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039967A -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9967A
KR20220039967A KR1020200122321A KR20200122321A KR20220039967A KR 20220039967 A KR20220039967 A KR 20220039967A KR 1020200122321 A KR1020200122321 A KR 1020200122321A KR 20200122321 A KR20200122321 A KR 20200122321A KR 20220039967 A KR20220039967 A KR 20220039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s
dummy patterns
area
patterns
cover window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2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우
김영도
오현석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2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9967A/ko
Priority to US17/229,578 priority patent/US11508268B2/en
Priority to CN202110929635.XA priority patent/CN114256433A/zh
Publication of KR20220039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9967A/ko
Priority to US18/057,202 priority patent/US12131672B2/en
Priority to US18/927,840 priority patent/US20250046220A1/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01L51/524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28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 C03C17/3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with synthetic or natural resi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01L2251/533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위에 위치하는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커버 윈도우는 각각 서로 인접하는 플랫 영역 및 벤더블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 윈도우는 상기 벤더블 영역에 위치하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패턴들, 그리고 상기 플랫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더미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더미 패턴들에서 인접하는 더미 패턴들의 길이가 서로 다르다.

Description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DISPLAY DEVICE INCLUDING A COVER WINDOW}
본 발명은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폰(mobile phone), 태블릿(tablet),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텔레비전 같은 전자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화면을 구현하는 표시 패널(display panel)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의 기판으로서 플렉서블 기판을 사용하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외부 환경(예컨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면서 플렉서블 표시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을 투과시킬 수 있는 커버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로서 면 품질(surface quality), 내마모성 등이 우수한 글라스 필름(glass film)이 사용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를 두께를 줄이면 커버 윈도우의 플렉서블 특성(flexibility)이 증가할 수 있지만, 내충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의 소정 영역(예컨대,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폴딩 시 벤딩되는 영역)의 플렉서블 특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가공 또는 처리 시 해당 영역의 광학적 특성이 저하되거나, 다른 영역과 다르게 시인될 수 있다.
실시예들은 플렉서블 특성, 내충격성, 광학적 특성 등이 개선된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위에 위치하는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커버 윈도우는 각각 서로 인접하는 플랫 영역 및 벤더블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 윈도우는 상기 벤더블 영역에 위치하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패턴들, 그리고 상기 플랫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더미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더미 패턴들에서 인접하는 더미 패턴들의 길이가 서로 다르다.
상기 인접하는 더미 패턴들 중 상기 벤더블 영역으로부터 멀리 위치하는 더미 패턴의 길이가 가까이 위치하는 더미 패턴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더미 패턴들은 상기 벤더블 영역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길이가 점점 감소할 수 있다.
상기 더미 패턴들 간의 간격이 상기 벤더블 영역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점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윈도우는 베이스 필름, 그리고 상기 베이스 필름의 그루브들 내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 필름보다 낮은 경도를 가진 연질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턴들 및 상기 더미 패턴들은 상기 그루브들 및 상기 연질부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랫 영역에 위치하는 그루브들 중 인접하는 그루브들의 깊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플랫 영역에 위치하는 그루브들의 깊이가 상기 벤더블 영역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점 감소할 수 있다.
상기 플랫 영역에 위치하는 그루브들 간의 간격이 상기 벤더블 영역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점 증가할 수 있다.
상기 패턴들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1 열의 패턴들 및 제2 열의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열의 패턴들과 상기 제2 열의 패턴들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더미 패턴들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1 열의 더미 패턴들 및 제2 열의 더미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열의 더미 패턴들의 길이가 상기 벤더블 영역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점 감소할 수 있고, 상기 제2 열의 더미 패턴들의 길이가 상기 벤더블 영역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점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제1 열의 더미 패턴들의 그루브들의 깊이가 상기 벤더블 영역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점 감소할 수 있고, 상기 제2 열의 더미 패턴들의 그루브들의 깊이가 상기 벤더블 영역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점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윈도우는 R의 곡률 반경으로 벤딩될 수 있고, 상기 더미 패턴들은 상기 벤더블 영역과 상기 플랫 영역의 경계로부터 0.1πR 내지 0.3πR(여기서 π는 원주율)의 범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위에 위치하는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커버 윈도우는 각각 서로 인접하는 플랫 영역 및 벤더블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 윈도우는 제1 방향으로 배열된 그루브들을 포함하는 베이스 필름, 그리고 상기 그루브들 내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 필름보다 낮은 경도를 가진 연질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플랫 영역에 위치하는 그루브들 중 인접하는 그루브들의 깊이가 서로 다르다.
상기 인접하는 그루브들 중 상기 벤더블 영역으로부터 멀리 위치하는 그루브의 깊이가 가까이 위치하는 그루브의 깊이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플랫 영역에 위치하는 그루브들의 깊이가 상기 벤더블 영역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점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윈도우는 상기 벤더블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패턴들, 그리고 상기 플랫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더미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더미 패턴들은 길이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더미 패턴들은 상기 벤더블 영역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길이가 점점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윈도우는 상기 벤더블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1 열의 패턴들 및 제2 열의 패턴들, 그리고 상기 플랫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1 열의 더미 패턴들 및 제2 열의 더미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열의 더미 패턴들의 그루브들의 깊이가 상기 벤더블 영역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점 감소할 수 있고, 상기 제2 열의 더미 패턴들의 그루브들의 깊이가 상기 벤더블 영역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점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제1 열의 더미 패턴들의 길이가 상기 벤더블 영역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점 감소할 수 있고, 상기 제2 열의 더미 패턴들의 길이가 상기 벤더블 영역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점 감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위에 위치하는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윈도우는 서로 인접하는 플랫 영역 및 벤더블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 윈도우는 제1 방향으로 배열된 그루브들을 포함하는 베이스 필름, 상기 벤더블 영역에서 상기 그루브들 내에 위치하는 연질부들, 그리고 상기 플랫 영역에서 상기 그루브들 내에 위치하며 상기 연질부들보다 높은 경도를 가진 경질부들을 포함한다.
상기 연질부들은 4B 이하의 연필 강도를 가질 수 있고, 상기 경질부들은 7H 이상의 연필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벤더블 영역에서 상기 그루브들 및 상기 연질부들은 패턴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플랫 영역에서 상기 그루브들 및 상기 경질부들은 더미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더미 패턴들은 상기 플랫 영역 전체에 걸쳐 배열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플렉서블 특성, 내충격성, 광학적 특성 등이 개선된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명세서 전반에 걸쳐 인식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a, 도 1b 및 도 1c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평면도이고, 도 2b 및 도 2c는 각각 도 2a에서 A-A'선을 따라 취한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2d는 도 2b에 도시된 커버 윈도우를 폴딩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평면도이고, 도 3b 및 도 3c는 각각 도 3a에서 B-B'선을 따라 취한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평면도이고, 도 4b 및 도 4c는 각각 도 4a에서 C-C'선을 따라 취한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평면도이고, 도 5b, 도 5c, 도 5d 및 도 5e는 각각 도 5a에서 D-D'선을 따라 취한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평면도이고, 도 6b 및 도 6c는 각각 도 6a에서 E-E'선을 따라 취한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모아레 발생에 관한 모식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평면도이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평면도이고, 도 10b는 도 10a에서 F-F'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적층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구성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이 없는 것을 뜻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연결"된다는 둘 이상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둘 이상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나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위치나 기능에 따라 상이한 명칭으로 지칭되었으나 실질적으로 일체인 각 부분이 서로 연결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에서, 방향을 나타내는데 부호 "x", "y" 및 "z"가 사용되고, 여기서 "x"는 제1 방향이고, "y"는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이고, "z"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수직인 제3 방향이다. 제1 방향(x), 제2 방향(y) 및 제3 방향(z)은 각각 표시 장치의 가로 방향, 세로 방향 및 두께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중첩"은 평면도에서 중첩을 의미하고, 제3 방향(z)으로 중첩을 의미한다.
