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3595A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23595A KR20220023595A KR1020200105522A KR20200105522A KR20220023595A KR 20220023595 A KR20220023595 A KR 20220023595A KR 1020200105522 A KR1020200105522 A KR 1020200105522A KR 20200105522 A KR20200105522 A KR 20200105522A KR 20220023595 A KR20220023595 A KR 2022002359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ule
- hydrogen water
- holder
- refrigerator
- water modu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3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2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2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68 elect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431 hydrogen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435 hydrogen atom Chemical group [H]*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09 hydrophob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6—Disp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적이 최대화되고, 수소수 모듈의 효율이 극대화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in which the internal volume is maximized and the efficiency of the hydrogen water module is maximiz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소수 제조가 가능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내용적이 최대화되고, 수소수 모듈의 효율이 극대화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capable of producing hydrogen water, and to a refrigerator in which the internal volume is maximized and the efficiency of the hydrogen water module is maximized.
일반적으로 수소수는 높은 용존량으로 수소가 용해된 물을 가리키며, 수소수에 용존된 수소가 체내에 축적된 활성산소의 제거에 도움이 된다고 보고되고 있다.In general, hydrogen water refers to water in which hydrogen is dissolved with a high dissolved amount, and it is reported that hydrogen dissolved in hydrogen water helps to remove active oxygen accumulated in the body.
상기 수소수를 만드는 수소수 모듈에 관한 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2822호(특허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46077호(특허문헌 2) 등의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As a technology related to the hydrogen water module for making the hydrogen water,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92822 (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746077 (Patent Document 2), etc. are known technologies. there is.
통상 수소수 모듈은 물이 입수되는 입수구, 입수된 물에서 수소와 산소를 분리시키는 음(-) 전극부재와 양(+) 전극부재, 음(-) 전극부재와 양(+) 전극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물의 누출을 방지하는 격막으로 이루어진다.Usually, the hydrogen water module consists of an inlet through which water is obtained, a negative (-) electrode member and a positive (+) electrode member that separates hydrogen and oxygen from the obtained water, and between the negative (-) electrode member and the positive (+) electrode member. It consists of a diaphragm arranged to prevent water leakage.
수소수를 쉽게 음용할 수 있도록 수소수 모듈을 냉장고에 적용한 기술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35673호(특허문헌 3)에 공지된 것이 있다. There is one known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9-0135673 (Patent Document 3) as a technology in which a hydrogen water module is applied to a refrigerator so that hydrogen water can be easily drunk.
특허문헌 3은 저장공간과 제빙실이 구비되는 모듈본체, 손잡이가 형성된 도어에 구비되며 제빙실과 연결된 디스펜서, 디스펜서에 연결되어 급수될 물을 수소수로 만드는 수소수 모듈로 이루어진다.Patent Document 3 consists of a module body having a storage space and an ice-making chamber, a dispenser provided in a door having a handle and connected to the ice-making chamber, and a hydrogen water module connected to the dispenser to convert water to be supplied into hydrogen water.
이러한 수소수 모듈은 물을 사용하고 전기분해를 하는 특성상 사용되는 수질과 사용기간에 따라 소수수 모듈 내부의 상기 음(-) 전극부재, 양(+) 전극부재와 격막 사이에 물때나 스케일이 끼게 되고, 이로 인해 수소수 모듈의 전기분해 능력이 떨어지며 수소 용존량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This hydrogen water module uses water and performs electrolysis, so scale or scale may be caught between the negative (-) electrode member, the positive (+) electrode member and the diaphragm inside the hydrophobic water module depending on the quality of water used and the period of use due to the nature of the electrolysis. This causes a problem in that the electrolysis ability of the hydrogen water module is lowered and the efficiency of the dissolved amount of hydrogen is lowered.
한편 디스펜서는 통상 도어에 구비된다. 따라서 용존율이 높은 수소수를 공급하기 위해 수소수 모듈은 특허문헌 3과 같이 디스펜서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특허문헌 3은 수소수 모듈이 도어(13)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어 비전문가인 사용자가 수소수 모듈을 교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dispenser is usually provided in the door. Accordingly, in order to supply hydrogen water having a high solubility, the hydrogen water module is preferably installed in a position close to the dispenser as in Patent Document 3. However, in Patent Document 3, since the hydrogen water module is installed inside the door 13, it was difficult for a non-expert user to replace the hydrogen water module.
수소수 모듈은 냉장고의 내용적을 최대화 하기 위해 많은 구성들을 작은 공간에 수용시켜야 한다. 또한 수소수 모듈을 적용하면서도 냉장고의 심미성과 사용성과 서비스의 용이함도 있는 것이 좋다.Hydrogen water module must accommodate many components in a small space in order to maximize the internal volume of the refrigerator. In addition, it is good to have the aesthetics, usability, and serviceability of the refrigerator while applying the hydrogen water modul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소수 모듈의 교체 등의 조립성 및 서비스성이 향상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with improved assembly and serviceability such as replacement of a hydrogen water module.
또한, 본 발명은 내용적이 최대화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the internal volume is maximized.
또한, 본 발명은 수소수 모듈의 효율이 극대화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the efficiency of the hydrogen water module is maximized.
또한, 본 발명은 수소수 모듈이 보호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the hydrogen water module is protected.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급수탱크와 저장공간이 구비된 냉장고본체;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냉장고본체에 구비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일측에 구비되는 포켓; 상기 포켓의 하부에 결합되는 수소수 모듈;을 포함한다.A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refrigerator main body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tank and a storage space; a door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body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space; a pocke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oor; Includes; hydrogen modul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ocket.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상기 포켓과 상기 수소수 모듈 사이에 설치되는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소수 모듈은 상기 홀더에 결합된다.In addition,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holder installed between the pocket and the hydrogen water module, and the hydrogen water module is coupled to the holder.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상기 홀더의 하측에 모듈 수용홀이 형성되고, 상기 수소수 모듈은 상기 모듈 수용홀에 수용되어 상기 수소수 모듈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홀더의 내부에 위치된다.In addition, in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dule accommodating hole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holder, and the hydrogen water module is accommodated in the module accommodating hole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hydrogen water module is located inside the holder.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상기 수소수 모듈의 일부는 상기 모듈 수용홀보다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홀더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홀더로부터 돌출된 수소수 모듈의 일부가 수용되는 캡;을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ion of the hydrogen water module is located below the module accommodating hole,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holder, and a cap in which a part of the hydrogen water module protruding from the holder is accommodated; further includes do.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상기 도어의 타측에는 디스펜서가 구비되고, 상기 디스펜서와 상기 포켓과 상기 도어의 일측에 둘러싸인 측부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소수 모듈은 상기 측부 공간에 수용된다.In addition, in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enser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door, a side space surrounded by the dispenser, the pocket, and one side of the door is formed, and the hydrogen water module is accommodated in the side space.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상기 포켓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는 케이스홀이 형성되고, 상기 수소수 모듈에 연결된 호스와 전선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케이스홀을 거쳐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된다.In addition, in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cket includes a case and a cover installed inside the case, a case hole is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case, and at least a portion of a hose and an electric wire connected to the hydrogen water module It is accommodated inside the case through the case hole.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상기 포켓과 상기 수소수 모듈의 사이에 설치되는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홀은 상기 포켓의 하부에 결합되는 홀더와 연통되며, 상기 수소수 모듈에 연결된 호스와 전선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홀더 및 상기 케이스홀을 거쳐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된다.In addition,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holder installed between the pocket and the hydrogen water module, wherein the case hole communicates with a holder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pocket, and a hose connected to the hydrogen water module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electric wire is accommodated in the case through the holder and the case hole.
