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9467A - Fabric Shaver - Google Patents
Fabric Shav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39467A KR20220039467A KR1020200122586A KR20200122586A KR20220039467A KR 20220039467 A KR20220039467 A KR 20220039467A KR 1020200122586 A KR1020200122586 A KR 1020200122586A KR 20200122586 A KR20200122586 A KR 20200122586A KR 20220039467 A KR20220039467 A KR 202200394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uff
- accommodating space
- blade
- dust collecting
- hand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0—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L25/08—Pads or the like for cleaning cloth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5/00—Hand-held shears with motor-driven bla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풀 제거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보풀 배출이 용이하고 핸들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편의를 향상시킨 보풀 제거기에 관한 것으로, 회전되는 칼날에 의하여 보풀을 제거하는 헤드부와, 헤드부의 일단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핸들과, 헤드부에서 제거된 보풀을 모아서 보관하는 집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풀 제거기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케이스에 구동부와 칼날 및 칼날을 보호하면서 보풀 제거가 가능하도록 다공성 캡을 장착하되, 상기 집진부는 케이스 상단에 형성된 칼날의 외주연에 대응하게 격벽을 형성하여 칼날에 의하여 제거된 보풀을 1차 포집하여 임시 저장하는 제1수용공간과 제1수용공간에서 배출된 보풀을 2차 포집하도록 제2수용공간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2수용공간을 구비하되, 격벽에는 방사형으로 복수의 배출구가 형성되어 보풀이 배출되고 격벽의 외주연에는 제2수용공간을 감싸도록 환 형상의 집진커버를 장착하여 칼날에 의하여 제거된 보풀이 제1수용공간으로 포집된 후 배출구를 통하여 제2수용공간으로 모아지도록 함으로써 보풀이 배출되는 경로의 막힘 없이 보풀을 배출시켜 작동부에서 잔류하는 보풀을 최소화하고, 헤드와 핸들의 각도가 유동되면서도 보풀이 방사형으로 분산되도록 하여 보풀 제거기를 사용시 보풀의 효율적인 배출 및 포집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nt remover which improves the structure of the lint remover to facilitate fluff discharge and to adjust the angle of the handle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In the lint remover comprising a handle provided so that a user can hold the lint and a dust collector for collecting and storing the fluff removed from the head, the head unit can remove the lint while protecting the drive unit, the blade and the blade in the case. The porous cap is mounted to do this, but the dust collecting unit forms a partition to correspon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blade formed at the top of the case to first collect and temporarily store fluff removed by the blade and discharge it from the first receiving space A second accommodating space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is provided to collect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are formed radially in the bulkhead to discharge the fluff,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is wrappe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bulkhead By installing a dust collecting cover in an annular shape so that the fluff removed by the blade is collected into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and then collected into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through the outlet, the fluff is discharged without clogging the path through which the fluff is discharged from the operating part. It is designed to minimize the remaining fluff and to improve the efficient discharge and collection effect of fluff when using the fluff remover by allowing the fluff to be dispersed radially while the angle of the head and handle is mov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풀 제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풀 제거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보풀 배출이 용이하고 핸들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편의를 향상시킨 보풀 제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nt remov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nt remover that improves the convenience of use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lint remover to facilitate discharging of the lint and to adjust the angle of the handle.
보풀 제거기는 각종 의류나 침구류, 커튼이나 카페트 등 천으로 이루어진 생활용품에 생기는 보풀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보풀 제거기는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256111호(2001.11.20) 등에서와 같이 회전하는 칼날을 내장하여 보풀을 깎아내는 방식으로 원단이 손상되지 않고 보풀을 없애 줄 수 있도록 작동된다.The lint remover is for removing lint from household items made of cloth such as various clothes, bedding, curtains and carpets. It is operated to remove the fluff without damaging the fabric in a way that removes the fluff.
