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9087A - Frame for mask and anti-fog device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Frame for mask and anti-fog device for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39087A KR20220039087A KR1020200121735A KR20200121735A KR20220039087A KR 20220039087 A KR20220039087 A KR 20220039087A KR 1020200121735 A KR1020200121735 A KR 1020200121735A KR 20200121735 A KR20200121735 A KR 20200121735A KR 20220039087 A KR20220039087 A KR 2022003908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sk
- wearer
- extension
- frame
- frame elem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815 fa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379 silico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945 silicone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40880 Skin irrit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256 coordination poly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69 ear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52769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56 skin irr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75 skin irritati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20—Insert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4—Donning facili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용 프레임 및 이를 위한 김서림 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크 내측면에 결합되어 마스크의 3차원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형상 유지 기능을 제공하는 마스크 프레임과, 마스크 프레임에 결합되어 착용자의 안면과 마스크 상부측 테두리가 형성하는 간극 공간을 차단하기 위한 김서림 방지구가 개시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for a mask and an anti-fogging device theref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sk fram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to provide a shape maintaining function for maintaining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mask, and a gap formed between the wearer's face and the upper edge of the mask by being coupled to the mask frame An anti-fog device for blocking a space is disclos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마스크용 프레임 및 이를 위한 김서림 방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마스크 내측면에 결합되어 마스크의 3차원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형상 유지 기능을 제공하는 마스크 프레임과, 마스크 프레임에 결합되어 착용자의 안면과 마스크 상부측 테두리가 형성하는 간극 공간을 차단하기 위한 김서림 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for a mask and an anti-fogging device for the same, and includes a mask fram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to provide a shape maintaining function for maintaining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mask, and a mask frame coupled to the face and face of the wearer It relates to an anti-fogging tool for blocking the gap space formed by the upper edge of the mask.
미세먼지 또는 병원균 차단, 방한 등의 목적으로 마스크를 착용한다. Wear a mask to block fine dust or pathogens, and to stay cold.
마스크를 장시간 착용하는 경우, 착용자의 땀이나 호흡에 의한 수증기가 착용자의 얼굴 표면에 생성된다. 땀이나 수증기에 의해 마스크가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하게 되면 호흡에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안면 피부에 수분이 지속적으로 부착된 상태를 유발하므로 불쾌감의 요인이 된다. When the mask is worn for a long time, water vapor caused by sweat or breathing of the wearer is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wearer's face. When the mask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wearer's face due to sweat or water vapor, discomfort in breathing may occur, and moisture continuously adheres to the skin of the face, causing discomfort.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착용자의 안면 피부와 마스크 내측면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도록 하는 마스크용 프레임에 관한 기술들이 제안된 바 있다.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techniques for a frame for a mask to form a gap between the wearer's facial ski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have been proposed.
이러한 종래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08137(2006년02월01일 등록)는 호흡이 편한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양측 걸이끈을 가진 내포지와 외포지 사이에 코 받침대와 턱 받침대가 일체로 형성된 프레임이 끼워지면서 입과 코 부분으로 공간부를 형성시키는 구성을 제안하였다. As an example of this prior art,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20-0408137 (registered on February 01, 2006) relates to a mask that is easy to breathe, in which a nose support and a chin support are provid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paper with hanging straps on both sides. A configuration in which an integrally formed frame is fitted while forming a space with the mouth and nose was proposed.
또다른 종래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32445(2018년12월19일 등록)는 위생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착용자의 코와 입을 가려서 덮는 안면부와 귀에 거는 귀걸이부가 단일체로 형성된 마스크본체, 상기 마스크본체의 내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코와 입 주변에 밀착되며 상기 안면부의 돌출된 형태를 유지하는 마스크프레임, 상기 마스크프레임의 내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구성을 제안하였다. As another example of the prior art,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932445 (registered on December 19, 2018) relates to a sanitary mask, the face part covering the nose and mouth of the wearer and the earring part hanging on the ears formed as a single body, the mask body, the A configuration including a mask frame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body to close the nose and mouth and maintains the protruding shape of the face part, and a filter detachabl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frame was proposed.
그런데, 상기 종래기술들은 마스크의 제작 시에 프레임을 마스크 내부에 설치하거나, 프레임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을 마스크에 미리 형성하는 구성이므로, 시중에 판매되는 일반 마스크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However, since the prior art is a configuration in which a frame is installed inside the mask or a coupling means for coupling the frame is formed on the mask in advance when the mask is manufactured, the limitation is that it is not suitable to be applied to a general mask sold on the market as it is. there was.
또한, 상기 종래기술들은 착용자의 안면 구조나 턱의 위치 등을 감안하여 착용성을 높이기 위한 구성을 제안하는데 한계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prior art has a limitation in proposing a configuration for increasing wearability in consideration of the wearer's facial structure or the position of the chin.