도 1a, 도 1b 및 도 1c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a, 도 1b 및 도 1c는 각각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펼쳐진 상태, 제1 폴딩 상태 및 제2 폴딩 상태를 나타낸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1)(이하, 간단하게 표시 장치라고 함)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플랫(flat)하게 펼쳐질 수 있고, 도 1b 및/또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될 수 있는 폴더블 표시 장치일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벤더블 영역(bendable area)(BA) 및 벤더블 영역(BA) 양측에 제1 플랫 영역(flat area)(FAa) 및 제2 플랫 영역(FAb)을 포함할 수 있다. 벤더블 영역(BA)은 표시 장치(1)의 폴딩 시 벤딩되는 부분이고, 제1 플랫 영역(FAa) 및 제2 플랫 영역(FAb)은 벤딩되지 않는 부분이다.
하나의 벤더블 영역(BA)이 도시되어 있으나, 표시 장치(1)는 서로 떨어진 되어 있거나 서로 다른 곡률반경으로 벤딩될 수 있는 복수의 벤더블 영역(BA)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 장치(1)는 2개 이상의 벤더블 영역과 3개 이상의 플랫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display area)(DA)과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non-display area)(N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화소들(PX)이 배열되어 있는 화면(screen)에 대응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A)은 베젤(bezel)에 대응할 수 있다. 벤더블 영역(BA)은 표시 영역(DA)을 가로질러 위치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화면을 구현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고, 표시 패널을 덮는 커버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부분들이 마주하도록, 즉 제1 플랫 영역(FAa)의 화면 부분과 제2 플랫 영역(FAb)의 화면 부분이 마주하도록 폴딩(이하, 인폴딩(in-folding)이라고 함)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폴딩(이하, 아웃폴딩(out-folding)이라고 함)될 수 있다. 인폴딩 상태에서 벤더블 영역(BA)의 화면 부분은 가려질 수 있다. 아웃폴딩 상태에서 벤더블 영역(BA)의 화면은 사용자가 볼 수 있게 노출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인폴딩과 아웃폴딩 중 하나만 가능하거나 모두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가 복수의 벤더블 영역(BA)을 포함하는 경우, 그 중 하나는 인폴딩이 가능한 벤더블 영역일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아웃폴딩이 가능한 벤더블 영역일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하우징(housing)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커버 윈도우와 하우징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 내에 표시 장치(1)를 구성하는 여러 부품, 예컨대 표시 패널, 구동 장치, 인쇄회로기판,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메모리, 스피커, 각종 센서 등이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커버 윈도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러 실시예 중 도 2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 다른 실시예들은 도 2의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평면도이고, 도 2b 및 도 2c는 각각 도 2a에서 A-A'선을 따라 취한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2d는 도 2b에 도시된 커버 윈도우를 폴딩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a, 도 2b, 도 2c 및 도 2d를 참고하면, 커버 윈도우(10)는 제1 플랫 영역(FAa), 제2 플랫 영역(FAb), 그리고 제1 플랫 영역(FAa)과 제2 플랫 영역(FAb) 사이의 벤더블 영역(BA)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의 제1 플랫 영역(FAa), 제2 플랫 영역(FAb) 및 벤더블 영역(BA)은 각각 전술한 표시 장치(1)의 제1 플랫 영역(FAa), 제2 플랫 영역(FAb) 및 벤더블 영역(BA)에 대응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는 제2 방향(y)과 나란한 벤딩축(X)을 중심으로 벤더블 영역(BA)이 벤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플랫 영역(FAa)과 제2 플랫 영역(FAb)이 마주하도록 폴딩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는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의 양면인 제1 표면(S1)과 제2 표면(S2)은 각각 실질적으로 평탄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는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의 두께는 내충격성 및 플렉서블 특성을 고려하여 10㎛ 내지 500㎛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일례로, 150㎛ 내지 300㎛ 두께의 커버 윈도우(10)가 적용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는 벤더블 영역(BA)의 두께가 제1 및 제2 플랫 영역들(FAa, FAb)의 두께보다 얇을 수도 있다.
커버 윈도우(10)는 벤더블 영역(BA)에 패턴들(11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는 제1 플랫 영역(FAa)에 제1 더미 패턴들(120a)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플랫 영역(FAb)에 제2 더미 패턴들(120b)을 포함할 수 있다. 패턴들(110), 제1 더미 패턴들(120a) 및 제2 더미 패턴들(120b)은 제1 방향(x)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더미 패턴들(120a)과 제2 더미 패턴들(120b)은 벤더블 영역(BA)에 대하여 대칭일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는 글라스 같은 경질 재료로 형성될 수 있는 베이스 필름(base film)(11)을 포함한다. 베이스 필름(11)은 커버 윈도우(10)의 전체적인 형상을 한정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의 벤더블 영역(BA)에서, 베이스 필름(11)에는 그루브들(grooves)(111)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 윈도우(10)는 그루브들(111) 내에 위치하는 연질부들(12)을 포함한다. 그루브들(111)과 연질부들(12)은 조합하여 벤더블 영역(BA)에서 패턴들(110)을 형성한다.
각각의 그루브(111)는 커버 윈도우(10)의 제1 표면(S1)으로부터 제2 표면(S2) 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111)는 제2 방향(y)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111)는 제1 방향(x)으로 폭, 제2 방향(y)으로 길이, 그리고 제3 방향(z)으로 깊이를 가질 수 있다. 그루브(111)의 단면 형상은 도시된 것과 같이 대략 사각형일 수 있다. 그루브(111)는 사각형 외에도 반원형, 반타원형, 삼각형 등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패턴(110)의 길이 및 폭은 각각 그루브(111)의 길이 및 폭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그루브(111)는 커버 윈도우(10) 또는 베이스 필름(11)의 가장자리로부터 떨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방향(y)으로 그루브(111)의 양단이 커버 윈도우(10) 또는 베이스 필름(11)의 가장자리와 맞닿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벤더블 영역(BA)이 벤딩된 후 플랫 상태로 복원되는데 좀 더 유리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달리, 그루브(111)는 커버 윈도우(10) 또는 베이스 필름(11)의 가장자리까지 형성될 수도 있다.
연질부들(12)은 그루브들(111)에 실리콘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같은 연질 재료를 충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연질부들(12)은 예컨대 4B 이하의 연필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연질부들(12)의 표면은 커버 윈도우(10)의 제1 표면(S1)의 일부를 한정할 수 있다. 연질부들(12)은 베이스 필름(11)과 굴절률이 정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연질부들(12)은 약 550㎚의 파장에 대하여 베이스 필름(11)과 동일한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가 베이스 필름(11)만으로 형성되는 경우, 커버 윈도우(10)의 플렉서블 특성을 위해 베이스 필름(11)의 두께를 얇게 하면 내충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실시예와 같이, 커버 윈도우(10)의 벤더블 영역(BA)에서 베이스 필름(11)에 그루브들(111)을 형성하고, 그루브들(111) 내에 연질부들(12)을 형성하면, 베이스 필름(11)의 두께 및 커버 윈도우(10)의 두께를 증가시키면서 벤더블 영역(BA)의 플렉서블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베이스 필름(11)보다 경도가 낮은 연질부들(12)에 의해 벤더블 영역(BA)의 모듈러스(modulus)가 감소하여, 벤더블 영역(BA)의 플렉서블 특성이 증가할 수 있다.
연질부들(12)은 베이스 필름(11)과 굴절률 정합되므로, 커버 윈도우(10)의 패턴들(110)을 통과하는 빛이 왜곡되지 않을 수 있고, 패턴들(110)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베이스 필름(11)과 연질부들(12)의 재료가 다르므로, 전 파장에 대하여 연질부들(12)과 베이스 필름(11)의 굴절률 정합이 어렵다. 예컨대, 550㎚의 파장에 대하여 베이스 필름(11)과 연질부들(12)의 굴절률 차이가 0.0003에 불과하더라도, 단파장에서는 0.004 이상일 수 있다. 이로 인해, 패턴들(110)이 형성된 벤더블 영역(BA)과 플랫 영역들(FAa, FAb) 간에 색 차이(특히, 반사광에서의 색 차이)가 시인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색 차이가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완화하기 위해, 커버 윈도우(10)는 제1 및 제2 플랫 영역들(FAa, FAb)에 제1 및 제2 더미 패턴들(120a, 12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더미 패턴들(120a, 120b)과 관련하여, 제1 및 제2 플랫 영역들(FAa, FAb)에서 베이스 필름(11)에는 그루브들(121a, 121b)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 윈도우(10)는 그루브들(121a, 121b) 내에 위치하는 연질부들(13a, 13b)을 포함한다. 그루브들(121a)과 연질부들(13a)은 조합하여 제1 플랫 영역(FAa)에서 제1 더미 패턴들(120a)을 형성한다. 그루브들(121b)과 연질부들(13b)은 조합하여 제2 플랫 영역(FAb)에서 제2 더미 패턴들(120b)을 형성한다.
