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1640A - A toothpick box - Google Patents
A toothpick box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41640A KR20220041640A KR1020200125171A KR20200125171A KR20220041640A KR 20220041640 A KR20220041640 A KR 20220041640A KR 1020200125171 A KR1020200125171 A KR 1020200125171A KR 20200125171 A KR20200125171 A KR 20200125171A KR 20220041640 A KR20220041640 A KR 2022004164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othpick
- seated
- drum
- rack
- pinion gea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5000010585 Ammi visnaga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9
- 244000153158 Ammi visnaga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9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73 porcelai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33 talus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2—Toothpick hold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1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 F16H21/16—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쑤시개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더 상세하게는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다수개의 이쑤시개 중 어느 하나의 이쑤시개가 하나씩 토출공을 통해 취출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쑤시개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pick box,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othpick box in which any one toothpick among a plurality of toothpicks accommodated in a receiving unit is taken out one by one through a discharge hole, while allowing a user to use it. will be.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쑤시개통은 대부분 사기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든 원통형 단지 또는 케이스로서, 이쑤시개를 그 안에 담아두었다가, 사용 시 케이스 뚜껑을 열고, 이쑤시개를 꺼내도록 되어 있다,Most commonly used toothpick boxes are cylindrical jars or cases made of porcelain or plastic, in which a toothpick is stored, then the case lid is opened and the toothpick is taken out when in use.
그러나 이러한 종래 이쑤시개통은 이쑤시개를 꺼내는 과정에서 손가락이 여러 개의 이쑤시개에 닿게 되어 위생상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toothpick box ha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sanitary because a finger comes into contact with several toothpicks in the process of taking out the toothpick.
따라서 종래에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쑤시개통의 케이스 뚜껑에 원형공을 형성하여, 상기 원형공을 통해 이쑤시개를 취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Therefore, in the prior art,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circular hole is formed in the case lid of the toothpick tube so that the toothpick can be taken out and used through the circular hole.
그러나 이 역시도 상기 원형공의 내경이 이쑤시개의 외경보다 작으면 이쑤시개가 취출되지 않기 때문에 이쑤시개의 외경보다는 넓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시켜, 이쑤시개통의 케이스 내부에 보관중인 이쑤시개가 잘 취출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함으로써, 상기 이쑤시개를 케이스의 외부로 인출시 이쑤시개의 외경보다 넓은 외경을 가지고 있는 원형공으로 다수개의 이쑤시개가 동시에 인출되어 지게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is too is formed to have a wider inner diamet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toothpick because the toothpick is not taken out if the inner diameter of the circular hole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toothpick. When the toothpick is drawn out of the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plurality of toothpicks are drawn out at the same time as a circular ball having an outer diameter wid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toothpick.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개의 이쑤시개를 케이스에 형성된 수납부에 보관하면서 하나의 이쑤시개만 정확하게 케이스의 외부로 취출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이쑤시개통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provides a toothpick box in which only one toothpick is accurately taken out of the case while storing a plurality of toothpicks in a receiving unit formed in the case. there i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덮개(130)가 개폐 가능하게 상부에 설치되는 수납부(110)가 일측부에 형성되고, 타측부에는 수납부(110)와 연통되는 인출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인출부(120)의 일측부에는 토출공(140)이 관통되어 형성된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에 형성된 수납부(110)에 수납되어 보관중인 이쑤시개(700)가 안착되는 안착홈(210)이 길이방향을 따라 파여져 형성되어 있는 드럼(200)과,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키면서 이쑤시개(700)가 안착되어 있는 안착홈(210)이 인출부(120)에 위치되도록 구동되는 작동모터(300)와, 상기 작동모터(30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인출부(120)에 위치된 드럼(200)의 안착홈(210)으로 부터 이쑤시개(700)를 인출시키면서 토출공(140) 방향에 위치되도록 안착되는 가이드부(400)와, 상기 가이드부(400)에 토출공(140) 방향에 위치되도록 이쑤시개(700)가 안착되면 작동모터(300)가 정지되도록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가이드부(400)에 이쑤시개(700)가 안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드럼(200)이 