 조성물은 단계 (i)에서 제공된 출발 조성물 중 카르복실산 관능기의 양 및 단계 (ii)에서 제공된 반대 이온의 양의 비가 몰 기준으로 1 : 0.5 내지 1 : 2 (카르복실산 관능기 : 반대 이온)의 범위에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제공된다. 다시 말해서, 이는 출발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지방산 성분 및 반대 이온 조성물이 정량적 염 형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등몰량으로 제공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단계 (ii)에서의 반대 이온 조성물은 단계 (i)에서 제공된 출발 조성물 중 카르복실산 관능기의 양 n(ca) 및 단계 (ii)에서 제공된 반대 이온 조성물 중 유리 반대 이온의 총량 n(ci)의 비 R = n(ca)/n(ci)가 0.9 < R < 1.1, 0.95 < R < 1.05, 0.98 < R < 1.02로부터 선택된 범위에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제공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R은 0.98 < R < 1.02의 범위에 있다. 단계 (i)에서 제공된 출발 조성물 중 카르복실산 관능기의 양 n(ca)는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표준 분석 절차, 예를 들어 산 염기 적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적어도 1종의 다중불포화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지방산 성분을 포함하는 출발 조성물은 상당량의 적어도 1종의 다중불포화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지방산 성분을 함유하는 임의의 조성물일 수 있으며, 여기서 유리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PUFA (여기서 "유리"는 유리 카르복실산 관능기의 존재를 나타냄)의 각각의 유형 (즉, 분자 종)이 상이한 다중불포화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지방산 성분을 구성한다. 이러한 조성물은 유리 형태의 다른 자연 발생 지방산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조성물은, 그 자체가 실온 및 표준 대기압에서 고체, 액체 또는 기체상인 구성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응하는 액체 구성성분은, 증발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으며, 따라서 휘발성 구성성분으로 간주될 수 있는 구성성분 뿐만 아니라, 증발에 의해 제거되기 어려우며, 따라서 비-휘발성 구성성분으로 간주될 수 있는 구성성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체상 구성성분은 휘발성 구성성분으로 간주된다. 전형적인 휘발성 구성성분은 물, 알콜 및 초임계 이산화탄소이다.
따라서, 전형적인 출발 조성물은, 휘발성 구성성분을 고려하지 않을 때, 적어도 25 wt%의 PUFA-함량 (즉, 1종 이상의 유리 다중불포화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지방산의 총 함량), 최대 75 wt%의 유리 형태의 다른 자연 발생 지방산, 및 최대 5 wt%의 그 자체가 실온 및 표준 대기압에서 고체 또는 액체인 다른 구성성분을 갖는다. 그러나, 보다 고급의 다중불포화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지방산이 각각의 출발 물질의 정제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출발 조성물은, 휘발성 구성성분을 고려하지 않을 때, 적어도 50 wt%의 PUFA-함량 (즉, 1종 이상의 유리 다중불포화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지방산의 총 함량), 최대 50 wt%의 유리 형태의 다른 자연 발생 지방산, 및 최대 5 wt%의 그 자체가 실온 및 표준 대기압에서 고체 또는 액체인 다른 구성성분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출발 조성물은, 휘발성 구성성분을 고려하지 않을 때, 적어도 75 wt%의 PUFA-함량 (즉, 1종 이상의 유리 다중불포화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지방산의 총 함량), 최대 25 wt%의 유리 형태의 다른 자연 발생 지방산, 및 최대 5 wt%의 그 자체가 실온 및 표준 대기압에서 고체 또는 액체인 다른 구성성분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출발 조성물은, 휘발성 구성성분을 고려하지 않을 때, 적어도 90 wt%의 PUFA-함량 (즉, 1종 이상의 유리 다중불포화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지방산의 총 함량), 최대 10 wt%의 유리 형태의 다른 자연 발생 지방산, 및 최대 5 wt%의 그 자체가 실온 및 표준 대기압에서 고체 또는 액체인 다른 구성성분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출발 조성물은, 휘발성 구성성분을 고려하지 않을 때, 적어도 90 wt%의 PUFA-함량 (즉, 1종 이상의 유리 다중불포화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지방산의 총 함량), 최대 10 wt%의 유리 형태의 다른 자연 발생 지방산, 및 최대 1 wt%의 그 자체가 실온 및 표준 대기압에서 고체 또는 액체인 다른 구성성분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방법의 단계 (ii)에서 제공되는 반대 이온 조성물은 상당량의 반대 이온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이러한 조성물은, 그 자체가 실온 및 표준 대기압에서 고체, 액체 또는 기체상인 구성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응하는 액체 구성성분은, 증발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으며, 따라서 휘발성 구성성분으로 간주될 수 있는 구성성분 뿐만 아니라, 증발에 의해 제거되기 어려우며, 따라서 비-휘발성 구성성분으로 간주될 수 있는 구성성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체상 구성성분은 휘발성 구성성분으로 간주된다. 전형적인 휘발성 구성성분은 물, 알콜 및 초임계 이산화탄소이다. 전형적인 리신 조성물은, 휘발성 구성성분을 고려하지 않을 때, 적어도 95 wt%, 97 wt%, 98 wt%, 또는 99 wt%의 유리 리신을 함유한다. 바람직한 리신 조성물은, 휘발성 구성성분을 고려하지 않을 때, 적어도 98 wt%의 유리 리신을 함유한다.