일반적인 보풀 제거기의 작동구조는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회전 칼날부의 회전 칼날을 회전시켜 의류나 이불 등의 표면 위로 나와 있는 보풀이나 먼지 등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최근에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61344호(2012.06.29.)와 같이 전동 방식으로 회전되면서 제거되는 보풀을 탈착되는 구조의 보풀 수용 용기로 모아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The general operating structure of the fluff remover is to use the power of the motor to rotate the rotating blade of the rotating blade to automatically remove the fluff or dust on the surface of clothes or blankets. As in No. 20-0461344 (2012.06.29.), the fluff that is removed while rotating in an electric way can be collected and processed in a detachable fluff container.
그러나 종래의 보풀 제거기는 보풀을 수용하는 용기가 너무 작기 때문에 조금만 보풀 제거작업을 하더라도 너무 빨리 차버리게 되므로 사용이 매우 번거롭고, 특히 보풀 수용 용기가 핸들측에 구비되기 때문에 어느 한쪽으로 편심되어 있어서 보풀이 제대로 모아지지 않으며, 보풀 자체가 중량대비 부피가 매우 크고 서로 들러붙은 특성이 있기 때문에 보풀 수용 용기로 유입될 때 서로 엉겨붙어서 배출구가 쉽게 막히게 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lint remover is very cumbersome to use because the container accommodating the lint is too small, and it fills up too quickly even if a small lint removal operation is performed. It is not collected properly, and since the fluff itself has a very large volume to weight ratio and has a characteristic of sticking to each oth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luff is agglomerated and the outlet is easily clogged when it is introduced into the fluff container.
그리고 이렇게 배출구가 막힌 상태에서 용기를 분리하면 배출 경로상에 잔류하고 있던 보풀과 먼지들이 떨어지면서 주변이 지저분해 지는 문제가 있다.And if the container is separated while the outlet is blocked in this way, fluff and dust remaining on the discharge path fall off and the surroundings become dirty.
또한, 종래의 보풀 제거기는 핸들이 몸체에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풀 제거를 할 때 손위치 및 각도가 항상 일정해야 하고, 사용자의 의도대로 다양한 방향으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자세가 매우 불편하고 사용이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lint remover has a handl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the hand position and angle must always be constant when removing lint, and since it cannot be used in various directions as intended by the user, the user's posture is very inconvenien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cumbersome to us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풀이 배출되는 경로의 막힘 없이 보풀을 배출시켜 작동부에서 잔류하는 보풀을 최소화하고, 헤드와 핸들의 각도가 유동되면서도 보풀이 방사형으로 분산되도록 하여 보풀 제거기를 사용시 보풀의 효율적인 배출 및 포집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discharging the fluff without clogging the path through which the fluff is discharged to minimize the fluff remaining in the operation part, and to distribute the fluff radially while the angle between the head and the handle is flowed. It is designed to improve the efficient discharge and collection effect of fluff when the fluff remover is us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회전되는 칼날에 의하여 보풀을 제거하는 헤드부와, 헤드부의 일단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핸들과, 헤드부에서 제거된 보풀을 모아서 보관하는 집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풀 제거기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케이스에 구동부와 칼날 및 칼날을 보호하면서 보풀 제거가 가능하도록 다공성 캡을 장착하되, 상기 집진부는 케이스 상단에 형성된 칼날의 외주연에 대응하게 격벽을 형성하여 칼날에 의하여 제거된 보풀을 1차 포집하여 임시 저장하는 제1수용공간과 제1수용공간에서 배출된 보풀을 2차 포집하도록 제2수용공간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2수용공간을 구비하되, 격벽에는 방사형으로 복수의 배출구가 형성되어 보풀이 배출되고 격벽의 외주연에는 제2수용공간을 감싸도록 환 형상의 집진커버를 장착하여 칼날에 의하여 제거된 보풀이 제1수용공간으로 포집된 후 배출구를 통하여 제2수용공간으로 모아지도록 한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d part for removing fluff by a rotating blade, a handle provided at one end of the head part so that a user can grip it, and a dust collecting part for collecting and storing the fluff removed from the head part. In the lint remover configured to include, the head unit is equipped with a porous cap to enable the removal of fluff while protecting the driving unit, the blade and the blade in the case, and the dust collecting unit forms a partition wall corresponding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blade formed at the top of the case. a first accommodating space for first collecting and temporarily storing fluff removed by the blade, and a second accommodating space formed along the perimeter of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to secondarily collect fluff discharged from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are formed radially on the bulkhead to discharge fluff, and an annular dust collecting cover is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bulkhead to surround the second receiving space so that the fluff removed by the blade is collected into the first receiving space. It is intended to be collected into the second receiving space through the outlet.