회전되도록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센서(500)와, 상기 감지센서(500)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는 드럼(20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캠(600)과, 상기 캠(600)의 회전상태에 따라 일측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는 제1래크(10)와, 상기 제1래크(10)가 탄성력에 의해 타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원상북귀되도록 하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50)와, 상기 탄성체(50)와 캠(600)에 의해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는 제1래크(10)의 이동상태에 따라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제1피니언기어(30)와, 상기 제1피니언기어(30)의 회전방향에 따라 동시에 회전이 이루어지는 제2피니언기어(40)와, 상기 제2피니언기어(40)의 이동방향에 따라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가이드부(400)에 안착된 이쑤시개(700)를 토출공(140)을 통해 토출시키는 제2래크(20)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한편, 상기 드럼(310) 외주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지지홈(220)이 파여져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220)에 삽입되는 삽입돌기(420)가 돌출되게 가이드부(400)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드럼(200)이 회전되면서 안착홈(210)에 안착된 이쑤시개(700)가 인출부(120)에 위치되면 삽입돌기(420)에 의해 안착홈(210)으로 부터 인출되면서 보다 원활하게 토출공(140) 방향에 위치되어지게 됨을 밝혀 둔다. 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또한, 상기 제2래크(20)에는 가이드부(400)에 안착된 이쑤시개(700)의 일측단부가 접촉되는 접촉돌기(21)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2래크(20)가 일측방향으로 이동시 이쑤시개(700)가 제2래크(20)의 이동량만큼 이동되면서 토출공(140)으로 이쑤시개(700)의 타측부가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을 밝혀 둔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스의 수납부에 수용되어 보관중인 이쑤시개중 어느하나의 이쑤시개가 드럼에 형성된 안착홈에 인입된 상태에서 드럼이 회전되는 것에 의해 인출부 방향에 위치되면 가이드부를 따라 안내되면서 이동되면서 토출공 방향에 일치되도록 안착되고, 상기 토출공 방향에 이쑤시개가 안착된 후 제2래크(20)가 일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접촉돌기에 이쑤시개의 일측단부가 접촉된 ㅅ사상태로 이동되면서 이쑤시개의 타측부가 토출공으로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쑤시개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하나의 이쑤시개를 정확하게 토출공으로 부터 취출해가면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y one of the toothpicks accommodated and stored in the housing of the case is positioned in the direction of the draw-out part by rotating the drum in a state in which it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formed in the drum, it is guided along the guide and discharged while being moved. It is seated to match the direction of the ball, and after the toothpick is seated in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hole, the
도 1은 본 발명의 이쑤시개통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이쑤시개통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이쑤시개통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이쑤시개통의 드럼을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othpick ope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oothpick ope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oothpick ope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rum of the present invention toothpick box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도 1은 본 발명의 이쑤시개통 보인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이쑤시개통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이쑤시개통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이쑤시개통의 드럼을 보인 사시도 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oothpick tub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oothpick tub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oothpick tub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toothpick tub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rum of the barrel.
본 발명인 이쑤시개통은 도 1과 도 2 및 도 3과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덮개(130)가 개폐 가능하게 상부에 설치되는 수납부(110)가 일측부에 형성되고, 타측부에는 수납부(110)와 연통되는 인출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인출부(120)의 일측부에는 토출공(140)이 관통되어 형성된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에 형성된 수납부(110)에 수납되어 보관중인 이쑤시개(700)가 안착되는 안착홈(210)이 길이방향을 따라 파여져 형성되어 있는 드럼(200)과,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키면서 이쑤시개(700)가 안착되어 있는 안착홈(210)이 인출부(120)에 위치되도록 구동되는 작동모터(300)와, 상기 작동모터(30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인출부(120)에 위치된 드럼(200)의 안착홈(210)으로 부터 이쑤시개(700)를 인출시키면서 토출공(140) 방향에 위치되도록 안착되는 가이드부(400)와, 상기 가이드부(400)에 토출공(140) 방향에 위치되도록 이쑤시개(700)가 안착되면 작동모터(300)가 정지되도록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가이드부(400)에 이쑤시개(700)가 안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드럼(200)이 회전되도록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센서(500)와, 상기 감지센서(500)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는 드럼(20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캠(600)과, 상기 캠(600)의 회전상태에 따라 일측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는 제1래크(10)와, 상기 제1래크(10)가 탄성력에 의해 타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원상북귀되도록 하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50)와, 상기 탄성체(50)와 캠(600)에 의해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는 제1래크(10)의 이동상태에 따라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제1피니언기어(30)와, 상기 제1피니언기어(30)의 회전방향에 따라 동시에 회전이 이루어지는 제2피니언기어(40)와, 상기 제2피니언기어(40)의 이동방향에 따라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가이드부(400)에 안착된 이쑤시개(700)를 토출공(140)을 통해 토출시키는 제2래크(20)로 구성된다.In the toothpick ope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and 3 and 4 , the