본 발명의 냉장고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은 도어의 상부 공간보다 작은 측부 공간에 수소수 모듈과 밸브와 호스, 전선 등의 관련 구성을 설치시킴으로써 냉장고의 내용적을 최대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nal volume of the refrigerator can be maximized by installing a hydrogen water module and related components such as a valve, a hose, and an electric wire in a side space smaller than the upper space of the door.
또한 본 발명은 모듈본체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헤드와 조립 및 분해시킬 수 있으므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모듈본체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물때나 스케일이 낀 전극부재, 격막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ssembled and disassembled with the head only by rotating the module body, the module body can be easily replaced without using a tool.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replace the electrode member and the diaphragm with scale or scale.
또한 본 발명은 수소수 모듈 및 밸브가 디스펜서의 측부에 위치되므로 취출구와 매우 가깝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용존도가 높은 수소수를 섭취할 수 있어 수소수 모듈의 효율이 극대화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ydrogen water module and the valve are located on the side of the dispenser, it is very close to the outlet. As a result, users can consume hydrogen water with high solubility,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the hydrogen water module.
또한 본 발명은 수소수 모듈은 헤드의 제1돌기가 홀더의 제1걸림홈에 삽입되는 간단한 구성만으로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수소수 모듈이 홀더에 상하좌우로 유동되지 않게 지지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ydrogen water module can be assembled with a simple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rst protrusion of the head is inserted into the first locking groove of the holder. Therefore, the hydrogen water module can be supported so as not to flow up, down, left and right in the holder.
또한 본 발명은 밸브의 제2돌기가 홀더의 제2걸림홈에 삽입되는 간단한 구성만으로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밸브는 홀더에 상하좌우로 유동되지 않게 지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ssembled only with a simple configuration in which the second protrusion of the valve is inserted into the second locking groove of the holder. Accordingly, the valve can be supported by the holder so that it does not flow up, down, left and right.
또한 본 발명은 수소수 모듈의 하부가 캡에 의해 보호되며, 캡을 홀더와 분리시키면 수소수 모듈의 하부가 노출되므로 수소수 모듈을 분리, 확인, 교체하기가 용이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part of the hydrogen water module is protected by a cap, and when the cap is separated from the holder, the lower part of the hydrogen water module is exposed, so it is easy to separate, check, and replace the hydrogen water modul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일 실시 예의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블록도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냉장실도어의 후측 사시도
도 3b는 냉장실도어의 후측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4는 포켓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홀더와 수소수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홀더와 수소수 모듈과 밸브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홀더 내부의 배치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 8은 밸브와 출수용 호스의 사시도
도 9는 밸브가 홀더에 지지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 10은 홀더의 사시도
도 11a는 수소수 모듈의 양측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b는 수소수 모듈의 조립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 12는 도 11a에 도시된 수소수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수소수 모듈의 분해 측면도와 헤드의 배면도
도 14는 헤드의 사시도
도 15는 전선홀과 그 주변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6은 모듈 수용홀을 보여주기 위한 홀더의 사시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홀더의 배면측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block diagram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shown in FIG. 1;
3b is a view for showing the rear side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cket;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older and the hydrogen water modul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older, the hydrogen water module, and the valv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inside the holder;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lve and a hose for outflow;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alve is supported by the holder;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lder;
1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both sides of a hydrogen water module;
11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ssembly state of the hydrogen water module;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ydrogen water module shown in FIG. 11A;
13 is an exploded side view of the hydrogen water module and a rear view of the head
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ead;
15 is a view for showing a wire hole and its surroundings;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lder for showing a module receiving hole;
17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holder shown in FIG. 16;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mo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for the same components as in the prior art, reference will be made to the above prior art, and a separat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referring to specific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lso include the plural forms unless the phrases clearly indicate the opposite. The meaning of "comprising," as used herein, specifies a particular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or component, and other specific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component, and/or group. It does not ex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촉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촉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ta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in contact with the other element, but it is understood tha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일 실시 예의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블록도이고,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냉장실도어(13a)의 후측 사시도이고, 도 3b는 상부 공간(20)과 측부 공간(30)을 보여주기 위한 도 1에 도시된 도어(13a)의 후측 사시도이고, 도 4는 포켓(7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홀더(500)와 수소수 모듈(1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홀더(500)와 수소수 모듈(100)과 밸브(V)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홀더(500) 내부의 배치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밸브(V)와 출수용 호스(363a, 363b)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밸브(V)가 홀더(500)에 지지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홀더(500)의 사시도이고, 도 11a(a), (b)는 수소수 모듈(100)의 양측을 각각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a), (b)는 도 11a의 (a),(b)에 도시된 수소수 모듈(1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b는 수소수 모듈(100)의 조립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3(a)는 수소수 모듈(100)의 분해 측면도이고, 도 13(b)는 헤드(300)의 배면도이고, 도 14의 (a), (b)는 헤드(300)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전선관홀(510)과 그 주변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16은 모듈 수용홀(520)을 보여주기 위한 홀더(500)의 부분 도면이고,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홀더(500)의 배면측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A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도 3a와 3b에서 A는 타측, B는 일측을 뜻한다.3A and 3B, A denotes the other side, and B denotes one side.
도 7의 수소수 모듈(100)의 단면과 도 11b의 수소수 모듈(100)의 단면은 다른 위치의 단면이다.The cross-section of the
도 2의 블록도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냉장고의 작동 예는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block diagram of FIG. 2 , an operation example of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우선, 급수원(50)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필터(60)를 통과하고, 방향전환밸브(70)의 제어에 의해 제빙실(15), 급수탱크(T)로 공급된다. 이때 물이 급수탱크(T)로 공급되면 수소수 모듈(100)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물은 수소수 모듈(100)이 작동되지 않으면 일반물로 디스펜서(D)에 공급되고, 수소수 모듈(100)이 작동되면 수소수가 되어 디스펜서(D)에 공급될 수 있다. 이때, 디스펜서(D)와 수소수 모듈(100) 사이에 설치된 밸브(V)를 통해 수소수 모듈(100)에서 디스펜서(D)로의 물/수소수의 공급이 제어될 수 있다.First, water supplied from the
한편, 도 2의 도시와 달리 상기 일반물은 수소수 모듈(100)을 통과하지 않고 곧바로 디스펜서(D)로 공급되게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unlike the illustrated in FIG. 2 , the general water may be supplied directly to the dispenser D without passing through the
이하에서는 도면을 토대로 본 실시 예의 냉장고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refrigerator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drawings.
