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021978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1978A
KR20220021978A KR1020200102239A KR20200102239A KR20220021978A KR 20220021978 A KR20220021978 A KR 20220021978A KR 1020200102239 A KR1020200102239 A KR 1020200102239A KR 20200102239 A KR20200102239 A KR 20200102239A KR 20220021978 A KR20220021978 A KR 20220021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area
disposed
wavelength conversion
spac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2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창순
오근찬
이각석
이상헌
이소윤
장지은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2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1978A/ko
Priority to US17/337,476 priority patent/US11930684B2/en
Priority to CN202110900399.9A priority patent/CN114078917A/zh
Priority to EP21190392.7A priority patent/EP3955307A1/en
Publication of KR20220021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978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27/32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the areas of the RGB subpixels being different
    • H01L27/3211
    • H01L51/5237
    • H01L51/5275
    • H01L51/5284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8Vertical spacers, e.g. arranged between the sealing arrangement and th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3Vertical spacers, e.g. arranged between the sealing arrangement and th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7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scattering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lective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9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9/8792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black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와 대향하는 제2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일면 상에 배치되며 제1 광을 방출하는 발광층; 상기 발광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광을 상기 제1 광과 상이한 파장을 갖는 제2 광으로 변환하는 제1 파장 변환 패턴;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일면 상에 상기 제1 파장 변환 패턴과 중첩하고 상기 제1 파장 변환 패턴과 이격되어 배치된 제1 컬러 필터; 및 상기 제1 파장 변환 패턴과 상기 제1 컬러 필터 사이에 개재된 공기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표시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표시 장치 중, 자발광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소자와 같은 자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자발광 소자는 대향하는 두 개의 전극 및 그 사이에 개재된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자발광 소자가 유기 발광 소자인 경우, 두 개의 전극으로부터 제공된 전자와 정공은 발광층에서 재결합하여 엑시톤을 생성하고, 생성된 엑시톤이 여기 상태에서 기저 상태로 변화하는 과정을 통해 광을 생성하고 방출할 수 있다.
표시 장치의 각 화소는 복수의 색 중 어느 하나를 고유하게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각 화소는 그에 포함된 자발광 소자가 방출하는 광 자체를 통해 할당된 색을 표시할 수도 있지만, 자발광 소자에 의해 방출된 광의 파장을 파장 변환 패턴 및/또는 색 변환 패턴을 통해 변경함으로써 해당하는 색을 표시할 수도 있다. 파장 변환 패턴을 통해 파장이 변환된 광은 파장 변환 패턴 상에 배치된 층들을 거쳐 외부로 출사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와 대향하는 제2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일면 상에 배치되며 제1 광을 방출하는 발광층; 상기 발광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광을 상기 제1 광과 상이한 파장을 갖는 제2 광으로 변환하는 제1 파장 변환 패턴;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일면 상에 상기 제1 파장 변환 패턴과 중첩하고, 상기 제1 파장 변환 패턴과 이격되어 배치된 제1 컬러 필터 및 상기 제1 파장 변환 패턴과 상기 제1 컬러 필터 사이에 개재된 공기층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파장 변환 패턴 상에 배치되는 제1 캡핑층 및 상기 제1 컬러 필터 상에 배치되는 제2 캡핑층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공기층은 상기 제1 캡핑층과 상기 제2 캡핑층 사이에 상기 제1 캡핑층 및 상기 제2 캡핑층과 직접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광 및 상기 제2 광과 상이한 파장을 갖는 제3 광으로 변환하는 제2 파장 변환 패턴 및 상기 제1 파장 변환 패턴과 상기 제2 파장 변환 패턴 사이에 배치되는 혼색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혼색 방지 부재는 상기 제1 캡핑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캡핑층은 상기 제1 파장 변환 패턴과 상기 혼색 방지 부재 사이 및 상기 제2 파장 변환 패턴과 상기 혼색 부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광 및 상기 제2 광과 상이한 파장을 갖는 제3 광으로 변환하는 제2 파장 변환 패턴 및 상기 제1 파장 변환 패턴과 상기 제2 파장 변환 패턴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캡핑층은은 상기 제1 파장 변환 패턴, 상기 제2 파장 변환 패턴, 상기 격벽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파장 변환 패턴 및 상기 제2 파장 변환 패턴은 상기 격벽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 컬러 필터는 상기 제1 광은 흡수하고 상기 제2 광은 투과시키되,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광은 흡수하고 상기 제2 광과 상이한 파장을 갖는 제3 광을 투과시키는 제2 컬러 필터, 상기 제1 컬러 필터와 상기 제2 컬러 필터 사이에 배치되는 차광 부재 및 상기 차광 부재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광을 투과시키는 제3 컬러 필터, 상기 제1 컬러 필터와 상기 제3 컬러 필터 사이에 배치되는 컬러 패턴 및 상기 컬러 패턴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컬러 필터와 상기 컬러 패턴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발광 영역 및 상기 발광 영역을 둘러싸는 비발광 영역을 포함하는 제1 베이스부; 투광 영역 및 상기 투광 영역을 둘러싸는 차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부와 대향하는 제2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 부의 상기 발광 영역에 각각 배치된 파장 변환 패턴; 상기 제2 베이스 부의 상기 투광 영역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파장 변환 패턴과 대향하는 컬러 필터; 상기 파장 변환 패턴과 상기 컬러 필터 사이에 개재된 공기층; 및 상기 파장 변환 패턴과 상기 컬러 필터 사이에 배치되며, 측면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공기층에 의해 둘러싸이는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 상기 비발광 영역 및 상기 차광 영역은 두께 방향으로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광 영역 및 상기 발광 영역은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행방향 연장 영역,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열방향 연장 영역 및 상기 행방향 연장 영역과 상기 열방향 연장 영역이 교차하는 교차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스페이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교차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기둥 형상을 가지고, 상기 교차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차광 영역의 열방향 연장부 상에 제2 방향으로 긴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투광 영역은 복수로 배치되되, 상기 복수의 투광 영역은 서로 다른 색의 광을 각각 투과하고 일측 방향으로 순차로 배열되는 제1 투광 영역, 제2 투광 영역 및 제3 투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1 투광 영역과 제2 투광 영역 사이의 차광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스페이서, 상기 제2 투광 영역과 상기 제3 투광 영역 사이의 차광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스페이서 및 상기 제3 투광 영역과 상기 제1 투광 영역 사이의 차광 영역에 배치되는 제3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페이서와 상기 제2 스페이서 사이의 간격과 상기 제2 스페이서와 상기 제3 스페이서 사이의 간격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1 베이스부에 대향하는 상기 컬러 필터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2 베이스부에 대향하는 상기 파장 변환 패턴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파장 변환 패턴의 굴절률과 상기 공기층의 굴절률의 차는 0.6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컬러 필터의 굴절률과 상기 공기층의 굴절률의 차는 0.4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입사광의 파장을 특정 파장 범위 내에서 피크 파장을 가지도록 변환하는 파장 변환 패턴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상기 파장 변환 패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컬러 필터를 포함하는 제2 기판; 상기 파장 변환 패턴과 상기 컬러 필터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층; 및 상기 파장 변환 패턴과 상기 컬러 필터 사이에 배치되며, 측면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공기층에 의해 둘러싸이는 스페이서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파장 변환 패턴에 입사된 광에 대한 반사 또는 전반사 등을 유도하여, 파장 변환 패턴 내의 진행 경로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파장 변환 효율을 증가시키고, 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발광 소자의 방출광이 이웃하는 다른 색 화소로 진입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혼색을 방지하고, 이웃 화소의 컬러 필터를 통한 광 손실을 감소시켜 출광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Xa-Xa'을 따라 절단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표시 영역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4는 표시 영역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2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 및 도 4의 X1-X1'을 따라 절단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제2 투광 영역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2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제1 파장 변환 패턴과 제2 컬러 필터 사이 및/또는 제2 파장 변환 패턴과 제3 컬러 필터 사이에 배치되는 층의 굴절률에 따른 표시 장치의 광 효율의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Xa-Xa’을 따라 절단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제1 방향(DR1), 제2 방향(DR2) 및 제3 방향(DR3)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교차한다. 제1 방향(DR1)은 가로 방향일 수 있다. 제2 방향(DR2)은 세로 방향일 수 있다. 제3 방향(DR3)은 두께 방향일 수 있다. 제1 방향(DR1), 제2 방향(DR2) 및/또는 제3 방향(DR3)은 2 이상의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방향(DR3)은 도면의 상측을 향하는 상측 방향 및 도면의 하측을 향하는 하측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측 방향으로 면하도록 배치되는 부재의 일면은 상면, 하측 방향으로 면하도록 배치되는 부재의 타면은 하면으로 지칭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방향들은 예시적이고 상대적인 것이며, 상기 언급된 바에 제한되지 않는다.
표시 장치(1)는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통신 단말기,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UMPC(Ultra Mobile PC)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텔레비전, 노트북, 모니터, 광고판, 또는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의 표시부로 적용될 수 있다. 또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워치 폰(watch phone), 안경형 디스플레이, 및 헤드 장착형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와 같이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에 적용될 수 있다. 또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자동차의 계기판(SUB), 자동차의 센터페시아(center fascia), 자동차의 대쉬 보드에 배치된 CID(Center Information Display),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를 대신하는 룸 미러 디스플레이(room mirror display), 또는 자동차의 뒷좌석용 엔터테인먼트로서 앞좌석의 배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평면상에서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1)는 평면상에서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두 장 변과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두 단변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의 코너는 직각일 수도 있고, 볼록한 곡률을 가지도록 라운딩 처리될 수도 있다. 다만, 표시 장치(1)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원형, 타원형, 마름모, 사다리꼴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편평한 형상을 가진 표시 장치(1)가 예시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 장치(1)는 커브드 표시 장치, 플렉서블 표시 장치, 폴더블 표시 장치, 스트레쳐블 표시 장치 및/또는 롤러블 표시 장치일 수도 있다.
표시 장치(1)는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이고, 비표시 영역(NDA)은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영역이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각 에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장치(1)는 제1 기판(10), 제2 기판(30), 실링부(50) 및 공기층(AL)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10)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소자 및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판(10)은 스위칭 소자 등과 같은 화소 회로와 각 화소의 발광 영역에 배치된 자발광 소자(self-light emitting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발광 소자는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양자점 발광소자(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 무기물 기반의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예컨대 Micro LED), 무기물 기반의 나노 발광 다이오드(예컨대 nano L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자발광 소자가 유기발광소자인 경우를 예시하기로 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기판(10)은 발광 영역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투과하거나, 상기 광의 파장을 변환하는 파장 변환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판(30)은 제1 기판(10)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제2 기판(30)은 제1 기판(10)으로부터 입사하는 광의 색을 변환할 수 있다.