오메가 염의 용액을 사용하는 분무 과립화는 1종 초과의 용매 및 생성물 특성을 제어하는 복합적인 일련의 파라미터를 수반하는 특수 공정이다. 실험 동안, 가공성과 공정 파라미터 사이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는 광범위한 생성물에 대해 일반화될 수는 없지만, 오메가 염 분무 과립화 공정에 특정하게 적용가능하다. 하기 인자를 사용하여 수식이 도출되었다: a) 오메가 염 분무 과립화 공정 동안의 평균 베드 온도, b) 사용된 평균 무화 압력의 세제곱근, 및 c) 작업 규모/배치 크기의 세제곱근. 공정 계수 (PF)의 결정에 의해 오메가 염 분무 과립화 공정 동안의 가공성을 추정하기 위해 도출된 수식은 하기 언급된 바와 같다:
여기서 S는 kg 단위의 배치 크기이고, T는 ℃ 단위의 평균 베드 온도이고, A는 bar 단위의 평균 무화 압력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리한 구성에서, 분무 과립화는 5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의 평균 베드 온도 (T)에서, 0.5 내지 10 bar의 평균 무화 압력 (A)에서 수행되고, 공정 계수는 1.6 초과,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10.0이며, 여기서 공정 계수 (PF)는 하기와 같이 정의되고:
여기서 S는 kg 단위의 배치 크기이고, T는 ℃ 단위의 평균 베드 온도이고, A는 bar 단위의 평균 무화 압력이다. 연속 분무 과립화 공정에 있어서, 배치 크기 S는 가공 동안 공정 챔버에 존재하는 고형물의 양이다.
바람직한 구성에서, 과립화 공정은 분무 과립화, 건식 과립화, 슬러깅, 플래너터리 혼합 과립화, 고전단 과립화, 용융 과립화 및 상부 분무 과립화로부터, 또한 배치 분무-과립화 및 연속 분무 과립화 뿐만 아니라 변형된 형태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구성에서, 과립화 공정은 분무 과립화, 상부 분무 과립화로부터, 또한 배치 분무-과립화 및 연속 분무 과립화 뿐만 아니라 변형된 형태로부터 선택된다.
과립화가 희석제, 결합제, 유동 촉진제, 윤활제, 가소제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부형제의 존재 하에 수행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구성에서, 반대 이온은 염기성 아민, 바람직하게는 리신, 아르기닌, 오르니틴, 콜린으로부터 선택된 것, 또는 마그네슘 (Mg2+) 및 칼륨 (K+)으로부터 선택된 반대 이온, 또는 그의 혼합물이다.
반대 이온으로서 리신, 아르기닌 및 오르니틴으로부터 선택된 염기성 아민, 또는 마그네슘 (Mg2+) 및 칼륨 (K+)으로부터 선택된 반대 이온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L-리신 또는 L-리신과 L-아르기닌의 혼합물이 반대 이온으로서 사용되고, L-리신과 L-아르기닌 사이의 비가 10:1 내지 1:1인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휘발성 구성성분을 고려하지 않을 때, 출발 조성물은 주로 유리 PUFA 및 유리 형태의 다른 자연 발생 지방산을 함유하고, 반대 이온 조성물은 주로 유리 염기성 아민, 바람직하게는 리신 또는 아르기닌을 함유하여, 이로써 리신 또는 아르기닌과 PUFA 및 다른 자연 발생 지방산의 염으로 주로 이루어진 생성물 조성물을 산출한다.
