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3636A - Auto ventilating apparatus for sliding windows and doors and controlling system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uto ventilating apparatus for sliding windows and doors and controlling system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43636A KR20220043636A KR1020200127283A KR20200127283A KR20220043636A KR 20220043636 A KR20220043636 A KR 20220043636A KR 1020200127283 A KR1020200127283 A KR 1020200127283A KR 20200127283 A KR20200127283 A KR 20200127283A KR 20220043636 A KR20220043636 A KR 2022004363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dow
- frame
- driving motor
- ventilation device
- driv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6 build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849 de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57 fla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039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85 leath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49 leather substitu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3504 respiratory system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using wireless control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3—Actuation thereof
- E05Y2201/232—Actuation thereof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65—Power or signal transmission
- E05Y2400/66—Wireless transmiss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창문 및 제2창문이 마련되는 미닫이형 창호에 설치되되 상기 제1창문의 프레임 일면에 밀착된 구동휠이 구동모터의 동력을 통해 회전하면서 제1창문을 슬라이딩 개폐시키는 자동환기장치와; 상기 구동모터를 작동시켜 구동휠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1창문을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제1창문이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형 창호의 자동환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닫이형 창호의 제어시스템을 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tomatic ventilation device that is installed on sliding windows provided with a first window and a second window, and opens and closes the first window by sliding a driving wheel attached to one side of the frame of the first window while rotating through the power of a driving motor. Wow; a terminal installed with an application having a function of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window while the driving wheel is rotated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by operating the driving motor; A control unit for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window by receiving a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the application and controlling the driving motor; Start the system.
Description
본 발명은 제1창문 및 제2창문이 마련되는 미닫이형 창호에 설치되되 상기 제1창문의 프레임 일면에 밀착된 구동휠이 구동모터의 동력을 통해 회전하면서 제1창문을 슬라이딩 개폐시키는 자동환기장치와; 상기 구동모터를 작동시켜 구동휠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1창문을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제1창문이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형 창호의 자동환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닫이형 창호의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tomatic ventilation device that is installed on sliding windows provided with a first window and a second window, and opens and closes the first window by sliding a driving wheel attached to one side of the frame of the first window while rotating through the power of a driving motor. Wow; a terminal installed with an application having a function of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window while the driving wheel is rotated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by operating the driving motor; A control unit for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window by receiving a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the application and controlling the driving motor; It's about the system.
통상, 창호(窓戶)는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開口部)에 설치되는 각종의 창이나 문을 지칭하는 것으로, 건축물에 있어 창호는 실내와 실외를 격리시키는 벽의 역할을 수행하는 동시에 태양광과 신선한 외부 공기의 공급 통로가 되며, 실내의 사람에게 조망감과 개방감을 느끼게 해주는 필수 구성 요소이다.Generally, windows and doors refer to various windows or doors installed in openings such as windows or entrances to block the inside of a building from the outside. It plays the role of a wall and at the same time serves as a supply passage for sunlight and fresh outside air, and is an essential component that gives indoor people a sense of view and openness.
최근에는 건축기술 및 건축부자재의 성능향상으로 창문이나 문은 기밀성이 우수하여 실외공기의 유입은 물론 실내공기의 유출이 긴밀하게 단속되어 냉난방효율은 우수하나, 환기부족으로 인해 발코니의 마루와 벽체, 창유리 등에 곰팡이의 번식을 초래하여 위생환경을 위협하거나 실내에 각종 가스, 먼지, 연기, 취기, 세균 등이 항상 공존하므로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Recently, due to the improvement of construction technology and performance of building materials, windows and doors have excellent airtightness, and the inflow of outdoor air as well as the outflow of indoor air are tightly controlled. It threatens the sanitary environment by causing the growth of mold on window glass, or causes respiratory diseases because various gases, dust, smoke, odor, and bacteria always coexist indoors.
뿐만 아니라, 잦은 황사와 미세먼지의 급증, 요리나 청소기로 인해 발생되는 미세먼지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으며, 보다 편리하고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자동으로 창호를 개폐할 수 있는 자동환기장치의 수요가 급증하는 실정이다.In addition, interest in fine dust caused by frequent yellow dust and fine dust, and fine dust generated by cooking and vacuuming is increasing. Demand is rapidly increasing.
그런데, 기존의 환기시설(환기장치)은 부피가 크며, 건물마다 창호의 규격이 제각각이어서 생산 공장에서 주문제작에 의해서만 제품이 생산 공급되고 있어 널리 대중화되는데 한계가 매우 크며, 창호를 개방하여 실내공간의 환기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태풍, 소나기, 황사 등과 같은 기상변화로 인해 빗물 또는 모래, 흙과 같은 이물질이 실내로 쉽게 유입될 뿐만 아니라, 창호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이 자연스럽지 못함에 따라 갑작스런 실내기온의 편차로 인해 열효율이 급격히 저하될 뿐 아니라, 면역성이 약한 노인 및 유아, 환자의 건강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끼치게 되었다.However, existing ventilation facilities (ventilators) are bulky and have different sizes of windows and doors for each building. In performing the ventilation function of the air conditioner, rainwater or foreign substances such as sand and soil easily enter the room due to weather changes such as typhoons, showers, and yellow sand. Due to the deviation of the indoor temperature, the thermal efficiency is rapidly reduced, and it has a fatal adverse effect on the health of the elderly, infants, and patients with weak immunity.