실링부(50)는 제1 기판(10)과 제2 기판(30) 사이에 개재되어 제1 기판(10)과 제2 기판(30)을 결합한다. 실링부(50)는 에폭시계 레진을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50)는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실링부(50)는 프레임 형상을 가지며 제1 기판(10)과 제2 기판(3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제1 기판(10)과 제2 기판(30) 사이에 밀폐된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공기층(AL)은 제1 기판(10)과 제2 기판(3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공기층(AL)은 실링부(50)에 의해 밀폐된 상기 공간 내에 배치되거나, 상기 공간을 채울 수 있다. 공기층(AL)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 표시 장치(1)의 구체적인 화소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표시 영역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4는 표시 영역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2 기판의 평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기판(10)은 표시 영역(DA)에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 영역(LA) 및 비발광 영역(NLA)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영역(LA)은 제1 기판(10)의 발광 소자에서 생성된 광이 제1 기판(10)의 외부로 방출되는 영역을 의미하고, 비발광 영역(NLA)은 제1 기판(10)의 외부로 광이 방출되지 않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복수의 발광 영역(LA) 및 비발광 영역(NLA)은 후술하는 화소 정의막(150), 패널 차광 부재(190) 및/또는 발광층(OL) 등에 의해 정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복수의 발광 영역(LA)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발광 영역(LA)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행 및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열을 이루도록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발광 영역(LA)은 제1 발광 영역(LA1), 제2 발광 영역(LA2), 제3 발광 영역(LA3), 제4 발광 영역(LA4), 제5 발광 영역(LA5) 및 제6 발광 영역(LA6)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행에는 제1 발광 영역(LA1), 제2 발광 영역(LA2) 및 제3 발광 영역(LA3)이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행에 이웃하는 제2 행에는 제4 발광 영역(LA4), 제5 발광 영역(LA5) 및 제6 발광 영역(LA6)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열에는 제1 발광 영역(LA1)과 제4 발광 영역(LA4)이 배치되고, 제2 열에는 제2 발광 영역(LA2)과 제5 발광 영역(LA5)이 배치되며, 제3 열에는 제3 발광 영역(LA3)과 제6 발광 영역(LA6)이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는 6개의 발광 영역이 예시되나, 복수의 발광 영역(LA)의 개수 및 배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더 많은 수의 발광 영역들이 더 많은 수의 행과 열을 이루는 경우, 위에서 언급한 배열 규칙이 행 진행 방향 및/또는 열 진행 방향을 따라 반복될 수 있다.
복수의 발광 영역(LA)은 동일한 크기를 가지거나,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 발광 영역(LA)의 제2 방향(DR2)의 너비는 동일할 수 있고, 이 경우 각 발광 영역(LA)의 크기의 차이는 제1 방향(DR1)의 너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발광 영역(LA1)의 제1 너비(WL1)는 제2 발광 영역(LA2)의 제2 너비(WL2) 및 제3 발광 영역(LA3)의 제3 너비(WL3)보다 작고, 제2 너비(WL2)는 제3 너비(WL3)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발광 영역(LA1)의 면적은 제2 발광 영역(LA2)의 면적 및 제3 발광 영역(LA3)의 면적보다 작고, 제2 발광 영역(LA2)의 면적은 제3 발광 영역(LA3)의 면적보다 작게 될 것이다. 그러나, 발광 영역(LA)의 상대적인 크기가 위에서 예시된 바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너비(WL1), 제2 너비(WL2) 및 제3 너비(WL3) 중 어느 2개의 너비가 동일하거나 모든 너비가 동일할 수도 있다.
제4 발광 영역(LA4), 제5 발광 영역(LA5) 및 제6 발광 영역(LA6)은 각각 제1 발광 영역(LA1), 제2 발광 영역(LA2) 및 제3 발광 영역(LA3)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 발광 영역(LA4), 제5 발광 영역(LA5) 및 제6 발광 영역(LA6)은 각각 제1 발광 영역(LA1), 제2 발광 영역(LA2) 및 제3 발광 영역(LA3)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배치, 크기 및/또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 발광 영역(LA)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발광층으로부터 발광된 제1 색의 방출광의 피크 파장을 변환하여 각각 다른 파장 범위 내에서 피크 파장을 가지는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발광 영역(LA1)은 약 400nm 내지 480nm 범위에서 피크 파장을 가지는 청색광을 방출하고, 제2 발광 영역(LA2)는 약 610nm 내지 약 650nm 범위의 피크 파장을 갖는 적색광을 방출하며, 제3 발광 영역(LA3)은 약 510nm 내지 약 550nm 범위인 녹색광을 방출할 수 있다.
비발광 영역(NLA)은 복수의 발광 영역(LA)을 각각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비발광 영역(NLA)은 격자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비발광 영역(NLA)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행방향 연장 영역(RER_D),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열방향 연장 영역(CER_D) 및 행방향 연장 영역(RER_D)과 열방향 연장 영역(CER_D)이 교차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교차 영역(CSR_D)을 포함할 수 있다. 행방향 연장 영역(RER_D)은 복수의 발광 영역(LA)의 이웃하는 두 행 사이에 배치되고, 열방향 연장 영역(CER_D)은 복수의 발광 영역(LA)의 이웃하는 두 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교차 영역(CSR_D)은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발광 영역(LA)의 코너부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2 기판(30)은 표시 영역(DA)에 배치되는 복수의 투광 영역(TA) 및 차광 영역(BA)을 포함할 수 있다.
투광 영역(TA)은 제1 기판(10)에서 방출되어 입사된 광을 투과시켜 표시 장치(1)의 외부로 제공되는 영역을 의미하고, 차광 영역(BA)은 제1 기판(10)에서 방출된 광을 투과시키지 않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복수의 투광 영역(TA) 및 차광 영역(BA)은 후술하는 차광 부재, 컬러 필터 및/또는 컬러 패턴 등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복수의 투광 영역(TA)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투광 영역(TA)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행 및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열을 이루도록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투광 영역(TA)은 제1 투광 영역(TA1), 제2 투광 영역(TA2), 제3 투광 영역(TA3), 제4 투광 영역(TA4), 제5 투광 영역(TA5) 및 제6 투광 영역(TA6)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행에는 제1 투광 영역(TA1), 제2 투광 영역(TA2) 및 제3 투광 영역(TA3)이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제2 행에는 제4 투광 영역(TA4), 제5 투광 영역(TA5) 및 제6 투광 영역(TA6)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열에는 제1 투광 영역(TA1)과 제4 투광 영역(TA4)이 배치되고, 제2 열에는 제2 투광 영역(TA2)과 제5 투광 영역(TA5)이 배치되며, 제3 열에는 제3 투광 영역(TA3)과 제6 투광 영역(TA6)이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는 6개의 투광 영역이 예시되나, 복수의 투광 영역(TA)의 개수 및 배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더 많은 수의 투광 영역들이 더 많은 수의 행과 열을 이루는 경우, 위에서 언급한 배열 규칙이 행 진행 방향 및/또는 열 진행 방향을 따라 반복될 수 있다.
복수의 투광 영역(TA)은 각각 복수의 발광 영역(LA)에 상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투광 영역(TA)은 복수의 발광 영역(LA)과 두께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발광 영역(NLA)과 차광 영역(BA) 역시 두께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발광 영역(LA1), 제2 발광 영역(LA2) 및 제3 발광 영역(LA3)은 각각 제1 투광 영역(TA1), 제2 투광 영역(TA2) 및 제3 투광 영역(TA3)에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발광 영역(LA)과 유사하게, 복수의 투광 영역(TA)은 동일한 크기를 가지거나,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 투광 영역(TA)의 제2 방향(DR2)의 너비는 동일할 수 있고, 이 경우 각 투광 영역(TA)의 크기의 차이는 제1 방향(DR1)의 너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투광 영역(TA1)의 제1 너비(WT1)는 제2 투광 영역(TA2)의 제2 너비(WT2) 및 제3 투광 영역(TA3)의 제3 너비(WT3)보다 작고, 제2 너비(WT2)는 제3 너비(WT3)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제1 투광 영역(TA1)의 면적은 제2 투광 영역(TA2)의 면적 및 제3 투광 영역(TA3)의 면적보다 작고, 제2 투광 영역(TA2)의 면적은 제3 투광 영역(TA3)의 면적보다 작게 될 것이다. 그러나, 투광 영역(TA)의 상대적인 크기가 위에서 예시된 바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너비(WT1), 제2 너비(WT2) 및 제3 너비(WT3) 중 어느 2개의 너비가 동일하거나 모든 너비가 동일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의 투광 영역(TA)의 크기는 복수의 발광 영역(LA)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의 투광 영역(TA)의 크기는 복수의 발광 영역(LA)의 크기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투광 영역(TA1), 제2 투광 영역(TA2) 및 제3 투광 영역(TA3)의 너비는 각각 제1 발광 영역(LA1), 제2 발광 영역(LA2) 및 제3 발광 영역(LA3)의 너비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제4 투광 영역(TA4), 제5 투광 영역(TA5) 및 제6 투광 영역(TA6)은 각각 제1 투광 영역(TA1), 제2 투광 영역(TA2) 및 제3 투광 영역(TA3)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 투광 영역(TA4), 제5 투광 영역(TA5) 및 제6 투광 영역(TA6)은 각각 제1 투광 영역(TA1), 제2 투광 영역(TA2) 및 제3 투광 영역(TA3)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배치 및/또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기판(10)에서 제공된 상기 제1 색의 광은 복수의 투광 영역(TA)을 투과하여 표시 장치(1)의 외부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투광 영역(TA1), 제2 투광 영역(TA2) 및 제3 투광 영역(TA3)을 투과하여 표시 장치(1)의 외부로 출사되는 광들은 각각 제1 출사광(La), 제2 출사광(Lb) 및 제3 출사광(Lc)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출사광(La)은 제1 색의 광이고, 제2 출사광(Lb)은 제2 색의 광이며, 제3 출사광(Lc)은 제3 색의 광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색, 제2 색 및 제3 색은 서로 다른 색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색의 광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약 440nm 내지 480nm 범위에서 피크 파장을 가지는 청색광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색의 광은 약 610nm 내지 650nm 범위에서 피크 파장을 갖는 적색광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색의 광은 약 510nm 내지 550nm 범위에서 피크 파장을 갖는 녹색광일 수 있다.