각각의 그루브(121a, 121b)는 커버 윈도우(10)의 제1 표면(S1)으로부터 제2 표면(S2) 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121a, 121b)는 제2 방향(y)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121a, 121b)는 제1 방향(x)으로 폭, 제2 방향(y)으로 길이, 그리고 제3 방향(z)으로 깊이를 가질 수 있다. 그루브(121a, 121b)의 단면 형상은 도시된 것과 같이 대략 사각형일 수 있다. 그루브(121a, 121b)는 사각형 외에도 반원형, 반타원형, 삼각형 등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질부들(13a, 13b)은 그루브들(121a, 121b)에 실리콘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같은 연질 재료를 충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연질부들(13a, 13b)은 예컨대 4B 이하의 연필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연질부들(13a, 13b)의 표면은 커버 윈도우(10)의 제1 표면(S1)의 일부를 한정할 수 있다. 연질부들(13a, 13b)은 베이스 필름(11)과 굴절률이 정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질부들(13a, 13b)은 연질부들(12)과 동일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패턴들(110)과 달리, 제1 및 제2 더미 패턴들(120a, 120b)은 커버 윈도우(10)의 플렉서블 특성보다는 시인성 개선, 즉 벤더블 영역(BA)이 제1 및 제2 플랫 영역들(FAa, FAb)과 다르게 시인되는 것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제1 더미 패턴들(120a), 그리고 제1 더미 패턴들(120a)을 형성하는 그루브들(121a)과 그루브들(121a) 내에 위치하는 연질부들(13a)은 벤더블 영역(BA)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길이가 점점 감소할 수 있다. 제1 더미 패턴들(120a)과 마찬가지로, 제2 더미 패턴들(120b), 그리고 제2 더미 패턴들(120b)을 형성하는 그루브들(121b) 및 그루브들(121b) 내에 위치하는 연질부들(13b)은 벤더블 영역(BA)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길이가 점점 감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더미 패턴들(120a, 120b)의 길이가 점점 감소하면, 벤더블 영역(BA)과 제1 및 제2 플랫 영역들(FAa, FAb) 간의 경계를 전후로 색이 급변하지 않고, 벤더블 영역(BA)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진적으로 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벤더블 영역(BA)의 플렉서블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벤더블 영역(BA)에 패턴들(110)을 형성하더라도, 사용자는 벤더블 영역(BA)과 제1 및 제2 플랫 영역들(FAa, FAb) 간의 색 차이를 인식하지 못하거나 인식하기 어렵다.
제1 더미 패턴들(120a)은 벤더블 영역(BA)과 제1 플랫 영역(FAa)의 경계로부터 약 0.1πR 내지 약 0.3πR 이내에 위치하는 것이 색 차이를 인식이 곤란하면서도 제1 플랫 영역(FAa)에서 내충격성이 저하되는 면적을 최소화하는데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π는 원주율, r은 커버 윈도우(10)의 폴딩 시 벤더블 영역(BA)의 곡률 반경임). 같은 이유로, 제2 더미 패턴들(120b)은 벤더블 영역(BA)과 제2 플랫 영역(FAb)의 경계로부터 약 0.1πR 내지 약 0.3πR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곡률 반경(R)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윈도우(10)의 제2 표면(S2)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폴딩될 경우에는 벤더블 영역(BA)에서 제2 표면(S2)의 곡률 반경일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의 제1 표면(S1)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폴딩될 경우 곡률 반경(R)은 벤더블 영역(BA)에서 제1 표면(S1)의 곡률 반경일 수 있다.
제1 및 제2 더미 패턴들(120a, 120b)의 점진적인 길이 감소는 선형 함수, 사인 함수, 코사인 함수, 또는 로그 함수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더미 패턴들(120a)에서 그루브들(121a)의 상단 또는 하단을 연결하는 선이 사선, 사인 곡선, 코사인 곡선, 또는 로그 곡선일 수 있다. 또한, 제2 더미 패턴들(120b)에서 그루브들(121b)의 상단 또는 하단을 연결하는 선이 사선, 사인 곡선, 코사인 곡선, 또는 로그 곡선일 수 있다.
도 2c를 참고하면, 제1 및 제2 더미 패턴들(120a, 120b)은 벤더블 영역(BA)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간격(s1, s2, s3)이 점점 증가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더미 패턴들(120a, 120b)을 형성하는 그루브들(121a, 121b)과 그루브들(121a, 121b) 내에 위치하는 연질부들(13a) 또한 벤더블 영역(BA)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간격(s1, s2, s3)이 점점 증가할 수 있다.
예컨대, 벤더블 영역(BA)의 최외곽에 위치하는 패턴(110)과 벤더블 영역(BA)에 첫 번째로 인접하는 더미 패턴 간의 제1 간격(s1)보다 벤더블 영역(BA)에 첫 번째 및 두 번째로 인접하는 더미 패턴들 간의 제2 간격(s2)이 클 수 있다. 또한, 벤더블 영역(BA)에 두 번째 및 세 번째로 인접하는 더미 패턴들 간의 제3 간격(s3)이 제2 간격(s2)보다 클 수 있다. 제1 간격(s1)은 벤더블 영역(BA) 내의 패턴들(110) 간의 간격(s0)보다 클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더미 패턴들(120a, 120b) 간의 간격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면, 벤더블 영역(BA)과 제1 및 제2 플랫 영역들(FAa, FAb) 간의 경계를 전후로 색이 급변하지 않고, 벤더블 영역(BA)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진적으로 변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더미 패턴들(120a, 120b) 간의 점진적 간격 증가는 제1 및 제2 더미 패턴들(120a, 120b)의 점진적 길이 감소와 조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더미 패턴들(120a, 120b)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일정하고, 제1 및 제2 더미 패턴들(120a, 120b) 간의 간격만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더미 패턴들(120a, 120b) 간의 점진적 간격 증가는 선형 함수, 사인 함수, 코사인 함수, 또는 로그 함수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평면도이고, 도 3b 및 도 3c는 각각 도 3a에서 B-B'선을 따라 취한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고하면,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커버 윈도우(10)는 제1 플랫 영역(FAa), 제2 플랫 영역(FAb), 그리고 제1 플랫 영역(FAa)과 제2 플랫 영역(FAb) 사이의 벤더블 영역(BA)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는 벤더블 영역(BA)에 패턴들(11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는 제1 플랫 영역(FAa)에 제1 더미 패턴들(120a)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플랫 영역(FAb)에 제2 더미 패턴들(120b)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패턴들(110)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지만, 제1 및 제2 더미 패턴들(120a, 120b)은 차이가 있다.
제1 더미 패턴들(120a)과 관련하여, 제1 플랫 영역(FAa)에서 베이스 필름(11)에는 그루브들(121a)이 형성되어 있고 그루브들(121a) 내에는 연질부들(13a)이 위치한다. 제2 더미 패턴들(120b)과 관련하여, 제2 플랫 영역(FAb)에서 베이스 필름(11)에는 그루브들(121b)이 형성되어 있고 그루브들(121b) 내에는 연질부들(13b)이 위치한다. 그루브들(121a)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고, 그루브들(121b)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그루브들(121a)은 그루브들(121b)과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그루브들(121a, 121b)은 벤더블 영역(BA)에 형성된 그루브들(111)과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그루브들(121a)은 서로 다른 깊이를 가질 수 있고, 그루브들(121b)은 서로 다른 깊이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루브들(121a)은 벤더블 영역(BA)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깊이(d1, d2, d3)가 점점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벤더블 영역(BA)에 첫 번째로 인접하는 그루브의 깊이(d1)보다 두 번째로 인접하는 그루브의 깊이(d2)가 작을 수 있고, 두 번째로 인접하는 그루브의 깊이(d2)보다 세 번째로 인접하는 그루브의 깊이(d3)가 작을 수 있다. 벤더블 영역(BA)에 첫 번째로 인접하는 그루브의 깊이(d1)는 벤더블 영역(BA)의 그루브(111)의 깊이(d0)보다 작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그루브들(121b)은 벤더블 영역(BA)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깊이가 점점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들(121a, 121b) 내에 위치하는 연질부들(13a, 13b)도 벤더블 영역(BA)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두께가 점점 감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더미 패턴들(120a, 120b)을 구성하는 그루브들(121a, 121b) 및 연질부들(13a, 13b)의 깊이 및 두께가 벤더블 영역(BA)으로부터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점점 감소하면, 연질부들(13a, 13b)의 부피가 벤더블 영역(BA)으로부터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점점 감소한다. 따라서 굴절률 차이로 인한 색 변화가 벤더블 영역(BA)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진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므로, 벤더블 영역(BA)의 플렉서블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벤더블 영역(BA)에 패턴들(110)을 형성하더라도, 사용자는 벤더블 영역(BA)과 제1 및 제2 플랫 영역들(FAa, FAb) 간의 색 차이를 인식하지 못하거나 인식하기 어렵다.