이로 인해 창호의 자동개폐와 관련한 다양한 장치들이 개시되었으며, 일 예로써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축을 타고 창문을 슬라이딩 개폐시킬 수 있는 "창문 자동 개폐장치"가 종래 등록특허 제10-0915952호로 선 출원된 바 있다.(도 1참조)For this reason, various devices related to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of windows have been disclosed, and as an example, an "automatic window opening and closing device" capable of sliding and opening and closing a window on a screw shaft rotated by a driving means has been previously applied for in Patent Registration No. 10-0915952. (See Fig. 1)
그런데, 이러한 창호의 자동개폐장치는 대부분 사용자가 실내에서 리모컨 등으로 근거리에서 직접 조작해야 하는 방식이어서, 개폐장치의 작동 및 창짝의 개폐 여부를 정확하게 인지하지 않은 상태로 사용자가 외출한 경우 또는 또는 갑작스런 우천이나 폭설 등에 의해 개방된 창문을 신속히 닫아야 하는 상황 등에서 불편함을 겪을 수 밖에 없었다. However, since most of these automatic window opening/closing devices require the user to directly operate the window in a short distance with a remote control, etc. indoors, when the user goes out without accurately recognizing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whether the window is opened or closed, or suddenly It was inconvenient to close the open window quickly due to rain or heavy snow.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창문의 자동개폐기능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를 이용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는 미닫이형 창호의 자동환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닫이형 창호의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automatic ventilation device for sliding doors that can be controlled in real time regardless of location using a terminal installed with an application capable of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of the window, and using the sam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system for sliding doors.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창틀에 제1창문 및 제2창문이 마련되는 미닫이형 창호에 설치되며 상기 제1창문을 개폐시켜 실내의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미닫이형 창호의 자동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창틀의 바닥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2창문용 레일에 끼움고정되는 고정부와;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끼움되며 일측 외주면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창문의 프레임 일면에 밀착되며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제1창문을 개폐하는 구동휠을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되 구동부를 폭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구동휠을 제1창문의 프레임 일면에 밀착시키거나 프레임으로부터 이격시켜주는 클러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automatic ventilation apparatus for sliding windows installed on sliding doors in which a first window and a second window are provided on a window frame for the above purpose and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window to ventilate the room, the window frame a fixing part fitted and fixed to the rail for a second window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he drive motor rotates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nd is fit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drive motor, one outer peripheral surface protrudes outwardly,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ame one surface of the first window. A drive that opens and closes the first window while rotating by the power of the drive motor a driving unit including a wheel; and a clutch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and configured to move the driving unit in the width direction to bring the driving wheel into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frame of the first window or to separate it from the frame.
또한, 본 발명은 창틀에 제1창문 및 제2창문이 마련되는 미닫이형 창호에 설치되며 상기 제1창문을 개폐시켜 실내의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창틀의 바닥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2창문용 레일에 끼움고정되는 고정부와,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끼움되며 일측 외주면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창문의 프레임 일면에 밀착되며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제1창문을 개폐하는 구동휠을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되 구동부를 폭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구동휠을 제1창문의 프레임 일면에 밀착시키거나 프레임으로부터 이격시켜주는 클러치를 포함하는 자동환기장치와; 상기 구동모터를 작동시켜 구동휠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1창문을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제1창문이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sliding door-type window in which a first window and a second window are provided on a window frame and opens and closes the first window to ventilate the room, and is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indow frame A fixing part that is fitted and fixed to the rail for a second window, the driving motor rotating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nd the driving motor rotate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re fit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driving motor, and one outer peripheral surface protrudes to the outsid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frame of the first window, and the driving motor a driving unit including a driving wheel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window while rotating by the power of an automatic ventilation device including a clutch that separates them; a terminal installed with an application having a function of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window while the driving wheel is rotated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by operating the driving motor; and a control unit that receives a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the application and controls the driving motor to automatically open and close the first window.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제1창문을 폐쇄한 다음 클러치에 의해 구동휠이 제1창문의 프레임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제1창문을 고정시켜 외력에 의한 제1창문의 수동개폐를 방지하는 보안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cation closes the first window and then the driving wheel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ame of the first window by a clutch to fix the first window to prevent manual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window by external for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자동환기장치의 일측에는 상기 제1창문의 현재 위치값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로 송출하는 위치검출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의 거리만큼 제1창문을 개방시킬 수 있는 개폐정도 선택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개폐정도 선택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거리값이 입력되면 상기 위치검출센서로부터 수신된 전기신호와 제1창문의 현재 위치를 비교한 다음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구동모터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제1창문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전원을 오프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position detection sensor for converting the current position value of the first window into an electric signal and transmitting it to the control un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automatic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pplication is first Provides an opening/closing degree selection function that can open the window, and the control unit receives an electrical signal received from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and the current position of the first window when a desired distance value is input through the opening/closing degree selection function of the application and then output a control signal to rotate the driving motor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nd to turn off the power when the first window reaches the user's desired posi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창문의 프레임 측면에 설치되며, 폭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외부로 돌출되는 데드볼트가 내부에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대응되도록 제1창문 또는 제2창문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데드볼트가 삽입되는 데드볼트 삽입구가 형성되는 걸쇠를 포함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데드볼트가 본체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데드볼트 삽입구에 삽입고정되도록 하여 제1창문을 고정시키는 자동잠금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frame of the second window, the body having a dead bolt protruding to the outside while mov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is provided therein, and one side of the first window or the second window so as to correspond to the main body is installed in the locking device including a clasp that is formed with a dead bolt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dead bolt is inserted, the application outputs a control signal so that the dead bolt protrudes outward from the main body and is inserted and fix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automatic locking function to fix the first window.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형 창호의 자동환기장치는 구동모터의 동력을 통해 구동휠이 회전되면서 제1창문을 자동개폐하여 실내의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되, 클러치에 의해 구동부의 위치가 가변되면서 구동휠을 제1창문의 프레임 일면에 더욱 견고하게 밀착시켜 슬립으로 인해 제1창문이 제대로 개폐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The automatic ventilation device for sliding do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utomatically opens and closes the first window while the drive wheel is rotated through the power of the drive motor to ventilate the room, but the position of the drive unit is variable by the clutch As a result, the driving wheel is more firm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frame of the first window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first window is not properly opened and closed due to slip.