차광 영역(BA)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행방향 연장 영역(RER_C),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열방향 연장 영역(CER_C) 및 행방향 연장 영역(RER_C)과 열방향 연장 영역(CER_C)이 교차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교차 영역(CSR_C)을 포함할 수 있다. 행방향 연장 영역(RER_C)은 복수의 발광 영역(LA)의 이웃하는 두 행 사이에 배치되고, 열방향 연장 영역(CER_C)은 복수의 발광 영역(LA)의 이웃하는 두 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교차 영역(CSR_C)은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발광 영역(LA)의 코너부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복수의 스페이서(SP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스페이서(SPC)는 제1 기판(10)과 제2 기판(30)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스페이서(SPC)는 제2 기판(30)의 복수의 컬러 필터(23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의 스페이서(SPC)는 제1 기판(10)은 혼색 방지 부재(370)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스페이서(SPC)는 제1 기판(10) 및 제2 기판(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스페이서(SPC)는 공기층(AL)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스페이서(SPC)는 공기층(AL)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페이서(SPC)의 적어도 일 측면은 공기층(AL)에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페이서(SPC)는 기둥 형상의 컬럼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스페이서(SPC)는 비발광 영역(NLA)의 교차 영역(CSR_D) 및/또는 차광 영역(BA)의 교차 영역(CSR_C)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발광 영역(NLA)의 교차 영역(CSR_D)과 차광 영역(BA)의 교차 영역(CSR_C)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스페이서(SPC)는 비발광 영역(NLA)의 교차 영역(CSR_D)과 차광 영역(BA)의 교차 영역(CSR_C)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스페이서(SPC)는 제1 스페이서(SPC1), 제2 스페이서(SPC2) 및 제3 스페이서(SPC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스페이서(SPC1), 제2 스페이서(SPC2) 및 제3 스페이서(SPC3)는 각각 비표시 영역(NDA)의 교차 영역(CSR_D)에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1 스페이서(SPC1)는 제1 발광 영역(LA1)과 제4 발광 영역(LA4) 사이 및 제2 발광 영역(LA2)과 제5 발광 영역(LA5) 사이를 지나는 행방향 연장 영역(RER_D)과 제1 발광 영역(LA1)과 제2 발광 영역(LA2) 사이 및 제4 발광 영역(LA4)과 제5 발광 영역(LA5) 사이를 지나는 열방향 연장 영역(CER_D)이 교차하는 교차 영역(CSR_D)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스페이서(SPC2)는 제2 발광 영역(LA2)과 제5 발광 영역(LA5) 사이 및 제3 발광 영역(LA3)과 제6 발광 영역(LA6) 사이를 지나는 행방향 연장 영역(RER_D)과 제2 발광 영역(LA2)과 제3 발광 영역(LA3) 사이 및 제5 발광 영역(LA5)과 제6 발광 영역(LA6) 사이를 지나는 열방향 연장 영역(CER_D)이 교차하는 교차 영역(CSR_D)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스페이서(SPC3)는 제3 발광 영역(LA3)과 제6 발광 영역(LA6) 사이 및 제1 발광 영역(LA1)과 제4 발광 영역(LA4) 사이를 지나는 행방향 연장 영역(RER_D)과 제3 발광 영역(LA3)과 제1 발광 영역(LA1) 사이 및 제6 발광 영역(LA6)과 제4 발광 영역(LA4) 사이를 지나는 열방향 연장 영역(CER_D)이 교차하는 교차 영역(CSR_D)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스페이서(SPC1), 제2 스페이서(SPC2) 및 제3 스페이서(SPC3)는 각각 제2 기판(30)의 교차 영역(CSR_C)에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1 스페이서(SPC1)는 제1 투광 영역(TA1)과 제4 투광 영역(TA4) 사이 및 제2 투광 영역(TA2)과 제5 투광 영역(TA5) 사이를 지나는 행방향 연장 영역(RER_C)과 제1 투광 영역(TA1)과 제2 투광 영역(TA2) 사이 및 제4 투광 영역(TA4)과 제5 투광 영역(TA5) 사이를 지나는 열방향 연장 영역(CER_C)이 교차하는 교차 영역(CSR_C)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스페이서(SPC2)는 제2 투광 영역(TA2)과 제5 투광 영역(TA5) 사이 및 제3 투광 영역(TA3)과 제6 투광 영역(TA6) 사이를 지나는 행방향 연장 영역(RER_C)과 제2 투광 영역(TA2)과 제3 투광 영역(TA3) 사이 및 제5 투광 영역(TA5)과 제6 투광 영역(TA6) 사이를 지나는 열방향 연장 영역(CER_C)이 교차하는 교차 영역(CSR_C)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스페이서(SPC3)는 제3 투광 영역(TA3)과 제6 투광 영역(TA6) 사이 및 제1 투광 영역(TA1)과 제4 투광 영역(TA4) 사이를 지나는 행방향 연장 영역(RER_C)과 제3 투광 영역(TA3)과 제1 투광 영역(TA1) 사이 및 제6 투광 영역(TA6)과 제4 투광 영역(TA4) 사이를 지나는 열방향 연장 영역(CER_C)이 교차하는 교차 영역(CSR_C)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스페이서(SPC)는 서로 다른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스페이서(SPC)는 복수의 발광 영역(LA) 및/또는 복수의 투광 영역(TA)의 제1 방향(DR1)의 너비에 상응하는 너비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스페이서(SPC1)와 제2 스페이서(SPC2) 사이의 간격은 제2 스페이서(SPC2)와 제3 스페이서(SPC3) 사이의 간격과 제3 스페이서(SPC3)와 제1 스페이서(SPC1) 사이의 간격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2 스페이서(SPC2)와 제3 스페이서(SPC3) 사이의 간격은 제3 스페이서(SPC3)와 제1 스페이서(SPC1) 사이의 간격보다 클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스페이서(SPC2)와 제3 스페이서(SPC3) 사이의 간격은 제3 스페이서(SPC3)와 제1 스페이서(SPC1) 사이의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간격은 제1 방향(DR1)의 간격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의 스페이서(SPC)는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스페이서(SPC)의 일부는 교차 영역(CSR_D, CSR_C)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교차 영역(CSR_D, CSR_C)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스페이서(SPC)는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평면상에서 복수의 스페이서(SPC)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의 스페이서(SPC)는 평면상에서 타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또는 마름모 등 다양한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표시 장치(1)를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3 및 도 4의 X1-X1’을 따라 절단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제2 투광 영역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는 제1 기판(10), 제2 기판(30) 및 공기층(AL)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10)은 제1 기판(10)과 제2 기판(30) 사이의 스페이서(SP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기판(10) 및 제2 기판(30)의 단면 구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발광 영역(LA)과 복수의 투광 영역(TA)은 두께 방향으로 완전히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비발광 영역(NLA) 및 차광 영역(BA)도 두께 방향으로 완전히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기판(10)의 복수의 발광 영역(LA)과 제2 기판(30)의 복수의 투광 영역(TA)은 각각 두께 방향으로 일부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기판(10)은 제1 베이스부(110), 복수의 스위칭 소자(T1, T2, T3), 절연막(130), 복수의 애노드 전극(AE1, AE2, AE3), 화소 정의막(150), 발광층(OL), 캐소드 전극(CE), 박막 봉지층(170), 패널 차광 부재(190), 제1 캡핑층(391), 광 투과 패턴(330),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제2 파장 변환 패턴(350), 제2 캡핑층(393) 및 혼색 방지 부재(3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110)는 제1 발광 영역(LA1), 제2 발광 영역(LA2), 제3 발광 영역(LA3) 및 비발광 영역(NLA)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110)에는 복수의 발광 영역(LA) 및 비발광 영역(NLA)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110)는 투광성을 가지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베이스부(110)는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제1 베이스부(110)는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베이스부(110)는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 상에 위치하는 별도의 층, 예를 들면, 버퍼층 또는 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T1, T2, T3), 절연막(130), 복수의 애노드 전극(AE1, AE2, AE3), 화소 정의막(150), 캐소드 전극(CE), 박막 봉지층(170), 패널 차광 부재(190)는 제2 베이스부(310)에 대향하는 제1 베이스부(110)의 일면 상에 순차 적층될 수 있다.
복수의 스위칭 소자(T1, T2, T3)는 제1 베이스부(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스위칭 소자(T1, T2, T3)는 제1 발광 영역(LA1), 제2 발광 영역(LA2) 및 제3 발광 영역(LA3)에 각각 배치되는 제1 스위칭 소자(T1), 제2 스위칭 소자(T2), 제3 스위칭 소자(T3)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기판(10)은 비발광 영역(NLA)에 배치되는 스위칭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기판(10)은 제1 베이스부(110) 상에 배치되고, 복수의 스위칭 소자(T1, T2, T3)에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신호선들, 예를 들면, 게이트선, 데이터선, 전원선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절연막(130)은 제1 베이스부(110) 및/또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T1, T2, T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절연막(130)은 평탄화막일 수 있다. 절연막(130)은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절연막(130)은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이미드계 수지, 에스테르계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절연막(130)은 포지티브 감광성 재료 또는 네거티브 감광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애노드 전극(AE1, AE2, AE3)은 절연막(1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애노드 전극(AE1, AE2, AE3)은 제1 발광 영역(LA1), 제2 발광 영역(LA2) 및 제3 발광 영역(LA3)에 각각 배치되는 제1 애노드 전극(AE1), 제2 애노드 전극(AE2) 및 제3 애노드 전극(AE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애노드 전극(AE1), 제2 애노드 전극(AE2) 및 제3 애노드 전극(AE3)의 일부는 각각 인접하는 비발광 영역(NLA)에 걸쳐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애노드 전극(AE1), 제2 애노드 전극(AE2) 및 제3 애노드 전극(AE3)은 절연막(130)을 관통하여 각각 제1 스위칭 소자(T1), 제2 스위칭 소자(T2) 및 제3 스위칭 소자(T3)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애노드 전극(AE1), 제2 애노드 전극(AE2) 및 제3 애노드 전극(AE3)은 각각 상이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애노드 전극(AE1)의 크기는 제2 애노드 전극(AE2)의 크기 및 제3 애노드 전극(AE3)의 크기 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애노드 전극(AE2)의 크기는 제3 애노드 전극(AE3)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애노드 전극(AE2)의 크기는 제3 애노드 전극(AE3)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크기는 너비 및 면적을 포함할수 있다. 상기 너비는 제1 방향(DR1)의 너비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애노드 전극(AE1), 제2 애노드 전극(AE2) 및 제3 애노드 전극(AE3)의 크기는 동일할 수도 있다.
화소 정의막(150)은 제1 애노드 전극(AE1), 제2 애노드 전극(AE2) 및 제3 애노드 전극(AE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150)은 제1 애노드 전극(AE1), 제2 애노드 전극(AE2) 및 제3 애노드 전극(AE3)을 각각 노출하는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개구부는 제1 발광 영역(LA1), 제2 발광 영역(LA2), 제2 발광 영역(LA2) 및 비발광 영역(NLA)을 정의할 수 있다. 즉, 제1 애노드 전극(AE1)의 화소 정의막(150)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영역은 제1 발광 영역(LA1)일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애노드 전극(AE2)의 화소 정의막(150)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영역은 제2 발광 영역(LA2)이고, 제3 애노드 전극(AE3)의 화소 정의막(150)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영역은 제3 발광 영역(LA3)일 수 있다. 화소 정의막(150)이 배치되는 영역은 비발광 영역(NLA)일 수 있다. 화소 정의막(150)은 후술하는 컬러 패턴(250), 차광 부재(220) 및 혼색 방지 부재(370) 중 적어도 하나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발광층(OL)은 제1 애노드 전극(AE1), 제2 애노드 전극(AE2) 및 제3 애노드 전극(AE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층(OL)은 복수의 발광 영역(LA) 및 비발광 영역(NLA)에 걸쳐 형성된 연속된 막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캐소드 전극(CE)은 발광층(O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캐소드 전극(CE)은 반투과성 또는 투과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애노드 전극(AE1), 발광층(OL) 및 캐소드 전극(CE) 은 제1 발광소자(ED1)를 이루고, 제2 애노드 전극(AE2), 발광층(OL) 및 캐소드 전극(CE) 은 제2 발광소자(ED2)를 이루고, 제3애노드 전극(AE3), 발광층(OL) 및 캐소드 전극(CE)은 제3 발광소자(ED3)를 이룰 수 있다.
제1 발광소자(ED1), 제2 발광소자(ED2) 및 제3 발광소자(ED3)는 각각 방출광(L1)을 방출한다. 방출광(L1)은 제1 색의 광일 수 있다. 상기 제1 색의 광은 청색광일 수 있으며, 약 440nm 내지 약 480nm 범위에서 피크파장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발광층(OL)은 두께 방향으로 중첩 배치되는 복수의 서브 발광층(O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서브 발광층(OL)이 발광하는 광은 피크 파장이 약 610nm 미만일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서브 발광층(OL)은 피크 파장이 610nm 이상 680nm 이하인 광, 예컨대 적색광을 방출하지 않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의 서브 발광층(OL)은 각각 청색광을 발광하되, 각각의 청색광은 서로 다른 피크 파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서브 발광층(OL)의 피크 파장은 440nm 이상 460nm미만일 수 있고, 제2 서브 발광층(OL)의 피크 파장은 460nm 이상 480nm미만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의 서브 발광층(OL) 중 적어도 하나는 녹색광을 발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서브 발광층(OL) 중 제1 서브 발광층(OL) 및 제2 서브 발광층(OL)은 청색광을 발광하되, 제3 서브 발광층(OL)은 녹색광을 발광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170)은 캐소드 전극(CE)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박막 봉지층(170)은 제1 발광 영역(LA1), 제2 발광 영역(LA2), 제3 발광 영역(LA3) 및 비발광 영역(NLA)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박막 봉지층(170)은 캐소드 전극(CE)을 직접 커버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기판(10)은 박막 봉지층(170)과 캐소드 전극(CE) 사이의 캡핑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170)은 캐소드 전극(CE) 상에 순차 적층된 제1 봉지 무기막(171), 봉지 유기막(173) 및 제2 봉지 무기막(175)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 차광 부재(220)는 박막 봉지층(17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패널 차광 부재(190)는 비발광 영역(NLA) 내에 위치할 수 있다. 평면상에서 패널 차광 부재(190)는 복수의 발광 영역(LA)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패널 차광 부재(190)는 인접한 발광 영역 간의 혼색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패널 차광 부재(19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제1 캡핑층(391)은 박막 봉지층(170) 및/또는 패널 차광 부재(19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캡핑층(391)은 박막 봉지층(170) 및 패널 차광 부재(190)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제1 캡핑층(391)은 무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캡핑층(391)은 생략될 수도 있다.