한편, 상기 드럼(310) 외주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지지홈(220)이 파여져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220)에 삽입되는 삽입돌기(420)가 돌출되게 가이드부(400)의 단부에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또한, 상기 제2래크(20)에는 가이드부(400)에 안착된 이쑤시개(700)의 일측단부가 접촉되는 접촉돌기(21)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In addition, in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부(400)에 토출공(140) 방향에 위치되도록 이쑤시개(700)가 안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감지센서(500)가 이를 감지하여 작동모터(300)가 구동되도록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작동모터(300)가 구동되면 수납부(110)에 보관중인 이쑤시개(700)중 어느 하나의 이쑤시개(700)가 케이스(100)에 형성된 수납부(110)와 인출부(120) 사이에 설치된 드럼(200)의 안착홈(210)에 인입된 상태에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안착홈(210)이 인출부(120) 방향에 이쑤시개(700)가 위치되어지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상기와 같이 이쑤시개(700)가 안착홈(210)에 인입된 상태에서 드럼(200)이 회전되면서 인출부(120) 방향에 이쑤시개(700)가 위치된 후에는 가이드부(400) 선단에 형성된 삽입돌기(420)가 드럼(200)의 지지홈(220)에 삽입되어 있는 삽입돌기(420)에 의해 안착홈(210)으로 부터 인출되고, 상기 안착홈(210)으로 부터 인출이 이루어진 이쑤시개(700)는 가이드부(400)을 따라 이동되면서 토출공(140) 방향에 일치되도록 안착된다As described above, in a state in which the
상기 가이드부(400)에 이쑤시개(700)가 안착된 후에는 캠(600)이 드럼(20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제1래크(10)가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1래크(10)가 이동되는 것에 의해 제1피니언기어(30)는 일측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되며, 상기 제1피니언기어(30)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제2피니언기어(40)도 동시에 일측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되고, 상기 제2피니언기어(40)가 회전되는 량만큼 제2래크(20)도 동시에 일측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After the
이때, 상기 제2래크(20)에 돌출형성된 접촉돌기(21)는 가이드부(400)에 안착된 상탤를 유지하고 하고 있는 일측단부가 접촉된 상태에서 일측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는 것에 의해 이쑤시개(700)도 동시에 일측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타측측부가 토출공(140)의 외부로 취출된 상태를 유지하게된다. At this time, the
이로인해 이쑤시개(700)가 토출공(140)의 외부로 타측부가 취출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이쑤시개(7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토출공(140)으로 부터 이쑤시개(700)를 취출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Due to this, the user who wants to use the
한편, 상기와 같이 이쑤시개(700)가 토출공(140)으로 부터 인출되면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5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타측방향으로 제1래크(10)가 이동되면서 원래위치로 원상복귀되고, 상기 제1래크(10)가 타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제1피니언기어(30)와 제2피니언기어(40) 및 제2래크(20)가 동시에 타측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제2피니언기어(40)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제2래크(20)도 동시에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접촉돌기(21)도 원래위치로 원상복귀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또한, 상기 제1피니언기어(30)는 제1래크(10)에 치합되는 작은기어부(31)와 제2피니언기어(40)에 치합되는 큰기어부(3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피니언기어(30)의 큰기어부(32)에 치합되는 제1기어(41)와 제2래크(20)에 치합되는 제2기어부(42)가 각각 제2피니언기어(40)에 형성되어 있어, 제1래크(10)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2래크(20)가 보다 원활하게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드럼(200)에 의해 인출부(120)로 이동되면서 토출공(140)을 통해 이쑤시개(200)의 취출이 이루어지도록 작동모터(300)를 작동시키는 감지센서(500)는 토출공(140)으로 부터 이쑤시개(700)가 완전히 취출되면 캠(600)과 드럼(200)이 동시에 회전되도록 작동모터(300)를 구동시키게 되고, 상기 이쑤시개(700)가 가이드부(400)에 안착된 상태에서 타측부만 취출된 상태에서는 작동모터(300)가 구동되지 않도록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한편, 상기 드럼(200)에 형성된 안착홈(210)의 내경은 이쑤시개(70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상기 드럼(200)에 형성된 안착홈(210)에 보다 원활하게 수납부(110)에 보관중인 이쑤시개(700)가 원활하게 인입될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10 : 제1래크
20 : 제2래크
30 : 제1피니언기어
40 : 제2피니언기어
50 : 탄성체
100 : 케이스
110 : 수납부
120 : 인출부
130 : 덮개
140 : 토출공
200 : 드럼
210 : 안착홈
300 : 작동모터
400 : 가이드부
500 : 감지센서
600 : 캠
700 : 이쑤시개10: 1st rack
20: second rack
30: first pinion gear
40: second pinion gear
50: elastic body
100: case
110: storage unit
120: withdrawal unit
130: cover
140: discharge hole
200: drum
210: seating groove
300: operating motor
400: guide part
500: detection sensor
600 : cam
700: toothpick
Claims (3)