또한, 상기 종래기술들은 착용자의 안면과 마스크 상부측 테두리가 형성하는 간극 공간을 차단하는데 한계가 있었으므로, 안경을 착용한 사용자에 대한 김서림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prior art has a limitation in blocking the gap formed between the wearer's face and the upper edge of the mask,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a fogging problem may occur for a user wearing glass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마스크 내측면에 결합되어 마스크의 3차원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형상 유지 기능을 제공하는 마스크 프레임과, 마스크 프레임에 결합되어 착용자의 안면과 마스크 상부측 테두리가 형성하는 간극 공간을 차단하기 위한 김서림 방지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ncludes a mask fram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to provide a shape maintaining function for maintaining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mask, and the mask frame coupled to the wearer's face and upper mask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i-fogging tool for blocking the gap space formed by the side edg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마스크 내측면에 결합되어 마스크의 3차원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형상 유지 기능을 제공하는 프레임으로서, 착용자의 입을 적어도 커버하도록 형성되고, 중앙 측 부분이 전방 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좌측단 및 우측단에 좌측 확장부와 우측 확장부가 각각 구비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좌측 확장부와 우측 확장부에 각각 형성되고, 마스크의 좌측 테두리와 우측 테두리에 각각 끼임 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좌측 결합부 및 우측 결합부; 상기 본체부의 상단 측 부분의 좌측 및 우측 위치에서 각각 후방 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착용자의 코에 상응하는 위치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형성된 좌측 안면 지지부 및 우측 안면 지지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 중앙 위치에서 후방 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착용자의 턱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턱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마스크용 프레임이 개시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s a fram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to provide a shape maintaining function for maintaining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mask, it is formed to cover at least the wearer's mouth, and the center a main body having a side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front side, and having a left extension portion and a right extension portion at left and right ends, respectively; a left coupling part and a right coupling part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expansion parts of the main body, respectively, and formed so as to be sandwiched between the left edge and the right edge of the mask; a left and right facial support, each having a shape protruding from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to the rear, respectively, formed to be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of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earer's nose; and a chin support part having a shape protruding from the lower central position of the main body to the rear side, and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earer's chin; a frame for a mask configured including a is disclosed.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부는, 착용자의 코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마스크의 상측 테두리를 위한 형상 유지 기능을 제공하는 상단 프레임 요소와, 착용자의 턱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마스크의 하측 테두리를 위한 형상 유지 기능을 제공하는 하단 프레임 요소와, 상기 상단 프레임 요소와 하단 프레임 요소의 중간 위치에 배치되어 마스크의 중간 영역을 위한 형상 유지 기능을 제공하는 중간 프레임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상단 프레임 요소 및 하단 프레임 요소가 좌측단 및 우측단에서 각각 만나도록 형성된다. Preferably, the body part comprises an upper frame element providing a shape maintaining function for the upper rim of the mask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earer's nose, and a shape maintaining function for the lower rim of the mask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earer's chin. a lower frame element providing a lower frame element, and an intermediate frame element disposed intermediate the upper frame element and the lower frame element to provide a shape holding function for an intermediate region of the mask, wherein the upper frame element and the lower frame element are left It is formed so as to meet at the end and the right end, respectively.
바람직하게, 상기 중간 프레임 요소는, 상기 상단 프레임 요소 및 하단 프레임 요소의 중간에 종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2개의 종방향 중간 프레임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턱 지지부는, 상기 2개의 종방향 중간 프레임 요소의 하부 측으로부터 "ㄷ" 자 형상으로 후방 측으로 돌출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하방 측으로 연장되며 착용자의 턱에 밀착 가능한 곡면부를 포함하는 턱 밀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Preferably, the intermediate frame element comprises two longitudinal intermediate frame elements arranged longitudinally and parallel intermediately of the upper frame element and the lower frame element, wherein the chin support comprises the two longitudinal intermediate frames.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base portion protruding rearward in a "C" shape from the lower side of the element, and a chin contact portion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base portion and including a curved surface portion capable of adhering to a wearer's chin.
바람직하게, 상기 중간 프레임 요소는, 상기 상단 프레임 요소 및 하단 프레임 요소의 중간에 종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2개의 종방향 중간 프레임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상단 프레임 요소는, 상기 2개의 종방향 중간 프레임 요소와 각각 연결되는 지점의 중간 구간이 하향 만곡 형성된다. Preferably, the intermediate frame element comprises two longitudinal intermediate frame elements arranged longitudinally and parallel intermediately of the upper frame element and the lower frame element, the upper frame element comprising: An intermediate section of each connecting point with the frame element is curved downward.
바람직하게, 상기 좌측 결합부는, 상기 본체부의 좌측 확장부의 전면 측에 형성되며 좌측 확장부의 단부 측으로부터 본체부의 중앙 측으로 연장된 좌측 클립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우측 결합부는, 상기 본체부의 우측 확장부의 전면 측에 형성되며 우측 확장부의 단부 측으로부터 본체부의 중앙 측으로 연장된 우측 클립 부재를 포함한다. Preferably, the left coupling portion includes a left clip member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left extension of the main body and extending from an end side of the left extension to the center of the main body, and the right coupling portion, the front surface of the right extension of the main body and a right clip member formed on the side and extending from the end side of the right extension part to the center side of the body part.