광 투과 패턴(330),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및 제2 파장 변환 패턴(350)은 제1 캡핑층(39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광 투과 패턴(330),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및 제2 파장 변환 패턴(350)은 각각 제1 발광 영역(LA1), 제2 발광 영역(LA2) 및 제3 발광 영역(LA3)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광 투과 패턴(330)은 방출광(L1)을 투과시킬 수 있다. 제1 발광소자(ED1)에서 제공된 방출광(L1)은 연청색의 광과 진청색의 광의 혼합광 또는 청색광과 녹색광의 혼합광일 수 있다. 방출광(L1)의 청색 파장 대역의 성분은 광 투과 패턴(330) 및 제1 컬러 필터(231)를 투과하여 표시 장치(1)의 외부로 출사된다. 즉, 광 투과 패턴(330)을 통과하여 제1 컬러 필터(231)에 입사되는 광은 방출광(L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성분을 가지고, 제1 투광 영역(TA1)에서 출사되는 제1 광(La)은 청색광일 수 있다.
광 투과 패턴(330)은 광 투과율이 높인 유기 물질을 포함하는 제1 베이스 수지(331)를 포함할 수 있다. 광 투과 패턴(330)은 제1 베이스 수지(331) 내에 분산되고 제1 베이스 수지(331)와 상이한 굴절률을 가지는 제1 산란체(3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및 제2 파장 변환 패턴(350)은 입사광의 피크 파장을 다른 특정 피크 파장으로 변환 또는 시프트하여 출사할 수 있다.
제1 파장 변환 패턴(340)은 제2 발광소자(ED2)에서 제공된 방출광(L1)을 약 610nm 내지 약 650nm 범위의 피크 파장을 갖는 적색광으로 변환하여 출사할 수 있다.
제1 파장 변환 패턴(340)은 제2 베이스 수지(341) 및 제1 파장 시프터(3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장 변환 패턴(340)은 제2 베이스 수지(341) 내에 분산되고, 제2 베이스 수지(341)와 상이한 굴절률을 가지는 제2 산란체(3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장 시프터(343)는 제2 발광소자(ED2)에 의해 제공된 방출광(L1)을 제1 변환광(Le)으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제1 변환광(Le)은 적색광일 수 있다. 상기 적색광은 제2 컬러 필터(233)를 투과하여 외부로 출사될 수 있다. 즉, 제2 투광 영역(TA2)에서 출사되는 제2 광(Lb)은 적색광일 수 있다.
제2 발광소자(ED2)에서 제공된 방출광(L1)의 일부는 제1 파장 시프터(343)에 의해 적색광으로 변환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방출광(L1)의 일부는 제1 파장 변환 패턴(340)을 투과하거나, 후술하는 공기층(AL)에 의해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내로 전반사될 수 있다.
제2 파장 변환 패턴(350)은 제3 발광소자(ED3)에서 제공된 방출광(L1)을 약 510nm 내지 약 550nm 범위인 녹색광으로 변환하여 출사할 수 있다.
제2 파장 변환 패턴(350)은 제3 베이스 수지(351) 및 제2 파장 시프터(3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파장 변환 패턴(350)은 제3 베이스 수지(351) 내에 분산되고, 제3 베이스 수지(351)와 상이한 굴절률을 가지는 제3 산란체(3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파장 시프터(353)는 제3 발광소자(ED3)에 의해 제공된 방출광(L1)을 제2 변환광(Lf)으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제2 변환광(Lf)은 녹색광일 수 있다. 상기 녹색광은 제3 컬러 필터(235)를 투과하여 외부로 출사될 수 있다. 즉, 제3 투광 영역(TA3)에서 출사되는 제3 광(Lc)은 녹색광일 수 있다.
제3 발광소자(ED3)에서 제공된 방출광(L1)의 일부는 제2 파장 시프터(353)에 의해 녹색광으로 변환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방출광(L1)의 일부는 제2 파장 변환 패턴(350)을 투과하거나, 후술하는 공기층(AL)에 의해 제2 파장 변환 패턴(350) 내로 전반사될 수 있다.
광 투과 패턴(330),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및 제2 파장 변환 패턴(350)은 노광 및 현상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광 투과 패턴(330),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및 제2 파장 변환 패턴(350)은 잉크젯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투과 패턴(330),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및 제2 파장 변환 패턴(350)은 제2 컬러 필터(233) 및 제3 컬러 필터(235)와 유사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 투과 패턴(330)은 평면상에서 제2 방향(DR2)으로 긴 스트라이프 형상을 가지도록 제1 발광 영역(LA1), 제2 발광 영역(LA2) 및 제1 발광 영역(LA1)과 제2 발광 영역(LA2) 사이의 비발광 영역(NLA)에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광 투과 패턴(330),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및 제2 파장 변환 패턴(350)은 각 발광 영역 마다 아일랜드 패턴의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표시 장치(1)는 광 투과 패턴(330),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및 제2 파장 변환 패턴(350)이 제2 베이스부(310) 상에 제1 발광소자(ED1), 제2 발광소자(ED2) 및 제3 발광소자(ED3)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1)는 제1 베이스부(110)에 배치되는 경우 보다 출광 성분이 증가하여 광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 발광소자(ED1), 제2 발광소자(ED2) 및 제3 발광소자(ED3)와 광 투과 패턴(330),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및 제2 파장 변환 패턴(350)의 제3 방향(DR3)의 거리가 감소하여, 제1 발광소자(ED1), 제2 발광소자(ED2) 및 제3 발광소자(ED3)의 광 경로로 인해 발생하는 인접하는 발광 영역 간의 혼색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캡핑층(393)은 광 투과 패턴(330),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및 제2 파장 변환 패턴(35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캡핑층(393)은 광 투과 패턴(330),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제2 파장 변환 패턴(350) 및 제1 캡핑층(391)을 커버할 수 있다. 광 투과 패턴(330),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및 제2 파장 변환 패턴(350)은 제1 캡핑층(391)과 제2 캡핑층(393) 사이에 샌드위치될 수 있다. 제2 캡핑층(393)은 광 투과 패턴(330),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제2 파장 변환 패턴(350) 및 제1 캡핑층(391) 중 적어도 하나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캡핑층(393)은 혼색 방지 부재(370)와 패널 차광 부재(190) 사이 및/또는 혼색 방지 부재(370)와 박막 봉지층(170) 사이에서 제1 캡핑층(391)과 직접 접촉하여, 광 투과 패턴(330),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및 제2 파장 변환 패턴(350)을 밀봉할 수 있다. 제2 캡핑층(393)은 제1 캡핑층(391)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혼색 방지 부재(370)는 제2 캡핑층(39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혼색 방지 부재(370)는 비발광 영역(NL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혼색 방지 부재(370)는 광 투과 패턴(330)과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사이, 제1 파장 변환 패턴(340)과 제2 파장 변환 패턴(350) 사이 및 제2 파장 변환 패턴(350)과 광 투과 패턴(3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혼색 방지 부재(370)는 광을 차단하여 이웃하는 발광 영역 간의 혼색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혼색 방지 부재(370)의 일측, 예를 들면, 상부는 공기층(AL)에 노출될 수 있다.
공기층(AL)은 혼색 방지 부재(370) 및/또는 제2 캡핑층(39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기층(AL)은 혼색 방지 부재(370) 및/또는 제2 캡핑층(393)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공기층(AL)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2 기판(30)은 제2 베이스부(310), 복수의 컬러 필터(231, 233, 235), 컬러 패턴(250), 차광 부재(220) 및 제3 캡핑층(39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이스부(310)는 복수의 투광 영역(TA) 및 차광 영역(BA)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제2 베이스부(310)에는 복수의 투광 영역(TA) 및 차광 영역(BA)이 정의될 수 있다. 제2 베이스부(310)는 투광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베이스부(310)는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베이스부(310)는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 상에 위치하는 별도의 층, 예를 들면, 무기막 등의 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베이스부(110)에 대향하는 제2 베이스부(310)의 일면 상에는 복수의 컬러 필터(231, 233, 235), 컬러 패턴(250), 차광 부재(220) 및 제3 캡핑층(395)이 적층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기판(30)은 제2 베이스부(310)와 복수의 컬러 필터(231, 233, 235) 사이 및/또는 제2 베이스부(310)와 컬러 패턴(250)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층, 예를 들면, 버퍼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컬러 필터(231, 233, 235)는 제2 베이스부(3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컬러 필터(231, 233, 235)는 제1 컬러 필터(231), 제2 컬러 필터(233) 및 제3 컬러 필터(23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컬러 필터(231)는 제1 투광 영역(TA1) 및 제4 투광 영역(TA4) 내에 배치되고, 제2 컬러 필터(233)는 제2 투광 영역(TA2) 및 제5 투광 영역(TA5) 내에 배치되며, 제3 컬러 필터(235)는 제3 투광 영역(TA3) 및 제6 투광 영역(TA6)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컬러 필터(231)는 제1 색의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고, 제2 색의 광 및 제3 색의 광을 차단하거나 흡수할 수 있다. 제2 컬러 필터(233)는 제2 색의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고, 제1 색의 광 및 제3 색의 광을 차단하거나 흡수할 수 있다. 제3 컬러 필터(235)는 제3 색의 광은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고, 제1 색의 광 및 제2 색의 광을 차단하거나 흡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색의 광, 제2 색의 광 및 제3 색의 광은 각각 청색광, 적색광 및 녹색광일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컬러 필터(233) 및 제3 컬러 필터(235)의 일부는 차광 영역(BA)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컬러 필터(233)의 일측은 제1 투광 영역(TA1)과 제2 투광 영역(TA2) 사이의 차광 영역(BA) 내에 배치되고, 제2 컬러 필터(233)의 타측은 제2 투광 영역(TA2)과 제3 투광 영역(TA3) 사이의 차광 영역(B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컬러 필터(233)의 일측 및 타측은 차광 영역(BA) 내의 컬러 패턴(250) 및/또는 차광 부재(2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광 영역(BA)은 제2 투광 영역(TA2)에 이웃하는 열방향 연장 영역(CER_C)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3 컬러 필터(235)의 일측은 제2 투광 영역(TA2)과 제3 투광 영역(TA3) 사이의 차광 영역(BA) 내에 배치되고, 제3 컬러 필터(235)의 타측은 제3 투광 영역(TA3)과 제1 투광 영역(TA1) 사이의 차광 영역(B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 컬러 필터(235)의 일측 및 타측은 차광 영역(BA) 내의 컬러 패턴(250) 및/또는 차광 부재(2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광 영역(BA)은 제3 투광 영역(TA3)에 이웃하는 열방향 연장 영역(CER_C)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컬러 필터(233)의 타측과 제3 컬러 필터(235)의 일측은 제1 방향(DR1)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차광 부재(220)는 제2 컬러 필터(233)의 타측과 제3 컬러 필터(235)의 일측 사이에 노출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컬러 필터(233)의 타측과 제3 컬러 필터(235)의 일측은 연결될 수도 있다.