특히, 본 발명은 창틀에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창문용 레일의 두께, 레일과 레일 사이의 간격이 창호마다 상이하더라도 상기 클러치를 통해 구동휠을 제1창문의 프레임에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markable ability to firmly adhere the driving wheel to the frame of the first window through the clutch even if the thickness of the rail for the window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ndow frame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rail and the rail are different for each window. It works.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자동환기장치를 제어하여 제1창문을 자동으로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으므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실시간으로 창호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open or close the first window by controlling the automatic ventilation device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user's terminal, the window can be controlled in real time regardless of location.
또한, 본 발명은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공되는 보안기능이 활성화되면 제1창문이 우선적으로 폐쇄된 다음 구동휠이 제1창문의 프레임에 밀착되면서 제1창문을 고정시켜 외력에 의한 제1창문의 수동개폐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창문이 개방된 상태로 외출한 경우 외부에서도 내부의 보안이 안전하게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curity function provided by the application is activated, the first window is preferentially closed, and then the driving wheel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ame of the first window to fix the first window to manually open and close the first window by external force. can be prevented Therefore, when going out with the first window open, there is a remarkable effect that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security of the inside can be safely maintained even from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제1창문을 부분 또는 전체 개방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의 자동잠금기능을 통해 데드볼트가 걸쇠에 삽입고정되면서 제1창문을 고정시켜 외부인의 침입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artially or completely open the first window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and through the automatic locking function of the application, the dead bolt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latch while fixing the first window to completely block the intrusion of an outsider. ca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창문 자동 개폐장치의 예시도.
도 2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형 창호의 자동환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형 창호의 자동환기장치를 통한 미닫이형 창호의 제어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창문이 일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자동잠금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1 is an exemplary view of an automatic window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to 6 are schematic diagrams for explaining the automatic ventilation device for sliding do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illustration for explaining a control system for sliding doors and doors through an automatic ventilation device for sliding do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illustration for explaining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illustra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window is partially opened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are schematic diagrams for explaining the automatic lock function of the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may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of layer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clarity.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top, bottom, top, bottom, or top, bottom, etc. are used to distinguish relative positions of components. For example, for convenience, when naming the upper part of the drawing as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drawing as the lower part, the upper part may be named lower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ower part may be named upper part. .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형 창호의 제어시스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control system for sliding do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서 미닫이형 창호라 함은 창틀 내부에 2개 또는 그 이상의 창문(또는 도어)가 가로방향으로 배열설치되며, 창틀 바닥면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개폐되는 통상의 창호를 말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sliding door” refers to a normal window that is opened and closed while sliding along a guide rail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indow frame, in which two or more windows (or doors) ar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side the window frame.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나 이해를 돕기 위한 도면에서는 창틀(2) 내부에 제1창문(10)과 제2창문(6)이 구비된 미닫이형 창호(1)를 기준으로 하며, 자동 환기장치 작동시 상기 제1창문(10)은 개폐되며, 제2창문(10)은 고정되어 있다.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drawings to help detailed description o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ing door type 1 having the