본 실시 예의 냉장고는, 저장공간(S)과 급수탱크(T)가 구비된 냉장고본체(11); 냉장고본체(11)에 구비되는 제빙실(15), 급수탱크(T)와 연결되는 필터(60), 상기 저장공간(S)을 개폐하도록 상기 냉장고본체(11)에 구비되는 도어(13a,13b,14);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frigerator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상기 저장공간(S)은 냉장고본체(11)의 하측에 배치되는 냉동실(도면부호 미도시)과, 냉장고본체(11)의 상측에 배치되는 냉장실(도면부호 미도시)을 포함한다.The storage space S includes a freezing compartment (not shown) disposed below the
상기 도어(13a)는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14),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13a,13b)를 포함한다.The
본 실시 예의 냉장고는 상기 도어(13a)의 타측에 구비된 디스펜서(D); 상기 도어(13a)의 후면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디스펜서(D)의 상측에 위치되는 포켓(700); 상기 포켓(700)과 상기 디스펜서(D)의 일측과 상기 도어(13a)의 일측과 도어(13a)의 하측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측부 공간(30); 냉장고본체(11)의 일부에 결합되는 수소수 모듈(100); 양측이 상기 수소수 모듈(100)의 출수구(251)와 상기 디스펜서(D)의 취출구(DO)에 연결되며 상기 홀더(500)에 수용되는 밸브(V);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frigerator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dispenser (D)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door (13a); a
수소수 모듈(100)은 상기 급수탱크(T)와 상기 디스펜서(D)에 연결되어 상기 측부 공간(30)에 수용될 수 있다.The
상기 측부 공간(30)은 상기 디스펜서(D)와 상기 도어(13a)의 일측 사이에 형성되므로 상하측 및 후측이 개방될 수 있다.Since the
전술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포켓(700)과 상부 공간(20)보다 작은 측부 공간(30)에 수소수 모듈(100)과 밸브(V)와 입출수용 호스(363a,363b,373), 전선(223a,223b,430) 등의 관련 구성을 설치시킴으로써 냉장고의 내용적을 최대화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a
또한 측부 공간(30)은 하측과 후측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접근하는 것이 용이하다. 따라서 홀더(500)의 설치, 수소수 모듈(100)의 교체나 확인 등의 서비스가 용이하다.In addition, the
또한, 냉장실도어(13a)에는 도 3a의 도시와 같이 홀더(500)의 하측이 도어(13a)의 하측과 이격되어 빈 공간(31)이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빈 공간(31)을 통해 수소수 모듈(100)에 접근하기가 용이하므로 수소수 모듈(100)을 장착, 교체하는 것이 용이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A , the lower side of the
본 발명은 수소수 모듈(100)과 밸브(V)가 홀더(500)에 수용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충격으로부터 보호되고 심미성이 좋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한편, 본 실시예에서 디스펜서(D)는 도 1의 도시를 기준으로 좌측의 냉장실 도어(13a)에 마련된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penser D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구체적으로 디스펜서(D)에는 레버 등과 같은 조작부(도면부호 미도시)와 취출구(DO)와 얼음통로(DI) 등이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취출구(DO)에서 급수탱크(T)의 물, 상기 물로 제조된 수소수 또는 상기 얼음을 취출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ispenser D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unit such as a lever (not shown), an outlet DO, an ice passage DI, and the like. Accordingly, the user may take out th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tank T, the hydrogen water prepared from the water, or the ice from the outlet DO by operating the manipulation unit as needed.
상기 얼음통로(DI)는 제빙실(15)의 얼음이 상기 취출구(DO)로 취출되기 위해 통과하는 통로이다. 도 3a의 도시와 같이 얼음통로(DI)는 디스펜서(D)의 후측(DB)이자 도어(13a)의 후측에 구비된다. The ice passage DI is a passage through which ice in the
상기 디스펜서(D)의 후측(DB)은 제1도어(13a)의 후측이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제1도어(13a)의 후측에는 디스펜서(D)의 후측(DB)의 상부와 측부에 상부 공간(20)과 측부 공간(30)이 각각 형성된다.The rear side DB of the dispenser D is provided so that the rear side of the
디스펜서(D) 양측의 폭은 도어(13a) 양측의 폭의 대략 2/3이다. 따라서 측부 공간(30)은 상부 공간(20)에 비해 비교적 작은데, 측부 공간(30)에 수소수 모듈(100)과 관련된 많은 구성들을 장착함으로써 냉장고의 내용적이 최대화된다.The width of both sides of the dispenser D is approximately 2/3 of the width of both sides of the
한편, 상기 상부 공간(20)에는 상기 포켓(700)이 수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포켓(700)은 사용자가 화장품 등의 물건을 담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The
포켓(700)의 하측에 수소수 모듈(100)과 밸브(V) 및 디스펜서(D)가 위치될 수 있다. 수소수 모듈(100)은 포켓(70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A
상기 포켓(700)은 케이스(710)와, 상기 케이스(710)의 내측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730), 상기 커버(730)와 상기 케이스(710)의 하측과 커버(730)와 후술될 지지턱(713)에 둘러싸인 설치 공간(731)을 포함할 수 있다.The
도 3a의 도시와 같이, 케이스(710)의 전측 일부는 도어(13a)의 후면 일측에 형성된 포켓홈(21)에 수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A , a portion of the front side of the
케이스(710)는 일측 일부와 후측이 개방될 수 있다.The
케이스(710)는 하측이 분리 가능한 하측케이스(711)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하측케이스(711)는 상면이 오목한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하측케이스(711)의 상면 테두리에는 상기 지지턱(713)이 형성될 수 있다.The
지지턱(713)에는 상기 커버(730)가 얹혀질 수 있다. 따라서 하측케이스(711)와 지지턱(713)과 커버(730)에 둘러싸인 설치 공간(731)이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커버(730)는 물건을 올려놓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The
도 4의 도시와 같이 커버(730)에는 손잡이(도면부호 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a handle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한편, 상기 케이스(710)의 하측인 하측케이스(711)에는 케이스홀(711a,711b,711c)이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case holes 711a , 711b , and 711c may be formed in the
상기 케이스홀(711a,711b,711c)은 하측케이스(711)의 하판에 상하로 관통되어 형성된다.The case holes 711a, 711b, and 711c are vertically penetrating through the lower plate of the
상기 케이스홀(711a,711b,711c)은 상측과 하측이 각각 상기 설치 공간(731)과 상기 홀더(500)의 내부(501)와 연통된다.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ase holes 711a, 711b, and 711c communicate with the
상기 수소수 모듈(100)에 연결된 모듈용 전선(223a,223b)의 일부와 호스들(363b, 373)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케이스홀(711a,711b,711c)을 거쳐 상기 케이스(7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예에서 모듈용 전선(223a,223b)의 적어도 일부와 밸브용 전선(430)의 적어도 일부와 디스펜서용 호스(D1)와 탱크용 호스(T1)의 적어도 일부는 설치 공간(731)에 수용될 수 있다.A portion of the module wires (223a, 223b) connected to the
