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7393A - deck system - Google Patents
deck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27393A KR20220027393A KR1020200108209A KR20200108209A KR20220027393A KR 20220027393 A KR20220027393 A KR 20220027393A KR 1020200108209 A KR1020200108209 A KR 1020200108209A KR 20200108209 A KR20200108209 A KR 20200108209A KR 20220027393 A KR20220027393 A KR 2022002739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ttom plate
- connecting member
- deck system
- groove
- base fram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6010017577 Gait disturba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08 flo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5 weight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066—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베이스프레임과, 베이스프레임에 체결수단으로 고정되는 연결부재와, 연결부재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데크 바닥판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데크 시스템에 있어서, 연결부재는 제1 방향으로 복수 개가 서로 밀착하여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프레임에 연결부재를 설치할 때 연결부재가 적어도 1 방향으로 서로 밀착되게 설치되어 하나의 연결부재에 외력이 작용할 때 인접 연결부재로 힘이 전달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외력은 분산되는 효과를 가지며, 따라서 연결부재와 이 연결부재를 고정시키는 직결피스의 수를 줄이거나 강성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In the deck system comprising a base frame, a connecting member fixed to the base frame by a fastening means, and a deck bottom plate that is detachably fixed to the connecting member,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are continuously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A deck system is disclose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necting member is installed on the base frame, the connecting member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at least one direction so that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one connecting member, the force can be transmitted to the adjacent connecting member, so that the external force is dispersed as a result. effect, and thus it become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direct connecting pieces for fixing the connecting member or to reduce the rigidity.
Description
본 발명은 데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부재와 같은 부속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착탈식 데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tachable deck system having a configuration that can be easily detached using parts such as a connecting member.
일반적으로 친환경적인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하여 난간, 교량, 보도, 산책로, 수변, 등산로, 주택, 펜션 등에 목재 바닥 데크를 조립하여 사용하고 있다.In general, wooden floor decks are assembled and used in railings, bridges, sidewalks, walking trails, waterfronts, hiking trails, houses, and pensions to create an eco-friendly atmosphere.
특히 보도 등에 적용되는 종래의 목재 바닥 데크는 일 실시예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목재나 천연목재로 이루어지며 등간격으로 나란히 안착되는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의 하측에 좁은 간격으로 배열되어 상기 바닥판(10)을 나사(15)로 각각 고정하여 수평으로 받쳐주는 사각파이프 형상의 금속재 장선(長線, bridging joist)(20)과, 상기 장선(20)의 하측에 넓은 간격의 폭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장선(20)을 각각 고정하여 수평으로 받쳐주는 사각파이프 형상의 금속재 멍에(sleepers)(30) 및 수직방향으로 입설되어 멍에(30)와 지면에 매설되는 기초 콘크리트 블록(50) 사이를 각각 고정하는 사각파이프 형상의 금속재 동바리(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In particular, a conventional wooden floor deck applied to a sidewalk, etc. is an embodiment, and as shown in FIGS. 1 to 3, a
이때, 기초 콘크리트 블록, 멍에, 장선 등은 전체가 데크 바닥판을 설치하기 위한 일종의 베이스프레임을 구성하게 되며, 베이스프레임은 물론 다른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entire base concrete block, yoke, joists, etc. constitute a kind of base frame for installing the deck bottom plate, and the base frame may have other structures as well.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목재 바닥 데크는 바닥판(10)을 장선(20)에 고정시킬 때 단순히 나사(15)와 같은 직결피스 형태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하게 되므로, 목재 바닥 데크를 야외에 설치할 경우 기상조건에 따른 온도차에 의해 합성목재나 천연목재로 이루어지는 바닥판(10)이 평활도를 유지하지 못하고 솟구치거나 길이변형에 의해 나사(15)가 부러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또한 보행자의 반복하중에 의해 바닥판(10)을 파손 및 손상시키게 되는 경우가 많다. The conventional wooden floor deck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fixed by simply using a fastening means in the form of a direct connection piece such as a
이렇게 옥외 설치의 특성상 데크의 바닥판 등은 열화, 변형이 발생하고, 중량이나 충격이 수시로 가해져 직결피스로 고정된 부분이 헐거워지거나 훼손되면 수시로 수리하거나 교체할 필요가 있다. Due to the nature of outdoor installation, the deck bottom plate deteriorates and deforms, and if the part fixed by the direct connection piece becomes loose or damaged due to frequent application of weight or impact, it is necessary to repair or replace it frequently.