본 발명은 구동모터의 동력을 통해 구동휠이 회전되면서 제1창문을 자동개폐하여 실내의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미닫이형 창호의 자동환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닫이형 창호의 제어시스템을 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automatic ventilation device for sliding doors that automatically opens and closes a first window to ventilate a room while a driving wheel is rotated through the power of a driving motor, and a control system for sliding doors using the same.
도 2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제1창문을 자동으로 슬라이딩개폐시키는 미닫이형 창호의 자동환기장치(100)를 도시한 개략적인 예시도로서, 상기 자동환기장치(100)는 제2창문용 레일에 끼움고정되는 고정부(110)와, 제1창문을 밀거나 잡아당겨 개폐시키는 구동부(120)와, 상기 제1창문으로부터 구동부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클러치(130)를 포함한다. 2 to 6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an
먼저, 상기 자동환기장치(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101)가 마련된다. First, the
상기 케이스(101)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창틀의 바닥면이나 제2창문 프레임의 외주면에 용이하게 밀착되도록 사각 또는 직사각의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상기 고정부(110)는 상기 케이스 내부의 하단에 마련되며 제2창문용 레일(8)에 끼움결합되는 것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11)와, 고정 브라켓(112)과, 조절레버(113) 및 고정편(114)을 포함한다. The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1)는 상기 케이스(101)의 내벽 하단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소정 두께의 직사각판 형태로서, 바닥면이 창틀의 바닥면에 안착된다. The
상기 고정 브라켓(112)은 소정길이를 갖는 "┓"자 형태로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수직변의 내주면이 제2창문용 레일의 외주면에 밀착지지된다. The fixing
상기 고정편(114)는 조절레버(113)에 의해 고정 브라켓 내부에서 폭 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The fixing
상기 조절레버(114)의 외주면에는 제2창문용 레일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직접적인 접촉에 의한 마모나 스크래치를 방지하기 위한 마찰패드(115)가 마련될 수 있다. A
다음으로, 도 4 및 5와 같이 상기 구동부(120)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마련되는 구동모터(121)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끼움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휠(122)을 포함한다. Next, as shown in FIGS. 4 and 5 , the driving
상기 구동모터(121)는 구동휠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창문의 프레임을 밀거나 잡아당겨 제1창문이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driving
또한, 상기 구동휠(122)은 일측이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창문의 프레임 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제1창문의 프레임을 밀어주거나 잡아당겨 제1창문을 개폐한다. In addition, one side of the
상기 구동휠(122)은 헛돌거나 미끄러져 제1창문 개폐시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제1창문의 프레임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고무, 가죽, 인조가죽, 연질의 PVC 또는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마찰패드(미도시)가 외주면에 끼움될 수 있으며, 상기 마찰패드는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Th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1)의 전면 상단에는 고정 플레이트(140)가 나란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후방에는 수평 방향을 따라 무빙 플레이트(150)가 배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무빙 플레이트(150)는 전면 모서리는 케이스(101)의 내부에 배치되고 후면 모서리는 케이스의 후방으로 돌출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ed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모터(121)는 회전축이 무빙 플레이트(150)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하부로 돌출되며, 상기 구동휠(122)은 상기 무빙 플레이트의 후면 모서리 측 하부에 수직으로 배치되되 제1창문의 프레임(11)과의 접촉면적을 확보하여 슬립을 방지할 수 있도록 무빙 플레이트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iving
여기에서, 상기 구동모터(121)의 회전축에는 원동기어(123)가 끼움결합되고, 상기 원동기어의 양측에 한 쌍의 유성기어(125)가 맞물리며, 각 유성기어와 맞물리는 종동기어(124)가 상기 구동휠(122)의 상단에 끼움결합되어 구동모터(121)의 동력이 한 쌍의 구동휠(122)에 동시에 전달되면서 슬립을 방지할 수 있고, 무겁거나 큰 창문을 원활하게 개폐할 수 있다. Here, a
다음으로, 상기 클러치(130)는 케이스(101) 내부에서 구동부(120)를 폭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구동휠(122)이 제1창문의 프레임(11) 일면에 밀착되거나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Next, the clutch 130 moves the driving
이를 위해 상기 클러치(130)는 상기 케이스(101) 내부에 마련되는 클러치 모터(131)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140)의 후방에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소정길이의 스크류(132)와, 상기 스크류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구동휠을 지지하는 클러치 프레임(133)을 포함한다. To this end, the clutch 130 includes a
상기 클러치 모터(131)는 구동부가 폭 방향을 따라 왕복 직선이동되도록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스크류(132)는 상기 클러치 모터(131)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여기에서, 상기 클러치 모터(131)와 스크류(132)는 다양한 방법이나 구조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클러치 모터(131)의 회전축에 원동기어(1311)가 끼움결합되고, 상기 스크류(132)의 일측 단부에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종동기어(1312)가 끼움결합되어, 상기 원동기어와 종동기어가 직접 맞물리면서 동력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고, 또는 원동기어(1311)와 종동기어(1312) 사이에 동력 전달을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유성기어(1313)가 설치될 수도 있다.The
상기 클러치 프레임(133)은 상단 모서리가 상기 무빙 플레이트(150)의 바닥면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상기 스크류(132)에 맞물리는 너트(N)가 중앙에 관통되어 고정설치되는 너트 고정부(1331) 및 상기 너트 고정부와 직교로 형성되며 상기 너트 고정부의 양측에 상기 구동휠(122) 한 쌍이 수직으로 안착되는 구동휠 지지부(1332)로 이루어진다. The
상기 클러치 모터(131)의 동력이 스크류에 전달되면 클러치 프레임(133)이 너트(N)을 매개로 하여 스크류(132)를 따라 케이스(101) 내부에서 폭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클러치 프레임(133)과 무빙 플레이트(150)가 함께 이동되면서 구동휠(122)의 위치가 자동으로 가변된다. When the power of the
종래에는 프레임 내부에 1장의 유리창이 장착된 창문을 이용하였으나, 근래들어 단열이나 방음 등의 목적으로 프레임 내부에 둘 또는 그 이상의 유리창이 장착된 창문이 사용되고 있다. Conventionally, a window having a single glass window installed inside the frame was used, but recently, a window having two or more glass windows installed inside the frame for the purpose of insulation or sound insulation has been used.