제2 컬러 필터(233) 및 제3 컬러 필터(235)는 각각 제5 투광 영역(TA5) 및 제6 투광 영역(TA6)에 제2 투광 영역(TA2) 및 제3 투광 영역(TA3)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투광 영역(TA1) 내에 위치하는 제1 컬러 필터(231)와 제4 투광 영역(TA4) 내에 배치되는 제1 컬러 필터(231)는 제2 방향(DR2)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투광 영역(TA1) 내에 위치하는 제1 컬러 필터(231)와 제4 투광 영역(TA4) 내에 위치하는 제1 컬러 필터(231) 사이에는 컬러 패턴(25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컬러 패턴(250)은 제1 투광 영역(TA1)과 제4 투광 영역(TA4) 사이의 차광 영역(BA)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투광 영역(TA1) 내에 위치하는 제1 컬러 필터(231) 및 제4 투광 영역(TA4) 내에 위치하는 제1 컬러 필터(231)는 컬러 패턴(25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 4, 도 5, 도 8 및 도 9을 참조하면, 제2 컬러 필터(233)는 제2 투광 영역(TA2), 제5 투광 영역(TA5) 및 제2 투광 영역(TA2)과 제5 투광 영역(TA5) 사이의 차광 영역(BA)에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말로, 제2 투광 영역(TA2), 제5 투광 영역(TA5) 및 제2 투광 영역(TA2)과 제5 투광 영역(TA5) 사이의 차광 영역(BA)에 각각 배치되는 제2 컬러 필터(233)들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차광 영역(BA)의 일부는 행방향 연장 영역(RER_D)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평면상에서 제2 컬러 필터(233)는 제2 투광 영역(TA2)(제5 투광 영역(TA5))에 이웃하는 양 열방향 연장 영역(CER_C)들 사이에 제2 방향(DR2)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컬러 필터(233)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3 컬러 필터(235)는 제3 투광 영역(TA3), 제6 투광 영역(TA6) 및 제3 투광 영역(TA3)과 제6 투광 영역(TA6) 사이의 차광 영역(BA)에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말로, 제3 투광 영역(TA3), 제6 투광 영역(TA6) 및 제3 투광 영역(TA3)과 제6 투광 영역(TA6) 사이의 차광 영역(BA)에 각각 배치되는 제3 컬러 필터(235)는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차광 영역(BA)의 일부는 행방향 연장 영역(RER_C)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9를 참조하면, 평면상에서 제3 컬러 필터(235)는 제3 투광 영역(TA3)(제6 투광 영역(TA6))에 이웃하는 양 열방향 연장 영역(CER_D)들 사이에 제2 방향(DR2)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컬러 필터(235)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컬러 필터(233) 및 제3 컬러 필터(235)는 복수의 투광 영역(TA)에 각각 아일랜드 패턴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컬러 패턴(250)은 제2 베이스부(310) 상에 배치된다. 컬러 패턴(250)은 제2 베이스부(310)의 일면 상 또는 상기 일면 상의 버퍼층에 직접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컬러 패턴(250)은 차광 영역(B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컬러 패턴(250)은 차광 영역(BA) 내에 격자 형상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컬러 패턴(250)은 제1 컬러 필터(231)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컬러 패턴(250)은 청색염료 또는 청색안료와 같은 청색의 색재를 포함할 수 있다. 컬러패턴(250)은 표시 장치(1)의 외부에서 제2 기판(30)으로 유입되는 광의 일부를 흡수하여 외광에 의한 반사광 및 이에 따른 색의 왜곡을 저감할 수 있다.
컬러 패턴(250)은 제1 컬러 필터(231)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컬러 필터(231)의 형성과정에서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컬러 패턴(250)과 제1 컬러 필터(231)의 제3 방향(DR3)의 두께는 동일할 수 있다.
차광 부재(220)는 제2 베이스부(3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광 부재(220)는 컬러 패턴(25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광 부재(220)는 제2 베이스부(310)의 일면과 직접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차광 부재(220)는 차광 영역(B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차광 부재(220)는 차광 영역(BA)의 열방향 연장 영역(CER_D), 행방향 연장 영역(RER_D) 및 교차 영역(CSR_D)에 내에 격자 형상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차광 부재(220)는 유기 차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차광 부재(220)는 광의 투과를 차단하여, 외광 반사 및 인접한 투광 영역(TA) 간의 혼색을 저감할 수 있다.
제3 캡핑층(395)은 차광 부재(220), 컬러 패턴(250) 및/또는 복수의 컬러 필터(231, 233, 235) 상에 배치된다. 제3 캡핑층(395)은 차광 부재(220), 컬러 패턴(250) 및/또는 복수의 컬러 필터(231, 233, 235)를 커버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캡핑층(395)은 차광 부재(220), 컬러 패턴(250) 및 복수의 컬러 필터(231, 233, 235)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도 2,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는 제1 기판(10)과 제2 기판(30)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층(AL)을 포함한다. 표시 장치(1)는 제1 기판(10)과 제2 기판(30) 사이에 배치되고, 공기층(AL)의 두께를 유지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공기층(AL) 및 스페이서의 구성 및 배치는 복수의 투광 영역(TA) 및 차광 영역(BA)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투광 영역(TA) 및 차광 영역(BA)은 각각 발광 영역(LA) 및 비발광 영역(NLA)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공기층(AL)은 투광 영역(TA)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층(AL)은 투광 영역(TA) 및 차광 영역(BA)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공기층(AL)은 투광 영역(TA) 내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공기층(AL)은 광 투과 패턴(330)과 제1 컬러 필터(231) 사이, 제1 파장 변환 패턴(340)과 제2 컬러 필터(233) 사이 및/또는 제2 파장 변환 패턴(350)과 제3 컬러 패턴(2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공기층(AL)은 제2 캡핑층(393)과 제3 캡핑층(39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층(AL)은 제2 캡핑층(393)과 혼색 방지 부재(370) 및/또는 차광 부재(220)와 혼색 방지 부재(370)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층(AL)은 광 투과 패턴(330),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제2 파장 변환 패턴(350) 및/또는 복수의 컬러 필터(231, 233, 235) 보다 낮은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기층(AL)과 광 투과 패턴(330)의 굴절률 차, 공기층(AL)과 제1 파장 변환 패턴(340)의 굴절률 차, 공기층(AL)과 제2 파장 변환 패턴(350)의 굴절률 차 및/또는 공기층(AL)과 복수의 컬러 필터(231, 233, 235)의 굴절률 차는 약 0.4 이상 1.0 이하일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컬러 필터(231, 233, 235)의 굴절률은 광 투과 패턴(330),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제2 파장 변환 패턴(350) 보다 작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공기층(AL)과 복수의 컬러 필터(231, 233, 235)의 굴절률의 차는 0.4 이상 1.0 이하이고, 공기층(AL)과 광 투과 패턴(330)의 굴절률 차, 공기층(AL)과 제1 파장 변환 패턴(340)의 굴절률 차 및/또는 공기층(AL)과 제2 파장 변환 패턴(350)의 굴절률의 차는 0.6 이상 1.0 이하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공기층(AL)과 복수의 컬러 필터(231, 233, 235)의 굴절률의 차는 0.37 이상 1.0 이하이고, 공기층(AL)과 광 투과 패턴(330)의 굴절률 차, 공기층(AL)과 제1 파장 변환 패턴(340)의 굴절률 차 및/또는 공기층(AL)과 제2 파장 변환 패턴(350)의 굴절률의 차는 0.57 이상 1.0 이하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공기층(AL)의 굴절률은 약 1.0이고, 광 투과 패턴(330),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및 제2 파장 변환 패턴(350)의 굴절률은 약 1.7 내지 1.9이고, 컬러 필터의 굴절률은 약 1.5 내지 1.7이며, 제1 베이스부(110)의 굴절률은 약 1.5 내지 1.9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광 투과 패턴(330),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및 제2 파장 변환 패턴(350)의 굴절률은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캡핑층(393)의 굴절률은 광 투과 패턴(330),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및 제2 파장 변환 패턴(350)의 굴절률과 동일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캡핑층(393)의 굴절률은 광 투과 패턴(330),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및 제2 파장 변환 패턴(350)의 굴절률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캡핑층(393)의 굴절률은 광 투과 패턴(330),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및 제2 파장 변환 패턴(350)의 굴절률보다 작거나, 클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캡핑층(393)의 굴절률은 제1 캡핑층(391)의 굴절률과 동일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캡핑층(393)의 굴절률은 제1 캡핑층(391)의 굴절률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캡핑층(393)의 굴절률은 제1 캡핑층(391)의 굴절률보다 작거나, 클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파장이 변환되지 않은 방출광(L1)을 재순환(recycle)하여 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파장 변환 패턴(350), 공기층(AL) 및 제3 컬러 필터(235)를 투과하는 광의 경로는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공기층(AL) 및 제2 컬러 필터(233)를 투과하는 광의 경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으므로, 이하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공기층(AL) 및 제2 컬러 필터(233)를 투과하는 광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1 파장 변환 패턴(340)에 입사된 방출광(L1)의 일부는 제1 파장 시프터(343)에 의해 파장이 변환되나, 제1 파장 변환 패턴(340)에 입사된 방출광(L1)의 다른 일부는 파장이 변환되지 않고 제1 파장 변환 패턴(340)을 투과하여 제2 컬러 필터(233)에 흡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광 손실이 발생하고 표시 장치(1)의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공기층(AL)을 광 투과 패턴(330)과 제1 컬러 패턴(250) 사이, 제1 파장 변환 패턴(340)과 제2 컬러 필터(233) 사이 및/또는 제2 파장 변환 패턴(350)과 제3 컬러 필터(235) 사이에 배치하여 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층(AL)은 전반사를 위한 임계각(θ)을 감소시켜 제1 파장 변환 패턴(340)과 공기층(AL) 사이의 계면에서의 전반사를 증가시킬 수 있다. 공기층(AL)은 제1 파장 변환 패턴(340)에 의해 미처 파장이 변환되지 않은 광, 예를 들면, 청색광을 제1 파장 변환 패턴(340)의 내부 및/또는 제2 베이스부(310)를 향해 전반사하고, 반사된 방출광(L1)은 다시 제1 파장 시프터(343)에 입사되어 파장이 변환될 수 있다. 이 후, 파장이 변환된 광, 예를 들면, 적색광은 제1 파장 변환 패턴(340)의 외부로 출사될 수 있다. 제2 파장 변환 패턴(350) 상의 공기층(AL)에 의해서도 위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전반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및 제2 파장 변환 패턴(350)에 의해 파장이 변환되지 않은 방출광(L1)을 재순환(recycle)하여 표시 장치(1)의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외부와 제2 베이스부(310) 사이의 계면에서 표시 장치(1) 내부로 전반사되는 광을 공기층(AL)에 의해 다시 반사하여 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제1 기판(10)과 제2 기판(30) 사이에 별도의 충진재가 필요하지 않아, 충진재의 확산 불량 또는 비불균일성에 의한 불량 등을 방지하고, 화소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복수의 스페이서(SPC)는 제1 기판(10)과 제2 기판(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스페이서(SPC)는 공기층(AL)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스페이서(SPC)의 제3 방향(DR3)의 높이는 약 1.0μm 내지 5.0μm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스페이서(SPC)는 제2 기판(30)으로부터 제1 기판(10)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된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의 스페이서(SPC)의 제1 방향(DR1) 및/또는 제2 방향(DR2)의 너비는 일정할 수 있다. 