그런데, 이렇게 바닥판을 직결피스로 장선에 고정하는 방식의 경우, 관리를 위해 해당 부분을 교체하거나 임시로 제거할 필요가 있을 때 일일이 직결피스를 풀고 해당 부분을 교체해야 하므로 작업이 어렵고 수고가 많이 들게 된다. 경우에 따라 나사가 바닥판에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훼손되기 쉽고 습기에 의해 부식될 수 있으며, 장선의 해당 부위에도 부식이나 열화가 진행되어 작업은 더욱 어렵게 될 수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is method of fixing the bottom plate to the joist with a direct-connection piece, when it is necessary to replace or temporarily remove the relevant part for management, it is difficult and labor intensive because it is necessary to unscrew the direct-connection piece and replace the part one by one. will hear In some cases, screws may be easily damaged by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bottom plate and may be corroded by moisture, and corrosion or deterioration may progress to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joist, making work more difficult.
이런 문제를 경감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베이스프레임에 데크 바닥판을 고정하는 방법으로는 바닥판을 직결피스로 직접 관통하여 베이스프레임에 고정 설치하는 대신에 별도의 연결부재를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베이스프레임에 연결부재를 고정하고, 바닥판은 연결부재에 결합시킴으로써 바닥판과 베이스프레임을 결합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As a method for alleviating this problem, as a method of fixing the deck bottom plate to the base frame, a method using a separate connecting member can be used instead of directly penetrating the bottom plate with a direct connection piece and fixing it to the base frame. That is, a method of coupling the bottom plate and the base frame by fixing the connection member to the base frame and coupling the bottom plate to the connection member may be used.
도4는 이런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구성개념도이다.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such a configuration.
그러나, 이런 구성에서는 바닥판(3)을 베이스프레임(2)에 직접 연결하는 데서 오는 문제점을 일부 해결할 수 있지만, 연결부재(37) 자체는 나사(15)와 같은 직결피스에 의해서만 베이스프레임(2)에 연결되어 지지되므로, 직결피스 자체의 숫자가 많아지면 설치, 수리, 교체 작업의 번거로움을 도1의 예와 마찬가지로 피하기 어렵고, 숫자를 적게하면 번거로움은 줄어들지만 연결부재 자체와 해당 직결피스에만 과도한 힘이 집중되어 연결부재와 직결피스가 손상되기 쉽고, 연결부재의 탄성으로 바닥판을 고정할 때 착탈이 반복되면 연결부재의 변형, 훼손에 의한 바닥판의 체결 상태가 안정적이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However, in this configuration, some problems from directly connecting the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데크 시스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재와 연결부재 사이의 결합이 간단하면서도 안정적이고, 연결부재가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될 때 적은 수의 직결피스를 가질 때에도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데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deck system described above, the coupling between the flooring and the connecting member is simple and stable, and when the connecting member is coupled to the base frame, a stable state even when having a small number of direct connection piece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ck system having a maintainable configur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베이스프레임과, 베이스프레임에 체결수단으로 고정되는 연결부재와, 연결부재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데크 바닥판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데크 시스템에 있어서, 연결부재는 제1 방향으로 복수 개가 서로 밀착하여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deck system comprising a base frame, a connecting member fixed to the base frame by a fastening means, and a deck bottom plate that is detachably fixed to the connecting member,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are continuously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본 발명에서 연결부재는 베이스프레임과 접하는 하면과 바닥판과 접하는 상면을 가진 플레이트형 본체와, 상면에서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일정 폭을 가지고 상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뻗으면서 수직하게 돌출되는 수직돌출부와 수직돌출부 상단에서 제1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를 가지는 체결돌기와, 체결수단으로서의 직결피스를 체결할 때 직결피스 상단을 바닥부 하면과 닿지 않도록 설치되는 직결피스 설치홀을 구비하고,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member has a plate-shaped body having a low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base frame and an upp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bottom plate, and has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upper surface while extending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vertically A fastening protrusion having a protruding vertical protrusion and a bent section bent in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rotrusion, and a direct connecting piece installation hole installed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direct connecting piece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loor when the direct connecting piece as a fastening means is fastened,
데크 바닥판은 하면에 제2 방향으로 뻗는 홈을 가지되 홈은 체결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폭의 수직홈과 체결돌기가 삽입된 상태에서 바닥판을 제1 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체결돌기의 절곡부가 밀착되면서 삽입될 수 있는 수평홈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The deck bottom plate has a groove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on the lower surface, but the groove is a vertical groove of a width into which the fastening protrusion can be inserted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when the bottom plate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protrusion is inserted It may have a horizontal groove that can be inserted while the bent portion of the close contact.