본 발명의 방법의 단계 (iii)에서 출발 조성물 및 반대 이온 조성물이 조합된다. 조합은 양이온과 다중불포화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지방산으로부터 유래된 음이온의 적어도 1종의 염을 포함하는 생성물 조성물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임의의 수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출발 조성물 및 반대 이온 조성물을 조합하는 전형적인 방식은 각각의 수성, 수성-알콜성 또는 알콜성 용액들을 혼합하고, 후속적으로 용매를 제거하는 것이다. 대안적으로, 조성물의 나머지 구성성분에 따라, 용매를 첨가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으며, 두 조성물을 직접 조합하는 것으로 충분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두 조성물을 조합하는 바람직한 방식은 각각의 수성, 수성-알콜성 또는 알콜성 용액들을 혼합하고, 후속적으로 용매를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리신, 아르기닌, 오르니틴, 콜린, 또는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염기성 아민으로부터 유래된 양이온은 리신, 아르기닌, 오르니틴, 콜린, 또는 그의 혼합물의 양성자화에 의해 수득된 양이온이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다중불포화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지방산으로부터 유래된 음이온은 다중불포화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지방산의 탈양성자화에 의해 수득된 음이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단계 (i)에서의 출발 조성물 및 단계 (ii)에서의 리신 조성물은 생성물 조성물의 적어도 sp wt%가 리신으로부터 유래된 양이온과 1종 이상의 다중불포화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지방산 및 다른 자연 발생 지방산으로부터 유래된 음이온의 1종 이상의 염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으로 제공되며, 여기서 sp는 50, 60, 70, 80, 90, 95, 97, 98, 99, 100으로부터 선택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성에서,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지방산을 위한 공급원은 어유, 오징어 오일, 크릴 오일, 린시드 오일, 보리지 종자 오일, 조류 오일, 대마 종자 오일, 평지씨 오일, 아마씨 오일, 카놀라 오일, 대두 오일 중 적어도 1종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방법에 수득가능한 입자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과립화 공정에 의해 수득가능한, 반대 이온으로부터 유래된 양이온과 1종 이상의 다중불포화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지방산으로부터 유래된 음이온의 1종 이상의 염을 포함하는 입자로서, 여기서 입자 크기 분포 곡선이 하기 특성 중 적어도 2가지를 나타내는 것인 입자를 추가로 포함한다:
A. D90이 350 μm 내지 1500 μm임;
B. 다봉 곡선에서, 가장 높은 피크가 200 μm 내지 1500 μm의 범위에서 피크 강도를 가지며, 여기서 두번째로 높은 피크의 강도 (Y 축에서 측정됨)는 가장 높은 피크의 50% 이하임;
C. 다봉 곡선에서, 가장 높은 피크와 두번째로 높은 피크 사이의 강도 차이 (Y 축 값을 사용하여 측정됨)가 30% 이하이고, 두번째로 높은 피크가 400 μm 내지 1500 μm의 범위에서 최고 강도를 가지며, 여기서 상기 두 피크 사이의 Y 스케일에서의 트로프 강도는 가장 높은 피크의 25% 초과임;
D. PSD 곡선에서의 가장 높은 피크의 기저 ('Y' 축에서의 피크의 최하위 2개 포인트 사이의 차이 (마이크로미터)에 의해 측정됨)가 절대값으로 적어도 400 μm의 폭을 가짐.
본 발명에 따르면, 입자 크기 분포 (PSD) 곡선이 입자의 혼합물의 입자 크기의 분포를 제시하며, 여기서 입자 크기는 X-축에 제시되고, 각각의 누적 백분율은 Y-축에 제시된다. 이러한 입자 크기 분포 곡선 및 허용 기준 A 내지 D가 도 1 및 2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하기 정의를 갖는다:
- 첫번째로 높은 피크: Y-축에서 측정된, PSD 그래프에서의 가장 높은 곡선.
- 두번째로 높은 피크: Y-축에서 측정된, PSD 그래프에서의 첫번째로 높은 피크와 비교하여 두번째로 높은 곡선.
- 강도 차이: Y-축에서 측정된, PSD 그래프에서의 첫번째로 높은 곡선과 두번째로 높은 곡선 사이의 곡선 강도 차이.
- 기저 폭: 최하위 2개 포인트 또는 피크의 양쪽에 있는 트로프로부터 수직선을 그려 계산된 X-축에서의 값 (마이크로미터).
- 트로프 강도: 2개의 피크 사이에 존재하는 Y-축에서의 최하위 포인트.
분포 폭을 정의하기 위해 X-축에서의 3개의 값, 즉, D10, D50, 및 D90 값이 사용된다. 입자 크기 분포에서 중앙값을 D50이라고 하며, 이는 분포의 절반이 해당 직경보다 크고 절반이 해당 직경보다 작도록 분할하는 크기 (마이크로미터)이다. 유사하게, 분포의 90 퍼센트가 D90보다 작고, 모집단의 10 퍼센트가 D10보다 작다.