도 4의 도시와 같이 케이스홀(711a,711b,711c)은 3개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스홀(711a,711b,711c)은 후술될 제2출수용 호스(363b)와 전선관(225)과 모듈용 전선(223a,223b)과 밸브용 전선(430)이 관통하는 제1홀(711a), 후술될 입수용 호스(373)가 관통하는 제2홀(711b), 후술될 탱크용 호스(T1)와 디스펜서용 호스(D1)의 일부가 관통하는 제3홀(711c)이 형성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4 , the case holes 711a, 711b, and 711c may be divided into three. Specifically, the case holes 711a, 711b, and 711c are a first hole through which a second
한편, 케이스홀(711a,711b,711c) 중 제1홀(711a)은 포켓(700)의 하부에 결합되는 홀더(500)와 연통될 수 있다.Meanwhile, the
모듈용 전선(223a,223b)은 설치 공간(731)에서 도어(13a)에 배치된 전선(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The
또한 도어(13a)에 배치된 전선(미도시)은 설치 공간(731)에서 후술될 밸브용 전선(430)과도 연결될 수 있다.Also, an electric wire (not shown) disposed on the
상기 도어(13a)에 배치된 전선(미도시)에는 전원(미도시)이 연결되므로 수소수 모듈(100)이 작동될 수 있다.Since a power source (not shown) is connected to an electric wire (not shown) disposed on the
한편 상기 탱크용 호스(T1)는 입수용 호스(373)를 급수탱크(T)와 연결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탱크용 호스(T1)는 급수탱크(T)에 연결되되 냉장고본체(11)를 거쳐 도 3b의 도시와 같이 도어(13a)의 상단으로 연장되고 도어(13a)의 내부로 유입되어 설치 공간(731)까지 연장되고, 도 4의 도시와 같이 설치 공간(731)에서 입수용 호스(373)와 연결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hose for the tank (T1) may connect the
상기 디스펜서용 호스(D1)는 제2출수용 호스(363b)를 디스펜서(D)와 연결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펜서용 호스(D1)는 디스펜서(D)에서 포켓(700)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제3홀(711c)을 통해 설치 공간(731)까지 연장되고, 도 4의 도시와 같이 설치 공간(731)에서 제2출수용 호스(363b)와 연결될 수 있다. The dispenser hose (D1) may connect the second water outlet hose (363b) to the dispenser (D). Specifically, the dispenser hose (D1) extends from the dispenser (D) to the lower side of the
이와 같이 포켓(700)은 상기 케이스홀(711a,711b,711c)을 이용해 수소수 모듈(100)과 관련된 구성들을 수용할 수 있으므로 물건 수용 외에도 활용도가 좋다. As such, the
또한 수소수 모듈(100)과 관련된 구성들은 포켓(700)과 홀더(500)에 가려져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파손 위험이 적다.In addition, the components related to the
한편, 케이스(710)에는 상기 개방된 일측 일부와 후측을 개폐하기 위한 케이스도어(720)가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측부 공간(30)에 수용되고 상기 포켓(700)의 하측에 설치되는 홀더(500);를 더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ccommodated in the
홀더(500)는 디스펜서(D)의 측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홀더(500)는 상기 포켓(700)과 상기 수소수 모듈(10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홀더(500)에 수용된 수소수 모듈(100) 및 밸브(V)는 디스펜서(D)의 측부에 위치되므로 취출구(DO)와 매우 가깝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용존도가 높은 수소수를 섭취할 수 있어 수소수 모듈(100)의 효율이 극대화된다.The
상기 홀더(500)는 하측이 개방되어 상기 수소수 모듈(100)이 수용되는 모듈 수용홀(520)이 형성된다.The
구체적으로, 모듈 수용홀(520)은 홀더(500)의 후측 하면에 수소수 모듈(100)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Specifically, the module
모듈 수용홀(520)은 상측이 홀더(500)의 내부(501)와 연통되고 하측이 홀더(500)의 외부와 연통된다.The module
상기 수소수 모듈(100)은 상기 모듈 수용홀(520)에 수용되며 적어도 일부인 상측은 상기 홀더(500)의 내부(501)에 위치된다. 또한 수소수 모듈(100)의 나머지 일부인 하측은 상기 모듈 수용홀(520)보다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홀더(500)의 외부에 돌출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냉장고는, 홀더(500)의 외부에 돌출된 수소수 모듈(100)의 일부인 하측이 수용되는 캡(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캡(600)을 홀더(500)와 분리시키면 수소수 모듈(100)의 하부가 노출되므로 수소수 모듈(100)을 분리, 확인, 교체하기가 용이하다.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수소수 모듈(100)은 홀더(500)와 캡(600)에 보호되므로 파손될 가능성이 낮다.Since the
상기 캡(600)은 상기 홀더(5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The
홀더(500)의 하측에는 캡(600)이 설치되는 캡설치부(540)가 형성될 수 있다.A
캡설치부(54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541)가 형성될 수 있다.A
캡(600)의 외주면에는 상기 암나사(541)와 체결되는 수나사(64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캡(600)은 캡설치부(540)와 체결되면 홀더(500)에 고정될 수 있다.A
한편, 도 7, 10, 15, 16의 도시와 같이 상기 홀더(500)에는 상기 모듈 수용홀(520)의 일부를 형성하는 모듈 지지벽(530)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7, 10, 15, and 16, the
모듈 지지벽(530)은 관 형상이다. The
상기 모듈 지지벽(530)의 양측에는 제1걸림홈(533)이 형성된다.First locking
상기 수소수 모듈(100)의 양측에 상기 제1걸림홈(533)에 삽입되는 제1돌기(310)가 형성된다. 따라서 수소수 모듈(100)은 제1돌기(310)가 홀더(500)의 제1걸림홈(533)에 삽입되는 간단한 구성만으로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수소수 모듈(100)이 홀더(500)에 상하좌우로 유동되지 않게 지지될 수 있다.A
상기 수소수 모듈(100)은 상기 모듈 수용홀(520)에 수용되는 모듈본체(200)와, 하측이 상기 모듈본체(200)와 결합되는 헤드(300)를 포함한다.The
모듈본체(200)는 내부에 전극부재(211a,211b)가 수용되는 공간(211)을 갖는다.The
헤드(300)는 입수용 호스(373)에 의해 상기 급수탱크(T)와 연결되고 출수용 호스(363a, 363b)에 의해 상기 디스펜서(D)에 연결된다.The
도 11a, 12의 도시와 같이 상기 제1돌기(310)는 상기 헤드(30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11A and 12 , the
도 16의 도시와 같이 상기 제1걸림홈(533)은 상기 모듈 지지벽(530)의 양측이 각각 관통되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16 , the
모듈 지지벽(530)의 양측에는 제1걸림홈(533)이 형성되는 걸림편(531)과, 걸림편(531)의 양측에 제1절개부(535)가 형성된다. On both sides of the
상기 제1절개부(535)에 의해 걸림편(531)이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다. 따라서 헤드(300)를 모듈 지지벽(53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밀어 넣으면 제1돌기(310)와 접촉된 걸림편(531)이 외측으로 벌어지고, 제1돌기(310)가 제1걸림홈(533)으로 삽입되고, 벌어진 걸림편(531)이 원상복귀되어 헤드(300)와 홀더(500)가 결합된다. 따라서 수소수 모듈(100)은 홀더(500)와 제1돌기(310)와 제1걸림홈(533)만으로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헤드(300)의 결합 및 분리시 공구가 필요하지 않아 편리하다.The
한편, 도 7, 16, 17의 도시와 같이 홀더(500)에는 헤드(300)가 지지될 수 있는 헤드지지편(537)이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s 7, 16, 17, the