바람직하게, 상기 좌측 클립 부재는 상기 좌측 확장부의 단부와 만나는 위치에 목걸이 끈이 통과하여 결합되기 위한 끈 결합용 확장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우측 클립 부재는 상기 우측 확장부의 단부와 만나는 위치에 목걸이 끈이 통과하여 결합되기 위한 끈 결합용 확장 공간부가 형성된다. Preferably, the left clip member is formed with an expansion space for string coupling through which the necklace string passes and is coupled at a position where it meets the end of the left extension, and the right clip member is provided with the necklace string at a position where it meets the end of the right extension. An extended space for string coupling to be coupled through is formed.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착용자의 콧등 위치에 상응하는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측 및 우측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연장된 좌측 연장부 및 우측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연장부의 단부와 우측 연장부의 단부에 각각 좌측 걸림부 및 우측 걸림부가 형성된 김서림 방지구;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좌측 안면 지지부에 형성된 걸림 결합부에 상기 좌측 걸림부가 삽입 결합되고, 상기 우측 안면 지지부에 형성된 걸림 결합부에 상기 우측 걸림부가 삽입 결합되어, 상기 김서림 방지구가 착용자의 안면과 마스크 상부측 테두리가 형성하는 간극 공간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ft extension portion and a righ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downwardly to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nose bridge of the wearer, and at the ends of the left extension and the right extension, respectively. It further comprises; the anti-fogging part formed with the left engaging part and the right engaging part; the left engaging part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engaging part formed in the left face support part, and the right engag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part formed in the right face support part. In combination, the anti-fog tool is configured to block the gap space formed between the wearer's face and the upper edge of the mask.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크 내측면에 결합되는 마스크 프레임의 상단 측에 결합되어 착용자의 안면과 마스크 상부측 테두리가 형성하는 간극 공간을 차단하기 위한 김서림 방지구로서, 착용자의 콧등 위치에 상응하는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측 및 우측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연장된 좌측 연장부 및 우측 연장부; 및 상기 좌측 연장부의 단부와 우측 연장부의 단부에 각각 형성된 좌측 걸림부 및 우측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김서림 방지구가 개시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nti-fogging tool for blocking the gap space formed between the wearer's face and the upper edge of the mask by being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mask fram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the position of the nose bridge of the wearer a left extension and a right extension extending in a downwardly inclined form to the left and right around the central portion corresponding to ; and left and right locking parts respectively formed at the ends of the left extension part and the right extension part, respectively.
바람직하게, 상기 좌측 연장부 및 우측 연장부는, 착용자의 콧등 및 안면에 접촉하는 접촉면부와, 상기 접촉면부보다 더 큰 면적을 갖도록 전후 방향으로 확장 형성된 확장면부와, 상기 접촉면부와 확장면부를 연결하며 착용자의 안면 측을 향해 라운딩진 곡면 형상을 갖는 중간면부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된다. Preferably, the left extension part and the right extension part connect the contact surface part contacting the nose bridge and the face of the wearer, the extended surface part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o have a larger area than the contact surface part, and the contact surface part and the extended surface part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n intermediate surface portion each having a curved shape rounded toward the wearer's face.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크 내측면에 위치하여 마스크의 3차원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형상 유지 기능을 제공하는 프레임으로서, 착용자의 입을 적어도 커버하도록 형성되고, 중앙 측 부분이 전방 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 본체부; 및 착용자의 콧등 위치에 상응하는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측 및 우측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연장된 좌측 연장부 및 우측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연장부의 단부와 우측 연장부의 단부에 각각 좌측 걸림부 및 우측 걸림부가 형성된 김서림 방지구;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의 상단 측에 형성된 좌측 걸림 결합부 및 우측 걸림 결합부에 상기 좌측 걸림부 및 우측 걸림부가 각각 삽입 결합되어, 상기 김서림 방지구가 착용자의 안면과 마스크 상부측 테두리가 형성하는 간극 공간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프레임이 개시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frame that is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and provides a shape maintaining function for maintaining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mask, it is formed to at least cover the wearer's mouth, and the central side portion protrudes toward the front side a body portion having a shape of and a left extension portion and a righ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downwardly to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nose bridge of the wearer, wherein a left hooking portion and a right portion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the ends of the left extension and the right extension. Including, the left engaging portion and the right engaging portion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left engaging portion and the right engaging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the anti-fog is formed on the wearer's face and Disclosed is a frame for a mask,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lock the gap space formed by the upper edge of the mask.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마스크용 프레임은, 마스크 내측면에 마스크 프레임이 결합되어 마스크의 3차원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형상 유지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땀이나 수증기에 의해 마스크가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하는 것을 방지하며, 이를 통해 호흡의 불편함을 방지하고 안면 피부가 더욱 용이하게 건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The mask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a shape maintaining function for maintaining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mask by coupling the mask fram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prevents the mask from adhering to the wearer's face by sweat or water vapor This prevents the discomfort of breathing and makes it easier for the facial skin to remain dry.
또한 본 발명의 마스크용 프레임은, 시중에 판매되는 일반 마스크에 그대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frame for a 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 general mask sold on the market as it is.
또한, 본 발명의 마스크용 프레임은, 착용자의 안면 구조나 턱의 위치 등을 감안하여 착용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frame for a 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wearability can be improved in consideration of the wearer's facial structure or the position of the chin.