이때, 절곡부가 수평홈에 삽입되는 경로에는 걸림턱 등의 이격 방지 구조가 설치되어 체결 후 상호 이격 및 해체가 어렵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a separation preventing structure such as a locking jaw is installed in the path where the bent part is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groove, so that it is difficult to separate and disassemble after fastening.
본 발명의 데크 시스템에서 서로 맞닿는 연결부재의 제1 방향의 두 단부는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한쌍을 이루는 형상부(가령 요부와 철부를) 가져 베이스프레임 평면에서 서로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도,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형상부에는 걸림턱 등의 이격 방지 구조가 설치되어 체결 후 상호 이격 및 해체가 어렵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deck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ends in the first direc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abutting to each other have a pair of shape parts (eg, recesses and convex parts) that are complementarily coupled to each other so as to serve to fix each other in the plane of the base frame. . Here too, a spaced prevention structure such as a clasp is installed in the complementaryly coupled shape, so that it is difficult to separate and disassemble after fastening.
본 발명에서 연결부재의 돌출부와 바닥판의 홈은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홈 사이의 간격과 돌출부 사이의 간격은 같은 간격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sion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groove of the bottom plate may be formed in plurality,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grooves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protrusions are the same.
본 발명에서 바닥판의 홈에 있어서 수평홈은 제1 방향의 역방향과 순방향 모두로 형성하고, 제1 방향을 바닥판의 폭방향 제2 방향을 바닥판의 길이 방향이라고 할 때 바닥판은 바닥판의 길이 방향으로 뻗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폭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groove of the bottom plate, the horizontal groove is formed in both the reverse and forward directions of the first direction, and when the first direction is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ttom plate and the second direction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ttom plate, the bottom plate is the bottom plate It may be made to be symmetrical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
본 발명에서 연결부재의 제1 방향의 길이는 바닥판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어 바닥판과 인접 바닥판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 방향은 인접 바닥판 사이의 틈새가 생기는 방향이 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member in the first direction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bottom plate, so that a gap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adjacent bottom plate. That is, the first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in which a gap is formed between adjacent floor plates.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프레임에 연결부재를 설치할 때 연결부재가 적어도 1 방향으로 서로 밀착되게 설치되어 하나의 연결부재에 외력이 작용할 때 인접 연결부재로 힘이 전달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외력은 분산되는 효과를 가지며, 따라서 연결부재와 이 연결부재를 고정시키는 직결피스의 수를 줄이거나 강성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necting member is installed on the base frame, the connecting member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at least one direction so that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one connecting member, the force can be transmitted to the adjacent connecting member, so that the external force is dispersed as a result. effect, and thus it become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direct connecting pieces for fixing the connecting member or to reduce the rigidity.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부재에 바닥판을 결합시킬 때 간단한 동작으로 안정적인 결합을 이룰 수 있으면서도 착탈도 간단하게 되어 개별 바닥판을 수리, 교체할 때에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ottom plate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a stable coupling can be achieved with a simple operation, and the detachment is also simple,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repair and replace the individual bottom plate.
또한, 바닥판을 직접 직결부재로 고정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바닥판을 밟을 때 직결부재가 직접 영향을 받아 직결부재의 결합이 풀리거나 헐거워지는 염려를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bottom plate is not directly fixed by the direct connecting memb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ncern that the direct connecting member is directly affected when the user steps on the floor plate, thereby loosening or loosening the coupling of the direct connecting member.