그루브들(121a, 121b)의 점진적 깊이 감소 및 연질부들(13a, 13b)의 점진적 두께 감소는 선형 함수, 사인 함수, 코사인 함수, 또는 로그 함수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도 3c를 참고하면, 제1 및 제2 더미 패턴들(120a, 120b)은 벤더블 영역(BA)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간격(s1, s2, s3)이 점점 증가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벤더블 영역(BA)의 최외곽에 위치하는 패턴(110)과 벤더블 영역(BA)에 첫 번째로 인접하는 더미 패턴 간의 제1 간격(s1)보다 벤더블 영역(BA)에 첫 번째 및 두 번째로 인접하는 더미 패턴들 간의 제2 간격(s2)이 클 수 있다. 또한, 벤더블 영역(BA)에 두 번째 및 세 번째로 인접하는 더미 패턴들 간의 제3 간격(s3)이 제2 간격(s2)보다 클 수 있다. 제1 간격(s1)은 벤더블 영역(BA) 내의 패턴들(110) 간의 간격(s0)보다 클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더미 패턴들(120a, 120b) 간의 간격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면, 벤더블 영역(BA)과 제1 및 제2 플랫 영역들(FAa, FAb) 간의 경계를 전후로 색이 급변하지 않고, 벤더블 영역(BA)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진적으로 변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더미 패턴들(120a, 120b) 간의 점진적 간격 증가는 그루브들(121a, 121b)의 점진적 깊이 감소와 조합될 수 있다. 그루브들(121a, 121b)의 깊이는 실질적으로 일정하고, 제1 및 제2 더미 패턴들(120a, 120b) 간의 간격만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더미 패턴들(120a, 120b) 간의 점진적 간격 증가는 선형 함수, 사인 함수, 코사인 함수, 또는 로그 함수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평면도이고, 도 4b 및 도 4c는 각각 도 4a에서 C-C'선을 따라 취한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면,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커버 윈도우(10)는 제1 플랫 영역(FAa), 제2 플랫 영역(FAb), 그리고 제1 플랫 영역(FAa)과 제2 플랫 영역(FAb) 사이의 벤더블 영역(BA)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는 벤더블 영역(BA)에 패턴들(11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는 제1 플랫 영역(FAa)에 제1 더미 패턴들(120a)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플랫 영역(FAb)에 제2 더미 패턴들(120b)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비교하여, 패턴들(110)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지만, 제1 및 제2 더미 패턴들(120a, 120b)은 차이가 있다.
제1 더미 패턴들(120a)과 관련하여, 제1 플랫 영역(FAa)에서 베이스 필름(11)에는 그루브들(121a)이 형성되어 있고 그루브들(121a) 내에는 연질부들(13a)이 위치한다. 제2 더미 패턴들(120b)과 관련하여, 제2 플랫 영역(FAb)에서 베이스 필름(11)에는 그루브들(121b)이 형성되어 있고 그루브들(121b) 내에는 연질부들(13b)이 위치한다.
제1 더미 패턴들(120a), 그리고 제1 더미 패턴들(120a)을 형성하는 그루브들(121a) 및 연질부들(13a)은 벤더블 영역(BA)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길이가 점점 감소할 수 있다. 또한, 그루브들(121a) 및 연질부들(13a)은 벤더블 영역(BA)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깊이(d1, d2, d3) 및 두께가 점점 감소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더미 패턴들(120b), 그리고 제2 더미 패턴들(120b)을 형성하는 그루브들(121b) 및 연질부들(13b)은 벤더블 영역(BA)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길이가 점점 감소할 수 있다. 또한, 그루브들(121b) 및 연질부들(13b)은 벤더블 영역(BA)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깊이 및 두께가 점점 감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더미 패턴들(120a, 120b)을 구성하는 그루브들(121a, 121b) 및 연질부들(13a, 13b)의 길이, 깊이 및 두께가 벤더블 영역(BA)으로부터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점점 감소하면, 벤더블 영역(BA)과 제1 및 제2 플랫 영역들(FAa, FAb) 간의 경계를 전후로 색이 급변하지 않고, 벤더블 영역(BA)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진적으로 변할 수 있다. 따라서, 벤더블 영역(BA)의 플렉서블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벤더블 영역(BA)에 패턴들(110)을 형성하더라도, 사용자는 벤더블 영역(BA)과 제1 및 제2 플랫 영역들(FAa, FAb) 간의 색 차이를 인식하지 못하거나 인식하기 어렵다.
그루브들(121a, 121b)의 점진적 길이 및 깊이 감소, 그리고 연질부들(13a, 13b)의 점진적 길이 및 두께 감소는 선형 함수, 사인 함수, 코사인 함수, 또는 로그 함수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도 4c를 참고하면, 제1 및 제2 더미 패턴들(120a, 120b)은 벤더블 영역(BA)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간격(s1, s2, s3)이 점점 증가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벤더블 영역(BA)의 최외곽에 위치하는 패턴(110)과 벤더블 영역(BA)에 첫 번째로 인접하는 더미 패턴 간의 제1 간격(s1)보다 벤더블 영역(BA)에 첫 번째 및 두 번째로 인접하는 더미 패턴들 간의 제2 간격(s2)이 클 수 있다. 또한, 벤더블 영역(BA)에 두 번째 및 세 번째로 인접하는 더미 패턴들 간의 제3 간격(s3)이 제2 간격(s2)보다 클 수 있다. 제1 간격(s1)은 벤더블 영역(BA) 내의 패턴들(110) 간의 간격(s0)보다 클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더미 패턴들(120a, 120b) 간의 간격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면, 벤더블 영역(BA)과 제1 및 제2 플랫 영역들(FAa, FAb) 간의 경계를 전후로 색이 급변하지 않고, 벤더블 영역(BA)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진적으로 변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더미 패턴들(120a, 120b) 간의 점진적 간격 증가는 그루브들(121a, 121b)의 점진적 길이 감소 및 깊이 감소와 조합될 수 있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평면도이고, 도 5b, 도 5c, 도 5d 및 도 5e는 각각 도 5a에서 D-D'선을 따라 취한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5a, 도 5b 및 도 5c를 참고하면, 커버 윈도우(10)는 제2 방향(x)으로 2열로 배열된 패턴들(1101, 1102), 제1 더미 패턴들(1201a, 1202a) 및 제2 더미 패턴들(1201b, 1202b)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윈도우(10)는 벤더블 영역(BA)에 패턴들(1101, 1102)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플랫 영역(FAa)에 제1 더미 패턴들(1201a, 1202a)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플랫 영역(FAb)에 제2 더미 패턴들(1201b, 120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열의 패턴들(1101)과 제2 열의 패턴들(1102)은 제1 방향(x)을 따라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열의 패턴들(1101)과 제2 열의 패턴들(1102)은 제1 방향(x)으로 중첩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열의 제1 더미 패턴들(1201a)과 제2 열의 제1 더미 패턴들(1202a)은 제1 방향(x)을 따라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열의 제2 더미 패턴들(1201b)과 제2 열의 제2 더미 패턴들(1202b)은 제1 방향(x)을 따라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그루브들(1111, 1112, 1211a, 1212a, 1211b, 1212b)은 모두 베이스 필름(11)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들(1111, 1112, 1211a, 1212a, 1211b, 1212b)에는 연질부들(12, 13a, 13b)이 위치할 수 있다.