헤드지지편(537)은 헤드(300)의 진입거리를 한정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The
헤드지지편(537)은 캡설치부(540)와 모듈 지지벽(530)과 함께 모듈 수용홀(520)을 형성한다.The
헤드지지편(537)은 홀더(500)의 후측 내면에 연결될 수 있다. The
헤드지지편(537)은 캡설치부(540)의 상단과 연결될 수 있다.The
모듈 지지벽(530)은 헤드지지편(537)의 일지점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모듈 지지벽(530)은 상기 홀더(500)의 내면과 일정 간격 이격된다.The
헤드지지편(537)은 원형 띠 형상이되, 도 16, 17의 도시와 같이 전측 중앙이 절개될 수 있다.The
한편, 도 15 내지 17의 도시와 같이 상기 모듈 수용홀(520)은 상기 모듈용 전선(223a,223b)들이 수용된 전선관(225)이 관통하는 전선관홀(510)을 포함한다. 따라서 모듈용 전선(223a,223b)은 전선관홀(510) 내에 위치되므로 크게 흔들리지 않아 수소수 모듈(100)에 안정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15 to 17 , the module
상기 전선관홀(510)은 모듈 지지벽(530)과 헤드지지편(537)과 캡설치부(54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듈 지지벽(530)에는 절개된 전측 중앙의 양측에 가림편(511)이 형성된다. 가림편(511)은 모듈 지지벽(530)과 헤드지지편(537)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전선관홀(510)은 양측의 가림편(511) 사이의 공간과, 헤드지지편(537)의 절개된 전측 중앙과, 후술될 캡설치부(540)의 절개된 전측 중앙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한편, 도 7, 9의 도시와 같이 상기 밸브(V)는 홀더(500)의 내부(501) 전측에 수용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7 and 9 , the valve V may be accommodated in the front side of the inside 501 of the
도 8의 도시와 같이 밸브(V)에는 작동을 위한 밸브용 전선(430)이 연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 a
밸브(V)는 수소수 모듈(100)과 연통된 밸브유입부(410)와, 밸브유입부(410)와 디스펜서(D)에 연통되는 밸브유출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유출부(420)는 밸브유입부(4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valve V may include a
본 발명은 상기 밸브(V)와 결합되는 브라켓(4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라켓(411)은 밸브유입부(410)와 밸브유출부(420)가 모두 결합된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브라켓(411)에는 밸브유출부(420)의 상측과 양측을 둘러싸는 보호체(421)가 설치된다.The
브라켓(411)은 상기 홀더(500)에 지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브라켓(411)의 양측 각각에 제2돌기(411a)가 형성된다. The
도 8의 도시와 같이 제2돌기(411a)는 밸브유입부(410)의 양측 및 보호체(421)의 양측보다 외측에 위치된다.As shown in FIG. 8 , the
한편, 상기 홀더(500)의 내측에는 상기 브라켓(411)이 지지되는 밸브지지부(55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밸브지지부(550)는 홀더(500)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Meanwhile, a
밸브지지부(550)에는 상기 제2돌기(411a)가 삽입되는 제2걸림홈(553)이 형성된다.A
상기 제2걸림홈(553)은 상기 밸브지지부(550)의 양측이 각각 관통되어 형성된다.The
전술된 구성을 통해 밸브(V)와 홀더(500)는 최소한으로 접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밸브(V)는 제2돌기(411a)만 홀더(500)의 밸브지지부(550)에 접촉될 수 있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valve V and the
이로 인해 밸브(V)는 제2돌기(411a)가 홀더(500)의 제2걸림홈(553)에 삽입되는 간단한 구성만으로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밸브(V)는 홀더(500)에 상하좌우로 유동되지 않게 지지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valve V can be assembled with a simple configuration in which the
밸브지지부(550)는 제2걸림홈(553)이 형성되는 밸브지지편(551)과, 밸브지지편(551)의 전후측과 홀더(500)의 내면에 연결되는 연결편(555a, 555b)을 포함할 수 있다.The
연결편(555a, 555b)은 밸브지지편(551)의 전측에 연결되는 전측 연결편(555a), 밸브지지편(551)의 후측에 연결되는 후측 연결편(555b)을 포함할 수 있다.The
한편 헤드(500)에는 밸브지지편(551)의 상측을 둘러싸는 제2절개부(557)가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a
제2절개부(557)는 도 10,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500)의 양측판의 일부가 절개되고, 연결편(555a, 555b)과 밸브지지편(551) 사이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0 and 17, the second cut-out
상기 제2절개부(557)에 의해 밸브지지편(551)의 상측과 연결편(555a,555b)의 상측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밸브지지편(551)의 상측이 켄틸레버 형태가 될 수 있다.The upper side of the
한편, 밸브유출부(420)는 양측의 밸브지지부(550) 사이에 위치된다. 즉 밸브유출부(420)는 홀더(500)의 전측에 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밸브유입부(410)는 밸브지지부(550)와 수소수 모듈(100) 사이에 위치된다. 즉 밸브유입부(410)는 대략 홀더(50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The
한편, 상기 모듈본체(200)는 상기 전극부재(211a,211b)와 물/수소수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211)을 형성하는 몸통(210)과, 상기 몸통(210)의 상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몸통의 공간(211)과 연통되는 출수부(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몸통(210)은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The
몸통(210)은 하부가 개방되어 있다.The
몸통(210)의 하부에 전극부재(211a,211b)가 배치될 수 있다. 전극부재(211a,211b)는 음(-) 전극부재(211a)와 양(+) 전극부재(21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전극부재(211a,211b)는 모듈용 전선(223a,223b)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듈용 전선(223a,223b)들은 음(-) 전극부재(211a)와 연결되는 음(-)전선(223a)과, 양(+) 전극부재(211b)와 연결되는 양(+)전선(223b)을 포함할 수 있다.The
몸통(210)의 하부에는 음(-)전선(223a)과 양(+)전선(223b)이 각각 통과하는 음(-)전선홀(227a)과 양(+)전선홀(227b)이 형성될 수 있다. A negative (-)
몸통(210)의 외부에 배치된 음(-)전선(223a)과 양(+)전선(223b)은 상기 전선관(225)에 수용될 수 있다.The negative (-)
전술된 구성을 통해 도 15의 도시와 같이, 상기 모듈용 전선(223a,223b)은 음(-)전선홀(227a)과 양(+)전선홀(227b), 캡(600)의 내부, 상기 전선관홀(510)과 상기 홀더(500)의 내부(501)를 거쳐 상기 설치 공간(731)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모듈용 전선(223a,223b)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15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몸통(210)의 상부에는 상기 출수구(251)와, 출수구(251)를 중심으로 방사상의 입수구(261)들이 형성될 수 있다.The
입수구(261)는 급수탱크(T)의 물이 몸통(210)의 공간(211)에 유입되는 통로다.The
출수구(251)는 몸통(210)의 공간(211)과 연통되며, 몸통의 공간(211)에서 제조된 수소수가 배출되는 통로다.The
출수구(251)는 몸통(210)의 상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출수부(250)에 형성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출수구(251)는 몸통(210) 상측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한편, 수소수 모듈(100)에 연결되는 호스(363a, 373)는 일부가 홀더(500)와 설치 공간(731)에 수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ortion of the