바람직한 구성에서, 반대 이온은 염기성 아민, 바람직하게는 리신, 아르기닌, 오르니틴, 콜린으로부터 선택된 것, 또는 마그네슘 (Mg2+) 및 칼륨 (K+)으로부터 선택된 반대 이온, 또는 그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입자를 위한 반대 이온 조성물은 출발 조성물 중 카르복실산 관능기의 양 및 반대 이온의 양의 비가 몰 기준으로 1 : 0.5 내지 1 : 2 (카르복실산 관능기 : 반대 이온)의 범위에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제공된다. 다시 말해서, 이는 출발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지방산 성분 및 반대 이온 조성물이 정량적 염 형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등몰량으로 제공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반대 이온 조성물은 출발 조성물 중 카르복실산 관능기의 양 n(ca) 및 반대 이온 조성물 중 유리 반대 이온의 총량 n(ci)의 비 R = n(ca)/n(ci)가 0.9 < R < 1.1, 0.95 < R < 1.05, 0.98 < R < 1.02로부터 선택된 범위에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제공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R은 0.98 < R < 1.02의 범위에 있다. 출발 조성물 중 카르복실산 관능기의 양 n(ca)는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표준 분석 절차, 예를 들어 산 염기 적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과립화 공정이 분무 과립화, 건식 과립화, 슬러깅, 플래너터리 혼합 과립화, 고전단 과립화, 용융 과립화 및 상부 분무 과립화로부터, 또한 배치 분무-과립화 및 연속 분무 과립화 뿐만 아니라 변형된 형태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분무 과립화, 상부 분무 과립화로부터, 또한 배치 분무-과립화 및 연속 분무 과립화 뿐만 아니라 변형된 형태로부터 선택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과립화가 희석제, 결합제, 유동 촉진제, 윤활제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부형제의 존재 하에 수행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추가의 대상은 다중불포화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지방산을 포함하는 식제품의 제조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입자의 용도이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식제품은 베이킹 제품, 비타민 보충제, 다이어트 보충제, 분말형 드링크, 도우, 배터, 베이킹 식품류 예컨대 예를 들어 케이크, 치즈케이크, 파이, 컵케이크, 쿠키, 바, 브레드, 롤, 비스킷, 머핀, 페이스트리, 스콘, 및 크루통; 액체 식제품 예를 들어 음료, 에너지 드링크, 유아용 조제식, 유동식, 과일 쥬스, 멀티비타민 시럽, 식사 대용품, 약용 식품, 및 시럽; 반-고체 식제품 예컨대 이유식, 요구르트, 치즈, 시리얼, 팬케이크 믹스; 푸드 바 예컨대 에너지 바; 가공육; 아이스크림; 냉동 디저트; 프로즌 요거트; 와플 믹스; 샐러드 드레싱; 및 대체 계란 믹스; 및 추가의 쿠키, 크래커, 감미 식품, 스낵, 파이, 그래놀라/스낵 바, 및 토스터 페이스트리; 가염 스낵 예컨대 포테이토 칩, 콘 칩, 토르틸라 칩, 압출 스낵, 팝콘, 프레첼, 포테이토 크리스프, 및 견과류; 특수 스낵 예컨대 딥, 건과 스낵, 미트 스낵, 포크 라인드, 건강 식품 바 및 라이스/콘 케이크; 당과 스낵 예컨대 캔디; 인스턴트 식제품, 예컨대 인스턴트 누들, 인스턴트 수프 큐브 또는 과립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추가의 대상은 다중불포화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지방산을 포함하는 영양 제품의 제조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입자의 용도이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영양 제품은, 예를 들어 비타민, 미네랄, 섬유질, 지방산, 또는 아미노산을 보충하기 위한 임의의 유형의 기능식품, 영양제 또는 식이 보충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대상은 다중불포화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지방산을 포함하는 제약 제품의 제조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입자의 용도이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제약 제품은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 뿐만 아니라 추가의 제약 활성제 예컨대 예를 들어 콜레스테롤-강하제 예컨대 스타틴, 항고혈압제, 항당뇨병제, 항치매제, 항우울제, 항비만제, 식욕 억제제 및 기억 및/또는 인지 기능 향상을 위한 작용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자로부터 제조된 고체 경구 투여 형태가 또한 본 발명의 대상이며, 여기서 고체 경구 투여 형태는 정제, 과립 또는 캡슐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구성에서, 오메가-3 지방산 성분은 EPA 또는 DHA로부터 선택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구성에서,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지방산 염은 리신, 아르기닌, 오르니틴, 콜린으로부터 선택된 유기 반대 이온 또는 마그네슘 (Mg2+), 칼륨 (K+) 및 그의 혼합물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다중불포화 지방산의 양은, 다중불포화 지방산 염의 총 중량에 대해, 6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60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5 중량-%이다.
대안적 구성에서, 다중불포화 지방산의 양은 80% 초과, 바람직하게는 90% 초과이다. 구체적으로, 마그네슘 염의 경우에, 다중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은 90% 초과, 보다 구체적으로 대략 93%일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 실시양태에서, 칼륨 염의 경우에, 다중불포화 지방산의 양은 85% 초과, 보다 구체적으로 대략 89%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정제화 조성물 중 다중불포화 지방산 염의 양은 5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0 중량-%이다.
실시예
비교 실시예 1-3: 분무 건조 공정
분무 건조 (C1-C3)를 위한 공정 세부사항: PUFA 리신 염 히드로에탄올성 용액을 제조하고, 하기 언급된 공정 파라미터 (표 1)를 사용하여 분무 건조시켰다.
표 1: 분무 건조 공정 파라미터
표 2: 분무 건조 공정 - 과립 특징화
생성물은 불량한 유동 특성 때문에, 정제화 기계에서 가공할 수 없었다. 과립의 특징화는 표 2에 요약되어 있다.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기준 A 내지 D가 충족되지 않았다.
비교 실시예 4-6:
미분의 재순환이 수반되는 분무 과립화
분무 과립화 (C4-C5)를 위한 공정 세부사항: PUFA 리신 염 히드로에탄올성 용액을 제조하고, 하기 언급된 공정 파라미터 (표 3)를 사용하여 분무 과립화하였다. 비교 실시예 C-6의 경우에는, PUFA 리신 염을 고속 믹서 과립화기 (CPM RMG-10, 차문다 파르마 머시너리 프라이빗 리미티드(Chamunda Pharma Machinary Pvt. Ltd.))로 과립화하였다.