복수의 스페이서(SPC)는 제1 기판(10)과 색 변환 사이의 공기층(AL)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복수의 스페이서(SPC)는 컬러 패턴(250)과 혼색 방지 부재(370) 사이 및/또는 차광 부재(220)와 혼색 방지 부재(37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스페이서(SPC)의 일단은 차광 부재(220) 상의 제3 캡핑층(395) 상에 직접 배치되고, 타단은 혼색 방지 부재(370)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스페이서(SPC)는 차광 영역(BA)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스페이서(SPC)는 컬러 패턴(250), 차광 부재(220), 혼색 방지 부재(370), 패널 차광 부재(190) 및/또는 화소 정의막(150) 중 적어도 하나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복수의 스페이서(SPC)는 복수의 컬러 필터(231, 233, 235)의 일부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투광 영역(TA1)과 제2 투광 영역(TA2) 사이의 차광 영역(BA)에 배치되는 제1 스페이서(SPC1)는 컬러 패턴(250), 차광 부재(220) 및 제2 컬러 필터(233)의 일측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기판(30)에 대향하는 제1 스페이서(SPC1)의 일단은 컬러 패턴(250)과 제2 컬러 필터(233)(차광 부재(220)와 제2 컬러 필터(233))에 걸쳐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스페이서(SPC1)의 일단에는 제2 컬러 필터(233)의 일측과 차광 부재(220)의 높이차에 따른 하나의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투광 영역(TA2)과 제3 투광 영역(TA3) 사이의 차광 영역(BA)에 배치되는 제2 스페이서(SPC2)는 컬러 패턴(250), 차광 부재(220), 제2 컬러 필터(233)의 타측 및 제3 컬러 필터(235)의 일측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기판(30)에 대향하는 제2 스페이서(SPC2)의 일단은 제2 컬러 필터(233)의 타측, 컬러 패턴(250) 및 제3 컬러 필터(235)의 일측(제2 컬러 필터(233)의 타측, 차광 부재(220) 및 제3 컬러 필터(235)의 일측)에 걸쳐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스페이서(SPC2)의 일단에는 제2 컬러 필터(233)의 타측과 차광 부재(220)의 높이차 및 제3 컬러 필터(235)의 일측과 차광 부재(220)의 높이차에 따른 두개의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두개의 단차 사이에 제2 베이스부(310)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투광 영역(TA3)과 제1 투광 영역(TA1) 사이의 차광 영역(BA)에 배치되는 제3 스페이서(SPC3)는 컬러 패턴(250), 차광 부재(220) 및 제3 컬러 필터(235)의 타측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기판(30)에 대향하는 제3 스페이서(SPC3)의 일단은 제3 컬러 필터(235)의 타측 및 컬러 패턴(250)(제3 컬러 필터(235)의 타측 및 차광 부재(220))에 걸쳐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스페이서(SPC3)의 일단에는 제1 컬러 필터(231)의 일측과 차광 부재(220)의 높이차에 따른 하나의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페이서(SPC1), 제2 스페이서(SPC2) 및 제3 스페이서(SPC3)의 각 단차 및/또는 돌출부는 제2 컬러 필터(233) 및 제3 컬러 필터(235)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스프라이프 형상으로 배치됨에 따라,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의 컬러 필터(231, 233, 235)는 각각 이웃하는 컬러 패턴(250) 및/또는 차광 부재(220)를 완전히 커버하도록 배치되고, 복수의 스페이서(SPC)의 각 일단은 편평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스페이서(SPC)는 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스페이서(SPC)는 투명한 유기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의 스페이서(SPC)는 광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하는 물질, 광 반사 물질 및 광 산란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스페이서(SPC)는 블랙 매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복수의 스페이서(SPC)는 CrOx 및/또는 MoOx 등의 불투명 무기 절연 물질이나 블랙 수지 등의 불투명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복수의 스페이서(SPC)는 광 반사율이 높은 물질, 예를 들면,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층은 은, 마그네슘, 알루미늄, 백금, 팔라듐, 금, 니켈 네오디뮴, 이리듐, 크롬 및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의 스페이서(SPC)는 복수의 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층 중 적어도 하나는 금속층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스페이서(SPC1), 제2 스페이서(SPC2) 및 제3 스페이서(SPC3)는 모두 투명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스페이서(SPC1), 제2 스페이서(SPC2) 및 제3 스페이서(SPC3)는 모두 광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하는 물질, 광 반사 물질 및 광 산란 물질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스페이서(SPC1), 제2 스페이서(SPC2) 및 제3 스페이서(SPC3) 중 적어도 하나는 투명 물질로 이루어지고, 나머지는 광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하는 물질, 광 반사 물질 및 광 산란 물질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컬러 필터(231)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 스페이서(SPC1) 및 제3 스페이서(SPC3)는 광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하는 물질, 광 반사 물질 및 광 산란 물질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고, 제2 스페이서(SPC2)는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스페이서(SPC2)의 광 투과율은 제1 스페이서(SPC1) 및/또는 제3 스페이서(SPC3)보다 클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스페이서(SPC1) 및/또는 제3 스페이서(SPC3)의 광 흡수율 및/또는 광 반사율은 제2 스페이서(SPC2)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스페이서(SPC)는 제2 기판(30)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스페이서(SPC)의 일단은 제2 기판(30)의 제3 캡핑층(395)에 결합되고 스페이서의 타단은 제1 기판(10)의 혼색 방지 부재(370)에 접촉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의 스페이서(SPC)는 제1 기판(10)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의 실시예는 제1 스페이서(SPC1a), 제2 스페이서(SPC2a) 및 제3 스페이서(SPC3a)가 제1 기판(10) 상에 형성된다는 점에서 점에서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와 상이하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스페이서(SPC1a), 제2 스페이서(SPC2a) 및 제3 스페이서(SPC3a)는 제2 기판(30)에 대향하는 일단이 제2 기판(30)에 접촉하고, 제1 기판(10)에 대향하는 타단이 제1 기판(10)에 결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1 스페이서(SPC1a), 제2 스페이서(SPC2a) 및 제3 스페이서(SPC3a)의 각 일단은 제3 캡핑층(395)에 접촉하고, 제1 스페이서(SPC1a), 제2 스페이서(SPC2a) 및 제3 스페이서(SPC3a)의 각 타단은 혼색 방지 부재(37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스페이서(SPC1a), 제2 스페이서(SPC2a) 및 제3 스페이서(SPC3a)는 제1 기판(10)으로부터 제2 기판(30)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된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스페이서(SPC1a), 제2 스페이서(SPC2a) 및 제3 스페이서(SPC3a)는 제3 방향(DR3)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벽체을 포함하고, 상기 벽체는 제1 방향(DR1) 및/또는 제2 방향(DR2)의 너비가 제2 기판(30)으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경사진 양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스페이서(SPC1a), 제2 스페이서(SPC2a) 및 제3 스페이서(SPC3a)는 광 반사 물질 및 광 산란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광 투과 패턴(330),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및/또는 제2 파장 변환 패턴(350)을 통과한 광들은 제1 스페이서(SPC1a), 제2 스페이서(SPC2a) 및 제3 스페이서(SPC3a)의 경사진 외주면 또는 양 측면에 의해 제2 기판(30)을 향하여 반사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스페이서(SPC1a), 제2 스페이서(SPC2a) 및 제3 스페이서(SPC3a)는 혼색 방지 부재(370)와 동일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물질은 유기 차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스페이서(SPC1a), 제2 스페이서(SPC2a) 및 제3 스페이서(SPC3a)는 혼색 방지 부재(370)와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스페이서(SPC1a), 제2 스페이서(SPC2a) 및 제3 스페이서(SPC3a)는 하프톤 에칭 방식 등을 이용하여 혼색 방지 부재(37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는 제1 스페이서(SPC1a), 제2 스페이서(SPC2a) 및 제3 스페이서(SPC3a)가 제1 기판(10) 상에 형성된다는 점 외에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이하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의 실시예는 제2 기판(30)에 컬러 패턴(250)이 배치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와 상이하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기판(30)은 제2 베이스부(310), 차광 부재(220b), 제1 컬러 필터(231b), 제2 컬러 필터(233), 제3 컬러 필터(235) 및 제3 캡핑층(395)을 포함할 수 있다.
차광 부재(220b)는 제1 컬러 필터(231b)와 제2 컬러 필터(233) 사이, 제2 컬러 필터(233)와 제3 컬러 필터(235)의 사이 및 제3 컬러 필터(235)와 제1 컬러 필터(231b)의 사이의 차광 영역(BA)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와는 달리, 차광 영역(BA)에 컬러 패턴(250)이 배치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1 컬러 필터(231b)와 제2 컬러 필터(233) 사이, 제2 컬러 필터(233)와 제3 컬러 필터(235)의 사이 및 제3 컬러 필터(235)와 제1 컬러 필터(231b)의 사이에는 차광 부재(220b)만이 배치될 수 있다.
차광 부재(220b)는 제2 베이스부(310)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차광 부재(220b)는 제2 베이스부(310) 상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층, 예를 들면, 버퍼층과 직접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컬러 필터(231b)는 제2 컬러 필터(233) 및 제3 컬러 필터(235)와 유사하게 차광 영역(BA) 내의 차광 부재(220b)에 걸쳐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1 컬러 필터(231b)의 일측은 제3 투광 영역(TA3)과 제1 투광 영역(TA1) 사이의 차광 영역(BA)에 배치되는 차광 부재(220b) 상에 배치되고, 제1 컬러 필터(231b)의 타측은 제1 투광 영역(TA1)과 제2 투광 영역(TA2) 사이의 차광 영역(BA)에 배치되는 차광 부재(220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에서, 제1 컬러 필터(231b), 제2 컬러 필터(233) 및 제3 컬러 필터(235)는 제1 방향(DR1)으로 상호 이격되고, 차광 부재(220b)는 제1 컬러 필터(231b)와 제2 컬러 필터(233) 사이, 제2 컬러 필터(233)와 제3 컬러 필터(235) 사이 및 제3 컬러 필터(235)와 제1 컬러 필터(231b) 사이에 노출되도록 배치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컬러 필터(231b)의 일측과 제3 컬러 필터(235)의 타측, 제1 컬러 필터(231b)의 타측과 제2 컬러 필터(233)의 일측, 제2 컬러 필터(233)의 타측과 제3 컬러 필터(235)의 일측은 각각 차광 영역(BA) 내에서 상호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도 8에서, 복수의 스페이서(SPC)가 제2 기판(30) 상에 형성되어, 복수의 스페이서(SPC)의 일단은 제3 캡핑층(395)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2 캡핑층(393)에 접촉되는 것이 예시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의 스페이서(SPC)는 제1 기판(10)에 형성되어, 복수의 스페이서(SPC)의 일단은 제3 캡핑층(395)에 접촉되고, 타단은 제2 캡핑층(393)에 결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는 제2 기판(30)에 컬러 패턴(250)이 배치되지 않는다는 점 외에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이하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의 실시예는 혼색 방지 부재(370) 및 패널 차광 부재(190) 대신 격벽(380)이 배치되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와 상이하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기판(10)은 제1 베이스부(110), 복수의 스위칭 소자(T1, T2, T3), 절연막(130), 복수의 애노드 전극(AE1, AE2, AE3), 화소 정의막(150), 발광층(OL), 캐소드 전극(CE), 박막 봉지층(170), 제1 캡핑층(391c), 격벽(380), 광 투과 패턴(330),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제2 파장 변환 패턴(350) 및 제2 캡핑층(393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캡핑층(391c)은 박막 봉지층(17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캡핑층(391c)은 박막 봉지층(170)의 제2 봉지 무기막(175)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격벽(380)은 제1 캡핑층(391c)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격벽(380)은 제1 캡핑층(391c)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격벽(380)은 격벽(380)은 비발광 영역(NL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격벽(380)은 차광 영역(BA)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격벽(380)은 평면상에서 복수의 발광 영역(LA)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격벽(380)은 제1 발광 영역(LA1), 제2 발광 영역(LA2), 제3 발광 영역(LA3), 제4 발광 영역(LA4), 제5 발광 영역(LA5) 및 제6 발광 영역(LA6)을 둘러싸는 격자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격벽(380)은 복수의 발광 영역(LA)에 따라 광 투과 패턴(330),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및 제2 파장 변환 패턴(350)이 배치되는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캡핑층(391c)은 생략되고, 격벽(380)은 박막 봉지층(170)의 제2 봉지 무기막(175) 상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다.