도1은 종래의 목재 바닥판 데크 시스템의 일 예의 구성 개념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2는 도1의 예의 결합상태의 정단면도,
도3은 도1의 예의 결합상태의 측단면도,
도4는 종래의 목재 바닥판 데크 시스템의 다른 예의 구성 개념을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5는 본 발명 데크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바닥판과 연결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데크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프레임과 연결부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7 내지 도10은 본 발명 데크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 베이스프레임에 연결부재와 바닥판을 차례로 결합시키는 방식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각 단계의 공정 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concept of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wooden deck deck system;
Figure 2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coupled state of the example of Figure 1;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pled state of the example of FIG. 1;
4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concept of another example of a conventional wooden deck deck system;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plate and the connecting memb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ck system,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base frame and the connecting member in one embodiment of the deck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10 are process cross-sectional views of each step sequentially showing a method of sequentially coupling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bottom plate to the base fram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ck system.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5, 6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데크 시스템은 베이스프레임(300)과, 베이스프레임(300)에 나사 혹은 직결피스(310)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고정되는 연결부재(200)와, 연결부재(20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데크 바닥판(10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5 and 6, the deck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is a
여기서, 연결부재(200)는 베이스프레임(300)과 접하는 하면과 바닥판(100)과 접하는 상면을 가진 플레이트형 본체와, 상면에서 제1 방향(x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일정 폭으로 뻗으면서 수직하게 돌출되는 수직돌출부(230)와 수직돌출부(230) 상단에서 두 곳에서 제1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231)를 가지는 체결돌기와, 직결피스(310) 체결시 직결피스(310) 상단을 바닥부 하면과 닿지 않도록 오목한 단차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직결피스 설치홀(220)과, 스톱퍼(25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플레이트형 본체에서 체결돌기의 제1 방향 앞쪽에는 연결부재 성형의 편의와 경량화 및 재료 절약을 위한 성형홀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시되지는 않지만 수직돌출부와 절곡부에는 각각 수직 및 수평으로 강도 보강을 위한 리브(rib) 혹은 다른 형태의 보강부가 설치될 수 있다. Here, the connecting
또한, 전체 데크 시스템에서 연결부재(200)는 도6과 같이 제1 방향(x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열되어 서로 밀착하여 연속적으로 설치되며, 서로 맞닿는 연결부재(200)의 제1 방향의 두 단부는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형상부로서 돌기부(210)와 홈부(240)를 가지며, 돌기부에는 철부(211), 홈부에는 요부(241)가 구비된다.In addition, in the entire deck system, a plurality of
요부(241)의 입구는 좁은 폭으로 형성되고, 철부(211)는 중간에 폭이 넓어지는 구간을 가져, 서로 인접된 연결부재의 두 단부를 밀착시킬 때 연결부재의 자체 탄성을 이용하여 같은 평면 내에서 억지끼움을 하거나 수직방향으로 요부와 철부를 끼우면 연결부재가 이루는 평면에서는 쉽게 빠지지 않는 걸림턱(이격 방지 부재)의 역할을 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요부(241)와 철부(211)의 상호 결합을 통해 서로 밀착된 연결부재들은 베이스프레임(300) 본체 평면에서 서로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entrance of the
연결부재(200)는 기계적 강성을 확보하기에 용이한 금속이나 합성수지 재질, 혹은 이들의 복합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조의 편의를 위해 사출 성형으로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necting
데크 바닥판(100)은 하면에 제2 방향으로 뻗는 홈을 가지되 홈은 절곡부(231)를 포함하여 체결돌기 전체가 수직으로 삽입될 수 있는 폭을 가지는 수직홈(110)과 체결돌기가 삽입된 상태에서 바닥판(100)을 제1 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체결돌기의 절곡부(231)가 밀착되면서 삽입될 수 있는 수평홈(111)을 가진다.