여기에서, 프레임 내부에 삽입되는 유리창의 수가 늘어날수록 창문의 두께가 증가하게 되고, 창문의 두께 증가로 인해 무거워지므로 레일의 두께 역시 두꺼워질 수 밖에 없으며, 창문의 두께에 따라 레일과 레일 사이의 간격이 상이할 수 밖에 없다. Here, as the number of glass windows inserted into the frame increases, the thickness of the window increases, and since the thickness of the window becomes heavy, the thickness of the rail is inevitably increased as well, and the gap between the rail and the rail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window This must be different
상기 클러치(130)는 케이스(101) 내부에서 구동휠(122)의 위치를 가변시켜 미닫이형 창호에 배치된 창문의 두께, 레일의 두께 또는 레일과 레일 사이의 간격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구동휠을 제1창문의 프레임에 견고하게 밀착시킴으로써 유격에 의한 슬립을 방지하면서 원활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The clutch 130 changes the position of the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모터(121)와 클러치 모터(131)는 회전방향, 회전량, 회전속도 등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고, 힘을 증대시켜 크기나 무게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스탭모터 또는 서보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케이스의 내벽 사이에서 폭 방향을 따라 고정되는 가이드핀(160)과, 상기 무빙 플레이트의 흔들림을 방지하며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브라켓(170)과,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가이드 브라켓 사이에서 가이드핀에 끼움되는 탄성스프링(180)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가이드핀(160)은 클러치 모터의 동력에 의해 무빙 플레이트(150)가 이동될 때 후술할 가이드 브라켓(170)을 통해 무빙 플레이트(150)가 좌우 균형을 유지하면서 흔들리지 않도록 한 쌍이 수평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된다. The
상기 가이드 브라켓(170)은 바닥면이 상기 무빙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무빙 플레이트를 따라 이동되되 상부 중앙에 상기 가이드핀이 관통삽입되어 무빙 플레이트가 흔들리지 않고 직선 이동되도록 안내한다. The
도 6에서 도면부호 101은 케이스의 전면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가이드 브라켓(170)은 구동휠(122)이 제1창문의 프레임(11)과 이격된 상태에서는 케이스의 전면 내벽과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고, 이때 상기 탄성스프링(180)은 가이드 브라켓(170)에 의해 압축된다. In FIG. 6,
또한, 상기 클러치 모터(131)가 구동되어 무빙 플레이트(150)가 이동되면 상기 탄성스프링(180)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가이드 브라켓(170)을 탄발적으로 지지하며, 상기 가이드 브라켓(170)에 작용하는 힘이 무빙 프레임(150)에 작용하여 구동휠(122)이 제1창문의 프레임(11)과 상시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창문을 감싸는 프레임은 육안으로 봤을 때 평평한 평면으로 보이나 불규칙적으로 미세한 굴곡부(또는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상기 구동휠(122)이 제1창문의 프레임(11)을 밀거나 잡아당길 때 프레임 표면의 돌출된 굴곡부와 구동휠이 맞닿게 되면 구동휠이 후방으로 밀리면서 모터의 과부하가 발생될 수 있고,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와 구동휠이 마주보면 미세한 유격에 의한 슬립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탄성스프링(180)의 탄성력에 의해 구동휠(122)이 탄발적으로 지지되어 제1창문의 프레임(11)에 상시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구동모터의 과부하 및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유격에 의한 슬립을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The frame surrounding the window appears to be a flat plane when viewed with the naked eye, but irregularly minute curved portions (or depressions) are formed. Accordingly, when the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형 창호의 자동환기장치를 통한 미닫이형 창호의 제어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로서, 본 발명은 자동환기장치(100)와, 단말기(200)와,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Next, FIG. 7 is a schematic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control system for sliding doors through an automatic ventilation device for sliding do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상기 자동환기장치(100)는 전술한 구성에 따르는 것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The
상기 단말기(200)는 상기 제1창문을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으며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을 기반으로 하여 외부에서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제1창문의 개방 또는 폐쇄가 가능한 기기,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PC, 휴대폰, 데스크탑, 노트북, 탭북, PDA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도면에서는 단말기로서 스마트폰을 예로써 도시하였다. In the terminal 200, an application providing a function for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window is installed. It may be a device capable of opening or closing the first window by controlling the motor, for example, any one selected from a smartphone, a tablet PC, a mobile phone, a desktop, a laptop computer, a tabbook, and a PDA. In the drawings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phone is shown as an example as a terminal.
또한, 상기 단말기(200)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조작부(210)가 디스플레이부(220)를 통해 제공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상기 조작부(21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제1창문의 개폐 정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창문 닫힘', '조금 열림', '반만 열림', '활짝 열림' 버튼이 각각 마련될 수 있고, 후술할 후술할 잠금장치(크리센트)를 활성화/비활성화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 그리고 보안기능의 설정/해제를 위한 버튼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terminal 200 , a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된 제어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제1창문이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한다. The
상기와 같은 자동환기장치(100)와,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200), 제어부(300)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형 창호의 제어시스템은 외부에서 실내로의 무단 침입을 방지하는 보안기능을 제공한다. The control system for sliding do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상기 보안기능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활성화되며, 사용자에 의해 보안기능이 활성화되면 제어신호가 상기 제어부(300)에 전달되고, 제어부(300)는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우선적으로 구동모터(121)를 작동시켜 제1창문(10)을 폐쇄한 다음 구동모터(121)를 정지시킨 후 클러치 모터(131)를 작동시켜 구동휠(122)을 제1창문의 프레임 외주면(11)에 밀착시킨다. The security function is activated through an application, and when the security function is activated by the user, a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상기 구동휠(122)이 제1창문의 프레임(11)에 밀착되면 제1창문(10)은 구동휠에 의해 움직임이 제한된다. 여기에서, 만약 제1창문을 임의로 개방시키기 위한 외력이 가해지면 구동휠에 의해 구동모터(121)의 회전축이 강제로 회전되면서 임의의 움직임에 의한 전류값이 검출되어 제어부(300)로 전달된다. When the
제어부(300)는 외부 침입을 알리는 신호를 단말기로 송출하여 사용자에게 즉시 해당 사실을 전달하며, 경고음이나 램프 등이 출력되면서 주변에 침입 사실을 알려 도움을 요청하도록 할 수 있다. Th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보안기능을 통해 외출시에도 실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safely protect the room even when going out through the security func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자동환기장치(100)의 일측에 상기 제1창문을 감지하는 위치검출센서(190)가 구비된다. In addition, a
상기 위치검출센서(190)는 케이스(101)의 측면에 마련되며, 상기 제1창문의 프레임(11) 외주면에는 창틀의 측벽과 인접한 위치에 상기 위치검출센서와 마주보는 형태로 감지편(400)이 결합된다. The
상기 위치검출센서(190)는 마주보는 위치의 감지편(400)을 감지하여 검출신호를 제어부로 송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위치검출센서(190)는 감지편(400)을 향해 적외선 또는 초음파를 출력하고, 출력된 적외선 또는 초음파가 감지편(400)에 의해 반사되어 돌아오는 것을 감지하여 제1창문의 위치값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로 송출한다. 이러한 원리는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것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The
한편, 상기 위치검출센서(190)는 제1창문(10)과 제2창문(20)의 배치형태, 자동환기장치(100)가 설치되는 위치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케이스의 양측면에 모두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형 창호의 제어시스템은 상기 위치검출센서(190)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의 거리만큼 제1창문을 개방시킬 수 있는 개폐정도 선택기능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system for sliding do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pening/closing degree selection function that can open the first window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esired by the user through the