광 투과 패턴(330),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및 제2 파장 변환 패턴(350)을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는 잉크젯 방식으로 형성하는 경우, 격벽(380)은 상기 잉크 조성물을 원하는 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시키는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격벽(380)은 감광성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감광성 유기 물질은 네거티브 감광성 물질일 수 있다.
격벽(380)은 차광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격벽(380)은 차광 영역(BA) 내에 배치되어 인접하는 발광 영역 및/또는 투광 영역들 사이의 혼색을 방지할 수 있다.
광 투과 패턴(330),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및 제2 파장 변환 패턴(350)은 격벽(380)에 의해 구획된 공간 중 각각 제1 투광 영역(TA1), 제2 투광 영역(TA2) 및 제3 투광 영역(TA3)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캡핑층(393c)은 격벽(380), 광 투과 패턴(330),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및 제2 파장 변환 패턴(35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격벽(380), 광 투과 패턴(330),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및 제2 파장 변환 패턴(350)은 제1 캡핑층(391c)과 제2 캡핑층(393c) 사이에 샌드위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광 투과 패턴(330),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및 제2 파장 변환 패턴(350)은 격벽(380)의 측면에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격벽(380)은 제2 캡핑층(393c)에 의해 커버되어 공기층(AL)에 직접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복수의 스페이서(SPC)의 일단은 제3 캡핑층(395)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2 캡핑층(393c)에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의 스페이서(SPC)의 일부는 타단이 제2 캡핑층(393c)과 제3 방향(DR3)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의 스페이서(SPC)는 제1 기판(10)에 형성되어, 복수의 스페이서(SPC)의 일단은 제3 캡핑층(395)에 접촉되고, 타단은 제2 캡핑층(393c)에 결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9의 실시예는 혼색 방지 부재(370) 및 패널 차광 부재(190) 대신 격벽(380)이 배치되는 점 외에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이하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의 실시예는 격벽(380), 제1 캡핑층(391d) 및 제2 캡핑층(393d)의 배치가 도 9의 실시예와 상이하다.
도 10을 참조하면, 격벽(380)은 박막 봉지층(17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격벽(380)은 박막 봉지층(170)의 제2 봉지 무기막(175)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제1 캡핑층(391d)은 격벽(38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1 캡핑층(391d)은 격벽(380) 및 격벽(380) 사이에 노출된 박막 봉지층(170)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기판(30)에 대향하는 격벽(380)의 상면 및 상기 상면에 연결된 측면들이 제1 캡핑층(391d)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 투과 패턴(330),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및 제2 파장 변환 패턴(350)은 격벽(380)과 직접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광 투과 패턴(330),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및 제2 파장 변환 패턴(350)은 제1 캡핑층(391d)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광 투과 패턴(330),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및 제2 파장 변환 패턴(350)이 격벽(380)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들 내에 배치됨은 도 9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제2 캡핑층(393d)은 제1 캡핑층(391d), 광 투과 패턴(330),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및 제2 파장 변환 패턴(35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캡핑층(393d)은 제1 캡핑층(391d), 광 투과 패턴(330),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및 제2 파장 변환 패턴(350)을 커버할 수 있다. 광 투과 패턴(330),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및 제2 파장 변환 패턴(350)은 제1 캡핑층(391d)과 제2 캡핑층(393d) 사이에 샌드위치될 수 있다. 제2 캡핑층(393d)은 광 투과 패턴(330),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및 제2 파장 변환 패턴(350)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제2 캡핑층(393d)은 제1 캡핑층(391d)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제2 캡핑층(393d)은 격벽(380)과 스페이서 사이에서 제1 캡핑층(391d)과 직접 접촉하여, 광 투과 패턴(330), 제1 파장 변환 패턴(340) 및 제2 파장 변환 패턴(350)을 밀봉할 수 있다.
도 10에서, 복수의 스페이서(SPC)는 제2 기판(30) 상에 형성되어, 복수의 스페이서(SPC)의 일단은 제3 캡핑층(395)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2 캡핑층(393d)에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9의 실시예와는 달리, 제2 복수의 스페이서(SPC)의 타단과 격벽(380) 사이에 제1 캡핑층(391d)의 일부 및 제2 캡핑층(393d)의 일부가 샌드위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의 스페이서(SPC)는 제1 기판(10) 상에 형성되어, 복수의 스페이서(SPC)의 일단은 제3 캡핑층(395)에 접촉되고, 타단은 제2 캡핑층(393d)에 결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의 실시예는 외에 도 9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이하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의 실시예는 제1 스페이서(SPC1e), 제2 스페이서(SPC2e) 및 제3 스페이서(SPC3e) 중 적어도 하나가 나머지와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와 상이하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스페이서(SPC1e), 제2 스페이서(SPC2e) 및 제3 스페이서(SPC3e)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와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스페이서(SPC2e)의 제3 방향(DR3) 길이는 제1 스페이서(SPC1e) 및 제3 스페이서(SPC3e)의 제3 방향(DR3)의 길이 보다 길 수 있다. 이 때, 제1 스페이서(SPC1e) 및 제3 스페이서(SPC3e)의 타단은 제2 기판(30)에 접촉하고, 제2 스페이서(SPC2e)의 타단은 제2 기판(30)으로부터 제3 방향(DR3)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스페이서(SPC1e) 및 제3 스페이서(SPC3e)는 통상적인 비가압 상황에서 제1 기판(10)과 제2 기판(3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고 제2 스페이서(SPC2e)는 가압 상황에서 제1 기판(10)과 제2 기판(3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스페이서(SPC1e) 및 제3 스페이서(SPC3e)의 길이는 제2 스페이서(SPC2e)의 길이보다 짧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스페이서(SPC2e)의 타단은 제2 기판(30)에 접촉되고, 제1 스페이서(SPC1e) 및 제3 스페이서(SPC3e)는 제2 기판(3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스페이서(SPC1e), 제2 스페이서(SPC2e) 및 제3 스페이서(SPC3e) 중 하나만 제2 기판(30)과 접촉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스페이서(SPC1e) 또는 제3 스페이서(SPC3e)의 길이는 나머지보다 길고, 제1 스페이서(SPC1e) 또는 제3 스페이서(SPC3e)만 제2 기판(30)과 접촉될 수 있다.
도 11의 실시예는 복수의 스페이서(SPC)의 적어도 하나가 나머지와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다는 점 외에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이하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2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12의 실시예는 스페이서(SPCf)가 격자 형태로 배치된다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와 상이하다.
도 4 및 도 12를 참조하면, 스페이서(SPCf)는 제3 방향(DR3)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벽체의 형상을 가지고, 차광 영역(BA)의 행방향 연장 영역(RER_C) 및 열방향 연장 영역(CER_C)에 격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SPCf)는 차광 영역(B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스페이서(SPCf)의 가장자리는 평면상에서 제1 투광 영역(TA1), 제2 투광 영역(TA2), 제3 투광 영역(TA3), 제4 투광 영역(TA4), 제5 투광 영역(TA5) 및 제6 투광 영역(TA6)의 가장자리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즉, 평면상에서 스페이서(SPCf)의 너비는 차광 영역(BA)의 행방향 연장 영역(RER_C) 및/또는 열방향 연장 영역(CER_C)의 너비보다 작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스페이서(SPCf)의 가장자리는 평면상에서 제1 투광 영역(TA1), 제2 투광 영역(TA2), 제3 투광 영역(TA3), 제4 투광 영역(TA4), 제5 투광 영역(TA5) 및 제6 투광 영역(TA6)의 가장자리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될 수도 있다.
도 12에서, 벽체 형상의 스페이서(SPCf)가 제2 기판(30) 상에 형성되는 것이 예시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 12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스페이서(SPCf)는 제1 기판(10)의 비발광 영역(NLA)에 격자 형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2의 실시예는 스페이서(SPCf)가 격자 형태로 배치된다는 점 외에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이하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3의 실시예는 제1 스페이서(SPC1g), 제2 스페이서(SPC2g) 및 제3 스페이서(SPC3g)가 제2 방향(DR2)으로 긴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치된다는 점에서 도 12의 실시예와 상이하다.
도 4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1 스페이서(SPC1g), 제2 스페이서(SPC2g) 및 제3 스페이서(SPC3g)는, 제2 컬러 필터(233) 및 제3 컬러 필터(235)와 유사하게, 제2 방향(DR2)으로 긴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스페이서(SPC1g), 제2 스페이서(SPC2g) 및 제3 스페이서(SPC3g)는 차광 영역(BA)의 열방향 연장 영역(CER_D)에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스페이서(SPC1g)는 제1 투광 영역(TA1)과 제2 투광 영역(TA2) 사이 및 제4 투광 영역(TA4)과 제5 투광 영역(TA5) 사이를 지나는 열방향 연장 영역(CER_D)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스페이서(SPC2g)는 제2 투광 영역(TA2)과 제3 투광 영역(TA3) 사이 및 제5 투광 영역(TA5)과 제6 투광 영역(TA6) 사이를 지나는 열방향 연장 영역(CER_D)에 배치되고, 제3 스페이서(SPC3g)는 제3 투광 영역(TA3)과 제1 투광 영역(TA1) 사이 및 제6 투광 영역(TA6)과 제4 투광 영역(TA4) 사이를 지나는 열방향 연장 영역(CER_D)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스페이서(SPC1g), 제2 스페이서(SPC2g) 및 제3 스페이서(SPC3g)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스페이서(SPC2g)는 생략될 수 있다.
도 13에서, 제1 스페이서(SPC1g), 제2 스페이서(SPC2g) 및 제3 스페이서(SPC3g)가 제2 기판(30) 상에 형성되는 것이 예시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 13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1 스페이서(SPC1g), 제2 스페이서(SPC2g) 및 제3 스페이서(SPC3g)는 제1 기판(10)의 비발광 영역(NLA)에 제2 방향(DR2)으로 긴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3의 실시예는 제1 스페이서(SPC1g), 제2 스페이서(SPC2g) 및 제3 스페이서(SPC3g)가 제2 방향(DR2)으로 긴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치된다는 점 외에 도 12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이하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14의 실시예는 제2 스페이서(SPC2h)의 형상이 도 13의 실시예와 상이하다.