도5의 꺽어진 화살표는 바닥판(100)을 기준으로 연결부재(200)를 결합시킬 때 연결부재가 이동하는 결합방향을 나타낸 것이며, 실제로는 연결부재가 베이스프레임에 고정된 상태로 바닥판이 움직여 바닥판과 연결부재가 고정되는 것임을 고려해야 한다. 즉, 연결부재가 고정된 상태에서 바닥판이 수직홈과 체결돌기를 정렬한 상태로 먼저 아래로 움직이고 다음에는 제1 방향(x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여 바닥판이 연결부재에 결합되고 고정된다.The bent arrow in FIG. 5 indicates the coupling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moves when the connecting
본 발명에서 연결부재의 체결돌기와 바닥판의 홈은 하나씩 형성될 수도 있고, 바닥판의 폭이 넓은 경우,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실시예에서는 두 개로 형성된다. 이때 바닥판 내의 홈 사이의 간격과 연결부재에서의 체결돌기 사이의 제1 방향 간격은 같은 간격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protrusion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groove of the bottom plate may be formed one by one, or if the width of the bottom plate is wide, it may be formed in plurality, but in this embodiment, two grooves are formed. At this time, the interval between the grooves in the bottom plate and the interval in the first direction between the fastening protrusions on the connecting member are the same.
여기서는 또한, 바닥판의 홈에 있어서 수평홈은 수직홈(110)의 제1 방향의 역방향의 수평홈(113)과 순방향 수평홈(111)으로 형성하고, 제1 방향을 바닥판의 폭방향 제2 방향(y방향)을 바닥판의 길이 방향이라고 할 때 바닥판(100)은 바닥판의 길이 방향으로 뻗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폭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런 경우, 바닥판을 평면 내에서 180도 회전시킨 경우에도 바닥판은 동일한 형태를 가지게 되므로 바닥판을 연결부재에 결합시킬 때 방향을 바로잡는 수고를 덜 수 있고 따라서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Here, in the groove of the bottom plate, the horizontal groove is formed by the
한편,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재의 제1 방향의 평균 길이, 즉, 본체의 돌기부(210)와 홈부(240)를 고려하지 않은 길이는 바닥판(100)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고, 연결부재 하나에는 바닥판 하나만 결합될 수 있다고 할 때 바닥판과 인접 바닥판 사이에는 연결부재 길이와 바닥판 폭의 차이만큼 틈새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verage length of the connecting member in the first direction, that is, the length not considering the
이 틈새는 바닥판을 연결부재에 설치하는 공정에서 편리성을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고, 바닥판 사이로 빗물이나 먼지가 빠지도록 하는 역할도 할 수 있으며, 통로를 형성하는 경우 데크 상면이 전체적으로 볼 때 요철을 가지도록 하여 통행시 마찰력을 키워 미끌어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This gap can play a role in increasing the convenience in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bottom plate to the connecting member, and also play a role in allowing rainwater or dust to escape between the bottom plates. It can also play a role in preventing slipping by increasing friction during passage by having irregularities.
도7 내지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이루는 데크 시스템을 제작하는 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비록 간략화된 형태로 도시되거나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지만 직결피스 설치홀의 위치나 형태를 제외하면 바닥판의 구성과 연결부재의 구성은 앞선 도5, 도6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같은 것으로 보며, 따라서, 플레이트형 본체, 수직돌출부(230)와 절곡부(231)를 가지는 체결돌기, 직결피스 설치홀(220)의 존재, 스톱퍼(250) 구성은 유사하며, 연결부재(200)의 제1 방향의 두 단부의 상보적 형상부로서 돌기부와 홈부, 철부, 요부도 비록 도시되지 않지만 존재하며 서로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한다.7 to 10 is a construc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a deck system constitu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Although not shown in a simplified form or specifically shown in this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bottom plate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ose of the previous embodiments of Figs. Looking, therefore, the plate-shaped body, the fastening protrusion having the
도7을 참조하면, 여기서는 지면 혹은 바닥(미도시)에 먼저 베이스프레임(300)이 설치되고, 베이스프레임에 첫번째 연결부재(100)가 나사 등의 직결피스(310)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여기서도 직결피스의 상단이 연결부재의 상면 위로 돌출되지 않도록 연결부재의 상면에는 직결피스 설치홀이 오목하거나 단차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7 , here, the
도8을 참조하면, 첫번째 연결부재에 첫번째 바닥판이 설치를 위해 정렬된다.Referring to Fig. 8, the first bottom plate is aligned for installation o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정렬은 연결부재의 절곡부를 포함한 체결부재 전체가 바닥판의 수직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정렬이 이루어지면 바닥판은 화살표와 같이 아래로 이동하여 절곡부가 수직홈의 끝에 닿거나 바닥판의 하면이 연결부재의 본체 상면에 닿도록 한다.Alignment is made so that the entire fastening member including the bent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can be inserted into the vertical groove of the bottom plate. When the alignment is made, the bottom plate moves downward as shown by the arrow so that the bent part touches the end of the vertical groov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connecting member.