상기 개폐정도 선택기능은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활성화되며, 상기 제어부는 애플리케이션의 개폐정도 선택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거리값이 입력되면 상기 위치검출센서로부터 수신된 전기신호와 제1창문의 현재 위치를 비교한 다음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구동모터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제1창문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전원을 오프시킨다. The opening/closing degree selection function is activated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terminal, and the control unit receives an electrical signal received from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and the current position of the first window when a desired distance value is input through the opening/closing degree selection function of the application and then output a control signal to rotate the driving motor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nd turn off the power when the first window reaches the user's desired position.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개폐정도 선택기능을 활성화하면, 상기 제어부(300)는 우선적으로 자동환기장치(100)를 작동시켜 감지편(400)이 위치검출센서(190)와 최대한 근접한 위치까지 제1창문을 개방한 다음 제1창문을 폐쇄한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activates the opening/closing degree selection function by executing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terminal, the
이때, 상기 감지편(400)이 위치검출센서(190)와 최대한 근접한 위치값('활짝 열림')과 최대로 이격된 위치값('창문 닫힘')이 제어부(300)에 기준값으로 저장되며, 두 값을 기준으로 '반만 열림' 제어신호 입력시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구동모터를 제어한다. 또한, '조금 열림' 제어신호의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개폐 폭을 설정하여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osition value at which the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은 창호, 자동 환기 장치 또는 실내외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 및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동되어 센싱값에 의해 구동모터가 작동되어 제1창문이 자동개폐되도록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이하, '센서부)'라고 부르도록 함)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외 공기의 오염 정도를 감지할 수 있는 대기오염 측정센서, 외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 빛을 인식하거나 빛의 양을 감지하는 조도센서, 화재시 발생하는 연기나 불꽃을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 특정 가스의 누출을 감지하는 가스센서 등이 실내, 실외 또는 실내 및 실외 두 곳에 모두 설치될 수 있고, 각 센서가 제어부를 통해 구동모터와 연동되도록 하여 센서의 작동에 따른 자동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에 의한 센싱값은 문구, 수치, 그래프, 이미지 등으로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utside a window, an automatic ventilation device, or indoors and outdoors, and is electrically linked with the driving motor and the control unit to operate the driving motor according to a sensed value to automatically open and close the first window. type of sens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nsor unit') may be included. For example, an air pollution sensor that can detect the degree of pollution of indoor and outdoor air, a temperature sensor that detects the outside temperature, a humidity sensor that detects humidity, an illuminance sensor that recognizes light or detects the amount of light, in case of a fire A fire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smoke or flames, a gas sensor that detects a specific gas leak, etc. can be installed indoors, outdoors, or both indoors and outdoors, and each sensor is linked with the drive motor through the control unit. Automatic ventil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nsor can be made. The value sensed by the sensor unit may be displayed on the
한편, 일반적으로 미닫이형 창호에는 방범 기능을 위해 도 10과 같이 통상 창호용 잠금장치 일명, 크리센트(cresent)가 설치되며, 고정되는 창문(예를 들어 제2창문)에는 크리센트와 대응되는 위치에 크리센트 브라켓이 설치된다. On the other hand, in general, a locking device for windows, aka cresent, is installed on sliding door windows and doors for a crime prevention function as shown in FIG. Crescent brackets are installed on the
이러한, 상기 크리센트는 크리센트 브라켓에 걸림결합되면서 이동되는 창문을 고정되는 창문에 체결하여 임의로 이동되는 창문이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As such, the Crescent serves to prevent the arbitrarily moving window from slidingly moving by fastening the moving window to the fixed window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Crescent bracket.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잠금장치(크리센트)는 사용자가 미닫이형 창호까지 직접 이동하여 수동으로 조작해야만 이동창문을 고정시킬 수 있었기에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외부에서는 상기 잠금장치를 제어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locking device (Crescent) had a cumbersome and inconvenient problem because the user could fix the movable window only by manually moving it to the sliding door and manually operating it, and it was impossible to control the locking device from the outside.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되는 미닫이형 창호용 잠금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11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a locking device for sliding doors controlled through the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과 같이,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제2창문의 프레임(21) 측면에 설치되며 폭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외부로 돌출되는 데드볼트(511)가 내부에 마련되는 본체(510)와, 상기 본체와 대응되도록 제1창문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데드볼트가 삽입되는 데드볼트 삽입구가(521) 형성되는 걸쇠(520)를 포함한다. 11, the lock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데드볼트가 본체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데드볼트 삽입구(521)에 삽입고정되도록 하여 제1창문(10)을 고정시키는 자동잠금기능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atic locking function for fixing the
상기 본체(510)는 상기 데드볼트의 전기적 이동을 위한 구성, 데드볼트로의 전원 공급을 위한 구성, 제어부(300)와 무선송,수신을 위한 구성 등이 탑재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대략 직사각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2창문의 프레임에 볼트체결되도록 측면 상단 및 하단에는 볼트공이 형성되는 브라켓이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걸쇠(520)는 데드볼트 삽입구(521)가 데드볼트(511)와 마주보는 형태가 되도록 본체와 대응되게 상기 제1창문(10) 또는 제2창문(20)에 결합되며, 예를 들어 제1창문의 유리창에 양면 테이프 등으로 접착결합되거나, 제2창문의 프레임(21) 측면에 볼트체결될 수 있다. Th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자동잠금기능을 활성화되면 제어신호가 출력되어 상기 데드볼트(511)가 데드볼트 삽입구(521)에 삽입고정되면서 제1창문의 움직임을 제한하며, 이러한 구성을 통해 사용자가 미닫이형 창호까지 직접 이동하여 잠금장치를 조작해야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고, 외부에서도 실내(댁내)의 미닫이형 창호를 잠금 상태로 제어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utomatic locking function of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terminal is activated, a control signal is output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first window while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미닫이형 창호의 제어시스템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보안기능이 활성화되면 자동잠금기능이 순차적으로 활성화되어 제1창문이 폐쇄된 다음 데드볼트(511)가 데드볼트 삽입구(521)에 삽입고정되면서 보안기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ontrol system of the sliding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curity function is activated through the application, the automatic locking function is sequentially activated to close the first window, and then the