또한, 격벽과 집진커버에 락킹요소를 대응되게 형성하여 회전에 의하여 원터치로 체결 및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장착구조를 간소화하고, 칼날이 장착되는 캡이 나선형 구조로 간단하게 조립되면서도 캡의 조립 부위에 전원을 인가하는 스위치를 장착하여 안전한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mounting structure is simplified by forming locking elements corresponding to the bulkhead and the dust collecting cover so that they can be fastened and separated with one touch by rotation. A switch that applies power to the device is installed to ensure safe operation.
또한, 칼날을 다중 블레이드 구조로 형성하면서 블레이드의 선단이 절곡된 형상을 이루고 구동부에 의하여 양방향 회전 모드로 전환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헤드부와 핸들은 축으로 결합되어 절첩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각도설정부를 장착하여 헤드부와 핸들 간의 각도 설정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while forming the blade in a multi-blade structure, the tip of the blade forms a bent shape, and it is possible to switch to bidirectional rotation mode by the driving unit, and the head and handle are coupled to the shaft to enable folding operation, and the angle By installing a setting unit, it is possible to set the angle between the head unit and the handle.
본 발명은 보풀 제거기에 의하면, 제거된 보풀이 모여지는 집진부의 구조가 칼날 아래에서 배출구를 통하여 방사상으로 분산이 되면서 배출되면서도 테두리 전체에서 집진이 이루어지므로 제거된 보풀을 효율적으로 저장하면서도 많은 양의 보풀을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보풀 제거릴 위한 별도의 솔질이 필요없이 제1수용공간에서의 보풀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고 모터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에 따른 오작동이나 고장을 방지하고 빈번하게 보풀을 버릴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fluff remover, the structure of the dust collecting part where the removed fluff is collected is dispersed radially through the outlet under the blade and the dust is collected from the entire edge while efficiently storing the removed fluff and a large amount of fluff Because it can store lint,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remove lint i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without the need for separate brushing to remove lint and to improve the life of the motor. It is very convenient to use because there is no need.
또한, 보풀 제거기를 사용할 때 먼지가 역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한번에 넓은 범위의 보풀을 제거할 수 있으며, 모든 부위가 쉽게 분해되고 분해시 분진발생을 최소화하여 청결한 사용이 가능하고 세척이 용이하다.In addition, when using the lint remover, dust is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backwards, and a wide range of lint can be removed at once.
또한, 모터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다중날로 이루어지는 칼날을 이용하여 깔끔하게 보풀을 제거하면서도 양방향 회전모드로 의류케어가 가능하며, 자유로운 핸들각도 조절을 통하여 보풀을 제거하고자 하는 대상물과 접촉되는 면이 사용자가 파지하고 있는 자세에 따라서 각도조정이 이루어져 헤드가 대상물에 수평으로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보풀 제거성능과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In addition, by rotating the motor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it is possible to cleanly remove fluff using a multi-blade blade, while taking care of clothes in a bidirectional rotation mode. Since the angl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osture held by the head and the head can be used in a state that is complet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object, the fluff removal performance and convenience are greatly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보풀 제거기의 외관도
도 2는 도 1의 헤드부에서 집진커버가 분리되는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헤드부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보풀 제거기의 단면 구조도
도 5는 도 4의 헤드부의 보풀 포집구조를 나타낸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집진부 장착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헤드부와 핸들의 장착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헤드부와 핸들의 각도설정 구조를 나타낸 사용상태도1 is an external view of the lint rem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tructural view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cover is separated from the head of Figure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head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structural view of the fluff rem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fluff collecting structure of the head of FIG.