각 열의 제1 더미 패턴들(1201a, 1202a)은 벤더블 영역(BA)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길이가 점점 감소할 수 있다. 그루브들(1211a, 1212a)의 깊이는 도 5b에 도시된 것처럼 동일하거나, 도 5c에 도시된 것처럼 벤더블 영역(BA)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점 감소할 수 있다. 각 열의 제2 더미 패턴들(1201b, 1202b)은 벤더블 영역(BA)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길이가 점점 감소할 수 있다. 그루브들(1211b, 1212b)의 깊이는 도 5b에 도시된 것처럼 동일하거나, 도 5c에 도시된 것처럼 벤더블 영역(BA)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점 감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벤더블 영역(BA)과 제1 및 제2 플랫 영역들(FAa, FAb) 간의 경계를 전후로 색이 급변하지 않고, 벤더블 영역(BA)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진적으로 변할 수 있다. 따라서, 벤더블 영역(BA)의 플렉서블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벤더블 영역(BA)에 패턴들(1101, 1102)을 형성하더라도, 사용자는 벤더블 영역(BA)과 제1 및 제2 플랫 영역들(FAa, FAb) 간의 색 차이를 인식하지 못하거나 인식하기 어렵다.
커버 윈도우(10)는 3열 이상으로 배열된 패턴들 및 제1 및 제2 더미 패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패턴들이 복수의 열로 배치되면 하나의 열로 배치되는 경우보다 플렉서블 특성이 좀더 우수할 수 있다.
도 5d 및 도 5e를 참고하면, 각 열의 제1 및 제2 더미 패턴들(1201a, 1202a, 1201b, 1202b)은 벤더블 영역(BA)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간격(s1, s2, s3)이 점점 증가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더미 패턴들(1201a, 1202a, 1201b, 1202b)의 점진적 간격 증가는 제1 및 제2 더미 패턴들(1201a, 1202a, 1201b, 1202b)의 점진적 길이 감소와 조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더미 패턴들(1201a, 1202a, 1201b, 1202b)의 점진적 간격 증가는 제1 및 제2 더미 패턴들(1201a, 1202a, 1201b, 1202b)의 점진적 길이 감소 및 그루브들(1211a, 1212a, 1211b, 1212b)의 점진적 깊이 감소와 조합될 수 있다.
도 6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평면도이고, 도 6b 및 도 6c는 각각 도 6a에서 E-E'선을 따라 취한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고하면, 도 5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커버 윈도우(10)는 2열로 배열된 패턴들(1101, 1102), 제1 더미 패턴들(1201a, 1202a) 및 제2 더미 패턴들(1201b, 1202b)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열의 제1 더미 패턴들(1201a, 1202a)은 길이가 동일하지만, 벤더블 영역(BA)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그루브들(1211a, 1212a)의 깊이(d1, d2, d3)가 점점 감소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각 열의 제2 더미 패턴들(1201b, 1202b)은 길이가 동일하지만, 벤더블 영역(BA)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그루브들(1211b, 1212b)의 깊이가 점점 감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더미 패턴들(1201a, 1202a, 1201b, 1202b)을 형성하면, 벤더블 영역(BA)과 제1 및 제2 플랫 영역들(FAa, FAb) 간의 경계를 전후로 색이 급변하지 않고, 벤더블 영역(BA)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진적으로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벤더블 영역(BA)과 제1 및 제2 플랫 영역들(FAa, FAb) 간의 색 차이를 인식하지 못하거나 인식하기 어렵다.
도 6c를 참고하면, 각 열의 제1 및 제2 더미 패턴들(1201a, 1202a, 1201b, 1202b)은 벤더블 영역(BA)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간격(s1, s2, s3)이 점점 증가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더미 패턴들(1201a, 1202a, 1201b, 1202b)의 점진적 간격 증가는 그루브들(1211a, 1212a, 1211b, 1212b)의 점진적 깊이 감소와 조합될 수 있다.
도 7은 모아레 발생에 관한 모식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표시 패널(20)에는 화소들 사이에 빛이 방출되지 않는 영역인 블랙 매트릭스(BM)가 규칙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 윈도우(10)의 전술한 패턴들이 규칙적으로 배치되면, 패턴들의 주기와 블랙 매트릭스(BM)의 주기의 차이에 따라 시각적으로 인식되는 간섭 무늬인 모아레(Moire)가 발생한다.
모아레와 관련된 패턴들의 주기 및 블랙 매트릭스의 주기는 실제 피치(pitch)가 아닌 겉보기 피치, 즉 패턴들의 겉보기 피치(P')와 블랙 매트릭스의 겉보기 피치(P")다. 겉보기 피치(P', P")는 커버 윈도우(10)의 패턴들과 표시 패널(20)의 블랙 매트릭스 간의 거리(d)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에서 커버 윈도우(10)의 패턴들과 표시 패널(20)의 블랙 매트릭스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겉보기 피치(P', P")를 산출하고, 산출된 겉보기 피치(P', P")에 기초하여 주파수 분석(frequency analysis)을 통해 모아레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패턴들의 피치를 도출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모아레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 윈도우(10)의 벤더블 영역(BA)의 패턴들(110, 1101, 1102), 제1 플랫 영역(FAa)의 제1 더미 패턴들(120a, 1201a, 1202a), 그리고 제2 플랫 영역(FAb)의 제2 더미 패턴들(120b, 1201b, 1202b)은 위와 같이 도출된 피치로 배열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평면도이다.
도 8의 실시예는 도 2의 실시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하지만, 패턴들(110)의 피치(P0), 제1 더미 패턴들(120a)의 피치(P1) 및 제2 더미 패턴들(120b)의 피치(P2)에 있어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벤더블 영역(BA)에 위치하는 패턴들(110)이 랜덤(random) 피치(P0)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제1 플랫 영역(FAa)에 위치하는 제1 더미 패턴들(120a)이 랜덤 피치(P1)로 배열될 수 있고, 제2 플랫 영역(FAb)에 위치하는 제2 더미 패턴들(120b)이 랜덤 피치(P2)로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하는 패턴들(110), 제1 더미 패턴들(120a) 및 제2 더미 패턴들(120b) 간의 간격(또한, 그루브들(111, 121a, 121b) 간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고, 패턴들(110), 제1 더미 패턴들(120a) 및 제2 더미 패턴들(120b)이 불규칙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패턴들(110), 제1 더미 패턴들(120a) 및 제2 더미 패턴들(120b)을 랜덤 피치(P0, P1, P2)로 배열하면, 패턴들(110) 및 제1 및 제2 더미 패턴들(120a, 120b)이 불규칙하게 배열되므로, 표시 패널(20)의 블랙 매트릭스가 규칙적으로 배열되더라도 모아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피치(P0, P1, P2)는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 모아레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도출된 피치들 중에서 랜덤하게 선택될 수 있다. 피치(P0, P1, P2)는 각 그루브(111, 121a, 121b)의 폭과 벤더블 영역(BA)의 플렉서블 특성을 고려하여 소정의 범위 내일 수 있다. 예컨대, 피치(P0, P1, P2)는 약 50㎛ 내지 약 200㎛의 범위 내일 수 있다. 모아레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랜덤 피치(P0, P1, P2)로 패턴들(110), 제1 더미 패턴들(120a) 및 제2 더미 패턴들(120b)을 배열하는 것은 도 3, 도 4, 도 5 및 도 6의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a를 참고하면, 표시 장치(1)는 커버 윈도우(10), 표시 패널(20), 그리고 커버 윈도우(10)와 표시 패널(20) 사이에 접착층(30)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는 표시 패널(20)은 접착층(30)에 의해 커버 윈도우(10)와 부착될 수 있다. 접착층(30)은 광학적 투명 접착제(OCA), 광학적 투명 수지(OCR), 감압 접착제(PS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는 전술한 실시예들 중 하나일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는 벤더블 영역(BA)에 패턴들(110)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플랫 영역(FAa)에 제1 더미 패턴들(120a)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플랫 영역(FAb)에 제2 더미 패턴들(120b)을 포함할 수 있다. 패턴들(110), 제1 더미 패턴들(120a) 및 제2 더미 패턴들(120b)은 다수의 그루브들(111, 121a, 121b)을 포함할 수 있지만, 편의상 각각의 영역에 그루브들(111, 121a, 121b)을 3개씩 도시하였다.