1 : 미닫이형 창호
2 : 창틀
10 : 제1창문
11 : 제1창문의 프레임
20 : 제2창문
21 : 제2창문의 프레임
22 : 제2창문용 레일
100 : 자동환기장치
101 : 케이스
110 : 고정부
111 : 베이스 플레이트
112 : 고정브라켓
113 : 조절레버
114 : 고정편
115 : 마찰패드
120 : 구동부
121 : 구동모터
122 : 구동휠
123 : 원동기어
124 : 종동기어
125 : 유성기어
130 : 클러치
131 : 클러치 모터
1311 : 원동기어
1312 : 종동기어
1313 : 유성기어
132 : 스크류
133 : 클러치 프레임
1331 : 너트 고정부
N : 너트
1332 : 구동휠 지지부
140 : 고정 플레이트
150 : 무빙 플레이트
160 : 가이드핀
170 : 가이드 브라켓
180 : 탄성스프링
190 : 위치검출센서
200 : 단말기
210 : 조작부
220 : 디스플레이부
300 : 제어부
400 : 감지편
500 : 잠금장치
510 : 본체
511 : 데드볼트
520 : 걸쇠
521 : 데드볼트 삽입구1: sliding door window 2: window frame
10: first window 11: frame of the first window
20: second window 21: second window frame
22: rail for the second window
100: automatic ventilation device 101: case
110: fixed part
111: base plate 112: fixing bracket
113: control lever 114: fixed piece
115: friction pad
120: drive unit
121: drive motor 122: drive wheel
123: driven gear 124: driven gear
125: planetary gear
130: clutch
131: clutch motor 1311: prime mover
1312: driven gear 1313: planetary gear
132: screw 133: clutch frame
1331: nut fixing part N: nut
1332: drive wheel support
140: fixed plate 150: moving plate
160: guide pin 170: guide bracket
180: elastic spring
190: position detection sensor
200: terminal
210: operation unit 220: display unit
300: control unit
400: sensing piece
500: lock
510: body 511: dead bolt
520: latch 521: dead bolt insertion hole
Claims (5)
상기 창틀의 바닥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2창문용 레일에 끼움고정되는 고정부(110)와;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끼움되며 일측 외주면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창문의 프레임 일면에 밀착되며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제1창문을 개폐하는 구동휠을 포함하는 구동부(120)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되 구동부를 폭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구동휠을 제1창문의 프레임 일면에 밀착시키거나 프레임으로부터 이격시켜주는 클러치(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형 창호의 자동환기장치.
An automatic ventilation device for sliding windows installed on a sliding door in which a first window and a second window are provided on a window frame and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window to ventilate the room,
a fixing part 110 fitted and fixed to the rail for a second window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indow frame;
The drive motor rotates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nd is fit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drive motor, on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protrudes to the outside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ame one surface of the first window. A drive that opens and closes the first window while rotating by the power of the drive motor a driving unit 120 including a wheel;
a clutch 130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and moving the driving unit in a width direction to make the driving wheel closely adhere to one side of the frame of the first window or space it apart from the frame;
Automatic ventilation device for sliding door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구동모터를 작동시켜 구동휠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1창문을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200)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제1창문이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제어부(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형 창호의 자동환기장치를 통한 미닫이형 창호의 제어시스템.
It is installed on a sliding door type window in which a first window and a second window are provided on the window frame and opens and closes the first window to ventilate the room. For a second window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indow frame The fixing part 110 fitted and fixed to the rail, the driving motor rotating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nd the driving motor rotate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re fit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driving motor, and on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protrudes to the outsid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ame one surface of the first window, and the power of the driving motor a driving unit 120 including a driving wheel that opens and closes the first window while rotating by an automatic ventilation device 100 including a clutch 130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terminal 200 installed with an application having a function of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window while the driving wheel is rotated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by operating the driving motor;
a control unit 300 that receives a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the application and controls the driving motor to automatically open and close the first window;
A control system for sliding doors through an automatic ventilation device for sliding door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e security of claim 2, wherein the application closes the first window and then fixes the first window while the driving wheel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ame of the first window by a clutch to prevent manual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window by external force. A control system for sliding doors through an automatic ventilation device for sliding doors,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a function.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의 거리만큼 제1창문을 개방시킬 수 있는 개폐정도 선택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개폐정도 선택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거리값이 입력되면 상기 위치검출센서로부터 수신된 전기신호와 제1창문의 현재 위치를 비교한 다음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구동모터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제1창문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전원을 오프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형 창호의 자동환기장치를 통한 미닫이형 창호의 제어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one side of the automatic ventilation device is provided with a position detection sensor that converts the current position value of the first window into an electric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The application provides an opening/closing degree selection function that allows the user to open the first window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esired,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electric signal received from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with the current position of the first window when a desired distance value is input through the opening/closing degree selection function of the application, and then outputs a control signal to drive the driving motor in the forward direction or A control system for sliding doors through an automatic ventilation device for sliding door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is turned off when the first window reaches the user's desired position by rotating it in the reverse direction.