Figure 6 is a dust collector mounting structure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tate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of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head part and the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angle setting structure of the head part and the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되는 칼날에 의하여 보풀을 제거하는 헤드부(100)와, 상기 헤드부(100)의 일단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핸들(200)과, 상기 헤드부(100)에서 제거된 보풀을 모아서 보관하는 집진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헤드부(10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집진부(300)가 일체로 구성되어 보풀의 포집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많은 양의 보풀을 보관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헤드부(100)를 구성하는 케이스(110)에 구동부(120)가 내장되고, 칼날(130)이 구동부(120)와 연동되게 장착되어 칼날(130)이 회전하면서 의류와 같이 보풀을 제거하기 위한 대상물에 접촉하여 보풀을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칼날(130)의 상면에는 캡(140)이 씌워져 칼날(130)이 대상물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여 천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풀만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The
헤드부(100)의 자세한 구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케이스(110)는 상부측이 개구되게 내공간이 형성된 본체부(112)와, 본체부의 개구된 상부를 차단하는 덮개부(114)로 분리 구성되는 것으로, 본체부(112)는 반구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일측에 핸들(200)이 장착되고, 덮개부(114)로 덮어 마감된다.When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이때, 케이스(110)에는 배터리 등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하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구동부(120)가 장착되고, 덮개부(114)의 외측으로는 이 구동부(120)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칼날(130)이 노출되게 장착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집진부(300)는 덮개부(114)의 상단으로 칼날(130)의 외주연에 대응하게 원통형으로 상부로 돌출된 격벽(310)과, 그 격벽(310)에 의하여 내,외측으로 공간이 분리되는 제1,2수용공간(320,330) 및 제2수용공간을 감싸도록 장착되어 보풀을 포집하기 위한 환 형상의 집진커버(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nd the
그리고 그 격벽(310)에 배출구(312)를 형성하면 격벽(310)에 의하여 제1수용공간(320)과 제2수용공간(330)으로 분리 구성되므로 제거된 보풀이 모터에 과부하를 일으키지 않고 효율적으로 배출된 후 포집되도록 할 수 있다.And when the
이때, 상기 칼날(130)은 회전판(132)의 상단에 복수의 블레이드(134)가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것으로, 격벽(310)의 상단에는 칼날(130)을 보호하고 제거된 보풀을 제1수용공간(320)으로 유입되도록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캡(140)이 장착된다.At this time, the
상기 블레이드(134)는 6개의 블레이드를 방사형으로 배열하여 보풀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각 블레이드(134)가 배열된 사이마다 회전판(132)에 유입공이 형성되어 블레이드(134)에 의하여 제거된 보풀이 제1수용공간(320)으로 배출될 수 있다.The
그리고 회전판(132)의 하단에 연결된 샤프트(136)에는 방사형으로 복수의 날개가 형성된 임펠러(138)가 장착될 수 있는 것으로, 임펠러(138)는 구동부(120)와 칼날(130)의 회전판(132)과 연동하여 함께 회전하면서 제1수용공간(320)으로 포집된 보풀을 제2수용공간(330)으로 배출유도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And the
이때, 상기 임펠러(138)는 방사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날개의 크기 또는 길이를 모두 동일하게 형성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날개와 작은 날개가 반복 배열되도록 편차를 발생시키면 임펠러의 회전시 불규칙한 공기흐름을 발생시키고 제1수용공간 내에서 보풀의 유동성을 향상시켜 제2수용공간으로의 배출을 더욱 원활히 유도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if the
따라서 칼날(130)에 의하여 제거된 보풀을 1차 포집하여 제1수용공간(320)이 포집되고, 그 수용된 보풀을 다시 제2수용공간(330)으로 배출시켜 보풀 제거 및 포집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때 제2수용공간(330)은 제1수용공간(32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제1수용공간(320)에 임시 저장된 보풀을 제2수용공간(330)으로 배출 시켜서 모아지면서 보풀을 효율적으로 포집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first