또한, 본 발명의 김서림 방지구는, 마스크 프레임에 결합되어 착용자의 안면과 마스크 상부측 테두리가 형성하는 간극 공간을 차단함으로써, 착용자의 호흡에 의한 수증기가 마스크 상부 측으로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며, 이를 통해 착용자의 안경에 김서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In addition, the anti-fogg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mask frame to block the gap space formed by the wearer's face and the upper edge of the mask, thereby preventing water vapor due to the wearer's breathing from rising to the upper side of the mask, through which the wearer Prevents fogging on your glass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프레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프레임의 또다른 방향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프레임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프레임의 또다른 방향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프레임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김서림 방지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프레임의 착용 상태 모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프레임의 또다른 방향의 착용 상태 모식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ame for a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direction of a frame for a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ame for a mas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direction of a frame for a mas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rame for a mas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nti-fo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diagram of a wearing state of a frame for a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diagram of a wearing state in another direction of a frame for a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ame for a mas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its technical spirit or main characteristic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1st, 2nd, etc.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may exist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하는 것을 표현하려는 것이지, 다른 구성요소 또는 특징이 존재 또는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As used herei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comprising", "have"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represent the presence of elemen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possibility that other elements or features may be present or added. It is not preclud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프레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프레임의 또다른 방향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프레임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프레임의 또다른 방향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프레임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김서림 방지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프레임의 착용 상태 모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프레임의 또다른 방향의 착용 상태 모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ame for a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ame for a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ame for a mas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of the frame,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in another direction of the frame for a mas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rame for a mas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of an anti-fog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chematic diagram of a wearing state of a frame for a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schematic diagram of a wearing state in another direction of the frame for a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실시예의 프레임(F)은, 마스크(100, 도 8) 내측면에 결합되어 마스크(100)의 3차원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형상 유지 기능을 제공한다. The frame F of this embodiment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100 ( FIG. 8 ) to provide a shape maintaining function for maintaining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본 실시예의 프레임(F)은 본체부(10), 좌측 결합부(22), 우측 결합부(24), 좌측 안면 지지부(32), 우측 안면 지지부(34) 및 턱 지지부(40)를 포함한다. The frame F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일예로, 본체부(10), 좌측 결합부(22), 우측 결합부(24), 좌측 안면 지지부(32), 우측 안면 지지부(34) 및 턱 지지부(40)는 형상 유지가 가능하면서도 다소의 탄성 변형이 가능한 경량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일체로 성형 제작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상기 본체부(10)는 착용자(H)의 입을 적어도 커버하도록 형성되고, 중앙 측 부분(CA, 도 5)이 전방(A1) 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좌측단 및 우측단에 좌측 확장부(12)와 우측 확장부(14)가 각각 구비된다. The
보다 상세하게 상기 본체부(10)는, 착용자(H)의 코(N)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마스크(100)의 상측 테두리를 위한 형상 유지 기능을 제공하는 상단 프레임 요소(10a)와, 착용자(H)의 턱(C)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마스크(100)의 하측 테두리를 위한 형상 유지 기능을 제공하는 하단 프레임 요소(10b)를 포함한다. 일예로, 상단 프레임 요소(10a)와 하단 프레임 요소(10b)는 좌우로 연장된 프레임(골격) 요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또한, 상기 본체부(10)는, 상기 상단 프레임 요소(10a)와 하단 프레임 요소(10b)의 중간 위치에 배치되어 마스크(100)의 중간 영역을 위한 형상 유지 기능을 제공하는 중간 프레임 요소(10c,10d)를 포함하며, 상기 상단 프레임 요소(10a) 및 하단 프레임 요소(10b)가 좌측단 및 우측단에서 각각 만나도록 형성된다. The
일예로, 상기 중간 프레임 요소(10c,10d)는, 상기 상단 프레임 요소(10a) 및 하단 프레임 요소(10b)의 중간에 종방향(A3-A4)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2개의 종방향 중간 프레임 요소(10c)를 포함한다. As an example, the
바람직하게, 상기 상단 프레임 요소(10a)는, 상기 2개의 종방향 중간 프레임 요소(10c)와 각각 연결되는 지점(CP)의 중간 구간(10a-1)이 하향 만곡 형성된다. Preferably, in the
중간 구간(10a-1)이 하향 만곡 형성됨으로써, 마스크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코(N)가 프레임에 닿지 않고 편안한 착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Since the
상기 좌측 결합부(22) 및 우측 결합부(24)는 상기 본체부(10)의 좌측 확장부(12)와 우측 확장부(14)에 각각 형성되고, 마스크(100)의 좌측 테두리(102, 도 8)와 우측 테두리(104, 도 8)에 각각 끼임 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The
보다 상세하게, 상기 좌측 결합부(22)는, 상기 본체부(10)의 좌측 확장부(12)의 전면 측에 형성되며 좌측 확장부(12)의 단부(12a) 측으로부터 본체부(10)의 중앙 측(CA)으로 연장된 좌측 클립 부재(22a)를 포함한다. In more detail, the
또한, 상기 우측 결합부(24)는, 상기 본체부(10)의 우측 확장부(14)의 전면 측에 형성되며 우측 확장부(14)의 단부(14a) 측으로부터 본체부(10)의 중앙 측(CA)으로 연장된 우측 클립 부재(24a)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좌측 클립 부재(22a) 및 우측 클립 부재(24a)를 통해 본 실시예의 프레임(F)은 시중에 판매되는 일반 마스크에 그대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frame (F) of this embodiment through the left clip member (22a) and the right clip member (24a)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 general mask sold on the market as it is.