표 3: 비교 실시예 C-4 내지 C-6을 위한 공정 파라미터
표 4: 분무 과립화 공정 - 과립 특징화
생성물은 불량한 유동 특성 또는 툴링 상의 정제의 점착과 관련된 문제 또는 이들 둘 다로 인해, 정제화 기계에서 가공할 수 없었다. 과립의 특징화는 표 4에 요약되어 있다.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기준 A 내지 D가 C4 및 C5에서 충족되지 않았다.
실시예 1-5: 미분의 재순환이 수반되는 분무 과립화 (본 발명)
분무 과립화를 위한 공정 세부사항: PUFA 리신 염 히드로에탄올성 용액을 제조하고, 하기 언급된 공정 파라미터 (표 5 참조)를 사용하여 분무 과립화하였다.
표 5: 분무 과립화 공정 파라미터
표 6: 분무 과립화 공정 - 과립 특징화
과립의 특징화는 표 6에 제시되어 있다.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허용 기준 A 내지 D가 분석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자 크기 분포 곡선이 하기 특성 중 적어도 2가지를 나타내어야 한다:
A. D90이 400 μm 내지 1500 μm임;
B. 다봉 곡선에서, 가장 높은 피크가 200 μm 내지 1500 μm의 범위에서 피크 강도를 가지며, 여기서 두번째로 높은 피크의 강도 (Y 축에서 측정됨)는 가장 높은 피크의 50% 이하임;
C. 다봉 곡선에서, 가장 높은 피크와 두번째로 높은 피크 사이의 강도 차이 (Y 축 값을 사용하여 측정됨)가 30% 이하이고, 두번째로 높은 피크가 400 μm 내지 1500 μm의 범위에서 최고 강도를 가지며, 여기서 상기 두 피크 사이의 Y 스케일에서의 트로프 강도는 가장 높은 피크의 25% 초과임;
D. PSD 곡선에서의 가장 높은 피크의 기저 (Y 축에서의 피크의 최하위 2개 포인트 사이의 차이 (마이크로미터)에 의해 측정됨)가 절대값으로 적어도 400 μm의 폭을 가짐.
모든 실시예에서, 입자가 제조되었으며, 이는 열거된 허용 기준 A 내지 D 중 적어도 2가지를 충족시켰고, 정제화 기계에서의 작업가능성이 있었다.
실시예 6: 상부 분무 과립화를 사용하는 과립화 (본 발명)
PUFA 리신 염을 하기 언급된 공정 파라미터 (표 7)를 사용하여, 물을 사용하는 상부 분무 과립화기를 통해 과립화하였다.
플래너터리 믹서를 사용하는 실험의 경우에는, 500 g의 오메가-3 지방산의 리신-염을 22-25 g의 정제수를 사용하여 2 min 동안 과립화하였다. 습윤 과립을 < 2.5%의 LOD까지 건조시키고, 목적하는 입자 크기를 수득하도록 사이징하였다.
표 7: 분무 과립화 공정 파라미터
표 8: 분무 과립화 공정 - 과립 특징화
과립의 특징화는 표 8에 제시되어 있다.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허용 기준 A 내지 D가 분석되었다.
모든 실시예에서, 입자가 제조되었으며, 이는 열거된 허용 기준 A 내지 D 중 적어도 2가지를 충족시켰고, 정제화 기계에서의 작업가능성이 있었다.
실시예 7-9: 상부 과립화 기술을 사용하는 분무 과립화 (본 발명)
PUFA 리신 염을 하기 언급된 공정 파라미터 (표 9)를 사용하여, 물을 사용하는 상부 분무 과립화기를 통해 과립화하였다.
표 9: 상부 분무 과립화 공정 파라미터
표 10: 분무 과립화 공정 - 과립 특징화
과립의 특징화는 표 10에 제시되어 있다.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허용 기준 A 내지 D가 분석되었다.
모든 실시예에서, 입자가 제조되었으며, 이는 열거된 허용 기준 A 내지 D 중 적어도 2가지를 충족시켰고, 정제화 기계에서의 작업가능성이 있었다.
실시예 10: 정제화 시험
PUFA 염을 (비교 실시예 C-4에 대해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미분의 재순환이 수반되는 분무 과립화를 사용하여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분무 과립화를 사용하여 제조하고, 정제화 시험을 위해 표 11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정제화 부형제와 함께 제형화하였다.
표 11: 정제화 시험을 위한 조성물
표 12: 정제의 특징화
정제화 시험의 결과는 표 12에 요약되어 있다. 정제화 기계에서의 작업가능성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과립에서만 있었다.
실시예 11-13: 상이한 PUFA 염을 사용하는 분무 과립화 (본 발명)
본 발명의 실시예 11 및 12의 경우에는, 50% 히드로에탄올 중의 PUFA 칼륨 염 / PUFA 오르니틴 염 용액 (50 %w/w)을 하기 언급된 공정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분무 과립화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13의 경우에는, PUFA 리신 염 용액 (50 %w/w)을 히드로에탄올성 용액으로 제조하고, 연속 유동화 베드 과립화기에서 하기 언급된 공정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체질-분쇄 사이클을 통해 분무 과립화하였다 (표 13 참조).