도9를 참조하면 바닥판을 화살표 방향, 즉, 제1 방향의 역방향으로 이동시켜 연결부재의 절곡부가 바닥판의 수평홈을 따라 끝까지 이동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9 , the bottom plate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at i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so that the bent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moves to the end along the horizontal groove of the bottom plate.
연결부재의 절곡부가 바닥판의 수평홈의 제1 방향 끝단에 도달하는 위치에서 연결부재의 폭방향 일 단부는 스톱퍼(250)에 닿게 된다. 이로써 스톱퍼는 연결부재와 바닥판의 결합시 바닥판이 과도하게 이동하면서 체결돌기 등에 무리한 힘을 가해 체결돌기나 홈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a position where the bent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reaches the end in the first direction of the horizontal groove of the bottom plate,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in the width direction comes into contact with the
도10을 참조하면, 도9와 같은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베이스프레임에 다시 두번째 연결부재(100)가 나사 등의 직결피스(310)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Referring to FIG. 10 , the second connecting
이때, 첫번째 연결부재의 제1 방향의 앞쪽 단부와 두번째 연결부재의 제1 방향 뒤쪽 단부는 상보적 형상부로서 돌기부와 홈부가 결합되고, 철부와 요부도 상보적으로 결합되며, 이로써 인접한 두 연결부재는 서로 틈이 없이 밀착된다. At this time, the front end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rear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in the first direction are complementary shapes, the protrusion and the groove are coupled, and the protrusion and the recess are also complementarily coupled, thereby making two adjacent connecting members are attached to each other without gaps.
이 실시예에서는 이때 스톱퍼가 요부의 위쪽에서 연결부재 상면으로부터 위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면서, 두번째 연결부재의 스톱퍼는 첫번째 바닥판의 제1 방향 단부와 밀착하거나 미세한 틈을 가지고 접하게 된다. In this embodiment, while the stopper is install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at the upper side of the recess, the stopper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nd of the first bottom plate in the first direction or comes into contact with a minute gap.
따라서 첫번째 바닥판은 첫번째 연결부재의 스톱퍼와 두번째 연결부재의 스톱퍼 사이에 고정되면서 데크 사용시에 외력에 의해 바닥판이 제1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쉽게 연결부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the first bottom plate is fixed between the stopper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and the stopper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and when the deck is used, the bottom plate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by an external force to prevent it from being easily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member.
이후 도8 내지 도9에서 도시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두번째 바닥판이 두번째 연결부재에 설치될 수 있고, 도8 내지 도10의 과정을 되풀이 하면서 제1 방향으로 바닥판을 계속 설치하면서 데크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다. Afterwards, the second bottom plate can be installed on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in the same way as shown in FIGS. 8 to 9, and while repeating the process of FIGS. 8 to 10 while continuing to install the bottom plate in the first direction, a deck system can be formed. can
이상에서는 스톱퍼를 설치하여 바닥판을 안착시키는 데크 시스템의 실시예를 설명하고 있지만, 절곡부가 수평홈에 삽입되는 경로에는 여기서는 도시되지 않는 걸림턱 등의 이격 방지 구조가 설치되어 체결 후 상호 이격 및 해체가 어렵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런 경우, 스톱퍼를 형성하는 것은 생략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an embodiment of the deck system for seating the floor plate by installing a stopper has been described, but in the path where the bent part is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groove, a separation preventing structure such as a stumbling block not shown here is installed and mutually spaced apart and dismantled after fastening can be made difficult, and in this case, forming the stopper may be omitted.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프레임에 연결부재를 설치할 때 연결부재들이 적어도 1 방향으로 서로 밀착되게 설치되어 하나의 연결부재에 외력이 작용할 때 인접 연결부재로 힘이 전달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외력은 분산되는 효과를 가지며, 따라서 연결부재와 이 연결부재를 고정시키는 직결피스의 수를 줄이거나 강성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necting member is installed on the base frame, the connecting members are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at least one direction, so that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one connecting member, the force can be transmitted to the adjacent connecting member. As a result, the external force has an effect of dispersing, and thus it become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direct connecting pieces for fixing the connecting member or to reduce the rigidity.