상기 좌측 안면 지지부(32) 및 우측 안면 지지부(34)는 상기 본체부(10)의 상단 측 부분의 좌측 및 우측 위치에서 각각 후방(A2) 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착용자(H)의 코(N)에 상응하는 위치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The left
좌측 안면 지지부(32) 및 우측 안면 지지부(34)에 의해 마스크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코(N)가 프레임에 닿지 않고 또한 착용자의 안면 피부가 프레임에 닿지 않고 편안한 착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he user's nose (N) does not touch the frame in the mask wearing state by the left
상기 턱 지지부(40)는 상기 본체부(10)의 하부 중앙 위치에서 후방(A2) 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착용자(H)의 턱(C)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The
일예로, 상기 본체부(10)의 중간 프레임 요소(10c,10d)는, 상기 상단 프레임 요소(10a) 및 하단 프레임 요소(10b)의 중간에 종방향(A3-A4)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2개의 종방향 중간 프레임 요소(10c)를 포함한다. As an example, the
이와 함께, 상기 턱 지지부(40)는, 상기 2개의 종방향 중간 프레임 요소(10c)의 하부 측으로부터 "ㄷ" 자 형상으로 후방(A2) 측으로 돌출된 베이스부(42)와, 상기 베이스부(42)로부터 하방(A4) 측으로 연장되며 착용자(H)의 턱(C)에 밀착 가능한 곡면부를 포함하는 턱 밀착부(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착용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부(42)는 착용자(H)의 아랫 입술의 아래 부분에 접촉하여 지지 기능을 제공하며, 턱 밀착부(44)는 착용자(H)의 턱(C)의 아래 부분에 접촉하여 지지 가능을 제공할 수 있다. Based on the wearing state, the
턱 지지부(40)에 의해 마스크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턱(C) 인근의 피부가 프레임에 닿지 않는 상태가 유지되며, 또한 착용자의 피부와 마스크 내측면이 적절한 간극을 유지하게 되어 편안한 착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In the state of wearing the mask by the
미설명 부호 104는 마스크(100)의 끈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마스크용 프레임(F)에는, 착용자의 호흡에 의한 수증기가 마스크 상부 측으로 올라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김서림 방지구(50)가 결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3 to 6 , the
상기 김서림 방지구(50)는 착용자(H)의 콧등 위치에 상응하는 중앙부(51)를 중심으로 좌측 및 우측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연장된 좌측 연장부(52) 및 우측 연장부(54)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연장부(52)의 단부와 우측 연장부(54)의 단부에 각각 좌측 걸림부(52a) 및 우측 걸림부(54a)가 형성된다. The
상기 좌측 안면 지지부(32)에 형성된 걸림 결합부(32a)에 상기 좌측 걸림부(52a)가 삽입 결합되고, 상기 우측 안면 지지부(34)에 형성된 걸림 결합부(34a)에 상기 우측 걸림부(54a)가 삽입 결합된다. 좌측 걸림부(52a) 및 우측 걸림부(54a)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T" 자형의 걸림턱이 형성된 형상을 갖는다. 걸림 결합부(32a,34a)의 형상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예로 "T" 자형의 걸림턱이 측면 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슬릿형 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변형예로서, 좌측 및 우측 걸림부(52a,54a)가 요홈부의 형태로 형성되고, 걸림 결합부(32a,34a)가 걸림턱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The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김서림 방지구(50)가 착용자(H)의 안면과 마스크(100) 상부측 테두리가 형성하는 간극 공간을 차단하여, 수증기가 마스크 상부 측으로 올라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바람직하게, 상기 김서림 방지구(50)는 실리콘 고무와 같이 연질 소재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피부에 자극을 주지않으면서 편안한 착용감을 주는 것이 좋다. 또한, 실리콘 고무와 같이 유연한 소재는 피부와의 밀착력 및 탄성 복원력이 좋으므로 수증기가 마스크 상부 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밀폐 차단하기에도 바람직하다. 김서림 방지구(50)의 소재로서, 실리콘 고무 이외에 고무,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TPE), PVC, EVA, 스폰지 등과 같이 인체 유해성이 없는 다른 종류의 연질 소재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Preferably, the
다른 관점에서, 상기 김서림 방지구(50)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From another point of view, the
상기 김서림 방지구(50)의 좌측 연장부(52) 및 우측 연장부(54)는,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착용자(H)의 콧등 및 안면에 접촉하는 접촉면부(50-1)와, 상기 접촉면부(50-1)보다 더 큰 면적을 갖도록 전후 방향으로 확장 형성된 확장면부(50-3)와, 상기 접촉면부(50-1)와 확장면부(50-3)를 연결하며 착용자(H)의 안면 측을 향해 라운딩진 곡면 형상을 갖는 중간면부(50-2)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착용자(H)의 콧등 및 안면에는 피부 자극을 적게 하기 위해 접촉 면적을 가급적 작게 하는 것이 좋지만, 호흡 수증기가 마스크 상부로 배출되지 않기 위해서는 최대한 큰 면적으로 마스크와 안면 피부 사이의 간극을 차단하는 것이 좋다. It is recommended to make the contact area as small as possible on the nose bridge and face of the wearer (H) to reduce skin irritation. .