표 13: 분무 과립화 공정 파라미터
표 14: 분무 과립화 공정 - 과립 특징화
정제화 시험:
PUFA 염을 본 발명의 실시예 11 - 13에 대해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고, 하기 제시된 바와 같이 제형화하였다. 정제화 조성물은 표 15에 요약되어 있고, 정제화 시험의 결과는 표 16에 요약되어 있다.
표 15: 정제화 시험을 위한 조성물
표 16: 정제의 특징화
스캐닝 전자 현미경검사 (SEM) 연구:
본 발명의 실시예 13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된 PUFA 염 (연속 과립화에 의해 제조된 PUFA 리신 염) 및 비교 실시예 C6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된 PUFA 염 (고속 믹서 과립화에 의해 제조된 PUFA 리신 염)을, 입자 표면 특징 (내부 구조)을 이해하기 위해 SEM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도 3 및 도 4에 제시되어 있다.
도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I-13에 따라 제조된, 분무 과립화된 PUFA 염의 내부 구조는 고도로 다공성인 성질을 갖는다. 이와 대조적으로, 비교 실시예 C-6에 따라 제조된, RMG 과립화된 PUFA 염의 경우에는 이러한 다공성 구조가 보이지 않았다 (도 4). 오히려 이것은 보다 더 경질이어서, 정제화 작업에 덜 바람직하다.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된 PUFA 염 과립의 높은 습도에 대한 노출:
본 발명의 실시예 13으로부터의 PUFA 염 (연속 과립화에 의해 제조된 PUFA 리신 염) 및 비교 실시예 C6으로부터의 PUFA 염 (고속 믹서 과립화에 의해 제조된 PUFA 리신 염)을 1시간 동안 40℃ / 75% 상대 습도 (RH) 조건에 노출시키고, 정제화 작업에서의 취급 동안 이들 물질의 민감성을 이해하기 위해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샘플을 1시간 동안 40℃ / 75% 상대 습도 (RH) 조건에 노출시킨 후에, 연속 분무 과립화된 PUFA 리신 염의 표면은 높은 온도 및 습도 노출로 인한 인지가능한 변화를 제시하지 않았다. 이와 대조적으로, 고속 믹서 과립화된 PUFA 리신 염의 표면은 노출 시, 정제화를 위해 추가로 가공하기 어려운 점착성 및 오일성으로 변하였다.
Claims (16)
-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불포화 지방산 염을 과립화하는 방법으로서:
i. 적어도 1종의 다중불포화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지방산 성분을 포함하는 출발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ii. 반대 이온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iii. 출발 조성물 및 반대 이온 조성물의 수성, 수성-알콜성 또는 알콜성 용액들을 혼합하는 단계, 및
iv. 생성된 혼합물을 후속적으로 유동화 베드에서의 분무 과립화에 적용하여, 이로써 반대 이온으로부터 유래된 양이온과 다중불포화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지방산으로부터 유래된 음이온의 적어도 1종의 염을 포함하는 고체 생성물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여기서 반대 이온 조성물은 단계 (i)에서 제공된 출발 조성물 중 카르복실산 관능기의 양 및 단계 (ii)에서 제공된 반대 이온의 양의 비가 몰 기준으로 1 : 0.5 내지 1 : 2 (카르복실산 관능기 : 반대 이온)의 범위에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제공되는 것인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과립화 공정이 분무 과립화, 건식 과립화, 슬러깅, 플래너터리 혼합 과립화, 고전단 과립화, 용융 과립화 및 상부 분무 과립화로부터, 또한 배치 분무-과립화 및 연속 분무 과립화 뿐만 아니라 변형된 형태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분무 과립화, 상부 분무 과립화로부터, 또한 배치 분무-과립화 및 연속 분무 과립화 뿐만 아니라 변형된 형태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대 이온이 염기성 아민, 바람직하게는 리신, 아르기닌, 오르니틴, 콜린으로부터 선택된 것, 또는 마그네슘 (Mg2+) 및 칼륨 (K+)으로부터 선택된 반대 이온, 또는 그의 혼합물인 방법.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L-리신 또는 L-리신과 L-아르기닌의 혼합물이 반대 이온으로서 사용되고, L-리신과 L-아르기닌 사이의 비가 10:1 내지 1:1인 방법.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지방산을 위한 공급원이 어유, 오징어 오일, 크릴 오일, 린시드 오일, 보리지 종자 오일, 조류 오일, 대마 종자 오일, 평지씨 오일, 아마씨 오일, 카놀라 오일, 대두 오일 중 적어도 1종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수득가능한 입자.