상기 제2창문의 프레임 측면에 설치되며, 폭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외부로 돌출되는 데드볼트가 내부에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대응되도록 제1창문 또는 제2창문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데드볼트가 삽입되는 데드볼트 삽입구가 형성되는 걸쇠를 포함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데드볼트가 본체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데드볼트 삽입구에 삽입고정되도록 하여 제1창문을 고정시키는 자동잠금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형 창호의 자동환기장치를 통한 미닫이형 창호의 제어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A main body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frame of the second window and having a dead bolt protruding to the outside while moving in the width direction is provided therein, and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rst window or the second window so as to correspond to the main body, A locking device including a clasp in which a deadbolt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deadbolt is inserted is formed is provided,
The application outputs a control signal so that the dead bolt protrudes outwardly from the main body and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dead bolt insertion hole to secure the first window by outputting a control signal. Control system for sliding doors through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7283A KR102549281B1 (en) | 2020-09-29 | 2020-09-29 | Doors and controlling system using auto ventilating apparatus for sliding windows and door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7283A KR102549281B1 (en) | 2020-09-29 | 2020-09-29 | Doors and controlling system using auto ventilating apparatus for sliding windows and door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43636A true KR20220043636A (en) | 2022-04-05 |
KR102549281B1 KR102549281B1 (en) | 2023-06-28 |
Family
ID=81181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27283A Active KR102549281B1 (en) | 2020-09-29 | 2020-09-29 | Doors and controlling system using auto ventilating apparatus for sliding windows and door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4928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55061A (en) * | 2022-05-02 | 2023-11-10 |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Automatic window ipening and closing devic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69569A (en) * | 2016-12-15 | 2018-06-25 | 채창호 | Open and shut apparatus of windows and doors assembly for sliding type |
KR102100756B1 (en) * | 2019-11-18 | 2020-04-14 | (주)에이프러스씨엠건축사사무소 | Window system with security function of apartment |
KR102127196B1 (en) * | 2019-10-30 | 2020-06-29 | 이앤유시스템즈(주) | Apparatus for automatic opening and shutting of window cooperating with automatic vantilation system |
KR20200085025A (en) * | 2019-01-04 | 2020-07-14 | 주식회사 카본디자인 | Auto ventilating apparatus having improved conviences |
-
2020
- 2020-09-29 KR KR1020200127283A patent/KR10254928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69569A (en) * | 2016-12-15 | 2018-06-25 | 채창호 | Open and shut apparatus of windows and doors assembly for sliding type |
KR20200085025A (en) * | 2019-01-04 | 2020-07-14 | 주식회사 카본디자인 | Auto ventilating apparatus having improved conviences |
KR102127196B1 (en) * | 2019-10-30 | 2020-06-29 | 이앤유시스템즈(주) | Apparatus for automatic opening and shutting of window cooperating with automatic vantilation system |
KR102100756B1 (en) * | 2019-11-18 | 2020-04-14 | (주)에이프러스씨엠건축사사무소 | Window system with security function of apartment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55061A (en) * | 2022-05-02 | 2023-11-10 |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Automatic window ipening and clos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49281B1 (en) | 2023-06-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961766B2 (en) | Automated sliding panel mechanism with rack | |
KR102003101B1 (en) | Controlling system for smart window using application | |
JP6692412B2 (en) | Lifting device with automatic / manual switching structure and smart fitting including the same | |
KR101935981B1 (en) | Driving roller position control device and automatic 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smart window using the same | |
KR101935980B1 (en) | Smart window | |
JP6592179B2 (en) | Shoji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smart fitting including the same | |
KR101997724B1 (en) | A window having auto-locking function | |
KR102097427B1 (en) | Automatic ventilation apparatus of sliding window for easy adjustment of steering shaft | |
KR101737562B1 (en) | Auto ventilating apparatus for sliding windows and doors | |
US20090273307A1 (en) | Remote vertical blind opening and closing system | |
KR100706328B1 (en) | Electric switchgear of slide door | |
KR101885760B1 (en) | Windows with the faculty of automatic ventilation | |
KR20220043636A (en) | Auto ventilating apparatus for sliding windows and doors and controlling system using the same | |
KR20170022019A (en) | Natural ventilation system for smart window | |
KR20090056308A (en) | Automatic window opener and window system having same | |
KR20200095663A (en) | Auto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window | |
JPH1122295A (en) | Sash-window control system | |
KR101397187B1 (en) |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losing window | |
KR20170022018A (en) | Automatic 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smart window having noise prevent structure | |
KR101877768B1 (en) | Auto ventilating apparatus for sliding windos and doors | |
KR102194455B1 (en) | Auto ventilating apparatus having improved conviences | |
JP2006125149A (en) | Double sliding sash | |
KR101948524B1 (en) | Open and shut apparatus of windows and doors assembly for sliding type | |
JP7510898B2 (en) | Natural ventilation window system | |
KR102469112B1 (en) | Auto ventilating apparatus that can prevent slip through active clutch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4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0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6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6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