상기 구성을 취하게 되면, 착용자의 피부에 접하는 접촉면부(50-1)의 면적은 작게 하면서도, 호흡 수증기를 차단하는 확장면부(50-3)는 상대적으로 더 큰 면적으로 형성하게 되므로, 착용성 및 김서림 방지 효과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라운딩진 곡면 형상을 갖는 중간면부(50-2)는 접촉면부(50-1)와 확장면부(50-3)의 중간 구간에서 착용성 및 김서림 방지 효과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When the above configuration is taken, the area of the contact surface portion 50-1 in contact with the wearer's skin is made small while the extension surface portion 50-3 that blocks breathing vapor is formed in a relatively larger area, so wearability And it may provide an anti-fogging effect together. In addition, the intermediate surface portion 50 - 2 having a rounded curved surface shape may provide both wearability and anti-fogging effect in the middle section between the contact surface portion 50 - 1 and the extended surface portion 50 - 3 .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ame for a mas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마스크용 프레임(F)에는 목걸이 끈(NL)이 결합될 수 있다. 마스크 착용자는 식사를 하거나 음료를 마시기 위해 일시적으로 마스크를 벗어야 할 경우, 목걸이 끈(NL)을 이용하여 마스크를 일시적으로 목에 걸친 상태에서 편리하게 휴대 보관할 수 있다. A necklace string NL may be coupled to the frame F for the mask of this embodiment. When the mask wearer needs to temporarily take off the mask to eat or drink, a necklace strap (NL) can be used to conveniently carry and store the mask while temporarily draped over the neck.
이를 위해, 상기 좌측 클립 부재(22a)는 상기 좌측 확장부(12)의 단부(12a)와 만나는 위치에 목걸이 끈(NL)이 통과하여 결합되기 위한 끈 결합용 확장 공간부(22a-1)가 형성된다. To this end, the
또한, 상기 우측 클립 부재(24a)는 상기 우측 확장부(14)의 단부(14a)와 만나는 위치에 목걸이 끈(NL)이 통과하여 결합되기 위한 끈 결합용 확장 공간부(24a-1)가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in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various and obv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therefrom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appended claims to cover many such modifications.
10: 본체부
10a: 상단 프레임 요소
10b: 하단 프레임 요소
10c,10d: 중간 프레임 요소
12: 좌측 확장부
14: 우측 확장부
22: 좌측 결합부
24: 우측 결합부
32: 좌측 안면 지지부
34: 우측 안면 지지부
40: 턱 지지부
42: 베이스부
44: 턱 밀착부
50: 김서림 방지구
50-1: 접촉면부
50-2: 중간면부
50-3: 확장면부
51: 중앙부
52: 좌측 연장부
52a: 좌측 걸림부
54: 우측 연장부
54a: 우측 걸림부
100: 마스크
CA: 중앙 측 부분
F: 프레임
NL: 목걸이 끈10: body part
10a: upper frame element
10b: lower frame element
10c,10d: middle frame element
12: left extension
14: right extension
22: left coupling part
24: right coupling part
32: left facial support
34: right facial support
40: chin support
42: base part
44: chin close portion
50: anti-fog
50-1: contact surface part
50-2: middle surface part
50-3: extended surface part
51: central part
52: left extension
52a: left hook part
54: right extension
54a: right locking part
100: mask
CA: central side part
F: frame
NL: necklace strap
Claims (10)
착용자의 입을 적어도 커버하도록 형성되고, 중앙 측 부분이 전방 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좌측단 및 우측단에 좌측 확장부와 우측 확장부가 각각 구비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좌측 확장부와 우측 확장부에 각각 형성되고, 마스크의 좌측 테두리와 우측 테두리에 각각 끼임 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좌측 결합부 및 우측 결합부;
상기 본체부의 상단 측 부분의 좌측 및 우측 위치에서 각각 후방 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착용자의 코에 상응하는 위치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형성된 좌측 안면 지지부 및 우측 안면 지지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 중앙 위치에서 후방 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착용자의 턱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턱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마스크용 프레임.
As a fram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to provide a shape maintaining function for maintaining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mask,
a body portion formed to cover at least a wearer's mouth, a central portion having a shape protruding toward the front, and having a left extension portion and a right extension portion respectively provided at left and right ends;
a left coupling part and a right coupling part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expansion parts of the main body, respectively, and formed so as to be sandwiched between the left edge and the right edge of the mask;
a left and right face support each having a shape protruding from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to the rear side, respectively, and formed to be respectively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earer's nose; and
The frame for a mask comprising a; has a shape protruding from the lower central position of the main body to the rear side, and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earer's chin.