- 과립화 공정에 의해 수득가능한, 반대 이온으로부터 유래된 양이온과 1종 이상의 다중불포화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지방산으로부터 유래된 음이온의 1종 이상의 염을 포함하는 입자로서, 여기서 입자 크기 분포 곡선이 하기 특성 중 적어도 2가지를 나타내는 것인 입자:
A. D90이 350 μm 내지 1500 μm임;
B. 다봉 곡선에서, 가장 높은 피크가 200 μm 내지 1500 μm의 범위에서 피크 강도를 가지며, 여기서 두번째로 높은 피크의 강도 (Y 축에서 측정됨)는 가장 높은 피크의 50% 이하임;
C. 다봉 곡선에서, 가장 높은 피크와 두번째로 높은 피크 사이의 강도 차이 (Y 축 값을 사용하여 측정됨)가 30% 이하이고, 두번째로 높은 피크가 400 μm 내지 1500 μm의 범위에서 최고 강도를 가지며, 여기서 상기 두 피크 사이의 Y 스케일에서의 트로프 강도는 가장 높은 피크의 25% 초과임;
D. PSD 곡선에서의 가장 높은 피크의 기저 (Y 축에서의 피크의 최하위 2개 포인트 사이의 차이 (마이크로미터)에 의해 측정됨)가 절대값으로 적어도 400 μm의 폭을 가짐. -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반대 이온이 염기성 아민, 바람직하게는 리신, 아르기닌, 오르니틴, 콜린으로부터 선택된 것, 또는 마그네슘 (Mg2+) 및 칼륨 (K+)으로부터 선택된 반대 이온, 또는 그의 혼합물인 입자.
-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반대 이온 조성물이 출발 조성물 중 카르복실산 관능기의 양 및 반대 이온의 양의 비가 몰 기준으로 1 : 0.5 내지 1 : 2 (카르복실산 관능기 : 반대 이온)의 범위에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제공되는 것인 입자.
-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과립화 공정이 분무 과립화, 건식 과립화, 슬러깅, 플래너터리 혼합 과립화, 고전단 과립화, 용융 과립화 및 상부 분무 과립화로부터, 또한 배치 분무-과립화 및 연속 분무 과립화 뿐만 아니라 변형된 형태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분무 과립화, 상부 분무 과립화로부터, 또한 배치 분무-과립화 및 연속 분무 과립화 뿐만 아니라 변형된 형태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입자.
-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과립화가 희석제, 결합제, 유동 촉진제, 윤활제, 가소제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부형제의 존재 하에 수행되는 것인 입자.
- 다중불포화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지방산을 포함하는 식제품의 제조를 위한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입자의 용도.
- 다중불포화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지방산을 포함하는 영양 제품의 제조를 위한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입자의 용도.
- 다중불포화 오메가-3 또는 오메가-6 지방산을 포함하는 제약 제품의 제조를 위한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입자의 용도.
-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입자로부터 제조된 고체 경구 투여 형태로서, 정제, 과립 또는 캡슐로부터 선택되는 고체 경구 투여 형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IN201941032090 | 2019-08-08 | ||
IN201941032090 | 2019-08-08 | ||
EP19202421 | 2019-10-10 | ||
EP19202421.4 | 2019-10-10 | ||
PCT/EP2020/072213 WO2021023849A1 (en) | 2019-08-08 | 2020-08-07 | Down streaming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 salt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44542A true KR20220044542A (ko) | 2022-04-08 |
Family
ID=71948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07226A Pending KR20220044542A (ko) | 2019-08-08 | 2020-08-07 | 다중불포화 지방산 염의 제조를 위한 다운스트림 공정 |
Country Status (11)
Country | Link |
---|---|
US (1) | US20220280387A1 (ko) |
EP (1) | EP4009956A1 (ko) |
JP (1) | JP7569838B2 (ko) |
KR (1) | KR20220044542A (ko) |
CN (1) | CN114206135B (ko) |
AU (1) | AU2020326262A1 (ko) |
BR (1) | BR112022002129A2 (ko) |
CA (1) | CA3146612A1 (ko) |
MX (1) | MX2022001570A (ko) |
TW (1) | TW202120076A (ko) |
WO (1) | WO2021023849A1 (ko) |
Family Cites Families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HU209973B (en) | 1988-03-09 | 1995-01-30 | Biorex Kutato Fejlesztoe Kft | Process for production of antiviral and immunstimular pharmaceutical composition |
US5268283A (en) * | 1990-10-05 | 1993-12-07 | Miles Inc. |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detergent builder formulations utilizing spray granulated citric acid and salts thereof |
IT1264987B1 (it) | 1993-12-14 | 1996-10-17 | Prospa Bv | Sali di un acido grasso poliinsaturo e formulazioni farmaceutiche che li contengono |
IT1274734B (it) | 1994-08-25 | 1997-07-24 | Prospa Bv | Composizioni farmaceutiche contenenti acidi grassi poliinsaturi, loro esteri o sali, unitamente a vitamine o provitamine antiossidanti |
ITMI20012384A1 (it) | 2001-11-12 | 2003-05-12 | Quatex Nv | Uso di acidi grassi poliinsaturi per la prevenzione primaria di eventi cardiovascolari maggiori |
US7098352B2 (en) | 2001-11-16 | 2006-08-29 | Virtus Nutrition Llc | Calcium salt saponification of polyunsaturated oils |
JP2003277259A (ja) | 2002-03-25 | 2003-10-02 | Nonogawa Shoji Kk | マトリックスメタロプロテアーゼ阻害剤 |
US20090221705A1 (en) | 2006-02-07 | 2009-09-03 | Pal Rongved | Omega 3 |
US8203013B2 (en) | 2007-08-31 | 2012-06-19 | Jh Biotech, Inc. | Preparation of fatty acids in solid form |