커버 윈도우(10)는 그루브들(111, 121a, 121b)이 표시 패널(20)을 향하도록 표시 패널(20)과 부착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부착 시, 표시 장치(1)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커버 윈도우(10)의 표면은 베이스 필름(11)의 표면만으로 이루어지므로, 우수한 표면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접착층(30)은 그루브들(111, 121a, 121b)이 수분 등과 접하는 것을 차단하여 그루브들(111, 121a, 121b) 내의 크랙(crack)이 성장하지 않게 할 수 있고, 장기 피로에 의한 파손에 대한 저항성이 증가시킬 수 있다. 그루브들(111) 내의 연질부들(12)은 베이스 필름(11)보다 잘 늘어날 수 있으므로, 표시 장치(1)의 인폴딩에 유리할 수 있다.
도 9b를 참고하면, 커버 윈도우(10)의 그루브들(111, 121a, 121b) 내에 위치하는 연질부들(12, 13a, 13b)은 접착층(30)의 일부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예컨대, 커버 윈도우(10)의 그루브들(111, 121a, 121b)이 형성된 표면 및/또는 표시 패널(20)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커버 윈도우(10)와 표시 패널(20)을 합착한 후 접착제를 경화시켜 형성될 수 있다. 접착층(30)에 의해 빛이 굴절되지 않도록, 접착층(30)은 커버 윈도우(10)와 굴절률이 정합될 수 있다.
도 9c를 참고하면, 커버 윈도우(10)는 그루브들(111, 121a, 121b)이 표시 패널(20)을 향하지 않게 표시 패널(20)이 부착될 수 있다. 즉, 그루브들(111, 121a, 121b)이 표시 장치(1)의 외부로 노출되게 커버 윈도우(10)와 표시 패널(20)이 부착될 수 있다. 그루브들(111, 121a, 121b)이 표시 장치(1)의 외부를 향하더라도, 그루브들(111, 121a, 121b) 내에 굴절률 정합된 연질부들(12, 13a, 13b)이 위치하므로, 표시 패널(20)에 의해 표시되는 영상이 커버 윈도우(10)에 의해 왜곡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0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평면도이고, 도 10b는 도 10a에서 F-F'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고하면, 커버 윈도우(10)는 벤더블 영역(BA), 제1 플랫 영역(FAa) 및 제2 플랫 영역(FAb)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커버 윈도우(10)는 벤더블 영역(BA)에 패턴들(110)을 포함할 수 있다. 패턴들(110)은 베이스 필름(11)에 형성된 그루브들(111) 및 그루브들(111) 내에 위치하는 연질부들(12)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는 제1 플랫 영역(FAa) 및 제2 플랫 영역(FAb)에 각각 제1 더미 패턴들(120a) 및 제2 더미 패턴들(12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더미 패턴들(120a)은 벤더블 영역(BA) 부근뿐만 아니라, 제1 플랫 영역(FAa) 전체에 걸쳐 배치될 수 있고, 제2 더미 패턴들(120b)도 제2 플랫 영역(FAb) 전체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더미 패턴들(120a, 120b)은 베이스 필름(11)에 형성된 그루브들(121a, 121b) 및 그루브들(121a, 121b) 내에 위치하는 경질부들(13a', 13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루브들(121a)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고, 그루브들(121b)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그루브들(121a)은 그루브들(121b)과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그루브들(121a, 121b)은 그루브들(111)과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그루브들(121a, 121b)의 깊이는 그루브들(111)의 깊이와 동일할 수 있고 다를 수도 있다.
경질부들(13a', 13b')은 연질부들(12)보다 높은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연질부들(12)은 4B 이하의 연필 강도를 가질 수 있고, 경질부들(13a', 13b')은 7H 이상의 연필 경도를 가질 수 있다. 경질부들(13a', 13b')은 베이스 필름(11)과 굴절률이 정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경질부들(13a', 13b')은 약 550㎚의 파장에 대하여 베이스 필름(11)과 동일한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도 10의 실시예에 따르면, 색 차이를 유발할 수 있는 패턴들(110)과 제1 및 제2 더미 패턴들(120a, 120b)이 커버 윈도우(10)의 전체 영역에 걸쳐 배치되어 있으므로, 커버 윈도우(10)의 전체 영역이 동일한 색으로 시인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더미 패턴들(120a, 120b)의 그루브들(121a, 121b)에는 경질부들(13a', 13b')이 충진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 더미 패턴들(120a, 120b)을 제1 및 제2 플랫 영역들(FAa, FAb) 전체에 걸쳐 형성하더라도 커버 윈도우(10)의 내충격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포함할 수 있는 표시 패널(20)의 구성에 대해 표시 영역(DA)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적층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단면은 대략 하나의 화소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표시 패널(20)은 기본적으로 기판(SB), 기판(SB) 위에 형성된 트랜지스터(TR), 그리고 트랜지스터(TR)에 연결되어 있는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한다. 발광 다이오드(LED)는 화소에 대응할 수 있다.
기판(SB)은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의 고분자로 이루어진 플렉서블 기판일 수 있다.
기판(SB) 위에는 수분, 산소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배리어층(BR)이 위치할 수 있다. 배리어층(BR)은 규소 질화물(SiNx), 규소 산화물(SiOx), 규소 질산화물(SiOxNy) 등의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단일층 또는 다중층일 수 있다.
배리어층(BR) 위에는 버퍼층(BL)이 위치할 수 있다. 버퍼층(BL)은 반도체층의 형성 시 기판(SB)으로부터 불순물을 차단하여 반도체층의 특성을 향상시키고, 기판(SB)의 표면을 평탄화하여 반도체층의 응력을 완화할 수 있다. 버퍼층(BL)은 규소 질화물, 규소 산화물, 규소 질산화물 등의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단일층 또는 다중층일 수 있다. 버퍼층(BL)은 비정질 규소(Si)를 포함할 수도 있다.
버퍼층(BL) 위에는 트랜지스터(TR)의 반도체층(AL)이 위치할 수 있다. 반도체층(AL)은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이들 영역 사이의 채널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AL)은 비정질 규소, 다결정 규소 및 산화물 반도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반도체층(AL)은 저온다결정규소(LTPS)를 포함하거나, 아연(Zn), 인듐(In), 갈륨(Ga) 및 주석(S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산화물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반도체층(AL)은 IGZO(Indium-Gallium-Zinc Oxide)를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AL) 위에는 절연층(IN1)이 위치할 수 있다. 절연층(IN1)은 규소 질화물, 규소 산화물, 규소 질산화물 등의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단일층 또는 다중층일 수 있다.
절연층(IN1) 위에는 트랜지스터(TR)의 게이트 전극(GE), 게이트선(GL), 축전기(CS)의 제1 전극(C1)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제1 게이트 도전층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게이트 도전층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구리(Cu), 티타늄(Ti)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단일층 또는 다중층일 수 있다.
제1 게이트 도전층 위에는 절연층(IN2)이 위치할 수 있다. 절연층(IN2)은 규소 질화물, 규소 산화물, 규소 질산화물 등의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단일층 또는 다중층일 수 있다.
절연층(IN2) 위에는 축전기(CS)의 제2 전극(C2)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제2 게이트 도전층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게이트 도전층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구리(Cu), 티타늄(Ti)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단일층 또는 다중층일 수 있다.
절연층(IN2) 및 제2 게이트 도전층 위에는 절연층(IN3)이 위치할 수 있다. 절연층(IN2)은 규소 질화물, 규소 산화물, 규소 질산화물 등의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단일층 또는 다중층일 수 있다.
절연층(IN3) 위에는 트랜지스터(TR)의 제1 전극(SE) 및 제2 전극(DE), 데이터선(DL)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제1 데이터 도전층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전극(SE) 및 제2 전극(DE)은 절연층들(IN1, IN2, IN3)의 접촉 구멍들을 통해 반도체층(AL)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극(SE) 및 제2 전극(DE) 중 하나는 소스 전극이고 다른 하나는 드레인 전극을 수 있다. 제1 데이터 도전층은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니켈(Ni), 칼슘(Ca), 몰리브덴(Mo), 티타늄(Ti), 텅스텐(W), 구리(Cu)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단일층 또는 다중층일 수 있다.