이상에서는 한정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일 뿐 본원 발명은 이들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xamples.
따라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을 토대로 다양한 변경이나 응용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형례나 응용예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Accordingl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changes or application example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natural that such modifications or application examples belong to the appended claims.
100: 바닥판 110: 홈
111, 113: 수평홈 200: 연결부재
210: 돌기부 211: 철부
220: 직결피스 설치홀 230: 수직돌출부
231: 절곡부 240: 홈부
241: 요부 250: 스톱퍼(stopper)
300: 베이스프레임 310: 직결피스 100: bottom plate 110: groove
111, 113: horizontal groove 200: connecting member
210: protrusion 211: convex part
220: direct connection piece installation hole 230: vertical protrusion
231: bent 240: groove
241: recess 250: stopper (stopper)
300: base frame 310: direct connection piece
Claims (7)
상기 연결부재는 제1 방향으로 복수 개가 서로 밀착하여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시스템. In the deck system comprising a base frame, a connecting member fixed to the base frame by a fastening means, and a bottom plate detachably fixed to the connecting member,
The deck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he connecting member is continuously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접하는 하면과 상기 바닥판과 접하는 상면을 가진 플레이트형 본체와, 상기 상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뻗으면서 수직하게 돌출되는 수직돌출부와 상기 수직돌출부 상단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를 가지는 체결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판은 하면에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뻗는 홈을 가지되 상기 홈은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폭의 수직홈과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수직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바닥판을 상기 제1 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절곡부가 삽입될 수 있는 수평홈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on member includes a plate-shaped body having a low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base frame and an upp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bottom plate, a vertical protrusion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and vertically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rotrusion in the first direction Provided with a fastening protrusion having a bent portion to be bent,
The bottom plate has a groove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on a lower surface of the groove, the groove is a vertical groove having a width into which the fastening protrusion can be inserted,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groove. Deck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bottom plate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direction, it is formed by having a horizontal groove into which the bent part can be inserted.
상기 절곡부가 상기 수평홈에 삽입되는 경로에는 이격 방지 구조가 설치되어 상기 바닥판과 상기 연결부재의 체결 후 상호 이격 및 해체가 어렵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시스템.3. The method of claim 2,
A spaced prevention structure is installed in the path where the bent part is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groove, and the deck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fficult to separate and disassemble after the bottom plate and the connecting member are fastened.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제1 방향 일 측에는 상기 상면에서 위로 돌출된 스톱퍼가 구비되며,
상기 스톱퍼의 일 부분은 상기 절곡부가 상기 수평홈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바닥판이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바닥판의 상기 제1 방향 일 단부와 접하고,
상기 바닥판의 상기 제1 방향 타 단부는 상기 연결부재와 인접한 연결부재의 스톱퍼와 닿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시스템.3. The method of claim 2,
A stopper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in the first direction,
A portion of the stopper is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bottom plate in the first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bent part is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groove and the connection member and the bottom plate are fastened,
The other end of the first direction of the bottom plate deck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so as to contact the stopper of the connecting member adjacent to the connecting member.