SG175390A1 (en) | 2009-04-29 | 2011-12-29 | Amarin Corp Plc |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epa and a cardiovascular agent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
EP2654463B1 (en) | 2010-12-21 | 2018-05-30 | Omegatri AS | Antioxidants in fish oil powder and tablets |
US20120178813A1 (en) | 2011-01-12 | 2012-07-12 | Thetis Pharmaceuticals Llc | Lipid-lowering antidiabetic agent |
WO2012156986A1 (en) | 2011-04-28 | 2012-11-22 | Duragkar Nandakishore Jeevanrao | Eicosapentaenoic acid (epa) as polyunsaturated free fatty acid in its directly compressible powder form and process of isolation thereof |
WO2012153345A1 (en) | 2011-04-28 | 2012-11-15 | Duragkar Nandakishore Jeevanrao | Docosahexaenoic acid (dha) as polyunsaturated free fatty acid in its directly compressible powder form and method of isolation thereof |
WO2013040507A1 (en) | 2011-09-15 | 2013-03-21 | Omthera Pharmaceuticals, Inc. |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reversing, inhibiting or preventing resistance to antiplatelet therapy |
MY165048A (en) | 2012-01-06 | 2018-02-28 | Omthera Pharmaceuticals Inc | Dpa-enriched compositions of omega-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free acid form |
US20140011814A1 (en) | 2012-07-06 | 2014-01-09 | Thetis Pharmaceuticals Llc | Diamine and meglumine salt forms of fatty acids |
WO2014011895A2 (en) | 2012-07-11 | 2014-01-16 | Thetis Pharmaceuticals Llc | High solubility acid salts, intravenous dosage forms, nutrition supplementation and methods of use thereof |
CN105566090B (zh) * | 2014-10-13 | 2018-12-11 | 浙江医药股份有限公司新昌制药厂 | 一种多不饱和脂肪酸钙的制备方法 |
JP6714000B2 (ja) * | 2014-12-23 | 2020-06-24 | エボニック オペレーションズ ゲーエムベーハー | ω−6系多価不飽和脂肪酸を含む組成物の安定性を向上させる方法 |
ES2781863T3 (es) * | 2014-12-23 | 2020-09-08 | Evonik Operations Gmbh | Proceso para aumentar la estabilidad de una composición que comprende ácidos grasos omega-3 poliinsaturados |
US12115260B2 (en) * | 2016-05-25 | 2024-10-15 | Evonik Operations Gmbh | Tablets with high active ingredient content of omega-3 fatty acid amino acid salts |
EP3648748A1 (en) * | 2017-07-06 | 2020-05-13 | Evonik Operations GmbH | Enteric coated solid dosage form comprising omega-3 fatty acid amino acid salts |
-
2020
- 2020-08-07 KR KR1020227007226A patent/KR20220044542A/ko active Pending
- 2020-08-07 AU AU2020326262A patent/AU2020326262A1/en active Pending
- 2020-08-07 CA CA3146612A patent/CA3146612A1/en active Pending
- 2020-08-07 WO PCT/EP2020/072213 patent/WO2021023849A1/en unknown
- 2020-08-07 BR BR112022002129A patent/BR112022002129A2/pt unknown
- 2020-08-07 JP JP2022507366A patent/JP7569838B2/ja active Active
- 2020-08-07 EP EP20751155.1A patent/EP4009956A1/en active Pending
- 2020-08-07 MX MX2022001570A patent/MX2022001570A/es unknown
- 2020-08-07 TW TW109126845A patent/TW202120076A/zh unknown
- 2020-08-07 CN CN202080054798.1A patent/CN114206135B/zh active Active
- 2020-08-07 US US17/633,460 patent/US20220280387A1/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MX2022001570A (es) | 2022-03-02 |
AU2020326262A1 (en) | 2022-03-24 |
US20220280387A1 (en) | 2022-09-08 |
CN114206135A (zh) | 2022-03-18 |
JP2022543283A (ja) | 2022-10-11 |
CN114206135B (zh) | 2024-08-23 |
EP4009956A1 (en) | 2022-06-15 |
JP7569838B2 (ja) | 2024-10-18 |
BR112022002129A2 (pt) | 2022-04-19 |
CA3146612A1 (en) | 2021-02-11 |
WO2021023849A1 (en) | 2021-02-11 |
TW202120076A (zh) | 2021-06-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219235B2 (en) | Method for preparing a composition comprising omega-3 fatty acid salts and amines | |
AU2006265801B2 (en) | Polyunsaturated fatty acid-containing oil product and uses and production thereof | |
CA2698311C (en) | Polyunsaturated fatty acid-containing solid fat compositions and uses and production thereof | |
JP7569838B2 (ja) | 多価不飽和脂肪酸塩を製造するための下流処理 | |
GB2465988A (en) | Powder or tablet containing unsaturated fatty acid and water insoluble carbohydrate | |
AU2015200426A1 (en) | Polyunsaturated fatty acid-containing solid fat compositions and uses and production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2030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