제1 데이터 도전층 위에는 절연층(IN4)이 위치할 수 있다. 절연층(IN4)은 유기 절연층일 수 있다. 예컨대, 절연층(IN4)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스티렌(polystyrene) 같은 일반 범용 고분자, 페놀계 그룹을 갖는 고분자 유도체, 아크릴계 고분자, 이미드계 고분자, 폴리이미드, 실록산계 고분자 등의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층(IN4) 위에는 전압선(VL), 연결 전극(LE)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제2 데이터 도전층이 위치할 수 있다. 전압선(VL)은 구동 전압, 공통 전압, 초기화 전압, 기준 전압 등의 전압을 화소(PX)로 전달할 수 있다. 연결 전극(LE)은 절연층(IN4)의 접촉 구멍을 통해 트랜지스터(TR)의 제2 전극(DE)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데이터 도전층은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니켈(Ni), 칼슘(Ca), 몰리브덴(Mo), 티타늄(Ti), 텅스텐(W), 구리(Cu)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단일층 또는 다중층일 수 있다.
제2 데이터 도전층 위에는 절연층(IN5)이 위치할 수 있다. 절연층(IN5)은 유기 절연층일 수 있다. 예컨대, 절연층(IN5)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같은 일반 범용 고분자, 페놀계 그룹을 갖는 고분자 유도체, 아크릴계 고분자, 이미드계 고분자, 폴리이미드, 실록산계 고분자 등의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층(IN5) 위에는 발광 다이오드(LED)의 제1 전극(E1)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전극(E1)은 화소 전극으로 불릴 수 있다. 제1 전극(E1)은 절연층(IN5)의 접촉 구멍을 통해 연결 전극(LE)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극(E1)은 트랜지스터(TR)의 제2 전극(DE)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광 다이오드의 휘도를 제어하는 데이터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다. 제1 전극(E1)이 연결되는 트랜지스터(TR)는 구동 트랜지스터(driving transistor)이거나 구동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제1 전극(E1)은 반사성 도전 물질 또는 반투과성 도전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투명한 도전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전극(E1)은 인듐 주석 산화물(ITO), 인듐 아연 산화물(IZO) 같은 투명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E1)은 리튬(Li), 칼슘(Ca), 알루미늄(Al), 은(Ag), 마그네슘(Mg), 금(Au) 같은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층(IN5) 위에는 절연층(IN6)이 위치할 수 있다. 절연층(IN6)은 화소 정의층 또는 격벽으로 불릴 수 있고, 제1 전극(E1)과 중첩하는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절연층(IN6)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같은 일반 범용 고분자, 페놀계 그룹을 갖는 고분자 유도체, 아크릴계 고분자, 이미드계 고분자, 폴리이미드, 실록산계 고분자 등의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E1) 위에는 발광층(EL)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전극(E1) 위에는 발광층(EL) 외에도,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할 수 있다.
발광층(EL) 위에는 제2 전극(E2)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전극(E2)은 공통 전극으로 불릴 수 있다. 제2 전극(E2)은 칼슘(Ca), 바륨(Ba),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은(Ag) 등의 일함수가 낮은 금속 또는 금속 합금으로 얇게 층을 형성함으로써 광 투과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제2 전극(E2)은 인듐 주석 산화물(ITO), 인듐 아연 산화물(IZO)과 같은 투명 도전성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화소(PX)의 제1 전극(E1), 발광층(EL) 및 제2 전극(E2)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같은 발광 다이오드(LED)를 이룬다. 제1 전극(E1)은 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anode)일 수 있고, 제2 전극(E2)은 발광 다이오드의 캐소드(cathode)일 수 있다.
제2 전극(E2) 위에는 봉지층(encapsulation layer)(EN)이 위치할 수 있다. 봉지층(EN)은 발광 다이오드(LED)를 봉지하여 외부로부터 수분이나 산소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봉지층(EN)은 하나 이상의 무기층과 하나 이상의 유기층을 포함하는 박막 봉지층일 수 있다.
봉지층(EN) 위에는 버퍼층(TBL)이 위치할 수 있다. 버퍼층(TBL)은 봉지층(EN)을 덮어 봉지층(EN)을 보호하고, 투습을 방지할 수 있다. 버퍼층(TBL)은 제2 전극(E2)과 터치 전극(TE) 사이의 기생 커패시턴스를 줄일 수 있다. 버퍼층(TBL)은 규소 질화물, 규소 산화물, 규소 질산화물 등의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단일층 또는 다중층일 수 있다.
버퍼층(TBL) 위에는 터치 전극(TE)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층이 위치할 수 있다. 터치 전극(TE)은 발광 다이오드(LED)와 중첩하는 개구를 가진 메시(mesh) 형상일 수 있다.
터치 센서층 위에는 터치 전극(TE)을 덮는 절연층(IN7)이 위치할 수 있다. 절연층(IN7)은 규소 질화물, 규소 산화물, 규소 질산화물 등의 무기 절연 물질이나, 아크릴계 고분자, 폴리이미드계 수지 등의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층(IN7) 위에는 외광 반사를 줄이기 위한 반사 방지층(AR)이 위치할 수 있다. 반사 방지층(AR)은 편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 방지층(AR)은 점착제에 의해 부착되거나 절연층(IN7) 위에 형성될 수 있다. 반사 방지층(AR) 대신, 봉지층(EN), 터치 센서층 및/또는 절연층(IN7)을 굴절률 정합 구조로 형성하여 반사 방지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차광 부재와 색필터의 조합에 의해 외광 반사를 줄일 수도 있다.
기판(SB) 아래에는 표시 패널(20)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필름(protection film)(PF)이 위치할 수 있다. 보호 필름(PF)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이미드 같은 고분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호 필름(PF) 아래에는 쿠션층, 방열 시트, 차광 시트, 방수 테이프, 전자기 차단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능성 시트(functional sheet)(FS)가 위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표시 장치 10: 커버 윈도우
11: 베이스 필름 110, 1101, 1102: 패턴들
111, 1111, 1112, 121a, 121b, 1211a, 1211b, 1212a, 1212b: 그루브
12, 13a, 13b: 연질부 120a, 1201a, 1202a: 제1 더미 패턴들
120b, 1201b, 1202b: 제2 더미 패턴들
13a', 13b': 경질부 20: 표시 패널
30: 접착층 BA: 벤더블 영역
DA: 표시 영역 FAa: 제1 플랫 영역
FAb: 제2 플랫 영역 NA: 비표시 영역
S1: 제1 표면 S2: 제2 표면

Claims (22)

  1.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위에 위치하는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커버 윈도우는 각각 서로 인접하는 플랫 영역 및 벤더블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윈도우는
    상기 벤더블 영역에 위치하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패턴들, 그리고
    상기 플랫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더미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더미 패턴들에서 인접하는 더미 패턴들의 길이가 서로 다른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인접하는 더미 패턴들 중 상기 벤더블 영역으로부터 멀리 위치하는 더미 패턴의 길이가 가까이 위치하는 더미 패턴의 길이보다 짧은 표시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더미 패턴들은 상기 벤더블 영역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길이가 점점 감소하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더미 패턴들 간의 간격이 상기 벤더블 영역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점 증가하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커버 윈도우는
    베이스 필름, 그리고
    상기 베이스 필름의 그루브들 내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 필름보다 낮은 경도를 가진 연질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패턴들 및 상기 더미 패턴들은 상기 그루브들 및 상기 연질부들에 의해 형성되는 표시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플랫 영역에 위치하는 그루브들 중 인접하는 그루브들의 깊이가 서로 다른 표시 장치.
  7. 제5항에서,
    상기 플랫 영역에 위치하는 그루브들의 깊이가 상기 벤더블 영역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점 감소하는 표시 장치.
  8. 제5항에서,
    상기 패턴들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1 열의 패턴들 및 제2 열의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열의 패턴들과 상기 제2 열의 패턴들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표시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더미 패턴들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1 열의 더미 패턴들 및 제2 열의 더미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열의 더미 패턴들의 길이가 상기 벤더블 영역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점 감소하고,
    상기 제2 열의 더미 패턴들의 길이가 상기 벤더블 영역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점 감소하는 표시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제1 열의 더미 패턴들의 그루브들의 깊이가 상기 벤더블 영역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점 감소하고,
    상기 제2 열의 더미 패턴들의 그루브들의 깊이가 상기 벤더블 영역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점 감소하는 표시 장치.