도 4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1 스페이서(SPC1h) 및 제3 스페이서(SPC3h)는 제2 방향(DR2)을 긴 스트라이프 형상을 가지되, 제2 스페이서(SPC2h)는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1 스페이서(SPC1h)는 제1 투광 영역(TA1)과 제2 투광 영역(TA2) 사이 및 제4 투광 영역(TA4)과 제5 투광 영역(TA5) 사이의 열방향 연장 영역(CER_C)에 배치되고, 제3 스페이서(SPC3h)는 제3 투광 영역(TA3)과 제1 투광 영역(TA1) 사이 및 제6 투광 영역(TA6)과 제4 투광 영역(TA4) 사이의 열방향 연장 영역(CER_C)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2 스페이서(SPC2h)는 제2 투광 영역(TA2)과 제3 투광 영역(TA3) 사이 및 제5 투광 영역(TA5)과 제6 투광 영역(TA6) 사이를 지나는 열방향 연장 영역(CER_C)과 제2 투광 영역(TA2)과 제5 투광 영역(TA5) 사이 및 제3 투광 영역(TA3)과 제6 투광 영역(TA6) 사이를 지나는 행방향 연장 영역(RER_C)이 교차하는 교차 영역(CSR_C)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스페이서(SPC1h)만 스트라이프 형상을 가지고, 제2 스페이서(SPC2h) 및 제3 스페이서(SPC3h)는 기둥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11 및 도 14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스페이서(SPC1h) 및 제3 스페이서(SPC3h)의 제3 방향(DR3)의 길이는 제2 스페이서(SPC2h)보다 길 수 있다. 이 경우, 제1 스페이서(SPC1h) 및 제3 스페이서(SPC3h)의 타단은 제1 기판(10)에 접촉하되, 제2 스페이서(SPC2h)의 타단은 제1 기판(10)과 이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스페이서(SPC1h), 제2 스페이서(SPC2h) 및 제3 스페이서(SPC3h)는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도 14에서, 제1 스페이서(SPC1h), 제2 스페이서(SPC2h) 및 제3 스페이서(SPC3h)가 제2 기판(30) 상에 형성되는 것이 예시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 14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1 스페이서(SPC1h), 제2 스페이서(SPC2h) 및 제3 스페이서(SPC3h)는 제1 기판(10)의 비발광 영역(NLA)에 제2 방향(DR2)으로 긴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4의 실시예는 제2 스페이서(SPC2h)의 형상이 도 13의 실시예와 상이하다는 점외에 도 13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이하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는 제1 파장 변환 패턴과 제2 컬러 필터 사이 및/또는 제2 파장 변환 패턴과 제3 컬러 필터 사이에 배치되는 층의 굴절률에 따른 표시 장치의 광 효율의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5에서 가로축은 제1 파장 변환 패턴(340)과 제2 컬러 필터(233) 사이 및 제2 파장 변환 패턴(350)과 제3 컬러 필터(235) 사이에 배치되는 층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표시 장치(1)의 광 효율을 나타낸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 파장 변환 패턴(340)과 제2 컬러 필터(233) 사이 및 제2 파장 변환 패턴(350)과 제3 컬러 필터(235) 사이에 배치되는 층의 굴절률이 증가할수록 표시 장치(1)의 광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굴절률이 약 1.23인 경우의 광 효율을 100%라고 할 때, 상기 굴절률이 1.2, 1.17, 1.14인 경우 각각 102.2%, 103.4%, 104.6%로 향상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으며, 상기 굴절률이 약 1.0인 경우, 즉, 공기층(AL)을 배치하는 경우, 광 효율은 약 110%인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제1 파장 변환 패턴(340)과 제2 컬러 필터(233) 사이 및 제2 파장 변환 패턴(350)과 제3 컬러 필터(235) 사이에 공기층(AL)을 배치하여, 제1 기판(10)과 제2 기판(30) 사이에 굴절률이 약 1.23인 물질, 예를 들면, 충진재가 배치되는 경우와 비교 시, 표시 장치(1)의 광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표시 장치
10: 제1 기판
30: 제2 기판
50: 실링 부재
AL: 공기층

Claims (21)

  1. 제1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와 대향하는 제2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일면 상에 배치되며 제1 광을 방출하는 발광층;
    상기 발광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광을 상기 제1 광과 상이한 파장을 갖는 제2 광으로 변환하는 제1 파장 변환 패턴;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일면 상에 상기 제1 파장 변환 패턴과 중첩하고, 상기 제1 파장 변환 패턴과 이격되어 배치된 제1 컬러 필터; 및
    상기 제1 파장 변환 패턴과 상기 제1 컬러 필터 사이에 개재된 공기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장 변환 패턴 상에 배치되는 제1 캡핑층 및 상기 제1 컬러 필터 상에 배치되는 제2 캡핑층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공기층은 상기 제1 캡핑층과 상기 제2 캡핑층 사이에 상기 제1 캡핑층 및 상기 제2 캡핑층과 직접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 및 상기 제2 광과 상이한 파장을 갖는 제3 광으로 변환하는 제2 파장 변환 패턴 및 상기 제1 파장 변환 패턴과 상기 제2 파장 변환 패턴 사이에 배치되는 혼색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혼색 방지 부재는 상기 제1 캡핑층 상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캡핑층은 상기 제1 파장 변환 패턴과 상기 혼색 방지 부재 사이 및 상기 제2 파장 변환 패턴과 상기 혼색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 및 상기 제2 광과 상이한 파장을 갖는 제3 광으로 변환하는 제2 파장 변환 패턴 및 상기 제1 파장 변환 패턴과 상기 제2 파장 변환 패턴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캡핑층은은 상기 제1 파장 변환 패턴, 상기 제2 파장 변환 패턴, 상기 격벽 상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장 변환 패턴 및 상기 제2 파장 변환 패턴은 상기 격벽은 직접 접촉하는 표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컬러 필터는 상기 제1 광은 흡수하고 상기 제2 광은 투과시키되,
    상기 제1 광은 흡수하고 상기 제2 광과 상이한 파장을 갖는 제3 광을 투과시키는 제2 컬러 필터, 상기 제1 컬러 필터와 상기 제2 컬러 필터 사이에 배치되는 차광 부재 및 상기 차광 부재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을 투과시키는 제3 컬러 필터, 상기 제1 컬러 필터와 상기 제3 컬러 필터 사이에 배치되는 컬러 패턴 및 상기 컬러 패턴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컬러 필터와 상기 컬러 패턴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10. 발광 영역 및 상기 발광 영역을 둘러싸는 비발광 영역을 포함하는 제1 베이스부;
    투광 영역 및 상기 투광 영역을 둘러싸는 차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부와 대향하는 제2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 부의 상기 발광 영역에 각각 배치된 파장 변환 패턴;
    상기 제2 베이스 부의 상기 투광 영역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파장 변환 패턴과 대향하는 컬러 필터;
    상기 파장 변환 패턴과 상기 컬러 필터 사이에 개재된 공기층; 및
    상기 파장 변환 패턴과 상기 컬러 필터 사이에 배치되며, 측면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공기층에 의해 둘러싸이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상기 비발광 영역 및 상기 차광 영역은 두께 방향으로 중첩하도록 배치되는 표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영역 및 상기 발광 영역은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행방향 연장 영역,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열방향 연장 영역 및 상기 행방향 연장 영역과 상기 열방향 연장 영역이 교차하는 교차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스페이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교차 영역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기둥 형상을 가지고, 상기 교차 영역 내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차광 영역의 열방향 연장부 상에 제2 방향으로 긴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치되는 표시 장치.
  15.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 영역은 복수로 배치되되, 상기 복수의 투광 영역은 서로 다른 색의 광을 각각 투과하고 일측 방향으로 순차로 배열되는 제1 투광 영역, 제2 투광 영역 및 제3 투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1 투광 영역과 제2 투광 영역 사이의 차광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스페이서, 상기 제2 투광 영역과 상기 제3 투광 영역 사이의 차광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스페이서 및 상기 제3 투광 영역과 상기 제1 투광 영역 사이의 차광 영역에 배치되는 제3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페이서와 상기 제2 스페이서 사이의 간격과 상기 제2 스페이서와 상기 제3 스페이서 사이의 간격이 상이한 표시 장치.
  17.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1 베이스부에 대향하는 상기 컬러 필터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8.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2 베이스부에 대향하는 상기 파장 변환 패턴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9.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 변환 패턴의 굴절률과 상기 공기층의 굴절률의 차는 0.6 이상인 표시 장치.
  20.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필터의 굴절률과 상기 공기층의 굴절률의 차는 0.4 이상인 표시 장치.
  21. 입사광의 파장을 특정 파장 범위 내에서 피크 파장을 가지도록 변환하는 파장 변환 패턴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상기 파장 변환 패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컬러 필터를 포함하는 제2 기판;
    상기 파장 변환 패턴과 상기 컬러 필터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층; 및
    상기 파장 변환 패턴과 상기 컬러 필터 사이에 배치되며, 측면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공기층에 의해 둘러싸이는 스페이서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200102239A 2020-08-14 2020-08-14 표시 장치 Pending KR2022002197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239A KR20220021978A (ko) 2020-08-14 2020-08-14 표시 장치
US17/337,476 US11930684B2 (en) 2020-08-14 2021-06-03 Display device
CN202110900399.9A CN114078917A (zh) 2020-08-14 2021-08-06 显示装置
EP21190392.7A EP3955307A1 (en) 2020-08-14 2021-08-09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239A KR20220021978A (ko) 2020-08-14 2020-08-14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978A true KR20220021978A (ko) 2022-02-23

Family

ID=77265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2239A Pending KR20220021978A (ko) 2020-08-14 2020-08-14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930684B2 (ko)
EP (1) EP3955307A1 (ko)
KR (1) KR20220021978A (ko)
CN (1) CN11407891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346156B2 (en) 2014-02-25 2025-07-01 Medibotics Llc Wrist-worn device with a variable-size display which is expanded by unrolling or sliding
CN112133734B (zh) * 2020-09-29 2022-08-30 湖北长江新型显示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3066829A (zh) * 2021-03-11 2021-07-02 重庆京东方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2010A (ja) * 2004-07-13 2006-02-02 Hitachi Displays Ltd 有機el表示装置
US7791271B2 (en) 2006-02-24 2010-09-07 Global Oled Technology Llc Top-emitting OLED device with light-scattering layer and color-conversion
KR20130049728A (ko) * 2011-11-04 2013-05-14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모듈 및 발광 장치
JP2015026417A (ja) 2011-11-18 2015-02-05 シャープ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並びに、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17073260A (ja) 2015-10-06 2017-04-1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有機el表示装置及び有機el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2512274B1 (ko) * 2016-08-12 2023-03-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651097B1 (ko) 2016-10-28 2024-03-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CN113675353A (zh) * 2017-05-18 2021-11-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彩膜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面板
KR102568756B1 (ko) 2018-06-20 2023-08-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72718B1 (ko) 2018-09-14 2023-08-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컬러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00083879A (ko) 2018-12-31 2020-07-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색변환 기판 및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078917A (zh) 2022-02-22
US20220052121A1 (en) 2022-02-17
EP3955307A1 (en) 2022-02-16
US11930684B2 (en) 202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969032B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8878626B (zh) 一种显示面板及制作方法、显示装置
EP3955307A1 (en) Display device
KR20210021216A (ko) 표시 장치
CN114678480A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797376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50025393A (ko) 표시패널
JP4967793B2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及び電子機器
CN217279198U (zh) 一种显示装置
CN108628035A (zh) 光致发光设备
CN115360314A (zh) 一种显示基板、显示装置和制作方法
US20250020956A1 (en) Spliced display device
CN113097276A (zh)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和显示装置
US20240049551A1 (en) Display panel
US11289458B2 (en) Micro light-emitting diode transparent display
CN111025742B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219392421U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12224308B2 (en) Display device and tiled display including the same
US20230066878A1 (e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1837589B2 (en) Tiled display device
CN117479617A (zh) 显示面板
CN115172402A (zh) 发光面板
CN114355657A (zh) 拼接显示面板及拼接显示装置
US20240040882A1 (en) Display panel
US20250040391A1 (en) Color conversion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display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1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308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08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