상기 본체부는,
착용자의 코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마스크의 상측 테두리를 위한 형상 유지 기능을 제공하는 상단 프레임 요소와,
착용자의 턱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마스크의 하측 테두리를 위한 형상 유지 기능을 제공하는 하단 프레임 요소와,
상기 상단 프레임 요소와 하단 프레임 요소의 중간 위치에 배치되어 마스크의 중간 영역을 위한 형상 유지 기능을 제공하는 중간 프레임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상단 프레임 요소 및 하단 프레임 요소가 좌측단 및 우측단에서 각각 만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프레임.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part,
an upper frame element providing a shape retaining function for the upper rim of the mask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wearer's nose;
a lower frame element providing a shape retaining function for the lower rim of the mask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earer's chin;
an intermediate frame element disposed intermediate the upper frame element and the lower frame element to provide a shape holding function for an intermediate region of the mask;
The frame for a mask,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frame element and the lower frame element are formed to meet at the left end and the right end, respectively.
상기 중간 프레임 요소는,
상기 상단 프레임 요소 및 하단 프레임 요소의 중간에 종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2개의 종방향 중간 프레임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턱 지지부는,
상기 2개의 종방향 중간 프레임 요소의 하부 측으로부터 "ㄷ" 자 형상으로 후방 측으로 돌출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하방 측으로 연장되며 착용자의 턱에 밀착 가능한 곡면부를 포함하는 턱 밀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프레임.
3. The method of claim 2,
The intermediate frame element comprises:
two longitudinal intermediate frame elements arranged in longitudinal parallel between the upper frame element and the lower frame element;
The chin support portion,
a base port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two longitudinal intermediate frame elements to the rear side in a “C” shape;
The frame for a mask, which extends downward from the base and comprises a chin-adhering part including a curved part that can be closely adhered to the wearer's chin.
상기 중간 프레임 요소는,
상기 상단 프레임 요소 및 하단 프레임 요소의 중간에 종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2개의 종방향 중간 프레임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상단 프레임 요소는,
상기 2개의 종방향 중간 프레임 요소와 각각 연결되는 지점의 중간 구간이 하향 만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프레임.
3. The method of claim 2,
The intermediate frame element comprises:
two longitudinal intermediate frame elements arranged in longitudinal parallel between the upper frame element and the lower frame element;
The upper frame element comprises:
A frame for a mask, characterized in that the middle section of the point connected to each of the two longitudinal intermediate frame elements is curved downward.
상기 좌측 결합부는, 상기 본체부의 좌측 확장부의 전면 측에 형성되며 좌측 확장부의 단부 측으로부터 본체부의 중앙 측으로 연장된 좌측 클립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우측 결합부는, 상기 본체부의 우측 확장부의 전면 측에 형성되며 우측 확장부의 단부 측으로부터 본체부의 중앙 측으로 연장된 우측 클립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프레임.
According to claim 1,
The left coupling part includes a left clip member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left extension of the main body and extending from the end side of the left extension to the center of the main body,
The right coupling part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right extension part of the main body part and comprises a right clip member extending from the end side of the right extension part to the center side of the main body part.
상기 좌측 클립 부재는 상기 좌측 확장부의 단부와 만나는 위치에 목걸이 끈이 통과하여 결합되기 위한 끈 결합용 확장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우측 클립 부재는 상기 우측 확장부의 단부와 만나는 위치에 목걸이 끈이 통과하여 결합되기 위한 끈 결합용 확장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프레임.
6. The method of claim 5,
The left clip member is formed with an expansion space for coupling a string through which the necklace string passes and is coupled at a position where it meets the end of the left extension,
The frame for a mask, characterized in that the right clip member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end of the right extension part meets an extension space for string coupling through which the necklace string passes and is coupled.
착용자의 콧등 위치에 상응하는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측 및 우측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연장된 좌측 연장부 및 우측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연장부의 단부와 우측 연장부의 단부에 각각 좌측 걸림부 및 우측 걸림부가 형성된 김서림 방지구;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좌측 안면 지지부에 형성된 걸림 결합부에 상기 좌측 걸림부가 삽입 결합되고, 상기 우측 안면 지지부에 형성된 걸림 결합부에 상기 우측 걸림부가 삽입 결합되어,
상기 김서림 방지구가 착용자의 안면과 마스크 상부측 테두리가 형성하는 간극 공간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프레임.
According to claim 1,
It includes a left extension portion and a righ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downwardly inclined to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nose bridge of the wearer, and the left and right locking portions are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ends of the left extension and the right extension. It further comprises;
The left engaging portion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engaging portion formed in the left face support portion, and the right engaging portion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engaging portion formed in the right face support portion,
The frame for a mask, characterized in that the anti-fogging member is configured to block the gap space formed between the wearer's face and the upper edge of the mask.
착용자의 콧등 위치에 상응하는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측 및 우측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연장된 좌측 연장부 및 우측 연장부; 및
상기 좌측 연장부의 단부와 우측 연장부의 단부에 각각 형성된 좌측 걸림부 및 우측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김서림 방지구.
As an anti-fogging tool for blocking the gap space formed between the wearer's face and the upper edge of the mask by being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mask fram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a left extension and a right extension extending downwardly inclined to the left and right around the central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nose bridge of the wearer; and
Anti-fogging tool configured to include; left and right locking portions respectively formed at the ends of the left extension and the right extension.