The receiving part 110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ver 130 so as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lead-out part 120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part 11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the lead-out part 120 is formed. The length of one side of the case 100 through which the discharge hole 140 is penetrated and the seating groove 210 in which the toothpick 700 stored and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unit 110 formed in the case 100 is seated. The drum 200 is formed by being dug along the direction, and the drum 200 is rotated while the seating groove 210 in which the toothpick 700 is seated is located in the lead-out part 120. The driving motor 300 is driven. And, while taking out the toothpick 700 from the seating groove 210 of the drum 200 located in the draw-out part 120 while rotating by the driving force of the operation motor 300, the discharge hole 140 in the direction When the guide part 400 is seated to be positioned and the toothpick 700 is seated in the guide part 400 in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hole 140, a signal is output to stop the operation motor 300, and the guide part When the toothpick 700 is not seated on the 400, the detection sensor 500 that outputs a signal to rotate the drum 200, and the drum 200 rotated by the detection sensor 500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cam 600 rotates with a , the first rack 10 moves in one dir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al state of the cam 600 , and the first rack 10 moves in the other direction by the elastic forc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ccording to the movement state of the first rack 10, which is moved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by the elastic body 50 such as a spring and the elastic body 50 and the cam 600 to return to the original shape. The first pinion gear 30 which rotates, the second pinion gear 40 which rotates simultaneously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first pinion gear 30, and the second pinion gear 40 in the moving direction When discharging the toothpick 700 seated in the guide part 400 through the discharge hole 140 while moving in one and the other direction accordingly A toothpick open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key is composed of a second rack (2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um (310) a plurality of support grooves 220 are dug at regular intervals, the guide portion (400) so that the insertion protrusion (420)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220) protrudes. Toothpick opening,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at the end of th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5171A KR20220041640A (en) | 2020-09-25 | 2020-09-25 | A toothpick box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5171A KR20220041640A (en) | 2020-09-25 | 2020-09-25 | A toothpick box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41640A true KR20220041640A (en) | 2022-04-01 |
Family
ID=81183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25171A Pending KR20220041640A (en) | 2020-09-25 | 2020-09-25 | A toothpick box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41640A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4982Y1 (en) | 2004-07-07 | 2005-02-04 | 김영숙 | automatic toothpick cask |
-
2020
- 2020-09-25 KR KR1020200125171A patent/KR20220041640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4982Y1 (en) | 2004-07-07 | 2005-02-04 | 김영숙 | automatic toothpick cask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67302B1 (en) | A toothpick box | |
KR102567247B1 (en) | A toothpick box | |
KR102310539B1 (en) | A toothpick box | |
KR20220022412A (en) | Toothpick Dispenser | |
KR20220041640A (en) | A toothpick box | |
KR102360732B1 (en) | A toothpick box | |
KR102496742B1 (en) |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sample storage container | |
US7137527B2 (en) | Container | |
JP4711133B2 (en) | Container holder device | |
JPS6120986Y2 (en) | ||
KR100687544B1 (en) | Writing utensils | |
CN110811104B (en) | Storage box | |
JPH0246813Y2 (en) | ||
US5590811A (en) | Crayon organizer | |
KR200294027Y1 (en) | Lid switch for vessel | |
KR200288387Y1 (en) | dentifrice drawing out apparatus | |
US7287446B2 (en) | Rack and pinion bottle opener with insert | |
JP3325647B2 (en) | Writing implement | |
KR20050019285A (en) | Writing tools of safety nock type | |
KR20220133459A (en) | Toothpick supply bin | |
JP5781895B2 (en) | Container with lid | |
KR200192599Y1 (en) | A swab case | |
KR20050078628A (en) | Eraser dispenser | |
JPH0246812Y2 (en) | ||
JPH0152266B2 (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3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