  11. 제1항에서,
    상기 커버 윈도우는 R의 곡률 반경으로 벤딩될 수 있고,
    상기 더미 패턴들은 상기 벤더블 영역과 상기 플랫 영역의 경계로부터 0.1πR 내지 0.3πR(여기서 π는 원주율)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2.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위에 위치하는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커버 윈도우는 각각 서로 인접하는 플랫 영역 및 벤더블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윈도우는
    제1 방향으로 배열된 그루브들을 포함하는 베이스 필름, 그리고
    상기 그루브들 내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 필름보다 낮은 경도를 가진 연질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플랫 영역에 위치하는 그루브들 중 인접하는 그루브들의 깊이가 서로 다른 표시 장치.
  13. 제12항에서,
    상기 인접하는 그루브들 중 상기 벤더블 영역으로부터 멀리 위치하는 그루브의 깊이가 가까이 위치하는 그루브의 깊이보다 작은 표시 장치.
  14. 제12항에서,
    상기 플랫 영역에 위치하는 그루브들의 깊이가 상기 벤더블 영역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점 감소하는 표시 장치.
  15. 제12항에서,
    상기 플랫 영역에 위치하는 그루브들 간의 간격이 상기 벤더블 영역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점 증가하는 표시 장치.
  16. 제12항에서,
    상기 커버 윈도우는
    상기 벤더블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패턴들, 그리고
    상기 플랫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더미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더미 패턴들은 길이가 서로 동일한 표시 장치.
  17. 제12항에서,
    상기 커버 윈도우는
    상기 벤더블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패턴들, 그리고
    상기 플랫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더미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더미 패턴들은 상기 벤더블 영역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길이가 점점 감소하는 표시 장치.
  18. 제12항에서,
    상기 커버 윈도우는
    상기 벤더블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1 열의 패턴들 및 제2 열의 패턴들, 그리고
    상기 플랫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1 열의 더미 패턴들 및 제2 열의 더미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열의 더미 패턴들의 그루브들의 깊이가 상기 벤더블 영역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점 감소하고,
    상기 제2 열의 더미 패턴들의 그루브들의 깊이가 상기 벤더블 영역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점 감소하는 표시 장치.
  19. 제18항에서,
    상기 제1 열의 더미 패턴들의 길이가 상기 벤더블 영역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점 감소하고,
    상기 제2 열의 더미 패턴들의 길이가 상기 벤더블 영역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점 감소하는 표시 장치.
  20.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위에 위치하는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윈도우는 서로 인접하는 플랫 영역 및 벤더블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윈도우는
    제1 방향으로 배열된 그루브들을 포함하는 베이스 필름,
    상기 벤더블 영역에서 상기 그루브들 내에 위치하는 연질부들, 그리고
    상기 플랫 영역에서 상기 그루브들 내에 위치하며 상기 연질부들보다 높은 경도를 가진 경질부들
    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1. 제20항에서,
    상기 연질부들은 4B 이하의 연필 강도를 갖고, 상기 경질부들은 7H 이상의 연필 강도를 갖는 표시 장치.
  22. 제20항에서,
    상기 벤더블 영역에서 상기 그루브들 및 상기 연질부들은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플랫 영역에서 상기 그루브들 및 상기 경질부들은 더미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더미 패턴들은 상기 플랫 영역 전체에 걸쳐 배열되어 있는 표시 장치.
KR1020200122321A 2020-09-22 2020-09-22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ending KR20220039967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321A KR20220039967A (ko) 2020-09-22 2020-09-22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7/229,578 US11508268B2 (en) 2020-09-22 2021-04-13 Display device including cover window
CN202110929635.XA CN114256433A (zh) 2020-09-22 2021-08-13 显示设备
US18/057,202 US12131672B2 (en) 2020-09-22 2022-11-18 Display device including cover window
US18/927,840 US20250046220A1 (en) 2020-09-22 2024-10-25 Display device including cover wind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321A KR20220039967A (ko) 2020-09-22 2020-09-22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967A true KR20220039967A (ko) 2022-03-30

Family

ID=80740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2321A Pending KR20220039967A (ko) 2020-09-22 2020-09-22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11508268B2 (ko)
KR (1) KR20220039967A (ko)
CN (1) CN11425643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248500A1 (ko) * 2023-05-30 2024-12-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27809B1 (ko) 2019-12-10 2024-11-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KR20220039967A (ko) * 2020-09-22 2022-03-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220183174A1 (en) * 2020-12-04 2022-06-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KR20220090038A (ko) 2020-12-22 2022-06-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20220096755A (ko) * 2020-12-31 2022-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20220158144A (ko) * 2021-05-20 2022-11-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윈도우 제조 방법
CN115842881A (zh) * 2021-09-18 2023-03-24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显示组件及折叠式电子设备
KR20230075191A (ko) 2021-11-22 2023-05-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CN114446170B (zh) * 2022-01-29 2024-08-23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支撑板、可折叠显示模组及可折叠显示装置
KR20240003049A (ko) * 2022-06-29 2024-01-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5588356A (zh) * 2022-08-23 2023-01-10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盖板及柔性显示面板
CN115731803B (zh) * 2022-11-25 2025-03-07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40137140A (ko) * 2023-03-07 2024-09-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802B1 (ko) * 2012-07-26 2019-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KR20150017819A (ko) * 2013-08-07 2015-0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323242B1 (ko) * 2015-03-10 2021-11-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
US10020462B1 (en) * 2015-07-30 2018-07-10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flexible displays
KR102416914B1 (ko) 2015-12-01 2022-07-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608263B1 (ko) 2016-08-10 2023-12-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739830B1 (ko) 2016-11-22 2024-12-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윈도우 부재의 제조 방법
KR102711982B1 (ko) * 2016-11-30 2024-09-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KR102609511B1 (ko) 2016-12-30 2023-12-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한 폴더블 표시 장치
US10901461B2 (en) * 2017-05-03 2021-01-26 Innolux Corporation Flexible touch display cover window layer design
KR102403713B1 (ko) * 2017-10-31 2022-05-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US20200189239A1 (en) 2018-12-17 2020-06-18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Cover window structur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PL3896948T3 (pl) * 2019-03-11 2022-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Urządzenie elektroniczne zawierające składaną płytkę przewodzącą
KR20210085131A (ko) * 2019-12-30 2021-07-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탄성 부재
KR20220007751A (ko) * 2020-07-09 2022-0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019898A (ko) * 2020-08-10 2022-02-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20220039967A (ko) * 2020-09-22 2022-03-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220183174A1 (en) * 2020-12-04 2022-06-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KR20220106888A (ko) * 2021-01-22 2022-08-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EP4290331A4 (en) * 2021-06-28 2024-09-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FLEXIBLE SCRE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248500A1 (ko) * 2023-05-30 2024-12-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2131672B2 (en) 2024-10-29
US20220093012A1 (en) 2022-03-24
CN114256433A (zh) 2022-03-29
US11508268B2 (en) 2022-11-22
US20230078056A1 (en) 2023-03-16
US20250046220A1 (en) 2025-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39967A (ko)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8009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11475042B (zh) 显示装置
US11588001B2 (en) Display device having an encapsulation layer and power line in non-display area
CN112419907B (zh) 显示装置
CN108279813B (zh) 触摸感测电极结构及包含其的触摸传感器
KR20190128010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810223B1 (ko) 표시 장치
KR20180058165A (ko) 플랙서블 표시 장치
KR102814719B1 (ko) 표시 장치
US11768567B2 (en) Electronic device
US20220334293A1 (en) Display device
KR102813393B1 (ko) 전자 장치
KR20220039974A (ko) 표시 장치
CN111353383A (zh) 指纹感测装置
KR20200079977A (ko)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
CN222928767U (zh) 显示装置
US11685142B2 (en) Cover window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23007849U (zh) 显示装置
US20250107416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US20250107417A1 (en) Display device
KR20220134801A (ko) 표시 장치
KR20220011832A (ko) 표시 장치
CN117055268A (zh) 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307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09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