상기 호스(363a, 373)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출수구(251)와 연통되는 제2출수용 호스(363b)와, 입수구(261)와 연통되는 입수용 호스(373)가 있다.As shown in FIG. 4 , the
입수용 호스(373)와 출수용 호스(363a, 363b)는 헤드(300)에 연결될 수 있다. The hose for
헤드(300)는 모듈본체(200)가 삽입될 수 있게 하부가 개방된다.The lower part of the
헤드(300)의 상부는 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An upper portion of the
헤드(300)에는 출수부(250)가 삽입되는 삽입부(360)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360)는 헤드(300)의 상측 내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부(360)는 출수부(250)와 함께 모듈본체(200)와 헤드(300)의 조립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An
한편, 수소수 모듈(100)에는 입수구(261)로 입수되는 물이 통과하는 통로(201)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로(201)는 헤드(300)의 상부와 삽입부(360)와 출수부(250)와 몸통(210)의 상부에 둘러싸여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한편, 헤드(300)의 상부는 출수호스연결관(361)과, 입수호스연결관(371)이 각각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portion of the
출수호스연결관(361)은 헤드(300)의 상부의 중앙 부근에 형성될 수 있다.The water outlet
입수호스연결관(371)은 출수호스연결관(361)의 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입수호스연결관(371)은 헤드(300)의 상부의 측부의 일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The intake
출수호스연결관(361)과 입수호스연결관(371)에는 도 12의 도시와 같이 물/수소수의 흐름 방향과 대응되는 형상의 화살표(WO, WI)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출수용 호스(363a, 363b)와 입수용 호스(373)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Arrows (WO, WI)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low direction of water / hydrogen water as shown in FIG. 12 may be formed in the outflow
출수용 호스(363a, 363b)는 출수호스연결관(361)의 상측과 밸브유입부(410)의 상측에 연결되는 제1출수용 호스(363a)와, 밸브유출부(420)의 하측과 디스펜서(D)에 연결된 제2출수용 호스(363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전술된 구조를 통해, 급수탱크(T)의 물은 입수용 호스(373)와 상기 통로와 입수구(261)를 거쳐 몸통(21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물은 전극부재(211a,211b)에 의해 전기분해되어 수소수로 형성된 후 출수구(251)와 출수용 호스(363a, 363b)와 밸브(V)와 디스펜서(D)의 취출구(DO)를 거쳐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water in the water supply tank (T) can be introduced into the
한편, 도 6의 도시와 같이 홀더(500)에는 상판(560)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6 , a
상판(560)을 통해 홀더(500)가 케이스(710)에 지지될 수 있다.The
상판(560)은 홀더(500)의 상단 둘레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The
상판(560)에는 복수의 체결공(561)과 후크(563)가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예를 들어, 상기 후크(563)를 케이스(710)의 홈(미도시)에 걸어 홀더(500)와 케이스(710)를 지지시킨 후, 볼트를 체결공(561)과 케이스(710)에 일체로 체결시켜 홀더(500)와 케이스(710)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시킬 수 있다.For example, after the
한편, 도어(13a)의 측부에는 회전바(18)가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a rotating
회전바(18)는 포켓(700)과 홀더(500)의 측부에는 양측의 도어(13a)의 틈 사이로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홀더(500)는 회전바(18), 회전바(18)가 설치된 도어(13a)의 측부, 포켓(700), 디스펜서(D)에 둘러싸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The rotating
한편, 도 13(a)의 도시와 같이 몸통(210)에는 걸림부(230)에 연결된 복수의 보강리브(241)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3A , a plurality of reinforcing
보강리브(241)는 걸림부(230)처럼 몸통(210)의 외주면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보강리브(241)는 폭보다 상하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보강리브(241)는 걸림부(230)의 하단과 띠형리브(243)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띠형리브(243)는 몸통(210)의 외주면 중앙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band-shaped
한편, 상기 출수부(250)와 상기 삽입부(360) 사이에 제1패킹(253)이 위치될 수 있다.Meanwhile, a
구체적으로, 도 13(a)의 도시와 같이 삽입부(360)에는 제1패킹(253)이 설치되는 제1패킹홈(도면부호 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3A , a first packing groove (not shown) in which the
제1패킹(253)은 내측과 외측이 각각 출수부(250)와 삽입부(360)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출수부(250)와 삽입부(360) 사이의 누수가 방지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몸통(210)과 상기 헤드(300) 사이에 제2패킹(263)이 위치될 수 있다.Also, a
구체적으로, 도 13(a)의 도시와 같이 몸통(210)의 상측에는 제2패킹(263)이 설치되는 제2패킹홈(도면부호 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3( a ), a second packing groove (not shown) in which the
제2패킹(263)은 내측과 외측이 각각 몸통(210)과 헤드(300)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몸통(210)과 헤드(300) 사이의 누수가 방지될 수 있다.The
본 발명은 제1패킹(253), 제2패킹(263)에 의해 수소수 모듈(100) 내에서의 누수가 방지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leakage in the
한편, 상기 음 전극부재(211a)와 상기 양 전극부재(211b) 사이에 격막(도면부호 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a diaphragm (not shown) may be disposed between the
한편, 캡(600)에는 디자인을 위해 인쇄, 도금 등이 추가될 수 있다.Meanwhile, printing, plating, etc. may be added to the
------ 모듈본체(200)와 헤드(300)의 조립과 관련된 설명 ------------- Description related to the assembly of the
상기 헤드(300)의 내주면 하측에는 상기 피걸림부(330)와 연결되는 조립가이드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An
도 12 내지 14의 도시와 같이 상기 헤드(300)에는 상기 조립가이드부(320)의 양측에 피걸림부(330)가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2 to 14 , the
모듈본체(200)에는 조립가이드부(320)에 대응되는 걸림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A locking
걸림부(230)는 상기 모듈본체(200)에는 도 11b의 도시와 같이 수소수 모듈(100)이 조립되면 상기 피걸림부(330)에 조립, 즉 삽입될 수 있다. When the
전술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수소수 모듈(100)은, 도 14의 화살표 B와 같이 모듈본체(200)를 헤드(300)에 삽입시킨 후 회전시키면 도 11b의 도시와 같이 걸림부(230)가 피걸림부(330)에 삽입되어 모듈본체(200)와 헤드(300)의 조립이 완료될 수 있다.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수소수 모듈(100)은 모듈본체(200)가 조립될 위치를 맞추고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모듈본체(200)와 헤드(300)가 조립/분리될 수 있으므로 비전문가인 사용자도 모듈본체(20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또한, 모듈본체(200)를 교체할 때 공구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교체 등의 조립성 및 서비스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물때나 스케일이 낀 전극부재(211a,211b), 격막(도면부호 미도시)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용존량이 높은 수소수를 공급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no tools are required when replacing the