상기 연결부재의 제1 방향의 두 단부는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한쌍을 이루는 형상부를 가져 베이스프레임 평면에서 서로 인접하게 설치된 두 연결부재를 서로 고정하는 역할을 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형성부에 이격 방지 구조가 설치되어 상기 인접하게 설치된 두 연결부재의 체결 후 상호 이격 및 해체를 억제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시스템.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two ends of the connecting member in the first direction have a pair of shape portions that are complementarily coupled to each other and serve to fix the two connecting members installed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plane of the base frame to each other, and the spaced prevention structure in the forming part Deck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to suppress the mutual separation and disassembly after the fastening of the two connecting members installed adjacently.
상기 수평홈은 상기 수직홈에서 상기 제1 방향의 역방향과 순방향 모두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을 상기 바닥판의 폭방향, 상기 제2 방향을 상기 바닥판의 길이 방향이라고 할 때 상기 바닥판은 상기 제2 방향으로 뻗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시스템.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horizontal groove is formed in both a reverse direction and a forward direction of the first direction in the vertical groove,
When the first direction is a width direction of the bottom plate and the second direction is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ttom plate, the bottom plate is symmetrical in the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a central axis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deck system with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제1 방향의 길이는 상기 바닥판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바닥판과 인접 바닥판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시스템.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length in the first direc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is formed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bottom plate deck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gap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adjacent bottom plat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8209A KR20220027393A (en) | 2020-08-27 | 2020-08-27 | deck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8209A KR20220027393A (en) | 2020-08-27 | 2020-08-27 | deck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27393A true KR20220027393A (en) | 2022-03-08 |
Family
ID=80812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08209A Ceased KR20220027393A (en) | 2020-08-27 | 2020-08-27 | deck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27393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68264B1 (en) * | 2023-04-07 | 2024-05-22 | 주식회사 푸르다산림조경 | device for deck connectio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2132B1 (en) | 2014-07-18 | 2015-02-11 | 주식회사 더우드 | Cushioning structure of wood floor deck |
KR102018701B1 (en) | 2017-08-23 | 2019-09-06 | (주)다정하이테크 | Clip for fixing deck |
-
2020
- 2020-08-27 KR KR1020200108209A patent/KR20220027393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2132B1 (en) | 2014-07-18 | 2015-02-11 | 주식회사 더우드 | Cushioning structure of wood floor deck |
KR102018701B1 (en) | 2017-08-23 | 2019-09-06 | (주)다정하이테크 | Clip for fixing deck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68264B1 (en) * | 2023-04-07 | 2024-05-22 | 주식회사 푸르다산림조경 | device for deck connec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59041B1 (en) | spacer for stripping beam deck | |
KR101855368B1 (en) | Deck supporting plate, deck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 of | |
KR200491809Y1 (en) | Check equipment for bridge | |
KR101302936B1 (en) | A deck assembly for a complex, a landscape, a park, a river, and a road | |
KR101511504B1 (en) | Stripping deck plate with reinforced conncted flexure function | |
KR102256356B1 (en) | Deck assembly | |
KR20200004560A (en) | Synthetic wood deck and construction method with improved durability by strengthening coupling structure | |
KR102369330B1 (en) | deck system | |
KR200459049Y1 (en) | the joiner of deck-plates | |
KR20220027393A (en) | deck system | |
KR101260667B1 (en) | Fixing structure of deck plate | |
KR20190037579A (en) | deck assembly | |
KR102083677B1 (en) | A PC connection structure comprising stepped engagement structure between a girder and an extension support part | |
KR102072043B1 (en) | Connection of compressed joint by post-tensioning between PC-column and PC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107438B1 (en) | Clip retaining member for fixing floor deck board | |
US20050115181A1 (en) | Modular flooring system with framed tiles | |
KR101537762B1 (en) | A panel and the manufacture method thereof and the construction method for structures using the panel | |
KR101772069B1 (en) | Deck Frame Assembly Structure | |
KR20220102798A (en) | Deck road stucture with joint members | |
KR101435004B1 (en) | Spacer for Deck Plate | |
KR101931904B1 (en) | A system of wood deck | |
KR20050102995A (en) | A floor assembly for connecting means | |
KR101084668B1 (en) | Monocell type expansion joint with excellent adhesion to concrete | |
KR101663825B1 (en) | Wood panel combination structure using magnet | |
KR102610792B1 (en) | Fastening assembly for deck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202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12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