이때, 상기 격벽(310)의 외주연에는 제2수용공간(330)을 감싸도록 환 형상의 집진커버(340)가 장착되는 것으로, 집진커버(340)는 중앙에 개구홀(341)이 형성되어 상기 캡(140)이 노출되며, 캡(140)은 체결링(142)에 다공판(144)이 장착되어 격벽(310)에 조립, 분리가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체결링(142)에 다공판(144)을 조립하기 위하여 체결링(142)을 상부체와 하부체로 분리 구성하고, 그 사이에 다공판(144)을 삽입하여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 상부체에는 외주연에 캡(140)의 조임을 위한 널링부를 형성하고, 하부체에는 격벽(310)에 조립을 위하여 나선부가 형성되어 격벽(310)에 나선 구조로 조립할 수 있다.At this time, an annular
이때, 상기 캡(140)이 나선 구조로 장착됨으로써 캡(140)을 회전시키면서 조임 정도에 따라 다공판(144)의 높낮이를 미세하게 조정함으로써 칼날(130) 과의 거리를 조정하여 보풀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다. At this time, since the
또한, 상기 집진커버(340)를 헤드부(100)에 장착하기 위한 구조로써, 집진부(300)는 격벽(310)의 외주연과 접하도록 집진커버(340)의 내주연에 체결벽체(342)가 형성되고, 격벽(310)과 집진커버(340)에는 서로 대응하게 락킹요소(314,344)가 형성되어 집진커버(340)를 격벽(310)의 외연부에 위치시킨 후 회전시켜 원터치 고정되어 간편하게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as a structure for mounting the
그리고 보풀 제거기를 작동시킬 경우에 제2수용공간(330)으로 유입된 공기의 배기를 위하여 격벽(310)의 상단에 조립되는 캡(140)의 외주연이 집진커버(340)의 체결벽체(342)와 이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체결벽체(342)에는 배기홀(343)을 형성하여 집진커버(340) 내부의 배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And when the lint remover is operated, the outer periphery of the
이때, 상기 배기홀(343)은 격벽(310)의 배출구(312)가 방사형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그 배출구(312)의 직상부에 배기홀(343)을 형성함으로써 배기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격벽(310)에는 캡(140)이 장착되는 위치에 구동부(12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150)를 형성하면 캡(140)이 격벽(310)에 조립된 상태에서만 구동부(120)에 전원을 인가하여 작동이 이루어지고, 캡(140)을 격벽(310)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스위치(150)가 OFF상태로 전환되어 구동부(120)의 작동 및 칼날(130)의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캡(140)과 칼날(130)을 세척하고자 캡을 분리하는 경우에도 칼날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f a switch 15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그리고 상기 칼날(13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120)는 9000RPM의 고속 회전이 이루어지는 구동모터(122)를 장착하여 보풀 제거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며, 이때 구동모터(122)는 핸들(200)에 형성된 컨트롤부(124)의 조작에 의하여 구동모터(122)를 회전시켜 구동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And the driving
또한, 상기 칼날(130)을 구성하는 블레이드(134)는 상단이 일정한 각도로 절곡되어 보풀 제거시 절삭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구동모터(122)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이 모두 가능한 구동모터(122)를 사용함으로써 양방향 회전모드로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즉, 블레이드(134)는 상단이 일정한 각도로 절곡된 상태에서 구동모터(122)를 정방향 회전시키면 칼날(130)의 회전판(132)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블레이드(134)의 절곡된 선단부의 날이 보풀을 절단하게 되고, 반대로 구동모터(122)를 역방향 회전시키면 칼날(130)의 회전판(132)이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블레이드(134)의 절곡된 경사면이 의류 표면에 밀착되면서 들떠 있는 섬유들을 안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이때, 상기 구동모터(122)의 온/오프, 회전 방향 설정은 컨트롤부(124)의 조작에 의하여 제어가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정방향으로 회전시 보풀 제거 기능을 수행하고, 역방향으로 회전시 의류케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n/off and rotation direction setting of the driving
그리고 이러한 조작이 핸들에 형성된 하나의 버튼으로 작동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컨트롤부(124)의 버튼을 누르면 보풀제거기가 정방향으로 작동하여 보풀 제거를 하고, 다시 한번 버튼을 누르면 역방향으로 작동하여 보풀 제거를 한 부위를 케어한 후, 또 다시 버튼을 누르면 보풀 제거기 전원을 차단하여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nd this operation can be controlled by a single button formed on the handle. For example, when the button of the