한편, 도 11a, 12의 도시와 같이 상기 조립가이드부(320) 및 상기 피걸림부(330)는 상기 헤드(300)의 양측에 1 개씩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230)는 피걸림부(330)에 조립되도록 모듈본체(200)의 외주면 양측에 1 개씩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헤드(300)와 모듈본체(200)간에 조립성이 향상되고, 조립되면 좌우로 유동이 방지되어 조립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11A and 12 , the
걸림부(230)는 몸통(210)의 외주면 상단과 중앙 사이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locking
도 13의 도시를 기준으로 걸림부(230)의 오른쪽 하측은 제1경사면(231)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230)의 왼쪽 상측은 제2경사면(232)으로 형성될 수 있다. 13 , the lower right side of the locking
수소수 모듈(100)의 조립시, 제1경사면(231)이 제2경사면(232)보다 먼저 헤드(300)와 조립된다.When assembling the
도 14의 도시와 같이 제1경사면(231)과 제2경사면(232)은 조립 방향(도14의 화살표 A)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 the first
한편, 도 13, 14의 도시와 같이 조립가이드부(320)는 제1조립가이드면(321)과, 제1스토퍼(323), 가이드내면(32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13 and 14 , the
제1조립가이드면(321)은 헤드(300)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제1조립가이드면(321)은 상측으로 갈수록 피걸림부(330)측으로 경사진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립가이드부(320)는 적어도 일부인 제1조립가이드면(321)이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조립가이드면(321)은 헤드(300)의 중심축에 대해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수소수 모듈(100)의 조립시 제1조립가이드면(321)에 제2경사면(232)이 접촉됨으로써 모듈본체(200)가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다.When the
제1스토퍼(323)는 헤드(300)의 내주면에서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1스토퍼(323)는 헤드(300)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The
가이드내면(325)은 제1조립가이드면(321)의 상측과 피걸림부(330)의 제1스토퍼(323)에 연결될 수 있다.The guide
가이드내면(325)은 헤드(300)의 내주면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The guide
가이드내면(325)은 피걸림부(330)의 측부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4(a)를 기준으로 가이드내면(325)은 피걸림부(330)의 우측에 위치될 수 있다.The guide
도 14(a)의 도시와 같이, 조립가이드부(320)에 의해 헤드(300)의 내주면에 오목한 부분(327)이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4( a ), a
헤드(300)에는 걸림부(230)가 지지되는 돌출형지지부(35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걸림부(330)에 삽입된 걸림부(230)는 도 11b의 도시와 같이 돌출형지지부(350)의 상면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형지지부(350)의 상면은 피걸림부(330)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The
돌출형지지부(350)는 헤드(300)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protruding
도 14를 기준으로 돌출형지지부(350)의 우측은 제2조립가이드부(351)로 이루어질 수 있다.14 , the right side of the protruding
도 14를 기준으로 제2조립가이드부(351)는 가이드내면(325)의 좌측에 위치될 수 있다.14 , the second
제2조립가이드부(351)는 도 14의 화살표 A 방향, 즉 모듈본체(200)의 조립 방향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조립가이드부(351)의 두께는 모듈본체(200)의 조립 방향으로 갈수록 두꺼워질 수 있다. The second
한편, 도 12 내지 도 14의 도시와 같이 피걸림부(330)는 제1돌기(310)와 헤드(300)의 하단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12 to 14 , the caught
상기 피걸림부(330)는 상기 헤드(300)가 측방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caught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걸림부(330)는 상기 돌출형지지부(350)의 상면, 돌출형지지부(350)의 상측에 이격되게 위치된 제2스토퍼(340), 돌출형지지부(350)의 측부에 연결된 경사면(331), 제2스토퍼(340)의 측부에 연결되며 경사면(331)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측면(333)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 the caught
돌출형지지부(350)의 상면과 제2스토퍼(340)는 서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들과 대응되게 걸림부(230)의 상면과 하면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소수 모듈(100)의 조립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ding
제2스토퍼(340)는 제1스토퍼(323)와 연결되어 걸림부(23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The
제2스토퍼(340)는 제1스토퍼(323)와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The
모듈본체(200)와 헤드(300)의 안정적인 조립을 위해, 피걸림부(330)의 경사면(331)은 걸림부(230)의 제1경사면(231)과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For stable assembly of the
피걸림부(330)의 측면(333)은 상하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도 13(a)의 도시와 같이 수소수 모듈(100)을 측방에서 볼 때, 피걸림부(330)의 측방향 길이는 걸림부(230)의 측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When the
이하에서는 모듈본체(200)와 헤드(300)의 조립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a method of assembling the
우선, 모듈본체(200)를 헤드(300)의 하측에서 상방으로 삽입시킨다. 이때 걸림부(230)를 조립가이드부(320)의 하측, 즉 상기 오목한 부분(327)에 삽입시킨다.First, the
이후, 걸림부(230)가 제1,2스토퍼(323,340)에 걸려 피걸림부(330)가 서로의 측부에 위치될 때까지 모듈본체(200)를 조립 방향(도 14의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과정에서 제1경사면(231)이 제2조립가이드부(351)와 접촉되고, 제2경사면(232)이 제1조립가이드면(321)과 접촉될 수 있으므로 모듈본체(200)가 보다 용이하게 나선형으로 회전될 수 있다. After that, the
이후, 모듈본체(200)를 더 회전시키면 걸림부(230)의 일부가 돌기걸림부(230)에 삽입되어 모듈본체(200)와 헤드(300)의 조립이 완료될 수 있다.After that, when the
이와 같이 모듈본체(200)와 헤드(300)의 조립이 완료되면 걸림부(230)가 돌출형지지부(350)의 상면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230)의 일부만 피걸림부(330)에 삽입되고, 걸림부(230)의 나머지는 조립가이드부(320)에 의해 형성된 상기 오목한 부분(327)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230)의 나머지는 도 12를 기준으로 제2경사면(232)을 포함하는 왼쪽의 일부를 뜻하며, 도 11a의 도시와 같이 상기 오목한 부분(327)에 수용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assembly of th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vary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t can be implemented by changing or modifying it.