상기 좌측 연장부 및 우측 연장부는,
착용자의 콧등 및 안면에 접촉하는 접촉면부와,
상기 접촉면부보다 더 큰 면적을 갖도록 전후 방향으로 확장 형성된 확장면부와,
상기 접촉면부와 확장면부를 연결하며 착용자의 안면 측을 향해 라운딩진 곡면 형상을 갖는 중간면부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서림 방지구.
9. The method of claim 8,
The left extension part and the right extension part,
A contact surfac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wearer's nose and face;
an extended surface portion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to have a larger area than the contact surface portion;
Anti-fo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nects the contact surface portion and the extended surface portion and comprises an intermediate surface portion each having a rounded curved surface shape toward the wearer's face.
착용자의 입을 적어도 커버하도록 형성되고, 중앙 측 부분이 전방 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 본체부; 및
착용자의 콧등 위치에 상응하는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측 및 우측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연장된 좌측 연장부 및 우측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연장부의 단부와 우측 연장부의 단부에 각각 좌측 걸림부 및 우측 걸림부가 형성된 김서림 방지구;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의 상단 측에 형성된 좌측 걸림 결합부 및 우측 걸림 결합부에 상기 좌측 걸림부 및 우측 걸림부가 각각 삽입 결합되어,
상기 김서림 방지구가 착용자의 안면과 마스크 상부측 테두리가 형성하는 간극 공간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프레임.
As a frame that is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and provides a shape maintaining function for maintaining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mask,
a body portion formed to at least cover a wearer's mouth, the body portion having a shape in which the central side portion protrudes toward the front side; and
It includes a left extension portion and a righ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downwardly inclined to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nose bridge of the wearer, and the left and right locking portions are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ends of the left extension and the right extension. Including;
The left engaging portion and the right engaging portion are respectively inserted and coupled to the left engaging portion and the right engaging portion formed on the upper end side of the body portion,
The frame for a mask, characterized in that the anti-fogging member is configured to block the gap space formed between the wearer's face and the upper edge of the mask.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1735A KR20220039087A (en) | 2020-09-21 | 2020-09-21 | Frame for mask and anti-fog device for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1735A KR20220039087A (en) | 2020-09-21 | 2020-09-21 | Frame for mask and anti-fog device for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39087A true KR20220039087A (en) | 2022-03-29 |
Family
ID=80996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21735A Ceased KR20220039087A (en) | 2020-09-21 | 2020-09-21 | Frame for mask and anti-fog device for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39087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005528A (en) * | 2022-07-20 | 2022-09-06 | 徐敏 | Gauze mask |
KR20230149534A (en) * | 2022-04-20 | 2023-10-27 | 주식회사 신일제이에스 | Support pad for sanitary mask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8137Y1 (en) | 2005-11-21 | 2006-02-07 | 백소라 | Breathable mask |
KR101932445B1 (en) | 2017-03-16 | 2018-12-26 | 주식회사 에버그린 | Mask |
-
2020
- 2020-09-21 KR KR1020200121735A patent/KR20220039087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8137Y1 (en) | 2005-11-21 | 2006-02-07 | 백소라 | Breathable mask |
KR101932445B1 (en) | 2017-03-16 | 2018-12-26 | 주식회사 에버그린 | Mask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49534A (en) * | 2022-04-20 | 2023-10-27 | 주식회사 신일제이에스 | Support pad for sanitary mask |
CN115005528A (en) * | 2022-07-20 | 2022-09-06 | 徐敏 | Gauze mask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11379732U (en) | Antifogging pad and mask with antifogging pad | |
US4864653A (en) | Protective shield and visor supporting same | |
KR101889651B1 (en) | Breathing frame of mask with holder device | |
KR102159200B1 (en) | Mask with adjustable earring strap | |
TW201741201A (en) | Diving and snorkeling mask structure | |
EP0236443A1 (en) | Eyewear retainer | |
US20200391057A1 (en) | Respirator Mask with Eyewear Interface | |
JP2013099389A (en) | Swimming mask | |
KR20220039087A (en) | Frame for mask and anti-fog device for the same | |
JP6865941B2 (en) | Support member for mask | |
US20160287829A1 (en) | Cushioned Sleep Apnea Mask | |
KR200389356Y1 (en) | A mask | |
KR102121934B1 (en) | Functional Mask | |
JP7352270B2 (en) | mask | |
AU2022238470B2 (en) | Mask with anti-fogging construction | |
KR102209970B1 (en) | Mask | |
KR102456197B1 (en) | Anti-slip face mask | |
US9027162B2 (en) | Eye wear | |
JP3233169U (en) | Support member for sanitary mask | |
KR20080005226U (en) | Sanitary mask | |
KR102441569B1 (en) | Face protection mask to block UV and harmful substances | |
KR102669676B1 (en) | A lineless mask to hang glasses on | |
KR102413196B1 (en) | A Lineless Mask that is fixed to the chin and nose | |
KR102504653B1 (en) | Mask with improved wearability | |
US20220225704A1 (en) | Face mask shield for prolonged us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207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4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