한편, 상기 핸들(200)은 헤드부(100)와 축으로 결합되어 사용자가 핸들을 파지한 상태에서 헤드부(100)의 각도가 가변되면서 제1,2수용공간(320,330) 내에서 보풀을 방사형으로 효율적으로 분산시키고, 사용자의 다양한 자세 또는 대상물을 바닥에 놓거나 매달아 놓는 등의 각도에 따라 다양하게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이를 위하여, 상기 헤드부(100)는 핸들(200)이 장착된 부분에 절첩작동을 설정된 각도로 제어하기 위한 각도설정부(150)를 형성할 수 있으며, 각도설정부(150)는 회동부에 맞물려 임시 고정되는 스토퍼(152)와 스토퍼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요소(154)가 장착되어 핸들의 절첩된 각도를 고정하면서 핸들의 절첩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이때, 스토퍼(152)와 탄성요소(154)는 수용공간에 마련된 홈에 삽입되고, 핸들(200)에는 스토퍼(152)에 맞물려 임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요홈(202)을 형성하여 핸들(200)이 절첩 작동할 때 스토퍼(152)가 탄성요소(154)에 의하여 탄성 작동하면서 요홈(202)에 삽입되어 임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이 요홈(202)을 복수로 형성하면 각각의 요홈에 스토퍼(152)가 걸림 고정되면서 핸들(200)의 절첩 각도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And when a plurality of the
100: 헤드부
110: 케이스
112: 본체부
114: 덮개부
120: 구동부
122: 구동모터
124: 컨트롤부
130: 칼날
132: 회전판
134: 블레이드
140: 캡
142: 체결링
144: 다공판
150: 각도설정부
152: 스토퍼
154: 탄성요소
200: 핸들
202: 요홈
300: 집진부
310: 격벽
312: 배출구
314: 락킹요소
320: 제1수용공간
330: 제2수용공간
340: 집진커버
341: 개구홀
342: 체결벽체
343: 배기홀
344: 락킹요소100: head
110: case 112: body portion 114: cover portion
120: driving unit 122: driving motor 124: control unit
130: blade 132: rotating plate 134: blade
140: cap 142: fastening ring 144: perforated plate
150: angle setting unit 152: stopper 154: elastic element
200: handle 202: groove
300: dust collector
310: bulkhead 312: outlet 314: locking element
320: first accommodation space
330: second accommodation space
340: dust collection cover 341: opening hole 342: fastening wall
343: exhaust hole 344: locking element
Claims (6)
상기 헤드부(100)는 본체부(112)와 덮개부(114)로 이루어지는 케이스(110)에 구동부(120)가 장착되어 덮개부(114)의 외측으로 노출된 칼날(130)과 연동하여 작동하고,
상기 집진부(300)는 덮개부(114)의 상단으로 이격된 칼날(130)의 외주연에 대응하게 원통형의 격벽(310)이 형성되고, 격벽(310)에 의하여 칼날(130)에 의하여 제거된 보풀을 1차 포집하여 임시 저장하는 제1수용공간(320)과 제1수용공간에서 배출된 보풀을 2차 포집하도록 제2수용공간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2수용공간(330)을 구비하고,
상기 격벽(310)의 상단에는 칼날(130)을 보호하고 제거된 보풀을 제1수용공간(320)으로 유입되도록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캡(140)이 장착되고, 격벽(310)에는 방사형으로 복수의 배출구(312)가 형성되되 격벽(310)의 외주연에는 제2수용공간(330)을 감싸도록 환 형상의 집진커버(340)가 장착되어 칼날에 의하여 제거된 보풀이 제1수용공간(320)으로 포집된 후 배출구(312)를 통하여 제2수용공간(330)으로 모아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풀 제거기.The head part 100 for removing fluff by the rotating blade, the handle 200 provided at one end of the head part 100 so that the user can grip it, and the fluff removed from the head part 100 In the lint remover configured to include a dust collecting unit 300 to collect and store,
The head part 100 is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blade 13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ver part 114 as the driving part 120 is mounted on the case 110 comprising the body part 112 and the cover part 114 . and,
The dust collecting part 300 is formed with a cylindrical partition wall 310 to correspon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blade 130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of the cover part 114, and is removed by the blade 130 by the partition wall 310. A first accommodating space 320 for collecting and temporarily storing fluff and a second accommodating space 330 formed along the perimeter of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to collect the fluff discharged from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secondarily, ,