**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3a : 냉장실도어
15 : 제빙실
20 : 상부 공간
21 : 포켓홈
30 : 측부 공간
31 : 빈 공간
50 : 급수원
60 : 필터
100 : 수소수 모듈
200 : 모듈본체
210 : 몸통
211a,b : 전극부재
223a,b : 전선
225 : 전선관
227a,b : 전선홀
230 : 걸림부
231 : 제1경사면
233 : 제2경사면
251 : 출수구
253 : 제1패킹
261 : 입수구
300 : 헤드
310 : 제1돌기
320 : 조립가이드부
321 : 제1조립가이드면
325 : 가이드내면
330 : 피걸림부
323 : 제1스토퍼
340 : 제2스토퍼
350 : 돌출형지지부
352 : 제2조립가이드부
360 : 삽입부
363a,b : 출수용 호스
373 : 입수용 호스
411 : 브라켓
411a : 제2돌기
421 : 보호체
430 : 밸브용 전선
500 : 홀더
510 : 전선관홀
520 : 모듈 수용홀
530 : 모듈 지지벽
533 : 제1걸림홈
540 : 캡설치부
541 : 암나사
550 : 밸브지지부
553 : 제2걸림홈
600 : 캡
641 : 수나사** DESCRIPTION OF MAIN SYMBOLS **
13a: refrigerator door 15: ice making room
20: upper space 21: pocket groove
30: side space 31: empty space
50: water source 60: filter
100: hydrogen water module 200: module body
210:
223a,b: wire 225: conduit
227a,b: wire hole 230: locking part
231: first inclined surface 233: second inclined surface
251: outlet 253: first packing
261: inlet 300: head
310: first projection 320: assembly guide part
321: first assembly guide surface 325: guide inner surface
330: blood caught part 323: first stopper
340: second stopper 350: protruding support part
352: second assembly guide part 360: insertion part
363a,b: hose for water outlet 373: hose for water intake
411:
421: protective body 430: electric wire for valve
500: holder 510: conduit hole
520: module receiving hole 530: module support wall
533: first locking groove 540: cap installation part
541: female thread 550: valve support part
553: second locking groove 600: cap
641: male thread
Claims (7)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냉장고본체에 구비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일측에 구비되는 포켓;
상기 포켓의 하부에 결합되는 수소수 모듈;을 포함하는 냉장고.a refrigerator body equipped with a water supply tank and a storage space;
a door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body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space;
a pocke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oor;
A refrigerator comprising a; hydrogen water modul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ocket.
상기 포켓과 상기 수소수 모듈 사이에 설치되는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소수 모듈은 상기 홀더에 결합되는 냉장고.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older installed between the pocket and the hydrogen water module;
The hydrogen water module is a refrigerator coupled to the holder.
상기 홀더의 하측에 모듈 수용홀이 형성되고,
상기 수소수 모듈은 상기 모듈 수용홀에 수용되어 상기 수소수 모듈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홀더의 내부에 위치하는 냉장고.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 module receiving hole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holder,
The hydrogen water module is accommodated in the module accommodating hole, at least a portion of the hydrogen water module is located inside the holder.
상기 수소수 모듈의 일부는 상기 모듈 수용홀보다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홀더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홀더로부터 돌출된 수소수 모듈의 일부가 수용되는 캡;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A part of the hydrogen water module is located below the module receiving hole and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holder,
Refrigerator further comprising; a cap in which a portion of the hydrogen water module protruding from the holder is accommodated.
상기 도어의 타측에는 디스펜서가 구비되고,
상기 디스펜서와 상기 포켓과 상기 도어의 일측에 둘러싸인 측부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소수 모듈은 상기 측부 공간에 수용되는 냉장고.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dispenser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door,
A side space surrounded by the dispenser, the pocket, and one side of the door is formed,
The hydrogen water module is a refrigerator accommodated in the side space.
상기 포켓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는 케이스홀이 형성되고,
상기 수소수 모듈에 연결된 호스와 전선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케이스홀을 거쳐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냉장고.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cket includes a case and a cover installed inside the case,
A case hole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case,
A refrigerator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a hose and an electric wire connected to the hydrogen water module is accommodated in the case through the case hole.
상기 포켓과 상기 수소수 모듈의 사이에 설치되는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홀은 상기 포켓의 하부에 결합되는 홀더와 연통되며,
상기 수소수 모듈에 연결된 호스와 전선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홀더 및 상기 케이스홀을 거쳐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냉장고.7. The method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holder installed between the pocket and the hydrogen water module;
The case hole communicates with a holder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pocket,
A refrigerator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a hose and an electric wire connected to the hydrogen water module is accommodated in the case through the holder and the case hole.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5522A KR20220023595A (en) | 2020-08-21 | 2020-08-21 | Refrigerator |
US17/408,748 US12025367B2 (en) | 2020-08-21 | 2021-08-23 | Refriger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5522A KR20220023595A (en) | 2020-08-21 | 2020-08-21 | Refrigera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23595A true KR20220023595A (en) | 2022-03-02 |
Family
ID=80815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05522A Pending KR20220023595A (en) | 2020-08-21 | 2020-08-21 | Refriger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23595A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92822A (en) | 2014-02-05 | 2015-08-17 |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 Hydrogen generating unit for producing hydrogen water |
KR101746077B1 (en) | 2014-07-31 | 2017-06-14 |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 Hydrogen generating unit for producing hydrogen water |
KR20190135673A (en) | 2018-05-29 | 2019-12-09 |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 Dispenser modul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
-
2020
- 2020-08-21 KR KR1020200105522A patent/KR20220023595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92822A (en) | 2014-02-05 | 2015-08-17 |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 Hydrogen generating unit for producing hydrogen water |
KR101746077B1 (en) | 2014-07-31 | 2017-06-14 |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 Hydrogen generating unit for producing hydrogen water |
KR20190135673A (en) | 2018-05-29 | 2019-12-09 |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 Dispenser modul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222722B2 (en) | Refrigerator and water tank assembly for refrigerator | |
EP2192364B1 (en) | Refrigerator | |
KR102287193B1 (en) | Filter unit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 |
US20070012611A1 (en) | Water purification filter assembly for use in a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 |
US20190010040A1 (en) | Refrigerator equipped with apparatus for producing carbonated water | |
CN103134261A (en) | Refrigerator | |
KR20130059987A (en) | Refrigerator | |
CN111118838B (en) | Front sealing door of clothes processing equipment and clothes processing equipment | |
KR101717701B1 (en) | Water filter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CN104019612A (en) | Refrigerator equipped with apparatus for producing carbonated water | |
WO2008062948A1 (en) | Water filter assembly for a refrigerator | |
KR102360626B1 (en) | water purifying apparatus refrigerator | |
EP2772712A2 (en) | Refrigerator equipped with apparatus for producing carbonated water | |
US7806491B2 (en) | Mounting structure of storage container for refrigerator | |
KR20220023595A (en) | Refrigerator | |
KR20220023596A (en) | Refrigerator | |
US12025367B2 (en) | Refrigerator | |
KR20180023593A (en) | Water purifying filter module | |
US7418828B2 (en) | Refrigerator | |
JPH11309296A (en) | Washing machine | |
KR20220028491A (en) | Refrigerator | |
KR100547432B1 (en) | Water Tank Installation Structure of Dispenser for Refrigerator | |
JP4702994B2 (en) | Water soap supply device | |
KR100906889B1 (en) | Dispenser of water supply unit of refrigerator | |
CN220454051U (en) | Water storage box and refriger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2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