A cap 140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partition wall 310 to protect the blade 130 and to introduce the removed fluff into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320 , and the partition wall 310 has a plurality of radially A dust collecting cover 340 of an annular shape is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artition wall 310 so as to surround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330,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320 in which the fluff removed by the blade is formed. ) and then collected into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330 through the outlet 312. Lint remov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llect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2586A KR20220039467A (en) | 2020-09-22 | 2020-09-22 | Fabric Shav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2586A KR20220039467A (en) | 2020-09-22 | 2020-09-22 | Fabric Shav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39467A true KR20220039467A (en) | 2022-03-29 |
Family
ID=80996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22586A Pending KR20220039467A (en) | 2020-09-22 | 2020-09-22 | Fabric Shav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39467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289143A (en) * | 2023-02-15 | 2023-06-23 | 苏州鸿淦纺织有限公司 | A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fluff from textiles |
-
2020
- 2020-09-22 KR KR1020200122586A patent/KR20220039467A/en active Pend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289143A (en) * | 2023-02-15 | 2023-06-23 | 苏州鸿淦纺织有限公司 | A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fluff from textile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78295B1 (en) | Dust collection assembly of vacuum cleaner | |
JP6435204B2 (en) | Electric vacuum cleaner | |
KR100932760B1 (en) | Dust collection assembly of vacuum cleaner | |
US8959775B2 (en) | Nose hair trimmer | |
KR100933188B1 (en) | Vacuum cleaner | |
US4899442A (en) | Hand-held clipper for removing entangled fiber strands from the surface of fabrics | |
JP6321560B2 (en) | Charging stand | |
JP5070322B2 (en) | Electric vacuum cleaner | |
KR20060066530A (en) | Vacuum cleaner | |
KR20060018017A (en) | Dust collection unit of vacuum cleaner | |
JP2003000497A5 (en) | ||
KR20050091837A (en) | A vacuum clearner | |
KR20060118795A (en) | Vacuum cleaner | |
KR20220039467A (en) | Fabric Shaver | |
EP3485780B1 (en) | Vacuum cleaner | |
KR20060118796A (en) | Vacuum cleaner | |
JP5598169B2 (en) |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 |
EP3639714B1 (en) | Handy type vacuum cleaner with cyclone dust collection device | |
KR20060064119A (en) | Vacuum cleaner | |
JPS6339278Y2 (en) | ||
KR100633619B1 (en) | Dust collection assembly of vacuum cleaner | |
TWI712715B (en) | Lint remover | |
JPH0747009B2 (en) | Small portable vacuum cleaner | |
EP3323337A1 (en) | Dust separation device and electric cleaning apparatus | |
KR100693571B1 (en) | Vacuum clea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0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09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